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225B1 - Color Flat Panel Display - Google Patents

Color Flat Panel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225B1
KR100446225B1 KR10-2002-0025840A KR20020025840A KR100446225B1 KR 100446225 B1 KR100446225 B1 KR 100446225B1 KR 20020025840 A KR20020025840 A KR 20020025840A KR 100446225 B1 KR100446225 B1 KR 100446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tter
display device
flat panel
skirt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87465A (en
Inventor
송정목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2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225B1/en
Publication of KR2003008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4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2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4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e.g. by gettering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커트부에 비확산 게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non-diffusion getter is provided in a skirt portion.

본 발명의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빔의 출력, 인출, 신호변조, 집속, 편향을 이루기 위한 일체의 전극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및 정위치된 전극들이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진공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상판 내면에 R,G,B 스크린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이 소구분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마다 스크린을 타격하여 소망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입되어 진공에 의한 인장응력을 줄여주기 위한 스커트 내면에 비확산 게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이다.In the col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s arranged and pos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the output, extraction, signal modulation, focusing, and deflection of the electron beam are arrang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based on a supporting structure. In the flat-panel color display device which is accommodated in a vacuum state, the R, G, B scree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electron beam is hitting the screen for each display area divided into subdivisions. The non-diffusion gette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to reduce the tensile stress caused by the vacuum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Description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Color Flat Panel Display}Flat color display device {Color 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판과 하판 사이의 스커트부에 비확산 게터를 설치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in which a non-diffusion getter is provided in a skirt portion between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of a flat plate color display device.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장치로 음극선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음극선관은 대략 콘 상의 진공용기(펀넬) 전면에 형광 스크린을 구비하고, 그 형광 스크린면과 대향하는 목부분에 전자총을 구비하여,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복수개의 전극을 이용해서 집속하고 편향시켜서 상기 형광 스크린면 상의 한 점에 랜딩시켜 줌으로써 소망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화상 디스플레이기기이다.Cathode ray tubes are mainly used as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es. The cathode ray tube has a fluorescent scree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acuum vessel (funnel) on the cone, and has an electron gun in the neck portion facing the surface of the fluorescent screen, focusing and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It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allows a desired image to be displayed by landing at a point on the surface of the fluorescent screen.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음극선관 타입의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장치(브라운관을 이용한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에 비하여 안 길이(Depth)가 상당히 길고, 박형의 화상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type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brown tube) has a considerably longer depth than the screen, and it is impossible to manufacture a thin image display apparatus.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 박형 즉, 평판형의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EL디스플레이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소자(PDP), 액정 디스플레이소자(LCD)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평판형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소자들(전자빔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화상 디스플레이소자)은 모두 휘도, 콘트라스트, 색 재현성 등의 성능 면에서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oint and provide a thin, flat panel color image display apparatus, EL display elements, plasma display elements (PDPs),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LCDs),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above-described flat panel color image display elements (image display elements that do not use an electron beam) have not yet reached satisfactory levels in terms of performance such as brightness, contrast, and color reproducibility.

상기 기술한 기존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장치(EL디스플레이소자, PDP, LCD 등)가 갖고 있는 제한(휘도, 콘트라스트, 색재현성 등의 문제)을 극복하기 위하여, 브라운관에 버금가는 고품질의 화상을 전자빔을 사용한 평판 상의 장치에서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자빔의 형광 스크린 주사를 기반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problems such as brightness, contrast, color reproducibility, etc.) of existing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s (EL display elements, PDPs, LCDs, etc.) described above, electron beams are used for high quality images comparable to CRTs.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in a flat panel device used,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based on fluorescence screen scanning of an electron beam has been proposed.

후술한 상기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린 상의 화면을매트릭스(matrix) 상의 구분(unit cell)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구분마다 전자빔을 편향 주사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칼라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 이다.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described below is a display device which displays a color image as a whole by dividing a screen on a screen into a unit cell on a matrix, and emitting a phosphor by deflecting an electron beam for each division.

