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601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601B1
KR100372601B1 KR10-2000-0049640A KR20000049640A KR100372601B1 KR 100372601 B1 KR100372601 B1 KR 100372601B1 KR 20000049640 A KR20000049640 A KR 20000049640A KR 100372601 B1 KR100372601 B1 KR 10037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olid
article
food waste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217A (ko
Inventor
다니모토요시히로
다무라도시히로
후지모토게이치
요시다준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안전면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 없이,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에 의한 처리시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분쇄처리부와, 이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를 처리하는 각 처리부를 외장케이스(8) 내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배수처리장치(4)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으로서, 배수처리장치(4)의 외장케이스(8)에, 개폐부재(81, 83, 85)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유지보수용의 개구부(82, 94, 86)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91, 92, 93)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개방상태가 검출된 때에는 해당 개구부에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부 만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FOOD SWEEPING TREATMENT SYSTEM}
본원 발명은, 디스포저 등으로부터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으로서, 정화조와 같이 대형으로 지하에 매설하는 것과는 달리, 아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소형화를 도모하여 집밖의 지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디스포저로부터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는, 디스포저로부터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를 유량 조정조에 일단 저류하고, 그 침전물을 에어 리프트 등으로 정기적으로 고액분리장치에 투입해서 고체분과 액체분으로 분리하여, 액체분은 유량 조정조로 복귀시키고, 고체분은 콤포스트(퇴비화)장치에 투입해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처리에 의해 퇴비화 하도록 하고 있다.
또, 유량 조정조의 윗물은 에어 리프트 등으로 정기적으로 처리조로 이송하여 폭기처리에 의해 유기물 성분을 미생물로서 분해 처리한다.
그리고, 이 처리조의 윗물을 침전 분리조에 자연 유하시켜 오니를 침전시키고, 그 윗물은 하수도로 방류되며, 또한 침전된 오니는 에어 리프트 등으로 초기 단계의 유량 조정조로 반송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량 조정조로부터의 침전물이나 윗물의 이송을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작은 용적의 유량 조정조라도 오버 플로우(넘침)하는 일 없이 통상의 디스포저 사용에 대응할 수가 있으며,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디스포저로부터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함유한 배수를 처리하는 상술한 각종 처리부를 외장케이스 내에 수납하여 집밖에 설치된다.
그런데, 통상, 이러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외장 케이스 내에 수납하여 집밖에 설치하는 경우, 다수의 배관이나 구동부를 갖는 각종 처리부의 보수 또는 콤포스트 장치 내에서 퇴비화 된 처리재의 정기적인 교환 등의 유지보수를 위해, 외장케이스에 개폐가능한 복수의 유지보수구가 설치된다.
그리고, 어느 것인가의 유지보수구가 열리면, 안전면이나 위생상의 문제로부터 시스템 전체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유지보수구를 열면, 모든 동작을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유지보수구내의 하나의 장소라도 열려 있으면 배수처리가 진행되지 않아, 새로운 디스포저 배수를 받아 들임에 필요한 용적이 확보 될 때까지 필요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즉, 유지보수구가 모두 폐쇄되어 있으면 배수가 서서히 처리되어, 디스포저 배수를 받아들이는 유량 조정조의 수위가 저하되어 가지만, 어느 것인가의 유지보수구가 열려지면 전체의 처리가 정지되어, 유량 조정조의 수위도 낮아지지 않게 되고 말아, 디스포저가 장시간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전면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발생하는 일 없이,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에 의한 처리시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실시형태인 디스포저 배수처리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배수처리장치의 외관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원 발명에 관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4는, 배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상태에서, 콤포스트 장치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배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7은, 동, 배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포저(분쇄수단) 2. 조작표시부
4. 배수처리장치 5. 제어장치
8. 외장케이스 40. 전환밸브
41. 유량 조정조 42. 고액(고체 액체)분리장치
43. 처리조 44. 침전 분리조
46. 콤포스트 장치(퇴비화장치) 47, 48, 49. 에어 리프트 펌프
81. 상면 유지보수구 83, 85. 개폐문
