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111B1 - 4-피리디닐-n-아실-l-페닐알라닌 - Google Patents

4-피리디닐-n-아실-l-페닐알라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111B1
KR100492111B1 KR10-2002-7007201A KR20027007201A KR100492111B1 KR 100492111 B1 KR100492111 B1 KR 100492111B1 KR 20027007201 A KR20027007201 A KR 20027007201A KR 100492111 B1 KR100492111 B1 KR 10049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hydrogen
formula
carbonyl
pyrid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256A (ko
Inventor
카플란제럴드루이스
싯두리아큐타라오
틸리제퍼슨라이트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02006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1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5Amino or imino radicals, acylated by carboxylic or carbonic acids, or by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e.g. carbam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CAM-1와 VLA-4 발현 세포간 결합의 억제제로서의 활성을 가지므로, 그 증상 및/또는 손상이 VLA-4 발현 세포에 대한 VCAM-1의 결합과 관련되는 질환, 예를 들어, 만성 염증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 내지 R7은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4-피리디닐-N-아실-L-페닐알라닌{4-PYRIDINYL-N-ACYL-L-PHENYLALANINES}
면역글로불린(Ig) 초유전자 부류의 일원인 혈관 세포 부착 분자-1(vascular cell adhesive molecule-1, VCAM-1)는 휴지중이 아닌 활성화된 내피 상에서 발현된다. 호중구는 제외하고 순환 림프구, 호산구, 호염기구 및 단핵구를 포함하여 많은 유형의 세포에서 발현되는 인테그린(integrin) VLA-4(α4β1) 가 VCAM-1에 대한 주 수용체이다. VCAM-1 또는 VAL-4에 대한 항체는 시험관내에서 상기 단핵 백혈구, 및 흑색종 세포가 활성화된 내피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한 단백질에 대한 항체들은 여러 동물 염증 모델에서 백혈구 침윤을 억제하고 조직 손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항-VAL-4 단클론성 항체들은 보조제-유도된 관절염에서 T-세포 이동을 차단하고, 천식 모델에서 호산구 축적 및 기관지수축을 방지하며, 실험상의 자가면역 뇌염(EAE)에서 마비를 경감시키고 단핵구 및 림프구 침윤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항-VCAM-1 단클론성 항체는 심장 동종이식편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의 연구들은 항-VLA-4 mAb가 비만이 아닌 당뇨성 마우스에서 췌도염 및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목화머리 타마린(cotton-top tamarin) 대장염 모델에서 염증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VCAM은 염증성 장 질환의 TNB/에탄올 래트 모델에서 염증이 있는 결장 조직의 내피 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α4-함유 인테그린과 VCAM-1 사이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류마티스성 관절염(RA), 다발성 경화증(MS), 천식 및 염증성 장 질환(IBD)과 같은 만성 염증 질환의 치료에 치료제로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할로겐"이란 용어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브롬, 염소, 플루오르 및 요오드의 네 할로겐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할로겐은 브롬, 플루오르 및 염소이다.
"저급 알킬"이란 용어는, 단독으로 또는 함께, 1 내지 최대 6개까지의 탄소 원자(C1-C6)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급 부틸, 이소부틸, 3급 부틸, n-펜틸, n-헥실 등을 의미한다.
"치환된 저급 알킬"이란 용어는 사이클로알킬, 니트로, 아릴옥시, 아릴, 하이드록시, 할로겐, 시아노, 저급 알콕시, 저급 알카노일,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 설피닐, 저급 알킬 설포닐, 아미노 및 모노- 또는 디-저급 알킬 아미노로 구성된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저급 알킬기를 의미한다. 치환된 저급 알킬기의 예로는 2-하이드록실에틸, 3-옥소부틸, 시아노메틸 및 2-니트로프로필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특히 R3 및 R5 위치에서 치환된 저급 알킬기인 트리플루오로메틸에 관한 것이지만, 펜타플루오로에틸도 또한 상기 위치에서 고려된다. 이것은 또한 R22 및 R23의 경우도 그러하다.
용어 "사이클로알킬"(또는 저급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되지 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3- 내지 7-원 탄소환 고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치환체는 하이드록시, 할로겐, 시아노, 저급 알콕시, 저급 알카노일, 저급 알킬, 아로일,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 설피닐, 저급 알킬 설포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모노- 또는 디-저급 알킬 치환된 아미노이다.
용어 "저급 알케닐"은 임의의 인접한 두 탄소원자 사이에 위치한 이중 결합을 갖는, 2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기를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콕시"는 최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기,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3급 부톡시 등을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킬티오"는 2가 황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위치에 결합된 저급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머캅토 또는 이소프로필 머캅토기를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킬설피닐"은 설피닐기의 황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저급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킬 설포닐"은 설포닐기의 황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저급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은 통상적인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모노- 또는 비사이클릭 방향족기, 예를 들면, 페닐 또는 나프틸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치환체는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하이드록시 저급 알킬,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콕시, 할로겐,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알킬설포닐, 시아노, 니트로,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 알카노일, 아로일, 아릴 알키닐, 저급 알키닐 및 저급 알카노일아미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아릴기의 예는 페닐, p-톨릴, p-메톡시페닐, p-클로로페닐, m-하이드록시 페닐, m-메틸티오페닐, 2-메틸-5-니트로페닐, 2,6-디클로로페닐, 1-나프틸 등이다.
용어 "아릴알킬"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저급 알킬기를 의미한다. 임의의 통상적인 아르알킬, 예를들면 벤질 등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N, S 또는 O인 헤테로 원자 1, 2, 3 또는 4개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5- 또는 6-원 모노사이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 또는 9- 또는 10-원 비사이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 고리의 예는 피리딘, 벤즈이미다졸, 인돌, 이미다졸, 티오펜, 이소퀴놀린, 퀴나졸린 등이다. "아릴"에 대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체들이 헤테로아릴의 정의에 포함된다.
용어 "저급 알콕시카보닐"은 카보닐기를 통해 결합된 저급 알콕시기를 의미한다. 알콕시카보닐기의 예는 에톡시카보닐 등이다.
용어 "저급 알킬카보닐옥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결합된 저급 알킬카보닐옥시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아세톡시기이다. 상기 용어는 용어 "아실옥시"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용어 "저급 알카노일"은 카보닐기를 통해 결합된 저급 알킬기를 의미하며, 상기 정의의 의미에서, 아세틸, 프로피오닐 등과 같은기를 포함한다. 용어 "퍼플루오로 저급 알카노일"은 카보닐기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기(모든 수소가 플루오로로 치환된, 치환된 저급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펜타플루오로에틸)를 의미한다. 용어 "퍼플루오로 저급 알카노일아미노"는 아미노기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퍼플루오로 저급 알카노일기를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킬카보닐아미노"는 질소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저급 알킬카보닐기, 예를 들면, 아세틸아미노를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킬아미노카보닐"은 카보닐기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저급 알킬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아미노카보닐"은 카보닐기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추가로 결합된 아미노기에 결합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로일"은 카보닐기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모노- 또는 비사이클릭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아로일기의 예는 벤조일, 3-시아노벤조일, 2-나프토일, 니코티노일 등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화합물의 화학적 성질을 고려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산성 화합물에 대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예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기성 아민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 암모늄 또는 알킬 암모늄 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특히 바람직한 염은 나트륨 염, 예를 들면, R6이 H인 나트륨 염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산의 나트륨염은 수산화 나트륨으로 처리함으로써 산으로부터 용이하게 수득된다. 염기성 화합물의 경우, 염의 예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시트르산, 포름산, 푸마르산, 말레산, 아세트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메탄설폰산 및 p-톨루엔설폰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염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특정 질환의 치료에 있어 약제로서의 그의 용도,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중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1은 하기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화학식 Y-1, Y-2 또는 Y-3의 기이다:
Y-1은 하기 화학식 Y-1의 기이고:
상기 식에서,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니트로, 시아노,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알킬 설포닐, 저급 알카노일, 할로겐 또는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이고, R22 및 R23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며; R24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 니트로, 시아노, 저급 알킬 설포닐 또는 할로겐이고;
Y-2는 N, O 및 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며 고리의 1 또는 2개의 원자가 저급 알킬, 사이클로알킬, 할로겐, 시아노,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 또는 아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된 원자들중 적어도 하나는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탄소 원자에 인접한, 탄소원자를 통해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5 또는 6원 헤테로 방향족 고리인 기이고;
Y-3은 하기 화학식 Y-3의 3 내지 7원 고리이며:
상기 식에서,
R25는 저급 알킬, 플루오르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저급 알케닐, 또는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은 아릴, 헤테로아릴, 아지도, 시아노, 하이드록시, 저급 알콕시, 저급 알콕시카보닐, 저급 알카노일,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 설포닐, 저급 알킬 설피닐, 퍼플루오로 저급 알카노일, 니트로이거나, 또는 R26은 -NR28R29의 기이고, R28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9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카보닐, 저급 알카노일, 아로일, 퍼플루오로 저급 알카노일아미노, 저급 알킬 설포닐, 저급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이거나, 또는 R28 및 R29는 그들이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및 N-R4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추가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4, 5 또는 6-원 포화 헤테로환 고리를 형성하고, Q는 -(CH2)fO-, -(CH2)fS-, -(CH2)fN(R27)-, -(CH2)f-이고, R27은 H, 저급 알킬, 아릴, 저급 알카노일, 아로일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이고, R40은 H, 저급 알킬, 아릴, 저급 알카노일, 아로일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이고, 고리 중의 탄소원자는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R2는 수소,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아릴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 또는 아릴이며, 또한 트리플루오로메틸을 포함할 수 있고;
R4는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 또는 아릴이고;
R5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OH이며;
R6은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킬카보닐옥시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6은 하기 화학식 P-3의 기이거나:
(상기 식에서, R32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33은 수소, 저급 알킬, 아릴이며, R34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h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g는 0 내지 2의 정수이며, h와 g의 합은 1 내지 3이다), 또는
R6은 하기 화학식 P-4의 기이고:
(상기 식에서, R32, g 및 h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Q'는 O, S, -(CH2)j-, 또는 N-R35의 기이고, R35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카노일, 저급 알콕시카보닐이고, j는 0, 1 또는 2이다);
R7은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이다.
바람직하게, Q는 -(CH2)fO-, -(CH2)fS- 또는 -(CH2) f-이다(화학식 Ia).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R5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화학식 Ib).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입체이성체 및 부분입체이성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이성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화학식 I,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의 첫 번째 바람직한 태양에서, R2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고, R5는 수소, 저급 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또한 저급 알콕시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고, R6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은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태양의 더욱 바람직한 태양은 하기 화학식 I, Ia 또는 Ib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하기 화학식 Y-1의 기이다:
화학식 Y-I
상기 식에서,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니트로, 시아노,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설피닐, 저급 알킬 설포닐, 저급 알카노일, 할로겐 또는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이고, R22 및 R23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고, R24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아릴, 니트로, 시아노, 저급 알킬 설포닐 또는 할로겐이고, 보다 특히는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 또는 저급 알콕시이거나; 또는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 특히 수소이다. 상기 화합물에서, R2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 특히 아릴 저급 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합물에서, R3은 수소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킬일 수 있으며(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R5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콕시일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R6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은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태양은, R1이 하기 화학식 Y-1의 기인 상기 화학식 I,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Y-1
상기 식에서,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 특히는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 특히 수소이다. 상기 화합물에서, R2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5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6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 은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다 바람직한 태양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 또는 저급 알콕시이며, R2는 아릴 저급 알킬이다. 또는, 상기 화합물에서, R2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 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킬일 수 있으며(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R5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콕시일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R6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은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R1이 N, O 및 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그중 1 또는 2개의 원자가 저급 알킬, 사이클로알킬, 할로겐, 시아노,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 또는 아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된 원자들중 적어도 하나가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탄소원자에 인접한, 탄소원자를 통해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5 또는 6원 헤테로 방향족 고리인, 특히 첫 번째 바람직한 태양의 상기 화학식 I,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에서는, R2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R5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저급 알킬이고(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R6이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이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화합물에서, R2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이 수소이며; R4가 수소 또는 할로겐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킬일 수 있으며(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R5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콕시일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R6이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이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R1이 하기 화학식 Y-3의 3 내지 7원 고리인 상기 화학식 I,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Y-3
상기 식에서,
R25는 저급 알킬, 플루오르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저급 알케닐 또는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은 아릴, 헤테로아릴, 아지도, 시아노, 하이드록시, 저급 알콕시, 저급 알콕시카보닐, 저급 알카노일, 저급 알킬티오, 저급 알킬 설포닐, 저급 알킬 설피닐, 퍼플루오로 저급 알카노일, 니트로이거나, 또는 R26은 화학식 -NR28R29의 기이고, R28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9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카보닐, 저급 알카노일, 아로일, 퍼플루오로 저급 알카노일아미노, 저급 알킬 설포닐, 저급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이거나, 또는 R28 및 R29는 결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O, S 및 N-R4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추가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4, 5 또는 6-원 포화 헤테로환 고리를 형성한다. Q는 -(CH2)fO-, -(CH2)fS-, -(CH2)fN(R27)-, -(CH2)f-이고, R27은 H, 저급 알킬, 아릴, 저급 알카노일, 아로일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이고, R40은 H, 저급 알킬, 아릴, 저급 알카노일, 아로일 또는 저급 알콕시카보닐이고, 고리 중의 탄소원자는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화합물에서는, R2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이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가 수소 또는 할로겐(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고; R5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저급 알킬(바람직하게는 수소)이며; R6이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이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화합물에서, R2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킬일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R5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콕시일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R6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은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태양은, R1이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Y-3의 기, 보다 특히 하기 화학식 Y-3의 3 내지 7원 고리인, 특히는 첫 번째 바람직한 태양의 화학식 I,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Y-3
상기 식에서,
R25는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은 저급 알콕시이고, Q는 -(CH2)f-이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R2가 수소,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아릴 또는 아릴 저급 알킬, 특히 아릴 저급 알킬인 상기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R2가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수소 또는 할로겐이며; R5가 수소이고; R6이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이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인 상기 화합물도 또한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화합물에서, R2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킬일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이다); R5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또는 또한 저급 알콕시일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R6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7은 수소, 클로로, 저급 알콕시 또는 저급 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I,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임의의 화합물에서, R1은 화학식 Y-1의 기 또는 화학식 Y-3의 기일 수 있고; R2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 특히는 메틸이거나, 또는 아릴 저급 알킬, 특히는 벤질일 수 있고; R3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일 수 있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일 수 있고; R5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일 수 있고; R6은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킬카보닐옥시 저급 알킬 또는 화학식 P-3의 기일 수 있고 또한 화학식 P-4의 기일 수 있으며; R7은 저급 알킬 또는 수소, 바람직하게는 수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b의 임의의 화합물, 또는 바로 앞의 단락에서 기술한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화학식 Y-1 및 Y-3에 속하는 기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선택될 수 있다: R22 및 R23은 수소, 할로겐, 저급 알킬이고, R24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5는 화학식 R26-(CH2)e -의 기이고, R26은 저급 알콕시이고, Q는 -(CH2)f-이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이거나, R2는 저급 알킬이고, R4는 수소이고, R3 및 R5는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6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킬카보닐옥시 저급 알킬, 또는 화학식 P-3(여기서, 바람직하게는 R32는 수소이고, R33 및 R34는 저급 알킬이며, g 및 h중 하나는 1이고 다른 하나는 0이다)의 기이다. 상기 화합물에서, 바람직하게는 R6 및 R7은 수소이고/이거나, R2는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5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며, 바람직하게는 R22 및 R23은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 특히는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이거나, 또는 R22 및 R23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 또는 저급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수소이거나, 또는 R1은 Y-3이다. 특정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1-메틸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다른 상기 화합물에서, R22 및 R23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4는 수소 또는 저급 알콕시이고, R25는 화학식 R26-(CH2) e-의 기이고, R26은 저급 알콕시이고, Q는 -(CH2)f-이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며, 특히 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이고/이거나, R2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4는 할로겐이고, R5, R6 및 R7은 수소이다. R1 이 Y-1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화학식 I, 화학식 Ia 또는 화학식 Ib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은 화학식 Y-1의 기 또는 화학식 Y-3의 기이고; R2는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5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며; R6은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킬카보닐옥시 저급 알킬 또는 화학식 P-3의 기이고; R7은 수소이다(화학식 A).
