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888B1 - 절연재 및 전기권선과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절연재 및 전기권선과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888B1
KR100428888B1 KR10-2001-7011027A KR20017011027A KR100428888B1 KR 100428888 B1 KR100428888 B1 KR 100428888B1 KR 20017011027 A KR20017011027 A KR 20017011027A KR 100428888 B1 KR100428888 B1 KR 10042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material
resin
fill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8281A (ko
Inventor
츠노다도모야
오노다미츠루
혼다다츠오
아마기시게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10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0Composite 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ic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0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40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for high voltage,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ona dischar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6Insula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3Heat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전기적특성이 우수한 절연피복을 가지는 전기권선의 제공 및 전기적특성이 우수한 전기권선의 절연피복를 얻을 수 있는 절연피복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모층(3), 보강재층(5), 고열전도 충전재층(7)을 가짐과 동시에 운모층(3) 및 고열전도 충전재층(7)의 각 층 중의 수지량을 재료 전체의 10 내지 25중량%로 한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를 사용하여 권선도체(10)의 바깥 둘레부에 고열전도 절연피복(11)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절연재 및 전기권선과 그 제조법{INSULATING MATERIAL ELECTRIC WIND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회전 전기에 사용되는 전기권선의 절연피복을 운모층, 보강재층 및 고열전도율의 충전재를 가지는 충전재층을 가지고, 그들 층이 열경화성수지를 함유하는 절연재를 도체다발(導體束)에 실시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본국 특개소63-11092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절연재를 권선 도체다발의 바깥 둘레부에 감고, 이것에 압력을 인가하면서 절연재 중의 수지를 가열경화하여 전기권선의 절연피복를 형성한다. 전기권선을 제조할 때에는 도체측을 상기 운모, 보강재 절연재로 싸서 이 절연재층에 미세한 입자형상 무기충전재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조성물을 함침하고, 그 후 가압 가열경화한다. 또한 보강재부착 운모박을 도체다발에 감기 전에 충전재가 들어 있는 열경화성 수지조성물을 운모박(箔)에 함침하거나 도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55-53802호 공보에는, 집성운모시트에 합성섬유 피브릿과 고열전도성의 무기분말을 혼입하고, 열경화성수지를 함침하는 절연재가 기재되어 있다.또 이 공보에는 비교예로서 집성운모박에 유리직물을 에폭시로 부착시킨 절연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기권선의 주절연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재 및 회전 전기권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열전도 절연테이프의 재료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권선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권선의 1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전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고정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절연재를 사용하여 절연피복를 형성한 전기권선을 저전압으로 운전되는 회전 전기에 사용한 경우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사업용 발전기나 고압전동기 등과 같이 고전압으로 운전되는 회전 전기에 사용한 경우는 전기적인 결함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는 절연재의 전기적인 결함이 생기는 원인에 대하여 구명하였다. 그 결과 전기권선의 도체다발에 절연피복을 감고, 이것을 가압, 형성할 때 운모층, 보강재층 및 충전재층 중에 존재하는 미경화의 열경화성 수지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기포의 일부가 함유하는 수지의 일부와 함께 배출되지 않고 절연재 중에 잔존하고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알았다. 이와 같이 되는 것은 프리플래그상태의 운모층 및 충전재층의 각 층 중의 수지량이 적절한 함유량으로 유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기권선의 절연피복를 가압성형경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함침수지의 흐름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수지의 흐름이 치우쳐 있기 때문이라고 알았다.
본 발명은 전기적특성이 우수한 전기권선의 절연피복를 얻을 수 있는 절연재 및 전기적특성이 우수한 절연피복을 가지는 전기권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비늘조각형상 운모 등의 박편형상 무기절연물층, 그 무기절연물층의 보강재층 및 그 보강재층과 박편형상 무기절연물층, 또는 그 보강재층에 접착한 충전재층을 가지고, 상기 무기절연물층, 보강재 및 충전재층을 결합하는 반경화상태의 열경화성수지를 가지고, 상기 무기절연물층의 수지량과, 상기충전재층의 수지량이 각각 절연재 전체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10 내지 25중량% 이고, 그 차가 10중량% 이하인 절연재를 제공한다. 상기 절연재에 있어서 박편형상무기절연물이란, 비늘조각형상 무기절연재 예를 들면 운모이고, 이것을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거의 일정한 방향에 배열한 운모층은 권선 또는 코일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하는 내전압층이다.
