KR100509717B1 -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717B1
KR100509717B1 KR10-2002-0045161A KR20020045161A KR100509717B1 KR 100509717 B1 KR100509717 B1 KR 100509717B1 KR 20020045161 A KR20020045161 A KR 20020045161A KR 100509717 B1 KR100509717 B1 KR 10050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g
sericin
meo
active ingredient
reti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881A (ko
Inventor
김기호
김기수
조종수
조광용
이광길
여주홍
이용우
엄상용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2-004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7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세리신-PEG 결합체에 주름개선 활성성분을 함입 시킨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2-(O-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4,6-디클로로-트리아진(actPEG1) 또는 2,4-비스(O-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6-클로로-트리아진 (act PEG2)와 세리신을 염기성 완충 수용액에서 반응 시켜 PEG-세리신 결합체를 제조한 후 유기용매 내에서 투석에 의해 주름개선 활성성분이 함입된 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식에서 actPEGn 의 분자량은 1,000 - 40,000 이다.

Description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s}
본 발명은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누에고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단백질인 세리신에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화학결합시킨 뒤 투석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접합체에 주름개선제를 함입시켜 얻은 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화장품에 첨가한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노입자를 첨가한 화장품 조성물에서는 일반적인 마이크로 단위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에멀전 조제방법으로 얻어지는 화장품에 비해 주름개선제나 항산화제의 역가가 오래 보존 되며 더 나아가 나노입자에 의한 피부 침투 효과가 뛰어나 주름개선과 같은 피부 상태개선에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주름개선제가 함입된 나노입자는 투석방법(diafiltration method)을 사용하여 쉽고 높은 수율로 제조되며 회합이 잘 일어나지 않고 1 mm 이하의 크기 및 구형모양을 지니게 된다. 또한 1 mm이하 크기를 지닌 나노입자는 분리기술, 조직학적인 연구, 임상진단 방법, 약물전달, 기능성 화장품 같은 생명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활발히 응용될수 있으며 이는 나노입자가 정제, 살균의 용이성과 약물의 목표에 효과적인 작용, 지속적인 약물 방출거동 등의 응용에 대한 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C.Cho et.al, Macromolecularie Chemie, Rapid Communication, 18 361-369(1997))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고분자인 실크 세리신은 많은 수산화기를 가지고 있지만 세리신 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용매에 잘녹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 양친매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화학결합시키면 유기용매에 잘 녹기 때문에 세리신-PEG 결합체는 유기용매에 녹아 나노입자 형성이 가능하므로 투석방법에 의해 기능성화장품 및 의약전달용으로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자기-집합(self-assembled) 나노입자를 제조 할수 있다.(한국특허출원 2001-32990)
또한 세리신은 누에고치에서 얻어지는 천연 단백질 성분으로서 독성이 전혀 없으며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합성된 고분자이지만 무독성이며 면역반응을 하지않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어 인체에는 전혀 무해한 물질이다(Poly(ethylene glycol) Chemistry, J. M. Harris Eds., Plenum Press, 1992)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주름 개선제로는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 토코페롤 및 토코페롤 유도체, 7-데히드록시콜레스테롤, 우르솔산, 2-데옥시아데노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주름개선제의 단점은 일반적인 에멀젼에 함입 시켜 사용되었을 때 공기나 수중의 산소 및 자외선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그 역가가 소실되기 때문에 그 효과가 급격히 감소된다. 화장품 과학자들은 그러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활성물질의 역가가 오래 보존되는 동시에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발휘하는 제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기울여 왔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아직 얻지 못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개선 활성성분을 함입 시킨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름개선제의 역가가 오래 보존되는 동시에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된 분자량을 가지는 세리신 수용액에 활성화된 폴리에틸렌글리콜(actPEGn)을 일정량 첨가한후 반응시켜 투석막을 사용하여 미반응물질을 제거 시킨 다음 동결건조를 통해 세리신-PEG 결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활성성분과 함께 에탄올에 다시 녹여 투석을 진행시킨 후 동결건조시켜 일정량의 활성성분이 함입된 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활성 성분으로는 레티놀, 레티놀팔미테이트, 레티놀아세테이트, 레티노익엑시드, 레티날, 비타민 D1,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D4,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7-데히드록시콜레스테롤, 우르솔산등이 사용될 수 있다.
