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573B1 -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573B1
KR100301573B1 KR1019980030290A KR19980030290A KR100301573B1 KR 100301573 B1 KR100301573 B1 KR 100301573B1 KR 1019980030290 A KR1019980030290 A KR 1019980030290A KR 19980030290 A KR19980030290 A KR 19980030290A KR 100301573 B1 KR100301573 B1 KR 100301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nstruction
net
safety fen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699A (ko
Inventor
윤 기 박
Original Assignee
윤 기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기 박 filed Critical 윤 기 박
Priority to KR101998003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5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47Storey high safety barrier hung from the facade and sliding up from level to level as work prog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목적]
건자재 부스러기나 블록 조각, 콘크리트 분진, 암면가루 등과 같은 이물이 골조 외부로 방출되는 일이 없도록 차단하여 공사장 주변의 안전 사고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눈, 비 및 바람을 막아주어 날씨에 관계없이 작업을 속행할 수 있게 하는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이다.
[구성]
분진 등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하는 텐트(24)가 그물 모양의 네트(26)에 보강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플랫폼(10b)이 다층 구조로 배열된 네트 프레임(10)에 조립된다. 이것은 건축물(2)의 외벽부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체인의 정역 구동에 의해 상기 건축물(2)을 타고 오르는 지지체(8)에 부착되어서 건축물의 공사 진척에 맞추어 층 단위로 상승 이동시키면서 사용하는 것이다.
[효과]
네트 프레임의 텐트와 그물 모양의 네트에 의해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이물질의 방출 및 작업자의 추락 사고가 방지되고, 또 공사장 주변을 완전히 차단하므로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와, 눈 비 바람 등의 외부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내부에서 철근, 콘크리트 타설, 석고보드 취부, 조적공사 그리고 외부 전단벽 시공 시 자체 작업 발판을 이용하여 전천후로 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부에 설치되어서 건축물의 외부로 이물질이 낙하되는 것을 막아주고, 그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환경 오염을 예방하는 것이며, 또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은 물론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천후 작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self climbing net)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최근의 건축공사의 양상은 대도시화 및 초고층화 추세에 있고, 건축 시공기술의 발달과 관리 기법의 선진화에 발 맞춰 급속공사의 패턴을 추구해 나가고 있다. 즉, 건축 구조물 공사, 외장 공사 및 내장공사의 효율적인 공법 적용과 각종 공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 기술 및 관련 기법의 괄목할 만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초고층화 및 급속공사의 패턴을 뒷받침하여 줄만한 적절한 외장 가설기법의 개발은 매우 미미한 정도의 수준에 머물고 있다. 외장 가설망은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건축 자재 부스러기, 블록, 이물질 등이 낙하되는 것을 막고, 분진 발생의 환경오염은 물론 현장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차량 등에 피해를 주거나 특히 작업자의 추락 사고와 같은 산재를 막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
외장 가설망은 건축물의 외벽부에 프레임을 짜맞추고, 이 프레임에 의지하여 천막을 치거나 추락 방지망을 여러 장 펼쳐 붙여 놓는 구조가 대종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미봉책에 지나지 않고, 특히 초고층 공사에서는 변화무쌍한 외부 기상 조건에 견디지 못하여 파열되거나 손괴(損壞)되어 얼마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그 설치 및 해체가 번거롭고, 특히 설치 및 해체 작업 시에는 종사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여 산재 발생률이 극히 높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97-34160호를 통해 H형강등의 건축물 골조를 이용하여 승강되는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를 발명한 바 있다.
