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499B1 -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 Google Patents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499B1
KR100477499B1 KR1020040067702A KR20040067702A KR100477499B1 KR 100477499 B1 KR100477499 B1 KR 100477499B1 KR 1020040067702 A KR1020040067702 A KR 1020040067702A KR 20040067702 A KR20040067702 A KR 20040067702A KR 100477499 B1 KR100477499 B1 KR 100477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ain surface
coupling groove
frame
surfac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숙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신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숙 filed Critical 신인숙
Priority to KR102004006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정육면체의 6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6개의 주면 부재와, 상기 주면 부재와 상기 주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면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12개의 경사면 부재와, 각각 상기 주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주면 부재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칭이며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면 부재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면 결합홈 쌍과, 그리고 상기 경사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 결합홈와, 상기 제3 결합홈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4 결합홈으로 구성된 경사면 결합홈 쌍을 포함하는 연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CONNECTING BODY AND A DISPLAY PANEL SUPPORT USING THE CONNECTING BODY}
본 발명은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각도, 방향 및 자세로 둘 이상의 물체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체와, 이를 이용하여 수직, 수평, 특정의 경사진 형태 등을 포함한 다양한 각도, 방향 및 길이로 전시용 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패널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전시회 등에서 예들 들면, 포스터, 안내 글 등의 문서를 포스팅할 수 있고 그 자체로써 파티션 기능을 수행하는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많은 구조물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지지 구조물은 근래에 와서는 구조물 자체가 전시회 내의 하나의 공간 조형물로써 인식될 정도로 다양하고 독특한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지지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4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패널 지지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패널 지지체는 금속 재질의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120)와 한 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40)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패널(160)을 포함하여 구성된 단위 지지체이다. 여기에서, 패널(160)은 플라스틱, 합판, 포맥스(formax), 아크릴, 유리, MDF 등의 재료를 포함한 평판으로 제조 가능한 임의의 물질로 형성되어 그 위에 문서의 포스팅 혹은 물품의 전시가 가능한 부재이다. 종래기술의 패널 지지체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크기의 전체 패널 지지체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 부재(120)와 수평 프레임 부재(140)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120a, 140a)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프레임 부재(120, 140)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 프레임을 이룰 때 패널(160)의 가장자리 부분이 홈(120a, 140a)에 각각 끼워진다. 수평 프레임 부재(140)의 양측에는 수직 프레임 부재(120)와의 연결을 위한 고정수단(200)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패널 지지체는 수직 프레임 부재, 수평 프레임 부재간의 연결방법이 단순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패널 지지체 형성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종래기술의 패널 지지체에서는 단위 패널 지지체를 서로 결합시켜 패널 지지체를 확장 혹은 연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 패널 지지체 간의 결합부에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수직 및 수평 프레임 부재가 중복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이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 혹은 수직 프레임 부재를 다양한 각도, 방향 및 길이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연결체에 연결되어 사용되거나 혹은 서로 간의 결합이 가능하며 패널이 고정될 수 있는 패널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연결체와 상기 패널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시용 패널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각각 정육면체의 6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6개의 주면 부재와, 상기 주면 부재와 상기 주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면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12개의 경사면 부재와, 각각 상기 주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주면 부재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칭이며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면 부재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면 결합홈 쌍과, 그리고 상기 경사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 결합홈와, 상기 제3 결합홈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4 결합홈으로 구성된 경사면 결합홈 쌍을 포함하는 연결체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연결체(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결체(10)는 총 18가지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프레임(도 2 내지 도 5 참조) 등이 접속될 수 있는 십팔면체 형상의 중공부재이다. 연결체(10)는 각 각 정육면체의 6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6개의 주면부(11)와, 주면부(11)와 주면부(11) 사이에 배치된 채 주면부(11)를 서로 연결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12개의 경사면부(13)를 포함한다. 주면부(11) 및 경사면부(13)의 두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략 2mm 내외이다. 경사면부(13)의 폭(W)과 주면부(11)의 한 변의 길이의 비는 1.5 : 10 내지 2.5 : 1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10 내지 2.2 : 10 범위이다.
