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358B1 - 힌지 - Google Patents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358B1
KR100397358B1 KR10-2000-0045232A KR20000045232A KR100397358B1 KR 100397358 B1 KR100397358 B1 KR 100397358B1 KR 20000045232 A KR20000045232 A KR 20000045232A KR 100397358 B1 KR100397358 B1 KR 100397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air
side wall
hinge body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993A (ko
Inventor
오시마카즈요시
이마이카츠야
Original Assignee
스가츠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354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582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22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58275B2/ja
Application filed by 스가츠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츠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힌지본체(5)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5a, 5b)에 슬릿(53, 53)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힌지본체(5)의 다른 한 쌍의 측벽부(5c, 5d)를 서로 간격이 변화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한다. 힌지본체(5)의 개구단(開口端)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5c, 5d)의 외측간격(W)을 수용공(收容孔;21a)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의 내측간격보다 크게 한다. 그에 따라 힌지본체(5)의 한 쌍의 측벽부(5c, 5d)를 수용공(21a)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에 압력으로 눌러(압압(押壓)) 접촉시킨다.

Description

힌지{HINGE ASSEMBLY}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전화기본체와 그 커버 혹은 변기의 변기본체와 그 밸브시트(弁座;valve seat)와 같은 기기본체와 개폐부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힌지는 통모양(筒狀)을 이루는 힌지본체와, 이 힌지본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된 힌지축을 구비하고 있다. 힌지본체는 기기본체에 형성된 수용공(收容孔)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힌지축의 일단부(一端部)는 힌지본체로부터 돌출하여 개폐부재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그에 따라 개폐부재가 기기본체에 힌지를 개재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일본국 특허 제 2766074 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 2906346 호 공보 참조).
예컨대 상기 힌지를 휴대전화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기본체로서의 전화기본체에 수용공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에 힌지본체가 수용된다. 한편 힌지축은 개폐부재로서 커버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상 전화기본체는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공 치수(dimention)의정밀도는 비교적 낮다. 이로 인해 전화기본체와 그 수용공에 삽입된 힌지본체와의 사이에 흔들림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그 결과 커버가 전화기본체에 대하여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기기본체와 개폐부재 사이의 흔들림을 없게 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가 이용된 휴대전화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전화기본체의 커버가 부착되는 측의 단부(端部)와 본 발명에 따른 힌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전화기본체와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전화기본체의 커버가 부착되는 측의 단부를 배면측에서 보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힌지의 힌지본체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평면도, 도 8c는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d, 도 8e는 각각 도 8a의 화살표 방향(D) 및 화살표방향(E)으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힌지의 힌지본체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9a는 힌지본체를 굽힘가공(bending)하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굽힘가공 완료 후의 힌지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힌지의 힌지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힌지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1a는 정면도, 도 11b는 평면도, 도 11c는 도 11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d, 도 11e는 각각 도 11a의 화살표방향(D) 및 화살표방향(E)으로 본 도면이다.
도 12는 힌지축을 힌지본체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2a는 힌지축의 선단부가 탄성편에 부딪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b는 힌지축의 선단부가 힌지본체의 지지공에 끼워 맞춘(嵌合)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c는 힌지축을 힌지본체에 더욱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힌지의 탄성편과 축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3a는 커버가 닫힘(閉)위치로 회전운동(回動)하고 있을 때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3b는 커버가 중립위치로 회전운동하고 있을 때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13c는 커버가 열림(開)위치로 회전운동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조립 전의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조립 후의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회전운동축선 S : 간극
1 : 휴대전화 2 : 전화기본체(기기본체)
3 : 개폐부재(커버) 4 : 힌지
5 : 힌지본체 6 : 힌지축
21a : 수용공 51 : 탄성편
51a : 탄성편의 중간부 55 : 당접판부