상술한 구조는 건축물의 축조에 맞춰 안전 펜스를 상승 이동시켜 필요한 작업을 행할 수 있게 하여 공기 단축 효과가 지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것을 설치하려면 예비적으로 건축물의 외측에 유도용 레일(H형강) 등을 가설하고 철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사용이 편리한 랙 피니언 방식으로 승강시킬 경우에, 상기 랙 기어의 제조비가 막대하여 설비 비용도 비싼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설비비가 저렴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설치를 위한 예비적 공사 항목도 줄여 간편하게 시설할 수 있는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 펜스는 건축물의 골조가 되는 H형강 등에 롤러 달린 밴드를 일정 장소마다 부착 배열하여 놓고, 네트 프레임에 지지체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상기 로울러를 따라 안내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체의 일정 개소마다 고정고리를 다수 배열하여 상기 롤러 달린 밴드에 현수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여기에 패널식 네트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롤러 달린 밴드에 현수되는 고정고리를 갖춘 체인을 상기 지지체의 측방에 설치하여 이것의 정역 회동에 의해 상기 지지체가 로울러를 타고 건축물의 외부면을 상하로 이동하게 한 구성으로 된다.
또, 패널식 네트에는 분진와 같은 미세한 이물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텐트가 설치되며, 그 텐트의 내측에는 크고 무거운 이물질의 낙하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텐트를 보강하는 그물 모양의 네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안전 펜스는 건축물의 외벽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서 공사 진행 중에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이 외부로 낙하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주게 되고, 또 상기한 안전 펜스는 지지체에 편승하여 상승 이동하기 때문에 고층 건물의 공사 진척에 맞춰 설치 및 해체가 간편 용이하고 공사장 주변의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안전 펜스에 관한 설치 상태를 보인 공정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네트 프레임과 지지체 사이의 연계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네트 프레임과 상승수단의 연계 구조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도에 대응하는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접혀진 상태를 보인 개략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시공 순서를 설명하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건축물 8 : 지지체
10 : 네트 프레임 10a : 판넬식 네트
10b : 플랫폼 10c : 절첩식 네트
12 : 롤러 달린 밴드 14 : 고정고리
18 : 동력원 20 : 스프로켓
22 : 체인 24 : 텐트
26 : 네트 40 : 승강용 고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된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의 설치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설명 부호 (2)는 지면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건축물을 지칭한다. 건축물(2)은 H형강 구조물 또는 RC 구조물(reinforced concrete)을 사용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층별로 배열되는 수평 거더(4)와 함께 조립된 기본 골격을 포함한다.
이러한 건축물(2)의 측면, 즉 외벽면에는 본 실시예의 안전 펜스(6)가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안전 펜스(6)는 건축물(2)의 5개 층을 커버하는 크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커버 면적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 안전 펜스(6)는 건축물(2)에 근접 설치되어서 그 외측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안전 펜스(6)는 지면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건축물(2)의 외벽부에 지지체(8)를 세우고, 여기에 건축물의 외벽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네트 프레임(10)을 설치하되,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2)에 장착된 롤러 달린 밴드(12)로 상기 지지체(8)를 현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롤러 달린 밴드(12)는 건축물(2)을 구성하는 H형강 등의 골조에 미리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며, 이것은 단부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2a)로 고정되어 있는 롤러(12b)를 홀더(8a)로 감싸고 있음에 따라 롤러(12b)에 현수 및 지지되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롤러 달린 밴드(12)는 건축물(2)의 각 층마다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지지체(8)를 현수시키는 것이며, 이것에 대응하여 지지체(8)의 상부 2개 층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고리(14)가 설치되어서 각 층의 롤러 달린 밴드(12)에 걸려져 지지됨으로써 일정 위치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현수된다. 고정고리(14)는 항상 건축물(2)을 향해 경사 자세를 취하되, 스토퍼에 의해 받쳐져서 일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상승시에 선두의 경사부(14a)가 상측의 롤러 달린 밴드(12)를 타고 넘었을 때에 자중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으로 경사 자세를 취하게 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걸려지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지지체(8)에는 제2도와 같이 정형화된 판넬식 네트(10a)와 플랫폼(10b)이 설치되는데, 이것은 각 층마다 2개씩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지체(8) 및 패널식 네트(10a)가 조립되어 제1도와 같은 형태의 네트 프레임(10)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패널식 네트(10a)의 상부 및 하부에는 작업자의 발판으로서 플랫폼(10b)이 설치되는데 이것은 각 층에 대응하도록 1개 정도가 배치될 수 있지만, 이것은 작업 조건에 따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정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전 펜스(6)의 외측면에는 제1도와 같이 회사 상호나 로그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네트 프레임(10)은 제4도로 예시한 상승수단을 구비하여 자력으로 건축물(2)의 외벽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지지체(8)에 가로 걸쳐진 보강판(16)상에 설치되는 모터 등의 동력원(18)과, 그 동력원(18)에 직결된 구동 스프로켓(20)과, 이 구동 스프로켓(20)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공전 스프로켓(21), 그리고 이들 사이로 감겨진 체인(22)과, 지지체(8)에 등간격, 예를 들어 각 층 높이마다 1개씩 배치되도록 설치된 고정고리(14)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고리(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항상 건축물(2)을 향해 경사 자세를 취하되, 스토퍼에 의해 받쳐져서 일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상승 시에 선두의 경사부(14a)가 상측의 롤러 달린 밴드(12)를 타고 넘었을 때에 자중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으로 경사 자세를 취하게 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있다.
