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439B1 - 집적회로를 구비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 Google Patents

집적회로를 구비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439B1
KR100497439B1 KR10-1998-0014174A KR19980014174A KR100497439B1 KR 100497439 B1 KR100497439 B1 KR 100497439B1 KR 19980014174 A KR19980014174 A KR 19980014174A KR 100497439 B1 KR100497439 B1 KR 10049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harge
photo film
circuit
main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580A (ko
Inventor
유끼쓰구 하타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317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933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9201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449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934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65029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G03B2206/008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using holders for the photographic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은 포토필름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포토필름 롤 챔버(11c)가 포토필름 하우징내에 형성되며 포토필름(16b)이 롤 형태로 미리 장착된다. 카세트 홀더 챔버(11d)는 포토필름 카세트(16)와 결합되어 노출 후 포토필름을 감게 된다.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36)가 충전동작에 의해 전하를 저장한다. 플래시 방전관(53)은 전하의 방전동작에 의해 플래시 빛을 방사한다. 플래시회로(37, 90, 95)는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을 이루기 위하여 주 캐패시터와 플래시 방전관을 제어한다. EEPROM(21)이 포토필름 카세트에 결합된다. 기록제어IC가 EEPROM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포토필름 하우징안에 결합된다. 밧데리(43)는 플래시회로와 기록제어IC에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제어신호 발생기 또는 BUSY 단자가 기록제어IC내에 배치되어, 플래시회로의 충전동작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플래시회로에 '로우' 레벨의 금지신호를 공급한다. 기록제어IC는 플래시회로의 충전동작이 금지되어 있는 동안 정보를 기록하도록 충전제어신호 발생기를 제어한다.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밧데리 전원전압의 강하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집적회로를 구비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본 발명은 집적회로(IC)를 구비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정보가 유닛에 결합된 메모리IC에 기록되도록 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관한 것이다.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은 노출되지 않은 포토필름이 미리 장착되며 노출을 시키기 위하여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배치된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플래시 내장형의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은 플래시 방전관, 플래시회로나 충전회로, 그리고 밧데리로 구성된 플래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 플래시 내장형은 주로 밤이나 실내, 또는 어두운 곳에서의 장면을 찍기위하여 플래시 빛과 함께 노출을 시키는데 편리하다.
메모리IC 또는 반도체 메모리가 포토필름 카세트 또는 카트리지 안에 결합되고, 노출시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노출처리 정보가 메모리IC에 기록되어 사진 현상실에서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된 시스템들이 미국특허 제4,443,077호(JP-A 56-154720의 대응특허)와 JP-A 2-217829에 제시되어 있다.
노출처리 정보의 실예들은 노출 데이타, 프린트 포맷 데이타, 날짜 데이타, 그리고 캡션 데이타들이다. 노출 데이타는 셔터속도, 애퍼쳐 정지, 그리고 플래시 빛의 방사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프린트 포맷 데이타는 표준 사이즈, 파노라마 사이즈, 그리고 L-사이즈의 프린트 종횡비를 나타낸다. 만약, 카메라가 트리밍 범위를 지정하기위하여 JP-A 54-26721에 제시된 구조를 가질 경우, 프린트 포맷 데이타는 트리밍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날짜 데이타는 노출처리 일자를 나타낸다. 캡션 데이타는 카메라 사용자가 캡션이나 문구를 기록하기 위하여 푸시버튼을 눌러서 입력시키는 일련의 문자들을 나타낸다.
노출처리 정보는 사진 현상실에서의 프린트 과정에서 읽혀진다. 예를 들어, 노출 데이타는 프린트 동작시 노출제어에 사용된다. 프린트 포맷 데이타는 프린트 확대의 자동설정과 부극성 포토필름 마스크와 종이 마스크의 전환에 사용된다. 만약, 모든 노출이 카메라에 의해 동일한 프레임 포맷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이나 확대율의 사진 프린트를 얻을 수 있다.
미국 특허출원 제08/784,259호(JP-A 9-211680의 대응특허)는 메모리IC가 포토필름 하우징이나 포토필름 카세트 안에 결합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을 제시한다. 노출처리 정보는 메모리IC에 기록된다. 기록제어IC와 메모리IC는 플래시 장치에 연결된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노출이 끝난 상태에서 기록제어IC는 메모리IC에 노출처리 정보를 기입한다.
노출처리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플래시 유닛의 플래시회로가 동작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전류가 플래시회로에 흐르게 된다. 이때, 밧데리 전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게 되어, 기록제어IC나 메모리IC의 동작에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노출처리 정보가 메모리IC에 기록되지 않거나, 또는 정확한 노출처리 정보와는 다른 데이타가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에러발생없이 여러종류의 정보가 내장 메모리IC에 기록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래시 장치의 주 캐패시터의 충전이 간단한 구성의 회로에 의해 중지될 수 있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플래시 장치가 충전되거나 플래시 빛을 방출하기 위하여 동작할 때, 메모리IC와 함께 사용되는 기록제어회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이외에 다른 목적들과 장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은 포토필름 하우징, 이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형성되며 롤 형태로 포토필름이 미리 장착된 포토필름 롤 챔버, 그리고 노출후에 포토필름을 감기위하여 포토필름 카세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안에 형성된 카세트 홀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이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 플래시 방전관, 그리고 플래시회로와 결합되고, 상기 주 캐패시터가 충전 동작에 의해 전하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방전관이 충전된 전하의 방전 동작에 의해 플래시 빛을 방출하며, 상기 플래시회로가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주 캐패시터와 플래시 방전관을 제어한다. 메모리IC가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또는 포토필름 카세트 안에 결합된다. 기록제어IC가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결합되어 메모리IC에 정보를 기록하고, 적어도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플래시회로가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시킨다. 밧데리는 상기 플래시회로, 기록제어IC, 그리고 메모리IC에 전원을 공급한다.
기록제어IC는 한번의 노출이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기록기는 메모리IC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결합된 기록제어IC내에 배치된다. 충전제어신호 발생기는 기록제어IC내에 배치되어, 플래시회로의 충전동작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금지신호를 플래시회로에 공급한다. 제어기는 기록제어IC내에 배치되어 정보기록기와 충전제어신호 발생기를 제어하며, 플래시회로의 충전동작이 금지되는 동안 정보기록기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밧데리의 전원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셔터 메카니즘이 포토필름 하우징내에 결합되어 포토필름을 노출시키게 된다. 노출 검출 유닛은 매번 셔터 메카니즘의 동작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며, 이에따라 제어기가 상기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정보 기록기를 동작시킨다.
플래시회로는 충전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외부적으로 동작되는 충전 스위치를 포함한다. 발진 트랜지스터가 주 캐패시터에 연결되며, 그 베이스에 연결된 충전 스위치를 통한 충전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주 캐패시터를 충전시킨다. 이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또한 충전제어신호 발생기에 연결된다. 이 발진 트랜지스터는 금지신호에의해 강제적으로 턴오프된다.
금지신호 발생시의 충전제어신호 발생기의 전위는 충전시호 발생시의 충전 스위치의 전위보다 낮다.
결국, 여러종류의 정보가 에러발생없이 내장 메모리IC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검출기는 주 캐패시터의 충전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에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기는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충전제어신호 발생기가 금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전압 검출기는 주 캐패시터와 병렬 연결된 제 1회로를 포함하며, 이 전압 검출기로 기 설정된 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검출전류가 상기 제 1회로에 흐르게 된다. 스위칭회로가 상기 제 1회로로부터의 검출전류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
결국, 플래시 장치의 주 캐패시터의 충전동작은 간단한 구조의 회로에 의해 중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 메카니즘은 포토필름 하우징안에 결합되어 포토필름을 노출시킨다. 트리거 스위치가 플래시회로에 배치되며, 셔터 메카니즘의 동작에 따라 턴온됨으로서 플래시 방전관에 트리거 전압을 인가시켜 방전동작을 트리거하게 된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신호 발생기가 트리거 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응답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따라 제어기가 정보기록기를 동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회로가 밧데리와 기록제어IC 사이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에 발생되는 전기 노이즈를 흡수함으로서,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시 기록제어IC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결국, 플래시 장치가 충전되거나 플래시 빛을 방출시키도록 동작할 때 메모리IC와 함께 사용되는 기록 제어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은 포토필름 하우징(10)으로 이루어지며, 포토필름 수용 유닛(11), 셔터 메카니즘과 결합된 노출처리 유닛(12), 전자 플래시 유닛(13), 전면커버(14), 그리고 후면 커버(15)를 포함한다. 포토필름 수용 유닛(11)은 포토필름 카세트(16)에 미리 장착된다.
도 2에 포토필름 카세트(16)의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 포토필름 카세트(16)는 Advanced Photo System(트레이드 명)에 따른 IX 240형이다. 카세트 쉘(16a)은 포토필름(16b)의 롤이 감긴 스풀(17)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한다. 스풀(17)의 축상의 단부들은 카세트 쉘(16a)의 단부면들을 통해 노출되며, 각각 키 홈(17a)을 구비한다. 포토필름 통과 홈(18)이 카세트 쉘(16a)에 형성되며, 포토필름(16b)이 이를 통해 인출된다. 카세트 셔터(19)가 상기 포토필름 통과 홈(18)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카세트 셔터(19)의 축상의 단부들은 카세트 쉘(16a)의 단면들을 통해 밖으로 나타나게 되며, 각각 키 홈(19a)을 구비한다.
카세트 쉘(16a)은 포토필름 인출 메카니즘과 결합된다. 카세트 셔터(19)가 키 홈(19a)의 유지부에 의해 개방상태로 있는 동안, 스풀(1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포토필름(16b)의 선단부가 포토필름 통과 홈(18)을 통해 밖으로 인출된다. 포토필름(16b)은 감광 유제면의 반대면인 뒷면 전체에 증착된 투명 자기기록층을 포함한다. 이 자기기록층은 노출처리 정보나 프린트 처리 목적을 위한 현상실 정보 등의 저장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정보는 카메라 또는 사진 프린터에 결합된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다.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의 제조자가 포토필름의 유형이나 식별번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 코드 라벨이나 스티커(16C)가 카세트 쉘(16a)에 부착되어 이 카세트 쉘(16a)의 식별번호를 표시하게 됨으로서, 카세트 쉘(16a)을 포토필름(16b)과 개별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포토필름(16b)의 식별번호는 제조공정에서 측면 프린트 방법에 의해 바 코드 형태로 포토필름상에 사진 촬영식으로 미리 기록된다. 또한, 동일한 정보를 포토필름(16b)의 자기기록층에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조번호 20은 바 코드를 갖는 디스크를 나타내며, 포토필름(16b)의 유형에 관한 정보와 사용가능한 프레임의 최대 수효를 나타낸다. 디스크(20)는 스풀(17)과 함께 회전하며, 카메라나 사진 프린터에 배치된 바 코드 리더에 의해 디스크(20) 상에 기록된 바 코드 정보가 판독된다. 이 디스크(20)는 포토필름 카세트가 정보저장을 위하여 메모리IC나 EEPROM(21)을 구비하기 때문에 생략될 수 있다.
노출처리 정보를 포토필름(16b)의 자기기록층에 기록하기 위하여는, 카메라 또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이 자기헤드와 이 자기헤드를 구동 시키기 위한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자기기록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자기기록기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카메라의 제조비를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고가의 종래의 자기기록기를 저가의 카메라, 또는 포토필름이 미리 장착되며 사용후에는 제조자에 의해 폐기되는 일회용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결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Advanced Photo System(트레이드 명)은 이와같은 저가의 제품에 충분히 이용될 수 없다.
