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140B1 -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140B1
KR100449140B1 KR10-2002-0004174A KR20020004174A KR100449140B1 KR 100449140 B1 KR100449140 B1 KR 100449140B1 KR 20020004174 A KR20020004174 A KR 20020004174A KR 100449140 B1 KR100449140 B1 KR 10044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epoxy resin
white light
fluoresc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832A (ko
Inventor
조우후크 가네키요
김남영
임덕승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1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램프의 홀컵 부분에 미세분말 형태의 투명 에폭시 수지에, YAG 계열의 형광제나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분말을 채우고, 소정의 온도로 소정 시간동안 가열 경화 반응시켜 LED 칩 주위를 에폭시 수지와 형광제 물질로 균일하게 도포 피막화시킨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LED 프레임의 반사구면 오목한 중심부에 형성된 홀 컵에 발광 LED 칩을 전도성 은 페이스트로 접착 고정하고, LED 칩 윗면의 전극부분을 미세한 금(Au) 또는 알루미늄(Al) 세선으로 한쪽의 전극에 연결하고, 형광제가 배합된 분말 에폭시 수지를 전극 위의 오목한 홀컵 부분에 덮고, 분말 에폭시 수지와 형광제의 혼합물로 덮혀진 전극을 소정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 경화 반응시키면 분말 에폭시 수지가 용해되어 LED 칩 주변과 반구면의 오목한 부분(홀컵)에 도포 피막시켜 최종제품인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White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램프의 홀컵 부분에 미세분말 형태의 투명 에폭시 수지에, YAG 계열의 형광제나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분말을 채우고 소정의 온도로 소정 시간동안 가열, 경화 반응시켜 LED 칩 주변을 형광제 물질로 도포 피막화시킨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는, 예를 들어 GaAsP, GaAlAs, GaP, InGaAlP, GaN 등으로 구성된 1mm 내지 4mm 각 이하로 절단된 LED칩과, 1개 이상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전극 중의 하나의 전극에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홀컵 또는 리플렉터가 형성되어 있고, 홀컵의 하부 중앙부에 은 페이스트를 적하하고, 그 위에 LED칩을 접착 고정한 후, 상기 LED 칩을 금(Au) 세선 또는 알루미늄(Al) 세선에 의해 다른 하나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된다.이러한 종래 LED의 투명 에폭시 수지는 LED의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굴절률과 투명도가 높은 수지가 이용된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란 화학적 구성 분자가 에폭시기 그룹을 갖는 물질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놀 A를 중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대표적이며 경화제를 첨가하여 열경화성 물질로 변화시켜 사용되므로 보통 수지 중간체라 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는 그 형태에 따라 액상, 고상, 반고상으로 구분되며, 그 성분에 따라 1성분계 에폭시 수지와 2성분계 에폭시 수지로 구분된다.상기 2성분계 에폭시 수지란 공장에서 제조시 주제와 경화제를 미리 혼합한 형태(Premixed)로서, 액체 상태 또는 고체상태로 제공된다.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있는 특성상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반응하여 경화되며, 따라서, 약 -5℃에서 보관하여야 하는 취급상의 주의를 요한다. 2성분계 에폭시 수지는 사용자에 의해 부가적인 취급이 필요치 않으며, 제품의 균일성(도)이 보장된다.한편, 1성분계 에폭시 수지는 액체상태의 주제와 경화제가 각기 따로 제공되며, 사용자가 그 의도에 맞게 일정량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주제와 경화제가 따로 공급되기 때문에 2성분계 에폭시 수지보다 장시간 보관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정확한 양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곤란하고, 경화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문제점이 있다.상기와 같은 에폭시 수지의 일반적인 장점은 경화시 반응수축이 작으며, 휘발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전기적, 기계적 성질이 매우 우수하며, 기계 가공성이 우수하고 내수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가소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성질을 부여 할 수 있으며, 각종의 충진제(무기, 유기, 금속분말, 모래 등)을 첨가할 수 있고, 금속, 목재, 시멘트, 유리, 플라스틱 등 거의 모든 재료에 접착이 가능하고, 금속과 시멘트 등 이종 재료간의 접착도 양호하고 저장 안정성이 높으며 경화제를 혼합하지 않으면 기후, 온도에 관계없이 장기간 동안 보관이 가능하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다.