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736B1 - 미닫이의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의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736B1
KR100424736B1 KR10-2001-0043325A KR20010043325A KR100424736B1 KR 100424736 B1 KR100424736 B1 KR 100424736B1 KR 20010043325 A KR20010043325 A KR 20010043325A KR 100424736 B1 KR100424736 B1 KR 10042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liding door
rotary motion
switch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988A (ko
Inventor
다카하시가즈타마
마키히라이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Publication of KR2002002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63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3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s
    • E05B65/084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s mounted on the slide guide, e.g.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작은 구동력으로 미닫이 완전폐쇄상태의 로크 및 로크해제를 확실히 행한다.
(해결수단) 미닫이의 개폐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부재(36)와, 지지축(38)과, 로크 암(40)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암(40)은, 미닫이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회전운동부재(36)와 지지축(38)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미닫이를 완전폐쇄위치에 로킹하는 로크위치와, 이 로크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등의 전기적 구동원을 이용하고, 상기 로크 암(40)을 로크전환 핀(56) 등을 사용하여 로크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상태와, 동 로크상태에서 벗어난 언로크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미닫이의 로크장치{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철도차량 그 외의 구조물에 설치된 미닫이를 완전폐쇄상태로 로킹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닫이를 완전폐쇄상태로 로킹하기 위한 장치로서, 솔레노이드 등의 전기적 구동원을 구비하고, 그 구동력을 이용하여, 미닫이를 완전폐쇄위치에 고정하는 로크상태와, 미닫이를 해방하는 언로크상태로 전환되도록 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실공평7-21777호 공보에서는, 자물쇠구멍을 가진 걸림판을 미닫이(자동도어)측에 고정함과 동시에, 이 미닫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물쇠구멍내에 삽입가능한 자물쇠 핀을 구비하고, 이 자물쇠 핀의 위치를 솔레노이드의 구동력에 의해 로크위치(실제로 자물쇠구멍에 삽입하는 위치)와 언로크위치(자물쇠구멍에서 이탈하는 위치)로 전환하도록 한 로크장치가 개시되어있다.
일반적으로, 미닫이의 로크장치에서는,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미닫이를 역으로 열고자 하는 힘에 대항하여 당해 미닫이를 완전폐쇄위치에 유지할 정도의 로킹력이 요구된다. 특히, 좌우 미닫이의 문끝(상대방의 미닫이와 맞닿는 단부)에 고무 등의 탄성재를 고정하고, 양 문끝의 탄성재끼리를 가압하여 문끝끼리를 밀착시키도록 한 미닫이에서는, 상기 탄성재의 탄발력이 항상 로크장치에 문개방방향의 반력으로서 전달되기 때문에, 로크장치는 이 반력에 항상 대항하여 완전폐쇄상태을 유지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공보에 기재된 로크장치에서는, 상기 미닫이의 반력(여는 방향으로의 힘)이 자물쇠 핀에 그 전단하중으로서 직접 작용한다. 이와 같이 큰 전단하중이 가해져 있는 자물쇠 핀을 당해 전단하중에 대항하여 자물쇠구멍으로부터 빼내기(즉 언로크위치로 전환하는)위해서 커다란 구동력을 요한다. 또한, 상기 전단하중에 대항하기 위해서 자물쇠 핀자체의 단면적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점에 있어서도 자물쇠 핀을 움직이기 위한 구동력은 필연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보의 로크장치에서는, 자물쇠 핀의 위치를 전환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데에 아무리해도 대형으로 고가의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이 로크장치전체의 소형화 및 저렴화를 방해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작은 구동력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는 미닫이의 로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미닫이 및 개폐구동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미닫이를 완전폐쇄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로크장치의 일부단면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로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미닫이의 개폐구동 및 로킹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기능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상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타이머 업에 근거하는 로크제어가 행해진 경우의 각종 신호변화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9는 상기 제어에 있어서 차속신호의 전환에 근거하는 로크제어가 행해진 경우의 각종신호변화를 도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10의 (a), (b)는 상기 로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미닫이
18; 걸어맞춤 핀(미닫이가 회전운동부재와 걸어맞춤하는 부위)
20; 개폐구동장치 30; 로크장치
32; 부착판 36; 회전운동부재
36c; 걸어맞춤 홈(회전운동부재가 미닫이와 걸어맞춤하는 부위)
38; 지지축(지지부재) 38';지지부재
40; 로크 암(로크부재) 40'; 로크 슬라이더(로크부재) 44; 비틀림 코일스프링(가압부재)
48; 걸어맞춤용 롤러(로크 암이 회전운동부재와 걸어맞춤하는 부위)
50; 로크전환기구 54; 솔레노이드(전기적 구동원)
56; 로크전환 핀(로크전환부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된 미닫이를 완전폐쇄상태에서 로킹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측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미닫이의 완전폐쇄위치근방에서 당해 미닫이와 걸어맞춤되어 당해 미닫이의 개폐이동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구조물측에 배열설치 되고, 이 배열설치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미닫이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회전운동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당해 미닫이가 열기방향으로의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로크위치와 이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구조물측에 설치된 로크부재와, 전기적 구동원을 포함하고, 그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로크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상태와 동 로크위치에서 벗어나는 언로크 상태로 전환되는 로크전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위치는, 그 로크위치에 있는 로크부재에 상기 회전운동부재가 맞닿는 부위에서의 당해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접선방향의 연장선상 또는 그 근방에 상기 지지부재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청구항 1).