화학식 A의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Y-1 및 Y-3에 속하는 기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선택될 수 있다: R22 및 R23은 수소, 할로겐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4 는 수소 또는 저급 알콕시이고, R25는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은 저급 알콕시이며, Q는 -(CH2)f-이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화학식 A-1).
화학식 A-1의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2는 저급 알킬이고, R4는 수소이고, R3 및 R5는 저급 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화학식 A-1a). 화학식 A-1a의 한 태양에서, R6은 수소이다. 상기 태양에서, R1은 Y-1의 기일 수 있고, 특히 여기서 R 22 및 R23은 할로겐 또는 저급 알킬이거나, 또는 R1은 Y-3의 기일 수 있다. 화학식 A-1a의 다른 태양에서, R6은 저급 알킬, 특히 메틸이거나, 또는 저급 알킬카보닐옥시 저급 알킬, 특히 1-(아세톡시)에틸이거나, 또는 화학식 P-3(여기서, R32는 수소이고, R33 및 R34는 저급 알킬, 특히 메틸 또는 에틸이고, g 및 h중 하나는 1이고 다른 하나는 0이다)의 기이다.
R6이 저급 알킬인 경우, 특정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
R6이 저급 알킬카보닐옥시-저급 알킬인 경우, 특정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R6이 P-3인 경우, 특정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화학식 A-1의 또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6은 수소이다. R2는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5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인 것이 바람직하다(화학식 A-1b). 화학식 A-1b의 한 태양에서, R1은 Y-1의 기이다. 바람직하게, R22 및 R23은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이거나, 또는 R22 및 R23은 할로겐이고, R24는 수소이며, 특히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또는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이거나, 또는 R22 및 R2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23은 저급 알콕시이다. 화학식 A-1b의 또 다른 태양에서, R1은 Y-3의 기, 특히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이다.
화학식 A의 또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은 Y-1의 기이고, R22 및 R23은 할로겐 또는 저급 알킬이고, R24는 수소 또는 저급 알콕시이거나, 또는 R1은 Y-3의 기이고, R25는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은 저급 알콕시이며, Q는 -(CH2)f-이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R2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이고, R4는 할로겐이고, R5, R6 및 R7은 수소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Y-1의 기, 특히는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L-페닐알라닌; 또는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이다.
또 다른 태양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2 내지 R5 및 R7은 화학식 I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1 및 P2는 각각 보호기이다. 보다 특히, P1은 3급 부틸옥시카보닐(Boc) 또는 카보벤질옥시기와 같은 표준 질소 보호기이고, P2는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과 같은 표준 카복시 보호기이다. 이들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순환 림프구, 호산구, 호염기구 및 단핵구("VLA-4 발현 세포") 상에서 VLA-4에 VCAM-1 및 피브로넥틴이 결합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세포상에서의 VLA-4에 대한 VCAM-1 및 피브로넥틴의 결합은 특정 질환 상태, 예를 들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에 관여하며, 특히 천식에서 발생하는 폐렴 유발의 원인이 되는 기도 내피에 대한 호산구의 결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천식의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
순환 림프구, 호산구, 호염기구 및 단핵구 상에서의 VLA-4에 대한 VCAM-1 및 피브로넥틴의 결합을 억제하는 그의 능력을 근거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상기 결합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질환의 치료에 약제 또는 약학 조성물로서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환의 예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천식 및 염증성 장 질환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천식과 같은, 폐렴을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천식에서 발생하는 폐렴은 일종의 천식-유발 상황 또는 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호산구, 단핵구 및 림프구의 활성화 및 폐 침윤과 관련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림프구, 호산구 및 T-세포에서 발현되는, LPAM으로도 알려진 세포 수용체 α4-β7에 대한 VCAM-1 및 MadCAM의 결합을 억제한다. 천식과 같은 염증성 증상에서 다양한 리간드와 α4-β7 상호작용의 정확한 역할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α4-β1 및 α4-β7 수용체 결합 둘 다를 억제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동물의 천식 모델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α4-β7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를 이용한 추가의 연구 결과 MadCAM 또는 VCAM에 대한 α4-β7 결합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상기 결합이 질환 손상 또는 증상의 원인으로 관여하는 다른 질환들의 치료에도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적으로, 직장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피하, 척수강내 또는 경피적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설하로, 또는 안과적 제제로서, 또는 폐렴의 경우 에어로졸로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캡슐, 정제, 현탁액 또는 용액, 좌약, 주사액, 점안제, 연고 또는 분무액이 투여 형태의 예이다.
정맥내, 근육내, 경구 또는 흡입 투여가 바람직한 사용 형태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투여량은 특정 활성 성분의 성질, 환자의 연령 및 조건, 및 투여 방식에 따라 효과량으로 투여된다. 투여량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면, 용량-제한 임상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VLA-4-발현 세포에 대한 VCAM-1 또는 피브로넥틴 결합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질환의 증상 또는 손상에 있어 VLA-4-발현 세포에 대한 VCAM-1 또는 피브로넥틴 결합이 원인 인자가 되는 질환을 앓고 있는 숙주를 치료하여, 상기 증상 또는 손상을 경감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100 ㎎/㎏ 체중/일의 투여량이 바람직하며, 1 내지 25 ㎎/㎏ 체중/일의 투여량이 특히 바람직하고, 1 내지 10 ㎎/㎏ 체중/일의 투여량이 특히 더 바람직하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여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상용가능한 약학적 담체를 생약 투여 형태로 제조함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제형화할 수 있다. 정제 또는 과립은 일련의 결합제, 충전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멸균 수-혼화성 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캡슐은 활성 성분 이외에 충전제 또는 증점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향-개선 첨가제, 및 방부제, 안정화제, 보습제 및 유화제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및 삼투압 조절용 염, 완충액 및 기타 첨가제들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담체 물질 및 희석제는 임의의 통상적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또는 무기 물질, 예를 들면, 물, 젤라틴, 락토스,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석, 아라비아 고무, 폴리알킬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제 및 캡슐과 같은 경구용 단위 투여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0 ㎎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3-할로-2-피리돈과의 팔라듐 촉매화된 반응을 통해 적당한 페닐알라닌 유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1)과 같은 4-요오도- 또는 4-브로모페닐알라닌 유도체를 보호된 페닐알라닌 유도체(2)(여기서, R7'는 수소, 클로로,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이고, P1은 Boc 또는 카보벤질옥시기와 같은 표준 질소 보호기이며, P2는 보호기 또는 전구약물의 성분으로 작용하도록 적절히 선택된 저급 알킬 또는 치환된 저급 알킬이다)로 전환시킨다. 기 P2는 펩타이드 화학을 실시하는 사람에게 친숙한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도입할 수 있다. P1 및 P2의 부가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며 특정 시약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보호기의 이용 및 도입에 대한 고찰은 문헌 [Theodora W. Greene and Peter G.M. Wut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1991]에 나와 있다.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4의 화합물(여기서, R1'는 본 발명의 아실기의 성분을 나타낸다)로 전환시킬 수 있다. 편리한 방법은 에스테르기 P2를 먼저 도입한 후,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과 같은 3급 아민 염기의 존재하에 통상적인 펩타이드 커플링 시약, 예를 들면, HBTU를 이용하여 유리 아민을 커플링 반응시키는 것이다. 다시금, 특정 시약의 선택은 R1' 및 P2의 도입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화학식 2 또는 4의 화합물을 화학식 3 또는 5의 유도체(여기서, M은 치환된 주석 또는 붕소 원자를 나타낸다)로 전환시키는 반응은 팔라듐 제로의 공급원의 존재하에 적절한 종, 예를 들면, 헥사메틸디틴, 헥사부틸디틴 또는 테트라알콕시디보론으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문헌 [F. Diederich and P.J. Stang, ed., Metal Catalyzed Cross Coupling Reactions, Wiley-VCH, Weinheim, Germany, 1998]에 개략되고 언급되어 있다.
R3', R4' 및 R5'가 수소, 저급 알킬,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 할로겐, 아릴,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 알콕시인 화학식 6의 치환된 피리돈은 상업적으로 시판하거나 또는 문헌의 방법(예를 들면, 상기 공지된 방법들중 일부에 대한 고찰은 피. 워쓰(P. Wirth) 등의 독일 공개공보 제 28 17 293 호(1979년 8월 12일), 문헌 [Masaru Hojo, et al., Chem. Lett., 499-502, 1976; Robert W. Lang, et al., Helvetica Chimica Acta, 71, 596-601, 1988]에 나와 있다)에 따라 제조한다. R2'가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인 화학식 7의 화합물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탄산 칼륨과 같은 염기 및 선택적으로, 상 전이 촉매의 존재하에 요오도메탄, 벤질브로마이드와 같은 알킬화제로 처리하여 알킬화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반응성이 약한 알킬화제의 경우,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같은 더 강한 염기를 사용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7의 화합물은 빙초산 또는 수성 아세트산과 같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브롬, N-요오도숙신이미드 또는 N-브로모숙신이미드와 같은 통상적인 할로겐화 시약으로 처리하여 3번 위치에서 할로겐화시켜 화학식 8(여기서, X는 Br 또는 I이고,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 알킬, 치환된 저급 알킬 또는 아릴 저급 알킬이고, R3' 및 R5'는 수소, 저급 알킬 또는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이다)의 할로피리돈을 수득할 수 있다. 과량의 할로겐화제로 처리하면 R4'가 할로겐인 구조식 8의 화합물이 유도된다. R2'가 아릴인 화학식 8의 화합물의 경우, 공지된 화합물인 N-아릴 피리돈으로 출발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문헌 [Masakatusu, et al., Chem. Pharm. Bull., 45, 719, 1997]에 기술된 바와 같은 울만(Ullmann) 커플링 반응을 이용하여 아릴 잔기를 도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반응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8의 화합물은 화학식 3 또는 5의 페닐알라닌 유도체와의 팔라듐 촉매화된 커플링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이 치환된 주석인 경우, 화합물(8)과 화학식 3 또는 5의 페닐알라닌의 혼합물을 실온 내지 100 ℃의 온도에서 DMF와 같은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또는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와 같은 팔라듐 제로의 공급원으로 처리하면 화학식 9 또는 10의 화합물이 수득된다. 구조식 9의 화합물은 보호기 P1을 제거하여 구조식 10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상기 반응은 P1의 선택에 따라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1이 Boc기인 경우, 상기 기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 및 소거제의 존재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강산으로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생성된 유리 아민은 통상적인 펩타이드 커플링 기술을 이용하여 화학식 R1'CO2H의 산으로 아실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DMF와 같은 비양자성 용매의 존재하에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과 같은 3급 아민 염기의 존재하에 HBTU로 처리하여 구조식 10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유리산(11)이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인 경우, 에스테르기 P2는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2가 저급 알킬, 예를 들어, 메틸인 경우, 상기 기는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용해도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메탄올을 함유하는 수성 THF중에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면, 수산화 리튬으로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P2가 벤질 또는 치환된 벤질기인 경우에, 상기 기는 또한 귀금속 촉매, 예를 들면, 탄소상 팔라듐 상에서 접촉 수소화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는, 반응식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가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인 구조식 8의 화합물은 M'가 치환된 주석, 붕소 또는 아연 원자를 나타내는 화학식 12의 종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M'가 치환된 주석 또는 붕소 원자를 나타내는 주석 또는 붕소 유도체의 경우, 상기 전환반응은 팔라듐 제로 공급원의 존재하에 적절한 종, 예를 들면, 헥사메틸디틴, 헥사부틸디틴 또는 테트라알콕시디보론으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M'가 Zn(할로겐)인 아연 유도체(12)를 생성하는 경우,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실온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적절한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디메틸아세트아미드중에서 활성화된 아연 금속의 공급원으로 X가 I인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전환반응을 수행하여 M'가 Zn(할로겐)인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2의 화합물들을 팔라듐 제로의 공급원의 존재하에 X'가 요오도, 브로모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인 화학식 4'의 4-치환된 페닐알라닌 유도체와 반응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P2로 나타낸 에스테르기가 목표 화합물의 일부가 아닌 경우, 상기 기는 특정 P2에 적절한 에스테르 가수분해 절차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2가 저급 알킬, 예를 들면, 메틸인 경우, 상기 기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면, 수산화 리튬을 사용하여 표준 염기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절차를 변형시키는 경우, 커플링 반응을 통해 보호기를 이동시키고 나중에 치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P1'가 저급 알콕시카보닐 또는 벤질옥시카보닐이고 X'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구조식 12의 피리돈과 커플링시켜 구조식 9'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것은 이어서 상기 반응식 3에서 언급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R7'가 수소가 아닌 화합물에 특히 적용가능한, 반응식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대안적 경로는 화학식 14의 알데하이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반응은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R7'가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를 나타내고, X"가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옥시 잔기의 요오다이드, 브로마이드를 나타내며 R8이 보호된 알콜 또는 알데하이드를 나타내는 화학식 13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알콜의 경우, 적합한 보호기로는 실릴 에테르, 벤질 에테르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알데하이드는 그의 아세탈 유도체로서 보호될 수 있다. 화학식 12의 화합물은, R8이 알콜인 경우, 경우에 따라 산화 반응이 이어지는 보호기 제거반응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단계에 의해 화학식 15의 알데하이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1급 벤질 알콜을 알데하이드로 선택적으로 산화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시약들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불활성 용매중에서 활성화된 이산화 망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R8이 보호된 알데하이드를 나타내는 경우, 화학식 15의 알데하이드로 전환시키는 반응은 적절한 보호기 제거반응에 의해, 예를 들면, 묽은 산으로 아세탈을 가수분해시켜 수행할 수 있다. 화합물(15)를 반응시켜 화학식 16의 데하이드로아미노산을 수득하는 공정은 P1'가 저급 알콕시카보닐 또는 벤질옥시카보닐이고 P2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17의 비티히(Wittig) 시약으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15)를 적절한 염기,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구아니딘의 존재하에 (±)-N-(벤질옥시카보닐)-α-포스포노글리신 트리메틸 에스테르로 처리하면 P2가 메틸이고 P1'가 벤질옥시카보닐인 화학식 16의 데하이드로아미노산이 바로 수득된다. 화합물(16)을 L-아미노산(18)으로 거울상 선택적으로 환원시키는 반응은 필수적으로 문헌상의 절차를 이용하여 목적에 적합한 많은 환원제, 예를 들면, 최근 기재된 에틸-듀포스(DuPHOS) 로듐 시약[Burk, M.J., Feaster, J.E., Nugent, W.A., Harlow, R.L., J. Am. Chem. Soc., 115, 10125, 1993]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한 일반적 절차를 이용하여 화합물(18)을 본 발명의 화합물로 추가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는, 반응식 5에 개략된 일반적 방법을 이용하여 R7'가 수소가 아닌 구조식 4 또는 4'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구조식 4 또는 4'의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반응식 1 내지 4에서 개략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 태양에서, 구조식 11의 N-아실기, R1'는 2-치환된 벤조산으로부터 유도된다. 적절한 2-치환된 벤조산은 상업적으로 시판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르토-치환된 아릴 요오다이드 또는 트리플레이트는 일산화탄소 및 적절한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카보닐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요오다이드 또는 트리플레이트 중간체의 제조는 목적하는 특정 치환 패턴에 따라 달라지며, 아닐린을 직접 요오드화시키거나 디아조화시킨 후 요오다이드 공급원, 예를 들면, 요오드화 칼륨으로 처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트리플레이트는 불활성 용매중에서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폰산 무수물로 처리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페놀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반응식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르토-치환된 벤조산을 수득하는 한가지 다른 방법은 화학식 19(여기서, Z1 및 Z2는 수소, 알킬, 클로로,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이다)의 화합물과 같은 2-메톡시페닐옥사졸린 유도체를 문헌 [Meyers, A.I., Gabel, R. Mihelick, E.D., J. Org. Chem., 43, 1372-1379, 1978]에 기술된 일반 절차에 따라 그리나르 시약으로 처리한 후 옥사졸린 고리를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20의 산을 수득함을 포함한다. 2- 또는 2,6-이치환된 벤조니트릴도 또한 상응하는 벤조산에 대한 편리한 전구체로 작용한다. 입체장애가 큰 니트릴, 예를 들면, 2-클로로-6-메틸벤조니트릴의 경우,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하에서의 통상적인 가수분해가 어려우며, 상응하는 벤즈알데하이드로 DIBAL 환원시킨 후 크롬 기재 산화 시약을 사용하여 산화시킴으로써 더 좋은 결과가 수득된다. 다른 방법은 첸(Chen) 등의 WO 9910312 호에 예시되어 있다.
