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724B1 - 알칼리축전지용양극및음극극판과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칼리축전지용양극및음극극판과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724B1
KR100373724B1 KR1019950050664A KR19950050664A KR100373724B1 KR 100373724 B1 KR100373724 B1 KR 100373724B1 KR 1019950050664 A KR1019950050664 A KR 1019950050664A KR 19950050664 A KR19950050664 A KR 19950050664A KR 100373724 B1 KR100373724 B1 KR 10037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active material
solution
storage battery
alkalin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738A (ko
Inventor
이상원
배황철
김근배
최종서
최귀석
주규남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5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724B1/ko
Priority to TW085105447A priority patent/TW300344B/zh
Priority to JP8116372A priority patent/JP2993886B2/ja
Priority to US08/651,540 priority patent/US5620813A/en
Priority to DE19622035A priority patent/DE19622035B4/de
Priority to US08/691,304 priority patent/US5681665A/en
Publication of KR97005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242Hydrogen storag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32Nickel oxide or hydroxid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0/00Alloys or metallic compositions
    • Y10S420/90Hydrogen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비전도성 용액을 흡수시킴으로써 용량을 증대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킨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과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은 활물질이 탈락하거나, 자가방전이 발생되어 용량과 수명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활물질을 극판의 기판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에 충전하여 부착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 극판에 부착된 활물질이 완전히 건조된 후 KOH 용액에 담그어 CoO를 CoO(OH)나 Co(OH)2로 바꾼 후 다시 건조시키는 단계, 전기전도도가 Ni(OH)2보다 낮으며, 물과 반응하지 않으며,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용액에 활물질이 부착된 극판을 일정 시간 동안 담그어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용액을 흡수시킨 극판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제조 방법을 안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제조에 사용될 수있다.

Description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및 음극 극판과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알칼리 축전지용 니켈 정극의 특성 개량에 관한 것으로 니켈 양극 및 음극 극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Ni-Cd, Ni-Fe, Ni-Zn, Ni-H, Ni-MH 등의 2차전지 제조 방법에 있어 긴수명, 고용량, 자기 방전 방지를 위한 양극 및 음극 극판 제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급격한 수요 증가 및 이들의 소형화, 경량화, 소성능화 추세에 따라 고용량, 고에너지 밀도의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니켈 양극은 19세기 말 에디슨(Edison), 융그너(Jungner) 등에 의해 개발된 이래 활물질로 수산화니켈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수산화 니켈의 제조 방법 및 물리적 성상, 충전(充塡) 방법에 따라 특성이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이러한 니켈 양극은 제조 방법에 따라 크게 소결식과 페이스트식으로 구분된다. 소결식 니켈 양극의 제조방법의 경우, 수 ㎛의 기공을 갖는 다공질 니켈 소결체에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으로 활물질을 충전하는 방법으로 활물질과 집전체 간의 결합력이 크고, 전기적 접촉 면적이 커서 이용률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이 우수하고 수명 특성이 우수하다. 화학적 함침법의 경우 5단계로 활물질을 충전한다. 즉, 소결 기판을 질산니켈 용액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키고, 알칼리 용액에서 활물질로 전화시킨 후 불필요한 음이온을 수세를 통해 제거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원하는 용량을 얻는다. 이 방법은 활물질에 이종원소를 첨가하고자 할 때, 첨가하고자 하는 양이온의 질산염을 질산니켈 용액에 첨가하여 단계적으로 함침하므로 첨가제의 조절이 용이하다. 그러나 제조 공정이 복잡히고 비용이 많이 들며, 석출되는 활물질이 저밀도이며, 소결체의 기공도가 최대 80% 정도이므로 전체적인 용량이 낮다.
한편 페이스트식 니켈 양극의 제조 방법의 경우, 집전체를 소결체와 비슷한 내강알칼리성의 3차원 구조의 발포 메탈에 활물질 페이스트를 만들어 직접 충전시키는 것으로 집전체와 활물질간의 접촉 면적이 소결체에 비해 작고 고밀도 수산화니켈을 활물질로 사용하므로 수소이온의 확산 등의 어려움으로 활물질의 이용률이 낮으나 공정이 간단하며 대형화와 고용량화가 가능하다.
