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597B1 -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597B1
KR100493597B1 KR10-2002-0030955A KR20020030955A KR100493597B1 KR 100493597 B1 KR100493597 B1 KR 100493597B1 KR 20020030955 A KR20020030955 A KR 20020030955A KR 100493597 B1 KR100493597 B1 KR 10049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ashing
water
laundry
high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806A (ko
Inventor
히야마이사오
시마사끼노리꼬
고이께도시후미
가마노도시야스
고야마다까미
스즈끼요시히로
도꾸나가다까아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68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71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68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6097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9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제를 소량의 수도물로 용해함으로써 세제 농도가 200∼300배인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고, 이 고농도 세제액을 5∼30배의 세제 농도로 희석하면서 습윤시킨 세탁물에 침투, 침지시킴으로써 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에 작용하는 세제의 화학적인 세정력을 작용시켜 세정 효율을 높이고, 그 후, 세탁에 필요한 수량을 급수하여 세탁하는 경우에 세탁물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경감하여 세탁물의 손상이나 엉킴을 적게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WASHING AND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 겸 탈수조에 투입된 세탁 의류의 양을 검출하여, 세탁물(세탁 의류)의 양에 상응한 양의 세제를 투입하고, 세탁 공정에 있어서는 세탁 포량에 따른 양의 수도물(세탁수)을 급수한 후에, 교반익을 정역 회전시키고, 또는 세탁겸 탈수조를 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정역 회전시켜 세탁 의류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 공정을 실행하고, 그 후 수도물(헹굼수)을 급수함과 동시에 세탁 의류에 동일하게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헹굼 공정을 실행하고, 그 후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 의류에 포함된 헹굼수를 원심 탈수하는 탈수 공정을 실행하는 구성이다. 세탁 의류의 건조까지 행하는 세탁 건조기에서는 그 후에, 온풍을 불어넣어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공정을 더 실행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전자동 세탁기나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 공정에서 세탁수에 용해시키는 합성 세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20g/30L(세제량/세탁수량) 정도이며, 세탁수의 세제 농도는 0.07% 정도이다.
이와 같이 세제 농도가 낮은 세탁수에 의해 세탁 의류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을 행하기 위해서는, 교반익 또는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력을 강하게 하거나, 세탁 시간을 늘림으로써, 세탁 의류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강하게 해야만 한다. 그 결과, 기계력에 의한 세탁 의류의 손상이 심해지거나, 세탁 의류의 엉킴이 많아진다는 결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세탁 의류의 엉킴이 많아지게 되면, 세탁이 고르게 행해지지 못하게 되고, 세탁 의류를 꺼내는 일이 곤란해진다. 또한, 세탁 건조기에서는 세탁겸 탈수조 내에서의 온풍 건조가 건조 불균일 등의 발생에 의해 곤란해지기 때문에, 온풍 건조를 행하기 위해서는 세탁 의류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적게 하여, 빨래 엉킴을 적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오염이 잘 안 지워진다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세탁 공정에서 세탁 의류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7-80182호 공보에는 세탁 공정 전에 세탁 의류를 고농도 세제액에 담가두는 예침(豫浸)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에 의한 화학적인 세정력을 활용하는 전자동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평8-47594호 공보에는 세제 농도가 높은 세탁수에 의한 불림 또는 세탁을 행하는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세탁기나 세탁 건조기는 세탁, 탈수 및 건조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한정된 형태의 케이스(횡폭, 안 길이, 높이)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세제의 화학적인 세정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서 고농도의 세제액을 생성하여 세탁물에 침지시키기 위한 수단은, 종래의 세탁기나 세탁 건조기에 추가되는 새로운 수단으로, 이들의 수단을 케이스 내에 합리적으로 설치하여 실용적인 세탁기나 세탁 건조기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본 특개평7-80812호 공보에는, 세탁물의 중량의 2배의 물로 세제를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를 들면 4kg의 세탁물의 세탁에 있어서는, 8L의 고농도 세제액에 상당하며, 이와 같은 다량의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여 축적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여, 실용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세제를 사용하여 이 세제의 화학적인 세정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킴으로써, 세탁 공정에서 세탁물(세탁 의류)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세탁기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겸 탈수조 내에서 탈수한 세탁물을 이 세탁겸 탈수조에 온풍을 불어넣음으로써 건조시키는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 공정에서 세탁물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경감시킴으로써, 오염이 잘 안 지워지는 일없이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엉킴을 경감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켜, 건조 불균일을 경감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 및 희석하여 세탁물에 부어 고농도 세제액에 의해 세탁물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소량의 세제 용해수에 용해하여 세탁수의 세제 농도보다도 고농도인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고, 이 고농도 세제액을 희석하면서 세탁물에 넣어 침지(침투)시킴으로써,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에 작용하는 세제의 화학적인 세정력을 이용하여 세정 효율을 높이고, 그 후의 세탁시 세탁물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경감하는 것이다.
분말 합성 세제를 소량의 세제 용해수에 용해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고, 이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에 침지(침투)시킴으로써,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에 고농도 세제액의 화학적인 세정력이 작용하여 세정 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후의 세탁시 세탁액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화학적인 세정 작용은 세탁물에 침지시키는 고농도 세제액의 농도의 영향을 받는다.
세탁시 사용하는 분말 합성 세제의 양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조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화학적 세정력을 발생하는 적합한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그 세제의 양에 따라 급수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세탁물에 침지시키는 고농도 세제액의 바람직한 세제 농도는 세탁수의 표준적인 세제 농도의 5∼30배이며, 바람직한 세제 농도는 10배 정도이다. 예를 들면, 10배의 세제 농도의 고농도 세제액은 일반적인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에서, 60L의 세탁수를 사용하는 세탁에서는 6L의 물로 합성 분말 세제를 용해함으로써 얻어지는 세제액에 상당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큰 용적의 세제 용해 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이 세제 용해 용기의 설치 장소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따라서 분말 합성 세제를 수도물로 용해하여 생성하는 고농도 세제액은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기 위해 필요한 적은 양, 예를 들면 200∼300mL의 수도물에 의해 세탁물에 침지시키는 고농도 세제액보다도 더 고농도 상태, 예를 들면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200∼300배의 농도로 생성하여, 이것을 바람직한 세제 농도로 희석하면서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고농도 세제액에 의한 세탁물의 변색은 세탁물에 대한 고농도 세제액의 침지 불균일이 있으면 현저해진다. 따라서, 고농도 세제액은 세탁물을 물로 습윤시킨 후에 저속 회전시키면서 부어넣음으로써 균일하게 침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농도 세제액의 화학적 세정력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지만, 세탁기는 세탁 건조기의 건조 기구를 생략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하 세탁 건조기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 건조기는 세탁물의 양을 검출하여 세탁물의 양(세탁 수위)을 결정하고, 필요한 분말 합성 세제의 양을 결정하는 검출 공정과, 분말 합성 세제를 물로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는 고농도 세제액 생성 공정과, 세탁물에 물을 함유시켜 습윤시키는 공정과,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한 고농도 세제액을 희석하면서 습윤한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키는 침지 공정과, 고농도 세제액을 침지시킨 세탁물을 그대로 두는 거치 공정(필요에 따라 생략함)과,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과, 탈수 공정과, 온풍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세탁 건조기를 종단면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참조 부호 1은 외곽을 구성하는 프레임이다. 2는 세탁겸 탈수조로서, 그 주벽(周壁)에 통수 및 통풍용의 작은 구멍(2a)을 갖고, 그 상부 가장자리에 유체 밸런서(3)를 구비하고, 저부의 내측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교반익(4)을 설치한다. 교반익(4)은 통수 및 통풍용의 작은 구멍(4a)을 갖는다. 5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2)를 내포하는 외조로서, 저부의 외측에는 구동 장치(6)를 동판제의 장착 베이스(7)에 의해 장착하고, 외부 프레임(1)의 상단부의 사각부에 계지한 4개의 방진 지지 장치(8)에 의해 외조(5)를 사방에서 매다는 것에 의해 외부 프레임(1)의 중심부에 현수(懸垂)하도록 지지한다.
구동 장치(6)는 구동 전동기와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와 유성기어 감속 구조를 내장하고,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익(4)을 회전(교반 모드)시키고,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세탁 모드)시키고,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탈수·건조 모드)시키는 선택적인 구동 기능을 갖는다.
의류 투입 개구(9a)를 형성한 상면 커버(9)는 프레임(1)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이 개구 단부 가장자리에 끼워 넣고, 프론트 패널(10) 및 백 패널(11)과 함께 장착 나사에 의해 프레임(1)에 장착한다
상면 커버(9)와 프론트 패널(10) 사이에 형성된 프론트 패널 박스(12)에는 전원 스위치(13)와 입력 스위치 그룹 및 표시 소자 그룹을 구비한 조작 패널(14)과, 외조(5)내의 수위에 따른 수위 신호를 발생하는 수위 센서(15)와, 컨트롤 유닛(16)을 내장한다. 이것들은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상면 커버(9)와 백 패널(11) 사이에 형성되는 백 패널 박스(17)에는 세탁수 급수 수단과 고농도 세제액 생성 공급 수단을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도록 내장한다.
세탁수 급수 수단은 입수 측을 수도꼭지(水栓) 접속구(18)에 접속하고, 출수측을 주수구(注水口)(19)에 접속한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구비한다.
고농도 세제액 생성 수단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로부터 세제 용해 용기(21)에 소량의 세제 용해수를 공급하고, 이 세제 용해 용기(21) 내에 투입되어 있는 분말 합성 세제를 전동 구동식의 교반익에 의해 교반하면서 상기 세제 용해수로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한다. 세제 용해 용기(21)는 급수구(19)로 통하는 일수부(도시 생략)를 갖고, 생성한 고농도 세제액을 다시 급수(희석 급수)에 의해 희석하여 증량함으로써 상기 일수부로부터 일수시켜 주수구(19)에 공급한다. 주수구(19)는 상면 커버(9)의 바닥과 외조(5)의 외조 상부 커버(28)의 후부를 관통하여 세탁겸 탈수조(2)의 상부 개구 내를 향하여 개구한다. 이 주수구(19)는 상면 커버(9)의 바닥과 외조 상부 커버(28) 사이에는 가요관(19a)(도14 참조)을 개재시킨다.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기 위한 세제 용해수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일수부로부터 일수하지 않을 정도의 소량으로 설정하고, 희석 급수 시에는 세탁물에 침지시키기에 적합한 세제 농도로 희석하기 위해, 주급수 전자 밸브(20)도 개방하여 추가의 희석수를 주수구(19)에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세제 용해 용기(21)의 크기는 백 패널 박스(17)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400cc(400mL)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하는 고농도 세제액의 바람직한 양을 200∼300mL로 하고, 세탁수의 표준적인 양을 60L로 하면, 합성 분말 세제를 세제 용해수로 용해하여 생성하는 고농도 세제액의 세제 농도는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200∼300배가 된다. 이 고농도 세제액은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킬 때에는 5∼30배(바람직하게는 약 10배)로 희석한다.