무기절연물층과 인접하여 적층된 보강재층은 예를 들면 유리직물 등의 섬유형상 절연재 또는 폴리이미드필름 등의 필름으로, 특히 절연재의 2차원방향의 기계적강도를 확보한다. 충전재층은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 5 W/m ·K 이상의 무기충전재 및/또는 단섬유를 포함하고, 특히 무기충전재 중 1 내지 80중량%, 특히 2 내지 50중량%를 볼형 충전재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적절한 양의 볼형 충전재가 포함되면 충전재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해지고, 또 절연테이프를 도체다발에감아 이것을 가압성형할 때에 수지조성물이 적절한 흐름성을 나타낸다. 그에 의하여 감은 절연테이프 내의 기포를 수지와 함께 절연층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입자형상 충전재 또는 박형상 충전재(알루미나 등)의 크기는 평균입자지름으로 0.1 내지 20 ㎛, 특히 0.2 내지 10 ㎛이 바람직하다. 입자지름이 너무 작으면 도체다발에 감긴 절연층을 가압성형할 때에 열경화성 수지의 점도가 높아져 수지의 흐름성이 나빠진다. 입자지름이 너무 크면 절연층을 가압성형할 때에 운모편을 손상할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볼형 충전재의 입자지름은 부정형 충전재의 입자형보다도 큰 것이 좋다. 부정형 충전재가 볼형 충전재의 간극에 들어가 충전재층의 열전도율을 높이기 때문이다.
볼형 충전재의 제조법의 일례로서 석영가루, 알루미나, 산화티탄, 2산화규소 등의 충전재 분말을 불꽃 속으로 불어 넣어 표면을 일부 용융하여 분말의 형상을 약간 둥그스름을 띠게 한 것이다. 그 형상은 둥근 공일 필요는 없다. 미처리의 분말과 비교하여 수지 중에서의 흐름성이 좋다. 랜덤형상의 충전재 분말과 볼형 충전재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열경화성수지의 흐름성이 적절히 유지된다.
무기절연물로서 바람직한 운모층은 운모의 작은 조각을 집합한 운모박을 가지는 층이다. 특히 비늘조각형상 운모의 작은 조각을 초지법(抄紙法) 등에 의해 시트(집성운모)로 하고, 이것에 열경화성수지를 함침한 것이다. 운모편은 테이프의 2차원방향과 대략 병행하게 적층하여 정렬되어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결합된다.
보강재층은 보강재, 예를 들면 유리직물이다. 이것을 운모층에 부착하기 위하여 열경화성 수지와니스를 함침하여 운모박에 부착한 후, 수지를 반경화시킨다.유리직물은 직포 또는 부직포가 사용되나, 직포가 적합하다. 유리직물의 두께는 임의이나, 0.04 내지 0.1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충전재층은 적어도 5 W/m ·K의 열전도율의 충전재, 예를 들면 알루미나, 질화보론, 산화마그네슘, 질화알루미늄, 불화마그네슘, 2산화규소, 불화알루미늄 등의 고열전도성 무기입자를 열경화성수지에 분산, 충전한 것이다. 충전재로서는 박형상 알루미나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입자는 특히 회전 전기의 권선에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여 외부로 방산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는 열전도층이다. 특히 열전도율이 30 W/m·K 이상의 무기충전재 예를 들면 알루미나, 질화보론 등이 바람직하다. 무기충전재는 충전재층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보강재층 직물의 그물코 내에도 존재할 수 있다. 무기충전재 중, 1 내지 80중량%가 볼형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볼형 충전재를 사용하면 비볼형 충전재의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개선되고, 또한 절연재층의 가압 성형경화시에 수지가 적절한 흐름성을 나타내어 절연재층에 포함되는 미세한 기포를 수지와 함께 성형틀 밖으로 배출한다.
절연재는 수지, 예를 들면 에폭시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알키드수지, 멜라민수지, 폴리이미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함유하고, 그 전 수지량은 절연재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50중량% 이다. 운모층의 수지량과 충전재층의 수지량은 각각 절연재 전체의 10 내지 25중량%가 되도록 조정한다.
