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063B1 -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063B1
KR100491063B1 KR10-2002-0044550A KR20020044550A KR100491063B1 KR 100491063 B1 KR100491063 B1 KR 100491063B1 KR 20020044550 A KR20020044550 A KR 20020044550A KR 100491063 B1 KR100491063 B1 KR 10049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prism
light sour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648A (ko
Inventor
마부찌고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 G02B6/0071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with elongated shape, e.g.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패널 유닛(12)의 상면에 배치된 도광판(14) 및 도광판(14)의 측면(14a)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형 광원(16)을 구비한다. 도광판(14)의 상면(14b)에는 다수의 선형 프리즘(18, 18, …)이 측면(14a)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형 광원(16)으로부터 측면(14a)을 거쳐서 도광판(14) 내에 입사된 빛은 각각의 선형 프리즘(18)이 형성되는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고 하면에 있는 액정 패널 유닛(12)에 조사된다. 또, 각각의 선형 프리즘(18)은 자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사면의 높이 치수에 변화를 부여하고 있다.
각각의 선형 프리즘(18)마다,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휘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출사면 전체의 휘도 분포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LIGHT TRANSMISSION PLAT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복수의 프리즘이 상면에 형성된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도광판 및 면광원 장치로서, 예를 들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10)에 적용된 것이 있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액정 표시 장치(1)는 반사형 액정 패널 유닛(2), 액정 패널 유닛(2)의 상면에 배치된 도광판(3) 및 도광판(3)의 일측면(3a)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형 광원(4)을 포함한다. 도광판(3)의 상면(3b)에는 선형 프리즘(5)이 측면(3a)과 평행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17을 참조하여, 각 프리즘(5, 5, …)의 길이 방향 단면은 산형으로 형성되고, 측면(3a)에 대치하는 측의 경사면(7)은 반사면을 형성한다. 즉, 선형 광원(4)으로부터 측면(3a)을 지나서 도광판(3) 내로 입사된 빛은 도17에 점선 화살표(6)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반사면(7, 7, …)에 의해 반사되어 하면(3c)으로부터 출사된다. 이 출사광은 액정 패널 유닛(2)에 조사되고, 상기 액정 패널 유닛(2) 내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반사판에 의해 상방으로 반사된 후, 도17에 일점 쇄선의 화살표(8)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3)을 통과하여 상면(3b)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또, 각 프리즘(5, 5, …)은 선형 광원(4)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만큼, 반사면(7)의 높이 치수(H), 즉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형 광원(4)으로부터 떨어진[반사면(7)으로의 입사 광량이 작음] 장소라도, 선형 광원(4)에 가까운[반사면(7)으로의 입사 광량이 큼] 장소와 동등한 출사 광량을 얻을 수 있고, 하면(4c)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평성12년 3월 31일자로 출원 공개된 일본 특허 공개2000-89225호 공보[G02F1/1335]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기술은, 도광판의 상면에 다수 형성된 선형 프리즘의 길이 방향과 액정 표시 소자의 화소 패턴의 반복 방향 사이에 소정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프리즘과 액정 표시 소자의 화소 패턴과의 간섭에 의한 모아레(波形) 무늬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2가지의 종래 기술을 조합하면, 휘도 분포가 균일하고, 또한 모아레 무늬가 발생하지 않는 도광판 및 면광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술한 각 종래 기술을 단순히 조합하는 것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반사면의 높이 치수가 각각 다른 복수의 프리즘 길이 방향과, 액정 표시 소자의 화소 패턴의 반복 방향(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사이에 소정 각도를 부여한 경우,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 입사면(3a)의 길이 방향에서 도광판 입사면 두께에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각 프리즘의 반사면의 높이 치수에 차이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입사면 길이 방향에 따라서 도광판으로의 입사 광량이 일정해지지 않는다. 또한, 선형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해도 선형 광원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출사 광량에 차이가 생기므로,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입사 광량 분포 및 휘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고, 또한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도 분포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은 빛을 입사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프리즘이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은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프리즘을 형성하면서 또한 상기 측면에 대치하는 복수의 경사면의 높이를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높게 하고, 경사 방향이 소정의 각도에 의해 결정되도록 한 도광판이다.
제1 발명에서는, 도광판의 상면에 빛을 입사하는 측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의 측면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프리즘을 형성하는 또한 상기 측면에 대치하는 경사면에 의해 반사된다. 경사면의 높이는 측면 즉 입사면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입사면으로부터 벗어난 경우라도 입사면에 가까운 장소와 동등한 출사 광량을 얻을 수 있다.
