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877B1 - 현상제 공급 용기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877B1
KR100483877B1 KR10-2003-0026241A KR20030026241A KR100483877B1 KR 100483877 B1 KR100483877 B1 KR 100483877B1 KR 20030026241 A KR20030026241 A KR 20030026241A KR 100483877 B1 KR100483877 B1 KR 10048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gear
supply container
developer supply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508A (ko
Inventor
반유다까
이소무라데쯔오
미나가와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7Toner discharging opening covered by arcuate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주 본체와;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기 위해 주 본체에 제공된 토출 개구와; 상기 토출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의 개폐 작동을 수행하도록 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셔터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개방 회전 방향을 따라서 사실상 연장되는 연장부와, 주 본체의 스토퍼 돌출부와 인접하기 위해 상기 주 본체를 향해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는 제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작동 중에 화상 형성 장치와 인접하기 위한 인접부를 가지고, 상기 제한 돌출부는 상기 제한 돌출부가 상기 스토퍼 돌출부와 인접할 수 없는 위치로 변위된다.

Description

현상제 공급 용기 {DEVELOPER SUPPLY CONTAINER}
본 발명은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기계 등과 같은 전자사진식 또는 정전식 기록 장치일 수 있다.
종래, 전자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는 미세 입자 형태의 현상제가 사용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현상제가 완전히 소비될 때, 현상제는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공급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는 통상 2개의 그룹, 즉, 현상제 용기 내에 수납된 전량의 현상제가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수용부 내로 전부 공급되는 일괄식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설정되어 거기에 유지되는 고정식으로 분류된다. 고정식 용기는 현상제가 완전히 소비될 때까지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점차적으로 공급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위한 요구로 인해 고정식을 사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현상제 용기가 교체될 때 용기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가 배출 개구로부터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개폐 부재가 제공된다.
개폐 부재에 의한 용기의 개방 및 폐쇄의 일례로서,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출원에서 이하가 제안된다. 즉, 회전 부재는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부재의 회전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구동 전달 부재를 통해 현상제 배출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개폐 부재로 전달된다.
현상제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설정된 상태에서, 개폐 부재에 대한 회전 부재의 위치는 고정되고, 현상제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취출될 때, 회전 부재는 개폐 부재로부터 해제되어 회전 가능해 진다.
후에 공간이 절약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 상에 제공된 기어부는 전체로 연장되지 않으나 섹터 기어의 형태(호형)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기어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 전달 부재의 기어와 결합되지 않고 개폐 부재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기어를 구동함으로써 현상제 배출 개구에 대한 밀봉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시의 회전 부재의 기어부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기어부 사이의 위치 관계가 제한되고, 회전 부재의 잘못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로킹 수단이 요구된다.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75944호는 현상제 공급 작동 외에는 회전 가능하지 않고 현상제 용기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해제될 수 있는 로킹 수단이 제공된 회전 부재를 갖는 현상제 용기를 제안하고, 이를 위한 로킹 부재 또한 제안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275944호는 용기의 장착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고 로킹 방향(용기의 장착 방향과 동일함)으로 가압되는 링형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를 더 제안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작동에 의해, 링형 로킹 부재는 가압력에 대해 로킹을 해제하는 이동을 한다.
이러한 구조로, 현상제 용기 주 본체에 대한 개방 및 폐쇄 부재인 셔터 회전 부재 외에 로킹 부재가 제공되어, 비교적 많은 수의 부품과 이에 따른 많은 수의 조립 단계 및 높은 제조 비용을 야기한다. 제조 단계에서, 로킹 부재를 조립하는 데 우발적인 실패의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 단계가 요구된다.
링형 로킹 부재는 회전 부재 내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나, 장착 방향으로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공간이 여전히 요구되는데, 이는 현상제 용기와 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를 위한 요구에 반하는 것이다.
링형 로킹 부재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복수의 해제부는 회전 부재의 주연 방향에 배열되어 로킹 부재가 장착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 영향을 주는 오프셋 하중을 감소시킨다. 하나의 해제부만이 제공되는 경우, 로킹 부재는 운동을 방지할 정도로 기울어진다.
복수개의 해제부가 제공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는 해제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대응하는 수의 결합부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현상제 용기가 회전식 현상 장치에 탑재되는 장치의 형식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회전 부재의 회전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부재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 부재의 회전 조절 해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 부재의 크리프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을 고려할 때 더 명백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2는 회전형 현상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3은 현상기에 대한 현상제 용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4는 현상기에 장착된 현상제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확대도이고, 도7a, 도7b 및 도7c는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의 로킹될 부분과 회전식 부재의 로킹부 사이의 결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 내지 도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가 우선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가 장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1)는 감광 드럼(19, 잠상 형성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19)의 외부 표면은 전사 드럼(15)에 접촉되고, 감광 드럼(19)은 도1에 화살표(B)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감광 드럼(19)의 외부 표면 둘레에는 방전 대전기(20), 세척 수단(21) 및 1차 대전기(23)가 감광 드럼(19)의 회전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공된다. 또한 미러와 같은 화상 노출 반사 수단(25)과, 예컨대 감광 드럼(19)의 외부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비임 스캐너 형태의 화상 노출 수단(24)이 제공된다.