actPEGn은 그 한가지 일반식으로서
로 표시되며 여기서 R1 과 R2 은 각각CH3O(CH2-CH2-O)n-와 CH3O(CH2-CH2-O)n-(actPEG1)또는 CH3O(CH2-CH2-O)n-와 Cl(actPEG2)이며 분자량 범위는 1,000-40,000 이 사용될수 있다.
또 다른 actPEGn 으로서 다음과 같은 일반식을 가지는 활성화된 PEG가 사용될수 있고
여기서 R1은 MeO-PEG-OCH2CH2-(actPEG3), MeO-PEG-OCH2CH 2CH2-(actPEG4), MeO-PEG-O2CNH(CH2)5-(actPEG5), MeO-PEG-S-CH2CH2-(actPEG6 ), MeO-PEG-NHCOCH2CH2-(actPEG7), MeO-O2(CH2)3-(actPEG8), MeO-PEG-O2CCH2 CH2-(actPEG9), MeO-PEG-O-(actPEG10), MeO-PEG-OCH2-(actPEG11) 이고 분자량 범위는 1,000-40,000 이 사용될수 있으며 R2, R3, R4는 MeO-PEG- (각각 actPEG12, actPEG13, actPEG14 )이며 분자량범위는 1,000-40,000 이 사용될수 있고 그 양은 세리신의 양에 대해 무게백분율로 10-20배 사용할수 있다.
사용되는 세리신은 열수추출된 세리신 또는 효소처리되어 분자량이 조절된 세리신(분자량범위 1,000-20,000)이 사용될수 있다. 반응 수용액으로서는 pH 8-10사이의 완충 수용액을 사용할수 있고 완충 수용액으로서 붕산염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AMPSO 완충액, CHES 완충액, CAPSO 완충액, AMP 완충액, CAPS 완충액을 사용할수 있다. 세리신과 활성화된 PEG의 반응온도는 4-40C에서, 그리고 반응시간은 3-36시간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리신-PEG 입자에 활성 성분을 함입시키기 위하여 세리신-PEG 입자를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1,3-부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 시킨후 여기에 무게비로 약 1/10 -10배에 해당하는 활성 성분을 첨가한다. 혼합된 용액을 투석막(분자량cut-off 12,000)에 넣어 증류수에서 24시간 투석을 실시한 후 동결 건조시키면 세리신-PEG 입자에 활성성분이 함입된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자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특허의 내용이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 실시예1
pH 9.4의 붕산염 완충액12ml에 12mg의 세리신(분자량 7,000)을 용해 시킨 후 actPEG 1 (MW 1,000)을 27mg 첨가 하였다. 4℃ 에서 24시간 반응시킨 후 에탄올에 녹여 증류수에서 투석막을 사용하여 24시간 투석 시켰다. 투석액을 동결건조하여 25mg 의 세리신-PEG 결합체(Sericin-PEG1)를 얻었다. (수율 64%). 얻어진 세리신-PEG 결합체 25mg을 에탄올 5ml에 용해 시키고 다시 2.5mg의 레티놀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간 차광된 용기내에서 교반 시켰다. 혼합된 용액을 투석막(분자량cut-off 12,000)에 넣어 증류수에서 24시간 투석을 실시한 후 동결 건조시켜 세리신-PEG 입자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제조하였다.(수율 62%) 가시-자외선 분광분석법으로 분석한 함입된 레티놀의 양은 무게비로 4.20% 였다.
