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830B1 - 화상신호의부호화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신호의부호화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830B1
KR100381830B1 KR1019960706340A KR19960706340A KR100381830B1 KR 100381830 B1 KR100381830 B1 KR 100381830B1 KR 1019960706340 A KR1019960706340 A KR 1019960706340A KR 19960706340 A KR19960706340 A KR 19960706340A KR 100381830 B1 KR100381830 B1 KR 100381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target
code length
image signal
complex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085A (ko
Inventor
아츠오 야다
다쿠야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9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estimating the code amount by means of a model, e.g. mathematical model or statistical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고 제어에 의해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의 양자화를 행하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복수의 양자화 출력의 발생 부호 길이와 목표 부호 길이를 비교하며,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고. 양자화 인덱스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으로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며, 양자화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고, 다시 양자화 인덱스의 결정 때에 다시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 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어진 2 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 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이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한다.

Description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MPEG(Moving Pictures Expert Croup) 규격으로 대표되는 움직임 보상과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조합한 화상 압축 방식에서는 전송로로 송출되는 비트 스트림이 희망하는 비트율로 되도록 부호량 제어를 행하고 있다. 종래의 부호량 제어는 이전의 양자화 스텝과 부호량과의 관계와 현재의 평균 비트율을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이다.
도 7에는 움직임 보상과 DCT를 조합한 화상 압축 부호화 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디지탈 입력 영상 신호는 입력 단자(T1)를 통해 주사 변환 회로(1)에 공급되어 1 프레임의 화상이 다수의 매크로블록으로 분할된다. MPEG에서는 휘도 신호에 관해서 4개의 DCT 블록으로 구성이 되는(16×16)의 사이즈의 블록이 구성된다, 색차 신호(Cr, Cb)에 관해서 (4 : 2 : 2)의 경우, 2개의 DCT 블록으로 구성이 되는 (8×8)의 사이즈의 블록이 각각 구성된다. 이들의 합계 8개의 DCT 블록을 정리해서 1개의 매크로블록이 구성된다.
주사 변환 회로(1)에서 매크로블록화된 데이타는 감산 회로(2)와 움직인 벡터를 구하기 위한 움직임 검출부(3)에 공급된다. 움직임 검출부(3)에서는 현 매크로블록에 대한 참조 화상으로부터의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 이 움직임 벡터는 움직임 보상부(4)에 공급되어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움직임 보상이 행해진다. 움직임 보상에서는 디코더측과 동일한 움직임 보상을 행하기 위해서, 참조 화상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컬 코드화된 것을 사용한다.
감산 회로(2)에 있어서 매크로블록의 데이타가 인트라(inera) 처리의 경우에는 감산 처리가 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DCT 처리부(5)에 공급된다. 한편 인터(inter)처리의 경우에는 움직임 보상부(4)로부터의 화상 데이타와의 차몫이 산출되고 이 차몫이 DCT 처리부(5)에 공급된다.
DCT 처리부(5)에서는 (8×8)의 DCT 블록마다 DCT가 실시되며, 이에따라 DCT계수 데이타가 발생된다. 이 계수 데이타는 양자화기(6)에서 양자화 스텝에 의해 양자화된다. 양자화기(6)에 의해 양자화된 데이타(양자화 레벨이라고 함)는 가변 길이 부호의 엔코더(7)에서 가변길이 부호화된다. 가변길이 부호의 엔코더(7)의 출력은 버퍼(8)에 공급된다. 이 버퍼(8)로부터의 비트 스트림은 출력 단자(T2)를 통해 전송로로 송출된다. 버퍼(8)의 출력의 비트율을 상기 전송로의 비트율과 대응되도록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양자화기(6)의 양자화 스텝이 제어된다.
양자화기(6)의 출력은 역양자화기(9)에도 공급된다. 이 역양자화기(9)의 출력(대표치)은 역 DCT 처리부(10)에 공급되고 샘플면의 복호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이 화상 데이타는 인트라 화상인 때에는 그대로 로컬 복호 화상으로 된다. 한편 인터 화상인때에는 차(差) 신호가 복호되므로 움직임 보상부(4)로부터의 움직임보상된 화상과 가산 회로(11)에서 가산됨으로써 복호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부호량 제어는 양자화기(5)에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양자화 인덱스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MPEG2에서 테스트 모델로 제안되고 있는 부호량 제어에서는, 가상 버퍼의 잔량과 이전에 엔코더할 때의 양자화 인덱스와의 발생 부호량 관계를 이용해서 피드백 제어를 함으로써 부호량 제어를 행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종래의 부호량 제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피드백 제어이기 때문에 댐핑을 적게 하면 반응은 빠르지만 진동적으로 되고 댐핑을 크게 하면 진동은 감소하지만 반응이 느려진다.
둘째로. 화상의 장면이 변할 때, 순간적으로 비트율이 증가하고 응용시에 재생 화상에 오류를 초래하거나 큰 화질 열화가 생긴다.
셋째로는, 소정의 매수의 프레임을 소정의 비트율로 전송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방식으로 부호량을 제어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것은 동일 길이 단위로 발생하는 부호량을 복수의 양자화 스텝으로 미리 계산하고 발생 부호량이 목표 부호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한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피드 포워드 방식의 부호량 제어에서, 동일 길이 단위로는 GOP(Group Of Picture), 프레임, 매크로블록 등이 고려된다. GOP는 1 프레임 이상의 화상 데이타이며, MPEG2의 경우에서는 GOP 단위로 부호량을 제어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호량을 제어할 때. 복수의 양자화 스텝이 서로 다른 고정치이고 이들 스텝 중 1 개의 양자화 스텝이 GOP에 대해 선택되기 때문에 매크로블록 마다 복호 화상의 화질의 양호 여부가 다르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예컨대 섬세한 그림의 매크로블록의 경우에는 화질이 열화되고 역으로 평탄한 그림의 매크펄블록의 경우에는 화질이 양호하다. 인접하는 매크로블록 사이에서 이와 같은 화질의 차가 큰 경우에는 블록 왜곡이 생긴다.