이제, 반응식 7과 관련하여, 화학식 23의 사이클릭 산은 공지된 화합물이거나 또는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치환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카복실산을 제조하기 위해, 산의 알칼리 금속 이음이온 또는 상응하는 에스테르의 단일음이온을 사용하여 알킬화 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21의 사이클로알킬 카복실산 에스테르를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THF중에서 강 염기, 예를 들면,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로 처리한 후 R41-Lv(여기서, R41은 목적하는 축쇄, 예를 들면, 치환된 벤질,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알킬, 아지도 저급 알킬 등을 나타내고, Lv는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메실레이트이거나 또는 에스테르 엔올레이트 알킬화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사 기와 같은 이탈기를 나타낸다)의 기를 부가할 수 있다. 생성 에스테르(22)는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수성 알콜중에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하여 산(23)으로 가수분해시킬 수 있다. R41의 성질 및 최종 목표에 따라, 화합물(23)을 화합물(1)과 같은 아민에 커플링시키고 목표 화합물로 바로 전환시킬 수 있거나, 또는 R41을 합성중 적절한 시점에서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41이 아지도 저급 알킬 잔기인 경우, 예를 들면, 트리알킬 포스핀 시약을 이용하여 아지드를 환원시킨 후 알킬화, 아실화, 설포닐화 및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공지된 관련 절차들에 의해 생성 아민을 작용화시킬 수 있다. R41이 이탈기, 예를 들면, 말단 브롬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를 적절한 친핵체, 예를 들면, 나트륨 메틸 머캅타이드로 치환시켜, 이 경우 티오에테르를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티오에테르는 목적 생성물일 수 있거나 또는 그 자체를, 예를 들면, 표준 반응 조건을 이용하여 설폭사이드 또는 설폰으로 산화시킴으로써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중간체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친핵체로는 나트륨 시아나이드, 나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아지드, 모르폴린 등이 포함된다. R41이 케탈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는 합성중 편리한 시점에서 가수분해시켜 케토기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기는 이어서, 예를 들면, 알콜로 환원시키거나 또는 옥심과 같은 유도체로 전환시킴으로써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화학식 23의 화합물의 합성에 상기 방법을 적용한 예가 첸 등의 WO 991031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R1이 Y-1 기인 화합물에 제조에 필요한 오르토-치환된 방향족 산은 첸 등의 WO 9910312 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R43이 저급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인 화학식 28의 2-클로로-6-알킬벤조산을 합성하는데 있어, 반응식 8에 기술된 절차가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상업적으로 시판하는 화학식 24의 알데하이드를 불활성, 소수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헵탄중에서 부틸아민으로 처리하여 R42가 저급 알킬, 바람직하게는 부틸인 이민(25)으로 전환시킨다. 생성된 화학식 25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THF중에서 과량의 그리나르 유도체(26)로 처리한 후, 후처리시에 산 처리하여 화학식 27의 알데하이드를 수득한다. 화합물(27)을 화학식 28의 산으로 산화시키는 공정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수성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적절한 용매 중의 화합물(27)의 용액을 실온 이하에서 나트륨 클로라이트 및 30% 과산화 수소로 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합성 말기에 에스테르 잔기를 도입하는 것이 더 편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 화합물의 전구약물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카복실산으로부터 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다양한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유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피셔(Fisher) 에스테르화로 알려진 절차인, 산, 예를 들면, 염산의 존재하에 알콜을 카복실산에 커플링시키는 공정이 포함된다. 또는, 4,4-디메틸아미노피리딘과 같은 촉진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카복실산과 알콜간의 디이미드 매개된 커플링 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디이미드는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이다. 또 다른 대안은 염기, 예를 들면, 중탄산 나트륨 및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DMF의 존재하에 반응성 알킬 할라이드, 예를 들면, 알킬 요오다이드 또는 아실옥시메틸 클로라이드로 카복실산을 처리하는 것이다. 특정 방법의 선택은 카복실산 및 목적하는 에스테르 잔기의 특정 조합의 성질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전구약물을 구성할 수 있는 에스테르기는 합성중 임의의 편리한 시점에서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기 P2는 바람직한 전구약물 에스테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최종 생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를 위해 나타내는 것이며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 방법: 융점은 토마스-후버(Thomas-Hoover) 장치에서 측정하였으며 보정하지 않았다. 광학 회전은 퍼킨-엘머(Perkin-Elmer) 모델 241 편광계로 측정하였다. 1H-NMR 스펙트럼은, 내부 기준으로 테트라메틸실란(TMS)을 사용하여, 배리언(Varian) XL-200, 머큐리(Mercury) 300 및 유니티플러스(Unityplus) 400 MHz 분광계로 기록하였다. 전자 충격(EI, 70 ev) 및 고속 원자 충돌(FAB) 질량 스펙트럼은 VG 오토스펙(Autospec) 또는 VG 70E-HF 질량 분광계에서 측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된 실리카겔은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 말린크로트 실리카르(Mallinkrodt SiliCar) 230-400 메쉬 실리카겔이었으며; 컬럼은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0 내지 5 psi 헤드의 질소하에 운전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는 이. 메르크(E. Merck # 1.05719)에서 공급하는 바와 같은 실리카겔로 코팅된 유리 박층판 상에서 가동하였으며, 관찰 박스에서 254 nm의 UV 광선하에 관찰하거나, I2 증기에 노출시키거나, 또는 수성 에탄올 중의 포스포몰리브드산(PMA)을 분무하거나, 또는 Cl2에 노출시킨 후 문헌 [E. Von Arx, M. Faupel and M Brugger, J. Chromatography, 120, 224-228, 1976]에 따라 제조된 4,4'-테트라메틸디아미노디페닐메탄 시약을 분무함으로써 가시화하였다.
역상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는 35 내지 40 분에 걸쳐 전형적으로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는 아세토니트릴:물(각각 0.75% TFA 함유)의 구배를 이용하여 49 ㎖/분의 유량으로 41.4 x 300 ㎜, 8 ㎛의 다이나맥스(Dynamax, 등록상표) C-18 컬럼을 사용하는 레이닌(Rainin) HPLC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HPLC 조건은 전형적으로 포맷으로(5-95-35-214) 기재되어 있으며; 이것은 214 ㎚의 파장에서 UV 검출기로 용출액을 모니터하면서 35 분에 걸쳐 수중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말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2-프로판올, DMF, THF, 톨루엔, 헥산, 에테르 및 메탄올은 피셔(Fisher) 시약 등급이며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으며, 아세토니트릴은 피셔 또는 베이커(Baker) HPLC용 등급이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원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THF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고,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고,
DMA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이며,
HOBT는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이고,
BOP는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고,
HATU는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고,
HBTU는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며,
DIPEA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이고,
DMAP는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이고,
DPPA는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이고,
DPPP는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이고,
DBU는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크-7-엔이고,
NaH는 수소화 나트륨이고,
염수는 포화 염화 나트륨 수용액이며,
TLC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이고,
LDA는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이고,
BOP-Cl은 비스(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핀산 클로라이드이고,
NMP는 N-메틸 피롤리디논이고,
로에슨(Lawesson) 시약은 [2,4-비스(4-메톡시페닐)-1,3-디티아-2,4-디포스페탄-2,4-디설파이드]이고,
NIS는 N-요오도숙신이미드이다.
바이오티지(Biotage) 컬럼 상에서의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란 미리 충전된 40g(40s 컬럼), 90g(40m 컬럼) 또는 800g(75m 컬럼)을 이용하여 바이오티지 디비젼 오브 더 다이액스 코포레이션(Biotage Division of Dyax Corp.)에서 공급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사용함을 말한다. 용출은 10 내지 15 psi 질소압하에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트리부틸)스태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톨루엔(50 ㎖) 중의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요오도-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3 g, 13 밀리몰) 및 헥사부틸디틴(27.5 ㎖, 54 밀리몰)의 용액을, 혼합물을 진공하에 액체 질소중에서 냉동시키고 아르곤하에서 해동시키는 것을 교대로 하여(3회) 탈산소화시켰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280 ㎎, 0.22 밀리몰)을 가하고, 색이 황색에서 흑색으로 변했을 때 반응 혼합물을 45 분간 가열 환류시켰다. TLC(1:6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결과 약간의 출발 물질인 요오다이드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추가 분량(140 ㎎, 0.11 밀리몰)의 촉매를 가하였다. 1 시간동안 환류를 지속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헥산(200 ㎖) 및 트리에틸아민(30 ㎖)에 용해시키고 30 분간 교반하고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하고, 150 g의 실리카겔을 함유하는 무수 실리카겔 컬럼 상에서 헥산에 이어 1:6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트리부틸)스태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7 g, 77%)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R(+)LSIMS(C27H47NO4Sn): m/z 1081(2M-C4 H9) 570(M+H).
실시예 2
2-아미노-3-브로모-5-클로로피리딘
아세트산(25 ㎖) 중의 2-아미노-5-클로로피리딘(5.14 g, 40 밀리몰) 및 무수 나트륨 아세테이트(3.29 g, 40 밀리몰)의 현탁액을 기계적으로 교반하고 45 ℃의 욕조 온도로 가온시켰다. 아세트산(2 ㎖) 중의 브롬(2.1 ㎖, 40 밀리몰)의 용액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오렌지색 혼합물을 15 ℃로 냉각하고 여과시켰다. 고형물을 400 ㎖의 물에 용해시키고, 1N NaOH를 가하여 현탁액을 염기성으로 만들고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5 x 10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10% NaHSO3(1 x 100 ㎖)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농축하여 2-아미노-3-브로모-5-클로로피리딘(4 g, 48%)을 수득하였다, 융점 82 내지 84 ℃.
실시예 3
3-브로모-5-클로로-1H-2-피리돈
물(30 ㎖) 및 진한 HCl(5.2 ㎖) 중의 2-아미노-3-브로모-5-클로로피리딘(4.0 g, 19.3 밀리몰)의 용액을 얼음욕을 이용하여 0 ℃로 냉각하고 물(12 ㎖) 중의 아질산 나트륨(1.33 g, 19.3 밀리몰)의 용액으로 10 분간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10 분간 더 교반하고 48 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켰다. 고형물을 물로 세척한 후 CCl4로 세척하고 50 ℃에서 진공하에 3 시간동안 건조시켜 3-브로모-5-클로로-1H-2-피리돈(2.77 g, 69%)을 수득하였다, 융점 173.5 내지 175 ℃.
실시예 4
3-브로모-5-클로로-1-메틸-2-피리돈
10 ㎖ DME 중의 3-브로모-5-클로로-1H-2-피리돈(930 ㎎, 4.46 밀리몰), 탄산 칼륨(1.25 g, 9.1 밀리몰) 및 요오도메탄(2.8 ㎖, 45 밀리몰)의 혼합물을 18 시간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뜨거운 채로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시켜 3-브로모-5-클로로-1-메틸-2-피리돈(740 ㎎, 74%)을 수득하였다, 융점 162 내지 163 ℃. HRMS(C6H5BrClNO): 실측 질량 220.9249. 계산 질량 220.9243(M+H).
실시예 5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30 ㎖) 중의 3-브로모-5-클로로-1-메틸-2-피리돈(660 ㎎, 2.97 밀리몰) 및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트리부틸)스태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7 g, 2.99 밀리몰)의 용액을, 혼합물을 진공하에 액체 질소욕에서 냉동시키고 아르곤하에 해동시키는 것을 교대로 하여(3회) 탈산소화시켰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140 ㎎, 0.20 밀리몰)을 가하고 혼합물이 짙은 색이 되면서 혼합물을 3 시간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TLC 결과 반응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140 ㎎ 분량의 촉매를 가하고 4 시간동안 가열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증발 건고시키고 잔사를 1:1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60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물(3 x 10 ㎖) 및 염수(1 x 10 ㎖)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켰다. 농축하여 수득된 잔사를 150 g의 실리카겔 상에서 7:3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670 ㎎, 54%)를 수득하였다. LRMS-전기분무: m/z 863(2M+Na), 858(2M+NH4), 443(M+Na), 438(M+NH4), 421(M+H).
실시예 6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옥산(10 ㎖) 중의 4N HCl중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10 ㎎, 0.50 밀리몰)의 용액을 1 시간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여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40 ㎎)를 백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LR(+)LSIMS: m/z 641(2M+H), 321(M+H).