포토필름 카세트(16)의 카세트 쉘(16a)은 노출처리 정보와 다른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EEPROM(21)을 구비한다. EEPROM(21)에 있는 노출처리 정보는 사진 현상실에서 판독되며, 다시 포토필름(16b)의 자기기록층에 기록되거나, 또는 Advanced Photo System(트레이드 명)의 특징들을 이용하도록 사진 프린트 동작에 사용되기 위한 노출 보상 데이타로서 사용된다. EEPROM(21)에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장치는 자기기록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가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정보 기록장치를 저가의 카메라나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EEPROM(21)은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EEPROM(21)에서 정보는 전기적으로 기록되고 소거된다. 이 EEPROM(21)은 공지의 와이어 본딩 방법에 의해 접점들(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접점들(22)은 스풀(17)의 단부 부근에서 노출되어 있다.
포토필름 카세트(16)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 사용될 수도 있다. 포토필름 카세트(16)의 제품들이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들의 생산라인으로 전송된 후에, 명칭정보, 제조일자정보, 초기화 시간 정보, 식별번호정보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기본 정보들이 EEPROM(21)의 기 설정된 어드레스들에 기록된다. 초기화 시간 정보는 기록제어IC(40)에 의해 측정되는 누적시간의 측정 개시 시간을 나타낸다.
도 1에서 포토필름 수용 유닛(11)은 카세트 홀더 챔버(11b)와 포토필름 롤 챔버(11c)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는 빛 차단 터널(11a)이 위치한다. 카세트 홀더 챔버(11b)에는 포토필름 카세트(16)의 카세트 쉘(16a)이 장착된다. 포토필름 롤 챔버(11c)에는 이전에 카세트 쉘(16a)로부터 인출된 포토필름(16b)의 포토필름 롤이 장착된다.
노출처리 유닛(12)는 셔터 충전 메카니즘, 한 프레임 진행 메카니즘, 카운터 스테핑 메카니즘, 셔터 구동 메카니즘, 셔터 블레이드(24), 착상렌즈(12a), 그리고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로 구성된 뷰파인더(12b)를 포함한다. 노출처리 유닛(12)는 빛차단 터널(11a)의 앞쪽에 결합된다. 이와같은 부품들은 종래의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채용된 부품들과 동일하다.
와인더 다이알 또는 휘일(25)이 카세트 홀더 챔버(11b)의 상단에 배치된다. 구동축은 와인더 휘일(25)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포토필름 카세트(16)의 스풀(17)의 키 홈(17a)에 맞물린다. 와인더 휘일(25)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스풀(17)이 회전하여 포토필름(16b)의 노출부분을 카세트 쉘(16a)안으로 감게 된다.
전면커버(14)는 포토필름 수용 유닛(11)의 앞쪽을 덮어준다. 이 전면커버(14)는 개구부(14a, 14b)와 대물 윈도우(26)를 구비한다. 이 개구부(14a, 14b)는 착상렌즈(12a)와 플래시 방사 윈도우(13a)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대물 윈도우(26)는 뷰파인더(12b)의 관찰가능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대물 윈도우(26)의 종횡비는 9/16로서, HDTV(high-definition television)의 종횡비와 같다. 물론, 카세트 쉘(16a) 상에 생성되는 프레임들은 같은 종횡비를 갖는다.
마스크 판(27)은 대물 윈도우(26)의 뒷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마스크 판(27)은 푸시버튼(27a)을 구비하는데, 이 푸시버튼은 슬라이딩되어 마스크 판(27)을 대물 윈도우(26) 쪽으로 그리고 대물 윈도우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키며, 파노라마위치와 표준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된다. 이 마스크 판(27)이 파노라마 위치에 설정될 때, 대물 윈도우(26)의 시계를 1:2.8의 종횡비를 갖는 파노라마 영역으로 한정시키며, 표준위치에 설정될 때는 대물 윈도우(26) 안쪽의 표준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마스크 판(27)의 후면은 고 반사판(28a)을 갖는다. 광센서(28b)가 플래시 유닛(13)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고 반사판(28a)과 결합되어 도 3의 모드 센서를 구성한다. 상기 마스크 판(27)이 파노라마 위치에 있을때, 모드센서(28)의 고 반사판(28a)이 광센서(28b)와 마주 접하여 '하이'(H) 레벨의 MODE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마스크 판(27)이 표준 사이즈의 위치에 있을 때는 고 반사판(28a)이 광센서(28b)로부터 이동되어 '로우'(L) 레벨의 MODE신호를 출력한다. 이 MODE신호에 의하여, 마스크 판(27)이 노출처리과정에서 표준위치와 파노라마 위치중 어느 위치에 설정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마스크 판(27) 대신에 시계를 절환시키기 위한 다른 절환 메카니즘이 있을 경우, L-사이즈 영역이나 텔레스코픽 영역과 같이, 표준 영역 및 파노라마 영역과 다른 추가적으로 한정된 영역들이 설정될 수 있다. L-사이즈 영역은 L-사이즈 프린트의 종횡비에 따라 설정된다. 텔레스코픽 영역은 매우 좁아진 폭의 종횡비로 설정된다. 또한, 전술한 광전방식의 검출방법에 더하여 전기적 검출방법과 같이, 투시 영역을 판별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전면커버(14)의 상단에는 셔터개방 버튼(30)이 구비된다. 셔터개방 버튼(30)이 셔터 충전이 끝난 상태에서 눌려질 때, 노출처리 유닛(12)내의 셔터 메카니즘이 노출처리를 위하여 작동된다. 후면커버(15)는 빛이 새지 않도록 포토필름 수용 유닛(11)의 후면과 바닥을 덮는다. 카세트 홀더 챔버(11b)의 바닥을 덮는 바닥 뚜껑(31)은 보스(31a)를 구비하며, 카세트 쉘(16a)이 부동상태로 유지되도록 스풀(17)의 하부 단부를 지지한다.
플래시 유닛(13)은 플래시 에미터 윈도우(13a), 플래시회로(37), 정보기록장치(42), 그리고 밧데리(43)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래시회로(37)는 트리거 스위치(35)와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36)를 포함한다. 트리거 스위치(35)는 노출 검출 유닛안에 포함된다. 정보기록장치(42)는 포토센서(28b), 기록제어IC(40), 그리고 카세트 쉘(16a)안의 EEPROM(21)으로부터 정보를 읽거나 기록할 목적의 가요성 콘넥터 판(41)을 포함한다. 밧데리(43)는 플래시회로(37)와 정보기록장치(42)에 전원을 공급하는 일반 전원장치로서, UM-3형이며, 1.5V의 전압(V1)을 갖는다.
충전 스위치(45)는 금속 세그먼트(45a)와 접점패턴(45b)으로 구성된다. 금속 세그먼트(45a)는 포토필름 수용 유닛(11)의 우측 단부에 배치된다. 접점패턴(45b)은 한쌍의 접점들을 구비하며, 인쇄회로기판(38)안에 포함된다. 전면커버(14)의 푸시버튼(45c)이 눌려지면, 금속 세그먼트(45a)가 접점패턴(45b)에 접촉되어 턴온된다. 트리거 스위치(35)는 수직으로 배열된 한쌍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며, 셔터 블레이드(24)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세그먼트들이 서로 접촉될 때 턴온된다.
플럭(41a)은 콘넥터 판(41)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일련의 콘넥터 핀들로 구성된다. 이 플럭(41a)은 카세트 홀더 챔버(11b)의 상단에 배치된 콘넥터 터미날들(도시되지않음)과 연결된다. 콘넥터 터미날들은 접점들(22)의 내부에 배치된 콘넥터 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넥터 핀들은 카세트 쉘(16a)의 접점들(22)과 연결된다. 끝으로, 기록제어IC(40)는 EEPROM(21)에 연결된다.
도 3에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의 전기적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플레시회로(37)는 트리거 스위치(35), 주 캐패시터(36), 충전 스위치(45) 및 n-p-n 트랜지스터인 발진 트랜지스터(50), 발진 트랜스(51), p-n-p 트랜지스터인 발진 트랜지스터(50), 플래시 방전관 또는 제논관(53), 트리거 캐패시터(54), 부스터로서의 트리거 트랜스(55), 네온관(56), 충전다이오드(57), 제너다이오드(58), 그리고 p-n-p 트랜지스터인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를 포함한다.
발진 트랜스(51)는 1차측 권선(61), 2차측 권선(62), 그리고 3차측 권선(63)으로 구성되며, 이들 권선들은 서로 상호 인덕턴스 결합을 이룬다. 1차측 권선(61)은 제 1단자(51a)와 제 2단자(51b)를 구비한다. 2차측 권선(62)은 제 4단자(51d)와 제 5단자(51e)를 구비한다. 3차측 권선은 2차측 권선(62)에 공통접속된 제 4단자(51), 그리고 제 3단자(51c)를 구비한다.
발진 트랜스(51)의 제 1단자(51a)는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제 2단자(51b)는 발진 트랜지스터(50)의 콜렉터에 연결된다. 제 3단자(51c)는 저항(64a)과 충전 스위치(45)를 통해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제 4단자(51d)는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제 5단자(51e)는 충전다이오드(57)를 통해 주 캐패시터(36)의 부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충전다이오드(57)는 그 캐소우드가 제 5단자(51e)에 연결된다. 발진 트랜지스터(50)의 에이터는 밧데리(43)의 부극성 전극에 연결되어 접지된다.
발진 트랜지스터(50)와 이에 연결된 발진트랜스(51)는 블로킹 발진회로를 구성하며, 이 발진회로는 밧데리(43)의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고전압을 주 캐패시터(36)에 충전시킨다. 충전 스위치(45)가 턴온될 때,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50)는 충전신호를 공급받는다. 즉, 밧데리(43)는 저항(64a) 및 3차측 권선(63)을 통해 베이스 전류를 발진 트랜지스터(50)에 공급하여, 발진 트랜지스터(50)를 턴온시킨다. 콜렉터 전류가 1차측 전류로서 1차측 권선(61)에 흐르게 된다.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전류는 발진트랜스(51)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증가하게 되고, 이에의해 콜렉터 전류가 증가하는 동안 발진 트랜지스터(50)가 발진한다.
래치 트랜지스터(52)는 충전 스위치(45)가 턴오프된 후에도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로 피드백 전류를 공급함으로서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발진동작을 지속시키게 된다. 래치 트랜지스터(52)의 에미터는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래치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는 저항(64b)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50)의 콜렉터에 연결된다. 래치 트랜지스터(52)의 콜렉터는 저항(64a) 및 3차측 권선(63)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발진 트랜지스터(50)가 동작을 개시하면, 래치 트랜지스터(52)가 턴온된다. 충전 스위치(45)가 턴오프될 때에도 래치 트랜지스터(52)의 콜렉터전류가 피드백 전류로서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로 흐른다. 발진 트랜지스터(50)는 래치 트랜지스터(52)의 피드백에 의해 발진을 계속하게 된다.
만약, 충전 스위치(45)가 턴오프되더라도 기록제어IC(40)로부터의 BUSY 신호가 '하이'(H) 레벨로 될 경우, 발진 트랜지스터(50)는 충전신호인 BUSY 신호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발진 트랜지스터(50)가 턴온되고, 래치 트랜지스터(52)의 피드백에 의해 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기술된다.
루핑 다이오드(65)는 그 애노우드가 저항(64a)을 통해 3차측 권선(63)의 제 3단자(51c)에 연결되고, 그 캐소우드가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블로킹 발진회로의 발진동작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충전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충전 스위치(45)가 턴오프될 때 3차측 권선(63)에 발생된 역기전력의 결과로서 전류 루프가 루핑 다이오드(65)에 의해 형성된다.
