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520B1 - 신호변경회로및방법 - Google Patents

신호변경회로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520B1
KR100424520B1 KR1019960056382A KR19960056382A KR100424520B1 KR 100424520 B1 KR100424520 B1 KR 100424520B1 KR 1019960056382 A KR1019960056382 A KR 1019960056382A KR 19960056382 A KR19960056382 A KR 19960056382A KR 100424520 B1 KR100424520 B1 KR 10042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eighting
input
signal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266A (ko
Inventor
빈테레르 마르틴
Original Assignee
미크로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크로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미크로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03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신호원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신호(L) 및 제2 신호(R)를 변경하는 회로는, 제1 및 제2 조합 장치(K1,K2)에 의하여 변경된 제1 신호(L') 및 제2 신호(R')로 각각 조합되는 신호 성분(s1 내지 s6)을 형성하는 장치(F1 내지 F4, M1 내지 M6)를 포함한다. 제1 신호(L)와 관련된 제1 및 제2 신호 성분(s1,s2) 및 제2 신호(R)와 관련된 제3 신호 성분(s3)은 변경된 제1 신호(L')를 형성하고, 제2 신호(R)와 관련된 제4 신호 및 제5 신호 성분(s4,s5)은 변경된 제2 신호(R')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신호 변경 회로 및 방법{SIGNAL MODIFICATION CIRCUIT AND METHOD}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표시되거나 또다른 신호와 관련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변경하는 전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는 신호에 내포된 정보의 특정 효과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라고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광신호와 조합되고 래스터 스캐닝 또는 다수의 센서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의 경우에서의 윤곽 증폭기가 한 응용 장치의 예이다. 음파와 조합된 신호에 대하여 매우 유사한 응용 장치가 있으며, 이 신호는 최저파 주파수로부터 초음파 범위를 넘어서까지 확장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지진성 신호(seismic signal)와 물질 시험에 사용되는 초음파 범위에서의 고주파 신호도 평가될 수 있다. 이 평가에서는 정상 오디오 범위를 포함한다. 아주 간단한 경우에, 변경 회로는 표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부호화된 스테레오 신호를 처리하여 좌측 및 우측 신호가 합성 신호 및 차 신호의 부호화된 형태로 전송된다. 소위 스테레오 베이스가 공지된 변경 회로에 의해 전자적으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관련 확성기는 더 멀리 떨어져 배치된 것처럼 생각된다. 변경 회로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3 차원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두 개 이상의 확성기 및/또는 두 개의 이상의 신호에 의해 더 정교한 재생 시스템에서 음향 효과의 변화가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5,136,650에는 6 개의 공간 분배 확성기가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두 개의 본래 신호를 재생시키는 복합 음향 재생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효과 제어는 본래는 나타나지 않는 3차원 효과를 시뮬레이션한다.
1994년 "Elrad" 저널의 제7권 76 내지 81 페이지에서, "Effekthascherei"라는 재목의 논문은 스테레오 베이스가 전자 수단에 의해 넓어질 수 있는 방법 및 3차원 효과가 서라운드 매트릭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특정 신호 특성에 대하여 최적인 각각 3 개의 기본 회로가 표시된다. 회로들은 회로가 변화된 신호 특성에 따라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회로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효과 제어는 전체적으로 감소된 청각 센세이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방법으로 각각의 신호 특성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신호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열을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원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신호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는 제1 및 제2 신호로부터 신호 성분을 생성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성분은 제1 조합 장치 및 제2 조합 장치의 수단에 의해 각각 변경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조합되며, 여기서
- 제1 신호와 관련된 제1 및 제2 신호 성분 및 제2 신호와 관련된 제3 신호 성분은 출력이 변경된 제1 신호를 공급하는 제1 조합 장치에 인가된다.
- 제2 신호와 관련된 제4 및 제5 신호 성분 및 제1 신호와 관련된 제6 신호 성분은 출력이 변경된 제2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조합 장치에 인가된다.
