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642B1 -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642B1
KR100508642B1 KR10-2001-0075036A KR20010075036A KR100508642B1 KR 100508642 B1 KR100508642 B1 KR 100508642B1 KR 20010075036 A KR20010075036 A KR 20010075036A KR 100508642 B1 KR100508642 B1 KR 10050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speaker
switching
user
melod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502A (ko
Inventor
야마키기요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멜로디의 선택·시청시,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의 착신음 전환 버튼(14d)을 조작하면,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가 착신용 스피커(29)로부터 이어피스·스피커(24)로 전환되고, 이것에 의해 착신 멜로디가 소음량으로 이어피스·스피커로부터 발생된다. 또, 스피커의 선택 상황은 휴대 전화기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대단히 간단한 조작으로 착신 멜로디의 발생 음량을 소음량으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착신에 응하여 소망의 멜로디 음을 발생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선택·시청에서의 편리를 도모한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전화기 등의 휴대 전화가 급속히 보급되고 있고, 다양한 기술적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전화기는 착신음으로서 간단한 비프음이나 「삐삐」라고 하는 전자음이 아닌 사용자에게 소망의 멜로디 음을 선택시켜서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유행곡이나 선호곡을 착신 멜로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다수 악곡의 멜로디가 착신 멜로디로서 휴대 전화기에 등록·기억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들 다수의 착신 멜로디 중에서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착신 멜로디의 선택은 사용자가 수시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일 혹은 1주간 마다 착신 멜로디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휴대 전화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무선으로 전화 회선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다양한 악곡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 악곡 송신 센터 혹은 착신 멜로디 센터에 액세스하여 소망의 멜로디를 선택하고, 그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로 착신 멜로디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자신이 소망의 착신 멜로디를 들으면 좋지만, 종래의 휴대 전화기는 시청용의 멜로디를 착신용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대단히 큰 음이 발생하여 주위 사람에게 폐를 끼쳐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자신이 휴대 전화기를 조작하여, 착신 음량을 일단 낮춘 후, 착신 멜로디의 선택·시청을 행하고, 선택 종료 후에 사용자 자신이 다시 휴대 전화기를 조작하여 착신 음량을 원래대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착신 멜로디의 선택·시청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대단히 간단한 조작으로 착신 멜로디의 발생 음량을 소음량으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착신 멜로디 등의 발생 음량을 소음량으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 및 그 음량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 전화기에는 적어도 소망의 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제1 스피커(착신용 스피커)와 제1 스피커에 비해서 소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제2 스피커(이어피스·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취지는, 미리 소망의 악곡에 관한 멜로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로부터 상기 멜로디 데이터를 읽어내서 멜로디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는 데에 있다. 이 멜로디 신호는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또, 멜로디 신호는 착신시에 자동적으로 발생시키는 착신 멜로디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소망 악곡의 멜로디나 악음을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즉,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에 설치된 착신음 전환 버튼을 조작하면, 멜로디 신호가 자동적으로 제2 스피커로 공급되고, 그로 인해서 소음량으로 재생된다.
또, 휴대 전화기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의 선택 상황을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스피커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하드 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동일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1은 휴대 전화기의 각 내부 회로를 제어하는 CPU(중앙 처리 장치), 12는 CPU(1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ROM(리드 온리 메모리), 13은 각종 데이터 기억용의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을 나타낸다. 이 RAM(13)에는 배터리 백업이 부착되어 있고, 또, 다수의 악곡에 관한 착신 멜로디를 나타내는 악곡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부호 14는 조작 입력부를 나타내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의 전면 등에 배치된 다양한 버튼이나 스위치류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프 훅 버튼(14a), 온 훅 버튼(14b) 및 수치 키(소위 텐 키패드(ten keypad))(14c)가 휴대 전화기 케이스 전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케이스 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착신음 전환 버튼(14d)이 설치되어 있다. 또, 부호 15는 액정 표시기(Liquid Crystal Display) 및 표시 제어 회로로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나타낸다.
