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829B1 -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829B1
KR100428829B1 KR1020030024361A KR20030024361A KR100428829B1 KR 100428829 B1 KR100428829 B1 KR 100428829B1 KR 1020030024361 A KR1020030024361 A KR 1020030024361A KR 20030024361 A KR20030024361 A KR 20030024361A KR 100428829 B1 KR100428829 B1 KR 10042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coupling body
convex portions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까와신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고이께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고이께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프라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 등의 조명에 사용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산란 도광판과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는 광학유닛, 1차 광원 및 반사 시트를 구비한다. 도광판의 출사면은 광제어면을 제공한다. 이 광제어면은 입사면과 거의 직교 또는 작은 각도로 경사져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구비한다. 각 볼록부에는 1 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는 사면결합체에는,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해,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된다. 도광판의 배면을 광제어면으로 제공하여 사면결합체에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을 부여하여도 좋다.

Description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OPTICAL UNIT,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휘도의 균일성을 개량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광학유닛, 도광판 및 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종래부터,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어, 액정패널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한다. 이러한 배치는 장치의 전체 형상을 박형화하는데 적합하다.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는, 통상, 1차광원으로서 냉음극관 등의 원통형 광원이 채용되고, 도광판 (판상의 도광체) 의 측방에 배치된다. 1차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은 도광판의 측단면 (입사면) 을 통하여 도광판내로 도입된다. 도입된 조명광은 도광판내를 전파하고, 그 과정에서 도광판의 메이저면에서 액정패널을 향하여 광출사가 일어난다.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 채용되는 도광판으로서는, 거의 균일한 판두께를 갖는 유형의 것과, 1차광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판두께가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유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후자는 전자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조명광을 출사한다.
도 11 은 후자 유형의 도광판을 이용한 종래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3 에는, 도 11 중의 A-A 선을 자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 을 참조하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1) 는 도광판 (2), 1차광원 (3), 반사시트 (4) 및 광제어부재로서의 프리즘시트 (5) 를 구비한다. 반사시트 (4), 도광판 (2) 및 프리즘시트 (5) 는 적층배치된다. 1차광원 (3) 은 도광판 (2) 의 측방에 배치된다.
도광판 (2) 은 쐐기형의 단면을 갖는 산란도광체로 이루어지므로 산란도광판이라 불린다. 산란도광체는, 예를 들면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와, 그 중에 똑같이 분산된 투광성의 다수의 미립자로 이루어진다. 이들 미립자의 굴절율은 매트릭스와 다르다.
1 차광원 (3) 은 냉음극관 (형광램프; 7) 및 그 배면에 배치된 단면이 거의 반원형 형상의 리플렉터 (8) 를 구비한다. 리플렉터 (8) 의 개구를 통하여 산란도광판 (2) 의 하나의 측단면인 입사면 (2A) 을 향하여 조명광이 공급된다.반사시트 (4) 에는 금속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정반사 부재, 또는 백색 PET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난반사 부재가 채용된다.
조명광은 입사면 (2A) 을 통하여 도광판 (2) 내로 도입되어, 2 개의 메이저면 (배면 (2B) 과 출사면 (2C)) 과의 사이를 반복반사되면서 말단으로 향하여 전파한다. 그 동안, 조명광은 도광판 (2) 내부의 미립자에 의한 산란작용을 받는다. 난반사 부재로 이루어지는 반사시트 (4) 가 채용된 경우에는, 난반사작용도 받는다.
조명광은 경사진 배면 (2B) 에서의 반사를 중복할 때마다 출사면 (2C) 에 대한 입사각이 서서히 감소된다, 입사각의 감소는 출사면에 대하여 임계각이하가 되는 성분을 증대시키고,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를 촉진한다. 이로써, 1차광원 (3) 으로부터 먼 영역에서의 출사광의 부족이 방지된다.
출사면 (2C) 에서 출사되는 조명광은, 광산란 도광판 (2) 의 내부의 미립자에 의한 산란, 또는 추가로 반사시트 (4) 에 의한 난반사를 겪기 때문에, 산란광의 성질을 갖고 있다. 그러나, 출사면 (2C) 으로부터의 조명광의 주된 전파방향은 입사면 (2A) 에 평행인 면내에서, 정면방향에 관하여 말단방향 (입사면 (2A) 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으로 경사져 있다. 즉, 산란도광판 (2) 의 출사광은 지향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성질은 지향출사성이라 불린다.
출사면 (2C) 으로부터의 조명광의 전파방향은 입사면 (2A) 에 수직인 면내에서, 정면방향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양측으로 퍼져 있다. 즉, 입사면 (2A)에서 보았을 때, 좌우 경사방향으로 출사되는 성분이 조명광에는 포함되어 있다.