이 구성에 있어서, 로크전환기구를 언로크상태로 전환한 때에는, 회전운동부재가 자유로이 회전운동하고, 미닫이의 개폐도 허용된다. 이 상태에서 미닫이가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적어도 완전폐쇄위치근방에 달한 시점으로부터, 그 미닫이와 걸어맞춤하는 회전운동부재가 미닫이의 닫는 방향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하고, 미닫이가 완전폐쇄위치에 달하면 회전운동부재는 그 완전폐쇄위치에 대응한 회전운동각도위치에 멈춘다. 이 상태에서, 로크전환기구를 그때까지의 언로크상태로부터 로크상태로 전환하고, 로크부재를 상기 회전운동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하는 로크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상기 미닫이가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운동이 저지된다. 즉, 미닫이는 완전폐쇄위치에 로킹된다.
여기서,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미닫이로부터의 반력, 즉, 미닫이를 여는 방향의 힘은, 회전운동부재를 통해서 로크부재에 전달된다. 이 로크부재에 전달되는 힘은, 당해 로크부재에 회전운동부재가 맞닿는 부위에서의 당해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접선방향의 힘인데, 그 회전접선방향의 연장선상에 상기 지지부재가 위치하므로, 상기 회전접선방향의 힘은 로크부재를 통해서 지지부재에 받아들여지고, 로크부재에는 거의 압축하중만이 작용하는 것으로 된다.
즉, 상기 반력은, 로크부재에 거의 압축하중으로서만 작용하고, 전단하중으로서는 거의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 로크부재를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힘은, 소위 「지지봉」을 벗어나는 힘만으로 되고, 큰 구동력은 요하지 않는다. 또한, 로크부재에 전단하중이 거의 작용하지 않으므로, 로크부재자체의 단면적 더 나아가서는 중량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도 로크부재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구동력은 삭감된다.
따라서, 로크전환기구에 요구되는 구동력은 작고, 그 전기적 구동원(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은 비교적 소형의 것으로 된다.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방향은 특히 불문하고, 예를 들면 슬라이드이동에 의해 로크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으로도 좋지만, 이 로크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당해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청구항 2), 당해 지지부재를 하중 지지부재로서 뿐만은 아니고 로크부재 그 자체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어, 구조가 보다 간소화된다. 또한, 로크부재를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스트로크는, 이 로크부재를 소위 데드포인트(회전운동부재로부터 로크부재에 부여되는 반력에 의해 로크부재가 어느 측에도 회전운동하려고 하지 않는 점; 즉 사점)로부터 단지 비키는 정도의 약간의 회전운동스트로크로 좋고, 예를 들면 로크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하여 로크해제에 요하는 힘은 더 삭감된다.
상기 로크전환기구는, 상기 로크부재를 직접 구동하는(로크위치와 그 외의 위치로 이동시킨다)것으로도 좋은데, 미닫이의 개폐구동력을 이용하여 로크부재의 위치를 전환하도록 하면, 로크전환을 위해 필요한 구동력은 더 삭감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하고 또한 상기 미닫이가 완전폐쇄의 상태에서 상기 로크위치에 위치하도록 당해 회전운동부재에 걸어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로크위치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있고, 상기 로크전환기구가, 그 전기적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가압의 힘에 저항하여 상기 로크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상태와 당해 로크부재를 해방하는 언로크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언로크상태에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가압의 힘으로상기 로크위치에서 벗어나도록 구성되면 좋다(청구항 3).
이 구성에 의하면, 미닫이가 완전폐쇄함에 따라, 회전운동부재가 소정각도위치까지 회전운동하는 것에 더하여, 이 회전운동부재와 걸어맞춤되는 로크부재가 가압력에 저항하여 로크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로크전환기구는, 로크부재를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로크위치에 유지하는 상태와 로크부재를 해방하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면 좋고, 적극적으로 로크부재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로크전환기구의 구성은 보다 간소화된다.
상기 로크전환기구를,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로크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당해 로크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위치와 이 저지위치로부터 대피하는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로크전환부재를 가지고, 이 로크전환부재를 상기 전기적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상기 저지위치와 대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청구항 5).
이 구성에 있어서는, 로크전환부재를 저지위치와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큼의 간단한 구성으로, 로크/언로크의 전환이 될 수 있다. 더욱이, 로크전환부재에는 상기 로크부재가 회전운동부재로부터 받는 반력이 거의 전달되지 않고, 이 로크전환부재에 로크부재를 가압하는 힘 이외의 힘은 거의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 로크전환부재의 위치를 전환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은 상당히 작다.
더욱이, 상기 로크전환부재의 이동방향이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구성으로 하면(청구항 6), 로크전환부재의 약간의 스트로크로 로크/언로크의 전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로크장치는 보다 소형화된다.
