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346B1 -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346B1
KR100302346B1 KR1019990004469A KR19990004469A KR100302346B1 KR 100302346 B1 KR100302346 B1 KR 100302346B1 KR 1019990004469 A KR1019990004469 A KR 1019990004469A KR 19990004469 A KR19990004469 A KR 19990004469A KR 100302346 B1 KR100302346 B1 KR 100302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hydroxy
oxo
tetrahydroquinoline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712A (ko
Inventor
이병석
박인규
신상훈
Original Assignee
류덕희
경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덕희, 경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덕희
Priority to KR101999000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346B1/ko
Priority to JP10801699A priority patent/JP4173599B2/ja
Publication of KR2000005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6Halogens; Compounds thereof
    • B01J27/08Halides
    • B01J27/10Chlo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2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3/2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전 치료제인 실로스타졸의 제조시 중간체로 유용한 화학식 1의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A method of preparing 6-hydroxy-2-oxo-1,2,3,4-tetrahydroquinoline}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Cilostazol) 제조시에 중간체로 유용한 화학식 1의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로스타졸은 혈전치료제로 사용되는 의약품으로서, 그 화학명은 6-[4-(1-시클로헥실-5-테트라졸릴)부톡시]-1,2,3,4-테트라히드로-2-옥소퀴놀린이고, 구조식은 하기 화학식 5와 같다.
상기 화학식 5의 실로스타졸은 중간체로서 화학식 1의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과 5-할로부틸-1-시클로헥실테트라졸를 반응시켜 제조하고 있다[Chem. Pharm. Bull., Vol. 31, 1151~1157(1983)].
화학식 1의 화합물 제조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유사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Ber, Vol. 60, 858∼864(1927)]. 즉, 이 방법은 반응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6의 N-(4-치환-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를 염화알루미늄으로 산 촉매화하여 용융상태에서 고리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식에서 X는 수소원자, 클로로, 아미노, 페닐, 메틸 또는 에톡시기이다.
이 방법의 주요 단점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유독성 고체인 염화알루미늄과화학식 6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초고온(200∼24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특수장치가 필요하여 산업화가 곤란하고, 불균일한 반응으로 골고루 반응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부반응에 따른 순도가 낮아 재결정 등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고, 목적물의 수율도 낮아(80%) 경제성이 없으며 또한 위험성이 수반된다는 점이다.
또한, 니트로신남산 유도체를 경유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참조: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66, 1442∼1443(1944)]. 이 방법은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0의 5-히드록시-2-니트로신남산 알킬로부터 환원반응 및 고리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메틸 또는 에틸기이다.
이 방법은 화학식 10의 출발물질인 화학식 8의 5-히드록시-2-니트로벤즈알데히드 및 화학식 9의 3-히드록시신남산 알킬이 매우 고가이며 가압 조건에서 반응을 수행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가수소반응을 위해 압축된 기체를 취급하기 위한 특수장치가 필요하며 발화의 위험성이 매우 큰 수소를 사용하므로 공업화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신남산 유도체를 사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 바 있다[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89, 7131∼7132(1962)]. 이 방법은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3의 3-히드록시신나모히드로사믹산으로부터 고리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주요 단점은 화학식 13의 출발물질인 화학식 11의 3-(3-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이 매우 고가이고 출발물질로부터 3단계의 제조공정을 거쳐서 제조하는 방법으로 반응 경로가 길어서 비효율적이며 마지막 공정의 수율도 52%로서 저조하다는 점이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유사한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참조: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 36, 3975∼3979(1971)]. 이 방법은 화학식 14의 4-치환-아크릴아닐리드로부터 고리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합성한 후 다시 탈알킬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6의 6-히드록시-3-치환-4-히드로카보스티릴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기이며, R1은 알킬 또는 전자주게 그룹(electron donating group)이다.
이 방법의 주요 단점은 광 반응로서 공업적으로 부적절하며 화학식 15의 화합물로의 광 반응시 그 수율이 13%로서 매우 저조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조방법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안전하고 간단하게 수율이 높은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을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N-(4-치환-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를 균일화제의 존재하에서 루이스 산과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 퀴놀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응 경로를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반응식 5와 같다.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다.