실시예 7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3 ㎖) 중의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89.5 ㎎, 0.25 밀리몰), 2-클로로-6-메틸벤조산(47 ㎎, 0.28 밀리몰), DIEA(175 ㎕, 1.0 밀리몰) 및 HBTU(133 ㎎, 0.35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5 ㎖)에 용해시키고 0.5N HCl(1 x 5 ㎖), 포화 NaHCO3(1 x 5 ㎖), 염수(1 x 5 ㎖)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증발시켜 수득된 잔사를 3:1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2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4 ㎎)를 수득하였다. LR(+)LSIMS: m/z 962(2M+NH4), 945(2M+H), 490(M+NH4), 473(M+H(2Cl)).
실시예 8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THF(3 ㎖) 중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1 ㎎, 0.108 밀리몰)의 용액을 물(1.0 ㎖) 중의 수산화 리튬 일수화물(18 ㎎, 0.43 밀리몰)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추가로 THF를 가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고 반응 혼합물을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TLC(에틸 아세테이트) 결과 출발 물질이 소모된 것으로 나타났다. 몇 방울의 아세트산을 가하고 전체 반응 혼합물을 4 x 30 ㎝, C-18 역상 HPLC 컬럼에 적용하고 5 내지 95%의 수중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이용하여 35 분간 용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40 ㎎, 8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R-전기분무: m/z 양이온, 481(M+Na), 459(M+H(2Cl)); 음이온, 457(M-H(2Cl)).
실시예 9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3 ㎖) 중의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47.4 ㎎, 0.25 밀리몰), 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탄 카복실산(47 ㎎, 0.28 밀리몰), DIEA(175 ㎕, 1.0 밀리몰) 및 HBTU(133 ㎎, 0.35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5 ㎖)에 용해시키고 0.5N HCl(1 x 5 ㎖), 포화 NaHCO3(1 x 5 ㎖), 염수(1 x 5 ㎖)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증발시켜 수득된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2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70.5 ㎎, 59%)를 수득하였다. LR-전기분무: m/z 양이온, 943(2M+Na), 483(M+Na), 478(M+NH4), 461(M+H); 음이온, 919(2M-H), 521, 459(M-H).
실시예 10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THF(3 ㎖) 중의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69 ㎎, 0.145 밀리몰)의 용액을 물(1.0 ㎖) 중의 수산화 리튬 일수화물(24.3 ㎎, 0.58 밀리몰)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충분한 THF를 혼합물에 가하여 용액을 만들었다. 혼합물을 1 시간동안 교반하고, 몇 방울의 아세트산을 가하였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4 x 30 ㎝, C-18 역상 HPLC 컬럼에 적용하고 5 내지 95%의 수중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이용하여 35 분간 용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48 ㎎, 7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R-전기분무: m/z 양이온, 943(2M+Na), 483(M+Na), 478(M+NH4), 461(M+H); 음이온, 919(2M-H), 521, 459(M-H).
실시예 11
1-벤질-3-브로모-5-클로로-2-피리돈
3-브로모-5-클로로-1H-2-피리돈(950 ㎎, 4.56 밀리몰), 새로 분쇄된 탄산 칼륨(1.26 g, 9.1 밀리몰) 및 테트라부틸 암모늄 클로라이드(100 ㎎)의 혼합물을 용매 없이 30 분간 기계적으로 교반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56 ㎖, 4.7 밀리몰)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7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여과하고 고형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증발 건고시키고 잔사를 여러 분량의 헥산으로 연화시켰다. 잔사를 3:1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킨 후 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90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1-벤질-3-브로모-5-클로로-2-피리돈(423 ㎎, 31%)을 수득하였다, 융점 108 내지 110 ℃. LR(+)LSIMS: m/z 595(2M+H, 2Cl, 2Br), 298(M+H, 1Cl, 1Br).
실시예 12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15 ㎖) 중의 1-벤질-3-브로모-5-클로로-2-피리돈(296 ㎎, 0.98 밀리몰) 및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트리부틸)스태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60 ㎎, 0.99 밀리몰)의 용액을, 혼합물을 진공하에 액체 질소욕에서 냉동시키고 아르곤하에 해동시키는 것을 교대로 하여(3회) 탈산소화시켰다.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80 ㎎, 0.11 밀리몰)를 가하고 혼합물이 짙은 색이 되었을 때 혼합물을 4 시간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추가로 60 ㎎의 촉매를 가하고 2 시간동안 가열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증발 건고시키고 잔사를 1:2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150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55 ㎎, 52%)를 수득하였다. LMS-전기분무: m/z 1015(2M+Na)(4Cl), 519(M+Na), 514(M+NH4), 497(M+H).
실시예 13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옥산(10 ㎖) 중의 4N HCl중 1-벤질-4-(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84 ㎎, 0.50 밀리몰)의 용액을 1 시간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테르(15 ㎖)로 연화시키고 여과하여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02 ㎎, 94%)를 백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LR-전기분무: m/z 1015(2M+Na, 4Cl), 519(M+Na), 514(M+NH4), 497(M+H). HRMS: 실측 질량 496.1774. 계산 질량 496.1765(M+H).
실시예 14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2 ㎖) 중의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 ㎎, 0.23 밀리몰), 2-클로로-6-메틸벤조산(47 ㎎, 0.28 밀리몰), DIEA(200 ㎕, 1.2 밀리몰) 및 HBTU(133 ㎎, 0.35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5 ㎖)에 용해시키고 0.5N HCl(1 x 5 ㎖), 포화 NaHCO3(1 x 5 ㎖), 염수(1 x 5 ㎖)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증발시켜 수득된 잔사를 45:55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2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74 ㎎, 58%)를 수득하였다. 실측 질량 397.1313. 계산 질량 397.1320(M+H).
실시예 15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L-페닐알라닌
THF(3 ㎖) 중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벤질-5-클로로-2-옥소-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72 ㎎, 0.13 밀리몰)의 용액을 물(1.0 ㎖) 중의 수산화 리튬 일수화물(22 ㎎, 0.52 밀리몰)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추가로 THF를 가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고 반응 혼합물을 1.5 시간동안 교반하면, 이때 TLC(에틸 아세테이트) 결과 출발 물질이 소모된 것으로 나타났다. 몇 방울의 아세트산을 가하고 전체 반응 혼합물을 4 x 30 ㎝, C-18 역상 HPLC 컬럼에 적용하고 5 내지 95%의 수중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이용하여 35 분간 용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L-페닐알라닌(50 ㎎, 7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R-전기분무: m/z 음이온, 533(M-2H(2Cl)); 양이온, 557(M+Na), 552(M+NH4), 535(M+H(2Cl)). HRMS: 실측 질량 535.1190. 계산 질량 535.1191(M+H).
실시예 16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2 ㎖) 중의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 ㎎, 0.25 밀리몰), 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탄 카복실산(47 ㎎, 0.28 밀리몰), DIEA(200 ㎕, 1.2 밀리몰) 및 HBTU(133 ㎎, 0.35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5 ㎖)에 용해시키고 0.5N HCl(1 x 5 ㎖), 포화 NaHCO3(1 x 5 ㎖), 염수(1 x 5 ㎖)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증발시켜 수득된 잔사를 60:4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2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80 ㎎, 63%)를 수득하였다. LR-전기분무: m/z 1123(2M+Na), 1118(2M+NH4), 573(M+Na), 568(M+NH4), 551(M+H(1Cl)). HRMS: 실측 질량 551.2297. 계산 질량 551.2313(M+H).
실시예 17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THF(3 ㎖) 중의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78 ㎎, 0.142 밀리몰)의 용액을 물(1.0 ㎖) 중의 수산화 리튬 일수화물(24 ㎎, 0.57 밀리몰)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충분한 THF를 혼합물에 가하여 용액을 만들었다. 혼합물을 1 시간동안 교반하고, 몇 방울의 아세트산을 가하였다. 전체 반응 혼합물을 4 x 30 ㎝, C-18 역상 HPLC 컬럼에 적용하고 5 내지 95%의 수중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이용하여 35 분간 용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4-(5-클로로-1-벤질-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45㎎, 6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RMS-전기분무: m/z 양이온, 559(M+Na), 554(M+NH4), 537(M+H(1Cl)); 음이온, 535(M-H(1Cl)). HRMS: 실측 질량 537.2151. 계산 질량 537.2156(M+H).
실시예 18
3-브로모-1H-2-피리돈
1M 수성 브롬화 칼륨(20 ㎖) 중의 1H-2-피리돈(1.9 g, 20 밀리몰)의 용액에 1M 수성 브롬화 칼륨(40 ㎖) 중의 브롬(3.2 g, 20 밀리몰)의 용액을 5 분간 가하였다. 반응을 밤새 진행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수거하여 1.4 g을 수득하였다.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화시켜 0.78 g의 3-브로모-1H-2-피리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9
3-브로모-1-메틸-2-피리돈
DME(10 ㎖) 중의 3-브로모-1H-2-피리돈(740 ㎎, 4.25 밀리몰), 탄산 칼륨(1.18 g, 8.5 밀리몰) 및 요오도메탄(2.65 ㎖, 42.5 밀리몰)의 혼합물을 밤새 가열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여액을 증발 건고시켰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27 g의 실리카겔 상에서 무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브로모-1-메틸-2-피리돈(0.63 g, 79%)을 수득하였다. LRMS(전기분무): 양이온, 188(M+H).
실시예 20
3-브로모-1-메틸-2-피리돈 및 3,5-디브로모-1-메틸-2-피리돈
빙초산(150 ㎖) 중의 1-메틸-2-피리돈(2.73 g, 25 밀리몰) 및 브롬(1.4 ㎖, 27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4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잔사를 물(100 ㎖)에 용해시키고, 10N 수산화 나트륨으로 리트머스지에 대해 염기성으로 만들고 디클로로메탄(3 x 50 ㎖)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30 ㎖)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용매를 여과하고 증발시켜 4.7 g을 수득하고, 이것을 1:6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이어 1:1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150 g의 실리카겔 상에서 무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용출되는 첫 번째 화합물은 3,5-디브로모-1-메틸-2-피리돈(2.0 g, 30%)이었다. LR-전기분무: m/z 266(M+H(2Br)). NMR(CDCl3) δ 3.597(s, 3H), 7.426(d, j = 2.7, 1H), 7.791(d, j = 2.7, 1H). 용출되는 두 번째 화합물은 3-브로모-1-메틸-2-피리돈(1.39 g, 30%)이었다. LR-전기분무: m/z 양이온, 251(M+Na+CH3CN), 188(M+H).
실시예 21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3 ㎖) 중의 3-브로모-1-메틸-2-피리돈(94 ㎎, 0.50 밀리몰) 및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트리부틸)스태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84 ㎎, 0.50 밀리몰)의 용액을, 혼합물을 진공하에 액체 질소욕에서 냉동시키고 아르곤하에 해동시키는 것을 교대로 하여(3회) 탈산소화시켰다.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40 ㎎, 0.057 밀리몰)를 가하고 혼합물이 짙은 색이 되었을 때 혼합물을 3 시간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TLC 결과 반응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20 ㎎ 분량의 촉매를 가하고 4 시간동안 가열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20 ㎖)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증발 건고시키고 잔사를 1:1 에테르:에틸 아세테이트(20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물(1 x 10 ㎖), 5% 플루오르화 칼륨(2 x 5 ㎖) 및 물(1 x 10 ㎖)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켰다. 농축하여 수득된 잔사를 2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4:6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64 ㎎, 33%)를 수득하였다. LRMS-전기분무: m/z 양이온, 795(2M+Na), 409(M+Na), 387(M+H). HRMS: 실측 질량 387.1935. 계산 질량 387.1920(M+H).
실시예 22
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옥산(4 ㎖) 중의 4N HCl중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60 ㎎, 0.155 밀리몰)의 용액을 2 시간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여러 분량의 에테르로 연화시켜 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55 ㎎, 정량적)를 백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LRMS-전기분무: m/z 양이온 573(2M+H), 328(M+H+CH3CN), 319(M+H+CH3OH), 287(M+H). HRMS: 실측 질량 287.1396. 계산 질량 287.1396(M+H).
실시예 23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3 ㎖) 중의 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52 ㎎, 0.16 밀리몰), 2-브로모-6-메톡시벤조산(45 ㎎, 0.19 밀리몰), DIEA(140 ㎕, 0.80 밀리몰) 및 HBTU(85 ㎎, 0.22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5 ㎖)에 용해시키고 0.5N HCl(1 x 5 ㎖), 포화 NaHCO3(1 x 5 ㎖), 염수(1 x 5 ㎖)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증발시켜 수득된 잔사(85 ㎎)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면서 2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4 ㎎, 68%)를 수득하였다. HRMS: 실측 질량 499.0872. 계산 질량 499.0869(M+H).
실시예 24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THF(3 ㎖) 중의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2 ㎎, 0.104 밀리몰)의 용액을 물(1.0 ㎖) 중의 수산화 리튬 일수화물(20 ㎎, 0.47 밀리몰)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메탄올(0.5 ㎖)을 가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고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0.5 ㎖)을 가하고 전체 반응 혼합물을 4 x 30 ㎝, C-18 역상 HPLC 컬럼에 적용하고 5 내지 95%의 수중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이용하여 35 분간 용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39 ㎎, 7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HRMS: 실측 질량 485.0703. 계산 질량 485.0712(M+H).
실시예 25
4-(5-브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7 ㎖) 중의 3,5-디브로모-1-메틸-2-피리돈(267 ㎎, 1.0 밀리몰) 및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트리부틸)스태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568 ㎎, 1.0 밀리몰)의 용액을, 혼합물을 진공하에 액체 질소욕에서 냉동시키고 아르곤하에 해동시키는 것을 교대로 하여(3회) 탈산소화시켰다.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80 ㎎, 0.11 밀리몰)를 가하고 혼합물이 짙은 색이 되었을 때 혼합물을 3 시간동안 90 ℃로 가열하였다. TLC 결과 반응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로 40 ㎎ 분량의 촉매를 가하고 4 시간동안 가열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40 ㎖)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액을 증발 건고시키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30 ㎖)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물(1 x 10 ㎖), 5% 플루오르화 칼륨(2 x 10 ㎖) 및 염수(1 x 5 ㎖)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켰다. 농축하여 수득된 잔사를 4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3:7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40 ㎎, 30%)를 수득하였다. FAB MS: 465(M+H(1Br)).
실시예 26
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옥산(5 ㎖) 중의 4N HCl중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35 ㎎, 0.29 밀리몰)의 용액을 2 시간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여러 분량의 에테르로 연화시켜 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0 ㎎, 정량적)를 백색 분말로 수득하였다. LRMS-전기분무: m/z 양이온 729(2M+H(2Br)), 406(M+H+CH3CN), 397(M+H+CH3CN(1Br)), 365(M+H(1Br)). HRMS: 실측 질량 365.0504. 계산 질량 365.0501(M+H).
실시예 27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DMF(4 ㎖) 중의 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0 ㎎, 0.30 밀리몰), 2-브로모-5-메톡시벤조산(82 ㎎, 0.36 밀리몰), DIEA(260 ㎕, 1.5 밀리몰) 및 HBTU(157 ㎎, 0.41 밀리몰)의 용액을 실온에서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5 ㎖)에 용해시키고 0.5N HCl(1 x 5 ㎖), 포화 NaHCO3(1 x 5 ㎖), 염수(1 x 5 ㎖)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였다. 증발시켜 수득된 잔사(180 ㎎)를 3:1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출시키면서 25 g의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30 ㎎, 76%)를 수득하였다. HRMS: 실측 질량 576.9959. 계산 질량 576.9973(M+H).