또한, 상기 로크부재를 가압하는 수단으로서는, 로크부재의 자중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고, 가압부재를 구비하여 로크부재를 적극적으로 가압하도록 해도 좋다(청구항 4).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근거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 도시하는 실시의 형태는, 철도차량에 설치된 미닫이의 로킹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인데,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는, 철도차량 이외의 구조물, 예를 들면 건축물에 설치되는 미닫이의 로킹에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좌우의 미닫이(10)가 완전폐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양 미닫이(1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브래킷(12)이 고정되고, 각 브래킷(12)에는, 수평축주위로 회전가능한 쇠바퀴(14)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구조물(예를 들면 철도차량의 측벽)측에는, 미닫이의 개폐방향으로 뻗은 레일(16)이 각 미닫이(10)의 상방의 위치에 고정되고, 이 레일(16)상에 상기 각 쇠바퀴(14)가 구름이동가능하게 얹어 놓여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양 미닫이(10)는 구조물측으로 개폐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한쪽편의 미닫이(도 1에서는 좌측의 미닫이)(10)의 브래킷(12)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편(13)이 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구조물측의 소정의 위치에는 리밋스위치로 이루어지는 문폐쇄 스위치(1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문폐쇄 스위치(15)를 상기 돌출편(13)이 가압조작하여 온으로 전환되므로써, 미닫이(10)가 닫힌 것이 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일(16)의 더 상방의 위치에는, 미닫이(10)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구동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구동장치(20)는, 구조물인 모터(22)를 구비하고, 그 출력축에 원동풀리(23)가 고정됨과 동시에, 이 원동풀리(23)에서 레일(16)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종동풀리(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 풀리(23,24)사이에 무단형상의 벨트(26)가 걸려있다. 그리고, 도 2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벨트(26)의 상측부분이 연결부재(27)를 통해서 한쪽의 미닫이(10)의 브래킷(12)에 연결되고, 동 벨트(26)의 하측부분이 연결부재(28)를 통해서 다른 쪽 미닫이(10)의 브래킷(1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22)의 출력에 의해 원동풀리(23)가 회전구동됨에 따라, 양 풀리(23,24)사이에 걸린 벨트(26)가 왕복구동되고, 이 벨트(26)의 상측부분, 하측부분에 각각 연결된 좌우의 미닫이(10)가 서로 역의 방향(개폐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좌우 미닫이(10)의 문끝에 그 상하방향 대략 전역에 걸쳐 고무 등의 탄성재(11)가 고정되고, 이들의 탄성재(11)가 완전폐쇄위치에서 서로 가압되므로써, 높은 밀폐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미닫이의 구체적인 구조에 관계없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좌우의 미닫이(10)가 대칭으로 개폐슬라이드하는 것 외에, 예를 들면 단일의 미닫이(10)가 열기위치와 닫기위치사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미닫이의 지지구조나 개폐구동수단에 대하여도, 특히 상관없다.
도 1에 있어서, 좌우 미닫이(10)의 직상방의 위치(도시한 예에서는 문끝근방위치)에는 로크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장치(30)에 의해, 양 미닫이(10)가 완전폐쇄위치에 로킹되도록 되어있다.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로크장치(30)는, 수직방향의 부착판(32)을 구비하고, 이 부착판(32)이 도시생략의 볼트 등으로 구조물측에 고정되어있다.
상기 부착판(32)의 소정부위(도 3에서는 좌측하부)에는, 그 전측면(도 5에서는 우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축(34)이 고정되고, 이 지지축(34)에 회전운동부재(36)가 당해 지지축(34)주위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운동부재(36)의 중간부분에 원형의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이 관통구멍과 상기 지지축(34)이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지지축(34)의 선단부에 고정륜(3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운동부재(36)의 하단부에는, 좌우 한쌍의 포크부재(36a,36b)가 두갈래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포크부재(36a,36b) 사이에 걸어맞춤홈(3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홈(36c)은, 하향으로 개방된 대략 역U자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편측의 미닫이(도 1에서는 좌측의 미닫이)(10)의 문끝 근방부분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브래킷(17)(도 5)이 고정되고, 이 브래킷(17)으로부터 전방(도 5에서 우방)으로 걸어맞춤 핀(18)이 돌출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핀(1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양 포크부재(36a,36b)의 선단부끼리의 사이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홈(36c)내로 거의 간격이 없이 침입가능한 직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미닫이(10)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도 3의 실선위치에 위치하고, 이 완전폐쇄위치로부터 미닫이(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3의 좌방향으로 이동한다(동 도면 2점쇄선). 그리고, 상기 미닫이(10)가 상기 완전폐쇄위치의 근방영역에 있을 때(걸어맞춤 핀(18)이 도 3의 실선위치와 2점쇄선위치 사이의 영역에 있을 때)에, 당해 걸어맞춤 핀(18)이 실제로 상기 걸어맞춤 홈(36c)내에 침입할 수 있도록(즉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더욱이, 이 걸어맞춤상태에서, 미닫이(10)가 개폐이동함(즉 걸어맞춤 핀(18)이 수평이동함)에 따라, 회전운동부재(36)가 지지축(34)주위로 회전운동하도록, 상기 걸어맞춤 홈(36c) 및 양 포크부재(36a,36b)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운동부재(36)는, 미닫이(10)가 완전폐쇄되는 상태로 도 3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회전운동각도위치(직립위치)에 위치하고, 이 위치로부터 미닫이(10)가 열림에 따라 도 3의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회전운동각도위치(걸어맞춤 핀(18)이 걸어맞춤 홈(36c)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사위치)까지 도 3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운동부재와 미닫이의 구체적인 걸어맞춤구조는 관계없고, 적어도 미닫이가 완전폐쇄위치 근방에 있는 상태에서 걸어맞춤가능한 구조이면 좋다. 또, 회전운동부재와 미닫이는 반드시 직접적으로 걸어맞춤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별도의 링크 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걸어맞춤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즉, 서로 연동하도록 걸어맞춤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부착판(32)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4)으로부터 이격된 부위(도 3에서 우측상부)에는, 상기 지지축(34)과는 별도의 지지축(지지부재)(38)이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축(38)도 부착판(32)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부분에 로크 암(로크부재)(40)이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로크 암(40)의 한쪽의 단부(기단부)에 원형의 관통구멍을 갖는 통부(40a)가 형성되고, 이 통부(40a)가 상기 지지축(38)의 외측에 걸린 상태에서 당해 지지축(38)에 고정륜(42)이 장착되어 있고, 이 구조에 의해 로크 암(40)의 기단부(통부(40a))가 지지축(38)주위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지지축(38)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통부(40a)의 