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987B1 -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987B1
KR100468987B1 KR10-2002-0009869A KR20020009869A KR100468987B1 KR 100468987 B1 KR100468987 B1 KR 100468987B1 KR 20020009869 A KR20020009869 A KR 20020009869A KR 100468987 B1 KR100468987 B1 KR 10046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sound signal
portable terminal
effects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814A (ko
Inventor
가와시마다까히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8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synthesized vocal annou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무선 회선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0), 숫자 키를 구비한 조작 입력부(4), 및 착신 멜로디 등을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악곡 재생부(1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와 관련하여 원하는 효과(이펙트)가 설정되어 기억되어 있다. 착신 시,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효과가 판독되어 디지털 악음 신호에 부여되고, 그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착신 멜로디가 발음된다.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소정의 효과가 부여된 착신 멜로디를 들음으로써, 용이하게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PORTABLE TERMINAL DEVICE AND EFFECT APPLY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착신에 맞춰 멜로디음을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원하는 악곡을 발생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 멜로디나 재생 악곡에 대하여 원하는 효과(이펙트)를 부여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러 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고, 다양한 기술적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 장치는 착신음으로서 단순한 비프음이나 「삐-삐-」음등의 전자음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멜로디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유행 곡이나 선호하는 곡을 착신 멜로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 장치에는 전자적으로 악음을 발생시키는 악음 발생 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이 악음 발생 회로에 의해 착신 멜로디를 발생하거나, 원하는 악곡을 재생하고 있었다.
상기한 악음 발생 회로에는, 소위 코러스 효과나 잔향(리버브 또는 에코) 효과 등의 이펙트를 부여하는 이펙터(효과 부여 회로)가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 이펙터를 사용함으로써 착신 멜로디 등의 음색을 보다 세련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이펙터를 단순히 음악적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을 뿐, 휴대 단말 장치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 단말 장치의 특성을 고려한 이펙터를 해당 휴대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악곡 재생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의 (a) 내지 (d)는 이펙터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간이 블록도.
도 4는 RAM에 기억되는 어드레스 테이블의 설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착신 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착신 멜로디의 이펙트 변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악음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가라오케 모드 시의 이펙트 변경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ROM
3 : RAM
4 : 조작 입력부
5 : 인터페이스
7 : 버스 라인
8 : 액정 표시기
10 : 통신부
11 : 음성 처리부
12 : 악곡 재생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무선 회선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 숫자 키를 구비한 조작 입력부, 및 착신 멜로디 등을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악곡 재생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와 그에 대응하여 설정된 효과(이펙트)를 관련지어 어드레스 테이블과 같은 형식으로 RAM에 기억하고 있다. 악곡 재생부에는 시퀀서, 음원, 이펙터(DSP)가 설치되어 있다.
착신 시,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효과가 판독되어, 이펙터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음원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악음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효과가 부여됨으로써,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착신 멜로디가 발음된다.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소정의 효과가 부여된 착신 멜로디를 듣고서, 발신자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효과의 설정 및 ON/OFF는 발신자를 그룹 분류한 각 그룹마다, 또는 각각의발신자마다 기억된다.
