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111B1 - 수작업식공작기계에설치된공구를회전운행하는장치 - Google Patents

수작업식공작기계에설치된공구를회전운행하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111B1
KR100339111B1 KR1019960703855A KR19960703855A KR100339111B1 KR 100339111 B1 KR100339111 B1 KR 100339111B1 KR 1019960703855 A KR1019960703855 A KR 1019960703855A KR 19960703855 A KR19960703855 A KR 19960703855A KR 100339111 B1 KR100339111 B1 KR 10033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driving
rotary
lock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르스펙커 호르스트
누베르트 하인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DE1994/001535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19244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25D17/084Rotating chucks or sockets
    • B25D17/088Rotating chucks or sockets with radial movable lock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bit shaf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4Details of shank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8Locking members of special shape
    • B25D2217/0042Ball-shaped lock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3Details relating to chucks with radially movable locking elements
    • B25D2217/0038Locking members of special shape
    • B25D2217/0049Roll-shaped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작업식 공작기계에 설치된 타격 및/또는 천공 공구를 회전운행하는 장치에 관한다. 공구생크(11)와 공구장착부(10)에 적어도 3개의 회전 운행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회전 운행기구는 축방향에서 생크단부까지 연장되는 홈(17,18,22) 및 이것들의 홈(17,18,22)과 걸어맞춰지는 공구장착부(10)의 회전운행조편 (19,20,23)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축방향 로크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해당 축방향 로크기구는 공구생크(11)에 설치된 축방향에서 연장되고 또한 생크단부로 향하여 폐쇄된 오목부(21) 및 해당 오목부(21)와 걸어 맞춰지는 공구장착부(10)에 설치된 로크체(16)로 이루어지고 있다. 2개의 회전 운행기구(17,19 와 18,20)가 적어도 서로 부분적으로 마주보고 있다. 공구 생크(11)와 공구장착부(10)와의 균일한 토오크 부하를 위해서는, 축방향 로크 기구를 기점으로 하여 생크 주면에 상호 상 전후하여 위치하는 회전 운행기구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가 180°이상 240°이하의 둘레 방향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작업식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구를 회전 운행하는 장치{Tool spinning device placed on a hand-operated machine}
공구생크를 위한, 이러한 형식의 장치는, 공구생크를 위한, 유럽 특허출원공개 제433876호 명세서 기재의 구성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천공공구는 오른쪽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천공공구는 수작업식 공작기계의 공구장착부에 의해 대응하여 오른쪽 즉 시계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유럽 특허출원공개 제433876호 명세서의 도면(5)은 생크단부를 향하여 보아 횡단면(제1도의 Ⅱ Ⅲ 선을 따른 횡단면)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상기의 경우 구동장치의 회전방향은 역시계 회전방향에서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호 마주보는 양 회전운행홈중의 소폭쪽의 회전운행홈은 회전방향에서 로크 오목부에 대하여 전치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운행기구의 상기 배치는 공구생크와 공구장착부에 있어서 불균일한 토오크 부하를 발생시킨다. 왜냐하면, 한편으로는 축방향 로크기구가 특필하여야 할 토오크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이고, 다른쪽에서는 후속의 넓은 폭쪽의 회전운행기구가 회전운행기구의 축방향 로크기구와는 역측에 위치하는 회전운행측 테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3개의 회전운행측 테두리는, 180°미만의 둘레방향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제1항의 상위 개념에 기재 형식의 수작업식 공작기계에 설치된 타격 및/또는 천공을 행하는 공구를 회전 운행하는 장치와 이 장치에 사용되는 공구 및 공구홀더에 관한다.
도 1 은 공구장착부와 이것에 끼워지는 공구생크를 가지며, 드릴해머에 설치되는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횡단면을,
도 2 는 공구장착부의 앞측부분의 종단면도,
도 3 은 별도의 실시예에 근거하는 공구의 생크의 횡단면도,
도 4 는, 공구의 생크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제3실시예로서 짝 지어진 회전운행홈과 로크오목부를 가지는 공구생크의 횡단면도,
제 6 은 공지 공구장착부에 설치된 공구생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구장착부에 설치된 공구생크를 나타내는 도면.
