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809B1 -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809B1
KR100428809B1 KR10-2001-0032917A KR20010032917A KR100428809B1 KR 100428809 B1 KR100428809 B1 KR 100428809B1 KR 20010032917 A KR20010032917 A KR 20010032917A KR 100428809 B1 KR100428809 B1 KR 10042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sulfuric acid
expanded graphite
fuming sulfuric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605A (ko
Inventor
권영배
이범재
임성수
이윤숙
권오윤
최상원
김승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여수대학교 총장)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여수대학교 총장),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여수대학교 총장)
Priority to KR10-2001-003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809B1/ko
Priority to JP2001306283A priority patent/JP3761438B2/ja
Priority to DE10150220A priority patent/DE10150220A1/de
Publication of KR2002009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2Intercalation
    • C01B32/225Expansion; Exfol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 팽창흑연의 제조공정을 접목하여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된 기상의 SO3가스 또는 액상의 발연황산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흑연 산화물을 제조하고, 상기 흑연 산화물을 세척한 후, 세척된 흑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거나 또는 전기로를 사용하여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발연황산의 가열공정이 없어 경제적이며, 사용된 산의 양을 1/10 ∼ 1/100로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된 산화제를 다시 발연황산 제조공정으로 투입함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인 SO3가스의 대기배출을 막고 산폐기물 발생도 없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팽창흑연 내 잔류하는 황의 농도를 크게 낮춤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흡착제, 가스킷, 패킹 시트, 노즐, 복합재료 등을 제조시 금속의 부식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는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팽창흑연의 제조방법{A preparation method of exfoliated graphite}
본 발명은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 팽창흑연의 제조공정을 접목하여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된 기상의 SO3가스 또는 액상의 발연황산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흑연 산화물을 제조하고, 상기 흑연 산화물을 세척한 후, 세척된 흑연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거나 또는 전기로를 사용하여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발연황산의 가열공정이 없어 경제적이며, 사용된 산의 양을 1/10 ∼ 1/100로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된 산화제를 다시 발연황산 제조공정으로 투입함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인 SO3가스의 대기배출을 막고 산폐기물 발생도 없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팽창흑연 내 잔류하는 황의 농도를 크게 낮춤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흡착제, 가스킷, 패킹 시트, 노즐, 복합재료 등을 제조시 금속의 부식문제를 크게 완화시킬 수 있는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흑연은 탄소 원자로 구성되는 6각형 구조가 층을 이루는 독특한 층상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흑연을 적절한 산화제로 처리하면 흑연층 사이에 SO3 2-, NO3 -와 같은 화학종이 도입되어 층간 화합물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층간 화합물이 형성된 흑연을 빠르게 가열하거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면 층간에 결합된 화학종이 가스화되고 그 압력에 의해 흑연이 수백배 내지 수천배로 팽창된다. 이와 같이 층간에 삽입 가능한 화학종을 흑연의 층상 결정 구조사이에 삽입시킨 후에 이를 열처리 또는 마이크로파로 처리함으로써 흑연을 팽창시킨다. 이렇게 팽창된 흑연은 0.003 내지 0.02 g/cm3의 밀도를 갖는다. 팽창된 흑연의 c축은 일반 흑연의 c축 보다 20 내지 400배 정도 확장되고, 이러한 팽창 흑연은 흡착제, 가스킷, 패킹 시트 등으로 이용된다.