또한, 숫자 키에는 사전에 소정의 효과가 할당되어 있으며, 착신 멜로디의 재생 중, 사용자가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효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휴대 단말 장치의 액정 표시기에 착신 멜로디 발생 중인 메시지가 표시됨과 함께, 현재 부여되어 있는 효과나 숫자 키에 할당된 효과가 일람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효과를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1)는 휴대 전화기의 각부를 제어하는 CPU(중앙 처리 장치), 참조 부호(2)는 CPU(1)의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 참조 부호(3)는 데이터 기억용 RAM(Random Access Memory)을 나타낸다. 이 RAM(3) 내에는 후술하는 어드레스 테이블 등의 데이터가 기억됨과 함께, 각종 이펙트가 설정된다. 또한, RAM(3)은 배터리 백업(battery backup)이 이루어져 있다. 참조 부호(4)는 숫자 키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조작 입력부, 참조 부호(5)는 외부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나 그 밖의 휴대 단말 장치 등과의 접속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I/F), 참조 부호(8)는 액정 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 부호(10)는 통신부(변복조부)를 나타낸다. 이 통신부(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변조 음성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 처리부(11)로 출력하거나, 음성 처리부(11)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발신원의 전화 번호나 그 밖의 데이터를 버스 라인(7)을 통해 CPU(1)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1)는 통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이어(ear)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으로 취득한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통신부(10)로 출력한다. 참조 부호(12)는 악곡 재생부를 나타낸다. 이 악곡 재생부(12)는 버스 라인(7)을 통해 공급되는 악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음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2는 악곡 재생부(12)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15)는 버스 라인(7)과 접속되는 인터페이스(I/F), 참조 부호(16)는 FIFO(First-In-First-Out) 메모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MP3(Multilink Protocol 3) 등의 오디오 규격에 의해 처리(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이 인터페이스(15)를 통해 FlFO 메모리(16)에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참조 부호(17)는 스트림 디코더를 나타낸 것으로, FIFO 메모리(16)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드(신장)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한다. 참조 부호(19)는 악음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FIFO 메모리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20)는 시퀀서를 나타낸다. 시퀀서(20)는 FIFO 메모리(19)로부터 악음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석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음원 회로(21)를 구동하기 위한 악음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음원 회로(21)는 그 내부에 음원을 갖고 있으며, 해당 음원은 시퀀서(20)로부터 출력되는 악음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되어, 디지털악음 신호를 생성한다. 혼합 회로(MIX: 22)는 스트림 디코더(17)의 출력과 시퀀서(20)의 출력을 혼합한다. 이펙터(23)는 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혼합 회로(22)의 혼합 출력에 대하여 원하는 효과(이펙트)를 부여하여, 다음 단의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24)로 출력한다. D/A 변환기(24)는 이펙터(23)의 디지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한다.
상기한 악곡 재생부(12)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다양한 방식에 대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나 SMAF 등의 악음 데이터 포맷을 채용하거나, 인터페이스 형식으로서 FIFO나 RAM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음원 방식으로서 FM(Frequency Modulation)이나 PCM(Pulse-Code Modulation) 등을 채용해도 된다.
도 3의 (a)∼(d)는 각각 이펙터(23)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간이 블록도이다. 각 블록도에 있어서, 원 악음 신호(디지털 악음 신호) A를 입력으로 하여 처리하고 있다. 도 3의 (a)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31, 32)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계수 승산기(32)의 출력에 대하여 리버브 회로(33)에서 리버브 효과를 부여하고, 가산기(34)는 계수 승산기(31)의 출력과 리버브 회로(33)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계수 승산기(31, 32)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한 효과량의 제어나 리버브 효과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도 3의 (b)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36, 37)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계수 승산기(37)의 출력에 대하여 코러스 회로(38)에서 코러스 효과를 부여하고, 가산기(39)는 계수 승산기(36)의 출력과 코러스 회로(38)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펙터(23)에 의해 부여되는 효과는 상기한 리버브나 코러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딜레이, 에코, 이퀄라이저, 디스토션 등의 다양한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 효과뿐만 아니라 복수의 효과를 조합하여 부여할 수도 있다. 본 예를 도 3의 (c) 및 (d)에 도시한다.
도 3의 (c)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41, 42)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계수 승산기(42)의 출력에 대하여 코러스 회로(43)에서 코러스 효과를 부여한 후, 리버브 회로(44)에서 리버브 효과를 부여한다. 그 후, 가산기(45)는 계수 승산기(41)의 출력과 리버브 회로(44)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3을 생성 출력한다.