실시예 28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THF(3 ㎖) 중의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9 ㎎, 0.05 밀리몰)의 용액을 물(1.0 ㎖) 중의 수산화 리튬 일수화물(20 ㎎, 0.47 밀리몰)의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메탄올(0.5 ㎖)을 가하여 맑은 용액을 만들고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0.5 ㎖)을 가하고 전체 반응 혼합물을 4 x 30 ㎝, C-18 역상 HPLC 컬럼에 적용하고 5 내지 95%의 수중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이용하여 35 분간 용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22 ㎎, 7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HRMS: 실측 질량 562.9814. 계산 질량 562.9817(M+H).
실시예 29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DMF(2 ㎖) 중의 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01 ㎎, 0.313 밀리몰), 2-클로로-6-메틸벤조산(60 ㎎, 0.35 밀리몰) 및 HBTU(133 ㎎, 0.35 밀리몰)의 현탁액에 DIEA(122 ㎕, 0.88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물(25 ㎖)에 붓고 유기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15 ㎖)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여 0.5N HCl(25 ㎖), 포화 NaHCO3 용액(25 ㎖), 염수 용액(25 ㎖)으로 연속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Biotage)(40s) 컬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22 ㎎(88% 수율)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AB-HRMS: m/e, C24H23ClN2O4(M+H)에 대한 계산치 439.1425, 실측치 439.1414.
실시예 30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에탄올(6 ㎖) 중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18 ㎎, 0.269 밀리몰)의 현탁액에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4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50 ℃로 가열하고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에탄올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물(25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에틸 에테르(25 ㎖)로 세척하여 임의의 중성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0N HCl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25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81 ㎎(71% 수율)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204 내지 210 ℃. FAB-HRMS m/e C23H21ClN2 O4(M+H)에 대한 계산치 425.1268, 실측치 425.1267.
실시예 31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a) 1,4-디메틸-2(1H)-피리돈의 제조
DME(100 ㎖) 중의 4-메틸-2(1H)-피리돈(5 g, 45.82 밀리몰) 및 탄산 칼륨(12.64 g, 91.64 밀리몰)의 현탁액에 요오도메탄(50.5 g, 366 밀리몰)을 실온에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200 ㎖)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10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20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5 g(44% 수율)의 1,4-디메틸-2(1H)-피리돈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AB-HRMS: m/e, C7H9NO(M+H)에 대한 계산치 123.0241, 실측치 123.0246.
(b) 1,4-디메틸-3-요오도-2(1H)-피리돈 및 1,4-디메틸-5-요오도-2(1H)-피리돈의 제조
1,4-디메틸-2-피리돈(2.46 g, 20 밀리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31 ㎖)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6.25 ㎖)을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5 분간 환류시켰다. 이어서, NIS(5.62 g, 25 밀리몰)를 가하고 혼합물을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00 ㎖)로 희석하고 생성된 백색 고형물을 여과시켜 수거하였다. 여액을 포화 중탄산 나트륨 용액(2 x 100 ㎖), 염수 용액(10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용매를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92 g(5% 수율)의 1,4-디메틸-3-요오도-2(1H)-피리돈 및 1,4-디메틸-5-요오도-2(1H)-피리돈의 약 1:1 혼합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1H NMR(300 MHz, D6-DMSO, ppm) 8.06(s, 1H), 7.6(d, 1H, J = 5.5 Hz), 6.4(s, 1H), 6.2(d, 1H, J = 5.5 Hz), 3.4(s, 3H), 3.3(s, 3H), 2.3(s, 3H), 2.15(s, 3H).
(c)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및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4-디메틸-2-옥소-5-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THF(1.0 ㎖) 중의 아연 분진(0.66 g, 10 밀리몰)의 현탁액에 1,2-디브로모에탄(86 ㎕, 1 밀리몰)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에틸렌 기체 방출이 그칠 때까지 열총으로 60 내지 65 ℃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트리메틸클로로실란(0.126 ㎖, 1 밀리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교반하였다. DMA(3 ㎖) 중의 1,4-디메틸-3-요오도-2(1H)-피리돈 및 1,4-디메틸-5-요오도-2(1H)-피리돈(0.92 g, 3.69 밀리몰)의 혼합물을 가온시켜 용해시키고 한 분량으로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첨가 후에, 혼합물을 70 ℃로 가열하고 15 시간동안 교반하고, 이때 포화 염화 암모늄 용액으로 급냉시킨 분취량을 TLC 분석한 결과 출발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THF(4 ㎖)로 희석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과량의 아연 분진을 맑은 상등액이 형성될 때까지(약 3 시간) 침전시켰다.
아연 화합물(3.69 밀리몰)을 함유하는 상기 제조한 용액을 실온에서 THF(4 ㎖) 중의 Pd(dba)2(54 ㎎, 0.1 밀리몰), 트리푸릴포스핀(102 ㎎, 0.4 밀리몰) 및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요오도-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01 g, 2.5 밀리몰)의 용액에 가하고, 담황색 혼합물을 50 ℃에서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포화 염화 암모늄 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1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41 g(14% 수율)의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ES-HRMS m/e C22H28N2O5 (M+Na)에 대한 계산치 423.1890, 실측치 423.1894] 수득하고, 0.350 g(35% 수율)의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4-디메틸-2-옥소-5-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ES-HRMS m/e C22H28N2O5(M+Na)에 대한 계산치 423.1890, 실측치 423.1897] 수득하였다.
(d) 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제조
디옥산(1 ㎖) 중의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32 ㎎, 0.33 밀리몰)의 용액에 디옥산(1.5 ㎖) 중의 4N HCl 용액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용액을 4 시간동안 교반하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메탄올(5 ㎖) 및 톨루엔(5 ㎖)에 용해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111 ㎎(99% 수율)의 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I-HRMS m/e C17H20N2O3(M)에 대한 계산치 300.1474, 실측치 300.1486.
(e)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디클로로메탄(2 ㎖) 중의 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34 ㎎, 0.1 밀리몰) 및 2,6-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25 ㎎, 0.12 밀리몰)의 현탁액에 DIEA(174 ㎕, 1.0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5 분후에, 맑은 용액이 수득되고 이것을 7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25 ㎖)에 용해시키고 0.5N HCl(25 ㎖), 포화 NaHCO3 용액(25 ㎖), 염수 용액(15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s)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3 ㎎(49%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4H22Cl2N2O4(M+Na)에 대한 계산치 495.0850, 실측치 495.0859.
(f)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에탄올(1 ㎖) 중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0 ㎎, 0.04 밀리몰)의 현탁액에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0.5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40 내지 45 ℃로 가열하고 3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에탄올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물(10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에틸 에테르(25 ㎖)로 세척하여 임의의 중성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0N HCl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25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17 ㎎(89%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3H20Cl2N2O 4(M+Na)에 대한 계산치 481.0691, 실측치 481.0699.
실시예 32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a)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DMF(1.5 ㎖) 중의 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68 ㎎, 0.2 밀리몰), 2-클로로-6-메틸벤조산(45 ㎎, 0.25 밀리몰) 및 HBTU(95 ㎎, 0.25 밀리몰)의 현탁액에 DIEA(174 ㎕, 1.0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72 시간동안 교반하고, 혼합물을 물(25 ㎖)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15 ㎖)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여 0.5N HCl(25 ㎖), 포화 NaHCO3 용액(25 ㎖), 염수 용액(25 ㎖)으로 연속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용매를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s)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4 ㎎(27% 수율)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5H25ClN2O4(M+Na)에 대한 계산치 475.1395, 실측치 475.1400.
(b)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에탄올(1 ㎖) 중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2 ㎎, 0.048 밀리몰)의 현탁액에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0.5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40 내지 45 ℃로 가열하고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에탄올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물(25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에틸 에테르(25 ㎖)로 세척하여 임의의 중성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0N HCl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25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18 ㎎(86% 수율)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4H23ClN2O 4(M+H)에 대한 계산치 439.1419, 실측치 439.1425.
실시예 33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a) 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돈의 제조
DME(25 ㎖) 중의 6-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1H-2-피리돈(2 g, 11.25 밀리몰) 및 탄산 칼륨(4.68 g, 33.9 밀리몰)의 현탁액에 요오도메탄(9.62 g, 67.8 밀리몰)을 실온에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100 ㎖)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10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20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용매를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1 g(97% 수율)의 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돈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80 내지 82 ℃. EI-HRMS: m/e, C8H8F3NO(M)에 대한 계산치 191.0558, 실측치 191.0559.
(b) 1,6-디메틸-3-요오도-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돈의 제조
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돈(2.1 g, 10.98 밀리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8 ㎖)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3.5 ㎖)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5 분간 환류시켰다. 이어서, NIS(3.15 g, 14 밀리몰)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100 ㎖)로 희석하고 포화 중탄산 나트륨 용액(2 x 100 ㎖) 및 염수 용액(10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15 g(62% 수율)의 1,6-디메틸-3-요오도-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돈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I-HRMS m/e C8H7F3INO(M)에 대한 계산치 316.9524, 실측치 316.9527.
(c)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THF(2.0 ㎖) 중의 아연 분진(1.96 g, 30 밀리몰)의 현탁액에 1,2-디브로모에탄(172 ㎕, 2 밀리몰)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에틸렌 기체 방출이 그칠 때까지 열총을 이용해 60 내지 65 ℃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트리메틸클로로실란(127 ㎕, 1 밀리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교반하였다. DMA(6 ㎖) 중의 1,6-디메틸-3-요오도-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돈(2.15 g, 6.78 밀리몰)의 현탁액을 열총으로 가온시켜 용해시키고 한 분량으로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첨가 후에, 혼합물을 70 ℃로 가열하고 15 시간동안 교반하고, 이때 포화 염화 암모늄 용액으로 급냉시킨 분취량을 TLC 분석한 결과 출발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THF(6 ㎖)로 희석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과량의 아연 분진을 침전시켰다.
아연 화합물(6.78 밀리몰)을 함유하는 상기 제조한 용액을 실온에서 THF(8 ㎖) 중의 Pd(dba)2(108 ㎎, 0.2 밀리몰), 트리푸릴포스핀(204 ㎎, 0.8 밀리몰) 및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요오도-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62 g, 4 밀리몰)의 용액에 가하고 담황색 혼합물을 50 ℃에서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 암모늄 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7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1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711 g(38% 수율)의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3H27F3N2O5(M+Na)에 대한 계산치 491.1764, 실측치 491.1770.
(d) 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제조
디옥산(3 ㎖) 중의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32 ㎎, 0.33 밀리몰)의 용액에 디옥산(4.5 ㎖) 중의 4N HCl 용액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백색 고체가 생성됨에 따라 용액을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50 ㎖)로 희석하고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여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진공하에 건조한 후, 315 ㎎(92% 수율)의 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18H19F3N2O3(M+Na)에 대한 계산치 391.1241, 실측치 391.1241.
(e)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디클로로메탄(6 ㎖) 중의 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50 ㎎, 0.37 밀리몰) 및 2,6-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85 ㎎, 0.4 밀리몰)의 현탁액에 DIEA(257 ㎕, 1.48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5 분후에, 맑은 용액이 수득되고 이것을 4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50 ㎖)에 용해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0.5N HCl(50 ㎖), 포화 NaHCO3 용액(50 ㎖) 및 염수 용액(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90 ㎎(95%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5H21Cl2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63.0724, 실측치 563.0726.
(f)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에탄올(6 ㎖) 중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177 ㎎, 0.326 밀리몰)의 현탁액에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4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에탄올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물(20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에틸 에테르(50 ㎖)로 세척하여 임의의 중성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0N HCl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159 ㎎(92%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238 내지 240 ℃. ES-HRMS m/e C24H19Cl2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49.0567, 실측치 549.0570.
실시예 34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a) 2-에틸-6-메틸벤조산의 제조
250 ㎖의 압력 병에 2-에틸-6-메틸요오도벤젠(30.07 밀리몰, 7.4 g), Pd(OAc)2(1.43 밀리몰, 334 ㎎) 및 dppp(1.43 밀리몰, 620 ㎎)를 채웠다. 플라스크를 격막으로 밀폐하고 아르곤으로 3회 진공화하였다. 이어서, 아세토니트릴(96 ㎖), 트리에틸아민(189 밀리몰, 19.0 g, 26.25 ㎖) 및 물(19.1 ㎖)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가하고, 고무 격막을 일산화 탄소 공급원에 연결된 테플론 라이닝 캡으로 대체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를 일산화 탄소(40 psi)로 가압하고 잉여 압력을 방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혼합물을 40 psi의 일산화 탄소 압력 하에 5 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플라스크를 일산화 탄소 실린더로부터 분리하여 예열된 오일욕(83 내지 85 ℃)에 침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1 시간에 걸쳐 흑색이 되었으며 상기 온도에서 14 시간동안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압력을 방출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테르(200 ㎖) 및 1.0N NaOH(20 ㎖)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산을 물(2 x 100 ㎖)로 추출하였다. 수 추출물을 합하여 1.0N HCl로 중성화시키고 산을 디클로로메탄(3 x 100 ㎖)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진공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3.58 g(72.5%)의 점성 갈색 오일을 수득하고, 상기 오일을 밤새 서서히 고형화시켰다. HRMS: 실측 질량 164.0833, 계산 질량 164.0837(M+).
(b) 2-에틸-6-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DMF(1 방울)를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3 ㎖) 중의 2-에틸-6-메틸벤조산(49 ㎎, 0.30 밀리몰)의 용액을 옥살릴 클로라이드(0.14 ㎖, 1.6 밀리몰)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톨루엔과 공비시켜 미량의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잔사를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c)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디클로로메탄(5 ㎖) 중의 상기 제조한 산 클로라이드, 4-(1,3-디메틸-2,4-디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디닐)-L-페닐알라닌(100 ㎎, 0.25 밀리몰)의 혼합물을 DIPEA(0.17 ㎖, 1.0 밀리몰)로 처리하고 생성된 담갈색 용액을 3 일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1N HCl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여과 및 증발시켜 잔사를 수득하고, 상기 잔사를 바이오티지 컬럼(40s)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3-디메틸-2,4-디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백색 포움(79 ㎎, 62%)으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8H29F3NO4(M+Na)에 대한 계산치 537.1974, 실측치 537.1972.
(d)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에탄올(3 ㎖) 중의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3-디메틸-2,4-디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5-피리미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74 ㎎, 0.14 밀리몰) 및 1N 수산화 나트륨(2 ㎖, 2 밀리몰)의 용액을 3 시간동안 40 내지 45 ℃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에탄올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물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여 임의의 중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0N HCl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68 ㎎(95% 수율)의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수득하였다(융점 219 내지 221 ℃). ES-HRMS m/e C27H27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23.1815, 실측치 523.1816.