제조 실시예 2-13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세리신-PEG 입자를 사용하여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러가지 활성성분을 바꾸어 실험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제조실시예 활성성분 수율(%) 활성성분함량(w/w%)
2 레티놀팔미테이트 50 17.5
3 레티놀아세테이트 64 11.3
4 레티노익엑시드 60 4.0
5 레티날 68 4.8
6 비타민D1 52 3.6
7 비타민D2 50 2.8
8 비타민D3 53 3.2
9 비타민D4 55 3.8
10 토코페롤 60 11.2
11 토코페롤아세테이트 62 9.9
12 7-데히드록시콜레스테롤 58 5.6
13 우르솔산 56 1.2
제조 실시예 14
pH 9.4의 붕산염 완충액12ml에 24mg의 세리신을 용해 시킨 후 actPEG 12 , (MW 2,000)을 54mg 첨가 하였다. 4℃ 에서 24시간 반응시킨 다음 에탄올에 녹여 증류수에서 투석막을 사용하여 24시간 투석 시켰다. 투석액을 동결건조하여 51mg 의 세리신-PEG 결합체를 얻었다. 수율 65%.
얻어진 세리신-PEG 결합체 51mg을 에탄올 5ml에 용해 시키고 다시 5.1mg의 레티놀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간 차광된 용기내에서 교반 시켰다. 혼합된 용액을 투석막(분자량cut-off 12,000)에 넣어 증류수에서 24시간 투석을 실시한 후 동결 건조시켜 세리신-PEG 입자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제조하였다. (수율 64%) 가시-자외선 분광분석법으로 분석한 함입된 레티놀의 양은 무게비로 4.6% 였다.
제조 실시예 15-26
제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세리신-PEG 입자를 사용하여 제조 실시예 14과 동일한 방법으로 활성성분을 바꾸어 실험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제조실시예 활성성분 수율(%) 활성성분함량(w/w%)
15 레티놀팔미테이트 55 15.0
16 레티놀아세테이트 66 10.1
17 레티노익엑시드 65 3.8
18 레티날 72 4.0
19 비타민D1 48 3.2
20 비타민D2 53 3.9
21 비타민D3 60 4.0
22 비타민D4 60 3.2
23 토코페롤 65 12.3
24 토코페롤아세테이트 60 11.0
25 7-데히드록시콜레스테롤 62 4.4
26 우르솔산 55 1.1
처방예 1.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함유한 화장료중 화장수(스킨 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는 제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번호 원          료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세리신-PEG 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 2.5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1 :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6,7,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1: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7,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로숀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는 제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번호 원          료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 2.5 -
2 밀납 1.00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5.0 5.0
6 스쿠알란 5.0 5.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0 1.0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0 1.00
9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0 0.50
10 스테아린산 1.50 1.50
11 부틸렌글리콜 5.00 5.00
12 프로필렌글리콜 5.00 5.00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14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5 방부제 미량 미량
16 색소 미량 미량
17 향료 미량 미량
18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2 : 11,12,13,15,18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8,9,10,14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 에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
시킨다.
비교제형예 2 : 11,12,13,15,18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
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8,9,10,14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 시킨다.
처방예 3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는 제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번호 원          료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 2.5 -
2 밀납 5.00 5.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10.0 10.0
6 스쿠알란 10.0 5.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0 5.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0 5.0
9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0 0.50
10 스테아린산 1.50 1.50
11 부틸렌글리콜 5.00 3.00
12 프로필렌글리콜 5.00 3.00
13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4 방부제 미량 미량
15 색소 미량 미량
16 향료 미량 미량
17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3 : 11,12,14,17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 8,9,10,13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
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3 : 11,12,,14,17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
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 6,7,8,9,10,13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16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4.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함유한 화장료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는 제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번호 원          료 제형예 4 비교제형예 4
1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 2.5 -
2 밀납 10.0 1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0.8
5 유동파라핀 40.0 40.0
6 스쿠알란 5.0 5.0
7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8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9 글리세린 5.0 5.0
10 부틸렌글리콜 3.0 3.0
11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4 : 8,9,10,11,12,13,16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
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
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4 : 8,9,10,11,12,13,16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5.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는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번호 원          료 제형예 5 비교제형예 5
1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 2.5 -
2 시토 스테롤 1.70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5.0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5 : 원료물질 2,3,4,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
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7,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11,12,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5 : 원료물질 2,3,4,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성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
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 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 시킨다.
