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963B1 -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963B1
KR100500963B1 KR10-2003-0033079A KR20030033079A KR100500963B1 KR 100500963 B1 KR100500963 B1 KR 100500963B1 KR 20030033079 A KR20030033079 A KR 20030033079A KR 100500963 B1 KR100500963 B1 KR 10050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unit
unit frame
laminated
fib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661A (ko
Inventor
김연미
이주영
양관섭
김경우
김현수
안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96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 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와, 그 표면측에 적층되는 인공토층과, 인공토층에 뿌려져 압착되는 세덤류 영양체와, 인공토층의 표면측에 복착되는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로 되는 세덤류 식생매트와; 유닛 프레임에 천연소재 부직포를 포설하고 그 내부에 토양을 충전하며, 표,리면측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 상기 세덤류 식생매트를 부착하는 식생방음유닛 및; 한 쌍의 지주 사이에 식생방음유닛을 적층하여서 되는 식생방음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 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SEDUM MAT AND VEGETATIVE SOUND PROOF UNIT AND VEGETATIVE SOUND PROOF WALL}
본 발명은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한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세덤(Sedum)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 및 적층식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자동차 소음 및 각종 소음으로 인해 방음벽에 대한 수요 및 설치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방음벽들은 도심의 도로 주변에서, 그리고 고속도로에서 상당한 면적의 경관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현재 설치되고 있는 방음벽은 대부분 알루미늄 재질이어서 경관적으로 단조로우며, 시간이 지날수록 표면이 더러워져 불량한 경관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경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목재 방음벽, 투명 방음벽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생물 서식처와 녹지의 제공, 경관의 향상이라는 요구들을 달성하기 위해 방음벽에 녹화를 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식재기반이 있는 곳에서는 방음벽 전면에 덩굴식물 등을 식재하여 녹화를 하며, 식재기반이 없는 곳에서는 식물을 직접 식재할 수 있는 플랜터 등을 도입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식재기반이 있는 곳에서의 덩굴식물 식재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있기는 하지만, 식재기반이 없는 곳에서 방음벽에 직접 식물을 식재할 때에는 건조한 환경 때문에 식물종의 선택에 있어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건조한 환경을 잘 견딜 수 있는 식물종과 식재방법, 그리고 그러한 식물식재를 가능하게 하는 방음벽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재기반이 없는 곳에서도 식물의 활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건조한 환경에서도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한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 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생방음벽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 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 상기 천연섬유 네트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인공토층; 상기 인공토층의 표면측 표면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세덤류 영양체; 및 상기 인공토층의 표면측에 복착되는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가 제공된다.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는 망목이 2㎜ 이하이고, 상기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는 망목이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공토층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공토층의 층 두께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덤류 영양체는 상기 세덤류 식물을 최소 1㎝ 이상으로 잘라 얻은 것으로 인공토층 1㎡당 40∼200개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공토층과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 사이에는 인공토층에 포설되는 일반 토양 또는 마사토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덤류 영양체에 사용되는 세덤류 식물은 Sedum reflxum, Sedum album, Sedum acre, Sedum sprium, Sedum sexangulare, 돌나물, 기린초, 섬기린초, 둥근잎꿩의비름 등 건조한 환경에 잘 견딜 수 있는 식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평한 지반에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펼쳐놓는 단계; 상기 천연섬유 네트 위에 인공토충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인공토층의 위에 다수개의 세덤류 영양체를 뿌리고 압착하여 세덤류 영양체가 인공토층의 표면에 매립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토층 위에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복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인공토층에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복착하기 전에 인공토층에 일반 토양 또는 마사토를 포설하는 단계가 추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덤류 영양체가 뿌리를 내려 어느 정도 활착된 후 토양안정제를 살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리면과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적층유닛 프레임;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하면과 양측면에 부착되는 망상판체; 상기 망상판체의 내측에서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되는 천연소재 부직포;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에 의해 한정되는 적층유닛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토양; 및 상기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 부착되는 상기 세덤류 식생매트로 구성된 적층유닛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방음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적층유닛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유닛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받침유닛 프레임; 상기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과 양측면에 부착되는 망상판체; 상기 망상판체의 내측에서 상기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되는 천연소재 부직포;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에 의해 한정되는 적층유닛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토양; 상기 토양의 상면에 식재되는 식물;로 구성되는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적층유닛 프레임과,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유닛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받침유닛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과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각각 망상판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망상판체의 내측에서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과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천연소재 부직포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에 의해 한정되는 적층유닛 프레임과 받침유닛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토양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표,리면측 망상판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망상판체를 탈거하여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천연소재 부직포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천연소재 부직포의 표면에 상기 세덤류 식생매트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탈거한 망상판체를 재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방음유닛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반에 설치된 기초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유닛삽입홈이 상하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한 쌍의 지주; 상기 한 쌍의 지주의 유닛삽입홈에 상기 다수개의 적층유닛의 양측단부를 삽입하여 적층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생방음벽이 제공된다.
