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055B1 -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 Google Patents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055B1
KR100322055B1 KR1019980054006A KR19980054006A KR100322055B1 KR 100322055 B1 KR100322055 B1 KR 100322055B1 KR 1019980054006 A KR1019980054006 A KR 1019980054006A KR 19980054006 A KR19980054006 A KR 19980054006A KR 100322055 B1 KR100322055 B1 KR 10032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piece
contact piece
coaxi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935A (ko
Inventor
히사히로 오노
가즈히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6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절연재료로 성형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와 폴형 중심 컨텍트를 갖는 동축케이블용 플러그에 자유롭게 맞추어지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커넥터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중심 컨텍트가 삽입되고 몸체의 내부공간과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통체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변위가능한 단자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정지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는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상기 정지단자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정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편을 가지며, 상기 접촉편의 베이스부는 상기 중심 컨텍트가 상기 정지단자 보다 삽입되는 구멍에 보다 근접한다. 상기 접촉편의 베이스부와 단부사이에 위치된 중앙부분은 상기 중심 컨텍트 통로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정상 폐로 스위치를 가진 동축케이블용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플러그와 리셉터클(receptacle)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착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것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 일예는 도 7a 및 7b도에 부분 계략 종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7a는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종래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도시하고, 도 7b는 플러그가 삽입된 동일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몸체(10)를 갖는다. 상기 몸체(10)는 그 일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뻗도록 거기에 규정된 오목부(11)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돌출하여 오목부(11)의 개구와 직면하는 통체(12)를 가진다. 이 통체(12)는 거기에 규정된 수납공간(13)을 갖는다. 정상 폐로 스위치(5)는 상기 통체(12)안에 수용된다. 이 스위치(5)는 변위가능한 단자(3)와 정지단자(4)를 포함하고, 이들 2개의 단자는 전기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통체(12)에는 그 외부 표면을 둘러싸는 접지단자(6)가 제공된다. 리셉터클(2)은 통체(12), 스위치(5) 및 접지단자(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셉터클(12)은 동축케이블과 결합된 플러그(7)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체(12)는 그 일단부 상의 오목부(11)에 규정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간(13)과 오목부(11)가 통하는 구멍(14)을 갖는다. 구멍(14) 둘레의 상기 통체(12)의 내주 에지(edge)는 상기 플러그(7)의 중심 컨텍트(7a)의 상기 구멍(14)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15에서 내부로 테이퍼져 있다.
상기 정지단자(4)는, 상기 수납공간(13)내에 배치되고,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와 직면하도록 수납공간(13)을 규정하는 통체(12)의 내벽에 대해 확고하게 유지되어 있다. 변위가능한 단자(3)는 구멍(14)과 직면하도록 수납공간(13) 내에 배치된 변위가능한 단자(3)의 단부(38)와, 정지 단자(4)의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수납공간(13)을 규정하는 통체(12)의 내벽에 대해 확고하게 유지된 베이스부(37)를 가진다. 변위가능한 단자(3)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정지단자(4)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38)와 베이스부(37)사이에 위치된 변위가능한 단자(3)의 접촉부(39)는 플러그(7)가 리셉터클(2)에 접속되지 않을 때 정지 단자(4)와 접촉을 유지하여 스위치(5)를 온상태로 유지시킨다. 다른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4)을 통해 수납공간(13)으로 삽입된 중심 컨텍트(center contact)(7a)에 의해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중심 컨텍트(7a)는 단부(38)와 미끄럼 접촉하여 단부(38)를 정지단자(4)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도 7b의 상태에서는, 플러그(7)의 중심 컨텍트(7a)가 변위가능한 단자(3)와 전기접속될 뿐 아니라, 정상 폐로 스위치(5)는 오프된다.
