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198B1 - 도어개폐용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도어개폐용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198B1
KR100441198B1 KR10-2002-0000581A KR20020000581A KR100441198B1 KR 100441198 B1 KR100441198 B1 KR 100441198B1 KR 20020000581 A KR20020000581 A KR 20020000581A KR 100441198 B1 KR100441198 B1 KR 10044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sing
receiving portion
closing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212A (ko
Inventor
요시이치 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Publication of KR2003000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에 대하여 수용시의 핸들의 편향을 방지하여 핸들과 수용부의 접촉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는 수용한 핸들(2)의 수용부(11) 내에서의 편향을 방지하는 편향방지부(4)가 설치되고, 이 편향방지부(4)는 케이싱(1)의 수용부(11) 내부에 설치된 안내부(12)와, 핸들(2)에 설치되고 해당 안내부(11)에 안내되는 피안내부(21)로 구성된 것이다. 핸들(2)의 상기 피안내부(21)가 안내부(12)에서 소정위치로 안내됨으로써 핸들(2)은 수용부(11) 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개폐용 핸들장치{Door opening and shutting a handle bar equipment}
본 발명은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잠금ㆍ해제기구를 갖는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는 도어(도시생략)에 설치되는 케이싱(1)과 케이싱(1)에 대하여 기복(起伏)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2)과, 케이싱(1)의 상면(10)측에 설치된 핸들기립용 누름버튼(3)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케이싱(1)에는 그 상면(10)측으로 개구하는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핸들(1)은 눕힘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고, 상기 버튼(3)을 누름으로써 수용부(11)로부터 기립한다. 도 5의 (a)는 핸들(2)을 눕힘상태로 한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핸들을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서 F는 전방을, B는 후방을, L은 좌방을, R은 우방을 각각 나타낸다.
핸들(2)의 후단(2d)은 케이싱(1)에 축지지되어 있고, 이 후단(2d)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2)을 회전운동함으로써 핸들(2)의 선단(2c)측을 상하로 기복시킬 수 있다. 또 핸들(2)은 그 후단(2d)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도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5의 (b)에 나타내는 기립상태에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는 이와 같은 핸들(2)의 좌우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좌우방향으로의 핸들(2)의 회전운동이 가능함으로써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수용부(11)에 핸들(2)을 수용했을 때 핸들(2)이 좌우의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어 수용부(11)의 내부 측면과 접촉한다. 즉, 핸들(2)이 수용부(11)에 대하여 좌방(L)으로 편향함으로써 핸들(2)의 좌측면(2a)이 수용부(11)의 좌내측면(11a)과 접촉하고, 핸들(2)이 수용부(11)에 대하여 우방(R)으로 편향함으로써 핸들(2)의 우측면(2b)이 수용부(11)의 우내측면(11b)과 접촉한다.
