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438B1 - 플랫 라디에이터 - Google Patents

플랫 라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438B1
KR100417438B1 KR10-1999-7008419A KR19997008419A KR100417438B1 KR 100417438 B1 KR100417438 B1 KR 100417438B1 KR 19997008419 A KR19997008419 A KR 19997008419A KR 100417438 B1 KR100417438 B1 KR 100417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radiator
power supply
discharge vessel
base plate
feedthroug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318A (ko
Inventor
프랑크 폴콤머
로타 히취케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7111891 external-priority patent/DE19711891A1/d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7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01J61/307Flat vessels or containers with folded elongat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 Lamp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가스 충진재로 채워진 밀폐된 방전 용기(2)를 갖는 플랫 라디에이터(1)는 내부에 스트립형 유전성 임페디드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방전 용기(2)는 기밀 형태로 접합물(8)에 의해, 필요하다면 상부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부가적 프레임(7)을 통해 상호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6)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형 내부 전극(3; 4)은 부가적으로 피드쓰루(10, 11)에 융합되고, 차례로 후자가 외부 전원 공급 리드(3, 4)에 융합되어 상기 내부 전극(3, 4), 피드쓰루(10, 11) 및 외부 전원 공급 리드(12, 13)가 도체 트랙을 닮은 캐소드측 또는 애노드측 구조물(3, 10, 12; 4, 11, 13)의 각 경우에 기능적으로 다른 섹션으로서 구성된다. 적어도 상기 애노드(4)는 각각의 경우에 유전체 층(17)으로 커버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피드쓰루(10, 11)는 접합물(8)에 의해 기밀 형태로 부가적으로 커버된다.

Description

플랫 라디에이터{FLAT RADIATOR}
상기 용어 "플랫 라디에이터"는 여기에서 플랫 형태를 가지고 광, 다시 말해서 전자기 가시 방사선, 또는 그밖의 자외선(UV) 또는 진공 자외선 방사선(VUV)을 방출하는 라디에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방출된 방사선의 스펙트럼에 의존하여, 이런 방사 소스는 가정과 사무실 조명을 위한 일반 및 보조 조명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교통 신호등을 위한 디스플레이의 후광 조명, 살균 또는 광분해를 위한 UV 조사에 적당하다.
여기서 논의되는 것은 유전성 임페디드(dielectrically impeded) 방전에 의해 동작되는 플랫 라디에이터이다.
이런 타입의 라디에이터에서, 일극성의 전극들 또는 양극성의 모든 전극들 은 유전체층에 의해 방전으로부터 분리된다(일단 또는 양단에서 유전성 임페디드 방전, 예를 들어 WO 94/23442 또는 EP 363 382 참조). 또한 이런 전극들은 여기에서 간략히 "유전체 전극"으로 언급된다.
상기 유전체 층은 방전 용기의 외부, 예를 들어 외부 벽에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방전 용기 자체의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전극을 갖는 이러한 디자인의 장점은 방전 용기의 벽을 통해 기밀 전기적 피드쓰루를 통하게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전체 층의 두께 - 특히 방전의 개시 전압과 동작 전압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변수 - 는 본질적으로 방전 용기에 배치되는 필요성, 특히 후자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요구된 공급 전압의 레벨이 유전체 층의 두께로 증가하기 때문에, 특히 다음의 단점이 초래된다. 맨 첫번째로, 플랫 라디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력 공급원이 더 높은 전압 요구에 대비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부가적 비용과 더 큰 외부 크기가 수반된다. 더욱이, 보다 엄중한 안전성 배치가 쇼크 보호를 위해 요구된다.
한편, 유전체 층은 또한 방전 용기의 내부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링 또는 코팅하는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유전체 층의 두께가 방전 특성과 관련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내부 전극은 기밀 전기적 피드쓰루를 요구한다. 결국 부가적 제조 단계들이 요구되며, 이것은 일반적으로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통상, 다른 극성(애노드와 캐소드)으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전극은 교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결과 비교적 평평한 방전 용기를 갖는 플래너형 방전 구성을 실현가능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는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애노드와 캐소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방전 용기의 내부 벽의 서로 다른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극들은 전압 소스의 2개 단자에 쌍으로 연결된다. 유전체 전극을 갖는 라디에이터를 동작시키는 특히 효율적인 방법이 WO 94/23442에 개시되어 있다.