또한, 플러그(7)가 리셉터클(2)에 접속되는 한 중심 컨텍트(7a)는접촉부(39)보다 베이스부(37)로부터 먼 단부(38)를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단부(38)의 이동거리는 작다. 결과적으로, 변위가능한 단자(3)와 정지단자(4) 사이의 접촉간격(G)이 좁아져 절연특성은 나빠지기 쉽다. 또한, 상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는 소형으로 만들어 질 수 없다. 더욱이, 변위가능한 단자(3) 또는 정지단자(4)등의 부품이 기계가공되는 정밀도가 나쁜 경우 스위치(5)는 적당하게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커넥터가 소형화되면 테이퍼(15)의 크기는 너무 작게 되어, 구멍(14)을 통하여 삽입된 중심 컨텍트(7a)를 안내하는데 실패하기가 쉽다. 또한, 단부(38)는 중심 컨텍트(7a)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변위가능한 단자(3)는 비틀린 상태로 되기가 쉽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를 소형화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연재료로 성형되고 내부공간을 가진 몸체와; 폴(pole)형 중심 컨텍트를 가진 동축케이블용 플러그를 제거할 수 있게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중심 컨텍트가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과 함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통체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수납공간에 수용된 변위가능한 단자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수납공간에 수용된 정지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는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정지단자쪽으로 가압되어 정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편을 가지며, 상기 접촉편의 베이스부는 중심 컨텍트가 상기 정지단자 보다 삽입되는 구멍에 보다 근접하고, 상기 접촉편의 베이스부와 단부사이에 위치된 중앙부분은 상기 중심 컨텍트 통로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는 내부면이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된 중심 컨텍트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U형 유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유지부에 바람직하게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접촉편은, 제2굴곡부보다 베이스부에 보다 근접하고 접촉편의 단부를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유지하도록 굴곡되는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 보다 단부에 보다 근접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에 밀접하게 단부를 이동하도록 굴곡되는 제2굴곡부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벌림끝(beveling)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접속되면 상기 벌림끝은 상기 중심 컨텍트에 의해 가압된 접촉편과 상기 몸체 내부면 사이의 갭을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통체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접지단자와, 상기 몸체의 표면을 커버하는 금속 외각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금속 외각에 전기접속됨이 바람직하다.
도 1a는 플러그가 없는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
도 1b는 플러그를 가진 본 발명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단면도.
도 2a는 부분적으로 파단된 부분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평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변위가능한 단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정지단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접지단자의 사시도.
도 7a는 플러그가 없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 7b는 플러그를 가진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리셉터클3 : 변위가능한 단자
4 : 정지단자6 : 접지단자
7 : 플러그7a : 중심 컨텍트
10 : 커넥터 몸체12 : 통체
35, 45 : 접촉편
본 발명의 본 목적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동일부분이 동일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진 첨부도면을 참고로 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보면, 동축케이블용 커넥터(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료로 성형된 직각 평행육면체 몸체(10)를 갖는다. 상기 몸체(10)는 몸체(10)의 바깥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확장하도록 그것과 함께 형성된 통체(12)를 가진다. 상기 통체(12)의 내부 공간은 상기 커넥터(1)안에 수납공간(13)을 규정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공간과 유체 접속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의 정상 폐로 스위치(normally closed switch)인 스위치(5)는 상기 수납공간(13)안에 수용된다. 상기 스위치(5)는 변위가능한 단자(3)와 정지단자(4)를 포함하는데, 이 2개의 단자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와 정지단자(4)는 서로 직면하게 배치된다. 접지단자(6)의 통부(65)는 상기 통체(12)의 외주면에 부착 즉, 외주면상에 덮혀진다. 통체(12), 스위치(5) 및 접지단자(6)는 함께 리셉터클(2)을 구성한다. 상기 리셉터클(2)은 동축케이블과 접속된 플러그(7)를 제거할 수 있게 수용한다. 상기 통체(12)는 상기 몸체(10)로부터 떨어진 자유단에 규정된 구멍(14)을 가짐으로, 상기 수납공간(13)이 커넥터의 바깥쪽과 통하도록 한다. 상기 구멍(14) 주위의 통체(12) 자유단의 립영역(lip region)은, 구멍(14)이 통체(12)와의 동축방향 바깥쪽으로 플레어링(flaring)하는 원뿔형을 나타내도록 모따기 되어 있어 플러그(7)의 중심 컨텍트(7a)가 용이하고 부드럽게 구멍(14)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상기 접지단자(6)의 각각의 측편(side piece)(62)을 수용하기 위해 규정된 홈(16)을 갖는다.