상기 지주의 최하단에는 상기 받침유닛의 양측단부를 상기 유닛삽입홈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위에 다수개의 적층유닛을 삽입, 적층한 후 받침유닛의 토양 상면 중 적층유닛이 적층되지 않은 부분에 식물을 식재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 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용어를 정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식생방음벽이 구축되었을 때, 도로측을 향하는 면을 "표면"이라 하고, 건물측을 향하는 면을 "이면"이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와;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인공토층(12)과; 상기 인공토층(12)에 뿌려져 압착되는 세덤류 영양체(13) 및; 상기 인공토층(12)의 표면측에 복착되는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로 구성된다.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는 천연섬유로 된 네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며,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는 인공토층(12)의 토양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의 망목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는 세덤류 식물이 충분히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망목을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는 망목의 크기를 2mm이하로 하고,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는 그 망목의 크기를 20~5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토층(12)은 보습성 확보와 지속적인 양분공급이 가능한 피트모스와 인공경량토 중 식재공법에 적합한 펄라이트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이 사용되며, 인공토층(12)의 층 두께는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덤류 영양체(13)는 세덤류 식물을 최소 1㎝ 이상으로 자른 것이며, 인공토층(12) 1㎡당 상기 세덤류 식물 영양체(13) 40∼200개체를 뿌려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덤류 식물 영양체(13)로 사용할 수 있는 세덤류 식물은, Sedum reflxum, Sedum album, Sedum acre, Sedum sprium, Sedum sexangulare, 돌나물, 기린초, 섬기린초, 둥근잎꿩의 비름 등이다.
또한 세덤류 식물 영양체(13)가 뿌려져 압착된 인공토층(12)의 표면에는 건조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일반 토양이나 마사토(14)를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 토양 또는 마사토(14)는 인공토층(12)의 표면을 얇게 덮을 정도로 포설하는 것이다.
또한 세덤류 식물 영양체(13)가 뿌리를 내려 어느 정도 활착이 된 후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테라콘트롤(Terra-control) 등 토양안정제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는 추후 식생방음유닛이나 식생방음벽을 제작하였을 때 식물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의 제조방법을 그 공정도인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의 제조방법은, 도 2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지반에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를 펼쳐놓는 단계; 도 2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 위에 인공토층(12)을 포설하는 단계; 도 2의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공토층(12)에 세덤류 식물 영양체(13)를 뿌리는 단계; 도 2의 (라)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덤류 식물 영양체(13)를 인공토층(12)에 압착하는 단계; 도 2의 (바)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공토층(12)의 표면에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를 복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 인공토층(12), 세덤류 식물 영양체(13),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토층(12)에 세덤류 식물 영양체(13)를 뿌리고 압착한 후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를 복착하기 전에 도 2의 (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공토층(12)의 표면에 건조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일반 토양이나 마사토(14)를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바)와 같이 제조된 세덤류 식생매트(10)의 세덤류 식물 영양체(13)가 뿌리를 내려 어느 정도 활착된 후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덤류 식생매트(10)의 표면에 토양안정제(16)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a∼도 6d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방음유닛의 제 1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는 본 실시례에 의한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을 보인 사시도, 도 5a∼도 5g는 적층유닛(20A)의 제조공정도, 도 6a∼도 6d는 받침유닛(30A)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실시례의 식생방음유닛은 건조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g, 도 6d에서 20A는 적층유닛이며, 30A는 받침유닛이다. 상기 받침유닛(30A)은 적층식 식생방음벽(W)의 최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적층식 식생방음벽(W)을 설치할 장소의 지반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적층유닛(20A)은 상기 받침유닛(30A)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의 규격은 기존에 상용화되고 있는 방음벽의 방음판을 대체할 수 있도록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하는 것이 원칙이다. 