청구항 1 의 특징부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운행기구의 배치에 의하면, 축방향 로크기구에 대하여 전치된 회전운행기구의 토오크를 전달하는 측 테두리가 적게 부하된 축방향 로크기구에서 보다 밀접하는 방향에서 비켜짐에 따라 공구와 공구장착부와의 국면에 걸쳐서 토오크 부하가 극히 균일하게 행하여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른 이점으로서, 균일한 토오크부하에 의해서 공구장착부에서의 센터링도 개선되어 한쪽만의 마모를 방지하고 회전운행기구 사이의 생크파단에 의한 공구의 위험도 감소한다.
청구항 2 이후에 기재된 수단에 의해, 청구항 1 기재된 구성이 유리한 별도의 구성 및 개선이 얻어진다. 축방향 로크기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 보는 회전운행기구는 서로 마주보는 양회전 운행기구중의 폭이 좁은 쪽의 회전운행기구에 횡단면으로 보아 거의 대응하고 있으면, 공구생크가 긴 내용(耐用)수명이 얻어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특히 공구장착부의 회전 운행조편에 있어서 마모없음 (Verschleissreserve)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축방향 로크기구를 향하여 회전운행 기구가 상호 마주 보는 양 회전 운행기구중의 넓은 폭인 회전 운행기구의 횡단면에 거의 대응하고 있으면 유리하다. 상기의 경우, 또한 마모에 대하여는 사용에 알맞은 재료를 공구와 공구지지체를 위해 사용함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특별한 구성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공구의 공구생크가 회전 운행과 축방향 로크가 상호 직경방향에서 마주 보는 원통형의 2개의 로크체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것 같은 자체공지의 공구장착부(예를들면 Hilti-Bohrhammer TE10) 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양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는 공구생크에 축방향에서 폐쇄된 로크 오목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 보는 회전 운행홈이 마련되어 있다. 이 회전 운행홈은 별도의 로크 오목부와 짝 지고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이러한 공구생크를 본 발명에 한 공구장착부에 끼워넣을 때에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이 공장착부의 회전 운행조편을 수용한다. 이것에 대하여 다른쪽에는, 공구생크를 공지의 상기 공구장착부에 끼워 넣을 때에 제2의 로크체가 축방향 단부에서 부분적으로만 폐쇄된 제2의 별도의 로크오목부에 로크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본 발명은 3 개의 실시예를 도면에 나타낸다.
타격 및/또는 천공을 행하는 공구를 회전 운행하기 위한 공작기계 특히, 타격 천공기 및 드릴해머 혹은 타격장치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주로 공구지지체로서 일하는 공구장착부(10)와, 이 공구장착부(10)에 장착된 천공 및/또는 타격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공구(12)의 공구생크(11)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서는, 공구장착부(10)는, 국제공개 제88/09245호 팜플렛으로부터 자체 공지된 것같이, 드릴해머(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공구스핀들(13)의 단부에 상대 회전 운동 불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공구스핀들(13)의 뒤측 범위(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축방향에서 가동에 해머부재가 안내되어 있다. 해머부재는 공지의 형식으로, 타격장치에 의해서 공구생크(11)의 단면에 부딪쳐진다. 공구장착부(10)는 공구생크(11)를 위한 위치결정 구멍(14)과 관통구멍(15)을 가지고 있다. 관통구멍(15)에는 로크체(16)가 끼워진다.
로크체(16)는 공지의 형식이고 공구생크(11)를 위치결정 구멍(14)에 삽입할 때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가능하고, 도시의 중지위치에서는 스프링력을 통해 로크 슬리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공지의 형식으로 로크된다.