여기서 운모층과 충전재층의 각 층 중의 수지량을 절연재 전체의 10중량%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이 절연재는 프리플래그의 형태로 사용한다.즉, 운모층, 보강재층 및 충전재층에 함침 또는 도포되어 있는 열경화성수지를 반경화시켜 B 스테이지(취급할 때에 점착하지 않는 상태)로 한 것이다. 전기권선의 절연피복를 형성할 때 도체다발의 주위에 절연재 테이프 또는 시트를 필요한 절연내력을 얻는 층수가 되도록 감고, 적층된 절연재를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운모층, 보강재층 및 충전재층의 각 층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기포를 여분의 수지와 함께 배출한다. 기포를 수지와 함께 내 몰고, 또한 절연성, 기계적강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지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재 중량의 10중량% 이상의 수지를 운모층과 충전재층의 각 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 운모층과 충전재층의 각 층 중의 수지량을 절연재 전체의 25중량% 이하로 한다. 25중량%를 넘으면 절연재를 권선도체에 실시할 때, 그 작업성이 저하하여 절연재가 주름이 져 양호한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충전재의 양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절연재의 열전도성도 저하한다. 특히 운모층과 충전재층의 각각의 수지량이 12 내지 18중량%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 수지량은 절연재 중량의 24 내지 36중량% 이다.
또한 보강재층 중의 수지량은 운모층 중의 수지량에 포함시켜 계산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절연재는 운모층 중의 수지량과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의 차를 10중량% 이하, 특히 5중량% 이하로 하였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양 층의 수지량이 거의 동일한 경우이다. 여기서 운모층 중의 수지량과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의 차를 10중량% 이하로 한다. 운모층 중의 수지량과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의 차가 10중량%를 초과하면 전기권선의 절연피복의 형성시 그 가압과정에 있어서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미소한 기포를 포함한 수지의 일부가 수지량이 많은 층으로부터 수지량이 적은 층으로 침입하여 잔류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특히 수지량의 차가 5중량% 이하일 때는 다른 층에의 수지의 여분의 유입이 거의 없어진다. 따라서 양 층의 수지량이 대략 동일한 경우가 최선이다.
또한 보강재 예를 들면 유리직물 중에 존재하는 수지량은 절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7중량% 이하로, 일반적으로 3 내지 5중량% 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권선은 내전압층, 보강재층, 열전도층을 가짐과 동시에 내전압층, 열전도층의 각 층 중의 수지량을 절연재 전체의 10 내지 25중량%로 한 절연재를 사용하여 절연피복을 형성한 것이다. 내전압층은 운모박을 가지는 운모층이다. 보강재층은 보강재, 예를 들면 유리직물, 폴리이미드필름을 가지는 층이다. 열전도층은 적어도 5 W/m ·K의 열전도율의 충전재, 예를 들면 알루미나를 가지는 충전재층이다. 각 층에는 열경화성수지, 예를 들면 에폭시를 함유하고 있다. 전 수지량은 절연재 전체의 20 내지 50중량%로 되어 있고, 운모층 및 충전재층의 각각이 함유하고 있는 수지량은 절연재 전체의 10 내지 25중량%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절연재를 테이프형상 또는 시트형상로 하여 소선(素線) 절연를 실시한 도체다발의 주위에 치밀하게 겹쳐 감아 소망의 두께의 절연층을 형성한다. 이것을 비밀폐형의 성형틀에 넣어 상기 테이프 또는 시트 중의 열경화성수지를 가압 가열경화한다. 이 때 수지의 일부가 기포와 함께 절연층으로부터 밀려나온다. 이 때문에 성형틀은 비밀폐형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인 테이프 또는 시트의 수지량은 25 내지 40중량% 로, 최종적으로 주절연층에 잔류하는 열경화성수지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주절연층 중량의 20 내지 30중량% 이다. 특히 28 내지 32중량%가 바람직하다.