실시예 35
N-[(2-(1-메틸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a) 2-(1-메틸에틸)-6-메틸요오도벤젠의 제조
-5 내지 5 ℃에서 진한 HCl(50 ㎖) 및 30 g의 얼음 중의 2-(1-메틸에틸)-6-메틸아닐린(15.57 밀리몰, 14.9 g)의 현탁액에 H2O(35 ㎖) 중의 NaNO2(110 밀리몰, 8 g)의 용액을 30 분간 적가하였다. 첨가 후에, 적색으로 착색된 용액을 30 분간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H2O(50 ㎖) 중의 KI(200 밀리몰, 33.2 g)의 용액을 0 내지 5 ℃에서 20 분간 적가하였다. 첨가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이 동안 기체 방출과 함께 발열 반응이 일어났다. 생성된 적색 용액을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10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티오황산 나트륨 용액(200 ㎖),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하에 농축하여 착색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2-(1-메틸에틸)-6-메틸요오도벤젠(17.8 g, 68%)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HRMS: 실측 질량 260.0063, 계산 질량 260.0062(M+).
(b) 2-(1-메틸에틸)-6-메틸벤조산의 제조
250 ㎖의 압력 병에 2-(1-메틸에틸)-6-메틸요오도벤젠(25.2 밀리몰, 6.55 g), Pd(OAc)2(1.2 밀리몰, 280 ㎎) 및 dppp(1.2 밀리몰, 520 ㎎)를 채웠다. 플라스크를 격막으로 밀폐하고 아르곤으로 3회 진공화하였다. 이어서, 아세토니트릴(96 ㎖), 트리에틸아민(188.7 밀리몰, 19.0 g, 26.25 ㎖) 및 물(19.1 ㎖)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그 다음, 고무 격막을 일산화 탄소 공급원에 연결된 테플론 라이닝 캡으로 대체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를 일산화 탄소(40 psi)로 가압하고 잉여 압력을 방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혼합물을 40 psi의 일산화 탄소 압력 하에 5 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플라스크를 일산화 탄소 실린더로부터 분리하여 예열된 오일욕(83 내지 85 ℃)에 침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은 1 시간에 걸쳐 흑색이 되었으며 상기 온도에서 4 시간동안 더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압력을 방출하고 혼합물을 에테르(200 ㎖) 및 1.0N NaOH(10 ㎖)로 희석하였다. 산을 물(2 x 100 ㎖)로 추출하였다. 수성 추출물을 합하여 1.0N HCl로 중성화시키고 산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2.8 g(62%)의 점성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HRMS: 실측 질량 178.0996, 계산 질량 178.0994(M+).
(c) 2-(1-메틸에틸)-6-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의 제조
DMF(2 방울)를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3 ㎖) 중의 2-(1-메틸에틸)-6-메틸벤조산(64 ㎎, 0.35 밀리몰)의 용액을 옥살릴 클로라이드(0.16 ㎖, 1.8 밀리몰)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1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톨루엔과 공비시켜 미량의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잔사를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d) N-[[2-(1-메틸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실시예 33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및 2-(1-메틸에틸)-6-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로부터 N-[[2-(1-메틸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제조하였다. ES-HRMS m/e C28H29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37.1972, 실측치 537.1977.
실시예 36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a)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DMF(2 ㎖) 중의 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100 ㎎, 0.25 밀리몰), 2-클로로-6-메틸벤조산(60 ㎎, 0.35 밀리몰) 및 HBTU(132 ㎎, 0.35 밀리몰)의 현탁액에 DIEA(174 ㎕, 1.0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물(25 ㎖)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15 ㎖)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여 0.5N HCl(25 ㎖), 포화 NaHCO3 용액(25 ㎖), 염수 용액(25 ㎖)으로 연속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s) 컬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98 ㎎(75% 수율)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6H24Cl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43.1268, 실측치 543.1275.
(b)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 -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에탄올(5 ㎖) 중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91 ㎎, 0.174 밀리몰)의 현탁액에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4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0 내지 45 ℃로 가열하고 4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에탄올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물(25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디에틸 에테르(25 ㎖)로 세척하여 임의의 중성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0N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25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71 ㎎(80% 수율)의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220 내지 223 ℃. ES-HRMS m/e C25H22Cl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29.1111, 실측치 529.1119.
실시예 37
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실시예 36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및 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탄 카복실산(WO 9910313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함)으로부터 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융점 181 내지 183 ℃)을 제조하였다. ES-HRMS m/e C26H31F3N2O5(M+Na)에 대한 계산치 531.2077, 실측치 531.2084.
실시예 38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DMF(2 ㎖) 중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145 ㎎, 0.275 밀리몰) 및 중탄산 나트륨(185 ㎎, 2.2 밀리몰)의 현탁액에 요오도에탄(343 ㎎, 2.2 밀리몰)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72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30 ㎖)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6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129 ㎎(85%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를 결정성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86 내지 91 ℃. ES-HRMS m/e C26H23Cl2F3N2O4 (M+Na)에 대한 계산치 577.0876, 실측치 577.0887.
실시예 39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145 ㎎, 0.275 밀리몰), 2-디에틸아미노에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87 ㎎, 2.75 밀리몰) 및 탄산 칼륨(380 ㎎, 2.7 밀리몰)의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3 ㎖) 및 물(3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72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30 ㎖)과 에틸 아세테이트(30 ㎖)의 혼합물에 부었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2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6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s) 컬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22 ㎎(71%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30H32Cl2F3N 3O4(M+H)에 대한 계산치 626.1796, 실측치 626.1802.
실시예 40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DMF(2 ㎖) 중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145 ㎎, 0.275 밀리몰) 및 중탄산 나트륨(185 ㎎, 2.2 밀리몰)의 현탁액에 1-클로로에틸 아세테이트(270 ㎎, 2.2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48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30 ㎖)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6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s) 컬럼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10 ㎎(65%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8H25Cl2F3N2O6 (M+Na)에 대한 계산치 635.0931, 실측치 635.0932.
실시예 41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8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요오도에탄으로부터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2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9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2-[(N,N-디에틸)아미노]에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3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40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1-클로로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4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a) 4-메톡시-1,1,1-트리플루오로펜트-3-엔-2-온의 제조
디클로로메탄(15 ㎖) 중의 2-메톡시프로펜(3.68 g, 51.03 밀리몰) 및 피리딘(1.35 g, 16.69 밀리몰)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8 ㎖)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0 ㎖, 46.56 밀리몰)의 용액을 0 ℃에서 10 내지 12 분의 시간동안 가하였다. 첨가 후, 용액이 진한 적갈색으로 변하면 냉각조를 제거하고 교반을 중단하였다. 혼합물을 16 시간동안 정치시키고 얼음 냉수(45 ㎖) 및 디클로로메탄(120 ㎖)으로 희석하였다. 두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2N HCl(35 ㎖), 포화 탄산 나트륨 용액(75 ㎖) 및 염수 용액(25 ㎖)으로 연속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고 진공하에 증류시켜 정제하여 5.546 g(65% 수율)의 4-메톡시-1,1,1-트리플루오로펜트-3-엔-2-온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b) 4-메틸-2(1H)-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에탄올(30 ㎖) 중의 4-메톡시-1,1,1-트리플루오로펜트-3-엔-2-온(5.53 g, 32.89 밀리몰) 및 에틸 말로네이트 모노아미드(4.31 g, 32.89 밀리몰)의 현탁액에 나트륨 에톡사이드(11.72 g, 36.18 밀리몰, 21% 순도)를 실온에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약 85 ℃로 가열하였다. 18 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15% HCl(10 ㎖)을 가하였다. 이어서, 물(10 ㎖)로 희석하고 클로로포름(2 x 50 ㎖)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10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22 g(62% 수율)의 4-메틸-2(1H)-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LRMS: m/z 313.4(M+Na+CH3CN).
(c) 1,4-디메틸-2(1H)-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DME(50 ㎖) 중의 4-메틸-2(1H)-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5.2 g, 20.87 밀리몰) 및 탄산 칼륨(8.65 g, 62.59 밀리몰)의 현탁액에 요오도메탄(12 ㎖, 192.8 밀리몰)을 실온에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무기 고형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DME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농축하고 잔사를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02 g(71% 수율)의 1,4-디메틸-2(1H)-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11H12F3NO3(M+Na)에 대한 계산치 286.0661, 실측치 286.0664.
(d) 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딘-2-온의 제조
1,4-디메틸-2(1H)-옥소-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2.5 g, 9.5 밀리몰) 및 리튬 클로라이드(1.0 g, 23.6 밀리몰)의 혼합물에 DMF(15 ㎖) 및 물(0.38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0 ℃의 욕조 온도로 가열하고 19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차가운 에틸 아세테이트 및 디에틸 에테르(75 ㎖, 1:1)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냉수(3 x 20 ㎖) 및 염수 용액(2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용매를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s)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45 g(80% 수율)의 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딘-2-온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8H8F3NO(M+H)에 대한 계산치 192.0631, 실측치 192.0632.
(e) 1,4-디메틸-3-요오도-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딘-2-온의 제조
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딘-2-온(1.44 g, 7.23 밀리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9 ㎖)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53 ㎖, 10.85 밀리몰)의 용액에 NIS(2.569 g, 10.85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70 내지 85 ℃로 가열하고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탄산 나트륨 용액을 서서히 가하여 용액을 중성화하였다. 그 다음, 수성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포화 티오황산 나트륨 용액(100 ㎖) 및 염수 용액(100 ㎖)으로 연속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용매를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02 g(45% 수율)의 1,4-디메틸-3-요오도-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딘-2-온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LRMS: m/z 318.1(M+H), 381.2(M+Na+CH3CN).
(f)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THF(1.0 ㎖) 중의 아연 분진(1.96 g, 30 밀리몰)의 현탁액에 1,2-디브로모에탄(172 ㎕, 2 밀리몰)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에틸렌 기체 방출이 그칠 때까지 열총을 이용해 60 내지 65 ℃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트리메틸클로로실란(150 ㎕, 1.2 밀리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교반하였다. DMA(6 ㎖) 중의 1,4-디메틸-3-요오도-6-(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돈(2.4 g, 7.57 밀리몰)의 현탁액을 열총으로 가온시켜 용해시키고 한 분량으로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첨가 후에, 혼합물을 70 내지 75 ℃로 가열하고 2 시간동안 교반하고, 이때 포화 염화 암모늄 용액으로 급냉시킨 분취량을 TLC 분석한 결과 출발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THF(5 ㎖)로 희석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과량의 아연 분진을 침전시켰다.
아연 화합물(7.57 밀리몰)을 함유하는 상기 제조한 용액을 실온에서 THF(7 ㎖) 중의 Pd(dba)2(274 ㎎, 0.478 밀리몰), 트리푸릴포스핀(391 ㎎, 1.287 밀리몰) 및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요오도-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3 g, 7.411 밀리몰)의 용액에 가하고 담황색 혼합물을 50 내지 55 ℃에서 40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화 암모늄 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70 ㎖)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10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바이오티지(40m) 컬럼 상에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289 g(36% 수율)의 N-[(1,1-디메틸에톡실)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3H27F3N2O5(M+Na)에 대한 계산치 491.1764, 실측치 491.1764.
(g) 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제조
N-[(1,1-디메틸에톡시)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53 ㎎, 0.54 밀리몰)를 실온에서 디옥산(4.0 ㎖) 중의 4N HCl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백색 고체가 생성됨에 따라 용액을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사를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메탄올을 제거한 후, 잔사를 고 진공하에 건조하여 221 ㎎(100% 수율)의 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LRMS m/z 369.3(M+H), 410.3(M+CH3CN).
(h)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의 제조
THF(6 ㎖) 중의 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216 ㎎, 0.53 밀리몰) 및 2,6-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120 ㎎, 0.57 밀리몰)의 현탁액에 DIEA(210 ㎕, 1.19 밀리몰)를 실온에서 가하였다. 5 분후에, 맑은 용액이 수득되고 이것을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로 희석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0.5N HCl(50 ㎖), 포화 NaHCO3 용액(50 ㎖) 및 염수 용액(50 ㎖)으로 연속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약 3 ㎖)에 용해시키고 헥산(약 3 내지 4 ㎖)을 가하고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고형물을 수거하고 헥산으로 세척하였다. 고 진공하에 건조시킨 후, 270 ㎎(93.5%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170 내지 173 ℃. ES-HRMS m/e C25H21Cl2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63.0724, 실측치 563.0730.
(i)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에탄올(5 ㎖) 중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243 ㎎, 0.45 밀리몰)의 현탁액에 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8 ㎖)을 실온에서 가하였다. 혼합물을 45 내지 50 ℃로 가열하고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에탄올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물(20 ㎖)로 희석하였다.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50 ㎖)로 세척하여 임의의 중성 불순물들을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0N HCl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 용액(5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제를 여과하고 농축하여 186 ㎎(79% 수율)의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ES-HRMS m/e C24H19Cl2F3N2O4(M+Na)에 대한 계산치 549.0567, 실측치 549.0573.
실시예 45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의 제조
실시예 44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및 2-클로로-6-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로부터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을 제조하였다. ES-LRMS m/z 507.1(M+H), 529.1(M+Na).
실시예 46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8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요오도에탄으로부터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7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9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2-[(N,N-디에틸)아미노]에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8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40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1-클로로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9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8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요오도에탄으로부터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0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39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2-[(N,N-디에틸)아미노]에틸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부터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51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40에 기술된 일반 절차를 이용하여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및 1-클로로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생물분석 실시예
실시예 A
VLA-4/VCAM-1 선별 분석
고정화된 VCAM-1에 대한 결합에 대해 경쟁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VLA-4 길항물질 활성을 고체상, 이중 항체 ELISA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VCAM-1에 결합된 VLA-4(α4β1 인테그린)는 항-인테그린 β1 항체: HRP-결합 항-마우스 IgG: 색소원성 기질(K-블루(K-Blue))의 복합체에 의해 검출하였다. 초기에, 상기 과정은 96 웰 플레이트(넝크 맥시소프(Nunc Maxisorp))를 재조합 인간 VCAM-1(100 ㎕ PBS중 0.4 ㎍)으로 코팅하고, 각 플레이트를 밀봉한 다음 플레이트를 4 ℃에서 약 18 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비-특이적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해 VCAM-코팅된 플레이트를 250 ㎕의 1% BSA/0.02% NaN3로 차단하였다. 분석 당일에, 모든 플레이트를 VCAM 분석용 완충액(200 ㎕/웰의 50 mM 트리스-HCl, 100 mM NaCl, 1 mM MnCl2, 0.05% 트윈(Tween) 20; pH 7.4)으로 2회 세척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100% DMSO에 용해시킨 다음 1 ㎎/㎖의 BSA가 보충된 VCAM 분석용 완충액 중에 1:20으로 희석하였다(즉, 최종 DMSO = 5%). 일련의 1:4 희석을 수행하여 각 시험 화합물에 대해 0.005 nM 내지 1.563 μM의 농도 범위를 달성하였다. 웰 당 100 ㎕의 각 희석액을 VCAM-코팅된 플레이트에 가한 후 10 ㎕의 라모스(Ramos) 세포-유래 VLA-4를 가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들을 진탕기대에서 1 분간 연속하여 혼합하고, 37 ℃에서 2 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200 ㎕/웰의 VCAM 분석용 완충액으로 4회 세척하였다. 100 ㎕의 마우스 항-인간 인테그린 β1 항체를 각 웰에 가하고(VCAM 분석 완충액 + 1 ㎎/㎖ BSA중 0.6 ㎍/㎖) 37 ℃에서 1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기간 종료시에, 모든 플레이트를 VCAM 분석용 완충액(200 ㎕/웰)으로 4회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상응하는 두 번째 항체, HRP-결합 양 항-마우스 IgG(웰 당 100 ㎕, VCAM 분석용 완충액 + 1 ㎎/㎖ BSA중 1:800 희석비)를 각 웰에 가한 후 실온에서 1 시간동안 배양하고 VCAM 분석용 완충액으로 3회 세척(200 ㎕/웰)하여 종료하였다. 웰 당 100 ㎕의 K-블루를 가하여 발색을 개시하고(15 분 배양, 실온), 웰 당 100 ㎕의 레드 스톱(Red Stop) 완충액을 가하여 종료하였다. 이어서, 모든 플레이트를 650 nM에서 UV/가시광선 분광계로 판독하였다. 결과들은 전체 결합(즉, 시험 화합물 부재하에 VLA-4 + VCAM-1)의 억제율%로서 산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A = IC50<1nM, B = IC50<10 nM)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화합물 VCAM/VLA-4 ELISA 분석시 활성
8 A
10 B
15 B
17 B
24 A
28 A
실시예 B
라모스(VLA-4)/VCAM-1 세포-기재 선별 분석 프로토콜
재료:
CHO 세포 배지로부터 면역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가용성 재조합 인간 VCAM-1(5- 및 7-Ig 영역의 혼합물)을 정제하고 0.1 M 트리스-글리신(pH 7.5), 0.1 M NaCl, 5 mM EDTA, 1 mM PMSF, 0.02% NaN3 및 10 ㎍/㎖ 류펩틴을 함유하는 용액 중에 유지하였다. 칼세인(Calcein)-AM은 몰레큘라 프로브즈 인코포레이티드(Molecular Probes Inc.)에서 구입하였다.
