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686B1 - 전지용 비수전해액 - Google Patents

전지용 비수전해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86B1
KR100316686B1 KR1019990026358A KR19990026358A KR100316686B1 KR 100316686 B1 KR100316686 B1 KR 100316686B1 KR 1019990026358 A KR1019990026358 A KR 1019990026358A KR 19990026358 A KR19990026358 A KR 19990026358A KR 100316686 B1 KR100316686 B1 KR 100316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formula
dmc
compound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488A (ko
Inventor
김종섭
김영규
장두원
김광식
김진성
안기훈
Original Assignee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복현
Priority to KR101999002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686B1/ko
Priority to EP99963685A priority patent/EP1125338B1/en
Priority to US09/786,012 priority patent/US6855458B1/en
Priority to CNB998105686A priority patent/CN1156932C/zh
Priority to PCT/KR1999/000811 priority patent/WO2001003229A1/ko
Priority to JP2001508534A priority patent/JP4280441B2/ja
Priority to TW089103205A priority patent/TW461135B/zh
Publication of KR2001000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 H01M6/162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 H01M6/166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by the 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용매가 풀루오로벤젠 또는 그 유도체에서 1종 이상,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1종 이상 각각 선택하여, 50 : 50 ∼ 5 : 95의 부피%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은 종래의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탄산에스테르계 용매만을 사용한 비수전해액에 비해 저온성능, 수명, 고온 방전용량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전지용 비수전해액{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 등에 사용되는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있어서, 유기용매 성분으로서 플루오로벤젠 또는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이 50 : 50 ∼ 5 : 95의 부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종래 노트북 컴퓨터, 켐코더, 휴대폰등에 사용되는 소형화 슬림화된 리튬 2차 전지의 구성은 리튬 금속 혼합 산화물을 양극 활물질로 하고, 탄소 재료 또는 금속 리튬등을 음극으로 하며,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적당량 용해시킨 것을 전해액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튬 2차 전지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MPC) ,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EPC)등으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되고, 용질로는 LiPF6등의 리튬염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전지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통상의 전해액 용매인 탄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적절히 선정하거나 용매간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방법 또는 소량의 특정 첨가제를 부가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진행중이고, 더 나아가 탄산에스테르계 용매 이외에 기타 용매를 사용하여 전해액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규 용매 발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예로, 일본 특개평 8-287950호에서는 불소가 치환된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각각 30 : 70부피%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전지의 저온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동 8-96850호에서는 20∼60%의 비닐렌카보네이트와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전지의 수명성능 및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동 7-326358호에서는 부틸렌카보네이트와 선형 카보네이트를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전지의 수명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 특허 5,192,629호에서는 디메틸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보네이트를 95/5∼20/80중량%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할 경우에 4.5V 이상의 과충전시에도 산화에 의한 전해액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전지의 수명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용매로 사용되는 탄산에스테르계 화합물에서 선택되어지는 용매의 종류와 용매간의 상호 혼합비에 따라서 전지 성능에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 적절한용매 선택과 혼합비의 발굴은 용이하지 않고, 비닐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등의 물질들은 고가로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전지 성능 향상을 위하여 특정 화합물을 전해액에 첨가하는 경우에도 대부분 전지 성능 중 일부 항목의 성능 향상은 기대할 수 있으나, 다른 항목의 성능을 오히려 감소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디메틸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보네이트로 조성된 전해액의 예를 들면 수명 성능같은 일부 항목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저온성능 등의 다른 항목의 성능은 오히려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튬 2차 전지의 저온 성능, 고온 저장성, 초기용량 및 충방전 수명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플루오로벤젠류 화합물과 탄산에스테르를 혼합하여 용매로써 사용한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있어서, 유기용매가 하기 화학식 1의 플루오로벤젠 또는 그 유도체에서 1종 이상, 하기 화학식 2 및 3의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1종 이상 각각 선택하여, 50 : 50 ∼ 5 : 95의 부피%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단, F는 플루오르(Fluorine)원소이고, n은 1∼6의 정수이다.
