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776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776B1
KR100423776B1 KR10-2001-0045573A KR20010045573A KR100423776B1 KR 100423776 B1 KR100423776 B1 KR 100423776B1 KR 20010045573 A KR20010045573 A KR 20010045573A KR 100423776 B1 KR100423776 B1 KR 10042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lever
contact
housing
lever
si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553A (ko
Inventor
이따바시다까유끼
니이누마아끼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조작시 가동접점의 진폭을 없애며 고정측 접점의 스프링 응력이나 접촉압을 안정시킴으로써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검출스위치의 접점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일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부 (1a) 에 설치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 (4) 의 아암부 (4c) 가 걸려 코일스프링 (4)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동측 접점 (4f) 을 고정측 접점 (3) 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 (5) 를 구비한 하우징 (1) 에 조작레버 (5) 의 누름 조작시 및 좌우방향으로의 경사전도 조작시에 조작레버 (5) 와 맞닿아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작레버 (5) 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와 슬라이딩하는 원호면형상의 슬라이딩 면부 (5e, 5f) 를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SWITCH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의 메커니즘 구동용 검출스위치로서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을 사용한 접점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출스위치 구조에서는 접점부에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을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검출스위치의 접점부 구조로서는 가동측 접점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이 코일스프링으로부터 아암부를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이 아암부를 가동측 접점으로 사용하고, 또한 코일스프링을 조작레버의 복귀용 스프링부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이 코일스프링이 스위치의 하우징 등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이 감겨 있는 코일부가 하우징 등에 고정되어 고정단자에 접속된다. 또, 코일부로부터 연이어 설치된 아암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나 아암부의 자유 단부가 가동측 접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측 접점의 이동 궤적 상에는 고정단자와 대향하여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클립형상의 고정측 접점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암부가 조작레버에 의해 눌림으로써 가동측 접점이 이동되어 고정측 접점과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 때 가동측 접점의 이동 궤적은 아암부의 코일부와의 연장 설치부를 지점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이동하게 되고, 조작레버와의 맞닿음부나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부에 동작 폭 (미끄럼 폭) 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검출스위치의 접점부 구조는 가동측 접점으로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을 하우징에 장착하는 경우에 감긴 코일부를 하우징에 고정시켜 장착하고 있어, 가동측 접점의 이동 궤적은 아암부의 코일부와의 연장 설치부를 지점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동측 접점이 고정측 접점의 중심에서 가로로 어긋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고 클립형상의 스프링편에 대하여 일측만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접촉이 불안정해지고 또한 일측 스프링편만 크게 휨으로써 응력이 커져 접점의 수명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검출스위치의 접점부 구조에서, 조작시의 가동측 접점의 이동 궤적을 직선형상으로 하여 가동접점의 진폭을 없앰으로써, 고정측 접점과의 접속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조작레버의 가로방향의 덜컥거림을 규제함으로써 고정측 접점의 스프링 응력이나 접촉압을 안정시켜,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검출스위치의 접점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검출스위치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동 검출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좌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좌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우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우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누름방향으로 눌리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누름방향으로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검출스위치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좌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우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조작레버가 누름방향으로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1a : 수납부
1b : 개구부 1c, 1d : 슬라이딩 가이드부
2 : 고정단자 2a : 받이부
2b : 접속단자 3 : 고정측 접점
3a : 접점판 3b : 접속단자
4 : 코일스프링 4a : 코일부
4b, 4c : 아암부 4d, 4e : 굴곡부
4f : 가동측 접점 5, 15 : 조작레버
5a, 15a : 경사면 5b, 15b : 걸림 구멍
5c, 5d, 15c, 15d : 회전운동 축부 5e, 5f, 15e : 슬라이딩 면부
6 : 커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수납부의 일단측에 설치된 고정단자, 이 고정단자에 대향하여 상기 수납부의 타단측에 설치된 고정측 접점, 양측에 아암부를 가지며 이 아암부 일측이 상기 고정단자에 지지됨과 동시에 타측 아암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측 접점이 형성된 코일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기 아암부가 걸려 상기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조작레버의 누름 조작시 및 좌우방향으로의 경사전도 조작시에 상기 조작레버와 맞닿아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슬라이딩하는 원호면형상의 슬라이딩 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레버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의 상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 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한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경사전도방향과 반대측의 회전운동 축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조작레버가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면부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따라 누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조작레버의 누름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상기 회전운동 축부가 상기 수납부의 걸림부에서 벗어나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슬라이딩 면부의 원호면을 지나는 동심원 