도1은 상기 후술한 전자빔의 형광 스크린 주사를 기반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1은 이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배면 벽체(하판이라고도 한다)(1), 배면 전극(2), 캐소드 필라멘트(선음극)(3), 전자 빔 인출전극(4), 신호전극(5), 집속전극(6), 수평 편향 전극(7), 수직 편향 전극(8), 페이스 플레이트(상판이라고도 한다)(9)가 차례로 배열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상기 각 전극들이 진공 상태로 수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Fig. 1 shows the construction of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based on the fluorescent screen scanning of the electron beam described below. Fig. 1 shows the main components of this flat panel color display separately. Back wall (also referred to as bottom plate) 1, back electrode 2, cathode filament (pre-cathode) 3, electron beam extraction electrode 4, signal electrode 5, focusing electrode 6, horizontal deflection electrode (7), the vertical deflection electrode 8 and the face plate (also referred to as the upper plate) 9 are arranged in order, and each electrode is formed in a vacuum stat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상기 배면전극(2)은 평판상의 도전재료로 구성되며 선음극(3)에 대하여 평행으로 설치된다. 상기 선음극(3)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하게 분포하는 전자빔을 발생하도록 복수개의 본(도1에서는 4본만 표현되어 있다)이 배치되어 있고, 선음극(3)은 예를 들면 텅스텐 선의 표면에 산화물 음극 재료가 도포되어 구성된다. 인출전극(4)은 전자빔의 인출을 위한 전극으로서 선음극 위쪽 스크린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배면전극(2)과 대향하고, 수평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된 관통공의 열을 상기 각각의 선음극에 대향하는 수평선 상에 가지는 도전판으로 구성된다.The back electrode 2 is made of a plate-like conductive material and is provided in parallel to the linear cathode 3. In the linear cathode 3, a plurality of bones (only four of which are represented in FIG. 1) are arranged to generate an electron beam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inear cathode 3 is, for example, an oxide on the surface of a tungsten wire.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is applied and constructed. The lead-out electrode 4 is an electrode for the extraction of the electron beam, which is located in the screen direction above the line cathode and faces the back electrode 2, and faces a row of through-holes provid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espective line cathodes. It consists of a conductive plate which has on the horizontal line.

신호전극(5)은 상기 인출전극(4)의 관통공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이 있고 복수개가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가늘고 긴 도전판의 열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전극(5)의 각 도전판에서는 인출전극(4)의 상기 관통공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동일한 모양의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The signal electrode 5 is composed of rows of thin and long conductive plates i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of the lead-out electrode 4 are arrang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Each conductive plate of the signal electrode 5 has a through hole of the same shape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hrough hole of the lead electrode 4.

집속전극(6)은 신호전극(5)의 관통공과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는 도전판으로 구성되며, 수평 편향 전극(7)은 단부에서 서로 맞물리는 도전판 2매를 동일 평면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린 형태로 되어 있다. 수직 편향 전극(8)도 단부에서 서로 맞물리는 도전판 2매를 동일 평면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The focusing electrode 6 is composed of a conductive plate having through-holes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through-holes of the signal electrode 5, and the horizontal deflection electrode 7 has two conductive plates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eir ends in the same plane. It is in the form of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The vertical deflection electrodes 8 also have a form in which two conductive plate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e end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same plane.

스크린은 상기 선음극으로부터 차례로 전극들을 통과하면서 인출, 신호변조, 집속, 편향된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를 상판 즉, 페이스 플레이트(9) 내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메탈 백(metal back)층이 부가되어 구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상의 구분으로 유닛 셀(10)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The screen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ace plate 9 by applying a phosphor, which is emitted by the drawing, signal modulation, focusing, and deflected electron beam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ctrodes in order from the cathode, and a metal back layer is disposed thereon. It is configured in addition, and consists of a set of unit cells 10 by division on the matrix as described above.

상기 인출전극(4), 신호전극(5), 집속전극(6), 수평 편향전극(7), 수직 편향 전극(8)은 각각 절연성 접착제의 일종인 프리트 글래스(frit glass) 봉으로 접합되며, 각 전극체(2,3,4,5,6,7,8)를 절연성 접착제와 각 전극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삽입한 절연성 스페이서(spacer)로 간격을 유지시켜 전극 어셈블리(전극체)를 구성한다.The lead electrode 4, the signal electrode 5, the focusing electrode 6, the horizontal deflection electrode 7 and the vertical deflection electrode 8 are each bonded by a frit glass rod, which is a kind of insulating adhesive, Each electrode body 2,3,4,5,6,7,8 is spaced by an insulating spacer inserted in order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insulating adhesive and the electrodes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body). do.

도2는 종래의 전극 간격 유지를 위한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각각의 전극(4,5,6,7,8) 사이에 비정질 글래스 봉을 스페이서(spacer)(13)로 삽입하여 전극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비정질 글래스 봉의 이탈을 방지하고 전극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절연성 물질인 프리트 글래스(fritglass) 봉(12)을 사용하여 융착시켜서 전극체(14)를 이루고 있다.2 shows a conventional method for maintaining electrode spacing. An amorphous glass rod is inserted into the spacer 13 between each of the electrodes 4, 5, 6, 7, and 8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onstant.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amorphous glass rod and to fix the electrodes at regular intervals, the electrode body 14 is formed by fusion using a frit glass rod 12 which is an insulating material.

도1 및 도2에 표현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선음극(3)은 전자를 방출한다. 선음극(3)은 전자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히터 전류를 흘려서 가열한다. 가열 상태에서 배면전극(2), 선음극(3), 인출전극(4)에 각각 적절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선음극(3)의 표면으로부터 쉬트(sheet) 상의 전자 빔을 방출시킨다. 쉬트 상의 전자빔은 인출전극(4)의 관통공(4a)에 의해서 복수개로 분할되어 다수의 전자빔류(11)가 된다. 도1에서는 1개의 전자빔류만 표현하였다.The operation of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The front cathode 3 emits electrons. The cathode 3 is heated by flowing a heater current to facilitate electron emission. In a heated state, an appropriate voltage is applied to the back electrode 2, the cathode 3, and the lead-out electrode 4, respectively, to emit an electron beam on a sheet from the surface of the cathode 3. The electron beam on the shee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by the through holes 4a of the lead-out electrode 4 to form a plurality of electron beams 11. In FIG. 1, only one electron beam flow is represented.