권선들(61, 62)의 권선비에 따라 고전압, 예를 들어, 300V의 기전력이 2차측 권선(62)에 발생한다. 이 기전력이 발생할때, 충전다이오드(57)가 제 5단자(51e)로부터 제 4단자(51d)로 흐르는 2차측 전류를 주 캐패시터(36)에 공급한다.
주 캐패시터(36)의 전극들은 플래시 방전관(53)의 전극들과 각각 연결된다. 주 캐패시터(36)의 정극성 전극은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주 캐패시터(36)의 부극성 전극은 충전 다이오드(57)의 애노우드에 연결된다. 주 캐패시터(36)는 이 주 캐패시터(36)의 부극성 전극의 전위가 밧데리(43)의 정극성 전위보다 낮아지면서 충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 캐패시터(36)의 정상 충전전압(Va)은 300V로 설정된다. 충전전압(Vc)이 정상 충전전압(Va)이 될 때, 플래시 방전 튜브(53)가 설정된 빛의 양으로 방전을 일으킨다.
트리거 캐패시터(54)의 한 전극은 저항(64c)을 통해 충전 다이오드(57)의 애노우드에 연결된다. 트리거 캐패시터(54)의 다른 전극은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트리거 캐패시터(54)는 주 캐패시터(36)가 충전되는 동일한 시간에 2차측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트리거 트랜스(55)는 1차측 권선(55a)과 2차측 권선(55b)을 구비한다. 상기 1차측 권선(55a)의 한 단자는 트리거 캐패시터(54)의 한 전극에 연결된다. 1차측 권선(55a)의 다른 단자는 2차측 권선(55b)의 다른 단자에 연결되며, 또한 트리거 스위치(35)를 통해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트리거 트랜스(55)의 2차측 권선(55b)의 제 1단자는 플래시 방전관(53)에 가깝게 배치된 트리거 전극(53a)에 연결된다.
트리거 캐패시터(54)는 셔터의 동작에 응답하여 트리거 스위치(35)가 턴온될 때 방전된다. 방전 동작시의 전류는 트리거 트랜스(55)의 1차측 권선(55a)을 통해 흐른다. 4KV의 트리거 전압이 2차측 권선에 발생하여, 트리거 전극(53a)을 통해 플래시 방전관(53)에 인가된다. 트리거 전압은 플래시 방전관(53)내의 제논개스를 이온화시켜서 플래시 방전관(53)의 전극들 사이의 저항을 파괴하게 되고, 이에따라 주 캐패시터(36)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플래시 방전관(53)을 통과한다. 플래시 방전관(53)은 방전을 일으키고 플래시 빛을 방사시킨다.
네온관(56)은 한 전극이 저항(64d) 및 저항(64c)을 통해 주 캐패시터(36)의 부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네온관(64d)의 다른 전극은 주 캐패시터(36)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Vb)에 이르게 될 때, 네온관(56)이 턴온된다. 이렇게 네온관(56)이 턴온되면, 트리거 캐패시터(54)가 네온관(56)을 통해 전하를 통과시키면서 방전된다. 네온관(56)을 통한 전압은 이 네온관(56)이 턴오프될 때까지 급격하게 감소한다.
그러나, 발진 트랜지스터(50)가 동작하는 동안 충전동작은 계속된다. 주 캐패시터(36)가 트리거 캐패시터(54)에 연결되면서, 트리거 캐패시터(54)를 통한 충전전압이 증가하게 되어 다시 네온관(56)을 턴온시키게 된다. 네온관(56)은 주 캐패시터(36)가 정상 충전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잠깐동안 깜박거리게 된다. 이와같은 네온관(56)이 턴온/오프되어 깜박거리는 기간은 주 캐패시터(36)를 통한 충전전압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더욱 짧아지게 된다.
네온관(56)은 도 1에서와 같이 전면커버(14)의 상단면에 형성된 표시 윈도우(14c)를 통해 네온관(56)의 조명상태를 체크하고, 플래시 방사를 위한 스탠바이 상태를 알게 된다. 전압(Vb)이 정상 충전전압(Va)과 동일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전압(Vb)은 정상 충전전압(Va)보다 조금 낮게, 예를들어, 약 265V로 된다. 결국, 사용자는 네온관(56)의 깜박거림 구간이 충분히 작아진 후에, 플래시와 함께 노출을 시키게 된다.
제너 다이오드(58)와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는 주 캐패시터(36)가 정상 충전전압(Va)까지 충전될 때 플래시회로(37)의 충전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결합된다. 제너 다이오드(58)는 정상 충전전압이 300V인 주 캐패시터(36)를 고려하여 약 300V의 제너전압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너 다이오드(58)의 애노우드는 주 캐패시터(36)의 부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제너 다이오드(58)의 캐소우드는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의 에미터와 콜렉터는 각각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연결된다.
주 캐패시터(36)가 정상 충전전압(Va)까지 충전될 때, 이 충전전압은 제너 다이오드(58)로 인가된다. 제너 전류 또는 역 전류가 제너 다이오드(58)를 통해 흘러서,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를 턴온 시킨다.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가 턴온됨에 따라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와 에미터가 쇼트 상태로 되며, 이에 따라 발진 트랜지스터(50)가 동작 정지된다. 이때, 래치 트랜지스터(52)도 턴오프된다. 블로킹 발진회로의 발진동작이 정지되고,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중지된다.
충전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제너 다이오드(58)와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를 사용하는 대신에, BUSY 신호를 '로우'(L) 레벨로 설정함에 의해 충전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플래시회로(37)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전위변화나 발진주기에서의 변화에 따라,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전압이 정상 충전전압(Va)에 도달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 BUSY 신호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정보기록장치(42)는 기록제어IC(40), 모드센서(28) 및 플래시 방사 검출회로(70), 트리거검출회로(71), 그리고 수정 발진소자(73)로 구성된다. 트리거검출회로(71)는 노출 검출 유닛안에 포함된다.
방사 검출회로(70)는 주 캐패시터(36)의 방전시에 플래시 방전관(53)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플래시 방사가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플래시 신호(STB)를 발생시킨다. 플래시 신호(STB)는 플래시 방사가 이루어진 후 기 설정시간 동안 '하이'(H) 레벨로 된다.
트리거검출회로(71)는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와 다이오드(71b)로 구성된다.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로서 n-p-n 트랜지스터이다. 다이오드(71b)는 역전압이 인가될 때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의 파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71b)의 애노우드는 트리거 트랜스(55)의 일측에 있는 트리거 스위치(35)의 단자와 연결된다. 다이오드(71b)의 캐소우드는 저항(64e)을 통해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이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의 콜렉터는 저항(64f)을 통해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의 에미터는 밧데리(43)의 부극성 전극에 연결된다. 이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는 그 콜렉터 전위로서 트리거검출신호(TRG)를 출력한다.
트리거 스위치(35)가 턴오프될 때,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는 베이스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여 턴오프된다. 그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콜렉터 전위는 밧데리(43)의 정극성 전위가 된다. 트리거검출신호의 레벨이 '하이'(H) 레벨 또는 1.5V로 변하게 된다. 트리거 스위치(35)가 턴온될 때 베이스 전류가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로 흘러서 이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며, 이에따라 그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콜렉터 전위가 감소하여 트리거검출신호를 '로우'(L) 레벨 또는 0V로 설정하게 된다. 캐패시터(37c)는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의 동작시 전기적 노이즈로 인해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연결된다.
기록제어IC(40)의 VCC1 단자는 저항(64j)을 통해 밧데리(43)로부터 약 1V의 구동전압(V2)을 공급받는다. 기록제어IC(40)의 VCC2 단자는 밧데리(43)의 전압(V1)을 직접 공급받는다. 상기 VCC1 단자로 인가되는 구동전압(V2)에 의해 기록제어IC(40)가 액티브 상태로 유지되어 EEPROM(21)로의 데이타 기록을 제어하게 된다. VCC2 단자에 인가된 전압(V1)은 배전압회로(85)에 의해 EEPROM(21)에 적합한 3V의 구동전압(VDD)으로 부스트된다. 이 배전압회로(85)는 기록제어IC(40)에 포함된다. 도 4에서와 같이, 기록제어IC(40)는 구동전압(VDD)을 EEPROM(21)에 인가시킨다.
또한, 캐패시터들(75, 76)이 기록제어IC(40)의 동작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전원라인상의 전기 노이즈를 흡수하도록 기록제어IC(40) 부근에 있는 밧데리(43)의 정 및 부극성의 전원라인들에 연결된다.
도 4에는 기록제어IC(4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기록제어IC(40)는 하나의 작은 집적회로 칩으로서, 발진회로(80), 시간을 누적하여 측정하기 위한 누적시간 측정회로(81), 기록제어회로(82), 병렬/직렬(P/S) 변환회로(83), 그리고 배전압회로(85)를 포함한다. 기록제어IC(40)는 충전과정에서의 밧데리(43)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적어도 0.8V의 밧데리 전압(V1)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기록제어IC(40)는 또한 포토필름 하우징(10)내의 포토필름 카세트(16)의 EEPROM(21)에 기본적인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어 누적시간 측정회로(81)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발진회로(80)는 수정 발진소자(73)를 사용하여 정규적 주기를 갖는 클럭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발진회로(80)로부터의 클럭에 따라서, 누적시간 측정회로(81)는 측정시작 시점으로부터의 누적시간을 측정하여 EEPROM(21)에 저장한다. 이 누적시간은 누적시간 정보로서 P/S 변환회로(83)로 보내진다.
기록제어회로는 발진회로(80)에 의해 발생되는 클럭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동작된다. 기록제어회로(82)는 모드센서(28), 방사 검출회로(70), 그리고 트리거검출회로(71)로부터 각각 모드신호, 플래시 신호, 그리고 트리거검출신호를 수신한다. 트리거검출신호의 수신시, 기록제어회로(82)는 모드신호와 플래시 신호에 근거하여 뷰파인더의 시계영역 정보와 플래시 사용정보를 포함하여 지정정보를 발생시킨다. 기록제어회로(82)는 지정정보를 P/S 변환회로(83)로 보낸다.