부호 16은 (무선) 통신부를 나타내고, 송신 데이터를 반송파에 실어서 안테나(17)에서 송신하고, 또, 안테나(17)를 통해서 수신한 수신 신호(즉, 착신 신호)를 복조하여 CPU(11) 또는 음성 처리부(19)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9)는 마이크로폰(20)과 함께 접속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20)에서 음을 모아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한다. 따라서, 음성 처리부(19)는 입력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압축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송신 데이터는 통신부(16)로 보내진다. 또, 통신부(16)는 착신 신호를 복조하여 얻은 착신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19)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9)는 상기 착신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수화 신호를 생성하고, 혼합 회로(22) 및 앰프(23)를 통해서 이어피스·스피커(24)로 출력한다. 부호 25는 착신음 발생부를 나타내고, CPU(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착신 멜로디 신호를 발생하고, 전환 회로(27)로 보낸다. 전환 회로(27)는 착신음 발생부(25)로부터의 착신 멜로디 신호를 CPU(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앰프(28) 또는 혼합 회로(22)로 선택적으로 보낸다. 앰프(28)는 전환 회로(27)를 통해서 공급되는 착신 멜로디 신호를 증폭하여 착신용 스피커(29)로 출력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로, 착신 멜로디 선택·시청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조작 입력부(14)의 수치 키(14c) 내의 소정 키를 조작하여 착신 멜로디 선택·시청 모드를 지정한다. CPU(11)는 이 키 조작을 검지하면, 표시부(15)의 화면 상에 RAM(13) 내에 기억되어 있는 다수의 착신 멜로디의 악곡 데이터, 악곡 넘버 및 악곡명을 표시한다. 이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소정의 수치 키(14c)를 조작하여 소망의 악곡을 선택하면, 단계 Sa1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고, 다음의 단계 Sa2에서 선택된 악곡 넘버가 RAM(13)의 특정 영역에 기억된다. 단계 Sa1에서, 사용자가 악곡 선택을 행하지 않은 경우, 즉,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흐름은 단계 Sa2를 스킵하여 단계 Sa3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RAM(13)의 특정 영역에는 전회 설정된 악곡 넘버가 그대로 남아 있다.
다음에, 표시부(15)의 화면 상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문자열 「착신 출력 선택, 통상, 이어피스」가 표시된다. 단계 Sa3에서는 이 표시를 본 사용자가 착신음 전환 버튼(14d)을 조작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상기의 화면 상에서는 「통상」및「이어피스」의 문자열의 좌측에 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어느 것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의 경우, 「통상」의 좌측에는 검은 점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통상」이 선택되어 있는 것이 된다. 또, 착신음 전환 버튼(14d)을 조작함으로써, 상기의 선택을 전환할 수 있다. 단계 Sa3에서 사용자가 착신음 전환 버튼(14d)을 조작한 경우, 흐름은 단계 Sa4로 진행하고, CPU(11)는 전환 회로(27)로 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표시부(15)의 화면 상에서 「이어피스」의 좌측에 검은 점의 마크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전환 회로(27)의 출력처가 앰프(28)측에서 혼합 회로(22)측으로 전환된다. 단계 Sa3에서 사용자가 착신음 전환 버튼(14d)을 조작하지 않은 경우, 단계 Sa4가 스킵되기 때문에, 전환 회로(27)의 전환 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착신음 발생부(25)의 출력은 앰프(28)로 공급된다. 단계 Sa5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4)의 수치 키(14c)를 조작하여 시청을 지시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흐름은 단계 Sa6으로 진행한다. 또, 「NO」인 경우, 흐름은 단계 Sa7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RAM(13)의 특정 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 넘버가 기억되어 있고, 단계 Sa6에서는 CPU(11)가 그 악곡 넘버에 의해 지시되는 악곡 데이터를 RAM(13)으로부터 읽어내어, 착신음 발생부(25)로 출력한다. 착신음 발생부(25)는 CPU(11)에서 공급된 악곡 데이터를 일단 내부의 멜로디(도시하지 않음)에 기입한다. 그 후, 착신음 발생부(25)는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신 멜로디 신호를 생성하고, 전환 회로(27) 및 혼합 회로(22)를 통해서 앰프(23)로 출력한다. 앰프(23)는 착신 멜로디 신호를 증폭하여 이어피스·스피커(24)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이어피스·스피커(2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 멜로디를 발생한다. 상기의 경우, 착신 멜로디는 착신용 스피커(29)가 아닌, 이어피스·스피커(24)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어피스에 귀를 대고 상기 착신 멜로디를 시청하게 된다. 시청의 결과, 사용자가 그 착신 멜로디가 좋다고 판단한 경우, 조작 입력부(14)의 소정 키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착신 멜로디의 설정을 완료한다. CPU(11)는 착신 멜로디 설정 완료를 받아서, 전환 신호를 발생하여 전환 회로(27)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전환 회로(27)는 출력처가 혼합 회로(22)로부터 앰프(28)로 전환되고, 단계 Sa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의 발음 동작은 노멀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휴대 전화기의 착신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에 착신이 있으면, 그 착신 신호는 안테나(17)에 의해 수신되고, 통신부(16)에서 복조된다. 복조에 의해 얻어진 착신 데이터는 CPU(11)로 보내진다. CPU(11)는 착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발신원의 전화번호를 RAM(13)에 기억하고, 다음에, 착신음 발생 지령을 발하여 착신음 발생부(25)로 보낸다. 이 착신음 발생 지령을 받아서, 착신음 발생부(25)는 현재 RAM(13)의 특정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넘버에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신호를 생성하고, 전환 회로(27) 및 앰프(28)를 통해서 착신용 스피커(29)로 출력한다(단계 Sb1 참조). 이것에 의해, 착신용 스피커(29)에 의해 착신 멜로디가 발생된다.
