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576B1 - 신호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576B1
KR100326576B1 KR1019940024120A KR19940024120A KR100326576B1 KR 100326576 B1 KR100326576 B1 KR 100326576B1 KR 1019940024120 A KR1019940024120 A KR 1019940024120A KR 19940024120 A KR19940024120 A KR 19940024120A KR 100326576 B1 KR100326576 B1 KR 10032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speed
tape
hea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614A (ko
Inventor
아오끼오사무
곤도히데아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0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테이프상에 경사진 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기록되는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재생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자각의 경사진 트랙을 동시에 주사하기 위한 서로 인접한 복수의 회전 헤드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회전 헤드가 상기 테이프가 주행되지 않는 스틸 모드에 있을때 1회전시마다 상기 복수의 경사진 트랙을 주사하도록 드럼 주위에 감기는 테이프가 제1 리드각으로 중첩되게하는 드럼과, 상기 회전 헤드의 회전 속도 및 상기 테이프 주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재생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신호 재생 장치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의 재생 및 기록시 헤드의 회전 속도를 종래와 비교하여 저속으로 할 수 있는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서는 종종 VTR 테이프를 재생 및 기록할 때 통상의 재생속도 및 기록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재생 및 기록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VTR 테이프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트랙각 θ3로 피치 Mt의 트랙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트랙들에는 플러스의 방위트랙 A와 마이너스의 방위 트랙 B가 서로 교대로 위치해 있다. 트랙 A는 제1A도에 도시한 상부 드럼부의 위치에 제공되는 헤드 A에 의해, 그리고 트랙 B는 헤드 B에 의해 각각 판독된다.
이러한 VTR 테이프에서는, 테이프가 주행되고 있지 않은 스틸(still) 상태에서 상부 드럼부가 회전된 경우, 헤드 A 및 B의 리드각이 θ1 이지만, 테이프를 1X 속도(통상의 속도)로 주행시키고, VTR 테이프 주사 장치의 상부 드럼부를 회전 속도 30 rps로 회전시키면, 헤드 A 및 B의 주사각이 θ3으로 되어 트랙 A 및 B가 정확히 주사된다. 리드각 θ1은 예를 들면 VHS 포맷의 경우에 5°56'7.4"이고, 8 mm 포맷의 경우에 4° 53'6"이다.
VTR 테이프에서의 트랙각 θ3 및 피치 Mt는 포맷으로서 정해져 있다.
그러나, 헤드 A 및 B의 리드각 θ1으로 제1A도에 도시한 VTR 테이프의 재생또는 기록을 2X 속도(배속)로 하는 경우에,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VTR 테이프의 주행 속도만을 2배로 하면,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A 및 B의 주사각이 θ2로 되어 제1B도에 횡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의 절반만 주사될 수 있다.
이 때, 드럼의 회전 속도를 2배로 하면, VTR 테이프의 모든 트랙을 주사할 수 있지만, 처리 주파수가 2배로 되어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높게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헤드팁에 의해 테이프에 히팅(hitting)되는, 말하자면 헤드 A 및 헤드 B가 VTR 테이프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이 이동할 때 테이프에 진동이 발생되는 단점이 생긴다.
특히, 4X 속도(4배속) 재생 및 기록시,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가 120 rps로 되어 처리 주파수가 높아지게 되므로, 회로를 제작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의 리드각 및 직경을 갖는 드럼을 사용하지만, 헤드의 수를 2배로 하여 테이프의 주행 속도가 2배로 되어도 상부 드럼부를 30 rps(초당 회전율)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VTR 테이프의 모든 트랙을 적절히 주사할 수 있는 동적 트래킹 헤드(DT)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동적 트래킹 헤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예컨대 4X 속도 재생 및/또는 4X 속도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도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는 60 rps으로 될 수 있어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의 회로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동적 트래킹 헤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동적 트래킹 헤드를 구동시키는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록시에 헤드의 높이를 제어할 위치 센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VTR 테이프에서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f0의 주파수 특성을 가진 파이롯 신호가 우수 트랙 상에 기록되고, 주파수 f1 및 f2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파이롯 신호는 기수 트랙 상에 교대로 기록된다.
VTR에 있어서는, 헤드가 우수 트랙을 주사할 때, 양측의 기수 트랙 상에 기록되는 f1 파이롯 신호와 f2 파이를 신호 간의 비를 검출하여 트래킹 서보 제어 즉, ATF 서보 제어를 수행한다. 기수 트랙을 주사할 때는 ATF 트래킹 서보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기수 트랙을 주사할 때, 트래킹 주사 정밀도는 우수 트랙을 주사하는 헤드와 기수 트랙을 주사하는 헤드 간의 상대적인 마운트(MOUNT) 높이와 거리의 정밀도에 따른다.
따라서, 2개의 헤드의 마운트 높이의 정밀도가 낮거나 또는 2개의 헤드 간의 거리가 긴 경우에는, AFT 서보 제어에 의한 위치 제어가 행해지는 트랙은 적절히 주사될 수 있으나, 다른 트랙은 드럼면의 진동에 의해 헤드 높이 오차의 영향을 받아서 트래킹 변위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변속 재생 및 변속 기록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신호 재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상에 경사진 트랙을 형성하도록 기록되는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각각의 경사진 트랙을 동시에 주사하여 재생신호를 발생시키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회전 헤드를 갖고, 테이프가 주행되지 않는 스틸모드시에 상기 회전 헤드 각각이 1 회전에 복수의 경사진 트랙을 주사하도록 테이프가 제1 리드각으로 그 주위에 감기는 드럼과, 상기 회전 헤드의 회전 속도와 테이프의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재생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처리 수단은 회전 헤드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기억된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수단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재생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신호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소망의 테이프의 주행 속도에 따라 경사진 트랙을 주사할 수 있도록 회전 헤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처리 수단은 회전 헤드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복수의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기억된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수단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재생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드럼은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회전 헤드를 갖고 있으며, 제1 리드각은 스틸 모드에서 제1 및 제2 회전 헤드 각각이 한번 주사로 2개의 인접한 트랙을 주사할 수 있도록 결정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헤드 각각이 인접한 경사진 트랙을 주사하여 제1 및 제2 재생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1 및 제2 회전 헤드의 회전 속도 및 주행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처리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회전 헤드 각각으로부터 제1 및 제2의 재생 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로부터 기억된 재생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수단, 제1 및 제2 재생 신호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해 제1 및 제2 메모리로부터 제1 및 제2 재생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재생 신호는, 통상 속도 재생 모드에서, 제1 및 제2 메모리에 기억되는 속도보다 2배의 빠른 속도로 제1 및 제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므로 시간 압축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제1 재생신호의 1/2 부분 및 제2 재생 신호의 1/2 부분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해 제1 및 제2 메모리로부터 제1 및 제2 재생 신호를 스위치한다.
따라서, 테이프가 통상의 속도보다 저속으로 주행되는 저속 모드에서, 또는 테이프가 역방향으로 주행되는 역 모드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회전 헤드가 상기 테이프의 소망의 주행 속도에따라 복수의 경사진 트랙을 횡단하여 부분적으로 신호를 재생하도록 회전 헤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제어 처리 수단은 복수의 회전 헤드에 의해 재생되는 경사진 트랙으로부터의 부분적인 재생 데이타를 재배열하기 위한 재배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 실시예에서는, 1 × 속도(통상의 속도) 또는 그 이상, 즉 2 × 속도(배속), 그리고 4 × 속도(4배속)의 주행 속도로 순방향으로 주행시킨 VTR 테이프에 대한 재생 및 기록을 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VTR은 작동 패널(2), 테이프 주행기구(4), 재생 신호 처리 유닛(6),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니터(8)로 구성된다.
예시의 작동 패널(2)은 기록 버튼, 중지 버튼, 주입 버튼 그리고 변속 재생 및 변속 기록을 위한 저그 셔틀 콘트롤러(jog shuttle controller)를 갖는다. 버튼 등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S2)는 유저에 의해 테이프 주행 기구(4)의 콘트롤러(42)로 출력된다.
테이프 주행 기구(4)는 주로 콘트롤러(42), 회전 드럼(44), 그리고 테이프 주행 유닛(46)을 가지며, 드럼(44)의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 그리고 동작 신호(S2)에 대응하는 콘트롤러(4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테이프 주행 유닛(46)의 VTR 테이프의 주행 속도로 제어된다.