P/S 변환회로(83)는 기록제어회로(82)에 의해 제어되어, 노출처리 정보를 직렬 데이타(SDA)로 변환한다. 노출처리 정보는 트리거검출신호의 발생시 설정된 누적시간 정보와, 기록제어회로(82)로부터의 지정 정보를 포함한다. 직렬 데이타(SDA)는 기록제어회로(82)로부터의 동기 클럭(SCL)에 동기되어 EEPROM(21)에 보내짐으로서 EEPROM(21)에 노출처리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되는 동안, 블로킹 발진회로로서 플래시회로(37)는 주 캐패시터(36)를 충전시킨다. 플래시회로(37)를 통해 흐르는 큰 전류는 밧데리(43)의 전압을 강하시킨다. 따라서, EEPROM(21)에 인가되는 구동전압(VDD)이 강하된다. 이때,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되지 않거나, 또는 잘못된 형태의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같은 에러를 없애기 위하여, 기록제어IC(40)에 배치되어, 이 기록제어IC(40)가 EEPROM(21)에 정보를 기록하는 동안 플래시회로(37)의 충전동작을 금지시키기 위한 busy 단자(40a) 또는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가 구비된다. 이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상태는 기록제어회로(82)의 제어기(82a)에 의해 제어된다.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busy 단자(40a)는 3-상태 단자로서, 저 입력 임피던스 상태에서 '하이'(H) 또는 '로우'(L) 레벨의 BUSY 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고입력 임피던스의 선택적인 상태를 갖는다.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는 저항(64a) 및 3차측 권선(63)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즉,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는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에 연결된 래치 트랜지스터(52)에 연결된다.
busy 단자(40a)의 고입력 임피던스 상태는 busy 단자(40a)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다
트리거검출신호의 검출후에, 기록제어회로(82)는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busy 단자(40a)를 금지상태로 설정하고,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BUSY 신호를 '로우'(L) 레벨로 설정함으로서, 베이스전류가 발진 트랜지스터(50)로 흐르는 것을 금지시킨다. 플래시회로(37)는 충전이 금지된다. 이와같은 금지기간 동안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된다. 노출처리 정보의 기록이 끝나면,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충전개시 상태로 설정되어 '하이'(H) 레벨의 BUSY 신호를 보내게 된다. 발진 트랜지스터(50)는 충전신호로서 '하이'(H) 레벨의 BUSY 신호를 공급 받아서,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개시된다. 그후, busy 단자(40a)가 고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된다. 이렇게 busy 단자(40a)가 고입력 임피던스 상태에 있는 동안 발진 트랜지스터(50)가 동작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노출을 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사진 프린트의 종횡비에 따라 마스크 판(27)을 표준 또는 파노라마 위치로 설정하기위하여 푸시버튼(27a)를 누르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처음으로 플래시와 함께 사진을 찍길 원할 경우, 푸시버튼(45c)를 눌러서 충전 스위치(45)를 턴온시킨다. 이와같은 동작후에 즉시, 사용자는 푸시버튼(45c)의 누름을 중지하여 충전 스위치(45)를 턴오프 시키게 된다. 그후에 푸시버튼(45c)이 동작되어 마스크 판(27)을 표준 또는 파노라마 위치로 변경시킨다.
충전 스위치(45)가 턴온될 때, 기록제어IC(40)의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busy 단자(40a)가 고입력 임피던스 상태에 있게 된다. 밧데리(43)가 충전 스위치(45), 저항(64a), 그리고 3차측 권선(63)을 통해 발진 트랜지스터(50)로 베이스 전류를 흐르게하여 준다. 이에따라 발진 트랜지스터(50)가 턴온되어 그 콜렉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콜렉터 전류는 제 1단자(51a)로부터 제 2단자(51b)의 방향으로 흐르는 1차측 전류로서, 1차측 권선(61)에 흐르게 된다.
이렇게 1차측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그 양이 증가하면서, 2차측 권선(62)에 고전압의 기전력이 발생한다. 2차측 전류가 제 5단자(51e)로부터 제 4단자(51d)로 흘러서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콜렉터 전류 또는 1차측 권선(61)으로부터의 1차측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콜렉터 전류가 발진 트랜지스터(50)에 흐를 때, 래치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로는 그 베이스 전류로서 동일한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래치 트랜지스터(52)가 턴온되어 밧데리(43)로부터 저항(64a) 및 3차측 권선(63)을 통해 흐르는 베이스 전류를 발진 트랜지스터(50)로 공급하게 된다.
발진 트랜스(51)와 발진 트랜지스터(50)의 피드백 동작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 전류가 증가하고, 이에따라 콜렉터 전류 또는 1차측 전류가 증가한다. 발진 트랜지스터(50)가 포화상태의 가까이로 이르게될 때, 콜렉터 전류의 전하가 감소한다. 발진 트랜스(51)의 권선(61-63)에 역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 역기전력은 발진 트랜스(51)로부터 발진 트랜지스터(50)로 흐르는 베이스 전류를 급격하게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콜렉터 전류도 급격하게 감소한다.
발진 트랜지스터(50)가 래치 트랜지스터(52)로부터 베이스 전류를 공급받으면서, 이 발진 트랜지스터(50)가 턴온 상태로 유지된다. 발진 트랜스(51)에서의 역기전력의 발생이 중지된 후, 발진 트랜지스터(50)내의 콜렉터 전류가 증가하여 1차측 전류를 증가시키게 된다. 결국, 충전 스위치(45)가 턴오프되더라도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발진 동작은 계속된다.
발진시 2차측 권선(62)에서 발생된 기전력과 함께, 제 5단자(51e)로부터 제 4단자(51d)로 흐르는 2차측 전류는 충전 다이오드(57)를 통해 주 캐패시터(36)와 트리거 캐패시터(54)에 충전된다. 이와같은 충전과정에서, 플래시회로(37)내에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밧데리(43)의 전압(V1)을 강하시킨다. 충전개시후 곧바로 전압(V1)이 약 0.8V로 된다.
주 캐패시터(36)의 충전과정에서,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전압(Vc)은 약 265V의 전압(Vb)까지 상승한다. 이에의해, 네온관(56)이 반복적으로 턴온/오프되어 깜박거리게 된다.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더욱 진행되면서,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전압(Vc)이 정상 충전전압(Va)에 이르게되고, 제너 다이오드(58)를 통한 제너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서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를 턴온시킨다.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가 턴온될 때,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와 에미터가 단락상태로 된다. 따라서,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발진동작이 중지되고, 래치 트랜지스터(52)가 턴오프된다. 그리고 주 캐패시터(36)의 충전동작이 중지된다. 충전 스위치(45)와 래치 트랜지스터(52)가 턴오프 상태로 유지되면서, 제너 다이오드(58)를 통한 제너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충전중지 트랜지스터(59)가 턴오프되더라도, 발진 트랜지스터(50)는 발진을 시작하지 않는다. 충전전압(Vc)이 300V가 될 때,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중지된다.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중지된 후에,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게 될 경우, 주 캐패시터(36)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방전하는 현상이 있게되고, 이에따라 충전전압(Vc)이 감소하게 된다. 이 충전전압이 너무 적어서 플래시 방사가 불가능해지거나, 플래시 방사시의 빛의 양이 너무 적게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푸시버튼(45c)을 다시 눌러서 충전 스위치(45)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주 캐패시터(36)가 정상 충전전압(Va)으로 충전된다.
충전전압(Vc)의 감소는 네온관(56)의 턴온/오프 상태 사이의 차이나, 깜박거림 기간의 짧음에 의해 관찰 및 인식될 수 있다. 푸시버튼(45c)은 충전전압(Vc)의 감소와 무관하게 플래시 빛을 수반하는 노출이 이루어지기 전에 잠깐동안 눌려질 수 있다. 충전중지후 기 설정된 시간, 예를들어, 5분이 경과할 때마다 BUSY 신호를 '하이'(H) 레벨로 전환시킴에 의해 충전이 개시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BUSY 신호가 기록제어IC(40)에 의해 '하이'(H) 레벨로 전환됨으로서, 자연 방전을 보상할 목적으로 주 캐패시터(36)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추가적인 충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간은 플래시 방사가 불가능한 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전력소모를 임시적으로 방지할 목적으로 이와같은 자동 충전기능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외부 금지 스위치가 추가될 수 있다.
짧은 기간동안의 트리거 캐패시터(54)의 깜박거림 동작은 사용자가 플래시 방사를 위한 스탠바이 종료상태를 알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노출 동작을 위하여 셔터개방 버튼(3)을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셔터 메카니즘의 셔터 블레이드(24)가 포토필름(16b)을 노출시키도록 작동된다. 셔터 블레이드(24)가 충분히 개방되는 시점에서, 트리거 스위치(35)가 플래시 방사와 무관하게 턴온된다.
트리거 스위치(35)가 주 캐패시터(36)의 충전과 함께 턴온될 때, 트리거 캐패시터(54)가 방전되어 트리거 트랜스(55)로부터의 트리거 전압을 플래시 방전관(53)에 인가시킨다. 주 캐패시터(36)는 방전되어 플래시를 방사시키기 위하여 플래시 방전관(53)을 통해 전하를 통과시키기게 된다. 플래시 방사가 이루어질 때, 방사 검출회로(70)는 기 설정시간동안 플래시 신호를 '하이'(H) 레벨로 유지시킨다. 만약,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전전압(Vc)이 플래시 방사에 충분한 전압과 같거나 또는 작을 경우, 플래시는 방사되지 않는다. 이때, 플래시 신호는 '로우'(L) 레벨로 유지된다.
트리거 스위치(35)가 턴온될 때, 트리거검출 트랜지스터(71a)가 턴온되어 트리거검출신호를 '로우'(L) 레벨로 설정하게 된다. 플래시 방사가 이루어지는 즉시, 발진 트랜지스터(50)는 주 캐패시터(36)에 저장된 전하에 따른 플래시 방전관(53)의 방전 순간에 플래시회로(37)내의 라인을 통해 펄스를 수신한다. 이 펄스는 플래시회로(37)가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을 개시하도록 발진 트랜지스터(50)를 턴온 시키게 된다. 밧데리(43)의 전압(V1)은 도 5의 점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매우 낮아지게 되는데, 예를들어 0.8V까지 낮아지게 된다.
트리거검출신호가 '로우'(L) 레벨로 전환될 때, 기록제어회로(82)는 BUSY 신호를 '로우'(L) 레벨로 전환시킨다. 플래시 방사시 전기 펄스가 발진 트랜지스터(50)로 보내질 경우, 이 발진 트랜지스터(50)는 그 베이스가 저항(64a) 및 3차측 권선(63)을 통해 '로우'(L) 레벨로 유지되기 때문에 턴온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래시회로(37)를 통한 충전동작이 개시되지 않는다. 발진 트랜지스터(50)가 초기에 턴온 되 후, '로우'(L) 레벨의 BUSY 신호에 의해 발진 트랜지스터(50)는 래치 트랜지스터(52)로부터의 피드백 전류를 공급받지 못한다. 발진 트랜지스터(50)의 베이스가 '로우'(L) 레벨로 되고, 이에의해 이 발진 트랜지스터(50)가 즉시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로우'(L) 레벨로 설정된 BUSY 신호에 의해 플래시회로(37)에 의한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금지된다. 기록제어회로(82)는 배전압회로(85)를 액티브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 배전압회로(85)는 밧데리(43)로부터의 전압(V1)을 구동전압(VDD)으로 부스트시켜서 EEPROM(21)로 공급하게 된다.
기록제어회로(82)는 플래시 신호의 신호레벨에 따라 플레시 방사가 이루어 졌음을 체크한다. 모드센서(28)내의 포토센서(28b)는 모드신호의 신호레벨에 따라 마스크 판(27)의 위치를 체크하도록 동작한다. 기록제어회로(82)는 플래시 방사의 발생과 마스크 판(27)의 위치를 함께 나타내는 지정정보를 래치시킨다. 래치 동작시, 상기 지정정보는 트리거검출신호의 발생후에 짧은 시간 동안 래치된다.
상기 기록제어회로(82)는 또한 P/S변환회로(83)를 제어하고, 누적시간 측정회로(81)의 누적시간 정보를 P/S변환회로(83)에 설정하게 된다. 그후에, 기록제어회로(82)는 동기클럭을 송신한다. 누적시간 정보는 동기 클럭에 동기된다. P/S변환회로(83)는 누적시간 정보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EEPROM(21)에 전송한다.
P/S변환회로(83)에 의한 누적시간 정보전송이 끝날때, 기록제어회로(82)는 래치된 지정정보를 P/S변환회로에 설정하고, 다시 동기 클럭을 송신하게 된다. P/S변환회로(83)로부터의 지정정보 데이타는 EEPROM(21)에 보내진다. 누적시간 정보와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노출처리 정보는 EEPROM(21)의 기 설정된 어드레스에 기록된다.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되는 동안, 플래시회로(37)는 주 캐패시터의 충전과정에 있지 않는다. 밧데리(43)로부터의 1.5V의 전압(V1)은 배전압회로(85)에 의해 구동전압(VDD)으로 부스트되어 EEPROM(21)에 공급된다. 이 EEPROM(21)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기록제어IC(40)로부터의 노출처리 정보가 정확하게 기록된다. 이때, BUSY 신호는 '로우'(L) 레벨로 유지된다.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충전 스위치(45)가 턴온되더라도, 발진 트랜지스터(50)는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결국, 노출처리 정보가 실패없이 기록된다.