즉 적층유닛(20A)의 규격은 가로 2m, 세로 0.5m, 두께 0.2m이고, 받침유닛(30A)의 규격은 가로 2m, 세로 0.5m, 두께 0.4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시공 현장의 특성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적층유닛(20A)은 도 4 및 도 5a∼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angle) 등의 형강(形鋼; section shape steel)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적층유닛 프레임(21);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2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부착되는 망상판체(22b,22s); 상기 망상판체(22b,22s)의 내측에서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2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되는 천연소재 부직포(23f,23r,23b,23s);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23f,23r,23b,23s)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토양(24); 및 상기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23f,23r) 중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 부착되는 세덤류 식생매트(1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유닛(30A)은 도 4 및 도 6a∼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angle) 등의 형강(形鋼; section shape steel)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받침유닛 프레임(31); 상기 받침유닛 프레임(3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부착되는 망상판체(32f,32r,32b,32s); 상기 망상판체(32f,32r,32b,32s)의 내측에서 받침유닛 프레임(3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되는 천연소재 부직포(33f,33r,33b,33s);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33f,33r,33b,33s)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토양(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과 받침유닛 프레임(31)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지주(51,5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돌출부(21a)(31a)가 형성된다. 이 결합용 돌출부(21a)(31a)는 형강이나 강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은 모두 완전한 직육면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받침유닛(30A)의 상부에 적층유닛(20A)을 적층하였을 때 보다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유닛(30A)의 상면에는 적층유닛(20A)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1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상판체(22b,22s)(32f,32r,32b,32s)로서는 철망 등 망모양으로 구성된 판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망상전신 금속판(網狀展伸 金屬板, Expanded Meta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상판체(22b,22s)(32f,32r,32b,32s)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나사(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23f,23r,23b,23s)(33f,33r,33b,33s)는 그 내부에 충전되는 토양(24)(34)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식물이 쉽게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양(24)(34)은 펄라이트 등 경량이면서도 수분 보유력이 높은 인공경량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토양내 영양분 공급을 위해 부엽토나 지룡토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세덤류 식생매트(10)는 고정용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위에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받침유닛(30A)의 토양(34) 상면에는 식물이 식재된다. 이때 식물은 받침유닛(30A의 상면 중 적층유닛(20A)이 적층되지 않는 부분에 식재된다. 이 식물은 토양(34)에 직접 식재하는 것으로, 덩굴식물을 식재하여 이 식물이 생육하면서 그 덩굴이 적층유닛(20A)을 따라 올라갈 수 있도록 하거나 건조한 환경에 잘 견딜 수 있는 식물을 식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은 적층유닛 프레임(21)과 받침유닛 프레임(3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된 천연소재 부직포(23f,23r,23b,23s),(33f,33r,33b,33s)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공간에 토양(24)(34)이 충전되는 것이므로 충전된 토양(24)(34)이 임의로 유출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21)의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23f,23r) 중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는 세덤류 식생매트(1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덤류 식생매트(10)는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와;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인공토층(12)과; 상기 인공토층(12)에 뿌려져 압착되는 세덤류 영양체(13) 및; 상기 인공토층(12)의 표면측에 복착되는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세덤류 영양체(13)가 식생하게 된다.
상기 받침유닛(30A)에도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받침유닛(30A)의 표,리면측 중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 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례에 의한 식생방음유닛의 적층유닛(20A)은 도 5a∼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며, 받침유닛(30A)은 도 6a∼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은 공통적으로 도 5a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적층유닛 프레임(21)과 받침유닛 프레임(31)을 준비하는 단계와, 도 5b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21) 및 받침유닛 프레임(3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각각 망상판체(22f,22r,22b,22s)(32f,32r,32b,32s)를 부착하는 단계와, 도 5c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망상판체(22f,22r,22b,22s)(32f,32r,32b,32s)의 내측에서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21)과 받침유닛 프레임(3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천연소재 부직포(23f,23r,23b,23s)(33f,33r,33b,33s)를 포설하는 단계와, 도 5d 및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23f,23r,23b,23s)(33f,33r,33b,33s)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공간에 토양(24)(34)을 충전하는 단계를 공통적으로 거친다.