제3A도는 드럼(44)의 하부 드럼부(44b)에 형성되는 리드의 각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B도는 제3A도에 도시한 상부 드럼부(44a)에 제공된 헤드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각 θ1의 리드(48)는 하부 드럼부(44b)에 형성되고, VTR 테이프는 리드(48)를 따라 주행된다.
리드각 θ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 테이프상의 2개의 인접한 트랙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긴 대각선과 테이프의 길이 방향간에 형성된 예각이다. VTR 테이프가 스틸 상태에 있을 때, 자기 헤드(50a,50b,52a,52b)는 상부 드럼부의 회전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한 경로(54)를 따라 주사한다.
만일 VTR 테이프가 2x 속도로 주행되고, 상부 드럼부가 30 rps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면, 헤드(50a, 50b, 52a, 52b)는 트랙각 θ3으로 트랙을 주사한다.
이와 같이, 상부 드럼부의 리드가 제1도에 도시한 리드각 θ1' 보다 작은 리드각 θ1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VTR 테이프의 주행 속도가 예컨대 2X 속도가 되면, 헤드(50a, 50b, 52a, 52b)는 제1도에 도시한 VTR에서 1X 속도로 주사할 때 사용되는 30 rps의 회전 속도로 상부 드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VTR 테이프의 트랙을 적절히 주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드각 θ1는 8 ㎜ 포맷의 경우 제1도에 도시한 리드각 θ1'의 4° 53'6"보다 작은 4° 51'58.8"이다.
또한, 제3A도에 도시한 상부 드럼부(44a)에는 제3B도에 도시한 위치와 대향하는 곳에 헤드(50a, 50b, 52a, 52b)가 제공된다. 헤드(50a, 52a)는 VTR 테이프의 트랙중 플러스의 방위 트랙을 주사하고, 헤드(50b, 52b)는 마이너스의 방위 트랙을 주사한다.
또한, 인접한 헤드(50a, 50b) 그리고 헤드(52a, 52b)는 각각 VTR 테이프의 인접한 트랙을 동시에 주사한다.
헤드(50a, 50b, 52a, 52b)는, 예를 들면 VTR 테이프의 트랙 상에 기록되는오디오 신호의 판독 기능, 그리고 트랙 상에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의 양자 혹은 그중 하나만을 갖는다.
테이프 주행 유닛(46)은 콘트롤러(4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적어도 1X 속도, 예를 들면 1X 속도, 2X 속도, 또는 4X 속도의 테이프 주행 속도로 VTR 테이프를 주행시킨다.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은 입력으로서 드럼(44)의 상부 드럼부(44a) 상에 제공되는 헤드(50a, 50b, 52a, 52b)로부터 판독된 신호(S50a, S50b, S52a, 및 S52b)를 수신하며, 이들 판독 신호를 표시 신호(S6)로 변환하여 모니터(8)로 출력한다.
제5도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은 전환 스위치(100a, 100b), 재생 RF 증폭기(101a, 101b), 복조 회로(102a, 102b), 전환 스위치(103a, 103b), 메모리(104al, 104a2, 104bl, 104b2), 전환 스위치(105a, 105b), 전환 스위치(106), 및 제어 회로(107)로 구성된다.
전환 스위치(100a)는 입력으로서 헤드(50a, 52b)로부터 판독된 신호(S50a, S52a)를 수신하여 제어 회로(107)로부터의 전환 신호(S107)에 따라 재생 RF 증폭기(101a)에 동일한 것중 하나를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00b)는 입력으로서 헤드(50b, 52a)로부터 판독된 신호(S50b, S52b)를 수신하여 제어 회로(107)로부터의 전환 신호(S107)에 따라 재생 RF 증폭기(101b)에 동일한 것 중 하나를 출력한다.
재생 RF 증폭기(101a, 101b)는 전환 스위치(100a, 100b)로부터의 판독신호(S100a, S100b)를 증폭하여 복조 회로(102a, 103b)에 그 결과를 출력한다.
복조 회로(102a, 102b)는 입력으로서 재생 RF 증폭기(101a, 101b)로부터의 증폭된 판독 신호(S101a, S101b)를 수신하여, 이것들을 복조하고, 전환 스위치(103a, 103b)에 그 결과를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03a)는 제어 회로(107)로부터 전환 신호(S107)에 따라 메모리(104a1, 104a2)로 복조 회로(102a)로부터 입력된 판독 신호(S102a)를 선택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03b)는 제어 회로(107)로부터의 전환 신호(S107)에 따라 복조회로(102b)로부터 입력된 판독 신호(S102b)를 메모리(104b1, 104b2)에 선택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05a)는 제어 회로(107)로부터의 전환 신호(S107)에 따라 메모리(104a1, 104a2)에 기억된 판독 신호를 전환 스위치(106)에 선택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05b)는 제어 회로(107)로부터의 전환 신호(S107)에 따라 메모리(104b1, 104b2)에 기억된 판독 신호를 전환 스위치(106)에 선택 출력한다.
전환 스위치(106)는 전환 스위치(105a, 105b)로부터 입력된 판독 신호(S105a, S105b)를 출력 신호(S6)로서 제2도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모니터(8)에 선택 출력한다.
모니터(8)는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으로부터의 재생 신호(S6)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제부터 상술한 실시예의 VTR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2X 속도로의 재생의 경우가 예로서 주어져 있다.
먼저 유저가 작동 패널(2) 상의 재생 버튼을 누르고 저그 콘트롤러에 의해 2X 속도를 지정한다. 그러면, 유저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S2)가 작동 패널(2)로부터 테이프 주행 기구(4)의 콘트롤러(42)로 출력된다.
또한, 동작 신호(S2)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콘트롤러(42)로부터 드럼(44)및 테이프 주행 유닛(46)으로 출력된다.
제어 신호에 따라, 상부 드럼부(44a)는 회전 속도 3Orps로 회전하고, 테이프주행 유닛(46)이 VTR 테이프를 2X 속도로 주행시킨다.
이에 의해, 드럼(6) 상에 제공되는 헤드(50a,50b,52a,52b)가 VTR 테이프의 트랙각 θ3를 따라 이동하여 적절히 트랙을 주사한다.
이 때, 인접하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방위 트랙이 헤드(50a, 50b)에 의해 동시에 주사된다. 주사된 마이너스 트랙에 인접하는 플러스 방위 트랙 및 주사된 플러스 트랙에 인접하는 마이너스 방위 트랙은 헤드(52a, 52b)에 의해 동시에 주사된다.
예를 들면, 제4도에서, 트랙(60, 61)은 헤드(50a, 50b)에 의해 동시에 주사되고, 이어서 트랙(62, 63)은 헤드(52a, 52b)에 의해 동시에 주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VTR 테이프의 모든 트랙이 헤드(50a, 50b, 52a, 52b)에 의해 성공적으로 주사된다.
헤드(50a, 50b, 52a, 52b)가 트랙을 주사함으로써, 신호, 예를 들면, 트랙 상에 기록되는 오디오 신호가 판독된다. 판독 데이타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에출력된다.
판독 데이타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에서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스플레이 신호(S6)는 모니터(8)로 출력된다.
이하,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에서의 처리에 대하여 제6도에 도시한 처리 타이밍과 간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2X 속도 재생시, 제3A 및 제3B도에 도시한 드럼(44)이 1 필드 시간에 1/2을 회전하고 제4도에 도시한 2개의 인접한 트랙이 동시에 판독된다. 즉, 트랙당 판독시간은 정상 판독과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트랙이 동시에 판독된다.
이 때에, 헤드(50a, 50b, 52a, 52b)로부터 판독된 신호(S50a, S50b, S52a, s52b)는 제6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 100b)로 출력된다.
즉,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1 필드 시간에서, 헤드(50a)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A1)의 신호(S50a)가 전환 스위치(100a)로 출력되고, 동시에 헤드(50b)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B1)의 신호(S50b)가 전환 스위치(100b)로 출력된다.
다음 필드 시간에서, 헤드(52a)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A2)의 신호(S52a)는 전환 스위치(100a)로 출력되고, 헤드(52b)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B2)의 신호(S52b)는 전환 스위치(100b)로 출력된다.