도 3의 (d)에서는 원 악음 신호 A에 대하여 계수 승산기(47, 48, 49)에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계수 승산기(48)의 출력에 대하여 코러스 회로(50)에서 코러스 효과를 부여하는 한편, 계수 승산기(49)의 출력에 대하여 리버브 회로(51)에서 리버브 효과를 부여한다. 그 후, 가산기(52)는 계수 승산기(47)의 출력, 코러스 회로(50)의 출력 및 리버브 회로(51)의 출력을 가산하여 새로운 악음 신호 A4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이펙터(23)는 전용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범용 DSP로 구성된다. 또한, 이펙터(23)를 별도의 전용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 이펙터(23)에는 상기 CPU(1)(도 1 참조)로부터 버스 라인(7) 및 인터페이스(15)(도 2 참조)를 통해 제어 신호 C1이 공급되어, 그 효과 부여의 온/오프 및 효과의 종류가 지정된다. 또한, 시퀀서(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 C2에 의해 음악적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상기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휴대 단말 장치에 설정되어 있고, RAM(3)에 기억되는 어드레스 테이블을 나타낸다. 이 어드레스 테이블의 기억 영역은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그룹에 대하여 성명,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 및 이펙트의 ON/OFF나 종류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그룹 1은 가족이나 친척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그룹 2는 친구나 아는 사람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그룹 3은 회사나 그 밖의 사람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사용자는 조작 입력부(4)의 소정 키를 조작하여 이 어드레스 테이블을 판독하여, 각종 이펙트를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서 설정한다. 이 이펙트의 설정은 개별 또는 그룹별로 행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소정 키를 조작함으로써 RAM(3)에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 테이블으로부터 제1 그룹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사람의 성명,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를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개별 및 그룹별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를 입력하는 란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개인 또는 그룹별로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해당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에 관한 입력 데이터는 RAM(3)의 어드레스 테이블에 기억·설정된다. 제1 그룹에 이어, 제2 그룹이나 제3 그룹에 대해서도 이펙트 ON/OFF나 이펙트 종류를 설정한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그룹에 대해서는 개별 이펙트의 OFF 및 그룹 이펙트의 OFF(화면 상에서, 「×」 표시로 나타냄)로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그룹에 속하는 사람과의 전화에 대해서는 이펙트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제2 그룹에서는 그룹 이펙트가 ON(화면 상에서, 「○」 표시로 나타냄)으로 되고, 그 이펙트 종류로서 「리버브 1」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사람과의 전화에 대해서는 리버브 1의 이펙트 처리가 행해진다. 제3 그룹에서는 그룹 이펙트는 OFF로 되어 있지만, 개별 이펙트는 ON으로 되어 있고, 각 개인마다 서로 다른 이펙트, 즉, 「디스토션」, 「코러스 1」 및 「리버브 3」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각 그룹 내에서 동일한 설정을 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5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의 대기 상태에서 착신이 있으면, 통신부(10)에 의해 검출되고, 프로세스는 단계 S1로부터 단계 S2로 이행한다. 즉, 통신부(10)는 발신원의 전화 번호를 CPU(1)로 통지하고, 이 CPU(1)에 의해 발신원의 전화 번호가 RAM(3)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단계 S3에서 CPU(1)는 RAM(3)의 어드레스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착신이 있었던 전화 번호와 조회하고, 해당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이펙트 ON/OFF 설정 및 이펙트 종류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1 그룹에 속하는 사람으로부터의 착신인 경우, 이펙트 OFF가 검출된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사람으로부터의 착신인 경우, 그룹 이펙트의 종류로서 「리버브 1」이 검출된다. 제3 그룹에 속하는 사람으로부터의 착신인 경우, 각 개인마다 고유하게 설정된 이펙트 종류가 검출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3으로부터 단계 S4로 진행하고, 여기서 CPU(1)는 검출된 이펙트에 관한 데이터를 버스 라인(7)을 통해 악곡 재생부(12)로 출력한다. 이 데이터는 도 2에 도시한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이펙터(23)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검출된 이펙트 종류 또는 이펙트 OFF가 이펙터(23)에 통지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4로부터 단계 S5로 진행하고, 여기서 CPU(1)는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ROM(2) 또는 RAM(3)으로부터 판독하여 악곡 재생부(12) 내의 FIFO 메모리(19)로 전송함과 함께, 착신음 개시 지시를 악곡 재생부(12)로 출력한다. 악곡 재생부(12)는 인터페이스(15)를 통해 착신음 개시 지시를 받으면, 착신음 스타트 신호를 발생하여 시퀀서(20)로 출력한다. 시퀀서(20)는 착신음 스타트 신호를 받으면, FIFO 메모리(19)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악음 데이터를 판독하여 음원 회로(21)를 구동한다. 즉, 음원 회로(21)는 시퀀서(20)로부터 공급되는 악음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내부 음원을 구동시킴으로써, 디지털 악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디지털 악음 신호는 혼합 회로(22)를 통해 이펙터(23)로 공급된다. 이펙터(23)에서는 디지털 악음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이펙트를 부여한다. 해당 이펙트가 부여된 디지털 악음 신호는 D/A 변환기(24)에 의해 아날로그 악음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이에 따라, 발신원의 전화 번호에 대응한 이펙트가 부여된 착신음(또는 착신 멜로디)이 휴대 전화기의 스피커로부터 발음된다.