방법:
고정화된 VCAM-1에 대한 결합에 대해 세포-표면 VLA-4와 경쟁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VLA-4(α4β1 인테그린) 길항물질 활성을 라모스-VCAM-1 세포 부착 분석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세포-표면 VLA-4를 함유하는 라모스 세포를 형광 염료(칼세인-AM)로 표지하고 시험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VCAM-1을 결합시켰다. 부착성 세포와 관련된 형광 강도의 감소(억제율%)는 시험 화합물에 의해 VLA-4 매개된 세포 부착의 경쟁적 억제를 반영하였다.
초기에, 상기 과정은 96 웰 플레이트(넝크 맥시소프)를 재조합 인간 VCAM-1(100 ㎕ PBS중 100 ng)으로 코팅하고, 각 플레이트를 밀봉한 다음 플레이트를 4 ℃에서 약 18 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VCAM-코팅된 플레이트를 PBS중 0.05% 트윈-20으로 2회 세척한 다음, 200 ㎕의 차단 완충액(1% BSA/0.02% 티메로살)으로 차단하여 비-특이적 결합을 감소시켰다. 차단 완충액으로 배양한 후, 플레이트를 거꾸로 하여 압지로 빨아들이고 남은 완충액을 흡인하였다. 그 다음, 각 플레이트를 300 ㎕ PBS로 세척하고 거꾸로 하여 남은 PBS를 흡인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100% DMSO에 용해시킨 후 VCAM 세포 부착 분석용 완충액(50 mM 트리스-HCl중 4 mM CaCl2, 4 mM MgCl2, pH 7.5)에 1:25로 희석하였다(최종 DMSO = 4%). 각 화합물에 대해 일련의 8회의 1:4 희석을 수행하였다(1 nM 내지 12,500 nM의 일반 농도 범위). 웰 당 100 ㎕의 각 희석액을 VCAM-코팅된 플레이트에 가한 후 100 ㎕의 라모스 세포(1% BSA/PBS중 200,000 세포/웰)를 가하였다. 시험 화합물 및 라모스 세포를 함유하는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45 분간 배양한 다음, 165 ㎕/웰의 PBS를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거꾸로 하여 비-부착 세포들을 제거하고 압지로 빨아들이고 300 ㎕/웰의 PBS를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다시 거꾸로 하여 압지로 빨아들이고 남은 완충액을 부드럽게 흡인하였다. 100 ㎕의 용해 완충액(50 mM 트리스-HCl중 0.1% SDS, pH 8.5)을 각 웰에 가하고 회전 진탕기대에서 2 분간 진탕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사이토플루오르(Cytofluor) 2300(밀리포어(Millipore)) 형광 측정 시스템(여기 = 485 nm, 방출 = 530 nm) 상에서 형광 강도를 판독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A = IC50<100 nM, B = IC50<10000 nM, C = IC50<5,000 nM)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화합물 VCAM/VLA-4 라모스 세포 분석시 활성
8 B
10 B
15 C
24 B
28 C
30 B
31 B
32 B
33 A
34 B
35 B
36 A
37 B
실시예 C
알파4-베타7 분석 프로토콜
분석하기 2 주일전 내지 하루전에 넝크 고-결합 F96 맥시소프 면역 플레이트 #442404 또는 #439454를 100 ㎕/웰 부피의 25 ng/웰(0.25 ㎍/㎖) 매드캠(MadCAM)으로 코팅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제로 덮고 사란 랩으로 싼 다음 적어도 24 시간동안 냉장고에서 배양하였다. 사용된 코팅 완충액은 1N HCl에 의해 pH 9.6으로 조정된 0.8 g/ℓ 탄산 나트륨 및 1.55 g/ℓ 중탄산 나트륨으로부터 제조된 10 mM 탄산염/중탄산염 완충액이었다.
분석용 완충액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세척용 완충액: PBS중 0.05% 트윈 20;
차단용 완충액: PBS중 1% 탈지 분유;
표지용 완충액: PBS;
세포용 완충액: RPMI 1640 배지(첨가제 비함유);
결합용 완충액: 1.5 mM CaCl2, 0.5 mM MnCl2, 50 mM 트리스-HCl; pH 7.5까지 NaOH를 적가하고, H2O 중의 부피로 만들고, pH 7.5로 조정한다;
희석용 완충액: 결합용 완충액중 4% DMSO.
플레이트를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차단용 완충액으로 1 시간이상 차단하였다. 밀봉된 플레이트는 때때로 냉장고에서 밤새 차단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PBS로 세척하고 손으로 눌러 건조시켰다. 남은 액체를 웰로부터 흡인하였다.
충분한 RPMI 8866 세포를 분석용 균주에서 취하여(2 x 106 세포/㎖ x 10 ㎖/플레이트 x 플레이트수) 원심분리관에 넣었다. 상기 관을 PBS로 부피를 채우고 200 x G로 8 분간 회전시켰다. 완충액을 따라버리고 세포를 PBS에 10 x 106/㎖로 재현탁시키고, DMSO 중의 칼세인의 저장용 용액(5 ㎎/㎖)을 5 ㎕/㎖로 세포 현탁액에 가하였다. 현탁액을 37 ℃에서 조명없이 30 분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PBS로 세척하였다. PBS를 따라버리고 세포를 분석시 코팅을 위해 2 x 106 세포/㎖의 농도로 세포 완충액에 재현탁시켰다.
100% DMSO에 목적하는 25 x 1차 희석율로 시험 화합물의 저장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기준, 및 시험 화합물에 대한 1차 희석율은 연속 결합용 완충액중에 1:25인 반면, 나머지 일련의 희석은 희석용 완충액(결합용 완충액/4% DMSO)으로 행하였다. 선별용 화합물의 저장 용액 농도 및 희석율은 예상 활성에 의해 결정하였다.
분석시, 129 ㎕의 결합용 완충액을 웰의 제 1 열에 평판하고 100 ㎕의 희석용 완충액을 나머지 웰에 평판하였다. 5.4 ㎕ 분취량의 각 화합물을 적절한 표지된 웰에 3개 1벌로 피펫팅하였다. 이어서, 화합물을 플레이트 아래 방향으로 가면서 희석하였다(34 ㎕ + 100 ㎕ = 4배 희석). 대조용으로, 100 ㎕의 희석용 완충액과 100 ㎕의 세포 완충액을 비특이성 바탕값 웰(세포 부재, 화합물 부재)에 코팅하고, 100 ㎕의 희석용 완충액과 100 ㎕의 세포를 전체 결합용 웰에 코팅하였다(화합물 부재 = 100% 결합). 2 x 106 세포/㎖의 표지된 세포 100 ㎕/웰(= 2 x 105 세포/웰)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각 웰에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하고 실온에서 조명없이 45 분간 배양하였다. 배양후에, 150 ㎕의 PBS/웰을 가하여 비결합 세포를 제거하였다. 플레이트를 거꾸로 하고 종이 타월상에 빨아들이고 웰에 200 ㎕의 PBS를 부드럽게 가하여 세척하고 다시 빨아들였다. 나머지 완충액을 웰로부터 조심스럽게 흡인하였다. 최종 100 ㎕의 PBS를 각 웰에 가하였다. 그 다음, 플레이트를 사이토플루오르 2300(밀리포어) 형광 측정 시스템(여기 = 485 nm, 방출 = 530 nm) 상에서 형광 강도를 판독하였다. 각 화합물의 IC50은 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의 화합물 매드캠/RPMI 세포 분석시 활성(A=IC50<100 nM, B=IC50<10000 nM, C=IC50<5,000 nM)
30 B
31 B
32 B
33 A
34 B
35 C
36 B
37 B

Claims (56)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하기 화학식 Y-1의 기이거나:
    화학식 Y-1
    (상기 식에서,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C3-C7)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니트로, 시아노,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C1-C6)알카노일, 할로겐 또는 퍼플루오로(C1-C6)알킬이고, R22 및 R23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며; R24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아릴, 니트로, 시아노, (C1-C6)알킬설포닐 또는 할로겐이다); 또는
    R1은 N, O 및 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며 1 또는 2개의 원자가 (C1-C6)알킬, (C3-C7)사이클로알킬, 할로겐, 시아노, 퍼플루오로(C1-C6)알킬 또는 아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된 원자들중 적어도 하나는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탄소 원자에 인접한, 탄소원자를 통해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5 또는 6원 헤테로 방향족 고리이거나; 또는
    R1은 하기 화학식 Y-3의 3 내지 7원 고리이며:
    화학식 Y-3
    (상기 식에서, R25는 (C1-C6)알킬, 플루오르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2-C10)알케닐 또는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은 아릴, 헤테로아릴, 아지도, 시아노, 하이드록시, (C1-C6)알콕시, (C1-C6)알콕시카보닐, (C1-C6)알카노일,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설피닐, 퍼플루오로(C1-C6)알카노일 또는 니트로이거나, 또는 화학식 -NR28R29의 기이고; R28은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29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카보닐, (C1-C6)알카노일, 아로일, 퍼플루오로(C1-C6)알카노일아미노, (C1-C6)알킬설포닐, (C1-C6)알킬아미노카보닐 또는 아릴아미노카보닐이거나, 또는 R28 및 R29는 질소 원자와 함께 결합하여 O, S 및 N-R4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추가 헤테로 원자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4, 5 또는 6-원 포화 헤테로환 고리를 형성하고; Q는 -(CH2)fO-, -(CH2)fS-, -(CH2)fN(R27)-, -(CH2)f-이고; R27은 H, (C1-C6)알킬, 아릴, (C1-C6)알카노일, 아로일 또는 (C1-C6)알콕시카보닐이고; R40은 H, (C1-C6)알킬, 아릴, (C1-C6)알카노일, 아로일 또는 (C1-C6)알콕시카보닐이고; 고리 중의 탄소원자는 (C1-C6)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e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f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R2는 수소, (C1-C6)알킬, 치환된 (C1-C6)알킬, 아릴 또는 아릴(C1-C6)알킬이고;
    R3은 수소, 할로겐, (C1-C6)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아릴이고;
    R4는 수소, 할로겐, (C1-C6)알킬 또는 아릴이고;
    R5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콕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OH이며;
    R6은 수소, (C1-C6)알킬 또는 (C1-C6)알킬카보닐옥시 (C1-C6)알킬이거나, 또는 R6은 하기 화학식 P-3의 기이거나:
    화학식 P-3
    (상기 식에서, R32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33은 수소, (C1-C6)알킬 또는 아릴이고; R34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h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g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h와 g의 합은 1 내지 3이다), 또는
    R6은 하기 화학식 P-4의 기이고:
    화학식 P-4
    (상기 식에서, R32, g 및 h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Q'는 O, S, -(CH2)j- 또는 화학식 N-R35의 기이고; R35는 수소, (C1-C6)알킬, (C1-C6)알카노일 또는 (C1-C6)알콕시카보닐이고; j는 0, 1 또는 2이다);
    R7은 수소, 클로로, (C1-C6)알콕시 또는 (C1-C6)알킬이며,
    여기서, "아릴"은 (C1-C6)알킬, (C1-C6)알콕시, 하이드록시(C1-C6)알킬,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C1-C6)알콕시, 할로겐,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시아노, 니트로, 퍼플루오로(C1-C6)알킬, (C1-C6)알카노일, 아로일, 아릴(C2-C10)알키닐, (C2-C10)알키닐 및 (C1-C6)알카노일아미노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모노- 또는 비사이클릭 방향족기를 의미하고,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N, S 또는 O인 헤테로 원자 1, 2, 3 또는 4개를 함유하며, (C1-C6)알킬, (C1-C6)알콕시, 하이드록시(C1-C6)알킬,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C1-C6)알콕시, 할로겐,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시아노, 니트로, 퍼플루오로(C1-C6)알킬, (C1-C6)알카노일, 아로일, 아릴(C2-C10)알키닐, (C2-C10)알키닐 및 (C1-C6)알카노일아미노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5- 또는 6-원 모노사이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 또는 9- 또는 10-원 비사이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의미하고,
    "아로일"은 카보닐기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모노- 또는 비사이클릭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3이 수소, 할로겐, (C1-C6)알킬 또는 아릴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이고, 이때 Q가 -(CH2)fO-, -(CH2)fS- 또는 -(CH2)f-인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R5가 수소, (C1-C6)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이고, 이때 R22 및 R23이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가 수소, (C1-C6)알킬 또는 (C1-C6)알콕시인 화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R22 및 R23이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가 수소 또는 (C1-C6)알콕시이고, R2가 아릴(C1-C6)알킬인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이고, 이때 R25가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이 (C1-C6)알콕시이고, Q가 -(CH2)f-이고, e가 0 내지 4의 정수이고, f가 0 내지 3의 정수인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이고, R2가 수소, (C1-C6)알킬, 치환된 (C1-C6)알킬 또는 아릴(C1-C6)알킬인 화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이고, 이때 R25가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이 (C1-C6)알콕시이고, Q가 -(CH2)f-이고, e가 0 내지 4의 정수이고, f가 0 내지 3의 정수이고; R2가 아릴(C1-C6)알킬인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C1-C6)알킬 또는 아릴(C1-C6)알킬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5가 수소, (C1-C6)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C1-C6)알콕시이고; R6이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7이 수소, 클로로, (C1-C6)알콕시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인 화합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이고, 이때 R22 및 R23이 독립적으로 수소, (C1-C6)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가 수소, (C1-C6)알킬 또는 (C1-C6)알콕시인 화합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이고, 이때 R24가 수소이고, R2가 아릴(C1-C6)알킬인 화합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R1이 N, O 및 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며 1 또는 2개의 원자가 (C1-C6)알킬, (C3-C7)사이클로알킬, 할로겐, 시아노, 퍼플루오로 (C1-C6)알킬 또는 아릴로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된 원자들중 적어도 하나는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탄소 원자에 인접한, 탄소원자를 통해 아미드 카보닐에 결합된 5 또는 6원 헤테로 방향족 고리인 화합물.