도 1은 제1의 공지된 변경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2의 공지된 변경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3의 공지된 변경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Kl,K2 : 조합 장치
M1-M6 : 곱셈기
F1-F4 : 필터
sb : 감산기
r : 조절 장치
st : 제어 장치
HP : 고역 통과 필터
b1,b2 : 평가 장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의 공지된 변경 회로는 1994년 제7권 76 내지 81 페이지에 "Elrad"라는 이름으로 간행된 전술한 인용 논문을 포함한다. 회로 각각은 좌측 신호(L)로의 입력 및 우측 신호(R)로의 또 다른 입력을 가진다. 따라서, 회로 각각은 변경된 좌측 신호(L')에 대한 출력 및 변경된 우측 신호(R')에 대한 또다른 출력을 가진다. 각각의 회로는 제1 조합 장치(K1) 및 제2 조합 장치(K2)를 포함하며, 각각의 회로에서 다른 신호 성분들은 변경된 출력 신호(L',R') 각각을 얻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가산 또는 감산에 의해 조합된다. 이 변경된 신호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확성기(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된다. 이 확성기는 서로 너무 가까이에 배치되지 않도록 한다. 방향성 효과는 2개의 신호(L,R)와 그이후의 신호(L',R')가 서로 다른 경우에만 생성된다라고 알려져 있다. 차이가 클수록, 식별이 잘 되므로, 결국 청취자에 의해 임의로 배치된 음원은 서로 떨어져 이동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스테레오 베이스를 확장시키기 위해, 개별 변경 회로는 각각의 신호에서의 차를 증가시키는 반면에 공통 신호 성분을 감소시킨다. 공통 신호 성분은 통상 모노 신호라고 나타내고, 차는 차 신호라고 나타낸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두 개의 신호 성분은 스테레오 멀티플렉스 신5호의 전송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노 성분 그자체는 양호한 소리가 난다. 그러나, 차 성분은 실제 오디오 신호에 부합하지 않아 매우 불쾌한 소리가 난다.
도 1 내지 도 5의 모든 회로는 필터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오디오 신호의 경우, 수백Hz까지의 저주파수 성분이 모노 신호로 나타나기 때문에, 방향종속성은 이 저주파수 성분 이상의 주파수 성분에만 관계한다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것은 인간의 귀로는 방향에 따라 저주파수를 분석할 수 없다라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래서, 좌우 신호에 영향을 끼치는 각각의 신호 성분은 고역 통과 필터를 여과한 신호이기 때문에, 청취자의 위치에 따라 포워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필터 회로는 고역 통과 필터(HP)로 실행된다. 변경에 대한 각각의 신호 성분 저마다의 입력은 곱셈기(M) 및 음수, 양수와 1보다 더 큰 수일 수 있는 가중 인자에 의해 제어된다. 사실상, 가중 인자는 비교적 좁은 범위내에서 변하는데, 이는 넓은 범위에 걸쳐 변한다면, 생성된 효과로 인해 가공적인 음향 센세이션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 각각은 가중치가 인가된 신호(k)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하나의 곱셈기(M)만을 포함한다. 도 1 은 가중 인자(k)에 의해 모두 제어되는 두 개의 곱셈기(M)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개별적인 회로에 주안점을 두어 기술한다. 변경이 어떻게 개개의 변경된 신호에 영향을 끼치느냐가 이하의 특성 신호 콘텐트에 의해 각각의 대향 주파수 도표에서 기술된다:
1. 최초의 제1 및 제2 신호(L,R)는 상반적으로 동일하며, 이는 즉, R=-L이다. 이것은 합성 신호(=모노 신호(R+L))가 제로치를 갖고 차 신호(L-R)가 최대치를 가진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2. 최초의 제1 및 제2 신호(L,R)는 동일하며, 이는 즉, R=L이다. 이것은 합성 신호(=모노 신호(R+L))가 최대치를 갖고 차 신호(L-R)는 제로치를 가진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3. 최초 신호(L,R) 중 어느 하나는 제로치를 가지는 데, 예를 들면 R=0이다. 이것은 합성 신호(L+R) 및 차 신호(L-R)는 크기면에서 동일하다. 그러므로, 합성 신호(R+L)는 변경에서 비특정 신호(모노 신호)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고, 부적절한 회로에서는 변경된 결과에 영향을 끼친다. R=0인 이 단측 극신호(L,R)에 의해, 어느 정도의 신호 성분이 각각의 변경 회로에서 잘못된 신호 브랜치에 조합되는 지를 나타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변경후의 주파수 응답을 가능한한 평탄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가공적인 음향 임프레션(impression)이 초래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리 세기에 대한 전반적인 감지도는 변화되지 않는다.