주면부(11)와 경사면부(13)에는 각각 상기 주면부(11) 및 경사면부(1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결합홈(12a, 12b, 12c, 12d)을 구비하고 있다. 결합홈의 폭 및 길이는 결합홈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도 6 참조)의 크기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결합홈이 하나의 쌍을 이루어 사용된다.
주면부(11)의 경우, 결합홈(12a)과 주면부(11)의 중앙을 중심으로 결합홈(12a)에 대칭이며 결합홈(12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홈(12b)이 하나의 쌍을 이룬다. 이와 같은 결합홈 쌍은 주면부(1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14)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4쌍의 결합홈 쌍이 주면부(11)에 형성되며, 이들은 모두 등각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경사면부(13)는 1개의 결합홈 쌍을 갖는다. 경사면부(13)의 결합홈 쌍은 경사면부(1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12c)과, 이로부터 결합홈(12a) 및 결합홈(12b)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홈(12d)으로 구성된다.
결합홈 쌍의 갯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사항은 아니며, 또한 주면부(11)의 경우 각 결합홈 쌍 사이에 꼭 등각이 유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체(10)에는 결합홈 이외에도 패널(도 9참조)의 모서리가 수용될 수 있는 패널 모서리 수용홈(12e)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 모서리 수용홈(12e)은 결합홈(12a, 12b, 12c, 12d)과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모서리 수용홈(12e)에 대해서는 추후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주면부(1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홀(14)에는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볼트 등이 체결되는 경우 후술할 프레임과는 다른 구조물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40, 50, 60, 7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은 연결체(10) 혹은 다른 프레임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는 부재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40)에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패널 수용홈(40a)이 구비되어 있다. 패널 수용홈(40a)은 패널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여기에는 다른 프레임이 또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수용홈(40a)을 통해 프레임 간의 "직접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40)은 연결체(10)를 통한 "간접 결합"도 가능하다.
도시된 프레임(40)은 대략 원형의 테두리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수용 홈(40a)은 프레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하여 형성되며, 수용홈(40a)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프레임의 원형 테두리 중 수용홈(40a)이 형성된 부분은 일정한 두께로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40)은 원주를 따라 8개의 패널 수용홈(40a)을 구비하고 있다.
패널 수용홈(40a)은 연결체(10)의 결합홈과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결체(10)의 결합홈(12a, 12b, 12c, 12d)과 패널 수용홈에는 동일한 고정부재(도 6참조)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은 점선으로 표시된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재는 프레임(40)과 일체로 혹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고정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44)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연결체(10)의 결합홈(12a, 12b, 12c, 12d)이 쌍으로 이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고정부재 수용공간(44)도 쌍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용공간 쌍에 2개의 고정부재가 각각 결합된 후 프레임(40)은 연결체(10)의 결합홈 쌍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40)에는 프레임(40)의 길이방향으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 수용구(4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40)은 고정부재의 조임부(도 6참조)가 돌출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는, 제2 실시예의 프레임(50)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50)은 대략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패널(도 9 참조)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널 수용홈(52, 54)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홈(52, 54)은 프레임(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하여 형성되며, 수용홈(52, 54)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50)은 그 외주를 따라 4개의 패널 수용홈(52 혹은 5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프레임(40)과 동일하게 패널 수용홈(52)은 연결체(10)의 결합홈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또한, 고정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수용공간(56)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0)은 관통홀(50a)을 구비하고 있으며, 관통홀(50a)을 통해 고정부재의 조임부(도 7참조)가 돌출함으로써, 고정부재(20)와 프레임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도 4에는, 제3 실시예의 프레임(60)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60)은 대략 크로스(Cross) 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패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널 수용홈(62)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홈(62)은 프레임(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하여 형성되며, 수용홈(62)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60)은 그 외주를 따라 8개의 패널 수용홈(6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프레임(40)과 동일하게 패널 수용홈(62)은 연결체(10)의 결합홈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또한, 고정부재(20)가 수용될 수 있는 두 쌍의 수용공 간(64)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60)은 고정부재의 조임부(도 6참조)가 돌출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70)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70)은 대략 정사각형의 테두리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패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널 수용홈(74)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홈(74)은 프레임(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하여 형성되며, 수용홈(74)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은 일정한 두께를 갖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레임(70)은 그 외주를 따라 4개의 패널 수용홈(74)을 구비하고 있다.
