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531B1 - 지그재그형으로배치된헤더를갖는기록재생광디스크와그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지그재그형으로배치된헤더를갖는기록재생광디스크와그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531B1
KR100386531B1 KR10-1998-0022266A KR19980022266A KR100386531B1 KR 100386531 B1 KR100386531 B1 KR 100386531B1 KR 19980022266 A KR19980022266 A KR 19980022266A KR 100386531 B1 KR100386531 B1 KR 10038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ection
header
reproducing
head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980A (ko
Inventor
고키 다노우에
히데아키 오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726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63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726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6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09179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307824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1999000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3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ervo format, e.g. guide tracks, pilot signal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록 재생 광 디스크는 랜드 형상의 영역의 나선형 트랙 상에 형성되는 제1 레코딩부와, 이것에 인접하여 그루브 형상의 영역의 상기 나선형 트랙 상에 형성되는 제2 레코딩부와, 상기 제1 레코딩부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 전반 헤더부와, 상기 제2 레코딩부의 제2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상기 전반 헤더부와 쌍을 이루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후반 헤더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반 헤더부(HF1)와 상기 후반 헤더부(HF4)는 상기 제1 레코딩부(RF2)에 앞서 상기 제1 레코딩부에 대하여 제1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고, 더욱이 상기 전반 헤더부(HF1)와 상기 후반 헤더부(HF2)는 상기 제2 레코딩부(RF5)에 앞서 상기 제2 레코딩부에 대하여 제1 위치 관계와는 다른 제2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헤더를 갖는 기록 재생 광 디스크와 그 기록 재생 장치
본 발명은 나선형 트랙을 따라 배치된 섹터를 단위로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와 이 광 디스크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가능한, 소위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는 이미 제품화되어 있는 것으로서 지름 120mm 광 자기 디스크, 90mm 광 자기 디스크, 120mm 위상 변화 디스크(통칭 PD) 등이 있다.
이들 디스크에는 레이저 광 조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홈에 의한 레이저 광의 해석을 이용하여 트래킹을 행한다. 이 안내홈은 디스크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을 향하여 연속적 또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을 그루브라고 부르고, 안내홈이 아닌 부분을 랜드라고 부른다. 종래의 광 디스크에서는 이 그루브 또는 랜드중 어느 한쪽에만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광 디스크상의 정보는 예컨대 512 바이트 단위나 2048 바이트 단위로 판독 기록된다. 이 한 덩어리의 정보 단위를 섹터라고 부른다. 이 섹터에는 개개의 섹터의 번지를 나타내는 섹터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고, 목표 어드레스로 정보를 기록하며, 또한 신뢰성 높게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 소정의 섹터 포맷에 따라서 포맷팅되어 있다. 이 포맷팅시에, 피트라고 불리는 요철을 섹터의 선두에 형성함으로써 섹터 어드레스의 정보가 기록된다. 이 섹터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한부분을 헤더라고 부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광 디스크에서는 그루브 또는 랜드중 어느 한쪽에만 정보를 기록하고 있었기 때문에, 헤더에 관해서도 그루브 기록의 경우는 그루브에만 형성하고, 랜드 기록의 경우에는 랜드에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광 디스크에서는 그루브 또는 랜드중 어느 한쪽에만 정보를 기록했었지만, 이 랜드와 그루브의 양쪽에 정보를 기록하면, 보다 많은 기록 용량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추측된다.
그러나, 이 랜드와 그루브의 양쪽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섹터 어드레스를 어떻게 형성할지가 과제로 되고 있다. 이하에 이 과제에 대하여 기술한다.
상기와 같은 나선형 그루브가 형성된 종래의 광 디스크에서는 그루브와 랜드는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그루브와 랜드는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나선형의 궤적을 그리고, 디스크 상에는 그루브와 랜드의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나선형의 궤적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광 디스크의 구조를 이중 나선형 구조라 부르기로 한다.
이러한 이중 나선형 구조에서는 그루브와 랜드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루브와 랜드로의 이동에는 반드시 트랙 점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정보의 기록 재생을 그루브에서 랜드(또는 랜드에서 그루브)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트랙 점프나 시크가 필요하게 되어, 연속적인 정보의 기록 재생이 곤란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이중 나선형 구조에 의해 디스크를 포맷팅하는 경우에는 그루브상의 섹터(이후, 그루브 섹터라고 부른다)와 랜드상의 섹터(이후, 랜드 섹터라고 부른다)는 따로따로 포맷팅할 수밖에 방법이 없다. 이것은 예컨대 존 CAV 방식에 의해 인접하는 랜드와 그루브에 대하여 서로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디스크를 포맷팅할 때에 문제가 생긴다.
즉, 인접하는 랜드와 그루브가 연속한 섹터 어드레스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1주마다 간헐적인 어드레스를 매기면서, 그루브만 및 랜드만의 포맷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랜드에서 그루브 또는 그루브에서 랜드라고 하는 이행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 경우는 디스크의 회전 대기가 발생하고, 연속적인 정보 기록 재생의 실현을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헤더는 가능한 한 피트의 간격을 갖게 하고, 보다 안정한 헤더의 판독이 실현되도록 요망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상의 헤더 영역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함으로써 안정한 헤더 판독, 랜드 ·그루브의 전환 위치 검출을 실현하여, 보다 신뢰성이 높은 광 디스크 정보 매체와 이 광 디스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6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행해지는 랜드 형상의 영역으로서 나선형 트랙 상에 형성되는 제1 레코딩부(RF1, RF3, RF2, RF4)와, 제1 레코딩부에 인접하여 그루브 형상의 영역으로서 상기 나선형 트랙 상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행해지는 제2 레코딩부(RF5, RF7, RF6, RF8)와, 상기 제1 레코딩부에 대응한 제1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 전반 헤더부(HF1, HF3)와, 상기 제2 레코딩부에 대응한 제2 어드레스 정보가기록되며, 상기 전반 헤더부와 쌍을 이루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후반 헤더부(HF2, HF4)를 갖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로서, 또한 상기 전반 헤더부(HF1)와 상기 후반 헤더부(HF4)는 상기 제1 레코딩부(RF2)에 앞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코딩부에 대하여 제1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반 헤더부(HF1)와 상기 후반 헤더부(HF2)는 상기 제2 레코딩부(RF5)에 앞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레코딩부에 대하여 제1 위치 관계와는 다른 제2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전반 헤더부(HF1, HF3)와, 후반 헤더부(HF2, HF4)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지그재그형으로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배치함으로써 ① 피트 사이의 간격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② 헤더 전용의 미세한 빔이 불필요하게 되며, 1개의 빔으로 신속한 커팅이 가능하게 되고, ③ 랜드와 그루브의 전환 위치가 용이한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 A에 의하면, 레코딩부(101, 105)에 끼워진 헤더부(103)는 여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피트 간격이 친밀해지기 때문에 데이터의 독출시의 에러의 발생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 C에 의하면, 여백을 마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트의 간격에도 충분한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어드레스 판독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커팅 단계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피트 간격에 충분한 여유가 있기 때문에, 레코딩부와 어드레스부의 커팅에 이용하는 빔은 공통된 것으로 한번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 A의 경우와 같이 헤더부의 커팅에전용 빔을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신속한 커팅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이중 나선형 구조를 갖는 광 디스크에 있어서는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의 트래킹 극성의 전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요구된다. 이 랜드 그루브 전환 타이밍의 검출에, 본 발명의 지그재그형 헤더의 위치 관계, 즉 각 헤더가 각각 워블(wabble)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해석하는 광 검출 셀은 기록 트랙의 외주측에 따른 제1 신호 A와, 내주측에 대응한 제2 신호 B를 출력하여, 이들 신호의 차를 (A-B)로서 검출한다. 이 신호차(A-B)는 외주측으로 워블한 헤더부에서는 (A-B)>0, 즉 「+」, 내주측으로 워블한 헤더부에서는 (A-B)<0, 즉 「-」가 된다. 이 신호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의 신호 변화(도 8a)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에 앞선 헤더부인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의 신호 변화(도 8b)는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에 앞선 헤더부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7항 내지 제9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상의 나선형의 트랙 1주에 따라 소정수 배치되는 랜드 실렉터로서,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행해지는 랜드 형상의 영역으로 나선형 트랙 상에 배치된 제1 레코딩부(RF1, RF2, RF3, RF4)와 제1 레코딩부의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제1 레코딩부에 앞서 배치되는 전반 헤더부(HF1, HF3)를 각각 갖는 복수 랜드 섹터(RF1, RF2, RF3, RF4, HF1, HF3)와, 상기 디스크상의 나선형 트랙 1주마다 상기 랜드 섹터에 평행하게 교대로 소정수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 랜드 섹터와 함께 트랙 1주마다 교대로연속하여 전환되는 기록 ·재생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소정수의 그루브 실렉터로서,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행해지는 그루브 형상의 영역으로, 상기 나선형 트랙 상에 배치된 제2 레코딩부(RF5, RF6, RF7, RF8)와, 상기 제2 레코딩부의 어드레스 정보를 갖고, 상기 제2 레코딩부에 앞서 상기 전반 헤더부와 쌍이 되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후반 헤더부(HF2, HF4)를 각각 갖는 복수 그루브 섹터(RF5, RF6, RF7, RF8, HF2, HF4)를 갖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이다.