이와 유사하게, 그 이후로, 인접한 트랙(A2n+1)(n=1, 2, ‥) 및 B2n+1(n=1, 2, ‥)의 판독 신호(S50a, S50b)는 동시에 전환 스위치(100a, 100b)에 출력되고, 인접한 트랙 A2n(n=2, 3, ‥) 및 B2n(n=2, 3, · )의 판독 신호(S52a, S52b)는 등시에 전환 스위치(100a, 100b)로 출력된다.
트랙(A)의 판독 신호(S50a, S52a)가 제6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로 입력될 때, 스위치는 1 필드의 시간마다 스위치되고, 제6도에 도시한 판독신호(S100a)가 재생 RF 증폭기(101a)로 출력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트랙(B)의 판독 신호(S50b, S52b)가 제6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b)로 입력될 때, 스위치는 1 필드의 시간마다 스위치되며, 제6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100b)가 재생 RF 증폭기(101b)로 출력된다.
판독 신호(S100a, S100b)는 재생 RF 증폭기(101a, 101b)에서 증폭되며, 그 결과가 판독 신호(S101a, S101b)로서 복조 회로(102a, 102b)로 출력된다. 판독신호(S102a, S10b)는 복조 회로(102a, 102b)에서 복조되어 판독 신호(S012a, S102b)로서 전환 스위치(103a, 103b)로 출력된다.
전환 스위치(103)에서, 입력된 판독 신호(S102a)는 1 필드의 시간마다 메모리(104a1, 104a2)로 스위치되어 출력되고 메모리(104a1, 104a2)에 기억된다. 특히,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A1)의 판독 신호(103a1)는 메모리(104a1)에 기억되고, 트랙(A2)의 판독 신호(S103a2)는 메모리(104a2)에 기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트랙 A2n+1(n=1, 2‥)의 판독 신호(S103a1)는 메모리(104a1)에 기억되고, 트랙 A2n(n=2, 3)의 판독 신호(S103a2)는 메모리(104a2)에 기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환 스위치(103b)에서, 입력된 판독 신호(S102b)는 1 필드의 시간마다 메모리(104b1, 104b2)로 스위치되어 출력되고 메모리(104b1, 104b2)에 기억된다. 특히,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B1)의 판독 신호(S103b1)는 메모리(104b1)에 기억되고, 트랙(B2)의 판독 신호(S103b2)가 메모리(104b2)에 기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트랙 B2n+1(n=1, 2, ‥)의 판독 신호(S103b1)는 메모리(104b1)에 기억되고, 트랙 B2n(n=2, 3, ‥)의 판독 신호(S103b2)는 메모리(104b2)에 기억된다.
메모리(104a1, 104a2)에 기억된 판독 신호는 1 필드의 시간마다 전환 스위치(105a)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신호(S105a)로서 전환 스위치(106)로 출력된다.
메모리(104b1, 104b2)에 기억되는 판독 신호는 1 필드의 시간마다 전환 스위치(105b)를 스위칭함으로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신호(S105b)로서 전환스위치(106)로 출력된다.
판독 신호(S105a, S105b)는 전환 스위치(106)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신호(S6)로서 제2도에 도시한 모니터(8)로 출력된다. 이 때에, 디스플레이 신호(S6)는 2개의 트랙 마다 스킵핑하여 출력된다. 하나의 트랙 상에 기입되는 신호가 1 필드의 시간에 대응하면, 하나의 프레임을 스킵핑하여 출력된다. 즉 디스플레이 신호(S6)는 2X 속도 재생 신호와 동등하다.
모니터(8)에서, 디스플레이 신호(S6)에 대응하는 2X 속도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상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VTR에서는 2X 속도로 재생을 행하는 경우, 상부 드럼부(442)의 회전 속도가 30 rps로 되어 종래의 회전 속도 60 rps와 비교하면 저속이지만, 리드각 θ1이 적절히 설정되므로 VTR 테이프의 트랙을 적절히 주사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헤드(50a, 50b, 52a, 52b)가 있기 때문에, VTR 헤드의 모든 트랙이 주사될 수 있다.
상술한 예는 2X 속도로 재생한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1X 속도 또는 4X 속도로 재생할때는, 1X 속도의 경우 드럼의 회전 속도를 15 rps로 하고 4X 속도시에는 60 rps로 함으로써, 모든 트랙이 헤드(50a, 50b, 52a, 52b)에 의한 재생을 위해 적절히 주사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실시예의 VTR에서는, 드럼의 회전 속도가 1X 속도에서 15rps로 낮게 되어 회로 구성에 문제가 없게 된다.
이제부터,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한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에서의 1X 속도재생 처리에 대하여 제7도에 도시한 처리 타이밍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X 속도 재생시, 제3A 및 제3B도에 도시한 드럼(44)의 회전 속도는 15 rps이다. 드럼(44)은 2 필드 시간에 1/2을 회전하고, 제4도에 도시한 2개의 인접한 트랙은 동시에 판독된다.
이 때에, 제3도에서 도시한 헤드(50a, 50b, 52a, 52b)로부터 판독된 신호(S50a, S50b, S52a, S52b)는 제7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제5도에 도시한 전환 스위치(100a, 100b)로 출력된다.
즉,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 2 필드 시간에서, 헤드(50a)에 의해 판독된 트랙(A1)의 신호(S50a)는 전환 스위치(100a)로 출력되고, 동시에 헤드(50b)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B1)의 신호(S50b)는 전환 스위치(100b)로 출력된다.
다음의 2 필드 시간에서, 헤드(52a)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A2)의 신호(S52a)는 전환 스위치(100a)로 출력되고, 헤드(52b)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B2)의 신호(S52b)는 전환 스위치(100b)로 출력된다.
이와 유사하게, 이후로부터는, 인접하는 트FOR A2n+1(n=1, 2, ‥) 및 B2n+1(n=1, 2, ‥)의 판독 신호(S50a, S50b)는 동시에 전환 스위치(100a, 100b)로 출력되고, 인접하는 트랙 A2n(n=2, 3, ‥) 및 B2n(n=2, 3, ‥)의 판독 신호(S52a, S52b)는 동시에 전환 스위치(100s, 100b)로 출력된다.
트랙(A)의 판독 신호(S50a, S52a)가 제7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로 입력될 때, 스위치는 2 필드 시간마다 스위치되며, 제7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100a)가 재생 RF 증폭기(101b)로 출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트랙(B)의 판독 신호(S50b, S52b)가 제7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b)로 입력될 때, 스위치는 2 필드 시간마다 스위치되며, 제7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100b)가 재생 RF 증폭기(101b)로 출력된다.
재생 RF 증폭기(101a, 101b)에서, 판독 신호(S100a, S100b)가 증폭되어 그 결과가 판독 신호(S101a, S101b)로서 복조 회로(102a, 102b)에 출력된다. 판독 신호(S101a, S101b)는 복조 회로(102a, 102b)에서 복조되며 판독 신호(S102a, S102b)로서 전환 스위치(103a, 103b)로 출력된다.
전환 스위치(103a)에서, 입력된 판독 신호(S102a)는 2 필드 시간마다 메모리(104a1, 104a2)로 스위치되어 출력되며, 메모리(104a1, 104a2)에 기억된다. 특히,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A1)의 판독 신호(S103a1)는 메모리(104a1)에 기억되고, 트랙(A2)의 판독 신호(S103a2)는 메모리(104a2)에 기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트랙 A2n+1(n=1, 2, ‥)의 판독 신호(S103a1)는 메모리(104a1)에 기억되고, 트랙 A2n(n=2, 3, ‥)의 판독 신호(S103a2)는 메모리(104a2)에 기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환 스위치(103b)에서, 입력된 판독 신호(S102b)가 2 필드 시간마다 메모리(104b1, 104b2)로 스위치되어 출력되고, 메모리(104b1, 104b2)에 기억된다. 특히,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B1)의 판독 신호(S103b1)가 메모리(104b1)에 기억되고, 트랙(B2)의 판독신호(S103b2)가 메모리(104b2)에 기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트랙 B2n+1(n=1, 2, ‥)의 판독 신호(S103b1)는 메모리(104b1)에 기억되고, 트랙 B2n(n=2, 3, ‥)의 판독 신호(S103b2)가 메모리(104b2)에 기억된다.