패널 수용홈(74)은 연결체(10)의 결합홈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또한, 점선으로 표시된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재는 프레임(70)에 일체로 혹은 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두 쌍의 수용공간(76)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70)에는 프레임(70)의 길이방향으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 수용구(7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부재의 조임부가 돌출하게 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있다.
도 6에는 고정부재가 일부를 생략한 채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재(20)는 연결체(10)와 프레임(40, 50, 60, 70)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프레임(40, 50, 60, 70)을 다른 프레임에 연결할 때도 사용된다. 고정부재(20)는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는 하우징(일점쇄선으로 표시)과, 상술한 패 널 수용홈(40a, 52, 54, 62, 74) 및 연결체(10)의 결합홈(12a, 12b, 12c, 12d)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고 이러한 수용홈 및 결합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내면을 가압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압편(22, 2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의 일 단부(27)는 가압편(22, 24)이 가압작용을 할 때 수용홈 및 결합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면에 접촉하여 지지점을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재(20)는 회전 가능하며 캠(cam;28)을 구비하고 있는 조임부(20a)와,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이동판(25)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재(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렌치홀(26)에 렌치(도시되지 않음)를 끼워 조임부(20a)를 회전 시키면, 캠 접촉부(23)와 회전하는 캠(28)의 접촉에 의해 이동판(25)이 도면에 도시된 검은 화살표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판(25)이 이동할 때, 가압편(22, 24)은 하우징에 형성된 경사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에 접촉되어 검은 화살표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탄성편(21)은 하우징 내에서 이동판(25)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탄성편(21)에 의해 조임부(20a)와 캠 접촉부(23) 부분은 흰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조임부(20a)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함으로써 고정부재(20)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부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조임부(20a)를 가압하여 조임부(20a)의 상부가 프레임의 수용공간(44, 56, 64, 76)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수용공간(44, 56, 64, 76) 내부로 밀어넣으면, 조임부(20a)와 프레임의 관통홀(50a)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서 조임부(20a)는 관통홀(50a)을 통해 자동적으로 돌출하게 된다.
도 7에는 프레임(40)의 패널 수용홈(40a)에 프레임(50)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조임부(20a)가 프레임의 관통홀을 통해 돌출함으로써, 고정부재(20)는 프레임(5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50)의 단부와 고정부재(20)의 일 단면(27)은 동일 평면 상에 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부(20a)를 회전시키면 가압편(22, 24)이 상승하여 패널 수용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내면을 가압하게된다. 이때 고정부재(20)의 일 단면(27)은 지지면으로 기능하여 패널 수용홈(40a)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면에 접촉된다. 즉, 패널 수용홈(40a)을 형성하는 부분은 고정부재(20)의 일 단면과 가압편(22, 24) 사이에 고정되게 된다.
도 8에는 연결체(10)에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40, 50, 60, 70)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결체는 주면부(11)에 의한 6개의 방향과, 경사면부(13)가 제공하는 12개의 방향 총 18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체(10)에 직사각형, 크로스형 혹은 정사각형 프레임(50, 60, 70)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주면부(11)에 형성된 다양한 방향의 결합홈 쌍 중 어느 쌍에 프레임(50, 60, 70)을 결합하느냐에 따라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을 따라 45도의 각 간격으로 자세를 변화시키며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결체(10)가 4쌍이 아닌 보다 많은 결합홈 쌍을 갖는다면 45도 보다 세밀한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각도로 다양하게 자세를 변화시켜 연결하는 것은 종래기술에서는 전혀 제시되지 못한 새로운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특징을 형 성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부품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패널 지지체(100)는 크게 패널(46, 47), 프레임(40, 50, 60, 70) 및 연결체(10)로 구성된다.