또, 프리즘은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도록 복수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프리즘의 길이 방향 단면은 산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즘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프리즘의 장점 방향 단면은 대략 V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발명은 빛을 입사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길이 방향 프리즘이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프리즘을 형성하면서 또한 상기 측면에 대치하는 복수의 경사면의 높이를 프리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변화시키고, 경사 방향이 소정의 각도에 의해 결정되도록 한 도광판이다.
제2 발명에서는 도광판의 상면에 복수의 프리즘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복수의 프리즘의 각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높이는 프리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프리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에 반사하여 출사되는 빛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의 도광판과, 상기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여 배치된 선광원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이다. 제3 발명에서는 면광원 장치에 제1 또는 제2 발명의 도광판을 이용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의 면광원 장치와, 상기 도광판의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이다. 제4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에 제3 발명의 면광원 장치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10)는 판형의 액정 패널 유닛(12), 액정 패널 유닛(12)의 상면에 배치된 도광판(14) 및 도광판(14)의 측면(14a)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형 광원(16)을 포함한다. 이 중, 액정 패널 유닛(12)은 반사형인 것으로,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리 기판 상에 반사판, 액정층, 칼라 필터, 유리판 및 편향판을 이 순서로 적층한 것이다. 도광판(14)은 아크릴계의 수지제이며, 그 상면(14b)에는 후술하는 선형 프리즘(18)이 서로 평행을 이루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선형 광원(16)으로서는 열음극관이나 냉음극관 등의 형광등, 혹은 발광 다이오드를 선형으로 배열한 것, 백열등 또는 유기 발광 재료를 선형으로 형성한 것이 이용된다.
도2를 참조하여, 각 선형 프리즘(18, 18, …)의 길이 방향 단면은 산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산을 형성하는 2개의 경사면(20, 22) 중 선형 광원(16)에 대치하는 경사면(22)은 선형 광원(16)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을 형성한다. 즉, 선형 광원(16)으로부터 발사된 빛은 도광판(14) 내에 측면(14a)으로부터 입사되고, 도2에 점선 화살표(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리즘(18, 18, …)이 형성하는 각 반사면(22, 22, …)에 의해 반사된 후, 도광판(14)의 하면(14c)으로부터 출사된다. 이 출사광은 액정 패널 유닛(12)에 조사되고, 상술한 액정층 등을 투과한 후, 반사판에 의해 상방으로 반사되고, 다시 액정층을 투과한다. 그리고, 이 액정층을 투과한 빛이 도2에 일점 쇄선의 화살표(26)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14)을 통과하여 도광판(14)의 상면(14b)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그런데, 각 프리즘(18, 18, …)은 선형 광원(16)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만큼, 반사면(22)의 높이 치수(H), 즉 반사면(22)의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에 부호 O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14)의 측면(14a)과 상면(14b)에서 협지된 변의 일단부(도1의 우측)를 기점으로 하고, 이 기점(O)으로부터 선형 광원(16)에 따른 방향을 x 방향, 기점(O)으로부터 도광판(14)의 상면(14b)에 따른 또한 선형 광원(16)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y 방향, 이들 x 방향 및 y 방향의 각각에 직각인 방향[도광판(14)의 하면(14c)의 법선에 따른 방향]을 z 방향이라 하면, y 방향에 대한 각 반사면(22, 22, …)의 높이 치수(H)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또,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도광판(14)으로서, 도4에 부호 W로 나타낸 폭 치수가 56.56[㎜], 길이 치수(L)가 74.23[㎜]인 것을 이용하고 있으며, 도3은 이러한 도광판(14)의 y 방향에 대한 각 반사면(22, 22, …)의 높이 치수(H)를 나타낸다.
또한, 도2에 도시한 각각의 프리즘(18)의 꼭지각(α), 경사면(20)과 도광판(14)의 하면(14c)이 이루는 각도(β) 및 반사면(22)과 도광판(14)의 하면(14c)이 이루는 각도(γ)는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프리즘(18, 18, …) 사이의 피치(각 골 사이의 거리) P도, 일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광판(14)을 측면(14a)에 직교하는 측면(14d) 측으로부터 보면, 도4에 과장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4b)측이 개략 북형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보인다. 이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도5와 같이 된다. 도5는 상술한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프리즘(18, 18, …)의 각 정점을 잇는 포락선을 그래프화한 것으로, 이 그래프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도광판(14)의 상면(14b)이 y 방향에 있어서 활모양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광판(14)의 두께 치수(T)는 측면(14a)에 있어서 T = 1.00[㎜]로 되어 있다.