일반적인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은 천연 및 열분해 흑연을 황산과 질산, 황산과 과망간산칼륨, 황산과 과산화수소, 황산과 과염소산 등의 혼산을 산화제로 산화 처리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급격하게 가열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한다. 상기 방법의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소 59-35078호에는 50% 황산과 60% 과염소산을 중량비로 100:5로 섞은 혼합산에 침적시킨 흑연을 1000℃에서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소 61-72609호에는 나트륨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이용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이외에도 일본특허공개 소 62-170332호, 소 63-139081호, 평 3-86538호 및 평 4-21509호에는 황산과 과산화수소, 황산과 질산 및 붕산, 진한 황산과 진한 질산 등의 혼산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가스킷용 소재, 시멘트와 모르타르의 복합재료, 팽창흑연 시트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 7-136501호, 평 8-143856호 및 미국특허 제 5,149,518호에는 황산을 기본으로 한 혼합산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팽창흑연 시트, 유사흡착제 및 무기질 섬유복합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503,717호는 수용액상에서 전기화학적으로 ZnCl2가 흑연층간에 스며들도록 한 후 이를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황산을 기본으로 하는 혼합산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경우는 흑연입자를 다량(흑연의 1.5배 이상)의 진한 혼합산 원액 내에서 장시간에 걸쳐 직접 함침시켜 팽창흑연을 제조함으로써 산의 소모량이 대단히 많고 또 다량의 폐산이 발생할 뿐 아니라 이러한 폐산은 단일산이 아닌 여러가지 산 혼합물 또는 산화제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이므로 폐산처리가 어려운 문제로 남기 때문에 이러한 팽창흑연 제조방법은 상업화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팽창흑연의 제조과정 중에 막대한 SO3및 SO2가스가 발생하여 이들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팽창흑연에 잔류하는 황은 팽창흑연이 패킹, 가스킷 시트 등으로 사용될 경우에 이에 접촉하는 금속을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알칼리 금속과 하이드로퓨란을 이용한 팽창흑연의 제조방법과 ZnCl2을 이용한 전기화학적인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문제점은 없으나, 알카리 금속의 가격이 비싸고 2000 내지 5000 A/㎡의 전류밀도를 갖는 전류를 사용해야 하는 등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이 크므로 팽창흑연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발명한 대한민국 특허 제254483호에서는 발연황산 혹은 무수황산을 가열하여 발생시킨 SO3가스와 흑연을 건식접촉시켜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되는 발연황산 혹은 무수황산 등의 산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황산의 재생 연속 사용에 의한 제조단가를 감소시키면서 폐산의 양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줄여주고, 팽창흑연 내의 잔류 황의 농도를 크게 감소시키나, 가열공정과 열처리 공정에 있어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 팽창흑연의 제조공정을 접목시키며, 산화된 흑연의 팽창시 강한 파장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거나 또는 열처리를 실시하는 단일 공정을 적용시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연황산 제조공정에 사용하는 SO3가스 또는 발연황산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액체 발연황산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흑연 산화물을 제조하고, 상기 흑연 산화물을 세척한 뒤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거나 또는 전기로를 사용하여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사용된 산의 양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사용된 산화제를 다시 발연황산 제조공정으로 투입함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인 SO3가스의 대기배출을 막고, 산폐기물 발생도 없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팽창흑연 내 잔류하는 황의 농도를 크게 낮추며, 발연황산의 가열공정이 없어 사용되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산화된 흑연을 팽창시 강한 파장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거나 열처리를 단독 실시함으로써 팽창 흑연의 제조공정을 단축하며, 에너지가 획기적으로 절감된 개선된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연황산의 제조공정 중에서 생성된 것으로 농도가 2 ∼ 100%인 기상의 SO3가스 또는 발연황산에 직접 침지하여 흑연을 산화시키는 1 단계; 상기 산화된 흑연을 가성소다액 또는 물유리로 세척하는 2 단계; 상기 세척된 흑연에 30 ∼ 30000 MHz의 마이크로파를 1분 ∼ 1시간 동안 조사하거나 또는 4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30초 ∼ 30 분 동안 수행되는 열처리를 하나의 단계만 실시하여 팽창시키는 3 단계; 및 상기 1 단계의 흑연을 산화시키고 잔류한 기상의 SO3가스 또는 액상의 발연황산을 저농도 황산에 흡수시켜 황산으로 회수하여 재투입하는 4 단계로 이루어지는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 팽창흑연의 제조공정을 접목시켜 인상흑연 입자를 황을 산화시켜 만들어지는 SO3가스와 접촉시키거나 발연황산 내에 직접 침지시켜 흑연층 내에 SO3 2-를 도입시켜 층간 화합물을 만들고, 이렇게 제조된 층간 화합물을 마이크로파 또는 열 처리하여 팽창시켜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연황산 제조공정에 사용하는 SO3가스 또는 발연황산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액체 발연황산을 산화제로 사용하여 흑연 산화물을 제조하는 1 단계를포함한다.