제1도는 종래의 양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양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극판의 기판 상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1)에는 수산화니켈 및 첨가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활물질(2)이 충전되어 진다. 또한 각각의 활물질(2)은 Co(OH)2(3)가 감싸고 있다.
또한, 제3도는 종래의 음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음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이다. 제3도에는 음극 극판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 구조체(5)와 수소 저장 합금(6)이 도시되어 있다.
충방전시에 니켈 양극에서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실제로 충방전시 수산화니켈은 복잡한 결정구조의 변화를 겪는다. 수산화니켈은 제조 방법에 따라 결정구조가 달라진다. 수용액에서 화학적으로 생성된 수산화니켈은 β-Ni(OH)2로 층상화합물의 육방구조이며, 수산화이온층이 니켈 양이온의상하에 팔면체 배위의 적층구조를 이룬다. 이와는 달리 전기화학적으로 생성된 수산화니켈은 α-Ni(OH)2로 결정구조는 β-Ni(OH)2와 마찬가지로 육방정계이지만 c축의 길이가 1.5배 정도 늘어난 상태이다. β-Ni(OH)2와 충전 후 형성되는 β-NiOOH는 층 사이에 물과 다른 양이온의 침입이 없어 c축의 길이가 4.6-4.8Å이며, 충전 반응은 수소 이온이 단지 층 사이에서 흡착 탈착됨에 따라 일어나므로 결정 구조의 변화가 없고, 과전압이 작으며 체적 변화가 거의 없다. 한편, γ-NiOOH와 α-Ni(OH)2는 물과 알칼리 양이온이 층간에 존재하여 c축의 길이가 7-8Å이다. γ-NiOOH는 과충전시 β-NiOOH 구조의 층간에 물 및 양이온의 삽입에 의해 생기며, 격자 구조의 변화가 크므로 과전압 및 체적 변화가 크다. 또한 방전시 구조가 비슷한 α-Ni(OH)2로 되며, 화학 변화에 의해 α-Ni(OH)2는 밀도가 큰 β-Ni(OH)2로 변화하고 큰 체적 변화를 수반한다. 따라서, 보통 구조 변화가 없고 전해질 용액(강알칼리 용액)에서 안정한 β-Ni(OH)2는 β-NiOOH 간의 전기화학 반응이 2차 전지의 반응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산화 니켈자체는 절연체이므로 2까지의 완전한 방전이 발생하지 않고 2.2까지의 방전이 일어나며, 산화수는 2.2-3.0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과충전시 3가 이상의 산화수도 존재한다. NiOOH의 환원에 따라 도전율은 감소하며, NiO 부근에서 급격히 감소하여 방전을 종료한다. 한편 과충전시에는 산화수가 3.7 부근 까지 산화하여, 고차산화물인 γ-NiOOH가 생성된다. 이러한 저밀도의 γ-NiOOH의 형성은 전극의 팽윤을 초래하여 활물질의 탈락이 일어나게 된다.
니켈 전극의 주된 열화 요인으로는 이러한 전극 행운에 의한 활물질의 탈락 및 집전체의 파괴, 또 집전체인 니켈의 부식으로 알려져 있다. 전극 팽윤은 충방전 반응시의 부피 변화에 기인한다. 현재에 있어서도 전지의 고용량화를 위하여 고밀도의 수산화니켈 분말을 고충전함으로써 결정 내의 수소 확산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2단 방전과 전극 팽윤의 원인이 되는 저밀도 γ-NiOOH의 생성이 용이하게 되며 그 결과 계단식 방전 및 전극 팽윤과 같은 전극의 성능, 즉, 방전 성능 및 수명 성능에 치명적인 현상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산화니켈 격자구조의 변형을 통한 프로톤(proton) 이동 공간의 확보 및 활물질의 전도성 증대에 의해 전자의 이동을 활발하게 하여 γ-NiOOH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Zn 또는 Mg, Co를 수산화니켈에 고용시켜 격자의 변형을 유도하였으며 Co계 화합물 또는 기타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첨가되는 Co, Zn 화합물의 양이 10-20%를 차지함에 따라 일정 부피에 장입할 수 있는 활물질의 주성분인 수산화니켈의 양이 감소함으로 인하여 상당량의 전지 용량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계속되는 충방전으로 물질의 열화에 의한 γ-NiOOH 생성의 완전한 억제가 어렵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충방전 반응은 β-Ni(OH)2↔ β-NiOOH 반응으로 산화수의 변화가 1정도이다. 즉, 충방전시 교환되는 전자의 수가 니켈 원자 1개당 1개이다. 따라서 이론적 용량값이 289mAhr/g이며 이 이상의 용량을 얻기가 어렵다.