이 청구범위 제7항 내지 제9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광 디스크가 랜드 영역과 그루브 영역이 디스크 상에 교대로 설치되고, 연속한 기록 영역이 설치되는 것으로, 다시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복수 헤더가 보다 상세히 특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구성에 따르면, 동일하게 판독 신뢰성의 향상, 단일 빔에 의한 신속한 커팅, 용이한 랜드 ·그루브의 전환 위치 검출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0항 내지 제17항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 장치,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 및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행해지는 랜드 형상의 영역으로서 나선형 트랙 상에 형성되는 제1 레코딩부(RF1, RF3, RF2, RF4)와, 상기 제1 레코딩부에 인접하여 그루브 형상의 영역으로서 상기 나선형 트랙 상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과 재생이 행해지는 제2 레코딩부(RF5, RF7, RF6, RF8)와, 상기 제1 레코딩부에 대응한 제1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된 전반 헤더부(HF1, HF3)와, 상기 제2 레코딩부에 대응한 제2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며, 상기 전반 헤더부와 쌍이 되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후반 헤더부(HF2, HF4)를 갖는 디스크로서 다시 상기 전반 헤더부(HF1)와 상기 후반 헤더부(HF4)는 상기 제1 레코딩부(RF2)에 앞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레코딩부에 대하여 제1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반 헤더부(HF1)와 상기 후반 헤더부(HF2)는 상기 제2 레코딩부(RF5)에 앞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레코딩부에 대하여 제1 위치 관계와는 다른 제2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에 대하여, 상기 전반 헤더부와 상기 후반 헤더부와 상기 제1 레코딩부와 상기 제2 레코딩부로 광 빔을 조사하는 광 조사 수단(19)과, 상기 조사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조사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상의 소정 위치에 광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 빔의 조사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3, 28)과, 상기 조사 수단에 의한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상기 전반 헤더부와 상기 후반 헤더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코딩부와 상기 제2 레코딩부와의 전환 위치를 검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재생을 실행하는 수단(28)을 갖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 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헤더를 갖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의 독출, 기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청구범위는 디스크를 특정한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9항에 대응한 표현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특히 각 헤더의 워블을 검출하여 랜드와 그루브와의 전환 위치를 높은 신뢰성으로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18항 내지 제20항에 있어서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광 빔을 의도적으로 트랙의 중심으로부터 소정량만큼 디스크의 내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광 빔의 스폿을 같은 트랙에 유지시킨 상태로 트레이스 시킬 수 있고, 트래킹 극성의 전환을 행하지 않은 경우, 또는 트래킹 극성의 전환이 잘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정상적인 트래킹 제어로부터 크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와 1b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의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를 제조할 때에, 커팅에 의해 그루브나 피트에 대응하는 요철 형상을 원반 상에 기록하기 위한 원반 기록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에 있어서의 섹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의 섹터중의 헤더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그재그형의 헤더부 및 이 헤더부 주위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를 복수의 환상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의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이 고안된 경과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8a와 8b는 본 발명의 지그재그형 헤더를 판독할 때의 신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 디스크
5: 광 픽업
6: 선형 모터
8: 모터 제어 회로
12: 포커싱 구동 코일
16: PLL 회로
18: 데이터 재생 회로
24: 광 검출기
27: 포커싱 제어 회로
28: 트래킹 제어 회로
41: 레이저 광원
42: 레이저 광축 제어계
43: 미러
45: 빔 정형계
49: 포맷 회로
103: 헤더부
101,105: 레코딩부
도 1a와 도 1b에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의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 1a와 도 1b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헤더부가 형성된 광 디스크는 나선형으로 트랙을 더듬어 가면, 트랙 점프를 통하지 않고, 트랙 1주마다 트래킹의 극성이 랜드, 그루브, 랜드, 그루브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이 트래킹 극성의 전환점의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트래킹 극성의 전환점의 섹터를 제1 섹터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1b는 이 제1 섹터이외의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루브와 랜드가 트랙 1주마다 교대로 전환되는 방식에서는 트래킹 시에 그루브인지 랜드인지 극성을 전환할 필요가 있고, 트래킹 극성의 전환점의 섹터는 다른 섹터와 다른 헤더 배치가 된다.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에 의해 표시되는 헤더부는 피트라고 불리는 요철 형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영역으로, 이 요철 형상에 의해, 소정의 섹터에 관한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RF1∼RF8 및 R1∼R8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 기록 영역은 예컨대 위상 변화형의 기록막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이하에서는 레코딩부라고 기재한다. 위상 변화형 기록막의 경우, 사용자는 이 기록막의 결정 상태와 비정질 상태에서의 광학 특성의 변화에 의한 반사율의 차를 이용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한다. 이 레코딩부중, RF5∼RF8 및 R5∼R8은 안내홈이 형성된 섹터의 레코딩부를 나타내고, 이하에서는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라 기재한다. 한편, RF1∼RF4, R1 및 R2는 그루브 섹터에 인접한 안내홈이 아닌 부분에 설치된 섹터의 레코딩부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라 기재한다.
또한, 도 1a와 도 1b에 있어서, 위쪽을 디스크 상에서의 외주측, 아래쪽을 디스크 상에서의 내주측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여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은 디스크 상에서의 반경 방향에 해당한다. 더욱이, #(m+N), #(n+N) 등은 섹터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섹터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어떤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N은 트랙 1주당의 섹터수를 나타내고 있고, 예컨대 17에서 40까지의 소정의 정수이다.
이하에, 도 1a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 도 1a에서는 섹터 번호 #m, #(m+N), #(m+2N), #(m+3N)이라는 4 트랙분의 제1 섹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1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는 후술하는 커팅에 의해 4중 기록 구조로 형성된다. 4중 기록된 헤더부의 각 부분은 각각,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이다. 또한, 헤더1과 헤더2는 전반 헤더부를 구성하고, 헤더3과 헤더4는 후반 헤더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 중, 전반 헤더부는 랜드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되고, 후반 헤더부는 그루브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을 행하면, 섹터 번호 #(m)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에 관해서는 이 선두 부분에, 미러 필드(Mirror Field)(이하에서는 미러부라 기재함)를 통해 설치된 후반 헤더부 HF2가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된다. 이 때 후반 헤더부 HF2는 섹터 번호 #(m)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헤더3 및 헤더4로 이루어지는 후반 헤더부이다. 또, 이 후반 헤더부 HF2는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1/2트랙 피치분만큼 이동, 즉 평행 이동에 의해 변위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트랙 피치란, 인접하는 랜드와 그루브에 있어서 랜드의 중심에서 그루브의 중심까지의 거리로서, 도 1a에 있어서 부호 P로 표시되는 거리이다.
또한 섹터 번호 #(m+N)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 #(m+N)의 레코딩부 RF2에 관해서는 이 선두 부분에 미러부를 통하는 동시에, 상기한 후반 헤더부 HF2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분의 공간을 통해 설치된 전반 헤더부 HF1이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된다. 이 때의 전반 헤더부 HF1은 섹터 번호 #(m+N)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헤더1 및 헤더2로 이루어지는 전반 헤더부이다. 즉, 이 전반 헤더부 HF1은 상기의 후반 헤더부 HF2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 정보와 트랙 1주 차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내고, 전반 헤더부 HF1은 후반 헤더부 HF2보다도 외주측으로 트랙 1주 차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나타낸다. 더욱이, 이 전반 헤더부 HF1은 랜드 섹터 #(m+N)의 레코딩부 RF2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1/2트랙 피치분만큼 이동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랜드 섹터 #(m+N)의 레코딩부 RF2는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랜드 섹터 #(m+N)의 레코딩부 RF2는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에 대하여 1 트랙 피치분만큼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반 헤더부 HF1은 후반 헤더부 HF2에 대하여 1 트랙 피치분만큼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반 헤더부 HF1과 후반 헤더부 HF2는 후술하는 커팅에 의해 연속하여 형성되고, 전반 헤더부 HF1에 있어서의 헤더2와 후반 헤더부 HF2에 있어서의 헤더3이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전반 헤더부 HF1과 후반 헤더부 HF2는 서로 쌍이 되어, 지그재그형의 헤더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에 있어서의 섹터 번호 #(m)의 1개 앞의 섹터 번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은 그루브 섹터 #(m)의 헤더부인 후반 헤더부 HF2의 선두 부분, 즉 헤더3 부분사이에, 전반 헤더부 HF1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분의 공간을 통해,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와 동일한 트랙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과 동일하게, 랜드 섹터 #(m+N)의 레코딩부 RF2에 있어서의 섹터 번호 #(m+N)의 1개 앞의 섹터 번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그루브 섹터 #(m+N-1)의 레코딩부 RF6은 랜드 섹터 #(m+N)의 헤더부인 전반 헤더부 HF1의 선두 부분, 즉 헤더1 부분에 근접하여, 랜드 섹터 #(m+N)의 레코딩부 RF2와 동일한 트랙 위치 상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b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도 1b에서는 섹터 번호 #n, #(n+N), #(n-2N)이라는 3 트랙분의 섹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도 상기한 제1 섹터의 경우와 같이, 후술하는 커팅에 의해 4중 기록 구조로형성된다. 4중 기록된 헤더의 각 부분도 제1 섹터의 경우와 같이, 각각,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라고 부르기로 하고, 헤더1과 헤더2는 랜드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되는 전반 헤더부를 구성하며, 헤더3과 헤더4는 그루브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되는 후반 헤더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섹터 번호 #(n)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에 관해서는 이 선두 부분에 미러부를 통해 설치된 후반 헤더부 H2가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된다. 이 때의 후반 헤더부 H2는 섹터 번호 #(n)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헤더3 및 헤더4로 이루어지는 후반 헤더부이다. 또, 이 후반 헤더부 H2는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1/2트랙 피치분만큼 이동, 즉 평행 이동에 의해 변위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섹터 번호 #(n+N)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 #(n+N)의 레코딩부 R2에 관해서는 이 선두 부분에 미러부를 통하는 동시에, 상기한 후반 헤더부 H2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분의 공간을 통해 설치된 전반 헤더부 H1이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된다. 이 때의 전반 헤더부 H1은 섹터 번호 #(n+N)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헤더1 및 헤더2로 이루어지는 전반 헤더부이다. 또, 이 전반 헤더부 H1은 랜드 섹터 #(n+N)의 레코딩부 R2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하여, 내주측으로 1/2트랙 피치분만큼 이동시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랜드 섹터 #(n+N)의 레코딩부 R2는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랜드 섹터 #(n+N)의 레코딩부 R2는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에 대하여 1 트랙 피치분만큼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반 헤더부 H1은 후반 헤더부 H2에 대하여 1 트랙 피치분만큼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반 헤더부 H1과 후반 헤더부 H2는 후술하는 커팅에 의해 연속하여 형성되고, 전반 헤더부 H1에 있어서의 헤더2와 후반 헤더부 H2에 있어서의 헤더3이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전반 헤더부 H1과 후반 헤더부 H2는 지그재그형의 헤더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에 있어서의 섹터 번호 #(n)의 1개 앞의 섹터 번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섹터는 상기한 제1 섹터의 경우와 다르고, 그루브 섹터 #(n-1)이다. 이 그루브 섹터 #(n-1)의 레코딩부 R5, 그루브 섹터 #(n)의 헤더부인 후반 헤더부 H2의 선두 부분과의 사이에, 전반 헤더부 H1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분의 공간을 통해,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과 동일한 트랙 위치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랜드 섹터 #(n+N)의 레코딩부 R2에 있어서의 섹터 번호 #(n+N)의 1개 앞의 섹터 번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섹터는 랜드 섹터 #(n+N-1)이다. 이 랜드 섹터 #(n+N-1)의 레코딩부 R1은 랜드 섹터 #(n+N)의 헤더부인 전반 헤더부 H1의 선두 부분에 근접하여, 랜드 섹터 #(n+N)의 레코딩부 R2와 동일한 트랙 위치 상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광 디스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커팅이라 불리는 방법을 이용하여 그루브나 피트에 대응하는 요철 형상을 가진 원반을 제작한다. 이 원반에 형성된 요철 형상은 스탬퍼에 전사되고, 다시 이 스탬퍼를 틀로 하여 요철 형상을 전사한 수지를 성형한다. 이 수지를 광 디스크의 기판으로서 사용하고, 요철 형상이 형성된 면에 위상 변화형 막 등의 기록막을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이 기록막 상에 이 기록막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을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렇게 해서, 그루브나 피트 등이 형성된 광 디스크의 제작이 행해진다. 또, 상기와 같은 광 디스크 기판을 보호막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등을 통해 접착시킴으로써 접착형의 광 디스크를 제조할 수도 있다.
도 2에 커팅에 의해 그루브나 피트에 대응하는 요철 형상을 원반 상에 기록하기 위한 원반 기록 장치를 도시한다.