63 : 축부(회전운동규제부)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기본체에 개폐부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로서,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수용공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본체와, 이 힌지본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어느 다른 쪽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을 구비한 힌지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사이의 흔들거림을 없애기 위하여 상기 힌지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눌러(押壓)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힌지본체가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양측부에 힌지본체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측을 향하여 뻗는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힌지본체의 대향하는 다른쪽 한 쌍의 양측부가 서로 접근,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며, 이 다른 쪽 한 쌍의 양측부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 눌려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본체가 단면사각형의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한 쌍의 측벽부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며, 다른쪽 한 쌍의 측벽부가 서로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고, 이 다른쪽 한 쌍의 측벽부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눌려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본체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부에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각 탄성부재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 눌려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에 회전운동규제부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본체에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회전운동규제부에 탄성적으로 눌려 접촉됨으로써 상기 힌지축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는 탄성편(彈性片)을 외팔보(cantilever) 모양으로 마련하여 이 탄성편의 중간부를 힌지본체에 눌려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편의 중간부를 상기 힌지본체에 보강탄성편을 개재하여 눌러 접촉시키고, 상기 탄성편의 상기 회동규제부에 대한 누르는 압력(押壓力)을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탄성편의 선단부를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에 눌러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가 이용된 휴대전화(1)를 나타낸 것이다. 휴대전화(1)는 전화기본체(기기본체;2)와, 커버(개폐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3)는 후술하는 힌지(4)(도 3∼도 7참조)를 개재하여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커버(3)는 전화기본체(2)에 마련된 각종 누름버튼(push button)(미도시)을 은폐(隱蔽)하는 닫힘(閉)위치(Ⅰ)와 이 닫힘위치(Ⅰ)에서 거의 180°회전운동한 전개(全開)위치(Ⅲ)의 사이를 회전운동가능하다. 커버(3)는 통화시에 열림(開)위치(Ⅱ)로 회전운동된다.
도 3 ∼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기본체(2)의 일단부(도 1의 우단부)에는 회전운동축선(L)을 따라 뻗는 부착부(取付部)(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 21)의 양단부에는 단면정방형의 수용공(21a, 21a)이 회전운동축선(L)과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의 일단부의 양측에는 연결돌기(31, 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돌기(31, 31)는 부착부(2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돌기(31)의 부착부(21)와 대향하는 면에는 단면사각형의 계합공(係合孔)(31a)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4)는 도 3∼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본체(5)와 힌지축(6)을 구비하고 있다. 힌지본체(5)는 그 축선을 회전운동축선(L)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용공 (21a)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힌지축(6)은 그 축선을 힌지본체( 5)의 축선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힌지본체(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힌지축(6)의 일단부는 힌지본체(5)로부터 돌출하여 커버(3)의 계합공(31a)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그에 따라 커버(3)가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축선(L)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본체(5)는 금속제의 판재(板材)를 굽힘가공(bending)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이 개구(開口)하고, 다른쪽 끝에 바닥부(底部;52)를 가지는 단면사각형의 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본체(5)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5a, 5b)의 외측간격은 수용공(21a)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의 내측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측벽부(5a, 5b )에는 힌지본체(5)의 개구측 단면(端面)으로부터 바닥부(52)측을 향해 뻗는 슬릿( 53, 53)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힌지본체(5)의 다른 한 쌍의 측벽부(5c, 5d)가 바닥부(52)측을 중심으로 하여 도 9b의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측벽부(5c, 5d)의 외측간격은 대소(大小)로 변화가능하고, 힌지본체(5)의 개구단에 있어서의 측벽부(5c, 5d)의 외측간격(W)(도 7참조)은 수용공(21a)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의 개구단에 있어서의 내측간격 보다 크게 되어 있다.
힌지본체(5)는 그 개구단이 부착부(21)의 단면과 면이 일치될 때까지 수용공 (21a)에 삽입된다. 힌지본체(5)의 한 쌍의 측벽부(5c, 5d) 개구단에 있어서의 외측간격이 수용공(21a)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의 내측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본체(5)의 한 쌍의 측벽부(5c, 5d)는 외측간격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한 상태에서 수용공(21a)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측벽(5c, 5d)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공(21a)의 한 쌍의 내측면에 눌려져 있다. 그에 따라 힌지본체( 5)가 수용공(21a)에 흔들림없이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힌지(4)에서는 힌지본체(5)의 한 쌍의 측벽부(5a, 5b)에 슬릿( 53)을 형성하고, 다른 한 쌍의 측벽부(5c, 5d)만을 수용공(21a)의 한 쌍의 내측면에 눌러 접촉시키고 있지만, 다른 한 쌍의 측벽부(5c, 5d)에도 슬릿을 형성하여 모든 측벽부(5a∼5d)를 수용공(21a)의 4개의 내측면에 각각 눌러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본체(5)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51, 51)이 마련되어 있다. 각 탄성편(51)의 일단부는 바닥부(5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각 탄성편(51)의 중간부(51a)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힌지본체(5 )의 측벽부(5a, 5b)의 내면에 각각 눌려 접촉되어 있다. 각 탄성편(51)의 타단부는 힌지본체(5)의 개구부측에 뻗어 있다. 탄성편(51)은 개구부측을 향함에 따라 힌지본체(5)의 내부측을 향하도록 경사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편(51, 51)의 간격은 개구부측에서 좁아지게 되어 있다. 단지, 각 탄성편(51)의 선단부에는 개구부측을 향함에 따라 힌지본체(5)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가이드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편(51, 51)의 선단부에서의 간격은 개구부측을 향함에 따라 넓어진다.