출사면 (2C) 을 따라 배치되는 프리즘시트 (5) 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성 시트로 이루어진다. 프리즘시트 (5) 는 다수의 평행프리즘열이 형성된 프리즘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 프리즘시트 (5) 는 프리즘면이 도광판 (2) 의 방향을 향하여, 프리즘열이 입사면 (2A) 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각 프리즘열은, 예를 들면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미소한 돌기열로 구성된다. 이들 돌기의 사면은 경사져 출사되어진 조명광을 입사면 (2A) 에 수직인 면내에서 정면방향으로 보정한다. 양면에 각 프림즘면을 형성한, 소위 양면 프리즘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외측의 프리즘면의 프리즘열은, 내측의 프리즘면의 프리즘열과 거의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외측의 프리즘면은 입사면 (2A) 에 평행인 면내에서 조명광을 정면방향으로 보정한다.
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 에 있어서, 프리즘시트 (5) 와 산란도광판 (2) 을 일체화함으로써,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로 프리즘시트 (5) 와 광산란도광판 (2) 을 일체화하면, 도 11 중에 화살표 (B)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사면 근방으로부터 양측면을 따라, 휘도레벨의 저하가 관찰된다. 이는 조명광의 품위를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조명광의 이용효율이 높으면서도, 고품위의 조명광을 출사할 수 있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위한 광학유닛 및 도광판을 제공하고, 또한 이들을 사용하여 고품위의 표시를 행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유닛은,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 개의 메이저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일방의 메이저면이 제공하는 출사면을 따라 배치된 광제어부재를 구비한다. 2 개의 메이저면 중의 적어도 일방은 광공급을 받는 단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한다. 이들 볼록부의 각각은 1 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한다. 사면결합체에는,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해,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된다.
사면결합체에 부여되는 매끄러움의 변화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입사면의 근방에서 좌우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으로 매끄러움이 부여된다.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으로 매끄러움이 부여된다. 이들 양태는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된다.
광제어부재는,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기 위해, 도광판의 출사면을 따라 배치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산란도광판의 출사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참고를 위해, 종래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의 휘도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출사면의 전체에 프리즘면 (광확산성 없음) 을 형성한 하나의 경우에서의 휘도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의 휘도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 은 참고를 위해, 또 하나의 종래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의 휘도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출사면의 전체에 프리즘면 (광확산성없음) 을 형성한 또 하나의 경우에서의 휘도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도 6 에 나타낸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의 휘도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10 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채용된 산란도광판의 출사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 은 도광판의 배면에 프리즘면을 설치한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 는 종래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 은 도 12 중의 A-A 선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1) 제 1 실시형태
도 2 를 참조하면,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는, 산란도광판 (12), 1 차광원 (3), 반사시트 (11) 및 광제어부재로서의 프리즘시트 (13) 를 구비한다. 산란도광판 (12) 과 프리즘시트 (13) 는, 광학유닛의 기본구성요소이다. 반사시트 (11), 산란도광판 (12), 프리즘시트 (13) 는 적층배치되고, 프레임부재 (도시생략) 에 의해 고정된다.
반사시트 (11) 에는, 조명광에 대하여 높은 반사율을 나타내도록 은을 증착한 정반사 부재가 채용된다. 반사시트 (11) 는 산란도광판 (12) 의 배면 (12B) 에서 흘러나오는 조명광을 효율적으로 산란도광판 (12) 의 내부로 되반사시킴으로써, 조명광의 손실을 방지한다.
산란도광판 (12) 은 산란도광체로 이루어지는 도광판이다. 산란도광체는, 예를 들면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와, 그 중에 똑같이 분산된 투광성의 다수 미립자로 이루어진다. 이들 미립자의 굴절율은 매트릭스와 다르다.
도광판 (12) 의 출사면 (12C) 은 화살표 (C) 로 부분적으로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광제어면을 제공한다. 이 광제어면은 입사면 (12A) 과 직교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구비한다. 각 볼록부는 1 쌍의 사면 (12E, 12F) 을 접속한 형상을 갖는다. 1 쌍의 사면 (12E, 12F) 은 도광판 (12) 의 일반면에 세운 법선에 대하여 같은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정점각은, 예를 들면 α1= 약 60 도이다. 일반적으로는, 정점각 (α1) 은 50 도 ∼ 130 도의 범위인 것이 실제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도 ∼ 110 도의 범위이다.
미소한 볼록부의 반복피치 (W1) 는 100 ㎛ 이하, 특히 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에서 후방 조사되는 액정표시패널의 화소주기의 1/2 이하 (100 ㎛ 이하) 또는 1/4 이하 (50 ㎛ 이하) 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작은 피치 (W1) 는 모아레 (moire) 무늬나 미세한 주기적인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한다.
프리즘시트 (13) 는 화살표 (D) 로 부분적으로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 (12) 에 대향하는 광제어면으로서 프리즘면을 구비한다. 이 프리즘면은, 예를 들면 투명 PET 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상에서, 아크릴계의 자외선 경화수지 등을 소정의 형상으로 경화시켜 형성된다.
