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819B1 - 곡물균분기 - Google Patents

곡물균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819B1
KR100363819B1 KR1019950029264A KR19950029264A KR100363819B1 KR 100363819 B1 KR100363819 B1 KR 100363819B1 KR 1019950029264 A KR1019950029264 A KR 1019950029264A KR 19950029264 A KR19950029264 A KR 19950029264A KR 100363819 B1 KR100363819 B1 KR 10036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output shaft
hopper
gear motor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05A (ko
Inventor
야마모토소오이치
오오야마에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7000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적은 수량의 부품으로 곡물균분기를 구성해서, 조립을 쉽게 함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호퍼(3)를 그 상부입구(3a)가 송곡장치(2)의 방출구(20)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곡물통(1)의 천정부에 배치해서, 그것을 부착기프레임(60)에 의해 곡물통(1)에 고정설치한 기어모터(M1)의 종방향의 출력축(61)의 상단측에서, 그 출력축(61)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지지하고, 그 호퍼(3)의 하부출구(3b)를 상기 출력축(61) 중심의 선회축선에 대해 편심하는 한 쪽 위치에 설치하며, 이 호퍼(3)의 아래 쪽에, 부착기프레임(70)에 의해 곡물통(1)에 고정설치한 기어모터(M2)의 종방향의 출력축(71)의 상단측에 지지시킨 분산판(4)을, 그것의 선회축으로 되는 상기 출력축(71)이 상기 출력축(61)과 축심선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로 설치한다.