이 원반 기록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원(41)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예컨대 Ar 레이저 또는 Kr 레이저)은 광축을 조정하는 레이저 광축 제어계(42)에 입사하고, 레이저 광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광축 변동에 대처되어 있다. 레이저 광은 미러(43)로 반사되어, 포맷 회로(49)에 제어된 E ·O 변조기(44a, 44b)로 이루어지는 빔 변조계(44)에 의해 임의의 신호를 갖는 레이저 광으로 변조된다. 여기서 레이저 광을 소정의 포맷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또, 포맷 회로(49)는 후술하는 커팅 동작에 따라서 레이저 광의 변조를 행하도록 빔 변조계(44)의 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레이저 광은 핀 홀이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빔 정형계(45)를 통과하여 빔 직경이나 형상이 조정된다. 여기까지로 레이저 광의 조정이 끝나고, 빔 모니터계(46)에서 빔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레이저 광은 다시 미러(47)에 안내되어 대물렌즈(48)에 의해 광기록원반(40)에 집속, 조사된다. 이 광기록 원반(40)으로서는 예컨대 유리 원반이 이용된다. 이 유리 원반 상에는 감광 도료(photoresist)를 도포하고, 이 감광 도료의 표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레이저 광에 의해 감광된 부분은 에칭을 행하면 오목형의 형상이 된다. 이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형상의 원하는 요철 형상을 이루고, 그루브 및 포맷 패턴을 기록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유리 원반을 기초로하여 스탬퍼가 제작된다.
커팅시에는 모터 등의 회전 수단(39)에 의해, 유리 원반(40)을 예컨대 일정 회전시킨다. 또한, 대물렌즈(48)를 가지며, 유리 원반(40)상의 소정 위치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 픽업이 유리 원반(40)의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한다. 커팅시에 광 픽업은 원반 1회전에 대해 트랙 피치분만큼의 비율로 내주측에서 외주 방향으로 등속 이동을 행하고, 이 이동에 따라 레이저 광의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광 픽업에 의해, 레이저 광을 조사한 부분이 그루브, 조사하지 않은 부분이 랜드가 된다. 헤더부에 있어서는 레이저 광을 점멸시킴으로써 요철형의 피트를 형성한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팅 동작에 대하여,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도 1a에 있어서, 섹터 번호 #(m-1)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에 대한 커팅 처리가 어떤 시점 t0으로 끝난 것으로 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과 같은 랜드 영역에서는 광 픽업으로부터 레이저 광의 조사는 행하지 않고, 레이저 광 조사 위치의 이동이 행해질 뿐이다. 이 레이저 광 조사 위치의 이동은 광 디스크의 회전, 광 픽업의 이동 및 이 광 픽업에 설치된 대물렌즈를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시점 t0에 있어서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에 대한 처리를 끝낸 후에, 계속해서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의 트랙 중심에서 반 트랙 외주측으로 레이저 광의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한 트랙의 위치에서, 섹터 번호를 #(m+N)로 한 헤더1 및 헤더2, 즉 전반 헤더부 HF1을 기록한다. 이 때,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한 피트가 형성되도록, 광 픽업으로부터 조사하는 레이저 광을 점멸시킨다. 또, 전반 헤더부 HF1에 있어서의 헤더1은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에 근접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헤더1의 기록 후에 이 헤더1에 연속하여 전반 헤더부 HF1에 있어서의 헤더2가 기록된다.
섹터 번호 #(m+N)로 한 헤더1 및 헤더2, 즉 전반 헤더부 HF1의 커팅 기록이 끝나면, 계속해서 이 헤더1 및 헤더2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 트랙 피치분만큼 내주측으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에 있어서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2트랙 피치분만큼 내주측으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한 트랙의 위치에서 섹터 번호를 #(m)으로 한 헤더3 및 헤더4, 즉 후반 헤더부 HF2를 기록한다. 이 때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한 피트가 형성되도록, 광 픽업으로부터 조사하는 레이저 광을 점멸시킨다. 또한 후반 헤더부 HF2에 있어서의 헤더3은 전반 헤더부 HF1에 있어서의 헤더2에 근접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이 헤더3의 기록 후에 이 헤더3에 연속하여 후반 헤더부 HF2에 있어서의 헤더4가 기록된다.
섹터 번호 #(m)으로 한 헤더3 및 헤더4, 즉 후반 헤더부 HF2의 커팅 기록이 끝나면, 계속해서 미러부를 통한 후에,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의 커팅 기록을 행한다. 이 때 미러부에서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지 않는다. 또한 섹터 번호 #(m)의 헤더3 및 헤더4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2트랙 피치분만큼 외주측으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랜드 섹터 #(m-1)의 레코딩부 RF1에 있어서의 트랙 중심과 같은 트랙의 위치인 동시에, 섹터 번호 #(m+N)의 헤더1 및 헤더2에 있어서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2트랙 피치분만큼 내주측의 트랙 위치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시킨 트랙의 위치에서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의 커팅 기록을 행한다. 이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에서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감광 도료의 에칭에 의해 홈형상, 즉 그루브를 형성한다. 이 때, 레이저 광의 스폿을 내주측에서 외주측의 방향으로, 즉 원반의 반경 방향으로, 예컨대 186 채널 비트 주기로 정현파 진동시켜 그루브를 파상으로 형성한다. 이 파상의 그루브로부터 얻어지는 신호 성분은 데이터 기록시(즉,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할 때)의 클록 생성의 기준 신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섹터 번호 #(m)에서 섹터 번호 #(m+N-1)까지의 1주에 있어서는 모든 섹터가 그루브 섹터이다. 이들 그루브 섹터에서는 이하에 기재하는 소정의 순서로 커팅 기록이 행해진다. 여기서, 제1 섹터이외의 섹터에 대한 커팅에 대하여, 도 1b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도 1b에 있어서, 섹터 번호 #(n-1)에 의해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그루브 섹터 #(n-1)의 레코딩부 R5에 대한 커팅 처리가 어떤 시점 t1로 끝난 것으로 한다. 이 그루브 섹터 #(n-1)의 레코딩부 R5에 대한 처리를 끝낸 후, 계속해서 그루브 섹터 #(n-1)의 레코딩부 R5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2트랙 외주측으로 레이저 광의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한 트랙의 위치에서, 섹터 번호를 #(n+N)으로 한 헤더1 및 헤더2, 즉 전반 헤더부 H1을 기록한다. 이 때,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한 피트가 형성되도록, 광 픽업으로부터 조사하는 레이저 광을 점멸시킨다. 또, 전반 헤더부 H1에 있어서의 헤더1은 랜드 섹터 #(n-1)의 레코딩부 R5에 근접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이 헤더1의 기록 후에 이 헤더1에 연속하여 전반 헤더부 H1에 있어서의 헤더2가 기록된다.
섹터 번호 #(n+N)으로 한 헤더1 및 헤더2, 즉 전반 헤더 H1의 커팅 기록이 끝나면, 계속해서 이 헤더1 및 헤더2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 트랙 피치분만큼 내주측으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그루브 섹터 #(n-1)의 레코딩부 R5에 있어서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2트랙 피치분만큼 내주측으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한 트랙의 위치에서 섹터 번호를 #(n)으로 한 헤더3 및 헤더4, 즉 후반 헤더부 H2를 기록한다. 이 때,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한 피트가 형성되도록, 광 픽업으로부터 조사하는 레이저 광을 점멸시킨다. 또한 후반 헤더부 H2에 있어서의 헤더3은 전반 헤더부 H1에 있어서의 헤더2에 근접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이 헤더3의 기록 후에 이 헤더3에 연속하여 후반 헤더부 H2에 있어서의 헤더4가 기록된다.
섹터 번호를 #(n)으로 한 헤더3 및 헤더4, 즉 후반 헤더부 H2의 커팅 기록이끝나면, 계속해서 미러부를 통한 후에,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의 커팅 기록을 행한다. 이 때 미러부에서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지 않는다. 또한 섹터 번호 #(n)의 헤더 3 및 헤더4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2트랙 피치분만큼 외주측으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그루브 섹터 #(n-1)의 레코딩부 R5에 있어서의 트랙 중심과 같은 트랙의 위치인 동시에, 섹터 번호 #(n+N)의 헤더1 및 헤더2에 있어서의 트랙 중심으로부터 1/2트랙 피치분만큼 내주측의 트랙 위치로 레이저 광 조사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이동시킨 트랙의 위치에서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의 커팅 기록을 행한다. 이 그루브 섹터 #(n)의 레코딩부 R6에서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감광 도료의 에칭에 의해 홈형상, 즉 그루브를 형성한다. 이 때, 레이저 광의 스폿을 내주측에서 외주측의 방향으로, 즉 원반의 반경 방향으로, 예컨대 186 채널 비트 주기로 정현파 진동시켜 그루브를 파상으로 형성한다. 이 파상의 그루브로부터 얻어지는 신호 성분은 데이터 기록시의 클록 생성의 기준 신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그루브 섹터 #(n-1)에서 그루브 섹터 #(n)까지에 대한 커팅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섹터 번호 #(m)의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 RF5로부터 섹터 번호 #(m+N-1)의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 RF6까지의 커팅 기록이 행해진다.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로부터 그루브 섹터 #(m+N-1)의 레코딩부 RF6까지의 커팅 기록이 행해진 후에는 다시, 도 1a에 도시하는 제1 섹터에 대한 커팅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때의 제1 섹터는 그루브 섹터 #(m+N-1)에 계속되는 랜드 섹터 #(m+N)이다. 이 랜드 섹터 #(m+N)의 섹터 번호 #(m+N)로부터 섹터 번호 #(m+2N-1)까지의 1주에 있어서는 모든 섹터가 랜드 섹터이다. 따라서, 이들 랜드 섹터 #(m+N)로부터 랜드 섹터 #(m+2 N-1)까지의 1주에 있어서는 커팅시에는 레이저 광을 발광시키지 않는다. 또, 이 때의 각 랜드 섹터의 헤더부는 이미, 1 트랙 내주측의 그루브 섹터를 커팅했을 때에, 동시에 형성되어 있다.
섹터 번호 #(m+N)의 랜드 섹터로부터 섹터 번호 #(m+2N-1)의 랜드 섹터까지의 커팅 처리가 행해진 후에는 다시 제1 섹터에 대한 커팅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때의 제1 섹터는 랜드 섹터 #(m+2 N-1)에 계속되는 그루브 섹터 #(m+2 N)이다. 이 그루브 섹터 #(m+2N)으로부터 앞에 있는 섹터의 커팅은 상기한 그루브 섹터 #(m)에서 행한 섹터의 커팅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행해진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도 1a에 도시하는 구성의 헤더부를 갖는 섹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커팅 기록을 행하면, 그루브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 즉 헤더3 및 헤더4로 이루어지는 후반 헤더부와, 이 헤더부에 있어서의 섹터 번호와 동일한 섹터 번호의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는 연속하여 커팅 기록된다. 예컨대, 섹터 번호 #(m)의 헤더3 및 헤더4로 이루어지는 후반 헤더부 HF2와 그루브 섹터 #(m)의 레코딩부 RF5는 연속하여 커팅된다.
그러나 랜드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 즉 헤더1 및 헤더2로 이루어지는 전반 헤더부와, 이 헤더부에 있어서의 섹터 번호와 동일한 섹터 번호의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는 연속하여 커팅 기록되지 않고, 트랙 1주 차이로 기록되게 된다. 예컨대 섹터 번호 #(m+N)의 헤더1 및 헤더2로 이루어지는 전반 헤더부 HF1과 랜드 섹터#(m+N)의 레코딩부 RF2는 1주 차이로 기록된다. 따라서, 만일, 원반 회전의 1주기와 N 섹터분의 기록 신호 주기에 차가 있으면, 랜드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는 이 헤더부에 의해 섹터 번호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와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긴 상태로 커팅 기록되어 버리게 된다.