공구(12)는 공구생크(11)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또한 상호 마주 보도록 위치하여 생크단부를 향해 열린 2개의 회전 운행홈(17,18)을 가지고 있다. 상기 운행홈(17, 18)에는, 위치결정 구멍(14)내에 안쪽을 향하여 돌설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회전 운행조편(19, 20)이 걸어맞춰져 있다. 회전 운행홈(17, 18)및 대응하는 회전 운행조편(19, 20)은 각각 상호 다른 폭을 가지고 있어 양 길이변측에 거의 반경방향에서 연장되는 측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회전 운행기구의 사이에는 공구생크(11)에 있어서 90°만 비켜지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오목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오목부(21)에는 원통형의 로크체(16)가 걸어맞춰진다. 로크체(16)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둥근 표면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오목부로서 형성된 로크 오목부(21)도 적어도 생크단부를 향하여 구면상으로 만곡하여 닫혀지고 있다. 따라서 로크체(16)와 로크 오목부(21)는 공구(12)가 본의 아니게 공구장착부(10)로부터 탈락하는지 또는 끌어 내여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축방향 로크기구를 형성하고 있다. 공구생크(11)와 공구장착부(10)의 상기 축방향 로크기구와는 반대 측의 범위에는 별도의 회전 운행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회전 운행기구는 또한 생크단부를 향하여 열려있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운행홈 (22) 및 이 회전운행홈(22)과 걸어맞춰지는 공구장착부(10)의 위치결정 구멍(14)에 축방향에서 연장되는 회전 운행조편(23)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화살표 방향에서 구동되는 장치의 공구장착부(10)와 공구생크 (11)의 가능한 한 균일한 부하를 행하기 위해서는, 상호 마주 보는 양 회전 운행기구(17/19, 18/20)중의 넓은 폭쪽의 회전 운행기구가 회전방향에서 보아 축방향 로크기구(16/21)에 전치되어 있다. 따라서 넓은 폭인 회전운행홈(18)의 토오크를 전달하는 측 테두리(18a)는, 확실히 로크오목부(21)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간격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나 이것은 공구생크(11)가 균일한 토오크 부하의 관점에서는로크체(16)가 작은 토오크밖에 공구생크(11)에 전달하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보상된다. 이것에 의해, 또한 공구생크(11)의 센터링과 가이드가 개선되어, 특히 이미 변위된(ausgeschlagen) 회전 운행기구에 있어서 발생시켜지는 마모는 양호한 센터링에 의해서 감소시켜진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제1실시예인 경우에는, 축방향 로크기구와 마주보는 제3의 회전 운행기구, 결국 회전 운행홈(22)과 회전 운행조편(23)으로 이루어지는 제3의 회전 운행기구는 상호 마주향한 회전 운행홈(17, 18)과 회전 운행조편(19, 20)으로 이루어지는 양회전 운행기구중의 소폭인 쪽의 회전 운행기구, 결국 회전 운행홈(17)과 회전 운행조편(19)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운행기구와 거의 같은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그것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제2실시예인 경우에는, 로크오목부(21)에 마주 향하는 제3의 회전 운행기구, 결국 회전 운행홈(22a)와 이 회전 운행홈(22a)과 관계되어 합하는 회전 운행조편(23a)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운행기구의 횡단면이, 회전 운행홈(18)과 회전 운행조편(20)으로 이루어지는 넓은 폭인 쪽의 회전운행기구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이 구성은, 특히, 공구장착부(10)의 회전 운행조편(20, 23a)에서 큰 마모없음이 얻어지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실시예인 경우에는, 2개의 소폭인 회전 운행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근거하여, 회전 운행홈(17, 18, 22)의 간격으로써 형성된 공구생크(11)에 있어서의 마모없음이 보다 유리하다. 도 1 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공구홀더의 마모없음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회전 운행홈중의 적어도 1개에 있어서 뒤측의 측 테두리 대신에 홈기초부가 현 형상으로 생크주면까지 연장되고 있어, 이것과동시에 회전 운행홈과 협동하는 회전 운행조편이 마찬가지로 뒤측에서 현 형상으로 위치결정 구멍의 주면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축방향 로크기구(16, 21)를 기점으로 하여 생크주면 혹은 구멍주위면에 상 전후하여 위치하는 3개의 회전 운행기구(17, 19 ; 22, 23 ; 18, 20)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는, 180°보다 크고 240°보다 작은 원주각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토오크전달측 테두리의, 동심회전과 마모에 관하여 안성마춤인 분배가 얻어진다.