체인(22)은 각 층의 높이에 맞춰 이동하는 승강용 고리(40)가 건축물(2)의 롤러 달린 밴드(12)에 걸려지도록 적어도 2∼4층의 높이로 벌려져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거하여 네트 프레임(10)은 동력원(18)이 정방향(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면, 고정고리(14)가 밴드(12)에 걸려져 정지되어 있음에 따라 지지체(8)에 반력으로 작용하고, 이에 따라 홀더(8a)가 롤러 달린 밴드(12)의 롤러(12b)에 안내되어 상승되면서 지지체(8)는 상방향으로 이동이 시작된다. 그 이동은 지지체(8)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고리(14)가 그 상측에 배치된 롤러 달린 밴드(12)를 타고 넘어 현수될 때까지 진행한다. 이렇게 지지체(8)가 상승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네트 프레임(10)도 상승하게 된다. 그 이동이 종료되면 동력원(18)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동력원(18)의 역방향 구동은 체인(22)에 고정된 승강용 고리(40)가 롤러 달린 밴드(12)에서 벗겨지게 작용하고, 이렇게 벗겨진 승강용 고리(40)는 역방향 구동이 계속되면서 1층분 만큼 더 올라가 다음번 롤러 달린 밴드(12)에 걸려지고, 다음에는 다시 동력원(18)을 정방향 구동시켜 지지체(8)가 상승되게 하는 순서로 건축물의 공사 진척에 맞춰 네트 프레임(10)을 상승 이동시켜 나간다.
이와 같은 작동에 따라 본 실시예의 네트 프레임(10)은 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자력으로 순차 1개 층씩 상승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동력원(18)은 전자(電磁) 브레이크를 구비한 모터를 채용하면 네트 프레임(10)의 상하 이동시 제동을 병행하여 더 정교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네트 프레임(10)의 내측으로는 분진과 같은 미세한 이물질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텐트(24)가 설치된다. 텐트(24)는 PVC 재질의 시트재로서, 네트 프레임(10)의 외측에 적어도 1겹이 설치된다. 또 텐트(24)의 내측에는 그물모양의 네트(26)가 중첩되어서 이를 보강시켜 주고 있다. 이 때문에 텐트(24)는 초고층 건물의 상층부로 시공되어도 강풍 등에 잘 견디게 되는 것임은 물론, 크고 무거운 물체의 낙하 및 작업자의 추락까지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게 된다. 그물모양의 네트(26)는 네트 프레임(10)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제 망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네트 프레임(10)은 교차 배열되는 턴 버클 등에 의해 구조 보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전 펜스(6)에는 건축물(2)의 외부 마감공사로서 커튼 월, 외벽 미장패널 등의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하부에 주행용 레일(28)을 설치하고, 그 주행용 레일(28)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롤러(30)을 설치한 것이며, 그 롤러(30)에는 외벽 미장패널을 인양시키기 위한 체인블록(32)을 설치하고 있다. 통상 외벽 미장패널은 프리캐스팅되어 200∼600kg의 중량을 가지는 것이므로 상기 체인 블록(32)을 설치하여 두면 이와 같은 외부 마감재를 바로 인양하여 설치할 수 있어서 대단히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안전 펜스(6)는 건축물의 사방 외벽에 각각 설치되어서 작업장의 외부 노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공사 진행에 수반하여 건축물(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미세 입자의 이물질은 텐트(24)에 의해 차단되어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공사를 행할 수 있게 되고, 더구나 건축 자재 부스러기 또는 블록과 같이 중량이 무거운 물체는 물론 작업자의 추락까지 차단할 수 있어서 산업 재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준다.