본 발명의 흑연 산화물을 제조하는 1 단계에서 산화제로 사용되는 SO3가스는 발연황산 제조공정에서 황을 산화시켜 얻은 것으로, SO3가스를 발연황산에 접촉시키기 전의 배관에 천연흑연을 넣은 반응기를 연결하여 흑연 반응기 내에서 흑연과 접촉하여 흑연을 산화시키고 미반응 SO3가스는 발연황산의 제조 공정에 보내어 묽은 황산에 흡수시켜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 재사용함으로써 기상의 대기 오염물질의 발생을 원칙적으로 저감시키고 종래의 가열공정을 없앰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SO3가스는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의 특성에 따라 2 ∼ 100% SO3가스로 발생하며, 2 ∼ 50% SO3가스일 경우에는 1 시간 이상, 51 ∼ 100%일 경우에는 10 분 이상 접촉시켜 흑연을 산화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흑연 산화물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산화제로 액상 발연황산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사용되는 액상 발연황산은 발연황산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 천연흑연을 넣은 반응기를 발연황산 제조공정의 말단에 연결하여 발연황산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발연황산을 흑연 반응기에 넣어 직접 침지시켜 반응시키는 것으로 5분 이상 침지시켜 흑연을 산화시킨다. 산화된 흑연은 글래스 필터(glass filter) 등으로 여과하고 여액인 발연황산은 SO3가스를 주입하여 발연황산을 다시 제조하게 되므로, 액상 폐기물의 발생이 전혀 없고 종래에 비해 발연황산의 양과 반응시간을 단축시킬수 있으며 가열공정이 필요없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흑연을 산화시키는 1 단계는 기상의 SO3가스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액상의 발연황산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방법 모두 가열공정이 없고 폐산의 발생이 없는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된 흑연을 제조한 다음, 산화된 흑연을 물, 가성소다액 또는 물유리(Na2SiO3·xH2O) 등의 세척액에 분산시켜 흑연 표면에 붙어있는 미반응 SO3를 제거하는 2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 단계는 흑연입자 표면 또는 층내 삽입된 일부의 SO3를 제거한 후 흑연입자를 여과함으로써 SO3및 H20가 층간 결정 구조내에 함입된 흑연층간화합물을 얻는다. 상기한 세척액 중 물에 분산시 생성된 황산액은 황산 제조공정 또는 발연황산 제조공정에 재사용할 수 있으며, 가성소다액에 분산시에는 망초(Na2SO4)가 생성되어 폐기물의 발생이 없다. 그리고, 물유리에 분산은 열 처리시 물유리가 접착제로 작용하여 팽창흑연 입자들을 뭉치도록 하여 팽창흑연 덩어리를 만드는 특징을 가지므로 기름 흡착제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제 등의 특수한 목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세척된 흑연을 제조한 다음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거나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은 세척된 흑연을 마이크로파로 1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 ∼ 10분간 조사하여 급격히 팽창시킴으로써 팽창흑연을 제조한다. 이때, 조사된 마이크로파의 파장은 약 30 ∼ 30000 MHz이고, 출력은 100 ∼ 1000 W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은 세척된 흑연을 400 내지 1,200℃,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한다. 열처리시간은 30초 ∼ 10분, 바람직하게는 1분 ∼ 10분이 좋다.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1 단계의 흑연을 산화시키고 잔류한 기상의 SO3가스 또는 액상의 발연황산을 저농도 황산에 흡수시켜 황산으로 회수하여 재투입하는 4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은 가열공정이 없고 산화제로 단일산을 사용함으로써 혼산을 사용하는 종래방법에 비해 1/10 ∼ 1/100로 소량 사용 할 뿐만 아니라 미반응 SO3가스를 발연황산 제조공정에 재투입함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 및 폐혼산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없앰으로서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팽창흑연은 0.003 내지 0.02g/㎤의 밀도를 갖고 1g당 10 내지 100g의 유류를 흡착하는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VOCs를 효율적으로 흡착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팽창흑연은 유류 흡착제, 휘발성 유기물 흡착제, 내열 시트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1 단계에 의해 얻은 흑연을 산화시킨 층간 흑연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SO3가스를 황산에 투입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기 직전에 천연흑연 5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반응기에 7%의 SO3가스를 3시간동안 통과시켜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산화된 천연흑연을 물을 이용하여 세척, 여과함으로서 천연흑연의 표면에 과량으로 응축된 SO3를 제거하였고 5분간 2450MHz의 파장 및 700W의 출력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급격하게 팽창시켰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SO3가스를 황산에 투입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기 직전에 천연흑연 5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반응기에 100%의 SO3가스를 1시간동안 통과시켜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산화된 천연흑연을 물을 이용하여 세척, 여과함으로서천연흑연의 