상기 받침유닛(30A)은 상술한 토양(34)을 충전하는 단계로서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 적층유닛(20A)은 토양(24)을 충전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리면측 망상판체(22f,22r)를 탈거하여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23f,23r)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된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23f,23r)의 표면에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세덤류 식생매트(10)를 부착하는 단계와, 탈거한 표,리면측 망상판체(22f,22r)를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부착하는 단계를 거쳐서 그 제조가 완료된다. 여기서 세덤류 식생매트(10)를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면측에서만 망상판체 탈거 단계와, 식생매트 부착 단계 및 망상판체 재부착 단계를 수행하면 된다.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21)에 대한 망상판체(22f,22r,22b,22s)의 부착단계에서는 나사(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망상판체(20f,20r)의 탈거단계에서의 탈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상판체(20f,20s)의 탈거단계와 세덤류 식생매트(10)의 부착단계는 본 실시례에 의한 적층유닛(20)과 받침유닛(30)을 이용하여 식생방음벽을 구축하는 현장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적층유닛(2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수행하여 적층유닛(20)이 완성된 상태에서 식생방음벽 구축 현장으로 운반하여 곧바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식생방음벽의 제 1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은 적층식 식생방음벽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례에 의한 적층식 식생방음벽(50A)은 식생방음이 요구되는 지반에 시공된 기초(도시되지 않음)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지주(51,51)와, 상기 한 쌍의 지주(51,51)의 사이에 삽입되는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층유닛(20A) 및 받침유닛(30A)은 상술한 도 4, 도 5 및 도 6의 실시례(식생방음유닛의 제 1실시례)에서와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주(51,51)의 양측면에는 상기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의 양측부가 삽입되는 유닛삽입홈(53,54)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적인 "H"형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유닛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은 그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1a)(31a)가 한 쌍의 지주(51,51)의 유닛삽입홈(53,54)에 삽입되는 것으로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적층유닛(20A)이 받침유닛(30A)에 삽입된 후 받침유닛(30A)의 전후 토양공간에는 실유카, 마가렛, 민들레, 산국, 복수초, 패랭이, 술패랭이, 끈끈이대나물, 엉겅퀴, 구절초, 산부추, 맥문동, 층꽃나무, 눈개쑥부쟁이, 참조팝나무, 홍철쭉, 개나리, 꽃말발도리, 흰말채나무, 싸리나무, 꽃싸리나무, 참싸리나무, 풀싸리나무, 조록싸리나무, 꼬리조팝나무, 해당화, 붓꽃, 조팝나무, 산철쭉, 인동덩굴, 다래, 멀꿀, 노박덩굴, 등칡, 머루, 붉은 인동, 계요등, 송악, 담쟁이덩굴, 개머루, 방기, 줄사철나무, 박주가리 등 건조한 환경에 잘 견딜 수 있는 식물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다.
