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592B1 -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592B1
KR100338592B1 KR1020000006393A KR20000006393A KR100338592B1 KR 100338592 B1 KR100338592 B1 KR 100338592B1 KR 1020000006393 A KR1020000006393 A KR 1020000006393A KR 20000006393 A KR20000006393 A KR 20000006393A KR 100338592 B1 KR100338592 B1 KR 10033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ductor
dielectric
input
output electrode
form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013A (ko
Inventor
히로시마모토하루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5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는, 실질적인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을 포함하고 있다. 이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단부를 외부도체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상기 단부의 근방에 입출력 전극을 용량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를 상기 외부도체로 피복하고, 상기 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유전체 블록 상에 형성된 도체로 구성되는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질적인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에 내부도체 형성홀을 배치하고, 이 내부도체 형성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가 일본 무심사 특허공개공보 5-183309호(①)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 블록의 한쪽 단면 상의 외부도체가 제거되고, 이 단면을 공진기의 개방 단면으로 구성하는 유전체 공진기 장치가 일본 무심사 실용신안 공개공보 63-181002호(②)에 개시되어 있다.
①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는, 공진기의 개방단이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외부도체보다 아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전자계의 누설이 억제되고, 고차의 스퓨리어스 방사(spurious radiation)가 억제된다. 또한, 내부도체 형성홀 내부의 내부도체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공진기의 개방단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전체 필터는 각 공진기의 조정(미소 조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②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는, 유전체 블록의 개방 단면 근방에 입출력 전극이 배치되고, 이 입출력 전극과 내부도체가 용량 결합되는 경우에, 입출력 전극과 외부도체(접지) 간의 정전 용량이 ①의 구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입출력 전극이 소형화될 수 있고, 공진기의 무부하 Q(Qo)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방 단면을 형성할 때에, 복수개의 공진기의 개방 단면을 공동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가 떨어진다.
그러나, ①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는, 입출력 전극과 외부도체(접지) 간의 정전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공진기와의 충분한 결합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입출력 전극의 면적이 증가하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본래 외부도체(접지) 전극이 제공하는 큰 입출력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공진기의 도체 손실이 증가하고 공진기의 Qo가 저하된다. 또한, 각 내부도체 형성홀의 도체를 개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각 공진기를 구성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전체적인 단계수가 증가하고, 가공가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②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는, 개방 단측이 외부에 대해서 노출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전자계의 누설이 일어나고, 고차의 스퓨리어스 방사가 방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방면을 공동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각개의 공진기의 조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상기 ① 및 ② 각각의 구조의 유전체 필터의 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투영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투영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구현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유전체 블록 2 ... 내부도체 형성홀
3 ... 내부도체 4 ... 외부도체
5 ... 입출력 전극 g ... 내부도체 비형성부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는, 실질적인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을 포함하고 있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며, 이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단부를 외부도체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상기 단부의 근방에 입출력 전극을 용량 결합시키며;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를 상기 외부도체로 피복하고, 상기 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는 내부도체의 단부가 개방면으로 구성되므로, 입출력 전극과 외부도체 사이에 필요한 정전용량이 감소하고, 입출력 전극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며, 입출력 전극과 내부도체의 개방단 근방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정전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진기의 Qo는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내부도체 형성홀에 대해서는, 이 양단부가 외부도체로 피복되기 때문에, 전자계 누설 및 고차의 스퓨리어스 방사가 억제된다.
상술한 유전체 필터에서는,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 중의 적어도 한 단부가 상기 개방면보다 아래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개방면으로 구성되는 표면 상에 상기 단락면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부도체가 일단 형성되고, 외부도체의 절단에 의해 동시에 개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락면은 개방면 아래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 단락면은 제거될 수가 없다.
따라서, 개방면으로 구성되는 표면 상에 상기 단락면에서와 마찬가지로 외부도체가 일단 형성되고, 이에 의해 외부도체의 연삭에 의해 개방면이 공동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전체 필터의 제작이 용이하다.