메모리(104a1, 104a2)에 기억된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105a)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신호(S104a1, S104a2)로서 전환 스위치(105a)로 출력된다. 전환 스위치(105a)로 출력된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105a)의 스위칭에 의해 전환 스위치(106)로 판독 신호(S105a)로서 출력된다.
메모리(104b1, 104b2)에 기억되는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105b)에서의 스위칭에 의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독 신호(S104b1, S104b2)로서 전환 스위치(105b)로 출력된다. 전환 스위치(105b)로 출력된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105b)의 스위칭에 의해 전환 스위치(106)로 판독 신호(S105b)로서 출력된다.
판독 신호(S105a, S105b)는 전환 스위치(106)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7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6)로서 제2도에 도시한 모니터(8)로 출력된다.
이제부터, 4X 속도 재생을 실행하는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한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에서의 처리에 대해 제8도에 도시한 처리의 타이밍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4X 속도 재생 동안,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드럼(44)의 회전 속도는 60 rps이다. 드럼(44)은 1/2 필드 시간에 1/2을 회전하고, 제4도에 도시한 2개의 인접한 트랙은 동시에 판독된다. 이와 같이, 4X 속도라도, 드럼의 회전 속도는 약 60 rps이고, 처리되는 주파수는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회로 제작이 그다지 어렵지 않게 된다.
4X 속도 재생에서, 헤드(50a, 50b, 52a, 52b)로부터 판독된 신호(S50a, S50b, S52a, S52b)는 제8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 100b)로 출력된다.
즉,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 1/2 필드 시간에서, 헤드(50a)에 의해 판독된 트랙(A1)의 신호(S50a)는 전환 스위치(100a)로 출력되고, 동시에 헤드(50b)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B1)의 신호(S50b)는 전환 스위치(100b)로 출력된다.
다음 1/2 필드 시간에서, 헤드(52a)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A2)의 신호(S52a)는 전환 스위치(100a)로 출력되고, 헤드(52b)에 의해 판독되는 트랙(B2)의 신호(S52b)는 전환 스위치(100b)로 출력된다.
이와 유사하게, 이후부터는, 인접하는 트랙 A2n+1(n=1, 2, ‥) 및 B2n+1(n=1, 2, ‥)의 판독 신호(S50a, S50b)는 동시에 1/2 필드 시간에서 전환 스위치(100a, 100b)로 출력되고, 인접하는 트랙 A2n(n=2, 3‥) 및 B2n(n=2, 3, ‥)의 판독 신호(S52a, S52b)는 동시에 다음 1/2 필드 시간에서 전환 스위치(100a, 100b)로 출력된다.
트랙(A)의 판독 신호(S50a, S50b)가 제8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로 입력될 때, 스위치는 1/2 필드 시간마다 스위치되고, 제8도에 도시한 판독신호(S100a)는 재생 RF 증폭기(101b)로 출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트랙(B)의 판독 신호(S50b, S52b)가 제8도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b)로 입력될 때, 스위치는 1/2 필드 시간마다 스위치되고, 제8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100b)는 재생 RF 증폭기(101b)로 출력된다.
재생 RF 증폭기(101a, 101b)에서, 판독 신호(S100a, S100b)가 증폭되어 그 결과가 판독 신호(S101a, S101b)로서 복조 회로(102a, 102b)로 출력된다. 판독 신호(S101a, S101b)는 복조 회로(102a, 102b)에서 복조되고, 판독 신호(S102a, S102b)로서 전환 스위치(103a, 103b)로 출력된다.
전환 스위치(103a)에서, 입력된 판독 신호(S102a)는 메모리(104a1, 104a2)로 스위치되어 출력되고, 메모리(104a1, 104a2)에 기억된다. 특히,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랙(A1)의 판독 신호(S103a1)는 메모리(10421)에 기억되고 이어서 트랙(A2)의 판독 신호(S103a2)는 2 필드 시간의 경과 후 메모리(104a2)에 기억된다. 또한, 트랙(B1)의 판독 신호(S103b1)는 메모리(104b1)에 기억되고 이어서 트랙(B2)의 판독신호(S103b2)가 2 필드 시간의 경과 후 메모리(104b2)에 기억된다.
메모리(104a1, 104a2)에 기억되는 판독 신호는 1 필드 시간마다 전환 스위치(105a)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8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105a)로서 전환 스위치(105a)로 출력된다.
메모리(104b1, 104b2)에 기억되는 판독 신호는 1 필드 시간마다 전환 스위치(105)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8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105b)로서 전환 스위치(105b)로 출력된다.
판독 신호(S105a, S105b)는 전환 스위치(106)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8도에 도시한 판독 신호(S6)로서 제2도에 도시한 모니터(8)로 출력된다.
이 실시예의 VTR에서는, n-X 속도(n≥1) 재생을 행할때,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는 30 × n/2(rps)가 된다.
또한, 1X 속도, 2X 속도, 또는 4X 속도와 같은 배수 속도와 다른 n-X 속도라도, 즉, 예를 들면 1.5X 속도라도 테이프 주행 속도에 따라 드럼 회전 속도를 30×n/2(rps)로 설정함으로써, 재생시 모든 트랙을 적절히 주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VTR 테이프로부터의 재생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VTR에서의 주사 방법은 VTR 테이프 상에 기록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상술한 헤드(50a, 50b, 52a, 52b)는 상술한 주사에 따라 VTR 테이프 상에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이제부터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1X 속도보다 저속으로 테이프를 순방향으로 주행시킴에 의해 VTR 테이프로부터 재생을 하기 위한 VTR에 대한 설명이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1X 속도보다 저속으로 VTR 테이프를 재생하는 경우라도,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를 30X n/2(rps)로 하면 모든 VTR 테이프의 트랙을 적절히 주사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가 떨어지고, 처리되는 주파수가 너무 낮게 되면, 회로의 주파수 특성에 문제가 발생되므로, 본 실시예의 VTR에서 1X 속도보다 저속으로 VTR 테이프로부터 재생하는 경우,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회전 속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헤드(50a, 50b, 52a, 52b)에 의해 판독된 데이타는 이후에 설명하지만 트랙에 대응하는 적당한 데이타를 발생하도록 재배열된다.
제9도는 본 실시에의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VTR은 제2도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VTR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테이프 주행 기구(4)로부터의 판독 신호(S4)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으로 출력되고, 판독 신호(S4)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서 변환되며 디스플레이 신호(S206)로서 모니터(8)로 출력된다.
이제부터 0.5X 속도로 VTR 테이프로부터의 재생의 경우에 대한 설명을 한다.
0.5X 속도 재생을 나타내는 동작 신호(S2)가 유저에 의해 작동 패널(2)의 동작에 따라 테이프 주행 기구(4)로 출력되면, 제어 신호는 콘트롤러(42)로부터 드럼(44) 및 테이프 주행 유닛(46)으로 출력된다.
제어 신호에 따라, 드럼(44)의 상부 드럼부가 15 rps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테이프 주행 유닛(46)은 0.5 × 속도로 순방향으로 테이프를 주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VTR에서는, 0.5 × 속도로 재생할 때,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를 15 rps로 하며 30 × 0.5/2 = 7.5 rps로 하지 않는다.
제10A도 및 제10B도는 제2 실시예의 VTR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0A도는 간단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0B도는 실제 포맷에 근사한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특정한 각도를 갖는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0A도 및 제10B도는 실제로 동일하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상부 드럼부(44a)의 헤드(50a, 50b, 52a, 52b)는 제10A도 및 제10B도의 경로(30)를 따라 VTR 테이프를 주사하며, 즉 트랙을 따라 주사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제10A 및 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드럼부(44a)의 회전에 따라, 처음에 헤드(50a)는 트랙 B(1)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트랙 A(1)의 하부 절반 영역을 주사하고, 헤드(50b)는 트랙 A(1)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트랙 B(2)의 하부 절반 영역을 주사한다. 이러한 주사에 의해, 방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사하는, 헤드(50a)에 의해 주사된 트랙 A(1)의 하부 절반 영역 및 헤드(50b)에 의해 주사된 트랙 B(2)의 하부 절반 영역이 판독된다.