주위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가압부재)(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44)의 일단은, 상기 로크 암(40)의 이면에 돌출설치된 핀(40b)에 고정되고, 타단은 부착판(32)의 전면으로 돌출설치된 핀(32b)에 고정되어 있고,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로크 암(40)이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방향(도 3의 반시계방향)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로크 암(40)의 다른 쪽 단부(선단부)에는, 걸어맞춤용 롤러(48)가 전후방향의 축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암(40)의 이면(후측면)으로부터 후방(도 4에서는 상방)으로 축부(46)가 돌출하고, 이 축부(46)에 상기 걸어맞춤용 롤러(4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회전운동부재(36)의 상반부에는, 좌우 한쌍의포크부재(36d,36e)가 두갈래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포크부재(36d,36e) 사이에 상기 걸어맞춤용 롤러(48)가 침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포크부재(36d)의 내측면은 상기 걸어맞춤용 롤러(48)의 안내면(36f)으로 되어 있다. 다른쪽의 포크부재(36e)는, 그 선단부가 훅형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그 훅부분의 선단면이 상기 걸어맞춤용 롤러(48)와 맞닿음가능한 맞닿음면(36g)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운동부재(36)가 도 3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경사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걸어맞춤용 롤러(48)가 안내면(36f)의 안쪽(포크부재(36d)의 근원측)단부에 맞닿고(동도면의 2점쇄선), 이 위치로부터 회전운동부재(36)가 동도면 반시계방향(미닫이(10)가 완전폐쇄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용 롤러(48)가 상기 안내면(36f)상을 포크부재(36d)의 선단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러 이동하고(즉, 로크 암(40)의 회전운동을 따라서 걸어맞춤용 롤러(48)가 상승하고), 최종적으로 미닫이(10)가 완전폐쇄위치에 도달한 상태(회전운동부재(36)가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직립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용 롤러(48)가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크부재(36e)의 선단의 맞닿음면(36g)에 맞닿는 위치까지 안내되도록, 회전운동부재(36)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맞닿음면(36g)은 걸어맞춤용 롤러(48)의 반경보다도 조금 큰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닿음면(36g)에 걸어맞춤용 롤러(48)가 맞닿음하는 부위(맞닿음점)(P)에 있어서 회전운동부재(36)의 회전운동접선방향(도시한 예에서는 수평방향)의 연장선(L)(도 3의 1점쇄선)상에 상기 지지축(38)이 위치하도록, 각부재의 배치가 설정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로크 암(40)의 위치(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로크위치」에 상당한다. 즉, 이 로크위치에서는, 로크 암(40)이 회전운동부재(36)의 맞닿음면(36g)과 지지축(38)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운동부재(36)가 미닫이 개방방향(도 3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로크 암(40)은 그 자중 및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으로도 3의 반시계방향(걸어맞춤용 롤러(48)가 내려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데, 회전운동부재(36)가 도 3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경사위치까지 도달하면 당해 회전운동부재(36)의 양 포크부재(36d,36f) 사이에 걸어맞춤용 롤러(48)가 끼워져서 그 이상 걸어맞춤용 롤러(48)가 하강할 수 없도록(로크 암(40)이 도 3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될 수 없도록)되어 있다.
즉, 이 경사위치가 회전운동부재(36)의 회전운동극한위치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 경사위치에서 회전운동부재(36)의 걸어맞춤 홈(36c)이 경사 하방으로 개방되고, 이 걸어맞춤 홈(36c)내에 상기 미닫이(10)측의 걸어맞춤 핀(18)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회전운동부재(36)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이 로크장치는, 로크전환기구(50)를 구비하고, 이 로크전환기구(50)는, 상기 로크 암(40)을 상기 로크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상태와 로크 암(40)을 해방하는 언로크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로크전환기구(5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하우징(52)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판(32)의 상단으로부터 전방(도 5에서는 우방)으로 연장된 지지판부(32a)의 하면에 상기 하우징(52)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전환기구(50)전체가 부착판(32)측에 매달려 지지되고, 부착판(32)의 전방에 배치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2)에는, 전기적 구동원인 솔레노이드(54)와, 로크전환 핀(로크전환부재)(56)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가이드부재(58)가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54)의 구동력을 로크전환 핀(56)에 전달하는 구동전달기구(60)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54)는, 그 본체에 대하여 출몰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출력축(54a)을 가지고, 후술하는 제어장치(70)로부터 여자전류가 입력되므로써 상기 출력축(54a)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출력축(54a)의 주위에는 슬리브(5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슬리브(55)는, 상기 출력축(54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이동불능이고, 또한, 출력축(54a)에 대하여 그 중심축주위로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상대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출력축(54a)에 부착되어 있고, 이 슬리브(55)의 외주면상에는 핀(55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리브(55)의 근방위치에는 하우징(5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도 4에서는 전방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축(51)이 설치되고, 이 지지축(51)의 주위에 비틀림 코일스프링(53)이 부착되어 있다.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53)은, 그 일단이 상기 핀(55a)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52)측에 설치된 핀(52a)에 고정되어 있고,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53)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55) 및솔레노이드(54)의 출력축(54a)이 솔레노이드본체측으로 몰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편, 로크전환 핀(56)은, 전후방향(도 4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뻗는 방향으로, 그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가이드부재(58)에 지지되어 있고, 그 전후이동에 의해, 도 3~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저지위치와, 도 4의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지위치로부터 후퇴하는 대피위치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지위치는, 로크위치에 있는 로크 암(40)의 직하방의 위치까지 돌출하는 위치이고, 이 저지위치에 로크전환 핀(56)이 존재함으로써, 로크 암(40)이 상기 로크위치로부터 하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에 대하여 대피위치는, 상기 로크전환 핀(56)과 로크 암(40)의 간섭이 생기지 않는 정도까지 상기 저지위치로부터 후퇴한 위치이고, 이 대피위치에 로크전환 핀(56)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로크 암(40)의 하향 회전운동이 허용된다.