84. 전면 유지보수구
86. 측면 유지보수구(콤포스트 유지보수구)
87. 슬라이드 레버 88. 격벽
91∼93. 개폐검출센서 94. 장치검출센서
95. 개폐검출장치 검출 겸용 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분쇄처리부와, 그 분쇄처리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류하는 제 1조와, 그 제 1조 내의 오수를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와, 그 고액분리장치에서 분리된 고체를 처리하는 콤포스트 장치와, 상기 제 1조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처리하는 제 2조와, 상기 제 1조, 제 2조, 고액분리장치 및 콤포스트 장치를 수납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고액분리장치 근방의 외장케이스에 설치된 고액분리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와, 그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그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에 의해 개폐부재의 개방상태가 검출된 때, 고액분리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분쇄처리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분쇄처리부와, 그 분쇄처리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류하는 제 1조와, 그 제 1조 내의 오수를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와, 그 고액분리장치에서 분리된 고체를 처리하는 콤포스트 장치와, 상기 제 1조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처리하는 제 2조와, 상기 제 1조, 제 2조, 고액분리장치 및 콤포스트 장치를 수납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콤포스트 장치 근방의 외장케이스에 설치된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와, 그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그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에 의해 개폐부재의 개방상태가 검출된 때, 콤포스트 장치 및 고액분리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분쇄처리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콤포스트 장치를 외장케이스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콤포스트 장치의 외장케이스 내로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콤포스트 장치가 정상으로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때에는 콤포스트 장치로의 피처리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콤포스트 장치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겸비한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의 개폐부재를, 콤포스트 장치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실시형태인 디스포저 배수처리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디스포저 배수처리 시스템은, 설거지대의 싱크에 접속된 디스포저(1)와, 사용자가 해당 시스템의 조작이나 상태 확인을 행하기 위한 조작 표시부(2)와, 디스포저(1)로부터의 배수를 흘리는 배관로(3)에 접속되어 디스포저 분쇄물을 함유한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4)와, 상기 디스포저(1)나 조작표시부(2) 및 배수처리장치(4)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처리장치(4)는, 전환밸브(3방향 밸브)(40)를 통하여 디스포저 사용시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41), 그 침전물의 고체분과 액체분을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42), 유량 조정조(41)로부터의 윗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43), 이 처리조(43)에서 발생한 오니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 분리조(44) 및 그 윗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응집제를 모터 구동에 의해 자동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장치(45), 고액분리장치(42)에서 분리된 고체분을 처리하기 위한 콤포스트 장치(46), 각 조 사이 등의 반송에 사용되는 에어 리프트 펌프(47, 48, 4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에어 리프트 펌프란, 수중에 삽입된 파이프 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그 공기의 상승력에 의해 물이나 고체를 올려 반송하는 원리의 펌프인 것이다.
도 1에서는 각 에어 리프트 펌프(47, 48, 49)를 백색 화살표로 약기하고 있는 바, 에어 리프트 파이프와 브로워 펌프로 이루어지고, 브로워 펌프는 다방향 밸브 등을 사용해서 전환하므로서 공용화 할 수도 있다.
상기 유량 조정조(41)에는, 예를 들면 정전용량형의 수위센서(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서 검지된 수위가 제어장치(5)에 보내어져, 수위가 소정치 보다 낮은 때에는 디스포저(1)의 운전을 허가하지만, 수위가 그 보다 높은 때에는 허가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조작표시부(2)에는 디스포저(1)가 사용된다는 취지 또는 사용되지 않는다는 취지가 표시된다.
또, 이 유량 조정조(41)에는, 침전물을 고액분리장치(42)에 퍼 올리는 에어 리프트 펌프(47) 및 윗물을 처리조(43)에 퍼 올리는 에어 리프트 펌프(48)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액분리장치(42)는, 예를 들면 슬릿형의 것이며, 만곡된 빗살형의 분리날과, 이 분리날의 윗쪽에 배치된 장방형상의 회전날개와, 이 회전날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처리조(43)는, 예를 들면 잘 알려져 있는 활성 오니법, 접촉폭기법, 담체 유동상(流動床) 등의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처리하는 것이며, 브로워펌프(431)와 산기관(432)에 의해 폭기, 교반하고 있다.