두번째에 헤드(52a)는 트랙 A(1)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트랙 B(2)의 하부 절반 영역을 주사하고, 헤드(52b)는 트랙 B(2)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트랙 A(2)의 하부 절반 영역을 주사한다. 이러한 주사에 의해, 방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사하는, 헤드(52a)에 의해 주사된 트랙 A(1)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헤드(52b)에 의해 주사된 트랙 B(2)의 상부 절반 영역이 판독된다.
세번째에 헤드(50a)는 트랙 B(2)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트랙 A(2)의 하부 절반 영역을 주사하고, 헤드(50b)는 트랙 A(2)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트랙 B(3)의 하부 절반 영역을 주사한다. 이러한 주사에 의해, 방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사하는, 헤드(50a)에 의해 주사된 트랙 A(2)의 상부 절반 영역 및 헤드(50b)에 의해 주사된 트랙 B(3)의 하부 절반 영역이 판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랙 A(1) 및 B(2)의 모든 영역은 세번의 주사로 헤드(50a, 50b, 52a 및 52b)에 의해 판독된다.
그러나, 트랙 A(1)의 하부 절반 영역은 처음에 헤드(50a)에 의해 판독되고, 트랙 A(1)의 상부 절반 영역은 두번째에 헤드(522)에 의해 판독된다.
또한, 트랙 B(2)의 하부 절반 영역은 처음에 헤드(50b)에 의해 판독되고, 트랙 B(2)의 상부 절반 영역은 두번째에 헤드(52b)에 의해 판독된다.
따라서, 헤드의 판독 결과를 처리하여 트랙에 대응하는 판독 데이타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 실시예의 VTR에 있어서, 헤드(50a, 50b, 52a 및 52b)에 의해 판독된 신호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서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먼저,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11도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은 제5도에 도시된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에 RF 엔벨롭프 검출기(201a 및 201b)를 추가하여 구성된다.
RF 엔벨롭프 검출기(201a 및 201b)는 재생 RF 증폭기(101a 및 101b)로부터 판독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여, 엔벨롭프 검출을 행해서, 이 검출에 따라 검출된 신호(S201a 및 S201b)를 제어 회로(207)에 출력한다.
제어 회로(207)는 RF 엔벨롭프 검출기(201a 및 201b)로부터 검출된 신호(S201a 및 S201b)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이들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전환 신호(S207)를 출력하여, 전환 스위치(103a, 103b, 105a, 105b 및 106)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지금부터,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서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 제12도에 도시된 처리 타이밍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헤드(50a, 50b, 52a 및 52b)로부터 판독된 신호(S50a, S50b, S52a 및 S52b)는 제12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 및 100b)에 출력된다.
즉,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2 필드 시간에서, 헤드(50a)에 의해 판독된 트랙 A1의 제1의 절반의 신호(S50a)는 전환 스위치(100a)에 출력되고, 이와 동시에 헤드(50b)에 의해 판독된 트랙(B1)의 제1의 절반의 신호(S50b)는 전환 스위치(100b)에 출력된다.
다음의 2 필드 시간에서, 헤드(52a)에 의해 판독된 트랙(A1)의 제2의 절반의 신호(S52a)는 전환 스위치(100a)에 출력되고, 헤드(52b)에 의해 판독된 트랙(B1)의 제2의 절반의 신호(S52b)는 전환 스위치(100b)에 출력된다.
그 이후, 이와 마찬가지로, 트랙 A2 ... 의 제1 및 제2의 절반의 판독 신호(S50a 및 S50b)는 전환 스위치(100a)에 출력된다. 또한, 트랙 B2 ... 의 제1 및 제2의 절반의 판독 신호(S52a 및 S52b)는 전환 스위치(100b)에 출력된다.
트랙(A)의 제1 및 제2의 절반의 판독 신호(S50a 및 S52a)가 상기 제12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에 입력될 때, 스위치는 선정된 타이밍에서 동작되고, 판독 신호(S100a)는 출력되어 제12도에 도시된 판독 신호(S103a1 및 S103a2)로서 복조 회로(102a) 및 전환 스위치(103a)를 통해 메모리(104a1 및 104a2) 내에 기억된다. 즉, 트랙(A1)의 제1의 절반에서의 판독 신호(S50a)는 메모리(104a1)에 기억되고, 트랙(A1)의 제2의 절반에서의 판독 신호(S52a)는 메모리(104b2)에 기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트랙(B)의 제1 및 제2의 절반의 판독 신호(S50b 및 S52b)가 상기 제12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b)에 입력될 때, 스위치는 선정된 타이밍에서 동작되고, 판독 신호(S100b)는 출력되어 제2도에 도시된 판독 신호(S103b1 및 S103b2)로서 복조 회로(102b) 및 전환 스위치(103b)를 통해 메모리(104b1 및 104b2) 내에 기억된다. 즉, 트랙(B1)의 제1의 절반에서의 판독 신호(S50b)는 메모리(104b1)에 기억되고, 트랙(B1)의 제2의 절반에서의 판독신호(S52b)는 메모리(104b2)에 기억된다.
메모리(104a1 및 104a2)에 기억된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105a)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12도에 도시된 판독 신호(S105a)로서 전환 스위치(106)에 출력된다.
메모리(104b1 및 104b2)에 기억된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105b)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12도에 도시된 판독 신호(S105b)로서 전환 스위치(106)에 출력된다.
판독 신호(S105a 및 S105b)는 전환 스위치(106)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12도에 도시된 판독 신호(S6)으로서 제2도에 도시된 모니터(8)에 출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신호(S6)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으로부터 모니터(8)로 출력되고,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신호(S6)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모니터(8)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VTR에 따르면, 0.5X 속도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를 15 rps로 할 수 있고, 테이프 주행 기구(4),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 및 그밖의 다른 회로들에 의해 조정된 주파수가 그다지 높아지지 않으므로, 회로 제작이 비교적 간단해진다.
또한, 헤드에 의한 판독 데이타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서 처리함으로써 트랙에 따라 적절하게 변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0.5X 속도 재생시에, 드럼의 회전 속도가 통상의 속도의 1/2로 되면, 드럼은 2 필드 시간에 1/2 만큼(통상 시간의 2배) 회전한다. 또한, 헤드(50a) 및 헤드(52a)는 절반 회전시마다 1 트랙을 트레이스하고, 헤드(50b) 및 헤드(52b)는 절반 회전시마다 1 트랙을 트레이스한다. 이 때, 헤드(50a) 및헤드(50b)는 제1의 절반의 트랙을, 헤드(52a) 및 헤드(52b)는 제2의 절반의 트랙을 양호한 S/N특성으로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변조된 신호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판독할 때 큰 RF 레벨 및 양호한 S/N 비로 판독함으로써, 깨끗한 신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복조된 신호가 1/2 주파수(시간축 2배)를 갖기 때문에, 시간축은 2배 주파수로 판독함으로써 정상으로 복원된다. 각각의 트랙 A 및 트랙 B 측에 대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하여 각각의 측으로부터 2회 판독함으로써, 0.5X 속도 재생도 또한 가능해진다.
이제,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VTR 테이프를 역 방향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재생을 행하는 VTR에 대해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의 VTR의 구성은 상술된 제2 실시예의 제9도에 도시된 VTR과 동일하다.
이하, 이 실시예의 VTR을 이용하는 -1X 속도 재생에 대해 설명하는데, VTR 테이프는 주사 및 재생을 위해 1X 속도로 역방향으로 주행된다.
또한, 상술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의 VTR에 있어서, 테이프 주행 기구(4)로부터의 판독 신호(S4)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 출력된다. 판독 신호(S4)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 의해 변환된 다음, 디스플레이 신호(S206)로서 모니터(8)에 출력된다. 디스플레이 신호(S206)에 기초한 이미지는 모니터(8)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제9도에 도시된 테이프 주행 유닛(46)은 작동 패널(2)로부터의 동작신호(S2)에 순차 대응하는 콘트롤러(4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1X 속도로 역 방향으로 VTR 테이프를 주행한다.
이 때, 모든 트랙에 대응한 판독 데이타가 헤드(50a, 50b, 52a 및 52b)의 판독데이타에 기초하여 제9도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서 얻어지도록 제3A 및 3B도에 도시된 상부 드럼부(44a)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모든 플러스 방위 트랙이 헤드(50a 및 52a)에 의해 주사되고 모든 마이너스 방위 트랙이 헤드(50b 및 52b)에 의해 주사될 수 있도록 상부 드럼부(44a)의 회전 속도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상부 드럼부(44a)의 회전 속도가 적절하게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13A 및 13B도는 드럼의 회전 속도로서 15 rps를 선택한 경우에 제2 실시예의 VTR의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13A도는 간략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13B도는 실제 포맷에 가까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으로 경사진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3A 및 13B도는 거의 동일하다.
