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000B1 -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 Google Patents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000B1
KR100439000B1 KR10-2002-0043155A KR20020043155A KR100439000B1 KR 100439000 B1 KR100439000 B1 KR 100439000B1 KR 20020043155 A KR20020043155 A KR 20020043155A KR 100439000 B1 KR100439000 B1 KR 10043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key
function
let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09266A (en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000B1/en
Publication of KR2004000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2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0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일한 키 내에 존재하는 두 개이상의 한글 자음이나 영어 알파벳을 연달아 입력해야 할 경우 손쉬운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동일한 키 내에 존재하는 문자 입력 있은 후에 일정시간을 기다리거나 방향키를 누름이 없이 해당 키 근처에 기능문자키를 누름으로써 다음 문자입력을 진행 할 수 있게되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글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글자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lates to an easy character input method when two or more Hangul consonants or English alphabets that are present in the same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 to be successively input. That is, after inputting the characters existing in the same key, the user can enter the next character by pressing the function character key near the key without waiting for a certain time or pressing the direction key. It allows you to enter letters quickly and accurately.

Description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일한 키 내에 존재하는 두 개이상의 한글 자음이나 영어 알파벳을 연달아 입력해야 할 경우 손쉬운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an easy character input method when two or more Hangul consonants or English alphabets existing in the same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 to be input in succession.

현재 이동통신단말기 에서 문자를 쉽게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 '천지인' 한글 입력 방법과 '나랏말 2000'이 있다. 상술한 두 발명 모두 한글이나 영문자의 손쉬운 입력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두 방법은 모두 모음 입력 방법에 차이가 있을 뿐, 자음 입력방법은 동일한 방법을 취하고 있다. 즉, '천지인' 한글 입력 방법은 비슷한 자음을 모아 두어 키(key)를 누를 때마다 변경되어 선택하는 방법이고, '나랏말 2000'은 덧쓰기 등과 같은 방법으로 휴대폰에 한글 입력 시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천지인' 방법의 경우 도 2에서 도시한 단말기 자판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때, 4번키를 한 번 누르면 'ㄱ'을, 연속 두 번 누르면 'ㅋ'을, 연속 세 번누르면 'ㄲ'이 입력된다. 따라서, "간다"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4)->ㅏ(3)->ㄴ(5)->ㄷ(4)->ㅏ(3)를 누르면 된다.Currently, there are 'Cheonjiin' Hangul input method and 'Naratmal 2000' as an easy way to input charact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oth of the above inventions present an easy input method of Korean or English. Both methods differ in the vowel input method, but the consonant input method uses the same method. In other words, 'Cheonjiin' Hangul input method collects similar consonants and changes them every time a key is pressed. The 'Naratmal 2000' inputs consonants when entering Korean characters on a mobile phone by overwriting. Way.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heonjiin' method, it has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keyboard shown in FIG. 2, when the fourth key is pressed once, 'ㄱ' is pressed once, the second time is pressed 'ㅋ', and the third time is pressed ' ㄲ 'is entered. Thus, to enter the letter "go" a (4)-> ㅏ (3)-> b (5)-> c (4)-> press (3).