프리즘면의 각 미소 볼록부는 입사면 (12A) 과 거의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프리즘면의 각 미소한 볼록부를 구성하는 사면 (13A, 13B) 은 산란도광판 (12) 의 일반면에 세운 법선에 대하여 β1 및 β2 를 이룬다. β1 은 β2를 밑도는 작은각이다. 사면 (13A) 은 입사면 (12A) 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사면이고, 사면 (13B) 은 입사면 (12A) 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사면이다.
경사각 (β1 및 β2) 은 출사면 (12C) 으로부터 경사져 출사된 주된 조명광이, (i) 사면 (13A) 에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하여 사면 (13B) 에 손실없이 안내되고, (ii) 다시, 사면 (13B) 에서 전반사되어, 거의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출사면 (12C) 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은 연직방향으로부터 쐐기형 선단측으로 70 도 정도 경사진 방향으로 주된 출사방향을 갖는다. 각도의 확장범위는 연직방향으로부터 약 20 도 ∼ 85 도이다.
이들을 고려하여, 각도 (β1, β2) 및 프리즘시트 (13) 의 굴절율은 프리즘시트 (13) 로부터 거의 정면방향으로의 충분한 출사가 유지되어지도록 설계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값의 조합으로는 β1=5.5 도 및 β2=35 도이다.
프리즘시트 (13) 상의 미소한 볼록부의 반복피치 (W2) 는 W1 과 동일하게,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값은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에서 후방 조사되는 액정표시패널의 화소주기의 1/2 이하 (100 ㎛ 이하) 또는 1/4 이하 (50 ㎛ 이하) 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작은 피치 (W2) 는 모아레무늬나 미세한 주기적인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 산란도광판 (12) 에 대한 프리즘시트의 부착도 유효하게 회피되어진다.
형광램프 (7) 로부터 사출된 조명광은 직접적으로, 또는 리플렉터 (8) 로 반사한 후, 입사면 (12A) 으로부터 도광판 (12) 의 내부로 도입된다. 조명광은 투광성의 미립자에 의해 산란을 받으면서, 배면 (12B) 과 출사면 (12C) 과의 사이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도광판 (12) 의 내부를 전파한다.
배면 (12B) 에서 반사할 때마다 출사면 (12) 에 대한 입사각이 감소된다. 출사면 (12C) 에 대하여 임계각 이하의 성분은 출사면 (12C) 에서 출사된다. 배면 (12B) 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조명광은 반사시트 (11) 에 의해 효율적으로 도광판 (12) 의 내부에 복귀되어, 손실이 방지된다.
이상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 출사면 (12C) 이 제공하는 제어면에 부여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도면에 더하여, 이 특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볼록부는 1 쌍의 사면 (12E,12F) 을 접속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출사면 (12C) 상의 위치에 따라 다른 점이다.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의 차이는 출사면 (12C) 으로부터의 출사강도 (휘도) 가 균일화되도록 주어진다.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의 차이는 산란도강판 (12) 의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의 내면형상의 설계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사면 결합체의 매끄러움의 차이는 다음의 경향으로 주어진다.
경향 1 : 입사면 (12A) 의 근방에서는, 좌우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가하고, 사면 (12E, 12F) 을 접속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증대한다.
경향 2 : 쐐기형 선단으로부터 입사면 (12A) 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대하고, 사면 (12E, 12F) 을 접속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증대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사면 (12E, 12F) 의 작용은 입사면 (12A) 과 평행인 면내에서, 좌우로 퍼지도록 경사져 출사되는 조명광을 정면방향으로 보정하는데 있다.
도 3 에, 참고를 위해, 도 11 에 나타낸 종래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의 휘도분포 (출사강도분포 : 이하, 동일) 의 계측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휘도레벨은 중앙부에서 높고, 피크휘도는 3578cd/㎡ 이었다. 이에 대해, 도 4 는 본 실시형태 (도 2 ) 에 있어서 사면결합체의매끄러움의 차이를 제거하고 모든 사면 대 사면 (12E, 12F) 을 직접 접속한 구조에 대하여 계측된 출사광의 강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휘도레벨은 중앙부에서 높고, 피크 휘도는 4980 cd/㎡ 에 이르고 있다. 즉, 도 3에서, 밝은 면광원장치가 얻어지고 있다. 그러나, 도 4 의 경우에서는, 휘도의 고저차가 크고, 가장 어두운 바닥 휘도는 2654 cd/㎡ 이었다. 저휘도 영역은 입사면의 근방측부 (코너부)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출사면 (12C) 에 형성된 프리즘면에 의해, 산란도광판 (12) 의 내부를 통과하는 조명광이, 양측면측으로 전파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즉, 출사면에 프리즘면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하여, 입사면 (12A) 에 직교하여 연장하는 열 형태의 볼록부가 조명광을 쐐기형 선단을 향하여 강하게 안내하고, 그 결과, 좌우측부로 나누어지는 광량이 감소되어, 중앙부와의 사이에서 휘도레벨에 큰 차이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면 (12E, 12F) 을 곡면으로 접속한다. 이 곡면의 크기로 결정되는 볼록부의 매끄러움에 따라서 조명광을 좌우양측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저휘도영역이 입사면의 근방의 코너부에서 나타나는 경향을 고려하여, 입사면의 근방에서는, 양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사면 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대하도록 볼록부를 형성하면 휘도가 잘 균일화된다. 또, 쐐기형 선단으로부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대되도록 볼록부를 형성하면 쐐기형 선단부근에서의 휘도감소가 방지된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도 1 및 도 2) 에 대한 휘도분포의 계측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에는, 상기 작용이 반영되고 있다. 도 5 를 도 4 와 비교하면, 휘도의 균일화가 달성되고, 고품위의 조명광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휘도레벨의 최대치 및 최소치는 각각 4677 cd/㎡ 및 3133 cd/㎡ 이었다.