도시례에서는 한 쌍의 지주(51,51) 사이에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을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다수개의 지주(51,51)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서로 인접하는 지주들 사이에 적층유닛(20A)과 받침유닛(30A)을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영역에 적층식 식생방음벽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례에서는 최하층에는 받침유닛(30A)을 설치하고, 그 위에 다수개의 적층유닛(20A)을 적층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로써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적층유닛(20A)만을 적층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시례와 같이 최하층에 받침유닛(30A)을 설치하고 그 위에 적층유닛(20A)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적층유닛(20A)의 하단부가 받침유닛(30A)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부(31b)에 삽입되므로 받침유닛(30A)에 대한 적층유닛(20A)의 적층 결합이 보다 견고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례에 의한 적층식 식생방음벽(50A)의 설치가 완료되면, 적층유닛(20A)은 그 적층유닛 프레임(21)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된 천연소재 부직포(23f,23r,23b,23s)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공간에 토양(24)이 충전되고,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23f,23r)에는 상기 세덤류 식생매트(10)가 부착된 것이며, 세덤류 식생매트(10)는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11)와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15)사이에 적층된 인공토층(12)의 표면층에 매설된 세덤류 영양체(13)가 생육하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식 식생방음벽(50A)의 표,리면을 뒤덮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층식 식생방음벽(50A)은 방음벽으로서의 기능과 식생, 경관의 향상 등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덤류 식생매트는 식생방음벽용으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조경녹화용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건물옥상녹화 등과 같이 조기녹화가 필요한 인공지반녹화용 식생매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 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을 이용하여 기존 방음벽 시공방식과 동일하게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적층식 식생방음벽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 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건조한 환경에서 생육 가능한 세덤류를 이용한식생매트 상태 또는 식생방음유닛 상태에서 식물이 충분히 활착된 상태에서 적층식 식생방음벽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활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세덤류 식생매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세덤류 식생매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가) 지반에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펼쳐놓는 단계를 보인 종단정면도.
(나)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 상에 인공토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보인 종단정면도.
(다) 인공토층 위에 세덤류 식물 영양체를 뿌리는 단계를 보인 종단정면도.
(라) 세덤류 식물 영양체를 인공토층에 압착하는 단계를 보인 종단정면도.
(마) 세덤류 식물 영양체가 압착된 인공토층 위에 일반 토양 또는 마사토를 포설하는 단계를 보인 종단정면도.
(바) 일반 토양 또는 마사토 위에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복착하는 단계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3은 도 2의 제조방법에 추가되는 공정을 보인 공정도.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방음유닛의 제 1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는 받침유닛 및 적층유닛의 사시도.
도 5a∼도 5g는 적층유닛의 제조공정도.
도 6a∼도 6d는 받침유닛의 제조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식생방음벽의 제 1실시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덤류 식생매트 11 :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
12 : 인공토층 13 : 세덤류 영양체
14 : 마사토 15 :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
20A : 적층유닛 30A : 받침유닛
21,31 : 적층유닛 프레임
22f,22r,22b,22s,32f,32r,32b,32s : 망상판체
23f,23r,23b,23s,33f,33r,33b,33s : 천연소재 부직포
24,34 : 토양 50A : 식생방음벽
51 : 지주

Claims (15)

  1.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 상기 천연섬유 네트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인공토층; 상기 인공토층의 표면측 표면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세덤류 영양체; 및 상기 인공토층의 표면측에 복착되는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는 망목이 2㎜ 이하이고, 상기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는 망목이 2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층은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층의 층 두께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덤류 영양체는 상기 세덤류 식물을 최소 1㎝ 이상으로 잘라 얻은 것으로 인공토층 1㎡당 40∼200개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층과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 사이에는 인공토층에 포설되는 일반 토양 또는 마사토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덤류 영양체에 사용되는 세덤류 식물은 Sedum reflxum, Sedum album, Sedum acre, Sedum sprium, Sedum sexangulare, 돌나물, 기린초, 섬기린초, 둥근잎꿩의비름 등 건조한 환경에 잘 견딜 수 있는 식물 중 하나 이상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
  8. 평평한 지반에 이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펼쳐놓는 단계;
    상기 천연섬유 네트 위에 인공토충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인공토층의 위에 다수개의 세덤류 영양체를 뿌리고 압착하여 세덤류 영양체가 인공토층의 표면에 매립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토층 위에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복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층에 표면측 천연섬유 네트를 복착하기 전에 인공토층에 일반 토양 또는 마사토를 포설하는 단계가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덤류 영양체가 뿌리를 내려 어느 정도 활착된 후 토양안정제를 살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덤류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11. 표,리면과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적층유닛 프레임;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하면과 양측면에 부착되는 망상판체;
    상기 망상판체의 내측에서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되는 천연소재 부직포;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에 의해 한정되는 적층유닛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토양; 및
    상기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 부착되는 상기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로 구성된 적층유닛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방음유닛.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유닛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유닛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받침유닛 프레임;
    상기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과 양측면에 부착되는 망상판체;
    상기 망상판체의 내측에서 상기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포설되는 천연소재 부직포;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에 의해 한정되는 적층유닛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토양;
    상기 토양의 상면에 식재되는 식물;로 구성되는 받침유닛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방음유닛.