단계 S5에 후속하여, CPU(1)는 단계 S6에서 회선 절단(line disconnection)이 이루어졌지를 판정한다. 단계 S6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단계 S7로 진행하고,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오프후크 버튼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8로 진행하고,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숫자 키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단계 S8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플로우는 단계 S6으로 복귀하여 상기한 판정을 재차 행한다. 즉, CPU(1)는 단계 S6 내지 단계 S8의 판정 결과가 모두 「예」로 될 때까지, 상기한 판정 처리를 반복한다.
사용자가 착신 멜로디를 듣고, 그 이펙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정해진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신속하게 이펙트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숫자 키가 눌러지면, 단계 S8의 판정 결과가 「예」로 되고, 플로우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여기서, 숫자 키에는 사전에 소정의 이펙트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숫자 키에 대응한 이펙트가 현재 착신용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펙트 대신에 이펙터(23)에 설정됨과 함께, RAM(3)의 어드레스 테이블에 기억된 이펙트에 대해서도 자동적으로 설정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단지 원하는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착신 멜로디에 부여되는 이펙트를 변경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에 의한 착신 멜로디 재생 시,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펙트 변경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이 화면에는 「착신!」을 알림과 함께, 재생되는 악곡의 타이틀 및 그 이펙트 종류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숫자 키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 각 숫자 키에 대응 하여 설정되어 있는 이펙트 종류가 열거되어 있다. 도 6의 경우, 「리버브 1」에 의해 착신 멜로디가 재생되고 있으며, 그 이펙트는 숫자 키 「1」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펙트 종류를 바꾸고자 한다면, 원하는 숫자 키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또한, 숫자 키 「0」을 누름으로써 이펙트를 OFF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서, 사용자가 오프후크 버튼을 누르면, 단계 S7의 판정 결과가 「예」로 되어, 프로세스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즉, CPU(1)는 오프후크 버튼 조작을 검출하여 악곡 재생부(12)로 착신 멜로디 정지 명령을 발생한다. 이 착신 멜로디 정지 명령을 받으면, 악곡 재생부(12)의 인터페이스(15)는 시퀀서(20)로 악음 발생 정지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의 스피커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발음이 정지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 S11로 진행하고, CPU(11)는 전화 상대와의 통화에 관련된 여러가지 처리를 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오프후크 버튼을 누르기 전에 발신자측이 온후크 버튼을 조작하여 회선 절단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 단계 S6의 판정 결과가 「예」로 되어, 프로세스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는 CPU(1)가 상술한 착신 멜로디 정지 명령을 악곡 재생부(12)로 발생하여, 휴대 전화기의 스피커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발음이 정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에 의한 가라오케 등의 악음 재생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악음 재생 처리에 앞서, 원하는 악음 데이터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휴대 전화기에 송신되고, 통신부(10)에 의해 수신된 후, RAM(3)에 다운로드된다. 또는 휴대 전화기를 인터페이스(5)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 등과 접속하고, 원하는 악음 데이터를 입력하여 RAM(3)에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원하는 악음 데이터를 ROM(2)에 사전에 기억해 둘 수도 있다.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로 가라오케 연주를 행하는 경우, 조작 입력부(4)에서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도 7에 도시한 악음 재생 처리를 개시시킨다. 즉,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 악곡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한 선곡이 가능하게 된다. 단계 Sa1에서, 사용자가 악곡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악곡을 선택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a2로 진행한다. 즉, CPU(1)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악음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이 RAM(3)으로부터 판독되어, 악곡 재생부(12)로 보내진다. 악곡 재생부(12)의 인터페이스(15)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면 FIFO 메모리(16)로 전송하고, 악음 데이터를 수신하면 FIFO 메모리(19)로 전송한다. FIFO 메모리(16)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은 스트림 디코더(17)에 의해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디코드된 후, 혼합 회로(22)로 보내진다. 한편, FIFO 메모리(19)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악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퀀서(20)가 음원 회로(21)를 구동시켜 디지털 악음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혼합 회로(22)로 보낸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악곡의 악음이 스피커에 의해 발음된다.
