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453B1 - 내리닫이문 - Google Patents

내리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453B1
KR100450453B1 KR1020030072743A KR20030072743A KR100450453B1 KR 100450453 B1 KR100450453 B1 KR 100450453B1 KR 1020030072743 A KR1020030072743 A KR 1020030072743A KR 20030072743 A KR20030072743 A KR 20030072743A KR 100450453 B1 KR100450453 B1 KR 10045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guide groove
sliding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춘
Original Assignee
박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춘 filed Critical 박갑춘
Priority to KR102003007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리닫이문은 제 1 및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상호 어긋나도록 승하강 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지는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고도로 설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교차 권취되도록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승하강하도록 동일한 중량의 도어를 연결하고, 이로 인한 무게 평형의 상태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어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무게 평형에 의한 상태로 도어가 위치하여 조작이 미숙한 노약자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내리닫이문을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리닫이문{Vertical type door}
본 발명은 내리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승하강하도록 동일한 중량의 도어를 연결하여 무게 평형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어를 위치시킬 수 있는 내리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창문이나 사람의 출입을 위한 문이 구비되는데, 양자를 통칭하여 도어라 지칭하기도 한다.
종래의 창문 또는 문의 형태를 보면,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일정공간을 형성한 후 형성된 공간에 고정되는 프레임이 있으며, 프레임의 사이에는 여닫는 형태에 따라 여닫이문 또는 미닫이 도어 등이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 중 창문의 기능을 위한 도어는 여닫이문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그 이유는 미닫이문의 경우 지지되어 회동하는 도어를 열고 닫음에 있어 회전되는 회전반경을 필요로 하여 도어의 회전되는 반경이내의 공간은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근간에 들어서 창문의 형태는 미관을 감안하여 대형 통유리를 사용한 형태의 창문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화 된 창문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환기는 필수적으로 고려할 사항인데, 이를 위한 방법으로 대형화 된 창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도 1 과 같은 형태의 도어(200)를 설치하고 있다.
도 1과 같은 형태의 도어(200)는 상측이 프레임(206)에 힌지(미도시) 결합되어 힌지 부분을 기점으로 건물의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회동하며, 하부측에는 경사진 상태의 도어(20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프레임(206)에 걸쳐지도록 다수개의 홈(208)이 형성된 지지바(21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상태의 도어(200)는 환기를 해야 할 경우 도어(200)가 바깥쪽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만일, 갑작스러운 돌풍이 발생하여 경사진 상태의 도어(200)에 작용할 경우 도어(200) 및 열려진 상태로 도어(200)를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206)에 걸쳐진 지지바(210)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노약자 등이 도어(200)를 잘못 조작할 경우 손이 도어와 프레임의 사이에 끼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승하강하도록 동일한 중량의 도어를 연결하고, 이로 인한 무게 평형의 상태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어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무게 평형에 의한 상태로 도어가 위치하여 조작이 미숙한 노약자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내리닫이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수직 승하강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공간활용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돌풍 등에 의한 파손이 최소화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내리닫이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의 사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의 사용상태도 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의 적용상태도 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제 1 도어 6; 제 2 도어
12; 와이어 14,14' ; 제 1, 2 가이드 홈
16,16' ; 제 1, 2 가이드 돌기
24,24' ,124; 롤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은 제 1 및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상호 어긋나도록 승하강 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지는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고도로 설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교차 권취되도록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 하는 상기 프레임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제 1 가이드 돌기 및 제 2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승하강하도록 동일한 중량의 도어를 연결하고, 이로 인한 무게 평형의 상태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어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무게 평형에 의한 상태로 도어가 위치하여 조작이 미숙한 노약자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내리닫이문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승하강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공간활용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돌풍 등에 의한 파손이 최소화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내리닫이문을 얻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100)은 건물에 형성된 일정공간에 위치하여 외곽틀을 형성하는 프레임(2)이 있으며, 프레임(2)의 사이에는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위치하여 프레임(2)의 사이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가 있다.