구동전달기구(60)는, 상기 솔레노이드(54)에 설치된 슬리브(55)의 출몰방향의 움직임을 상기 로크전환 핀(56)의 전후방향의 움직임으로 전환하는 것이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링크(6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운동링크(62)는, 상기 지지축(51)주위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당해 지지축(51)에 지지되고, 그 소정부위가 상기 슬리브(55)의 핀(55a)에 결합됨과 동시에, 이 핀(55a)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회전운동링크(62)를 관통하는 긴구멍(62)이 형성되어있다.
한편, 상기 로크전환 핀(56)의 후단에는 링크결합판(64)이 고정되고, 이 링크결합판(64)에도 당해 링크결합판(64)을 관통하는 긴구멍(6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구멍(64a)과 상기 긴구멍(62a)에 공통의 핀(66)이 상하방향으로 삽입통과되어있다.
이 로크전환기구(60)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54)의 출력축(54a) 및 슬리브(55)가 비틀림 코일스프링(53)의 탄발력으로 도 4의 실선으로 도시한 몰입위치에 있을 때(즉 솔레노이드(54)가 오프인 때)는, 로크전환 핀(56)이 동 도면 실선으로 도시하는 저지위치로 전환되는 한편, 이 상태로부터 솔레노이드(54)가 온으로 전환되어 그 출력축(54a) 및 슬리브(55)가 동 도면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돌출위치까지 돌출함에 따라, 회전운동링크(62)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로크전환 핀(56)이 동 도면 2점쇄선의 대피위치까지 끌어넣어지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링크결합판(64)의 근방에는, 로크전환 핀(56)이 저지위치로 전환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로크검지스위치(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검지스위치(68)는, 도시한 예에서는 리밋스위치로 이루어지고, 롤러로 이루어지는 접촉자(68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로크전환 핀(56)이 저지위치까지 전진했을 때에 그 링크결합판(64)이 상기 접촉자(68a)에 맞닿고, 이 로크검지스위치(68)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개폐구동장치(20) 및 로크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70)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어장치(70)는, 도시한 개폐구동제어수단(72) 및 로크제어수단(74)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구동제어수단(72)은, 문폐쇄스위치(15)의 검지신호나 상기 모터(22)에내장된 인코더의 출력신호(즉 미닫이 개폐구동량 검출신호)에 근거해서, 당해 모터(22)의 구동제어 즉 미닫이(10)의 개폐구동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로크제어수단(74)은, 타이머를 내장함과 동시에, 차속스위치(76)나 상기 로크장치(30)에 있어서 로크검지스위치(68)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로크장치(30)의 솔레노이드(54)에 제어신호(여자전류)를 출력하여 당해 솔레노이드(54)의 온오프전환 즉 로크전환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차속스위치(76)는, 미닫이(10)가 설치되어 있는 철도차량의 주행속도가 일정이상인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것이고, 당해 주행속도가 일정치(예를 들면 5km/h)이상으로 된 시점에서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된다.
다음에, 이 제어장치(70)가 행하는 구체적인 제어동작 및 그 제어에 따라 로크장치(30)의 작용을, 도 7의 프로차트 및 도 8 , 도 9의 타임차트도 아울러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타임차트는 후술하는 타이머 업의 타이밍에 근거해서 로크제어가 된 경우, 도 9의 타임차트는 후술하는 차속신호의 전환타이밍에 근거해서 로크제어가 된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미닫이(10)를 닫는 뜻의 지령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도 7의 스텝S1), 개폐구동 제어수단(72)은 개폐구동장치(20)의 모터(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닫기 구동력(F1)에 의한 미닫이(10)의 닫기구동을 행하게 한다(스텝S2).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원동풀리(23)를 동 도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좌우의 미닫이(10)를 서로 가깝게 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 때, 좌측 미닫이(10)의 걸어맞춤 핀(18)은 당해 미닫이(10)와 일체로 수평이동하고, 완전폐쇄위치근방의 영역에서, 도 3의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경사위치에 있는 회전운동부재(36)의 걸어맞춤 홈(36c)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 홈(36c)내에 걸어맞춤 핀(18)이 침입한 시점으로부터는, 당해 걸어맞춤 핀(18)의 닫는 방향의 이동(도 3에서는 우향이동)에 따라 회전운동부재(36)가 동 도면 실선의 직립위치를 향하는 방향(동 도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이 회전운동부재(36)와 걸어맞춤하고 있는 로크 암(40)은 비틀림 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가압력)에 저항하여 동 도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시작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 로크전환기구(50)의 솔레노이드(54)는 온으로 전환되어 있고, 로크전환 핀(56)은 도 4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대피위치로 후퇴되어 있으므로, 이 로크전환 핀(56)과 상기 로크 암(40)이 간섭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하여 닫기구동을 진행하고, 문폐쇄스위치(15)가 온으로 전환되고(스텝S3에서 YES), 더욱이, 모터(22)에 내장된 인코더의 위치검출신호가 정지하여 미닫이(문짝)(10)가 정지한 것이 검지된 시점에서(스텝S4에서 YES), 개폐구동 제어수단(72)은, 양 미닫이(10)가 서로 맞닿는 위치(임시 닫는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고, 모터(22)의 전압을 올려서 그 닫기구동력을 그때까지의 구동력(F1)보다도 더 큰 구동력(F1')으로 전환한다(스텝S5). 이것에 의해, 양 미닫이(10)는, 그 문끝에 설치된 탄성재(11)의 압축변형을 동반하면서 서로 강하게 가압되고, 완전히 완전폐쇄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로크장치(30)에서는, 회전운동부재(36)가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완전히 직립위치에 도달하고, 그 포크부(36e)의 맞닿음면(36g)과 로크 암(40)의 걸어맞춤용 롤러(48)가 동 도면의 점(P)에서 맞닿는 로크위치에 로크 암(40)이 자동적으로 위치결정된다.