권선 도체다발의 바깥 둘레부에 운모층 또는 충전재층 중의 어느 하나가 권선 도체측에 오도록 감는다. 그 다음에 권선 도체에 실시한 절연재의 바깥 둘레부에 이형재를 실시한다. 그 후 성형지그를 설치하고, 이 성형지그를 거쳐 외표면으로부터 외압(약 20 내지 50 kg/cm2)과 열(∼ 약 180℃)을 가한다. 그리고 절연재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기포를 절연재 중의 수지의 일부와 함께 배출하면서 절연재중의 수지를 경화하여 절연피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전기선륜을 회전 전기의 고정자 또는 회전자의 슬롯에 삽입하여 코일엔드부, 슬롯절연, 리테이닝링 절연을 실시하여 소망의 회전 전기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체다발에 형성한 절연층은 매우 우수한 전기적특성, 예를 들면 26.5 내지 29.0 kV/mm의 교류절연파괴전압을 얻을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전 전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에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전기의 고정자의 단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고정자프레임(100)에 의해 고정자(30)를 지지한다. 고정자의 슬롯(50)에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권선(9)을 삽입한다. 회전자(6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회전자 (60)는 고정자프레임(100)에 베어링(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자 슬롯(50)에 삽입된 권선(9)은 스프링(60, 90) 및 웨지(80)에 의해 슬롯 내에 고정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고열전도 프리플래그테이프)의 재료구조를 도 1(a)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는 집성운모박(2)을 가지는 운모층(3)(내전압층), 유리직물(4)을 가지는 보강재층(5), 알루미나 입자체(6)를 가지는 고열전도충전재층(7)(열전도층)의 순으로 적층한 적층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적층체는 도 1(b)와 같이 고열전도 충전재층(7), 운모층(3), 보강재층(5)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또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는 운모층(3), 보강재층(5), 고열전도 충전재층 (7)의 각 층에 수지(8)를 함유하고 있고, 함유하고 있는 수지(8)의 전량은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 전체의 31.4중량% 이다. 운모층(3)에 함유하고 있는 수지(8)의 양은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 전체의 12.9중량%, 고열전도 충전재층(7)에 함유하고 있는 수지(8)의 양은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 전체의 15.0중량%이다. 따라서 유리직물층 중의 수지량은 3.5중량%이다.
이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를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하였다. 먼저 수중 분산된 운모입자를 초지기에 의해 초조(抄造)하여 제작한 집성운모박(2)(무게 165 g/m2), 유리직물(4)(무게 35g/m2)을 준비하고, 이것들에 노볼락형 에폭시 100 중량부에 대하여 BF3모노에틸아민 3중량부를 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8)(함침량 85g/m2)를 함침하고, 접착하여 집성운모시트[운모층(3)과 보강재층(5)의 적층체]를얻었다.
그 후, 알루미나 입자체(6), 노볼락형 에폭시 100중량부에 대하여 BF3모노에틸아민 3중량부를 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8)를 알루미나 입자체(6)와 수지(8)의 중량비가 2:1 이 되도록 혼합하고, 이것에 메틸에틸케톤 10중량%를 가하여 집성운모 시트의 보강재층(5) 측면에 롤코터로 도공(塗工)량이 256g/m2이 되도록 도공하였다. 그 후 건조로 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휘발, 제거하여 고열전도 절연시트를 얻었다. 그 후, 고열전도 절연시트를 슬릿터에 의해 30mm 폭으로 슬릿하여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를 얻었다. .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권선(9)의 구조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전기권선(9)은 복수의 절연도체(10a)를 감아 형성한 권선도체(10), 권선도체(10)의 바깥 둘레부에 형성한 고열전도 절연피복(11)을 가지고 있다. 이 전기권선(9)은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절연도체(1Oa)를 복수회 감아 권선도체(10)를 형성하였다. 그 후 권선도체(10)의 바깥 둘레부에 도 1(a)에 나타낸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를 일부 겹쳐 감았다. 이 때 고열전도 절연 테이프(1)는 운모층(3), 고열전도 충전재층(7)의 어느 쪽이 권선도체(10)측으로 되어도 상관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운모층(3)측을 권선도체(10)측으로 하여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를 권선도체(10)의 바깥 둘레부에 감았다. 한편 도 1(b)에 나타내는 고열전도 절연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는 보강재층(5), 고·열전도 충전재층 (7)의 어느 쪽이 권선도체(10)측으로 되어도 상관없다. 그 후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의 바깥 둘레부에 이형(離型) 테이프(12)를 감았다. 이와 같이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의 바깥 둘레부에 이형 테이프(12)를 감는 것은 뒤에서 설명하는 성형지그와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그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가압수단(도시 생략)을 가지는 성형지그(13)를 설치하고, 이 성형지그(13)를 거쳐 외표면으로부터 외력을 주었다. 그리고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기포를 고열전도 절연 테이프(1) 중의 수지의 일부(14)와 함께 배출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고,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의 수지(8)를 경화하여 고열전도 절연피복(11)을 형성하여 전기권선(9)을 얻었다. 이와 같이 제작한 본 실시예의 전기권선(8)은 발전기, 전동기 등의 회전 전기의 철심슬롯에 수납된다.