본 발명은 움직임 보상과 DCT를 조합한 부호화에 적응되는 화상 신호의 부호와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부호화의 엔코더의 한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매크로블록 부호 길이와 매크로블록 번호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부호화의 엔코더 외의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각 양자화기(고정 양자화기)의 1프레임분의 적산치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2진 탐색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부호화의 엔코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A는 액티비티의 검출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B는 DCT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C는 양자화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D는 변환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E는 적산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F는 FIFO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G는 목표 부호 길이 결정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H는 FIFO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I는 2진 탐색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J는 양자화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6K는 가변 길이 부호화 출력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7은 종래의 부호화의 옌코더의 한 예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사 변환 회로 2, 11, 24 : 가산 회로
3 : 움직임 보상 회로 4, 21 : 움직임 검출 회로
5, 25 : DCT 처리부 6, 25-1∼26-n : 양자화기
7 :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 8:버퍼
9 : 역 양자화기 10 : IDCT 처리부
22, 23, 52-1∼52-n : FIFO 27-1∼27-n : 변환 회로
28 : 양자화 인덱스 결정회로 29, 50 : 검출회로
51-1∼51-n : 적산회로 53 : 2진 탐색회로
54 :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드 포워드 방식의 부호량 제어를 채용하고 화질 신호의 국소적 성질에 적응하는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호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질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고, 이 제어에 따라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의 양자화를 행하며, 그 결과 얻어지는 복수의 양자화 출력의 발생 부호 길이와 목표 부호 길이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며, 양자화 인덱스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으로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고, 양자화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할 때에서, 다시 상기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 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어진 2 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이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한다.
이에 따르면 매크로블록의 그림의 섬세한 것과 같은 화상의 국소적 성질에의해 양자화 스텝을 변경함으로써 복호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호 길이를 견적(見積)할 때에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양자화 스텝에 대응해서 로컬 디코드를 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부호량 제어시 처리 스텝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을 간단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며, 복잡도 검출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1∼제n 양자화 수단을 이용하여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의 양자화를 행하고, 상기 제1∼제n 양자화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양자화 출력을 각각 발생 부호 길이 정보로 변환하며, 발생 부호 길이 정보와 목표 부호 길이 정보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목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며, 상기 양자화 인덱스를 기초로 하는 양자화 스텝으로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고 상기 양자화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다시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할 때에 다시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 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어진 2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한다.
이에 따라 매크로블록의 그림의 세밀한 것과 같은 화상의 국소적 성질에 의해 양자화 스텝을 변경함으로써 복호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호량을 견적할 때에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양자화 스텝에 대응해서 로컬 디코드를 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부호량 제어시 치리 스텝을 줄임으로써 구성이 간단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여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는 복잡도의 검출 수단과 복잡도 검출 수단의 제어에 따라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의 양자화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복수의 양자화 출력의 발생 부호 길이와 목표 부호 길이를 비교하여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는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과, 이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으로부터의 양자화 인덱스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으로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는 양자화 수단과, 이 양자화 수단의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에서 다시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어진 2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이,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한다.
이에 따르면, 매크로블록의 그림의 섬세함과 같은 화상의 국소적 성질에 의해 양자화 스텝을 변경함으로써 복호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호 길이를 견적할 때에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양자화 스텝에 대응해서 로컬 디코드를 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부호량 제어시 처리 스텝을 줄임으로써 구성이 간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는 복잡도 검출 수단과, 복잡도 검출 수단의 제어에 따라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의 양자화를 행하는 제1∼제n의 양자화 수단과, 이 제1∼제n의 양자화 수단으로부터의 각 양자화 출력을 각각 발생 부호 길이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이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발생 부호 길이 정보와 목표 부호 길이 정보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목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는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과, 이 양자화 인덱스 결정수단으로부터의 양자화 인덱스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으로 상기 화상 신호의 앙자화를 행하는 양자화 수단과, 양자화 수단의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에서 다시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어진 2 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이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한다.
이에 따라 매크로블록의 그림의 섬세함과 같은 화상의 국소적 성질에 의해 양자화 스텝을 변경함으로써 복호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호량을 견적할 때에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해 움직임 보상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양자화 스텝에 대응해서 로컬 디코드를 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부호량 제어시 처리 스텝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성아 간단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관련하여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한 형태로서의 엔코더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도 7의 엔코더의 구성과 같이 도 1 에 도시된 엔코더는 움직임 보상 및 DCT를 조합하여 화상 데이타를 압축한다. 도 7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를 하였다.
처리되는 순서로 정렬된 입력 화상 데이타는 주사 변환 회로(1)에서 매크로 블록으로 분할된다. 매크로블록화된 데이타는 메인 처리 시스템과 움직임 벡터를 구하기 위한 움직임 검출부(3)에 입력된다. 이 움직임 검출부(3)에서는 현 매크로 블록에 대해 참조 화상으로부터의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 이 움직임 벡터를 이용해서 움직임 보상부(21)는 움직임 보상을 한다. 이 움직임 보상부(21)는 입력 화상 데이타 그 자체를 이용한다.
메인 처리 시스템에 입력된 매크로블록 데이타는 FIFO(First In First Out)메모리(22)를 거쳐서 감산회로(2)에 공급된다. 인트라 처리의 경우에는 감산처리가 행해지지 않으며, 인터 처리의 경우에는 움직임 보상부(4)로부터의 예측 화상을 이용하여 감산 처리가 행해진다. 감산 회로(2)에 DCT 처리부(5)가 접속되어 있다. 이 감산 회로(2) 및 DCT 처리부(5)를 포함하고 있는 메인 처리 시스템의 부호화 처리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과 같다.
도 7의 구성과 다른 점은 FIFO(23)를 통해 움직임 보상부(4)에 움직임 벡터를 공급하는 점과, 또한 양자화기(6)의 양자화 스텝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정된 양자화 스텝(또는 목표 부호 길이)에 의해 DCT 계수 데이타를 양자화한다는 점이다.
부호량 제어는 복수의 양자화 스텝에 의해 양자화를 행하고, 그 부호량을 기초로 실제의 처리시의 부호량을 견적하며, 목표 부호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장 적합한 양자화 스텝을 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움직임 보상부(2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타는 감산 회로(24)에 공급된다. 감산 회로(24)에서는, 인트라 처리의 경우에는 감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인터 처리의 경우에는 감산 처리를 행한다. 감산 회로(24)의 출력은 DCT 처리부(25)에 공급된다.
DCT 처리부(25)는 DCT 처리부(5)와 같이 DCT 블록마다 DCT를 실시한다. DCT처리부(25)로부터의 계수 데이타는 복수의 양자화기(26-1∼26-n)에 공급되어, 다른 양자화 인덱스가 각각 나타내는 양자화 스텝으로 양자화된다. 양자화기(26-1∼26-n)로부터의 양자화 레벨은 변환 회로(27-1∼27-n)에 공급된다. 양자화기(26-1∼26-n)의 양자화 인덱스는 매크로블록 마다 검출 회로(29)의 출력에 의해 제어된다. 이경우에, 양자화 인덱스는 n 개의 양자화기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신호이며, 1 개의 양자화 인덱스에 의해 GOP내의 매크로블록 마다 결정된 양자화 스텝이 지시된다.