또, 각 프리즘(18, 18, …)은 상술한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길이 방향이 측면(14a)[엄밀하게는 액정 패널 유닛(12)의 도시하지 않은 화소 패턴의 배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여, 각 프리즘(18, 18, …)의 길이 방향과 선형 광원(16)의 길이 방향 즉 측면(14a)이 이루는 각도(θ)는 1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프리즘(18)마다, 자신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반사면(22)의 높이 치수(H)에 변화를 부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광원(16)[측면(14a)]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반사면(22)의 높이 치수(H)가 커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도광판(14)을 y 방향 중 어느 한 위치에서 잘라 내었다고 해도, 그 잘라 낸면에 나타나는 반사면(22, 22, …)의 높이 치수(H)는 서로 일치하고, 상술한 도3의 관계가 성립한다[환언하면, 각 반사면(22, 22, …)의 높이 치수(H)(즉 z 방향의 값)가, y 방향의 값뿐인 함수가 됨]. 또, 도6은 도4에 부호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점(O)으로부터 y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 m = 50[㎜]을 이격한 위치에 있는 프리즘(1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치수(H)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선형 광원(16)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원(16)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각 반사면(22, 22, …)의 높이 치수(H)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선형 광원(16)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휘도를 일정하게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프리즘(18, 18, …)의 길이 방향이 선형 광원(16)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고 해도, 도광판(14)의 출사면인 하면(14c) 전체에 걸쳐 균일한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14)의 하면(출사면)(14c)을 x 방향에 따른 A 내지 E의 5개의 열과 y 방향에 따른 a 내지 e의 5개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25개의 영역(28, 28, …)으로 등분할한다. 그리고, 선형 광원(16)을 점등하여 각 영역(28, 28, …)에 있어서의 휘도가 어느 정도가 되는지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A B C D E
a 94.9 % 93.8 % 95.0 % 94.2 % 98.8 %
b 100.0 % 100.0 % 98.2 % 98.0 % 99.2 %
c 100.0 % 97.8 % 98.6 % 99.7 % 99.3 %
d 98.6 % 97.9 % 98.5 % 97.4 % 98.3 %
e 92.9 % 94.9 % 96.5 % 93.9 % 91.7 %
또, 이 표1은 계산에 의해 얻게 된 휘도의 최대치를 1로 하고, 이 최대 휘도에 대한 각 영역(28, 28, …)의 휘도의 비율(상대 휘도)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이 표1에 있어서의 a열의 각 영역(28, 28, …)의 상대 휘도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8에 도시한다.
도8에 있어서, 실선(30)으로 나타낸 그래프가 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a열의 상대 휘도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또, 참고로 상술한 2개의 종래 기술을 조합한 것에 대해서도, 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뮬레이션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점선 그래프(32)로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2개의 종래 기술을 조합한 것에서는 선형 광원(4)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휘도가 크게(계산치에서는 79.7 % 내지 92.8 %) 변화하는 데 반해, 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광원(16)에 따른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휘도(표1로부터 93.8 % 내지 98.8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9에 표1의 C행에 있어서의 각 영역(28, 28, …)의 상대 휘도를 그래프화한 것을 도시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광원(16)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x 방향)에 있어서도, 상기 선형 광원(16)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휘도(표1로부터 95.0 % 내지 98.6 %)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제1 실시예에서는 각 프리즘(18, 18, …)을 도2와 같은 형상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리즘(18, 18, …)의 각 골의 높이[하면(14c)으로부터 골까지의 거리]가 일정해지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각 프리즘(18, 18, …)의 각 꼭지각을 조정함으로서 각 골의 높이를 일정하게 한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형의 홈(34)으로 이루어지는 프리즘을 그 폭 방향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복수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각 홈(34, 34, …)의 깊이(N)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를 제어한다.