이 고농도 세제액 생성 수단의 세제 용해 용기(21)에 세탁조제(마무리제나 표백제 등)의 투입 수단을 부설할 때에는, 이 마무리제 투입 수단에 사용하는 보조급수 전자 밸브(22a)를 더 설치한다.
온풍 순환 건조 수단은 외조(5)의 저부 가까운 측벽에 형성한 흡출구(5a)로부터 이 외조(5)의 후측의 외벽면을 따라 수직 상태로 상향 연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흡출구(5a)로부터 침입한 세탁수를 막는 수냉 제습 덕트(23)와, 이 수냉 제습 덕트(23) 내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 덕트 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 산수부(24)와, 세탁 공정에서의 외조(5)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절첩하여 이 외조(5)의 외벽면을 따라 이 외조(5)의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하강 풍로 덕트(25)와, 외조(5)의 하측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하강 풍로 덕트(25)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 공기를 생성하는 순환 팬(26)과, 이 순환 팬(26)의 토출구로부터 외조(5)의 외벽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수직 상태로 연장하는 상승 풍로 덕트(27)와, 외조 상부 커버(28)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 풍로 덕트(27)로부터 보내져 오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PTC 히터; 29)와, 히터(29)에 의해 가열된 순환 공기를 세탁겸 탈수조(2) 내에 흡입하는 흡입구(30)를 구비한다.
또한,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풍로를 구성하는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 하강 풍로 덕트(25) 및 상승 풍로 덕트(27)는 외조(5)의 후측의 외벽면에 이 외조(5)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 그 일부를 이 외조(5)와 일체 성형하여 실장하고, 이들의 외측을 덮는 후측 덮개(1a)는 외측으로 튀어나온 형상으로 구성하여 나사로 고정한다.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 풍로 덕트(25) 내에는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1)를 설치하고, 흡입구(30)와 히터(29)의 하류측 사이의 풍로 내에는 제2 온도 센서(42)를 설치한다. 수냉 제습 덕트(23) 내에서 수냉 제습된 순환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정밀도 좋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수냉 제습된 순환 공기가 잘 혼합되어 균일하게 된 후에 상기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1)에 접촉시키는 것이 좋고, 따라서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는 수냉 제습 덕트(23)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강 풍로 덕트(25)의 하부 또는 순환 팬(26)의 흡입구 케이싱(26c)에 설치한다. 또, 습도 센서(40)와 제1 온도 센서(41)는 보수 작업에 편리하도록 후측 덮개(1a)를 벗겼을 때에 노출되도록 하는 설치 위치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 설명을 생략하지만, 수냉 제습 덕트(23)로부터 하강 풍로 덕트(25)로의 절첩 부분에는 후술하는 실밥 포집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온풍 순환 건조 수단은 세탁 후에 외조(5)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고, 세탁겸 탈수조(2)를 고속 회전시켜 탈수한 후에 저속 회전시키면서, 순환 팬(26)을 운전함으로써, 외조(5) 및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습윤 공기를 흡출구(5a)로부터 흡출하여, 수냉 제습 덕트(23) 내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냉각 산수부(24)로부터 이 수냉 제습 덕트(23) 내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여 제습한다. 그 후, 냉각 제습한 공기는 하강 풍로 덕트(25)를 하강시켜 순환 팬(26)에 흡입하고, 이 순환 팬(26)으로부터 상승 풍로 덕트(27)와 히터(29)를 통해 흡입구(30)에 보내져 오고, 히터(29)에 의해 가열하여 세탁겸 탈수조(2) 내의 내벽면 부근을 향해 이 세탁겸 탈수조(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흡입한다. 이와 같이 세탁겸 탈수조(2)에 흡입된 순환 공기는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에 접촉하여 세탁물을 건조한다.
상면 커버(9)에 형성된 외측 의류 투입구(9a)는 두 번 접어(산 모양으로 접어) 개방하도록 힌지(31a)에 의해 상면 커버(9)에 장착된 외부 덮개(31)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덮이고, 외조(5)의 상단에 장착된 외조 상부 커버(28)에 형성된 내측 의류 투입구(28a)는 힌지(32a)에 의해 외조 상부 커버(28)에 장착된 내부 덮개(32)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덮도록 구성한다.
외조(5)의 저부에 형성된 배수구(5b)는 배수 전자 밸브(33)를 통해 배수 호스(34)에 접속된다. 에어 트랩(5c)은 에어 튜브(35)를 통해 상기 수위 센서(15)에 접속된다. 프레임(1)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네 모서리에 다리(36)를 장착한 합성 수지로 성형한 베이스(37)를 장착한다.
또, 참조 부호 38은 세탁겸 탈수조(2) 내에 투입된 세탁물이다.
도2는 전술한 세탁 건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도1의 설명과 중복하는 설명은 일부 생략한다.
구동 장치(6)는 구동 전동기(61)와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와 유성기어 감속 기구(63)와 중심 출력축(64)과 외측 출력축(65)을 구비하고, 동판제의 장착 베이스(7)의 하면 상에 일체로 조립하고, 이 장착 베이스(7)를 외조(5)의 저부 하면에 나사로 고정하여 장착한다.
구동 전동기(61)는 복수단 또는 무단 변속의 가역 회전형 전동기를 사용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시에 교반익(4)을 회전시키는 회전 속도와, 습윤 급수 시에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회전시키는 회전 속도와,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킬 때에 세탁겸 탈수조(2) 및/또는 교반익(4)을 회전시키는 회전 속도와, 세탁 시에 유성기어 감속 기구의 태양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속도와, 탈수 시에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속도와, 온풍 건조 시에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으로 회전시켜 교반익(4)을 단독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속도를 바람직한 값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유성기어 감속 기구(63)는 유성기어를 지지하는 캐리어를 중심 출력축(64)에 결합하고, 내기어(Internal gear)를 외측 출력축(65)에 결합하고, 태양기어를 구동 전동기(61)에 직접 결합한 구성이다.
그리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는 전동 조작기(62a)에 의해 조작 레버(62b)를 조작함으로써, 교반 모드와 세탁 모드와 탈수·건조 모드로 선택적으로 설정한다. 교반 모드에서는, 유성기어 감속 기구(63)의 내기어를 정지 부재에 계합시킴으로써 세탁겸 탈수조(2)에 정지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유성기어 감속 기구(63)와 중심 출력축(64)을 통해 교반익(4)에 전달하여 이 교반익(4)을 회전시켜 이 교반익(4)에 작용하는 부하 하중에 기초하는 포량 검출 및 포질 검출을 실행시킨다. 세탁 모드에서는, 유성기어 감속 기구(63)의 내기어를 회전이 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구동 전동기(61)에 의해 태양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중심 출력축(64) 및 외측 출력축(65)의 양쪽에 반대 방향으로 전달하여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에 반대 방향으로 반복하여 정역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탈수·건조 모드에서는, 유성기어 감속 기구(62)의 내기어를 구동 전동기(61)와 연결 상태로 하여 이 구동 전동기(61)에 의해 태양기어와 내기어를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하고, 중심 출력축(64) 및 외측 출력축(65)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에 동일 방향으로 저속 회전시켜 예비 급수를 실행시키고, 고속 회전시켜 원심 탈수를 실행시키고, 저속 회전시켜 온풍 건조를 실행시키는 구성이다.
도3은 이 세탁건조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원 스위치(13)를 통해 수전하는 컨트롤 유닛(16)은 마이크로컴퓨터(16a)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하고, 전원 회로(16b)와, 구동 장치(6)와 주급수 전자 밸브(20)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와 세제 교반 전동기(39)와 배수 전자 밸브(33)와 순환 팬(26)과 히터(29)와 냉각 산수 전자 밸브(24a)로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 그룹을 갖는 구동 회로(16c)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장치(6)의 구동 전동기(61)는 고정자 권선(61a)과 회전 센서(61b)를 갖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는 전동 조작기(62a)와 동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62c)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동 회로(16c)는 구동 장치(6)에서의 상기 구동 전동기(61)의 고정자 권선(61a)으로의 급전 제어에 관해서는, 정역 회전 제어용으로 2개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 16c1, 16c2)를 구비한다. FLS(16c1)은 정회전 급전 제어용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 FLS(16c2)는 역회전 급전 제어용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구동 전동기(61)의 회전 속도 제어는 고정자 권선(61a)으로의 급전을 FLS(16c1, 16c2)에 의해 위상 제어함으로써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인버터 구동의 브러시리스 전동기를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PWM 제어나 PAM 제어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구동 장치(6)에서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의 전동 조작기(62a)에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FLS(16c3)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 회로(16c)는 주급수 전자 밸브(20), 보조급수 전자 밸브(22), 세제 교반 전동기(39), 배수 전자 밸브(33), 순환 팬(26), 히터(29), 냉각 산수 전자 밸브(24a)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FLS(16c4∼16c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구동 회로(16c)는 마이크로컴퓨터(16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FLS(16c1)∼FLS(16c10)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여 종속하는 부하로의 급전 제어를 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16a)는 상기 구동 전동기(61)의 회전 센서(61b),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의 위치 센서(62c), 외조(5) 내의 세탁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15), 조작 패널(14)에 접속하고, 미리 내장된 제어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조작 패널(14)의 입력 스위치 그룹(14a)과 수위 센서(15)와 회전 센서(61b) 및 위치 센서(62b)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하여, 구동 회로(16c)를 제어함으로써, 검출, 고농도 세제액 생성, 세탁물 습윤, 고농도 세제액 침지, 거치, 세탁, 헹굼, 탈수 및 온풍 건조의 각 공정을 실행하고, 조작 패널(14)의 표시 소자 그룹(14b)을 제어함으로써 그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조작 패널(14)의 입력 스위치 그룹(14a)은 필요에 따라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켜 화학적인 세정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포질 설정 스위치나 세탁물의 종류(형태나 색깔과 무늬) 설정 스위치나 세탁 방식 설정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세탁 방식 설정 스위치에는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키는 공정을 생략하는 세탁 방식을 설정하는 스위치도 설치한다.
