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240B1 -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240B1
KR100436240B1 KR10-2001-0068034A KR20010068034A KR100436240B1 KR 100436240 B1 KR100436240 B1 KR 100436240B1 KR 20010068034 A KR20010068034 A KR 20010068034A KR 100436240 B1 KR100436240 B1 KR 10043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atalyst
antimicrobial
titanium
titanium dioxide
hyd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050A (ko
Inventor
김대승
Original Assignee
김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승 filed Critical 김대승
Priority to KR10-2001-006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2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또는 자외선의 조사뿐만 아니라 광선의 조사량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에서도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항균금속성분 함유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좀더 상세히는 Ag, Cu, Zn 등의 항균금속성분과 무기수산화물을 공침법에 의해 화합물로 제조하고 이를 수중에 분산하여 콜로이드화하는 과정, 과산화티탄산 용액과 상기 콜로이드화 용액을 혼합한 후 수열합성반응을 통하여 결정성 산화물을 제조하는 과정 및 졸-겔법을 이용하여 상기 항균금속성분 함유 산화물을 다공성 무기산화물로 입자표면을 코팅처리하여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화하는 공정에 의하여 이산화티타늄과 항균금속을 보다 안정한 상태로 공존하게 함으로써 두 성분의 특성이 동시에 잘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광촉매는 입자 크기가 1nm 내지 100nm이하의 수분산 콜로이드용액 또는 분말상으로 제조되는 항균력 강화 광촉매 물질이다.

Description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comprising an antimicrobial metallic component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항균성 금속성분과 광반응성 촉매 물질인 이산화티타늄(anatase)을 화합물 또는 혼합물 형태로 합성하여 콜로이드(colloid)화함으로서 우수한 광촉매 성능뿐만 아니라 항균능력의 강화 또는 광조사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강력한 항균능력을 발현할 수 있는 항균성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광촉매는 함유금속을 산화물의 형태로합성하여 인체에 안정하며, 무기산화물 성분으로 코팅 및 마이크로 캡슐화시키므로써 환경 친화적인 광촉매 콜로이드 용액 또는 광촉매 항균코팅제로 이용될 수 있다.
광촉매에 의한 환경 정화는 무한한 광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고 2차 오염 부산물을 방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래의 에너지 저감 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유기물질에 대한 강력한 산화환원 작용과 초친수성 및 자기정화(self cleaning)능력이 우수하여 이를 응용한 산업제품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광촉매 물질의 해결해야 할 과제를 몇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반응속도가 느리고 분해반응이 불완전하다.
2. 효율이 낮다.
3. 특정의 물질만을 처리할 수 있다.
4. 오염물질의 제거 분해속도가 서서히 저하된다.
5. 광조사가 약해지면 처리속도가 낮아진다.
상기의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례로 TiO2광촉매 입자에 Pt, Au, Ag, Pd, Ru, Co, Ni, Fe, Cu, Cr 등의 금속 성분을 첨가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산화 환원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데 이는 첨가 금속이 도너(donor)로서 작용하여 가전자대(valance band)의 전자들이 용이하게 여기(exiting)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흡착물질을 첨가하여 탈취 성능을 향상시키고, Ag, Cu 등의 항균금속을 첨가하여 광조사가 없는 상태에서도 항균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의 개선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광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고상법, 액상법 그리고 기상법을 들 수 있는데, 이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이 액상법이며 이는 다성분계의 조성을 보다 균질하게 합성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액상법으로는 중화적정에 의한침전법(precipitation), 공침법(coprecipitation), 함침법(impregnation) 그리고 금속알콕사이드(metal alkoxide)를 전구체로 하는 졸-겔법(sol-gel process)등을 들 수 있다. 이중 중화적정법은 티타늄클로라이드(titanium chloride), 티타늄설페이트(titanium sulfate), 티타닐설폐이트(titanyl sulfate) 등의 티타늄염을 암모니아수(amonia water), 탄산소다(sodium carbonat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등의 알칼리로 중화하여 티타늄하이드로옥사이드(titanium hydroxide)를 생성하고 세척, 건조와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아나타제(anatase)상의 티타늄산화물 분말(titanium oxide powder)를 제조하게 된다. 이는 분말상과 수분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졸겔법은 titanium tetraisopropoxide, titanium tetrabutoxide 등의 titanium alkoxide를 전구체(precursor)로 하여 알코올, 물, 촉매 등을 첨가하고 가수분해반응을 통하여 티타니아졸(titania sol)을 얻는 방법으로 여러 종류의 성분을 합성하기 용이하며 고순도의 순수 졸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여러 종류의 담체(substrate)에 코팅(coating)하고 열처리하여 균질한 박막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Ag, Cu, Zn 등의 항균금속을 이용한 무기항균제 및 이들을 첨가하여 항균능력을 강화한 경우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우선 금속이온 치환능력을 가진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은이온을 첨가한 무기항균제(미국특허 USP5,468,699)가 대표적이고 이 이외에도 은착염을 인산염 등에 포접하여 항균 및 항곰팡이에 대한 효과(일본특허 특개2000-44415), 그리고 일본특허, 특개평3-205436에는 제올라이트에이온교환 하여 건조 열처리하여 제작하거나 실리카겔에 첨착하여 분말형태의 항균제를 제조하였다.