또 건축물의 내부가 완전히 차단되므로 눈 비, 바람 및 동절기의 한파에도 콘크리트 양생과 내화피복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현저하게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를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1의 안전 펜스는 설치 및 철거 작업의 반복 회수를 줄이면서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 배치할 수 있는 것이나, 펜스 프레임의 조립 및 해체에 수공이 요구되므로 번거롭고 또한 그 길이가 운반이 어려울 정도로 길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플랫폼(10b)의 하부에는 절첩식 네트(10c)가 설치되고, 이것은 제6도와 같이 접철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하부의 다른 플랫폼(10b)과 연결되므로 제5도와 같이 펼쳐져서 대략 건축물의 5∼6층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층 구조로 조립된 네트 프레임(10)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건축물(2)의 외벽면을 타고 상승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설치 방식으로는 복수개의 플랫폼(10b)을 나란하게 동일 평면상으로 배열하고 상호 인접하는 것끼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6)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건축물(2)의 전체 외벽면까지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네트 프레임(10)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텐트 및 절첩식 네트(10c)가 설치되는 바, 이것은 제6도에서와 같이 플랫폼(10b)의 일측 외부에 하우징(38)을 개재하여 수납 설치된 상태에서, 제5도와 같이 펼쳐질 경우에 하부의 플랫폼(10b)과 함께 펼쳐져 건축물(2)을 커버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 2의 구조로 된 안전 펜스는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지지체(8)에 설치된 체인(22) 및 승강용 고리(4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지지체(8)가 상승될 때에 접혀진 다수의 플랫폼(10b)을 상방으로 하나씩 전개시키는 것이며, 이때 플랫폼(10b) 사이로 접혀져 있던 절첩식 네트(10c)가 펼쳐지면서 설치되고, 이와 동시에 텐트 및 절첩식 네트(10c)가 펼쳐져 건축물(2)의 외벽면을 커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지지체(8)의 상승을 위하여 마련되는 동력원(18)과 체인(22)등을 갖춘 상승수단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각 층마다 플랫폼(10b)이 펼쳐지고 그 사이로 텐트 및 절첩식 네트(10c) 등이 완전히 펼쳐져 설치된 다음부터는 일거에 자력으로 층간 사이를 상승 이동하게 되어 초고층 빌딩이라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건축물(2)의 최상층에 도달하여 공사가 종료된 후의 철거는 최하측 플랫폼(10b)을 롤러 달린 밴드(12)에 고정하고, 패널식 네트(10a)는 건축물(2)의 축조에 사용된 통상의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체와 동시에 지상으로 하역하여 놓고 플랫폼(10b)과 지지체(8)로 분리하면 간단하게 트럭 등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안전 펜스는 건축 구조물의 사방을 외부에서 완전히 차단하여 분진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건축 자재나 중량물 더 나아가 작업자의 추락 사고까지 차단할 수 있어 주변 거주자의 불편이 없고, 산업 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상승 수단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면 상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므로 종래 방식과는 달리 설치 및 철거 작업의 반복 회수가 줄고, 용이하게 작업 장소 및 층을 변경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공사 현장의 주변 청결은 물론 환경 오염까지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공정 진행이 기상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전천후 작업으로 되어 공기 단축과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대단히 크다.