균일화제는 두 가지 이상의 반응물질을 균일하게 혼탁시켜 용융상태에서의 반응시 문제점인 불균일한 반응진행과 열전달의 감소를 완화시켜 줌으로써 미반응물 없이 보다 낮은 온도에서 균일하게 반응시키도록 도와주는 용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가능한 균일화제로는 데카히드로나프탈렌 (decahydronaphthalene); 디페닐 에테르(diphenyl ether), 이소아밀 에테르 (isoamyl ether), 벤질에틸 에테르(benzylethyl ether), 디글림(diglyme), 트리글림(triglyme) 등과 같은 고비점의 에테르 화합물; 또는 β-피넨(β-pinene), 리모넨(limonene), 테트랄린(tetraline) 등의 탄화수소 화합물이 있다. 이중 데카히드로나프탈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가능한 루이스 산 촉매로는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또는 사염화티타늄이 있으며, 이중 염화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반응조건은 0∼200℃에서 2∼18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화학식 3의 4-치환-아닐린을 화학식 4의 3-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고수율(97%)로 얻을 수 있다.
이때 반응조건은 에틸 에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술폭시드와 같은 극성 유기용매 또는 헥산 및 벤젠 등과 같은 비극성 유기 용매내에서 5℃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1의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은 혈전 치료제로 유용한 약제인 실로스타졸의 제조시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되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4-히드록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2)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에틸 아세테이트1000ml, 4-히드록시아닐린 109.1g(1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00ml에 희석된 3-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190.5g(1.5mol)을 서서히 적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액에 포화 탄산나트륨 1000ml를 가하여 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시 유기층을 물 500ml로 세척한 후 분리된 유기층을 망초로 건조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사를 이소프로판올과 물중에서 결정화하여 연보라색의 N-(4-히드록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189.7g(95%)을 얻었다.
융점: 127˚ 내지 129˚(실측: 128˚ 내지 129˚)
IR:νmax(cm-1) 3300 (N-H strech), 3200 (O-H strech), 1655 (C=O strech),
1561, 1508, 1412, 1264, 1200, 980, 839
H1NMR: δ 2.75 (2H, t, ClCH2CH 2CO-)
3.86 (2H, t, ClCH 2CH2CO-)
6.67∼7.38 (4H, q, Aromatic CH-)
9.17 (1H, s,HOPh-)
9.79 (1H, s, ClCH2CH2CONH-)
실시예 2: N-(4-메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2)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에틸 아세테이트1000ml, 4-메톡시아닐린 123.2g(1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00ml에 희석된 3-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190.5g(1.5mol)을 서서히 적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액에 포화 탄산나트륨 1000ml를 가하여 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시 유기층을 물 500ml로 세척한 후 분리된 유기층을 망초로 건조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사를 이소프로판올과 물중에서 결정화하여 연보라색의 N-(4-메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207.3g(97%)을 얻었다.
융점: 120˚ 내지 122˚(실측: 121˚ 내지 122˚)
IR:νmax(cm-1) 3275 (N-H strech), 1653 (C=O strech), 1605, 1549, 1512, 1301, 1244, 1030, 929, 829
H1NMR: δ 2.79 (2H, t, ClCH2CH 2 CO-)
3.79 (3H, s, CH 3 OPh-)
3.88 (2H, t, ClCH 2 CH2CO-)
6.85∼7.43 (4H, q, Aromatic CH-)
7.43 (1H, s, ClCH2CH2CONH-)
실시예 3: N-(4-에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2)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에틸 아세테이트1000ml, 4-에톡시아닐린 137.2g(1mol)을 가하고 실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00ml에 희석된 3-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190.5g(1.5mol)을 서서히 적가한 다음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켰다. 상기 반응액에 포화 탄산나트륨 1000ml를 가하여 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유기층을 분리하고 다시 유기층을 물 500ml로 세척한 후 분리된 유기층을 망초로 건조하고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잔사를 이소프로판올과 물중에서 결정화하여 연보라색의 N-(4-에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214.0g(94%)을 얻었다.