도 1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생식하는 담체(433)가 피처리수 중을 유동하는 담체 유동상에 의한 처리조(43)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포저 사용시 이외의 통상의 부엌 배수는, 전환밸브(3방향 밸브)(40)를통하여 하수 방류관(6)으로 흐른다.
한편, 디스포저 사용시에 있어서는, 전환밸브(3방향 밸브)(40)가 유량 조정조(41)측으로 전환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고형물과 액체가 배기로(401)를 통하여 유량 조정조(41)에 흘러 들어간다.
유량 조정조(41)의 저부로부터 에어 리프트 펌프(47)로 퍼 올린 고체와 액체의 혼합물을 고액분리장치(42)에 투입하여 고체와 액체를 분리한다.
그리고, 액체는 유량 조정조(41)에 복귀시키고, 고체는 콤포스트 장치(46)에 투입한다.
또, 윗물은 에어 리프트 펌프(48)로 처리조(43)로 보낸다.
처리조(43)에서는, 전술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물처리에 의해 유기물 성분을 저감시킨다.
동시에 발생하는 오니에 대해서는, 처리조(43)를 넘쳐 유입하는 침전 분리조(44)에서 침전 분리해서 제거하고, 해당 침전 분리조(44)의 윗물(처리수)을 배수관(7)을 통하여 상기 하수방류관(6)에 합류시켜 하수도로 흘린다.
또, 이 침전 분리조(44)의 상부에는, 만수시에 처리조(43)로부터 오니를 함유한 처리수가 유입하여도, 이것이 배수관(7)으로부터 직접 하수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칸막이판(441)이 설치되어 있다.
침전 분리조(44)에서 제거한 침전 오니는, 에어 리프트 펌프(49)에서 유량 조정조(41)로 반송한다.
반송된 오니는 디스포저(1)에서 분쇄된 음식물과 함께 에어 리프트 펌프(47)에서 고액분리장치(42)에 보내어져 고체로서 분리되며, 콤포스트 장치(46)에서 처리된다.
목질 칩(미생물 담체)을 수용하는 콤포스트 장치(46)에 이송된 고체분은, 교반체(461)에 의해 정기적으로 교반 혼합되면서, 목질 칩에 의해 배양된 미생물에 의해 분해 처리되고, 퇴비화되어, 비료로서 회수된다.
이하, 본 시스템 전체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작표시부(2)의 표시에서 디스포저(1)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디스포저(1)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조작표시부(2)의 조작스위치를 ON 한다.
이에 의해, 전환밸브(40)가 전환되어, 디스포저 분쇄물을 배수처리장치(4)[유량 조정조(41)]측으로 유입시키는 준비가 갖춰진다.
이 전환 후, 디스포저(1)의 운전이 개시되고, 분쇄물은 유량 조정조(41)로 흘러 들어간다.
그 후, 침전 분리조(44)의 침전 오니가 에어 리프트 펌프(49)에 의해 유량 조정조(41)에 반송된다.
그로부터 30분 가량 경화하면, 유량 조정조(41)에서는 고체분이 침전 분리되어 있다.
먼저, 윗물을 처리조(43)에 에어 리프트 펌프(48)로 반송하고, 그 후, 침전된 고체분을 에어 리프트 펌프(47)로 고액분리장치(42)로 퍼 올린다.
그리고, 침전 분리조(44)의 침전 오니를 반송한다.
고액분리장치(42)에서는, 고체와 액체가 분리되며, 액체는 유량 조정조(41)에 복귀되고, 고체분은 콤포스트 장치(46)에 투입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은 30분 마다 반복되어, 유량 조정조(41)에 저장된 디스포저 분쇄물은 서서히 처리된다.
콤포스트 장치(4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체분(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 미생물 담체인 목질 칩이 넣어져 있으며, 투입된 고체분과 칩을 교반체(461)에 의해 정기적으로 교반한다.
처리조(43)에서는, 유량 조정조(41)로부터 보내진 윗물에 포함되는 유기물 성분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하고, 넘쳐흐름에 의해 침전 분리조(44)에 보낸다.