하지만, 만약 동일 키 내에 있는 영어 또는 한글 자음을 두 문자 이상 연달아 입력할 때는, 한 문자나 알파벳을 입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방향키를 누른 후에 다음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However, if two or more English or Korean consonants in the same key are consecutively inputted, it is inconvenient to input a letter or alphabe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o input the next character after pressing a direction key.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한글 자판같이 "ㄴㄹ"이 동일한 5번키에 있는 자판에서 "난리"라는 글자를 입력한다고 하면, 사용자가 ㄴ(5)->ㅏ(3)->ㄴ(5)->'방향키 또는 일정시간 대기'-> ㄹ(5,5)->ㅣ(2)를 입력해야 한다. 이는 "ㄴ","ㄹ"자음이 동일한 5번키에 있어 연속하여 'ㄴ','ㄹ'을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난"이라는 글자 입력 후에 일정시간 경과가 있은 후 또는 단말기내에 있는 방향키를 누른 후에 "ㄹ"글자를 입력하여 "난ㄹ"라는 원하는 글자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user inputs the word "Nan-Ri" in the keyboard on the same 5th key as the Hangul keyboard shown in FIG. 2, the user enters b (5)-> ㅏ (3)-> ㄴ (5 )-> 'Direction key or wait for a certain time'-> ㄹ (5,5)-> ㅣ (2). This is because 'n' and 'ㄹ' consonants are on the same 5th key, so 'n' and 'ㄹ' cannot be displayed in succession. Later, the letter "ㄹ" is entered to produce the desired letter "nan".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 시간상으로나 조작상으로나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가 있다. "난"이라는 글자를 입력 후 사용자가 일정시간을 기다려 다음 문자를입력하는 방법은 빠른 문자 입력에는 적당하지 않은 방법이다. 또한 일정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방향키를 누르고 나서 다음 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조작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왜냐하면, 현재 대부분의 단말기에서 방향키의 위치가 키 패드 위쪽에 자리 잡고 있어서 숫자 키만을 조작할 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입력 조작동작이 불편하게 되어 입력속도나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of inconvenience for the user, both in terms of input time and operation. After the user inputs the letter "I", the user waits for a certain time to input the next character, which is not suitable for quick character input. In additio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next letter after the user presses the direction key directly without waiting for a certain time causes inconvenience of operation. This is because, in most terminals,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s is located above the keypad, so that the input operation is inconvenient compared to the operation of only the numeric keys, thereby reducing the input speed or accuracy.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자 입력하는 동안 가능한 단말기를 쥔 손의 위치가 변하지 않게 하여 손쉽고 빠른 문자 입력을 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단말기에 적용하게 되면, 단말기를 쥔 손의 위치는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엄지손가락만의 이동으로 문자 입력이 용이하게 되어 기존의 방향키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비해 입력속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생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xt input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texts easily and quickly by not changing the position of a hand holding the terminal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wh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terminal, the character is easily inputted by moving only the thumb while the position of the hand holding the terminal is almost unchanged, compared to the input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direction keys. Has an increas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판이다.2 is a keyboar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문자키를 이용하여 한글자음입력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inputting Korean consonants using a function character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문자키를 이용하여 동일한 영어알파벳을 연달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uccessively inputting the same English alphabet by using a func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동일한 키에 위치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해야 할 경우 중간에 해당 키 이외의 특정키를 누름으로서 앞글자의 문자와 뒷글자의 문자를 구분하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character of a front letter and a character of a back letter by pressing a specific key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key in the middle when a user needs to continuously input characters located on the same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즉, 한글 입력 시 이전 글자의 받침 자음과 뒷 글자의 첫 자음이 동일한 키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입력해야 할 자음 키 외의 다른 특정 자음 키를 눌러서 앞글자의 받침자음과 다음 글자의 첫 번째 자음을 구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영어 알파벳을 연달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도 첫 번째 알파벳 입력 후 특정문자를 입력하여 첫 번째 알파벳과 구별시킨 다음, 두 번째 알파벳 입력을 입력하게 한다. 이러한 글자 나열의 시작은 맨 처음 글자입력시 뿐 만 아니라 완성된 글자 이후부터 적용될 수 도 있다.That is, when the Hangul input consonant and the first consonant of the rear letter are placed on the same key, the consonant key of the first letter and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re distinguished by pressing a specific consonant key other than the consonant key to be input. To do that. In addition, even if it is necessary to enter the same English alphabet in a row, after entering the first alphabet to enter a specific charact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first alphabet, and then to enter the second alphabet input. The beginning of the character list may be applied not only at the first character input but also after the completed charac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설명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3)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문자서비스 시스템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메시지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무선부(11)는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제어부(10)와 기지국간의 무선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오디오부(12)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링신호가 발생할 때 링거(Ringer)를 통해 송출한다. 