힌지축(6)은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하여 순차 형성된 단면사각형의 계합부(61 ), 단면원형의 기판부(62), 서로 평행한 단면원형의 두 개의 축부(회전운동규제부 )(63, 63), 단면타원형 모양을 이루는 보강판부(64) 및 단면원형의 연결축부(65)를 가지고 있다. 계합부(61), 기판부(62), 보강판부(64) 및 연결축부(65)는 서로 축선을 일치시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운동축선(L)과 동축에 배치된다. 연결축부(65)의 선단부 외주에는 고리모양(環狀)의 돌출부(凸部)(65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축(65)의 선단면중앙부에는 슬릿(6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65b)이 형성됨으로써 고리모양의 돌출부(65a)가 탄성적으로 지름을 확대축소(擴縮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리모양의 돌출부(65a)는 그 바깥지름이 연결축부(65)의 바깥지름 보다 작은 지름이 될 때가지 지름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개의 축부(63, 63)는 회전운동규제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51, 51)에 눌러 접촉함으로써 힌지축(6)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고, 나아가서는 커버(3)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한다. 축부(63, 63)는 회전운동축선(L)과 평행하면서 동시에 회전운동축선(L)에 대하여 등(等)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축부(63, 63) 사이에는 간극(間隙)(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S)에는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유(미도시)가 수용되어 있다. 축부(63)는 세 개 이상 형성해도 되고, 단면을 비원형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축부(63, 63)를 대신하여 일본국 특허 제 2906346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캠(cam)부를 형성해도 된다.
힌지축(6)은 다음과 같이 하여 힌지본체(5)에 그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축(6)의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힌지축(6)의 축부(63, 63)의 대향방향을 힌지본체(5)의 탄성편(51, 51)의 대향방향과 직교시킨다. 다음으로 힌지축(6)을 연결축부(65)측으로부터 힌지본체(5) 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모양의 돌출부(65a)가 탄성편(51, 51)의 가이드부(51b, 51b)에 부딪친다. 힌지축(6)을 더욱 삽입하면 고리모양의 돌출부(65a)는 두 개의 가이드부(51b, 51b)를 확대하여 그들 사이를 빠져 나간다. 그 후 힌지축(6 )을 더욱 삽입하면, 보강판부(64)가 가이드부(51b, 51b)에 부딪치지만, 보강판부( 64)도 같은 식으로 하여 가이드부(51b, 51b) 사이를 빠져 나간다. 그로 인하여 보강판부(64)의 양측면에도 경사면(64a, 64a)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6)을 힌지본체(5)에 더욱 삽입하면, 고리모양의 돌출부(65a)가 힌지본체(5)의 바닥부(52)의 중앙부에 형성된 지지공(52a)의 내주면에 부딪쳐 지름을 축소하여 이를 빠져 나간다. 이 결과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65)의 선단부가 지지공(52a)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연결축부(65)가 지지공 (52a)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힌지축(6)의 기판부(62)의 외주면이 힌지본체(5)의 4개의 측부내면에 거의 접한다. 그에 따라 힌지축(6)이 힌지본체(5)에 동축으로 끼워 맞춰져 회전운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지지공(52a)을 빠져 나간 고리모양의 돌출부(65a)는 지름을 확대함으로써 바닥부(52)에 맞물려진다. 그에 따라 힌지축(6)이 힌지본체(5)의 개구부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연결축부(65)가 지지공(52a)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편(51, 51)의 선단부가 힌지축(6)의 축부(63, 63)에 접촉된다. 