다음에, 상기 각 공정에 대해,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에 침지시킴으로써 세제의 화학적인 세정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켜 세탁, 탈수 및 건조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4는 컨트롤 유닛(16) 내의 마이크로컴퓨터(16a)가 실행하는 상기 각 공정의 플로우차트이다.
마이크로컴퓨터(16a)는 입력 스위치 그룹(14a)에서의 세탁 개시 버튼 스위치가 투입되면 다음과 같은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401
세탁겸 탈수조(2)에 세탁 의류(38)를 투입하고, 조작 패널(14)의 입력 스위치 그룹(14a)을 조작하여 초기 설정을 행하고, 세탁 개시 버튼 스위치가 눌려지면, 각 공정의 자동 운전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상기 초기 설정에서는, 세탁물(38)에 고농도 세제액을 침지시켜 거치함으로써 발생하는 변색을 회피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탁물(38)의 포질, 세탁물의 종류(형태나 색깔과 무늬), 세탁 방식 등의 정보를 필요에 따라 설정한다.
스텝 402
세탁물(38)의 포량의 검출 제어 처리를 행한다. 이 포량 검출은 급수 전의 건포 상태에서, 구동 장치(6)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교반 모드 또는 세탁 모드로 제어하고, 구동 전동기(61)를 단시간 힘을 가하여 교반익(4)을 회전 구동하고, 구동 중의 도달 회전 속도를 검출함으로서 행한다. 이 검출 결과(세탁물의 포량)에 기초하여 세탁수량 및 바람직한 세제 농도의 세탁수를 생성하기 위한 세제량을 연산하여 결정하고, 이 세제량을 표시 소자 그룹(14b)에 의해 표시하여 세제 용해 용기(21)에 상당하는 양의 분말 합성 세제를 투입시킨다.
스텝 403
구동 장치(6)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탈수·건조 모드로 제어하고, 구동 전동기(61)를 저속 운전하여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저속 회전시키면서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열어 수도물을 주수구(19)에 직접 공급하여 이 수도물을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8) 상에 산포한다. 산포된 수도물을 흡수하여 습윤된 세탁물(38)은 부피가 저감하여 고농도 세제액이 균일하게 잘 침투하여 침지하기 쉬워진다. 이 때의 수도물의 산포량은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한 세탁물(38)의 양에 따라 제어되는데, 세탁물(38)의 양이 작을 때에는 작게 하고, 많아짐에 따라 많아지게 되도록 제어된다. 세탁물(38)에 산포하는 수도물양은 예를 들면 세탁물(38)의 양이 4kg 미만인 경우에는 4L 정도, 4kg∼8kg인 경우에는 10L로 한다. 이 정도 양의 급수는 주급수 전자 밸브(20)의 밸브 개방 시간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수도물을 세탁물(38) 내에 충분히 침투시키도록 필요에 따라 습윤 상태에서 얼마 동안 거치하도록 한다. 이 거치 시간은 세탁물(38)의 양과 산포된 수도물의 양에 따라 제어된다. 산포된 수도물을 세탁물(38)에 충분히 침투시키기 위한 거치 시간 중에는,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로 해도 좋지만, 빠르게 침투시키기 위해서는 세탁겸 탈수조(2)를 저속도로 회전시키면 된다.
스텝 404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세제 용해 용기(21)에 일수하지 않을 정도의 소량의 수도물(세제 용해수)을 공급하고, 바람직한 세제 농도의 세탁수를 생성하기 위해 투입한 세제 용해 용기(21) 내의 분말 합성 세제를 교반익으로 교반하면서 용해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한다. 세제 용해수의 양은 세제 용해 용기(21)의 용량(크기)나 세탁에 사용하는 양의 분말 합성 세제를 교반익으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용해하고, 게다가 세제에 함유되어 있는 제오라이트가 세제 용해수의 경도 성분에 의한 금속 비누의 생성을 실질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수량, 예를 들면 200∼300mL로 설정하고, 세탁수의 세제 농도가 200∼300배인 고농도의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한다.
스텝 405
구동 장치(6)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탈수·건조 모드로 제어하여, 구동 전동기(61)를 저속 운전하여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저속도로 회전시키면서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세제 용해 용기(21)에 희석 급수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액을 희석하여 일수부로부터 일수시킴으로써 주수구(19)로 보내짐과 동시에 주급수 전자밸브(20)를 열어 주수구(19)에 급수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바람직한 고농도 세제액으로 희석하여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8)에 부어넣어 세탁물(38)에 침지시킨다. 이 때의 고농도 세제액의 바람직한 세제 농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8)은 이 세탁겸 탈수조(2)와 함께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주수구(19)로부터 부어넣어진 고농도 세제액은 세탁물(38)에 균일하게 부어져 침지한다. 세탁물(38)의 회전은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익(4)을 회전시킴으로써 교반하도록 하여 행해도 좋다.
세탁물(38)에 부어진 고농도 세제액은 빠르게 세탁물(38)의 내부에 침지하여, 세탁물(38)에 부착된 오염에 세제 성분을 작용시킨다.
스텝 406
고농도 세제액을 부어 침지시킨 세탁물(38)을 소정 시간 거치한다. 이 거치는 세탁물(38)에 대한 고농도 세제액의 침투와 오염에 대한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의 작용을 한층 촉진시키기 위한 시간으로서,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
여기에서, 고농도 세제액에 의한 세정도의 향상에 대해 설명한다
분말 합성 세제는 세제 성분으로서 오염을 낮추는 계면 활성제와, 활성제를 보조하는 알칼리제, 제오라이트, 효소, 재부착 방지제 등의 빌더, 형광증백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다. 제오라이트는 수도물에 포함되어 있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경도 성분)을 제거(연수화)하여 금속 비누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탁수 중의 유효한 계면 활성제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기능하지만, 분말 합성 세제를 다량의 수도물에 용해하여 생성한 세탁수에서는, 제오라이트의 양이 부족하여 유효한 계면 활성제가 크게 감소하여 버린다.
그러나, 소량의 수도물(세제 용해수)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한 고농도 세제액(예를 들면, 세탁수 세제 농도의 10배의 세제 농도)은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의 양이 적기 때문에, 제오라이트가 충분히 기능하여 유효한 계면 활성제의 감소를 극히 소량(약 2% 정도)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농도의 세제액을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킴으로써, 세제액이 세탁물(오염 의류)에 고속(예를 들면, JISC9606 습포 오염포에 대해서는 세탁수의 약 4배의 속도)으로 침투하여 신속히 오염에 도달하여, 계면 활성제가 오염의 유화, 분산을 촉진하고, 알칼리제가 기름때의 팽윤, 비누화를 촉진하여, 효소가 지방이나 단백질의 오염을 분해하는 세정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한다.
도5는 분말 합성 세제를 세탁수로 용해(세제 농도 1배)하여 세탁물(38)을 담그었을 때의 유효한 계면 활성제의 양(화학적인 세정력)과 분말 합성 세제를 소량의 세제 용해수로 용해하여 생성한 고농도 세제액(세제 농도 5배, 10배)을 세탁물에 침지시켰을 때의 유효한 계면 활성제의 양(화학적인 세정력)과 사용하는 물의 경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분말 합성 세제를 물에 용해하여 생성한 세제액의 유효한 계면 활성제의 양(화학적인 세정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에 함유되어 있는 경도 성분의 양, 즉 물의 경도에 영향받는다. 따라서, 유효한 계면 활성제의 양은 세탁수의 세제 농도(1배)는 사용하는 물의 경도가 100ppm이면 10% 감소하여 버리지만, 5∼10배의 고농도 세제액에서는 2%의 감소에 그쳐, 높은 세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6은 세탁물에 침지시키는 세제액 농도와 화학적 세정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이커 시험의 특성도이다. 이 시험은 경도100ppm의 세제 용해수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한 세제액의 세제 농도와 세정율의 관계를 관찰한 것이다. 세탁수의 세제 농도(1배)에 있어서의 세정율은 약 3%이지만, 5배의 세제 농도로는 12%의 세정율이 얻어지고, 10배의 세제 농도로는 15%의 세정율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도7은 세제액의 세제 농도와 알칼리도(PH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알칼리도는 세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고, 세탁수의 세제 농도에 있어서의 알칼리도(PH치) 약 10에 비해, 10배의 고 세제 농도에 있어서의 알칼리도는 약 11이 되어 화학적 세정력을 증가시킨다.
도8은 세제 농도 1배의 세탁수에서의 알칼리도(PH치)와 화학적 세정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이커 시험의 특성도이다. 이 시험은 경도 0ppm의 세제 용해수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한 세제 농도 1배의 세제액(세탁수)에 알칼리제를 첨가하여 알칼리도를 변화시켰을 때의 세정율의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알칼리도 10(세제 농도 1배의 세탁수에 상당)에 있어서의 세정율은 약 6%이지만, 알칼리도 11(10배의 세제 농도의 세제액에 상당)에 있어서는 약 8%의 세정율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9는 세제액의 세제 농도와 산소에 의한 화학적 세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이커 시험의 특성도이다. 이 시험은 산소 배합의 분말 합성 세제와 산소 무배합의 분말 합성 세제를 경도 0ppm의 세제 용해수로 용해하여 생성한 세제액의 농도와 세정율의 관계를 관찰한 것이다. 효소를 배합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한 세제액은 세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세정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았다.
스텝 407
주급수 전자 밸브(20) 및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수도물(세탁수)의 급수를 개시한다. 이 세탁수의 급수는 스텝 402에서 결정한 물의 양까지 행하지만, 급수 도중에 세탁물(38)의 포량(습포치), 포질을 검출하기 위해 중단한다. 이 중단 수위는 마이크로컴퓨터(16a)에 미리 설정된 습포 포량 및 포질 검출에 적합한 수위이다. 또,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는 세제 용해 용기(21)를 세정하기 위해 개방한다.