사용자가 스피커로 발음된 악음을 듣고, 그 이펙트를 변경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숫자 키를 누른다. 숫자 키가 눌러지면, 프로세스는 단계 Sa3으로부터 단계 Sa4로 진행하고, 여기서 눌러진 숫자 키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이펙트가 현재 발음되고 있는 악음에 부여된 이펙트를 대신하여 이펙터(23)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악곡의 악음에 부여되는 이펙트를 변경할 수 있다. 가라오케 악곡의 재생 시, 액정 표시기(8)의 화면 상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펙트 변경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가라오케 모드!」의 문자나, 재생 악곡의 타이틀 및 그 이펙트 종류가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숫자 키에 설정되어 있는 이펙트도 일람으로 표시된다. 또, 사용자가 숫자 키를 누르지 않는 경우, 재생 종료까지 단계 Sa3 및 단계 Sa5의 판정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다른 이펙트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는 동일한 착신 멜로디라도 부여된 이펙트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게 발신자를 식별하거나, 발신자가 속하는 그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착신음의 발생 중에 적절하게 이펙트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가라오케 모드 시에 있어서 적절하게 이펙트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는 다양한 음감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라오케 모드 시에 에코를 넣음으로써 사용자의 노래에 특수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어, 가수로서의 기분을 고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이나 동작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악곡 재생은 가라오케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통상의 음악 감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실현되는 휴대 전화기의 각종 처리에 대한 프로그램이나데이터 등을 다양한 기억 매체,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등의, 소위 디지털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 통상의 휴대 전화기에 장착하여 본 실시예의 기능을 달성시킬 수도 있다.

Claims (12)

  1. 무선 회선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숫자 키를 구비한 조작부와,
    착신 시, 소정의 착신 멜로디를 나타내는 악음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악음 신호 생성 수단과,
    악음 신호에 대하여 원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 부여 수단과,
    사전에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와 그에 대응하여 설정된 효과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착신 시, 대응하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대하여 설정된 효과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효과를 악음 신호에 대하여 부여하도록 상기 효과 부여 수단에 지시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악곡에 대응하는 악음 데이터를 사전에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 해당 악음 데이터를 상기 악음 신호 생성 수단에 공급함으로써, 원하는 악곡을 재생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데이터는 외부 장치로부터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음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한 착신 멜로디 또는 원하는 악곡의 재생 중, 상기 효과 부여 수단에 의해 악음 신호에 부여되는 효과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상기 조작부에 내장한 휴대 단말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숫자 키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효과를 사전에 할당하고, 사용자가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효과를 상기 효과 부여 수단에 설정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복수의 발신자를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마다 소정의 효과를 설정하여 기억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복수의 발신자를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마다 효과 부여의 가부를 설정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착신 멜로디의 발생 시 또는 원하는 악곡의 재생 시에 있어서, 현재 부여되어 있는 효과를 자동적으로 표시함과 함께, 각 숫자 키에 할당된 효과의 일람도 표시하도록 한 휴대 단말 장치.
  9. 무선 회선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효과 부여 방법으로서,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여 원하는 효과를 설정하여 기억하고,
    착신 시, 대응하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효과를 판독하고, 해당 효과를 착신 멜로디를 나타내는 악음 신호에 부여하도록 한 효과 부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착신 멜로디에 대하여 부여된 효과를 표시함과 함께, 휴대 단말 장치의 조작부의 숫자 키에 대하여 사전에 할당되어 있는 효과도 동시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숫자 키 조작에 따라 착신 멜로디의 효과를 그 조작된 숫자 키에 할당된 효과로 전환하도록 한 효과 부여 방법.