  15. 제 10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인 화합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이고, 이때 R25가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이 (C1-C6)알콕시이고, Q가 -(CH2)f-이고, e가 0 내지 4의 정수이고, f가 0 내지 3의 정수인 화합물.
  17. 제 10 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C1-C6)알킬 또는 아릴(C1-C6)알킬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할로겐이고; R5가 수소이고; R6이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7이 수소, 클로로, (C1-C6)알콕시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 또는 화학식 Y-3의 기이고; R2가 수소, (C1-C6)알킬 또는 아릴(C1-C6)알킬이고; R3이 수소, (C1-C6)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4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5가 수소, (C1-C6)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고; R6이 수소, (C1-C6)알킬, (C1-C6)알킬카보닐옥시(C1-C6)알킬, 화학식 P-3의 기 또는 화학식 P-4의 기이고; R7이 수소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R2가 (C1-C6)알킬 또는 아릴(C1-C6)알킬이고; R6이 수소, (C1-C6)알킬, (C1-C6)알킬카보닐옥시(C1-C6)알킬 또는 화학식 P-3의 기이고; R7이 수소인 화합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이고, 이때 R22 및 R23이 수소, 할로겐 또는 (C1-C6)알킬이고, R24가 수소 또는 (C1-C6)알콕시이거나; 또는 R1이 화학식 Y-3의 기이고, 이때 R25가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R26이 (C1-C6)알콕시이고, Q가 -(CH2)f-이고, e가 0 내지 4의 정수이고, f가 0 내지 3의 정수인 화합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R2가 (C1-C6)알킬이고, R4가 수소이고, R3 및 R5가 (C1-C6)알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R6이 수소인 화합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인 화합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R22 및 R23이 할로겐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25. 제 24 항에 있어서,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1-메틸에틸)-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인 화합물.
  26. 제 22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인 화합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인 화합물.
  28. 제 21 항에 있어서,
    R6이 (C1-C6)알킬인 화합물.
  29. 제 28 항에 있어서,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에틸 에스테르인 화합물.
  30. 제 21 항에 있어서,
    R6이 (C1-C6)알킬카보닐옥시(C1-C6)알킬인 화합물.
  31. 제 30 항에 있어서,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1-(아세톡시)에틸 에스테르인 화합물.
  32. 제 21 항에 있어서,
    R6이 화학식 P-3의 기이고, 이때 R32가 수소이고, R33 및 R34가 (C1-C6)알킬이고, g 및 h중 하나가 1이고 다른 하나는 0인 화합물.
  33. 제 32 항에 있어서,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2-[(N,N-디에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인 화합물.
  34. 제 20 항에 있어서,
    R6이 수소인 화합물.
  35. 제 34 항에 있어서,
    R2가 (C1-C6)알킬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5가 수소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36. 제 35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인 화합물.
  37. 제 36 항에 있어서,
    R22 및 R23이 (C1-C6)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24가 수소인 화합물.
  38. 제 37 항에 있어서,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또는
    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인 화합물.
  39. 제 36 항에 있어서,
    R22 및 R23이 할로겐이고, R24가 수소인 화합물.
  40. 제 39 항에 있어서,
    N-[(2,6-디클로로페닐)카보닐]-4-(1,4-디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인 화합물.
  41. 제 36 항에 있어서,
    R22 및 R23이 할로겐 또는 수소이고, R24가 (C1-C6)알콕시인 화합물.
  42. 제 41 항에 있어서,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 또는
    N-[(2-브로모-5-메톡시페닐)카보닐]-4-(5-브로모-1-메틸-2-옥소-3-피리디닐)-L-페닐알라닌인 화합물.
  43. 제 35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3의 기인 화합물.
  44. 제 43 항에 있어서,
    4-(5-클로로-1-메틸-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인 화합물.
  45. 제 19 항에 있어서,
    R22 및 R23이 할로겐 또는 (C1-C6)알킬이고, R24가 수소 또는 (C1-C6)알콕시이고, R25가 화학식 R26-(CH2)e-의 기이고, 이때 R26이 (C1-C6)알콕시이고, Q가 -(CH2)f-이고, e가 0 내지 4의 정수이고, f가 0 내지 3의 정수인 화합물.
  46. 제 45 항에 있어서,
    R2가 아릴(C1-C6)알킬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할로겐이고, R5, R6 및 R7이 수소인 화합물.
  47. 제 46 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Y-1의 기인 화합물.
  48. 제 47 항에 있어서,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2-클로로-6-메틸페닐)카보닐]-L-페닐알라닌; 또는
    4-(1-벤질-5-클로로-2-옥소-3-피리디닐)-N-[[1-(2-메톡시에틸)사이클로펜틸]카보닐]-L-페닐알라닌인 화합물.
  49.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R2 내지 R5 및 R7은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1은 3차 부틸옥시카보닐 및 카보벤질옥시기에서 선택되는 질소 보호기이고, P2는 비치환되거나, C3-C7사이클로알킬, 니트로, 아릴옥시, 아릴, 하이드록시, 할로겐, 시아노, C1-C6알콕시, C1-C6알카노일, C1-C6알킬티오, C1-C6알킬설피닐, C1-C6알킬설포닐, 아미노, 모노-C1-C6알킬아미노 또는 디-C1-C6알킬 아미노로 치환된 C1-C6알킬인 카복시 보호기이며, 이때 "아릴"은 제 1 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02-7007201A 1999-12-06 2000-11-29 4-피리디닐-n-아실-l-페닐알라닌 KR100492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09099P 1999-12-06 1999-12-06
US60/169,090 1999-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256A KR20020060256A (ko) 2002-07-16
KR100492111B1 true KR100492111B1 (ko) 2005-06-01

Family

ID=2261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201A KR100492111B1 (ko) 1999-12-06 2000-11-29 4-피리디닐-n-아실-l-페닐알라닌

Country Status (34)

Country Link
EP (1) EP1244625B1 (ko)
JP (2) JP2003516392A (ko)
KR (1) KR100492111B1 (ko)
CN (1) CN1196682C (ko)
AR (1) AR031083A1 (ko)
AT (1) ATE297895T1 (ko)
AU (1) AU779063B2 (ko)
BR (1) BR0016172A (ko)
CA (1) CA2392566A1 (ko)
CO (1) CO5080771A1 (ko)
CZ (1) CZ20022352A3 (ko)
DE (1) DE60020883T2 (ko)
DK (1) DK1244625T3 (ko)
ES (1) ES2243335T3 (ko)
GC (1) GC0000214A (ko)
HK (1) HK1053470A1 (ko)
HR (1) HRP20020467A2 (ko)
HU (1) HUP0203735A3 (ko)
IL (2) IL149622A0 (ko)
JO (1) JO2281B1 (ko)
MA (1) MA26849A1 (ko)
MX (1) MXPA02005240A (ko)
MY (1) MY128003A (ko)
NO (1) NO322910B1 (ko)
NZ (1) NZ518888A (ko)
PE (1) PE20010960A1 (ko)
PL (1) PL364814A1 (ko)
PT (1) PT1244625E (ko)
RU (1) RU2270193C2 (ko)
TW (1) TWI276629B (ko)
UY (1) UY26470A1 (ko)
WO (1) WO2001042215A1 (ko)
YU (1) YU40502A (ko)
ZA (1) ZA200203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0597B2 (en) 2000-06-30 2005-11-01 Orth-Mcneil Pharmaceutical, Inc. Aza-bridged-bicyclic amino acid derivatives as α4 integrin antagonists
JP3440469B2 (ja) 2000-08-18 2003-08-25 味の素株式会社 新規フェニルアラニン誘導体
JP4895067B2 (ja) * 2000-09-29 2012-03-14 味の素株式会社 新規フェニルアラニン誘導体
EP1454898A4 (en) * 2001-12-13 2006-12-13 Ajinomoto Kk NEW PHENYL ALANIDE DERIVATIVES
US7482366B2 (en) 2001-12-21 2009-01-27 X-Ceptor Therapeutics, Inc. Modulators of LXR
JP5082033B2 (ja) 2001-12-21 2012-11-28 エグゼリクシス パテ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Lxrのモジュレーター
US7345049B2 (en) 2003-12-22 2008-03-18 Ajinomoto Co., Inc. Phenylalanine derivatives
US7618981B2 (en) * 2004-05-06 2009-11-17 Cytokinetics, Inc. Imidazopyridinyl-benzamide anti-cancer agents
AU2005277634B2 (en) * 2004-08-16 2011-02-17 Merck Sharp & Dohme Corp. VLA-4 antagonists
JP4784224B2 (ja) 2004-09-24 2011-10-05 味の素株式会社 糖鎖転移方法および糖鎖転移酵素
JP2009531304A (ja) * 2006-02-28 2009-09-03 エラ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α−4阻害剤化合物を用いて炎症性疾患および自己免疫疾患を治療する方法
AR060901A1 (es) * 2006-05-12 2008-07-23 Jerini Ag Compuestos heterociclicos para la inhibicion de integrinas y uso de estos
WO2008103378A2 (en) 2007-02-20 2008-08-28 Merrimack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ing multiple sclerosis by administration of alpha-fetoprotein in combination with an integrin antagonist
JP5639039B2 (ja) 2008-04-11 2014-12-10 メリマック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ヒト血清アルブミンリンカーおよびそのコンジュゲート
IN2012DN00638A (ko) * 2009-07-23 2015-08-21 Bayer Cropscience Ag
US8877815B2 (en) 2010-11-16 2014-11-04 Novartis Ag Substituted carbamoylcycloalkyl acetic acid derivatives as NEP
KR20140127234A (ko) * 2012-01-27 2014-11-03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Vla-4 발현 세포로의 표적화된 전달을 위한 인테그린 안타고니스트 접합체
EP3008056B8 (en) * 2013-06-11 2021-03-03 Receptos Llc Novel glp-1 receptor modulators
HUE053354T2 (hu) 2016-02-05 2021-06-28 Ea Pharma Co Ltd Szulfonamid-származékok és ezeket tartalmazó gyógyászati készítmények
AU2019373242B2 (en) 2018-10-30 2023-07-13 Gilead Sciences, Inc. Compounds for inhibition of alpha 4 beta 7 integrin
KR102641718B1 (ko) 2018-10-30 2024-02-29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알파4베타7 인테그린 억제제로서의 이미다조피리딘 유도체
CA3115830C (en) 2018-10-30 2023-09-12 Gilead Sciences, Inc. Compounds for inhibition of .alpha.4.beta.7 integrin
CN112969687A (zh) 2018-10-30 2021-06-15 吉利德科学公司 作为α4β7整合素抑制剂的喹啉衍生物
CN114222730A (zh) 2019-08-14 2022-03-22 吉利德科学公司 用于抑制α4β7整合素的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3817A1 (en) * 1997-05-29 1998-12-03 Merck & Co., Inc. Biarylalkanoic acids as cell adhesion inhibitors
EP1001764A4 (en) * 1997-05-29 2005-08-24 Merck & Co Inc Heterocyclic amides as cell adhesion inhibitors
US6197794B1 (en) * 1998-01-08 2001-03-06 Celltech Therapeutics Limited Phenylalanine derivatives
MY153569A (en) * 1998-01-20 2015-02-27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 Inhibitors of ?4 mediated cell adhesion
US6329372B1 (en) * 1998-01-27 2001-12-11 Celltech Therapeutics Limited Phenylalanine derivatives
DE69919334T2 (de) * 1998-02-26 2005-08-04 Celltech Therapeutics Ltd., Slough Phenylalaninderivate als inhibitoren von alpha4 integrinen
GB9811159D0 (en) * 1998-05-22 1998-07-22 Celltech Therapeutics Ltd Chemical compounds
DK1144365T3 (da) * 1998-12-22 2004-06-28 Upjohn Co Inhibitorer af alfa4beta1-medieret celleadhæsion
DE60021251D1 (de) * 1999-01-22 2005-08-18 Elan Pharm Inc Multizyklische verbindungen zur hemmung der durch vla-4 vermittelten leukozytenadhä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YU40502A (sh) 2005-03-15
PL364814A1 (en) 2004-12-13
TWI276629B (en) 2007-03-21
AU2163901A (en) 2001-06-18
EP1244625B1 (en) 2005-06-15
MA26849A1 (fr) 2004-12-20
ES2243335T3 (es) 2005-12-01
BR0016172A (pt) 2002-08-20
HUP0203735A2 (hu) 2003-03-28
JP2008094842A (ja) 2008-04-24
JP2003516392A (ja) 2003-05-13
WO2001042215A1 (en) 2001-06-14
UY26470A1 (es) 2001-05-31
NO322910B1 (no) 2006-12-18
NO20022650D0 (no) 2002-06-05
HUP0203735A3 (en) 2005-03-29
HRP20020467A2 (en) 2004-04-30
CN1196682C (zh) 2005-04-13
RU2270193C2 (ru) 2006-02-20
PE20010960A1 (es) 2001-09-22
CA2392566A1 (en) 2001-06-14
IL149622A (en) 2006-12-10
KR20020060256A (ko) 2002-07-16
ATE297895T1 (de) 2005-07-15
NZ518888A (en) 2004-02-27
JO2281B1 (en) 2005-09-12
DK1244625T3 (da) 2005-10-10
CZ20022352A3 (cs) 2003-05-14
DE60020883T2 (de) 2006-03-23
GC0000214A (en) 2006-03-29
CN1402709A (zh) 2003-03-12
IL149622A0 (en) 2002-11-10
EP1244625A1 (en) 2002-10-02
MXPA02005240A (es) 2002-11-07
MY128003A (en) 2007-01-31
AR031083A1 (es) 2003-09-10
AU779063B2 (en) 2005-01-06
NO20022650L (no) 2002-06-05
PT1244625E (pt) 2005-09-30
ZA200203762B (en) 2004-01-28
CO5080771A1 (es) 2001-09-25
HK1053470A1 (en) 2003-10-24
DE60020883D1 (de)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111B1 (ko) 4-피리디닐-n-아실-l-페닐알라닌
US6388084B1 (en) 4-pyridinyl-n-acyl-l-phenylalanines
EP1237878B1 (en) 4-pyrimidinyl-n-acyl-l-phenylalanines
US6380387B1 (en) 4-Pyrimidinyl-n-acyl-l phenylalanines
US6423728B1 (en) Heterocyclic thioamid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