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509B1 - 자동적으로해체되는플러그커넥터_ - Google Patents

자동적으로해체되는플러그커넥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509B1
KR100318509B1 KR1019980054070A KR19980054070A KR100318509B1 KR 100318509 B1 KR100318509 B1 KR 100318509B1 KR 1019980054070 A KR1019980054070 A KR 1019980054070A KR 19980054070 A KR19980054070 A KR 19980054070A KR 100318509 B1 KR100318509 B1 KR 10031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g
spring member
plug connecto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952A (ko
Inventor
한스-요스트 하이뮐러
안드레아스 함부르거
미하엘 페르스틀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1999006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커넥터부, 즉 피메일 커넥터(1) 및 메일 커넥터(2)로 이루어진 자동차 전자 장치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커넥터부는 완벽한 전기 접속을 위해서 완전히 서로의 내부로 끼워지고, 서로 해체 가능하게 로킹(locking)되며, 2개 커넥터부 사이에서 작용하여 전기 접속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일 커넥터(2)를 피메일 커넥터(1)로부터 자동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부재(3)가 제공되며, 비선형의 스프링 특성 곡선(FK)을 나타내는 스프링 부재(3) 가이드용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3, 4)가 제공된다. 삽입 과정 초기의 스프링력은 바람직하게 나중 시점, 즉 삽입 과정이 종결되기 직전의 스프링력보다 더 강하다. 2개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 콘택이 아직 접촉되지 않는 시점인 삽입 초기의 스프링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삽입 과정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2개의 커넥터부가 재차 분리된다. 삽입 과정이 계속 진행되어 전기 콘택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마찰로 인한 삽입력이 증가될 때에는 그 삽입력을 낮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스프링 특성 곡선을 변동시켜 상기 시점에서의 스프링력의 상승이 비교적 작도록 유지시킴으로써 삽입시에 전체적으로 최대로 낮은 대항력이 극복될 수 있지만, 이 경우의 스프링력은 삽입 상태가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 커넥터가 재차 분리되어 접속이 적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알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거나 강하다.

Description

자동적으로 해체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WITH AUTOMATIC EJECTION}
본 발명은 2개의 커넥터부, 즉 피메일 커넥터 및 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완벽한 전기 접속을 위해서 상기 2개의 커넥터부가 완전히 서로의 내부로 삽입되고, 해체 가능하게 로킹되며, 2개 커넥터부 사이에서 작용하여 전기 결합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일 커넥터(2; 12; 22)를 피메일 커넥터(1; 11; 21)로부터 밀어내는 스프링 부재(3; 13; 23)가 제공된, 자동차 전자 장치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플러그 커넥터는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US-PS-5,591,042호에 기술된 플러그 커넥터는 2개의 커넥터부, 즉 완벽한 전기 접속을 위해서 완전히 서로의 내부로 끼워지고 서로 해체 가능하게 로킹되는 피메일 커넥터 및 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며, 그 2개의 커넥터부 사이에서 작용하여 전기 접속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일 커넥터를 피메일 커넥터로부터 밀어내는 스프링 부재(6)(상기 출원서의 도 1a 내지 1d)가 제공된다.
공지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소위 "go/no-go" 원리, 즉 플러그 커넥터가 완전히 로킹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2개의 커넥터부가 재차 서로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메일 커넥터가 피메일 커넥터로부터 밀려나오는 원리에 따라 작용한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스프링력 또는 밀어내는 힘을 극복하기 위해서 한편으로는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부가 상호 결합될 때 불쾌하게 느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커넥터의 높이 때문에 커넥터부에 손상을 야기시킬 수도 있는 높은 작동력이 소모된다는 사실이 무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이 간단하고 커넥터의 손상 위험이 적은, 서문에 언급된 방식의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제 1실시예의 다수의 횡단면도로서, 도 1(a)는 커넥터부가 상호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1(d)에는 커넥터부가 서로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b) 및 도 1(c)는 상호 결합의 중간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제 1실시예의 평면도로서, 2개의 도면은 도 1의 커넥터부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의 2가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제 2실시예의 다수의 횡단면도로서, 도 4(a)는 커넥터부가 상호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4(d)에는 커넥터부가 서로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 및 도 4(c)는 상호 결합의 중간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제 3실시예의 다수의 횡단면도로서, 도 5(a)는 커넥터부가 상호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고, 도 5(c)에는 커넥터부가 서로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상호 결합될 때의 중간 단계가 도시되어 있는 한편, 도 5(d)는 플러그 커넥터를 빼내거나 해체하기전의 중간 단계를 보여준다.