중심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가동측 접점이 형성된 아암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면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대향 측면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동심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의 내측면부에 대향된 한 쌍의 평행한 측벽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수단으로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된 부분에 방향이 다른 복수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2 에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도 1 은 검출스위치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2 는 측면도, 도 3 내지 도 8 은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를 조작할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3 은 좌측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 는 조작레버가 좌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는 우측방향으로 조작레버가 경사전도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 은 조작레버가 우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은 누름방향으로 조작레버가 눌리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 은 조작레버가 누름방향으로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내부에 수납부 (1a) 를 갖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하우징 (1) 에는 일측부에 후술하는 조작레버 (5) 가 돌출하여 설치되는 개구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부 (1a) 의 양측면부에는 후술하는 조작레버 (5) 의 누름 조작시 및 좌우방향으로의 경사전도 조작시에 후술하는 조작레버 (5) 의 슬라이딩 면부 (5e, 5f) 와 맞닿아 그 이동을 안내하는 평행한 세로벽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일단부에는 도전성 판재를 절곡 직립시켜 형성한 고정단자 (2)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단자 (2) 의 자유단측에는 V자형상의 받이부 (2a)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받이부 (2a) 에 후술하는 코일스프링 (4) 의 일측 아암부의 굴곡부 (4d) 가 걸리게 되어 있다. 또, 이 고정단자 (2) 의 타단측은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전자기기의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 등과 접속되는 접속단자 (2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단자 (2) 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것도 도전성 판재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클립형상으로 대치시켜 형성한 고정측 접점 (3) 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측 접점 (3) 에는 후술하는 가동측 접점 (4f) 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한 쌍의 접점판 (3a, 3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고정측 접점 (3) 의 타단측은 상기 하우징 (1) 의 외측으로 도출되어 동일하게 접속단자 (3b) 를 형성한다.
코일스프링 (4) 은 도전성 선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감긴형상의 코일부 (4a) 를 가지며 이 코일부 (4a) 의 양측에는 방사형상으로 연이어 설치된 한 쌍의 아암부 (4b, 4c)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부 (4b, 4c) 의 자유단측에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굴곡부 (4d, 4e)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 (4d, 4e) 중의 일측 굴곡부 (4d) 가 상기 고정단자 (2) 에 형성된 받이부 (2a) 와 걸리며 타측 굴곡부 (4e) 는 후술하는 조작레버 (5) 의 걸림 구멍 (5b) 에 걸리고, 이 굴곡부 (4e) 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측 접점 (3) 의 상기 접점판 (3a) 과 접속되는 가동측 접점 (4f) 이 된다.
상기 코일스프링 (4) 이 한 쌍의 상기 아암부 (4b, 4c) 가 상기 고정단자 (2) 와 조작레버 (5) 에 걸림으로써, 상기 코일부 (4a) 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된다.
조작레버 (5)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둥그스름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측에는 방향이 다른 한 쌍의 경사면 (5a, 5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 (5) 의 중앙에는 상기 아암부 (4c) 의 굴곡부 (4e) 가 걸리는 걸림 구멍 (5b)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 구멍 (5b) 에 걸린 상기 굴곡부 (4e) 의 선단부가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이 되고,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촉 분리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 (5) 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상면에 맞닿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 축부 (5c, 5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 축부 (5c, 5d) 를 상기 조작레버 (5) 의 양측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 (5) 는 좌우 양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조작레버 (5) 가 한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처음에 경사전도방향과 반대측의 회전운동 축부 (5c) (또는 5d) 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조작레버 (5) 가 회전운동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운동 축부 (5c, 5d) 를 상기 수납부 (1a) 의 세로벽인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를 따라 누름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누름방향으로의 조작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 (5) 의 대향 측면부에는 서로 외측으로 돌출된 원호면형상의 슬라이딩 면부 (5e, 5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면부 (5e, 5f) 는 중앙에 형성된 상기 걸림 구멍 (5b) 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 (4) 의 가동측 접점 (4f) 이 형성된 아암부 (4c) 가 걸리는걸림 구멍 (5b)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상기 슬라이딩 면부 (5e, 5f) 의 원호면을 지나는 동심원 중심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의 폭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면부 (5e, 5f) 의 외부직경은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호 간극이 매우 작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 (5) 가 누름 및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원호면형상의 상기 슬라이딩 면부 (5e, 5f) 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 및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 (5) 가 누름 및 경사전도 조작된 경우에도 상기 조작레버 (5) 는 상기 슬라이딩 면부 (5e, 5f) 의 원호면이 항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에 맞닿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방향의 덜컥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걸림 구멍 (5b) 의 위치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항시 직선형상의 궤적을 추적하도록 형성된다.