표면에 과량으로 응축된 SO3를 제거하였고 5분간 2450MHz의 파장 및 700W의 출력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급격하게 팽창시켰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의 말단에 천연흑연 1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이 반응기에 상기 제조된 액체 발연황산 1kg을 넣어 교반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방치하여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이를 물로 세척하고 여과한 5분간 2450MHz의 파장 및 700W의 출력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급격하게 팽창시켰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SO3가스를 황산에 투입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기 직전에 천연흑연 5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반응기에 7%의 SO3가스를 3시간동안 통과시켜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산화된 천연흑연을 물을 이용하여 세척, 여과함으로서 천연흑연의 표면에 과량으로 응축된 SO3를 제거하였고 이를 반응로내에서 900℃에서 1분간 급격하게 열처리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SO3가스를 황산에 투입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기 직전에 천연흑연 5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반응기에 100%의 SO3가스를 1시간동안 통과시켜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산화된 천연흑연을 물을 이용하여 세척, 여과함으로서 천연흑연의 표면에 과량으로 응축된 SO3를 제거하였고 이를 반응로내에서 900℃에서 1분간 급격하게 열처리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의 말단에 천연흑연 1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이 반응기에 상기 제조된 액체 발연황산 1kg을 넣어 교반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방치하여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이를 물로 세척하고 여과한 흑연을 반응로내에서 900℃에서 1분간 급격하게 열처리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SO3가스를 황산에 투입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기 직전에 천연흑연 5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반응기에 100%의 SO3가스를 1시간동안 통과시켜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산화된 천연흑연을 0.1M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세척, 여과함으로서 천연흑연의 표면에 과량으로 응축된 SO3를 제거하였고 이를 반응로내에서 900℃에서 1분간 급격하게 열처리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유황을 산화시켜 발생한 SO3가스를 사용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SO3가스를 황산에 투입하여 발연황산을 제조하기 직전에 천연흑연 5kg이 들어있는 반응기를 설치하여 반응기에 100%의 SO3가스를 1시간동안 통과시켜 천연흑연의 층간을 SO3로 산화시켰다. 산화된 천연흑연을 1% 물유리 수용액을 이용하여 세척, 여과함으로서 천연흑연의 표면에 과량으로 응축된 SO3를 제거하였고 이를 반응로내에서 900℃에서 1분간 급격하게 열처리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2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인 혼산(황산과 질산)을 이용하여 팽창흑연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팽창흑연의 밀도와 잔류황의 량, g당 벙커C유 흡착량을 피코노메터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8은 비교예 1 ∼ 2에 비해 잔류황의 량이 약 1/4 ∼ 1/10 정도로 감소하였고, 팽창흑연 1g 당 60 ∼ 70 g의 벙커C유를 흡착하므로 우수한 흡착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의 제조방법은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 팽창흑연의 제조공정을 접목시켜 산화제로 발연황산의 제조공정에서 생성된 기상의 SO3가스 또는 액상의 발연황산을 사용함으로써 산의 양을 기존 방법에 비해1/10 ∼ 1/100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폐기물이 거의 배출되지 않으며, 팽창흑연내에 잔류하는 황의 함량을 1/4 ∼ 1/10로 줄일 수 있으며, 가열공정이 없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팽창흑연은 유류흡착제, 가스킷, 패킹 시트 등과 같은 팽창흑연의 응용과 관련된 산업분야의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발연황산의 제조공정 중에서 생성된 것으로 농도가 2 ∼ 100%인 기상의 SO3가스 또는 발연황산에 직접 침지하여 흑연을 산화시키는 1 단계;
    상기 산화된 흑연을 가성소다액 또는 물유리로 세척하는 2 단계;
    상기 세척된 흑연에 30 ∼ 30000 MHz의 마이크로파를 1분 ∼ 1시간 동안 조사하거나 또는 4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30초 ∼ 30 분 동안 수행되는 열처리를 하나의 단계만 실시하여 팽창시키는 3 단계; 및
    상기 1 단계의 흑연을 산화시키고 잔류한 기상의 SO3가스 또는 액상의 발연황산을 저농도 황산에 흡수시켜 황산으로 회수하여 재투입하는 4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4 항에 따라 제조된 팽창 흑연을 포함하는 유류 흡착제.
  9. 제 4 항에 따라 제조된 팽창 흑연을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물 흡착제.
  10. 제 4 항에 따라 제조된 팽창 흑연을 포함하는 내열 시트.
  11. 제 4 항에 따른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1 단계에 의해 얻은 흑연을 산화시킨 층간 흑연.