일본특허, 특개평10-25435에는 다공질 실리카겔 표면에 은, 동등의 항균금속을 코팅하였다. 일본특허, 특개평3-287508을 보면 알루미나 입자의 표면에 은이온을 함유한 알루미노규산염의 피막을 형성하여 항균성 조성물로 하였고 일본특허, 특개평3-252308에서는 실리카겔의 표면에 은이온을 함유하는 알루미노규산염의 피막을 형성하여 항균성조성물로 하였다. 또한 WO96/29375의 경우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입자의 현탁액에 Ag, Cu, Zn 등의 금속염을 첨가하여 용액화하고 코팅하거나 광촉매 코팅(coating)을 형성한 후 금속염을 도포해서 광환원 석출을 행하는 경우이다. 또한 일본특허 특개평11-322524의 경우 TiO2졸에 CuSO4등의 항균금속염을 첨가하여 유약층에 코팅하여 300-900℃로 열처리하여 항균층을 형성하였다.항균성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금속은 Ag, Cu 그리고 Zn이다. 이들을 이온상태의 금속염이나 화합물상으로 광촉매체에 첨가할 경우 자칫 응집이나, 도막 상태의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데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특히 Ag의 경우 대기 중에서 햇빛에 노출되면 자외선의 영향으로 서서히 변색이 되는 황변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의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주 미량의 첨가나 다른 물질과 화합물을 형성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합물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커져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은성분을 광촉매에 첨가 코팅제로 사용할 경우 WO96/29375의 경우 극미량을 제외하고는 변색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태이고, 일본특허 특개평11-322524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변색의 위험성과 항균금속의 도포시 작업공정을 추가하여야하는 불편 그리고 광촉매능의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Ag의 경우 금속이온 치환능을 가진 제올라이트(zeolite)에 Ag이온을 치환하여 건조와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사용하게되는데 이역시 장기간 동안 햇빛에 노출시 변색을 유발하는 문제점과 입자의 크기문제로 수분산 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코팅제에 첨가시 불투명해지게 된다. 특개평3-252308의 경우도 분말상으로 만 가능하여 콜로이드나 광촉매에 첨가하여 투명한 피막을 얻는데는 적합하지 않다.이산화티탄에 빛이 조사되면 광촉매상에서 활성산소, OH 라디칼(radical) 이 발생되어 강력한 산화환원 작용에 의해 악취물질 등을 분해 정화하는 특성을 나타내게된다. 전기적으로 반도체성질을 갖고있는 대표적인 광촉매로서는 TiO2, ZnO, RuO2, CoO, Ce2O3, Cr2O3, Rh2O3, V2O5등의 산화물과 ZnS, CdS 등의 황화물을 들 수 있다. 단파장(380nm이하)의 자외선이 조사되면 여기상태가 되어 강력한 산화력을 나타낸다.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반도체에는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지만 TiO2가 주목되어지는 이유는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물질이면서 광반도체로서도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에너지밴드는 가전자대(valance band), 전도대(conduction band) 및 이들 사이에 금지대(gap)가 존재한다. 산화티탄의 경우 금지대의 에너지 차이(gap)가 3.2eV로서, 그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한 가전자대의 전자는 여기(exciting)되어 전도대로 이동하게 되고, 가전자대에는 정공(hole)이 만들어지고 이동은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자외선(UV)을 조사하게되면 여기상태 즉, 활성상태가 되어진다.전자와 홀은 표면으로 이동하여 각각 산소, 수산기와 결합하여 라디칼을 형성한다. 산화티탄의 경우 홀의 산화력이 보다 강력하기 때문에 주로 수산기 라디칼이 유기물질을 산화해서 탄산가스(CO2)와 물(H2O)로 산화 분해시킨다. 또한 균이 사멸하지 않는 약한 자외선 광량 에서도 항균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항균성금속을 보다 안정하게 광촉매입자와 조합시키기 위하여 공침법을 통하여 항균성금속성분을 무기수산화물에 접합시킨 후 티탄산용액에 분산시키고 수열반응(hydrothermal reaction)을 유도하여 다량의 항균성 금속성분을 함유하는 결정성 광촉매 입자를 얻을 수 있게 되고, 후처리법으로 다공성 무기산화물 코팅 또는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화하므로써 보다 안정한 상태의 항균력이 배가된 광촉매 물질을 얻고자 한다. 이러한 광촉매는 수분산 콜로이드 형태, 분말상으로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합한 바인더(binder)를 첨가하여 황변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투명 코팅막을 얻을 수 있다. 