커버 (6) 는 박판의 금속판 등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1) 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코일스프링 (4) 이나 상기 조작레버 (5) 등의 튐을 방지하고 있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검출스위치의 동작을 도 3 내지 도 8 에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 은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를 조작할 때의 조작레버 및 접점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초기 상태 (도 1) 에서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되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시킨다. 이 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도시된 우측의 회전운동 축부 (5d) 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속된다.
이 때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3a, 3a) 에 양측에서 끼워져 접점부끼리 양면 접촉하여 안정된 접촉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도 3).
또, 상기 조작레버 (5) 를 좌측방향으로 마지막까지 경사전도 조작시키면, 상기 조작레버 (5) 는 상기 슬라이딩 면부 (5e, 5f) 가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를 따라 회전운동하면서 아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3a, 3a)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아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조작레버 (5) 의 누름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도시된 우측의 회전운동 축부 (5d) 가 상기 수납부 (1a) 의 걸림부에서 벗어나 도시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 한 쌍의 상기 아암부 (4b, 4c) 가 상기 고정단자 (2) 와 상기 조작레버 (5) 에 걸려 있고 상기 코일부 (4a) 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상기 아암부 (4b, 4c) 의 굴곡부 (4d, 4e) 끼리를 잇는 방향으로 휘게 된다 (도 4).
또,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슬라이딩 면부 (5e, 5f) 를 형성하고 있는 원호면을 지나는 동심원 중심에 형성된 상기 걸림 구멍 (5b) 에 걸려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 (5) 의 경사전도 조작에 따라 도시된 아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로방향의 진동이 없고, 상기 접점판 (3a, 3a) 의 일측만 크게 휘는 일 (일측 닿음) 이 없기 때문에 스프링 응력의 증대에 따른 상기접점판 (3a, 3a)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스위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은 상기 조작레버 (5) 를 도시된 우측방향으로 경사전도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좌측의 회전운동 축부 (5c) 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속된다.
이 때에도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접점판 (3a, 3a) 에 양측에서 끼워져 접점부끼리 양면 접촉하여 안정된 접촉 상태에서 이동되게 된다.
도 7 및 도 8 은 상기 조작레버 (5) 를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누른 경우를 나타내고, 이 때 상기 조작레버 (5) 는 양측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면부 (5e, 5f) 를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를 따라 상기 조작레버 (5) 의 누름방향, 즉 도시된 아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5) 이동에 따라 도시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속된다.
이 때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고정측 접점 (3) 의 한 쌍의 상기 접점판 (3a, 3a) 의 중심상을 직선형상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로방향으로의 진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 (5) 는 상기 슬라이딩 면부 (5e, 5f) 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1f) 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누름 및 경사전도 조작시에도 가로방향의 덜컥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도 6, 도 8 의 상태에서 각각 상기 조작레버 (5) 로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 (5) 는 상기 코일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 도 1 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도 9 는 검출스위치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2 는 검출스위치의 조작레버를 조작할 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 은 조작레버가 좌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은 조작레버가 우측방향으로 경사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그리고 도 12 는 조작레버가 누름방향으로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 1 내지 도 8 에서 설명한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고정측 접점 (2) 및 접속단자 (2b, 3b) 도 마찬가지로 생략한다.
이 경우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된 슬라이딩 가이드부 (1c) 와 조작레버 (5) 에 설치된 슬라이딩 면부 (5e, 5f) 의 구조가 약간 다르다는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조작레버 (15) 는 양측부에 한 쌍의 회전운동 축부 (15c, 15d) 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슬라이딩 면부 (15e) 의 구성이 다르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경우 조작레버 (15)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측에는 방향이 다른 한 쌍의 경사면 (15a, 15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 (15) 의 중앙에는 상기 아암부 (4c) 의 굴곡부 (4e) 가 걸리는 걸림 구멍 (15b)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 구멍 (15b) 에 걸린 상기 굴곡부(4e) 의 선단부가 가동측 접점 (4f) 이 되고, 이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15) 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정측 접점 (3) 과 접촉 분리되게 된다.