회전형 현상기(27, 현상 수단)가 잠상 형성 스테이션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현상기(27)는 감광 드럼(19)의 외부 표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식 부재(26, 케이싱 또는 프레임)를 포함한다. 회전식 부재(26)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동등하게 분할된 위치에 4개의 현상기(27)를 구비한다. 현상기(27)들은 각각 감광 드럼(19)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시각화하도록 작용한다.
현상기(27)는 옐로우 현상기(27Y), 마젠타 현상기(27M), 시안 현상기(27C) 및 블랙 현상기(27BK)를 포함한다. 4개의 현상기(27)는 선택된 현상기가 감광 드럼(19)에 접촉되고 현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현상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서, 옐로우 현상기(27Y)는 감광 드럼(19)에 접촉하는 현상 위치에 놓여 있다. 따라서 현상기(27)는 각각의 컬러를 갖는 잠상을 현상할 수 있다.
현상기(27)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4), 현상제 용기(4)로부터 토출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14) 및 현상제 수용부(14)로부터 제공된 현상제로 감광 드럼(19)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22)를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부(14)는 현상제 용기(4)로부터 토출된 현상제를 수용하고 저장한다. 현상기(2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소정량의 현상제가 현상기(22)에 제공된다.
현상기(22)에는 대향하는 공급 방향을 갖는 스크루(31a, 31b, 현상제 공급 부재)가 마련된다. 이들은 현상제 캐리어의 토너를 균일 혼합으로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현상기(22)는 또한 자석을 함유하는 회전식 현상 슬리브(31c)를 포함한다. 이것이 자기력에 의해 캐리어 입자를 끌어 당겨 자성 브러쉬를 형성하고, 캐리어로 끌어 당겨진 토너는 감광 드럼(19)에 제공된다.
1차 대전기(2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9)의 표면은 화상 노출 수단(24)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 비임(E)에 노출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정전 잠상은 현상기(27) 중 대응하는 하나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감광 드럼(19)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도1에 화살표(An)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사 드럼(15)의 표면 상에 일시적으로 전사(1차 전사)된다.
한편,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수동 공급 트레이(17) 또는 시트 카세트(2, 3)로부터 공급된 기록 시트는 2차 전사 대전기(9)와 전사 드럼(15) 사이에 공급되고, 전사 드럼(15)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은 2차 전사 대전기(9)의 작동에 의해 기록 시트 상으로 재전사된다.
그 후, 기록재가 가열되고 고착 소자 내에서 가압되어 토너 화상이 영구적인 화상으로 고착되고, 장치의 외측으로 토출된다.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구조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면 부호 4는 화상 형성 장치(1) 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용기를 표시하고, 현상제 수용부(4a)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이다. 현상제 수용부(4a)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손잡이(회전식 부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5로 표시되며, 현상제 수용부(4a)에는 저장된 현상제를 토출하는 토출 개구(4b)가 마련된다.
현상제 수용부(4a) 상에 제공된 토출 개구(4b)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용기 셔터는 도면 부호 6으로 표시되고, 토출 개구(4b) 둘레에 제공된 가스켓은 도면 부호 7로 표시된다.
(현상제 수용부)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인 현상제 수용부(4a)는 중공 실린더 형태이다. 현상제를 토출하는 토출 개구(4b)가 일축 단부에 인접한 주연 표면 내에 제공되고, 토출 개구(4b)는 용기 셔터(6) 및 가스켓(7)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방향으로 측정된 현상제 수용부(4a)의 길이는 직경의 1.5배 이상이고 6배 이하이다. 토출 개구(4b)는 사실상 직사각형이다.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인 현상제 수용부(4a)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 블로 성형, 사출 블로 성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용부(4a)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의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상부 부재(4a1)와 하부 부재(4a2)를 포함한다. 그리고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용접되어, 현상제 수용부(4a)를 제공한다. 다른 재료 또는 다른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 셔터(6, 밀봉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지만, 다른 재료 또는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 셔터(6)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강도 및 활주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재료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재료) 수지 재료였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용부(4a)는 2개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3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현상제 수용부(4a)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는 블로 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현상제 수용부(4a)에는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수단으로 토출 개구(4b)가 마련된다. 현상제 공급 수단은 회전식 샤프트, 가요성 블레이드 및 현상제 수용부(4a)의 내부벽 상에 나선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현상제 용기(4)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가 공급되는 회전식 교반 부재이거나 또는 다른 공지된 형태일 수 있다.
(회전식 부재)
손잡이(5)는 현상제 수용부(4a)의 장치의 전방측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손잡이(5)는 디스크형 플랜지부(5a)와 플랜지부(5a)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된 태그부(5b)를 구비한다. 태그부(5b)는 작업자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현상제 용기(4)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며, 손잡이(5)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 셔터는 개방 또는 폐쇄된다.
플랜지부(2a)의 외주연부(5a) 상에는 아치형 세그멘트 기어(5c)가 제공된다. 따라서, 전체 원주의 일부에만 기어 치형부가 제공되어 구동 전달측 결합부로 작용한다. 플랜지부(2a)의 부분(5a)의 현상제 수용부(4a)에는 손잡이(5)의 회전 방향(용기 셔터의 개방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호형 아암부(5d)가 제공되고, 아암부(5d)는 로킹부로 작용한다. 아암부(5d)는 손잡이(5)와 일체로 된다.