EEPROM(21)으로의 노출처리 정보의 기록이 종료되면, 제어기(82a)는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busy 단자(40a)의 BUSY 신호를 '로우'(L) 레벨에서 '하이'(H) 레벨로 전환시킨다. '하이'(H) 레벨의 BUSY 신호는 충전신호로서 발진 트랜지스터(50)로 보내진다. 발진 트랜지스터(50)는 충전 스위치(45)의 턴온시와 유사한 방식으로 턴온되어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BUSY 신호는 기 설정시간 동안 '하이'(H) 레벨로 유지된 후, 고 입력 임피턴스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유사하게 노출동작이 한번씩 차례로 이루어진다. 한번의 누출이 이루어 질 때마다,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된다. 노출처리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BUSY 신호는 '로우'(L) 레벨로 유지되어 플래시회로(37)에 의한 주 캐패시터의 충전을 금지시키게 된다.
도 6 및 도7 에는 플래시 스위치가 턴온 및 턴오프 위치사이에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전자 플래시회로(90)는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와 스위치(92)를 포함한다. 스위치(92)는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방사될 플래시 빛의 존재여부를 선택하도록 동작한다. 플래시회로(90)는 도 3의 플래시회로(37)와 동일 하나, 플래시회로(37)에서 사용된 래치 트랜지스터(52), 루핑 다이오드(65), 그리고 저항(64b)을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지정된다.
스위치(92)는 트리거 캐패시터(64)와 병렬 연결된다.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가 턴온될 때 스위치(92)도 턴온되며,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가 턴오프될 때 스위치(92)도 턴오프된다. 만약,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가 턴오프되면, 트리거 캐패시터(54)는 트리거 스위치(35)의 턴온과 무관하게 방전되지 않는다. 주 캐패시터(36)가 충전되더라도 플래시는 방사되지 않는다. 플래시와 함께 노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가 턴온상태로 유지된다.
트리거검출신호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될 때, BUSY 신호가 '로우'(L) 레벨로 전환되어,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되기 전에 플래시회로(90)에 의한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을 금지시킨다. 플래시와 함께 노출이 이루어진 직후나, 또는 노출처리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가 턴온 되더라도, 주 캐패시터(36)는 노출처리 정보의 기록중에는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노출처리 정보는 정확하게 EEPROM(21)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
플래시회로(90)를 사용하기 위하여,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비지 단자(40a)는 정보가 기록된 이후에 고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된다.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가 턴온되면, 정보가 기록된 이후에 충전이 개시된다.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가 턴오프되면, 충전이 개시되지 않는다.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가 고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되면,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91)의 턴온에 의하여 플래시회로(90)는 충전 동작을 반복하고 주 캐패시터(36)가 정상 충전전압(Va)까지 충전된 이후에 충전을 종료한다. 그러므로, 주 캐패시터(36)는 정상 충전전압(Va)으로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방식 대신에 푸시 방식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푸시 방식의 스위치는 한 번 누르면 턴온되고, 두 번 누르면 턴오프된다.
도 8에는, 충전 스위치(96)가 턴온된 동안만 주 캐패시터(36)가 충전되는 플래시회로(95)를 구비하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실시예의 부재와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플래시회로(95)에서의 비지 신호는 노출처리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로우(L) 레벨로 유지된다.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충전 스위치(96)가 턴온되어 있더라도, 주 캐패시터(36)는 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노출처리 정보는 EEPROM(21)에 정확하게 기록될 수 있다. 기록 작동 이후에 비지 단자(40a)는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IC)는 포토필름 카세트에 설치된다. 또는, 플래시회로의 인쇄회로 기판에서와같이 포토필름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IC)는 기록제어IC과 조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비지 신호는 플래시회로가 충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메모리(IC)에 노출처리 정보를 기록하기 전에 로우(L) 레벨로 단시간에 설정된다. 정보 기록의 완료에 응답하여, 비지 신호는 플래시회로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이(H) 레벨로 설정된다. 또는, 트리거 검출신호의 발생 이후에 또는 노출처리 정보의 기록 개시 이후에 경과 시간이 측정될 수 있다. 발진회로로부터의 클럭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정된 시간이 경화하면, 충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일회의 노출 이후에 각각 기록되는 노출처리 정보는 동일하고 비변경된 크기를 가지며, 단지 기록되는 시간의 동일한 지속 기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시간을 이용하여 비지 신호 또는 비지 단자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로우(L) 레벨 상태의 비지 신호는 정보 기록이 완료하자 마자 하이(H) 레벨 또는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된다. 물론, 짧은 시간이 미리 결정되고 기록이 완료하면 측정되어, 비지 신호를 하이(H) 레벨 또는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주 캐패시터의 충전이 구성이 간단한 회로에 의하여 정지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는 종래의 자동 정지형 플래시회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7-122389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충전 스위치(290)가 턴온되면, 충전 스위치(290)가 턴온 이후에 순식간에 턴오프되더라도 충전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충전 스위치(290)가 턴온되면, 발진 트랜지스터(291)는 작동을 개시한다. 발진 트랜지스터(291)는 발진 트랜스(292)의 포지티브 피드백에 의하여 발진함으로서, 일차 권선부(292a)에서의 일차측 전류, 즉 발진 트랜지스터(291)에서 발진 전류가 증가한다. 일차측 전류의 증가 과정에 있어서, 이차 권선부(292b)에 기전력이 발생하여, 이차측 전류가 유동하여 다이오드(293)를 통해 주 캐패시터(294)를 충전시킨다.
콜렉터 전류는 발진 트랜지스터(291)에서 유동하여 래치 트랜지스터(295)를 턴온 시킨다. 일차측 전류의 변화가 감소하므로, 이차 권선부(292b)에는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발진 트랜지스터(291)의 베이스가 발진 트랜스(292)에 의하여 공급되는 베이스 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발진 트랜지스터(291)의 베이스는 턴온된 래치 트랜지스터(295)에 의하여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므로, 발진 트랜지스터(291)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일차측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발진을 지속시키게 된다. 주 캐패시터(294)는 지속적으로 충전된다.
제너 다이오드(297)는 300 볼트의 제너 전압을 갖는 종류로서, 상기 전압은 주 캐패시터(294)의 정상 충전전압이 300 볼트인 것을 감안하여 결정된 것이다. 주 캐패시터(294)가 정상 충전전압으로 충전될 때, 상기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297)에 공급되어 제어 전류가 흐른다. 전압이 주 캐패시터(294)를 통하여 정상 충전전압에 도달하면, 충전 중지용 트랜지스터(298)에는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어, 발진 트랜지스터(291)의 에미터가 베이스에 접속되도록 턴온된다. 그 결과, 발진 트랜지스터(291)가 턴오프되어, 래치 트랜지스터(295)를 턴오프시킨다. 발진 트랜지스터(291)의 발진은 정지되고, 주 캐패시터(294)의 충전이 정지된다.
주 캐패시터(294)의 충전전압은 제너 다이오드(297)에 공급된다. 주 캐패시터(294)가 정상 충전전압을 가지면, 제너 전류가 흘러 정지 트랜지스터(298)가 작동된다. 제너 전압이 정상 충전전압과 매우 일정한 제너 다이오드(297)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높은 제너 전압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297)는 상당히 고가이므로, 전체 플래시회로의 단가를 상승시킨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부재와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네온 튜브(56)의 한 단부는 저항(64c, 64d)을 통해 주 캐패시터(36)의 부극성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네온 튜브(56)의 나머지 단부는 전압 검출기에 제공된 램프 전류 검출회로(72)를 통해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램프 전류 검출회로(72)는 정보 기록 장치(112)에 제공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램프 전류 검출회로(72)는 PNP형 트랜지스터인 램프 전류 검출 트랜지스터(72a)를 구비한다. 램프 전류 검출 트랜지스터(72a)의 베이스는 저항(64g)을 통해 네온 튜브(56)의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램프 전류 검출 트랜지스터(72a)의 에미터는 밧데리(43)의 정극성 전극과 접속되어 있다. 램프 전류 검출 트랜지스터(72a)의 콜렉터는 저항(64h)을 통해 밧데리(43)의 부극성 전극과 접속된다. 콜렉터의 전위는 램프 전류 검출신호로서의 출력이다.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전압(Vc)이 상기 전압(Vb) 보다 작지만, 네온 튜브(56)는 발광하지 않는다.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로우(L) 레벨이면, 턴오프되어 있는 램프 전류 검출 저항(72a)의 베이스에는 베이스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전압(Vc)이 전압(Vb)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되면, 네온 튜브(56)는 발광한다.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H) 레벨이면, 턴온 되어 있는 램프 전류 검출 저항(72a)의 베이스에 베이스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충전전압(Vc)이 전압(Vb)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때도, 네온 튜브(56)가 발광하지 않으면, 램프 전류 검출신호는 로우(L) 레벨이다. 하이(H) 레벨의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충전전압 검출신호를 구성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충전전압의 검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가 상술한 구성에 제한 받지 않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주 캐패시터(36)에 따라 플래시회로에서의 전위 변화 또는 플래시회로의 신호에서의 변화를 이용하여 검출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발진 트랜스의 단자 전위 또는 발진에 따른 발진 주기가 충전전압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이용될 수도 있다.
플래시회로(37)가 주 캐패시터(36)를 충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있어서, 기록 제어회로(82)의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비지 단자(40a)가 고가인 제너 다이오드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플래시회로(37)의 작동 시에,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는 로우(L) 레벨의 비지 신호를 갖는 억제 상태이다. 래치 트랜지스터(52)로부터 발진 저항(50)으로 피드백 전류가 흐르는 것이 저지된다. 발진 트랜스(50)의 작동이 중단된다. 래치 저항(52)의 베이스에는 베이스 전류가 존재하지 않는다. 래치 저항(52)은 턴오프되어,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중단된다. 따라서, 기록제어IC(40)는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를 억제 상태로 설정하여 플래시회로(37)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기록 제어회로(82)는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H) 레벨이 된 이후에 비지 신호를 로우(L) 레벨로 변경시킨다.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H) 레벨로 변경된 직후에, 주 캐패시터(36)는 여전히 정상 충전전압(Va)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하면,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H) 레벨로 변경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기록 제어회로(82)는 비지 신호를 로우(L) 레벨로 변경시킨다. 메인 캐패시터(36)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며 정상 충전전압(Va)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충전전압으로 충전된다. 발진회로(80)로부터 클럭에 의하여 작동되는 타이머회로(86)가 존재한다. 기록 제어회로(82)는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타이머회로(86)의 사용에 의하여 하이(H) 레벨로 변화된 이후에 경과된 시간을 측정한다.
비지 신호를 로우(L) 레벨로 설정하기 전에 경과하는 시간(Ta)은 네온 튜브(56)의 발광 개시 이후에 그리고 주 캐패시터(36) 양단의 충전전압이 정상 충전전압(Va)에 도달할 때가지 경과된 시간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다. 밧데리(43)로부터 전압 강하가 발생할 때조차도 주 캐패시터(36)가 정상 충전전압(Va)을 갖는 동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있어서, 시간(Ta)은 2초로 설정된다. 주 캐패시터(36) 양단의 충전전압(Vc)이 정상 충전전압(Va)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온 튜브(56)가 발광하는 것이 가능함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H) 레벨로 변화한 직후에 비지 신호는 로우(L) 레벨로 변경될 수 있다.