광촉매 입자를 실리카 또는 티타니아(titania)로 다공질 코팅처리 즉, 분산입자를 마이크로캡슐화 함으로서 햇빛에 장기 노출 시에도 변색이나 성능저하를 유발하지 않고, 강력한 산화환원 작용을 유지하면서 미생물에 대한 항균, 살균 능력이 탁월한 초미세(1nm 내지 100nm) 무기항균제인 항균력 강화 광촉매 콜로이드 또는 광촉매 분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를 균주 1(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을 이용하여 항균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를 균주 2(Escherichia coli, ATCC 25922)를 이용하여 항균도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자는 항균금속성분을 금속수산화물에 공침법으로 조합시키고 이것을 1nm 내지 100nm이내의 미세한 콜로이드 상으로 제조하여 광촉매 졸에 첨가하고 수열반응을 통하여 구조의 결정화를 이루고, 다공질의 무기산화물로 마이크로캡슐화함으로서 보다 안정한 상태로 광촉매 입자와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항균력 강화 광촉매 물질을 제조하였다.본 발명은 Ag, Cu 또는 Zn 중 1종 이상의 항균금속성분과 무기수산화물을 공침법에 의해 화합물로 제조하고 이를 수중에 분산하여 콜로이드화하여 항균금속 함유 무기수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수산화티타늄(Ti(OH)2) 수분산액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과산화티타늄산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항균금속 함유 무기수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수열합성반응과정을 통하여 결정형(anatase)의 이산화티타늄(TiO2)과 항균금속성분 함유 이산화티타늄 결정체를 제조하는 단계;졸-겔법을 이용하여 상기 항균금속성분 함유 이산화티타늄을 다공성 무기산화물로 입자표면을 코팅처리하여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기수산화물이 Ti, Al, Zr, Ce 또는 Zn 중 1종의 수산화물인 것을 특징한다.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무기산화물이 이산화규소(SiO2) 또는 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무기수산화물로 안정화시킨 Ag, Cu 또는 Zn 중 1종 이상의 항균금속염을 이용하고, 표면이 다공성 무기산화물로 코팅하거나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분말상 또는 1~100㎚ 입자 크기를 갖는 수분산 콜로이드용액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되 광촉매가 pH 7~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산화티타늄은 여러 가지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산티타늄(Ti(SO4)2), 황산티타닐(TiOSO4), 염화티타늄(TiCl4), 유기티타늄화합물 (organic titanium compound) 등을 가수분해하는 방법, 황산티타늄, 황산티타닐, 염화티타늄, 유기티타늄화합물 등에 알카리를 첨가하여 중화하여 얻는 방법 및 염화티타늄 등을 기상 산화하여 얻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방법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광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화티타늄입자의 표면에 Ag, Cu, Pd, Fe, Ni, Cr, Co, Pt, Au, Li, Ca, Mg, Zn, Al 또는 Rh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부착시켜 전자의 광 여기를 용이하게 하여 광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중 Ag, Cu, Zn 등을 광촉매에 첨가할 경우 태양광이나 자외선이 조사되지 못할 때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균금속을 광촉매 졸이나 분산체에 첨가하기 위해서는 금속염, 화합물, 무기물과 이온교환 또는 표면 첨착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항균성금속성분을 금속수산화물에 공침법으로 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본 발명은 황산티타늄, 황산티타닐, 염화티타늄 등의 티타늄 염과 황산아연, 질산아연 등의 아염염 중 1성분 이상을 선택하여 알칼리 성분인 암모니아수(NH4OH), 탄산소다(NaCO3), 수산화나트륨(NaOH) 등을 이용하는 중화적정법으로 Ag, Cu, Zn 등의 항균금속을 무기수산화산화물로 안정화처리 하여 다량 첨가함으로서 강력한 항균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금속염을 이온교환수나 증류수에 회석한 용액에 Ag, Cu, Zn 등의 항균 금속염을 일정량 첨가하고 충분히 용해하고 혼합한다. 이어서 이를 빙냉교반 하면서 상기의 알카리 성분 용액을 서서히 적하하여 중화하고 이를 8시간 이상 정지하여 항균금속이 함유된 금속수산화물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이온교환수로 충분히 세척하고 염화물을 사용했을 경우 은거울 반응으로 잔류 염소이온의 유무를 확인한다. 