한편, LED의 발광색을 변환할 목적으로 위의 투명 에폭시 수지에 무기안료 또는 유기안료와 형광안료(형광제)를 혼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모두 액상 에폭시 수지를 주체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LED는 LED칩의 크기에 대하여 수지 성형부의 크기가 수백배 내지 수천배까지 크기 때문에 LED칩 자체의 광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LED는 액상 에폭시 수지에 형광제를 배합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를 소정의 치구를 사용하여 적당량 LED 전극의 오목한 홀컵에 채우고 경화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LED는 CIE(Commission International de I'Eclarge, 국제조명위원회) 색조표에 정의된 백색점, 예를 들면, x=0.3127, y=0.3291을 얻기 위해서는 이것에 상당하는 형광제를 액상 에폭시 수지에 배합하고, 150℃에서 5시간 정도 경화 반응시켜 제조하게 되는데, 형광제의 비중이 수지보다 크기 때문에 경화 중에 침전이 진행되어 색좌표(x=0.3127, y=0.3291)가 변화되기 때문에 제조할 때마다 색의 재현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색 얼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LED 칩은 주로 청색, 자색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면 효율이 높기 때문에 이를 백색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의 몰딩 컴파운드 수지에 형광안료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에 150 ℃의 온도와 압력을 가하여 제조에 편리한 모양으로 만든 후, 그 것을 LED 칩 부분의 홀컵에 트랜스퍼 몰딩하여 혼합물 경화부를 형성하여 LED 칩에서 발광되는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변환시키는 LED가 있었다.
즉, 액상 에폭시 수지에 형광제를 배합하고 디스펜서에 넣어서 디스펜싱 할 때, 형광제의 비중이 에폭시 수지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디스펜서의 하방으로 침전이 일어나 배합비율의 농도차가 생기며, 처음에 디스펜싱하는 것과, 나중에 디스펜싱하는 것의 농도차도 발생할 뿐만아니라, 디스펜싱 후, 5시간 정도 경화시키는 도중에 형광제가 침전되어 농도차가 생기므로 LED에서 나오는 광이 일정치 않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재현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말상의 투명 에폭시 수지에, YAG 계열의 형광제나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제를 배합하여 급속 경화시켜 형광제의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의 아래쪽으로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색얼룩이 없고, 색의 재현성이 우수한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LED 프레임의 반사구면의 오목한 중심부에 형성된 홀컵에 발광 LED 칩을 전도성 은 페이스트로 접착 고정하고, LED 칩 윗면의 전극 부분을 미세한 금(Au) 또는 알루미늄(Al) 세선으로 한쪽의 전극에 연결하고, 형광제가 배합된 분말 에폭시 수지를 전극 위의 오목한 부분에 덮고, 분말 에폭시 수지와 형광제 혼합물로 덮혀진 전극을 소정의 온도와 시간으로 경화 반응시키면 분말 에폭시 수지와 형광제의 혼합물이 용해되어 LED 칩 주변과 반구면의 오목한 부분(홀컵)에 도막되어 혼합물 경화부를 형성하여 최종제품인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분말상의 에폭시 수지에, 에폭시 수지의 5 내지 50 wt%정도의 형광제를 배합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와 형광제의 혼합물을 소정의 치구를 이용하여 적당량을 전극의 홀컵에 적하하여 채우고, 분말상의 에폭시 수지의 경우에 12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분간 급속 경화 반응시키므로서 형광제의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의 아래쪽으로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재현성이 탁월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광제의 미립자가 경화 반응하여 에폭시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LED 칩에서 발광되는 빛이 형광제에 흡수 산란되어 발광되는 색의 얼룩이 감소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원하는 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형태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 LED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LED 21, 22 : 전극
23 : 홀컵 24 : 은 페이스트
25 : LED 칩 26 : 금 세선
27 : 수지 몰딩 28 : 혼합물 경화부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형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20)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 LED(30)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백색 발광 다이오드(20, 30)는 전극(21, 22)을 가지며, 은 페이스트(24)로 접착 고정된 LED칩(25)을 가지며, 상기 LED칩(25)은 세선(26)에 의해 전극(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LED칩(25)은 홀컵(23)내에 수용되고(도 1 참조), 상기 홀컵(23)은 에폭시 수지와 형광제의 혼합물이 경화 처리되어 혼합물 경화부(28)(도 1참조)를 이룬다. 이렇게 형성된 것에 수지 몰딩(27)(도 1 참조)을 형성하여 최종 제품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도 2에서 혼합물 경화부(28)는 리플렉터내에 형성된다.