DE-A- 195 26 211는 WO 94/23442의 동작 방법에 따라 휴지(pause)만큼 서로 분리되는 효율적 전력 펄스 시퀀스의 보조로 동작하는 플랫 라디에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립형 전극이 방전 용기의 외부 벽에 배치된다.
EP 0 363 832는 특히 방전 용기의 내부벽에 배치되는 스트립형 전극을 가지는 UV 고전력 라디에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 전극을 전압 소스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피드쓰루에 관련한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통, 방전 램프와 방전 라디에이터의 내부 전극은 와이어 또는 포일(foil) 형태로 전기 공급 리드에 연결된다. 피드쓰루는 방전 용기의 내부에 있는 전원 공급 리드를 전원 공급 소스에 연결하는데 소용되는 외부 전원 공급 리드에 연결시킨다. 한편, 기밀을 보장하기 위하여, 피드쓰루가 방전 용기의 재료에 의해 치밀하게 둘러싸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통상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피드쓰루의 재료와,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방전 용기는 부분적으로 매우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가진다. 높은 기계적 응력, 및 결과로서 피드쓰루 영역내에서의 응력에 기인한 파쇄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드쓰루는 특히 매우 얇은 와이어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이런 기술은 얇은 와이어가 퓨즈와 유사한 형태로 타버릴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전류 세기 또는 램프 전력으로 제한된다. 피드쓰루의 밀봉 영역에 대략 10-20㎛의 두께를 갖는 몰리브덴 포일과 같은 얇은 포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많은 개별 부품과 처리 및 제조 단계로 인하여, 상기한 기술들은 매우 많은 전극 스트립을 가지는 플랫 라디에이터의 자동화된 제조에 부적당하다.
본 발명은 가스 충진재로 채워지고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밀폐된 방전 용기와, 상기 방전 용기의 내벽에 배치되는 스트립형 전극을 가지며, 적어도 애노드가 각각의 경우에 유전체 층으로 커버되는 플랫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평면도로 플랫 라디에이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라인 AA에 따른 도 1a의 플랫 라디에이터의 단면도.
도 2a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평면도로 플랫 라디에이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라인 AA에 따른 도 2a의 플랫 라디에이터의 단면도.
도 2c는 라인 BB에 따른 도 2b의 플랫 라디에이터의 상세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 전극의 크기와 수에 상당히 독립적으로 - 플랫 라디에터가 비교적 적은 제조 단계로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전기적 피드쓰루를 가지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스트립형 내부 전극을 구비한 플랫 라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찾을 수 있다.
이제 상기 용어 "스트립형 전극" 또는 "전극 스트립"은 길이로 비교할 때 매우 얇고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늘고 긴 구조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런 구조물의 에지는 이런 경우에 필수적으로 서로 평행할 필요는 없다. 특히, 스트립의 길이방향 측면을 따르는 서브구조물(substructure)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 공급 리드를 포함하는 피드쓰루로서 부가적으로 내부 스트립형 전극 자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런 목적을 위하여, 상기 방전 용기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가능하게는 부가적 프레임을 통해 접합물(solder), 예를 들어 유리 접합물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2개의 플레이트중 적어도 하나가 방전 공간이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되는 트로프(trough) 모양이라면 프레임은 불필요하다.
상기 전극 스트립은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접합물을 통과하여 하나의 단부를 갖는 기밀 형태로 외부를 향해 안내된다. 상기 스트립 자체는 인쇄 회로 기판상의 도체 트랙과 유사한 형태로 예를 들어 기상 증착, 순차적 번-인을 수반한 실크 스크린 프린팅 또는 유사한 기술에 의해 직접 기밀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 및/또는 상부 플레이트에 부가된다. 상기 피드쓰루와 다른 부품의 밀봉은 접합물에 의해 수행된다.