다음에, 이러한 헤더부의 어긋남을 일으켜 커팅 기록되어 제조된 광 디스크에,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신뢰성을 갖고 헤더부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섹터 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섹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b는 이 섹터중의 헤더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있어서 섹터는 2697 바이트의 총 바이트 수로, 128 바이트의 헤더 필드(이하에서는 헤더부라 기재함), 2 바이트의 미러 필드(이하에서는 미러부라 기재함), 2567 바이트의 레코딩 필드(이하에서는 레코딩부라 기재함)로 이루어진다. 또, 이들 헤더부, 미러부 및 레코딩부는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했을 때에 기재한 헤더부, 미러부 및 레코딩부와 같은 것을 가리킨다.
헤더부 및 미러부는 광 디스크의 출하전에 이미 요철 형상으로서 기록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출하전에 소정의 포맷에 따른 요철 형상을 광 디스크에 미리 기록해 두는 작업을 프리 포맷이라 부른다.
한편, 레코딩부는 광 디스크의 출하후에 이 광 디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대응하는 헤더부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정보가 소정의 포맷에 따라서 기록되는 부분이다. 이 레코딩부는 상기의 프리 포맷만이 행해진 상태에 있어서는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그루브 또는 랜드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을 뿐이다.
이러한 레코딩부로의 정보의 기록은 예컨대 광 디스크가 위상 변화형의 광 디스크인 경우에는 레코딩부에 설치된 위상 변화형의 기록막 상에 기록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이 레이저 광의 변조에 의해, 기록막에 결정 상태의 영역과 비정질 상태의 영역을 만드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 레코딩부에 있어서의 기록막의 결정 상태와 비정질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특성의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차를 이용함으로써 정보의 재생을 행한다.
또, 이 레코딩부는 예컨대, (10+J/16) 바이트의 갭부(Gap field), (20+K) 바이트의 가드1부(Guard1 Field), 35 바이트의 VFO3부(VFO3 field), 3 바이트의 프리싱부(PS field), 2418 바이트의 데이터부(Data Field), 1 바이트의 PA3부(PA3 Field), (55-K) 바이트의 가드2부(Guard2 field), (25-J/16) 바이트의 버퍼부(Buffer Field)로 구성된 포맷에 의해, 정보가 기록된다. 여기서, J는 0∼15의 정수이고 K는 0∼7의 정수로서, 모두 랜덤인 값을 취한다.
도 3b는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광 디스크의 섹터 포맷에 있어서의 헤더부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이 헤더부는 헤더1부, 헤더2부, 헤더3부, 헤더4부로 구성된다. 이들은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와 같은 것을 가리키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을 각각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라 기재하기로 한다. 또, 헤더1은 46 바이트, 헤더2는 18 바이트, 헤더3은 46바이트, 헤더4는 18 바이트의 길이를 갖고, 헤더부 전체에서는 128 바이트이다.
이들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에 있어서의 각 부분은 VFO부, AM부, PID부, IED부, PA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VFO부는 전압 주파수 오실레이터(Voltage Frequency Oscillator)의 약자로 PLL(Phase locked loop)을 위한 인입 영역이다. 즉, 이 VFO부는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광 디스크 장치(후술함)에 의해 독출되고, 광 디스크로부터 재생되는 정보와 동기를 취함으로써 데이터 독출이나 광 디스크의 회전 속도 제한 등에 이용되는 동기 신호(클록 신호)를 이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PLL 회로에 추출시키기 위한 연속적인 반복 데이터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이 데이터 패턴은 PLL을 로크시켜 동기를 완전히 인입하도록,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이 데이터 패턴에 PLL을 로크시켜, 동기를 완전히 인입하여 클록 신호를 생성하면, 광 디스크의 회전 변동에 따라 이 VFO의 코드 패턴도 변동하기 때문에, 확실한 데이터 독출이나 디스크 회전 제어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이 VFO부는 헤더1 및 헤더3에 있어서는 VFO1로서 36 바이트의 길이를 갖고, 한편, 헤더2 및 헤더4에 있어서는 VFO2로서 8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헤더1 및 헤더2로 전반은 헤더부가 구성되고, 랜드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되지만, 이 전반 헤더부에 있어서 선두 부분인 헤더1의 VFO부를 이 헤더1에 이어서 레이저 광 조사되는 헤더2의 VFO부보다 길게 하고 있다. 또한 이것과 동일하게 헤더3 및 헤더4로 후반 헤더부가 구성되고, 그루브 섹터의 헤더부로서 이용되지만, 이 후반 헤더부에 있어서 선두 부분인 헤더3의 VFO부를 이 헤더3에 이어서 레이저 광 조사되는 헤더4의 VFO부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 또, 각 섹터에 있어서의 VFO부는 적어도 8 바이트의 길이로 함으로써 통상은 PLL의 인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섹터의 선두 부분에 해당하는 헤더1의 VFO부 및 헤더3의 VFO부를 선두 부분이 아닌 헤더2의 VFO부 및 헤더4의 VFO부보다도 길게 하면, VFO부에 의한 PLL의 인입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갖고 각 섹터의 헤더부를 검출 가능하게 하고, 보다 정확히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 중, 랜드 섹터의 선두 부분에 해당하는 헤더1의 VFO부를 길게 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은 랜드 섹터의 헤더부에 어긋남을 일으켜 커팅 기록되어 제조된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즉, 랜드 섹터의 경우에는 헤더부의 커팅과, 이 헤더부에 의해 섹터 번호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의 커팅사이에, 1주 차이의 시간차가 있다. 여기서, 만일 원반 회전의 1주기와 N 섹터분의 기록 신호 주기에 차가 있으면, 랜드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는 이 헤더부에 의해 섹터 번호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사이에, 어긋남이 생긴 상태로 커팅 기록되어 버린다. 헤더부와 레코딩부에 이러한 어긋남이 생기면, 헤더부의 검출이 통상보다도 곤란해진다. 또한, 이 헤더부가 어긋남에 덧붙여 트래킹에 있어서도 오프셋 등이 있는 경우에는 랜드 섹터에 있어서의 헤더부와 이 헤더부에 의해 섹터 번호가 표시되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와의 재생 신호의 질이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헤더부의 검출이 통상보다도 곤란해진다.
그러나, 이들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랜드 섹터의 선두 부분에 해당하는 헤더1의 VFO부를 길게 하고 있기 때문에, PLL의 인입이 높은 신뢰성을 갖고 행해져, 헤더 검출 정밀도가 높아지며, 정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헤더부의 검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AM은 어드레스 마크(Address Mark)의 약자로 3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동기 코드로서, 원상 회복시에 단어 경계를 판단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PID는 물리적 ID(Physical ID)의 약자로, 1 바이트의 길이의 섹터 정보와 3 바이트의 길이의 섹터 번호로 이루어진다. IED는 ID 에러 검출 코드(ID Error Detection code)의 약자로 PID 4 바이트의 에러 검출을 행하기 위한 코드로, 2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다. PA는 포스트 앰블(Post amble)의 약자로 원상 회복시에 이전 바이트의 스테이트를 확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코드로, 1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헤더 구성을 갖는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의 엠보스부, 즉 요철 형상의 피트로 이루어지는 헤더부를 정보의 기록 ·재생시에 판독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원반형의 정보 기록 매체인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3)에 의해 예컨대 일정한 선속도로 회전된다. 이 스핀들 모터(3)는 모터 제어 회로(4)에 의해 제어된다. 광 디스크(1)에 대한 정보의 기록, 재생은 광 픽업(5)에 의해 행해진다. 광 픽업(5)은 선형 모터(6)의 가동부를 구성하는 구동코일(7)에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 코일(7)은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접속된다.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속도 검출 회로(9)가 접속되고, 이 속도 검출 회로(9)에서 검출되는 광 픽업(5)의 속도 신호가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보내어진다. 선형 모터(6)의 고정부에 도시하지 않은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코일(7)이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의해 여자됨으로써 광 픽업(5)이 광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광 픽업(5)에는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또는 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대물렌즈(10)가 설치된다. 이 대물렌즈(10)는 구동 코일(11)의 구동에 의해 포커싱 방향(렌즈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구동 코일(12)의 구동에 의해 트래킹 방향(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레이저 제어 회로(13)의 구동 제어에 의해,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9)로부터 레이저 광 빔이 발생된다. 레이저 제어 회로(13)는 변조 회로(14)와 레이저 구동 회로(15)로 이루어지고, PLL 회로(16)로부터 공급되는 기록용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변조 회로(14)는 에러 정정 회로(32)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데이터를 기록에 알맞은 신호, 예컨대 8-16 변조 데이터로 변조한다. 레이저 구동 회로(15)는 변조 회로(14)로부터의 8-16 변조 데이터에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또는 아르곤 네온 레이저 발진기)(19)를 구동한다.
PLL 회로(16)는 기록시, 수정 발진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본 클록 신호를 광 디스크(1)상의 기록 위치에 대응한 주파수로 분주하고, 이것에 의해 기록용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재생시는 재생한 동기 코드에 대응한 재생용 클록 신호를발생하며, 다시 재생용 클록 신호의 주파수 이상을 검지한다. 이 주파수 이상의 검지는 재생용 클록 신호의 주파수가 재생하는 데이터의 광 디스크(1)상의 기록 위치에 대응한 소정 주파수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PLL 회로(16)는 CPU(30)로부터의 제어 신호와 데이터 재생 회로(18)의 2치화 회로(4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기록용 또는 재생용의 클록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반도체 레이저 발진기(19)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20), 하프 프리즘(21), 대물렌즈(10)를 통해 광 디스크(1)상에 조사된다. 광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은 대물렌즈(10), 하프 프리즘(21), 집광 렌즈(22) 및 원형 렌즈(23)를 통해 광 검출기(24)로 유도된다.
광 검출기(24)는 4분할의 광 검출 셀(24a, 24b, 24c, 24d)로 이루어진다. 이 중, 광 검출 셀(24a)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a)를 통해 가산기(26a)의 일단에, 광 검출 셀(24b)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b)를 통해 가산기(26b)의 일단에, 광 검출 셀(24c)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c)를 통해 가산기(26a)의 타단에, 광 검출 셀(24d)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d)를 통해 가산기(26b)의 타단에 공급된다.
더욱이, 광 검출 셀(24a)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a)를 통해 가산기(26c)의 일단에, 광 검출 셀(24b)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b)를 통해 가산기(26d)의 일단에, 광 검출 셀(24c)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c)를 통해 가산기(26d)의 타단에, 광 검출 셀(24d)의 출력 신호는 증폭기(25d)를 통해 가산기(26c)의 타단에 공급된다.
가산기(26a)의 출력 신호는 차동 증폭기(OP2)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고, 그 차동 증폭기(OP2)의 비반전 입력단에 가산기(26b)의 출력 신호가 공급된다. 차동증폭기(OP2)는 가산기(26a, 26b)의 양 출력 신호의 차에 따른 포커스점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은 포커싱 제어 회로(27)에 공급된다. 포커싱 제어 회로(27)의 출력 신호는 포커싱 구동 코일(12)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광이 광 디스크(1)상에서 상시 저스트 포커스가 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가산기(26c)의 출력 신호는 차동 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고, 그 차동 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에 가산기(26d)의 출력 신호가 공급된다. 차동 증폭기(OP1)는 가산기(26c, 26d)의 양 출력 신호의 차에 따른 트랙차 신호를 출력한다. 이 출력은 트래킹 제어 회로(28)에 공급된다. 트래킹 제어 회로(28)는 차동 증폭기(OP1)로부터의 트랙차 신호에 따라서 트랙 구동 신호를 작성한다.