단, R1, R2는 각각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단, R3, R4, R5, R6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유기용매의 구성 성분으로서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예를 들면 플루오로벤젠, 디플루오로벤젠, 트리플루오로벤젠, 테트라플루오로벤젠, 펜타플루오로벤젠, 헥사플루오로벤젠이 있으며, 이들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화합물을 전해액의 유기 용매로 사용할 경우 리튬 이온을 적절하게 배위하여 저온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냄으로써 전지의 저온 특성을 향상시키고, 용매의 고유 특성인 LSV(Linear sweep voltametry)가 4.5V 이상으로, 충전시 양극에서의 전해액 분해 반응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함으로써 전지의 수명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유기용매의 1성분으로 사용하는데,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등의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 (Cyclic carbonate)과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 등의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Chain carbonate)에서 1종 이상을 선정하여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선택한 1종 이상, 상기 화학식 2 및 3의 화합물에서 1종 이상을 각각 50 : 50 ∼ 5 : 95의 부피%로 혼합하여 유기용매로써 사용한다. 화학식 1의 플루오로벤젠계 화합물들을 50부피%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저온에서 용매 상호간의 층분리 및 리튬염의 고체화를 발생시켜 전지의 저온 성능 및 충방전 수명 특성을 감소시키고, 5% 미만으로 사용하면 전지의 성능변화가 미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유기용매에 첨가되는 리튬염으로는 LiPF6, LiClO4, LiSO3CF3, LiAsF6, LiBF4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염의 사용농도는 바람직하게 0.7 내지 2.0몰 범위이다. 염의 농도가 0.7몰 미만이면 전해액의 전도도가 낮아짐으로써 전해액 성능이 떨어지고, 2.0몰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에서의 점도 증가에 기인한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하여 저온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좋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플루오로벤젠(FB)을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에 용질로서 LiPF6를 1몰 용해시킨 것을 전해액으로 하여 18650 원통형 전지를 제조한 후 초기 1사이클 방전량/충전량(%), -20℃ 저온 방전 용량(%) 및 수명 성능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전지 음극의 활물질로는 흑연을, 결착제로는 불화비닐리덴수지(Polyvinylidenefluoride, PVDF)를 사용하였고, 양극의 활물질로는 LiCoO2를, 결착제로는 PVDF를 사용하였으며, 도전체는 아세틸렌블랙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플루오로벤젠(FB)을 4:4: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플루오로벤젠(FB)을 2:2: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플루오로벤젠(FB)을 2:1:2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플루오로벤젠(FB)을 2:1:3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플루오로벤젠(FB)을 3: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온 저장(60℃)후 방전 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1,2-디플루오로벤젠(1,2-DFB)을 3: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온 저장(60℃)후 방전 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1,3-디플루오로벤젠(1,3-DFB)을 3: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온 저장(60℃)후 방전 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1,4-디플루오로벤젠(1,4-DFB)을 3: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온 저장(60℃)후 방전 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1,2,4-트리플루오로벤젠(1,2,4-TFB)을 3: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온 저장(60℃)후 방전 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와 플루오로벤젠(FB)을 4:4:0.5:1.5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와 플루오로벤젠(FB)을 4:3.5:1:1.5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와 플루오로벤젠(FB)을 3.5:4:0.5:2.0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와 플루오로벤젠(FB)을 3.5:3.5:1:2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와 플루오로벤젠(FB)을 3:2.5:0.5:4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시험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를 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온 저장(60℃)후 방전용량을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를 3:3:1의 비율로 혼합하고, 고온 저장(60℃)후 방전용량을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를 4.5:4.5:1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을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를 4.5:4.5:1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을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를 4.5:4.5:1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을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에틸렌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카보네이트(DMC)와 디에틸카보네이트(DEC)와 ααα-트리플루오로톨루엔(TFT)를 3: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표준용량을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혼합비 초기 1사이클 후 방전량/충전량(%) 공칭용량 대비-20℃ 방전용량(%) 공칭용량 대비 150사이클 후 방전용량
실시예 1 EC:DMC:FB=1:1:1 93.8% 83.4% 85.5%
실시예 2 EC:DMC:FB=4:4:1 93.4% 74.3% 84.3%
실시예 3 EC:DMC:FB=2:2:1 93.6% 82.6% 85.2%
실시예 4 EC:DMC:FB=2:1:2 93.9% 75.5% 83.0%
실시예 5 EC:DMC:FB=1.5:1.5:3 94.1% 60.8% 81.3%
비교예 1 EC:DMC=1:1 93.4% 23.7% 84.3%