처리조(43)내에는, 미생물의 생식이 쉬운 환경을 형성하는 다공질 담체(433)가 넣어져 있으며, 브로워 펌프(431)에 의해 보내진 공기를 미세한 기포로 하여 분출시키는 산기관(432)의 기포로 유동하고 있다.
처리조(43)에서 분해된 유기물은 오니로 전환되어 침전 분리조(44)에서 침강하고, 에어 리프트 펌프(49)에 의한 반송으로 유량 조정조(41)에 보내진 후, 고액분리장치(42)에서 고체(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와 함께 회수되며, 콤포스트 장치(46)에서 다시 또 분해되어 퇴비화 된다.
도 2는 상기 배수처리장치(4)의 외관도이며, 디스포저(1)로부터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을 포함하는 배수를 처리하는 상술한 각종 처리부가 외장케이스(8)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도시상의 관계로 고액분리장치(42)와 콤포스트 장치(46)만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앞측에 유량 조정조(41)와 콤포스트 장치(46), 후측에 처리조(43)와 침전 분리조(44)가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고, 유량 조정조(41)와 콤포스트 장치(46)의 상부에 그들을 걸치도록 고액분리장치(42)가 배치되며, 침전 분리조(44)의 상부에 응집제 투입장치(45)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도 1에 나타낸 제어장치(5)는 외장케이스(8)의 내외의 어디에 배치되어도 좋다.
상기 외장케이스(8)에는, 상면측에 개폐 뚜껑(81)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상면 유지보수구(82)가, 전면 좌측에 개폐문(83)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전면 유지보수구(84)가, 우측면측에 개폐문(85)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측면 유지보수구(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유지보수구(82, 84, 86)에는, 그들의 개폐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개폐검출센서(91, 92, 93)가 내장되어 있으며, 각 개폐검출센서(91, 92, 93)의 검출 출력이 상기 도 1에 나타낸 제어장치(5)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관계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3의 플로우 챠트로 나타내는 처리는 제어장치(5)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도 3의 플로우 챠트에서 나타내는 처리가 실행되면, 먼저 개폐검출센서(91)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상면 유지보수구(82)의 개폐상태가 체크된다(판단 101).
여기서, 상면 유지보수구(82)가 폐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판단 101의 NO),고체분리장치(42)나 응집제 투입장치(45)의 모터구동을 정지함과 동시에(처리 102, 103), 고액분리장치(46)로의 침전고체의 에어 리프트를 시초로 하는 모든 배수처리 에어 리프트를 정지한다(처리 104).
이에 의해, 상면 유지보수구(82)가 폐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고액분리장치(42)나 응집제 투입장치(45)의 모터구동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 리프트에 의해 오수가 비산하여 유지보수 작업자에 있어서의 위생상의 문제가 회피될 수 있다.
이 때, 콤포스트 장치(46)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처리는 계속 행해지며, 사용자에 의한 디스포저(1)의 사용도 가능하다.
단, 디스포저(1)의 사용은, 통상의 운전시와 마찬가지로, 유량 조정조(41)의 수위가 낮은 것도 조건으로 된다.
다음에, 개폐검출센서(92)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전면 유지보수구(84)의 개폐상태가 체크된다(판단 105).
여기서, 전면 유지보수구(84)가 폐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판단 105의 NO), 배수처리 에어 리프트를 정지시킴과 동시에(처리 106), 디스포저(1)의 사용을 금지한다(처리 107).
디스포저(1)가 사용되지 않으면, 전환밸브(40)도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전면 유지보수구(84)가 폐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에어 리프트나 사용자의 디스포저 사용에 의한 위생상의 문제가 회피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전환밸브(40)의 동작에 따른 위험성도 회피될 수 있다.
또한, 개폐검출센서(93)의 검출출력에 기초하여 측면 유지보수구(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의 개폐상태가 체크된다(판단 108).
여기서, 측면 유지보수구(86)가 폐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판단 108의 NO), 콤포스트 장치(46)에 관한 동작을 정지한다.
즉, 콤포스트 장치(46)에 내장된 교반체(461)를 구동하는 교반모터를 정지하고(처리 109), 또한 고액분리장치(42)로부터 콤포스트 장치(46)로 고체투입도 행하지 않도록 한다(처리 110).