도 1의 공지된 회로 배열에서, 방향성 효과는 제1 신호(L) 부분 및 제2 신호(R) 부분을 감산함으로써 증가되고, 이 신호 부분들은 각각의 다른 신호(R,L)로부터의 가중 인자 및 각각의 고역 통과 필터(HP)에 의해 결정된다. 이 변경은 만일 제1 신호(L) 또는 제2 신호(R) 중 어느 한쪽만이 나타나는 경우에 이상적이다라는 것이 대항 주파수 도표로부터 명백해진다. 이 경우에, R=0 이고 관련된 주파수 응답(L')은 평탄하다. 고주파수에서, 더 큰 합성 성분(L+R)을 가지는 신호(즉, R은 L과 거의 동일)는 감쇄된 것 같고, 한편 상반적으로 동일한 신호(R=-L)는 상승될 것이다. 그래서, 고주파수에서, 더 큰 모노 성분은 단조롭고 지루한 소리가 나고 더 큰 차 성분을 가지는 신호는 불쾌한 방법으로 강조될 것이다.
도 2의 공지된 회로예에서 동일 신호 성분을 가지는 제1 신호(L) 및 제2 신호(R), 즉 큰 합성 성분(L+R)을 가지는 신호로부터 감산함으로써 방향성 효과가 증가되어 제1 과 제2 신호의 차가 강조된다. 대항 주파수 도표로부터, 이것은 실질적인 합성 성분(R+L)과 부가로 상승 또는 크게 감쇄된 신호 성분, 예를 들어 R=0 인 신호 성분을 가지는 복합 신호에 대해 최적이다하는 것이 명백해진다.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는, 이것은 단측 신호원 및 큰 모노 성분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3의 공지된 회로에서, 감산기(sb)는 제1 신호(L) 및 제2 신호(R)로부터 차 신호(L-R)를 형성하고, 고역 통과 필터(HP) 및 가중단(M)은 제1 신호에 가산되고 제2 신호(R)로부터 감산되는 신호 성분을 형성한다. 차이 치의 가산 및 감산을 통해, 제1 및 제2 신호의 차는 증가되어, 출력에서의 변경된 신호(L',R')는 증가된 방향성 효과를 나타내고 그것에 의해 스테레오 베이스를 확장시킨다. 대항 주파수 도표는 도 3의 회로가 비특정 신호 예를 들면, R=L 인 모노 신호에 대하여 이상적으로 주파수 응답한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즉 거의 상반적으로 동일한 신호(R=-L)에 대하여 주파수 응답은 매우 양호하지 못하게 된다. 고주파수에서 이신호는 10dB까지 증가되어, 음향 임프레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모든 변형이 관련된 가중 인자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의 각각의 변경에서 또다른 신호 성분을 통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신호 성분은 또한 조합된다. 즉, 조합 장치에 의해 가산 또는 감산되어 변경된 제1 신호(L') 및 변경된 제2 신호(R')를 최종적으로 얻게 된다.