상부 드럼부(44a)의 회전 속도로서 예를 들어 15 rps가 선택될 때,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TR 테이프가 -1X 속도로 주행되면, 헤드(50a, 50b, 52a 및 52b)의 주사각은 θ5가 된다.
이 때, 예를 들어 트랙 A(3)에서, 영역(64)은 헤드(52a)에 의해 주사되고, 영역(66)은 헤드(50a)에 의해 주사되지만, 그밖의 다른 영역들은 헤드(50a 및 52a)에 의해 주사되지 않으므로 판독되지 않는다.
또한, 트랙 B(2)에서, 영역(60)은 헤드(52b)에 의해 주사되고, 영역(62)은 헤드(50b)에 의해 주사되지만, 그밖의 다른 영역들은 헤드(50b 및 52b)에 의해 주사되지 않으므로 판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드럼부(44a)의 회전 속도가 15 rps로 됨으로써, VTR 테이프의 트랙의 모든 영역을 판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VTR에 있어서는 상부 드럼부(44a)의 회전 속도로서 30 rps가 선택된다.
제14A 및 14B도는 드럼의 회전 속도로서 35 rps가 선택된 경우에 이 실시예의 VTR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14A도는 간략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14B도는 실제 포맷에 가까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을 가진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4A 및 14B도는 거의 동일하다.
이 실시예의 VTR에 있어서,처음에 트랙 A(3)의 영역(76)이 헤드(50a)에 의해 주사되고, 두번째에 영역(74)이 헤드(52a)에 의해 주사되며, 세번째에 영역(72)이 헤드(50a)에 의해 주사되고, 네번째에 영역(70)이 헤드(50a)에 의해 주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랙 A(3)의 모든 영역들이 헤드(50a 및 52a)에 의해 주사된다.
또한, 처음에 트랙 B(3)의 영역(86)이 헤드(50b)에 의해 주사되고, 두번째에 영역(84)이 헤드(52b)에 의해 주사되며, 세번째에 영역(82)이 헤드(50b)에 의해 주사되고, 네번째에 영역(80)이 헤드(50b)에 의해 주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랙 B(3)의 모든 영역들이 헤드(50b 및 52b)에 의해 주사된다.
따라서, 상부 드럼부(44)의 회전 속도를 30 rps로 함으로써, VTR 테이프의 트랙의 모든 영역들을 판독할 수 있다.
상술된 제14B도로 도시된 경우에,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은 트랙 A(3)의 판독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처음에 판독된 영역(76), 두번째에 판독된 영역(74), 세번째에 판독된 영역(72) 및 네번째에 판독된 영역(70)을 재배열한다.
또한,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은 트랙 B(3)의 판독 데이타를 생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처음에 판독된 영역(86), 두번째에 판독된 영역(84), 세번째에 판독된 영역(82) 및 네번째에 판독된 영역(80)을 재배열한다.
상술된 예에 있어서는 -1X 속도 재생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예를 들어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를 15 rps로 설정하고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에서 판독 데이타를 적절하게 재배열함으로써, -1X 속도와 다른 속도로 역 방향으로 적절하게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9도에 도시된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은 제15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은 제11도에 도시된 전환 스위치(103a, 103b, 105a 및 105b) 대신에 전환 스위치(303a, 303b, 305a 및305b)를 사용하고, 메모리(104a1, 104a2, 104b1 및 104b2) 대신에 메모리(304a1, 304a2, 304b1 및 304b2)를 사용한다. 제15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의 나머지 구성은 제11도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6)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제, 제16도에 도시된 타이밍을 참조하면서 재생 시간에 역방향으로 제15도에 도시된 재생 신호 처리 유닛(20)에 의한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다.
헤드(50a, 50b, 52a 및 52b)로부터 판독된 신호(S50a, S50b, S52a 및 S52b)는 제16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 및 100b)에 출력된다.
즉,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의 시간에서, 헤드(50a)에 의해 판독된 트랙(A9 및 A6)의 신호(S50a)는 전환 스위치(100a)에 출력되고, 헤드(50b)에 의해 판독된 트랙(B9 및 B8)의 신호(S50b)는 전환 스위치(100b)에 출력된다.
다음에, 제2 필드의 시간에서, 헤드(50a)에 의해 판독된 트랙(A8 및 A7)의 신호(S52a)는 전환 스위치(100a)에 출력되고, 헤드(52b)에 의해 판독된 트랙(B8 및 B7)의 신호(S52b)는 전환 스위치(100b)에 출력된다.
그밖의 다른 인접한 트랙(A 및 B)의 신호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전환 스위치(100a 및 10b)에 유사하게 출력된다.
트랙(A)의 판독 신호(S50a 및 S52a)가 상기 제16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a)에 입력될 때, 판독 신호(S100a)는 판독 신호(S303a1, S303a2 및 S303a3)으로서 재생 RF 증폭기(101a), 복조 회로(102a) 및 전환 스위치(303a)를 통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메모리(304a1 및 304a2 및 304a3) 내에 기억된다. 즉, 트랙(A8 및 A5)의 판독 신호(S50a 및 S52a)는 메모리(304a1)에 기억된다. 트랙(A7)의 판독 신호(S50a 및 S52a)는 메모리(304a2)에 기억된다. 트랙(A9 및 A6)의 판독 신호(S50a 및 S52a)는 메모리(304a3)에 기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트랙(B)의 판독 신호(S50b 및 S52b)가 제16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전환 스위치(100b)에 입력될 때, 판독 신호(S100b)는 판독 신호(S303b1, S303b2 및 S303b3)으로서 재생 RF 증폭기(101b), 복조 회로(102b) 및 전환 스위치(303b)를 통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메모리(304b1, 304b2 및 304b3) 내에 기억된다. 즉, 트랙(B8 및 B5)의 판독 신호(S50b 및 S52b)는 메모리(304b1)에 기억된다. 트랙(B7)의 판독 신호(S50b 및 S52b)는 메모리(304b2)에 기억된다. 트랙 (B9 및 B6)의 판독 신호(S50b 및 S52b)는 메모리(304b3)에 기억된다.
메모리(304a1 및 304a2)에 기억된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305a)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16도에 도시된 판독 신호(S304a1 및 S304a2)로서 전환 스위치(305a)에 출력된다.
메모리(304b1 및 304b2)에 기억된 판독 신호는 전환 스위치(305b)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제16도에 도시된 판독 신호(S304b1 및 S304b2)로서 전환 스위치(305b)에 출력된다.
전환 스위치(305a 및 305b)로부터의 판독 신호(S305a 및 S305b)는 전환 스위치(106)에서 스위칭됨으로써 연속 신호, 즉 판독 신호(S6)로서 제2도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니터(8)에 출력된다.
디스플레이 신호(S6)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으로부터 모니터(8)로 출력되고, 디스플레이 신호(S6)에 기초한 이미지가 모니터(8)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VTR에 따르면, 또한 역방향으로도 적절하게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에서는 VTR 테이프의 재생시, 헤드에 의해 VTR 테이프의 동일영역을 2회 판독하고 이들 판독 데이타 중 최소한의 판독 에러를 갖는 판독 데이타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VTR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17도는 이 실시예의 VTR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VTR은 테이프 주행 기구(4)로부터의 판독 데이타(S4)가 판독 데이타 선택 유닛(12)에 출력되고, 판독 데이타 선택 유및(12)에 의해 VTR 테이프의 동일 영역에 관련한 다수의 판독 데이타 중에서 최소한의 에러를 갖는 판독 데이타가 선택되어, 이 선택된 데이타(S12)가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에 출력되도륵 구성된다.
여기에서, 예로서 1X 속도 재생에 대해 설명하겠다.
테이프 주행 유닛(46)은 콘트롤러(42)로부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순 방향으로 1X 속도로 VTR 테이프를 주행시킨다.