상기 플러그(7)는 상기 중심 컨텍트(7a)외에, 공지된 성형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합성수지와 같은 성형가능한 전기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원통 베이스(7c)와, 그 주위에 위치한 외부 컨텍트(7b)를 포함한다. 중심 컨텍트(7a)는 상기 베이스(7c)를 통하여 동축으로 뻗는다. 상기 외부 컨텍트(7b)는 대략 통형이고 상기 베이스(7c)주위의 바깥에 배치된다. 베이스(7c)로부터 떨어진 상기 외부 컨텍트(7b)의 단부는 바깥쪽으로 플레어링되어 상기 접지단자(6)와의 접촉이 유지된 외부 컨텍트(7b)에 의해 그 안으로의 통체(12)의 수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는 중심편(31)과 상기 중심편(31)의 일단과 일체형임과 아울러 상기 중심편(31)에 직각으로 놓인 납땜편(32)을 갖는다. 상기 중심편(31)의 반대단은 고정편(33)과 이 고정편(33)에 대해 거의 평행하여 뻗는 브리지부(bridge portion)(34)를 규정하도록 분기된다. 상기 고정편(33)은 예컨대 압입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안쪽 위치에 변위가능한 단자(3)를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브리지부(34)는, 대략 U형이고, 상기 중심 컨텍트(7a)의 외부면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내면을 가져 중심 컨텍트(7a)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가 상기 몸체(10)안으로 압입된 고정편(33)에 의해 몸체(10) 안쪽에 고정되는 바와 같이 설명하였을지라도,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10)에 동일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에는 상기 브리지부(34)의 일단에 있는 접촉편(35)이 제공된다. 상기 접촉편(35)은 상기 중심 컨텍트(7a)의 삽입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납땜편(32)쪽으로 뻗는다. 상기 접촉편(35)은 상기 정지단자(4)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편(35)의 베이스부(35a)는 상기 중심편(31)을 향해 구부러진다. 상기 접촉편(35)에는 접촉편(35)의 베이스부(35a)와 단부(35d)사이에 제1굴곡부(35b) 및 제2굴곡부(35c)가 제공된다. 상기 제2굴곡부(35c)보다 베이스부(35a)에 가까운 제1굴곡부(35b)는 중심 컨텍트(7a)를 접촉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제1굴곡부(35b)보다 상기 단부(35d)에 가까운 제2굴곡부(35c)는 상기 정지단자(4)를 접촉시킨다. 또한, 상기 중심편(31)에는 상기 납땜편(32)의 반대편 일단에 컷아웃(cutout)(36)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브리지부(34)는 구부러지기 쉬워, 상기 중심 컨텍트(7a)가 삽입될 때 상기 브리지부(34)를 충분히 빗나가게 하여 확고하게 중심 컨텍트(7a)를 접촉시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단자(4)는 중심편(41)을 갖는다. 상기 중심편(41)은 일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고 상기 중심편(41)에 대해 직각으로 놓인 납땜편(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심편(41)은 상기 정지단자(4)를 상기 몸체(10)에 고정하는 고정편(43)을 포함하고, 이 고정편(43)은, 상기 중심편(41)으로부터 측면 바깥쪽으로 뻗고 상기 납땜편(42)이 놓이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배치된다. 상기 납땜편(42)으로부터 떨어진 중심편(41)의 반대 길이방향 단은 상기 몸체(10)안에 상기 정지단자(4)를 고정하는 고정편(44)과 상기 접촉편(35)과 맞물릴 수 있는 접촉편(45)을 규정하도록 분기된다. 상기 접촉편(45)은 그 베이스부(45a)에서 상기 납땜편(42)과 고정편(43)의 반대측을 향해 구부러진다. 또한, 상기 접촉편(45)은 그 중앙부분(45b)에서 구부러져 상기 접촉편(45)의 단부(45c)를 상기 중심편(41)과 평행하게 뻗게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편(45)은 상기 중심편(31)과 접촉편(35)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단부(45c)는 정상적으로 상기 제2굴곡부(35c)와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단자(6)는 중심편(61)과 2개의 측편(62)을 가진다. 각각의 측편(62)은 상기 중심편(61)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중심편(61)의 해당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는다. 각각의 측편(62)은 납땜편(63) 및 상기 접지단자(6)를 상기 몸체(10)에 고정하는 고정편(64)을 갖는다. 상기 접지단자(6)에는 접속편(67)을 통하여 상기 납땜편(63)의 반대측에 통부(65)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접지단자(6)에는 상기 통부(65) 반대편의 중심편(61) 에지에 접촉편(66)이 제공된다. 각각의 접촉편(66)은 상기 접지단자(6)를 상기 몸체(10)의 표면을 덮는 금속 외각(9)과 접촉시키는 탄력성을 갖는다. 각각의 접촉편(66)은 상기 측편(62)의 반대측 쪽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몸체(10)가 금속 외각(9)으로 덮여질 때, 상기 접촉편(66)은 상기 금속 외각(9)에 의해 눌러지고, 도 2b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위치로부터 구부려 진다. 다음, 상기 접지단자(6)는 상기 접촉편(66)을 통하여 상기 금속외각(9)에 전기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접지영역은 넓혀질 수 있고, 또한 고주파 특성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단자(4) 및 접지단자(6)는 압입수단 또는 결합수단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편(43 및 44) 및 고정편(64)을 통하여 상기 몸체(10)안의 위치에 고정된다.