도 4 는 각각의 변경된 신호가 3 개의 신호 성분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변경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정해지지 않은 변경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신호 성분은 필터 회로 및 가중 인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특징에 있어서, 도 4의 실시예는 이미 단순화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왜냐하면 신호 성분 쌍((s2,s6),(s5,s3))이 싱글 필터 회로(F2,F4) 각각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신호원(q)은 출력으로 제1 신호(L) 및 제2 신호(R)를 제공한다. 신호원(q)은 명확히 결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병렬 출력을 가지는 다중 신호원일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및 제2 신호는 이웃 신호에 대응한다. 실시예는 좌측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신호 및 우측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신호(R)를 가지는 스테레오 신호에 한정된다. 이 경우에, 신호원(q)은 스테레오 멀티플렉스 신호용 디코더를 포함한다.
도 4의 회로에서, 제1 신호(L)는 제1 필터(F1) 및 곱셈기(M)를 구비한 제1 청감보정 장치를 통과하여 제1 신호 성분으로서 제1 조합 장치(K1)의 입력에 인가된다. 관련된 가중 인자(g)는 제1 곱셈기(M1)에 데이타값으로서 인가되거나 또는 고정된 산술 시프트에 대응한다. 제1 신호(L)는 제2 필터(F2)의 입력에 인가되고, 여섯 번째 신호 성분(s6)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청감보정 장치를 통과하고, 출력이 변경된 제2 신호(R')를 제공하는 제2 조합 장치(K2)에 공급된다. 제2 가중 장치에서의 가중치는 제2 곱셈기(M2)에 의해 초래되어 제2 가중 인자(k)가 곱셈기의 가중입력에 공급된다. 상기 신호가 제2 가중 장치를 통과한 후에, 상기 신호가 제3 가중 장치를 통과하고 제2 신호 성분(s2)으로서 제1 조합 장치(K1)에 인가된다. 제3 가중 장치에서의 가중치는 제3 곱셈기(M3)에 의해 초래되어 제3 가중 인자(α)가 가중 장치의 가중 입력에 공급된다. 병렬의 제1, 제2, 제3 및 제6 신호 성분(s1,s2,s6)은 제1 신호(L)로부터 형성되고, 제4, 제5, 제3 신호성분(s4,s5,s3)은 제2 신호(R)로부터 형성된다. 제3 필터(F3) 및 제4 필터(F4)는 제1 및 제2 필터(F1,F2) 각각에 대응한다. 제4, 제5 및 제6 곱셈기(M4,M5,M6)는 제1, 제2, 제3 곱셈기(M1,M2,M3) 각각에 대응한다. 즉, 가중 장치의 입력들은 각각의 제1, 제2, 제3 가중 인자(G,K,α)를 공급받는다. 제3 및 제6 신호 성분(s3,s6)은 제1 및 제2 조합 장치(K1,K2) 각각의 감수(減數) 입력에 인가된다. 만일 관련 가중 인자가 기호(sign)로 변하는 경우에는 감수 입력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도 5 는 단순화된 형태로 도 4의 회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의 회로는 가중 인자를 조절 및/또는 미리 조절하는 조절 장치(r) 및 제어 장치(st)를 포함한다.