그런 후 적정량의 이온교환수를 혼합한 후 고정도의 분산기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에 분산처리한다. 이때 고형분 농도는 10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특히 은(silver)은 자외선의 영향으로 쉽게 변색되거나 염소(Cl) 이온과 결합하여 염화은(Ag chloride)을 형성하거나 그리고 다른 이온이나 염기와 결합할 경우 항균능력이 현저히 감소, 변색 등의 문제점으로 산업적으로 이용하는데 제약점이 많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강력한 자외선 흡수체인 티타늄산화물 또는 아연산화물에 함유 또는 조합시킴으로서 자외선으로부터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고, TiO2, SiO2등으로 피복 처리함으로서 물리 화학적인 외부의 영향, 즉 자외선, 산알칼리, Cl이온 그리고 기계적 충격으로 인한 탈리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정한 상태로 광촉매 성능과 항균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TiO2, SiO2를 피복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졸-겔법(sol-gel process)을 들 수 있다. SiO2의 전구체로 테트라에톡실란(Si(OC2H5)4), 그리고 TiO2의 전구체(precursor, Titanium alkoxide)로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OC2H5)4), 티타늄 테트라에톡사이드(Ti(OC3H7)4), 티타늄 아세테이트 (Titanium acetate) 등을 사용하여 여기에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2-propanol) 등의 알코올과 물 그리고 졸(sol) 형성제인 염산, 질산 등을 첨가하고 일정시간동안 교반함으로써 가수분해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즉, 항균금속함유 광촉매 수분산체에 상기의 졸겔 법으로 만들어진 실리카졸(silica sol), 실리카-티타니아 졸(silica-titania sol) 또는 중간생성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가수분해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된 항균성 강화 광촉매를 얻을 수 있게 된다.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황산티타늄(Ti(SO4)2), 황산티타닐(TiOSO4), 염화티타늄(TiCl4), 황산아연(ZnSO4·3H2O), 질산아연 {Zn(NO3)2·6H2O} 등에서 1종을 선택하여 여기에 항균금속염을 첨가하고 알칼리 수용액으로 중화 적정하여 항균금속을 포함하는 무기수산화물을 생성한 다음, 이것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1nm 내지 100nm 정도로 미분산하여 콜로이드상을 만드는 제 1단계, 황산티타늄(Ti(SO4)2), 황산티타닐(TiOSO4), 염화티타늄(TiCl4) 등에서 1종을 선택하고 여기에 알칼리 성분인 암모니아수(NH4OH), 탄산소다(NaCO3), 수산화나트륨(NaOH) 등에서 1종으로 중화 적정하여 얻은 수산화티타늄(Ti(OH)2) 수분산액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가열하고 과산화티타늄산용액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과산화티타늄산용액에 1단계에서 만들어진 항균금속 수산화티타늄 sol을 첨가하고 분산 처리한 다음 100℃이상에서 수열합성을 통하여 결정형(anatase)의 TiO2와 항균금속함유 TiO2결정체를 제조하는 제 2단계 그리고 2단계에서 얻어진 분산체를 졸겔 법을 이용하여 다공성의 무기 산화물로 피복 시키는 3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화적정시 완충용액으로서 수산화암모늄(NH4OH)과 염화암모늄(NH4Cl)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항균금속은 항균금속의 염화물(chloride), 질화물(nitrate), 황화물(sulfate) 그리고 초화물(acetate) 중에서 선정하여 무기염 수용액에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한 후 중화 적정하여 항균금속이 포함된 금속수산화물을 생성하였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의 알칼리성분을 일정비율로 이온교환수에 희석하여 수용액을 만들어 빙냉 교반 하면서 각종 성분을 첨가한 후 알칼리 수용액을 서서히 적하하여 pH가 7이 되도록 하여 항균금속성분이 포함된 금속수산화물을 형성시키고 교반을 정지한 후 약 12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그런 후 이온교환수로 충분히 세척한 후 일정량의 물과 혼합하고 수분산처리(1nm 내지 100nm의 sol)하였다. 수분산 처리의 일례로 산이나 알칼리를 이용하여 콜로이드화하는 화학적 방법, 볼분쇄기(ball mill), 유리비드분쇄기(glass bead mill), 마찰분쇄기(attrition mill) 또는 유화혼합기(homo. mixer)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미분쇄 또는 미분산 처리를 할 수 있다.