이렇게 하여 출사면 (12C) 으로부터 균일하게 경사져 출사된 조명광은 연속된 프리즘시트 (13) 를 투과하여, 입사면 (12A) 과 수직인 면내에서 정면방향으로 지향되고, 예를 들면 액정패널 (도시생략) 을 조명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산란도광판의 출사면이 제공하는 광제어면 (프리즘면) 에 대해, 볼록부를 구성하는 사면쌍의 접속의 매끄러움이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상기 경향 (1) 과 경향 (2) 로 특징지어짐으로써, 조명광의 균일성이 향상되어진다.
(2) 제 2 실시형태
도 6 은 도 2 와 동일한 도시법으로,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와 공통되는 사항의 설명은 간략화한다.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20) 는 도광판 (22), 1 차광원 (3), 반사시트 (11), 광확산시트 (24) 및 프리즘시트 (23)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판 (22) 과 프리즘시트 (23) 가 광학유닛의 기본구성요소이다. 반사시트 (11), 도광판 (22), 광확산시트 (24) 및 프리즘시트 (23) 는 순차적으로 적층배치된다. 도광판 (22) 은, 예를 들면 아크릴 (PMMA 수지) 을 사출하여 얻어지는 투명부재로 이루어진다. 도광판 (22) 의 단면형상은 쐐기형으로서, 2 개의 메이저면 (출사면 (22C) 과 배면 (22B)) 을 구비한다. 배면 (22B) 에는 광확산성의 잉크가 부착되어, 광확산면이 형성된다.
도광판 (22) 내를 전파하는 조명광은 배면 (22B) 에서 산란되면서, 배면 (22B) 과 출사면 (22C) 과의 사이를 반복반사한다. 이들의 반사시에, 임계각 이하의 성분은 배면 (22B) 및 출사면 (22C) 으로부터 출사된다.
프리즘시트 (23) 는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출사면 (22C) 을 등지는 면 (외측면) 이 광제어면으로서 프리즘면을 제공한다. 이 프리즘면은 입사면 (22A) 과 거의 평행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갖는다. 프리즘시트 (23) 상의 볼록부는 도광판 (22) 상의 볼록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프리즘시트 (23) 상의 각 볼록부는 1 쌍의 사면 (23A 및 23B) 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사면 (23A, 23B) 이 직접 접속됨으로써, 각 볼록부가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되어 있다.
출사면 (22C) 으로부터 쐐기형 선단방향으로 경사져 출사된 조명광은 프리즘시트 (23) 의 평활면 (출사면 (22C) 을 향하는 내측면)) 으로부터 내부로 안내되고, 사면 (23A) 및 (23B) 의 굴절작용을 받아 출사면 (22C) 의 정면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프리즘시트 (23) 는 입사면 (22A) 과 직교하는 면내에서 출사광의 지향성을 출사면 (22C) 의 정면방향으로 보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사면 (23A, 23B) 이 도광판의 일반면에 세운 법선에 대하여 같은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정점각은, 예를 들면 α2 = 약 90 도이다. 일반적으로는, 정점각 (α2) 은 30 도 ∼ 130 도의 범위인 것이 실제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도 ∼ 110 도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도 ∼ 100 도의 범위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출사면 (22C) 상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점이다.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의 차이는 출사면 (22C) 으로부터의 출사강도 (휘도) 가 균일화되도록 부여된다.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의 차이는 도광판 (22) 의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의 내면형상의 설계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사면 결합체의 매끄러움의 차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다음의 경향으로 주어진다.
경향 1 : 입사면 (22A) 의 근방에서는, 좌우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가하고, 사면 (22E, 22F) 을 접속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증대한다.
경향 2 : 쐐기형 선단으로부터 입사면 (22A) 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대하고, 사면 (22E, 22F) 을 접속하는 곡면의 곡률반경이 증대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사면 (22E, 22F) 의 작용은 입사면 (12A) 과 평행인 면내에서 좌우로 퍼지도록 경사져 출사되는 조명광을 정면방향으로 보정하는데 있다.