키입력부(15)는 다수의 숫자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1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고,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15)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디스플레이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mory 13 stores a predetermine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he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0 and the characters transmitted from the text service system center. The message data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set area. The wireless unit 1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amplifies and filter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nable wireless signal exchange between the control unit 10 and the base station. The audio unit 12 modulate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to a radi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also transmits the ring signal when the r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base station. The key input unit 15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the key input unit 15 generates corresponding key data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key data to the controller 10. The display unit 14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and includes key data generated by the key input unit 15 and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10. Receive the signal and display i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자판은 현재 SK 텔레텍 이동통신단말기의 자판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지만,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자판구조 뿐 아니라 어떠한 자판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2 illustrates a keyboar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keyboard is shown based on the current keyboard of the SK Telete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keyboard structure as well as the keyboard structure shown in FIG.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자음을 연달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자음이 같은 키에 배치 될 때 기존에는 한글 자음이나 모음이 배치된 자판과 거리가 떨어져 있는 방향키를 누르던지 일정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입력해야 할 자음 키 외의 다른 자음 키(이러한 자음 키를 이하에서는 기능문자키라 함)를 눌러서 앞 글자의 받침자음과 다음 글자의 첫 번째 자음을 구분한다. 이러한 기능문자키는 'ㄴ','ㄷ','ㄹ'을 가진 키가 해당된다. 왜냐하면, 다른 자음들은 ㄶ,ㄺ..같은 겹자음에서 두 번째 자음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겹자음 표시를 위해 'ㄴ','ㄷ','ㄹ'을 가진 키를 기능 자음 키로 한정한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자판 구조인 경우에는 'ㄷ'자음을 가진 4번키와 'ㄴ','ㄹ'을 가진 5번 키가 기능 자음 키에 해당 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문자키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설명할 다양한 예를 통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user inputs consonants consecutively in the terminal, when the input consonants are arranged on the same key, the user must wait for a certain time or press a direction key that is far from the keyboard on which the Korean consonants or vowels are placed. By pressing a consonant key other than the consonant key (these consonant keys are called function letter keys below), the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and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re distinguished. These function letter keys correspond to the keys having 'b', 'ㄷ', 'ㄹ'. Because other consonants can be used as the second consonant in the same consonant ㄶ, ㄺ .., the key with 'b', 'ㄷ', 'ㄹ' is limited to the function consonant key for stable double consonant display. Therefore, in the keyboard structure shown in FIG. 2, the number 4 key having 'c' consonants and the number 5 key having 'b', 'ㄹ' will correspond to the function consonant keys. This function key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various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문자키를 이용한 한글자음입력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Korean consonant input using a function character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로부터 한글 자음 입력(예를 들어 'ㄴ'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에서의 제어부(10)는 해당 자음을 수령하여 이를 표시부(14)에 표시한다(S31, 'ㄴ'표시). 이후, 기능문자키 입력(여기서는 'ㄴ'이 앞글자로 쓰였으므로 'ㄷ' 4번키가 기능문자키가 됨) 있게되면 제어부(10)는 해당 기능문자를 표시부(14)에 표시한다(S32). 따라서 결국 표시부에는 "ㄴㄷ"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임의의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S33) 제어부(10)는 입력 문자가 맨처음 입력한 자음이 위치한 키와 동일한 키에 위치한 한글자음인가를 판단(S34)한다. 판단결과 입력문자가 동일한 키에 위치한 한글 자음(예컨데, 'ㄴ'또는'ㄹ')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기능문자 표시를 삭제하고 표시부에 수령 문자를 표시한다(S35). 따라서, 만약 수령문자가 'ㄹ'인 경우 표시부에는 "ㄴㄷㄹ"이 아닌 "ㄴㄹ"이 표시된다.When there is a Korean consonant input (for example, 'b'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0 of FIG. 1 receives the consonan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4 (S31, 'b' display). Subsequently, when the function character key is input (in this case, 'b' is written as a front letter, 'ㄷ' key 4 becomes a function character key),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the function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14 (S32). . Accordingly, "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ubsequently, when the user inputs an arbitrary character (S33),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character is a Korean consonant located at the same key as the key where the first inputted consonant is located (S3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character is a Korean consonant (eg, 'b' or 'ㄹ') located at the same key, the control unit deletes the display of the function character and displays the received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S35). Therefore, if the receiving character is 'ㄹ', the display unit displays "b ㄹ" rather than "ㄴㄷㄹ".