스텝 408
습포 포량과 포질을 검출하여 세탁수 급수량의 보정과 세탁 공정(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의 결정을 행한다. 이 포질 검출은 소정의 저수위에서 급수를 중단하여 구동 장치(6)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교반 모드 또는 세탁 모드로 제어하고, 구동 전동기(61)를 단시간 힘을 가하여 교반익(4)을 회전 구동하여, 구동중의 도달 회전 속도에서의 제1 특성(습포 포량)을 검출하고, 이어서 급수를 재개하여 소정의 고수위까지 세탁수를 보급한 후에 급수를 중단하여 구동 장치(6)의 구동 전동기(61)를 단시간 힘을 가하여 교반익(4)을 회전 구동하고, 구동 중의 도달 회전 속도에서의 제2 특성을 검출하고, 이 제1 특성과 제2 특성의 차이에 기초하여 세탁물(38)의 포질을 검출한다. 이 포질 검출 제어는 초기 설정에 의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생략한다. 그리고, 포질에 따라 세탁 및 헹굼 공정에서의 시간과 수류(기계적 교반의 강도)를 결정한다.
스텝 409
스텝 402에서 결정한 수량(수위)까지 수도물을 급수한다. 이 급수에 의해 세탁수는 고농도 세제액을 희석하여 세탁에 바람직한 세제 농도(1배)가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38)은 세탁겸 탈수조(2) 내에서 소정의 세제 농도(1배)의 세탁수에 담근 상태가 된다.
스텝 407∼409의 급수에서 고농도 세제액은 고경도의 수도물로 희석되게 되지만, 세제 성분은 고농도 상태에서 세탁물에 침투하여 오염에 작용한 후이기 때문에, 이들의 급수에 의해 세제 성분의 세정 작용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스텝 410
스텝 408에서 설정한 세탁 수류와 세탁 시간의 세탁 공정을 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 세탁 공정에서, 구동 장치(6)는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세탁 모드로 제어하고, 구동 전동기(61)를 정역 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반대 방향으로 반복하여 정역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세탁 공정에서의 세탁 시간과 세정도와 빨래 엉킴율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세탁 시간과 세정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세탁 공정에서는, 세탁물(38)에 부착된 오염을 떨어뜨리기 위해서,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반대 방향으로 반복하여 정역 회전시켜 세탁물(38)에 기계력을 작용시킨다. 또, 세탁물(38)의 오염에는 세제의 화학적인 세정력이 작용하고 있다.
특성 곡선(1001)은 세탁물(38)에 고농도 세제액을 침지시키는 공정을 행하지 않고 세제를 세탁수로 용해하여 세탁 공정을 실행했을 때의 것이다. 즉, 종래의 세탁 방법으로 세탁 공정을 실행한 경우의 세탁 시간과 세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세탁 방법은 세탁에 필요한 세제량인 20g/30L의 비율로 세제를 투입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것이다.
세탁은 세탁물의 오염에 대한 세제의 화학력과 세탁기의 기계력의 상승 효과로 오염을 세탁물로부터 제거하기 때문에, 도10에 나타낸 세탁 시간과 세정도 지수의 관계에 따라 세정도가 향상한다. 종래의 세탁 시간은 약 8∼10분 정도가 일반적이고 이 때의 세정도 지수는 50으로 되어 있다.
특성 곡선(1002)은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킨 후에 세탁(교반) 공정을 실행했을 때의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킨 후에 세탁 공정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특성 곡선(1002)에 따른 세정도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비교적 짧은 세탁 시간에서의 적은 기계력에 의해 필요한 세정도를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고농도 세제액을 침지시킨 후에 세탁 공정으로 이행하여 약 8분간 정도의 교반을 행함으로써 90의 세정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부어 침지시키는 세탁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세탁 시간을 5분 이내로 해도, 세탁물(38)의 오염은 종래보다 더 잘 떨어진다. 이 때문에, 세탁물의 기계력을 저감시켜도 세정력은 향상하는 고농도 세탁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계력은 세탁겸 탈수조(2) 및 교반익(4)의 정역 회전의 온-오프 시한을 조정하고, 회전수를 조정하고, 세탁(교반)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도11은 세탁 시간과 빨래 엉킴율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특성 곡선(1101)은 적은 기계력으로 세탁 공정을 실행할 때의 것이고, 특성 곡선(1102)은 큰 기계력으로 세탁 공정을 실행했을 때의 것이다. 세탁 공정에서의 기계력은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의 교반력(정역 회전각도)의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큰 기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의 회전 각도가 커져 빨래 엉킴율이 커지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적은 기계력으로 필요한 세정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성 곡선(1101)의 빨래 엉킴율로 세탁 공정을 실행할 수 있어, 10% 이하의 빨래 엉킴율을 실현할 수가 있다.
즉, 고농도 세정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적은 기계력으로도 종래의 세정 방식보다도 세탁물(38)의 오염이 잘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세탁기의 기계력을 적게 하여 세탁물(38)의 손상이나 엉킴을 저감할 수가 있다.
스텝 411
배수 전자 밸브(33)를 열어 세탁수를 기외로 배수한다.
스텝 412
주급수 전자 밸브(20)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헹굼수(수도물)를 설정 수량까지 급수한다. 이 때(복수회의 헹굼을 행할 때에는 최종 헹굼을 위한 급수시)에는 필요에 따라 보조급수 전자 밸브(22a)도 열어 마무리제를 투입한다.
스텝 413
구동 장치(6)를 제어하여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 고농도 세정 방식에 의한 세탁 공정에서는, 세탁물(38)에의 계면 활성제의 흡착을 증가시키는 금속 비누의 발생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헹굼 성능이 향상(약 1.3배)되어, 적은 헹굼력(기계력)으로 소정의 헹굼을 실행할 수가 있다.
스텝 414
배수 전자 밸브(33)를 열어 헹굼수를 기외로 배수한다.
스텝 415
배수 전자 밸브(33)를 연 채로 구동 장치(6)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탈수·건조 모드로 제어하고, 구동 전동기(61)를 고속 운전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으로 고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38)의 수분을 원심 탈수한다. 이 원심 탈수가 종료한 상태에서는, 세탁물(38)은 세탁겸 탈수조(2)의 측벽에 가압되어 부착된 상태에 있다.
스텝 416
구동 장치(6)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탈수·건조 모드로 제어하고, 구동 전동기(61)를 저속 운전하여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저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송풍기(26)를 운전하여 외조(5) 내의 공기를 흡출구(5a)로부터 흡출하고, 수냉 제습 덕트(23) 내를 상승하는 과정에서 냉각 산수부(24)로부터 이 수냉 제습 덕트(23) 내에 공급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 제습하고, 하강 풍로 덕트(25)를 통해 순환 팬(26)에 흡입하고, 이 순환 팬(26)으로부터 상승 풍로 덕트(27)와 히터(29)를 통해 흡입구(30)로 보내져 오고, 히터(29)에 의해 가열하여 세탁겸 탈수조(2) 내의 내벽면 부근을 향해 이 세탁겸 탈수조(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흡입하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여,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을 건조한다.
원심 탈수되어 세탁겸 탈수조(2)의 측벽에 부착한 상태 그대로의 세탁물(38)을 온풍 건조하면 이 세탁물(38)에 주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건조 시간 중에는 정기적으로 교반익(4)을 정역 회전시켜 세탁물(38)을 움직이면서 건조시키도록 한다.
빨래 엉킴율이 10% 이하이면, 최종 탈수 종료 후에 그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온풍 건조해도 건조 불균일이나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세탁물에 물을 함유시켜 습윤시키는 습윤 공정을 위한 습윤 급수 유량이나,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기 위한 세제 용해 급수 유량이나, 고농도 세제액을 희석하기 위한 희석 급수 유량과 수량은 이들의 급수를 실행하는 주급수 전자 밸브(20)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의 통수 유량(통수 유로 면적)과 급수 시간에 의해 설정하지만, 실제의 급수 유량은 수원(수도)의 수압에 의해 변동한다. 따라서, 주급수 전자 밸브(20)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의 통수 유량은 예상할 수 있는 최저 수압에서의 통수 유량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고, 수위 센서(15)를 감시하여 소정의 수위까지 급수할 때의 실제의 급수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된 급수 시간에 기초한 연산 처리에 의해 수원의 수압을 구해 기억해 두고, 상기 습윤 급수, 세제 용해 급수, 희석 급수 시에는 주급수 전자 밸브(20) 및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단속적으로 개폐하여 간헐 급수함으로써 그 평균치가 소정의 유량이 되도록 하는 유량 제어를 행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전자동 세탁 건조이지만,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세탁기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의 온풍 순환 건조 수단 및 그 제어 처리를 생략함으로써,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온풍 순환 건조 수단을 생략하고, 제어 장치에서의 컨트롤 유닛(16)이 실행하는 건조 제어 처리 스텝 416을 생략함으로써, 건조 기능을 갖지 않는 전자동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는 세탁 및 헹굼에 관해서도, 각각 다른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종형의 세탁겸 탈수조(2)를 예시하였지만, 횡형의 세탁겸 탈수조가 일반적으로 호칭되고 있는 드럼식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세탁겸 탈수조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을 정역 교반하는 교반익(4)은 원반 상에 날개를 부착한 펄세이터(pulsator) 타입이라 칭하는 교반익이나, 큰 날개를 360도 이내로 정역 회전시켜 세탁하는 애지테이터(agitator) 타입이라 칭하는 교반익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세탁겸 탈수조의 저부에 세탁물을 움직이게 하는 펄세이터 형상을 한 교반익을 이 세탁겸 탈수조와 일체화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는 분말 합성 세제는 동일한 세제 성분의 액체 합성 세제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기재한다.
도13은 이 세탁겸 탈수조의 전기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원 스위치(13)를 통해 수전하는 컨트롤 유닛(16)은 마이크로컴퓨터(16a)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하고, 전원 회로(16b)와 구동 장치(6)와 주급수 전원 밸브(20)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 22a)와 세제 교반 전동기(39)와 배수 전자 밸브(33)와 순환 팬(26)과 히터(29)와 냉각 산수 전자 밸브(24a)에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 그룹을 갖는 구동 회로(16c)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장치(6)의 구동 전동기(61)는 고정자 권선(61a)과 회전 센서(61b)를 갖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는 전동 조작기(62a)와 동작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62c)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동 회로(16c)는 구동 장치(6)에서의 상기 구동 전동기(61)의 고정자 권선(61a)으로의 급전 제어에 관해서는, 정역 회전 제어용으로 2개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FLS; 16c1. 16c2)를 구비한다. FLS(16c1)은 정회전 급전 제어용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 FLS(16c2)는 역회전 급전 제어용인 반도체 교류 스위칭 소자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구동 전동기(61)의 회전 속도 제어는 고정자 권선(61a)으로의 급전을 FLS(16c1, 16c2)에 의해 위상 제어함으로써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인버터 구동의 브러시리스 전동기를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PWM 제어나 PAM 제어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한다. 또, 구동 장치(6)에서의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의 전동 조작기(62a)에의 급전을 제어하기 위한 FLS(16c3)를 구비한다.