그리고 10,11,12,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예 6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를 함유한 화장료중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는 제조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번호 원          료 제형예 6 비교제형예 6
1  세리신-PEG에 레티놀이 함입된 입자 2.5 -
2 밀납 2.0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2.0
4 유동파라핀 5.0 5.0
5 스쿠알란 5.0 5.0
6 스테아린산 2.0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3.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9 글리세린 4.0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1 부틸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0.5
14 안료 12 12
15 방부제 미량 미량
16 향료 미량 미량
17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6 : 9,10,11,12,13,14,15,17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8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한 뒤
1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6 : 9,10,11,12,13,14,15,17를 혼합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
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3,4,5,6,7,8를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시험예 1. 활성성분의 안정성 시험
처방에 첨가되어진 입자 내의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6개월 동안 활성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안전성 실험을 행하였다. 처방예 5의 제형을 사용하였으며 처방에 첨가 직후를 시점으로 1주, 2주, 3주, 4주, 8주, 12주, 16주, 20주, 24주 후에 각각 함량을 측정하여 첨가되어진 레티놀의 함량을 기준으로 역가감소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이용하였고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칼럼 ; Stmmetry C18 4.6 x 250mm(Waters)
이동상 ; THF / 아세토니트릴 = 20 / 80
유속 ; 1.0ml/분
검출기 ; UV 325nm(photodiode detector ; 996 Waters)
주사부피; 20ul
도1 에 나타낸 것처럼 초기 98%의 함량을 시작으로 24주 후에도 첨가되어진 레티놀의 함량이 90%이상을 유지 하는 것으로 보아 외부환경에 대해 매우 안정화된 입자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13
처방예 5의 레티놀함유 입자 대신에 제조실시예2 부터 제조실시예 13의 것을 사용하여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안정성을 측정 하였으며 24주 후의 잔존량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 3.
시험예 제조실시예 잔존활성성분함량(%) 1)
2 2 95
3 3 94
4 4 97
5 5 92
6 6 91
7 7 95
8 8 90
9 9 91
10 10 93
11 11 96
12 12 96
13 13 99
1) 초기에 함입된 활성성분 양에 대한 상대적인 잔존함량임
시험예 14. 활성성분이 함입된 입자를 첨가한 제형의 피부탄력 증강효과
제형예 5와 비교제형예5 의 영양에센스를 피부에 도포 했을 때 피부의 탄력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20명의 왼쪽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번 제형예 5를 적용하였다. 오른쪽눈 가장자리는 비교제형예 5를 적용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후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Cutometer SEM 474에 의해 측정 하였다. Cutometer SEM 474 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표피를 음압으로 흡입하여 흡입되는 정도를 측정, 피부의 탄력성을 측정 하는 방법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이다.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이다.
표 4.
시료 피부탄력도 효과 (%)
30일 45일
제형예 5 26.5 32.7
비교제형예 5 9.7 13.6
시험예 15. 활성성분이 함입된 입자를 첨가한 제형의 화상분석을 통한 주름개선 효과
피검자에 대해 주름촬영용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인 캠스코프(Camscop)를 이용하여 양측 눈가의 주름을 촬영하고 이를 포토데미지 스코어( photodamage score)(0 : 없음, 1 : 없음 /약간, 2 : 약간, 3 : 약간/보통, 4 : 보통, 5 : 보통/심함, 6 : 심함, 7 : 매우 심함, 참조 : Arch. Dermatol. vol. 137(8):1043-1051, 2001)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제형 5와 비교제형 5간의 효능 차이를 주수별로 비교하였다.