(용기 셔터)
용기 셔터(6)는 현상제 수용부(4a)의 외측면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단부 부분들에서 (도시되지 않은) 채널형 단면을 갖는 안내부를 구비한다. 용기 셔터는 현상제 수용 부분(4a)의 주연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현상제 수용 부분(4a)에 인접하여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평행 리브(4c)들과 결합된다.
용기 셔터(6)에 대향하는 현상제 수용 부분(4a)의 측면에, 토출 개구(4b)가 용기 셔터(6)에 의해 개스킷(7)을 가압하여 대체로 기밀 밀봉되도록 개스킷(7)이 제공된다. 또한, 용기 셔터(6)는 회전력 수용 부분으로 기능하는 세그먼트 기어(6a)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로의 장착)
(작동 상태)
도2를 참조하여, 현상제 용기(4)와 현상 장치(27)의 작동 상태에 관해 설명된다. 현상제 용기(4)가 밀봉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1)가 화상 형성을 개시할 때, 현상 장치(22) 내의 토너는 점진적으로 소모된다. 현상 장치(22) 내의 토너의 양 또는 토너 및 캐리어의 비율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신호를 발생시킬 때, 현상제 수용 부분(14) 내의 현상제 이송 부재(31a, 31b)(이 실시예의 도2의 나사)는 현상 장치(22)로 현상제를 이송하도록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회전한다. 이러한 작동으로, 캐리어에 대한 토너의 비율 또는 현상 장치(22) 내의 토너의 양은 대체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회전식 현상 장치(27)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용기(4) 내의 현상제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 부분(14)으로 공급되도록 토출 개구(4b)를 통해 토출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제 용기(4) 내의 현상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소모된다. 소정의 시간에서, 현상제 용기(4)가 빈 것이 현상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것이 검출되어 작동 패널 등에 표시되어 작동자가 현상제 용기(4)를 교환하도록 한다.
(현상제 용기의 착탈)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현상제 용기(4)가 회전식 현상 장치(27)로부터 착탈 되는 상태가 설명된다. 우선, 현상제 용기(4)의 장착에 대해 설명된다. 작동자는 현상제 용기(4)의 손잡이(5)의 태그부(5b)를 파지하고 전방 측에 손잡이(5)를 갖는 회전식 현상 장치(27)로 현상제 용기(4)를 삽입한다.
이 때, 용기는 회전식 현상 장치(27)의 임의의 위치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도2에 도시된 예에서, 용기는 시안 현상 장치(27C)가 지시된 위치에 있을 때 교환된다. 따라서, 도3 및 도4에서, 현상제 용기(4)는 하부 위치를 차지하고 현상 장치(22)는 상부 위치를 차지한다.
용기가 도2의 시안 현상 장치(27C)의 위치에서 교환되면, 교환 작업은 현상제 용기(4)의 토출 개구(4b)가 상향되어 수행될 수 있고, 그 결과 토출 개구(4b)를 통해 현상제를 분산할 가능성이 적고, 이러한 이유로 그 위치는 양호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4)가 삽입될 때, 분리 화상 재료 용기(4)의 용기 셔터(6)는 우선 현상 장치(22) 측면에 제공된 현상 장치 측면 셔터(11)와 결합된다. 그 결과, 현상제 용기(4)의 용기 셔터(6)의 세그먼트 기어(6a)는 현상 장치(22) 측면에 제공된 회전력 전달 부재인 현상 장치 측면 기어(10)와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손잡이(5)의 세그먼트 기어(5c)는 현상 장치 측면 기어(10)와 결합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측면 기어(10)는 치선원의 직경이 삽입 방향에 대해 하류 스테이지에서 더 큰 두 스테이지 기어이다. 그리고, 용기 셔터(6) 상에 제공된 세그먼트 기어(6a)는 현상 장치의 기어(10)의 큰 치선원 직경 부분과 결합되고 손잡이(5) 상에 제공된 세그먼트 기어(5c)는 현상 장치 기어(10)의 작은 치선원 직경과 결합된다.
그 후, 작동자는 도4의 시계 방향으로 손잡이(5)의 태그부(5b)를 60°만큼 회전시키고, 회전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은 손잡이(5)의 세그먼트 기어(5c)로부터 현상 장치 측면 기어(10)로 전달된다.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용기 셔터(6)는 리브(4c)와 결합되면서 현상제 용기(4)의 주연 방향으로 활주한다.
이 때, 현상 장치 측면 셔터(11)가 현상제 용기(4)의 용기 셔터(6)의 활주 이동과 상호 관계로 이동하여, 현상제 용기(4)의 토출 개구(4b), 현상 장치 측면 셔터(11)의 개구(11a) 및 현상제 수용 부분(14)의 개구(14a)가 동시에 개방된다.
현상제 용기(4)의 제거에 대하여 설명된다. 작동자는 우선 손잡이(5)의 태그부(5b)를 파지하고, 도4의 반 시계 방향으로 60°만큼 태그 부분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반대 방향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용기 셔터(6)는 반대 방향으로 활주하고, 현상제 용기(4)의 토출 개구(4b), 현상 장치 측면 셔터(11)의 개구(11a) 및 현상제 수용 부분(14)의 개구(14a)는 동시에 폐쇄된다. 작동자는 손잡이(5)의 태그부(5b)를 파지하고 회전식 현상 장치(27)로부터 현상제 용기(4)를 취한다.
현상 장치 측면 셔터(11)는 현상제 용기(4)가 분리되었을 때도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하여, 현상 장치(27) 내에서 매우 필요하다.