플래시회로(37)의 작동은 기록제어IC(40)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정지된다. 제너 다이오드 및 정지 저항과 같은 이러한 고가의 부재가 불필요하다. 비지 신호의 부가적인 발생이 기록제어IC(40)의 변화를 필요로 하지만, 기록제어IC(40)가 다수의 부재와 작은 부분적 변경을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기록제어IC(40)의 제조비에 있어서 증가하지 않거나 매우 약간 증가시킨다.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의 제조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너 다이오드 또는 정지 트랜지스터를 장착하는 제조 단계가 불필요하거나, 그것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비와 제품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에 효과적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주 캐패시터(36) 양단의 충전전압(Vc)은 주 캐패시터(36)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약 265 볼트의 전압(Vb)까지 상승한다. 네온 튜브(56)는 반복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어, 명멸 작동을 개시한다. 네온 튜브(56)가 턴온되는 각각의 시간에서, 램프 전류 검출 트랜지스터(72a)는 턴온되어 램프 전류 검출신호를 로우(L) 레벨에서 하이(H) 레벨로 변화시킨다.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H) 레벨로 처음 변경되면, 기록 제어회로(82)는 리셋트되고 타이머회로(86)를 시동한다.
타이머회로(86)의 값이 검출되면, 즉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 신호로 최초 변경된 이후에 2추가 경과하면, 기록 제어회로(82)는 변경 제어신호 발생기(40b)의 비지 단자(40a)를 억제 상태로 설정하고 플래시회로(37)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예정된 시간 동안 비지 신호를 로우(L) 레벨로 유지한다. 비지 신호가 로우(L) 레벨인 동안, 밧데리(43)의 부극성 전극은 래치 트랜지스터(52)의 콜렉터 또는 발진 저항(50)의 베이스와 접속된다. 발진 저항(50)의 발진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래치 저항(52)으로부터 발진 트랜지스터(50)로 베이스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래치 트랜지스터(52)가 턴오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진 트랜지스터(50)는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가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를 갖더라도 발진을 개시하지 않는다.
주 캐패시터(36)는 충전전압(Vc)이 약 265 볼트가 된 이후에 2초 동안 충전을 지속한다. 따라서 주 캐패시터(36)는 정상 충전전압(Va)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후에, 메인 캐패시터(36)에 대한 충전 작동은 정지된다.
네온 튜브(56)가 턴오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반면에 충전 스위치(45)가 턴온되면,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비지 단자(40a)가 이전의 충전 종료에 의하여 야기된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를 갖기 때문에 충전이 개시된다. 네온 튜브(56)의 발광 시작 이후에 2초 경과하면, 충전이 정지된다. 네온 튜브(56)가 명멸하는 동안 충전 스위치(45)가 턴온되어 있으면,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가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를 갖기 때문에 충전이 개시된다. 그러나, 네온 튜브(56)는 턴온과 턴오프를 반복하여, 램프 전류 검출신호가 하이(H) 레벨과 로우(L) 레벨 사이를 교대로 변경된다. 충전 스위치(45)가 턴온된 이후에 2초가 경과하면, 충전이 정지된다. 두 가지의 충전 스위치(45)의 턴온 방식중 어느 한 가지에 있어서, 주 캐패시터(36)는 정상 충전전압으로 부가적으로 충전된다.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되는 동안, 기록 제어회로(82)는 로우 레벨의 트리거 검출신호의 입력 시에 시작하고 노출처리 정보의 기록 종료 시에 중단하는 시간(Tb) 동안 로우(L) 레벨로 비지 신호를 유지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면, 노출 추리 정보를 EEPROM(21)에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간(Tb)은 Tb=50 초 동안 측정된다.
모든 노출처리 정보가 EEPROM(21)에 기록 완료되면,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개시된다.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의 비지 단자는 예정된 시간 동안 하이(H) 레벨로 유지되고 나서 고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된다. 트리거 캐패시터(54)의 턴온 이후에 시간(Ta) 또는 2초가 경과하면, 충전제어신호 발생기(40b)는 로우(L) 레벨로 변경되어 주 캐패시터(36)의 변경이 중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래치 트랜지스터는 일회 동안 발생된 충전 신호에 응답하여 주 캐패시터만을 연속적으로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또는, 래치 트랜지스터는 생략될 수 있다. 스위치 온 및 오프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드 충전 스위치가 스위치 온 된 동안, 충전 신호는 주 캐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하여 발진 트랜지스터에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비지 신호는 다시 로우(L) 레벨로 설정되어 충전 신호가 발진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충전 작동을 정지시킨다.
슬라이드 스위치의 사용에 있어서, 슬라이드 스위치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주 캐패시터는 비지 신호를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함으로서 재충전된다. 사용자가 노출을 취한 이후에 주 캐패시터를 재충전시키고자 한다면, 비지 신호가 하이(H) 레벨이 아니라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된다. 방전이 정지되면, 비지 신호는 소저의 시간이 경과하는 각각의 시간에서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주 캐패시터 양단의 충전전압의 감소에 보상함으로서 주 캐패시터는 부가적으로 충전된다. 또한, 비지 신호는 충전 작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억제 상태에서 로우(L)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의 램프 전류 검출회로972)를 구비하는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트리거 캐패시터(54)와 접속된 스위치(92)를 구비하는 구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트리거 검출회로(71)는 로우(L) 레벨의 트리거 검출신호인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셔터 기구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하여 트리거 스위치(35)와 같은 부가적인 기구적 스위치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트리거 검출회로(71)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절약하고,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트리거 검출회로로부터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 또는 트리거 검출신호는 셔터의 작동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트리거 신호에 따라, 메모리IC에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노출 등과 같은 처리 테이타를 사진 식각을 위하여 광원과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되는 시이퀀스와 같은 셔터의 작동과 관련된 시이퀀스를 개시하기 위하여 트리거 검출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트리거 스위치935)와 같은 기구적인 스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설치 공간을 절약하고,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플래시가 충전 또는 조사될 때 기록 제어회로가 오작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시예와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병기된다. 도 11의 정보 기록 장치(182)에 있어서, 기록제어IC(40)의 접지 단자(GND)(165)가 밧데리(43)로부터의 접지측 또는 부극성측 전원 라인에 접속된다. 저항(64j)과 저항(168a)을 통해 +1.5 볼트를 갖는 밧데리(43)로부터 정극성측 전원 라인에 VCC1 단자(166)가 접속된다. 저항(168a)을 통해 동일한 정극성측 전원 라인에 VCC2 단자(167)가 접속된다. 저항은 후술된 필터회로(168)에 포함된 부품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VCC1 단자(166)에 공급되는 구동전압(VCC1)은 약 1.5 볼트이다.
부극성측과 접지측 전원 라인 사이에 제1 캐패시터(168b)와 제2 캐패시터(168c)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캐패시터를 통해 기록제어IC(40)는 밧데리(43)의 전압(VI)을 공급받는다. 저항(168a)과 두 개의 캐패시터(168b, 168c)는 기록제어IC(4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 라인 상의 전기 노이즈를 흡수하는 필터회로(168)를 구성한다. 전기 노이즈는 플래시 방출용 플래시 충전 튜브(53)를 통해 충전을 패스시키기 위하여 주 캐패시터(36)의 방전에 의하여 야기된 방전 노이즈와, 리플 노이즈, 또는 주 캐패시터(36)의 방전 과정에서 야기된 전압의 변동 성분을 포함한다.
제1 캐패시터(168b)는 예를 들면 0.01μF와 같은 고주파 전기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하여 비교적 작은 정전하 캐패시턴스를 갖는다. 제1 캐패시터(168c)는 예를 들면 47μF와 같은 저주파 전기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하여 보다 큰 정전하 캐패시턴스를 갖는다.
도 12에 있어서, 필터회로(168)는 인쇄회로 기판(178)상의 기록제어IC(40)에 인접하여 접속된다. 반면에, 필터회로(168)는 상당히 짧은 라인을 사용하여 기록제어IC(40)와 접속된다. 패턴 라인(178a), 즉 필터회로(168)로부터 기록제어IC(40)의 접지 단자(165)와 VCC1 단자(166)까지의 거리는 짧게 결정된다. 방전 노이즈는 패턴 라인(178a)에서 상당히 감소되며, 기록제어IC(40)의 작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한다.
저항(168a)은 필터회로(168)의 일부로서 정극성측 전원 라인과 연결된다. 기록제어IC(40)에 공급된 구동전압(VCC1)과 전압(VCC2)은 저항(168a)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따라 강하한다. 그러나, 구동전압(VCC1)측을 흐르는 전류가 3μA만큼 작다. 구동전압(VCC1)에서의 강하는 매우 작다. 그러나, EEPROM(21)용 전압(VCC2) 측상을 흐르는 전류는 정보 기록 시에 최대인 약 3mA이다. 한 번의 정보 기록은 10msec만큼 짧은 지속 기간을 필요로 하므로, 두 캐패시터(168b,168c) 양단에는 강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보 기록 과정에서 전압(VCC2)에 상당한 강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록제어IC(40)와 EEPROM(21)은 정상 작동 동안에 적용할 수 있는 VCC1과 VDD(VCC2)의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전압 범위를 갖는다. 그러므로, 기록제어IC(40)와 EEPROM(21)은 전원 라인 상의 저항(168a)과 관련해서도 오작동하지 않는다.
주 캐패시터(36)의 충전이 개시되면, 밧데리(43)의 전압(V1)은 현격히 강하된다. 그러나, 기록제어IC(40) 또는 EEPROM(21) 내측의 정보는 전압 강하에도 불구하고 정상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물론 기록제어IC(40)는 주 캐패시터(36)가 충전되어 있는 동안 EEPROM(21)에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다.
도 4에서, 기록제어IC(40)는 단일의 소형 집적회로 칩이며, 발진회로(80), 시간의 누적적인 측정을 위한 누적 시간 측정회로(81), 기록 제어회로(82), 병렬/직렬(P/S) 변환회로(83) 및 전압 이중회로(85)를 구비한다. 이러한 회로는 전압 이중회로(85)를 제외하고 VCC1 단자(166)에 대한 구동전압 VCC1 입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기록 제어회로(82)는 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하여 계수되는 노출처리 정보가 기록을 완료하는 각각의 시간은 기록되는 다음의 노출처리 정보를 위하여 이전의 카운터 대신에 EEPROM(21)에 있는 어드레스에 신규로 저장된다.
P/S 변환회로(83)는 기록 제어회로(82)에 의하여 제어되며, 노출처리 정보를 시리얼 데이터(SDA)로 변환한다. 노출처리 정보는 트리거 검출신호의 발생 시에 측정된 누적 시간 정보와 기록 제어회로(82)로부터의 지정 정보를 포함한다. 시리어 데이터는 노출처리 정보를 EEPROM(21)에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 제어회로(82)로부터 동기 클럭으로 동기화되면서 EEPROM(21)에 전송된다. 기록 시에, 노출처리 정보는 기록 제어회로(82)의 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하여 지정된 EEPROM(21)의 어드레스에 기록된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은 공장에서 이송된 것이므로, 기록제어IC(40)는 저항(168A)과 저항(64J)을 통해 밧데리(43)에 의하여 구동전압(VCC1)이 공급되며, 능동 상태이다.