단계 Sb2에 있어서, CPU(11)는 사용자에 의해 착신음 전환 버튼(14d)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착신음 전환 버튼(14d)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 흐름은 단계 Sb3를 스킵하여 단계 Sb4로 진행한다. 또, 착신음 전환 버튼(14d)이 조작된 경우, 흐름은 단계 Sb3로 진행하고, CPU(11)로부터 전환 회로(27)로 전환 신호가 출력된다. 이 전환 신호에 의해, 전환 회로(27)의 출력처가 앰프(28)측에서 혼합 회로(22)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착신 멜로디는 자동적으로 이어피스·스피커(24)에 의해 소음량으로 발생된다.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이어피스에 귀를 대고 상기 착신 멜로디를 듣게 되지만, 그 경우,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4)의 오프 훅 버튼(14a)을 누르면, 단계 Sb4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흐름은 단계 Sb5로 진행한다. 즉, CPU(11)는 오프 훅 버튼(14a)의 조작을 검지하면, 착신음 정지 지령을 발하여 착신음 발생부(25)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이어피스·스피커(24)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발생이 정지한다.
상기의 단계 Sb5의 종료 후, 흐름은 단계 Sb6로 진행하고, CPU(11)에 의해 통화 처리가 실행된다. 즉, CPU(11)는 회선 접속 지시를 발하여 음성 처리부(19) 및 통신부(16)로 보낸다. 상기 회선 접속 지시에 의해 휴대 전화기와 발신원의 전화기의 회선 접속이 행해지고,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마이크로 폰(20)에서 음이 모아진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 처리부(19), 통신부(16) 및 안테나(17)에 의해 발신원의 전화기에 무선으로 송신된다. 또, 발신원에서 송신되는 음성 데이터는 복호되고, 음성 신호로서 음성 처리부(19)로부터 출력된다. 상기 음성 신호는 혼합 회로(22) 및 앰프(23)를 통해서 이어피스·스피커(24)로 보내지고, 발신원의 음성이 이어피스·스피커(24)에 의해 발음된다. 상기의 통화 처리를 종료해야 하는 사용자가 온 훅 버튼(14b)을 누르면, 단계 Sb7의 판정 결과가 「YES」가 되어, 흐름은 단계 Sb8로 진행한다. 즉, CPU(11)에 의해 회선 절단 처리가 행해진다. 또, 전환 회로(27)의 출력처가 혼합 회로(22)측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11)는 전환 신호를 출력하여 휴대 전화기의 발음 동작을 노멀 상태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호발신(呼發信)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호발신시, 사용자는 조작 입력부(14)의 수치 키(14c)를 조작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다음에, 오프 훅 버튼(14a)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CPU(11)는 입력 전화번호를 일단 RAM(13)에 기억하고, 그 후, 통신부(16)에 출력한다. 통신부(16)는 입력 전화번호의 데이터를 반송파에 실어서 기지국 등에 대해서 무선 송신한다. 이 발신 데이터는 전화 회선망에서 중계되어 전화국으로 보내지고, 상기 전화국은 발신자의 휴대 전화기와 상대방의 전화기의 회선 접속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로 폰(20), 음성 처리부(19) 및 통신부(16)에 의해 상대방에게 보내지고, 한편, 상대방의 음성은 안테나(17)를 통해서 수신된 후, 통신부(16), 음성 처리부(19) 및 스피커(24)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 측면에 배치된 착신음 전환 버튼(14d)을 조작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는 스피커를 본래의 착신용 스피커(29)로부터 소음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어피스·스피커(24)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는 주위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착신 멜로디의 시청, 선택,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 멜로디의 시청·선택시에 있어서 착신 멜로디 신호를 음량이 작은 이어피스·스피커(24)로 출력하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착신음 전환 버튼(14d)이 조작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착신 멜로디 신호의 음량을 작게 하여 착신용 스피커(29)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어피스·스피커(24)가 아닌, 착신용 스피커(29)에 귀를 대고 착신 멜로디를 시청하면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 멜로디의 음량을 전환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발생 음량을 전환하는 대상은 착신 멜로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착신과는 관계없이 발음시키는 악곡의 멜로디나 악음 등의 음량을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최근, 휴대 전화기를 전화 장치로서가 아닌 악곡 송신 센터로부터 다운로드한 악곡의 