다음 공정에서는 TiCl4, Ti(SO4)2, TiOSO4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이온교환수에 일정량을 용해하고 암모니아수(NH4OH), 탄산소다(HaCO3), 수산화나트륨(NaOH) 등에서 1종을 선택하고, 완충용액으로서 NH4OH와 NH4Cl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중화적정법으로 Ti(OH)4침전물을 얻고 이를 이온교환수로 충분히 세척(chloride를 사용하였을 경우 은거울 반응으로 치 이온의 잔류를 확인)한 다음 일정량의 이온교환수에 분산하였다. 여기에 과산화수소(H2O2)를 첨가하고 50℃로 가열하고 교반을 계속하여 진노랑색의 투명용액인 과산화티타늄산용액을 만든다. 여기에 항균성금속수산화물을 1nm내지 100nm 입자크기로 분산시키고, 냉각사관이 부착된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80℃내지 100℃에서 3시간동안 유지하여 과산화수소를 분해한 다음 이어서 100℃내지 200℃에서 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수열합성을 하게 되면 항균성금속성분을 안정하게 함유(주로 화합물 형성)하는 아나타제형(anatase type)의 TiO2콜로이드를 얻게된다. 이것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수세 후 100℃내지 120℃에서 5시간동안 건조하고 450℃에서 3시간동안 열처리하여 항균성금속이 함유된 아나타제형의 TiO2광촉매 분말을 얻게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TiO2광촉매 분말을 일정량의 이온교환수와 함께 유리비드밀에 투입한 후 1000 내지 2000rpm으로 30분간 고속회전하여 수분산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수분산체의 고형분 농도는 약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0중량% 정도로 조정한다. 그런 후 다른 용기에 옮긴 후 실리카 코팅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실리카 코팅방법은 졸겔법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의 반응을 통하여 피복작업을 하게된다. 먼저 실리카의 전구체로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silane, Si(OC2H5)4를 사용하였으며, 가수분해 반응의 촉매로서는 염산(HCl), 질산(HNO3), 초산(CH3COOH) 중 선정한 1종의 산(acid)을 사용하였고, 가수분해 액의 용매로는 물과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저급알코올 즉,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일정량의 알콜에 테트라에톡시실란을 혼합교반하여 둔다. 다른 용기에 알콜과 이온교환수 혼합용액을 만들고 이를 상기의 테트라에톡시실란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30℃정도를 유지하면서 30분 내지 3시간동안 교반하여 부분가수분해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60℃ 내지 90℃ 정도로 가열하여 총량의 절반을 증발시킨다. 한편 이온교환수에 본 발명의 항균금속성분 함유 TiO2광촉매 수분산 콜로이드용액을 20℃ 내지 40℃를 유지하면서 교반한다. 여기에 상기의 가수분해 반응산물을 서서히 적하 하면서 교반을 계속한다. 적하가 끝난 후 약 3시간동안 동일온도에서 교반을 계속하여 실리카 코팅 항균광촉매 수분산 콜로이드를 완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분이 1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고 더욱 적절하게는 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재(substrate) 표면에 코팅하고 상온에서 건조한 다음 30℃ 내지 200℃의 저온소성에 의해 도막화가 가능하다. 코팅방법은 기재의 형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스핀코팅(spin coating), 스프레이코팅(spray coating), 바코드법, 딥코팅(deep coating) 등이 이용된다.또한 상기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의 수분산시 분산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이 가능한 계면활성제로는 술폰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지방산나트륨비누, 디옥틸술포석신산나트륨, 알킬설페이트, 폴리카르복실산, 디소듐라우릴폴리옥시에틸렌술포석시네이트, 아미드에테르설페이트, 소듐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아실메틸타우린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폐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솔비탄스테아레이트,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옥시에틸렌도데실아민, 폴리에스테르변성실리콘, 솔비탄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옥틸폐닐에테르,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등의 비이온성계면활성제, 디메틸알콜베타인, 알킬글리신, 이미다졸린 등의 양성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벤질클로라이드, 테트라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핵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프로필렌디아민아세테이트, 옥타데실아민이세테이트, 테트라데실아민아세테이트,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계면활성제 등을 들수 있으며 이들의 첨가량은 0.1 중량부 내지 2중량부 정도가 적합하다.
광촉매인 TiO2와 항균금속고정화입자를 코팅하는 2가지 목적은 첫째, TiO2입자의 표면을 다공성 실리카(porous silica) 또는 다공성티타니아(porous titania)로 코팅함으로서 급격한 산화반응을 조절, 항균금속성분의 안정화 그리고 2차 응집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고, 둘째는 실리카가 바인더로서의 기능으로 본 발명의 항균 광촉매를 다른 종류의 표면에 용이하게 코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1. 항균금속을 고정화하는 무기수산화물 수분산체의 제조
증류수 또는 이온교환수 1000ml를 0℃가 유지되도록 빙냉 교반하면서 황산티타늄{Ti(SO4)2} 15ml를 서서히 적하 후 10분동안 서서히 교반, 혼합하였다. 교반을 계속하면서 질산구리{Cu(NO3)2·3H2O} 0.5g과 질산은(AgNO3) 0.3g을 차례로 서서히 투입하고 30분동안 교반한 후 pH 7이 되도록 암모니아수(NH4OH, 0.5mol/ℓ)를 서서히 적하였다. 그러면 유백색의 침전 생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데 그 상태에서 교반을 멈추고 12시간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침전물을 필터한 후 이온교환수로 충분히 세척함으로써 Cu와 Ag 성분이 포함된 수산화티타늄 겔을 얻게되었다. 여기에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적정농도(TiO2로 환산하여 약 0.9wt%)의 혼합액을 만들고, 여기에 암모니아수(28%)를 첨가하여 pH가 9.5가 되도록 한 후 유화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3시간동안 분산처리하여 미립자 상태(1nm 내지100nm)의 콜로이드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Cu와 Ag 항균금속성분이 고정화된, 즉 화합물 형태로된 수산화티타늄 콜로이드 용액을 만들었다.