도 5 에는, 별도의 실시예로서 공구생크(11b)의 횡단면이 확대하여 나타나고 있다. 공구생크(11b)는 도 6 에 나타낸 공지의 공구장착부와 도 7 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공구장착부의 양방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양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구생크(11b)의 상측 범위에 위치하는 로크 오목부(21)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이 축방향에서 폐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에따라 로크체(16)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충분한 축방향 로크가 행하여진다. 공구생크(11b)의 로크체(16)에 마주 향하는 하측범위에는,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22b)이 위치하고 있다. 회전 운행홈(22b)은, 별도의 로크오목부(21a)에 오버랩하고 있다. 결국 상기의 경우, 로크오목부(21a)의 양 축방향단부는 부분적으로만 폐쇄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로크 오목부(21a)의 양 축방향 단부는 로크 오목부(21a)의 회전 운행홈(22b)의 횡단면을 넘어서 돌출하는 단면측의 범위(21b)에 의해서만 폐쇄되어 있지 않다.
상기 양립적인 생크구성인 경우에 있어서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22b)을 위해 충분히 유효한 회전 운행측 테두리(25)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으로만 폐쇄된 별도의 로크 오목부(21a)가 축방향에서 폐쇄된 로크오목부(21)에 대하여 정확히 직경방향에서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22b)이 별도의 로크 오목부(21a)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회전 운행홈(22b)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25)는 상기 별도의 로크오목부(21a)의 회전방향으로 위치하는 가장자리(26)와 정합하고 있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공구생크(11b)를 가지는 공구가 도 6 에 나타내었던 것 같은 공지의 공구장착부(27)에 끼워지면, 상호 마주보는 회전 운행홈(17, 18)은 자유로운 채로, 상호 직경방향에서 마주 보는 양 로크체(16)가 공구장착부(27)의 횡단면으로 나타난 스핀들(28)의 양 관통구멍(15)에 있어서 로크오목부(21, 21a)에 로크가능하게 걸려진다. 상기의 경우 제2의 로크오목부(21a)에 의한 축방향 로크는 파선으로 나타난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22b)의 횡단면에 의해서 약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에 의한 영향은 대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축방향에서 완전히 폐쇄된 상방의 로크 오목부(21)가 이미 충분한 축방향 로크를 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회전 운행은 상기의 경우도 한가운데의 회전운행홈(22b)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25)에 의해서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도 7 은 공작기계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운행장치의 횡단면을 보이고 있다. 이 회전 운행장치는 도 5 에 나타낸 양립적인 공구생크(11b)를 가지고 있다. 도 1 에 나타낸 공구장착부(10)와는 달리, 도 7 에 나타낸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조편(23a)은 로크체(16)에 부분적으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고 있고, 다음과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 운행조편(23a)은 그 회전 운행측 테두리(29)가 로크체(16)의 구동방향에서 보아 앞측의 가장자리(30)에 대하여 직경방향에서 마주보도록 비켜져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해서 양립적인 공구생크(21b)의 부분적으로 열린 별도의 로크오목부(21a)의 범위에서도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22b)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25)가 함께 충분히 부하된다.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22b)의 반경방향에서 연장되는 회전 운행측 테두리(25)에 의한 도 6 에 나타낸 공지의 공구장착부(27)의 하방의 로크체(16)에 있어서의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으면 유리하다. 즉, 반경방향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25) 대신에 회전 운행측 테두리(25) 및 이것과 협동하는 공구장착부(10a)의 회전 운행조편(23a)에 설치된 회전 운행측 테두리(29)가 로크 오목부(21a)에 연장되는 형상을 따르도록만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도 7 의 파선참조). 그러나 선별적으로 부가적인 별도의 로크오목부(21a)를 상방의 로크오목부(21)에 직경방향에서 마주보는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도 1 의 부호(22) 혹은 제3도의 부호(22a) 참조)과 조합시켜도 좋다. 어떻든 축방향 로크를 행하기 위해서는 상방의 로크 오목부(21)로 충분하기 때문에 도 6 에 나타낸 것같은 공구장착부(27)를 가지는 공구생크(11)의 양립성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상방의 로크오목부(21)에 마주향하는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홈(22)과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한가운데의 회전 운행조편(23)과는, 횡단면에서 보아 상방의 로크오목부(21)의 만곡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Claims (14)