이런 식으로, 내부 전극, 피드쓰루, 및 외부 전원 공급 리드가 그자체로 단일 캐소드측 또는 애노드측 층과 같은 도체 트랙 구조물의 기능적으로 다른 서브영역으로서 동시에 공통 제조 단계로 제조된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결국 조작 및 제조 단계의 수는 상당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상기 제조 섹션이 사실상 라디에이터의 크기와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임의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플랫 라디에이터의 비용효율적 제조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첫째의 간단한 디자인에서, 방전 용기의 외부에서 전극 스트립은 전극 스트립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외부 전원 공급 리드의 피드쓰루 영역 이후에 종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전극 스트립은 각각의 경우에 3개의 기능적으로 다른 서브영역: 내부 전극 영역, 피드쓰루 영역 및 외부 전원 공급 리드 영역을 포함하는 도체 트랙을 닮은 구조물로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는 2개의 전압 소스의 극에 대한 접속을 위한 동일한 극성의 전원 공급 리드의 상호 연결이 플랫 라디에이터와 전압 소스 사이에 연결된 적당한 연결 장치, 예를 들어 특별히 사용된 플러그/케이블 결합부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 환경을 고려한다.
두번째 디자인에서, 동일 극성의 전극 스트립은 각각의 경우에 공통 버스형 외부 전원 공급 리드내에 융합된다. 동작동안, 이런 2개의 외부 전원 공급 리드는 각 전압 소스의 하나의 극에 연결된다. 첫번째 디자인과 비교할때의 장점은 특별히 사용된 플러그/케이블 결합부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열팽창에 기인한 기계적 응력을 낮게 유지하지 위하여, 그리고 연속적인 동작동안에도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리 접합물과 프레임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를 위한 재료는 서로 용도에 맞게 선택되어진다. 더욱이, 도체 트랙(전극, 피드쓰루, 전원 공급 리드)의 두께는 열적인 응력이 낮게 유지되면서 동작동안 요구되는 전류 세기가 실현될 수 있을 정도로 얇게 선택된다.
상기 경우에, 도체 트랙의 용량을 지탱하는 충분히 높은 전류는 플랫 라디에이터에서 목표로 되는 높은 발광 세기가 높은 전류 세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특별한 중요성을 가진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후광 조명을 위한 플랫 형광 램프의 경우에 특히 높은 발광 세기는 전형적으로 6%의 디스플레이의 낮은 전도 때문에 필수적이다. 이런 문제는, 높은 전류가 유효 전력의 반복적 주입의 비교적 짧은 지속동안 도체 트랙으로 흐르기 때문에, 방전의 바람직한 펄스 동작 모드의 경우에 심해진다. 이런 방법만으로 충분히 높은 평균 유효 전력을 주입하여 대체로 요구된 높은 발광 세기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교적 두꺼운 도체 트랙이 용량을 지탱하는 상기 언급된 고전류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과도하게 낮은 도체 트랙 두께는 도체 트랙의 국부적 과열 때문에 균열 형성의 위험성을 가져온다. 도체 트랙 전류의 오믹 성분에 의한 도체 트랙의 가열은 도체 트랙의 단면이 더 작을수록 더 커진다. 그러나, 도체 트랙의 폭은 증가하는 폭으로 도체 트랙에 의한 플랫 라디에이터의 발광 영역의 차폐 증가가 있기 때문에 제한을 받게 된다. 결국, 오히려 목적은 좁은 도체 트랙이지만, 상기 이유 때문에 도체 트랙의 높은 전류 밀도에 의한 열의 전개에 기인하는 균열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한 두꺼워야 한다.
도전성 실버 스트립에 대한 전형적 두께는 대략 5 내지 50㎛, 바람직하게 5.5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 6 내지 15㎛ 범위에 있다.
그러나, 플랫 라디에이터에 사용된 상대적으로 확장된 플랫 라디에이터상의 이러한 두께의 도체 트랙에 있어서, 균열 형성은 제조 처리동안의 진공화때 벤딩 부하로부터 초래되는 재료 응력에 기인한다고 예측된다. 증대되는 균열 형성의 위험성의 원인은 ε∝에 따른 두께(d)에 대한 층의 항복점(yield point)(ε)의 함수적 의존성 때문이다. 그것에 따라, 항복점은 층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더 작아진다. 더욱이, 층두께의 증가로 층내부의 불연속 가능성이 극적으로 상승한다. 상기 불연속성은 국부적으로 증가된 층내의 인장 장력을 가져온다. 이것은 결국 층이 기판 재료로부터 벗겨지게 되는 위험성을 초래한다.