Description

곡물균분기
본 발명은 곡물가루 건조기의 기계 본체 내의 곡물통 또는 곡물가루의 저류통에 대해 곡물가루를 투입할 때에, 그 곡물가루를 균일하게 분배하는데 사용하는 곡물균분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곡물균분기(B)는, 곡물가루 건조기(4)에 사용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보면, 곡물통(1)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서 송곡장치(2)의 곡물가루의 방출구(20)의 아래쪽에, 바닥이 없는 깔때기 형상의 호퍼(3)를, 부착기프레임(30)에 의해 고정설치하고, 그 상부입구(3a)가 상기 송곡장치(2)의 방출구(20)로부터 방출된 곡물가루를 받아들이도록 배치하고, 그 호퍼(3) 안에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하부출구(3b)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회전축(31)을 설치해서, 호퍼(3) 안에 스테이(32)를 개재하여 설치한 베어링지지부재(33)로 지지하고, 이것을 호퍼(3)의 외면측에 설치한 모터(M)에 의해 전달기구(m)를 개재하여 구동하고, 이 회전축(31)의 하단측에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분산판(4)을 부착하고, 또, 전술한 베어링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축(31)과 전달하는 감속기구를 수납하는 기어박스(34)를 설치하고, 그 상면측으로 돌출하는 회전축(35)의 상단부에, 경사확산판(5)을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이에 의해서, 송곡장치(2)의 방출구(20)로부터 방출되어 오는 곡물가루를, 감속되어 회전하는 경사확산판(5)의 윗면에서 받아서, 그 경사확산판(5)에 의해 호퍼(3)의 둘레벽의 내면을 향하여, 차례로 둘레방향을 따라 방출위치를 변동시키면서 뿌리고, 이에 의해서, 곡물가루를 호퍼(3)의 하부출구(3b)로부터, 회전하는 분산판(4)의 중심 부위의 둘레에 차례대로 회전방향으로 장소를 변위시키면서 방출시켜서, 이것을 분산판(4)이 주변으로 뿌리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수단에 의한 곡물균분기(B)는, 호퍼(3)와 그 상부입구(3a)부 위에 설치한 경사확산판(5)과, 그것을 감속회전시키는 감속기구 및 기어박스(34)와, 상하방향으로 긴 회전축(31)과, 그 하단에 설치한 분산판(4)과, 그 회전 축(31)과 모터(M)를 전달하는 전달기구(m) 등의 몇개의 부품을 필요로 하여, 조립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비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단에서 발생하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적은 수의 부품으로 곡물균분기를 구성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호퍼의 상부입구가 송곡(送穀)장치의 방출구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호퍼를 곡물통의 천정부에 배치하고, 부착기프레임에 의해 곡물통에 고정설치한 기어모터의 종방향의 출력축의 상단측에, 그 출력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호퍼를 지지하고, 그 호퍼의 하부출구를 상기 출력축 중심의 선회축선에 대해서 편심된 한 쪽 위치에 형성하며, 이 호퍼의 아래쪽에 부착기프레임에 의해 곡물통에 고정설치한 기어모터의 종방향의 출력축의 상단측에서 지지한 분산판을, 그 선회축으로 되는 상기 출력축이 상기 출력축과 축심선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로 설치하여 이루어진 곡물균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수단에서는, 호퍼(3)가, 곡물가루의 수용과, 그 수용된 곡물가루를 비교적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분산판(4)의 윗면에 대해서, 그 회전방향을 따라 차례로 위치를 바꾸어 아래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경사확산판을 겸하는 것으로 되어, 경사확산판 및 그것을 감속회전시키는 감속기구와 기어박스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호퍼(3) 및 분산판(4)을 각기 다른 기어모터(M1.M2)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므로, 전달기구(m)도, 또, 긴 회전축도 필요없게 되어, 이것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체의 부품 수량을 전술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종래의 수단의 부품의 수량과 비교하여 약 1/4로 절감할 수 있고, 또, 조립공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다음에는,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참조부호는, 종래의 수단과 동일한 효과의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곡물가루 건조기(A)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이고, 제4도에서의 참조부호 (1)은 곡물통, (2)는 그 곡물통(1) 내에 곡물가루를 송급하는 송곡장치, (B)는 곡물통(1) 내부의 천정부위에, 상기 송곡장치(2)의 곡물가루의 방출구(20)로부터 방출되는 곡물가루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곡물통(1) 안에 퇴적시키도록 설치한 곡물균분기(B)를 표시한다.
곡물통(1)은, 그 본체(10)가 직경이 큰 원통 형상 내지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본체(10)의 하단은 콘크리트로 형성한 토대(11) 위에 설치하고, 상단측에는 우산 형상의 지붕(12)이 설치되어 있다.
또, 곡물통(1)은 원통 형상 내지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0)의 내부 공간의 바닥부 쪽으로 치우친 부위에, 통기성이 있는 바닥판(13)이 설치되고, 그 바닥판(13)의 아래쪽의 공간이,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열풍송급장치(14)로 부터 송급되는 건조풍을 바닥판(13)의 윗면에 퇴적시킨 곡물가루에 도입하는 도풍로(導風路)(15)로 형성하고 있고, 상기 지붕(12)의 정상부에는, 바닥판(13) 위의 곡물가루층을 투과한 건조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구(16)가 설치되어 있고, 그에 의해서, 송곡장치(2)에 의한 곡물통(1) 내에 공급되는 곡물가루에 대해 건조풍을 불어서 건조시키는 곡물가루 건조기(A)의 본체부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 곡물통(1) 안에는 바닥판(13) 위를, 그 바닥판(13)의 중심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공전하면서 자전하여, 곡물가루를 바닥판(13)의 중심부에 형성한 배출구로 배출하는 횡방향의 오거(17)와, 곡물가루를 상하로 교반하는 종방향의 오거(18)와, 바닥판(13)의 배출구로 유입하는 곡물가루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콘베어(19)가 설치되어 있다.