드럼(44)의 상부 드럼부는 VTR 테이프가 1X 속도로 주행될 때 VTR 테이프의 모든 트랙이 콘트를러(4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방위 헤드에의해 2회 주사되도록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
제18A 및 18B도는 제17도에 도시된 VTR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18A도는 간략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직각인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18B도는 실제 포맷에 가까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그어진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8A 및 18B도는 거의 동일하다.
제18A도 및 제18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스 방위 트랙 A(2)는 제1 시간에 플러스 방위 헤드(50a)에 의해 주사된 좌측 절반부 영역을 갖고 있고, 제2 시간에 플러스 방위 헤드(52a)에 의해 주사된 전체 영역을 갖고 있으며, 제3 시간에 헤드(50a)에 의해 주사된 우측 절반부 영역을 갖고 있다.
따라서, 트랙 A(2)의 전체 영역은 2회, 즉 제1 및 제3 시간, 및 제2 시간 동안 판독된다. 판독 동작의 결과는 판독 데이타 선택 유닛(12)로 비교된다.
판독 데이타 선택 유닛(12)에서 에러가 더 적은 판독 데이타가 선택되고 이 선택된 데이타(S12)는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으로 출력되는데,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신호가 재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VTR에 따르면 VTR 테이프의 동일한 영역이 2회 판독되므로, 신호가 VTR 테이프 상에 정밀하게 기록되어 있으나 먼지 등으로 인해 정밀한 판독이 불가능한 경우에 무작위로 발생하는 판독 에러에 기인하는 재생 불능의 가능성을 극적으로 감소시킨다.
이제 제5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에서는, 드럼 표면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헤드 높이의 에러를 교정할 수 있도록 AFT 정보로서 VTR 테이프 상에 기록되는 파일롯 신호를 이용하여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하는 VTR을 설명하고 있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VTR의 구성도이고 ATF 서보 유닛(14)를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VTR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의 VTR 용으로 사용되는 VTR 테이프에서 f0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파이롯 신호는 예를 들어 우수 트랙 상에 기록되고, f1 및 f2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파이롯 신호는 기수 트랙 상에 기록된다.
본 실시예의 VTR에서, 제3B도에 도시된 헤드(50a 및 50b)는 우수 트랙을 주사하고 헤드(50b 및 52b)는 기수 트랙을 주사한다. 관련 기술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50a 및 52a)가 주사하는 우수 트랙에 대해서만 트랙킹 서보 제어가 행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VTR에서는,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50a 및 52a)가 인접 트랙을 동시에 주사하도록 헤드(50a)가 주사하는 우수 트랙, 헤드(50b)가 주사하는 기수 트랙조차도 트랙킹 서보 제어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적당히 주사될 수 있다.
이 때, 헤드(50a 및 50b)가 미리 고정밀도로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여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VTR에서 헤드(50a 및 50b)에 의해 판독되는 우수 트랙의 파일롯 신호가 ATF 서보 유닛(14)에 출력되고, 파이롯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f1 및 f2의 비가 검출되고, 헤드(50a 및 50b)의 주사 위치는 위치결과에 따라 트랙킹 서보 제어에 의해 교정된다.
제4도에 도시한 경우에, 예를 들어 판독 파일롯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f1의 비가 큰 경우에 헤드(50a 및 52a)가 f1 파이롯 신호를 기록하는 트랙 방향으로 너무 치우치므로, 헤드(50a 및 52a)는 f2의 파이를 신호를 기록하는 트랙 방향에서 상기 비에 따른 거리만큼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VTR에서 헤드(50a 및 52a)와 헤드(50b 및 52b) 사이에서 상대 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헤드(50a 및 52a)와 헤드(50b 및 52b)가 인접 트랙을 동시에 주사하므로, 헤드(50a 및 52a)에 의해 주사된 트랙 상에서 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함으로써 헤드(50b 및 52b)에 의해 주사된 트랙에서도 적절히 주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VTR은 예로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신호 재생 장치는 VHS 테이프 주사용 VHS 테이프 주사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3A도의 상부 드럼부(44a)의 리드각은 예를 들면 5°54'4.9"이다.
본 발명의 신호 재생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4 및 5)이 기록 신호 처리 유닛(7) 및 재생 신호 처리 유닛(6)을 통해 접속될 수 있고 동작 패널(2)로부터의 동작신호에 따라 시스템 콘트롤러(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기록 신호 처리 유닛(7)과 재생 신호 처리 유닛(6) 사이에서 기록 및 재생을 행한다. 이 때 예를 들면 VTR(5) 대신에 하드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호 재생 장치에 따라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를 종래의 반으로 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낮은 주파수 특성을 갖는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에는 회로의 주파수 특성 등의 면에서 곤란했던 4배속 재생및 기록에서도 종래의 2배속 및 재생 및 기록시에 사용된 회로와 동등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회로에서 실현가능하다. 또한, 헤드 팁의 히팅을 억제할 수 있어 헤드손상을 감소시키고 헤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 재생 장치에 따르면 드럼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요인인 동적 트랙킹 헤드를 사용하지 않고 저속 재생 및 -1X 속도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 재생 장치에 따르면 자기 테이프에 부착된 먼지 등에 의해 무작위로 발생하는 판독 에러에 의한 재생 불능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 재생 장치에 따르면, 다른 트랙마다 ATF 서보 또는 다른 트랙킹 서보 제어를 행하는 기술을 채택하는 경우에, 파일롯 신호 또는 다른 ATF 정보에 의해 트랙킹 서보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트랙의 경우에도 고정밀도로 트랙을 주사할 수 있다.
제1A도는 종래 VTR의 주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B도는 상부 드럼부의 회전 속도를 30 rps 및 테이프 주사 속도를 2X 속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제1 실시예의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3A도는 드럼 외측을 나타낸 개략도.
제3B도는 상부 드럼부 상에 제공되는 헤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VTR 헤드의 주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제1 실시예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제1 실시예에서 2X 속도로 재생하는 경우에 제5도에 도시한 재생신호 처리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
제7도는 제1 실시예에서 1X 속도로 재생하는 경우에 제5도에 도시한 재생 신호 처리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
제8도는 제1 실시예에서 4X 속도로 재생하는 경우에 제5도에 도시한 재생 신호 처리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
제9도는 제2 실시예의 VTR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10A도 및 제10B도는 제2 실시예의 VTR의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구체적으로 제10A도는 간단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 제10B도는 실제 포맷에 근사한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특정한 각도를 갖는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제2 실시예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제2 실시예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타이밍 챠트.