한편, 판단결과 수령문자가 동일한 키에 위치한 자음이 아니고 모음문자거나 다른 문자키에 의한 자음문자인 경우에는 수령한 문자를 그대로 표시(S36)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령한 문자가 모음(예컨대, 'ㅏ')인 경우에는 제어부(10)는 표시부(14)에 "ㄴ다"라는 글자를 표시하게 되고, 만약 또 다른 자음 입력(예컨대, 'ㅂ'입력)이 있게되면 제어부는 기능문자를 그대로 두고 수령문자를 표시하여 결국 "ㄴㄷㅂ"을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character is not a consonant located on the same key but a vowel character or a consonant character by another character key, the received character is displayed as it is (S36). For example, when the received character is a vowel (eg, 'ㅏ'),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letter “d” on the display unit 14, and another consonant input (eg, 'ㅂ'). Input), the control unit leaves the function text as it is and displays the received text, and eventually displays "ㄴ ㄷㅂ".

따라서, 기존에는 "ㄴㄹ"을 표시하기 위하여 'ㄴ' 5번키 누른후에 일정시간 기다리거나 방향키를 눌러서 다음 단계로 진행한 후 'ㄹ' 입력해야 하지만, 본 방법을 적용하게 되면 손쉬운 조작을 통해 일정시간 기다림 없이 "ㄴㄹ"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conventionally, after pressing 'n' key five times to display "ㄴㄹ" or waiting for a certain time or pressing the direction key to proceed to the next step, the user should enter 'ㄹ', but if this method is applied, a certain amount of time can be easily operated. "B" can be displayed without wait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문자키를 이용한 동일한 영어알파벳을 연달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영어 알파벳의 경우에는 도 2의 자판 구조일때는 영어알파벳이 배치되지 않은 '*','#','0' 키가 기능문자키로서의 역할을 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uccessively inputting the same English alphabet using a func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English alphabet, in the keyboard structure of FIG. 2, '*', '#', and '0' keys without English alphabets function as function letter keys.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어알파벳 입력(예를 들어 'A')이 있게 되면 제어부(10)는 해당 알파벳을 표시부(14)에 표시(S41)하게 된다. 그후, 사용자로부터 기능문자키 입력(예컨대, '#'입력)이 있게 되면 제어부(10)는 표시부(14)에 해당 기능문자를 표시하게된다(S42, "A#" 표시). 그후 문자 입력(S43)이 있는 경우 제어부(14)는 수령한 문자가 어떠한 문자인가를 판단(S44)한다. 만약 수령문자가 기능문자와 동일하다면(S44a, 예컨데 수령문자가 #) 제어부는 수령한 문자를 표시하지 않게 되어(S45) 표시부에는 "A##"가 아닌 이전의 "A#" 만 표시된다. 반면에 수령문자가 이전의 영어알파벳과 동일하다면(S44b) 기능문자를 삭제하고 수령문자를 표시하게된다(S46). 예컨데, 수령문자가 이전의 알파벳과 같은 'A'라면 표시부는 "A#A"가 아닌 기능문자 '#'가 삭제된 "AA"플 표시하게 된다. 또한, 수령문자가 이전의 기능문자와 동일하지도 않고 이전의 알파벳과도 동일하지 않은 나머지 경우(S44c, 예컨데, '*','0','H'...)에는 기능문자를 삭제하지 않고 수령문자를 표시(S47)하게 된다. 예컨데, 수령문자가 '*'인 경우에는 "A#*"가 표시되고 수령문자가 'H'인 경우에는 "A#H"가 표시된다.When there is a specific English alphabet input (eg, 'A')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corresponding alphabet on the display unit 14 (S41). After that, when a function character key input (eg, '#' input)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corresponding function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14 (S42, "A #" display). Then, when there is a character input (S43), the control unit 14 determines (S44) which character is the received character. If the receiving character is the same as the function character (S44a, for example, the receiving character is #), the control unit does not display the received character (S45), and only the previous "A #"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stead of "A ##". On the other hand, if the recipient character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nglish alphabet (S44b) deletes the function character and displays the recipient character (S46). For example, if the receiving character is 'A' like the previous alphabet,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AA" template in which the function character '#' is deleted instead of "A # A". In addition, if the recipient character is not the same as the previous function character or the same as the previous alphabet (S44c, for example, '*', '0', 'H' ...), the function character is not deleted. The recipient character is displayed (S47). For example, "A # *" is displayed when the recipient character is '*' and "A # H" is displayed when the recipient character is 'H'.