혼합비 고온 60℃저장 후 방전용량(%) 공칭용량 대비 -20℃ 방전용량(%) 공칭용량 대비 300사이클 후 방전용량(%)
실시예 6 EC:DMC:DEC:FB=3:3:1:1 89.2% 84.5% 84.2%
실시예 7 EC:DMC:DEC:1,2-DFB=3:3:1:1 89.0% 84.1% 81.0%
실시예 8 EC:DMC:DEC:1,3-DFB=3:3:1:1 89.2% 83.5% 78.5%
실시예 9 EC:DMC:DEC:1,4DFB=3:3:1:1 89.2% 84.2% 80.3%
실시예 10 EC:DMC:DEC:1,2,4-TFB=3:3:1:1 88.3% 81.3% 77.5%
비교예 2 EC:DMC=1:1 87.5% 28.7% 81.5%
비교예 3 EC:DMC:DEC=3:3:1 85.5% 83.1% 76.1%
혼합비 공칭용량 대비표준용량(%) 공칭용량 대비 -20℃ 방전용량(%) 공칭용랭 대비 300사이클 후 방전용량(%)
실시예 11 EC:DMC:PC:FB=4:4:0.5:1.5 100.5% 84.3% 84.5%
실시예 12 EC:DMC:PC:FB=4:3.5:1:1.5 99.6% 80.9% 85.5%
실시예 13 EC:DMC:PC:FB=3.5:4:0.5:2 100.7% 85% 88.0%
실시예 14 EC:DMC:PC:FB=3.5:3.5:1:2 100.1% 82.2% 87.8%
실시예 15 EC:DMC:PC:FB=3:2.5:0.5:4 100.5% 85.5% 81%
비교예 4 EC:DMC:PC=4.5:4.5:1 97.5% 65.1% 80.5%
비교예 5 EC:DEC:PC=4.5:4.5:1 95.3% 47.3% 72.1%
비교예 6 EC:EMC:PC=4.5:4.5:1 96.5% 67.4% 74.0%
비교예 7 EC:DMC:PC:TFT=3:3:1:1 95.5% 75.4% 35%(200사이클 후)
물성평가방법
*저온 방전효율 시험 : 전지를 0.2℃에서 4.1V까지 충전시켜 -20℃에서 16시간 방치후 0.2℃에서 2.75V까지 방전시킬 경우의 용량감소를 측정하였다.
*충방전 수명 시험 : 전지를 1C에서 4.1V까지 충전시킨 후 1C에서 2.75V까지 방전시키는 것을 1사이클로하여 150∼300 사이클 실시하면서 전지의 표준용량을 매사이클마다 측정하였다 (25℃의 항온화)
*고온 저장 성능시험 : 0.5C에서 4.1V까지 충전 후 60℃ 30일 방치 후 0.2C에서 2.75V까지 방전시킬 경우의 용량감소를 측정하였다.
*표준용량 : 0.5C에서 4.1V까지 충전 후 1C에서 2.75V까지 방전시킬 경우의 용량감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은 종래의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탄산에스테르계 용매만을 사용한 비수전해액에 비해 저온성능, 수명, 고온 방전용량이 우수하다.

Claims (6)

  1.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에 있어서, 유기용매가 하기 화학식 1의 프루오로벤젠 또는 그 유도체에서 1종 이상(Ⅰ성분), 하기 화학식 2 및 3의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에서 1종 이상(Ⅱ성분) 선택되고, Ⅰ성분과 Ⅱ성분이 50 : 50 ∼ 5 : 95의 부피%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화학식 1]
    단, F는 플루오르(Fluorine)원소이고, n은 1∼6의 정수이다.
    [화학식 2]
    단, R1, R2는 각각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3]
    단, R3, R4, R5, R6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서 플루오로벤젠, 디플루오로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PF6, LiClO4, LiAsF6, LiBF4, LiCF3SO3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고, 그 첨가량이 0.7 내지 2.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비수전해액.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 및 에틸프로필카보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2/1∼1/10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이 2/1∼1/10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19990026358A 1999-07-01 1999-07-01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31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58A KR100316686B1 (ko) 1999-07-01 1999-07-01 전지용 비수전해액
EP99963685A EP1125338B1 (en) 1999-07-01 1999-12-24 Non-aqueous electrolyte composition for batteries
US09/786,012 US6855458B1 (en) 1999-07-01 1999-12-24 Non-aqueous electrolyte composition for batteries
CNB998105686A CN1156932C (zh) 1999-07-01 1999-12-24 电池用非水电解质组合物
PCT/KR1999/000811 WO2001003229A1 (ko) 1999-07-01 1999-12-24 Nonaqueous electrolyte for battery
JP2001508534A JP4280441B2 (ja) 1999-07-01 1999-12-24 電池用非水電解質組成物
TW089103205A TW461135B (en) 1999-07-01 2000-02-23 Non-aqueous electrolyte composition for batter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358A KR100316686B1 (ko) 1999-07-01 1999-07-01 전지용 비수전해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488A KR20010008488A (ko) 2001-02-05
KR100316686B1 true KR100316686B1 (ko) 2001-12-12

Family

ID=1959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358A KR100316686B1 (ko) 1999-07-01 1999-07-01 전지용 비수전해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55458B1 (ko)
EP (1) EP1125338B1 (ko)
JP (1) JP4280441B2 (ko)
KR (1) KR100316686B1 (ko)
CN (1) CN1156932C (ko)
TW (1) TW461135B (ko)
WO (1) WO2001003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0735A1 (en) * 2000-12-18 2002-08-15 Farnham William B. Additive for lithium-ion battery
KR100592235B1 (ko) * 2001-07-28 2006-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US6879482B2 (en) * 2002-04-22 2005-04-1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KR100467696B1 (ko) * 2002-08-31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4569078B2 (ja) * 2003-06-12 2010-10-27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KR100508923B1 (ko) * 2003-06-27 2005-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3950464B2 (ja) * 2003-07-01 2007-08-01 大塚化学株式会社 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および電解質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
KR100612272B1 (ko) 2003-07-31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03303B1 (ko) * 2003-10-29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효율적인 성능을 갖는 리튬 전지