핸들(2)의 좌우 어느 한쪽으로의 편향으로 생기는, 이와 같은 접촉이 저항이 되어, 버튼(3)을 눌렀을 때의 핸들(2)의 기립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용시의 핸들의 편향을 방지하여 상기 과제의 해결을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주로 상부측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주로 하부측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대략 평면도
도 4의 (a)는 도 3의 X-X 대략단면도이고, (b)는 도 3에 나타내는 핸들장치의 요부설명도
도 5의 (a)는 편향방지부를 구비하지 않는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핸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그 핸들을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싱 2 : 핸들
3 : 버튼 4 : 편향방지장치
11 : 수용부 12 : 안내부
21 : 피안내부
본 제 1의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는, 그 상면측에 개구하는 수용부(11)를 구비한 케이싱(1)과, 케이싱(1)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눕힘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는 핸들(2)과, 핸들(2)의 기립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커튼(3)을 구비하고, 핸들(2)은 수용부(11)로부터 세워짐으로써 케이싱(1)에 대하여 상기 기복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하기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수용한 핸들(2)의 수용부(11) 내에서의 편향을 방지하는 편향방지부(4)가 설치되고, 이 편향방지부(4)는 케이싱(1)의 수용부(11) 내부에 설치된 안내부(12)와, 핸들(2)에 설치되고 당해 안내부(12)에 안내되는 피안내부(21)로 구성된 것이다. 핸들(2)의 상기 피안내부(21)가 안내부(12)에서 소정위치로 안내됨으로써 핸들(2)은 수용부(11) 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본 제 1의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에서는 핸들(2)의 상기 피안내부(21)가 안내부(12)에서 소정위치로 안내됨으로써 핸들(2)은 수용부(11) 내의 중앙에 배치되고, 핸들(2)의 수용부(11) 내에서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으로 편향에 의한 핸들(2)과 수용부(11)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원의 제 2의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에서는, 상기 본원 제 1의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2)의 후부가 케이싱(1)의 수용부(11)에 부착됨으로써 핸들(2)의 전부가 케이싱(1)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핸들(2)은 기립상태에서 후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운동 가능하다. 그리고, 핸들(2)이 눕혀져서 수용부(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하와 같다, 즉,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의 어느 한쪽은 핸들(2)의 좌우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후면을 구비하고,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의 다른 어느 한쪽은 핸들(2)의 좌우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전면을 구비하고, 경사후면과 경사전면이 대응함으로써 수용부(11) 내의 핸들(2)이 수용부(11)의 중앙으로부터 좌우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본원 제 2의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에서는, 핸들(2)이 눕혀져 수용부(11)에 수용된 상태에서 핸들(2)의 좌우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후면과, 핸들(2)의 좌우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전면이 대응함으로써 상기 본원 제 1의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고, 즉, 수용부(11) 내의 핸들(2)의 좌우로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 특히, 경사후면이 핸들(2)의 좌우후방을 향하고, 경사전면이 핸들(2)의좌우전방을 향하는 것이기 때문에 양자가 대응함으로써 좌우방향 뿐만아니라 전후방향에 대한 편향도 방지할 수 있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제 4에 본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핸들(2)을 기립상태로 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주로 상부측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핸들(2)을 기립상태로 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주로 하부측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핸들(2)을 눕힘상태로 한 상기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대략 평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X-X 대략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요부설명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F는 전방을, B는 후방을, L은 좌방을, R은 우방을 각각 나타낸다. 또 도 3 및 도 4의 (b)의 Y는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심선을 나타낸다. 이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키구멍 등의 세부를 생략하고,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일부를 투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 및 도 4의 (b)에서는 다른 구성과의 구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규제돌출부((17a, 17b)에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단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 도 4의 (a)에서는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핸들(2)에 대하여 규제돌출부(17a, 17b) 이외의 부위를 나타내기 위해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는 그 상면측에 개구하는 수용부(11)를 구비한 케이싱(1)과, 케이싱(1)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눕힘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는 핸들(2)과, 핸들(2)의 기립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3)과, 편향방지부(4)와, 잠금장치(5)를 구비한다.
핸들(2)의 후부가 케이싱(1)의 수용부(11)에 설치됨으로써 핸들(2)의 저부는 케이싱(1)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핸들(2)은 기립상태에서 후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운동 가능하다.
편향방지부(4)는 수용부(11)에 수용한 핸들(2)의 수용부(11) 내에서의 편향을 방지하는 것이고, 이 편향방지부(4)는 케이싱(1)의 수용부(11) 내부에 설치된 안내부(12)와, 핸들(2)에 설치되고 해당 안내부(12)에 안내되는 피안내부(21)로 구성된다. 해당 피안내부(21)가 안내부(12)에서 소정위치로 안내됨으로써 핸들(2)은 수용부(11) 내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핸들(2)이 눕혀져서 수용부(11)에 수용된 상태에서 편향방지부(4)는 다음과 같다.