트래킹 제어 회로(28)로부터 출력되는 트랙 구동 신호는 트래킹 방향의 구동 코일(11)에 공급된다. 또한, 트래킹 제어 회로(28)로 이용되는 트랙차 신호가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공급된다.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래킹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광 검출기(24)의 각 광 검출 셀(24a, … 24d)의 출력 신호의 합신호에는 요컨대 가산기(26c, 26d)의 양 출력 신호의 가산인 가산기(26e)의 출력 신호에는 기록 정보에 대응하여 광 디스크(1)의 트랙 상에 형성된 피트등으로부터의 반사율의 변화가 반영된다. 이 신호는 데이터 재생 회로(18)에 공급된다. 데이터 재생 회로(18)는 PLL 회로(16)로부터의 재생용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데이터 재생 회로(18)는 가산기(26e)의 출력 신호와 PLL 회로(16)로부터의 재생용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프리 포맷 데이터내의 섹터 마크를 검출하는 동시에, PLL 회로(16)로부터 공급되는 이치화 신호 및 재생용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이 이치화 신호로부터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트랙 번호와 섹터 번호를 재생한다.
데이터 재생 회로(18)의 재생 데이터는 버스(29)를 통해 에러 정정 회로(32)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회로(32)는 재생 데이터내의 에러 정정 코드(ECC)에 의해 에러를 정정하거나,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35)로부터 공급되는 기록 데이터에 에러 정정 코드(ECC)를 부여하여 메모리(2)에 출력한다.
이 에러 정정 회로(32)에서 에러 정정되는 재생 데이터는 버스(29) 및 인터페이스 회로(35)를 통해 외부 장치로서의 기록 매체 제어 장치(36)에 공급된다. 기록 매체 제어 장치(36)로부터 발생하는 기록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회로(35) 및 버스(29)를 통해 에러 정정 회로(32)에 공급된다.
상기 트래킹 제어 회로(28)에 의해 대물렌즈(10)가 이동되고 있을 때,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의해, 대물렌즈(10)가 광 픽업(5)내의 중심 위치 근방에 위치하도록 선형 모터(6) 즉 광 픽업(5)이 이동된다.
D/A 변환기(31)는 포커싱 제어 회로(27), 트래킹 제어 회로(28),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와 광 디스크 장치의 전체를 제어하는 CPU(30)와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에 이용된다.
모터 제어 회로(4), 선형 모터 제어 회로(8), 레이저 제어 회로(15), PLL 회로(16), 데이터 재생 회로(18), 포커싱 제어 회로(27), 트래킹 제어 회로(28), 에러 정정 회로(32) 등은 버스(29)를 통해 CPU(30)에 의해 제어된다. CPU(30)는 메모리(2)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 디스크 장치에 의해, 본원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할 때, 이 광 디스크에 프리 포맷된 헤더부를 판독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에 있어서, 목표로 하는 판독해야 되는 헤더부가 예컨대, 섹터 번호 #(m)에 의해 표시되는 그루브 섹터의 헤더부 HF2인 경우, 이 헤더부 HF2의 판독에 선행하여, 섹터 번호 #(m-1)에 의해 표시되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 RF1의 레이저 광 조사가 행해진다. 이 레코딩부 RF1로 조사되는 레이저 광 스폿은 이 레코딩부 RF1의 트랙 중심을 추종한다. 이 레이저 광 스폿의 추종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트래킹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섹터 번호 #(m-1)에 의해 표시되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 RF1에, 이 트랙 중심을 따라 조사된 레이저 광은 계속해서 광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헤더부 HF1 및 HF2에 조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헤더부 HF1 및 HF2는 전체로 128 바이트의 길이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디스크 상에 있어서 1 바이트를 약 3μm의 길이로 하면, 이 헤더부 HF1 및 HF2는 약 400μm의 길이가 된다. 또, 디스크 상에 약 6m/s의 선속으로 레이저 광 조사가 이루어져 있다고 하면, 시간적으로는 약 67μs에서, 레이저 광의 광 스폿이 헤더부 HF1 및 HF2를 통과한다.
이러한 짧은 시간으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부가 지그재그형으로 변화하여도, 트래킹 제어계의 대역은 아주 작아 광 스폿은 추종할 수 없다. 따라서, 광 스폿은 가상의 트랙 중심을 추종하는 것으로 생각하여도 된다. 이 가상의 트랙 중심은 헤더부 HF1 및 HF2의 각각에 있어서의 정규의 트랙 중심과는 다르지만, 헤더부 HF1 및 HF2에 프리 포맷되어 있는 어드레스 정보 등의 데이터는 충분히 판독할 수 있다. 이 헤더부 HF1 및 HF2의 판독이 행해진 후, 광 픽업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은 미러부를 통과한 후에 섹터 번호 #(m)로 표시되는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 RF5에 이 트랙 중심을 따라 조사되게 된다.
이 경우, 헤더부 HF1 및 HF2에 이어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섹터의 레코딩부는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 RF5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루브 섹터에서 이용되는 헤더부는 헤더3 및 헤더4로 이루어지는 후반 헤더부이고, 먼저 판독된 헤더부 HF1 및 HF2에 있어서는 헤더부 HF2가 후반 헤더부이다. 따라서, 레코딩부 RF5의 헤더부로서는 후반 헤더부 HF2가 이용되고, 이 후반 헤더부 HF2에 의해 레코딩부 RF5의 어드레스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에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헤더부가 형성된다. 이 지그재그형의 헤더부 및 이 헤더부 주위의 구조에 관해서, 도 5에 모식도를 도시한다. 또, 이 도 5에서는 윗쪽을 디스크 상에서의 내주측, 아래쪽을 디스크 상에서의 외주측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여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은 디스크 상에서의 반경 방향에 해당한다.
이 도 5에서는 섹터 어드레스가 30000h에서 30133h까지의 섹터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숫자 뒤에 부가된 문자 h는 헥사데이멀(hexadecimal)의 약자로 16진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이 16진수로 표시된 부분을 레코딩부로서 나타내고, 문자 h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숫자만으로 표시된 부분을 헤더부로서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각 섹터의 레코딩부에 있어서는 섹터 어드레스가 30000h, 30001h, 30010h, 30022h, 30023h…로 나타내는 섹터의 경우가 그루브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섹터 어드레스가 30011h, 30012h, 30021h, 30033h, 30034h…로 나타내는 섹터의 경우가 랜드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때, 어떤 숫자에 의해 표시되는 헤더부는 이 헤더부를 가리키는 숫자와 동일한 숫자에 문자 h가 부가된 레코딩부와 쌍을 이루어 동일한 섹터를 형성한다. 또, 도면중에 있어 30000으로 표시되는 헤더부를 30000h 헤더부, 30000h로 표시되는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를 3000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라 기재하기로 하면, 예컨대, 30000h 헤더부와 3000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와는 쌍이 되어 동일한 섹터를 형성한다. 이 경우, 30000h 헤더부에는 섹터 어드레스 30000h의 섹터 정보가 프리 포맷에 의해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는 섹터 어드레스 30000h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3000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에 기록한다.
이 도 5에는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원 발명에 따른 헤더부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 헤더부가 형성된 광 디스크는 도 1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나선형으로 트랙을 더듬어 가면, 트랙 점프를 통하지 않고, 트랙 1주마다 트래킹의 극성이 랜드/그루브, 랜드, 그루브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경우에는 1 트랙당의 섹터수는 17(16진수 표시로는 11h)로서 표시되고 있고, 트랙을 1주했을 때, 외주측에 인접하는 트랙의 섹터 어드레스는 17만큼 증가한다. 예컨대, 섹터 어드레스가 30000h인 섹터의 외주측에 인접하는 섹터는 섹터 어드레스가 30011h의 섹터이다.
도 5에 있어서, 섹터 어드레스가 30000h, 30011h, 30022h, 30033h…로 표시되는 섹터는 트래킹 극성의 전환점의 섹터로서, 상기한 제1 섹터이다. 또한, 섹터 어드레스가 30010h, 30021h, 30032h, 30043h…로 표시되는 섹터 및 30001h, 30012h, 30023h, 30034h…로 표시되는 섹터는 제1 섹터이외의 섹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루브와 랜드가 트랙 1주마다 교대로 전환되는 방식에서는 트래킹 시에 그루브인지 랜드인지 극성을 전환할 필요가 있고, 트래킹 극성의 전환점의 섹터는 다른 섹터와 다른 헤더 배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예컨대 3000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에 대한 전반 헤더부에는 어드레스 번호 30011h가, 후반 헤더부에는 어드레스 번호 30000h가 프리 포맷에 의해 미리 기록되어 있다. 3000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는 그루브이기 때문에, 후반 헤더부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 번호 30000h가 섹터 어드레스가 된다.
한편, 예컨대 30011h 랜드 섹터 ·레코딩부에 대한 전반 헤더부에는 어드레스 번호 30011h가, 후반 헤더부에는 어드레스 번호 30022h가 프리 포맷에 의해 미리 기록되어 있다. 30011h 랜드 섹터 ·레코딩부는 랜드이기 때문에, 전반 헤더부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 번호 30011h가 섹터 어드레스가 된다.
이러한 지그재그형 헤더의 위치 관계는 그루브 섹터의 경우에서 설명하면, 전반 헤더부가 외측 워블, 후반 헤더부가 내측 워블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그루브 섹터의 트랙 위치에 대하여, 전반 헤더부는 디스크의 외주측에 1/2트랙 피치분만큼 어긋난 위치 관계가 되도록 설치되고, 후반 헤더부는 디스크의 내주측에 1/2트랙 피치분만큼 어긋난 위치 관계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랜드 섹터의 경우는 그루브 섹터의 경우와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고, 전반 헤더부가 내측 워블, 후반 헤더부가 외측 워블의 관계로 되어 있다.
그루브와 랜드가 트랙 1주마다 교대로 전환되는 방식에서는 트래킹 시에 그루브인지 랜드인지 극성을 전환할 필요가 생긴다. 이 극성 전환의 타이밍은 헤더부의 독출에 따라서 행한다. 즉, 헤더부를 독출하고, 이 독출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따라서, 이 헤더부의 뒤에 계속되는 레코딩부를 트래킹 개시하기 전에, 이 레코딩부가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식별하여 소정의 극성으로 전환한다.
만일 헤더부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의해, 뒤에 계속되는 레코딩부가 랜드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트래킹 극성을 랜드로 하여 레코딩부의 트래킹을 행한다. 또한 헤더부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의해, 뒤에 계속되는 레코딩부가 그루브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트래킹 극성을 그루브로 하여 레코딩부의 트래킹을 행한다.
또, 트래킹 극성의 전환은 도 1a를 참조하면,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디스크상의 위치가 미러부(Mirror Field)일 때에 행해진다. 이 미러부의 위치를 특정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헤더부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한다. 즉 헤더부를 구성하는 헤더1, 헤더2, 헤더3, 헤더4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정확히 독출할 수 있으면, 그 독출한 위치에서 미러부의 위치를 역산함으로써 미러부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헤더1의 독출이 정상으로 행해진 경우, 헤더1의 독출 종료 시점에서 비트수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여기서 헤더부의 섹터 포맷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헤더1의 독출 종료 위치로부터 나머지 몇 비트로 미러부가 될지도 미리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헤더1의 독출 종료 시점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소정의 비트수만큼 카운트되면, 미러부에 레이저 광이 조사된 것으로 인식하고, 여기서 트래킹 극성의 전환을 행한다. 이 미러부에서 트래킹 극성이 소정의 극성으로 전환된 후에, 랜드 또는 그루브의 레코딩부의 트래킹을 행한다.
