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828B1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828B1
KR100369828B1 KR10-1999-0029027A KR19990029027A KR100369828B1 KR 100369828 B1 KR100369828 B1 KR 100369828B1 KR 19990029027 A KR19990029027 A KR 19990029027A KR 100369828 B1 KR100369828 B1 KR 100369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icrowave oven
decorative cover
cooking chamber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256A (ko
Inventor
왕봉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8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7Optical coupling means with polarisation selective and adjusting means
    • G02B6/2746Optical coupling means with polarisation selective and adjusting means comprising non-reciprocal devices, e.g. isolators, FRM, circulators, quasi-iso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3Groups of channels or wave bands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전면 일부영역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장식커버를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와 상기 장식커버 사이에는 단열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조리실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장식커버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장식커버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조리하는 조리기로서, 음식물을 수용하는 거의 사각통상의 조리실과, 전자렌지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어 있는 부품실과,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를 갖는다.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외판과, 도어외판의 배면에 맞물림 결합되는 도어내판을 가지며, 도어외판과 도어내판 사이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을 관측가능하도록 투명창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외판과 도어내판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성형되어 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도어 외관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투명창 영역을 제외한 도어외판의 둘레방향 또는 일부구간을 따라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커버가 부착되어 출시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도어외판의 전면에 금속재의 장식커버가 부착된 전자렌지에 있어서는, 조리실 내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가 도어내판과 도어외판을 통해 장식커버로 용이하게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렌지의 작동시, 도어외판의 전면에 배치된 금속재의 장식커버는 비교적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인체의 일부가 장식커버에 접촉되었을 경우에는 인체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장식커버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 도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케이싱 12 : 도어
14 : 도어내판 16 : 도어외판
18 : 투명창 20 : 장식커버
22 : 이격돌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전면 일부영역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장식커버를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장식커버 사이에는 단열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층은 공기층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공기층은 상기 장식커버와 상기 도어의 표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돌출된 이격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더욱이, 상기 이격돌기는 상기 도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돌기는 연속적인 파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열층은 상기 도어와 상기 장식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싱(10)과, 음식물을 수용하는 도시 않은 조리실과, 조리실의 전방 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12)를 갖는다. 그리고, 도어(12)의 우측에는 전자렌지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24)이 마련된 조작패널(2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 도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도어(12)는, 도어(12)의 외관을 형성하며 후술할 투명창(18)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사각형상의 개구(25)가 형성된 도어외판(16)과, 도어외판(16)의 후방측에 맞물림 결합되는 도어내판(14)과, 조리될 음식물을 관측가능하도록 도어외판(16)과 도어내판(14) 사이에 개재되는 사각판상의 투명창(18)을 갖는다.
투명창(18)은 내구성을 갖는 강화 유리로 제작되어 있으며, 투명창(18)이 설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도어외판(16)의 전면 상부 및 하부영역에는 도어(12) 외관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 장식커버(20)가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있다.
한편, 장식커버(20)가 부착되는 도어외판(16)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장식커버(20)를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파형상으로 융기 및 함몰된 이격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격돌기(22)는 조리실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도어내판(14)과 도어외판(16)을 거쳐 장식커버(2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어외판(16)과 장식커버(20)와의 열전달 접촉면적을 가장 최소화하기 위해 가급적 여러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는 보다 효과적이며, 이격돌기(22)의 성형은 도어외판(16)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간단히 성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시 않은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조리실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되기 시작하면, 음식물을 구성하는 수많은 분자들은 상호 충돌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마찰열 중 일부는 도어내판(14)과 도어외판(16)을 경유하여 장식커버(20)로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장식커버(20)가 배치되는 도어외판(16)의 판면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이격돌기(22)가 파형상으로 굴곡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리실로부터 도어내판(14)과 도어외판(16)을 경유하여 장식커버(20)로 전달되는 열기는, 도어외판(16)의 이격돌기(22)와 장식커버(20) 간의 열전달 접촉면적의 감소로 인해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파형상의 이격돌기(22)는 도어외판(16)과 장식커버(20) 사이에 소정의 공기가 개재되는 단열층(30)을 형성하게 되므로 조리실내의 열기는 이 단열층(30)으로 인해 장식커버(20)로 용이하게 전달되지는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12)의 장식커버(20)는 종래의 도어 장식커버(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속상의 장식커버(20)가 부착되는 도어외판(16)에 소정의 곡률을 갖는 이격돌기(22)를 연속적인 파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조리실 내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가 도어내판(14)과 도어외판(16)을 거쳐 금속재의 장식커버(2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조리실 내에서 발생된 열기가 장식커버(2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해 장식커버(20)가 배치되는 도어외판(16)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파형상의 이격돌기(22)를 사출성형시킨 것에 관하여 상술하였으나, 이격돌기(22) 뿐만 아니라 장식커버(20)와 도어외판(16) 사이에 석면과 같은 단열재를 배치하더라도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도어외판(16)에는 스크루체결용 보스부(32)를 형성시키고 장식커버(20)에는 스크루체결공을 마련하여 이들을 상호 스크루(34) 결합시킴으로써 보스부(32)에 의한 도어외판(16)과 장식커버간(20)의 단열층(30)을 형성하더라도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두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실로부터 발생된 열기가 장식커버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Claims (6)

  1.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전면 일부영역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장식커버를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장식커버 사이에는 단열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공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은 상기 장식커버와 상기 도어의 표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돌출된 이격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기는 상기 도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기는 연속적인 파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상기 도어와 상기 장식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1999-0029027A 1999-07-16 1999-07-16 전자렌지 KR10036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027A KR100369828B1 (ko) 1999-07-16 1999-07-16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027A KR100369828B1 (ko) 1999-07-16 1999-07-16 전자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56A KR20010010256A (ko) 2001-02-05
KR100369828B1 true KR100369828B1 (ko) 2003-01-29

Family

ID=1960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027A KR100369828B1 (ko) 1999-07-16 1999-07-16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8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415U (ko) * 1995-08-28 1997-03-29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415U (ko) * 1995-08-28 1997-03-29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히터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56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03341A (zh) 微波炉门
KR100369828B1 (ko) 전자렌지
JPH01184332A (ja) 調理器
KR100437402B1 (ko) 히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KR100485085B1 (ko) 탁상식 글래스 상판 곤로
KR100698212B1 (ko) 전기 오븐 레인지용 오븐 도어
JP3619768B2 (ja) 加熱調理器
KR200253016Y1 (ko) 가스오븐렌지 도어의 외부판넬과 내부판넬의 간격유지 구조
KR100518417B1 (ko) 전자레인지 도어의 전자파 차단구조
KR100662304B1 (ko) 전자 레인지
KR100514926B1 (ko) 조리장치
KR200255211Y1 (ko) 초고주파 가열 압력밥솥용 조리용기의 구조
KR200337672Y1 (ko) 전자레인지 스테인리스카바의 고정구조
KR100513300B1 (ko) 전자렌지
KR100265402B1 (ko) 전자렌지용내부케이스
KR101008610B1 (ko) 전자 레인지용 도어 어셈블리
KR960009852Y1 (ko) 다기능 전자렌지
KR200255218Y1 (ko) 초고주파 가열 압력밥솥용 조리용기의 구조
KR200349590Y1 (ko) 전자 레인지
JP5106929B2 (ja) 加熱庫
CN100504186C (zh) 微波炉
KR950014748A (ko) 전자렌지의 트레이(tray)
KR200302296Y1 (ko) 전자렌지
KR200342409Y1 (ko) 커피 메이커 겸용 전자 레인지
JP2540297Y2 (ja) 電子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