이 로크위치에서는, 상기 맞닿음 점(P)에 있어서 회전운동부재(36)의 회전접선방향의 연장선(L)상에 지지축(38)이 위치하고 있고, 로크 암(40)은 소위 데드포인트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미닫이(10)의 탄성재(11)의 탄발력이 상기 맞닿음 점(P)으로부터 로크 암(40)에 반력(여는방향의 반력)(T)으로서 작용해도, 이 반력(T)은 로크 암(40)을 회전운동시키는 힘으로서는 작용하지 않고, 전부 압축하중으로서 로크 암(40)에 작용한다. 환언하면, 상기 반력(T)은 로크 암(40)을 매개로 하여 지지축(38)측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미닫이(10)를 완전한 완전폐쇄위치에 이르게 한 후, 이번에는 모터(22)의 전압을 내려 그 닫기구동력을 통상시의 구동력(F1)보다도 낮은 F2로 저하시킴과 동시에, 로크제어장치(74)는 내장된 타이머를 시동시킨다(스텝S6).
이와 같이 하여 닫기구동력이 F2로 내려진 결과, 도 3에 도시하는 회전운동부재(36)로부터 로크 암(40)에 전달되는 반력(T)은 내려가고, 동 로크 암(40)은 로크위치를 유지하지만, 이 시점에서 로크전환 핀(56)은 아직 대피위치에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완전폐쇄위치에서 미닫이(10)끼리의 사이에 의복 등의 이물이 끼인 경우, 수동으로 열기 방향의 힘을 미닫이(10)에 가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한 원조를 받아서 회전운동부재(36) 및 로크 암(40)을 상기와는 역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서 미닫이(10)를 여는 것이 가능하며,이것에 의해 상기 이물을 탈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문폐쇄스위치(15)가 오프로 전환된 시점에서(스텝S7에서 YES), 개폐구동 제어수단(20)은, 긴급개방조작이 되었다고 판단하여 미닫이(10)를 소정시간 여는방향으로 구동한다(스텝S8).
한편, 닫기구동력(F2)까지 하강시킨 후, 문개방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문폐쇠스위치(15)가 온인채로, 도 8의 타임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머 업했을 때(즉 구동력 저하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도 7의 스텝S9에서 YES), 또는, 도 9의 타임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머 업 이전에 차량이 발진하여 차속스위치(76)의 출력신호가 온으로 전환된 때(즉 차량주행속도가 일정이상으로 달했을 때; 도 7의 스텝S10에서 YES)에는, 닫기구동력을 그때까지의 구동력(F2)으로부터 상기 구동력(F1')까지 재상승시키고(스텝S11), 양 미닫이(10)를 다시 완전한 완전폐쇄위치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회전운동부재(36)를 직립위치, 로크 암(40)을 로크위치에 각각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로크제어수단(74)은 로크전환기구(50)의 솔레노이드(54)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고(스텝S12), 비틀림 코일스프링(53)의 탄발력으로 로크전환 핀(56)을 그때까지의 대피위치로부터 도 4 및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저지위치까지 돌출시킨다. 이 로크전환 핀(56)의 존재에 의해, 로크 암(40)은 상기 로크위치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이 로크 암(40)에 회전운동부재(36)를 통해서 연결되는 미닫이(10)는 상기 완전폐쇄위치에 로킹된다. 이와 같은 로킹동작이 로크검지스위치(68)에 의해 검출된 후(스텝S13에서 YES), 개폐구동 제어수단(20)은 모터(22)의 통전을 끊어서 그 닫기구동력을 0으로 한다(스텝S14). 즉, 구동을 해제한다.
이 로크상태에서는,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양 미닫이(10)의 탄성재(11)의 탄발력이 회전운동부재(36)로부터 로크 암(40)에 반력(T)으로서 작용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반력(T)은 로크 암(40)을 회전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지 않고, 오로지 로크 암(40)의 압축하중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저지위치에 있는 로크전환 핀(56)에 작용하는 힘은, 비틀림 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 및 로크 암(40)의 자중에 의한 하향의 가압력뿐만이고, 상기 반력(T)이 로크전환 핀(56)측에 작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동 로크전환 핀(56)을 다시 대피위치로 후퇴시키는데 요하는 구동력은 근소하고, 종래와 같이 여는 방향의 반력이 그대로 핀에 작용하는 것에 비하여, 구동원인 솔레노이드로서 보다 저렴하게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크전환 핀(56)을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시키고, 미닫이(10)에 열기방향의 구동력을 부여하면, 상기 가압력도 함께 로크 암(40) 및 회전운동부재(36)의 회전운동을 동반하면서 미닫이(10)를 열 수 있다.