융점: 117˚ 내지 119˚(실측: 118˚ 내지 119˚)
IR:νmax(cm-1) 3280 (N-H strech), 1653 (C=O strech), 1605, 1548, 1511,
1308, 1241, 1047, 931, 830
H1NMR: δ 1.40 (3H, t, CH 3 CH2OPh-)
2.77 (2H, t, ClCH2CH 2 CO-)
3.86 (2H, t, ClCH 2CH2CO-)
4.01 (2H, q, CH3CH 2OPh-)
6.82∼7.40 (4H, q, Aromatic CH-)
7.56 (1H, s, ClCH2CH2CONH-)
실시예 4: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데카히드로나프탈렌 500ml, N-(4-히드록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199.1g(1mol) 및 염화알루미늄 667g(5mol)을 넣은 다음 실온에서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 15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들 생성된 고체를 5℃로 냉각시키고 물(1000ml)과 클로로포름(1000ml)을 가하여 고체를 격렬히 교반하여 분쇄시킨 후 여과하고 물 및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생성물을 진공건조시켜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 146.9g(90%)을 얻었다.
융점: 235˚ 내지 237˚(실측: 236˚ 내지 237˚)
IR:νmax(cm-1) 3315 (N-H strech), 3200 (O-H strech), 1649 (C=O strech)
1502, 1392, 1287, 1252, 1151, 1116, 963, 813, 777
H1NMR: δ 2.35 (2H, t, -CH2CH 2 CO-)
2.76 (2H, t, -CH 2 CH2CO-)
6.51∼6.66 (3H, m, Aromatic CH-)
9.00 (1H, s,HOPh-)
9.79 (1H, s, -CH2CH2CONH-)
실시예 5: 6-히드록시벤즈-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데카히드로나프탈렌 500ml, N-(4-메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213.7g(1mol) 및 염화알루미늄 667g(5mol)를 넣은 다음 실온에서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 15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들 생성된 고체를 5℃로 냉각시키고 물(1000ml)과 클로로포름(1000ml)을 가하여 고체를 격렬히 교반하여 분쇄시킨 후 여과하고 물 및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생성물을 진공건조시켜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 155.0g(95%)을 수득하였다.
융점, IR, H1NMR 데이터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6: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데카히드로나프탈렌 500ml, N-(4-에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227.7g(1mol) 및 염화알루미늄 667g(5mol)를 넣은 다음 실온에서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 15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들 생성된 고체를 5℃로 냉각시키고 물(1000ml)과 클로로포름(1000ml)을 가하여 고체를 격렬히 교반하여 분쇄시킨 후 여과하고 물 및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생성물을 진공건조시켜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 145.2g(89%)을 수득하였다.
융점, IR, H1NMR 데이터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7: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데카히드로나프탈렌 500ml, N-(4-메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213.7g(1mol) 및 염화아연 681.5g(5mol)를 넣은 다음 실온에서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 15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들 생성된 고체를 5℃로 냉각시키고 물(1000ml)과 클로로포름(1000ml)을 가하여 고체를 격렬히 교반하여 분쇄시킨 후 여과하고 물 및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생성물을 진공건조시켜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 143.6g(88%)을 수득하였다.
융점, IR, H1NMR 데이터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8: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의 제조
질소 기류하에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플라스크 내에 데카히드로나프탈렌 500ml, N-(4-메톡시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 213.7g (1 mol) 및 사염화티타늄 948.5g (5 mol)를 넣은 다음 실온에서 서서히 온도를 상승시켜 1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들 생성된 고체를 5℃로 냉각시키고 물 (1000ml)과 클로로포름 (1000ml)을 가하여 고체를 격렬히 교반하여 분쇄시킨 후 여과하고물 및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된 생성물을 진공건조시켜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 133.8g(82%)을 수득하였다.