또한, 구동 회로(16c)는 주급수 전자 밸브(20), 보조급수 전자 밸브(22, 22a), 세제 교반 전동기(39), 배수 전자 밸브(33), 순환 팬(26), 히터(29), 냉각 산수 전자 밸브(24a)로의 급전을 제어하는 FLS(16c4∼16c11)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구동 회로(16c)는 마이크로컴퓨터(16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FLS(16c1)∼FLS(16c11)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여 종속하는 부하로의 급전 제어를 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16a)는 상기 구동 전동기(61)의 회전 센서(61b),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의 위치 센서(62c), 외조(5) 내의 세탁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15), 습도 센서(40), 제1 , 제2 온도 센서(41, 42), 언밸런스 검출 센서(43), 조작 패널(14)에 접속하여, 미리 내자된 제어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조작 패널(14)의 입력 스위치 그룹(14a)과 수위 센서(15)와 회전 센서(61b) 및 위치 센서(62b)와 습도 센서(39)와 제1, 제2 온도 센서(41, 42)와 언밸런스 검출 센서(43)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하여, 구동 회로(16c)를 제어함으로써, 검출, 고농도 세제액 생성, 세탁물 습윤,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침지), 세탁, 헹굼, 탈수 및 온풍 건조의 각 공정을 실행하고, 조작 패널(14)의 표시 소자 그룹(14b)을 제어함으로써 그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언밸런스 검출 센서(43)는 세탁겸 탈수조(2)를 회전시켰을 때에 이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8)의 분포 언밸런스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2)(외조(5))가 소정치 이상으로 크게 진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세탁 건조기는 전원 스위치(13)를 투입하고, 외부 덮개(31)와 내부 덮개(32)를 열어 세탁겸 탈수조(2) 내에 세탁물(38)을 투입하고, 외부 덮개(31)와 내부 덮개(32)를 닫아 조작 패널(14)의 세탁 개시 스위치를 투입하면, 컨트롤 유닛(16)은 구동 장치(6)를 운전하여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익(4)을 회전시킴으로써 포량을 검출하고, 세탁수의 양 및 상응하는 세제량을 결정하여, 이를 표시하도록 조작 패널(14)의 표시 소자 그룹(14b)을 제어한다.
그리고, 외부 덮개(31)를 열어 상당하는 양의 분말 합성 세제 및 마무리제가 세제 용해 용기(21)에 투입되고, 외부 덮개(31)가 닫히면,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상기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는 데에 적합한 수도물(세제 용해수)을 세제 용해 용기(21)에 공급하고, 또한 세제 교반 전동기(39)를 운전하여 분말 합성 세제를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한다.
그 동안, 구동 장치(6)를 제어하여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완속 회전시켜 세탁물(38)을 회전시키면서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열어 급수함으로써, 수도물을 세탁물(38)에 고르게 부어 세탁물(38)을 습윤시킨다. 이 때의 수량은 세탁물(38)을 균일하게 습윤시킬 수 있을 정도에 그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세제 용해 용기(21)에 추가의 급수를 행함으로써 세제 용해 용기(21) 내의 고농도 세제액을 일수시켜 주수구(19)에 공급함과 동시에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열어 주수구(19)에 공급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액을 원하는 세제 농도(5∼30배의 범위)로 희석하여 세탁물(38)에 붓도록 제어한다. 이 때, 고농도 세제액이 세탁물(38)에 고르게 부어져 세탁물(38) 내에 균일하게 침투하도록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으로 완속 회전시키고, 세탁겸 탈수조(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익(4)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38)을 회전 또는 교반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분말 합성 세제를 물로 용해하여 생성하고 또한 희석한 5∼30배의 농도의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키면, 세제 성분의 화학적인 세정력이 세탁물(38)의 오염에 효율적으로 작용하여 세정력을 높인다.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물(38)에 침지시킨 후, 소정의 수위까지 세탁수를 급수하도록 주급수 전자 밸브(20)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제어하고, 그 후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반대 방향으로 정, 역 회전시켜 세탁물(38)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 공정을 실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세탁 공정을 종료한 후, 세탁수를 기외로 배수하도록 배수 전자 밸브(33)를 열도록 제어하고,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으로 고속 회전시켜 세탁수를 원심 탈수하는 중간 탈수를 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그 동안 탈수를 종료한 후에, 배수 전자 밸브(33)를 닫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헹굼 수위까지 급수하도록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열도록 제어하고, 또한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반대방향으로 정, 역 회전시켜 세탁물(38)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헹굼 공정을 실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 헹굼 공정은 필요에 따라 복수회 실행하고, 최후의 헹굼에서의 급수 시에 보조급수 전자 밸브(22a)를 열어 마무리제를 공급한다. 헹굼 공정을 종료한 후에, 헹굼수를 기외로 배수하도록 배수 전자 밸브(33)를 열도록 제어하고, 배수 후에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으로 고속 회전시켜 헹굼수를 원심 탈수하는 최종 탈수를 행하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세탁 및 원심 탈수한 세탁물(38)을 세탁겸 탈수조(2) 내에서 건조시키도록,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을 일체적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 장치(6)를 제어하고, 외조(5) 및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습윤 공기를 흡출구(5a)로부터 흡출하여 흡입구(30)로부터 세탁겸 탈수조(2) 내에 흡입하는 순환 공기를 생성하도록 순환 팬(26)을 운전 제어하고, 이 순환 공기를 수냉 제습 덕트(23) 내에서 수냉하도록 냉각 산수부(24)의 산수 전자 밸브(24a)를 제어하고, 세탁겸 탈수조(2)에 흡입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히터(29)를 제어하는 온풍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 이 온풍 건조 공정의 제어는 습도 센서(40), 제1 온도 센서(41), 제2 온도 센서(42)의 검출 신호를 감시하면서 실행하여, 원하는 건조도가 얻어진 시점에서 종료한다.
도14∼도19는 전술한 세탁 건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14는 세탁 건조기의 종단 측면도, 도15는 외부 프레임의 후측을 절단하여 순환 풍로부를 나타내는 세탁 건조기의 배면도, 도16은 세탁 건조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저면도, 도17은 상면 커버를 벗기고 외조와 순환 풍로를 나타내는 세탁 건조기의 상면도, 도18은 실밥 포집부의 종단측면도, 도19는 외부 프레임과 외조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20은 외조 상부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12의 설명과 중복하는 설명의 일부는 생략한다.
회전 구동 장치(6)는 가역형의 구동 전동기(61)와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와 태양기어 감속 기구(63)와 교반익(4)이 결합되는 중심 출력축(64)과 세탁겸 탈수조(2)가 결합되는 외측 출력축(65)을 구비한다. 태양기어 감속 기구(63)는 구동 전동기(61)에 직접 결합한 태양기어와 외측 출력축(65)에 직접 결합한 내기어와 유성기어를 지지하여 중심 출력축(64)에 직접 결합한 캐리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교반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태양기어 감속 기구(63)의 내기어(외측 출력축(65)과 세탁겸 탈수조(2)에 연결)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태양기어와 유성기어와 캐리어를 거쳐 감속하여 중심 출력축(64)에 전달하여 교반익(4)을 정역 회전시키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세탁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태양기어 감속 기구(63)의 내기어(외측 출력축(65)과 세탁겸 탈수조(2)에 연결)를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하여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태양기어와 유성기어와 캐리어를 거쳐 감속하여 중심 출력축(64)에 전달함으로써 교반익(4)을 정역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기어에 작용하는 반력을 외측 출력측(65)에 전달하여 세탁겸 탈수조(2)를 교반익(4)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동 조작 클러치 기구(62)를 탈수·건조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태양기어 감속 기구(63)의 태양기어와 내기어를 구동 전동기(61)에 직접 연결하여 이 구동 전동기(61)의 회전력을 중심 출력축(64)과 외측 출력축(65)을 통해 세탁겸 탈수조(2)와 교반익(4)에 전달하여 이들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순환 풍로에서의 수냉 제습 덕트(23)의 수직 부분은 원통상의 외조(5)의 최후 부위, 즉 외부 프레임(1)의 후측 덮개(1a)에 가장 가까운 부위에 위치하도록 외조(2)를 따라 이 외조(2)의 측벽의 흡출구(5a)의 주변으로부터 연속시켜 이 측벽과 일체적으로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수냉 제습 덕트(23)는 외조(2)와 후측 덮개(1a) 사이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기에 적합하도록 안 길이를 좁게 하고, 횡폭을 넓게 한 직사각형의 풍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폭이 넓은 대략 직사각형의 풍로 단면 형상의 수냉 제습 덕트(23)는 벽면이 넓어지기 때문에 순환 공기 냉각 벽면이 증가하기 때문에 순환 공기의 냉각 제습에 적합하다.
하강 풍로 덕트(25)의 수직 부분은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의 횡방향으로 인접하게 이 수냉 제습 덕트(23)와 공통의 측벽이 되도록 외조(5)의 측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위치는 외조(5)의 만곡에 의해 후측 덮개(1a)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풍로 단면 형상은 안 길이를 넓히고 폭을 좁게 한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순환 풍로의 횡폭의 확장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승 풍로 덕트(27)의 수직 부분은 상기 수냉 제습 덕트(23)의 반대측의 횡방향으로 인접하게 수냉 제습 덕트(23)와 공통의 측벽이 되도록 외조(5)의 측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위치는 외조(5)의 만곡에 의해 후측 덮개(1a)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풍로 단면 형상은 안 길이를 넓히고 폭을 좁게 한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순환 풍로의 횡폭의 확장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외조(5)의 후측의 측벽을 따라 이 측벽에 일체 성형한 각 덕트(23, 25, 27)의 외측면은 외부 프레임(1)의 후측의 측벽을 구성하는 후측 덮개(1a)의 팽출 부분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 외조(5)는 외부 프레임(1)의 상단부의 네 모서리부에 결합한 보강부재(1b)에 계지한 4개의 방진 지지 장치(8)에 의해 외조(5)를 사방에서 균등하게 매다는 것에 의해 외부 프레임(1)의 중심부에 현수하도록 지지한다.