도 6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부를 보여주는 제 3실시예의 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1 : 피메일 커넥터 2;12;22 : 메일 커넥터
2a : 돌기(tenon) 3;13;23 : 스프링 부재
3a, 3b : 레그 3c : 레그의 단부 영역
4 :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 4a, 4b : 가이드 표면
5 : 위치 변환 부재 6 : 지지 섹션
11a : 돌출부 14 : 레버
14c : 언더컷(undercut) 14d, 24 : 작동 레버
21a : 리세스 25 : 로킹 노우즈
FK : 스프링 특성 곡선 0A, AB : 선형 섹션
w : 가이드 표면 사이의 각도
상기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가 비선형의 스프링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스프링 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스프링 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가 제공되며, 이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는 비선형의 스프링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피메일 커넥터 내부로 메일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 과정의 초기의 스프링력은 바람직하게 나중 시점, 즉 상기 삽입 과정이 종결되기 직전의 스프링력보다 더 강하다. 2개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 콘택이 아직 접촉되지 않는 시점인 삽입 초기의 스프링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삽입 과정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2개의 커넥터부가 재차 분리된다. 삽입 과정이 계속 진행되어 전기 콘택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마찰로 인한 삽입력이 증가될 때에는 그 삽입력을 낮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스프링 특성 곡선을 변동시켜 상기 시점에서의 스프링력의 상승이 비교적 작도록 유지시킴으로써 삽입시에 전체적으로 최대로 낮은 대항력이 극복될 수 있지만, 이 경우의 스프링력은 삽입 상태가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 커넥터가 재차 분리되어 접속이 적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알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거나 강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 2항 내지 15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관련 도면과 함께 다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제 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부호 (1)은 피메일 커넥터를 지시한다; 한편 도면 부호 (2)는 메일 커넥터를 지시한다. 메일 커넥터(2)는 예를 들어 계단(step) 형태의 돌기(2a)가 스프링 부재(3)와 콘택될 때까지 피메일 커넥터(1)의 개구내에 끼워진다. 스프링 부재(3)는 도 3에서 더 자세히 기술된다. 메일 커넥터(2)가 피메일 커넥터(1) 내부로 더 끼워지면 스프링 부재(3)에 파워(F)가 작용하여 스프링 부재가 압축되거나 또는 변형된다. 도 1(b)에는 메일 커넥터(2)가 약 2/3만큼 피메일 커넥터(1)내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메일 커넥터(2)가 릴리스되면, 응력을 받는 스프링 부재(3)가 상기 메일 커넥터(2)를 재차 피메일 커넥터(1)로부터 밀어낸다. 그와 달리 메일 커넥터(2)가 내부로 더 끼워지면, 스프링 부재(3)의 브리지 부분(3d)은 피메일 커넥터(1)에 있는 위치 변환 부재(5)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휘어지고, 돌기(2a)의 하부면을 따라 팽창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3)가 상기와 같이 팽창된 후에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2)가 피메일 커넥터(1) 내부에 완전히 그리고 완벽하게 끼워진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3)는 그것의 브리지 부분(3d)과 함께 메일 커넥터(2)가 의도치 않게 빠지는 것에 대한 안전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브리지 부분(3d)이 메일 커넥터(2)와 피메일 커넥터(1)의 지지 섹션(6)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브리지 부분(3d)이 액티브하게 이탈되지 않고서는 메일 커넥터(2)가 피메일 커넥터(1)로부터 빠질 수 없다.
이 경우 돌기(2a)는 메일 커넥터를 빼낼 때 스프링이 아래로 눌리도록 그리고 메일 커넥터(2)가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스프링력이 형성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파워가 극복되면, 메일 커넥터(2)는 가속으로 인해 피메일 커넥터(1)로부터 빠지게 된다. 빼내는 과정이 중단되면, 메일 스프링은 스프링력 (지지 섹션(6) 및 계단(2b)의 사면) 때문에 피메일 커넥터(1) 내부로 재슬라이딩된다.