그에 따라 힌지축(6)의 회전운동위치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힌지축(6)의 계합부(61)가 힌지본체(5)의 개구부로부터 외부에 돌출되어 있다. 이 계합부(61)는 커버(3)의 계합공(31a)에 끼워 맞춰져 있다. 그에 따라 커버(3)가 힌지(4)를 개재하여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계합부(61)를 계합공(31a)에 끼워 맞추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할 수 있다. 즉, 힌지축(6)을 도 12b에 나타낸 상태에서 힌지본체(5)의 바닥부(52)측으로더욱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51, 51)의 경사부( 51b, 51b)가 기판부(62)의 테이퍼면(62a, 62a)을 타고 올라간다. 그에 따라 힌지축 (6)은 바닥부(52)측으로 더욱 이동 가능하게 되는 한편, 탄성편(51, 51)에 의해 힌지본체(5)의 개구부측으로 눌려진다. 두 개의 힌지(4, 4)의 힌지축(6, 6)을 힌지본체(5, 5) 내에 들어갈 정도까지 이동시키면, 커버(3)의 연결돌기부(31, 31) 사이에 전화기본체(2)의 부착부(21)가 삽입된다. 그리고 힌지축(6, 6)의 계합부(61, 61)를 연결돌기(31, 31)의 계합공(31a, 31a)에 대향시킨다. 그러면 힌지축(6, 6)이 탄성편(51, 51)의 탄성에 의해 밀려서 되돌려지고, 계합부(61, 61)가 계합공(31a, 31a)에 끼워 맞춰진다. 그에 따라 커버(3)가 힌지축(6, 6)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4, 4)를 개재하여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3은 커버(3)의 회전운동위치에 대한 두 개의 축부(63, 63)와 탄성편(51, 51)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커버(3)가 도 2의 부호(Ⅰ)로 나타낸 닫힘위치로 회전운동하고 있을 때에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51, 51)이 축부(63, 63)에 각각 접촉하여 각 축부(63, 63)를 도 13a의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커버(3)는 도 2에 있어서 부호(Ⅱ)로 나타낸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Ⅰ)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전화기본체(2)에 부딪쳐 있다. 따라서 커버(3)는 닫힘위치(Ⅰ)로 유지된다.
닫힘위치(Ⅰ)에 위치하는 커버(3)를 탄성편(51, 5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열림위치(Ⅱ)측으로 거의 60℃ 회전운동시키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축부( 63, 63)에 대한 탄성편(51, 51)의 탄성력이 회전운동축선(L)과 직교하는 선상(線上)에 작용한다. 그 결과 탄성편(51)의 탄성력이 커버(3)에 대한 회전운동탄성력으로서 작용하지 않게 되고, 커버(3)는 탄성편(51)과 축부(63)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의해 일정한 위치(이하, 이 위치를 중립위치라 함)에 구속된다. 중립위치는 닫힘위치(Ⅰ)에서 열림위치(Ⅱ)측으로 60℃ 회전운동한 위치 이외의 위치로 설정하여도 된다. 커버(3)가 중립위치에서 닫힘위치(Ⅰ)측으로 약간이라도 회전운동하면, 탄성편(51, 51)이 커버(3)를 닫힘위치(Ⅰ)측으로 힘을 가하여 닫힘위치(Ⅰ)까지 회전운동시킨다. 역으로 커버(3)가 중립위치에서 열림위치(Ⅱ)측으로 약간이라도 회전운동하면, 탄성편(51, 51)이 커버(3)를 열림위치(Ⅱ)측으로 힘을 가하여 열림위치(Ⅱ)까지 회전운동시킨다.
커버(3)가 닫힘위치(Ⅰ)에서 거의 150℃ 회전운동하면 열림위치(Ⅱ)에 도달한다. 열림위치(Ⅱ)에 있어서는, 도 13c에 나타내 바와 같이 한쪽의 탄성편(51)이 두 개의 축부(63, 63)에 한쪽에서 동시에 눌려 접촉됨과 동시에 다른쪽 탄성편(51)이 두 개의 축부(63, 63)에 다른쪽에서 동시에 눌려 접촉된다. 즉, 탄성편(51, 51)이 두 개의 축부(63, 63)를 동시에 사이에 둔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커버(3)는 열림위치(Ⅱ)로 유지된다. 또한 커버(3)는 열림위치(Ⅱ)로부터 도 2에 있어서 부호 (Ⅲ)로 나타낸 전개(全開)위치까지 더욱 회전운동 가능하지만, 열림위치(Ⅱ)와 전개위치(Ⅲ)의 사이에 회전운동한 커버(3)는 탄성편(51, 51)에 의해 열림위치(Ⅱ)로 되돌려진다.