분말 투명 에폭시 수지에 YAG 계열의 형광제 또는 적색, 녹색, 청색 형광제의 혼합물인 형광제를 5 내지 50 wt%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홀컵(23)에 채운다. 그 후에 채워진 혼합물에 120 내지 180 ℃의 온도로, 1 내지 10분 동안 급속 가열 경화시키면 형광제가 미립자인 에폭시 수지의 아래쪽으로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경화된다. 상기 혼합물의 양은 홀컵(23)의 용량보다 많은 양으로 해서 경화시켜 혼합물 경화부(28)가 형성된다. 그 후, 투명 에폭시 수지로 소정의 형상으로 수지 몰딩(27)하므로서 최종 제품 형태로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YAG 계열의 형광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색좌표의 값을 변경 가능하고, 또한, 적색, 녹색, 청색 형광제의 조성 비율 또는/및 적색 : 녹색 : 청색의 조성 비율을 조절함으로서 색좌표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상기 YAG 계열의 형광제나, 적색 : 녹색 : 청색 형광제의 조성 비율에 따른 매우 정밀한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재현성이 매우 정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화된 혼합물은 LED 칩에서 발광하는 청색, 자색 또는 자외선이 형광제에 흡수 산란되어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가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면, 발광 파장이 440 내지 470 nm 까지의 청색 발광 LED칩을 사용하여 에폭시 수지내의 형광제를 여기시킴으로서 원하는 백색광을 얻을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발광 파장이 350 내지 430 nm까지의 자외선 또는 자색 발광 LED칩을 사용하여 백색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형광제의 미립자가 경화 반응된 에폭시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LED 칩에서 발광되는 빛이 형광제에 흡수산란이 균일하게 되게 되며, 발광하는 색의 얼룩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는 미세한 분말 형태의 에폭시 수지에 형광제를 상기와 같은 양을 혼합한 분말을 경화처리하여 도막할 수 있기 때문에 재현성과 생산성과 전기적 특성 관리에 최대의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하나의 예로서 에폭시 수지에 조합 혼입된 형광제는 단파장의 빛에 의해서만 여기되어 여기 파장과는 다른 CIE 백색점의 색좌표의 x=0.32, y=0.32 부근 및 피크 에미션 파장은 460nm이고, 도미넌트 피크 파장은 550nm 의 백색광이 발광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을 대체하는 조명 기구, 표시 패널, LCD 표시 광원 등 산업 기기와 생활 용품의 광원으로 사용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제의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 아래로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LED 칩에서 발광되는 빛이 형광제에서 흡수 산란이 균일하게 되므로 색좌표에 변화가 발생되지 않아 재현성이 우수하고, 발광되는 색의 얼룩이 감소되며, 양산성이 우수하고, 소형, 경량, 낮은 가격 및 긴 수명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을 할지라도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본원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7)

  1. 발광 파장이 440 내지 470 nm 까지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을 가지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말 에폭시 수지에, YAG 계열의 형광제를 상기 에폭시 수지의 5 내지 50 wt%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홀컵에 채우고, 채워진 혼합물에 120 내지 180℃의 온도로, 1 내지 10분 동안 급속 가열하여 형광제가 분말 에폭시 수지의 아래쪽으로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경화시켜 최종 제품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YAG 계열의 형광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색좌표의 값을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3. 발광 파장이 350 내지 430 nm 까지의 자외선 또는 자색 발광 다이오드 칩을 가지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말 에폭시 수지에, 적색, 녹색, 청색 형광제를 상기 에폭시 수지의 5 내지 50 wt%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홀컵에 채우고, 채워진 혼합물에 120 내지 180 ℃의 온도로, 1 내지 10분 동안 급속 가열하여 형광제가 분말 에폭시 수지의 아래쪽으로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경화시켜 최종 제품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대 적색, 녹색, 청색 형광제의 조성 비율 또는/및 적색 : 녹색 : 청색 형광제의 조성 비율을 조절함으로서 색좌표의 값을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5. 전극을 가지며, 홀컵의 하단부에 은 페이스트를 적하하고, 그 위에 LED 칩을 접착 고정하고, 상기 LED 칩을 금(Au) 세선 또는 알루미늄(Al) 세선에 의해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백색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홀컵에 분말 에폭시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의 5 내지 50 wt%의 비율로 YAG 계열의 형광제 또는 적색, 녹색, 청색 형광제의 혼합물인 형광제의 혼합물을 채워 가열 경화처리한 혼합물 경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6. 제 5 항에 있어서,
    발광 파장이 440 내지 470 nm 까지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을 사용하여 에폭시 수지내의 형광체를 여기시켜 백색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7. 제 5 항에 있어서,