상기 검출 회로(29)는 매크로블록의 액티비티(activity)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의해 양자화 스텝을 변경한다. 여기에서 이 액티비티는 화상 정보의 복잡도를 의미한다.
DCT 처리부(25)로부터의 DCT 계수 데이타는 검출 회로(29)에 공급되고 DCT 계수를 기초로 매크로블록의 액티비티가 검출된다. 일예로서 DCT 계수의 저역 성분과 그 고역 성분의 분포를 조사하여 매크로블록의 화상이 섬세한지 아니면 평탄한지를 검출한다.
다른 예로서 색의 포화도를 매크로블록 마다 조사하여 포화도가 높은 경우에는 액티비티가 높다고 검출한다. 또 다른 예로서 매크로블록의 화상과 체커 플래그(checker flag)의 패턴과를 매칭시킴으로써 그 매크로블록의 화상이 어느 정도 섬세한지를 조사한다. 이 경우에는 계수 데이타를 이용하지 않고 화상 데이타 자체로 액티비티를 검출한다. 검출 회로(29)에 의해 매크로블록의 액티비티가 높은 것으로 검출되면 양자화기(26-1∼26-n)에서 사용하는 양자화 스텝 전체를 보다 작게 설정하고 액티비티가 낮은 것으로 검출되면 양자화 스텝의 전체를 보다 크게 설정한다.
변환 회로(27-1∼27-n)는 가변 길이 부호화의 엔코더(7)에서 이루어지는 가변 길이 부호화를 행하였을 때에 부호화 출력의 부호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발생한다. 이 부호 길이의 데이타는 양자화 인덱스 결정 회로(28)에 공급된다. 이 양자화 인덱스 결정 회로(28)에 의해 결정된 양자화 인덱스는 메인 처리계의 양자화기(6)에 공급된다. 이 결정된 양자화 인덱스에 의해 메인 처리계의 양자화기(6)는 계수 데이타를 양자화한다. 이 양자화 인덱스에는 매크로블록 마다 결정된 양자화 인덱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양자화 인덱스도 양자화 인덱스 결정 회로(28)로부터 출력되어 비트 스트림 출력과 함께 전송된다.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는데에 필요한 시간만큼 상기 데이타와 움직임 벡터를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FIFO(22,23)는 이 지연을 위한 것이다.
다음에 부호량 제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형태에서는 GOP 단위로 동일 길이화하고(즉, 발생 부호량을 목표 부호량(M) 이하로 제어하고), 또한 매크로블록 마다 양자화 스텝을 제어한다. 이 GOP내의 매크로블록의 개수를 m이라한다.
DCT 처리부(25)에서는 매크로블록의 각각의 DCT 블록의 DCT 계수 F(i), (i=1∼m)가 계산된다. 다음에 n 개의 양자화기(26-1∼26-n), (j=1∼n)에 의해 양자화 레벨 QF(i, j)이 구해진다.
QF(i, j) = F(i)/△(j)
단, △(j)는 양자화기(26-1∼26-n)의 각각의 양자화 스텝을 나타냄과 아울러, 매크로블록마다 검출 회로(29)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값이다. 예컨대, 검출회로(29)에 의해 검출된 매크로블록의 액티비티에 의한 가중치 계수와 n 개의 고정 양자화 스텝에 대해 승산이 행해짐으로써 △(j)가 형성된다. 또한 i < j 면 △(i) > △(j)이 만족되도록 △(j)가 설정된다.
변환 회로(27-1∼27-n)에서는 양자화 레벨 QF(i, j)의 각각이 부호 길이로 변환되고 매크로블록(i)의 부호 길이 L(i, j)이 구해진다. 양자화 인덱스 결정 회로(28)는 이 부호 길이 L(i, j)과 GOP의 목표 부호량(M)에서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된다.
먼저, n 개의 양자화 인덱스(j=1∼n)마다 GOP 단위의 전체 부호 길이를 계산한다.
SUM(j)=Σ L(i, j)
Σ는 i를 1에서 m까지 변화시킨 때의 합계를 의미한다.
다음에, M > SUM(k)', (k=1∼n)를 만족하는 최소의 k 값 MINK를 구한다. MlNK 가 구하고자 하는 양자화 인덱스이다. 이 양자화 인덱스(MINk)에 의해 그 GOP의 m 개의 양자화 스텝 △(1)∼△(n)이 지시된다. 양자화기의 개수(n)는 하드 웨어의 규모 면에서 그만큼 많게 할 수 없으므로 M-SUM(MINK)의 부호량의 손실이 발생한다.
앞서 언급한 형태에서는 입력 화상을 움직임 보상하고 감산 회로(24)에서 차를 형성하며 이 차를 양자화하고 양자화 레벨을 부호 길이로 변환하고 있다. 한편 메인 처리계의 신호 처리에서는, 감산 회로(2)에 대해 로컬 디코드된 예측 화상을 공급하고 감산 회로(2)로부터의 차 값을 DCT 처리부(5)에서 처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호량을 견적낼 때에 입력 화상을 이용하므로 로컬 디코드 때문에 필요한 구성(역 양자화기, 역 DCT 처리부)을 n 개가 아닌 1 개만 설치하면 된다. 즉 하드웨어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原)화상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보상하는 것이 로컬 디코드 화상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보상하는 것에 비해 발생 부호가 적다. 이 부호량의 상위를 고려함으로써 부호량 제어시의 발생 부호량의 계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매크로블록의 수정 부호 길이(L')는,
L'(i, j) = L(i, j) × α (α는 α > 1의 고정치)이다. 이 수정을 위해 계수(α)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양자화 스텝을 결정하지 않고 각 매크로블록의 목표 부호 길이 T(i)(i= 1∼m)를 결정하고 GOP의 부호량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 는 매크로블록의 목표 부호 길이의 계산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에서, 가로축은 GOP내의 m 개의 매크로블록의 번호를 나타내고, 세로측은 매크로블록의 부호 길이 L(i, j)를 나타낸다. n 개의 양자화기(26-1∼26-n)의 각각과 대응해서 n 개의 변화(일부 생략)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각 매크로블록의 목표 부호 길이 T(i)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M > SUM(k) (k=1∼n)를 만족하는 최소의 k 값을 A 로 하고, M < SUM(k) (k=1∼n)를 만족하는 최대의 k 값을 B로 하면 다음과 같다.