인출전극(4)에서 방출된 쉬트 상의 복수 전자빔류는 신호전극(5)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그 통과량이 각각의 전자빔류 마다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전극(5)을 통과한 전자빔은 집속전극(6)의 관통공(15)의 정전렌즈 효과에 의해서 집속 및 정형된다. 수평 편향 전극(7) 및 수직 편향 전극(8)은 상기 집속 및 정형된 전자빔을 각각의 도전판에 가해지는 편향전압에 따라 편향시키고, 편향 제어된 전자빔은 해당 유닛 셀 내의 형광 스크린에 주사되어 소망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즉, 집속전극(6)을 통과한 전자빔은 편향전극(7,8) 각각의 서로 인접하며 대향하고 맞물린 도전판에 가해지는 전위차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되고, 스크린의 메탈 백 층에는 예를 들어 10kV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전자빔은 고 에너지로 가속되어 메탈 백에 충돌하고 형광체를 발광시킨다. 이 때 전기한 바와 같이 화면을 매트릭스 상으로 분할하여 소 구분(유닛 셀)(10)의 집합체로 했을 때, 각각의 유닛 셀들에 상기 분리된 전자빔을 각 1본씩 대응시켜전자빔을 해당 유닛 셀내에만 편향 및 주사하는 것에 의해 전체 화면(full screen)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각 화상에 대응한 RGB 영상신호를 상기 신호전극(5)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동화상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The plurality of electron beams on the sheet emitted from the lead-out electrode 4 are individually adjusted for each electron beam in correspondence with the image signal applied to the signal electrode 5. In this way, the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signal electrode 5 is focused and shaped by the electrostatic lens effect of the through hole 15 of the focusing electrode 6. The horizontal deflection electrode 7 and the vertical deflection electrode 8 deflect the focused and shaped electron beam according to the deflection voltage applied to each conductive plate, and the deflection controlled electron beam is scanned on the fluorescent screen in the unit cell of interest.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displayed. That is, the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focusing electrode 6 is defle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the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to the adjacent, opposing and interlocking conductive plates of each of the deflection electrodes 7, 8, and the like. For example, since a high voltage of 10 kV is applied, the electron beam is accelerated to high energy to impinge on the metal back and emit phosphors. At this time, when the screen is divided into a matrix to form a small division (unit cell) 10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unit cells i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separated electron beams so that the electron beams are only in the unit cell. By deflecting and scanning,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the full screen.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GB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image with the signal electrode 5,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 moving image.

상기한 칼라 화상 디스플레이의 동화상 재현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으로는 예를 들면 화상 밝기의 균일성이 있다. 특히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각의 전극들을 서로의 관통공(15)이 정확하게 대향하게 하고 또 적층 배열하여 접합할 때 각각의 전극들간의 간격(gap) 유지가 밝기의 균일성 유지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극들간의 간격 변화는 스크린 상의 소구분(유닛 셀)에 형성하는 전자빔류(11)의 상의 크기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전극들간의 간격이 정확하게 맞춰지지 않는다면 화상의 밝기의 균일성은 보장할 수 없게 되고, 이는 곧 전체적인 화상 품질의 저하로 이어진다.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reproduction of moving images of the color image display is, for example, uniformity of image brightness. In particular, in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s, when the through-holes 15 of the electrodes face each other precisely and are stacked and bonded together, the maintenance of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s has a great effect on maintaining the uniformity of brightness. Get mad. Since the change in the spacing between the electrodes brings about a change in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electron beam flow 11 formed in the subdivision (unit cell) on the screen, the uniformity of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annot be guaranteed unless the spacing between the electrodes is exactly matched. This, in turn, leads to deterioration of the overall image quality.

따라서, 앞서 설명한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전극(4,5,6,7,8) 사이에 비정질 글래스 봉을 스페이서(spacer)(13)로 삽입하여 전극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비정질 글래스 봉의 이탈을 방지하고 전극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절연성 물질인 프리트 글래스(frit glass) 봉(12)을 사용하여 융착시켜서 전극체(14)를 이루도록 하였다.Therefore,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figure, an amorphous glass rod is inserted between the electrodes 4, 5, 6, 7, and 8 as a spacer 13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onstant.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amorphous glass rods and to fix the electrodes at regular intervals, the electrode body 14 was formed by fusion using a frit glass rod 12 which is an insulating material.