상기 구성의 힌지(4)에 있어서는 전화기본체(2)의 수용공(21a)의 내주면에 힌지본체(5)의 한 쌍의 측벽부(5c, 5d)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눌려 접촉되기 때문에 힌지본체(5)와 수용공(21a)의 내주면 사이에 흔들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가 전화기본체(2)에 대하여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3)가 회전운동하면, 그에 따라 한 쌍의 탄성편(51, 51)의 간격이 변화하기 때문에 탄성편(51)에 작용하는 응력(應力)의 크기도 변화한다. 이 응력의 변화가 탄성편(51)과 바닥부(52)의 연결개소에 반복하여 작용하면, 그 연결개소에 균열이 발생하여 탄성편(51)이 절단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 힌지(4)에서는 탄성편(51)의 중간부(51a)를 힌지본체(5)의 내면으로 눌러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탄성편(5)과 바닥부(52)의 연결개소에 작용하는 응력이 변화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탄성편(51)이 바닥부(52)의 연결개소로부터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51)의 중간부(51a)에는 응력이 반복하여 작용하지만, 좁은 범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경우는 없고, 응력은 중간부(51a)의 넓은 부분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탄성편(51)이 중간부(51a)로부터 조기에 절단되는 경우는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같은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힌지(4A)에 있어서는 힌지본체(5)를 대신하여 힌지본체(5')가 이용되고 있다. 이 힌지본체(5')는 금속제의 판재를 드로잉가공(drawing)함으로써 단면사각형의 바닥이 있는 통모양(有底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측벽부(5a∼5d)중 대향하는 두 개의 측벽부(5c, 5d)에는 그 일부를 힌지본체(5')의 외측을 향해 잘라 올림으로써 바닥부(미도시)측에서 개구부측을 향함에 따라 힌지본체(5')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당접판부(탄성부재)(55)가 각각 형성된다. 각 당접판부(55)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수용공( 21a)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면에 눌려 접촉된다. 그에 따라 힌지본체(5')와 수용공(21a)의 사이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벽부(5a, 5b)에는 그 일부를 힌지본체(5')의 내측을 향하여 잘라 올림으로써 탄성편(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힌지(4B)에 있어서는 보강탄성편(7)이 이용되고 있다. 이 보강탄성편(7)은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기판부(71)와, 이 기판부(71)의 양단부로부터 동일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보강판부(72, 72)를 가지고 있다. 기판부(71)의 중앙부에는 관통공(71a)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부(71)는 바닥부(52)에 부딪침과 동시에 관통공(71a)을 빠져 나간 고리모양의 돌출부(65a)에 맞물려짐으로써 힌지본체(5)에 부착된다. 보강판부(72, 72 )는 탄성편(51, 51)과 이에 대향하는 힌지본체(5)의 측벽부(5a, 5b)의 각 사이에 형성된 각 간극(54, 54)을 지나 힌지본체(5) 내에 삽입된다. 보강판부(72, 72)의 중간부(72a, 72a)의 외면부는 힌지본체(5)의 측벽부(5a, 5b)의 내면에 눌려 접촉되고, 중간부(72a, 72a)의 내면부는 탄성편(51, 51)의 중간부(51a, 51a)에 눌려 접촉된다. 따라서 탄성편(51, 51)은 보강판부(72, 72)를 개재하여 힌지본체(5)의 측벽부(5a, 5b)에 눌려 접촉된다. 또한 보강판부(72)의 선단부는 탄성편(51)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이것을 힌지본체(5)의 내측으로 누르고 있다. 따라서 탄성편(51)은 그 자체의 탄성력 및 보강판부(72)의 탄성력에 의해 축부(63)를 회전운동시켜서 힘을 가한다. 따라서 커버(3)에 대한 회전운동탄성력을 보강탄성편(7)만큼 크게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힌지(4C)는 도 15 ∼ 도 17에 나타낸 힌지(4B)를 변형한 것이다. 힌지(4C)에 있어서는 힌지축(6)에 연결축부(65)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고리모양의 돌출부(65a)에 의한 힌지축(6) 및 보강탄성편(7)이 빠지는 것을 막는 것이 실행되어 있지 않다. 힌지축(6)은 보강판부(64)가 탄성편(51)에 접촉함으로써 힌지본체(5)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멈춰진다. 보강탄성편(7)은 보강판부(72, 72)의 선단부가 탄성편(51, 51)에 각각 눌려 접촉됨과 동시에 각 보강판부(72)의 중간부(72a)의 내외면부가 힌지본체(5)의 측벽부의 내면과 탄성편(51)의 중간부(51a)에 각각 눌려 접촉됨으로써 힌지본체(5)에서 빠져 나오는 것이 멈춰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힌지(4∼4C)는 휴대전화(1)의 전화기본체(2)와 커버( 3)의 사이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기의 밸브시트(기기본체)와 밸브뚜껑(개폐부재)의 사이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힌지본체(5)를 수용하는 수용공(21a)을 전화기본체(2)에 형성하여 힌지축(6)을 커버(3)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지만, 커버(3)에 수용공을 형성하여 전화기본체(2)에 힌지축(6)을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공의 내주면과 힌지본체 사이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폐부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편의 