놀랍게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랫 라디에이터가 상기 두께의 도체 트랙으로 기밀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이 사용기간이 반드시 수천 시간에 달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예를 들어 수용불가능하게 강한 차폐를 초래하지 않고 충분한 벤딩 안정도를 플랫 라디에이터에 제공하는 유리 볼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점이 기여될 수 있다.
현재 상태의 지식에 따르면, 2개의 파라미터(P1=dSP·dE1과 P2=dSP·dP1)는 플랫 라디에이터의 사용기간에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dSP는 서로로부터 또는 한계 결정 측벽으로부터 지지점의 간격이고, dE1는 전극 트랙의 두께를 표시하며, dP1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2개의 두께중 더 작은 것을 표시한다. 전형적인 P1의 값은 50 내지 680 ㎜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 ㎛, 특히 바람직하게 200 내지 400 ㎜ ㎛이다. 전형적인 P2의 값은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범위에 있다.
예를 들면, 양호한 결과는 10 ㎛ 두께의 인쇄된 실버층과 대략 34 ㎜ 폭의 상호 간격으로 2.5 ㎜ 두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유리 접합물에 의해 고정되는 유리 볼로 달성된다. 이런 값들은 P1=340 ㎜ ㎛ 및 P2=13.6을 가져온다.
또한 청구되는 것은 상기 언급된 플랫 라디에이터와 펄스 전압 소스를 포함하는 조사(irradiation) 시스템이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평면도, 및 라인 AA에 따른 단면도로 플랫 라디에이터(1)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플랫 라디에이터(1)는 방전 용기(2), 스트립형 캐소드(3) 및 유전성 임페디드 스트립형 애노드(4)를 포함한다.
상기 방전 용기(2)는 베이스 플레이트(5), 상부 플레이트(6) 및 프레임(7)을 포함하며, 모두는 직사각형 베이스면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6)는 방전 용기(2)의 내부(9)가 입방형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리 접합물(8)에 의해 프레임에 기밀 형태로 연결된다. 유리로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벽 두께는 각각의 경우에 대략 2.5 ㎜가 된다. 상기 프레임은 대략 5 ㎜의 직경을 갖는 유리관으로 제조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된 것은 지지점으로서 5 ㎜의 직경을 갖는 정밀 유리 볼이며, 이것은 유리 접합물에 의해 대략 34 ㎜의 상호 간격으로 같은 거리에 있게 된다(명료함을 위해 제시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는 방전 용기(2)가 입식(free-standing)의 주변 에지를 가지도록 상부 플레이트(6)보다 더 크다.
상기 캐소드(3)와 애노드(4)는 교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베이스 플레이트(5)의 내부벽에 대략 6 ㎜의 상호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캐소드(3)와 애노드(4)는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서 연장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상의 방전 용기(2)의 내부(9)로부터 캐소드측(10) 또는 애노드측(11) 피드쓰루와 같은 양쪽에서 외부를 향해 안내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의 에지에서, 상기 피드쓰루(10, 11)는 캐소드측(12) 또는 애노드측(13) 외부 전원 공급 리드내에 융합된다.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리드는 필요하다면 적당한 플러그-인 접속기(도시되지않음)에 의해 바람직하게 하나의 전기 펄스 전압 소스(도시되지않음)에 대한 연결용 외부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상부 플레이트(6)의 내부 벽에 부가된 것은 방전의 우세한 단파 방사선을 가시 백색광으로 변환시키는 형광 재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층(16)이다. 이것은 청색 성분 BAM(BaMgAl10O17:Eu2+), 녹색 성분 LAP(LaPO4: [TB3+, Ce3+]), 및 적색 성분 YOB([Y, Gd] BO3: EU3+)을 가지는 3대역 형광 재료이다. 상기 층 두께는 대략 27 ㎛이다. 바람직한 변형에서(도시되지않음), 상부 플레이트의 내벽으로부터 멀리, 전극과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은 부가적으로 형광 재료의 혼합물로 코팅된다. 더욱이, 각각 TiO2와 Al2O3로 제조되는 단광 반사층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벽에 직접 부가된다. 상기 층 두께는 각각 약 15 ㎛ 또는 7 ㎛이다. 이런 변형은 형광층이 전극 스트립 위로의 시야를 차단한다는 이유 때문에 나타내지 않는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6)의 삭제된 부분은 오로지 표현적 목적으로 소용되고 애노드(4)와 캐소드(3)의 일부로의 시점을 노출시킨다. 방전 용기(2)의 내부(9)에서, 상기 애노드(4)는 대략 250㎛ 두께를 가지는 유리층(17)에 의해 완전히 커버된다(또한 애노드(4)에 따른 플랫 라디에이터(1)의 섹션을 도시하는 도 1b를 비교하라). 상기 전극(3; 4), 피드쓰루(10; 11), 및 외부 전원 공급 리드(12; 13)는 실버로 제조되고 실크 스크린 인쇄기술과 순차적 번-인에 의해 서로 부가되는 캐소드측과 애노드측 연속층 구조물의 기능적으로 다른 섹션으로서 구현된다. 상기 층 두께는 대략 10 ㎛이다.