지금까지 양극 극판의 활물질의 이용률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도전제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이 도전제로는 C(탄소)나 CoO, Co를 주로 사용하였는데 C의 경우는 CoO나 Co에 비하여 특성이 떨어져 잘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CoO가 사용된다. 그러나, Co는 가격이 비싸서 잘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최대의 효율을 올리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음극의 경우에 수소 저장 합금의 경우는 원래 금속이므로 도전성에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고, Cd(OH)2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Cd(OH)2가 도전성이 좋아서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자기방전이 심하기 때문에 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양극 활물질 및 Cd(OH)2등과 같은 음극 활물질을 전지에 응용하는 것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핵심 문제는 용량과 수명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용량과 수명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이상적인 활물질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수산화니켈에 첨가되는 원소의 양을 최소화하여 수산화니켈의 함량을 늘림으로써 용량을 극대화시키거나 또는 충방전시 니켈 원자 1개당 교환되는 전자의 수를 많게 하여 줌으로써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음극은 활물질인 수소 저장 합금이 이를 지지해 주는 지지체에 CMC, PTFE와 같은 유기 물질을 바인더로 이용해 붙어 있는데 수소 저장 합금의 수소 출입이 온도에 따라 민감하여 고온에서 자기 방전이 잘 일어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의 수산화니켈 이외의 첨가 물질의 수를 줄이고 충방전시 양극 및 음극의 용량 증대와 자기 방전 억제를 달성할 수 있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인 음극 극판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은 극판의 기판, 상기 극판의 기판 상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 상기 니켈 기공체에 충전되어진 수산화니켈 및 첨가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활물질, 각각의 활물질을 감싸고 있는 Co(OH)2층, 다시 상기 Co(OH)2층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용액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음극 극판은 음극 활물질 구조체, 활물질인 수소 저장 합금, 및 상기 수소 저장 합금의 외부를 감싸는 용액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및 음극 극판 제조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활물질을 극판의 기판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에 충전하여 부착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 극판에 부착된 활물질이 완전히 건조된 후 KOH 용액에 담그어 CoO를 CoO(OH)로 바꾼 후 다시 건조시키는 단계, 전기전도도가 Ni(OH)2보다 낮으며, 물과 반응하지 않으며,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용액에 활물질이 부착된 극판을 일정 시간 동안 담그어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 및 용액을 흡수시킨 극판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제조 방법, 특히 최후 공정 중의 하나인, 극판을 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에 의해서, 알칼리 축전지의 용량 증대와 수명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는, 극판을 전기전도도가 매우 낮고,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용액에 담그어 용액을 흡수시킨 후 건조시키면, 활물질의 탈락이 방지되고 물과의 전기적 접촉을 방해하여 수산화니켈의 자기 방전을 감소시키고 극판과의 전자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수산화니켈의 산화도를 더 높여 고용량 및 장수명의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양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양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이다. 극판 기판 상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1)에는 수산화니켈 및 첨가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활물질(2)이 충전되어 진다. 각각의 활물질(2)은 Co(OH)2(3)가 감싸고 있으며, 그 외부를 다시 용액층(4)이 감싸고 있다. 제1도와 비교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극판의 구조에는 이 용액층(4)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이 용액층(4)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활물질(2)의 탈락을 방지하고 활물질(2)이 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여 수산화니켈의 자기 방전을 감소시키고, 극판과의 전자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수산화니켈의 산화도를 높여 고용량 및 장수명의 특성을 향상시켜 준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음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음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극판에는 음극 활물질 구조체(5)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소 저장 합금(6)이 충전되어 있으며, 수소 저장 합금(6)은 용액층(4)이 감싸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제1단계에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활물질(2)을 극판의 기판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1)에 충전하여 부착시킨 후 건조시킨다. 그 다음 단계에서, 극판에 부착된 활물질(2)이 완전히 건조된 후 KOH 용액에 담그어 CoO를 CoO(OH)로 바꾼 후 다시 건조시킨다. 이에 후속되는 단계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단계로서, 전기전도도가 Ni(OH)2보다 낮으며, 물과 반응하지 않으며,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용액에 활물질(2)이 부착된 극판을 일정 시간 동안 담그어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용액을 흡수시킨 극판을 건조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활물질이 부착된 극판에 용액을 흡수시키는 단계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용액은 톨루엔, n-부틸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매의 특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활물질이 부착된 극판을 용액에 담그는 시간은 너무 길면 전지 제조 후 활성화가 늦어지므로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소정의 시간을 담그어야 하며, 담그는 시간은 용액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용액을 섞어 사용할 수도 있다.