EP2133895A1 (en) 2004-01-15 2009-12-16 Panasonic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KR100803470B1 (ko) * 2004-04-19 2008-02-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 제조법
CN101894975B (zh) * 2004-12-16 2011-09-14 U芝加哥阿谷尼有限公司 具有稳定电极的长寿命的锂电池
JP5085856B2 (ja) * 2005-07-07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WO2008079670A1 (en) * 2006-12-20 2008-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ated compounds for use in lithium battery electrolytes
KR100865403B1 (ko) * 2007-09-04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리튬이차전지
US8993177B2 (en) * 2009-12-04 2015-03-31 Envia Systems, Inc. Lithium ion battery with high voltage electrolytes and additives
CN102161613A (zh) * 2010-12-21 2011-08-24 东莞市杉杉电池材料有限公司 氟代苯的除水方法
WO2013153814A1 (ja) * 2012-04-11 2013-10-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電解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4147983A1 (ja) * 2013-03-19 2014-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10411299B2 (en) 2013-08-02 2019-09-10 Zenlabs Energy, Inc. Electrolytes for stable cycling of high capacity lithium based batteries
US20160218363A1 (en) * 2013-09-09 2016-07-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ithium and sodium containing layered oxide material, cathodes and sodium ion electrochemical cells
JP7131923B2 (ja) * 2018-02-20 2022-09-0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解液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7120773B2 (ja) * 2018-02-20 2022-08-17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解液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0176632A (zh) * 2018-02-20 2019-08-27 三星Sdi株式会社 用于锂二次电池的非水电解质和具有其的锂二次电池
US11973178B2 (en) 2019-06-26 2024-04-30 Ionblox, Inc. Lithium ion cells with high performance electrolyte and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achieving very long cycle life performance
CN114024036A (zh) * 2021-11-05 2022-02-08 中南大学 一种低浓度锂离子电池电解液及其制备的锂离子电池
CN115275354A (zh) * 2021-12-16 2022-11-01 华中科技大学 一种适用于碱金属离子电池的无碳酸乙烯酯电解液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923B2 (ja) * 1991-09-13 2000-09-2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5192629A (en) 1992-04-21 1993-03-09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High-voltage-stable electrolytes for Li1+x Mn2 O4 /carbon secondary batteries
JPH0864240A (ja) * 1994-08-25 1996-03-0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3354057B2 (ja) * 1996-10-03 2002-12-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有機電解液二次電池
JP3436033B2 (ja) * 1996-12-27 2003-08-11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045644B2 (ja) * 1998-05-18 2008-02-13 宇部興産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5338A4 (en) 2007-05-23
EP1125338A1 (en) 2001-08-22
JP2003504812A (ja) 2003-02-04
EP1125338B1 (en) 2012-11-28
CN1156932C (zh) 2004-07-07
WO2001003229A1 (ko) 2001-01-11
KR20010008488A (ko) 2001-02-05
TW461135B (en) 2001-10-21
JP4280441B2 (ja) 2009-06-17
US6855458B1 (en) 2005-02-15
CN1317160A (zh)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686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US10141608B2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KR20150022659A (ko)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20160079627A1 (en)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KR102239772B1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해액
KR20150024225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0789718B1 (ko) 2차전지용 비수전해액
US7459240B2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battery
KR100309777B1 (ko)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06480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642435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309776B1 (ko)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20042224A (ko) 리튬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860441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511780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511779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546781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510865B1 (ko) 리튬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616205B1 (ko) 리튬 전지용 비수 전해액
KR100642434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510863B1 (ko) 리튬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511781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20140022348A (ko)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50034118A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20180075996A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