도3a는 종래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극들을 상,하판 사이에 수납하고 이들을 밀봉하여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는 하우징 구조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3a는 스커트 일체형 하우징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cap) 모양의 상판(21)과 각종 전극을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구비된 하판(22) 사이에 배면전극(23), 선음극(24), 그리고 인출전극 내지 수직 편향전극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된 전극(25)을 수납하고 밀봉하여 일체화하고 상판의 측면에 배기튜브(26)를 부착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고 있다. 상기 상판(21)에는 측면에 스커트부(21a)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판 내면에는 R,G,B 스크린(21b)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로 하판상에 게터(27a)를 지지하기 위한 게터 프레임(27), 브라켓(28)과 전극 지지대(29) 및 스페이서(30), 볼트(31)를 이용해서 상기한 각종 전극들을 지지해 주고 있다. 게터 프레임(27)은 프리트(frit)(32)를 이용해서 하판(22)에 융착시켜 고정하며, 상판(21)과 하판(22)의 접합부분에도 프리트(frit)(33)를 사용해서 상,하판을 융착시켜 일체화하고 있다. 상기 게터(27a)는 디스플레이 소자 내부를 고진공화하기 위한 것으로, 게터를 지지하는 프레임(27)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배면전극(23)을 용접한 후 배면전극 아래에 비산형 Ba 게터(27a)를 설치한다.FIG. 3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housing structure in which electrodes are accommodated between upper and lower plates in a conventional flat panel color display and sealed to seal the inside thereof in a vacuum state. FIG. 3A shows a skirt integrated hous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3A, a back electrode 23 is disposed between a cap-shaped upper plate 21 and a lower plate 22 having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various electrodes. , The positive electrode 24 and the lead-out electrode to the vertical deflection electrodes are housed, sealed and integrated with the electrodes 25 stack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exhaust tube 26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upper plate to vacuu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 made it. The upper plate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kirt portion 21a on its side, and an R, G, B screen 21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1 and has a getter on the lower plate as a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electrodes. The above-mentioned various electrodes are supported using the getter frame 27, the bracket 28, the electrode support 29, the spacer 30, and the bolt 31 for supporting the 27a. The getter frame 27 is fused to the lower plate 22 using a frit 32 to fix the upper plate 21, and a frit 33 is also used to join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2 to each other. The bottom plate is fused and integrated. The getter 27a is for high vacuuming of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The getter 27a forms a frame 27 supporting the getter, welds the back electrode 23 thereon, and then scatters the scattered Ba getter 27a under the back electrode. Install.

도3a에 나타낸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구조에서는, 상판(21)과 하판(22)을 프리트(33)를 이용해서 부착하기 전에 우선 상판(21)의 측면-스커트부(21a)에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배기튜브(26)를 삽입하여 440도 이상의 고온에서 프리트를 이용하여 배기튜브(26)를 결합시킨다. 이 때 배기튜브(26)와 상판(21) 사이의 틈을 막아주기 위하여 비결정질과 결정질 프리트를 섞어서 사용한다. 한편, 배기 튜브(26)는 그 지름이 1mm 이하의 것을 사용하며, 상판(21)과의 밀봉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열팽창 계수를 상판(21)의 열팽창 계수와 거의 동일한 물질을 사용한다.In the housing structure of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A, before attaching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2 using the frit 33, a hole is first formed in the side-skirt portion 21a of the upper plate 21. It forms and inserts the exhaust tube 26 to combine the exhaust tube 26 using frit at a high temperature of 440 degrees or more.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exhaust tube 26 and the upper plate 21, a mixture of amorphous and crystalline frit is used. 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tube 26 is one having a diameter of 1 mm or less, and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in the sealing process with the upper plate 21, a material having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substantially equal to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upper plate 21 is used.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 결합된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진공펌프를 이용해서 배기튜브(26)를 통해 1차적으로 배기를 수행하면 그 내부는 10-3torr ~ 10-4torr 수준의 진공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10-7torr 정도의 높은 진공도가 요구되므로 게터를 이용한 고진공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BaAl4와 Ni이 섞인 게터(27a)를 고주파를 이용하여 10초 정도 가열하면 800도 정도에서 Ni과 Al이 반응하면서 열을 발생시켜 Ba을 비산시켜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외벽에 Ba이 도포된다. 도포된 Ba은 내부의 가스입자를 흡착해 줌으로써 진공도를 상기한 목표 수준으로 올려주게 된다. 또한 Ba층의 표면에 생긴 Ba 화합물은 농도의 차이로 인해서 Ba층의 내부로 들어가고 표면은 항상 일정한 흡착력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haust gas is primarily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tube 26 using the vacuum pump in the sealed display device,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reaches a vacuum of 10 -3 torr to 10 -4 torr. However, in order to display an image normally, a high vacuum degree of about 10 -7 torr is required, and thus a high vacuum process using a getter is performed. That is, when the getter 27a mixed with BaAl 4 and Ni is heated for about 10 seconds using high frequency, Ni and Al react at about 800 degrees to generate heat to scatter Ba, and Ba is applied to the outer wall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 The coated Ba raises the vacuum degree to the target level by adsorbing the gas particles therein. In addition, the Ba compoun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 layer enters the inside of the Ba layer due to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and the surface always has a constant adsorption force.