즉,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 중 어느 한쪽은 핸들(2)의 좌우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후면을 구비하고,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 중 다른 어느 한쪽은 핸들(2)의 좌우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전면을 구비하고, 경사후면과 경사전면이 대응함으로써 수용부(11) 내의 핸들(2)이 수용부(11)의 중앙으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싱(1)에는 발조(發條)(도시생략)가 설치되고, 이 발조는 핸들(2)을 기립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항상 누르고 있다. 핸들(2)의 선단부(2c)측에는 걸림용돌기(6)가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11) 내에는 버튼(3)을 누름으로써 함몰되는 피걸림용 돌출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조의 누름에 저항하여 기립상태의 핸들(1)을 수용부(11)로 밀어넣으면 피걸림용 돌출부(30)는 상기 돌기(6)의 하부에 밀려서 일단 함몰되고, 돌기(6)가 통과하면 피걸림용 돌출부(30)가 다시 수용부(11) 내에 돌출된다. 돌출된 피걸림용 돌출부(30)와 돌기(6)의 상부가 맞닿고, 상기 발조에 의해 눌려도 핸들(2)의 기립이 저지되고, 핸들의 눕힘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3)을 밀어 피걸림용 돌출부(30)를 함몰시킴으로써 돌기(6)가 피걸림용 돌출부(30)와의 맞닿음이 해제되어 발조의 누름으로 핸들(1)은 기립상태가 된다(도 1, 도 2).
기립한 핸들(2)은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운동(r)(도 1)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싱(1)의 하면측에는 핸들(2)과 동체로 회전운동편(7)이 축지지되어 있고, 핸들(2)의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운동(r)일때, 이 회전운동편(7)이 핸들(2)과 함께 회전운동(p)한다. 회전운동편(7)은 이 도어개폐용 핸들장치가 설치된 도어(도시생략)의 개방을 저지하는 것이며, 상기 핸들(2)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운동(r)으로 회전운동편(7)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잠금장치(5)는 핸들(2)에 설치된 잠금본체(50)와, 수용부(11)에 설치된 돌출편(52)으로 구성된다. 잠금본체(2)는 키(도시생략)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키구멍(53)을 핸들(2)의 상면(20)측에 구비하고, 또 키구멍(53)으로 삽입한 키를 돌려 위치를 바꾸는 걸림편(51)을 구비한다.
핸들(1)을 눕힘상태로 하고, 상기와 같이 키를 조작하여 걸림편(51)을 돌출편(52)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걸림편(51)이 돌출편(52)에 걸려 상기 버튼(3) 조작에 의해서도 핸들(1)의 기립이 불가능하게 된다.
기립되지 않는 핸들(1)은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회전운동편(7)은 위치를 바꿀 수 없어 도어는 잠금상태가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의 내부밑면(심층부)(13)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융기부(14)와, 융기부(14)의 좌우로 연장설치된 돌출부(15a, 15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돌출부(15a)에는 좌후방(좌경사후방)을 향하는 좌경사후면(16a)이 형성되고, 우돌출부(15b)에는 우후방(우경사후방)을 향하는 우경사후면(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후면(16a, 16b)이 전술한 안내부(12)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도 2, 도 3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의 하면(22)에는 좌우로 나란한 2개의 규제돌출부(17a, 17b)가 형성되어 있다. 좌규제돌출부(17a)에는 우전방(우경사전방)을 향하는 우경사전면(18a)이 형성되고, 우규제돌출부(17b)에는 좌전방(좌경사전방)을 향하는 좌경사전면(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전면(18a, 18b)이 전술한 피안내부(21)를 구성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을 눕힘상태로 하고, 수용부(11)로 수용한 상태에서, 좌경사후면(16a)이 우경사후면(18a)과 대면하고, 우경사후면(16b)이 좌경사전면(18b)과 대면한다. 즉,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가 대응한다. 이 상태일때 핸들(2)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에 대하여 수용부(11)의 중앙에 위치한다. 핸들(2)이 이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2)의 좌측면(2a)과 수용부(11)의 좌내측면(11a) 사이에는 간극(좌간극(t1))이 설치되고, 핸들(2)의 우측면(2b)과 수용부(11)의 우내측면(11b) 사이에도 간극(우간극(t2))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핸들(2)의 기복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 사이에도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좌경사후면(16a)과 우경사전면(18a) 사이에 간극(좌유동부(w1))이 설치되고, 우경사후면(16b)과 좌경사전면(18b) 사이에 간극(우유동부(w2))이 설치된다. 상기 유동부(w1, w2)의 범위 내에서의 핸들(2)의 좌우 어느 한쪽으로의 편향에 따라서는 상기 핸들(2)의 측면(2a, 2b)이 수용부(11)의 어느 한쪽의 내측면(11a, 11b)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유동부(w1, w2)를 설치해 둔다.