이하에서는 한글자음입력 또는 영어알파벳 입력 시에 연달아 입력해야할 문자가 동일한 키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3, 도4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해서 구첵적인 글자 입력 예를 설명한다. 한편, 한글 자음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ㄱ,ㄴ,ㄷ..등과 같은 자음을 단자음이라하고, ㄳ,ㄵ,ㄶ,ㄺ..등과 같은 자음을 겹자음이라 하고, ㄲ,ㅆ,ㅉ..등과 같은 자음을 쌍자음이라 명칭한다.Hereinafter, when the characters to be consecutively inputted when the Korean consonant input or the English alphabet input are arranged on the same key, a conventional example of character input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Hangul consonant input method below, consonants such as a, b, c .., etc. are called terminal consonants, and consonants such as ㄳ, ㄵ, ㄶ, ㄺ .. Consonants such as, ㅉ .. and so called consonants.

한글입력의 경우 2개이상의 글자로 이루어진 단어인 경우, 첫 번째 글자의 종성자음이 단자음인 경우, 겹자음인 경우, 쌍자음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the case of a Korean input, a word consisting of two or more letters, a case in which the final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is a terminal sound, a double consonant, and a double consonant will be described.

우선, "난리"라는 단어와 같이 첫 글자의 종성자음이 단자음인 경우 기존에는 "난" 입력을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ㄴ'이 위치한 5번키를 누르거나 5번키에서 거리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방향키를 눌러야하는 불편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시한 기능문자키를 이용한다면 손쉽게 "난리"라는 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난리"를 입력하고자 할 때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ㄴ(5)->ㅏ(3)->ㄴ(5)->ㄷ(4,기능문자키)->ㄹ(5,5)->ㅣ(2)를 입력받게 되면 "난리"라는 글자를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난"이라는 글자 입력이 있은 후 종성자음 'ㄴ'이 배치된 5번 키 외에 'ㄷ'을 가진 기능문자키 4번키를 누르게 되면 표시부는 "난ㄷ"을 표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ㄹ"에 해당하는 5번키를 두 번 누르게 되면 제어부(10)는 바로 이전에 입력된 'ㄷ"을 표시부에서 지우고 "난ㄹ"을 표시부(14)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따라서, 5번키 이외의 기능문자키를 누른 것이 결과적으로 숫자 자판키와 떨어져 위치한 방향키를 누른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First, if the final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is the terminal sound, such as the word "Nan-ri", after entering "I", press the number 5 key where 'b' is located again, or the distance from key 5 is relatively It is inconvenient to press the direction key away. However, if the above-described function key is used, the word "warm" can be easily displayed.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Nursery", the control unit 10 is b (5)-> ㅏ (3)-> ㄴ (5)-> ㄷ (4, function character key)-> ㄹ (5) from the user. (5)-> ㅣ (2) is received, the word "rando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In more detail, after inputting the letter "I", if the user presses the function key # 4 with 'c' in addition to the number 5 key with the final consonant "b", the display will display "nan". Then, if the user presses the fifth key corresponding to "ㄹ" twice, the controller 10 deletes the immediately input 'c' from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nan" on the display unit 14. Thus, Pressing a function key other than # 5 has the same effect as pressing a direction key away from the numeric keypad.