(비교예)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전기권선과 비교예의 전기권선의 교류절연파괴전압 시험결과를 표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비교예의 전기권선에는 다음과 같이 제작한 고열전도 절연테이프로 형성한 고열전도 절연을 가지는 전기권선을 사용하였다. 그 고열전도 절연테이프의 제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중 분산된 운모입자를 초지기에 의해 초조하여 제작한 집성운모박(2)(무게 165g/m2), 유리직물(4)(무게 35 g/m2)을 준비하고, 이들에 노볼락형 에폭시 100 중량부에 대하여 BF3모노에틸아민 3중량부를 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함침량 40g/m2)를 함침하고, 접착하여 집성운모시트[운모층(3)과 보강재층(5)의 적층체]를 얻었다.
그 후, 알루미나입자, 노볼락형 에폭시 100중량부에 대하여 BF3모노에틸아민 3중량부를 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를 알루미나입자와 수지의 중량비가 3.5 : 1 이 되도록 혼합하고, 이것에 메틸에틸케톤 10중량%를 가하여 집성운모시트의 보강재층 측면에 롤코터로 도공량이 230g/m2가 되도록 도공하였다. 그 후, 건조로 내에서 메틸에틸케톤을 휘발, 제거하여 고열전도 절연시트를 얻었다. 그 후 고열전도 절연시트를 슬릿터로 30mm 폭으로 슬릿하여 고열전도 절연테이프(1)를 얻었다. 이와 같이 제작한 비교예의 고열전도 절연테이프에 있어서는, 그 중의 전 수지량은 고열전도 절연테이프 전체의 19.3중량% 이었다. 또 운모층 중의 수지량은 고열전도 절연테이프 전체의 7.1중량%, 고열전도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은 고열전도 절연테이프 전체의 10.4중량%이었다. 따라서 유리직물층의 수지량은 1.8중량% 이다.
그 후,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한 고열전도 절연테이프를 사용하여 전기권선을 제작하였다. 제작방법은 본 실시예와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교류절연파괴 전압시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전기권선, 비교예의 전기권선 각각의 바깥 둘레에 알루미늄박을 감아 전극으로 하고, 각각의 전기권선의 알루미늄전극과 권선도체 사이에 교류전압을 가하여 교류절연파괴전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절연파괴전압측정결과
실시예 비교예
측정치(kV/mm) 26.5 19.0
29.0 17.5
27.5 21.5
평균치(kV/mm) 27.7 19.3
표 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권선은 비교예의 전기권선보다도 교류절연파괴전압이 높았다. 이것은 운모층, 고열전도 충전재층의 각 층 중의 수지량이 재료 전체의 10 내지 25중량%의 범위 내에 있는 고열전도 절연테이프를 사용하여 전기권선의 고열전도 절연피복를 형성하였기 때문이고, 전기권선의 고열전도 절연피복의 형성시 그 가압과정에 있어서, 고열전도 절연테이프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기포를 고열전도 절연테이프 중의 수지의 일부와 함께 충분히 배출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기권선은 전기적특성이 우수한 치밀한 고열전도 절연피복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전압으로 운전되는 회전 전기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랜덤형상의 충전재(A)와 볼형의 충전재(B)를 병용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모가루를 수중으로 분산시켜 초지기로 초조한두께0.08 mm의 미소성(未燒成) 집성운모에 보강재로서 두께 0.03mm의 유리직물을 노볼락형 에폭시 10O 중량부에 BF3모노에틸아민 3중량부를 가한 수지조성물로 부착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랜덤형 충전재 분말 및 볼형 충전재를 표 2에 나타내는 배합비율로 상기 수지조성물에 메틸에틸케톤을 혼합하였다. 이 조성물을 롤코터로 상기 운모 시트의 보강재측에 도포하여 절연재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폭 320mm로 절단하여 운모 테이프를 얻었다. 미리 소선 절연처리를 실시한 40mm ×10mm ×길이 1000mm의 도체다발에 상기 운모테이프를 반 걸침으로 7회 감아 110℃에서 15분 가열후, 압력 5Mpa에서 170℃, 60분간 가열하여 절연재층을 형성하여 절연권선를 제작하였다. 비교를 위해 볼형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고 랜덤충전재만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기권선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충전재의 배합예
충전재조성 열전도율(W/m·K) 절연파괴전압(kV/mm)
No.1 A(AlF3; 97%)/B(SiO2; 3%) 0.55 28
No.2 A(SiO2; 96%)/B(SiO2; 4%) 0.58 29
No.3 A(SiO2; 93%)/B(Al2O3; 7%) 0.57 28
No.4 A(Al2O3; 90%)/B(Al2O3; 10%) 0.57 29
비교예 A(Al2O3; 100%) 0.57 18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형 충전재를 랜덤형상의 충전재에 혼합하면 경화한 절연층의 열전도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절연파괴전압이 높은 절연층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절연재에 의하면 운모층 중의 수지량과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의 차를 10중량% 이하로 하였기 때문에 전기권선의 절연피복의 형성시 그가압과정에 있어서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미소한 기포를 포함한 수지의 일부가 수지량이 많은 층으로부터 수지량이 적은 층으로 침입하여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적특성이 우수한 전기권선의 절연피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권선에 의하면 모든 회전 전기에 사용되어도 전기적특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는 고신뢰성의 전기권선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절연재에 의하면 절연재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기포를 절연재 중의 수지의 일부와 함께 충분히 배출할 수 있어 전기적특성이 우수한 전기권선의 절연피복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1)

