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998B1 -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998B1
KR100450998B1 KR10-2002-0055851A KR20020055851A KR100450998B1 KR 100450998 B1 KR100450998 B1 KR 100450998B1 KR 20020055851 A KR20020055851 A KR 20020055851A KR 100450998 B1 KR100450998 B1 KR 10045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lift
conveying conveyor
working beam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297A (ko
Inventor
이후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998B1/ko
Priority to CNB031591329A priority patent/CN1264183C/zh
Publication of KR2004002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7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펀넬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제공된 펀넬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한 넥크융착설비를 따라 연장되어 펀넬이 안착되는 한쌍의 워킹빔과, 워킹빔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워킹빔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갖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 워킹빔의 일단부로부터 이송컨베이어를 향해 길이 연장된 워킹빔 연장부와; 이송컨베이어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이송컨베이어 상의 펀넬을 로딩하여 워킹빔 연장부에 안착시키는 리프트와;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펀넬의 이송시 펀넬의 불량발생을 방지하며, 설비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A CRT FUNNEL}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펀넬에 넥크를 융착하는 넥크융착설비를 따라 펀넬을 이송하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는, 음극선관용 펀넬(109)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11)와, 이송컨베이어(111)로부터 제공된 펀넬(109)에 넥크(미도시)를 융착하는 넥크융착설비를 따라 연장되어 펀넬(109)이 안착되는 한쌍의 워킹빔(131)과, 워킹빔(131)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워킹빔(131)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갖는다.
넥크융착설비는 펀넬(109)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한 정렬기(121), 모일부 커팅기(123), 예열기(125), 넥크융착기(127), 어닐링기(129)가 일렬로 배치된 공정을 가진다.
한쌍의 워킹빔(13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며, 넥크융착설비의 모일부 커팅기(123), 예열기(125), 넥크융착기(127), 어닐링기(129)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는 승강부용 액츄에이터(155)와, 승강부용 액츄에이터(155)에 연결축(151)과 연결되어 승강하는 클램프(147)와, 클램프(147)와 워킹빔(131) 사이에 마련되어 일단부가 클램프(147)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워킹빔(13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안내롤러(142)들을 가진다. 이에, 승강부용 액츄에이터(155)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147)는 승강함과 동시에, 안내롤러(143)들이 승강하여, 워킹빔(131)은 승강하게 된다.
이동부는, 정역회전하는 모터(미도시)와, 한쌍의 워킹빔(131)을 상호 연결하며 워킹빔(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부(165)와, 모터의 동력을 슬라이딩부(165)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169)로 이루어진다. 이에, 모터가 정역회전하여 타이밍벨트(169)를 정역회전시키면 타이밍벨트(169)에 연결된 슬라이딩부(165)가 슬라이딩 왕복이동하여, 워킹빔(131)은 펀넬을 정렬하는 정렬기(121)를 향해 전진 및 후진이동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는, 이송컨베이어(111)와 워킹빔(131) 사이에 이송컨베이어(111) 상을 이동하는 펀넬(109)을 로딩하여 워킹빔(131)에 안착시키는 로딩부(171)가 마련되어 있다.