만약, "난"입력 후 기능문자키 'ㄷ'인 4번 키를 입력있어 "난ㄷ" 표시 상태에서 모음 입력(예컨대 'ㅏ')이 있게 되면 제어부는 기능문자 표시를 지우지 않고 "난다"라는 단어를 표시부에 표시하게 된다.If "I" is input after the 4th key with the function letter key "ㄷ" and there is a vowel entry (for example, ")") in the state of "I", the control unit does not delete the function letter display. The wor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다음으로 "싫어"라는 단어와 같이 첫 글자의 종성자음이 겹자음인 경우, 마찬가지로 ㅅ(7)->ㅣ(2)->ㄹ(5,5)->ㅎ(0)->ㄷ또는ㄴ(4또는5,기능문자키)->ㅇ(0)->ㅓ(6)의 입력이 있게 되면 제어부는 "싫어"라는 단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싫ㄷ" 표시 상태에서 모음입력이 있는 경우(예컨대 'ㅏ')가 있게되면 제어부는 기능문자를 삭제하지 않고 "싫다"라는 표시를 하게 된다. 또한 "싫ㄷ(싫ㄴ)"표시 상태에서 'ㅎ'과 같은 0번키에 위치한 'ㅇ'이 아닌 다른 키에 위치한 자음(예컨데, 8번키의 'ㅂ') 입력이 있는 경우에도 'ㄷ'기능문자 표시를 삭제하지 않고 "싫ㄷㅂ"을 표시하게 된다.Next, when the final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is a double consonant, such as the word "dislike", ㅅ (7)-> ㅣ (2)-> ㄹ (5,5)-> ㅎ (0)-> ㄷ or 4 or 5, function character key)-> O (0)-> ㅓ (6),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word "dislik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re is a vowel input (eg, 'ㅏ') in the state of dislike "Y", the control unit displays "dislike" without deleting the function character. In addition, if you have a consonant (for example, 'ㅂ' on the 8th key) that is located on a key other than 'ㅇ', such as 'ㅎ', in the "Dislike" state, "Don't show" is displayed without deleting the character display.

마지막으로 "갔서"라는 단어와 같이 첫 글자의 종성자음이 쌍자음인 경우를살펴보면, ㄱ(1)->ㅏ(3)->ㅆ(7,7,7)->ㄷ또는ㄴ(4또는5,기능문자키)->ㅅ(7,7)->ㅓ(6) 입력이 있게 되면 제어부는 "갔서"라는 단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만약, "갔ㄷ(갔ㄴ)" 표시 상태에서 모음입력이 있는 경우(예컨대 'ㅏ')가 있게되면 제어부는 기능문자를 삭제하지 않고 "갔다(갔나)"라는 표시를 하게 된다. 또한 "갔ㄷ(갔ㄴ)"표시 상태에서 'ㅆ'의 7번키가 아닌 다른 키에 위치한 자음(예컨데, 8번키의 'ㅂ') 입력이 있는 경우에도 'ㄷ(ㄴ)'기능문자 표시를 삭제하지 않고 "싫ㄷ(ㄴ)ㅂ"을 표시하게 된다.Finally, if the final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is a double consonant, such as the word "go", a (1)-> ㅏ (3)-> ㅆ (7,7,7)-> c or b (4 or 5, Function character key)-> s (7,7)-> ㅓ (6) When input is made, the controller displays the word "Go" on the display. If there is a vowel input (eg, 'ㅏ') in the state of "go", the control unit displays "go (go)" without deleting the function character. Also, if there is a consonant (eg, 'ㅂ' on 8 key) located on a key other than '7' in 'Go', the 'B (b)' function character is displayed. Without deleting it, you will see "Yes" (b).