주 캐패시터(36)가 충전되기 시작하면, 밧데리(43)로부터 플래시회로(37)로 다량의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43)로부터의 전압 또는 정극성측 및 접지측 전원 라인간의 전압은 현저히 강하한다. 그 이후에, 플래시회로(37)를 흐르는 전류는 주 캐패시터(36) 양단의 충전전압(Vc)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므로, 전원 라인 상의 전압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차단 발진회로의 반진과 동기적으로 밧데리(43)로부터 플래시(37)까지의 전류에 있어서 차단이 반복된다. 전원 라인 상의 전압은 펄스와 같이 변동한다. 그 결과, 전원 라인 상에는 리플 노이즈가 발생한다. 기록제어IC(40)가 전원 라인으로부터의 리플 노이즈를 갖는 구동전압(VCC1)이 공급되면, 기록제어IC(40)의 부품은 리플 노이즈에 기인하여 오작동된다.
기록제어IC(40)가 오작동되면, 기록 제어회로(82)에 있는 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하여 계수되는 것은 리플 노이즈에 응답하는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변경된다. 노출처리 정보는 후속하는 노출을 처리할 때 잘못된 어드레스에 기록된다. 또한, 누적 시간 측정회로(81)에 의하여 측정된 누적 시간이 변화하여, 노출에 따른 부정확한 데이터와 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기록제어IC(40)는 장애가 일어나기 쉬우며 어떤 부가적인 작동 없이 정지된다.
그러나, 구동전압(VCC1)이 VCC1 단자에 입력되기 전에, 필터회로(168)는 저항(168a)과 도 13B의 두 개의 저항(168b,168c)의 사용에 의하여 리플 노이즈를 흡수 및 제거한다. 따라서, 주 캐패시터(36)가 충전되는 동안 기록제어IC(40)는 오작동하지 않는다. 어드레스 카운터의 계수 또는 누적 시간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기록제어IC(40)는 장애가 일어나지 않는다.
플래시 방사 시에, 주 캐패시터(36)는 방전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플래시 방전 튜브(53)를 통해 충전을 통과하기 위하여 방전된다. 방전 노이즈는 인쇄회로 기판(178)상의 패턴 라인(178a)을 통과하기 쉽거나 주변 공간으로 전자기파로서 방사되기 쉬우므로, 방전 노이즈는 기록제어IC(40)과 접속된 정극성측 및 접지측 전원 라인 상에 잔존하게 된다.
구동전압(VCC1)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전원 라인 상의 방전 노이즈 발생 시에, 방전 노이즈는 기록제어IC(40)의 부품에 전송되어, 리플 노이즈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 작동에 있어서 에러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필터회로(168)는 방전 노이즈를 흡수 및 제거하여, 부품회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구동전압(VCC1)을 변동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기록제어IC(40)는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다.
방전 노이즈는 여러 가지 주파수 범위를 갖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다. 필터회로(168)가 비교적 작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제1 캐패시터(168b)와 보다 큰 캐패시턴스를 갖는 제2 저항(168c)을 구비하므로, 방전 노이즈에서의 높은 주파수 범위와 낮은 주파수 범위 성분은 효과적으로 흡수 및 제거된다. 또한, 필터회로(168)로부터 집지 단자(165)와 VCC1 단자(166)까지의 패턴 라인(178a)은 기록제어IC(40)까지 필터회로(168)의 인접부에 대해 짧은 길이로 배치된다. 전자기파 형태의 방전 노이즈는 패턴 라인(178a) 상에 존재하더라도 약간 영향을 받는다. 기록제어IC(40)는 플래시 방출에서 발생되는 방전 노이즈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될 수 있다.
기록 제어회로(82)가 동기 클럭을 발생시키면, 누적 시간 정보와 지정 정보는 동기 클럭과 동기적으로 설정되며, P/S 변환회로(83)에 의하여 시리얼 데이터로 변화되어 노출처리 정보로서 EEPROM(21)에 전달된다. 노출처리 정보는 기록 제어회로(82)에 있는 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하여 측정될 때 EEPROM(21)의 어드레스에 기록된다. 기록제어IC(40)는 리플 노이즈 또는 방전 노이즈의 영향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므로, 정보를 기록하도록 지정된 어드레스는 EEPROM(21)에서 교정될 수 있다. 기록된 정보는 정확한 누적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노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노출 이후에, 노출처리 정보는 동일한 작동에 의하여 EEPROM(21)으로 전달되어 기록된다. 기록제어IC(40)는 주 캐패시터(36)를 충전할 때의 리플 노이즈 또는 플래시 방출 동안의 방전 노이즈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 작동을 계속한다. 노출처리 정보는 EEPROM(21)에 기록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은 본 발명의 회로가 제공된다. 변형예로서, 본 발명의 회로로 카메라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메모리IC는 EEPROM이다. 또는, 본 발명에서 RAM과 같은 다른 적절한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메모리IC 또는 EEPROM은 포토필름 카세트 내부가 아니라 포토필름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거나, 포토필름 하우징의 외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정보는 노출 직후에 기록된다. 또는, 정보는 노출과 동시에 기록될 수 있거나, 포토필름은 일회의 노출 이후에 하나의 프레임으로 권취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트랜지스터는 p-n-p형 또는 n-p-n형이다. 트랜지스터는 p-n-p형과 n-p-n형 사이에서 그리고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목적에 적합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에미터와 콜렉터의 연결에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로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포토필름 카세트의 사시도.
도 3은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의 전기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EEPROM을 구비한 기록제어IC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플래시회로와 기록제어IC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은 블로킹 발진기에서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빠지고 플래시 방사를 위한 스위치가 추가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
도 7은 도 6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8은 스위치가 없으며 발진기와 함께 충전이 완료되기 전에 충전 스위치가 턴온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
도 9는 기 설정된 충전전압이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11은 기록제어IC가 전기적 노이즈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
도 12는 기록제어IC와 이에 연결된 필터회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A 및 13B는 시간에 따른 전원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14는 종래의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의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토필름 하우징
11c: 포토필름 롤 챔버
11d: 카세트 홀더 챔버
16: 포토필름 카세트
16b: 포토필름
21: 메모리IC
35: 트리거 스위치
36: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
37, 90, 95: 플래시회로
40: 기록제어IC
43: 밧데리
53: 플래시 방전관
71a: 반도체 스위칭 소자
45, 91, 96: 충전 스위치
75, 76, 168: 필터회로

Claims (31)

  1. 포토필름 하우징(10),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내에 형성되며 포토필름(16b)이 롤 형태로 미리 장착된 포토필름 롤 챔버(11c), 그리고 노출 후에 상기 포토필름을 감기위하여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형성되어 포토필름 카세트(16)와 결합되는 카세트 홀더 챔버(11d)를 포함하여,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이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36), 플래시 방전관(53), 그리고 플래시회로(37, 90, 95)와 결합되며, 상기 주 캐패시터가 충전동작에 의해 전하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방전관이 상기 전하의 방전동작에 의해 플래시 빛을 방사하며, 상기 플래시회로가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 캐패시터와 플래시 방전관을 제어하도록 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있어서,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또는 포토필름 카세트 내에 결합된 메모리IC(21);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결합되어, 상기 메모리IC에 정보를 기록하고, 적어도 상기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상기 플래시회로에 의한 상기 충전동작을 금지시키기 위한 기록제어IC(40); 그리고
    상기 플래시회로, 기록제어IC, 그리고 메모리IC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한번의 노출이 이루어지는 것과 연관하여 상기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기;
    상기 플래시회로(37, 90, 95)에 금지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제어신호 발생기; 그리고
    상기 플래시회로에 의한 상기 충전동작이 금지되는 동안 상기 정보기록기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정보기록기와 충전제어신호 발생기를 제어함으로서 상기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상기 밧데리(43)의 전원전압이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정보 기록기가 동작하기 전에, 상기 충전제어신호 발생기가 상기 금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금지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상기 정보 기록기가 동작하며, 상기 정보 기록기가 동작을 끝마칠 때 상기 충전제어신호 발생기가 상기 금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포토필름을 노출시키는 셔터 메카니즘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셔터 메카니즘의 작동 후 기 설정된 경과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가 상기 타이머에 따른 상기 기 설정된 경과시간동안 상기 충전제어신호 발생기가 상기 금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10)내에 결합되어 상기 포토필름을 노출시키기 위한 셔터 메카니즘; 그리고
    상기 셔터 메카니즘의 동작을 검출하여 노출 검출신호를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노출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의 기록을 시작하도록 된 노출 검출회로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37, 90, 95)가,
    상기 충전동작에 의해 충전되는 트리거 캐패시터;
    상기 노출 검출회로가 상기 노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셔터 메카니즘의 개방동작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를 방전 시키는 트리거 스위치(35); 그리고
    상기 주 캐패시터(36)의 방전동작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의 방전시 트리거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트리거 트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검출회로가 반도체 스위칭 소자(71a)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턴온시 상기 반도체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어 상기 노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90)가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와 연결된 외부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스위치(35)의 턴온과 무관하게 상기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동안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의 방전동작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37, 90, 95)가,
    외부 동작에 의해 턴온되는 충전 스위치(45, 91, 96); 그리고
    상기 충전 스위치가 턴온될 때 상기 주 캐패시터(36)을 충전시키도록 동작하며, 상기 금지신호에 의해 강제적으로 그 발진 동작이 금지되도록 된 발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37)가 1차측, 2차측, 그리고 3차측 권선들을 구비한 트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1차측 권선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와 밧데리(43)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2차측 및 3차측 권선들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권선이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주 캐패시터(36)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된 상기 1차측 권선과의 상호 유도에 의해 발생된 고전압을 상기 주 캐패시터에 충전시키며,
    상기 3차측 권선이 상기 충전 스위치(45)와 밧데리에 직렬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37)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동작을 유지시키기 위한 래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콜렉터가 상기 충전 스위치(45)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래치 트랜지스터가 상기 충전 스위치의 턴오프시 턴온되며, 상기 래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저항을 통해 상기 1차측 권선과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에미터가 상기 밧데리(43)에 연결되며, 상기 콜렉터가 상기 기록제어IC(40)의 충전제어단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충전제어단자를 제 1, 제 2, 및 제 3 상태들로 설정하고,
    상기 노출 검출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로우' 레벨로 유지됨으로서, 상기 3차측 권선으로의 전류 흐름을 방지함에 의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 동작을 금지시키며,
    상기 노출 검출신호의 발생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2상태로 설정되어 '하이' 레벨로 유지됨으로서,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을 시작하도록 상기 3차측 권선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 시작 후에 곧바로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3 상태로 설정되어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상기 래치 트랜지스터를 턴온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래치 트랜지스터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상기 3차측 권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37)가, 상기 주 캐패시터(36)가 기 설정된 전압(Va)으로 충전될 때 턴온되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충전중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충전제어단자를 제 4 및 제 5 상태들로 설정하며,
    상기 주 캐패시터(36)가 기 설정된 전압(Vb)으로 충전된 후에,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4 상태로 설정되어 '로우' 레벨로 유지됨으로서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 4 상태의 설정 후 제 1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5 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고 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캐패시터(36)가 상기 기 설정된 전압(Vb)까지 충전된 후 제 2 설정시간(Ta)이 경과될 때,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4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37)가,
    상기 주 캐패시터(36)가 상기 기 설정된 전압(Vb)까지 충전될 때 반복적으로 턴온되는 네온관; 그리고
    상기 네온관이 턴온될 때 턴온되어, 상기 주 캐패시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전압까지 도달된 신호를 상기 기록제어IC(40)로 공급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90, 95)가 1차측, 2차측, 그리고 3차측 권선들을 구비한 트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1차측 권선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와 밧데리(43)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2차측 및 3차측 권선들이 상기 충전 스위치(91, 96)를 통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2차측 권선이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주 캐패시터(36)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된 상기 1차측 권선과의 상호 유도에 의해 발생된 고전압을 상기 주 캐패시터에 충전시키며,