송곡장치(2)는 양곡탑(2a)의 내부에 버킷콘베어를 설치한 통상의 것으로, 양곡탑(2a)의 상단의 방출통부에는 횡방향의 송곡통(2b)이 접속하고, 그 선단측은 곡물통(1)의 정상부로 돌입하며, 선단의 방출구(20)를 곡물통(1)의 내부에서 개방시키고 있다. 그리고, 양곡탑(2a)의 밑부분은 상기 곡물통(1) 안의 도풍로(15)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용 콘베어(19)의 종단부와 접속하여 연이어 통해져 있다.
곡물통(1)의 내부 공간의 천정부에 설치하는 곡물균분기(B)는, 곡물통(1) 내부의 천정부에 설치한 부착기프레임(60)에 고정설치되는 소형 기어모터(M1)의 윗면에 돌출시킨 종방향의 출력축(61)에, 그 출력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도록 설치된 호퍼(3)와, 그 호퍼(3)의 아래쪽에 있어서의 곡물통(1) 내부의 천정부에, 부착기프레임(70)에 의해 고정설치된 기어모터(M2)를 지지부재로 하고, 그 상면측에서 종방향으로 돌출시킨 출력축(7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그 출력축(7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분산판(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3)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벽이 좌우의 한 쪽 방향에서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 쪽으로 경사진 끝 쪽에서, 아래 쪽을 향하여 개방하는 방출통(3c)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개방구가 그 호퍼(3)의 상부입구(3a)로부터 투입된 곡물가루를 아래쪽으로 유출시키는 하부출구(3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호퍼(3)는, 곡물통(1)의 천정부에 설치한 부착기프레임(60)에 고정설치하는 소형 기어모터(M1)를 지지부재로 하고, 그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종방향의 출력축(61)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그 출력축(61)의 상단부에 지지하는데, 그 때, 그 호퍼(3)의 상기 방출통(3c)이 출력축(61)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바닥벽의 아래면을 출력축(61)의 상단부에 지지하고, 또, 소형 기어모터(M1)의 감속비를 1/100 정도로 설정하며, 이에 의해서, 그 모터(M1)의 구동으로, 호퍼(3)가 서서히 선회하여, 상부입구(3a)로부터 공급된 곡물가루를, 출력축(61)에 대해 편심하여 위치하는 방출통(3c)의 개방구인 하부출구(3b)가 출력축(61)의 주위를 차례로 회전방향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분산판(4)은, 전술한 호퍼(3)의 아래쪽에 있어서의 곡물통(1)의 천정부에, 부착기프레임(70)을 설치하고, 이것에 상기 소형 기어모터(M1)보다 대형인 기어모터(M2)를 고정설치하며, 이것을 지지부재로 하여, 그 윗면으로 돌출하는 종방향의 출력축(71)의 상단부에 지지시킨 것으로, 기어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출력축(71)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하지만, 선회중심이 되는 출력축(71)의 축심선이 전술한 호퍼(3)의 선회중심이 되는 소형의 기어모터(M1)의 출력축(61)의 축심선과 일치하도록, 기어모터(M2)의 출력축(71)을 배치하고 있다.
또, 이 분산판(4)을 회전시키는 기어모터(M2)는 감속비를 1/5 정도로 설정하여, 분산판(4)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분산판(4)은 제3도에 표시한 종래의 수단의 분산판(4)과 같은 형상의 것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 형상 또는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체(40)의 중심부위에 기어모터(M2)의 출력축(71)을 연결지지하는 부착구멍(41)을 형성하고, 그 부착구멍(41)의 주변의 윗면에 칸막이판 형상의 송출날개판(42)을 방사상으로 설치하므로써, 날개차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균분기(B)는, 호퍼(3) 자체가 선회하여, 상부입구(3a)로부터 공급된 곡물가루를 방출하는 하부출구(3b)가, 선회축인 기어모터(M1)의 출력축(61)의 주변을 차례로 위치를 변화하도록 서서히 선회하므로, 종래의 수단에서의 경사확산판(5)을 겸하는 것으로 되며, 그 경사확산판(5) 및 그것을 서서히 선회시키기 위한 감속기구를 수납하는 기어박스(34) 등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부품의 수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분산판(4)을 다른 기어모터(M2)에 의해 구동하고, 경사확산판을 겸한 호퍼(3)와 분리한 분리형으로 하므로써, 조립 및 관리유지를 현저히 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곡물균분기를 설치한 곡물가루 건조기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의 곡물균분기의 종단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서의 곡물균분기의 분산판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곡물균분기를 실시한 곡물가루 건조기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에서의 곡물균분기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서의 곡물균분기의 분산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곡물통,
(2) ------------------- 송곡장치,
(3) ----------------------------- 호퍼,
(3a) ----------------------------- 상부입구,
(3b) ----------------------------- 하부출구,
(4) ----------------------------- 분산판,
(20) ----------------------------- 방출구,
(60,70) ----------------------------- 부착기프레임,
(61) ----------------------------- 출력축,
(71) ----------------------------- 출력축,
(A) ----------------------------- 곡물가루 건조기,
(B) ----------------------------- 곡물균분기,
(M) ----------------------------- 모터,
(M1,M2) ----------------------------- 기어모터.