비전도성 용액이 양극 활물질 표면에 흡수될 때, 제2도와 같은 구조로 되는데, 이때 Ni(OH)2와 KOH 용액과의 전기전도도가 감소하고, 이 때문에 Ni(OH)2와 니켈 기공체(1)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진다. 또 KOH 용액이 직접적으로 Ni(OH)2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충방전시 구조 유지에도 유리하다.
음극 극판 제조에서는 KOH 용액 처리를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양극과 동일하다. 즉, 음극은 기존 공정으로 극판을 제조한 후 음극 극판에 비전도성 용액을 흡수시킨 후 건조시키면 공정이 끝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극 및 음극 극판 제조시에 최후 공정 중의 하나로 극판을 비전도성 용액으로 코팅처리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극판을 전기전도도가 없고,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용액에 담근 후 건조하면 활물질의 탈락 및 물과의 전기적 접촉을 방해하여 수산화니켈의 자기방전을 감소시키고, 극판과의 전자 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수산화니켈의 산화도를 더 높여 고용량, 장수면 특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특히 음극의 경우에 자기방전이 양극에 비하여 높은데 음극도 비전도성 용액으로 코팅처리를 함으로써 자기방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Zn 5%인 수산화니켈 4.36g, CoO 0.62g, Co 0.15g, HPMC 0.03g, PTFE 0.1g을 물 2g과 잘 섞어 니켈 기공체(1)에 충전하여 완전히 건조한 후 100% 톨루엔에 30초 동안 담그어 건조하였다. 이때, KOH 용액에 담그지 않았는데 담그는 경우에는 더 효과가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 극판 제조 후, OBC 음극과 전지를 만들었다. 이때 같은 조건에서 제조된 후 톨루엔처리를 하지 않은 양극과 비교할 때 용량이 20% 높게 나왔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극판 제조 방법에 의해 극판을 제조하게 되면, 극판 제조시에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용량 미달이나 수명 단축의 불량을 감소시킬수 있다. 또한, Ni(OH)2의 산화도를 높여 고용량의 양극을 만들 수 있다. 특히 음극의 경우 자기 방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양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양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양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양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
제3도는 종래의 음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음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 그리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음극 극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음극 극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적인 확대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니켈 기공체 2. 활물질
3. Co(OH)2또는 CaO(OH) 4. 용액층
5. 음극 활물질 구조체 6. 수소 저장 합금

Claims (16)

  1. 극판의 기판;
    상기 극판의 기판 상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
    상기 니켈 기공체에 충전되어진 수산화니켈 및 첨가물로 이루어진 다수의 활물질;
    각각의 활물질을 감싸고 있으며, Co(OH)2 및 CoO(O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발트 함유층; 및
    다시 상기 코발트 함유층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활물질과 물의 접촉; 및 활물질의 탈락을 방지하는 용액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의 전기 전도도가 상기 활물질의 전기전도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을 이루는 용액이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전해액과 고용체(solid solution)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을 이루는 용액이 벤젠, n-부틸 아세테이트, 이차 부틸 아세테이트, n-부틸클로라이드,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디클로로벤젠, 에틸에테르, 헵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크실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약이 전해액인 KOH 용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물과 고용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
  6. 극판의 기판;
    상기 극판의 기판 상에 형성된 활물질 구조체;
    상기 활물질 구조체 내에 충전된 수소저장합금;
    상기 수소저장합금을 감싸며, 상기 수소저장합금과 전해액의 접촉을 방지하는 용액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음극 극판.