중간부를 힌지본체에 눌러 접촉시킨 경우에는 탄성편이 그 기단부로부터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기기본체에 개폐부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로서,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수용공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수용되는 힌지본체와, 이 힌지본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어느 다른쪽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본체가 단면사각형의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에 상기 힌지본체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측을 향하여 뻗는 슬릿이 형성되며, 다른쪽 한 쌍의 측벽부의 선단부가 서로 접근, 이간(離間)하도록, 다른쪽 한 쌍의 측벽부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사이의 흔들거림을 없애기 위하여, 상기 다른쪽 한 쌍의 측벽부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수용공(收容孔)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눌려(押壓) 접촉되며, 상기 힌지축에 회전운동규제부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본체에, 선단부가 상기 회전운동규제부에 탄성적으로 눌려 접촉됨으로써, 상기 힌지축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는 한 쌍의 탄성편(彈性片)이 외팔보(cantilever) 모양으로 마련되고, 이 한 쌍의 탄성편이 상기 힌지본체의 내부에 상기 한쪽의 한 쌍의 측벽부의 내면과 각각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의 각 중간부가 상기 한쪽의 한 쌍의 측벽부의 내면에 각각 눌려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중간부를 상기 힌지본체에 보강탄성편을 개재하여 눌러 접촉시키고, 상기 탄성편의 상기 회전운동규제부에 대한 누르는 압력(押壓力)을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탄성편의 선단부를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에 눌러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KR10-2000-0045232A 1999-08-06 2000-08-04 힌지 KR100397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23547 1999-08-06
JP22354799A JP3658250B2 (ja) 1999-08-06 1999-08-06 ヒンジ
JP23135699 1999-08-18
JP1999-231356 1999-08-18
JP2000-122229 2000-04-24
JP2000122229A JP3658275B2 (ja) 1999-08-18 2000-04-24 ヒ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993A KR20010049993A (ko) 2001-06-15
KR100397358B1 true KR100397358B1 (ko) 2003-09-13

Family

ID=2733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232A KR100397358B1 (ko) 1999-08-06 2000-08-04 힌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23224B1 (ko)
KR (1) KR100397358B1 (ko)
CN (1) CN1171001C (ko)
DE (1) DE10037696C2 (ko)
GB (1) GB2352769B (ko)
HK (1) HK1032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7332B2 (ja) * 2000-08-04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装置
KR100665709B1 (ko) * 2001-04-26 2007-01-1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JP4021184B2 (ja) * 2001-12-06 2007-12-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チ付きヒンジ
KR20030080865A (ko) * 2002-04-11 2003-10-17 캠아이티(주) 휴대폰 개폐장치
KR100483620B1 (ko) * 2002-11-12 2005-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힌지장치
US20040098833A1 (en) * 2002-11-27 2004-05-27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mobile phone
US20040098834A1 (en) * 2002-11-27 2004-05-27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mobile phone
TW575067U (en) * 2003-06-06 2004-02-0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mechanism
GB2435662A (en) * 2006-03-02 2007-09-05 T A L Security Systems Ltd Bollard assembly
US20080115323A1 (en) * 2006-11-17 2008-05-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pring loaded hinge mechanism
JP2011185301A (ja) * 2010-03-04 2011-09-22 Nifco Inc 軸支持構造
CN108903796B (zh) * 2018-07-20 2023-08-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铰接结构以及具有其的地刷以及地刷窗盖的安装方法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373A (ko) * 1993-05-31 1994-12-10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절첩장치
JPH0993317A (ja) * 1995-09-26 1997-04-04 Fujitsu Ltd 蓋を備えた電話機