(로킹 수단)
손잡이(5)는 외주연의 일부에 세그먼트 기어(5c)를 구비하여, 손잡이(5)의 각 위치(위상)는 손잡이(5)의 세그먼트 기어(5c)가 현상 장치 측면 기어(10)와 결합될 때 소정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손잡이(5)가 현상제 용기(4)의 장착 전에 회전에 대해 로킹 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몇몇 로킹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킹 수단은 장착 후에 손잡이(5)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해제된다.
로킹 수단에 대해 설명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의 아암부(5d)는 호형이고 플랜지부(5a)에 대한 연결 부분으로부터 용기 셔터(6)를 개방하는 회전 방향에 대한 하류를 향해 연장된다.
손잡이(5)(분출 성형식 수지 재료)(회전 부재)와 일체식인 아암부(5d)의 자유 단부의 인접부에는, 아암부(5d)의 외측면으로부터 손잡이(5)(회전 부재)의 주연면을 형성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인 형태의 해제부(5e)가 제공된다. 판형 아암부(5d)의 자유 단부 인근에는, 현상제 용기(4)의 본체인 현상제 수용 부분(4a)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의 형태인 로킹 결합부(5f)가 제공되며, 상기 로킹 결합부(5f)는 손잡이(5)(회전 부재)와 일체식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손잡이가 설정되기 전에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로킹 결합부(5f)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로킹될 부분(4d)과 맞닿아, 손잡이의 회전이 정지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의 현상제 용기(4)의 장착 작업과 함께, 해제부(5e)는 현상 장치(22) 측면에 제공된 인접부(100)에 인접하여, 화살표 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은 로킹 결합 부재(5f)가 장착 방향에 대향 방향으로 현상 장치 측면에서 로킹될 부분(4d)이 맞닿을 수 없는 위치로 변위되도록 한다. 또한, 아암부(5d)는 로킹 결합부(5f)(로킹 부분)의 해제 후 손잡이(회전 부재)의 회전의 방향에 대한 하류를 향해 연장된다.
손잡이(5)는 원통형 안내부(5g) 및 클로부(5h)를 갖는다. 클로부(5h)에 의해, 손잡이(5)는 현상제 수용부(4a)와 일체로 되지만, 원통형 안내부(5g)를 따라 회전 가능하다. 현상제 용기(4)의 주본체인 현상제 수용부(4a)에는 현상제 수용부(4a)로부터 손잡이(5)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형태인 로킹될 일체부(4d)(피로킹부)가 제공되며, 피로킹부(4d)과 회전 부재(로킹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손잡이(5)의 회전은 제한된다.
해제된 후에도 세그먼트 기어(5c)에 대응하는 각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5)가 현상제 수용부(4a)에 대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통형 안내부(5g) 상에 또는 클로부(5h) 상에 제공되는 몇몇의 결합부를 제공하고 이를 현상제 수용부(4a)와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현상제 용기(4)가 현상 장치(27) 내로 삽입될 때, 해제부(5e)는 현상 장치(22) 내에 제공된 인접부(100)에 대해 인접하게 되어, 이에 의해 아암부(5d)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가져오는 도6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힘을 수용하며, 로킹 결합부(5f)와 피로킹부(4d)의 결합이 해제된다. 반대로, 결합 해제시에, 현상제 용기(4)는 인출되며, 아암부(5d)는 아암부(5d)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서, 로킹 결합부(5f)와 피로킹부(4d)는 서로 재결합되고 재로킹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부(5e)가 단 하나의 위치에 제공되는 점에도 불구하고, 원활하고 확실한 해제가 가능하다. 이는 해제가 캔틸레버 형태의 아암부(5d)의 변위에 영향을 받으며, 변위가 아암부(5d)의 기부를 중심으로 한 원운동이어서, 변위 중에 클로깅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일체형 로킹 결합부(5f)(로킹부)를 갖는 아암부(5d)는 현상제 용기(4)의 장착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손잡이(5)(회전 부재)의 회전을 조절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가압된다. 로킹 결합부(5f)(로킹부)는 자유 상태(힘을 받지 않음)에서 현상제 용기(4)에 제공된 피로킹부(4d)와 결합되며, 손잡이(5)(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아암부(5d)는 손잡이(5)(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용기 셔터를 개방하기 위한 회전 방향, 즉 회전 부재의 회전이 제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판 형태이어서, 현상제 용기(4)의 장착 방향, 즉 회전축의 방향으로는 아암부(5d)가 변형되기 쉬운 반면, 손잡이(5)(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는 변형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아암부(5d)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아암부(5d)는 아치형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선형일 수 있다. 아치 형상은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외력에 대해 강하므로 바람직하다.
아치형 아암부(5d)의 길이는 어느 길이이어도 되지만, 20°내지 180°, 양호하게는 30°내지 120°, 더 양호하게는 40°내지 100°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부(5d)의 길이가 너무 길다면, 아암부(5d)의 강성이 저하하여, 그 결과 로킹 강도가 낮아지고 낙하 충격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아암부(5d)의 길이가 너무 짧다면, 강성이 매우 높아서, 그 결과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도7a, 도7b 및 도7c를 참조하면, 로킹된 상태[현상제 용기(4)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기 전]에서 손잡이(5)를 회전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상황이 설명될 것이다. 도7a는 로킹 결합부(5f)와 피로킹부(4d)가 서로 결합되고(로킹된 상태), 회전력이 손잡이(5)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7b는 장치의 전방측으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은 시계 방향[도7b의 화살표(D)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력이 손잡이(5)에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7b에서, 힘은 화살표(d)에 표시된 방향으로 가해지지만, 아암부(5d)는 자유단과 인접한 피로킹부(4d)와 로킹 결합부(5f) 사이의 인접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서, 아암부(5d)는 압축력을 수용하여서, 그 결과 도7b에 표시된 변형을 가져온다.(도7b에서 변형이 과장된다.)