이와 같은 유동부(w1, w2)의 설정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수용부(11)) 좌우의 중심선(Y)에 대하여 경사후면(16a, 16b)이 이루는 경사각도(θ1, θ2)(예각측의 절대값)를 약 45˚로 한다. 마찬가지로, 중심선(Y)에 대하여 경사전면(18a, 18b)이 이루는 경사각도(예각측의 절대값)도 약 45˚로 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유동부(w1, w2)의 좌우성분(z1, z2)은 각각 w1/cosθ1 및 w2/cosθ2가 되고, 모두 유동부(w1, w2)에 대하여 약 1.4배가 된다. 따라서 간극(t1, t2)은 적어도 이와 같은 좌우성분(z1, z2)의 범위에서의 핸들(2)의 좌우방향의 편향에 따라서도 핸들(2)과 수용부(11)가 접촉하지 않는 크기를 갖는 것으로 한다. 즉, 간극(t1, t2)은 유동부(w1(유동부(w2))의 1.4배보다 큰 것으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이 경사각도(θ1, θ2)를 약 45°로 함으로써 유동부(w1, w2)의 전후성분(m1, m2)은 각각 w1/sin θ1 및 w2/sin θ2가 되고, 모두 유동부(w1, w2)에 대하여 약 1.4배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범위에서의 핸들(2)의 전후의 편향에 따라서도 핸들(2)과 수용부(11)가 접촉하지 않도록 핸들(2)과 수용부(11) 사이의 전후의 간극을 설정해 둔다.
상기와 같이 중심선(Y)에 대하여 경사후면(16a, 16b)이 이루는 경사각도(θ1, θ2)와, 경사전면(18a, 18b)이 이루는 경사각도를 45°로 함으로써, 핸들(2)의 좌우와 전후의 편향의 억제를 동등하게 행할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핸들(2)의 수용부(11)에 대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내부(12)가 경사후면(16a, 16b)을 이루고, 피안내부(21)가 경사전면(18a, 18b)을 이루는 것이었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안내부(12)가 경사전면(18a, 18b)을 이루고, 피안내부(21)가 경사후면(16a, 16b)을 이루는 것으로 해도 실시 가능하다. 즉, 핸들(2)의 하면(22)으로, 좌우에 돌출부(15a, 15b)가 설치된 상기 융기부(14)를 형성하고, 수용부(11)의 내저부(13)로, 2개의 규제돌출부(17a, 17b)를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도어개폐 핸들장치의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다.
또,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장치에 융기부(14)를 형성하지 않고, 돌출부(15a, 15b)만을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실시 가능하다. 단, 융기부(14)를 형성하여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 수용시. 융기부(14)를 규제돌출부(17a, 17b) 사이에 끼우도록 하면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의 대응만으로 핸들(2)의 편향을 방지하는 경우보다 한층 확실하게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잠금본체(50)는 핸들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버튼(3)이나 케이싱(1)에 형성하는 것으로서도 실시 가능하다.