그리고, 프레임(2) 내부에는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호 엇갈리도록 승하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10)이 구비되어 있다.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는 동일한 중량으로 마련하는데, 이는 연결수단(10)에 의해 연결된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가 중량 평형이 이루어져, 중량 평형의 상태에서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가 연동하여 상호 어긋나도록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함이다.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의 양측이 접촉되는 프레임(2)의 좌우측 내측면에는 상하 슬라이딩하는 제 1 및 제 2 도어(4)(6)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홈(14) 및 제 2 가이드 홈(1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의 양측에는 제 1 가이드 홈(14) 및 제 2 가이드 홈(14??)에 각각 삽입되어 프레임(2) 사이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제 1 가이드 돌기(16) 및 제 2 가이드 돌기(16??)가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제 1 도어(4) 및 제 2도어(6)는 프레임(2)의 사이에서 안정적인 승하강을 하게 된다.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를 연결하는 연결수단(10)은 양단이 각각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며, 이 양단의 사이가 프레임(2)의 상부에 걸쳐지는 와이어(12)로 구비된다.
이렇게, 와이어(12)에 의해 제 1 도어(4)와 제 2 도어(6)는 연결되어 중량 평형의 상태가 되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어(4)가 하강하여 프레임(2) 사이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면 제 2 도어(6)는 연동하여 프레임(2) 사이공간의 상부로 상승하고, 제 1 도어(4)가 상승하여 프레임(2) 사이공간 상부에 위치하면 제 2 도어(6)는 연동 하강하여 프레임(2) 사이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듯 사용자는 와이어(12)에 의해 연동하도록 연결된 제 1 도어(4) 또는 제 2 도어(6)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승하강시켜 프레임(2) 내부의 공간을 개폐하게 된다.
만약, 제 1 도어(4)가 프레임(2) 사이 공간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였다면, 다른 제 2 도어(6)는 프레임(2) 사이 공간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여 프레임(2) 사이의 공간은 폐쇄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제 1 도어가 프레임(2)의 상부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면, 프레임(2)의 하부에 위치한 제 2 도어(6)와 프레임(2) 역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분적으로 프레임(2)의 사이공간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의 본 발명의 내리닫이문(100)은 도 5와 같이, 제 1 도어(4)와 제 2 도어(6)가 겹쳐진 상태일 때 프레임(2)의 사이공간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2)는 제 1도어(4)와 제 2 도어(6)를 연결하여 반대로 승하강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들은 동일한 중량의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 1 도어(4) 또는 제 2 도어(6)를 프레임(2)의 사이에서 상하로 작동할 경우 사용자가 위치시킨 상태로 도어(4)(6)가 유지된다.
이처럼, 중량 평형의 상태로 승하강하는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는 일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주의력이 부족한 노약자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도어(4)(6)가 작동할 경우에도 갑작스럽게 하강하지 않고, 도어(4)(6)에 작용된 힘에 의해 점진적인 작동이 이루어져 프레임(2)과 도어(4)(6)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어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2)의 상부에는 제 1 도어(4)와 제 2 도어(6)에 양단이 결합된 와이어(12)가 교차 권취되도록 서로 다른 고도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롤러(24)(24??)(124)가 구비되는데, 이 롤러(24)(24??)(124)는 제 1 도어(4)와 제 2도어(6)가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롤러(24)(24')(124)가 배치된 상태를 보면, 프레임(2)의 상부에 일전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한 한 쌍의 상부롤러(24)(24')가 있으며, 이 상부롤 러(24)(24')의 사이에는 상부롤러(24)(24')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2)에 설치되는 하부롤러(124)가 있다.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에 결합된 와이어(12)가 각각의 롤러(24)(24??)(124)에 교차로 권취된 상태를 측면에서 볼 경우 와이어(12)는 대략 m자의 형태로 절곡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내리닫이문(100)은 프레임(2)의 사이공간을 개폐하도록 동일한 중량의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가 상호 연동하여 어긋나도록 작동하여손쉬운 개폐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개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해짐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더욱이, 고정장치가 불필요한 동일 중량의 도어(4)(6)가 연동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일정 높이에 위치된 도어(4)(6)가 외부의 충격 또는 노약자 등의 부주의에 인해 작동되더라도 갑작스런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고, 서서히 하강하거나 또는 점진적인 하강이 이루어지다 멈춰지기 때문에 종래에 발생했던 문제인 갑작스럽게 도어(4)(6)가 하강하여 도어(4)(6)와 