도 7 에는, 참고를 위해, 평탄한 출사면 (프리즘면 없음) 을 갖는 도광판 상에, 광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를 적층한 종래 구조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서의 휘도분포의 계측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프리즘시트는 프리즘면이 상향이고, 볼록부의 반복방향이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휘도레벨은 전체적으로 상당히 낮고, 휘도의 최대치 및 최소치는 각각 2702 cd/㎡ 및 2393 cd/㎡ 이었다.
다음으로, 도 8 은 본 실시형태 (도 6) 에 있어서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의 차이를 제거하고, 모든 사면결합면 (22E, 22F) 을 직접 접속한 구조에 대하여 계측된 출사광의 강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대휘도는 상승하고, 피크휘도는 3310 cd/㎡ 이었다. 그러나, 최소휘도는 1690 cd/㎡ 으로 낮다. 즉, 휘도의 고저차가 크고, 휘도가 측부를 향하여 급락되어 있으며, 특히 입사면에 가까울수록 그 경향이 강하다.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은 도 3 및 도 4 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출사면 (22C) 에 형성된 프리즘면에 의해, 도광판 (22) 의 내부를 통과중인 조명광이 양측면측으로 전파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즉, 출사면에 프리즘면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하여, 입사면 (22A) 에 직교하여 연장하는 열상의 볼록부가 조명광을 쐐기형선단으로 향하여 강하게 안내하고, 그 결과, 좌우측부로 나누어지는 광량이 감소되어, 중앙부와의 사이에서 휘도레벨에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면 (22E, 22F) 을 곡면으로 접속한다. 이 곡면의 크기로 결정되는 볼록부의 매끄러움에 따라서, 조명광을 좌우로 양분할 수 있다. 저휘도영역이 입사면의 근방의 코너부에 나타나는 경향을 고려하여, 입사면의 근방에서는, 양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면 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대하도록 볼록부를 형성하면 휘도가 잘 균일화된다.
또, 쐐기형 선단으로부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이 증대되도록 볼록부를 형성하면 쐐기형 선단부근에서의 휘도저하가 방지된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20) (도 6) 에 대하여, 휘도분포의 계측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에는 상기 작용이 반영되고 있다. 도 9 를 도 8 과 비교하면, 휘도의 균일화가 달성되고, 고품위의 조명광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도 9 에서, 휘도레벨의 최대치 및 최소치는 각각 3182 cd/㎡ 및 1847 cd/㎡ 이었다.
이렇게 출사면 (22C) 으로부터 균일하게 경사져 출사된 조명광은 광확산시트 (24) 에서 완만하게 확산된 후, 프리즘시트 (23) 를 투과한다. 입사면 (22A) 과 수직인 면내에서 정면방향으로 지향된 조명광은, 예를 들면 액정패널 (도시생략) 을 조명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광판의 출사면이 제공하는 광제어면 (프리즘면) 에 대하여, 볼록부를 구성하는 사면쌍의 접속의 매끄러움이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상기 경향 (1) 과 경향(2) 로 특징지어짐으로써, 조명광의 균일성이 향상되고 있다.
(3) 그 외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a)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의 평탄한 1 쌍의 사면을 연결하는 부분을 곡면으로 하고, 그 곡률에 변화를 부여하여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탄한 1 쌍의 사면 자신의 경사를 변화시켜도 돤다. 또, 사면 전체를 곡면형상으로 하고, 그 곡면형상에 변화를 주어도 된다.
(b)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입사면의 근방에서는 측면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매끄러움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매끄러움을 증대시켰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휘도 균일화를 위한 여러 가지의 매끄러움의 변화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의 길이 (입사면과 선단 사이의 거리) 가 짧은 경우에는, 간단히 측면측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매끄러움이 증대하도록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휘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광판의 폭 (입사면을 따른 길이) 이 짧은 경우나, 광원의 길이에 여유가 있는 (입사면을 따른 길이보다 약간 큰) 경우에는, 단순히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매끄러움을 증대시켜, 휘도 균일화를 도모하여도 된다.
도 10 에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었다. 동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볼록부의 사면결합체를 적절히 형성한다. 또한, 도광판의 선단측의 구석부에서는, 볼록부의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을 한층 더 높여, 휘도균일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c) 볼록부의 사면결합체의 매끄러움에 변화를 부여한 도광판 내지 산란도광판을 얻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금형 가공에 의하지 않고, 성형가공에서의 성형조건의 설정에 의해 형상의 전사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출사면에서의 위치에 따라 볼록부의 매끄러움에 변화를 부여할 수도 있다.