이와 같이 행해지는 랜드/그루브 극성의 전환시에는 이 전환 타이밍의 검출에, 상기한 내측 워블과 외측 워블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이 내측 워블과 외측 워블의 관계를 이용하여 랜드/그루브 극성 전환 타이밍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랜드/그루브 극성 전환의 타이밍 검출에는 도 4에 도시된 광 검출기(24)를 이용한다. 이 광 검출기(24)는 4분할의 광 검출 셀(24a, 24b, 24c, 24d)로 이루어진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광 검출 셀(24a)의 출력 신호와 광 검출 셀(24b)의 출력 신호는 가산기(26c)로 가산되고, 광 검출 셀(24c)의 출력 신호와 광 검출 셀(24d)의 출력 신호는 가산기(26d)로 가산된다.
가산기(26c)의 출력 신호는 차동 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되고, 이 차동 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에 가산기(26d)의 출력 신호가 공급된다. 차동 증폭기(OP1)는 가산기(26c, 26d)의 양 출력 신호의 차에 따른 트랙차 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이 트래킹 제어 회로(28)에 공급됨으로써 트래킹 제어 회로(28)가 차동 증폭기(OP1)로부터의 트랙차 신호에 따라서 트랙 구동 신호를 작성한다.
이 트래킹 제어 회로(28)로부터 출력되는 트랙 구동 신호를 트래킹 방향의 구동 코일(11)에 공급함으로써 또한, 트래킹 제어 회로(28)에서 이용되는 트랙차 신호가 선형 모터 제어 회로(8)에 공급됨으로써 트래킹 제어가 행해진다.
여기서, 광 검출기(24)를 광 검출 셀(24a)과 광 검출 셀(24b)로 이루어지는 제1 광 검출 셀 쌍과, 광 검출 셀(24c)과 광 검출 셀(24d)로 이루어지는 제2 광 검출 셀 쌍의 2조의 쌍으로 2분할하여 생각하면, 이들 2조의 쌍은 광 디스크의 기록 트랙을 따르는 방향에 대응하여 분할되어 있다.
설명을 위해, 2분할한 광 검출 셀중, 기록 트랙의 외주측에 대응하여 제1 광 검출 셀 쌍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광 검출 셀 쌍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A로 한다. 또한, 2분할한 광 검출 셀중, 기록 트랙의 내주측에 대응하여 제2 광 검출 셀 쌍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광 검출 셀 쌍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B로 한다.
이것에 의해, 광 빔을 트랙에 추종하여 조사시킨 경우, 외주측에 워블한 헤더 부분을 광 빔이 통과할 때에는 신호 A의 출력이 증가하고, 신호 B의 출력은 감소한다. 한편, 내주측에 워블한 헤더 부분을 광 빔이 통과할 때에는 신호 B의 출력이 증가하고, 신호 A의 출력은 감소한다.
그래서, 양 신호의 차인 (A-B) 신호를 생성하면, 외주측에 워블한 헤더 부분에서는 (A-B)>0, 내주측에 워블한 헤더 부분에서는 (A-B)<0, 그 이외에서는 (A-B)=0이 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 (A-B)>0의 상태를 「+」, (A-B)<0의 상태를 「-」, (A-B)= 0의 상태를 「0」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광 검출기(24)로부터 출력되는 (A-B) 신호 출력을 이용하면, 상기한 그루브 섹터를 광 빔이 통과할 때에는 이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로의 광 빔 조사에 앞서, (A-B) 신호 출력은 「+」에서 「-」라는 변화를 보인다. 이 모양을 도 8a의 그래프에 도시한다.
한편, 랜드 섹터를 광 빔이 통과할 때에는 이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로의 광 빔 조사에 앞서, (A-B) 신호 출력은 「-」에서 「+」라는 변화를 보인다. 이 모양을 동일하게 도 8b의 그래프에 도시한다. 따라서 이 (A-B) 신호 출력의 극성 변화를 차동 증폭기(OP1)를 통해 트래킹 제어 회로에서 모니터하고, CPU(30)에서 처리함으로써 랜드/그루브 검출을 행하며, 랜드/그루브 극성의 전환 타이밍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즉, 상기의 (A-B) 신호 출력이 「+」에서 「-」라는 변화를 보인 경우에는 계속해서 광 빔이 조사되는 레코딩부는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인 것이 검출된다. 이 때의 그루브 섹터가 제1 섹터에 있어서의 그루브 섹터였을 경우에는 정상으로 트래킹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트래킹 극성을 랜드에서 그루브로 전환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같이, 상기의 (A-B) 신호 출력이 「-」에서 「+」라는 변화를 보인 경우에는 계속해서 광 빔이 조사되는 레코딩부는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인 것이 검출된다. 이 때의 랜드 섹터가 제1 섹터에 있어서의 랜드 섹터였을 경우에는 정상으로 트래킹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트래킹 극성을 그루브에서 랜드로 전환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A-B) 신호 출력의 극성 변화를 이용함으로써 랜드/그루브 극성을 전환의 타이밍 검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이 랜드/그루브 극성 전환의 타이밍 검출을 광 디스크 상에 프리 포맷에 의해 기록된 헤더 내부의 기록 정보, 즉 헤더 내부의 섹터 타입 ·비트를 이용하여 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을 행하기 전에, 도 5에 도시된 헤더 구조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재그형 헤더부를 갖는 광 디스크에서는 도 1a를 참조하여 상기한 섹터 어드레스의 번호 부가 방식의 채용에 의해, 단일 나선형 구조의 디스크 커팅을 내주에서 외주로의 이동이 1회에 끝나는 연속 기록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하였다. 이 커팅시의 기록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원반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포맷 회로(49)로부터 다음과 같은 순번으로 송출되고, E ·O 변조기(44a, 44b)로 이루어지는 빔 변조계(44)가 제어됨으로써 상기한 섹터 어드레스의 번호 부가 방식에 따라서 커팅이 행해진다.
이 기록 신호의 송출 순번은 「30011h 헤더부→30000h 헤더부→3000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30021h 헤더부→30010h 헤더부→3001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1주분 공백→30033h 헤더부→30022h 헤더부→30022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 이하 생략」의 순서이다.
여기서, 30011h 헤더부의 구체적 내용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헤더1의 PID 1부(4 바이트)의 하위 3 바이트에 030011h를 기록하는 동시에, 헤더2의 PID 2부(4 바이트)의 하위 3 바이트에 030011h를 기록한 엠보스 헤더이다. 또한,30000h 헤더부의 구체적 내용은 헤더3의 PID 3부(4 바이트)의 하위 3 바이트에 030000h를 기록하는 동시에, 헤더4의 PID 4부(4 바이트)의 하위 3 바이트에 030000h를 기록한 엠보스 헤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섹터 어드레스의 번호 부가 방식에 따르는 것에 의해, 단일 나선형 방식의 랜드 그루브 기록 디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디스크에서는 섹터 어드레스가 연속하고 있고, 연속 기록 재생시에는 1회도 트랙 점프나 시크를 끼우지 않고 전면을 처리할 수 있다.
단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 나선형 방식의 랜드 그루브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는 정확하게 트래킹 제어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트래킹의 극성을 1주마다 전환할 필요가 있다. 즉, 도 5에 있어서 3001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에서는 트래킹의 극성은 그루브가 되지만, 계속해서 광 빔에 의해 조사되는 부분은 30011h 헤더부에서는 그루브, 30011h 랜드 섹터 ·레코딩부에서는 랜드 극성으로 트래킹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트래킹 극성의 전환은 상기한 (A-B) 신호의 극성을 이용하여 행하는 방법 이외에, 이하에 설명하는 헤더 내부의 섹터 타입 ·비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도 3b에는 헤더 내부의 PID부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고, 헤더1 내에는 PID 1부, 헤더2 내에는 PID 2부, 헤더3 내에는 PID 3부, 헤더4 내에는 PID 4부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PID부는 32 비트(4 바이트)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 각 비트를 b31∼b0으로 나타내고, b31을 최상위 비트(MSB), b0을 최하위 비트(LSB)로 한다.
PID부를 구성하고 있는 b31∼b0중, b31∼b24의 8비트(1 바이트)는 섹터 정보, 즉 섹터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부분이다. 또한, b23∼b0의 24 비트(3 바이트)는 섹터 번호, 즉 섹터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부분이다.
이하에, 섹터 정보의 내용을 설명한다. b31과 b30은 예약(Reserved)으로, 예컨대, 00b를 우선 기록한 간격, 장래 어떠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 구비해 놓은 부분이다. 또, 상기의 00b에 있어서의 숫자 00의 뒤의 문자 b는 바이너리(binary)의 약자로 2진수인 것을 나타낸다. b29와 b28은 물리 ID 번호를 나타낸 것으로, PID 1부이면 00b, PID 2부이면 01b, PID 3부이면 10b, PID 4부이면 11b를 기록한다.
b27∼b25는 섹터 타입을 나타낸 부분으로, 판독 전용의 섹터이면 000b, 기록 가능한 제1 섹터이면 100b, 기록 가능한 최종 섹터이면 101b, 최종 섹터의 1개 전에 있는 기록 가능한 섹터이면 110b, 그 밖의 섹터이면 111을 기록한다. 또, 001b에서 011b의 예약을 위해 취해 둔다.
여기서, 독출 전용의 섹터란 실제로는 리드인 영역 부분 등과 같은 엠보스로 데이터부도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섹터를 가리킨다. 또한, 제1 섹터란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루브에서 랜드, 또는 랜드에서 그루브로 트래킹 극성이 바뀌는 섹터이다. 더욱이, 최종 섹터란 제1 섹터의 1개 앞의 섹터를 가리킨다.
도 5의 예로 설명하면, 30000h, 30011h, 30022h, 30033h, …의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는 섹터가 기록 가능한 제1 섹터이다. 또한, 30010h, 30021h, 30032h, 30043h, …의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는 섹터가 기록 가능한 최종 섹터이다. 또, 3000Fh, 30020h, 30031h, 30042h, …의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는 섹터가 최종 섹터의 1개 전에 있는 기록 가능한 섹터이다.
이러한 섹터 타입을 나타낸 부분인 섹터 타입 ·비트로부터 트래킹 극성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 재기록 가능한 제1 섹터의 타이밍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헤더내부의 PID부를 독출함으로써 섹터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한 섹터 타입에 따라서 트래킹 극성을 전환한다. 또, 이 제1 섹터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 섹터의 1개 전에 있는 최종 섹터, 또는 최종 섹터의 다시 1개 전에 있는 기록 가능한 섹터로부터 전환 타이밍을 생성하여 트래킹 극성을 전환할 수 있다.
이 트래킹 극성 전환 타이밍 검출에 따르는 제1 섹터의 검출에 있어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바이트의 IED부가 부가되어 오류 검출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재기록 가능한 제1 섹터의 검출을 행할 수 있고, 단일 나선형 디스크에 있어서, 안정한 트래킹 극성 전환이 실현된다.