Claims (1)

  1. 호퍼(3)의 상부입구(3a)가 송곡장치(2)의 방출구(20)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호퍼(3)을 곡물통(1)의 천정부에 배치하고; 부착기프레임(60)에 의해 곡물통(1)에 고정설치한 기어모터(M1)의 종방향의 출력축(61)의 상단측에 그 출력축(61)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상기 호퍼(3)을 지지하고, 그 호퍼(3)의 하부출구(3b)를 상기 출력축(61) 중심의 선회축선에 대해 편심된 한 쪽 위치에 형성하며; 이 호퍼(3)의 아래쪽에, 부착기프레임(70)에 의해 곡물통(1)에 고정설치한 기어모터(M2)의 종방향의 출력축(71)의 상단측에 지지시킨 분산판(4)을, 그 선회축으로 되는 상기 출력축(71)이 상기 출력축(61)과 축심선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로 설치해서 구성되는 곡물균분기.
KR1019950029264A 1995-06-23 1995-09-06 곡물균분기 KR100363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81062A JPH092668A (ja) 1995-06-23 1995-06-23 穀物均分機
JP95-181062 199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05A KR970000005A (ko) 1997-01-21
KR100363819B1 true KR100363819B1 (ko) 2003-02-05

Family

ID=1609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264A KR100363819B1 (ko) 1995-06-23 1995-09-06 곡물균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92668A (ko)
KR (1) KR100363819B1 (ko)
CN (1) CN1061626C (ko)
TW (1) TW3102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755B1 (ko) * 1997-06-28 2004-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갈륨 도핑 ybco 격벽을 이용한 사면구조 고온 초전도 죠셉슨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N105091558A (zh) * 2015-08-30 2015-11-25 汝州春秋生物质能源机电设备有限公司 粮食烘干机的旋转布料装置
CN105409432B (zh) * 2015-12-24 2018-06-26 江苏沃得农业机械有限公司 收割机粮仓
CN106743746B (zh) * 2016-12-22 2023-05-23 江苏金梧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喂料器旋转连接装置
CN107321225A (zh) * 2017-08-31 2017-11-07 颍上县永军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建材原料均匀混料设备
CN108545498B (zh) * 2018-05-04 2021-02-02 华电曹妃甸重工装备有限公司 一种带自动旋转分料装置的多出口料斗
CN110906706B (zh) * 2019-12-09 2021-04-13 湖南省农友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谷物抛洒装置及谷物烘干机
CN111014000A (zh) * 2019-12-30 2020-04-17 孟正明 一种环保的化工粉状原料筛选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31449A1 (fr) * 1978-07-20 1980-02-15 Raffinage Cie Francaise Dispositif de repartition d'un solide divise dans une encei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10264B (ko) 1997-07-11
KR970000005A (ko) 1997-01-21
JPH092668A (ja) 1997-01-07
CN1061626C (zh) 2001-02-07
CN1144186A (zh) 1997-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486A (en) Apparatus for metering bulk material
KR100363819B1 (ko) 곡물균분기
KR20120030023A (ko) 연삭식 수형 정곡기
US4754934A (en) Vertical grinding mill
KR890001103B1 (ko) 입상 재료용 수형체 분리기
RU2374001C2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керам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US5887725A (en) Classifier having a rotatable dispersion plate
US20040022121A1 (en) Grain agitating apparatus and grain storing apparatus
US5566470A (en) Metering grain unloader for tower dryer
PL85392B1 (en) Foundry mixing machine[us3773299a]
EP1183199B1 (en) Sluice for discharging bulk material
JPS627429Y2 (ko)
EP2050504B1 (en) A discontinuous grinding mill for ceramic materials
CN116944016B (zh) 一种筛分型皮带上料机
CN219949848U (zh) 一种高效定量粉料投料器
US3338559A (en) Apparatus for mixing particulate materials
CN217764356U (zh) 一种钙锌稳定剂卧式干燥装置
CN216296524U (zh) 一种双层高效立式制砂机
CN217970893U (zh) 一种大米储存装置
JP2507482Y2 (ja) 撹拌ビン型の穀粒乾燥装置
SU1447524A1 (ru) Активатор-смеситель
KR100231396B1 (ko) 분류 장치
JP2000079347A (ja) 破砕装置
JPS6010351Y2 (ja) 肥料散布機
SU1351663A2 (ru) Роторна мельниц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