  1. 삭제
  2. 박편형상의 무기절연재료인 박편운모를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결합한 내전압층,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보강재층 및 고열전도성 무기충전재를 열경화성수지에 분산한 열전도층이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적층 접착되어 테이프형상 또는 시트형상 절연재를 형성하고, 상기 내전압층의 수지량이 10 내지 25중량%, 상기 열전도층의 수지량이 10 내지 25중량% 이고, 상기 내전압층의 수지량과 상기 열전도층의 수지량의 차가 10중량% 이하인 절연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전압층의 수지량과, 상기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의 차가 5중량% 이하인 절연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중의 전 수지량이 그 절연재 전체의 20 내지 50중량%인 절연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층의 충전재는 5 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무기절연재료 인 절연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전압층과 상기 충전재층의 수지량이 거의 동일한 절연재.
  7.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결착된 비늘조각형상 운모층, 그 운모층에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결착된 섬유직물형상 또는 필름형상 보강재층 및 그 보강재에 접착되어 열경화성수지에 분산된 고열전도성 무기충전재를 함유하는 충전재층을 가지고,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반경화상태이고, 그 절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운모층의 수지량이 10 내지 25중량%, 상기 충전재층의 수지량이 10 내지 25중량% 이고, 상기 운모층의 수지량과 상기 충전재층의 수지량의 차가 10중량% 이하이고, 상기 충전재의 1 내지 80중량%이 볼형인 절연재.
  8. 제 2항에 있어서,
    무기절연재층, 보강재층 및 충전재층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절연재.
  9. 제 2항에 있어서,
    보강재층, 충전재층 및 무기절연재료층의 순으로 적층된 절연재.
  10. 비늘조각형상의 무기절연재료를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정렬, 결합한 내전압층, 보강재에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보강재층 및 고열전도성 무기충전재를 열경화성수지에 분산한 열전도층을 적층접착하여 테이프형상 절연재를 형성하고, 상기 무기충전재는 적어도 열전도층 중에 분산되고, 상기 내전압층 중의 수지량 및 열전도층중의 각각의 수지량이 그 절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5중량%인 절연재가 권선 도체다발에 감겨져 절연피복를 형성한 전기권선.
  11. 제 10항에 있어서,
    비늘조각형상의 무기절연재료가 박편 운모인 절연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절연재료층의 수지량과, 상기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의 차가 5중량% 이하인 절연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중의 전 수지량이 그 절연재 전체의 20 내지 50중량%인 절연재.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층의 충전재는 5 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무기절연재료인 절연재.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절연재료층과 상기 충전재층의 수지량이 거의 동일한 절연재.
  16. 비늘조각형상의 무기절연재료를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결합한 내전압층,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보강재층 및 고열전도성 무기충전재를 열경화성수지에 분산한 열전도층이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적층 접착하여 테이프형상 또는 시트형상 절연재를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내전압층 중의 무기절연재는 상기 보강재의 테이프 또는 시트의 면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내전압층 및 열전도층 중의 수지량이 절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10 내지 25중량%이고, 상기 내전압층의 수지량과 상기 충전재층의 수지량의 차가 10중량% 이하이고, 이 절연재를 도체다발의 주위에 치밀하게 감아 가열, 가압수단을 가지는 성형틀에 수납하여 상기 열경화성수지를 가열, 가압,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권선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비늘조각형상의 무기절연재료가 박편 운모인 절연재.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절연재료층의 수지량과, 상기 충전재층 중의 수지량의 차가 5중량%이하인 절연재의 제조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중의 전 수지량이 상기 절연재 전체의 20 내지 50중량%인 절연재의 제조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층의 충전재는 5 W/m·K 이상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무기절연재료인 절연재의 제조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절연재료층과 상기 충전재층의 수지량이 거의 동일한 절연재의 제조방법.