2. 항균금속이 함유된 TiO2(anatase) 광촉매 분말의 제조
증류수 또는 이온교환수 1000ml를 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빙냉 교반하면서 사염화티타늄(TiCl4) 10ml를 서서히 적하한 후 10분 이상 충분하게 혼합하여 두고, 다른 용기에서 암모니아수 용액(NH4OH, 0.5mol/l)을 제조한 후 사염화티타늄용액에 서서히 적하하면서 교반하여 pH 7이 될 때까지 계속하여 중화적정을 행하였다. 이로서 유백색의 침전 생성물이 얻어지면 교반을 멈추고 그 상태에서 12시간 동안 유지시키고, 침전물을 필터링하고 이온교환수로 충분히 수세한 후 질산은 수용액을 이용하여 은거울 반응으로 염소이온의 잔량여부를 확인하였다. 이상이 없으면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총량이 700ml가 되도록 하고 유화기를 이용하여 1시간 정도 교반을 계속하여 수중에 고르게 침전물을 분산시켰다. 따라서 Ti(OH)4수분산액을 얻었으며, 여기에 28% 과산화수소(H2O2) 20m1를 약 30분에 걸쳐 적하하면서 교반하고, 50℃로 가열하면서 완전 투명의 진노랑색으로 용해되면 온도를 80℃로 가온하고 프로펠러 믹서기(propeller mixer)를 이용하여 80℃를 유지하면서 100rpm 내지 5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상당량의 과산화수소가 분해하여 산소기포가 발생되어 제거되고 동시에 진노랑색의 투명용액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는 과산화티탄산용액으로 수 nm크기의 콜로이드 용액이다. 여기에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900ml가 되도록 한 다음 30℃로 유지하면서 서서히 교반하고 상기 항균금속이 고정화된 수산화티타늄 수분산액 300ml를 30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고 다시 프로펠러 믹서기를 이용하여 700rpm으로 1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충분히 혼합된 상태에서 오토클래이브(autoclave) 반응기에 투입하고 800rpm으로 프로펠러 교반기로 교반을 계속하면서 200℃에서 3시간동안 수열합성 반응시켰다.
그리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필터링하고 이온교환수로 충분히 세척하였으며 이때의 생성물을 X선회절분석기(XRD)를 이용하여 분산입자가 아나타제(anatase)임을 확인하고, X선형광분석기(XRF)를 이용하여 아연(Zn)과 은(Ag)성분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100℃에서 8시간동안 건조한 후 450℃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항균금속고정화 TiO2광촉매 분말을 제조하였다.
3. 다공성 실리카 코팅
냉각사관이 부착된 반응 용기에 에탄올 200ml와 테트라에톡시실란 {Si(OC2H5)4} 7ml를 첨가하고 30℃를 유지하면서 10분동안 교반한 후 에탄올 100ml, 이온교환수 20ml 그리고 HNO32ml를 혼합한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하면서 30℃를 유지하였다. 냉각사관을 제거하고 대기 중에서 온도를 80℃로 상승하고 교반 속도를 빨리하여 전체 용량의 절반이 줄어들면 정지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실리카 코팅용액으로 만들었다.
이와 달리 이미 만들어진 항균금속 고정화 TiO2광촉매 분말과 이온교환수 300ml를 혼합한 후 유리비드밀(glass bead의 크기는 2mmØ)에 투입하고 1000 내지 3000rpm으로 30분동안 밀링(milling)하여 입자크기가 10 내지 100nm인 무기산화물 분산졸(sol)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상기 실리카 코팅용액을 첨가하고 80rpm의 속도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이온교환수 200ml를 첨가하고 로터리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증류하여 알콜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다공성 실리카가 코팅된 항균금속 함유 광촉매분산 콜로이드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질산구리 {Cu(NO3)2·3H2O} 1g과 질산은(AgNO3) 0.3g 대신에 질산아연 {Zn(NO3)2·6H2O} 2g과 질산동 {Cu(NO3)2·3H2O} 1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질산구리 {Cu(NO3)2·3H2O} 1g과 질산은(AgNO3) 0.3g 대신에 질산은(AgNO3) 0.5g 만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4)
항균력 시험을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균주 1로는 증가율이 46배인, (1.5±0.3)X105/ml 농도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과 균주 2로는 증가율이 42배인 (1.3±0.3)X105
blank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균주 1 초기 균주 1.5 X 105 1.5 X 105 1.5 X 105 1.5 X 105
18 시간후 6.9 X 106 <10 6.8 X 102 <10
균주 2 초기 균주 1.3 X 105 1.3 X 105 1.3 X 105 1.3 X 105
18시간 후 5.5 X 106 <10 4.7 X 102 <10
또한, 실시예 1을 이용한 항균도 시험 사진을 도 2와 도 3에 나타냈다.