수냉 제습 덕트(23)의 수직 부분과 하강 풍로 덕트(25)의 상단부를 연통시키는 상부 절첩 부재(44)는 외조(5)의 상단에 부착된 외조 상부 커버(28)의 상면의 후부로 돌출시켜, 실밥 포집 수단을 구성하는 계층 필터(45)를 내부 덮개(32)의 상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삽탈 가능하게 수납한다.
또, 상승 풍로 덕트(27)의 수직 부분의 상단부에 연통시킨 흡입구(30)는 상기 외조 상부 커버(28)의 상면의 후부로 돌출시켜, 히터(29)를 내장하고, 가열한 순환 공기를 세탁겸 탈수조(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방향을 향해 이 세탁겸 탈수조(2) 내에 흡입하도록 외조 상부 커버(28)를 관통시켜 세탁겸 탈수조(2)의 개구를 향하여 개구시킨다. 히터(29)는 PTC 히터를 채용하고, 통풍로가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히 설치하여 흡입구(30)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기체의 높이의 증가를 억제한다.
외조 상부 커버(28)는 하측의 수지 성형 부재(28b)와 상측의 금속판(스테인리스 판; 28c)을 중첩시킨 2층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흡입구(30)와 상부 접힙 부재(44)의 일부를 수지 성형 부재(28b)와 일체 성형한다. 금속판(28c)은 보강 및 내열 부재로서 기능시킨다.
순환 팬(26)은 원심 날개 바퀴(26a)와 이 원심 날개 바퀴(26a)를 회전시키는 구동 전동기(26b)와 원심 날개 바퀴(26a)를 포위하는 흡입구 케이싱(26c)과 흡출구 케이싱(26d)을 구비하고, 외조(5)의 저부의 하측에 장착함으로써, 외부 프레임(1) 내에서 외조(5)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구동 장치(6)와 나란히 그 후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흡입구 케이싱(26c)은 드레인 배출구(26e)를 갖고, 하강 풍로 덕트(25)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흡출구 케이싱(26d)은 상승 풍로 덕트(27)의 하단부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순환 팬(26)은 원심 날개 바퀴(26a)와 구동 전동기(26b)의 위쪽에 외조(5)가 위치하고, 앞쪽에 구동 장치(6)가 위치하고, 뒤쪽에 케이싱(26c, 26d) 및 풍로 덕트(25, 27)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심 날개 바퀴(26a)와 구동 전동기(26b)에서 발생하는 음의 방산이 이들에 의해 차단(억제)되므로, 건조 공정에서의 소음이 적어진다.
도21 및 도22는 전술한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의 일체적인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21은 일체 성형한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를 형성 금형과 함께 나타낸 사시도, 도22는 일체 성형한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를 성형 금속과 함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배면도이다.
외조(5)와 각 덕트(23, 25, 27)의 수직 부분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한다. 외조(5)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은 외조(5)의 내주면 및 바닥의 내면을 성형하는 성형면과 흡출구(5a)를 성형하는 진퇴 가능한 중자(中子; 46a)를 갖는 원주상의 조내형(槽內型; 46b)과, 외조(5)의 이측면과 덕트(23, 25, 27)의 외측면을 성형하는 둘레 방향으로 4분할된 조외주형(槽外周型; 47a∼47d)과 외조(5)의 바닥의 외면과 각 덕트(23, 25, 27)의 하단부를 성형하는 조저형(槽底型; 47e)과, 각 덕트(23, 25, 27)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3개의 덕트 내형(duct 內型; 48a, 48b, 48c)를 사용한다.
사출 성형기는 조저형(47e)을 기준으로 하여 조내형(46b), 조외 주형(47a∼47d), 덕트내형(48a∼48c)을 조합하여 성형 금형을 조립하여 분해(형 분리)한다. 조내형(46b)은 위쪽에서 수직 방향으로 진퇴시키고, 조외주형(47a∼47d)은 사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퇴시키고, 덕트 내형(48a∼48c)은 위쪽에서 수직 방향으로 진퇴시킨다. 덕트(25, 27)는 상하단을 개구시키기 때문에, 덕트 내형(48b, 48c)의 하단을 조저형(47e)의 오목부(47e2, 47e3)에 감합하여 위치 결정한다. 덕트(23)는 하단부를 외조(5)의 흡출구(5a)의 주변부로부터 연속시켜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덕트(23)의 저벽부에 작은 형상 누름 구멍(23a)을 성형하도록 덕트 내형(48e)에 설치한 돌기(48a1)를 조저형(47)의 오목부(47e1)에 끼워 붙여 위치 결정시킨다. 이 돌기(48a1)에 의해 성형된 형상 누름 구멍(23a)은 그 후 마개 등을 채워서 수밀 상태로 봉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은 비교적 소규모의 사출 성형기에 의해 외조(5)와 덕트(23, 25, 27)의 일체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 수단을 설명한다. 도23은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이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 수단은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전동기(39)를 금속 베이스판(49) 상에 수평 방향으로 옆으로 늘어놓은 상태로 설치한다.
세제 용해 용기(21)의 저부에 배치한 세제 교반익(50)과 결합한 교반익 구동축(51)은 세제 용해 용기(21)의 저벽부(21a) 및 금속 베이스판(49)을 수직 상태로 관통시켜 이 금속 베이스판(39)의 하측에 도출되고, 도출 부분에 타이밍 벨트 종동 풀리(52)를 끼워 붙인다. 세제 교반 전동기(39)는 회전 출력축(39a)이 금속 베이스판(49)을 수직 상태로 관통하여 이 금속 베이스판(49)의 하측에 도출되도록 금속 베이스판(49)에 장착하고, 도출 부분에 타이밍 벨트 구동 풀리(54)를 끼워 붙인다. 그리고, 종동 풀리(52)와 구동 풀리(53)는 타이밍 벨트(54)에 의해 연동된다.
금속 베이스판(49)은 상기 교반익 구동축(51)을 지지하는 베어링(55)을 끼워 붙이는 베어링 통부(49a)를 외향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동심 상태로 고리상의 세제 용해 용기 감합 볼록부(49b)를 돌설한다. 세제 용해 용기(21)의 저벽(21a)에는 상기 세제 용해 용기 감합 볼록부(49b)의 외주에 끼워 붙인 통상부(21b)를 내측을 향해 기립시켜 세제 교반익(50)의 하측의 오목부에 잠입시키도록 설치하고, 통상부(筒狀部;21b)를 세제 용해 용기 감합 볼록부(49b)의 외주에 감합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 나사(56)에 의해 금속 베이스판(49)에 고정한다. 상기 베어링(55)으로 지지한 교반익 구동축(51)은 상기 통상부(21b)를 관통하여 세제 용해 용기(21)의 내측으로 도출하고, 도출 부분에 세제 교반익(51)을 끼워 붙인다. 통상부(21b)의 내측과 교반익 구동축(51) 사이에는 축 밀봉 부재(57)를 수납한다. 세제 교반익(50)은 직경 방향의 도중을 상기 통상부(21b)의 외주를 따라 대향시켜 하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세제 교반익(50)의 하측에 상기 통상부(21b)를 포위하는 통상의 내벽면(50a)을 구성하는 오목부(50b)를 형성한다. 상기 통상부(21b)와 통상의 내벽면(50a) 사이에는, 통상부(21b)의 외주에 감착한 세제 밀봉 부재(58)를 개재시킨다.
금속 베이스판(49)은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베어링 통(39b)의 외주를 감합한 감합혈(49c)을 더 구비하고,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베어링 통(39b)에 방진 부재(59)를 끼워 붙인 상태에서 이 베어링 통(39b)을 감합혈(49c)에 감합하여 위치 결정하고,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반대측 베어링 통(39c)에 방진 부재(70)를 끼워 붙이고, 그 주위를 포위하도록 전동기 커버(71)를 덮어 금속 베이스판(49)에 고정 나사(72)로 고정함으로써, 세제 교반 전동기(39)를 방진 부재(59, 70)로 협지하도록 장착한다.
이와 같이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구동 전동기(39)를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구성은 백 패널 박스(17)의 높이를 낮게 하여 기체의 높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교반익 구동축(51)과 세제 교반 전동기(39)의 회전 출력축(39a)은 금속 베이스판(49)에 형성한 베어링 통부(49a)와 감합혈(49c)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타이밍 벨트(54)에 의한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원활하게 되어 정숙한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세제 용해 용기(21)의 통상부(21b)를 포위하도록 세제 교반익(50)의 하측에 통상의 내벽면(50a)을 구성하는 오목부(50b)는 세제 밀봉 부재(58)에 의해 칸막이된 공기 대기실을 형성하기 때문에,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한 고농도 세제액이 침입하여 축 밀봉 부재(57)나 베어링(55)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세제 용해 용기(21)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을 세제 투입 용기를 포함하여 도24∼도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4는 세제 용해 용기의 사시도, 도25는 동 정면도, 도26은 동 상면도, 도27은 동 좌측면도, 도28은 동 좌측면도, 세제 용해 용기와 주급수 전자 밸브 및 보조급수 전자 밸브를 실장한 상면 커버를 백 패널을 열어 나타낸 사시도, 도30∼도33은 세제 투입 용기를 탑재한 세제 용해 용기의 종단측면도, 도34는 외부 덮개를 열어 세제 투입 용기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커버의 사시도, 도35는 동 세제 투입 용기를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세제 용해 용기(21)는 위쪽을 개방하여 세제 투입 용기(73)를 진퇴가 자유롭게 탑재 가능한 대략 사각형상의 용기로서, 상기 세제 교반익(50)을 설치하는 세제 용해실(21c)과, 마무리제 투입실(21d)과, 세탁수 급수 유로(21e)와, 상기 세탁수 급수 유로(21e)에 이어지는 일수 유로(21f)를 구비한다.
세제 용해실(21)은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로부터 급수를 받는 수수구(受水口; 21g)와, 분말 합성 세제를 세제 교반익(50)에 의해 교반하면서 세제 용해수에 용해하여 생성한 고농도 세제액을 다시 급수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증량했을 때에 일수 유로(21f)에 일수시키는 일수연(21h)과, 교반시에 세제 용해수(고농도 세제액)의 회동을 억제하는 리브(21i)와, 희석한 고농도 세제액을 세제 용해실(21c)의 바닥으로부터 세탁수 급수 유로(21e)로 흘러 보내는 사이폰(siphon) 통수 기구(21j)와, 후술하는 세제 투입 용기(73)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1k) 및 세제 투입 용기(73)의 저부 덮개를 회전시키는 고정 기어(21m)를 구비한다.