  7. 수산화니켈 및 첨가물을 포함하는 활물질을 극판의 기판 상에 형성된 니켈 기공체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극판을 전해액에 침지하여 상기 활물질을 Co(OH)2 및 CoO(O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발트 함유층으로 감싸는 단계; 및
    상기 활물질보다 전기전도도가 낮으며, 물과 반응 및 혼합되지 않는 용액에상기 극판을 소정 시간 침지한 후 건조시켜 활물질을 감싸는 용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이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의 제조방법.
  9. 제1항의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지.
  10. 제6항의 알칼리 축전지용 음극 극판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이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음극 극판.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이 벤젠, n-부틸 아세테이트, 이차 부틸 아세테이트, n-부틸클로라이드,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시클로펜단, 디클로로벤젠, 에틸에티르, 헵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크실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음극 극판.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이 벤젠, n-부틸 아세테이트, 이차 부틸 아세테이드, n-부틸클로라이드,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디클로로벤젠, 에틸에테르, 헵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크실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양극 극판의 제조방법.
  14. 극판에 형성된 활물질 구조체에 수소저장합금을 충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물질보다 전기전도도가 낮고, 물과 반응 및 혼합되지 않는 용액에 상기 극판을 소정 시간 침지한 후 건조시켜 상기 수소저장합금을 감싸는 용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음극 극판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이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음극 극판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층이 벤젠, n-부틸 아세테이트, 이차 부틸 아세테이트, n-부틸클로라이드,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디클로로벤젠, 에틸에테르, 헵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크실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축전지용 음극 극판의 제조방법.
KR1019950050664A 1995-12-15 1995-12-15 알칼리축전지용양극및음극극판과그제조방법 KR10037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64A KR100373724B1 (ko) 1995-12-15 1995-12-15 알칼리축전지용양극및음극극판과그제조방법
TW085105447A TW300344B (ko) 1995-12-15 1996-05-08
JP8116372A JP2993886B2 (ja) 1995-12-15 1996-05-10 アルカリ蓄電池用の陽極と陰極及びその製造方法
US08/651,540 US5620813A (en) 1995-12-15 1996-05-22 Positive nickel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DE19622035A DE19622035B4 (de) 1995-12-15 1996-05-31 Positive Nickelelektrode und negative Elektrode für eine Alkalispeicherbatterie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US08/691,304 US5681665A (en) 1995-12-15 1996-08-02 Negative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64A KR100373724B1 (ko) 1995-12-15 1995-12-15 알칼리축전지용양극및음극극판과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38A KR970054738A (ko) 1997-07-31
KR100373724B1 true KR100373724B1 (ko) 2003-05-16

Family

ID=1944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664A KR100373724B1 (ko) 1995-12-15 1995-12-15 알칼리축전지용양극및음극극판과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620813A (ko)
JP (1) JP2993886B2 (ko)
KR (1) KR100373724B1 (ko)
DE (1) DE19622035B4 (ko)
TW (1) TW3003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8763A1 (en) * 1995-08-28 1997-03-06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el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SG71014A1 (en) * 1996-02-07 2000-03-21 Sanyo Electric Co Conductive agent and non-sintered nickel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ies
US5919587A (en) 1996-05-22 1999-07-06 Moltech Corporation Composite cathodes,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novel composite cathodes, and processes for fabricating same
JP4252641B2 (ja) * 1998-06-15 2009-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および正極活物質
US6228535B1 (en) * 1998-08-17 2001-05-08 Ovonic Battery Company, Inc. Nickel hydroxid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exhibiting improved conductivity and engineered activation energy
CA2629335C (en) * 1998-11-30 2013-07-09 Sanyo Electric Co., Ltd. Nickel electrodes for alkaline secondary battery and alkaline secondary batteries