본 본 발명의 항균금속 함유 광촉매 수분산 콜로이드 용액은 광촉매 활성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광조사가 부족한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콜로이드 상태가 장기간 안정하며 함유된 항균금속의 변질 또는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박테리아에 대한 강력한 항균성과 유기물질에 대하여 산화환원반응을 나타내고, 박막가공시 표면이 초친수성을 나타내는 특징 등으로 그 용도는 항균, 탈취, 방오, 유해가스 제거, 자정작용 등의 목적으로 그 용도는 광범위하며, 특히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한층 효과적인 환경 정화재료로 기대된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g, Cu 또는 Zn 중 1종 이상의 항균금속성분과 무기수산화물을 공침법에 의해 화합물로 제조하고 이를 수중에 분산하여 콜로이드화하여 항균금속 함유 무기수산화물 졸을 제조하는 단계;
    수산화티타늄(Ti(OH)2) 수분산액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과산화티타늄산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항균금속 함유 무기수산화물 졸을 혼합한 후 수열합성반응과정을 통하여 결정형(anatase)의 이산화티타늄(TiO2)과 항균금속성분 함유 이산화티타늄 결정체를 제조하는 단계;
    졸-겔법을 이용하여 상기 항균금속성분 함유 이산화티타늄을 다공성 무기산화물로 입자표면을 코팅처리하여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수산화물은 Ti, Al, Zr, Ce 또는 Zn 중 1종의 수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다공성 무기산화물은 이산화규소(SiO2) 또는 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의 제조방법.
  9. 무기수산화물로 안정화시킨 Ag, Cu 또는 Zn 중 1종 이상의 항균금속염을 이용하고, 표면이 다공성 무기산화물로 코팅하거나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분말상 또는 1 내지 100㎚ 입자 크기를 갖는 수분산 콜로이드용액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pH 7 내지 pH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KR10-2001-0068034A 2001-11-01 2001-11-01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034A KR100436240B1 (ko) 2001-11-01 2001-11-01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034A KR100436240B1 (ko) 2001-11-01 2001-11-01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050A KR20030037050A (ko) 2003-05-12
KR100436240B1 true KR100436240B1 (ko) 2004-06-16

Family

ID=2956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034A KR100436240B1 (ko) 2001-11-01 2001-11-01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2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532B1 (ko) 2004-10-15 2006-07-13 나노폴리(주) 항균, 살균 및 냄새제거 기능을 갖는 금속의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농도 플라스틱 마스터뱃치 칩의 제조 및 그 성형품 제조방법
KR100862754B1 (ko) * 2008-04-21 2008-10-10 문강인 광촉매필터 제조방법 및 그 광촉매필터 및 광촉매필터를이용한 자외선램프
KR20170005275A (ko) 2015-07-02 2017-01-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은(Ag) 도핑된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
KR200491232Y1 (ko) 2019-07-15 2020-03-06 (주)송학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KR20210133065A (ko) 2020-04-28 2021-1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가시광 활성 이산화티탄 광촉매
KR20220113066A (ko) 2021-02-05 2022-08-12 (주)그린시스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광촉매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3022266A1 (ko) * 2021-08-20 2023-02-23 주식회사 태림바이오텍 항균 기능을 구비한 코털 면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935B1 (ko) * 2002-05-03 2005-09-21 우리켐테크(주) 악취 제거용 탈취제
KR20050103602A (ko) * 2004-04-26 2005-11-01 (주) 엔피씨 실내용 광촉매 코팅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54299B1 (ko) * 2004-10-21 2006-12-05 유시정 방오성 기능성 세라믹 코팅 조성물
KR100742379B1 (ko) * 2005-04-13 2007-07-24 김영남 항균성 나노 금속 조성물
KR100693333B1 (ko) * 2005-08-22 2007-03-09 구창모 실리카로 캡슐화된 은나노 입자,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직물의 염색방법
KR101967702B1 (ko) * 2011-11-17 2019-04-11 사까이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표면 처리 산화아연 분체, 항균제 및 항균성 조성물
US8673331B2 (en) 2011-11-18 2014-03-18 Gp&E Composition with sterilizing activity against bacteria, fungus and viruses, application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CN111296416A (zh) * 2018-12-12 2020-06-19 韩国绿水滴(株) 除臭功能得到强化的抗细菌、抗真菌及抗病毒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718A (ja) * 1986-03-06 1987-09-12 Taki Chem Co Ltd 結晶質酸化チタンゾルの製造方法
JPH0352804A (ja) * 1989-07-19 1991-03-07 Tomita Seiyaku Kk 抗菌性酸化チタン及びその製造法
JPH08131834A (ja) * 1994-11-09 1996-05-28 Toto Ltd 光触媒用酸化チタンゾルおよび光触媒作用を有する多機能部材
JPH0971418A (ja) * 1995-08-31 1997-03-18 Saga Pref Gov チタニア膜形成法