패널(46, 47)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서가 포스팅 되거나, 못 혹은 벽걸이 등을 설치하여 물품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전시물이 그 위에 위치될 수 있고,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partition)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패널(46)은 프레임의 수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유형으로서, 프레임(40, 70)에 형성된 패널 수용홈(40a, 7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패널(47)은 집게부재(48)를 사용하여 유지되는 유형이다. 패널(47)은 상부 및 하부에 지지봉(47a)이 장착되어 있고, 집게부재(48)는 지지봉(47a)을 파지한 채로 수용홈(62)에 고정된다. 지지봉(47a)은 폭이 큰 패널(47)의 경우 측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예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패널이 가능하며 기본적으로 대략 편평한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100)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40, 50, 60, 70)이 수직부재 혹은 수평부재의 구분없이 사용된다. 즉, 어떤 프레임을 선택할지의 여부는 전시회장 공간의 형태 및 크기 혹은 연출할 내용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은 자체로써 또한 조형미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패널 지지체(100)를 확장하여 또 다른 패널(46 혹은 47)의 설치장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체(10)에 프레임을 연결하고, 프레임(40, 50, 60, 70)에도 또 다른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패널 지지체(100)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기 조립된 패널 지지체와 나란한 방향 뿐만 아니라, 45도, 90도, 135도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방 혹은 하방으로도 확장이 가능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프레임(40, 50, 60, 70)의 길이는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500mm, 1000mm, 2000mm 등의 길이로 프레임을 모듈화하면, 모듈화된 프레임을 연결체를 이용하여 필요한 만큼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길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1에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의 다양한 응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단의 직사각형 프레임(50)과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임(40, 50, 60, 70)은 곡선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상단의 연결체(10)들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50)을 경사면부(13) 사이에 연결하고, 크로스형 프레임(60)을 주면부(11) 사이에 동시에 연결함으로써, 45도 각도의 프레임 연결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시된 패널 지지체의 상부에서와 같이, 연결체(10)의 경사면부(13)에만 직사각형 프레임(50)을 연결함으로써, 매우 독특하고 조형미 넘치 는 구성이 가능하다. 도시된 패널 지지체를 통해, 경사면부(13)는 본 발명의 연결체(10)가 매우 다양한 프레임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경사면부(13)에 프레임이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40, 50)이 경사면부(13)에 고정될 때, 고정부재(20)의 일 단부(27)와 함께 프레임의 수용공간(44, 56)의 단부도 경사면부(13)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둘 사이의 접촉을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경사면의 폭(W)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임(40, 50, 60, 70)의 수용공간(44, 56, 64, 76)의 두께를 포함한 폭(L)은 경사면부(13)의 폭(W) 보다 같거나 작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체(10)에 형성된 패널 모서리 수용홈(12e)은 패널(46)의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패널(46)의 모서리에 대해 모따기 작업을 하지 않고도 패널을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의 연결체는 18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패널 지지체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함께, 동시에 복수의 방향으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임은 고정부재 수용공간 및 패널 수용홈을 구비하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종래에서와 같이 단위 패널 지지체를 연결하여 확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결부에서 수평 및 수직부재가 중첩되어 불필요한 재료를 소모하게 되는 경우가 없다.
직사각형, 정사각형, 크로스형 프레임과 연결체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45도 각도 혹은 보다 세밀한 크기의 각도로 결합 방향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연결체에 형성된 패널 단부 수용홈은 패널의 모서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설치되는 패널에 대해 모따기를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연결체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에 사용된 패널 프레임의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에 사용된 패널 프레임의 제2 실시예.
도 4은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에 사용된 패널 프레임의 제3 실시예.