도 5의 회로의 실시예는 도 4의 매우 통상적인 회로 보다도, 특히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데 적용된다. 신호원(q)은 제1신호(L), 즉 좌측 신호 및 제2 신호(R), 즉 우측 신호를 제공한다. 제1 및 제4 신호 성분(s1,s4)은 여파되거나 또는 가중되지 않지만 제1 및 제2 신호(L,R) 각각에 직접 대응한다. 고역 통과 필터(HP) 및 제2 가중 인자(k)에 의해 영향을 받은 가중치에 의해, 제1 신호(L)는 제6 신호 성분(s6)으로 변화되고, 제2 조합 장치(k2)의 감수 입력에 인가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고역 통과 필터(HP) 및 동일 가중 인자(k)는 제2 신호(R)를 제3 신호 성분(s3)으로 변화시키고, 제1 조합 장치(K1)의 감수 입력에 인가된다. 제2 가중 인자(k)는 제어 장치(st)에 의해 제어되고, 그래서 바람직한 효과의 크기와 스테레오 베이스 폭을 결정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테레오 신호의 경우에 있어서의 방향 종속관계는 중간 및 상위 주파수 범위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제2, 제3, 제5 및 제6 신호 성분(s2,s3,s5,s6)은 차단 주파수가 300Hz보다 더 높은, 통상적으로 차단 주파수가 700Hz인 고역 통과 필터(HP)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주파수 도표로부터 차단 주파수에 의해 신호 크기의 증가 또는 감소의 범위가 변화되고, 복합 신호의 경우에는 청각 센셔이션에 영향을 끼친다라는 것이 명백해진다. 제2 및 제5 신호 성분(s2,s5)은 제3 가중 인자(α)에 의하여 각각의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고역 통과 필터를 여파한 제1 및 제2 신호로부터 각각 형성된다. 제3 가중 인자(α)값에 의하여, 도 1 내지 도 3의 공지된 회로를 조절할 수 있고, 임의의 중간단도 조절될 수 있다.
가중 인자(α)가 0인 경우에는 도 1의 주파수 응답은 조절되어 두 개의 성분(L,R) 중 어느 하나가 0의 값을 가지는 스테레오 신호용으로 최적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가중 인자(α)가 거의 0.4와 0.5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 응답은 도 2의 주파수 응답에 대응하고 복합 신호에 가장 적절하도록 조절된다. 제3 가중 인자(α)는 상위 주파수 범위에서 비특정 신호의 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음수일 수도 있다. 가중 인자 α가 1 인 경우에는 도 3의 주파수 응답이 조절되고, 순수 모노 신호 또는 큰 모노 신호 성분을 가지는 신호에 대해서 이상적이다.
제3 가중 인자(α)가 다른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점선으로 표시되어 접속된 도 5에 도시된 제어 장치(st)에 의하여 고정치로서 조절되거나 또는 적적하게 신호 특성 자신의 제어에 의해 하에 조절되거나 하는 둘 중 하나의 방법으로 조절된다. 예를 들어, 이는 제1 평가 장치(b1)에 의하여 좌우측 신호(L,R)로부터 결정된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모노 신호 성분 및 차(差) 신호 성분은 가산기 및 감산기를 통하여 각각 결정된다. 생리적인 청각 감도는 각각의 필터에 의하여 대략적으로 시뮬레이팅되고, 각각의 주파수 범위는 개별적으로 다루어지거나 또는 특별 가중된다. 이것은 가중 인자(α)의 적응 제어에 대응하고, 도 5에서는 제1 평가 장치(b1)의 출력에서의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만일 응답 평가가 평가 창치(b2)에 의하여 변경된 출력 신호(L',R')에 대하여 실행되기도 한다면, 제1 및 제2 평가 장치(b1,b2)의 출력은 출력이 가중 인자의 크기를 제어하는 조절 장치(r)에 접속될 수 있다. 변경 회로의 입력 및 출력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효과 제어에는 상관 없이 변경 장치(r)로 인한 소리 세기의 인지가 변경하는 동안에도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만일 조절 장치(r)가 전체 주파수 범위 또는 개별 주파수 범위에서 소리 세기의 인지를 고려해야하는 경우, 제1 및 제2 평가 장치(b1,b2)는, 특히 변경 회로의 출력 및 입력에서의 신호로부터의 전력과 관련된 데이타를 결정해야만 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조절 장치(r)의 출력은 제3 가중 인자(α)를 제어한다.
물론, 도 5의 조절 및 평가 장치를 도 4의 변경 회로와 조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4에서, 일부분의 제1 및 제2 신호(L,R)는 제1 가중 인자(g)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및 제3 필터(F1,F3)는 전역통과필터와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전역 통과 필터로 각각 실행될 수 있다. 디지탈에서 요구되는 시간 보상은 개개의 회로예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테레오 신호의 프로세싱에 결코 제한되지 않지만, 적응 효과 제어는 많은 다른 신호에 이롭다.