세제 용해실(21c)의 용적은 백 패널 박스(17) 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는 데에 필요한 적은 양, 예를 들면 200∼300cc의 수도물에 의해, 예를 들면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200∼300배의 농도로 생성하는 데에 적합한 크기로 설정한다.
마무리제 투입실(21d)은 일수 유로(21f)에 이어지는 일수연(21n)과, 세탁수 급수 유로(21e)에 이어지는 사이폰 통수 기구(21p), 보조급수 전자 밸브(22a)로부터의 수수구(21q)를 구비하고, 실내의 마무리제(액체)를 수수구(21q)로부터의 수수에 의해 희석함으로써 증량시켜 일수연(21n)으로부터 일수 유로(21f)에 일수시키고, 사이폰 통수 기구(21p)로부터 세탁수 급수 유로(21e)로 흘러 보낸다.
세탁수 급수 유로(21e)는 주급수 전자 밸브(20)로부터 수수하는 수수구(21r)와, 상기 일수 유로(21f)와 사이폰 통수 기구(21j)로부터 유출하는 고농도 세제액 및 일수 유로(21n)와 사이폰 통수 기구(21p)로부터 유출하는 마무리제를 합류시켜 유출구(21s)로부터 주수구(19)로 흘러나오는 유로를 형성한다.
세제 투입 용기(73)는 상기 세제 용해 용기(21) 위를 가이드 레일(21k)을 따라 진퇴하는 편평한 사각형상으로 위쪽을 개방한 상자 형상체로서, 세제 투입부(73a)와 마무리제 투입부(73b)와 손잡이부(73c)를 구비한다.
세제 투입부(73a)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세제 용해실(21c)의 위쪽을 진퇴하도록 위치하고, 안쪽 절반 영역의 바닥을 개폐하도록 회전하는 저판(73d)을 구비한다. 이 저판(73d)은 축단에 기어(73e)를 설치한 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안쪽으로 압입한 상태에서는 기어(73e)가 기어(21m)에 계합하여 상기 절반 영역의 하면을 따라 뒤집은 상태에서 수평 상태가 될 때까지 회전하여 세제 투입부(73a)의 안쪽 절반 영역의 바닥을 모두 개방하여, 앞쪽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매달리도록 회전하고, 이어서 상면 커버(9)의 개구연(開口緣) 또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가장자리에 눌려 바닥을 닫도록 회전한다. 그러나, 이 저판(73d)은 바닥을 닫도록 회전한 상태에서도 세제 투입부(73a)의 안쪽단 부분을 세제 용해실(21c)의 위쪽 위치로 개방하는 단척판(短尺板)이다.
마무리제 투입부(73b)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마무리제 투입실(21d)의 위쪽을 진퇴하도록 위치하고, 인출된 상태에서 마무리제 투입실(21d)의 위에 위치하는 안쪽 바닥을 개방한다.
손잡이부(73c)는 세제 투입 용기(73)의 앞쪽 부분에 위치하고, 상면 커버(9)에 형성한 외측 의류 투입구(9a)의 안쪽의 측면에 노출하여 진퇴 조작하기 위한 파지(把持) 부분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 수단은 손잡이부(73c)를 당겨 세제 투입 용기(73)를 외측 의류 투입구(9a) 내로 인출한다. 인출한 상태의 세제 투입 용기(73)는, 세제 투입부(73a)는 앞쪽 부분을 외측 의류 투입구(9a) 내에 상향 개구시키고, 저판(73d)을 폐쇄하고, 안쪽단 부분을 세제 용해 용기(21)의 세제 용해실(21c)의 위쪽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그래서, 소정량의 분말 합성 세제를 세제 투입부(73a)에 투입하면, 그 일부는 안쪽단 부분의 개구로부터 세제 용해실(21c)로 낙하하고, 일부는 저판(73d) 상에 남는다. 또, 마무리제 투입부(73d)에 마무리제를 투입하면 이 마무리제는 마무리제 투입실(21d)로 흘러내린다. 그 후, 세제 투입 용기(73)를 압입하면, 세제 투입부(73a)의 저판(73d)은 세제 용해 용기(21)의 가장자리로부터 벗어나 밑으로 늘어져 남은 분말 합성 세제를 세제 용해실(21c) 내로 낙하시키고, 더 안쪽으로 압입하면 기어(73e)가 기어(21m)에 계합하여 앞쪽 절반 영역의 하면을 따라 뒤집히게 되어 수평 상태가 될 때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일수연(21h)으로부터 흘러 넘치지 않고 또 사이폰 통수 기구(21j)도 통수(도통)하지 않을 정도의 양(200∼300cc)의 세제 용해수을 세제 용해실(21c)에 공급하고, 세제 교반 전동기(39)에 의해 세제 교반익(50)을 회전시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고농도(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200∼300배)의 세제액을 생성한다.
그 후,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추가 급수를 행해 희석하여 증량함으로써 일수연(21h)으로부터 흘러 넘치게 함과 동시에 사이폰 통수 기구(21j)를 통수(도통)를 개시시켜 세탁수 급수 유로(21e)로 유출한다. 이와 동시에 주급수 전자 밸브(20)를 열어 급수함으로써 세탁수 급수 유로(21e)에 급수함으로써 고농도 세제액을 더욱 희석하여 세탁물에 침지시키기에 적합한 세제 농도(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5∼30배)로 하여 유출구(21s)로부터 주수구(19)로 흘러내린다.
또한, 그 후의 세탁수의 급수는 주급수 전자 밸브(20), 보조급수 전자 밸브(22)를 열어 소정의 수위가 될 때까지 행함으로써 세제 용해 용기(21)를 세정하면서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세탁 건조기는 수냉 제습 덕트(23)나 풍로 덕트(25, 27)를 외조(5)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순환 풍로를 합리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수냉 제습 덕트(23)는 외조(5)의 하부의 흡출구(5a)의 주연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속시켜 상단을 상향으로 개구하도록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순환 팬(26)을 외조(5)의 하측의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세탁 건조기의 크기의 증가를 경감할 수가 있다.
또, 급수 전자 밸브(20, 22, 22a)나 세제 용해 용기(21)를 외부 프레임(1)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면 커버(9)의 백 패널 박스(17) 내에 설치하고, 순환 풍로의 흡입구(30)와 실밥 포집 필터(45)를 외조(5)의 상단부에 장착된 외조 상부 커버(28) 상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덮개(31)를 여는 것에 의해 상기 실밥 포집 필터(45)나 세제 투입 용기(73)를 외측 의류 투입구(9a) 내에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하기 쉬운 세탁 건조기로 할 수 있다.
또, 수냉 제습 덕트(23)나 풍로 덕트(25, 27)를 외조(5)의 후측에 이 외조(5)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외부 프레임(1)의 외측을 향해 팽출한 후측 덮개(1a)에 의해 덮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프레임(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외조(5)는 외부 프레임(1)의 상단부의 네 모서리로부터 방진 지지 장치(8)에 의해 매달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제 용해 용기(21)는 세탁물(38)에 부어 침지시키는 고농도 세제액보다 더욱 고농도로 용해하도록 소형(소용적)으로 형성하고, 생성된 고농도 세제액을 침지에 적합한 세제 농도로 희석하면서 세탁물(38)에 붓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세제를 잘 용해할 수 있으며, 게다가 상면 커버(9)에 형성한 백 패널 박스(17) 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또, 사이폰 통수 기구(21j)는 세제 용해 용기(21) 내의 세제액의 대부분을 유출할 수 있다.
또한, 세제를 교반하는 세제 교반익(50)을 회전 구동하는 세제 교반 전동기(39)는 세제 용해 용기(21)에 대해 옆으로 나란한 상태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세제 용해 용기(21)와 세제 교반 전동기(39)는 금속 베이스판(49)에 의해 위치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벨트 연결에 의해 정숙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 세제 교반익(50)을 구동하는 교반익 구동축(51)의 축수(55)나 축 밀봉 부재(57)는 세제 용해 용기(21)의 저벽(21a)에 기립시킨 통상부(筒狀部; 21b)와 세제 교반익(50)의 하측에 형성한 오목부(50b)에 의해 공기 대기실을 형성하여 고농도 세제액의 투입을 저지하여 분말 합성 세제에 함유되어 있는 첨가제(특히 제오라이트)에 의한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세제 투입은 세제 용해 용기(21) 상에 진퇴 가능하게 탑재하여 의류 투입구(9a)에 인출한 세제 투입 용기(73)를 통해 행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세제 투입이 용이하다.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세탁기의 상면 커버에 설치한 후부 수납부 내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분말 세제가 잘 용해한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여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킬 수 있는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분말 합성 세제에 함유되어 있는 첨가제(특히 제오라이트)에 의한 손상을 경감할 수 있는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세제 투입이 용이한 고농도 세제액 생성·공급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를 소량의 세제 용해수로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예를 들면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200∼300배의 농도)을 생성하고, 이 고농도 세제액을 희석하면서 습윤시킨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킴으로써 세제의 화학적인 세정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도록 함으로써, 세탁 공정에서 세탁물에 작용시키는 기계력을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겸 탈수조 내에서 탈수한 세탁물을 이 세탁겸 탈수조에 온풍을 불어넣음으로써 건조시키는 세탁 건조기에서는, 세탁물의 엉킴을 경감시킴으로써 건조 불균일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검출량에 따라 설정한 양의 세제를 소량의 세제 용해수로 용해하여 고농도 세제액을 생성하고, 이를 희석하면서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세탁에 적합한 양의 세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소형의 세제 용해 용기에 의해 침지에 바람직한 고농도 세제액과 바람직한 세제 농도의 세탁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세탁 건조기를 종단면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3은 도1 및 도2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4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컨트롤 유닛에서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실행하는 각 공정의 제어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5는 세제를 용해하는 물의 경도와 세제 농도와 유효한 계면 활성제의 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6은 세탁물에 침지시키는 세제액 농도와 화학적 세정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이커 시험의 특성도.
도7은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하여 생성한 세제액의 세제 농도와 알칼리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8은 세제 농도 1배의 세탁수에서의 알칼리도(PH)와 화학적 세정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이커 시험의 특성도.