상술한 유전체 필터에서는,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 중의 적어도 한 단부가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내부도체 형성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실효 공진기 길이는 내부도체 형성홀의 축 길이보다 짧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가지고 있는 내부도체 형성홀로 구성된 공진기의 실효 공진기 길이를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는 내부도체 형성홀로 구성된 공진기의 공진기 길이와 동등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설계상 필터로서의 소정의 특성을 얻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실질적인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을 포함하고 있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제공하며, 이 유전체 듀플렉서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단부를 외부도체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상기 단부 근방에 입출력 전극을 용량 결합시키며;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를 상기 외부도체로 피복하고, 상기 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고주파 회로 부분에 상술한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포함하고 있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기 기술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제 1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1a∼도 1e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상부 평면도, 도 1b는 좌측면도, 도 1c는 정면도, 도 1d는 우측 면도이다. 그러나, 도 1c에 도시된 정면은 회로 기판 상에 유전체 필터가 표면 실장될 때의 실장면을 말한다. 도 1e는 도 1b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도 1e에 있어서, 참조번호 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을 나타낸다. 이 유전체 블록 1의 내부에는, 내부도체 3a, 3b, 3c가 내면에 형성된 내부도체 형성홀 2a, 2b, 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 블록 1의 외면에는 외부도체 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도체 형성홀 2a, 2c의 한쪽의 개구면 주위를 개방면으로 구성하고, 내부도체 형성홀 2b의 한쪽 단면을 상기 개방면보다 아래에 내려앉게 위치시키며, 중공(hollow)의 내면에 외부도체 4를 형성한다. 아울러,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는, 정면으로부터 상면까지 및 정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에 걸쳐서 입출력 전극 5a, 5b가 외부도체가 4와 각각 절연 상태가 되게 형성되어 있다. 입출력 전극 5a, 5b와 내부도체 3a, 3c의 개방단 근방과의 사이에서 정전용량이 발생하고, 이들은 각각 용량 결합한다.
내부도체 형성홀 2a, 2b, 2c 각각은, 개방 단측의 내경이 단락 단측의 내경보다 큰 스텝홀(stepped hole)로 구성된다. 또한, 내부도체 형성홀 2b의 한쪽 단부의 근방에는, 내부도체 비형성부 "g"가 형성되고, 이 부분은 내부도체 3b로 구성된 공진기의 개방단이 된다.
도 1a∼도 1e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에서는, 내부도체 3a, 3b, 3c가 각각 공진기로서 작용하고, 각 공진기의 개방 단측의 선로 임피던스와 단락 단측의 선로임피던스간의 차이에 의해, 짝수 모드(even mode)의 공진 주파수와 홀수 모드(odd mode)의 공진 주파수간의 차이가 발생하고, 인접한 공진기들 서로가 결합한다. 그리고, 입출력 전극 5a, 5b는 첫 번째 단의 공진기와 마지막 단의 공진기에 각각 용량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3단의 공진기로 구성되어 대역통과 특성을 나타내는 유전체 필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a∼도 1e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를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한다.
(1) 먼저, 도 1a∼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2a, 2b, 2c로 나타낸 내부도체 형성홀을 구성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있고, 고정 위치에서 중공을 가지고 있으며, 외형이 대략 직방체 형상인 유전체 블록 1을 성형하고, 소성한다.
(2) 다음으로, 유전체 블록의 외면(6면)의 전면 및 내부도체 형성홀의 내면에 Ag 도체막을 무전해 도금법 등의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좌측면을 회전 연삭 평판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연삭에 의해 외부도체가 제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1a∼도 1e에 도시된 개방면이 형성된다. 이 때에, 중공 부분의 외부도체 4는 상기 연삭면과 접촉하지 않고, 그 자체로 남는다.
(3) 그 후에, 입출력 전극 5a, 5b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외부도체를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입출력 전극 5a, 5b는 외부도체 4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다. 입출력 전극 5a, 5b의 형성 위치 및 형성 면적을 결정함으로써, 내부도체 3a, 3c와의 결합 용량이 정해진다. 또한, 내부도체 형성홀 2b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있는 개구부를 통해서 미소 회전 연삭기(tiny rotating grinder)를 삽입하고, 내부도체 형성홀의 내면을 따라서 회전 연마석(grind stone)을 이동시킴으로써, 내부도체 3b의고정 위치에서 내부도체 비형성부 g가 형성된다. 이 내부도체 비형성부 g의 형성 위치 및 내부도체 형성홀의 축방향으로의 폭에 의해, 내부도체 3b로 구성된 공진기의 길이 및 내부도체 비형성부 g에서 생성되는 부유(stray) 용량이 정해진다.
상기에 도시된 구조를 토대로 하여, 입출력 전극 5a, 5b는 내부도체 3a, 3c의 개방단으로서 개방면 부근에 형성되기 때문에, 입출력 전극 5a, 5b와 외부도체 4 사이에 필요한 정전용량은 감소하고, 입출력 전극이 이 범위에서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더라도, 입출력 전극은 내부도체 3a, 3c로 구성된 공진기와 충분히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체 손실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공진기의 Qo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전극 5a, 5b에 결합되지 않게 형성된 내부도체 3b를 가지고 있는 내부도체 형성홀 2b의 양단에 외부도체 4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전자계 누설이 억제되고, 고차의 스퓨리어스 방사가 억제된다.