이와 같이 게터의 개스 흡착력은 Ba의 비산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Ba이 비산하여 그 내부에서 충분하게 확산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원하는 흡착력을 가지는 Ba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게터(27a)를 설치하는 프레임(27)을 충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게터 프레임(27)을 위한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데, 게터 프레임(27)을 위한 공간의 확보는 곧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 증가로 이어진다.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 증가는 경박 단소화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Thus, since the gas adsorption force of the getter is proportional to the scattering area of Ba, a space is required for Ba to scatter and be sufficiently diffused therein. Therefore, in order to form Ba layer which has desired adsorption for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frame 27 which installs getter 27a in the position which can ensure sufficient space. To this end, a space for the getter frame 27 is additionally required. The securing of the space for the getter frame 27 leads to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acts as a barrier to light and thin shortening.

한편, 게터(27a)가 배면전극 아래쪽에 설치되므로 게터의 비산시 Ba이하판(22) 방향으로 비산하게 되고, Ba이 하판(22) 방향으로 비산하게 되면 선음극(24)에 Ba이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선음극(24)에 Ba이 부착되면 선음극(24)에서의 전자 방출에 장애가 되어 전자 방출량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나타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getter 27a is disposed below the back electrode, when the getter scatters, the getter 27a scatters toward the lower plate 22, and when Ba scatters toward the lower plate 22, Ba is attached to the cathode electrode 24. Phenomenon occurs. If Ba is attached to the cathode electrode 24,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electron emission from the cathode electrode 24 is impeded and the electron emission amount is considerably lowered.

도3b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판과 하판, 스커트를 분리형으로 하고 배기하기 전에 배기튜브(26)에 비확산 게터(34)를 말아서 넣고, 배기를 수행한 후에 팁-오프(tip-off)를 하는 구조이다.Fig. 3b shows the top plate, the bottom plate, and the skirt in a separate typ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rolls the non-diffusion getter 34 into the exhaust tube 26 before exhausting, and after tipping off, the tip-off is performed. It is a structure.

즉, 상판(21)과 하판(22), 유리재 스커트(21a')를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하판(22)에 배기튜브(26)를 형성하였으며, 배기튜브(26) 속에 비확산 게터(34)를 말아서 넣고 배기후에 팁-오프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구조에 따르면 게터 프레임을 제거할 수 있고 그 만큼의 공간을 줄일 수는 있지만, 확산 게터 대신 비확산 게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흡착 표면적이 적어서 충분한 진공도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upper plate 21, the lower plate 22, and the glass skirt 21a 'are formed in a separate type, and the exhaust tube 26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22, and the non-diffusion getter 34 is disposed in the exhaust tube 26. It is a method to roll up and perform a tip-off after exhausting.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getter frame can be removed and the space can be reduced, but since the non-diffusion getter is used instead of the diffusion getter,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sufficient vacuum degree due to the small adsorption surface area.

정리하면, 기존의 게터 프레임을 이용해서 배면전극 아래쪽에 확산 게터를 설치하고 진공도를 높이는 방법은 고진공화에는 유리하지만 게터 프레임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가 증가하는 단점과, 확산 게터의 Ba이 선음극 표면에 흡착되어 전자 방출량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고, 배기튜브에 비확산 게터를 말아 넣고 배기 후에 팁-오프를 하는 방법은 게터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를 줄일 수는 있지만 비확산 게터 사용으로 인하여 높은 진공도를 얻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summary,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diffusion getter under the back electrode using the existing getter frame and increasing the degree of vacuum is advantageous for high vacuum, but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element is increased because the getter frame installation space must be secured. The getter's Ba i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and reduces the amount of electron emission.The method of rolling the non-diffusion getter into the exhaust tube and tip-off after exhausting does not use the getter frame, which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el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a high degree of vacuum due to the use of a non-diffusion getter.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스커트부에 게터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게터 프레임 등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소자 내부를 고진공화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디스플레이 소자의 불필요한 두께 상승을 방지하여 경박 단소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etter is installed on the skirt por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to effectively vacuum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without having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 separate getter fra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capable of achieving miniaturization.

또한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스커트부에 비확산 게터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게터 프레임 등을 설치할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소자 내부를 고진공화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소자를 경박 단소화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on-diffusion getter in the skirt por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elem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high-vacuum inside the display element without having to secure a space to install a separate getter frame, etc., and to make the display element thin and shor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 독립된 스커트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스커트부 내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비확산 게터를 부착시켜 줌으로써, 확산 게터를 사용할 경우에 필요한 별도의 게터 프레임 설치 공간을 배제하여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고, 비산한 게터가 선음극을 오염시켜 전자방출을 저해하는 단점을 극복하며, 비확산 게터를 사용할 경우 충분한 표면적 및 진공도를 가질 수 없는 단점을 극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를 줄이고 선음극 오염을 방지하며 충분한 표면적 및 진공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n independent skirt, and attaches a non-diffusion getter to the groove, thereby eliminating a separate getter frame installation space required when using a diffusion gett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overcomes the disadvantage that scattered getters contaminate the cathode and inhibit electron emission, and overcomes the disadvantage of not having sufficient surface area and vacuum when using a non-diffusion get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cathode electrode, and ensuring sufficient surface area and vacuum degree.