T(i)= {(SUM(B)-M) × (i, A)+(M-SUM(A) × L (i, B)} /(SUM(B)-SUM(A))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매크로 블록의 부호 길이를 결정하면.
Σ T(i, j) = M
(단, Σ는 [=]에서 i = m까지의 T(i,j)의 합계를 의미함)
이며, 기본적으로 부호량의 손실의 발생없이 효율이 양호한 부호량 제어가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를 결정하는 처리는 도 1의 양자화 인덱스 결정회로(28)를 대신하는 블록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목표 부호 길이가 양자화기(6)에 공급된다. 양자화기(6)에서는 매크로블록의 발생 부호 길이가 목표 부호 길이로 되도록, 양자화 스텝이 결정된다. 이 방법으로서는 이전에 일본국 특허 출원 제92-110858호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양자화 스텝의 수가 2의 n승으로 될 때 발생 부호 길이는 양자화 스텝의 증대에 대해 단조롭게 감소되는 사실을 이용하여 2진 검색법에 의해 양자화 스텝을 결정한다. 이 결정된 양자화 스텝에 의해 양자화기(6)에서는 양자화를 행한다. 따라서, 양자화 인덱스는 이 경우에 양자화기(6)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변환 부호화로서는 DCT에 한정하지 않고 웨이브릿(wavelet) 변환, Haar 변환, K-L변환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 부호화된 데이타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하드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매크로 블록의 구조로는 (4:2:2)에 한정되지 않고, (4:2:0), (4:4:4), (4:1:1) 등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형태의 효과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피드 포워드 제어이므로, 피드 백 제어에서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화상 변동시의 데이타량의 급격한 변동에 의한 재생 화상의 파손을 초래하지 않으며, 소정의 매수의 프레임을 소정의 비트율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양자화 스텝이 화상의 국소적 성질에 의해 가변되므로, 복호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형태
그런데 도 1 에 도시된 엔코더의 양자화 인덱스 결정 회로(28)에서, 2 진 탐색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양자화 인덱스의 비트수와 동일한 수의 2진 검색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양자화 인덱스의 비트수가 5 비트인 경우에는 5 개의 2진 탐색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이 2진 탐색 회로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하드웨어의 규모를 줄이는 것을 검토한다.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 에 도시된 엔코더로 2 진 탐색법을 채용한 경우의 구성이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양자화 인덱스 결정 회로(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산 회로(51-1∼51-n), FIFO(52-1∼52-n),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 및 2진 탐색 회로(53)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적산-회로(51-1∼51-n), FIFO (52-1∼52-n), 목표부호 길이 결정 회로(54) 및 2진 탐색 회로(53)에 의해 통상의 2진 탐색법으로 목표 부호 길이를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예로서 직선 근사를 이용해서 할당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적산 회로(51-1∼51-n)는 각각의 변환 회로(27-1∼27-n)로부터의 각 부호 길이 데이타를 예컨대 1 프레임분만을 적산한다. FIFO(52-1∼52-n)는 각각 적산 회로(51-1∼51-n)에서 소요되는 처리 시간분 만큼 각 양자화 인덱스와 대응하는 부호 길이 데이타를 지연시킨다.
양자화 스텝의 총수가 "0"~"31"까지 합계해서 32개이고, 도 3에서양자화기(26-1∼26-n), 변환 회로(27-1∼27-n), 적산 회로(51-1∼51-n) 및 FIFO(52-1∼52-n)의 각 부호의 "n"이 각각 "5" 즉 각 요소가 각각 5 개씩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상기 조건을 설정한 경우에는, 각 양자화기 51-j, (j=1,2,3,4,5)의 양자화 인덱스(q[j])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따라서, 양자화기(j)에 의한 i 번째의 매크로블록의 부호 길이를 11(i, q[j])로 한다. 이에 따라, Σi11(i, q[j])을 도시하면 양자화기(j)에 의한 1 프레임분의 부호 길이의 적산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도 4에서 세로축은 부호 길이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양자화기(j)를 나타낸다. 또한 tgt 는 목표로 하는 부호 길이를 나타내고 입력 단자(54a)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CT 처리부(25)로부터의 계수 데이타는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양자화기(26-1∼26-5)에서 각각의 고정된 양자화 인덱스에 의해 양자화된다. 각 양자화기(26-1∼26-5)에서 양자화된 결과로 얻어지는 부호 길이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Σi11(i, q[5])로 된다. 따라서, 목표 부호 길이(tgt)는 양자화기(26-3)에 의해 양자화된 때의 부호 길이인 경우의 부호 길이 Σi11(i, q[3])과, 양자화기(26-4)에 의해 양자화된 때의 부호 길이인 경우의 부호 길이 Σi, 11(i, q[4])과의 사이에 있음을 도 4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위의 [ ]내의 수치는 표 1에서 양자화기의 번호를 나타낸다.
즉, 목표 부호 길이(tgt)를 얻을 수 있는 양자화 인덱스(q[j])는 양자화기(26-3)의 양자화 인덱스(q[15])와 양자화기(26-4)의 양자화 인덱스 q[23]와의 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부호 길이Σi11(i, q[3])와 부호 길이Σi11(i, q[4])과의 사이를 직선 근사시키면 목표 부호 길이(tgt)를 만족하는 매크로 블록마다 목표 부호 길이를 구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여기서, 매크로블록(j)의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를 11(i)이라 하면, 이 목표 부호 길이 11(i)는 다음의 식 1 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Σk11(k, q[3]) - tgt)는 양자화기(26-3)에 의한 k 번째의 매크로블록의 부호 길이, 즉 타겟(target)의 부호 길이를 의미하고, 11(i. q[4])는 양자화기(26-4)에 의한 i 번째의 매크로블록의 부호 길이를 의미하며, (tgt-Σk11(k, q[4])는 타겟의 부호 길이, 즉 양자화기(26-4)에 의한 k 번째의 매크로블록의 부호 길이를 의미하고, 11(i, q[3])는 양자화기(26-3)에 의한 i 번째의 매크로블록의 부호 길이를 의미하며, Σk11(k, q[3])은 양자화기(26-3)에 의한 k 번째의 매크로 블록의 부호 길이를 의미하고, Σk11(k, q[4])는 양자화기(26-4)에 의한 k 번째의 매크로블록의 부호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매크로블록(j)의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는 도 3에 도시된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에 의해 결정된다. 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11(i))는 도 3 에 도시한 2진 탐색 회로(53)에 공급된다. 한편,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는 목표 부호 길이(tgt)를 얻을 수 있는 양자화 인덱스가 양자화기(26-3)가 갖는 양자화 인덱스(q[15])와 양자화기(26-4)가 갖는 양자화 인덱스(q[23])와의 사이에 있음을 알고 있다. 즉,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는 minj(11(i, q[j])11(i))를 만족하는 양자화 인덱스(q[j])가 q[15] 및 q[23]임을 검출한다.