다음으로, 제 2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구성을 도 2a∼도 2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도 1a∼도 1e에 도시된 제 1 구현예와 다른 점이, 내부도체 비형성부 "g"가 형성된 내부도체 형성홀 2b의 단부가 내부도체 형성홀 2a, 2c의 단부의 개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구현예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내부도체 형성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실효 공진기 길이는 내부도체 형성홀의 축길이보다 짧지만, 도 2a∼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도체 비형성부 "g"가 형성된 내부도체 형성홀의 단부를 다른내부도체 형성홀의 단부의 개방면을 넘어서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내부도체 비형성부 "g"가 형성된 내부도체 형성홀 2b로 구성된 공진기의 실효 공진기 길이를 입출력 전극 5a, 5b와 용량 결합하는 내부도체 형성홀 2a, 2c로 구성된 공진기의 공진기 길이와 동등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설계상 필터로서의 소정의 특성을 한층 더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구현예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을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상면도이다. 그러나, 이 도면에 도시된 상면은 회로 기판 상에 듀플렉서가 표면 실장될 때의 실장면을 의미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참조번호 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을 나타낸다. 이 유전체 블록 1의 내부에는, 내부도체 3a, 3b, 3c, 3d, 3e, 3f, 3g가 내면에 형성된 내부도체 형성홀 2a, 2b, 2c, 2d, 2e, 2f, 2g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부도체 형성홀은 개방 단측의 내경이 단락 단측의 내경보다 큰 스텝홀로 구성된다. 또한, 유전체 블록 1의 외면에는 외부도체 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도체 형성홀 2a, 2b, 2f, 2g의 한쪽 개구면의 주위를 개방면으로 구성하고, 내부도체 형성홀 2c, 2d, 2e의 한쪽 단면을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아래에 위치시키며, 이 아래에 위치된 표면에는 외부도체 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는, 상면으로부터 2개의 측면 및 후면까지에 걸쳐서 입출력 전극 5a, 5b, 5c가 외부도체 4로부터 각각 절연 상태에 있게 이들 입출력 전극들이 형성된다.
상기 입출력 전극 5a, 5b와 내부도체 3a, 3g의 개방단 부근과의 사이에는 정전용량이 발생되고, 이들은 각각 용량 결합한다. 또한, 내부도체 3d는 입출력 목적의 선로로서 작용하고, 내부도체의 단부로부터 입출력 전극 5c가 인출된다.
또한, 내부도체 형성홀 2c, 2e의 한쪽 단부의 부근에는 내부도체 비형성부 "g"가 각각 형성되고, 이 부분은 내부도체 3c, 3e로 구성된 공진기의 개방단으로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유전체 듀플렉서에 있어서, 내부도체 3a, 3b, 3c는 각각 공진기로서 작용하고, 공진기의 개방 단측의 선로 임피던스와 단락 단측의 선로 임피던스와의 차이때문에, 짝수 모드의 공진 주파수와 홀수 모드의 공진 주파수간의 차이가 발생하고, 인접하고 있는 공진기들이 서로 콤-선로(comb-line) 결합한다. 이 콤-선로 결합에 의해 감쇠극이 발생한다. 입출력 전극 5a는 내부도체 3a로 구성된 공진기와 용량 결합한다. 또한, 입출력 전극 5a와 내부도체 3b로 구성된 공진기와의 사이에서도 정전용량이 발생하고, 이 정전용량에 의해 상기 콤-선로 결합에 의한 감쇠극의 위치(주파수)가 조정(설정)된다. 내부도체 3c와 내부도체 3d는 교차(interdigitally) 결합한다. 이에 의해, 입출력 전극 5a와 입출력 전극 5c 사이의 특성이, 예를 들어 수신대역에서 감쇠극을 가지고 있는 송신필터로서 작용한다. 내부도체 3d, 3e, 3f, 3g의 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고, 입출력 전극 5c와 입출력 전극 5b 사이의 특성은, 예를 들어 송신대역에서 감쇠극을 가지고 있는 수신필터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 유전체 듀플렉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유전체 필터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유전체 필터 또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하는 통신장치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T는 송수신 안테나를, DPX는 듀플렉서를, BPFa, BPFb 및 BPFc는 각각 대역필터를, AMPa 및 AMPb는 각각 증폭 회로를, MIXa 및 MIXb는 각각 믹서(mixer)를, OSC는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DIV는 분주기(frequency divider) (신시사이저: synthesizer)를 나타낸다. MIXa는 DIV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를 변조 신호로 변조시키고, BPFa는 송신 주파수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AMPa는 이를 전력 증폭시키고 DPX를 통해 ANT에 송신한다. BPFb는 DPX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벗어나는 수신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AMPb는 이를 증폭시킨다. MIXb는 BPFc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와 수신 신호를 믹서하여, 중간 주파수(IF) 신호를 출력한다.