도 2a-c에 평면도 및 라인 AA와 BB에 따른 섹션으로 각각 도시된 플랫 라디에이터(1')는 외부 전원 공급 리드(12; 13)의 형태에서만 플랫 라디에이터(1)(도 1a와 도 1b)와 다르다. 각 전극 스트립(3; 4)의 피드쓰루(10; 11)는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5)의 에지에서 연장되고 캐소드측(12) 또는 애노드측(13) 버스형 도체 트랙으로 종결한다. 최종적으로, 이들 도체 트랙(12; 13)은 이웃하는 섹션(14; 15)에서 종결한다. 상기 2개의 섹션(14; 15)은 전기 전압 소스(도시되지않음)에 대한 접속용 외부 접촉부로서 소용된다.
도 2c는 관계들을 더욱 명료하게 하기 위해 라인 BB에 따라 도 2b와의 비교에 의해 확대된 섹션만을 나타낸다.
또다른 변형(도시안됨)에서, 상기 캐소드 스트립은 상부 플레이트의 내벽에 부가된다. 각각의 캐소드 스트립은 단면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캐소드와 대응하는 애노드 사이의 가상 접속이 그것의 헤드에 "V" 스탠딩의 형태로 발생하도록 애노드 스트립 쌍에 할당된다. 캐소드 스트립과 애노드 스트립은 피드쓰루에 의해 형광 램프의 동일 측면에서 외부를 향해 안내되며, 상부 또는 하부 플레이트의 대응하는 에지에서 캐소드측 또는 애노드측 전원 공급 리드내에 각각 융합된다. 상기 애노드 스트립과 캐소드 스트립은 둘다 유전체층이 부가적으로 기밀 접속을 위한 유리 접합물로서 소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전체 내벽에 걸쳐 연장하는 유전체 층으로 완전히 커버된다. TiO2와 Al2O3로 제조되는 광반사층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유전체 층에 부가된다. 최종층으로서, 마찬가지로 상부 플레이트의 유전체 층 위에 있는 것은 BAM, LAP 및 YOB의 혼합물로 제조되는 형광 재료층이다.