    발광 파장이 350 내지 430 nm 까지의 자외선 또는 자색 발광 다이오드 칩을 사용하여 에폭시 수지내의 형광체를 여기시켜 백색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KR10-2002-0004174A 2002-01-24 2002-01-24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74A KR100449140B1 (ko) 2002-01-24 2002-01-24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74A KR100449140B1 (ko) 2002-01-24 2002-01-24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32A KR20030063832A (ko) 2003-07-31
KR100449140B1 true KR100449140B1 (ko) 2004-09-22

Family

ID=3221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174A KR100449140B1 (ko) 2002-01-24 2002-01-24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19A1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효성 고연색성의 백색 형광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794B1 (ko) * 2004-06-29 2007-03-20 특허법인 맥 혼합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백색발광소자
KR100588209B1 (ko) * 2005-01-19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색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91273B1 (ko) 2005-08-23 2007-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복합 형광체 분말, 이를 이용한 발광 장치 및 복합 형광체분말의 제조 방법
EP2042260B1 (de) * 2007-09-28 2013-12-18 Heraeus Materials Technology GmbH & Co. KG Verfahren und Paste zur Kontaktierung von Metallflächen
KR100986397B1 (ko) * 2010-02-08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326Y1 (ko) * 1999-12-24 2000-05-15 서울반도체주식회사 색변환 발광다이오드
JP2001127346A (ja) * 1999-10-22 2001-05-11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
KR20010068371A (ko) * 2000-01-05 2001-07-23 박종만 형광 물질을 이용한 복합 파장의 빛을 내는 발광 반도체소자
KR20010080796A (ko) * 2000-01-07 2001-08-25 허영덕 백색광용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백색광 발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7346A (ja) * 1999-10-22 2001-05-11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
KR200181326Y1 (ko) * 1999-12-24 2000-05-15 서울반도체주식회사 색변환 발광다이오드
KR20010068371A (ko) * 2000-01-05 2001-07-23 박종만 형광 물질을 이용한 복합 파장의 빛을 내는 발광 반도체소자
KR20010080796A (ko) * 2000-01-07 2001-08-25 허영덕 백색광용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백색광 발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19A1 (ko) * 2013-12-17 2015-06-25 주식회사 효성 고연색성의 백색 형광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32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4634B2 (en) Surface-mountable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and method of producing a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JP3866092B2 (ja) 波長変換注型材料の製造方法
US20040094757A1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wavelength conversion
JP2005340813A (ja) 蛍光物質を含む成形材料及びそれから作った発光デバイス
KR100693463B1 (ko) 2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봉지층을 구비한 광 확산 발광다이오드
KR20140022019A (ko)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0313A (ko) 대입경 형광 분말을 포함하는 색변환 발광 장치 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
TW201332156A (zh) 固態照明系統
TW200901502A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200947740A (en) Process for encapsulating LED chip by fluorescent material
KR100449140B1 (ko)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20737A (ja) 発光装置
KR100537560B1 (ko) 2단계 큐어 공정을 포함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제조방법
KR20100112619A (ko) 백색 발광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차량용 등기구
KR100821684B1 (ko) 백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
JP2010206208A (ja) 発光ダイオードのパッケージ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31061A (ko) 고효율 색변환 층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597869B (zh) 發光裝置封裝結構及其製造方法
TW201505217A (zh) 發光二極體封裝結構與發光二極體燈泡
JP2014041985A (ja) 波長変換材料
KR20040070870A (ko) 고휘도 백색 발광 소자
KR100449502B1 (ko) 백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작 방법
KR100567546B1 (ko) 핑크색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2389527B1 (ko) 백색 항균 엘이디 칩 패키지
CN217933835U (zh) 一种360度空间均匀发光白光led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