따라서,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로부터의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를 만족하는 최소의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2진 탐색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양자화 인덱스를, 세로측은 부호 길이를 각각 나타낸다. 이 도 5 에 도시된 그래프는 q0∼q31 까지의 32개의 양자화 인덱스에 의해 매크로블록(i)을 양자화하고 다시 이를 가변 길이 부호화 한 때의 부호 길이를 블록화한 것이다. 여기에서,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11(i))를 만족하는 최소의 양자화 인덱스 데이타(q), 즉 qi = minj(11(i, q[j])11(i))의 해답을 구하는 것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 경우에, 양자화 인덱스의 비트수가 5 비트이므로, 5 비트의 최상위 비트에서 최하위 비트까지의 각 비트를 차례로 5 개의 스텝으로 구하게 된다. 이 5 개의 스텝으로 양자화 인덱스의 상위에서 하위까지의 각 비트를 구하는 처리는 다음 와 같다.
스텝 1 : 최상위 비트 검출 처리
최초의 스텝인 스텝 1에서는 해답이 q0∼q31 까지의 범위내에 존재한다는 것밖에 알 수 없다. 여기서 그 해답의 범위를 둘로 양분하는 점(point), 즉 양자화 인덱스(q15)에서 부호 길이 데이타인 11(i, q15)를 구한다. 이 부호 길이 데이타 11(i, q15)의 값은 도 5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의 값 보다 크다. 즉, 11(i, q15) > 11(i)이다. 따라서, 해답의 존재 범위는 q16∼q31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텝(1)에 있어서는 양자화 인덱스의 최상위 비트가 "1"로 된다. "16"∼"31"을 5 비트로 표현하는 경우에는, 최상위 비트가 "1" 인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스텝 1에서 상기 결과인 "1xxxx", ("x"는 알 수 없음을 나타냄)는 다음의 스텝 2에서 사용된다.
스텝 2 : 제2비트 검출 처리
두번째의 스텝인 스텝 2에서는 스텝 1의 처리에 의해 해답이 q16∼q31까지의 범위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스텝 2에서는 그 해답의 범위를 둘로 양분하는 점, 즉 양자화 인덱스(q23)에서 부호 길이 데이타인 11(i, q23)이 구해진다. 이 부호 길이 데이타 11(i, q23)의 값은 도 5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의 값 보다 작다. 즉, 11(i, q23) < 11(i) 이다. 따라서 해답의 존재 범위는 q16-q23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텝 2에서는 양자화 인덱스의 제2비트가 "0"으로 된다. "16"∼"23"을 5 비트로 표현하는 경우에는, 상위 제2비트가 "0"인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스텝 2의 상기 결과인 "10xxx"("x"는 알 수 없음을 나타냄)는 스텝 3에서 사용된다.
스텝 3 : 제3비트 검출 처리
세번째 스텝인 스텝 3에서는 스텝 2의 처리에 의해 해답이 q16∼q23까지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그 해답의 범위를 둘로 양분하는 점, 즉 양자화 인덱스(q19)에서 부호 길이 데이타인 11(i, q19)를 구한다. 이 부호 길이 데이타 11(i, q19)의 값은 도 5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의 값 이하이다. 즉 11(i, q19)11(i) 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부호 길이 데이타 11(i, q19)의 값은 도 5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의 값과 같다. 즉 11(i, q19) = 11(i) 이다. 따라서 풀이의 존재 범위는 q16∼q19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텝 3 에서는 양자화 인덱스의 제3비트가 "0"으로 된다. "16"∼"19"를 5 비트로 표현하는 경우 상기 제3비트가 "0"인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스텝 3에서의 상기 결과인 "100xx"("x"는 알 수 없음을 나타냄)는 스텝 4에서 사용된다.
스텝 4 : 제4비트 검출 처리
네번째의 스텝인 스텝 4에서는 위의 스텝 3의 처리에 의해 해답이 q16∼q19까지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그 해답의 범위를 둘로 양분하는 점, 즉 양자화 인덱스(q17)에서 부호 길이 데이타인 11(i, q17)를 구한다. 이 부호길이 데이타 11(i, q17)의 값은 도 5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의 값보다 크다. 즉 11(i, q17) > 11(i)이다. 따라서 해답의 존재 범위는 q18∼q19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텝(4)에서는 양자화 인덱스의 제4비트가 "1"로 된다 "18 ~ "19"를 5 비트로 표현하는 경우, 상위 제4비트는 "1"인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스텝 4에서의 상기 결과인 "1000x"("x"는 알 수 없음을 나타냄)는 스텝 5에서 사용된다.
스텝 5 : 제5 2진탐색회로에 의한 제5비트 검출처리
5 번째 스텝인 스텝 5에서는 스텝 4의 처리에 의해 해답이 q18∼q19까지의 범위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그 해답의 범위를 둘로 양분하는 점, 즉 양자화 인덱스(q18)에서 부호 길이 데이타인 11(i, q18)을 구한다. 이 부호 길이 데이타 11(i, q18)의 값은 도 5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의 값 이하이다. 즉 11(i, q18)11(i)의 값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부호 길어 데이타 11(i, q18)의 값은 도 5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데이타 11(i)의 값과 같다. 즉 11(i, q18)=11(i) 이다. 따라서 해답의 존재 범위는 q18∼q18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즉 해답이 q18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텝(15)에서는 양자화 인덱스 최하위 비트가 "0"으로 된다. "18"을 5 비트로 표현하는 경우 최하위 비트가 "0"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된다. 스텝(5)의 상기 결과인 "10010"은 양자화기(6)에서 양자화 인덱스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진 탐색 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5 개의 처리 스텝을 사용함으로써 확실하게 양자화 인덱스를 구할 수가 있다. 그러나 5 개의 처리스텝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도 3 에 도시한 2 진 탐색 회로(53)를 5 개의 2진 탐색 회로로 구성해야만 하며, 따라서 하드웨어가 대규모로 된다. 여기서 본 형태에는 2진 탐색 회로의 수를 최소로 하는 것을 검토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는 목표 부호 길이(tgt)를 얻을 수 있는 양자화 인덱스가 양자화기(26-3)의 양자화 인덱스(q[15])와 양자화기(26-4)의 양자화 인덱스(q[23])와의 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는 minj(11(i, q[j])11(i))를 만족하는 양자화 인덱스(q[j])가 q[15] 및 q[23]임을 검출한다. 여기서, 본 형태에서는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가 양자화 인덱스 q[15]와 q[23]을 2진 탐색 회로(53)에 공급하도록 함과 함께, 목표 부호 길이(tgt)를 얻을 수 있는 양자화 인덱스(q[J])가 양자화 인덱스 q[15]와 q[23]와의 사이에 있다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즉,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에서 매크로블록(i)의 목표 부호 길이11(i)과, minj(11(i, q[j]11(i))인 양자화 인덱스(q[j])가 구해지므로, 이 정보를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해답의 범위가 q[j-1]에서 q[j]임을 처음부터 알 수 있다. 상기 표 1로부터 예를 들면, 해답의 범위는 통상의 2 진 탐색법에서는 "0"~"31"까지의 32 개의 범위이지만, 본 형태에서는 "15∼"23"까지의 8 개의 범위로 할 수가 있다. 즉 이 예에서는 해답의 범위는 q[3](q=15) 보다 크고q[4](=q23) 이하의 범위로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하면 종래의 2 진 탐색법의 스텝 3에서처리를 하면 된다.