도 1a,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5)는 상기 수납공간(13)내에 수용된다. 상기 스위치(5)는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와 정지단자(4)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접촉편(35)은 상기 접촉편(45)쪽으로 가압되어, 정상시에 상기 접촉편(35)은 상기 접촉편(45)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5)는 정상 폐로 스위치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상기 중심 컨텍트(7a)는 상기 구멍(14)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13)으로 삽입된다. 다음, 상기 중심 컨텍트(7a)는 상기 브리지부(34)에 의해 유지되어, 상기 정지단자(4)에 전기접속된다. 상기 중심 컨텍트(7a)는 상기 제1굴곡부(35b)를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접촉편(35)을 가압함으로써 접촉편(45)으로부터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접촉편(35)과 접촉편(45)사이의 접촉은 풀리게되어, 상기 스위치(5)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컨텍트(7b)는 상기 통부(65)와 접촉하여 상기 외부 컨텍트(7b)는 상기 접지단자(6)에 전기접속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컨텍트(7a)는 상기 플러그(7)가 상기 리셉터클(2)에 접속될 때 바깥쪽으로 상기 제1굴곡부(35b)를 가압하고, 상기 제2굴곡부(35c)의 이동거리는 종래기술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서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와 정지단자사이의 갭(G)은 증가하고, 상기 스위치(5)의 절연특성은 종래기술의 커넥터보다 좋다. 또한, 상기 기술한 커넥터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5)는 선택적으로 아무 문제없이 개폐될 수 있다. 갭(G)이 충분히 확대됨으로 충분한 갭을 얻도록 상기 몸체(10)의 사이즈를 증대시킬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는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변위가능한 단자(3)에는 브리지부(34) 단부에 접촉편(35)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편(35)이 상기 중심 컨텍트(7a)의 삽입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납땜편(32)쪽으로 뻗고, 상기 접촉편(35)은 삽입되는 중심 컨텍트(7a)와의 접촉으로 비틀리지 않는다.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는 상기 브리지부(34)와 제1굴곡부(35b)를 통하여 중심 컨텍트(7a)와 접촉하고, 상기 제2굴곡부(35c)를 통하여 정지단자(4)와 접촉한다. 즉, 상기 접촉편(35)이 상기 중심 컨텍트(7a)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부분을 통하여 상기 정지단자(4)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중심 컨텍트(7a) 및 정지단자(4)는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편(35)의 휨정도가 커지면, 상기 수납공간(13)은 작게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리셉터클(2)은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7)가 리셉터클(2)에 접속되면, 중심 컨텍트(7a)에 의해 가압된 접촉편(35)과 몸체(10)의 내부면 사이의 갭을 확보하도록 벌림끝(17)이 몸체(10)의 내면에 형성됨으로써 접촉편(35)의 몸체(10) 내부면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제조시,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3)는 몸체(10)의 구멍(14) 반대측 구멍을 통해 수납공간(13)으로 삽입된 후, 정지단자(4)는 동일구멍을 통해 수납공간(13)으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정지단자(4)의 헤드는 제2굴곡부(35c)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굴곡부(35c)의 표면상에 붙어있는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카드 에지 커넥터와 같은 다른 플러그(도시 안됨)를 수용하는 다른 소켓(8)이 상기 통체(12)에 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납땜편(32, 42 및 63)과 소켓(8)의 핀단자(8a)는 상기 통체(12) 반대의 상기 몸체(10)의 측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통체(12)와 납땜부분(32, 42, 63)이 배치되는 표면이외의 상기 몸체(10)의 표면은 상기 금속외각(9)으로 덮여지고, 상기 금속외각(9)의 에지는 상기 리셉터클(2)의헤드로 돌출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켓(8)은 상기 통체(1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나 다른 커넥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통해 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변경 및 수정은 본원의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에 비해 변위가능한 단자와 정지단자사이의 갭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동축 케이블용 커텍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절연재료로 성형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와;
    인쇄회로기판 상의 다수의 접속된 단자를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한 다수의 전도성 단자와, 폴형 중심 컨텍트를 갖는 동축케이블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는 소켓을 갖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되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폴형 중심 컨텍트가 삽입되는, 상기 성형된 몸체의 내부공간에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통체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변위가능한 단자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된 정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는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상기 정지단자쪽으로 가압되어 