JPH09284165A (ja) * 1996-04-19 1997-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のヒンジ装置
US5799079A (en) * 1995-11-30 1998-08-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KR19980080315A (ko) * 1997-03-18 1998-11-25 오이주미 마사히로 힌지 장치
KR19990012077U (ko) * 1997-09-02 1999-04-06 김영환 휴대폰의 플립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1591A (en) * 1956-09-04 1959-04-08 Ft Products Ltd An improved fastener
DE2215330A1 (de) * 1972-03-29 1973-10-11 Porsche Ag Elastisches gelenk, insbesondere fuer lenkgestaenge von kraftfahrzeugen
GB2187228B (en) * 1985-11-09 1988-10-26 H & L Appleby Limited Housing having a lid hinged to a base
US4785500A (en) * 1987-06-15 1988-11-22 Irvin Industries, Inc. Hinge assembly for vehicle accessories
JP2766074B2 (ja) 1990-02-27 1998-06-18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ES2027930A6 (es) * 1991-02-15 1992-06-16 Ind Techno Matic Sa Resorte de fijacion para bisagras de viseras parasol de vehiculos automoviles.
US5251949A (en) * 1992-08-18 1993-10-12 Plasta Fiber Industries, Inc. Visor mounting system
US5715575A (en) * 1995-03-13 1998-02-10 Kato Spring Works Co., Ltd. Hinge device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GB2322906B (en) * 1996-12-23 2001-04-04 Nokia Mobile Phones Ltd Spring biased hinge for a foldable radiotelephone
US5918348A (en) * 1997-04-04 1999-07-06 Torqmaster, Inc. Friction hinge with detent capability
JP2906346B1 (ja) * 1998-02-09 1999-06-2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6035491A (en) * 1998-05-04 2000-03-14 Hartigan; Michael J. Hinge control mechanism for a foldable device
KR100266516B1 (ko) 1998-05-18 2000-09-15 한영수 힌지장치
GB2337790B (en) * 1998-05-29 2002-12-31 Nokia Mobile Phones Ltd Hinge mechanis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373A (ko) * 1993-05-31 1994-12-10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절첩장치
JPH0993317A (ja) * 1995-09-26 1997-04-04 Fujitsu Ltd 蓋を備えた電話機
US5799079A (en) * 1995-11-30 1998-08-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JPH09284165A (ja) * 1996-04-19 1997-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のヒンジ装置
KR19980080315A (ko) * 1997-03-18 1998-11-25 오이주미 마사히로 힌지 장치
KR19990012077U (ko) * 1997-09-02 1999-04-06 김영환 휴대폰의 플립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993A (ko) 2001-06-15
GB0018273D0 (en) 2000-09-13
CN1283731A (zh) 2001-02-14
CN1171001C (zh) 2004-10-13
DE10037696A1 (de) 2001-03-01
HK1032254A1 (en) 2001-07-13
US6523224B1 (en) 2003-02-25
GB2352769A (en) 2001-02-07
GB2352769B (en) 2001-06-20
DE10037696C2 (de)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358B1 (ko) 힌지
US6115886A (en) Hinge apparatus
KR100742290B1 (ko)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1365639B1 (en) Hinge device
KR20020084325A (ko) 힌지장치
KR19980087122A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US20070089272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0375701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KR100377060B1 (ko) 힌지
JP3265572B2 (ja) 折畳式携帯電話器の開閉装置
US20010036265A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s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KR100227866B1 (ko) 힌지기구 및 힌지유니트
KR20050039579A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33438A (ko) 이축 힌지장치
US6543088B2 (en) Hinge assembly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KR100473825B1 (ko) 힌지장치
KR20060092778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
EP1312739B1 (en) Foldable cell phone
KR100672467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
KR100693179B1 (ko) 휴대기기
JP3658275B2 (ja) 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