  11. 무선 회선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내장되어 실행되는 효과 부여 방법을 기억한 기록 매체로서,
    복수의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여 원하는 효과를 설정하여 기억하고,
    착신 시, 대응하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효과를 판독하고, 해당 효과를 착신 멜로디를 나타내는 악음 신호에 부여하도록 한 효과 부여 방법을 기억한 기록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착신 멜로디에 대하여 부여된 효과를 표시함과 함께, 휴대 단말 장치의 조작부의 숫자 키에 대하여 사전에 할당되어 있는 효과도 동시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숫자 키의 조작에 따라 착신 멜로디의 효과를 그 조작된 숫자 키에 할당된 효과로 전환하도록 한 효과 부여 방법을 기억한 기록 매체.
KR10-2002-0009869A 2001-03-02 2002-02-25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468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9001A JP3937734B2 (ja) 2001-03-02 2001-03-02 携帯端末装置
JPJP-P-2001-00059001 2001-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814A KR20020070814A (ko) 2002-09-11
KR100468987B1 true KR100468987B1 (ko) 2005-02-02

Family

ID=1891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869A KR100468987B1 (ko) 2001-03-02 2002-02-25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937734B2 (ko)
KR (1) KR100468987B1 (ko)
CN (1) CN100508661C (ko)
HK (1) HK1048719A1 (ko)
TW (1) TWI246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31B1 (ko) * 2002-12-28 201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음 설정 방법
CN100382619C (zh) * 2004-02-02 2008-04-16 英华达股份有限公司 具有改变电话声讯功能的移动通讯装置以及相关方法
JP3988741B2 (ja) * 2004-04-01 2007-10-10 ヤマハ株式会社 Ip電話用初期設定装置、ip電話用ルータ、ip電話機およびip電話用モデム
JP2007033506A (ja) * 2005-07-22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情報提示装置
JP4115483B2 (ja) 2005-12-20 2008-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070240559A1 (en) * 2006-04-17 2007-10-18 Yamaha Corporation Musical ton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956A (ko) * 1999-11-16 2001-06-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20010057247A (ko) * 1999-12-20 2001-07-04 윤종용 휴대폰에서 메시지 수신음에 따른 발신자 구별방법
KR20020037791A (ko) * 2000-11-15 2002-05-23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음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발신자식별방법
JP2002176679A (ja) * 2000-12-07 2002-06-21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956A (ko) * 1999-11-16 2001-06-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20010057247A (ko) * 1999-12-20 2001-07-04 윤종용 휴대폰에서 메시지 수신음에 따른 발신자 구별방법
KR20020037791A (ko) * 2000-11-15 2002-05-23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음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발신자식별방법
JP2002176679A (ja) * 2000-12-07 2002-06-21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8661C (zh) 2009-07-01
HK1048719A1 (zh) 2003-04-11
JP2002261875A (ja) 2002-09-13
KR20020070814A (ko) 2002-09-11
JP3937734B2 (ja) 2007-06-27
TWI246343B (en) 2005-12-21
CN1374815A (zh) 200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9057B2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3975639B2 (ja) 電話端末装置
JP3879323B2 (ja) 電話端末装置
KR100555094B1 (ko) 휴대 전화
JP2000224269A (ja) 電話機および電話システム
JP2007114561A (ja) 携帯電話内蔵形音声変換システム
KR100468987B1 (ko)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01056014A1 (fr) Telephone portatif
JP3319976B2 (ja) 電話機
JP2002156982A (ja) 携帯端末、携帯電話端末、携帯端末システム、音楽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楽音データ配信方法
KR1003288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미디음악 연주 방법
JP2002111804A (ja) 楽音入力用鍵盤を備えた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1339487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4274464A (ja) 電話メッセージ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および、通話転送システム
JP2000316038A (ja) 着信音発生装置
JP3789274B2 (ja) 移動体通信端末
JP3892243B2 (ja) カラオケ機能搭載携帯電話機
JP4269475B2 (ja) 携帯電話および楽音発生制御方法
JP3240000B1 (ja) 通信端末装置、着信メロディ演奏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1175300A (ja) 電話端末装置の音声合成装置
JP3743357B2 (ja) 携帯電話機
JP3893894B2 (ja) 携帯端末装置
JPH1188211A (ja) 携帯無線装置及びその着信音作成方法
JP4345603B2 (ja) 電話端末装置
JP3661627B2 (ja) エフェクタ搭載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