결국,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에서, 이미 해답의 범위가 q[3](=ㅂ15)에서 q[4](=q23)의 범위 내에 있음을 알고 있으므로 2진 탐색 회로(53)에서는 스텝 1과 스텝 2의 처리를 생략하고, 스텝 3으로부터 2진 탐색을 개시하면 된다. 따라서, 이는 도 3 에 도시된 2 진 탐색 회로(53)를 구성하는 2진 탐색 회로를 5 개에서 3 개로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진 탐색의 스텝 수는 다음의 식 2로 나타낼 수가 있다.
2 진 탐색의 스텝 수
= 10g2양자화기의 양자화 인덱스의 차 ----- (식 2)
실제로는 검출 회로(50)에 의해 구해진 액티비티 데이타에 의해 양자화기(26-1∼26-n)에 부여되는 양자화 인덱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양자화기(26-1∼26-n)의 양자화 인덱스의 차의 최대치를 식 2 에 대입한 때에 얻을 수 있는 2진 탐색의 스텝 수에 의해 2 진 탐색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 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엔코더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에는 액티비티의 검출 출력이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DCT 출력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C에는 양자화 출력이 도시되어 있고, 도 6D에는 변환 출력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E에는 적산 출력이 도시되어 있고. 도 6F에는 FIFO 출력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G에는 목표 부호 길이 결정 출력이 도시되어 있고, 도 6H에는 FIFO 출력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I에는 2 진 탐색 출력이 도시되어 있고, 도6J에는 양자화 출력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K에는 가변 길이 부호화 출력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A∼도 6K의 각 괄호 내에는 프레임 번호와 그 프레임 번호에서의 매크로블록의 번호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n+1, 1439)"는 "n+1"프레임의 "1439"번째의 매크로블록임을 의미한다. 이 예에서는 1 프레임분의 전체 매크로블록의 개수는 0 번∼1439 번까지 총 1440 개의 경우로 추정하고 있다.
도 3 에 도시된 입력 단자(T1)에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이 영상 신호는 주사 변환 회로(1)에서 프레임 단위로 된 후에 블록화된다. 블록화된 영상 신호는 검출 회로(50)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액티비티가 검출된다. 또한 블록화된 영상 신호는 DCT 처리부(25)에서 직류 성분에서 고차 교류 성분까지의 계수 데이타로 변환된다. 도 6A 에 도시된 액티비티 검출 출력은 양자화기(26-1∼26-n)에 각각 공급된다. 한편, 도 6B 에 도시된 DCT 처리부(25)로부터의 DCT 출력은 양자화기(26-1∼26-n)에 각각 공급되고 각각 양자화된다.
도 6C에 도시된 각 양자화기(26-1∼26-n)의 양자화 출력은 변환 회로(27-1∼27-n)에 각각 공급된다. 각 변환 회로(27-1∼27-n)에서는 양자화 출력(26-1∼26-n)로부터의 양자화 출력이 부호 길이 데이타로 변환된다. 도 6D에 도시된 변환출력은 적산 회로(51-1∼51-n) 및 (FIFO52-1∼52-n)에 각각 공급된다. 적산 회로(51-1∼51-n)에서는, 도 6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마다의 부호 길이 데이타의 적산이 행해진다. 도 6E 에 도시된 적산 출력과, 도 6F에 도시된 FIFO 출력은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에 각각 공급된다.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에 있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목표 부호길이 데이타 11(i)와 이를 얻을 수 있는 양자화 인덱스에 가장 가까운 양자화 인덱스가 구해진다. 도 6G 에 도시된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로부터의 목표 부호 길이 결정 출력은 2진 탐색 회로(53)에 공급된다. 한편, DCT 처리부(25)로부터의 DCT 출력은 FIFO(22)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일단 지연된다. 2진 탐색 회로(53)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양자화 인덱스에 가장 그 값이 가까운 2 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 2진 탐색 처리를 한다. 도 6H에 도시된 FIFO 출력은 2 진 탐색이 종료되어 양자화 인덱스가 구해진 시점에서 합쳐져서 출력된다. 따라서 도 6H 에 도시된 FIFO 출력과, 도 6I 에 도시된 2진 탐색 출력은 함께 양자화기(6)에 공급된다.
양자화기(6)에 공급된 FIFO 출력은 도 6I에 도시된 2진 탐색 출력인 양자화 인덱스에 의해 양자화된다. 도 6J에 도시된 양자화 출력은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7)에 공급되어 부호화된다. 도 6K에 도시된 가변 길이 부호화 출력은 버퍼(8)를 통해 출력단자(T3)로부터 비트스트림 출력으로서 출력된다.
변형예
1. 상기 형태에서는 변환 부호화로 DCT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웨이브릿 변환, Haar 변환, K-L 변환 등을 사용해도 좋다.
2. 상기 형태에서는 VTR 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였지만, 기록 매체로는 테이프일 필요는 없고 광자기 기록 디스크나 하드디스크이어도 좋다. 또한 기록 미디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예를 들면 통신계와 같은 것이어도 좋다.