또한, 반사형의 액정 패널 유닛(12)의 상면(표면)으로부터 빛을 조사한다는, 소위 프론트 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에 본 발명을 응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투과형 또는 반투과형의 액정 패널 유닛의 하면(이면)으로부터 빛을 조사한다는, 소위 백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에 본 발명을 응용해도 좋다.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40)는 도광판(42)의 폭 치수(W)보다도 작은 점광원(44)을 이용하여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즉, 단순히 점광원(44)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도12에 점선(46, 46,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점광원(44)을 중심으로 하는 개략 부채꼴형의 휘도 분포가 되어 버린다. 그래서, 예를 들어 도12에 일점 쇄선(48, 48,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의 프리즘을 측면(42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측면(42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프리즘(48)만큼 그 반사면의 높이를 높게 하고, 그리고 각각의 프리즘(4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사면의 높이에 변화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48)의 중심 부분에 있어서는 반사면의 높이를 낮게 하고, 단부에 가까울수록 반사면의 높이를 높게 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프리즘(4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사면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휘도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어 휘도 도광판(42)의 폭 치수(W)보다도 작은 점광원(44)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도광판(42)의 측면(42a)에 대해 각 프리즘(48, 48, …)을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도, 이 제2 실시예의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3 실시예로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 형성된 프리즘(58)의 골 포락면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각도(β)(i)로 형성되는 경사면(60) 및 상기 경사면(60)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프리즘 가공용 바이트의 날끝각(= α)으로 구성되는 반사용 경사면(62)으로부터 1개의 프리즘(58)이 형성된다. 프리즘(58)의 깊이(H)(i)를 가변하게 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꼭지각(α)의 프리즘 가공용 바이트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경사면(60)의 평면[프리즘(58)의 골 포락면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대한 각도(β)(i)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가변 깊이(H)(i)를 얻는다. 이 때, 프리즘 가공용 바이트의 꼭지점의 위치 좌표를 제어함으로써, 프리즘 깊이(H)(i)를 가변하면서 상기 평면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프리즘(58)으로 형성된 프리즘 가공면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광면(54a)의 두께를 입광면(54a)의 길이 방향에 따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입광면(54a)에 수직인 방향의 프리즘면 높이 분포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광판(54)을 대략 평판형 혹은 쐐기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따르면, 빛을 입사하는 측면에 대해 프리즘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측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프리즘의 경사면의 높이를 변화시키므로,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프리즘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높이가 프리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으므로, 휘도 분포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발명의 도광판을 이용함으로써, 휘도 분포가 균일하고, 또한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면광원 장치 또는 휘도 분포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는 면광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르면, 제3 발명의 면광원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휘도 분포가 균일하고, 또한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또는, 휘도 분포를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Ⅰ-Ⅰ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광판에 형성된 프리즘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3은 도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광판의 y 좌표치에 대한 프리즘의 반사면의 높이 치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해도.
도4는 도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광판의 외관을 도시한 도해도.
도5는 도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광판의 y 좌표치에 대한 z 좌표치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해도.
도6은 도1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즘 길이 방향에 대한 반사면의 높이 치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해도.
도7은 도1의 실시예의 효과를 실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의 개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도.
도8은 도7에 관한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의 휘도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9는 도7에 관한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y 방향에 있어서의 휘도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10은 도2의 프리즘 대신에 적용 가능한 프리즘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11은 도10과는 다른 프리즘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13은 도1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리즘 길이 방향에 대한 반사면의 높이 치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프리즘의 부분 확대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광판의 외관 사시도.
도16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17는 도14의 Ⅱ-Ⅱ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광판에 형성된 프리즘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18은 다른 종래의 프리즘에 의한 도광판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 장치
12 : 액정 패널 유닛
14 : 도광판
14a : 측면
16 : 선형 광원
18 : 선형 프리즘

Claims (6)

  1. 빛을 입사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프리즘이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면은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프리즘을 형성하면서 또한 상기 측면에 대치하는 복수의 경사면의 높이를 상기 측면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높게 하고,
    경사 방향이 소정의 각도에 의해 결정되도록 한 도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하도록 복수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프리즘의 길이 방향 단면은 산형으로 형성되는 도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프리즘의 길이 방향 단면은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는 도광판.