  13.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적층유닛 프레임과,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유닛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표,리면, 상,하면 및 양측면이 개방된 받침유닛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과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각각 망상판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망상판체의 내측에서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과 받침유닛 프레임의 표,리면, 하면 및 양측면에 천연소재 부직포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천연소재 부직포에 의해 한정되는 적층유닛 프레임과 받침유닛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토양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적층유닛 프레임의 표,리면측 망상판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망상판체를 탈거하여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천연소재 부직포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노출된 상기 표,리면측 천연소재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천연소재 부직포의 표면에 상기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세덤류 식생매트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탈거한 망상판체를 재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방음유닛 제조방법.
  14. 지반에 설치된 기초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유닛삽입홈이 상하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한 쌍의 지주;
    상기 한 쌍의 지주의 유닛삽입홈에 상기 청구항 11에 의한 다수개의 적층유닛의 양측단부를 삽입하여 적층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생방음벽.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최하단에는 상기 청구항 12에 의한 받침유닛의 양측단부를 상기 유닛삽입홈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위에 다수개의 적층유닛을 삽입, 적층한 후 받침유닛의 토양 상면 중 적층유닛이 적층되지 않은 부분에 식물을 식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생방음벽.
KR10-2003-0033079A 2003-05-23 2003-05-23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50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79A KR100500963B1 (ko) 2003-05-23 2003-05-23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79A KR100500963B1 (ko) 2003-05-23 2003-05-23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661A KR20040100661A (ko) 2004-12-02
KR100500963B1 true KR100500963B1 (ko) 2005-07-18

Family

ID=3737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079A KR100500963B1 (ko) 2003-05-23 2003-05-23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9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95B1 (ko) 2006-01-25 2007-11-28 페이빙스톤(주) 담의 구조
EP2036430A2 (en) 2007-09-14 2009-03-18 Kong Young Park Vegetation basi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101116910B1 (ko) 2009-02-23 2012-02-22 안정현 즉석재배보호묘상과 이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52B1 (ko) * 2005-04-19 2006-12-01 서광석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95B1 (ko) 2006-01-25 2007-11-28 페이빙스톤(주) 담의 구조
EP2036430A2 (en) 2007-09-14 2009-03-18 Kong Young Park Vegetation basi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101116910B1 (ko) 2009-02-23 2012-02-22 안정현 즉석재배보호묘상과 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661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7983B1 (en) Modular, wall-mounted plant growing system
JPH07305354A (ja) 斜面を確保または支持するための法面要素
JP2762341B2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JP200433705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EP2341187B1 (en) Wall for a buiding built up from a plurality of building blocks
JP2002330631A (ja) 立体プランター
KR100500963B1 (ko)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4254565A (ja) 垂直面緑化のための緑化装置
JP2004254559A (ja) 緑化パネル
JP3895198B2 (ja) 緑化方法と植栽ユニット
JPS61137922A (ja) 法面土留工法
KR101014602B1 (ko)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GB2449995A (en) Self watering cellular green wall system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KR100390378B1 (ko) 절개된 급경사 나대지의 자연식생형 녹화시공방법
JP2002017161A (ja) 緑化装置と建築物における屋上用緑化装置の形成方法
RU206399U1 (ru) Сфагновый модуль для конструкций вертикального озеленения
CN116420604B (zh) 一种多功能轻型屋面种植模块
JPH08218403A (ja) 植生用浄水用ブロック及び植生用浄水用基盤材並びに該植生用浄水用ブロックを用いた土木建築構造物等の緑化工法及び河川等の浄水工法
CN218977420U (zh) 一种边坡固土护草植草格
KR200309006Y1 (ko) 사면녹화용 식재포트
CN218550748U (zh) 一种山区框架梁混种植草模块
CN210562230U (zh) 一种高陡边坡绿化种植结构
JP3484098B2 (ja) 緑化用野草マット及び緑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