KR10-2001-7011027A 1999-08-27 1999-08-27 절연재 및 전기권선과 그 제조법 KR100428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4640 WO2001016965A1 (fr) 1999-08-27 1999-08-27 Materiau isolant, enroulement electriqu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281A KR20010108281A (ko) 2001-12-07
KR100428888B1 true KR100428888B1 (ko) 2004-04-29

Family

ID=1423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27A KR100428888B1 (ko) 1999-08-27 1999-08-27 절연재 및 전기권선과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20240B1 (ko)
JP (1) JP4103390B2 (ko)
KR (1) KR100428888B1 (ko)
CN (2) CN1215490C (ko)
DE (1) DE69941734D1 (ko)
WO (1) WO20010169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775B1 (ko) * 2004-06-15 2012-12-04 지멘스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수지들 내에 배열되는 고열전도성 물질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4557B2 (en) * 2002-07-04 2009-04-28 Kabushiki Kaisha Toshiba Highly heat conductive insulating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magnetic device
CN1324615C (zh) * 2002-07-04 2007-07-04 株式会社东芝 高导热性绝缘部件及其制造方法、电磁线圈
JP2004035782A (ja) * 2002-07-04 2004-02-05 Toshiba Corp 高熱伝導性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7033670B2 (en) 2003-07-11 2006-04-25 Siemens Power Generation, Inc. LCT-epoxy polymers with HTC-oligom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781063B2 (en) 2003-07-11 2010-08-24 Siemens Energy, Inc.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with grafted surface functional groups
JP4599063B2 (ja) * 2004-01-15 2010-12-15 株式会社東芝 コイル巻回用絶縁テープ
US7553781B2 (en) 2004-06-15 2009-06-30 Siemens Energy, Inc. Fabric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coatings
US20050277721A1 (en) 2004-06-15 2005-12-15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aligned within resins
US7776392B2 (en) 2005-04-15 2010-08-17 Siemens Energy, Inc. Composite insulation tape with loaded HTC materials
US8030818B2 (en) 2004-06-15 2011-10-04 Siemens Energy, Inc. Stator coil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US8216672B2 (en) 2004-06-15 2012-07-10 Siemens Energy, Inc. Structured resin system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fillers
US20050277349A1 (en) * 2004-06-15 2005-12-15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incorporated into resins
US20050274774A1 (en) 2004-06-15 2005-12-15 Smith James D Insulation paper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US7846853B2 (en) 2005-04-15 2010-12-07 Siemens Energy, Inc. Multi-layered platelet structure
US7651963B2 (en) 2005-04-15 2010-01-26 Siemens Energy, Inc. Patterning on surfac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US7955661B2 (en) 2005-06-14 2011-06-07 Siemens Energy, Inc. Treatment of micropores in mica materials
US7781057B2 (en) 2005-06-14 2010-08-24 Siemens Energy, Inc. Seeding resins for enhancing the crystallinity of polymeric substructures
US7655295B2 (en) 2005-06-14 2010-02-02 Siemens Energy, Inc. Mix of grafted and non-grafted particles in a resin
US7851059B2 (en) 2005-06-14 2010-12-14 Siemens Energy, Inc. Nano and meso shell-core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electrically insulating composites
US8357433B2 (en) * 2005-06-14 2013-01-22 Siemens Energy, Inc. Polymer brushes
JP5253832B2 (ja) * 2008-02-07 2013-07-31 株式会社東芝 絶縁シート、固定子コイルおよび回転電機
WO2011104932A1 (ja) * 2010-02-26 2011-09-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用誘電体付着材
DE102010019721A1 (de) * 2010-05-07 2011-11-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Isoliermaterial, Isolationspapier und Isolationsband für eine Hochspannungsrotationsmaschine
ITMI20110741A1 (it) * 2011-05-03 2012-11-04 Ansaldo Energia Spa Metodo di realizzazione di barre statoriche isolate di macchine elettriche, in particolare di generatori elettrici sincroni
JP2012244861A (ja) * 2011-05-24 2012-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絶縁コイル