정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편을 가지며, 상기 접촉편의 베이스부는 상기 폴형 중심 컨텍트가 삽입되는 구멍에 상기 정지단자 보다 근접하고, 상기 폴형 접촉편의 베이스부와 단부사이에 위치된 중앙부분은 상기 중심 컨텍트 통로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한 단자는 내부면이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된 중심 컨텍트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U형 브리지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브리지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제2굴곡부보다 베이스부에 보다 근접하고 상기 접촉편의 단부를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로부터 멀어지도록 굴곡되는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 보다 상기 단부에 보다 근접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에지에 밀접하게 상기 단부를 이동하도록 굴곡되는 상기 제2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 벌림끝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접속되면 상기 벌림끝은 상기 중심 컨텍트에 의해 가압된 상기 접촉편과 상기 몸체 내부면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통체의 표면상에 위치하는 접지단자와,
    상기 몸체의 표면을 커버하는 금속 외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금속 외각에 전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19980054006A 1997-12-19 1998-12-09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KR100322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1175 1997-12-19
JP35117597A JP3684803B2 (ja) 1997-12-19 1997-12-19 同軸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935A KR19990062935A (ko) 1999-07-26
KR100322055B1 true KR100322055B1 (ko) 2002-05-09

Family

ID=1841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06A KR100322055B1 (ko) 1997-12-19 1998-12-09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74183B1 (ko)
JP (1) JP3684803B2 (ko)
KR (1) KR100322055B1 (ko)
TW (1) TW40066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74B1 (ko) * 2007-11-09 2010-03-25 (주)기가레인 역방향 손실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동축 커넥터
KR101013321B1 (ko) * 2003-05-30 2011-02-09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7576C (zh) * 2004-04-28 2008-02-06 广濑电机株式会社 同轴连接器
KR100630751B1 (ko) * 2005-06-2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US20080207050A1 (en) * 2007-02-28 2008-08-28 Chi-Hua Wang Coaxial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494A (en) * 1993-05-13 1994-11-29 Lai; Yang-Chuan BNC T-type adap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21B1 (ko) * 2003-05-30 2011-02-09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0949074B1 (ko) * 2007-11-09 2010-03-25 (주)기가레인 역방향 손실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85889A (ja) 1999-07-09
TW400668B (en) 2000-08-01
KR19990062935A (ko) 1999-07-26
JP3684803B2 (ja) 2005-08-17
US6174183B1 (en) 200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793B1 (en) Audio jack connector
US631227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24835B1 (ko)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EP1469565B1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US5112249A (en) Connector locking clip
JP200011394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20060234562A1 (en) Socket connector for coaxial plug
US6966802B2 (en) Plug connector
US20060110982A1 (en) Connector in which a shell can be readily assembled to a connector housing
US5681186A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US7540774B1 (en) Coaxial connector
US4624525A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7938677B1 (en) Electrical jumper with retaining arrangements
US5989046A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US6162103A (en) Terminal structure of a connector
KR100322055B1 (ko)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US6336820B2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5306173A (en) Bulb socket
US6254402B1 (en) Push pin ground
US7182648B2 (en) Optical-electric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having coil spring
US6457991B1 (en) Electrical connector couple having mating indication device
KR960007503Y1 (ko) 동축케이블 컨넥터용 핀홀더
JP2005050752A (ja) 同軸ケーブル用中継アダプタ
EP1311037B1 (en) Connection support fitted with a retaining collar
JPH10189124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