로딩부(171)는 이송컨베이어(111)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랜스퍼 아암(172)과, 트랜스퍼 아암(172)의 일단을 지지하며 트랜스퍼 아암(172)을 승강시키는 공압실린더(174)와, 트랜스퍼 아암(172)을 정렬기(121)로 이동시키는 아암 이동실린더(176)를 가진다. 이에, 이송컨베이어(111) 상을 이동하는 펀넬(109)이 넥크융착설비에 투입되기 위한 정위치 구간에 도달하게 되면, 공압실린더(174)의 작동에 의해 트랜스퍼 아암(172)이 상승하여 이송컨베이어(111) 상의 펀넬(109)을 로딩하고, 아암 이동실린더(176)에 의해 트랜스퍼 아암(172)은 정렬기(121)로 이동하여, 트랜스퍼 아암(172)에 로딩된 펀넬(109)은 넥크융착설비의 정렬기(121)에 안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펀넬이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트랜스퍼 아암에 로딩되므로, 펀넬이 트랜스퍼 아암에 로딩될 때 속도 조정이 곤란하여, 트랜스퍼 아암에 로딩되는 펀넬이 넥크융착설비의 정렬기로 투입되기 전 트랜스퍼 아암으로부터 이탈되어, 펀넬의 시일엣지면이 파손되는 등 이송되는 펀넬의 불량발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랜스퍼 아암이 편지지되어 승강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즉 트랜스퍼 아암이 외팔보의 구조를 가지므로, 한쪽 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여 무게 중심을 잡기가 곤란하고, 이에 이송컨베이어와 간섭이 발생하여 설비 정지를 초래함으로써, 설비의 가동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펀넬의 이송시 펀넬의 불량발생을 방지하며, 설비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승강부에 대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이동부에 대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이송컨베이어의 요부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펀넬 11 : 이송컨베이어
20 : 넥크융착설비 31 : 워킹빔
33 : 워킹빔 연장부 41 : 승강부
61 : 이동부 71 : 로딩부
73 : 리프트 75 : 리프트 구동부
81 : 리프트용 액츄에이터 85 : 스토퍼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극선관용 펀넬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제공된 펀넬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한 넥크융착설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펀넬이 안착되는 한쌍의 워킹빔과, 상기 워킹빔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워킹빔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갖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워킹빔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향해 길이 연장된 워킹빔 연장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의 상기 펀넬을 로딩하여 상기 워킹빔 연장부에 안착시키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마련되어 상기 펀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트구동부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요부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는, 음극선관용 펀넬(9)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1)와, 이송컨베이어(11)로부터 제공된 펀넬(9)에 넥크(미도시)를 융착하는 넥크융착설비(20)를 따라 연장되어 펀넬(9)이 안착되는 한쌍의 워킹빔(31)과, 워킹빔(31)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부(41)와, 워킹빔(31)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부(61)를 갖는다.
이송컨베이어(11)는 펀넬(9)을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축(13)을 가지며, 이송컨베이어(11) 상의 펀넬(9)은 롤러축(13)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다.
넥크융착설비(20)는 펀넬(9)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조합된 복수의 공정을 가진다. 넥크융착설비(20)는, 이송컨베이어(11)로부터 이송된 펀넬(9)을 정렬하는 정렬기(21)와, 펀넬(9)의 모일부(펀넬과 넥크가 융착되는 펀넬의 영역)를 커팅하는 모일부 커팅기(23)와, 펀넬(9)의 모일부를 예열하는 예열기(25)와, 펀넬(9)과 넥크를 융착하는 넥크융착기(27)와, 넥크가 융착된 펀넬(9)을 서냉하는 어닐링기(29)로 이루어지며, 이들 정렬기(21), 모일부커팅기(23), 예열기(25), 넥크융착기(27), 어닐링기(29)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워킹빔(3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며, 정렬기(21), 모일부 커팅기(23), 예열기(25), 넥크융착기(27), 어닐링기(29)를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있다. 각 워킹빔(31)의 일단부에는 이송컨베이어(11)를 향해 길이 연장된 워킹빔 연장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각 상단부에는 안착되는 펀넬(9)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35, 도 4참조)이 마련되어 있으며, 오링(35)은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각 하단부에는 후술할 승강부(41)의 안내롤러(42) 상에 지지되는 가이드바아(37, 도 4참조)가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각 하단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안내롤러(42)와, 각 워킹빔(31)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안내롤러(42)를 상호 연결하는 안내롤러축(43)과, 안내롤러축(43)을 지지하는 지지블럭(44)과, 지지블럭(44)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바아(45)와, 지지바아(45)의 각 일단부에 결합되는 클램프(47)와, 클램프(47)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레버(49)와, 요동레버(49)가 관통 결합되며 일단부에 레버(53)를 갖는 연결축(51)과, 연결축(51)의 레버(53)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57)를 갖는 승강부용 액츄에이터(55)를 포함한다. 이에, 승강부용 액츄에이터(55)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로드(57)가 길이 연장 및 축소됨에 따라 클램프(47)와 지지블럭(44)과 안내롤러축(43)과 안내롤러(42)들이 승강하여,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는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부용 액츄에이터(55)로서,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6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회전하는 서보모터(62)와, 한쌍의 워킹빔(31)을 국부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브래킷(63)과, 브래킷(63)을 지지하며 워킹빔(31)의 길이방향으로 프레임(17) 상에 마련된 엘엠가이드 유니트(66)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5)와, 브래킷(63)과 슬라이딩 플레이트(65)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66)와, 서보모터(62)와 슬라이딩 플레이트(65)의 각 단부에 마련되는 한쌍의 타이밍 풀리(67)와, 각 타이밍 풀리(67)를 상호 연결하며 서보모터(62)의 동력을 슬라이딩 플레이트(65)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69)를 포함한다. 이에, 서보모터(62)가 정역회전하여 타이밍벨트(69)를 정역회전시키면, 타이밍벨트(69)에 연결된 슬라이딩 플레이트(65)가 엘엠가이드 유니트(66)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 때, 연결로드(66)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65)와 연결된 브래킷(63)은 슬라이딩 플레이트(65)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는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는, 이송컨베이어(11)와 워킹빔 연장부(33) 사이에 이송컨베이어(11)로부터 유입되는 펀넬(9)을 워킹빔 연장부(33)에 안착시키는 로딩부(71)가 마련되어 있다.