EP2945169B1 (en) * 2013-01-10 2017-04-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sulation tap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stator coil
CN103944326B (zh) * 2014-04-18 2016-07-06 山东齐鲁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发电机定子线棒模具型单支vpi脱模工艺
US20170229207A1 (en) * 2014-09-26 2017-08-10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Lamination composite of boron nitride in paper for transformer insulation
WO2018216104A1 (ja) * 2017-05-23 2018-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
CN109791829A (zh) * 2018-05-22 2019-05-21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一体成型电感元件及其制造方法
DE102020211111A1 (de) * 2020-09-03 2022-03-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Pulverlack-Formulierung für ein Isolationssystem einer elektrischen Maschine,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solchen Isolations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Isolationssystems
KR102483056B1 (ko) * 2022-04-12 2023-01-03 주식회사 에코이앤씨 포장도로 융설 및 융빙 열선 매설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133A (ja) * 1995-08-01 1997-02-14 Japan Mica Ind Co Ltd マイカ基材シート状体及び絶縁コイ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971B2 (ja) * 1978-12-08 198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機巻線
JPS55147753U (ko) * 1979-04-12 1980-10-23
SE455246B (sv) * 1986-10-22 1988-06-27 Asea Ab Herva for anordnande i spar i en stator eller rotor i en elektrisk maskin och sett att tillverka en sadan herva
DE3824254A1 (de) * 1988-07-14 1990-01-18 Siemens Ag Isolierband zur herstellung einer mit einer heisshaertenden epoxid-saeureanhydrid-mischung impraegnierten isolierhuelse fuer elektrische leiter
DE4244298C2 (de) * 1992-12-28 2003-02-27 Alstom Isolierb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44647C (zh) * 1996-02-14 1999-08-11 陈云生 耐火合成云母带及其生产工艺
JPH11234938A (ja) * 1998-02-13 1999-08-27 Hitachi Ltd 高圧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58693B2 (ja) * 1998-02-27 2003-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絶縁材及び電機巻線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133A (ja) * 1995-08-01 1997-02-14 Japan Mica Ind Co Ltd マイカ基材シート状体及び絶縁コイ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775B1 (ko) * 2004-06-15 2012-12-04 지멘스 에너지, 인코포레이티드 수지들 내에 배열되는 고열전도성 물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4113A (zh) 2005-02-02
KR20010108281A (ko) 2001-12-07
CN1215490C (zh) 2005-08-17
CN1367931A (zh) 2002-09-04
EP1220240A1 (en) 2002-07-03
CN1317719C (zh) 2007-05-23
JP4103390B2 (ja) 2008-06-18
DE69941734D1 (de) 2010-01-07
EP1220240B1 (en) 2009-11-25
EP1220240A4 (en) 2007-05-02
WO2001016965A1 (fr) 200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888B1 (ko) 절연재 및 전기권선과 그 제조법
US6288341B1 (en) Insulating material windings using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746758B2 (en) Insulating material and electric machine win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922018B2 (ja) 回転電機のコイル絶縁物
JP3576119B2 (ja) 回転電機のコイル及びこのコイルの絶縁に用いられるマイカーテープ
EP0266602B1 (en) Coil for electrical machin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il
EP0939478B1 (en) Insulating material and winding for electrical machines
JP3843967B2 (ja) 絶縁コイルの製造方法
US6242825B1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with reduced thickness and volume of insulation
JP2004508800A (ja) 発電電動機械のための段状の電界の絶縁システム
JP3879054B2 (ja) マイカ基材シート状体及び絶縁コイル
EP1769510A1 (en) Mica tape having maximized mica content
JP2000058314A (ja) 高熱伝導コイル、絶縁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068758A1 (en) Inorganic Electrical Insulation Material
JP5159812B2 (ja) 回転電機
US20070089899A1 (en) Mica tape having maximized mica content
JP4085346B2 (ja) マイカ基材シート状体及び絶縁コイル
JP3422674B2 (ja) 絶縁コイ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
JP2000294061A (ja) 絶縁材及び電機巻線
JP4069560B2 (ja) 回転電機の巻線
JPH11234938A (ja) 高圧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74334A (ja) 回転電機の巻線
JPS61224844A (ja) 電気線輪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