3. 상기 형태에서는 4 : 2 : 2 포맷의 매크로블록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4 : 2 : 0, 4 : 4 : 4 : 4 : 1 포맷의 매크로블록의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매크로블록을 구성하는 DCT 블록의 개수에 제한은 없다.
4. 상기 형태에서는 1 프레임에서 비트율을 유지하도록 제어한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였지만, 이보다 큰 단위 또는 작은 단위라도 좋다.
5. 상기 형태에서는 정지 화상의 비트 감소에 대해 설명을 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DCT(25)를 움직임 검출 회로와 DCT로 구성하고, 동화상의 비트 감소에 응용할 수도 있다.
6. 상기 형태에서는 양자화기(고정 양자화기)에 부호량으로부터 매크로블록 마다의 목표 부호 길이의 예측 방법으로서, 직선 근사에 의한 보간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였지만, 보다 많은 점을 사용하는 고차 함수에 의한 근사를 행해도 좋다.
7. 상기 형태에서는 액티비티를 구하는 방법으로서 DCT를 행하기 전의 데이타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을 하였지만, DCT를 행한 후의 데이타를 사용해서 액티비티를 구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목표 부호 길이 결정 회로(54)에서 구해진 2 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 한해서 2 진 탐색 처리를 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의 방법에 비해 2 진 탐색 회로(53)를 구성하는 2진 탐색 회로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절대적인 효과가 있다. 더욱이 화상 신호의 국소적인 성질을 고려하면서VTR과 같은 응용이라도 화상의 파손을 초래하지 않고 피드 포워드 방식의 부호화 제어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는 예컨대 VTR,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실리콘 디스크 드라이브, 데이타 전송 장치, 통신 시스템 등에 적합하고 매크로블록의 그림의 섬세함과 같은 화상의 국소적인 성질에 의해 양자화 스텝을 변경함으로써 복호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호량을 견적할 때에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해서 움직임 보상을 함으로써 복수의 양자화 스텝에 대응해서 로컬 디코드를 위한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부호량 제어에 있어서 처리 스텝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Claims (8)

  1.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에 따라,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분의 양자화를 행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복수의 양자화 출력의 발생 부호 길이와 목표 부호 길이를 비교하며,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고,
    상기 양자화 인덱스에 기초한 양자화 스텝으로 상기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며,
    상기 양자화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인덱스의 결정시에 또한, 상기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 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도록 하는 2 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 상기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3.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고,
    상기 복잡도의 검출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1∼제n양자화 수단을 이용하여,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분의 양자화를 행하며.
    상기 제1∼제n양자화 수단으로부터의 각각의 양자화 출력을 각각 발생 부호 길이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발생 부호 길이 정보와 목표 부호 길이 정보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목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양자화 인덱스에 기초한 양자화 스텝으로 상기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며,
    상기 양자화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인덱스의 결정시에 또한, 상기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 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도록 하는 2 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 상기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5.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는 복잡도 검출 수단과;
    상기 복잡도 검출 수단의 제어에 따라,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분의 양자화를 행하고, 그 결과로 얻어진 복수의 양자화 출력의 발생 부호 길이와 목표 부호 길이를 비교하며,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는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과,
    상기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으로부터의 양자화 인덱스에 기초한 양자화 스텝으로 상기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는 양자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양자화 수단의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에서 또한, 상기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 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도록 하는 2 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 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 상기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장치.
  7. 화상 신호의 정보의 복잡도를 검출하고, 이 복잡도를 기초로 양자화 스텝을 제어하는 복잡도 검출 수단과;
    상기 복잡도 검출 수단의 제어에 따라, 화상 신호에 대해 각각 다른 양자화 스텝으로 차분의 양자화를 행하는 제1∼제n양자화 수단과;
    상기 제1∼제n양자화 수단으로부터의 각 양자화 출력을 각각 발생 부호 길이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발생 부호 길이 정보와 목표 부호 길이 정보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를 기초로 목표 양자화 스텝을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를 결정하는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과;
    상기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으로부터의 양자화 인덱스에 기초한 양자화 스텝으로 상기 화상 신호의 양자화를 행하는 양자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양자화 수단의 출력에 대해 가변 길이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인덱스 결정 수단에서 또한, 상기 목표 부호 길이의 값에 가장 가까운 2 개의 발생 부호 길이를 얻도록 하는 2 개의 양자화 스텝을 각각 나타내는 2 개의 양자화 인덱스 사이에서만, 상기 목표 부호 길이를 얻을 수 있는 목표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나타내는 목표 양자화 인덱스의 값을 탐색하는, 화상 신호의 부호화 장치.
KR1019960706340A 1995-03-09 1996-03-11 화상신호의부호화방법및그장치 KR100381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828095 1995-03-09
JP95-78280 1995-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085A KR970703085A (ko) 1997-06-10
KR100381830B1 true KR100381830B1 (ko) 2003-08-02

Family

ID=1365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340A KR100381830B1 (ko) 1995-03-09 1996-03-11 화상신호의부호화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70145A (ko)
EP (1) EP0759678B1 (ko)
JP (1) JP3890606B2 (ko)
KR (1) KR100381830B1 (ko)
DE (1) DE69637335T2 (ko)
WO (1) WO19960289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87A3 (ko) * 2011-06-28 201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적인 양자화 파라미터 차분값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3819A1 (de) * 1994-09-22 1996-03-28 Philips Patentverwaltung Coder zur segmentweisen Codierung eines Eingangssignales
KR100227336B1 (ko) * 1997-02-20 1999-11-01 서평원 고정 전송율 mpeg 영상 송신기용 전송율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1998041027A1 (en) * 1997-03-12 1998-09-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coding method and coding device
GB9706920D0 (en) * 1997-04-04 1997-05-21 Snell & Wilcox Ltd Improvements i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US6088392A (en) * 1997-05-30 2000-07-11 Lucent Technologies Inc. Bit rate coder for differential quantization
JP4231565B2 (ja) * 1997-12-19 2009-03-04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画像情報エン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
US6594398B1 (en) * 1998-03-06 2003-07-15 Div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un-length encoding video data
WO2000062615A1 (en) * 1999-04-21 2000-10-2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Neuropeptides and their use for pest control
AUPQ156299A0 (en) * 1999-07-12 1999-08-0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ete wavelet transforms and compressed bitstream ordering for block entropy coding of subband image data
GB2356510B (en) * 1999-11-18 2004-04-21 Sony Uk Ltd Data compression
EP1134982A3 (en) * 2000-03-17 2005-0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signal encoding device and image signal encoding method