본 발명은 단순한 방법으로 각각의 신호 특성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신호를 변경하기 위한 회로 배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제1 신호(L) 및 제2 신호(R)를 변경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L)를 수신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신호(R)를 수신하는 제2 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신호(L, R)로부터 복수의 신호 성분(s1 내지 s6)을 생성하는 수단과,
    제1 변경 출력 신호(L')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신호 성분(s1 내지 s6)의 제1 부분을 조합하는 제1 조합 장치(K1)(상기 제1 단자에 연결된 제1 입력, 제2 입력 및 제3 입력을 구비)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조합 장치(K1)의 상기 제2 입력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필터(F1), 제1 가중 장치(M1) 및 제2 가중 장치(M2)와,
    제2 변경 출력 신호(R')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신호 성분의 제2 부분을 조합하는 제2 조합 장치(K2)(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된 제1 입력, 제2 입력 및 제3 입력을 구비)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조합 장치(K2)의 상기 제2 입력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2 필터(F2), 제3 가중 장치(M3) 및 제4 가중 장치(M4)와,
    상기 제2 조합 장치(K2)의 상기 제3 입력에 연결된 상기 제1 가중 장치(M1)의 출력 및 상기 제1 조합 장치(K1)의 상기 제3 입력에 연결된 상기 제3 가중 장치(M3)의 출력
    을 포함하는 신호 변경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장치(K1, K2)는 가산기 또는 감산기 회로인 것인 신호 변경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 장치(M1)는 제1 곱셈기이고, 상기 제3 가중 장치(M3)는 제3 곱셈기이며, 상기 제1 및 제3 곱셈기는 제1 가중 인자(k)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곱셈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중 인자(k)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st)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 장치(M2)는 제2 곱셈기이고, 상기 제4 가중 장치(M4)는 제4 곱셈기이며, 상기 제2 및 제4 곱셈기는 제2 가중 인자(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 인자(α)는 상수이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2 및 제4 곱셈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중 인자(α)를 제공하는 제어 장치(st)를 더포함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중 인자(α)는 변수이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가로질러 연결된 평가 장치(b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장치(K1, K2) 각각의 출력을 가로질러 연결된 제2 평가 장치(b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장치(b1, b2) 각각의 출력은 조절 장치(r)에 연결되고, 상기 조절 장치(r)는 상기 평가 장치(b1, b2)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가중 인자(α)를 제어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F1, F2)는 고역 통과 필터인 것인 신호 변경 회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조합 장치(K1)의 상기 제1 입력사이에 연결된 제3 필터(F3) 및 제5 가중 장치(M5)와,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조합 장치(K2)의 상기 제1 입력 사이에 연결된 제4 필터(F4) 및 제6 가중 장치(M6)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필터(F3, F4)는 고역 통과 필터인 것인신호 변경 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가중 장치(M5)는 제5 곱셈기이고, 상기 제6 가중 장치(M6)는 제6 곱셈기이며, 상기 제5 및 제6 곱셈기는 제3 가중 인자(g)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신호 변경 회로.