또한, 유량 조정조(41)의 침전고체를 고액분리장치(46)에 보내는 에어 리프트도 정지시킨다(처리 111).
이에 의해, 측면 유지보수구(86)가 폐쇄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콤포스트 장치(46)의 칩 교환시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고, 고체가 흘러나오거나 하는 위생상의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처리는 계속하여 행해지며, 사용자에 의한 디스포저(1)의 사용도 가능하다.
단, 디스포저(1)의 사용은, 통상의 운전시와 마찬가지로, 유량 조정조(41)의 수위가 낮은 것도 조건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유지보수구(82, 84, 86)를 여는 것에 의한 안전면이나 위생상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것에 한해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다른 처리는 계속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에 의한 처리시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사용자가 디스포저(1)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최단 시간으로 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수처리장치(4)의 외관도이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개폐할 수 있는 유지보수구를 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에 한정하고, 다른 유지보수구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특수한 나사에 의한 고정 등에 의해 사용자가 열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있어서의 안전면이나 위생면의 또 다른 향상을 도모한다.
또, 콤포스트 장치(46)는 슬라이드 레일(87)을 통하여 외장 케이스(8)내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포스트 장치(46)를 인출할 때에 콤포스트 장치(46)가 슬라이드 레일(87)상을 원활히 이동하기 때문에 인출이 용이하게 되어, 교환시기에 도달한 오래된 칩의 꺼냄이나 새로운 칩의 투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외장케이스(8)내에는, 콤포스트 장치(46)의 투입구 부분을 제외한 콤포스트 장치(46)와 다른 처리부를 두는 격벽(8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콤포스트 장치(46)의 칩 교환 중에 파리 등의 해충이 배수처리장치(4)의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개폐검출센서(93)에 부가하여, 콤포스트 장치(46)가 확실히 수납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장치검출센서(9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치검출센서(94)의 검출출력에 기초하여, 콤포스트 장치(46)가 확실히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고액분리장치(42)로부터의 고체투입을 중지하고, 교반도 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콤포스트 장치(46)를 도 5와 같이 인출하여 칩 교환한 후에, 수납이 불완전한 경우에도 고체(음식물 쓰레기 분쇄물)가 흘러 나오거나 하는 위생상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으며, 또한 불완전한 수납상태에서의 교반에 의한 흔들림 등의 부조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콤포스트 장치(46)의 불완전 수납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처리와 함께, 조작표시부(2) 등을 사용하여 그 취지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그 취지를 신속히 알리도록 하면 좋다.
도 6은, 배수처리장치(4)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의 개폐문(85)과 콤포스트 장치(46)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95)를 구비하여, 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의 개폐상태와 콤포스트 장치(46)의 수납상태를 1개의 개폐검출장치 검출 겸용 센서(95)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1개의 센서(95)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도 7은, 배수처리장치(4)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상기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의 개폐문(85a)을, 콤포스트 장치(46)와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의해, 구성 부품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이 경우, 장치검출센서(94)에 의해 콤포스트 유지보수구(86)의 개폐상태와 콤포스트 장치(46)의 수납상태를 검출할 수가 있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배수처리장치(4)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각종의 배수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유량 조정조(41)의 침전물을 고액분리장치(42)에 에어 리프트하여, 액체분은 유량 조정조(41)에 복귀시키며, 유량 조정조(41)의 윗물은 처리조(43)에 별도로 에어 리프트하고 있지만, 유량 조정조(41)의 침전물을 고액분리장치(42)에 에어 리프트하고, 그 액체분을 처리조(43)에 투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유량 조정조(41)의 전단계에 통상의 설거지대 배수가 유입되는 탱크를 구비하여, 탱크 저부의 유기물 성분이 진한 일부를 유량 조정조(41)에 도입해 넣고, 그 외는 탱크의 오버 플로우 구멍으로부터 하수방류관(6)에 방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분쇄처리부로서 디스포저(1)를 사용한 것에 대해 나타내었지만, 미트 글라이더 등의 다른 분쇄처리부를 사용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배수처리장치의 외장케이스에, 개폐부재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유지보수용의 개구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개구부의 개방상태가 검출된 때에는 해당 개구부에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부 만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안전면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발생하는 일이 없이,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에 의한 처리시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개구부를 복수 구비하여 각 개구부 마다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개방상태가 검출된 