또, 상기 조작레버 (15) 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상면에 맞닿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 축부 (15c, 15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 축부 (15c, 15d) 를 상기 조작레버 (15) 의 양측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 (15) 를 좌우 양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조작레버 (15) 가 한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처음에 경사전도방향과 반대측의 회전운동 축부 (15c) (또는 15d) 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조작레버 (15) 가 회전운동된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 (15) 의 중앙에는 상기 걸림 구멍 (15b) 에 연이어 설치되어 상기 걸림 구멍 (15b)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 외주측에 슬라이딩 면부 (15e)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슬라이딩 면부 (15e) 는 상기 걸림 구멍 (15b) 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는 상기 조작레버 (15) 의 누름 조작시 및 좌우방향으로의 경사전도 조작시에 상기 조작레버 (15) 의 슬라이딩 면부 (15e) 를 양측에서 끼운 상태에서 그 이동을 안내하는 평행한 세로벽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가이드부 (1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가이드부 (1d) 는 상기 수납부 (1a) 의 거의 중앙 근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 (15) 의 이동시에는 상기 조작레버 (15) 가 수납부 (1a) 의 측벽에 맞닿지 않도록 그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검출스위치의 동작을 도 10 내지 도 12 에서 설명한다.
먼저, 초기 상태 (도 9) 에서 상기 조작레버 (15) 를 도시하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시킨다. 이 때 상기 조작레버 (15) 는 우측의 회전운동 축부 (15d) 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15) 의 회전운동에 따라 고정측 접점 (도시 생략) 과 접속된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 (15) 를 좌측방향으로 마지막까지 경사전도 조작시키면, 상기 조작레버 (15) 는 상기 슬라이딩 면부 (15e) 가 슬라이딩 가이드부 (1d) 를 따라 회전운동하면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동측 접점 (4f) 도 아래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0).
이 때 상기 조작레버 (15) 의 누름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우측의 회전운동 축부 (5d) 가 상기 수납부 (1a) 의 걸림부에서 벗어나 도시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한 쌍의 상기 아암부 (4b, 4c) 가 상기 고정단자 (2) 와 상기 조작레버 (15) 에 걸려 있고 상기 코일부 (4a) 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일스프링 (4) 은 상기 아암부 (4b, 4c) 의 굴곡부 (4d, 4e) 끼리를 잇는 방향으로 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15) 의 슬라이딩 면부 (15e) 을 형성하고 있는 동심원 중심에 형성된 상기 걸림 구멍 (15b) 에 걸려 있으며, 상기조작레버 (15) 의 경사전도 조작에 따라 도시된 아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로방향의 진동이 없어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1 은 상기 조작레버 (15) 를 우측방향으로 경사전도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상기 조작레버 (15) 는 좌측의 회전운동 축부 (15c) 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15) 의 회전운동에 따라 고정측 접점 (도시 생략) 과 접속된다.
이 때에도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15) 의 경사전도 조작에 따라 아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로방향의 진동이 없다.
도 12 는 상기 조작레버 (15) 를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누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상기 조작레버 (15) 는 상기 슬라이딩 면부 (15e) 가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슬라이딩 가이드부 (1d) 를 따라 상기 조작레버 (15) 의 누름방향, 즉 도시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상기 조작레버 (15) 의 이동에 따라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측 접점 (도시 생략) 과 접속된다.
이 때 상기 가동측 접점 (4f) 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측 접점의 한 쌍의 접점판의 중심 상을 직선형상으로 이동되게 되어 가로방향으로의 진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0, 도 11, 도 12 의 상태에서 각각 상기 조작레버 (15) 에 대한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 (15) 는 상기 코일스프링 (4) 의 탄성력으로 도 9 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레버 (5) (또는 15) 에 형성된 슬라이딩 면부 (5e, 5f) (또는 15e) 를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호면형상, 즉 동일 원주면으로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걸림 구멍 (5b) (또는 15b) 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형상으로 형성하면 되고, 상기 조작레버 (5) (또는 15) 의 좌우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면부 (5e, 5f) (또는 15e) 의 직경을 각각 다르게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면부 (5e, 5f) (또는 15e) 의 직경에 맞춰 상기 가이드부 (1c) (또는 1d) 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출스위치는, 일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의 아암부가 걸려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동측 접점을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구비한 하우징에 조작레버의 누름 조작시 및 좌우방향으로의 경사전도 조작시에 조작레버와 맞닿아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작레버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슬라이딩하는 원호면형상의 슬라이딩 면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레버가 누름 및 경사전도 조작된 경우에도 조작레버는 슬라이딩 면부의 원호면이 항시 슬라이딩 가이드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어 가로방향의 덜컥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레버의 양측부에는 하우징의 수납부의 상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 축부를 형성하고, 조작레버가 한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경사전도방향과 반대측의 회전운동 축부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레버가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면부가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따라 누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하고, 