도 4에 도시된 듀플렉서 DPX 부분에서,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유전체 듀플렉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역필터 BPFa, BPFb 및 BPFc에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전체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낮은 손실, 낮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전자계의 작은 누설의 고주파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통신장치를 얻게 된다.
이제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삽입손실, 낮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작은 전자계 누설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유전체 필터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면으로 구성되는 표면 상에 단락면에서와 마찬가지로 외부도체가 일단 형성되고, 이에 의해 외부도체의 연삭에 의해 개방면이 공동으로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전체 필터의 제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가지고 있는 내부도체 형성홀로 구성된 공진기의 실효 공진기 길이를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는 내부도체 형성홀로 구성된 공진기의 공진기 길이와 동등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설계상 필터로서의 소정의 특성을 얻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삽입손실, 낮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작은 전자계 누설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안테나 공용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손실, 낮은 스퓨리어스 방사 및 작은 전자계 누설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고주파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통신장치를 얻게 된다.

Claims (6)

  1. 실질적인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을 포함하고 있는 유전체 필터로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단부를 외부도체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상기 단부의 근방에 입출력 전극을 용량 결합시키며;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를 상기 외부도체로 피복하고, 상기 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 중의 적어도 한 단부가 상기 개방면보다 아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 중의 적어도 한 단부가 상기 개방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실질적인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을 포함하고 있는 유전체 듀플렉서로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단부를 외부도체가 배치되지 않은 개방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도체 형성홀의 상기 단부 근방에 입출력 전극을 용량 결합시키며;
    상기 입출력 전극과 용량 결합하지 않는 적어도 1개의 내부도체 형성홀의 양 단부를 상기 외부도체로 피복하고, 상기 홀의 내부에 내부도체 비형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5.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기재된 유전체 필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 4항에 기재된 유전체 듀플렉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20000006393A 1999-02-17 2000-02-11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100338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8883 1999-02-17
JP03888399A JP3266131B2 (ja) 1999-02-17 1999-02-17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013A KR20000058013A (ko) 2000-09-25
KR100338592B1 true KR100338592B1 (ko) 2002-05-27

Family

ID=1253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393A KR100338592B1 (ko) 1999-02-17 2000-02-11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33655B1 (ko)
EP (1) EP1030400B1 (ko)
JP (1) JP3266131B2 (ko)
KR (1) KR100338592B1 (ko)
CN (1) CN1162936C (ko)
DE (1) DE600304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6805A (ja) * 2001-02-14 2002-08-30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788368B2 (ja) * 2001-04-10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788369B2 (ja) * 2001-04-10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3636122B2 (ja) * 2001-09-19 2005-04-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4330547B2 (ja) 2005-03-17 2009-09-1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冗長構成制御装置
JP2009206506A (ja) * 2008-01-31 2009-09-10 Sanyo Electric Co Ltd 素子搭載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携帯機器
KR102259051B1 (ko) 2017-02-16 2021-05-3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전체 필터, 송수신 장치, 및 기지국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102A (ja) 1984-02-06 1985-08-28 Fujitsu Ltd 誘電体フイルタ
JPS63181002A (ja) 1987-01-22 1988-07-26 Toyoda Mach Works Ltd コンピユ−タによるアクチユエ−タ制御装置
JPH07106805A (ja) 1993-10-06 1995-04-21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
DE69524673T3 (de) * 1994-06-16 2013-09-1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ktrisches Filter
JPH10308604A (ja) * 1997-03-05 1998-11-17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それらの設計方法
JPH10145110A (ja) * 1996-11-05 1998-05-29 Murata Mfg Co Ltd 複合誘電体フィルタ
JP3577921B2 (ja) * 1997-01-13 2004-10-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及び誘電体デュプレクサ
JP3351333B2 (ja) * 1998-02-20 2002-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この誘電体デュプレクサを備えた通信機装置
JP3473489B2 (ja) * 1998-05-21 2003-12-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013A (ko) 2000-09-25
US6433655B1 (en) 2002-08-13
CN1162936C (zh) 2004-08-18
DE60030497D1 (de) 2006-10-19
JP3266131B2 (ja) 2002-03-18
DE60030497T2 (de) 2006-12-21
JP2000244205A (ja) 2000-09-08
CN1264187A (zh) 2000-08-23
EP1030400A1 (en) 2000-08-23
EP1030400B1 (en)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46399A1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38592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10054969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EP1158596A2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3395675B2 (ja) 帯域通過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JP3348658B2 (ja) 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KR10039480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필터의 제조방법
US6535079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1093179A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40532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3521805B2 (ja) 誘電体フィルタ、複合誘電体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KR10033858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51707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3788368B2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10045603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3809801B2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2026608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20020073430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