(d)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제어면으로서의 프리즘면을 형성하는 메이저면은 출사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광제어면으로서의 프리즘면을 도광판의 배면에 형성하여도 된다. 도 11 은 도광판의 배면에 프리즘면을 설치한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를 도 2 와 거의 동일한 도시법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의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10) 와 공통되는 사항의 설명은 간략화한다.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30) 은 산란도광판 (32), 1 차광원 (3), 반사시트 (11) 및 프리즘시트 (33) 를 구비한다. 산란도광판 (32) 을 대신하여, 투명부재로 이루어지는 도광판이 채용되어도 된다. 산란도광판 (32) 의 단면형상은 쐐기형으로, 2개의 메이저면 (출사면 (32C) 과 배면 (32B)) 을 구비한다. 배면 (32B) 은 화살표 (C) 로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제어면을 제공한다.
이 광제어면은 입사면 (32A) 과 직교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갖는다.
또한, 프리즘시트 (33) 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프리즘시트 (13) 와 동일한 구조와 배향을 갖는다. 즉, 화살표 (D) 로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제어면은 산란도광판 (32) 의 출사면 (32C) 을 향하고, 배면 (32B) 상의 볼록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볼록부를 구비한다.
산란도광판 (32) 의 배면의 각 볼록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사면 (32E, 32F) 의 경사 및 반복피치 (W1)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사고에 근거하여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프리즘시트 (33) 의 각 볼록부를 구성하는 1 쌍의 사면 (33A, 33B) 의 경사 및 반복피치 (W2) 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사고에 근거하여 설정되어도 좋다.
도광판 (산란도광판 또는 투명도광판) 의 배면에 프리즘면을 형성한 경우의 볼록부의 매끄러움을 변화시키는 방법의 예는 도 1 및 도 10을 "도광판의 이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로 가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부호 (12E, 12F) 가 부호 (32E, 32F) 로 변경됨에 주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광판 (산란도광판 또는 투명도광판) 의 배면에 프리즘면을 형성한 구조는 도광판의 출사면에 프리즘면을 형성한 구조와 거의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프리즘시트의 프리즘면을 도광판의 출사면과 마주보도록 배치시켜도, 도광판의 배면의 프리즘면과 마주보게는 되지 않으므로, 장치의 조립 등에서 발생하기 쉬운 프리즘면 끼리의 접촉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 를 조합한 사고방식에 따라, 출사면과 배면의 양측에 프리즘면 (광제어면) 을 형성하여도 된다. 그 경우, 일측 또는 양측의 프리즘면의 볼록부의 매끄러움에 변화를 부여하여도 된다.
(e) 프리즘시트의 배향과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프리즘시트 (13, 23) 는 역방향 (뒤집음) 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f)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비대칭 프리즘시트를 이용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대칭 프리즘시트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조금도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의 비대칭 프리즘시트를 대칭 프리즘시트로 치환하여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대칭 프리즘시트를 비대칭 프리즘시트로 치환하여도 된다.
(g) 광확산시트의 채용/비채용, 또는 배치위치 (프리즘시트의 내측/외측) 의 선택은 설계상의 자유로운 선택이 허용된다.
(h) 도광판의 배면을 따른 반사부재에는, 은을 증착한 시트재 외에, 임의재료의 정반사부재, 또는, 백색 PET 등의 난반사 부재를 채용하여도 된다.
(i) 상기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의 인쇄에 의해 광확산면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매트면 처리에 의해 도광판의 출사면 또는 배면을 똑같은 조면 (粗面) 으로 형성하여 광확산면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샌드페이퍼에 의한 플라즈마처리 및 화학에칭처리에 의해 이들의 면에 광확산면을 형성하여도 된다.
(j)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투광성의 미립자를 혼입한 산란도광판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공지된 산란도광판을 이용하여도 된다.
(k) 도광판의 입사면은, 2 개 이상의 단면에 설정하여도 된다. 그에 따라서, 복수의 1 차광원이 설치되어도 된다.
(l) 1 차 광원은 형광램프와 같은 원통형 광원 이외의 광원소자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등의 점 광원을 복수 배치하여, 1 차 광원을 형성하여도 된다.
(m) 본 발명의 면광원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후방 조사 이외의 용도에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조명기구 및 디스플레이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부재의 조사면 또는 조사면에 대향하는 이면에 볼록부를 반복형성하여, 조사면의 이면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매끄럽게 형성함으로써, 조명광의 광량분포를 조정할 수 있고, 이로써,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다.

Claims (4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메이저면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26.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메이저면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해, 입사면의 근방에서 좌우 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27.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메이저면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28.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메이저면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입사면의 근방에서 좌우 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과, 상기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29.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0.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해, 입사면의 근방에서 좌우 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1.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2.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입사면의 근방에서 좌우 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과, 상기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3.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4.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입사면의 근방에서 좌우 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5.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6.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광학유닛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입사면의 근방에서 좌우 측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과, 상기 도광판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입사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광제어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유닛.