로딩부(7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11) 상의 펀넬(9)을로딩하여 워킹빔 연장부(33)에 안착시키는 리프트(73)와, 리프트(73)를 승강시키는 리프트구동부(75)를 가진다.
리프트(73)는 넥크융착설비(20)의 정렬기(21)와 인접하는 이송컨베이어(11)에 마련되며, 롤러축(13)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리프트(73)가 각 롤러축(1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리프트구동부(75)는 각 리프트(73)의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바아(77)와, 한쌍의 지지바아(77)를 연결하는 연결부(79)와, 연결부(79)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 연장 및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83)를 갖는 리프트용 액츄에이터(81)를 갖는다. 이에, 리프트용 액츄에이터(81)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로드(83)가 길이 연장 및 축소됨에 따라 리프트(73)들은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리프트용 액츄에이터(81)로서,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의 이송컨베이어(11)의 일측에는, 즉 리프트(73)가 승강하는 영역의 인접한 곳에는 펀넬(9)의 이송을 제한하는 한쌍의 스토퍼(85)가 마련되어 있다. 각 스토퍼(85)는 이송컨베이어(11)를 따라 이송되는 펀넬(9)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이송컨베이어(1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펀넬 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컨베이어(11) 상을 따라 이동하는 펀넬(9)이 한쌍의 스토퍼(85)에 접촉되면, 도시 않은 제어부에 의해 리프트용 액츄에이터(81)의 실린더 로드(83)가 길이 연장되어 리프트(73)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리프트(73)는 펀넬(9)을 로딩한다.
그리고, 제어부에 의해 워킹빔(31)과 워킹빔 연장부(33)는 이송컨베이어(11)의 상측에 위치한 리프트(73)를 향해 전진이동 및 상승하여, 워킹빔 연장부(33)의 일단부가 리프트(73)와 간섭되지 않게 롤러축(13)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리프트용 액츄에이터(81)의 실린더 로드(83)가 길이 축소되어 리프트(73)는 롤러축(13) 아래로 하강을 하게 되고, 이에 리프트(73) 상에 로딩된 펀넬(9)은 워킹빔 연장부(33)에 안착된다.
워킹빔 연장부(33)에 펀넬(9)이 안착되면, 워킹빔(31)과 워킹빔 연장부(33)는 리프트(73)의 반대측을 향해, 즉 리프트(73)에 대해 후진이동 및 하강한다. 이로써, 워킹빔 연장부(33) 상에 안착된 펀넬(9)은 넥크융착설비(20)의 정렬기(21)로 이동하여 안착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11) 상을 따라 이동하는 새로운 펀넬(9a)이 한쌍의 스토퍼(85)에 접촉되어 리프트(73)에 로딩되면, 워킹빔(31)과 워킹빔 연장부(33)가 리프트(73)를 향해 다시 전진이동 및 상승하고, 리프트(73) 상의 새로운 펀넬(9a)은 워킹빔 연장부(33)에 안착된다.
워킹빔 연장부(33)에 새로운 펀넬(9a)이 안착되면, 워킹빔(31)과 워킹빔 연장부(33)는 리프트(73)에 대해 다시 후진이동 및 하강하여, 워킹빔 연장부(33) 상에 안착된 새로운 펀넬(9a)은 넥크융착설비(20)의 정렬기(21)로 이동함과 동시에,종전의 정렬기(21)에 안착된 펀넬(9)은 워킹빔(31)과 워킹빔 연장부(33)의 후진 이동에 의해 후속 공정인 넥크융착설비(20)의 모일부 커팅기(23)로 이동하여 안착된다.