플레이어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악곡의 음량을 간단한 조작으로 자동 조정하여 주위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현되는 휴대 전화기의 각종 처리, 특히, 착신 멜로디 등의 선택·시청시에 있어서의 처리나 그 음량 전환 방법에 대해서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다양한 기억 매체, 예를 들면, 메모리 가이드 등의 소위 디지털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고, 통상의 휴대 전화기에 장착하여 본 실시예의 기능을 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음량 전환 조작에 관한 버튼이나 스위치는 상기 착신음 전환 버튼(14d)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조작 입력부 내의 소정 버튼이어도 좋다. 그 경우,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음량 전환 조작 검출 기능이 조작 입력부 내의 소정 버튼에 자동적으로 할당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단히 간단한 조작으로 착신 멜로디 등의 발생음량을 자동적으로 소음량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휴대 전화기에서의 착신 멜로디 선택·시청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착신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CPU 12 : ROM
13 : RAM 14 : 입력부
15 : 표시부 16 : 통신부
19 : 음성 처리부 22 : 혼합 회로
24 : 이어피스 스피커 25 : 착신음 발생부
27 : 전환 회로 29 : 착신용 스피커

Claims (12)

  1. 소망의 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착신음 발생용의 제1 스피커(29)와,
    상기 제1 스피커에 비해서 소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수화용의 제2 스피커(24)와,
    미리 소망의 악곡에 관한 멜로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13)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멜로디 데이터를 읽어내어 멜로디 신호를 발생하는 멜로디 발생 수단(25)과,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조작 입력 수단(14)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고, 이로 써, 상기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멜로디 신호를 공급하는 전환 수단(14d, 27)을 구비하며,
    상기 전환 수단의 조작시, 멜로디를 상기 제2 스피커에서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착신음 전환 버튼(14d)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상기 착신음 전환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멜로디 신호를 자동적으로 제2 스피커로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시청 모드를 선택하였을 때에, 상기 전환 수단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신호는 착신시에 자동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그 착신 멜로디의 발생 중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전환 수단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한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의 선택 상황을 나타내는 표시 수단(15)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7. 소망의 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착신음 발생용의 제1 스피커(29)와, 상기 제1 스피커에 비해서 소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수화용의 제2 스피커(24)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음량 전환 방법에 있어서,
    미리 메모리(13)에 기억되었거나, 혹은 전화 회선망을 통해서 다운로드되는 악곡의 멜로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멜로디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서 상기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고,
    이로써, 상기 수화용의 제2 스피커로 멜로디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음량 전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기에는 통상의 조작 입력부(14)에 더하여 전환 버튼(14d)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전환 버튼의 조작을 검지하여 상기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음량 전환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기에는 표시 수단(15)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의 전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음량 전환 방법.