본 발명은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부가적으로 서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들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1. 밀폐되며, 가스 충진재로 채워지고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방전 용기(2) 및 상기 방전 용기(2)의 내벽에 배치되는 스트립형 전극(3, 4)을 포함하며, 적어도 애노드(4)는 각각의 경우에 유전체 층(17)으로 커버되는 플랫 라디에이터(1)로서,
    상기 방전 용기(2)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6)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6)는 기밀 형태로 접합물(8)에 의해, 필요하다면 또한 상부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부가적인 프레임(7)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스트립형 내부 전극(3, 4)은 부가적으로 피드쓰루(10, 11)에 융합되고, 상기 피드쓰루(10, 11)는 외부 전원 공급 리드(12; 13)에 융합되어 상기 전극(3, 4), 피드쓰루(10, 11), 및 외부 전원 공급 리드(12; 13)가 각각의 경우에 도체 트랙을 닮은 구조물(3, 10, 12; 4, 11, 13)의 기능적으로 다른 서브영역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피드쓰루(10, 11)는 외부를 향해 안내되고, 상기 접합물(8)을 통해 기밀 형태로 커버되고, 상기 피드쓰루에 바로 인접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리드(12, 13)는 전원 공급 소스를 접속시키는데 소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층은 부가적으로 상기 기밀 피드쓰루를 위한접합물로서 소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리드(12; 13)는 상기 방전 용기의 외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측과 애노드측 구조물은 각각의 경우에 5 내지 50 ㎛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 두께는 약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유리 볼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8. 제 6항에 있어서, 파라미터(P1=dSP·dE1)는 50 내지 680 ㎜ ㎛ 범위에 있고, dSP는 서로로부터 또는 한계 결정 측벽으로부터 지지점의 간격이며, dE1는 전극 트랙의 두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9. 제 6항에 있어서, 파라미터(P2=dSP·dP1)는 8 내지 20 범위에 있고, dSP는 서로로부터 또는 한계 결정 측벽으로부터 지지점의 간격이며, dP1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2개 두께 중 더 작은 두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물(8)의 열팽창 계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6)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프레임(7) 재료의 열팽창 계수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용기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는 형광 재료 또는 형광 재료의 혼합물로 제조되는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광반사층이 상기 내벽과 형광 재료층 사이의 상기 방전 용기 내벽의 일부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13. 제 1항, 제 2항, 제 10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리드는 상기 캐소드(3)와 애노드(4)의 피드쓰루(10; 11)가 캐소드측 또는 애노드측 버스형 도체 트랙(12, 14; 13, 15)을 향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버스형 전원 공급 리드(12, 14; 13, 15)는 상기 방전 용기의 외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라디에이터.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플랫 라디에이터 및 동작동안 서로로부터 휴지(pause)만큼 분리되는 전압 펄스를 공급하기에 적당한 전기 펄스 전압 소스를 가지는 라디에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전압 소스는 도전적으로 상기 플랫 라디에이터의 외부 전원 공급 리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션 장치.
KR10-1999-7008419A 1997-03-21 1998-03-20 플랫 라디에이터 KR100417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1891.7 1997-03-21
DE1997111891 DE19711891A1 (de) 1997-03-21 1997-03-21 Flachstrahler
DE19729175.9 1997-07-08
DE19729175A DE19729175A1 (de) 1997-03-21 1997-07-08 Flachstrahler
PCT/DE1998/000828 WO1998043280A1 (de) 1997-03-21 1998-03-20 Flachstrahler mit dielektrisch behinderter entladung und 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r elektroden in den entladungsra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318A KR20000076318A (ko) 2000-12-26
KR100417438B1 true KR100417438B1 (ko) 2004-02-05

Family

ID=2603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419A KR100417438B1 (ko) 1997-03-21 1998-03-20 플랫 라디에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968521B1 (ko)
JP (1) JP3490461B2 (ko)
KR (1) KR100417438B1 (ko)
CN (1) CN1278375C (ko)
CA (1) CA2281091C (ko)
DE (2) DE19729175A1 (ko)
HU (1) HUP0003101A3 (ko)
TW (1) TW393665B (ko)
WO (1) WO1998043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7791A1 (de) 1999-06-18 2000-12-2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Farbanzeige mit sequentieller Primärfarberzeugung
JP4493064B2 (ja) * 2000-10-06 2010-06-30 日本電気株式会社 平面型蛍光ランプの固定構造、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45746B1 (ko) * 2001-01-04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대향 방전형 평판램프