개구부에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부 만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의 유지보수용 개구부를 여는 것에 의한 안전면이나 위생상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것에 한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에서, 다른 처리는 계속하여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모양으로,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에 의한 처리시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외장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처리부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하는 콤포스트 장치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로서 콤포스트 장치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콤포스트 장치의 칩 교환 등의 유지보수를 사용자가 안전면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콤포스트 장치의 인출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콤포스트 장치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칩의 교환을 간단히 행할 수가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콤포스트 장치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콤포스트 장치가 정상으로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때에는 콤포스트 장치로의 피처리물의 투입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효과에 부가하여, 불완전한 수납상태에 의해 피처리물이 흘러나오거나 하는 위생상의 문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콤포스트 장치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겸한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효과를 1개의 검출수단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의 개폐부재를, 콤포스트 장치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성 부품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분쇄처리부와, 그 분쇄처리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류하는 제 1조와, 그 제 1조 내의 오수를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와, 그 고액분리장치에서 분리된 고체를 처리하는 콤포스트 장치와, 상기 제 1조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처리하는 제 2조와, 상기 제 1조, 제 2조, 고액분리장치 및 콤포스트 장치를 수납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고액분리장치 근방의 외장케이스에 설치된 고액분리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와, 그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그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에 의해 개폐부재의 개방상태가 검출된 때, 고액분리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분쇄처리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2.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처리하는 분쇄처리부와, 그 분쇄처리부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류하는 제 1조와, 그 제 1조 내의 오수를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와, 그 고액분리장치에서 분리된 고체를 처리하는 콤포스트 장치와, 상기 제 1조로부터 공급되는 오수를 처리하는 제 2조와, 상기 제 1조, 제 2조, 고액분리장치 및 콤포스트 장치를 수납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콤포스트 장치 근방의 외장케이스에 설치된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와, 그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그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에 의해 개폐부재의 개방상태가 검출된 때, 콤포스트 장치 및 고액분리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분쇄처리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스트 장치를 외장케이스 밖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스트 장치의 외장케이스 내로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콤포스트 장치가 정상으로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때에는 콤포스트 장치로의 피처리물의 투입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폐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콤포스트 장치의 수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겸한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7.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콤포스트 장치 유지보수용의 개구부의 개폐부재를, 콤포스트 장치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000-0049640A 1999-09-03 2000-08-25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372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62999A JP2001070916A (ja) 1999-09-03 1999-09-03 生ごみ処理システム
JP11-249629 1999-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217A KR20010050217A (ko) 2001-06-15
KR100372601B1 true KR100372601B1 (ko) 2003-02-19

Family

ID=1719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640A KR100372601B1 (ko) 1999-09-03 2000-08-25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81100B1 (ko)
JP (1) JP2001070916A (ko)
KR (1) KR100372601B1 (ko)
CN (1) CN1287101A (ko)
AT (1) ATE343551T1 (ko)
DE (1) DE60031486T2 (ko)
ES (1) ES2274767T3 (ko)
PT (1) PT1081100E (ko)
TW (1) TWM28037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916A (ja) * 1999-09-03 2001-03-21 Sanyo Electric Co Ltd 生ごみ処理システム