시험 4주부터 시험제품은 대조제품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2.4±0.58 vs 2.52±0.59, p = 0.04) 하게 우수한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시험기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 8주(1.92±0.76 vs 2.28±0.68, p = 0.002)와 12주(1.36±0.91 vs 2.24±0.72, p = 0.000004)로 갈수록 통계학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표 5는 화상분석의 포토데미지 스코어(photodamage score)에서 관찰된 개선효과를 4단계의 scale(변화없음, 경미, 양호, 현저)로 나누어 이에 해당되는 피검자 수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전 시험기간에 걸쳐 시험제품의 사용부위에서 주름개선 효과가 나타나는 비율이 대조제품의 사용부위보다 높았다. 시험 종료시기인 12주의 경우, 시험 제품은 56%의 피검자에서 양호이상의 개선효과를 보인 반면, 대조제품은 8%만이 양호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표 5.
제형 5 비교제형 5
개선효과 4주 8주 12주 4주 8주 12주
변화없음 18(72%) 9(36%) 4(16%) 21(84%) 15(60%) 15(60%)
경미 7(28%) 10(40%) 7(28%) 4(16%) 9(36% ) 8(32%)
양호 5(20%) 7(28%) 1(4%) 2(8%)
현저 1(4%) 7(28%)
계 25(100%) 25(100%) 25(100%) 25(100%) 25(100%) 25(100%)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입자는 레티놀 등 주른개선 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화장품에 첨가되었을 경우 피부탄력개선과 주름살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입자 내의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Claims (10)

  1. 세리신에 2-(O-메톡시에틸렌글리콜)-4,6-디클로로-트리아진 (actPEG 1 ) 또는 2,4-비스(O-메톡시에틸렌글리콜)-6-클로로-트리아진(actPEG 2 )를 염기성 완충 수용액에서 반응시켜 세리신-PEG 결합체를 제조한 후 유기용매내에서 용해시키고 여기에 주름개선 활성성분을 함입시켜 세리신-PEG 결합체에 주름개선 활성성분이 함입된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주름개선 활성성분으로는 레티놀, 레티놀팔미테이트, 레티놀아세테이트, 레티노익엑시드, 레티날, 비타민 D1,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D4,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7-데히드록시콜레스테롤, 및 우르솔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된 유기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1,3-부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세리신에 하기 일반식의 활성화된 PEG를 염기성 완충 수용액에서 반응시켜 세리신-PEG 결합체를 제조한 후 유기용매내에서 용해시키고 여기에 주름개선 활성성분을 함입시켜 세리신-PEG 결합체에 주름개선 활성성분이 함입된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
    여기서 R1은 MeO-PEG-OCH2CH2-(actPEG3), MeO-PEG-OCH2CH2CH2-(actPEG4), MeO-PEG-O2CNH(CH2)5-(actPEG5), MeO-PEG-S-CH2CH2-(actPEG6), MeO-PEG-NHCOCH2CH2-(actPEG7), MeO-O2(CH2)3-(actPEG8), MeO-PEG-O2CCH2CH2-(actPEG9), MeO-PEG-O-(actPEG10), MeO-PEG-OCH2-(actPEG11) 이고 R2, R3, R4는 MeO-PEG- (각각 actPEG12, actPEG13, actPEG14)이다.