이는 로킹 결합부(5f)와 피로킹부(4d)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아암부(5d)는 바닥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로킹 결합부(5f)과 피로킹부(4d)의 결합을 강화하기 쉬워서, 효율적인 로킹을 달성한다. 이는 아암부(5d)가 손잡이(5)의 회전 방향에 대해 하류쪽으로 연장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는 서로 인접되는 돌출부(4d)와 돌출부(5f)의 표면 각각에 테이퍼진 부분이 없기 때문이며, 이들이 용기의 주 본체로부터 사실상 직각으로 돌출되기 때문이다. 아암부 및 용기의 주 본체로부터 사실상 직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d)와 돌출부(5f)는 용기의 주 본체와 손잡이와 함께 일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7c는 아암부(5d)가 손잡이(5)의 회전 방향(용기 셔터를 개방하기 위한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아암부(5d)의 손잡이(5) 제한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해 상류쪽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아암부(5d)는 자유 단부에의 로킹 결합부(5f)와 피로킹부(4d)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동에 대해 제한되어서, 신장력이 아암부(5d)에 가해진다. 로킹 결합부(5f)가 도7a, 도7b 및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5d)의 바닥측에 피로킹부(4d)에 의해 제한되므로, 아암부(5d)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오목하게 변형된다. 이 도7c에서, 변형은 다시 과장된다. 이는 로킹 결합부(5f)와 피로킹부(4d) 사이의 보다 약한 결합이 되게 하여, 로킹이 해제되기 쉽게 한다. 최악의 경우, 로킹은 우연하게 해제된다.
로킹 강도는 손잡이(5)를 회전시켜 로킹을 강제로 해제시킴으로써 측정된다. 도7b의 구성으로 인해, 로킹은 100 N의 힘에서도 유지된다. 그러나, 아암의 연장 방향만이 상이한 도7c의 구성으로는, 로킹이 약 20 N의 힘에 의해 해제된다.
도8a 및 도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제2 실시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측면도들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 지정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도록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e)(제2 피로킹부)는 손잡이(5)(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해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의 로킹될 부분(4d)(피로킹부)의 상류 위치에 제공되며, 돌출부(4e)는 로킹 결합부(5f)와 결합된다. 이에 의해, 반대 방향[용기 셔터(6)의 폐쇄 방향]으로의 손잡이(5)의 회전은 제한된다.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f) 형태의 제3 로킹부는 손잡이(5)(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해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의 로킹될 부분(4d)(피로킹부)의 하류에 있으며, 돌출부(4f)는 로킹 결합부(5f)와 결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손잡이(5)는 해제 후에 용기 셔터(6)의 개방 방향으로 너무 많이 회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5)의 회전 범위는 아암부(5d)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게 제공된 록킹 결합부(5f)의 사용으로 한정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손잡이(5)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추가적인 결합부의 설비는 필요치 않다. 록킹 결합부(5f) 및 돌출부(4e, 4f)가 손잡이(5)의 플랜지부(5a)의 외주연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작동기는 손잡이(5)의 회전 범위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손잡이의 구조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특히, 용기 셔터를 작동시키는 손잡이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돌출부(5f)는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공되고, 용기 셔터를 폐쇄시키는 손잡이의 회전 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돌출부(5g)는 손잡이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9a 및 도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회전 가능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고, 그러한 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간결함을 위해 생략된다.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용기(4)의 주 조립체 측면에 대향하는 아암부(5d) 표면 상에 테이퍼부(5i)를 구비한다. 테이퍼부(5i)는 손잡이(5)의 록킹 해제 위치에서 록킹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의 기능을 한다.
테이퍼부(5i)는 록킹 결합부(5f; 돌출부)로부터 연장하고 손잡이(5)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류를 향하여 감소된 높이를 갖는다. 테이퍼부(5i)의 설비 때문에, 손잡이(5)가 반대 방향(용기 셔터(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록킹 결합부(5f)는 다시 록킹될 때까지 록킹될 부분 위에 자연스럽게 착좌된다.
손잡이(5)가 장치의 전방면에서 관측될 때 현상제 용기(4) 제거를 시도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될 때 작용하지만, 현상제 용기(4)를 장착하기 전에 여러 가지 이유로 결합 해제시킬 때 작용하기도 한다. 즉, 재 록킹이 손잡이(5)의 회전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경우이다.
손잡이(5)를 해제 위치에서 록킹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의 다른 구조로서, 테이퍼진 돌출부가 손잡이(5)에 대향할 때 현상제 수납부(4a)의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아암부(5d)가 손잡이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력(F)을 수용할 때 아암부(5d)의 변형을 한정하도록 아치형 아암부(5d), 조절부, 손잡이(5)를 갖는 간극의 일측면 상에 제공되고, 돌출부(5j)는 플랜지부(5a)로부터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를 향해 돌출되어 제공된다.