조작레버의 누름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회전운동 축부가 수납부의 걸림부에서 벗어나 이동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중심 위치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항상 직선형상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게 되고 가동측 접점도 직선형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가로방향으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에 형성된 코일스프링의 가동측 접점이 형성된 아암부가 걸리는 걸림부를 조작레버의 슬라이딩 면부의 원호면을 지나는 동심원 중심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경사전도 조작에 따라 가동측 접점은 고정측 접점의 한 쌍의 접점판의 중심 상을 직선형상으로 이동하게 되고, 접점판의 일측만 크게 휘는 일 (일측 닿음) 이 없어지기 때문에 스프링 응력의 증대에 따른 접점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슬라이딩 면부는 조작레버의 대향하는 측면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동심원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하우징의 수납부의 내측면부에 대향된 한 쌍의 평행한 측벽부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져 스위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레버에는 하우징에서 돌출된 부분에 방향이 다른 복수의 경사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레버로 좌우 양방향으로의 경사전도조작 및 누름방향으로의 누름 조작 등 모든 방향에서의 조작 대응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수납부의 일단측에 설치된 고정단자, 이 고정단자에 대향하여 상기 수납부의 타단측에 설치된 고정측 접점, 양측에 아암부를 가지며 이 아암부 일측이 상기 고정단자에 지지됨과 동시에 타측 아암부에 상기 고정측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측 접점이 형성된 코일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기 아암부가 걸려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가동측 접점을 상기 고정측 접점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조작레버의 누름 조작시 및 좌우방향으로의 경사전도 조작시에 상기 조작레버와 맞닿아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슬라이딩하는 원호면형상의 슬라이딩 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의 상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리는 회전운동 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한방향으로 경사전도 조작되었을 때에는 경사전도방향과 반대측의 회전운동 축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조작레버가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면부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따라 누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조작레버의 누름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운동 지점이 되는 상기 회전운동 축부가 상기 수납부의 걸림부에서 벗어나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의 상기 슬라이딩 면부의 원호면을 지나는 동심원 중심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가동측 접점이 형성된 아암부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면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대향 측면부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동심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의 내측면부에 대향된 한 쌍의 평행한 측벽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된 부분에 방향이 다른 복수의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1-0045573A 2000-07-28 2001-07-27 스위치 장치 KR100423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3172A JP3920012B2 (ja) 2000-07-28 2000-07-28 スイッチ装置
JPJP-P-2000-00233172 2000-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553A KR20020010553A (ko) 2002-02-04
KR100423776B1 true KR100423776B1 (ko) 2004-03-22

Family

ID=1872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573A KR100423776B1 (ko) 2000-07-28 2001-07-27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20012B2 (ko)
KR (1) KR100423776B1 (ko)
CN (1) CN1221000C (ko)
TW (1) TW4920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8069B1 (en) 2003-04-08 2004-07-27 Shin Jiuh Corp. Micro switch
US6967294B1 (en) 2004-11-23 2005-11-22 Zippy Technology Corp. Microswitch
JP4062319B2 (ja) 2005-05-02 2008-03-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2006310229A (ja) 2005-05-02 2006-11-09 Omron Corp スイッチ
KR100732229B1 (ko) 2006-04-12 2007-06-27 주식회사 일원엘렉텔 딥스위치용 가동체와 이를 포함하는 딥스위치
CN103219181B (zh) * 2013-04-24 2016-01-20 昌辉汽车电器(黄山)股份公司 一种汽车的门触灯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20012B2 (ja) 2007-05-30
TW492027B (en) 2002-06-21
JP2002042610A (ja) 2002-02-08
CN1335634A (zh) 2002-02-13
CN1221000C (zh) 2005-09-28
KR20020010553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620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0340481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4019601B2 (ja) レバースイッチ
KR100423776B1 (ko) 스위치 장치
KR101287093B1 (ko) 스위치 장치
EP1113473A2 (en) Lever switch and detecting device using same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JP2004342496A (ja) スイッチ装置
JP4962179B2 (ja) スイッチ
KR100399457B1 (ko) 스위치장치
JP2002056744A (ja) スイッチ装置
JPH01500941A (ja) スィッチ、特に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ィッチ
US6441325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4618155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3964093B2 (ja) スイッチ装置
US6353196B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3764799B2 (ja) 回転型電気部品
KR940000610B1 (ko) 카세트 하프 검출 스위치
JP2009259660A (ja) スイッチユニット
JP2001229769A (ja) スイッチ装置
US20010023179A1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1229768A (ja) スイッチ装置
JP2004281275A (ja) 2方向操作スイッチ
JPH117860A (ja) 軽操作スイッチ
JPH09282977A (ja) レバ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