도 2(a)에는 도 1(d)에 따른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으로부터 스프링 부재(3)가 그것의 브리지 부분(3d)과 함께 메일 커넥터(2) 앞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와 달리 도 2(b)에는, 플러그 커넥터의 릴리스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브리지 부분(3d)을 스텝(2b) 둘레로 가이드하기 위해서 스프링 부재(3)의 브리지 부분(3d)의 중간 영역이 아래로 눌려진다. 메일 커넥터(2)의 계단(2b)이 더 이상 스프링 부재(3)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게 되자마자, 메일 커넥터(2)는 피메일 커넥터(1)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에 사용된 스프링 부재(3)는 실제로 U형이며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3)가 도 1에 따라 피메일 커넥터(1)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됨으로써, 브리지 부분(3d)이 바람직하게 구형으로 형성된 횡단면을 갖게 된다.
스프링 부재(3) 및 커넥팅 링크(4)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는 도 3(a) 및 도 3(b)에서 2가지 상태로 보여지는데, 도 3(a)에는 팽창된 스프링 부재(3)가 도시되어 있는 한편, 도 3(b)에는 파워 작용(F)하에서 변형된 스프링 부재(3)가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는 브리지 부분(3d)의 양측면에 배치된 2개의 레그(3a 및 3b)의 단부에 단부 영역(3c)을 포함하며, 그 단부 영역은 거의 L형으로 위로(도 3) 구부러져 있다. 커넥팅 링크(4)에 접하는 스프링 부재(3)의 단부 영역(3c)이 라운딩됨으로써 커넥팅 링크(4)를 따라 동일한 슬라이딩이 보장된다.
커넥팅 링크(4)는 본 실시예에서 양측면에 예를 들어 서로 대략 30°의 각도로 뻗는 각각 2개의 가이드 표면(4a 및 4b)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표면(4a 및 4b)은 꺽인 부분(K)에서 서로 이어진다.
브리지 부분(3d)의 중간 영역에 있는 하중을 받지 않는 스프링 부재(3)상에 위로부터 파워(F)(도 3(b))가 작용하면, 스프링 부재(3)는 기술된 방식으로 변형된다. 브리지 부분(3d)이 아아크 형태의 섹션으로 변형되고, 2개의 레그(3a 및 3b)가 외부로 구부러짐으로써, 스프링 부재(3)의 W형 형상이 얻어진다. 2개의 레그(3a 및 3b)의 단부 영역(3c)은 가이드 표면(4a)상에서 외부로 향하다가 결국에는 꺽인 부분 또는 꺽임점(K)에 도달되며 - 그 다음에는 단부 영역(3c)이 꺽임점으로부터 가이드 표면(4b)을 따라서 슬라이딩된다. 상기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로 인해 하기의 다이아 그램에서 개략적으로 또는 이상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부재(3)의 점차 감소되는 스프링 특성 곡선(FK)이 얻어진다:
스프링 부재(3)의 단부 영역(3c)이 가이드 표면(4a) 영역내에 있으면, 스프링 특성 곡선(FK)이 영역(0A), 즉 더 가파른 직선 영역에 있게 되는 한편, 단부 영역(3c)이 가이드 표면(4b) 영역내에 있으면, 스프링 특성 곡선(FK)은 영역(AB)에 놓인다.
스프링 특성 곡선(FK)은 하기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매우 간단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및 c)의 가능성이 적용될 수 있다:
a) 스프링의 구조, 즉 레그(3a 및 3b)의 길이 및 브리지 부분(3d)에 상대적인 레그(3a 및 3b)의 각도, 및 브리지 부분(3d)의 길이;
b) 스프링의 제작 재료; 및
c) 커넥팅 링크의 구조, 즉 가이드 표면(4a 및 4b)의 길이 및 가이드 표면 서로간의 각도(w).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에 의해서, 스프링이 압축되기 시작할 때는 메일 커넥터(2)를 피메일 커넥터(1)로부터 밀어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스프링력의 레벨에 도달될 때까지 스프링력이 강하게 상승된다. 이 스프링력이고유의 삽입 동작을 저지하여 결합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다음 진행에서는 스프링력이 더 이상 강하게 상승되어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삽입의 다음 진행에서는 전기 콘택 사이의 마찰이 추가로 극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피메일 커넥터의 완전한 삽입을 위해 필요한 커넥팅력이 전체적으로 비교적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장점은, 삽입된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3)가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약간씩 움직일 위험이나 스프링의 이완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력도 작게 유지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스프링 특성 곡선을 상응하게 세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제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일하거나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품은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되었다.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3, 4)는 피메일 커넥터(11)의 하우징 좌측에 있으며, 메일 커넥터(12)는 제 2실시예에서 레버를 포함하는데, 이 레버는 삽입 초기에 아래로 눌려지고(도 4(b)에서 알 수 있음), 그것의 말단부(14a)에 스프링(13)과 맞물리는 개구(14b)를 포함한다. 그 레버(14)가 아래로 눌리자마자, 개구(14b)는 스프링(13)과 맞물리고 단부(14a)는 하우징부(11a) 아래로 "내려가며", 메일 커넥터(12)는 피메일 커넥터(11) 내부로, 더 자세히 말하면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프링(1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삽입될 수 있다.