KR10-2001-0032917A 2001-06-12 2001-06-12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KR10042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17A KR100428809B1 (ko) 2001-06-12 2001-06-12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JP2001306283A JP3761438B2 (ja) 2001-06-12 2001-10-02 膨脹黒鉛の製造方法
DE10150220A DE10150220A1 (de) 2001-06-12 2001-10-12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tem Graph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917A KR100428809B1 (ko) 2001-06-12 2001-06-12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05A KR20020094605A (ko) 2002-12-18
KR100428809B1 true KR100428809B1 (ko) 2004-04-28

Family

ID=1971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917A KR100428809B1 (ko) 2001-06-12 2001-06-12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61438B2 (ko)
KR (1) KR100428809B1 (ko)
DE (1) DE10150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780B1 (ko) * 2004-12-09 2006-06-01 (주)타쿠미스피리트 팽창흑연 제조장치
GB0720429D0 (en) 2007-10-18 2007-11-28 Electroclean Technology Ltd Treatment of contaminated gases
CN101450797B (zh) * 2007-11-29 2013-05-08 索尼株式会社 处理碳纳米管的方法、碳纳米管以及碳纳米管元件
KR20130139452A (ko) * 2012-06-08 2013-12-23 주식회사 케이씨씨 그래핀의 제조 방법과 이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CN104495803A (zh) * 2014-11-27 2015-04-08 林前锋 天然微晶石墨的提纯方法
CN104495819A (zh) * 2014-12-15 2015-04-08 林前锋 一种微晶石墨产品的提纯与纯化制作方法
CN105460924A (zh) * 2015-12-25 2016-04-06 中国人民解放军后勤工程学院 一种无硫纳米石墨的制备方法
JP2020041044A (ja) * 2018-09-10 2020-03-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耐火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2456060B1 (ko) * 2021-11-02 2022-10-20 퓨어만 주식회사 일액형 우레탄 방열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814A (ja) * 1992-10-30 1994-05-24 Nippon Kokuen Kogyo Kk 酸処理黒鉛の製造方法
JPH10330108A (ja) * 1997-05-30 1998-12-15 Nippon Kasei Chem Co Ltd 熱膨張性黒鉛
KR19990065389A (ko) * 1998-01-13 1999-08-05 최상원 팽창흑연 제조방법
JP2001048514A (ja) * 1999-07-29 2001-02-20 Korea Inst Of Mach & Materials 膨脹黒鉛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814A (ja) * 1992-10-30 1994-05-24 Nippon Kokuen Kogyo Kk 酸処理黒鉛の製造方法
JPH10330108A (ja) * 1997-05-30 1998-12-15 Nippon Kasei Chem Co Ltd 熱膨張性黒鉛
KR19990065389A (ko) * 1998-01-13 1999-08-05 최상원 팽창흑연 제조방법
JP2001048514A (ja) * 1999-07-29 2001-02-20 Korea Inst Of Mach & Materials 膨脹黒鉛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61438B2 (ja) 2006-03-29
DE10150220A1 (de) 2003-01-02
KR20020094605A (ko) 2002-12-18
JP2003002623A (ja)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7695B (zh) 一种含油污泥制备超级活性炭的方法
WO2021258515A1 (zh) 柚子皮生物碳应用于催化臭氧氧化降解废水中的有机污染物
CN108940335A (zh) 一种基于氮掺杂具有核壳结构可磁场回收铁碳材料的高级氧化还原水处理方法
CN108439372B (zh) 一种硫氮共掺杂石墨烯基气凝胶及其制备方法
KR100428809B1 (ko) 팽창흑연의 제조방법
JP6339291B2 (ja) 膨張黒鉛(expanded graphite)及び膨潤性粘土(swelling clay)を利用して軽量化された吸音耐火断熱材(insulation panel)及びその製造方法
US6306264B1 (en) Method for producing expanded graphite
Zhang et al. Engineering banana-peel-derived biochar for the rapid adsorption of tetracycline based on double chemical activation
KR20190064151A (ko) 흡착성능이 우수한 활성탄
CN111821950A (zh) 一种生物炭氨吸附剂的制取方法
CN110935428A (zh) 氧化剂和造孔剂联用再生活性炭、其制备方法及应用
CN114849654B (zh) 一种草酸插层膨胀高岭土的制备方法及吸附应用
CN114345344B (zh) 一种过硫酸盐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254483B1 (ko) 팽창흑연 제조방법
CN114768857A (zh) 一种纳米零价铁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rdestani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oom-temperature chemically expanded graphite: Application for cationic dye removal
WO2023109192A1 (zh) 一种膨胀石墨及其制备方法
CN116573640A (zh) 一种催化剂载体活性炭的活化工艺
CN101318124A (zh) 一种低浓度磷化氢净化用分子筛吸附剂的制备方法
CN112755986A (zh) 一种活性炭再生方法
CN111617753A (zh) 一种Ce-Cu/γ-Al2O3负载型催化剂催化湿式氧化再生活性炭的方法
CN115228501B (zh) 多孔半焦活性碳负载三元异质结光催化剂的制备与应用
CN114163132B (zh) 一种泡沫玻璃及其制备方法
KR102599131B1 (ko) 자원순환형 고도활성화를 이용한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 활용 고비표면적 활성탄소 제조방법
KR100839330B1 (ko) 열팽창 흑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