  37.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메이저면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38.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39.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기 위한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40.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의해 액정표시패널을 조명하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는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1차 광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2개의 메이저면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2.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의해 액정표시패널을 조명하는 액정표시장치로서,
    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는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1차 광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출사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4.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와, 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로서,
    상기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는, 출사면과 배면을 제공하는 2개의 메이저면 및 광공급을 받는 입사면을 갖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입사면으로부터 조명광을 공급하는 1차 광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면은, 상기 입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볼록부가 반복배열된 광제어면을 제공하고,
    상기 볼록부 각각은, 1쌍의 사면을 접속한 사면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면결합체에는, 상기 출사면으로부터의 출사강도를 균일화하기 위하여, 상기 출사면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매끄러움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지향성을 상기 입사면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보정하는 광제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24361A 1997-05-14 2003-04-17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428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933297 1997-05-14
JPJP-P-1997-00139332 1997-05-14
KR10-1998-0017218A KR100399085B1 (ko) 1997-05-14 1998-05-13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218A Division KR100399085B1 (ko) 1997-05-14 1998-05-13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829B1 true KR100428829B1 (ko) 2004-04-29

Family

ID=152428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218A KR100399085B1 (ko) 1997-05-14 1998-05-13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KR1020030024361A KR100428829B1 (ko) 1997-05-14 2003-04-17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218A KR100399085B1 (ko) 1997-05-14 1998-05-13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80043B1 (ko)
KR (2) KR100399085B1 (ko)
TW (1) TW46935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315A (ko) 2014-09-23 2016-03-31 권현수 펜스형 차단봉
KR20180064917A (ko) 2016-12-06 2018-06-15 권현수 길이 조절형 차단봉
KR20190007900A (ko) 2017-07-14 2019-01-23 권현수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KR20190104800A (ko) 2018-03-02 2019-09-11 권현수 차단봉용 손잡이
KR20220021117A (ko) 2020-08-13 2022-02-22 권현수 자동 속도조절식 안전 차단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2481B2 (en) * 1995-06-27 2004-03-30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emitting panel assemblies
JP3543654B2 (ja) * 1998-12-28 2004-07-1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752505B2 (en) 1999-02-23 2004-06-22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redirecting films and film systems
JP2000352719A (ja) * 1999-06-14 2000-12-19 Nec Corp 液晶表示装置用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736724B2 (ja) * 1999-08-25 2006-01-1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8086697B2 (en) * 2005-06-28 2011-12-27 Claria Innovations, Llc Techniques for displaying impressions in documents delivered over a computer network
US7475404B2 (en) 2000-05-18 2009-01-06 Maquis Techtrix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lick-through for browser executed software including ad proxy and proxy cookie caching
CN1253749C (zh) * 2000-12-13 2006-04-26 三菱丽阳株式会社 光源装置
US8521827B2 (en) * 2001-10-18 2013-08-27 Carhamm Ltd., Llc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end-users
US6814457B2 (en) * 2002-08-05 2004-11-09 Taiwan Green Point Enterprise Co., Ltd. Light guide structure for light guide plate
US7603341B2 (en) 2002-11-05 2009-10-13 Claria Corporation Updating the content of a presentation vehicle in a computer network
JP2005183363A (ja) * 2003-11-25 2005-07-07 Sharp Corp 導光板、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導光板成形型
US8078602B2 (en) 2004-12-17 2011-12-13 Claria Innovations, Llc Search engine for a computer network
US8255413B2 (en) 2004-08-19 2012-08-28 Carhamm Ltd.,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request for information-personalization
US7693863B2 (en) 2004-12-20 2010-04-06 Clar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ublishing cross-network user behavioral data
US8073866B2 (en) 2005-03-17 2011-12-06 Claria Innovations, Llc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n internet user based on the user's demonstrated content preferences
US20070291510A1 (en) * 2006-06-15 2007-12-20 Wintek Corporatio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US8147112B2 (en) * 2006-06-30 2012-04-03 Lg Display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U2006230664B1 (en) * 2006-10-18 2008-04-17 Kabushiki Kaisha S.T.I. Japan Reflector for light source, light source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EP1914473A1 (en) * 2006-10-18 2008-04-23 Kabushiki Kaisha S.T.I. Japan Reflector for lighting device
US20080094846A1 (en) * 2006-10-20 2008-04-24 Nobuo Oyama Reflector for light source, light source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EP3622342A4 (en) 2017-05-08 2021-02-17 RealD Spark, LLC OPTICAL STACK FOR DIRECTIVE DISPLAY