또, 상기 로크전환기구(60)의 예를 들면 회전운동링크(62)에 케이블 등을 통해서 수동 조작용 부재(예를 들면 회전조작가능한 핸들)를 연결하고, 이 수동 조작용 부재의 조작에 의해 당해 회전운동링크(62)를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비상시 등에 있어서 장치로의 전원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수동조작으로 회전운동링크(62)를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로크전환 핀(56)을 대피위치로 후퇴시키므로써, 수동으로 로크해제 및 미닫이(10)의 개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동 개방후, 상기 수동 조작용 부재를 조작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로크전환 핀(56)은 원래의 저지위치로 복귀하려고 하는데, 이 때 회전운동부재(36)는 도 3의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경사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로크전환 핀(56)은 회전운동부재(36)의 이면에 닿아서 저지위치로는 복귀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닫이(10)가 정규의 완전폐쇄위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로크 상태로 되는, 소위 헛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그 후, 수동 또는 모터구동에 의해 미닫이(10)를 완전폐쇄위치까지 복귀시키면, 회전운동부재(36)가 도 3의 실선위치(직립위치)로 복귀되어 로크전환 핀(56)이 저지위치에 돌출하기 때문에, 미닫이(10)는 다시 자동적으로 로킹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로서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재인 비틀림 코일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로크 암(40)을 로크위치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로크 암(40)의 자중만으로 로크해제를 위한 가압력이 충분히 얻어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가압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2) 본 발명에서는, 회전운동부재나 로크부재의 구체적 형태나 구조는 묻지 않는다. 다만, 상기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인 로크 암(40)이 회전운동부재(36)와 접촉하는 부위를 회전가능한 걸어맞춤용 롤러(48)에 의해 구성되므로써, 로크위치에 로크 암(40)과 회전운동부재(36)의 접촉부위에서의 마찰력을 줄이고, 그만큼 비틀림 코일스프링(44)에 의해 가압력을 낮게 하여, 로크전환 핀(56)에 걸리는 하중 나아가서는 솔레노이드(54)의 구동부하를 더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암(40)의 회전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전후방향)으로 로크전환부재인 로크전환 핀(56)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예를 들면 로크전환부재를 상기 저지위치에서 소정방향으로 넘어뜨리므로써 당해 저지위치에서 대피시켜 언로킹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상기 지지축(38)은, 상기 맞닿음 점(P)에 있어서 회전운동부재(36)의 회전접선방향의 연장선(L)상에 완전히 위치하여 있지 않아도 되고, 그 근방에 있어도 좋다. 요는 상기 맞닿음 점(P)에서 로크 암(40)이 받는 반력(T)의 거의 전부가(전단하중은 아니고)압축하중으로서 로크 암(40)에 작용하도록, 로크장치에서의 맞닿기 점(P)에 대한 로크 암(40) 및 지지축(38)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암(40)이 로크위치로 위치결정되는 미닫이(10)의 위치 즉 완전한 완전폐쇄위치를, 당해 미닫이(10)의 탄성재(11)끼리가 가압되는 위치에 설정되지만, 당해 탄성재(11)를 생략하여 단순히 미닫이(10)끼리가 마주친 위치를 완전폐쇄위치로 하여도 좋다. 다만, 상기와 같이 탄성재(11)가 탄성변형을 동반하면서 완전폐쇄위치로 가압되는 위치를 완전한 완전폐쇄위치로 하면, 밀폐성이 높아지는 한편, 상기 탄성재(11)의 탄발력이 회전운동부재(36)를 통해서 로크 암(40)에 반력(T)으로서 가하여도, 이 반력(T)은 당해 로크 암(40)을 회전운동시키는 힘이나 전단력으로서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히 유효하게 된다.
(6) 본 발명에서는, 미닫이(10)를 닫고 또한 로킹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어동작은 불문으로 한다. 예를 들면, 타이밍을 가늠보아 수동에 의한 스위치조작으로 미닫이의 로킹을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관한 로크장치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54)의 구동력에 의해 로크전환 핀(56)을 움직이므로써 로크상태와 언로크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54)의 출력축(54a)을 로크 암(40)에 직결하여 당해 로크 암(40)을 직접 구동하도록(로크위치와 그 외의 위치로 전환한다)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출력축(54a)의 외주면에 핀(54c)을 설치하는 한편, 로크 암(40)에 상기 핀(54c)이 끼워 들어가 긴구멍(40c)을 설치하는 등하여, 솔레노이드(54)의 작동과 로크 암(40)의 회전운동이 연동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로크부재의 움직이는 방법에 대하여도 여러 가지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지지축(3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는 로크 암(40) 외에, 예를 들면 도 10(b)의 실선 및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가능(슬라이딩가능)한 로크 슬라이더(40')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더에 의해, 미닫이 완전폐쇄상태에서의 회전운동부재(36)와 구조물측에 고정된 지지부재(38') 사이에 개재하는 로크위치(도면의 실선위치)와, 이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도면의 2점쇄선위치)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미닫이의 개폐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부재와, 구조물측에 위치고정된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운동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 로크부재를 개재시키므로써, 상기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운동을 저지하여 미닫이를 완전폐쇄위치에 로킹하도록 하고, 또한, 그 로크부재의 로크위치를 그 로크위치에 있는 로크부재에 상기 회전운동부재가 맞닿는 부위에서의 당해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접선방향의 연장선상 또는 그 근방에 상기 지지부재가 위치하도록 설정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로크부재에 직접 미닫이로부터의 반력이 전단하중으로서 작용하는 것에 비하여, 로크부재를 로크위치와 그 이외의 위치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삭감할 수 있다. 즉, 작은 구동력으로 미닫이 완전폐쇄의 로크 및 로크해제를 확실히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구조물에 설치된 미닫이를 완전폐쇄상태에서 로킹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측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미닫이의 완전폐쇄위치근방에서 당해 미닫이와 걸어맞춤되어 당해 미닫이의 개폐이동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구조물측에 배열설치되고, 이 배열설치위치가 고정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와 상기 미닫이가 완전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회전운동부재와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당해 미닫이가 열기방향으로의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로크위치와 이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구조물측에 설치된 로크부재와, 전기적 구동원을 포함하고, 그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로크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상태와 동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나는 언로크 상태로 전환되는 로크전환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위치는, 그 로크위치에 있는 로크부재에 상기 회전운동부재가 맞닿는 부위에서의 당해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접선방향의 연장선상 또는 그 근방에 상기 지지부재가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당해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회전운동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하고 또한 상기 미닫이가 완전폐쇄의 상태에서 상기 로크위치에 위치하도록 당해 회전운동부재에 걸어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로크위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로크전환기구는, 그 전기적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가압의 힘에 저항하여 상기 로크위치에 유지하는 로크상태와 당해 로크부재를 해방하는 언로크상태로 전환되고, 당해 언로크상태로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가압의 힘으로 상기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로크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전환기구는,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로크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당해 로크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위치와 이 저지위치로부터 대피하는 대피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로크전환부재를 가지고, 이 로크전환부재를 상기 전기적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상기 저지위치와 대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전환부재의 이동방향이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전환기구는,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로크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당해 로크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위치와 이 저지위치로부터 대피하는 대피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로크전환부재를 가지고, 이 로크전환부재를 상기 전기적 구동원의 구동력으로 상기 저지위치와 대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전환부재의 이동방향이 상기 로크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의 로크장치.