돌출부(5j)는 해제부(5e)가 운송 중에 아암부(5d)의 변형을 한정하도록 용기 상에 인가된 외부력을 수용할 때 아암부(5d)에 인접한다. 아암부(5d)는 외팔보의 형태이고 가요성이며, 따라서 기부 부분에서 변형, 파손 또는 박리될 수 있지만, 돌출부(5j)의 설비에 의해 그러한 것들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5j)는 바람직하게는 아암부(5d)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는 아암부(5d)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된다. 돌출부(5j)의 구조는 임의로 설계되거나 도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고, 아암부(5d)에 부착되는 측면 및 인접면을 지지하는 후방면을 포함하는 T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회전 가능한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상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고, 그러한 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간결함을 위해 생략된다.
본 실시예는 태그부(5b)의 구조 내의 형상을 포함한다. 태그부(5b)는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직선형 돌출부이지만, 손잡이(5) 회전의 방사상 외부로 연장하는 돌출부(5b1)이고, 그 각위치(상)는 대체로 해제부(5e)와 정렬된다.
태그부(5b)의 돌출부(5b1)는 현상제 용기(4)의 장착 방향에 대해 해제부(5e)의 상류에 배치되고, 태그부(5b)의 최외부의 직경은 해제부(5e)의 최외각부의 직경보다 작지 않다.
이러한 구조로, 운송 중에 낙하하는 충격력은 예컨대 돌출부(5b1)에 의해 수용되어 해제부(5e)가 힘을 받지 않으므로, 아암부(5d)의 변형, 파손 및 박리가 방지될 수 있다.
작동기가 용기를 취급할 때, 돌출부 형상의 해제부(5e)는 손잡이(5)의 돌출부(5b1)의 후방면에 배치되고, 오작동(해제부(5e)가 우연히 록킹을 해제하도록 접촉한다)이 가끔 일어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아암부(5d)의 구조가 특징화된다.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암부(5d)는 기부 부분으로부터 자유 단부를 향해 감소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그러한 구조 때문에, 아암부(5d)의 작동 중에 아암부(5d)의 기부 부분에 응력 집중이 회피될 수 있어서 대체로 전체의 아암부(5d)가 변형되고, 따라서 기부 부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박리 또는 균열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개념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된 실시예에서, 록킹 결합부(5f; 록킹부) 및 록킹될 부분(4d; 록킹될 부분)은 모두 돌출부이지만, 이들 중 하나가 리세스부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구조의 소형화가 달성된다.
그러나,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 측면은 리세스로 구성되고, 이하의 것이 고려된다. 즉, 현상제 수용부(4a)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부분(상부 재료(4a1) 및 하부 재료(4a2)로 구성될 때, 리세스를 갖는 부재를 위한 금속 주형 구조물은 소위 내부 슬라이드를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해 질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록킹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 배치된 아암부(5d)는 아암부(5d) 상에 제공되지만, 아암부 또는 다른 배치 가능한 부재가 현상제 용기(4)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전술된 실시예에서, 록킹 결합부(5f; 록킹부)는 손잡이(5) 측면 상에 제공되고, 록킹될 부분(4d; 록킹될 부분)은 현상제 용기(4)의 주 본체 측면 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록킹부는 손잡이(5; 회전 가능한 부재)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록킹될 부분은 주 본체 측면(현상제 용기(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아암부(5d) 및 손잡이(5)는 사출 성형되고, 아암부(5d)는 재료의 탄성 그 자체에 의해 록킹부로 복귀한다. 그러나, 록킹 위치를 향하여 더욱 강하게 가압하기 위해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록킹 수단을 갖는 현상제 용기를 제공한다. 이는 현상제 용기가 공간이 제한된 로터리형 현상 장치(27)에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에서, 현상제 용기가 로터리형 현상 장치(27)에 장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고정형 현상 장치 또는 단일 현상 수단을 갖는 현상 수단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현상제는 토너만을 포함하는 일 성분의 현상제일 수도 있고, 비자성 토너 입자들과 자성 캐리어 입자들을 포함하는 이 성분의 현상제일 수도 있다. 또한, 토너 공급 용기 내에 내장된 현상제가 전자의 경우에는 토너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토너와 캐리어의 혼합물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기 셔터를 개폐하도록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 전달 수단을 통해 회전 부재의 회전 구동력이 용기 셔터에 전달되는 형태의 현상제 용기와, 부품의 개수가 적고 운반시 쉽게 파손되지 않는 소형 회전 로킹 수단이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는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간단한 구성으로써 저비용으로 로킹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로킹 상태로 있더라도, 로킹부에 크립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서, 로킹 기능이 장기간 유지된다.
또한, 로킹부는 회전 부재와 일체로 되어 있고, 해제 방향으로 로킹부를 변위시키는 힘을 수용하기 위한 해제부가 제공되며, 적어도 그 일부분이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를 지나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해제부가 돌출부 상에 제공되면, 해제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속에 현상제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로킹 부재가 간단히 해제된다.
로킹부는 회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아암부이다. 해제후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해 하류를 향해 연장될 때, 인가된 힘은 로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고, 아암부는 압축되어서, 로킹 해제가 억제된다. 따라서, 로킹이 우연히 해제되지 않는다.