이로써,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주기를 갖고 리프트(73)를 향해 전진이동 및 상승과 후진이동 및 하강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넥크융착설비(20)로 제공되는 펀넬(9)들은 넥크융착설비(20)의 각 공정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펀넬(9)에 넥크가 융착되어 도시 않은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상승 및 하강은 승강부용 액츄에이터(55)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 로드(57)가 길이 연장 및 축소되어 레버(53)를 밀어주고, 연결축(51)에 연결된 요동 레버(49)가 클램프(47)를 승강시켜, 지지바아(45), 지지블럭(44), 안내롤러축(43)이 일체로 승강하며, 이에 워킹빔(31) 및 위킹빔 연장부(33)의 가이드바아(37)를 지지하는 안내롤러(42)들이 승강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워킹빔(31) 및 워킹빔 연장부(33)의 리프트(73)에 대한 전진 및 후진이동은 서보모터(62)의 정역회전에 의해 타이밍벨트(69)가 정역회전하여, 타이밍벨트(69)에 연결된 슬라이딩 플레이트(65)가 왕복이동하게 되고, 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65)와 한쌍의 워킹빔(31) 사이를 연결하는 브래킷(63)이 왕복이동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컨베이어와 워킹빔 사이에 워킹빔 연장부를 마련하고, 이송컨베이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펀넬을 로딩하여 워킹빔 연장부에 안착시키는 리프트를 마련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로부터 넥크융착설비로 제공되는 펀넬에 충격을 주지 않으며, 펀넬이 넥크융착설비로 투입되기 위한 정위치 구간을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에, 펀넬의 시일엣지면의 파손을 방지하여 이송되는 펀넬의 불량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펀넬이 이송컨베이어와의 충돌이 방지되어 설비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펀넬의 이송시 펀넬의 불량발생을 방지하며, 설비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음극선관용 펀넬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제공된 펀넬에 넥크를 융착하기 위한 넥크융착설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펀넬이 안착되는 한쌍의 워킹빔과, 상기 워킹빔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워킹빔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갖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워킹빔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향해 길이 연장된 워킹빔 연장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의 상기 펀넬을 로딩하여 상기 워킹빔 연장부에 안착시키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마련되어, 상기 펀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구동부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KR10-2002-0055851A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KR10045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51A KR100450998B1 (ko)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CNB031591329A CN1264183C (zh) 2002-09-13 2003-09-09 用于输送阴极射线管的漏斗体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51A KR100450998B1 (ko)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297A KR20040024297A (ko) 2004-03-20
KR100450998B1 true KR100450998B1 (ko) 2004-10-02

Family

ID=3427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851A KR100450998B1 (ko) 2002-09-13 2002-09-13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50998B1 (ko)
CN (1) CN12641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8609A (zh) * 2016-08-30 2016-11-23 江苏太湖锅炉股份有限公司 固体热载体余热利用***
KR102067166B1 (ko) 2019-04-02 2020-02-11 김성호 파고계 캘리브레이션 자동 제어시스템
KR102067179B1 (ko) 2019-04-02 2020-02-11 김성호 파고계간 간격 조절용 자동 3축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297A (ko) 2004-03-20
CN1264183C (zh) 2006-07-12
CN1495117A (zh)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802B1 (ko) 파이프 이송장치
JPH06179145A (ja) 搬送台車
KR100450998B1 (ko) 음극선관용 펀넬 이송장치
JPH07172538A (ja) コンベヤ装置
CN100404352C (zh) 车辆传送设备和车辆传送方法
KR20090110503A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JP3394847B2 (ja) 部品搬送装置
CN110561020B (zh) 一种建筑塔机主肢自动焊接工作站
KR100800510B1 (ko) 게이트 컨베이어
JPH0243127A (ja) 車輌組立ラインにおける下部品の供給装置
JP2954776B2 (ja) 自動車用リヤシート段重ね搬送装置
JP4424099B2 (ja) 荷支持昇降装置
CN111924470A (zh) 一种转弯输送装置
KR200368857Y1 (ko)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JP3680579B2 (ja) ワーク移送装置
KR101704357B1 (ko)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JP2005349560A (ja) 工作物搬送用移送ライン
CN212982437U (zh) 一种用于耐高温润滑脂制备的灌装装置
CN220787132U (zh) 一种升降式双层输送台
CN219566575U (zh) 一种pvc手套输料装置
JP2869247B2 (ja) 段重ねシート送り出し装置
CN109279120B (zh) 打包***和打包方法
KR100579310B1 (ko) 프로펠러 샤프트 자동 이송장치
JP3908190B2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ワーク搬送方法
JP2001137932A (ja) 角形鋼材の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