제13A도 및 제13B도는 드럼의 회전 속도를 15 rps로 선택했을 때 제2 실시예의 VTR의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구체적으로 제13A도는 간단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 제13B도는 실제 포맷에 근사한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특정한 각도를 갖는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
제14A도 및 제14B도는 드럼의 회전 속도를 35 rps로 선택했을 때 실시예의 VTR의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구체적으로 제14A도는 간단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 제14B도는 실제 포맷에 근사한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특정한 각도를 갖는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
제15도는 제3 실시예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16도는 제3 실시예의 재생 신호 처리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제17도는 제4 실시예의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18A도 및 제18B도는 제17도에 도시한 VTR의 헤드의 주사 영역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인데, 구체적으로 제18A도를 간단화를 위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8B도는 실제 포맷에 근사한 테이프의 주행 방향에 대해 특정한 각도를 갖는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이지만, 제18A도 및 제18B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제19도는 제5 실시에의 VT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신호 재생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작동 유닛
3 : 시스템 콘트롤러
6 : 재생 신호 프로세서
7 : 기록 신호 프로세서
8 : 디스플레이 유닛
12 : 판독 결과 셀렉터
14 : ATF 서보 유닛
42 : 콘트롤러
44 : 드럼
46 : 테이프 주행 유닛
102a, 102b : 디코더
107, 207, 307 : 콘트롤러

Claims (20)

  1. 나선형 기록 배열에 따른 트랙각으로 기록된 트랙을 갖고 테이프 주행 방향을 따라 테이프 속도 nX로 주행되는 테이프 매체로부터 - 여기서 X는 테이프 속도 수이고, n은 실수이고, 통상 속도의 재생은 n=1 로 표시되며, 인접한 트랙은 그 인접 트랙 각각으로부터 가장 거리가 긴 두 모서리를 이등분하는 긴 대각선을 가짐 -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 드럼 - 상기 테이프 매체는 상기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리드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의 순방향 재생시 상기 회전드럼은 n의 정수배인 회전 드럼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n의 정수배가 최소 속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드럼 속도를 상기 최소 속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드럼 속도는 상기 최소 속도 이하로는 설정되지 않음 -;
    상기 회전 드럼에 결합되어, 주사각을 형성하는 주사 방향으로 상기 트랙을 주사함으로써 상기 트랙으로부터 데이타를 재생하는 복수의 비-동적 트래킹 회전헤드(non-dynamic tracking rotary head) - 상기 주사각은 상기 테이프 매체가 스틸모드에 있을 때 상기 주사 방향으로 상기 긴 대각선과 상기 테이프 주행 방향간의 예각임 -;
    상기 데이타를 결합 신호로 재구성하는 처리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상기 리드각은, n≥1 에 대응하는 테이프 속도로 재생시에상기 주사각이 상기 트랙각과 동일하게 되고 각각의 트랙이 각각의 헤드에 의해 트레이스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1X, 2X, 4X의 재생 속도에서 상기 테이프 매체의 주행 속도 및 상기 회전드럼의 드럼 속도를 조정하여, 상기 헤드의 유효 주사각이 스틸 모드에서의 상기 주사각으로부터 테이프 주행 방향과 트랙의 리딩 엣지 간의 각도인 트랙각으로 전환되게 하는 테이프 주행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헤드 각각이 완전한 1 트랙을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테이프 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회전 헤드를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접속시겨, 상기 메모리가 상기 트랙으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타로부터 구성된 결합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위칭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1X 재생 속도에서, 연속하는 각각의 트랙으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메모리가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2X 재생 속도에서, 상기 트랙의 두 번째 트랙 쌍 마다(every other pair of tracks) 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메모리가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4X 재생 속도에서, 상기 트랙의 네 번째 트랙 쌍 마다(every fourth pair of tracks) 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메모리가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1X의 재생 속도보다 느린 순방향 재생 속도에서, 상기 테이프 매체의 주행속도 및 상기 회전 드럼의 드럼 속도를 조정하여, 상기 헤드의 유효 주사각이 스틸모드에서의 상기 주사각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상기 회전 헤드가 트랙의 상이한 부분들을 주사하게 하는 테이프 주행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랙의 사실상 모든 부분이 주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테이프 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회전 헤드를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상기 메모리가 각각의 트랙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각각의 트랙의 상기 부분들로부터 재생되어 기억된 데이타로부터 구성된 결합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위칭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주행 수단은, 0.5X 재생 속도에서 각각의 회전 헤드가 상기 트랙의 절반을 주사하도록 상기 헤드의 주사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각각의 트랙의 상기 부분들로부터 재생되어 기억된 데이타로 구성된 결합 신호를 연속적으로 두 번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회전 헤드가 상이한 트랙을 주사하기 시작할 때의 천이를 검출하기 위한 RF 엔벨롭프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RF 엔벨롭프 검출 수단이 상기 천이를 검출할 때 상기 회전 헤드를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상기 메모리가 상기 각각의트랙의 상기 부분들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메모리 단위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역방향 재생 속도에서 상기 테이프 매체의 주행 속도 및 상기 회전 드럼의 드럼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테이프 주행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주행 수단은 테이프 주행 방향을 반전시키고, 상기 헤드의 유효 주사각은 스틸 모드에서의 주사각 보다 더 예각으로 되며,
    상기 회전 헤드는 상기 트랙의 사실상 모든 부분이 주사되도록 상기 트랙의 상이한 부분들을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회전 헤드를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접속시겨, 상기 메모리가 각각의 트랙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각각의 트랙의 상기 부분들로부터 재생되어 기억된 데이타로부터 구성된 결합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위칭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주행 수단은 각각의 상기 회전 헤드가 상기 트랙의 4분의 1을 주사하도록 상기 회전 헤드의 주사각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헤드는
    상기 회전 드럼의 주변에 배치된 제1 쌍의 회전 헤드;
    상기 제1 쌍의 반대쪽의 상기 주변에 배치된 제2 쌍의 회전 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헤드의 주사각을 변동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프 매체의 주행 속도 및 상기 회전 드럼의 드럼 속도를 조정하는 테이프 주행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주사각은, 테이프 주행 방향과 트랙의 리딩 엣지 간의 각도인 트랙각과 동일하게 설정되며,
    상기 제1 쌍의 회전 헤드는 상기 회전 드럼의 전반부 회전시 인접 트랙의 제 1 쌍을 주사하고, 상기 제2 쌍의 회전 헤드는 상기 회전 드럼의 후반부 회전시 인접트랙의 제2쌍을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테이프 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회전 헤드를 상기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접속시겨, 상기 메모리가 상기 트랙으로부터 재생된 데이타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타로부터 구성된 결합 신호를 출력시키는 스위칭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속도가 상기 통상 속도의 n배인 경우 각각의 트랙은 하나의 헤드에 의해 트레이스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통상의 회전 드럼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n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재생 장치.
KR1019940024120A 1993-09-27 1994-09-26 신호재생장치 KR100326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18093 1993-09-27
JP93-240180 1993-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614A KR950009614A (ko) 1995-04-24
KR100326576B1 true KR100326576B1 (ko) 2002-06-22

Family

ID=2653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120A KR100326576B1 (ko) 1993-09-27 1994-09-26 신호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22129A (ko)
KR (1) KR100326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558A (ja) * 1997-04-03 1998-10-23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情報の変速再生方法
JP4081811B2 (ja) * 2002-09-10 2008-04-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773333B2 (en) * 2007-08-10 2010-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rding data simultaneously at two depths of a tilted magnetic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767A (ja) * 1991-10-29 1993-05-18 Sony Corp 情報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079A (en) * 1981-02-13 1984-09-0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racking control system i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GB2154825B (en) * 1984-02-22 1987-06-17 Sony Corp Digital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S60142847U (ja) * 1984-03-05 1985-09-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プ記録再生装置
JPS60197969A (ja) * 1984-03-19 1985-10-07 Sanyo Electric Co Ltd テ−プ速度判別回路
JPH0666938B2 (ja) * 1985-09-27 1994-08-24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テ−プレコ−ダの特殊再生装置
US4870509A (en) * 1986-04-09 1989-09-26 Canon Kabushiki Kaisha Compact video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dapted for external input video signals and variable speed reproduction
NL8602820A (nl) * 1986-11-07 1988-06-0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instellen van een magneetkop van een magneetbandapparaat, alsmede magneetbandapparaat, waarbij deze werkwijze wordt uitgevoerd.
JPS63133339A (ja) * 1986-11-22 1988-06-06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US4868692A (en) * 1987-03-31 1989-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cking error signal forming circuit
KR930005340B1 (ko) * 1991-01-09 1993-06-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테이프레코더의 헤드드럼 주행각도 조절장치
KR940007575B1 (ko) * 1991-03-18 1994-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드럼 각도 조절장치 및 방법
JP3312205B2 (ja) * 1991-04-18 2002-08-05 ソニ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装置
JP3290512B2 (ja) * 1992-08-24 2002-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767A (ja) * 1991-10-29 1993-05-18 Sony Corp 情報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22129A (en) 2000-09-19
KR950009614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40203A (ja) 回転ヘツド式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31725B2 (ko)
KR100326576B1 (ko) 신호재생장치
KR100236353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JP3433525B2 (ja) 信号再生装置
KR100221067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슬로우 또는 서치시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278249B1 (ko) 자기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JP2693034B2 (ja) 磁気記憶装置
JP2615766B2 (ja) 再生映像信号の処理装置
JP2987164B2 (ja) 高速早送り巻戻し運動のビデオレコーダ
JP2650751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3044874B2 (ja) 情報再生装置
JP315198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35614B2 (ko)
JPH0542875B2 (ko)
JP2512320B2 (ja) 記憶再生装置
JP2770534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3240624B2 (ja) デジタル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2785218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571010B2 (ja) 磁気再生装置
JP3566324B2 (ja) 画像信号再生装置
KR0141785B1 (ko) 엘디피의 디스크 포맷 및 재생방법
JP2730929B2 (ja) 再生装置
JPH0363272B2 (ko)
JPH06236506A (ja) ノントラッキング方式の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