KR970705927A (ko) * 1994-10-05 1997-11-03 시게후치 마사토시 항균성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Antibacterial soli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KR20000067090A (ko) * 1999-04-23 2000-11-15 신동우 광촉매용 미립 이산화티타늄 분말의 제조방법
JP2000317313A (ja) * 1999-05-14 2000-11-21 Sharp Corp 光触媒材および空気浄化膜
KR20020012392A (ko) * 2000-08-07 2002-02-16 이우용 이산화티탄 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718A (ja) * 1986-03-06 1987-09-12 Taki Chem Co Ltd 結晶質酸化チタンゾルの製造方法
JPH0352804A (ja) * 1989-07-19 1991-03-07 Tomita Seiyaku Kk 抗菌性酸化チタン及びその製造法
KR970705927A (ko) * 1994-10-05 1997-11-03 시게후치 마사토시 항균성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Antibacterial soli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JPH08131834A (ja) * 1994-11-09 1996-05-28 Toto Ltd 光触媒用酸化チタンゾルおよび光触媒作用を有する多機能部材
JPH0971418A (ja) * 1995-08-31 1997-03-18 Saga Pref Gov チタニア膜形成法
KR20000067090A (ko) * 1999-04-23 2000-11-15 신동우 광촉매용 미립 이산화티타늄 분말의 제조방법
US6306361B1 (en) * 1999-04-23 2001-10-23 Nano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catalytic anatase titanium dioxide powder
JP2000317313A (ja) * 1999-05-14 2000-11-21 Sharp Corp 光触媒材および空気浄化膜
KR20020012392A (ko) * 2000-08-07 2002-02-16 이우용 이산화티탄 분말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532B1 (ko) 2004-10-15 2006-07-13 나노폴리(주) 항균, 살균 및 냄새제거 기능을 갖는 금속의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농도 플라스틱 마스터뱃치 칩의 제조 및 그 성형품 제조방법
KR100862754B1 (ko) * 2008-04-21 2008-10-10 문강인 광촉매필터 제조방법 및 그 광촉매필터 및 광촉매필터를이용한 자외선램프
KR20170005275A (ko) 2015-07-02 2017-01-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은(Ag) 도핑된 이산화티탄 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
KR200491232Y1 (ko) 2019-07-15 2020-03-06 (주)송학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KR20210133065A (ko) 2020-04-28 2021-1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가시광 활성 이산화티탄 광촉매
KR20220113066A (ko) 2021-02-05 2022-08-12 (주)그린시스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광촉매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3022266A1 (ko) * 2021-08-20 2023-02-23 주식회사 태림바이오텍 항균 기능을 구비한 코털 면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050A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240B1 (ko)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3570B1 (ko) 항균성 소취제 및 그 제조방법
Zaleska Doped-TiO2: a review
JP4803180B2 (ja) 酸化チタン系光触媒と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CN1331400C (zh) 复合光触媒抗菌剂的制备方法
JP5157561B2 (ja) 可視光応答型光触媒とその製造方法
CN100335166C (zh) 一种溶胶-凝胶低温燃烧合成掺杂二氧化钛光催化剂的方法
WO2009116181A1 (ja) 可視光応答型光触媒とその製造方法
JP2012210632A (ja) 光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触媒コート剤、光触媒分散体、光触媒体
JP2022539320A (ja) 抗菌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5068001A (ja) 繊維状酸化チタン粒子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粒子の用途
JP2003137549A (ja) 管状酸化チタン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管状酸化チタン粒子
KR20130079306A (ko) 가시광 응답형 산화티탄계 미립자 분산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4438A (ko) 결정질 이산화티타늄 코어-비정질 이산화티타늄 쉘 형태의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 광촉매를 포함한 친수성 코팅제
JP5354852B2 (ja) 消臭抗菌性組成物
CN102380366A (zh) 铋、硅共掺杂的纳米二氧化钛光催化剂及其制备、应用
JP2010115635A (ja) 光触媒体分散液、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ubacka et al. Microemulsion: A versatile synthesis tool for photocatalysis
Perveen et al. Ti 0.85 Sn 0.15 O 2 nanocomposite: an efficient semiconductor photocatalyst for degradation of pesticides under solar light
KR102562529B1 (ko) 전이금속이 도핑된 이산화티탄 광촉매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4849778B2 (ja) 抗菌性消臭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60034752A1 (en) Visible-light-activated photocatalys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284242A (ja) 消臭抗菌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0246A (ja) 可視光応答型酸化チタン系微粒子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03602A (ko) 실내용 광촉매 코팅제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