US6492062B1 (en) * 2000-08-04 2002-12-10 The Gillette Company Primary alkaline battery including nickel oxyhydroxide
US6489056B1 (en) 2000-09-18 2002-12-03 The Gillette Company Battery including a hydrogen-absorbing cathode material
US6740451B2 (en) 2001-12-20 2004-05-25 The Gillette Company Gold additive for a cathode including nickel oxyhydroxide for an alkaline battery
US7081319B2 (en) * 2002-03-04 2006-07-25 The Gillette Company Preparation of nickel oxyhydroxide
EP2555212A4 (en) * 2010-03-30 2015-01-07 Panasonic Corp ELECTRODE STRUCTURE FOR CAPACITO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APACITOR EQUIPPED WITH SUCH ELECTRODE STRUCTURE
KR20140075836A (ko) * 2012-11-27 2014-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극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전극 구조체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CN105579125B (zh) 2013-09-06 2019-04-19 株式会社M光能源开发研究所 装备疏液性多孔膜的电化学反应器
WO2017179632A1 (ja) 2016-04-13 2017-10-19 株式会社エム光・エネルギー開発研究所 イオンのオン・オフ面スイッチを用いた電気化学反応装置
CN110842192B (zh) * 2019-11-13 2020-08-25 四川大学 一种氮掺杂多孔碳包覆储氢合金粉末及其制备方法
CN114583247A (zh) * 2022-02-28 2022-06-0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271A (ja) * 1989-08-17 1991-04-02 Yuasa Battery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ニッケル電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7784A (en) * 1993-01-18 1996-08-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lkaline storag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466546A (en) * 1993-03-01 1995-11-1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Positive nickel electrode for nickel metal hydride cells
US5478594A (en) * 1993-08-27 1995-12-2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de structure for nickel metal hydride cells
US5451474A (en) * 1994-04-04 1995-09-19 Motorola, Inc. Metal hydride hydrogen storage electro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271A (ja) * 1989-08-17 1991-04-02 Yuasa Battery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ニッケル電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80714A (ja) 1997-07-11
KR970054738A (ko) 1997-07-31
TW300344B (ko) 1997-03-11
DE19622035A1 (de) 1997-06-19
US5681665A (en) 1997-10-28
DE19622035B4 (de) 2007-04-19
JP2993886B2 (ja) 1999-12-27
US5620813A (en) 1997-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724B1 (ko) 알칼리축전지용양극및음극극판과그제조방법
KR100386519B1 (ko) 알칼리축전지용비소결식니켈극
US5480741A (en) Cell provided with gaseous diffusion electrode, and method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same
JP3010950B2 (ja) アルカリ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22746B1 (ko) 가스가 새지 아니하는 알칼리 축전지
JP2002117842A (ja) 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並びにアルカリ蓄電池
KR100274374B1 (ko) 전극,알칼리2차전지 및 알칼리2차전지의 제조방법
JP4061048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ルカリ蓄電池
US6946222B2 (en) Sintered nickel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alkaline storage battery
US6803148B2 (en) Nickel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kaline storage battery
JP3515251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4147748B2 (ja) ニッケル正極およびニッケル−水素蓄電池
JP2989877B2 (ja)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
JP3498727B2 (ja) アルカリ電池用水酸化ニッケル正極板の製造方法、アルカリ電池用水酸化ニッケル正極板及び及びアルカリ電池
JP2733230B2 (ja) 水素吸蔵合金を用いた密閉形ニッケル・水素蓄電池
JP3458899B2 (ja) アルカリ電池用水酸化ニッケル正極板及びそのアルカリ電池
JP3414184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板の製造方法
JP3011386B2 (ja) アルカリ二次電池用ペースト式電極
JP2932286B2 (ja) アルカリ蓄電池用陽極板の製造方法
JP2001076717A (ja) アルカリ蓄電池用ニッケル正極板およびその製造法
JPH0568067B2 (ko)
JPH11144724A (ja) アルカリ蓄電池用非焼結式水酸化ニッケル電極
JPH0613076A (ja) アルカリ電池用水酸化ニッケル正極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149826A (ja) アルカリ蓄電池用水酸化ニッケル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アルカリ蓄電池
JP2000306576A (ja) アルカリ蓄電池用焼結式ニッケル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