레버(14)를 아래로 누르는 것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사면이 제공됨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의 사면은 레버(14)의 말단부(14a)에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사면은 하우징부(11a)의 단부에 제공되며, 이 경우 2개의 사면은 서로 마주 놓이고 메일 커넥터(12)가 피메일 커넥터(11) 내부로 끼워질 때 서로 스치면서 슬라이딩된다.
커넥팅 링크(4)는 도 3에 따른 제 2실시예에서는 설명되지만 도 4에서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실제로 U형의 스프링(13)은 피메일 커넥터(1) 내부에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횡단면으로 볼 때 바람직하게 둥글게 형성된다.
도 4(c)에는 메일 커넥터(12)가 아직까지 완전하게 피메일 커넥터(11) 내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삽입 과정이 중단되면, 팽창된 스프링(13)이 메일 커넥터(12)를 피메일 커넥터(11)로부터 밀어내게 된다.
메일 커넥터(12)가 피메일 커넥터(11) 내부로 더 삽입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상태에 도달된다. 상기 상태에서 레버(14)는 고유의 탄성으로 인해 위쪽으로 위치 변경되고, 언더컷(14c)은 돌출부(11b)와 결합된다. 이 때 스프링(13)은 화살표(D)로 지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움직인다.
제 1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3)은 응력을 받지만, 오로지 피메일 커넥터(11)의 하우징 내부에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메일 커넥터(12)에는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결합도 스프링(13)에 의한 하중이 없다.
메일 커넥터(12)를 빼내는 동작은, 언더컷(14c)이 돌출부(11b)와 맞물리지 않을 때까지 레버(14)의 작동 부재(14d)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결과적으로 스프링(13)의 스프링력이 메일 커넥터(12)를 피메일 커넥터(11)로부터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 2실시예의 장점은, 한편으로는 피메일 커넥터로부터 빼낼 때에도 메일 커넥터(12)가 스프링(13)의 스프링력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가게 된다는 점과, 다른 한편으로는 플러그 접속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결합력이 작다는 점이며,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특성 곡선(FK)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 1실시예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제 3실시예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 자세히 설명된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품은 재차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21)는 실제로 T형의 리세스(21a)를 가지며, 이 리세스내로 레버(14)가 끼워진다. 제 3실시예에서 메일 커넥터(22)는, 작동 레버(24)가 로킹 노우즈(25)에 접할 때까지 밀리고(도 5(a) 참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4)가 아래쪽으로 눌리는 경우에만 피메일 커넥터(21)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로킹 노우즈(25)가 삽입을 저지하는 장치로서 작용한다.
메일 커넥터(22)가 피메일 커넥터(21) 내부로 삽입되자마자 레버(14)의 말단부(14a)는 스프링(23)과 결합되고, 메일 커넥터(22)가 더욱 밀려들어가거나 삽입되는 경우에는 스프링(23)이 변형된다. 그럼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방출력이 스프링(23)에서 형성된다.
도 5(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22)가 완전히 피메일 커넥터(21) 내부로 삽입되면, 레버(14)는 그것의 고유한 탄성으로 인해 위쪽으로움직이고, 로킹 노우즈(25)는 T형 리세스(21a)와 맞물리며, 스프링(23)이 작동 레버(24)상에, 더 자세히 말하면 영역(24a)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작동 레버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2개의 커넥터부는 서로 로킹되며, 삽입 또는 삽입 과정에서의 일반적인 장점(이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 등)에 대해서는 이전의 실시예가 인용된다.