프레임(2)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어 다치는 문제가 해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100)의 일실예를 나타낸 것으로, 식품점 등에서 사용하는 냉장고(150)에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100)을 설치한 것인데, 이와 같이 내리닫이문(100)이 설치될 경우 각각의 선반에 위치한 음료(152) 등을 손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리닫이문(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어(4) 및 제 2 도어(6)를 연결한 와이어(12)가 원활하게 접촉되어 이동하도록 프레임(2)의 상부를 만곡한 형태로 돌출시킨 것인데, 이 돌출부(402)는 롤러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돌출부(402)가 프레임(2)에 형성되면, 별도의 롤러와 같은 부재가 추가되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롤러가 구비되지 않은 단순한 상태이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승하강하도록 동일한 중량의 도어를 연결하고, 이로 인한 무게 평형의 상태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도어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무게 평형에 의한 상태로 도어가 위치하여 조작이 미숙한 노약자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내리닫이문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승하강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공간활용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돌풍 등에 의한 파손이 최소화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내리닫이문을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동일한 중량의 제 1 및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의 양측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연동하여 상호 어긋나도록 승하강 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다른 고도로 설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교차 권취되도록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닫이문.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 하는 상기 프레임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제 1 가이드 돌기 및 제 2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리닫이문.
  3. 삭제
  4. 삭제
KR1020030072743A 2003-10-17 2003-10-17 내리닫이문 KR10045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743A KR100450453B1 (ko) 2003-10-17 2003-10-17 내리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743A KR100450453B1 (ko) 2003-10-17 2003-10-17 내리닫이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453B1 true KR100450453B1 (ko) 2004-10-01

Family

ID=3736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743A KR100450453B1 (ko) 2003-10-17 2003-10-17 내리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4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87Y1 (ko) 2008-12-22 2011-05-16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창문 구조
KR101275440B1 (ko) * 2009-11-16 2013-06-14 (주)엘지하우시스 이중 창호
KR101300927B1 (ko) 2006-09-22 2013-08-27 박성근 건물 창문의 상하 이동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KR101805822B1 (ko) 2016-02-19 2018-01-10 전기순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27B1 (ko) 2006-09-22 2013-08-27 박성근 건물 창문의 상하 이동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KR200453587Y1 (ko) 2008-12-22 2011-05-16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창문 구조
KR101275440B1 (ko) * 2009-11-16 2013-06-14 (주)엘지하우시스 이중 창호
KR101805822B1 (ko) 2016-02-19 2018-01-10 전기순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048B2 (en) Window blinding system with multiple shading effects
AU2009202659B2 (en) Roll-up shutter with tiltable slots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US5957183A (en) Blackout blind
KR100450453B1 (ko) 내리닫이문
KR101270318B1 (ko) 개폐문시스템
US20170328105A1 (en) Horizontal garage door assembly
KR101897093B1 (ko) 승강 개폐형 창문 구조체
JP3899906B2 (ja) ブラインド装置
US20040016513A1 (en) Venetian blind
JP2010270496A (ja) 通風機能付構造物
EP1656489B1 (en) An improved pivot window with check means
KR200375764Y1 (ko) 스태킹 도어
JPH0516390Y2 (ko)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KR20180042109A (ko) 암대 기능을 가지는 수직형 접이식 외여닫이 창호
KR200323752Y1 (ko) 차양장치
JPH0740636Y2 (ja) ロ−ルブラインドを内蔵した二重ガラスサッシ
JPH0520873Y2 (ko)
JPH0524795Y2 (ko)
KR101897094B1 (ko)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US7665501B2 (en) Draw cord arrangement
JPS5921268Y2 (ja) 昇降式排煙窓
JPH0519518Y2 (ko)
KR200241118Y1 (ko) 절첩 수납식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