  4. 빛을 입사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길이 방향 프리즘이 형성된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프리즘을 형성하면서 또한 상기 측면에 대치하는 복수의 경사면의 높이를 프리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변화시키고,
    경사 방향이 소정의 각도에 의해 결정되도록 한 도광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여 배치된 선광원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
  6. 제5항에 기재된 면광원 장치와,
    상기 도광판의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02-0044550A 2001-07-30 2002-07-29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KR100491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9689 2001-07-30
JP2001229689 2001-07-30
JP2002091158A JP3706594B2 (ja) 2001-07-30 2002-03-28 導光板、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JP-P-2002-00091158 2002-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648A KR20030011648A (ko) 2003-02-11
KR100491063B1 true KR100491063B1 (ko) 2005-05-24

Family

ID=2661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550A KR100491063B1 (ko) 2001-07-30 2002-07-29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85343B2 (ko)
JP (1) JP3706594B2 (ko)
KR (1) KR100491063B1 (ko)
TW (1) TW5847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7719B2 (en) 2015-12-23 2019-0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5598A1 (en) * 2003-02-07 2005-09-08 Dancs Imre J. Projecting light and images from a device
US6533215B2 (en) * 2000-06-12 2003-03-18 Thomas M. Crain Fence spool apparatus
US7529659B2 (en) * 2005-09-28 2009-05-05 Audible Ma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unknown work
US7312839B2 (en) * 2001-11-13 2007-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guid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thereof
CA2483684C (en) 2002-05-13 2010-07-06 S. C. Johnson & Son, Inc. Coordinated emission of fragrance, light, and sound
CN1820543B (zh) 2003-02-07 2010-11-17 约翰逊父子公司 具有发光二极管夜灯的散射器
JP2006004772A (ja) * 2004-06-17 2006-01-05 Sharp Corp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643734B2 (en) * 2005-03-31 2010-01-05 S.C. Johnson & Son, Inc. Bottle eject mechanism
US7589340B2 (en) * 2005-03-31 2009-09-15 S.C. Johnson & Son, Inc. System for detecting a container or contents of the container
US7281811B2 (en) * 2005-03-31 2007-10-16 S. C. Johnson & Son, Inc. Multi-clarity lenses
CN100454100C (zh) * 2005-06-14 2009-0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显示装置
KR20070074879A (ko) * 2006-01-11 2007-07-18 주식회사 엘지에스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36715B1 (ko) 2007-03-16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502289B2 (ja) * 2008-05-14 2014-05-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489689B2 (ja) * 2009-12-14 2014-05-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内視鏡
DE102018003588A1 (de) * 2018-05-03 2019-11-07 Emz-Hanauer Gmbh & Co. Kgaa Leuchtvorrichtung zur Wandmontage in einem elektrischen Haushaltsgerät
US11269132B1 (en) * 2021-04-26 2022-03-08 Dell Products L.P. Display panel bottom side bord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415A (ja) * 1995-05-26 1996-12-03 Konica Corp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
JP2000021224A (ja) * 1998-07-03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10040168A (ko) * 1999-10-25 2001-05-15 가마이 고로 면 광원 장치 및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1215503A (ja) * 2000-02-02 2001-08-10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343532A (ja) * 2000-03-31 2001-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ロントライト、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2002184223A (ja) * 2000-12-14 2002-06-28 Alps Electric Co Ltd 面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40B1 (ko) * 1995-03-03 2003-12-31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다양한높이의구조화면을갖는광지향성필름과이러한필름으로구성된물품
DE19652209A1 (de) * 1996-12-16 1998-06-18 Bosch Gmbh Robert Beleuchtungseinheit
JP3364592B2 (ja) 1998-09-16 2003-01-08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6206535B1 (en) * 1999-11-30 2001-03-27 Hayashi Telempu Co., Ltd. Planar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light guides used therei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415A (ja) * 1995-05-26 1996-12-03 Konica Corp 導光板及びバックライト
JP2000021224A (ja) * 1998-07-03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10040168A (ko) * 1999-10-25 2001-05-15 가마이 고로 면 광원 장치 및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1215503A (ja) * 2000-02-02 2001-08-10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343532A (ja) * 2000-03-31 2001-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ロントライト、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
JP2002184223A (ja) * 2000-12-14 2002-06-28 Alps Electric Co Ltd 面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7719B2 (en) 2015-12-23 2019-0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4768B (en) 2004-04-21
JP3706594B2 (ja) 2005-10-12
US20030021100A1 (en) 2003-01-30
KR20030011648A (ko) 2003-02-11
JP2003114338A (ja) 2003-04-18
US6685343B2 (en) 200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063B1 (ko)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US6485157B2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6678021B2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760781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adopting same
KR101965457B1 (ko)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를 위한 미세복제된 필름
KR100535191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액정 디스플레이
EP0717236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US6565225B2 (en) Bar-shaped light guide, beam lighting device using the bar-shaped light guide, and surface lighting device using the beam lighting device
JPWO2007123173A1 (ja) 拡散板及び面光源装置
US6786613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US7789548B2 (en) Optical diffusion module having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KR20070120510A (ko) 백 라이트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광 편향 시트
KR20080031958A (ko) 가변 피치를 가지는 터닝 필름
US7125154B2 (en) Backlighting apparatus
KR100846804B1 (ko) 광 시스템
US8870434B2 (en) Asymmetric serrated edge light guide film having circular base segments
JPH1124586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導光板
JP4349181B2 (ja) 面発光装置
KR20090030455A (ko) Lcd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향상 시트
KR100960398B1 (ko) 휘도 향상 및 휘도 균일성 개선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액정표시장치용 도광판, 및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와액정표시장치
TWI471650B (zh) 背光模組及顯示裝置
US7312839B2 (en) Light guid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thereof
US7824094B2 (en) Backlight module having light guide plate with recesses
JP4984512B2 (ja) 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237473B1 (ko) 광경로 제어 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