제 3실시예의 특별한 장점은, 2개의 커넥터부가 완전히 플러그 결합되는 때에는 결합부상에 아무런 스프링력(K)도 가해지지 않으며, 작동 레버(24)가 로킹 노우즈(25)의 방향으로 완전히 전진 이동됨으로써만 상쇄될 수 있는 언로킹(unlocking)이 스프링(23)의 위치로 인해 방지되며, 작동 레버(24)를 작동시키지 않고서는 레버(14)가 (실수로 또는 우연히)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는다는 점이다.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는, 작동 레버(24)가 완전히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2개의 로킹 노우즈(25)로 이루어진) 로킹 노우즈(25)의 방향으로 이동된 다음에 레버(14)가 작동 레버(24)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그 다음에 초기 응력을 받은 스프링(23)에 의해서 메일 커넥터(22)가 피메일 커넥터(21)로부터 밀려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공지된 "go/no-go" 원리에 따라 이루어지지만 매우 간단한 수단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사용자에게 매우 용이한 해결책이 제안된다.
특히 자동차 전자 장치용 플러그 커넥터는 2개의 커넥터부, 즉 피메일 커넥터 및 메일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2개의 커넥터부는 완벽한 전기 접속을 위해서 완전히 서로의 내부로 삽입되어 해체 가능하게 로킹되며, 2개의 커넥터부 사이에서 작용하여 전기 접속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일 커넥터를 피메일 커넥터로부터 자동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부재가 제공되며, 비선형의 스프링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스프링 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가 제공된다. 삽입 과정 초기의 스프링력은 바람직하게 나중 시점, 즉 삽입 과정이 종결되기 직전의 스프링력보다 더 강하다. 2개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 콘택이 아직 접촉되지 않는 시점인 삽입 초기의 스프링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삽입 과정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2개의 커넥터부가 재차 분리된다. 삽입 과정이 계속 진행되어 전기 콘택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마찰로 인한 삽입력이 증가될 때에는 그 삽입력을 낮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스프링 특성 곡선을 변동시켜 상기 시점에서의 스프링력의 상승이 비교적 작도록 유지시킴으로써 삽입시에 전체적으로 최대로 낮은 대항력이 극복될 수 있지만, 이 경우의 스프링력은 삽입 상태가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 커넥터가 재차 분리되어 접속이 적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알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거나 강하다.
본 발명에 의해, 조작이 간단하고 커넥터의 손상 위험이 적은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5)

  1. 2개의 커넥터부, 즉 피메일 커넥터(1; 11; 21) 및 메일 커넥터(2; 12; 22)로 이루어진 자동차 전자 장치용 플러그 커넥터로서, 완벽한 전기 접속을 위해서 상기 2개의 커넥터부는 완전히 서로의 내부로 삽입되고, 해체 가능하게 로킹되며, 2개 커넥터부 사이에서 작용하여 전기 결합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일 커넥터(2; 12; 22)를 피메일 커넥터(1; 11; 21)로부터 밀어내는 스프링 부재(3; 13; 23)가 제공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비선형의 스프링 특성 곡선(FK)을 나타내는, 스프링 부재(3; 13; 23)를 가이드하기 위한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특성 곡선(FK)은 적어도 2개의 선형 섹션(0A, AB)을 통과하면서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커넥팅 링크 장치(4)는 실제로 U형의 스프링 부재(3; 13; 23) 및 커넥팅 링크(4)를 포함하며, 커넥팅 링크(4)는 스프링 부재(3)의 개별 레그(3a, 3b)를 위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표면(4a, 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3; 13; 23)는 각 레그(3a, 3b)의 단부 영역(3c)에서 실제로 J형 또는 L형의 형상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3; 13; 23)의 작동시에는 단부 영역(3c)이 가이드 표면(4a, 4b)을 지나가며, 스프링 부재(3; 13; 23)의 상기 단부 영역(3c)은 가이드 표면(4a, 4b)과 함께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 3항에 있어서,
    스프링 특성 곡선(FK)은 스프링 부재(3; 13; 23)의 구조 및/또는 커넥팅 링크(4)의 구조에 의해서 결정되며, 특히 레그(3a, 3b)의 길이 및/또는 가이드 표면(4a, 4b)의 길이 및/또는 가이드 표면(4a, 4b) 사이의 각도(w)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4)는 피메일 커넥터(1; 11; 21)의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3; 13; 23)는 피메일 커넥터(1; 11; 21)의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메일 커넥터(2; 12; 22)가 피메일 커넥터(1; 11; 21) 내부로 삽입될 때 스프링 부재(3; 13; 23)상에 작용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를 변형시키는 돌기(2a)가 메일 커넥터(2; 12; 2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3)가 최대로 변형될 때 상기 스프링 부재를 부분적으로 휘게 하여 출발 위치로 보내는 위치 변환 부재(5)가 피메일 커넥터(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완벽하게 전기 접속된 상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스프링 부재(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메일 커넥터(2)를 피메일 커넥터(1)에 고정시키는 지지 섹션(6)이 피메일 커넥터(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를 로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로킹 부재(14c; 25)를 포함하는 레버(14)가 메일 커넥터(12; 2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피메일 커넥터(11)에 있는 돌출부(11a)와 상호 작용하는 언더컷(14c)이거나 또는 피메일 커넥터(21)에 있는 리세스(21a)와 상호 작용하는 로킹 노우즈(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레버(14)에 작동 레버(14d; 24)가 제공되며, 플러그 커넥터의 해체는 상기 작동 레버(14d; 24)를 작동시킨 후에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5. 제 12항에 있어서,