US7179642B2 (en) 1999-10-25 2007-02-20 Gh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s processing
FR2820419B1 (fr) * 2001-02-08 2004-01-02 Univ Limoges Dispositif compact de decontamination d'effluents liquides a risques infectieux par voie physique
JP4739585B2 (ja) * 2001-07-05 2011-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工装置の安全管理方法及び安全システム
KR100735916B1 (ko) * 2006-01-13 2007-07-12 심종대 음식물 쓰레기 냉장장치
EP2125639B1 (en) 2006-11-27 2020-11-25 Dvo, Inc. Anaerobic digester employing circular tank
CN101600659B (zh) 2006-11-27 2013-03-06 Dvo公司 用于厌氧消化有机液体废弃物流的方法和设备
US20080277336A1 (en) * 2007-05-08 2008-11-13 Dvorak Stephen W Permanent access port
JP5086123B2 (ja) * 2008-02-15 2012-11-28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廃液処理装置
ITMI20080243A1 (it) * 2008-02-15 2009-08-16 C S A S R L Impianto e processo per la depurazione di acque di scarico
KR101005252B1 (ko) * 2008-09-12 2011-01-04 미주오토텍주식회사 멀티 팔레트 검사장치
WO2011066393A2 (en) 2009-11-25 2011-06-03 Ghd, Inc. Biosolids digester and process for biosolids production
CN102746037A (zh) * 2011-06-01 2012-10-24 深圳城市诺必达节能环保有限公司 垃圾和污水一体化净化和产肥***
DE102011119614A1 (de) * 2011-11-29 2013-05-29 Sany Germany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Wartungsöffnung an einer Mischtrommel eines Fahrmischers
CN105156337A (zh) * 2015-09-30 2015-12-16 宁波江北宏杰机电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排污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360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에 따른 안전장치
JPH10225674A (ja) * 1997-02-14 1998-08-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9990011610A (ko) * 1997-07-24 1999-02-18 이일쇄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H11104601A (ja) * 1997-09-30 1999-04-20 Sanyo Electric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KR19990040453A (ko) * 1997-11-18 1999-06-05 구자홍 음식물 처리기 트랩 제어장치
EP1081100A1 (en) * 1999-09-03 2001-03-07 SANYO ELECTRIC Co., Lt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349A (ja) * 1993-01-28 1994-08-09 Sanyo Electric Co Ltd 厨芥処理装置
JPH10296113A (ja) * 1997-04-23 1998-11-10 Sanyo Electric Co Ltd 生ゴミ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360A (ko)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에 따른 안전장치
JPH10225674A (ja) * 1997-02-14 1998-08-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9990011610A (ko) * 1997-07-24 1999-02-18 이일쇄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H11104601A (ja) * 1997-09-30 1999-04-20 Sanyo Electric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KR19990040453A (ko) * 1997-11-18 1999-06-05 구자홍 음식물 처리기 트랩 제어장치
EP1081100A1 (en) * 1999-09-03 2001-03-07 SANYO ELECTRIC Co., Ltd.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74767T3 (es) 2007-06-01
JP2001070916A (ja) 2001-03-21
CN1287101A (zh) 2001-03-14
EP1081100A1 (en) 2001-03-07
ATE343551T1 (de) 2006-11-15
DE60031486D1 (de) 2006-12-07
EP1081100B1 (en) 2006-10-25
TWM280379U (en) 2005-11-11
DE60031486T2 (de) 2007-07-05
KR20010050217A (ko) 2001-06-15
PT1081100E (pt)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60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US6299775B1 (en) Waste and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ing system
KR100365479B1 (ko) 배수처리시스템
KR100394701B1 (ko) 배수처리 시스템
KR1003591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GB2317168A (en) Sequential batch reactor
JPH07275877A (ja) 小規模合併浄化槽
JP2008036581A (ja) 生ゴミ処理システム
KR100404668B1 (ko) 배수처리 시스템
JP2001025787A (ja) ディスポーザ排水処理システム
KR960037587A (ko) 통합 반응조 및 수질 조정조를 이용한 하 · 폐수의 생물 · 화학적 순환 고도 처리 시스템
JP4042012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3473377B2 (ja) 生ごみ処理装置の制御構造
JP2001104815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
KR20110119911A (ko) 가축분뇨 처리공정
JP2001104710A (ja) 水処理システム
JPH10296113A (ja) 生ゴミ処理システム
JP3764812B2 (ja) 厨芥排水の処理装置
KR20160012461A (ko) 소멸식 분뇨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형 무방류 순환수세식 화장실
JP4420522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方法
JP2001025749A (ja) 生ゴミ処理システム
JP3555343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H10323657A (ja) 台所排水の処理装置
JP2000279989A (ja) 厨芥排水の処理装置及び厨芥排水の処理方法
JP2002292388A (ja) 排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