DE10133949C1 (de) * 2001-07-17 2003-03-20 Inst Niedertemperatur Plasmaph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Gasentladungen, die nach dem Prinzip der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 aufgebaut ist, für Lichtquellen und Sichtanzeigeeinrichtungen
EP1562221A3 (en) * 2003-12-03 2008-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t lamp
DE102004039902B3 (de) * 2004-08-17 2006-04-06 Berger Gmbh Flächige Gas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0657902B1 (ko) * 2004-10-13 2006-12-14 삼성코닝 주식회사 평판 램프
DE102004055328B3 (de) * 2004-11-16 2006-04-13 Institut für Niedertemperatur-Plasmaphysik e.V. Vorrichtung nach dem Prinzip einer dielektrisch behinderten Entladung zur Strahlungserzeugung
KR101491949B1 (ko) * 2014-02-11 2015-02-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멤스 기반 우주용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135A (ja) * 1984-02-15 1985-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平板状光源
EP0363832A1 (de) * 1988-10-10 1990-04-18 Heraeus Noblelight GmbH Hochleistungsstrahler
JPH0822805A (ja) * 1994-07-07 1996-01-23 Stanley Electric Co Ltd 平面型蛍光ランプ
JPH08287871A (ja) * 1995-04-07 1996-11-01 Stanley Electric Co Ltd 電界放電型の平面蛍光ランプ
KR960038703U (ko) * 1995-05-09 1996-12-18 유아전자주식회사 평면 형광 램프
KR19990075624A (ko) * 1998-03-23 1999-10-1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전극 구조
US20020050781A1 (en) * 2000-10-31 2002-05-02 Lg. Philips Lcd Co., Ltd Flat lamp for emitting lights to a surface area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127A (en) * 1971-12-30 1973-12-11 Ibm Sealing technique for gas panel
JPS54184065U (ko) * 1978-06-19 1979-12-27
CA2067377A1 (en) * 1990-08-03 1992-02-04 Judd B. Lynn Thin configuration flat form vacuum-sealed envelope
DE19526211A1 (de) * 1995-07-18 1997-01-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eiben von Entladungslampen bzw. -strahl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135A (ja) * 1984-02-15 1985-09-05 Mitsubishi Electric Corp 平板状光源
EP0363832A1 (de) * 1988-10-10 1990-04-18 Heraeus Noblelight GmbH Hochleistungsstrahler
JPH0822805A (ja) * 1994-07-07 1996-01-23 Stanley Electric Co Ltd 平面型蛍光ランプ
JPH08287871A (ja) * 1995-04-07 1996-11-01 Stanley Electric Co Ltd 電界放電型の平面蛍光ランプ
KR960038703U (ko) * 1995-05-09 1996-12-18 유아전자주식회사 평면 형광 램프
KR19990075624A (ko) * 1998-03-23 1999-10-1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지전극 구조
US20020050781A1 (en) * 2000-10-31 2002-05-02 Lg. Philips Lcd Co., Ltd Flat lamp for emitting lights to a surface area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3280A1 (de) 1998-10-01
TW393665B (en) 2000-06-11
CN1251205A (zh) 2000-04-19
HUP0003101A3 (en) 2003-02-28
CN1278375C (zh) 2006-10-04
DE59814343D1 (de) 2009-03-26
KR20000076318A (ko) 2000-12-26
JP3490461B2 (ja) 2004-01-26
JP2000510283A (ja) 2000-08-08
CA2281091C (en) 2006-11-21
DE19729175A1 (de) 1999-01-14
EP0968521A1 (de) 2000-01-05
CA2281091A1 (en) 1998-10-01
HUP0003101A2 (hu) 2001-01-29
EP0968521B1 (de)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6346C (en) Flat fluorescent light for background lighting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itted with said flat fluorescent light
US6097155A (en) Fluorescent lamp
KR100395976B1 (ko) 유전성임피디드전극을갖는가스방전램프
KR100417438B1 (ko) 플랫 라디에이터
EP0348979A2 (en) Fluorescent lamp apparatus
CN1165961C (zh) 平面光源
CA2300124C (en) Discharge lamp with dielectrically impeded electrodes
JP3569229B2 (ja) 放電ランプ
US20090237597A1 (en)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6120618A (ja) パネル組立体、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表示装置の組立体、及びプラズマ表示装置組立体の製造方法
KR101121837B1 (ko) 백라이트용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JP2004519086A (ja) 接触装置を備えた平面形放射器
KR100846462B1 (ko) 백 라이트용 형광램프
JP4102531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2529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2527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JP4102530B2 (ja)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
KR20080088361A (ko) 방전 램프
DE19711891A1 (de) Flachstrahler
KR20060037710A (ko) 외부전극형광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