도1은 일반적인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도2는 일반적인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극간 배열 및 접합상태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array and a bonding state of a general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도3a는 종래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게터 설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getter mounting structure

도3b는 종래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게터 설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getter mounting structure;

도4는 본 발명의 게터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including a gett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게터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스커트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kirt including the gett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빔을 가속, 집속 및 편향하는 다수의 전극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및 정위치된 전극들이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진공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상판 내면에 R,G,B 스크린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이 소구분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마다 스크린을 타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판 사이에 개입되는 스커트 내면에 게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accelerating, focusing, and deflecting an electron beam. In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which is accommodated in a vacuum state between the lower plate, R, G, B scree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electron beam hits the screen for each display area divided into subdivisions. The getter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kir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스커트는 분리형이고, 이 분리형 스커트의 내면에 게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rt is detachable, and a getter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skirt.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게터는 비확산 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tter in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diffusion getter.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스커트의 내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비확산 게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and a non-diffusion getter is attached to the groove.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게터는 테이프 상으로 얇게 만들어진 상태로 상기 스커트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tter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kirt in a state of being made thin on a tape.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게터는 유기 용제와 혼합하여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해서 상기 스커트 내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tter is mixed with an organic solvent and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using a screen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게터는 스커트의 높이(H)를 기준으로 2/3H 이내에서 선택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tter is selected and attached within 2 / 3H based on the height H of the skirt.

「실시예」"Example"

도4는 본 발명의 게터 설치 구조를 포함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getter mou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평판 상의 상판(41) 내면에는 R,G,B 스크린(41a)이 형성되어 있고, 일체의 전극들이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지지된 하판(42)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41)과 하판(42) 사이에 스커트(43)가 개입되어 이 스커트(43)를 매개로 상판(41)과 하판(42)이 서로 밀봉된 상태로 접합되고 그 내부는 진공상태가 된다. 상기 스커트(43)의 내면에는 비확산 게터(44)가 부착되며, 하판(42)에 배기튜브(45)가 설치되어 있다. 도4에서 상판(41)과 하판(42) 사이에 수용되는 배면전극, 선음극, 신호전극, 인출전극, 집속전극, 수평 편향전극, 수직 편향전극과 이들의 지지구조는 도3a 및 도3b와 동일하므로 부호의 표기와 설명은 생략하였다.R, G, and B screens 41a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1 on the flat plate, and a lower plate 42 having integral electrodes supported on the basis of the supporting structure is provided, and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 The skirt 43 is interposed between 42, and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2 are joined to each other in a sealed state through the skirt 43, and the inside thereof is in a vacuum state. A non-diffusion getter 44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43, and an exhaust tube 45 is provided on the lower plate 42. In FIG. 4, the back electrode, the linear cathode, the signal electrode, the extraction electrode, the focusing electrode, the horizontal deflection electrode, the vertical deflection electrode,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thereof, which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2 are shown in FIGS. 3A and 3B. Since the description is the same, the description and description of the symbols are omitted.

상기 게터(44)가 설치되는 스커트의 예를 도5에 나타내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커트(43)의 내면에 홈(43a)을 형성하고 이 홈(43a)에 비확산 게터(44)를 부착하였다. 상기 비확산 게터(44)의 높이(C)는 스커트(43)의 높이(H)에 대하여 C=2/3H 이내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이다.An example of a skirt in which the getter 44 is installed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a groove 43a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43, and a non-diffusion getter 44 is attached to the groove 43a. The height C of the non-diffusion getter 44 should be selected within C = 2 / 3H with respect to the height H of the skirt 43. This is for the following reasons.

게터(44)는 금속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전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판(42)과 스커트(43) 부분 사이로 영상신호와 각종 전극들에 제공되는 신호 단자가 위치한다. 그러므로 도전성인 게터와 상기 전원 및 신호 단자가 접촉할 경우 신호가 누설되어 영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고압이 걸리는 고압 단자도 이 부분을 지나가게 되므로 게터(44)는 고압의 영향을 주고받지 않도록 상기 단자들과 일정한 거리 이상을 유지해야 하는데,이를 위하여 C=2/3H의 범위 내에서 게터(44)가 부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는 상호간의 절연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금속성 물질이 단자의 신호에 노이즈를 첨가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특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The getter 44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thus has conductivity. However, in the flat panel color display device, an image signal and signal terminals provided to various electrodes ar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late 42 and the skirt 43. Therefore, when the conductive get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and the signal terminal, the signal leaks and the image is not displayed properly. In addition, since the high voltage terminal through which the high voltage is applied passes through this portion, the getter 44 should be kep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rom the terminals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high voltage. 44) should be attached. If it exceeds this range, the insulation ability of each other is lowered, and the metallic material acts to add noise to the signal of the terminal, thereby deteriorating characteristics.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스커트(43)에 게터(44)를 설치하며, 이때 게터(4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확산 게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확산 게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확산 게터의 지지나 가열수단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렵고, 확산에 따른 선음극을 포함하는 제 전극들의 오염이 발생할 것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The getter 44 is installed in the skirt 43 so as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and the getter 44 preferably uses a non-diffusion getter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diffusion getter, installation of the diffusion getter is required because the support of the diffusion getter, heating means, and the like are difficult,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first electrodes including the cathode of the diffusion occurs.