    로킹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23)가 상기 레버(14)를 로킹시키며, 스프링 부재(23)는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9980054070A 1997-12-10 1998-12-10 자동적으로해체되는플러그커넥터_ KR100318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4876.8 1997-12-10
DE19754876A DE19754876C2 (de) 1997-12-10 1997-12-10 Steckverbindung mit automatischem Ausru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952A KR19990062952A (ko) 1999-07-26
KR100318509B1 true KR100318509B1 (ko) 2002-02-19

Family

ID=785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70A KR100318509B1 (ko) 1997-12-10 1998-12-10 자동적으로해체되는플러그커넥터_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23167A1 (ko)
JP (1) JPH11238547A (ko)
KR (1) KR100318509B1 (ko)
DE (1) DE1975487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0521C1 (de) * 1998-11-03 2001-05-17 Hirschmann Richard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0041177A1 (de) * 2000-08-23 2002-03-07 Volkswagen Ag Steckvorrichtung mit einer Einrichtung zur Verhinderung einer unvollständigen Verbindung
DE10248892B3 (de) * 2002-10-18 2004-07-15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er zum Verbinden mit einer Steckbuchse
DE10248893B8 (de) 2002-10-18 2004-09-02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er mit Halteelement
ATE389250T1 (de) * 2006-03-16 2008-03-15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DE102006057322A1 (de) * 2006-12-05 2008-06-19 Siemens Ag Patientenliege
DE202011107618U1 (de) * 2011-10-01 2013-01-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teckverbindung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CN114889727B (zh) * 2022-06-30 2023-07-21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前机盖安装限位装置及前机盖总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1921A (ja) * 1989-03-27 1990-10-0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
JP3067468B2 (ja) * 1993-04-27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0709927B1 (en) * 1994-10-27 1999-06-1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nnector assembly
DE19507883A1 (de) * 1995-03-07 1996-09-12 Vdo Schindling Steckverbindung mit Verriegelungssystem
JPH08257657A (ja) * 1995-03-28 1996-10-08 Daiwa Kogyo Kk プレス金型用エジェクターユニット
US5938466A (en) * 1995-08-09 1999-08-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device having spring mechanism
DE19533302B4 (de) * 1995-09-08 2005-07-28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Elektrischer Stecker und Anordnung mit einem elektrischen Ste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952A (ko) 1999-07-26
EP0923167A1 (de) 1999-06-16
JPH11238547A (ja) 1999-08-31
DE19754876A1 (de) 1999-06-24
DE19754876C2 (de) 199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2635B1 (en) Connector
US7160134B2 (en) Connector locking construction
JP3724703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6217365B1 (en) Connector
EP0803937B1 (en) Inertia locking connector
EP0727847B1 (en) Lever-operated connector
EP0624922B1 (en) Connector
US6186819B1 (en) Latching mechanism for a connector
KR20090092276A (ko)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 및 상기 커넥터 위치 보증 디바이스를 합체한 커넥터 조립체
KR100217290B1 (ko) 3방향 끼움 접촉형 콘택터
KR100318509B1 (ko) 자동적으로해체되는플러그커넥터_
EP0898330A2 (en) A connector provided with a retainer
JP3741351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20020115338A1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US6341974B1 (en) Connector with a partial connection preventing function
EP1001289A2 (en) Fail-safe optical connector
EP0954061A1 (en) A connector
US6332804B2 (en) Connector
US6561833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EP1047154B1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JP3437102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6595795B2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CN219350820U (zh) 一种连接器组件
JP2004006071A (ja) コネクタ
EP1137117A2 (en) An electrical connector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