또한 PID 1부 및 PID 2부로 이루어지는 PID부를 전반 PID부, PID 3부 및 PID 4부로 이루어지는 PID부를 후반 PID부로 하여, 전반 PID부에 기록된 섹터 어드레스의 값과 후반 PID부에 기록된 섹터 어드레스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트래킹 극성의 전환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예컨대, 30000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에 대해서는 전반 헤더부가 (30011h) 헤더부이고, 후반 헤더부가 30000h 헤더부이다. 여기서, 전반 헤더부인 (30011h) 헤더부에는 섹터 어드레스 30011h가 기록된 전반 PID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반 헤더부인 30000h 헤더부에는 섹터 어드레스 30000h가 기록된 후반 PID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반 PID부에 기록된 섹터 어드레스 30011h는 후반 PID부에 기록된 섹터 어드레스 30000h보다도 큰 값이다. 이 관계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그루브 섹터 모두에 있어서 성립한다. 따라서, 헤더부에 광 빔을 조사함으로써 전반 PID부의 섹터 어드레스와 후반 PID부의 섹터 어드레스를 독출하고, 이들 섹터 어드레스의 값을 비교하여, 전반 PID부에 의한 섹터 어드레스쪽이 큰 경우에는 계속해서 광 빔이 조사되는 레코딩부를 그루브 섹터의 레코딩부로 판단할 수 있고, 트래킹 극성의 전환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랜드 섹터의 경우도 동일하다. 예컨대, 30011h 랜드 섹터 ·레코딩부에 대해서는 전반 헤더부가 30011h 헤더부이고, 후반 헤더부가 30022h 헤더부이다. 여기서, 전반 헤더부인 30011h 헤더부에는 섹터 어드레스 30011h가 기록된 전반 PID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반 헤더부인 30022h 헤더부에는 섹터 어드레스 30022h가 기록된 후반 PID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반 PID부에 기록된 섹터 어드레스 30011h는 후반 PID부에 기록된 섹터 어드레스 30022h보다도 작은 값이다. 이 관계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랜드 섹터 모두에 있어서 성립한다. 따라서, 헤더부에 광 빔을 조사함으로써 전반 PID부의 섹터 어드레스와 후반 PID부의 섹터 어드레스를 독출하고, 이들 섹터 어드레스의 값을 비교하여, 전반 PID부에 의한 섹터 어드레스쪽이 작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광 빔이 조사되는 레코딩부를 랜드 섹터의 레코딩부로 판단할 수가 있으며, 트래킹 극성의 전환에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트래킹 극성의 전환이 잘 행해지지 않은 경우, 또는 트래킹 극성의 전환을 의도적으로 행하지 않고서, 어떤 트랙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트랙 홀드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제1 섹터에 있어서, 30021h 랜드 섹터 ·레코딩부로부터 30022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에 걸쳐서 광 빔에 의한 트레이스를 하고 있는 경우는 통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30021h 랜드 섹터 ·레코딩부에서는 랜드 트랙의 트랙 중심이 광 빔의 스폿에 의해 트레이스된다. 또한, 30033h 헤더부 및 30022h 헤더부로 이루어지는 지그재그형 헤더부에서는 이들 헤더 부분의 중심선을 따라 광 빔의 트레이스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30022h 그루브 섹터 ·레코딩부에서는 우선 트래킹 극성이 랜드에서 그루브로 전환된 후에, 그루브 트랙의 트랙 중심이 광 빔의 스폿에 의해 트레이스된다.
이 때, 상기의 지그재그형 헤더부를 광 스폿이 통과한 후에도, 트래킹 극성을 랜드에서 그루브로 전환하지 않은 경우에는 30011h 랜드 섹터 ·레코딩부, 또는 30033h 랜드 섹터 ·레코딩부의 어느쪽인가에 광 빔의 스폿이 트레이스하도록 트래킹 제어가 이루어지고, 정상적인 트랙 추종 상태에서 일탈해 버리게 된다. 이 경우, 광 스폿이 어느쪽에 트래킹 제어될지는 그 때의 디스크의 편심의 상태, 트랙 오프셋의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어 예측할 수 없다.
그래서, 광 빔의 스폿을 트랙에 추종시킬 때, 기록 재생 특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트랙 오프셋을 의도적으로 걸어 두는 것으로 한다. 즉, 나선형의 랜드 트랙 및 그루브 트랙을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광 빔의 스폿으로 추종할 때,랜드 트랙 및 그루브 트랙의 트랙 중심보다도, 약간 디스크의 내주측으로 치우친 위치를 광 빔의 스폿에 의해 트레이스한다.
이렇게 해 두면,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래킹 극성의 전환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30021h 랜드 섹터 ·레코딩부로부터 지그재그형 헤더부를 통해, 30011h 랜드 섹터 ·레코딩부로 트래킹 제어된다. 이 트래킹 제어 후에는 30011h 랜드 섹터 ·레코딩부로부터 트랙 1주분의 광 빔에 의한 랜드 트랙의 추종이 행해지고, 다시 30021h 랜드 섹터 ·레코딩부로 복귀되게 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 특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약간인 트랙 오프셋을 의도적으로 디스크의 내주측에 걸쳐둠으로써 30011h, 300121h, 30020h, 30021h, 30011h, …로 섹터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섹터의 순으로, 광 빔의 스폿을 같은 트랙에 유지시킨 상태로 트레이스시킬 수 있고, 트래킹 극성의 전환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 또는 트래킹 극성의 전환이 잘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도, 정상적인 트래킹 제어에서 크게 일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상기한 지그재그형의 헤더 구조를 갖는 재기록가능한 데이터 영역보다도 디스크 내주측에 엠보스 데이터 영역이 표시되고 있다. 이 엠보스 데이터 영역은 독출 전용의 데이터 영역으로, 재기록 가능한 지그재그형의 헤더 구조에 의한 섹터 포맷이 아니라, 독출 전용의 디스크에 있어서의 섹터 포맷으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엠보스 데이터 영역에서는 요철형의 피트로 이루어지는 엠보스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엠보스 데이터 영역과 재기록가능한 데이터 영역 사이에는 경면(mirror)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영역을 마련한다.
이러한 엠보스 데이터 영역에는 예컨대, 기준 신호, 물리 포맷 정보, 디스크 제조 정보, 디스크 공급자 정보 등을 기록하고,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독출 전용 플레이어에 의해 정보를 독출할 수 있는 리드인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종래의 독출 전용 플레이어로, 상기한 지그재그형 헤더에 의한 섹터 포맷으로 기록된 정보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디스크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지그재그형 헤더부를 가진 랜드 그루브 기록에 의한 광 디스크에서는 소위 존 CLV 방식 또는 존 CAV 방식을 겸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그재그형의 헤더부를 갖는 단일 나선형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랜드와 그루브에 정보를 기록하여 기록 용량을 증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디스크 전면에 걸쳐 짧은 시간으로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존 CLV 방식 또는 존 CAV 방식에서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 제어를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액세스를 행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이 존 CLV 방식 또는 존 CAV 방식을 상기의 지그재그형 헤더부를 갖는 단일 나선형 구조로 조합하여 사용하면, 한층더 액세스 스피드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존 CLV 방식에서는 광 디스크(1)의 디스크면상을 복수의 환상 존 Z0, Z1, …, Z23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각각의 환상 존 내에는 상기한 지그재그형 헤더부를 갖는 단일 나선형 구조의 섹터 포맷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 분할된 존마다, 디스크 회전수를 전환하여 디스크면상에서 선속도를 거의 일정하게 제어한다. 각 존 내에서는 디스크 회전수를 거의 일정하게제어하는 비교적 간단한 회전수의 변속 제어에 의해, 거의 일정한 선속도로 정보의 독출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존을 걸쳐 기록이나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해야 한다. 예컨대, 어떤 존 내에 기록면의 결함에 의해 재생할 수 없는 섹터가 있었다고 해서, 그 섹터에 기록해야 할 정보를 대신 기록해 두는 여분의 영역(즉, 교체 영역)이 동일 존 내에 없었을 경우는 존을 걸쳐 기록이나 재생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스핀들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모터 회전수의 변경은 회전수가 안정할 때까지 긴 시간을 요하며, 결과적으로 데이터 액세스 시간을 길게 해 버린다. 이러한 폐해를 없애기 위해서 각 존 내에 스페어 영역을 마련한다. 예컨대, 상기 24분할된 존, 즉 존 Z0, Z1,…, Z23에 있어서, 각 존의 외주측에 여분의 영역 S0, Sl, …, S23을 각각 마련한다.
[표 1a]
[표 1b]
상기 표 1a 및 표 1b에 있어서, 존 번호 0, 1,…, 23은 상기한 존 Z0, Zl,…Z23과 대응하고 있고, 각 존의 제원을 나타내고 있다.
섹터수는 트랙 1주당의 섹터수를 나타내고 있고, 존이 1개 외측으로 이동하면 1증가한다. 선두 섹터 번호는 각 존의 선두 섹터의 섹터 번호, 즉 섹터 어드레스를 16진수 표시한 것이다. 내주측 버퍼 영역 섹터 번호는 각 존의 내주측에 설치된 버퍼 영역의 섹터 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또, 버퍼 영역이란, 존과 존의 경계에 설치된 영역으로, 데이터 기록은 행해지지 않는다. 데이터 영역 섹터 번호는 사용자 데이터 기록 가능한 영역의 섹터 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디스크의 용량을 계산할 때에는 이 영역의 데이터량을 적산한다. 데이터 블록수는 상기의 사용자 데이터 기록 가능한 영역에 ECC 블록(16 물리 섹터)이 몇개 들어가는지를 10진수로 나타낸 것이다.
스페어 섹터 번호는 각 존의 스페어 영역 내에 있는 스페어 섹터의 섹터 번호를 16진수로 나타낸 것이다. 이 표 1a 및 표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터 번호가 큰 섹터만큼 디스크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한 스페어 영역은 각 존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스페어 섹터수는 스페어 영역의 섹터수를 10진수로 나타낸 것이다.