US6831947B2 (en) 2001-03-23 2004-12-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aptive quantization based on bit rate prediction and prediction error energy
JP3846424B2 (ja) 2001-03-30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量子化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30161398A1 (en) * 2002-02-21 2003-08-28 Meir Feder Improving static picture quality in compressed video
US7424162B2 (en) 2002-03-28 2008-09-09 Sony Corporation Image compression system with coding quantity control
US7310598B1 (en) 2002-04-12 2007-12-18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Energy based split vector quantizer employing signal representation in multiple transform domains
KR101017770B1 (ko) 2003-06-26 2011-02-28 톰슨 라이센싱 슬라이딩 윈도 채널 제약에 부합하는 멀티패스 비디오레이트 제어
JP4264656B2 (ja) 2005-08-11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756350B2 (en) * 2006-11-13 2010-07-13 Global Ip Solutions, Inc. Lossless encoding and decoding of digital data
CN101502122B (zh) * 2006-11-28 2011-06-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编码装置及编码方法
EP2091257B1 (en) * 2006-11-30 2017-12-27 Panasonic Corporation Coder
JP4254866B2 (ja) * 2007-01-3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254867B2 (ja) 2007-01-3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488027B2 (ja) 2007-05-17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00065240A (ko) * 2007-09-12 2010-06-16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JP4569840B2 (ja) * 2007-09-12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
CN101637026B (zh) * 2007-09-12 2012-03-28 索尼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和方法
WO2009035149A1 (ja) 2007-09-12 2009-03-19 Sony Corporation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WO2009157577A1 (ja) * 2008-06-27 2009-12-3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BRPI0904320A2 (pt) 2008-06-27 2015-06-30 Sony Corp Dispositivo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magem
BRPI0904324A2 (pt) * 2008-06-27 2015-06-30 Sony Corp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imagem,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magem
JPWO2009157581A1 (ja) * 2008-06-27 2011-12-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251774B2 (ja) * 2009-07-27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JP2011029956A (ja) * 2009-07-27 2011-02-10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JP5282692B2 (ja) * 2009-07-27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と画像符号化方法
JP2011029954A (ja) 2009-07-27 2011-02-10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と画像符号化方法
CN103548350B (zh) * 2011-06-28 2017-03-01 日本电气株式会社 图像编码设备和图像解码设备
US10536699B2 (en) 2015-06-03 2020-01-14 Nec Corporation Moving image coding device, moving image 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moving image cod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9936T2 (de) * 1990-02-28 1996-11-14 Victor Company Of Japan Einrichtung zur Datenkompression
JP2839339B2 (ja) * 1990-08-06 1998-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直交変換符号化装置および直交変換符号化方法
US5150208A (en) * 1990-10-19 1992-09-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ncoding apparatus
EP0806872B1 (en) * 1991-01-17 2000-04-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encoding apparatus using a block shuffling technique
JP3109854B2 (ja) * 1991-04-23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US5467136A (en) * 1991-05-31 1995-11-14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decoder for determining a motion vector from a scaled vector and a difference vector
US5317397A (en) * 1991-05-31 1994-05-31 Kabushiki Kaisha Toshiba Predictive coding using spatial-temporal filtering and plural motion vectors
JP3187097B2 (ja) * 1991-10-17 2001-07-11 株式会社東芝 動画像符号化における符号量配分方法とこれを用いた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H0583696A (ja) * 1991-06-07 1993-04-02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
WO1993004553A1 (fr) * 1991-08-21 1993-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eil de compression de donnees d'image
JP3364939B2 (ja) * 1991-12-18 2003-01-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
US5349384A (en) * 1992-01-14 1994-09-20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ompressed digital image signals
JPH05217299A (ja) * 1992-02-05 1993-08-27 Toshiba Corp 高能率符号化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H05236427A (ja) * 1992-02-25 1993-09-10 Sony Corp 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JP3166291B2 (ja) * 1992-04-03 2001-05-14 ソニー株式会社 量子化コントロール回路
JPH06113273A (ja) * 1992-09-25 1994-04-22 Sanyo Electric Co Ltd 画像符号化装置
KR0134343B1 (ko) * 1993-04-13 1998-04-29 김광호 양자화레벨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US5654759A (en) * 1995-02-15 1997-08-05 Hitachi America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blockiness in decoded vide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87A3 (ko) * 2011-06-28 201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적인 양자화 파라미터 차분값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59678B1 (en) 2007-11-28
EP0759678A4 (en) 2002-01-02
WO1996028937A1 (en) 1996-09-19
KR970703085A (ko) 1997-06-10
JP3890606B2 (ja) 2007-03-07
US5870145A (en) 1999-02-09
DE69637335D1 (de) 2008-01-10
EP0759678A1 (en) 1997-02-26
DE69637335T2 (de)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830B1 (ko) 화상신호의부호화방법및그장치
KR0168458B1 (ko) 움직임 보상을 갖는 프레임간 혼성 부호기에서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에 대한 부호화 시스템
US59636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selecting a coding mode for video encoding
US60379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rate and distortion based coding mode for a coding system
JP3856262B2 (ja) 動き補償符号化装置、動き補償符号化方法、及び動き補償符号記録媒体
JP4361613B2 (ja) 可変ビットレートビデオ符号化方法及び対応するビデオ符号化装置
US7460597B2 (en)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KR960006762B1 (ko) 화상부호화를 위한 효율적인 2차원 데이타의 주사선택회로
KR100578432B1 (ko) 페이딩 보정을 위한 시그널링
KR20040047977A (ko) 공간적으로 스케일가능한 압축
JPH0870460A (ja) 動き大小に適応する動き補償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102271257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及程序和计算机可读介质
KR100196890B1 (ko) 동영상 압축 시스템과, 비디오 동화상의 압축 방법 및 인코딩 방법
KR100961760B1 (ko) 이산코사인변환 계수를 참조하는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050012782A (ko) 코딩 중에 이미지 선명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JP3846424B2 (ja) 画像信号量子化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10108184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6511164A (ja) 弾性記憶
KR100384327B1 (ko) 블록-기반코딩시스템에서코딩모드를선택하기위한방법및장치
JP4081727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並びに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4265638B2 (ja) 量子化装置及び量子化方法
KR100266708B1 (ko) 양방향 예측 픽쳐의 조건부 보충 부호화 방법
JP2002315006A (ja) 動き補償予測特異値展開符号化装置
KR0157467B1 (ko) 버퍼상태에 따른 동영상부호화방법 및 장치
KR100207418B1 (ko) 부호화 비트발생율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