    상기 3차측 권선이 저항을 통해 상기 밧데리와 상기 기록제어IC(40)의 충전제어단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충전제어단자를 제 1, 및 제 2 상태들로 설정하고;
    상기 노출 검출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1 상태로 설정되어, '로우' 레벨로 유지됨으로서, 상기 3차측 권선으로의 전류 흐름을 방지함에 의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 동작을 금지시키고,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1 상태에 설정된 동안 상기 기록제어IC가 상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IC(21)에 기록하며;
    상기 노출 검출신호의 발생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충전제어단자가 상기 제 2상태로 설정되어 고입력 임피던스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상기 충전제어단자로의 전류 공급이 방지되는 동안 상기 3차측 권선에 상기 밧데리(43)로부터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90)가, 상기 충전 스위치(91)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주 캐패시터(36)가 기 설정된 전압(Va)으로 충전될 때 상기 충전 스위치의 턴온에 무관하게 턴온되어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발진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충전중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43)와 상기 기록제어IC(4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동작 또는 방전 동작시 상기 기록제어IC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밧데리와 기록제어IC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 노이즈를 흡수하는 필터회로(75, 76, 168)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2. 포토필름 하우징(10),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내에 형성되며 포토필름(16b)이 롤 형태로 미리 장착된 포토필름 롤 챔버(11c), 그리고 노출 후에 상기 포토필름을 감기위하여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형성되어 포토필름 카세트(16)와 결합되는 카세트 홀더 챔버(11d)를 포함하여,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이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36), 플래시 방전관(53), 그리고 플래시회로(37)와 결합되며, 상기 주 캐패시터가 충전동작에 의해 전하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방전관이 상기 전하의 방전동작에 의해 플래시 빛을 방사하며, 상기 플래시회로가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 캐패시터와 플래시 방전관을 제어하도록 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주 캐패시터가 기 설정된 전압(Vb)까지 충전될 때, 완전 충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전전압 검출회로;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또는 포토필름 카세트내에 결합된 메모리IC(21); 그리고,
    상기 메모리IC에 정보를 기록하며, 선택적으로 제 1, 제2, 및 제 3 상태를 가지며, 상기 충전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완전 충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충전동작이 중지되는 동안 상기 정보를 상기 메모리IC에 기록하기 위하여 노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2 상태를 설정하여, 상기 제 2 상태를 가진 후 상기 충전동작을 가능하게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상태를 설정하도록 된 기록제어IC(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정보를 기록하기에 충분한 제 1 설정시간(Tb) 동안 상기 제 2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제어IC(40)가 상기 완전 충전 신호의 발생후 제 2 설정시간(Ta)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제 1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가,
    상기 주 캐패시터(36)가 상기 기 설정된 전압(Vb)까지 충전될 때 반복적으로 턴온되는 네온관; 그리고
    상기 네온관이 턴온될 때 턴온되어 상기 완전 충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6. 포토필름(16b)이 미리 장차되며, 상기 포토필름을 노출시키기 위한 셔터 메카니즘, 충전동작에 의해 전하를 저장하는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36), 상기 주 캐패시터를 방전시킴에 의해 플래시 빛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전관(53), 그리고 상기 주 캐패시터의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을 제어하는 플래시회로(37, 90, 95)를 포함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회로내에 배치되며, 상기 주 캐패시터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셔터 메카니즘의 동작시 상기 셔터 메카니즘에 의해 턴온되는 트리거 스위치(35); 그리고
    반도체 스위칭 소자(71a)를 구비하여, 상기 셔터 메카니즘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턴온에 응답하여 노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7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7. 포토필름 하우징(10),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내에 형성되며 포토필름(16b)이 롤 형태로 미리 장착된 포토필름 롤 챔버(11c), 그리고 노출 후에 상기 포토필름을 감기위하여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형성되어 포토필름 카세트(16)와 결합되는 카세트 홀더 챔버(11d)를 포함하여,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이 플래시 방사용 주 캐패시터(36), 플래시 방전관(53), 그리고 플래시회로(37, 90, 95)와 결합되며, 상기 주 캐패시터가 충전동작에 의해 전하를 저장하고, 상기 플래시 방전관이 상기 전하의 방전동작에 의해 플래시 빛을 방사하며, 상기 플래시회로가 충전동작과 방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주 캐패시터와 플래시 방전관을 제어하도록 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에 있어서,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또는 포토필름 카세트 내에 결합된 메모리IC(21);
    상기 포토필름 하우징 안에 결합되어, 상기 메모리IC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제어IC(40);
    상기 플래시회로 및 기록제어IC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43); 그리고
    상기 밧데리와 기록제어IC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상기 충전동작 및 방전 동작시 상기 기록제어IC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밧데리와 기록제어IC 사이에 발생되는 전기 노이즈를 흡수하는 필터회로(75, 76, 1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로(75, 76, 168)가 상기 기록제어IC(40)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43)가 정극성 및 부극성 전극들을 구비하여, 제 1 라인이 상기 정극성 전극에 연결되고, 제 2 라인이 상기 부극성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플래시회로(37, 90, 95)와 기록제어IC(40)가 상기 제 1 및 제 2 라인들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필터회로(75, 76, 168)가 상기 제 1 및 제 2 라인들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 그리고 상기 제 1 라인상에서 상기 정극성 전극과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가,
    제 1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상기 전기 노이즈의 고주파 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캐패시터; 그리고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병렬연결되고, 제 2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상기 전기 노이즈의 저주파 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IC(21)가 전기적 삭제 가능 ROM(EEROM)으로서, 상기 기록제어IC(40)를 통해 상기 밧데리(4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KR10-1998-0014174A 1997-04-21 1998-04-21 집적회로를 구비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KR100497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3175 1997-04-21
JP10317597A JPH10293343A (ja) 1997-04-21 1997-04-21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9-201387 1997-07-28
JP9201387A JPH1144933A (ja) 1997-07-28 1997-07-28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2934397A JPH1165029A (ja) 1997-08-26 1997-08-26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9-229343 1997-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580A KR19980081580A (ko) 1998-11-25
KR100497439B1 true KR100497439B1 (ko) 2005-09-02

Family

ID=2730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174A KR100497439B1 (ko) 1997-04-21 1998-04-21 집적회로를 구비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6091898A (ko)
EP (4) EP1469343A1 (ko)
KR (1) KR100497439B1 (ko)
CN (1) CN1198543A (ko)
DE (3) DE69833236T2 (ko)
HK (1) HK1012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2122A (ja) * 1998-10-28 2000-05-12 Fuji Photo Film Co Ltd 継続表示可能な巻物型ディスプレー
US6249648B1 (en) * 1999-09-10 2001-06-19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flash circuit with optical data recording circuit
US6198881B1 (en) * 1999-10-05 2001-03-06 Eastman Kodak Company Loading methods for camera frame assemblies subject to static charging during film scrolling
JP4043759B2 (ja) * 2001-10-31 2008-02-0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閃光放電管用電源部及び閃光放電管用電源部の制御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4720A (en) * 1980-05-02 1981-11-30 Olympus Optical Co Ltd Film cassette
JPS60170380A (ja) * 1984-02-14 1985-09-03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式スチルカメラ
JPH01284078A (ja) * 1988-05-11 1989-11-15 Canon Inc 撮像装置
JPH02217829A (ja) * 1989-08-08 1990-08-30 Minolta Camera Co Ltd 写真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半導体メモリ
JPH08179396A (ja) * 1994-12-21 1996-07-12 Nikon Corp カメラの露光制御装置
JPH0980595A (ja) * 1995-09-12 1997-03-28 Fuji Film Micro Device Kk 駆動電圧低下時の電子回路駆動技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635U (ko) * 1973-05-17 1975-01-23
JPS52127232A (en) * 1976-04-16 1977-10-25 Fuji Photo Optical Co Ltd Oscillation cntrol method for flash dischrge tube
JPS5426721A (en) * 1977-08-01 1979-02-28 Fuji Photo Film Co Ltd Trimming information recording camera
US4156565A (en) * 1978-03-23 1979-05-29 Polaroid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flash-illuminated automatic focusing camera
US4402589A (en) * 1981-03-10 1983-09-06 Canon Kabushiki Kaisha Correct exposure annunciating device
US4473285A (en) * 1981-11-27 1984-09-25 W. Haking Enterprises Limited Automatic focusing camera
US5349401A (en) * 1993-06-04 1994-09-20 Eastman Kodak Company Orientation independent, detachable film cartridge, memory module
JP3452954B2 (ja) * 1993-10-27 2003-10-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回路
JPH07281282A (ja) * 1994-04-08 1995-10-27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とその現像方法
JPH086119A (ja) * 1994-06-15 1996-01-12 Canon Inc カメラの閃光撮影システム
US5819126A (en) * 1996-01-19 1998-10-06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data recording method therefor
US5761541A (en) * 1997-02-07 1998-06-02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use camera with flash charging circu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4720A (en) * 1980-05-02 1981-11-30 Olympus Optical Co Ltd Film cassette
JPS60170380A (ja) * 1984-02-14 1985-09-03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式スチルカメラ
JPH01284078A (ja) * 1988-05-11 1989-11-15 Canon Inc 撮像装置
JPH02217829A (ja) * 1989-08-08 1990-08-30 Minolta Camera Co Ltd 写真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半導体メモリ
JPH08179396A (ja) * 1994-12-21 1996-07-12 Nikon Corp カメラの露光制御装置
JPH0980595A (ja) * 1995-09-12 1997-03-28 Fuji Film Micro Device Kk 駆動電圧低下時の電子回路駆動技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36812B1 (en) 2001-05-22
KR19980081580A (ko) 1998-11-25
US6411779B1 (en) 2002-06-25
EP0874267B1 (en) 2005-03-02
DE69834758T2 (de) 2007-05-10
EP0874267A3 (en) 2000-08-16
CN1198543A (zh) 1998-11-11
EP1469342B1 (en) 2006-05-31
DE69834758D1 (de) 2006-07-06
DE69829126D1 (de) 2005-04-07
EP1469344A1 (en) 2004-10-20
DE69833236D1 (de) 2006-04-06
DE69829126T2 (de) 2006-05-11
DE69833236T2 (de) 2006-09-28
US6229958B1 (en) 2001-05-08
EP0874267A2 (en) 1998-10-28
EP1469344B1 (en) 2006-01-18
HK1012203A1 (en) 1999-07-30
EP1469343A1 (en) 2004-10-20
EP1469342A1 (en) 2004-10-20
US6091898A (en) 200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8899B1 (en) Flash unit
KR100497439B1 (ko) 집적회로를 구비한 렌즈결합 포토필름 유닛
US6519419B2 (en)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ource of camera
JP3171991B2 (ja) 撮影日時記録方法およびデート写し込みシステム
US6345151B1 (en) Lens-fitted film unit with IC memory and method of writing data in IC memory
US5974267A (en) Timer-controlled optical data recorder device for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3667529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44933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6636700B2 (en) Flash device, lens-fitted photo film unit, camera, light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lens-fitted photo film unit
JPH1165029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5210567A (en) Camera control device
US6434336B2 (en) Data-imprinting apparatus for a lens-equipped film unit
JP200001958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9211792A (ja) Icメモリ付きフイルム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データ入出力装置
JPH10293343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1296229A (ja) ストロボ装置付カメラ
JPH09204019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412183B2 (ja) データ記録装置
JPH1195309A (ja) 光学データ露光回路
JPH1184512A (ja) 光学データ露光回路
JPH11160782A (ja) 光学データ露光回路
JP2003233110A (ja) カメラ
JPH09204018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