  10. 소망의 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착신음 발생용의 제1 스피커(29)와, 상기 제1 스피커에 비해서 소음량으로 음성을 발생하는 수화용의 제2 스피커(24)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에 읽어 들여서 실행되는 음량 전환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미리 메모리(13)에 기억되었거나, 혹은 전화 회선망을 통해서 다운로드되는 악곡의 멜로디 데이터에 기초하여 멜로디 신호를 발생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서 상기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고,
    이로써, 상기 수화용의 제2 스피커로 멜로디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전환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은 휴대 전화기에 설치된 통상의 조작 입력 수단(14) 혹은 별도로 설치된 전환 버튼(14d)에 대한 조작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 입력 수단 또는 전환 버튼의 조작을 검지하여 상기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전환 방법을 기억한 기억 매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기에는 표시 수단(15)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멜로디 신호의 출력처의 전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전환 방법의 기억 매체.
KR10-2001-0075036A 2000-11-29 2001-11-29 휴대 전화기 KR100508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3080 2000-11-29
JP2000363080 2000-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502A KR20020042502A (ko) 2002-06-05
KR100508642B1 true KR100508642B1 (ko) 2005-08-17

Family

ID=1883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036A KR100508642B1 (ko) 2000-11-29 2001-11-29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508642B1 (ko)
CN (1) CN100373966C (ko)
HK (1) HK1046802A1 (ko)
TW (1) TW5126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9510C (zh) * 2006-03-01 2009-02-04 宏碁股份有限公司 动态路由语音数据的***
CN101710911B (zh) * 2009-11-19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使用模拟开关实现音频切换的装置
CN104793991B (zh) 2014-01-20 2019-11-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频输出设备切换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05A (ja) * 1996-07-22 1998-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呼び出し音自動調整装置
KR20000002497A (ko) * 1998-06-20 2000-01-15 윤종용 착신음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00030353A (ko) * 2000-02-23 2000-06-05 진병암 주위소음 감지에 따른 벨음량 자동조절 핸드폰 장치 및 그조절방법
KR20010054215A (ko) * 1999-12-03 2001-07-02 오길록 디지털 전화 단말기에서 주변소음에 따른 신호음 및/또는수신음 크기 조절장치 및 방법
JP2001339506A (ja) * 2000-05-25 2001-12-07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73A (ja) * 1995-06-15 1997-01-10 Kyocera Corp 通信端末の呼出し音量制御装置
DE19618934A1 (de) * 1996-05-10 1997-11-13 Siemens Ag Aufzeichnungseinrichtung für ein tragbares Telef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05A (ja) * 1996-07-22 1998-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呼び出し音自動調整装置
KR20000002497A (ko) * 1998-06-20 2000-01-15 윤종용 착신음량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10054215A (ko) * 1999-12-03 2001-07-02 오길록 디지털 전화 단말기에서 주변소음에 따른 신호음 및/또는수신음 크기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00030353A (ko) * 2000-02-23 2000-06-05 진병암 주위소음 감지에 따른 벨음량 자동조절 핸드폰 장치 및 그조절방법
JP2001339506A (ja) * 2000-05-25 2001-12-07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502A (ko) 2002-06-05
TW512642B (en) 2002-12-01
CN1356848A (zh) 2002-07-03
CN100373966C (zh) 2008-03-05
HK1046802A1 (zh)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094B1 (ko) 휴대 전화
KR100508642B1 (ko) 휴대 전화기
KR100705163B1 (ko) 배경음악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 신호 전송방법
JPH08181763A (ja) 通信情報端末
KR20000040552A (ko) 휴대폰에서 착신환경 설정방법
JP3743357B2 (ja) 携帯電話機
JP3644348B2 (ja) 電話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665505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4696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벨소리 설정방법
KR1006781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파일 재생방법
KR20000003369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착신음 녹음방법
JP3483795B2 (ja) 携帯電話機、据置型電話機およびコードレス電話機用子機
KR100294463B1 (ko) 호착신음녹음이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및호착신음지정방법
KR200214786Y1 (ko) 휴대폰 착신음 음성 출력장치
KR1006058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소리음 제어방법
JP2006128783A (ja) 携帯端末装置とその着信処理方法
KR930010279B1 (ko) 전화번호 기억 및 확인 방법
JPH11196177A (ja) 電話装置
JPH08256081A (ja) 呼出音作成機能付き携帯無線機
KR20040032245A (ko)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JP2001309015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9990014385A (ko) 통신장치의 착신음 발생방법 및 장치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KR2006006886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JPH098875A (ja) 呼出音が録音可能な通信用端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