TW201921060A (zh) 2017-09-15 2019-06-01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用於可切換定向顯示器的光學堆疊結構
US11109014B2 (en) 2017-11-06 2021-08-31 Reald Spark, Llc Privacy display apparatus
US10976578B2 (en) 2018-01-25 2021-04-13 Reald Spark, Llc Reflective optical stack for privacy display
JP7353007B2 (ja) 2018-01-25 2023-09-29 リアルディー スパーク エルエルシー プライバシー表示用タッチスクリーン
KR20200141459A (ko) 2018-03-22 2020-12-18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지향성 백라이트용 광학 도파관
US11079645B2 (en) 2018-06-29 2021-08-03 Reald Spark, Llc Stabilization for privacy display
CN112602011A (zh) 2018-07-18 2021-04-02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用于可切换定向显示器的光学堆叠
US11287677B2 (en) 2019-01-07 2022-03-29 Reald Spark, Llc Optical stack for privacy display
WO2020167680A1 (en) 2019-02-12 2020-08-20 Reald Spark, Llc Diffuser for privacy display
TW202102883A (zh) 2019-07-02 2021-01-16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定向顯示設備
US11114063B2 (en) 2019-10-02 2021-09-07 Reald Spark, Llc Privacy display apparatus
KR20220098382A (ko) 2019-11-13 2022-07-12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축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18936A1 (en) 2019-12-10 2021-06-17 Reald Spark, Llc Control of reflections of a display device
WO2021222606A1 (en) 2020-04-30 2021-11-04 Reald Spark, Llc 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CN115867854A (zh) 2020-04-30 2023-03-28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定向显示设备
EP4143632A1 (en) 2020-04-30 2023-03-08 RealD Spark, LLC 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TW202204818A (zh) 2020-07-29 2022-02-01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光瞳照明裝置
EP4189285A1 (en) 2020-07-29 2023-06-07 RealD Spark, LLC Backlight for switchable directional display
US11892717B2 (en) 2021-09-30 2024-02-06 Reald Spark, Llc Marks for privacy display
US11977286B2 (en) 2022-02-09 2024-05-07 Reald Spark, Llc Observer-tracked privacy display
WO2023196440A1 (en) 2022-04-07 2023-10-12 Reald Spark, Llc 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4332B1 (en) * 1991-11-28 1997-01-2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H07105710A (ja) * 1993-10-01 1995-04-21 Sekisui Chem Co Ltd 面光源装置
DE69432353T2 (de) 1993-11-05 2003-11-20 Enplas Corp Flächenhafte lichtquelle
TW334523B (en) * 1994-03-02 1998-06-21 Toso Kk Back light
US5575549A (en) * 1994-08-12 1996-11-1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H09105804A (ja) * 1995-10-13 1997-04-22 Konica Corp 光制御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09304625A (ja) 1996-05-13 1997-11-28 Konica Corp 導光板
JPH1039144A (ja) 1996-07-23 1998-02-13 Konica Corp 導光板
JPH09318818A (ja) 1996-05-30 1997-12-12 Toshiba Corp 面光源装置
US5999685A (en) * 1997-02-07 1999-12-07 Sanyo Electric Co., Ltd. Light guide plate and surface light source using the light guide plate
JP3615355B2 (ja) * 1997-06-04 2005-02-0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導光板
JP3669541B2 (ja) * 1997-06-12 2005-07-0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JPH1124584A (ja) * 1997-07-04 1999-01-29 Stanley Electric Co Ltd 液晶表示器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H11120810A (ja) * 1997-10-15 1999-04-30 Enplas Corp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US6164790A (en) * 1998-12-17 2000-12-26 Lg. Philips Lcd Co., Ltd. Back light uni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315A (ko) 2014-09-23 2016-03-31 권현수 펜스형 차단봉
KR20180064917A (ko) 2016-12-06 2018-06-15 권현수 길이 조절형 차단봉
KR20190007900A (ko) 2017-07-14 2019-01-23 권현수 손잡이 잠금부가 구비된 차단봉
KR20190104800A (ko) 2018-03-02 2019-09-11 권현수 차단봉용 손잡이
KR20220021117A (ko) 2020-08-13 2022-02-22 권현수 자동 속도조절식 안전 차단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9085B1 (ko) 2004-03-24
TW469356B (en) 2001-12-21
KR19980087012A (ko) 1998-12-05
US6280043B1 (en) 2001-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829B1 (ko) 광학유닛, 도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US5997148A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of side light type
KR100636581B1 (ko)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
US7334934B2 (en) Light guide device and a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8210731B2 (en) Light guide plate, and planar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374329B2 (en) Light guide device and a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3543911B2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EP1788302A1 (en) Transmittance adjuster unit, planar illumination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transmittance adjuster arrangement method
US20060104089A1 (en) Light guide plate and a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H11231320A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805527B2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導光板
JP2005085671A (ja)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JP3558321B2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導光板
KR100388510B1 (ko) 사이드라이트형면광원장치및광제어부재
JP3739067B2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KR100729193B1 (ko) 사이드라이트형 면광원장치
KR100634079B1 (ko) 도광판, 면광원장치 및 표시장치
JP3235773B2 (ja)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JP3359814B2 (ja) 導光板及び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
JPH095529A (ja) 導光板と該導光板を使用した面型照明体
JP2002216528A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3743699B2 (ja)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209581A (ja) 面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3485042B2 (ja)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339043A (ja) 面状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