  5. 제 4 항에 있어서, 주름개선 활성성분으로는 레티놀, 레티놀팔미테이트, 레티놀아세테이트, 레티노익엑시드, 레티날, 비타민 D1,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D4,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7-데히드록시콜레스테롤, 및 우르솔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된 유기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1,3-부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의 방법으로 제조 된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또는 영양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4 항의 방법으로 제조 된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또는 영양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45161A 2002-07-31 2002-07-31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KR10050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161A KR100509717B1 (ko) 2002-07-31 2002-07-31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161A KR100509717B1 (ko) 2002-07-31 2002-07-31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881A KR20040011881A (ko) 2004-02-11
KR100509717B1 true KR100509717B1 (ko) 2005-08-23

Family

ID=3731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161A KR100509717B1 (ko) 2002-07-31 2002-07-31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7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22B1 (ko) 2006-07-27 2006-12-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실크아미노산과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나노베지클 조성물
KR100770117B1 (ko) * 2006-11-03 200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40107B1 (ko) 2019-08-12 2019-11-04 임사랑 화장품 조성물 교반장치
KR20200056803A (ko) 2018-11-15 2020-05-25 (주)엘큐어 주름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809A (ja) * 1981-08-10 1983-02-17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10226653A (ja) * 1997-02-18 1998-08-25 Noevir Co Ltd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20000056836A (ko) * 1999-02-26 2000-09-15 정찬복 세리신의 추출방법 및 그 용도
KR20010107512A (ko) * 2000-05-23 2001-12-07 김영대 산화안정성이 있는 신규한 유화조성물
KR20020094646A (ko) * 2001-06-12 2002-12-18 대한민국(서울대학총장) 자기조합형 세리신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030015843A (ko) * 2001-07-28 2003-02-25 (주)나노하이브리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화장품 원료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809A (ja) * 1981-08-10 1983-02-17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10226653A (ja) * 1997-02-18 1998-08-25 Noevir Co Ltd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20000056836A (ko) * 1999-02-26 2000-09-15 정찬복 세리신의 추출방법 및 그 용도
KR20010107512A (ko) * 2000-05-23 2001-12-07 김영대 산화안정성이 있는 신규한 유화조성물
KR20020094646A (ko) * 2001-06-12 2002-12-18 대한민국(서울대학총장) 자기조합형 세리신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KR20030015843A (ko) * 2001-07-28 2003-02-25 (주)나노하이브리드 개선된 특성을 갖는 화장품 원료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22B1 (ko) 2006-07-27 2006-12-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실크아미노산과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나노베지클 조성물
KR100770117B1 (ko) * 2006-11-03 200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00056803A (ko) 2018-11-15 2020-05-25 (주)엘큐어 주름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40107B1 (ko) 2019-08-12 2019-11-04 임사랑 화장품 조성물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881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3492B1 (de) Mikro-emulsionen mit binärer phasen- und wirkstoffdifferenzierbarkeit,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topischen sauerstoffversorgung
RU2418575C2 (ru) Нанолипосома с применением этер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лецитин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ковой, а также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кож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включающая таковые
DK2689774T3 (en) REVERSE TERMOREVERSIBLE HYDROGEL COMPOSITIONS
EP3221384B1 (en) Water-soluble supramolecular complexes
JP2003527411A (ja) 生理学上活性な成分を含有する高圧/高剪断分散物を調製する方法
KR20170076223A (ko)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2017318A (ja) 液晶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90062201A (ko) 방출제어가 가능한 활성산소 민감성 페로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221544A1 (zh) 一种视黄醇及其衍生物包裹体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40042827A (ko) 시클로덱스트린과 비타민 에프의 복합체로 이루어진화장용조성물
JP2003128512A (ja) 化粧料用抗菌性組成物
KR20060089903A (ko)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안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는제미니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상부 액정 조성물 및이로부터 미백 화장료의 제조방법
JP2013245205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化粧料
KR100509717B1 (ko) 주름개선 화장품 조성물
JP2003113040A (ja) 抗菌性化粧料組成物
WO2004067012A1 (fr) Liposomes contenant de l'asiaticoside et leurs utilisations
KR101442799B1 (ko) 안정화된 l-아스코르빈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중 나노 서스펜션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1205A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9628B1 (ko)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경피흡수가 용이한 캡슐, 이것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RU2383328C2 (ru) Трансдермальный гель для области вокруг глаз "silky touch"
KR102438639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수용화 페로센 나노캡슐,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52122B1 (ko) 실크아미노산과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나노베지클 조성물
JP2019137694A (ja) 水系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083112A (ja) 皮膚外用剤
WO2013154359A1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