비확산 게터(44)는 Ba을 주성분으로 하는 확산 게터와는 다르게 주로 지르코늄(Zirconium)과 알루미늄(Aluminum)의 조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을 막기 위하여 보호막이 입혀져 있다. 그러므로, 비확산 게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막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고주파 가열기를 이용해서 약 10초에서 30분 사이를 700도 내지 900도까지 가열해 준다. 그러면 보호막이 제거되어 비확산 게터(44)가 활성화된다.The non-diffusion getter 44 is composed mainly of a combination of zirconium and aluminum, unlike a diffusion getter mainly composed of Ba, and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to prevent contact with air in the atmosphere. Therefore, the protective film must be removed to activate the non-diffusion getter. For this purpose, a high-frequency heater is used to heat 700 to 900 degrees for about 10 seconds to 30 minutes. The protective film is then removed to activate the non-diffusion getter 44.

본 발명에서 선택되는 비확산 게터(44)는 그 활성화를 위한 온도 범위가 상기한 바와 같이 700도 내지 900도 이내에서 선택된다. 그 이유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공정 상에서 상판(41)과 하판(42)을 결합시킬 때 약 450도 근처의 온도에서 프리트 등을 이용해서 융착시키기 때문이다. 즉, 비확산 게터가 이와 같은 상판과 하판의 융착 온도 근처에서 먼저 활성화되어 버리면 그 효과가 반감되거나 없어질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700도 내지 900도 범위에서 활성화되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The non-diffusion getter 44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within 700 to 900 degrees of temperature range for its activ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2 are fused using frit or the like at a temperature of about 450 degrees when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2 are bonded in a flat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In other words, if the non-diffusion getter is first activated near the fusion temperatur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effect may be halved or disappeared. Therefore, the non-diffusion getter should be selected to be activated in the range of 700 to 900 degrees.

참고로, 비확산 게터는 400도 내지 500도 사이의 온도에서 활성화되는 것이 있고, 700도 이상의 온도에서 활성화되는 것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선택되는 비확산 게터는 400도 근처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사용할 수 없다.For reference, the non-diffusion getter may be activated at a temperature between 400 and 500 degrees, and may be activated at a temperature of 700 degrees or more. Therefore, the non-diffusion getters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used to activate near 400 degrees.

비확산 게터(44)가 활성화되면 확산 게터에 비해서 초기 진공속도는 느리지만 게터층이 상대적으로 두껍기 때문에 진공을 유지하는 지속시간은 길고, 따라서 더욱 선명한 영상을 오랫동안 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non-diffusion getter 44 is activated, the initial vacuum speed is slower than the diffusion getter, but because the getter layer is relatively thick, the duration of the vacuum is long, thus providing a clearer image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커트(43)의 내면에 비확산 게터(44)를 부착하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 것은 물론, 비확산 게터(44)를 스커트(43)의 내면에 필요한 만큼 충분한 면적에 걸쳐서 충분한 양으로 부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기존에 비확산 게터를 배기튜브에 말아넣고 배기 후에 팁-오프하는 경우보다 높은 진공도 확보에 문제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non-diffusion getter 44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43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pace is not requi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non-diffusion getter 44 is sufficient as necessar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43. Since it can be attached in a sufficient amount over the area, there is no problem in securing a higher degree of vacuum than conventionally spreading the non-diffusion getter into the exhaust tube and tip-off after the exhaust.

본 발명에서 선택되는 비확산 게터(44)는 분말형태의 제품과 고상의 제품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상기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커트(43)의 측면(내면)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게터(44)를 부착시킨다.In the non-diffusion getter 44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various powder products and solid products. As shown in FIG. 5, the getter 44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inner surface) of the skirt 43 in the following manner. ).

첫 번째 방법은 상판(41)과 하판(42)을 밀봉하기 전에 테이프처럼 얇게 만들어진 비확산 게터(44)를 세라믹 본드를 이용해서 부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 테이프상으로 부착되는 게터는 C=2/3H 이내의 조건을 만족하는 폭을 가지면 무난하다.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attaching a non-diffusion getter 44, which is made thin like a tape, using a ceramic bond before sealing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2. In this method, the getter attached on the tape may have a width satisfying the condition of C = 2 / 3H.

두 번째 방법은 분말형의 경우인데, 일정한 점성을 갖는 유기용제와 분말형게터를 혼합하고, 일정한 패턴 즉, C=2/3H 이내의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들면 띠상의 패턴을 갖고 있는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해서 상기 유기용제+분말형 게터의 혼합물을 스커트(44) 내면에 인쇄하는 방법이다.The second method is in the case of powder type, which is a screen having an organic solvent having a constant viscosity and a powder getter, and having a certain pattern, that is, a band-like pattern satisfying a condition within C = 2 / 3H. The organic solvent + powder getter mixture is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44 using a mask.