  13. 제1 신호(L) 및 제2 신호(R)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L, R)로부터 복수의 신호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제1 변경 출력 신호(L')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조합 장치(K1)(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에 연결된 제1 입력, 제2 입력 및 제3 입력을 구비)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 성분의 제1 부분을 조합하는 단계 -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조합 장치(K1)의 상기 제2 입력 사이에 제1 필터(F1), 제1 가중 장치(K1) 및 제2 가중 장치(K2)가 직렬로 연결됨 - 와,
    제2 변경 출력 신호(R')를 제공하기 위해, 제2 조합 장치(K2)(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에 연결된 제1 입력, 제2 입력 및 제3 입력을 구비)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 성분의 제2 부분을 조합하는 단계 -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조합 장치(K2)의 상기 제2 입력 사이에 제2 필터(F2), 제3 가중 장치(M3) 및 제4 가중 장치(M4)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조합 장치(K2)의 상기 제3 입력에 상기 제1 가중 장치(M1)의 출력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조합 장치(K1)의 상기 제3 입력에 상기 제3 가중 장치(M3)의 출력이 연결됨 -
    를 포함하는 신호 변경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성분은 제1 신호 성분(s1), 제2 신호 성분(s2), 제3 신호 성분(s3), 제4 신호 성분(s4), 제5 신호 성분(s5) 및 제6 신호 성분(s6)을 포함하는 것인 신호 변경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신호 성분(s1 내지 s3)을 결합하여 상기 제1 변경 출력 신호(L')를 형성하고, 상기 제4, 제5 및 제6 신호 성분(s4 내지 s6)을 결합하여 상기 제2 변경 출력 신호(R')를 형성하는 것인 신호 변경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5 신호 성분(s2 및 s5)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L, R)를 고역 통과 필터링한 후 상기 필터링된 제1 및 제2 신호에 제1 가중 인자(k) 및 제2 가중 인자(α) 모두를 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신호 변경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6 신호 성분(s3 및 s6)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L, R)를 고역 통과 필터링한 후 상기 필터링된 제1 및 제2 신호에 가중 인자(k)를 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신호 변경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4 신호 성분(s1 및 s4)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L, R)를 고역 통과 필터링한 후 상기 펄터링된 제1 및 제2 신호에 제3 가중인자(g)를 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신호 변경 방법.
KR1019960056382A 1995-11-25 1996-11-22 신호변경회로및방법 KR100424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118595A EP0776144B1 (de) 1995-11-25 1995-11-25 Signalmodifikationsschaltung
EP95118595.8 1995-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266A KR970032266A (ko) 1997-06-26
KR100424520B1 true KR100424520B1 (ko) 2004-06-18

Family

ID=821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382A KR100424520B1 (ko) 1995-11-25 1996-11-22 신호변경회로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22437A (ko)
EP (1) EP0776144B1 (ko)
JP (1) JPH09191499A (ko)
KR (1) KR100424520B1 (ko)
DE (1) DE5950918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355B (fi) * 1998-05-07 2001-01-15 Nokia Display Products Oy Menetelmä ja laite virtuaalisen äänilähteen syntetisoimiseksi
US7136493B2 (en) * 2000-06-28 2006-11-14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Sub-harmonic generator and stereo expansion processor
US7242779B2 (en) * 2002-05-30 2007-07-10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harmonic generation, stereo expansion and distortion
JP4509686B2 (ja) * 2004-07-29 2010-07-21 新日本無線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9065436A (ja) * 2007-09-06 2009-03-26 New Japan Radio Co Ltd ステレオ再生装置
US8335331B2 (en) * 2008-01-18 2012-12-18 Microsoft Corporation Multichannel sound rendering via virtualization in a stereo loudspeaker system
US8577065B2 (en) * 2009-06-12 2013-11-05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immersion surround sound and virtual speakers effects
US20150036826A1 (en) * 2013-05-08 2015-02-05 Max Sound Corporation Stereo expander method
US20140362996A1 (en) * 2013-05-08 2014-12-11 Max Sound Corporation Stereo soundfield expander
US20150036828A1 (en) * 2013-05-08 2015-02-05 Max Sound Corporation Internet audio softwar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5706B (it) * 1985-09-12 1987-11-12 Sgs Microelettronica Spa Sistema non recursivo di espansione della base stereo per apparati di diffusione acustica stereofonica
US4748669A (en) * 1986-03-27 1988-05-31 Hughes Aircraft Company Stereo enhancement system
US4875658A (en) * 1986-10-08 1989-10-24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valve
DE68921890T2 (de) * 1988-07-08 1995-07-20 Adaptive Audio Ltd Tonwiedergabesysteme.