융점, IR, H1NMR 데이터는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부산물 형성이 거의 없고, 수율도 높은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을 제조하는 우수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화합물은 혈전치료제로 유용한 실로스타졸의 제조시 유용한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화학식 2의 N-(4-치환-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를 균일화제인 데카히드로나프탈렌의 존재하에서 루이스 산과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2의 N-(4-치환-벤즈)-3-클로로프로피오닐아미드는 용매존재하에서 화학식 3의 4-치환-아닐린과 화학식 4의 3-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루이스 산이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또는 사염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0℃ 내지 200℃ 에서 2 내지 18 시간 동안 수행됨을특징으로 하는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반응이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산 및 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존재하에서 5℃ 내지 1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KR1019990004469A 1999-02-09 1999-02-09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KR100302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69A KR100302346B1 (ko) 1999-02-09 1999-02-09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JP10801699A JP4173599B2 (ja) 1999-02-09 1999-04-15 6−ヒドロキシ−2−オキソ−1,2,3,4−テトラヒドロキノリン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69A KR100302346B1 (ko) 1999-02-09 1999-02-09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712A KR20000055712A (ko) 2000-09-15
KR100302346B1 true KR100302346B1 (ko) 2001-09-22

Family

ID=1957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469A KR100302346B1 (ko) 1999-02-09 1999-02-09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73599B2 (ko)
KR (1) KR100302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5214B2 (en) 2000-08-14 2004-11-30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Substantially pure cilostazol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20050101631A1 (en) 2002-08-01 2005-05-12 Otsuka Pharmaceuticals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carbostyril derivatives
EP2152689B1 (en) 2007-04-25 2013-01-02 Concert Pharmaceuticals Inc. Analogues of cilostazol
CN105111190B (zh) * 2015-09-17 2017-11-07 浙江金立源药业有限公司 一种西洛他唑的合成方法
CN107325078B (zh) * 2017-07-17 2020-01-07 烟台万润药业有限公司 一种西洛他唑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29944A (ja) 2000-08-22
JP4173599B2 (ja) 2008-10-29
KR20000055712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987112A (zh) 制备氨基嘧啶衍生物的改善方法
KR100302346B1 (ko) 6-히드록시-2-옥소-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의 제조방법
ZA200301590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esylates of piperazine derivatives.
EP1235795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lfamides
KR20190013554A (ko) 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의 합성에 유용한 신규의 중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727424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lfonylurea derivatives
EP0388620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carboxypyridyl- and o-carboxyquinolylimidazolinones
JP4032861B2 (ja) β−オキソニトリル誘導体又はそのアルカリ金属塩の製法
WO2003014067A1 (en) PROCESS FOR PRODUCING ß-OXONITRILE COMPOUND OR ALKALI METAL SALT THEREOF
EP059123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5-(3-butyryl-2,4,6-trimethyl)-2-(1-(ethoxyimino)propyl)-3-hydroxycyclohex-2-en-1-one
EP0811612B1 (en) Process for preparing dithiocarbonimide derivatives
JP2804559B2 (ja) 2―クロロ―5―クロロメチルピリジンの製造方法
JPH061776A (ja) 置換ピラジンカルボニトリルの製造方法
JPH05140157A (ja) フエノチアジン誘導体
EP1179532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indole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AU2002241271B2 (en) Method for preparing 7-quinolinyl-3,5-dihydroxyhept-6-enoate
EP1471058B1 (en) Process for producing 1,2,3-triazole compound
KR970001473B1 (ko) 피라졸 설포닐클로라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1143878A (ja) ケイ素アジド化合物の製造方法
EP0705266B1 (en) Process for producing imidazole derivative
KR940010282B1 (ko) 시아노 구아니딘 유도체와 그 제조법
JP3567248B2 (ja) 1,2−ベンゾイソチアゾリン−3−オ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H0674250B2 (ja) チオカルバメ−ト誘導体の製法
KR0159511B1 (ko) 신규의 퀴놀린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H07247263A (ja) メチルチオベンゼン類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