도 5은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에 사용된 패널 프레임의 제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에 사용된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7은 패널 프레임 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는 연결체에 다양한 실시예의 패널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각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전시용 패널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패널 지지체의 응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경사면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3은 패널 모서리 수용홈의 사용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은 종래기술의 전시용 패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결체
20: 고정부재
40, 50, 60, 70: 패널 프레임
100: 패널 지지체

Claims (15)

  1. 각각 정육면체의 6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6개의 주면 부재와,
    상기 주면 부재와 상기 주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면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12개의 경사면 부재와,
    각각 상기 주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주면 부재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칭이며 상기 제1 결합홈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면 부재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주면 결합홈 쌍과, 그리고
    상기 경사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 결합홈와, 상기 제3 결합홈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2 결합홈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4 결합홈으로 구성된 경사면 결합홈 쌍
    을 포함하는 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부재의 중심에 상기 주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암나사가 형성된 원형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연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주면 부재의 주면 결합홈 쌍은 각 결합홈이 등각으로 배치된 4쌍의 결합홈 쌍인 연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결합홈 쌍 및 상기 경사면 결합홈 쌍은 직사각형 형상인 연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면 부재와 상기 경사면 부재는 135°각도로 만나는 연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부재의 폭과 상기 주면 부재의 한 변의 길이의 비율은 1.7 : 10 내지 2.2 : 1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연결체를 구비하는 전시용 패널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면에 접촉되는 지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분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홈에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과, 그리고
    각각 단면에 일정한 두께로 편평하게 연장된 하나 이상의 직선 연장구간을 포함하는 닫힌 형상의 테두리를 갖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직선 연장구간을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패널 수용홈과 상기 고정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 쌍을 구비하는 복수의 패널 프레임
    을 포함하는 전시용 패널 지지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부분이 상기 패널 수용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가압부분이 상기 패널 수용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내면을 가압하여 상기 패널 수용홈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지지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패널 프레임은 상기 패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 수용구를 더 포함하는 전시용 패널 지지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패널 프레임은 상기 테두리가 원형인 전시용 패널 지지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패널 프레임은 상기 테두리가 정사각형인 전시용 패널 지지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패널 프레임은 상기 테두리가 직사각형인 전시용 패널 지지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패널 프레임은 상 기 테두리가 크로스(cross) 형상인 전시용 패널 지지체.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두께를 포함한 폭은 상기 경사면 부재의 폭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지지체.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패널의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패널 단부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전시용 패널 지지체.
KR1020040067702A 2004-08-27 2004-08-27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KR100477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02A KR100477499B1 (ko) 2004-08-27 2004-08-27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702A KR100477499B1 (ko) 2004-08-27 2004-08-27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7499B1 true KR100477499B1 (ko) 2005-03-18

Family

ID=3738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702A KR100477499B1 (ko) 2004-08-27 2004-08-27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197B1 (ko) * 2018-02-02 2018-05-29 이상운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197B1 (ko) * 2018-02-02 2018-05-29 이상운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1637B2 (ja) 組立てブロック
US4712336A (en) Interconnecting &#34;full bleed&#34; modular panel and connective hardware system to form a variety of exhibit and office interior enclosures
US20020023391A1 (en) Wall and display systems and components
US3783543A (en) Frame for exchangeable posters or the like
WO2006035742A1 (ja) 組合せ収納家具
EP1112768A2 (en) Panelling and supports for interconnected toy blocks
US10495122B2 (en) Modular interlocking display systems
KR100477499B1 (ko)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KR101654110B1 (ko) 파티션 연결장치
CN103284527A (zh) 磁性组装画框
CN101674752A (zh) 支架模块及具有支架模块的家具
US20030141300A1 (en) Crate locking device
CN214739434U (zh) 一种装修用装配式墙板的承插结构
KR200200023Y1 (ko) 전시용 패널 조립체
KR102155891B1 (ko) 탄력 계지식 조립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테리어 선반
JP3106908U (ja) 組立式の棚モジュールとその棚モジュールを用いた組立式の収納棚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US6837556B1 (en) Method and kit for constructing a cabinet
TWI724440B (zh) 置物單元及包括該置物單元之置物架
CN213269096U (zh) 一种模块化展示装置
CN218186073U (zh) 边框结构及展示装置
US5581963A (en) Knock down element wall structure
JP3074428U (ja) 商品陳列棚
CN220384852U (zh) 一种组装式置物架
CN218858973U (zh) 一种易拆装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