JPH0435499A (ja) * 1990-05-31 1992-02-06 Sony Corp 音響付加回路
DE4028447A1 (de) * 1990-09-07 1992-03-12 Teves Gmbh Alfred Elektromagnetventil fuer hydraulische bremsanlagen mit schlupfregelung
DE4030424A1 (de) * 1990-09-26 1992-04-02 Bosch Gmbh Robert Druckbegrenzungsventil, insbesondere fuer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n
DE4030971A1 (de) * 1990-10-01 1992-04-02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betaetigtes ventil
US5136650A (en) * 1991-01-09 1992-08-04 Lexicon, Inc. Sound reproduction
DE4103365A1 (de) * 1991-02-05 1992-08-13 Teves Metallwaren Alfred Drucksteuerventil
DE9102383U1 (de) * 1991-02-28 1991-05-16 Türk & Hillinger GmbH, 78532 Tuttlingen Axialer Schraubanschluß für elektrische Rohrheizkörper
DE9107436U1 (de) * 1991-06-17 1991-08-22 Binder Magnete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Elektromagnetventil mit Druckmittel beöltem Magnetsystem
DE4129638C2 (de) * 1991-09-06 2002-01-10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s Sitzventil
DE4135062A1 (de) * 1991-10-24 1993-04-2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schleunigen des bremseneingriffs im antriebsschlupfregelbetrieb und hydraulische bremsanlag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DE4141546C2 (de) * 1991-12-17 2002-02-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hydraulische Bremsanlagen mit Schlupfregelung
US5420929A (en) * 1992-05-26 1995-05-30 Ford Motor Company Signal processor for sound image enhancement
DE4236047A1 (de) * 1992-10-24 1994-04-28 Teves Gmbh Alfred Bremsanlage mit Blockierschutz- und/oder Antriebsschlupfregelung
US5572591A (en) * 1993-03-09 1996-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field controller
WO1994022229A1 (de) * 1993-03-24 1994-09-29 Blaupunkt-Werke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ableitung von signalen zur maskierung von audiosignalen
EP0637191B1 (en) * 1993-07-30 2003-10-2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urr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440638A (en) * 1993-09-03 1995-08-08 Q Sound Ltd. Stereo enhanc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22437A (en) 1998-10-13
DE59509187D1 (de) 2001-05-17
KR970032266A (ko) 1997-06-26
EP0776144A1 (de) 1997-05-28
JPH09191499A (ja) 1997-07-22
EP0776144B1 (de) 200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166B1 (ko) 스테레오 합성기
US5930733A (en) Stereophonic image enhancement devices and methods using lookup tables
DE69429298T2 (de) Schallfeldsteuerungssystem
CA1234055A (en) Stereo generator
US8009836B2 (en) Audio frequency response processing system
US4567607A (en) Stereo image recovery
US50955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coherent multiples of a monaural input signal for sound image placement
US8064607B2 (en) Method for producing more than two electric time signals from one first and one second electric time signal
JP2979848B2 (ja) 電子楽器
US6587565B1 (en) System for improving a spatial effect of stereo sound or encoded sound
KR100424520B1 (ko) 신호변경회로및방법
US5740253A (en) Sterophonic sound field expansion device
US4910778A (en) Signal enhancement processor for stereo system
US5604809A (en) Sound field control system
US6122381A (en) Stereophonic sound system
GB2202111A (en) Reverb generator
JPH1094098A (ja) モノラル信号から多チャンネル信号を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
US5727067A (en) Sound field control device
US5543579A (en) Effector
US6754352B2 (en) Sound field production apparatus
US4449229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US7366312B2 (en) Artificial stereophonic circuit and artificial stereophonic device
CA1175362A (en) Acoustic image enhanc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231497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
JPH01223895A (ja) 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