한편, 영문 글자 입력 시에도 본 발명의 입력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AA"같이 동일한 알파벳을 연달아 입력하는 경우 기존에는 A가 있는 2번키를 누르고 방향키를 누르고 다시 2번키를 누르게 되는 입력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방향키 대신 기능문자키 즉, 영문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0','#' 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AA"를 입력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A(2)->*(기능문자키)->A(2)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는 "A*A"가 아닌 "AA"를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된다. 만약 A(2)->*->M(6)을 누르게 되면 A와 M은 서로 다른 키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는 기능문자로 사용되지 않고 제어부는 "A*M"이라는 표시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A*A" 글자를 입력하고 싶으면 사용자가 A(2)->*->*(기능문자키)->A(2)를 순서대로 누르게 되면 제어부는 "A*A" 라는 글자를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된다. 왜냐하면 기능문자를 연달아 두 번 입력하게 되면 나중 입력된기능문자는 표시부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when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same alphabet one after another, such as "AA", the input process of pressing the number 2 key with A and then pressing the number 2 key is perform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existing direction key, a function letter key, that is, an English letter is disposed. Use one of the '*', '0', or '#' keys that are not present.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input "AA" and the user presses A (2)-> * (function key)-> A (2),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AA" instead of "A * A".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If A (2)-> *-> M (6) is pressed, A and M are located on different keys, so * is not used as a function letter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A * M" on the display. If you want to enter the letters "A * A", press the A (2)-> *-> * (Function Keys)-> A (2) in order.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letters "A * A". 14). This is because if you enter function letters twice in a row, the function letters entered later are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또한, 이 방법은 동일한 알파벳 뿐만 아니라 동일한 버튼에 배치되어 있는 알파벳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번 키패드에 ABC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AB를 입력하려면 종래에는 '2번키'+'방향키'+'2번키'+'2번키'를 입력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2번키'+'기능문자키'+'2번키'+'2번키'를 누르면 된다.In addition, this method can be equally applied to not only the same alphabet but also the alphabet arranged on the same button. For example, when ABC is assigned to keypad 2, to input AB, conventionally, '2' key '+' direction key '+' 2 'key' + '2' key are inpu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2 key' Press + 'Function Character Key' + 'No.2 Key' + 'No.2 Key'.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이든 영어든 동일한 키에 있는 문자 입력 시에는 그 중간에 특정키를 누름으로써, 문자를 연달아 표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inputting characters on the same key, whether in Korean or Englis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isplay characters in succession by pressing a specific key in the middle thereof.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내의 동일 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할 시에 기존의 일정시간 대기나 방향키를 누르는 방법 대신 기능문자키를 누르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 쥔 손의 위치를 변하지 않게 하여 문자 입력속도, 정확성, 편이성을 향상 시켰다. 또한, 별도의 키나 다른 기구적, 하드웨어적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현재 단말기에서 손쉽게 본 발명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경제적 부담없이 손쉽게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pressing a function character key instead of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or pressing a direction key when consecutively inputting characters disposed on the same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roved character input speed, accuracy and convenience by keeping the position of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urrent terminal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key or other mechanical or hardwar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ny economic burden.

Claims (4)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한글 자음을 수령 받아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receiving the Hangul consonants from the us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on the display, 한글 자음을 수령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Hangul consonants and displaying them on the display unit; 기능문자를 수령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function text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기능문자의 수령이 있은 후에 입력되는 문자를 수령하여 상기의 한글 자음과 동일한 키에 배치된 한글 자음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Receiving a character input after receipt of the function charact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s a Hangul consonant arranged on the same key as the Hangul consonant; 상기 판단 결과 수령한 문자가 동일한 키에 배치된 한글 자음인 경우 표시부에 표시된 기능문자를 삭제하고 수령한 문자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능문자표시를 삭제하지 않고 수령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If the received character is a Korean consonant arranged on the same key, deleting the function charac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character; otherwise, displaying the received character without deleting the function character display.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동일한 키에 배치된 한글 자음을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Method for inputting consecutive Korean consonants arranged on the same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한글 자음을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은 완성된 글자 이후부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한 키에 배치된 한글 자음을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of inputting the Korean consonants consecutively is applied after the completed letters. 제1항에 있어서, 기능문자는 동일한 키에 배치된 한글 자음이 아니면서 한글 겹받침 자음 구성요소 중 두 번째 위치에서 쓰이지 않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한 키에 배치된 한글 자음을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unction character is a character that is not used in the second position of the Hangul overlapped consonant component but is not a Hangul consonant arranged on the same key.