양호하게는 아암부가 회전 부재의 회전을 따라 연장되는 호형이고, 아암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여 로킹될 부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제공되고, 이는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에 제공된다.
양호한 구성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의 현상제 용기의 장착 방향은 회전 부재의 회전축을 따르고, 아암부는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쉽게 장착 방향으로 변위하며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는 쉽게 변위하지 않는다.
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아암부의 자유 단부 근방에 제공되는 결합부는 아암부로부터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로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 부재에 회전력이 인가되더라도 결과적으로 압축 방향으로 아암부에 힘이 인가되어서, 아암부가 변형된다.
그러나, 변형의 결과 압축과 로킹될 부분 사이의 결합이 더 견고해져서, 로킹 해제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의도하지 않은 로킹 해제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또한, 해제부가 아암부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부분일 때, 해제부는 아암부와 일체로 되어 있고 자유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로킹 해제시 아암부가 확실하게 변형된다.
로킹될 부분은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로부터 회전 부재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을 때, 로킹될 부분은 현상제 용기의 내부 체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간단한 금속 주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가 조작자의 손에 의한 회전을 위해 태그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태그부는 현상제 용기의 장착 방향에 대해 해제부의 상류에 배치되고, 적어도 그 일부분은 반경 방향으로 회전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부는 해제부와 상이 대체로 정렬되고, 태그부의 최외측부의 직경은 해제부의 최외측부의 직경 이상이고, 태그부는 해제부를 지나 돌출되어서, 해제부가 조작자의 손에 쉽게 잡히지 않아, 장착전 쉽게 로킹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낙하 등으로 인한 충격을 수용할 때, 충격은 태그부에 의해 수용될 수 있어서, 해제부가 충격을 받는 것이 방지되어, 아암부가 파손되지 않는다.
안내부가 해제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안내할 때, 용기가 장치에 장착되기 전에 로킹 해제되더라도, 로킹부는 태그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히 재저장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장치에 장착된 후에 회전 부재가 셔터 폐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쉽게 재 로킹된다. 따라서, 현상제 용기는, 일단 장치에 장착된 다음 장치로부터 해제되더라도 로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안내부가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를 향한 아암부로부터의 테이퍼진 돌출부를 포함할 때,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한 재 로킹이 가능하다.
안내부가 회전 부재에 대해 측면 상에 형성된 테이퍼진 돌출부를 포함할 때,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한 재 로킹이 가능하다.
회전 부재의 용기 셔터를 폐쇄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용기 셔터를 폐쇄하는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해 로킹될 부분의 상류 또는 하류에 제2 회전이 배치될 때, 잘못된 방향으로의 회전 부재의 회전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회전 부재의 회전의 완성에 의해 용기 셔터의 완전 폐쇄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용기 셔터를 개방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용기 셔터를 개방하는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해 로킹될 부분의 하류에 로킹될 제3 부분이 제공될 때, 용기 셔터가 완전히 개방된 후 용기 셔터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 부재의 추가적인 회전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자는 회전 부재의 회전의 완성에 의해 용기 셔터의 완전 개방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아암부가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부 힘을 수용할 때 아암부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아암부 내부에 제공될 때, 아암부의 블랜칭(blanching) 또는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아암부의 변형이 제한된다.
조절부가 회전 부재와 일체로 되어 있고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을 때, 회전 부재의 회전 위치와 상관없이 아암부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어서, 아암부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는 별도의 로킹 부재를 제공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로킹될 수 있다.
또한, 회전형 현상 장치의 경우에서와 같이 작은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는 회전 부재용 소형 로킹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해제 수단이 제공되더라도 해제 작동은 안정화된다.
또한, 로킹 수단은 용기가 낙하하여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그 상세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후속의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향상의 목적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변형과 수정이 있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와 사용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2는 회전식 현상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3은 현상 장치로의 현상제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4는 현상 장치에 장착된 현상제 용기의 개략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개략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확대도.