상기 첫 번째 방법이나 두 번째 방법 모두 비확산 게터(44)를 스커트(43)의 내측면에 충분한 양으로 두껍게 도포할 수 있다.In both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the non-diffusion getter 44 may be thickly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43 in a sufficient amount.

본 발명은 비확산 게터를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스커트부에 부착하므로 별도의 비산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표시장치 전체의 두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확산 게터를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스커트부에 부착하므로 비산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진공도 향상을 보장할 수 있다.Since the non-diffusion getter is attached to the skirt por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elemen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cattering space and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non-diffusion getter to the skirt por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so that the scattering spa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reby improving the vacuum degree.

또한 본 발명은 게터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나 기구물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생산단가의 절감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pace or mechanism for the getter install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work proces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특히 본 발명은 스커트에 직접 비확산 게터를 부착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와 공간 최적화에 기여하며, 스커트부를 이용해서 내부의 사용하지 않는 넓은 공간(면적)에 걸쳐서 게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진공도 향상은 물론, 확산식 게터 사용시 발생하였던 전극 오염의 문제도 해결되고, 기존에 비확산 게터를 사용할 때 발생하였던 진공도 불충분의 문제도 해결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the optimization of the thickness and space of the display device by attaching the non-diffusion getter directly to the skirt,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getter over a large unused space (area) using the skirt to improve the degree of vacuum. Of course, the problem of electrode contamination that occurs when using a diffusion getter is also solved, an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vacuum degree that occurs when using a non-diffusion getter is also solved.

Claims (8)

전자빔을 가속, 집속 및 편향하는 다수의 전극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및 정위치된 전극들이 지지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과 하판 사이에 진공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상판 내면에 R,G,B 스크린이 형성되며, 상기 전자빔이 소구분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마다 스크린을 타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accelerating, focusing and deflecting an electron beam are arranged in a vacuu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electrodes are accommodated in a vacuum stat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ased on the support structure, and R, G, B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flat screen display device, wherein a screen is formed and the electron beam strikes a screen for each display area divided into subdivisions to display an image. 상기 상/하판 사이에 개입되는 스커트 내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비확산 게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A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skir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non-diffusion getter is attached to th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kirt is detach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확산 게터는 테이프 상으로 얇게 만들어진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non-diffusion getter is attached to the tape in a thin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확산 게터는 유기 용제와 분말 상의 비확산 게터를 혼합하고,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해서 상기 스커트 내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The flat panel color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non-diffusion getter mixes an organic solvent and a powdery non-diffusion getter and prints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using a screen mask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확산 게터는 스커트의 높이(H)를 기준으로 2/3H 이내에서 선택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non-diffusion getter is selected and attached within 2 / 3H based on a height H of a ski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확산 게터는 지르코늄과 알루미늄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non-diffusion getter is a combination of zirconium and aluminum.
KR10-2002-0025840A 2002-05-10 2002-05-10 Color Flat Panel Display KR100446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40A KR100446225B1 (en) 2002-05-10 2002-05-10 Color Flat Pane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840A KR100446225B1 (en) 2002-05-10 2002-05-10 Color Flat Panel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65A KR20030087465A (en) 2003-11-14
KR100446225B1 true KR100446225B1 (en) 2004-08-30

Family

ID=3238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840A KR100446225B1 (en) 2002-05-10 2002-05-10 Color Flat Panel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22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201A (en) * 1997-10-01 1999-04-23 Ise Electronics Corp Fluorescent character display tu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201A (en) * 1997-10-01 1999-04-23 Ise Electronics Corp Fluorescent character displ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465A (en)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5262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6249083B1 (en) Electric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pacer thereof
KR20030065657A (en) Field emission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348721B2 (en) Display device
US5504387A (en) Flat display where a first film electrode, a dielectric film, and a second film electrode are successively formed on a base plate and electrons are directly emitted from the first film electrode
US20050104494A1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14496B2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nd field emission type backlight device having a sealing structure for vacuum exhaust
US6876140B2 (en) Field emission display using a gated field emitter and a flat electrode
US7427827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446225B1 (en) Color Flat Panel Display
EP1619713A1 (en) Image disply unit and production method for spacer assembly used in image display unit
JP2008053026A (en) Image display device
US7408298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3308797A (en) Gate electrod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structure
KR100447132B1 (en) Field emission display with spacer and method of adhesion the same
KR20040006688A (en) Color Flat Panel Display
KR100489601B1 (en) Color Flat Panel Display
JPH0452928Y2 (en)
EP1544892A1 (en) Image-displaying device, method of producing spacer used for image-displaying device, and image-displaying device with the spacer produced by the method
JPS60101844A (en) Picture display unit
KR20040067680A (en) Color flat panel display
KR20040101631A (en) Field Emitting Display
KR20020040259A (en) Field emission display
JP2005190789A (en) Image display device
JPH08222154A (en)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