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영어 알파벳을 수령 받아 표시부에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of receiving an English alphabet from a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on the display, 영어 알파벳을 수령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receiving an English alphabet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unit; 영어 알파벳이 위치하지 않은 키에 배치된 기능문자를 수령하여 표시하는 제2단계와,A second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function letter arranged on a key in which the English alphabet is not located; 기능문자 수령 있은 후에 입력되는 문자가 상기의 기능문자와 동일한 문자인 경우 수령한 문자를 표시하지 않는 제3단계와,A third step of not displaying the received character if the character inputted after receipt of the function character is the same character as the above function character; 수령문자가 제1단계에서 입력된 영어 알파벳과 동일한 키에 배치된 문자인 경우 기능문자를 삭제하고 수령한 문자를 표시하는 제4단계와,A fourth step of deleting the function letter and displaying the received letter if the received letter is a letter disposed on the same key as the English alphabet input in the first step; 상기의 기능문자와 동일하지 않으며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된 영어알파벳과 동일한 키에 배치된 문자가 아닌 경우에는 수령한 문자를 표시하는 제5단계A fifth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letter when the letter is not the same as the function letter and is not disposed on the same key as the English alphabet input in the first step;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영어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Method for inputting the English alphabe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R10-2002-0043155A 2002-07-23 2002-07-23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KR100439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155A KR100439000B1 (en) 2002-07-23 2002-07-23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155A KR100439000B1 (en) 2002-07-23 2002-07-23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266A KR20040009266A (en) 2004-01-31
KR100439000B1 true KR100439000B1 (en) 2004-07-03

Family

ID=3731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55A KR100439000B1 (en) 2002-07-23 2002-07-23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0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54A (en) * 2002-07-24 2004-01-31 강윤기 De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KR100689496B1 (en) * 2005-06-1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Key input method for solving input collision of consonants arranged in the same key
KR100765481B1 (en) * 2006-04-26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keypad which has keys assigned several character
KR101509571B1 (en) * 2013-11-11 2015-04-10 배석균 Without waiting for the touch pad how to enter charact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50U (en) * 1998-03-04 1998-06-05 최병규 New Hangul Input Method of Telephone II
KR19990052447A (en)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number keys
KR20010070793A (en) * 2001-06-08 2001-07-27 강병주 Korean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he keypad of telephone and cellular phone
KR20030054449A (en) * 2001-12-26 2003-07-02 김여일 Korean Letter Input System and Array Method Using 3 Contact Point Keybutton
KR20030093050A (en) * 2002-06-01 2003-12-06 김여일 Korean Alphabet Letter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Numeric Keybutt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2447A (en) * 1997-12-22 1999-07-05 윤종용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number keys
KR19980014350U (en) * 1998-03-04 1998-06-05 최병규 New Hangul Input Method of Telephone II
KR20010070793A (en) * 2001-06-08 2001-07-27 강병주 Korean character input system using the keypad of telephone and cellular phone
KR20030054449A (en) * 2001-12-26 2003-07-02 김여일 Korean Letter Input System and Array Method Using 3 Contact Point Keybutton
KR20030093050A (en) * 2002-06-01 2003-12-06 김여일 Korean Alphabet Letter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Numeric Keybutt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266A (en)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042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KR1006513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 input in a personal device
KR100439000B1 (en) Method of inputing letter which is located at the same key in succession
KR100675181B1 (en) Key pad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46660B1 (en)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KR100386944B1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60799A (en) User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an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panel for character input
KR20020017384A (en) Method for hangul input in mobile phone
KR10076411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2108656B1 (en) A character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character in its own handwritin
KR100664144B1 (en) Method for inserting commonly used sentence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72343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hereof
KR20050022560A (en)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53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code of portable phone
KR100363548B1 (en) Hangul code generation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365791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83069A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to mobile phone and keyboard
KR10142425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therefor
KR10055076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by user's style of handwriting in mobile phone
KR100251719B1 (en) Apparatus for inputing and outputing character in keyphone system
KR100659892B1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KR1006918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by using motion sensor
KR100660463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40000052A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by sense key and method thereof
KR20050007677A (en)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repetition ke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