도7a, 도7b 및 도7c는 회전 부재의 로킹부와 현상제 용기의 주 본체의 로킹될 부분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부분 측면도.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회전 부재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회전 부재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회전 부재의 수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4 : 현상제 용기
4a : 현상제 수용부
4b : 토출 개구
5 : 손잡이
6 : 셔터

Claims (11)

  1.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주 본체와,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기 위해 주 본체에 제공된 토출 개구와,
    상기 토출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의 개폐 작동을 수행하도록 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의 개방 방향으로의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개방 회전 방향을 따라서 사실상 연장되는 연장부와, 주 본체의 스토퍼 돌출부와 인접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주 본체를 향해 돌출되는 제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장착 작동 중에 화상 형성 장치와 인접하기 위한 인접부를 가지고, 상기 제한 돌출부는 상기 제한 돌출부가 상기 스토퍼 돌출부와 인접할 수 없는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셋팅되기 전에,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연장부가 장착 방향의 힘을 수용하지 않고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한 자유 단부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방사상 내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변위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회전 부재와 함께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의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스토퍼 돌출부와 인접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로부터 주 본체를 향해 돌출되는 제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제1 기어 부재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제1 기어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기어 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한 제2 기어 부재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제2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제1 기어 부재 및 상기 제2 기어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 사이에 구동 연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기 전에,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 사이의 구동 전달 경로는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9. 화상 형성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주 본체와,
    현상제의 토출을 허용하기 위해 주 본체에 제공된 토출 개구와,
    상기 토출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부재와,
    상기 셔터 부재를 개폐하기 위해 주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 가능 그립 부재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기 전에 상기 그립 부재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수지 재료로 상기 그립 부재와 함께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 그립 부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제1 기어 부재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제1 기어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기어 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한 제2 기어 부재와 맞물림 결합하기 위한 제2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제1 기어 부재 및 상기 제2 기어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 사이에 구동 연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기 전에,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 사이의 구동 전달 경로는 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
KR10-2003-0026241A 2002-04-25 2003-04-25 현상제 공급 용기 KR100483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23618A JP3854893B2 (ja) 2002-04-25 2002-04-25 現像剤容器
JPJP-P-2002-00123618 2002-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508A KR20040021508A (ko) 2004-03-10
KR100483877B1 true KR100483877B1 (ko) 2005-04-20

Family

ID=2878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241A KR100483877B1 (ko) 2002-04-25 2003-04-25 현상제 공급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39533B2 (ko)
EP (1) EP1357447B1 (ko)
JP (1) JP3854893B2 (ko)
KR (1) KR100483877B1 (ko)
CN (1) CN1280683C (ko)
HK (1) HK1057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4138B2 (en) * 2003-02-28 2006-04-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plenishing developer kit
JP3840191B2 (ja) * 2003-03-10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90997B2 (ja) * 2003-03-11 2007-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7110706B1 (en) * 2003-04-11 2006-09-19 Eastman Kodak Company Toner replenisher and method for an electrographic imaging machine
JP4470470B2 (ja) 2003-12-03 2010-06-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380309B2 (ja) 2003-12-03 2009-1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155138B2 (en) 2003-12-22 2006-12-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JP4401797B2 (ja) * 2004-01-30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352159A (ja) * 2004-06-10 2005-12-22 Canon Inc 現像剤補給容器
RU2407049C2 (ru) *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BR122018006736B1 (pt) 2005-03-04 2019-04-24 Canon Kabushiki Kaisha Recipiente de suprimento de revelador
JP4872259B2 (ja) * 2005-07-25 2012-02-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2831190Y (zh) * 2005-08-24 2006-10-2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剂供应容器
JP4689422B2 (ja) * 2005-09-27 2011-05-25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9360B2 (ja) * 2005-12-22 2011-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US7729644B2 (en) * 2006-05-11 2010-06-01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WO2007136132A1 (ja) * 2006-05-23 2007-11-29 Canon Kabushiki Kaisha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4413912B2 (ja) * 2006-11-29 2010-02-10 株式会社沖データ 粉体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92470B2 (en) * 2007-01-15 2010-09-07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JP5067865B2 (ja) * 2007-02-21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GB2482310B (en) 2010-07-28 2013-04-10 Illinois Tool Works Printer device
JP5110219B1 (ja) * 2012-02-21 2012-12-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68597B2 (ja) * 2012-05-31 2014-08-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JP6137882B2 (ja) 2013-03-11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CN105824224B (zh) * 2015-01-09 2023-05-05 江西镭博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6550845B2 (ja) * 2015-03-27 2019-07-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収容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D872796S1 (en) * 2016-05-26 2020-01-14 Canon Kabushiki Kaisha Coupling for process 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6693302B2 (ja) * 2016-06-30 2020-05-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834251B2 (ja) 2016-08-26 2021-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EP3451070A1 (en) * 2017-08-28 2019-03-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N109634079A (zh) * 2019-01-14 2019-04-16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供应容器和显影剂供应设备
JP7305105B2 (ja) 2019-07-16 2023-07-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4155833B1 (en) * 2020-12-07 2024-05-15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722A (en) 1990-04-13 1993-12-07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developer supply container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prohibiting detachment
JP2907625B2 (ja) 1992-02-03 1999-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3387596B2 (ja) * 1993-12-28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3408166B2 (ja) * 1997-09-30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95914B2 (ja) 1998-06-24 2004-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トナー補給方法
US5970292A (en) * 1998-10-14 1999-10-19 Xerox Corporation Securing feature for toner container shutter
JP3445202B2 (ja) * 1999-03-29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3483496B2 (ja) 1999-03-29 2004-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23782A1 (en) 2003-12-04
HK1057402A1 (en) 2004-04-02
CN1280683C (zh) 2006-10-18
JP3854893B2 (ja) 2006-12-06
KR20040021508A (ko) 2004-03-10
EP1357447A2 (en) 2003-10-29
US6839533B2 (en) 2005-01-04
EP1357447B1 (en) 2015-02-25
EP1357447A3 (en) 2009-12-16
CN1460901A (zh) 2003-12-10
JP2003316138A (ja) 200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877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JP4320168B2 (ja) トナー補給容器
CN112650038B (zh) 调色剂盒、调色剂供给机构和闸板
US6879789B2 (en)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430384B2 (en)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34061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US7991334B2 (en)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31294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EP1220052B1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93273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coupling-driving member for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6947690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JP2006139069A (ja) 現像剤供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TW200903195A (en) Process cartridge, developer supply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41104A (ja) 現像剤供給容器
JP2010079073A (ja)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13366391A (zh) 具有自动再填充结构的调色剂再填充盒
JP2001125359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8057B2 (ja) トナーコンテナ
KR20100035573A (ko) 수용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JP7305105B2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20955B2 (ja) 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298064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21021882A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05010561A (ja) 現像剤補給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