도9는 세제액의 세제 농도와 효소에 의한 화학적 세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이커 시험의 특성도.
도10은 세탁 시간과 세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11은 세탁 시간과 빨래 엉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 건조기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13은 도12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전기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 건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15는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외부 프레임의 후측을 절단하여 순환 풍로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16은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저면도.
도17은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상면 커버를 떼어내고 외조(外槽)와 순환 풍로부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18은 도17에서의 실밥 포집부의 종단 측면도.
도19는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외부 프레임과 외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20은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외조 상의 커버 분해도.
도21은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일체 성형한 외조와 각 덕트를 형성 금형과 함께 나타낸 사시도.
도22는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일체 성형한 외조와 각 덕트를 성형 금형과 함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배면도.
도23은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와 세제 교반 전동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도24는 도23에 나타낸 세제 용해 용기를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5는 도24에 나타낸 세제 용해 용기의 정면도.
도26은 도24에 나타낸 세제 용해 용기의 상면도.
도27은 도24에 나타낸 세제 용해 용기의 좌측면도.
도28은 도24에 나타낸 세제 용해 용기의 우측면도.
도29는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와 주급수 전자 밸브 및 보조급수 전자 밸브를 장착한 상면 커버를 백 패널을 열어 나타낸 사시도.
도30은 도14에 나타낸 세탁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밀어 넣은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31은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약간 끌어낸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32는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더 끌어낸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33은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세제 용해 용기에 탑재한 세제 투입 용기를 더욱 더 끌어낸 상태의 종단측면도.
도34는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외부덮개를 열고 세제 투입 용기를 끌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 커버의 사시도.
도35는 도14에 나타낸 세탁 건조기의 외부 덮개를 열고 세제 투입 용기를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태는 상면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프레임
2 : 세탁겸 탈수조
3 : 유체 밸런서
4 : 교반익
5 : 외조(外槽)
6 : 구동 장치
7 : 장착 베이스
8 : 방진 지지 장치
9 : 상면 커버
9a : 의류 투입 개구
10 : 프론트 패널
11 : 백 패널
12 : 프론트 패널 박스
13 : 전원 스위치
14 : 조작 패널
15 : 수위 센서
16 : 컨트롤 유닛
17 : 백 패널 박스
18 : 수도꼭지 접속구
19 : 주수구(注水口)
20 : 주급수 전자 밸브
21 : 세제 용해 용기
22 : 보조급수 전자 밸브
28 : 외조 상부 커버

Claims (13)

  1.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겸탈수조, 상기 세탁겸탈수조 내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겸탈수조 내의 교반익, 상기 세탁겸탈수조 및 교반익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 세제용해용기에 투입된 분말세제를 물에 녹여 고농도세제액을 생성하는 고농도세제액생성수단, 세탁수을 급수하는 주급수전자밸브 및 상기 세제용해용기에 급수하는 보조급수전자밸브를 포함하는 급수수단, 상기 외조의 저부 근처로부터 공기를 취출하며 제습 및 가열하여 세탁겸탈수조에 흡입하는 온풍순환건조수단,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 및 급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세탁겸탈수조 내의 세탁물에 대응하여, 세탁수에 의한 세탁, 헹굼수에 의한 헹금, 원심탈수, 온풍건조의 각 공정을 차례로 실행하는 세탁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세탁겸탈수조 내에 급수하여 세탁겸탈수조 내의 세탁물을 습윤시키는 습윤공정, 상기 세제용해용기의 분말세제를 세제용해수로 용해하여 세탁공정에서 세탁수에 용해되는 세제농도보다 고농도인 고농도세제액을 생성하는 고농도세제액생성공정, 상기 보조급수전자밸브를 단속적으로 개폐하여 세제용해용기 내에 간헐급수함으로써 세제용해용기로부터 고농도세제액을 일수(溢水)시킴과 동시에 주급수전자밸브를 단속적으로 개폐하여 간헐급수시킴으로써 고농도세제액을 세탁공정의 세탁수의 세제농도의 5 내지 30배로 희석하면서 세탁겸탈수조 내의 상기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키는 침지공정, 침지공정 후에 급수하여 생성한 세탁수 중의 세탁물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공정, 헹굼 및 탈수 공정, 그리고 세탁겸탈수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여 탈수완료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와 세제의 양은 세탁물에 대응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는 분말합성세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분말합성세제를 세제용해수에 용해하여 세제용해용기 내에 생성하는 고농도세제액의 세제농도는 세탁수의 세제농도의 200∼300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침지공정은 세탁물을 회전 또는 교반하면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공정은 세탁물을 습윤시킨 상태에서 세탁겸탈수조를 저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소정 시간 방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7.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겸탈수조, 상기 세탁겸탈수조 내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겸탈수조 내의 교반익, 상기 세탁겸탈수조 및 교반익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 세제용해용기에 투입된 분말세제를 물에 녹여 고농도세제액을 생성하는 고농도세제액생성수단, 세탁수을 급수하는 주급수전자밸브 및 상기 세제용해용기에 급수하는 보조급수전자밸브를 가지는 급수수단,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 및 급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세탁겸탈수조 내의 세탁물을 고농도세제액에 침윤시킨 후에 급수하여 세탁 및 헹굼공정을 실행하고, 이 후에 탈수공정을 실행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세탁겸탈수조 내에 급수하여 세탁겸탈수조 내의 세탁물을 습윤시키는 습윤공정, 상기 세제용해용기의 분말세제를 세제용해수로 용해하여 세탁공정의 세탁수에 용해하는 세제농도보다 고농도인 고농도세제액을 생성하는 고농도세제액공정, 상기 보조급수전자밸브를 단속적으로 개폐하여 세제용해용기 내에 간헐급수함으로써 세제용해용기로부터 고농도 세제액을 일수(溢水)시킴과 동시에 주급수전자밸브를 단속적으로 개폐하여 간헐급수시킴으로써 고농도세제액을 세탁공정의 세탁수의 세제농도의 5 내지 30배로 희석하면서 세탁겸탈수조 내의 상기 세탁물에 부어 침지시키는 침지공정, 침지공정 후에 세탁에 필요한 양의 물을 공급하여 생성된 세탁수 중의 세탁물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와 세제의 양은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는 분말합성세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분말합성세제를 세제용해수에 용해시켜 생성하는 고농도세재액의 세제농도는 세탁수의 세제농도의 200 내지 300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7항에 있어서, 침지공정은 세탁물을 회전 또는 교반시키면서 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공정은 세탁물을 습윤시킨 상태에서 세탁겸탈수조를 저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소정 시간 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삭제
KR10-2002-0030955A 2001-06-04 2002-06-03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KR100493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68890 2001-06-04
JP2001168895A JP3907160B2 (ja) 2001-06-04 2001-06-04 洗濯乾燥機
JPJP-P-2001-00168895 2001-06-04
JP2001168890A JP2002360975A (ja) 2001-06-04 2001-06-04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806A KR20020092806A (ko) 2002-12-12
KR100493597B1 true KR100493597B1 (ko) 2005-06-03

Family

ID=2661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955A KR100493597B1 (ko) 2001-06-04 2002-06-03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93597B1 (ko)
CN (1) CN13896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9845B2 (ja) * 2004-02-06 2008-01-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US8522380B2 (en) 2006-06-19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US8312582B2 (en) 2006-06-19 2012-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38881B1 (ko) * 2006-06-19 2012-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100966715B1 (ko) * 2008-03-13 2010-06-29 김원종 가스레인지용 공기 조절장치
CN101560723B (zh) * 2009-06-01 2010-09-22 中国计量学院 用于洗衣机的干燥***
US10905305B2 (en) * 2011-05-20 2021-02-02 Ecolab Usa Inc. Automate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CN102776749B (zh) * 2012-08-13 2014-12-31 宁波新乐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涤方法
CN107385797B (zh) * 2017-07-31 2019-10-2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溶解盒组件和具有其的洗衣机
CN109811504B (zh) * 2017-11-20 2021-11-1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和洗衣机
CN116695383A (zh) * 2022-02-25 2023-09-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185A (en) * 1986-01-09 1990-10-23 Ecolab Inc. Chemical solution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US5191668A (en) * 1992-01-02 1993-03-09 Whirlpool Corporation Spin method of rinsing fabric in a horizontal axis washer
JPH0564695A (ja) * 1991-09-06 1993-03-1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H0866586A (ja) * 1994-08-31 1996-03-12 Toshiba Corp 洗濯機の濃縮液剤投入装置
KR100195558B1 (ko) * 1990-01-05 1999-06-15 휠풀 코포레이션 수직축 자동세탁기의 고성능 세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185A (en) * 1986-01-09 1990-10-23 Ecolab Inc. Chemical solution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KR100195558B1 (ko) * 1990-01-05 1999-06-15 휠풀 코포레이션 수직축 자동세탁기의 고성능 세탁 방법 및 장치
JPH0564695A (ja) * 1991-09-06 1993-03-1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US5191668A (en) * 1992-01-02 1993-03-09 Whirlpool Corporation Spin method of rinsing fabric in a horizontal axis washer
JPH0866586A (ja) * 1994-08-31 1996-03-12 Toshiba Corp 洗濯機の濃縮液剤投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806A (ko) 2002-12-12
CN1389620A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597B1 (ko)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KR100544247B1 (ko) 세탁기
JP3877052B2 (ja) 洗濯乾燥機
KR100473752B1 (ko) 세탁 건조기
JP2004358087A (ja) 洗濯機
JP3636107B2 (ja) 洗濯機
JP3906650B2 (ja) 洗濯機
JP3636106B2 (ja) 洗濯機
JP4786601B2 (ja) 電気洗濯機
JP3636105B2 (ja) 洗濯機
JP3757819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3603814B2 (ja) 洗濯乾燥機
JP3825280B2 (ja) 洗濯乾燥機
JP3820117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3907160B2 (ja) 洗濯乾燥機
JP2004305786A (ja) 洗濯機
JP4253660B2 (ja) 電気洗濯機
JP3823835B2 (ja) 洗濯乾燥機
JP2002360975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3906651B2 (ja) 洗濯乾燥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18586A (ja) 洗濯乾燥機
JP3629443B2 (ja) 洗濯乾燥機
JP3629442B2 (ja) 洗濯乾燥機
JP2004008276A (ja) 電気洗濯機
JP2003053090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