본원 제 1의 발명의 실시에 의해 수용시의 핸들의 편향을 방지하여 핸들과 수용부의 접촉을 방지하고, 버튼의 기립조작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원 제 2의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핸들의 전후, 좌우의 각 방향에 대하여 편향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본원 제 1의 발명과 같은 효과를 한층 확실하게 거두는 것이다.

Claims (2)

  1. 그 상면측에 개구하는 수용부(11)를 구비한 케이싱(1)과, 케이싱(1)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눕힘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에 수용되는 핸들(2)과, 핸들(2)의 기립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3)을 구비하고, 핸들(2)은 수용부(11)로부터 세워짐으로써 케이싱(1)에 대하여 상기 기복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는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수용한 핸들(2)의 수용부(11) 내에서의 편향을 방지하는 편향방지부(4)가 설치되고, 이 편향방지부(4)는 케이싱(1)의 수용부(11) 내부에 설치된 안내부(12)와, 핸들(2)에 설치되고 당해 안내부(12)에 안내되는 피안내부(21)로 구성되고,
    핸들(2)의 상기 피안내부(21)가 안내부(12)에서 소정위치로 안내됨으로써 핸들(2)은 수용부(11) 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핸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핸들(2)의 후부가 케이싱(1)의 수용부(11)에 부착됨으로써 핸들(2)의 전부가 케이싱(1)에 대하여 기복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핸들(2)은 기립상태에서 후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핸들(2)이 눕혀져서 수용부(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의 어느 한쪽은 핸들(2)의 좌우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후면을 구비하고, 안내부(12)와 피안내부(21)의 다른 어느 한쪽은 핸들(2)의 좌우전방을 향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전면을 구비하고, 경사후면과 경사전면이 대응함으로써 수용부(11) 내의 핸들(2)이 수용부(11)의 중앙으로부터 좌우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용 핸들장치.
KR10-2002-0000581A 2001-06-26 2002-01-05 도어개폐용 핸들장치 KR100441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2259 2001-06-26
JP2001192259A JP2003003699A (ja) 2001-06-26 2001-06-26 扉開閉用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12A KR20030001212A (ko) 2003-01-06
KR100441198B1 true KR100441198B1 (ko) 2004-07-21

Family

ID=1903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581A KR100441198B1 (ko) 2001-06-26 2002-01-05 도어개폐용 핸들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003699A (ko)
KR (1) KR100441198B1 (ko)
CN (1) CN1201061C (ko)
TW (1) TW5397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2778B (zh) * 2009-05-22 201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锁以及具有该锁的机柜
CN109914934A (zh) * 2019-04-01 2019-06-21 河南传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机箱监控管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03699A (ja) 2003-01-08
CN1201061C (zh) 2005-05-11
TW539797B (en) 2003-07-01
CN1393627A (zh) 2003-01-29
KR20030001212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111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251106A (ja) ドアロック装置
US20070029178A1 (en) Inter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nect switches
KR100441198B1 (ko) 도어개폐용 핸들장치
JP5134313B2 (ja) 電子機器用蓋
JP4607620B2 (ja) ラッチ錠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JP4441491B2 (ja) 遊技機
JPH055431Y2 (ko)
JP2002184506A (ja) コネクタ
JP3446766B2 (ja) 電池蓋の取付け構造
KR0126925Y1 (ko) 개선된 도어 잠금수단을 가지는 캐비넷
KR200291651Y1 (ko) 도어핸들용 날개 회동구조
JP4919148B2 (ja) ドアガード
KR102647823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JP2001332874A (ja) 蓋体の開閉機構
JP4931005B2 (ja) 安全スイッチ装置
JP4580212B2 (ja) 施錠装置
JP3545602B2 (ja) 錠装置
JP6180085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KR200248432Y1 (ko) 도어 잠금 장치
JP2023021831A (ja) 引戸用鎌錠
JPH0435987Y2 (ko)
JP6071321B2 (ja) 埋設型ガス栓用化粧プレート
JP4236067B2 (ja) 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