  1. 수작업식 공작기계에 설치된 타격 및 천공을 행하는 공구(12)를 회전 운행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3개의 회전 운행기구와 축방향 로크기구가 공구생크(11)와 공구홀더(10)와의 주면으로 적어도 거의 균등하게 분배 배치되어 있고, 축방향 로크기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생크단부를 향하여 폐쇄된 로크 오목부(21)로서 공구생크(11)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오목부(21)는 공구홀더(10)의 위치결정 구멍(14)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돌입하는 반경방향에서 이동가능한 로크체(16)와 협동하며, 상기 회전 운행기구는 공구생크(11)에 설치된 축방향에서 생크단부까지 연장되는 절결부(17, 18, 22) 및 이들 절결부(17, 18, 22)와 협동하여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구홀더(10)의 주면에 설치된 돌기(19, 20, 23)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들중 2개의 회전 운행기구(17, 19 ; 18, 20)가 상호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고 있는 형식의 회전 운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로크기구(16, 21)를 기점으로서 제1의 회전 운행기구(17, 19)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와 최후의 회전 운행기구(18, 20)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 사이의 원주각이 180°보다도 크고 240°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상기 회전 운행기구중의 서로 마주보는 2개 이상의 회전 운행기구는 서로 다른 폭의 홈(17, 18) 및 해당홈(17, 18)과 걸어 맞추어지는 조편(19, 20)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양회전 운행기구(17, 19 ; 18, 20)중의 넓은 폭쪽의 회전 운행기구(18, 20)는 상기 축방향 로크기구(16, 21)에 대하여 구동회전방향에서 전방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로크기구(16, 21)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는 회전 운행기구(22, 23)는 공구생크(11)에 설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2) 및 해당홈(22)과 걸어맞추어지는 공구홀더(10)에 설치된 대응하는 조편(23)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운행기구(22, 23)의 횡단면은 적어도 상호 마주보는 양 회전 운행기구(17, 19 ; 18, 20) 중의 좁은 폭쪽의 회전 운행기구(17, 19)에 거의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로크기구(16, 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 보는 회전 운행기구(22a, 23a)는 공구생크(11a)에 설치된 축방향의 홈(22a) 및 해당홈(22a)과 걸어 맞추어지는 해당 공구장착부(10a)에 설치된 조편(23a)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운행기구(22a, 23a)의 횡단면은 적어도 상호 마주보는 상기 양 회전 운행기구(17, 19 ; 18, 20) 중의 넓은 폭쪽의 회전 운행기구(18, 20)에 거의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행조편(19, 20, 23) 및 회전 운행홈(17, 18, 22)중의 적어도 1개는, 그 뒤측에서 현 모양으로 위치결정 구멍(14)의 주면 혹은 생크주면가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행 장치.
  6. 제 1 항에 기재된 수작업식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구로서, 생크 끝부분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축방향의 회전 운행홈(17, 18, 22) 및 축방향에서 연장되는 생크 단부를 향하여 폐쇄된 로크 오목부(21)가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서로 거의 마주보는 회전 운행홈(17, 18)이 상호 다른 폭을 가지고 있는 형식의 공구에 있어서,
    양회전 운행홈(17, 18) 중의 넓은 폭쪽의 회전 운행홈(18)은 상기 로크 오목부(21)에 대하여 구동회전방향에서 전방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오목부(21)를 향하는 회전 운행홈(22)은 횡단면으로 보아 서로 마주보는 양 회전 운행홈(17, 18) 중의 적어도 좁은 폭쪽의 회전 운행홈(17)에 거의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오목부(21)를 향하는 회전 운행홈(22a)은 횡단면으로 보아 서로 마주보는 양 회전 운행홈(17, 18) 중의 적어도 넓은 폭쪽의 회전 운행홈(18)에 거의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9.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축방향에서 폐쇄된 상기 로크 오목부(21)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는 회전 운행홈(22b)은 별도의 로크 오목부(21a)와 오버랩하고 있고, 그에따라 상기 로크 오목부(21a)의 양측방향단부는부분적으로만 상기 회전 운행홈(22b)의 횡단면을 초과하여 돌출하는 범위(21b)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운행홈(22b)은, 축방향에서 폐쇄된 상기 로크 오목부(21)에 직경방향에서 마주 보는 별도의 로크 오목부(21a)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 운행홈(22b)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25)는 별도의 로크 오목부(21a)의 가장자리(26)에 정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11. 제 1 항에 기재된 수작업식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구에 사용되는 공구홀더로서, 적어도 3개의 회전 운행조편(19, 20, 23) 및 반경방향에서 이동가능한 로크체(16)가 공구장착부(10)의 위치결정 구멍(14)에 설치되고 있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회전 운행조편(19, 20)이 상호 다른 폭을 가지고 있는 형식의 공구홀더에 있어서,