또 본 발명은 펜스 프레임을 용이하게 조립 해체할 수 있는 구조이고, 이들 구성 부분을 간결하게 접어 작은 부피로 할 수 있어서 설치 및 철거 작업이 간단하고 운반이 편리하며, 이들의 설비를 위해 예비적으로 행해야 하는 공사도 간편하여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다층을 커버하여 각 층마다 연관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공정의 진행 속도를 신속화 할 수 있으며, 하부에 기둥이 없으므로 외벽 마감공사 등의 다른 공정과 병행될 수 있다.

Claims (3)

  1. 건축물 외벽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 소정 위치에 고정고리가 부착되어서 이를 통해 상기 건축물 외부로 현수되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에 부착되어서 함께 이동되는 네트 프레임과;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동력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대향 배치된 스프로켓에 설치되고, 건축물에 현가되는 연결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를 연동시켜 상승 이동되게 하는 체인을 포함한 구성으로 된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프레임의 하측방에 절첩식 네트가 연결되고, 그 측방에는 텐트가 권취되어 수납되는 하우징이 부착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펜스의 하부에 외벽 마감 공사용 자재 등을 인양할 수 있는 장비가 장착될 수 있도록 레일이 더 설치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공사용 안전 펜스.
KR1019980030290A 1998-07-28 1998-07-28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KR100301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90A KR100301573B1 (ko) 1998-07-28 1998-07-28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90A KR100301573B1 (ko) 1998-07-28 1998-07-28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99A KR20000009699A (ko) 2000-02-15
KR100301573B1 true KR100301573B1 (ko) 2001-10-27

Family

ID=1954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290A KR100301573B1 (ko) 1998-07-28 1998-07-28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5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41B1 (ko) 2009-03-24 2009-06-18 강인형 안전 표시부를 포함하는 가설 구조물
KR100910543B1 (ko) 2009-03-27 2009-08-03 (주)이앤에치 건축공사용 휘장망 설치장치
KR100910544B1 (ko) 2009-03-27 2009-08-10 (주)이앤에치 건축공사용 휘장망 설치장치
KR101077983B1 (ko) 2009-02-04 2011-10-31 (주)이앤에치 휘장망 설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49A (ko) * 2000-03-24 2001-10-18 김종권 가이드 후레임과 윈치를 이용한 수직보호망 설치장치
KR20010096288A (ko) * 2000-04-18 2001-11-07 노 희 상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CN103615101B (zh) * 2013-11-06 2016-01-0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超高中庭架体分解延伸防护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983B1 (ko) 2009-02-04 2011-10-31 (주)이앤에치 휘장망 설치구
KR100903441B1 (ko) 2009-03-24 2009-06-18 강인형 안전 표시부를 포함하는 가설 구조물
KR100910543B1 (ko) 2009-03-27 2009-08-03 (주)이앤에치 건축공사용 휘장망 설치장치
KR100910544B1 (ko) 2009-03-27 2009-08-10 (주)이앤에치 건축공사용 휘장망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99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648B1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KR100944463B1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US7971408B2 (en) Stairtower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US5327690A (en) Erection workbench for constructing a frame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100301573B1 (ko)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JPH09317183A (ja) 建造物構築方法
JPH0571225A (ja) 全天候型仮設屋根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JPH05133016A (ja) 周辺保持自昇式建築工法
CN116181041B (zh)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CN116335398B (zh) 一种多层快速施工方法
CN213087525U (zh) 一种楼层间施工跑道式平台装置
CN215889405U (zh) 一种折叠式悬挑卸料平台
CN213171372U (zh) 一种轻型拼装式垂直运输装置
JPH08120936A (ja) 高層建築構造物の構築工法とその構築用装置
JPH10140845A (ja) 水平開口部の落下防止装置
JPH086461B2 (ja) クライミング式全天候型仮設屋根
JPH0445628B2 (ko)
KR100473612B1 (ko) 거푸집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골조 구축 방법
JPH06212804A (ja) アルミカーテンウォール大型ユニット工法と吊り治具
JPH03293470A (ja) 足場装置
JPH07150771A (ja) 外部養生用被覆体のフレームの設置構造
JP2023018238A (ja) エレベータのクライミング据付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835880B2 (ja) 高層建物の躯体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