또, 외주측 버퍼 영역 섹터 번호는 각 존의 외주측에 설치된 버퍼 영역의 섹터 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최종 섹터 번호는 존의 최종 섹터 번호를 16진수로 표시한 것이다. LBA 선두 섹터 번호는 논리 블록 어드레스(즉, 버퍼, 스페어 영역을 제외한 섹터에 연속한 번호를 매긴 것)의 선두 번호를 10진수 표시한 것이다. 선두 섹터의 데이터 영역 번호는 LBA 선두 섹터 번호에 16진수로 31000h의 오프셋을 걸어, 즉 10진수로 200704를 덧붙여 16진수 표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 존마다 스페어 영역을 마련하여, 디스크 회전수를 변경하지 않고 교체 처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액세스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표 1a 및 표 1b에 표시되는 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각 존을 1888 트랙으로 구성해 둔다. 이 경우, 교체 처리를 행할 때의 디스크 회전수의 변경은 없고, 최대 1888 트랙의 시크가 필요하게 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반 헤더부(HF1, HF3)와, 후반 헤더부(HF2, HF4)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지그재그형으로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배치함으로써 적어도, ① 피트 사이의 간격에 여유가 생기게 함으로써 판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② 헤더 전용이 가는 빔을 불필요하게 하여 단일 빔으로 신속한 커팅을 실현하며, ③ 랜드와 그루브의 전환 위치의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더욱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관해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작용 효과를 일으키는 상기 광 디스크에 대하여 정확하게 또한 고속으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데이터 기록 재생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5)

  1.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랜드부(land portion)와,
    상기 랜드부를 따라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랜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그루브부(groove portion)-상기 랜드부와 상기 그루브부는 나선형 트랙을 형성한다-와,
    상기 그루브부를 따라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되며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기록 섹션-이 제2 기록 섹션의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갖는다-과;
    상기 디스크상에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제1 어드레스(m)를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는 상기 제1 기록 섹션의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부 헤더 섹션-이 전반 헤더 섹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쪽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m)와 트랙을 한번 회전한 만큼 차이가 있는 어드레스 (m+M)을 저장한다-과,
    상기 디스크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m)을 저장하고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안쪽으로 시프트되는 후반 헤더 섹션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
  2.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해 구성된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는 상기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랜드부(land portion)와,
    상기 랜드부를 따라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랜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그루브부(groove portion)-상기 랜드부와 상기 그루브부는 나선형 트랙을 형성한다-와,
    상기 그루브부를 따라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되며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기록 섹션-이 제2 기록 섹션의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갖는다-과;
    상기 디스크 상에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제1 어드레스(m)를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는 상기 제1 기록 섹션의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부 헤더 섹션-이 전반 헤더 섹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쪽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m)와 트랙을 한번 회전한 만큼 차이가 있는 어드레스 (m+M)을 저장한다-과,
    상기 디스크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m)을 저장하고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안쪽으로 시프트되는 후반 헤더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4.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랜드부(land portion)와,
    상기 랜드부를 따라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랜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그루브부(groove portion)-상기 랜드부와 상기 그루브부는 나선형 트랙을 형성한다-와,
    상기 그루브부를 따라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되며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기록 섹션-이 제2 기록 섹션의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갖는다-과;
    상기 디스크상에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제1 어드레스(m)를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는 상기 제1 기록 섹션의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부 헤더 섹션-이 전반 헤더 섹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쪽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와 트랙을 한번 회전한 만큼 차이가 있는 어드레스 (m+M)을 저장한다-과,
    상기 디스크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m)을 저장하고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안쪽으로 시프트되는 후반 헤더 섹션을 구비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와;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재생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6.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
    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
  7.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해 구성된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l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9.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11.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고, 상기 전반 헤더 섹션은 이 전반 헤더 섹션와 동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전반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헤더 섹션(HF3)을 포함한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이 후반 헤더 섹션은 이후반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 후반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헤더 섹션(HF4)를 포함한다-
    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
  12. 광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해 구성된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고, 상기 전반 헤더 섹션은 이 전반 헤더 섹션와 동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전반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헤더 섹션(HF3)을 포함한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이 후반 헤더 섹션은 이 후반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 후반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헤더 섹션(HF4)를 포함한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14.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고, 상기 전반 헤더 섹션은 이 전반 헤더 섹션와 동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전반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헤더 섹션(HF3)을 포함한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이 후반 헤더 섹션은 이 후반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 후반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헤더 섹션(HF4)를 포함한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16.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미러 필드를 통하여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
    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
  17.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해 구성된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미러 필드를 통하여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19.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반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부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미러 필드를 통하여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반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고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후반 헤더 섹션(HF2)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전반 헤더 섹션, 상기 후반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전반 헤더 섹션과 상기 후반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21. 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하프 헤더 섹션(first half header section: 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고,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이 제1 하프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앞쪽 방향으로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3 하프 헤더 섹션(HF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3 하프 헤더 섹션의 VFO 정보보다 데이터 길이가 더 긴 VFO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제2 하프 헤더 섹션(HF2)-이 제2 하프 헤더 섹션은 이 제2 하프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앞쪽 방향으로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4 하프 헤더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4 하프 헤더 섹션의 VFO 정보보다 데이터 길이가 더 긴 VFO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
  22. 광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해 구성된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하프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고,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이 제1 하프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앞쪽 방향으로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3 하프 헤더 섹션(HF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3 하프 헤더 섹션의 VFO 정보보다 데이터 길이가 더 긴 VFO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제2 하프 헤더 섹션(HF2)-이 제2 하프 헤더 섹션은 이 제2 하프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앞쪽 방향으로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4 하프 헤더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4 하프 헤더 섹션의 VFO 정보보다 데이터 길이가 더 긴 VFO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과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광디스크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장치.
  24.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광디스크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트랙과,
    상기 나선형 트랙의 1 회전마다 전환되도록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교대로 형성된 랜드부(L)와 그루브부(G)와,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랜드부에 형성되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의 상기 그루부에 형성되고 데이터 기록/재생을 위해 구성된 제2 기록 섹션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하프 헤더 섹션(HF1)-상기 제1 기록 섹션은 소정의 제1 어드레스(m)을 하나의 어드레스 위치만큼 앞서는 소정의 제2 어드레스(m-1)를 갖고, 상기 전반 헤더 섹션은 상기 제1 기록 섹션에 대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시프트되고 어드레스 (m+M)을 저장하며, 이 저장된 어드레스 (m+M)은 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과 트랙 1 회전만큼 차이가 있고,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이 제1 하프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앞쪽 방향으로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3 하프 헤더 섹션(HF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3 하프 헤더 섹션의 VFO 정보보다 데이터 길이가 더 긴 VFO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과,
    상기 나선형 트랙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록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에 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시프트되며상기 소정의 어드레스 (m)을 저장하는 제2 하프 헤더 섹션(HF2)-이 제2 하프 헤더 섹션은 이 제2 하프 헤더 섹션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앞쪽 방향으로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4 하프 헤더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은 상기 제4 하프 헤더 섹션의 VFO 정보보다 데이터 길이가 더 긴 VFO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광빔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 상기 제1 기록 섹션 및 상기 제2 기록 섹션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 조사 수단과,
    상기 광빔의 조사 위치를 상기 광빔의 반사광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상기 광빔을 상기 광디스크 상의 소정의 위치에 향하게 하는 제어 수단과,
    (i) 상기 광 빔의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 하프 헤더 섹션과 상기 제2 하프 헤더 섹션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기록 섹션과 상기 제2 기록 섹션 사이의 전환 위치(switch-over position)를 검출하고, (ii) 상기 전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광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광빔의 스폿이 상기 나선형 트랙을 따라 갈 때, 상기 광 빔이 상기 나선형 트랙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난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광빔의 스폿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기록/재생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
KR10-1998-0022266A 1997-06-16 1998-06-15 지그재그형으로배치된헤더를갖는기록재생광디스크와그기록재생장치 KR100386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57261 1997-06-16
JP15726197A JPH117630A (ja) 1997-06-16 1997-06-16 記録再生用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15726097A JPH117629A (ja) 1997-06-16 1997-06-16 記録再生用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97-157260 1997-06-16
JP97-179380 1997-07-04
JP09179380A JP3078242B2 (ja) 1997-07-04 1997-07-04 光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80A KR19990006980A (ko) 1999-01-25
KR100386531B1 true KR100386531B1 (ko) 2003-12-31

Family

ID=2732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266A KR100386531B1 (ko) 1997-06-16 1998-06-15 지그재그형으로배치된헤더를갖는기록재생광디스크와그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259658B1 (ko)
EP (1) EP0886265B1 (ko)
KR (1) KR100386531B1 (ko)
CN (1) CN1129120C (ko)
DE (1) DE6983407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998B1 (ko) * 1998-04-17 2001-09-06 윤종용 랜드/그루브 절환 신호 발생방법 및 장치
DE19934473A1 (de) * 1999-07-27 2001-02-01 Thomson Brandt Gmbh Gerät zum Beschreib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KR100318201B1 (ko) * 1999-08-19 2001-12-22 구자홍 광기록매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노광장치
DE60033703T2 (de) * 2000-01-14 2007-10-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ptischer Datenträger und Addresseleseeinrichtung und -Verfahren für optischen Datenträger
KR100737719B1 (ko) * 2000-01-24 2007-07-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 기록 매체, 광 재생 장치, 및 광 재생 방법
CN101325065B (zh) * 2000-01-24 2011-03-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制作光记录媒体的方法、记录方法和再现方法
KR20050088015A (ko) * 2004-02-28 200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및 장치
US7613087B2 (en) * 2005-10-25 2009-11-03 Media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ly converting groove/land polarity upon groove/land track change on optical medium
US7903508B2 (en) * 2006-01-26 2011-03-08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groove/land switching points of an optical disc utilizing a motor rotating signal and original switching points
US7961577B2 (en) * 2006-03-10 2011-06-14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indicating a specific area on an optical disc utilizing an adjustable specific time
DE112011100039B4 (de) * 2010-06-14 2014-01-02 Mitsubishi Electric Corp. Laserbearbeitungsvorrichtung und Laserbearbeitungs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5736A1 (fr) * 1995-02-17 1996-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de reproduction sur disque optique
JPH09115145A (ja) * 1995-10-19 1997-05-02 Hitachi Ltd 光記録媒体
GB2307770A (en) * 1995-12-01 1997-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Optical dis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596B2 (ja) * 1995-11-24 2000-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JP3063613B2 (ja) * 1996-03-25 2000-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媒体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6044051A (en) * 1996-04-11 2000-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erasing information on a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tilizing light beam radiation
JP3092510B2 (ja) 1996-04-15 2000-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媒体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418065B2 (ja) 1996-06-26 2003-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
JPH1011759A (ja) 1996-06-27 1998-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
JPH10106800A (ja) 1996-09-25 1998-04-24 Hitachi Ltd 荷電粒子ビーム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5736A1 (fr) * 1995-02-17 1996-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de reproduction sur disque optique
JPH09115145A (ja) * 1995-10-19 1997-05-02 Hitachi Ltd 光記録媒体
GB2307770A (en) * 1995-12-01 1997-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Optical di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6265A2 (en) 1998-12-23
EP0886265A3 (en) 1999-01-20
US20020027858A1 (en) 2002-03-07
US6259658B1 (en) 2001-07-10
CN1211030A (zh) 1999-03-17
CN1129120C (zh) 2003-11-26
DE69834072T2 (de) 2007-02-08
KR19990006980A (ko) 1999-01-25
DE69834072D1 (de) 2006-05-18
US6625092B2 (en) 2003-09-23
EP0886265B1 (en)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282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US5377178A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recording medium having clock marks recorded in a wobbled track for read/write synchronization
KR100464999B1 (ko) 리라이터블디스크및이디스크에데이터를기록하기위한장치
KR100494963B1 (ko) 진동하는 랜드 및 그루브를 갖는 광 디스크
KR100556161B1 (ko) 광디스크및광디스크드라이브
US6298033B1 (en) Recording/reproducing optical disk with constant product of rotation number and number of sector areas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KR100279335B1 (ko) 정보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 및 정보 기록 재생용 광 디스크의형성 방법
JP3080902B2 (ja) 記録再生用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386531B1 (ko) 지그재그형으로배치된헤더를갖는기록재생광디스크와그기록재생장치
KR100243457B1 (ko) 광디스크장치와 그 트랙킹 제어회로와 트랙킹 위치의 변경방법
US6747942B1 (en) Optical disk, and metho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thereon wherein areas of the disk employ different formats
JP3959237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3078242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3959149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3959147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H1125606A (ja) 記録再生用光ディスク
JPH1186345A (ja) 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の原盤製造装置と光ディスク装置
JPH1125605A (ja) 記録再生用光ディスク
JPH05314664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再生方法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3872887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117630A (ja) 記録再生用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117629A (ja) 記録再生用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3762029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3762027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2000057580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の原盤製造装置、情報記録媒体処理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629

Effective date: 2002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