    양 회전 운행조편(19, 20) 중의 넓은 폭쪽의 회전 운행조편(20)은, 로크체(16)에 대하여 구동 회전방향에서 전방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체(16)를 향하는 회전 운행조편(23)은 횡단면으로 보아 서로 마주보는 양 회전 운행조편(19,20) 중의 적어도 좁은 폭쪽의 회전 운행조편(19)에 거의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체(16)를 향하는 회전운행조편(23a)은 횡단면으로 보아 서로 마주보는 양회전 운행조편(19, 20) 중의 적어도 넓은 폭쪽의 회전 운행조편(20)에 거의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14. 제1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체(16)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는 회전 운행조편(23a)은 구동방향으로 비켜져 배치되어 있고, 그에 따라 해당 회전 운행조편(23a)의 회전 운행측 테두리(29)는 상기 로크체(16)의 구동방향에서 앞측의 가장자리(30)에 직경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KR1019960703855A 1994-01-14 1994-12-24 수작업식공작기계에설치된공구를회전운행하는장치 KR100339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400970 1994-01-14
DEP4400970.4 1994-01-14
DE4405958A DE4405958A1 (de) 1994-01-14 1994-02-24 Einrichtung an Handwerkzeugmaschinen zur Drehmitnahme von Werkzeugen
DEP4405958.2 1994-02-24
PCT/DE1994/001535 WO1995019244A1 (de) 1994-01-14 1994-12-24 Einrichtung an handwerkzeugmaschinen zur drehmitnahme von werkzeu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111B1 true KR100339111B1 (ko) 2002-11-23

Family

ID=650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855A KR100339111B1 (ko) 1994-01-14 1994-12-24 수작업식공작기계에설치된공구를회전운행하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39111B1 (ko)
DE (1) DE4405958A1 (ko)
ZA (1) ZA948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053097A0 (en) * 1997-11-26 1997-12-18 Ramset Fasteners (Aust.) Pty. Limited Drill bits and holder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05958A1 (de) 1995-07-20
ZA948986B (en) 199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731B1 (ko) 수공구 장치용 공구 및 공구 홀더
RU2102230C1 (ru) Инструмент и гнездо для приема инструмента к ручным аппаратам
US4763733A (en) Hammer drill with rotational lock
US5009440A (en) Tool chuck for tool bits
WO1997013602A3 (de) Einsatzwerkzeug und werkzeughalter für elektrische maschinen mit bohr- und/oder schlagbetrieb
GB1584318A (en) Rotary tool for drilling machines
RU98108541A (ru) Вставной инструмент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его крепления 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ах с режимом сверления и/или перфорации
JP3253618B2 (ja) 手持ち工作機械における装置
US20050232715A1 (en) Tool and toolholder for a hand tool machine
JPH0472642B2 (ko)
KR100201712B1 (ko) 끌질, 드릴링 및 타격식 드릴링용 공구와 이 공구용 공구 수납 장치
JP2819159B2 (ja) ドリルビット
KR100613645B1 (ko) 드릴 및 드릴 섕크를 수용하기 위한 척
CA2181181C (en) Device for imparting a rotary driving motion to tools
CA2180542C (en) Device for imparting a rotary driving motion to tools
US4941783A (en) Drilling device
KR100287511B1 (ko) 휴대형장치용의공구및공구홀더
US4703941A (en) Hammer drill chuck assembly
GB2286351A (en) Tool holder
JPH0372403B2 (ko)
PL171325B1 (pl) Narzedzie do osadzania w uchwycie narzedziowym i uchwyt narzedziowy dla przyrzadów recznych PL PL
KR100339111B1 (ko) 수작업식공작기계에설치된공구를회전운행하는장치
JPH09117809A (ja) 工具ホルダ
JPH07185915A (ja) 手持ち工具装置に用いる工具および工具ホルダ
US4920837A (e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