KR10-2001-0043325A 2000-09-12 2001-07-19 미닫이의 로크장치 KR100424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76500A JP3517193B2 (ja) 2000-09-12 2000-09-12 引き戸のロック装置
JPJP-P-2000-00276500 2000-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88A KR20020020988A (ko) 2002-03-18
KR100424736B1 true KR100424736B1 (ko) 2004-03-30

Family

ID=1876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325A KR100424736B1 (ko) 2000-09-12 2001-07-19 미닫이의 로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17193B2 (ko)
KR (1) KR100424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71Y1 (ko) 2008-12-31 2011-01-12 김야현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4021B2 (ja) * 2005-05-13 2010-11-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ック付開閉装置
KR100699557B1 (ko) * 2006-06-10 2007-03-23 김종수 선박 휠하우스의 슬라이드식 도어용 도어록의 잠금장치
PL2079894T3 (pl) * 2006-11-10 2013-01-31 Nabtesco Corp Urządzenia do otwierania i zamykania z ryglem
KR101146310B1 (ko) 2010-07-30 2012-05-21 주식회사 이지라커 전기정
JP6576628B2 (ja) * 2014-10-31 2019-09-18 ナブテスコ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ロック装置
JP6845709B2 (ja) * 2017-02-16 2021-03-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ドア装置、鉄道車両用ドア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非常用ドア解錠装置及びロック機構により施錠されたドア本体を解錠する方法
JP7031027B2 (ja) * 2021-01-07 2022-03-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ドア装置、鉄道車両用ドア装置を備えた鉄道車両及び非常用ドア解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359A (ja) * 1995-08-04 1997-02-18 Miwa Lock Co Ltd 開放状態引戸用ロック装置
JPH09250263A (ja) * 1996-03-15 1997-09-22 Miwa Lock Co Ltd 引戸用電気錠
JPH10102852A (ja) * 1996-09-28 1998-04-21 Miwa Lock Co Ltd 引戸錠
JPH10246040A (ja) * 1997-03-06 1998-09-14 Miwa Lock Co Ltd 引戸用電気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359A (ja) * 1995-08-04 1997-02-18 Miwa Lock Co Ltd 開放状態引戸用ロック装置
JPH09250263A (ja) * 1996-03-15 1997-09-22 Miwa Lock Co Ltd 引戸用電気錠
JPH10102852A (ja) * 1996-09-28 1998-04-21 Miwa Lock Co Ltd 引戸錠
JPH10246040A (ja) * 1997-03-06 1998-09-14 Miwa Lock Co Ltd 引戸用電気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71Y1 (ko) 2008-12-31 2011-01-12 김야현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17193B2 (ja) 2004-04-05
KR20020020988A (ko) 2002-03-18
JP2002089109A (ja)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5718B2 (ja) エレベータ用のロック機構付きドア駆動装置
FI101529B (fi) Lukitusmekanismilla varustetulla ovenkäyttölaitteella varustettu hissi
EP1041229B1 (en) Cab window lock system
JPH082351Y2 (ja) 自動車用リッドの自動ロック装置
KR100514200B1 (ko) 차량용 도어의 로킹제어방법 및 로킹장치
US20150076840A1 (en) Coupling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pivotably mounted body part, such as a vehicle door, tailgate or hood to a vehicle structural part of a motor vehicle body
KR100424736B1 (ko) 미닫이의 로크장치
KR101341337B1 (ko)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KR100509834B1 (ko) 차량용 도어의 로킹장치
US6216393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sliding door, in particular for vehicles
KR100418287B1 (ko) 철도차량용 문짝의 닫는 방법 및 장치
KR100512009B1 (ko) 차량용 도어의 로킹제어방법 및 로킹장치
KR20070055551A (ko) 록킹 장치
JPH0976882A (ja) 建設機械のワイパ作動制御装置
JP3217133B2 (ja) 建設機械の窓開閉装置
ITMI941373A1 (it) Azionamento rotante chiudibile per interruttori di potenza con una serratura per l'apparecchio elettrico con un glifo di manovra
JPH0611341Y2 (ja) 扉開閉機構
US11772937B2 (en) Elevator car door control system
JP2012162385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係合装置
EP0960248B1 (en) A window, in particular for installation in a facade, having an operating device and a window operator
KR0133980Y1 (ko)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MXPA99006036A (en) Cable-controlled window winder with a guiding track
JP2001063467A (ja) ステップ装置
JPH0415585Y2 (ko)
JPH04237782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