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406B1 - 리튬이온이차전지의양극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이온이차전지의양극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406B1
KR100300406B1 KR1019980040412A KR19980040412A KR100300406B1 KR 100300406 B1 KR100300406 B1 KR 100300406B1 KR 1019980040412 A KR1019980040412 A KR 1019980040412A KR 19980040412 A KR19980040412 A KR 19980040412A KR 100300406 B1 KR100300406 B1 KR 10030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ubstrate
secondary battery
ion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383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4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40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목적 : 기재와 활물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전지의 용량를 좌우하는 활물질의 양을 증대시킨 양극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성 : 교류 전해법을 이용하여 양극 기재(12)에 다수의 미세 홀(20)을 형성한 다음, 상기 양극 기재(12)의 표면에 페이스트 상의 활물질(22)을 도포함에 이어 압연하여 상기 미세 홀(20)로 활물질(22)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양극(24)을 제조하게 된다.
효과 : 양극 기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 홀로 활물질이 충진된 상태로 압착이 됨으로써 양극이 보다 많은 양의 활물질을 보유할 수 있게 되어 전지 용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고, 기재와 활물질의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positive electrode used i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기재를 가공하여 양극 활물질을 보다 많이 충진시킴으로써 전지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리튬-천이 금속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활물질로 탄소 혹은 탄소복합체가 사용되며, 그 사이에 유기 용매에 리튬염을 녹인 액체 전해질이 주입되어서, 상기 양극과 음극간에 리튬 이온이 이동되고 기전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을 형성하는 과정은 기재(substrate)에 페이스트상으로 된 활물질 슬러리(slurry)를 일정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하고 롤 프레싱(Roll Pressing)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바,
도 3에서는 종래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을 나타내고 있다.
양극 기재(2)는 Al 박막을 사용하고, 이러한 기재(2)에 리튬천이 금속산화물과 같은 활물질(4)이 도포되어 양극(6)을 형성하는데, 활물질이 도포되기 전 그 결합력과 전기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바인더와 도전제를 활물질(4)과 함께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를 양극 기재(2)에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극(6)은 전지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극 활물질(4)의 양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기재(2)에 도포되는 활물질(4)의 양을 두껍게 하게 되면 결합력이 약화되어 활물질(4)의 탈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전지 불량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기재(2)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슬러리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미세한 외력에도 쉽게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아울러 2차 전지의 충방전시 또는 외부에서의 작은 스트레스에도 기재(2)에서 활물질(4)이 탈락하여 용량과 전지의 수명이 적어지는 주요인이 되며, 이런 활물질(4)의 탈락은 리튬 금속의 석출 원인이 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마저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기재와 활물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전지의 용량를 좌우하는 활물질의 양을 증대시킨 양극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교류 전해법을 이용하여 양극 기재에 다수의 미세 홀을 형성한 다음, 상기 양극 기재의 표면에 페이스트 상의 활물질을 도포함에 이어 압연하여 상기 미세 홀로 활물질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양극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 기재는 알루미늄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 기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 홀로 활물질이 충진된 상태로 압착이 됨으로써 양극이 보다 많은 양의 활물질을 보유할 수 있게 되어 전지 용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고, 기재와 활물질의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양극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양극 기재에 미세공을 형성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양극을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트레이12 : 양극 기재
14, 16 : 롤18 : 교류
20 : 미세홀22 : 활물질
24 : 양극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과정은, Al, Ni, 동박으로 이루어진 양음극 기재에 페이스트상으로 된 양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각각 일정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로에서 건조시키고 롤 프레싱하면, 일정두께의 양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음극 기재가 형성된다.
이러한 양음극 기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다음 세퍼레이터와 함께 밀착시켜 극판군을 형성하고, 밀착된 극판군의 선단부에 맨드렐(mandrel)을 끼워 스파이럴 모양으로 권취한 후 양극 기재에는 양극탭을, 음극기재에는 음극리드를 접속한다.
그리고 극판군의 양단부에 절연링을 대면시킨 후 캔에 넣고, 음극리드를 캔의 내부 하단면에 용접한 다음, 캔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캔의 개구에 절연가스킷을 덧대고 그 내쪽에 상기 양극탭과 접속되는 안전변이 내장된 캡어셈블리를 위치시킨 후 캔을 크림핑하여 밀봉한다.
이와 같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양극에 도포되는 활물질의 양은 전지의 용량을 좌우함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양극을 제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양극(24)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양극 기재(12)에 미세 홀(20)을 형성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해액이 충전된 트레이(10) 내에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진 시트 상의 기재(12)가 롤(14) 상태로 위치하고, 기재(12)를 테이크 업하여 구동측 롤(16)로 감아가며 이들 양 롤(14)(16)에 교류 전류(18)를 인가하여 통전시킴으로써, 상기 기재(12)에 산화·환원반응에 의한 미세 홀(2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재(12)에 도전제, 바인더가 함유된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도포한 후 압연하여 미세 홀(20)로 양극 활물질(22)이 충진되도록 하고, 이어서 건조로에서 건조과정을 거쳐 재차 압연함으로써 소망하는 형태의 양극의 두께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양극 기재(12)의 미세홀(20)로 양극 활물질(22)이 치밀하게 충진된 형태로 양극(24) 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종래와 동일한 두께의 양극(24)이지만좀 더 증대된 활물질을 보유한 양극(24)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교류 전해법으로 미세 홀을 형성한 양극 기재에 양극 활물질를 도포하고 압연함으로써 미세 홀로 활물질이 충진되도록 하여 종래의 양극과 동일한 두께로 제작되더라도 더 많은 활물질을 보유한 양극을 얻을 수 있어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에 도포된 활물질의 접착력이 증대하여 활물질 탈락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지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양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교류 전해법을 이용하여 양극 기재(12)에 다수의 미세 홀(20)을 형성한 다음, 상기 양극 기재(12)의 표면에 페이스트 상의 활물질(22)을 도포함에 이어 압연하여 상기 미세 홀(20)로 활물질(22)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기재는 알루미늄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
KR1019980040412A 1998-09-29 1998-09-29 리튬이온이차전지의양극제조방법 KR10030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412A KR100300406B1 (ko) 1998-09-29 1998-09-29 리튬이온이차전지의양극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412A KR100300406B1 (ko) 1998-09-29 1998-09-29 리튬이온이차전지의양극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383A KR20000021383A (ko) 2000-04-25
KR100300406B1 true KR100300406B1 (ko) 2002-06-20

Family

ID=1955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412A KR100300406B1 (ko) 1998-09-29 1998-09-29 리튬이온이차전지의양극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348B1 (ko) * 2011-09-26 2013-06-17 김갑용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383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210B2 (en) Electrode metal material, capacitor and battery formed of th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material and the capacitor and battery
US6808845B1 (en) Electrode metal material, capacitor and battery formed of th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material and the capacitor and battery
US5568353A (en) Electrochemical capaci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411690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02017238A (zh) 非水系电池用正极板、非水系电池用电极组及其制造方法、以及方形非水系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EP2629352A1 (en) Reinforced metal foil electrode
CN102017272A (zh) 非水系电池用电极组及其制造方法、以及圆筒形非水系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JP2000021453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1900337A (zh) 一种锂离子电池极片及其制备方法
JP2019175838A (ja) 負極及び硫化物固体電池
JP4996053B2 (ja) 被覆されたエクスパンドメタル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化学的な装置における導電体としての該メタルの使用
JPH07335199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1021928A (ja) 二次電池用電極材料
US3740270A (en) Duplex electrode construction using continuous metal carrier strip coated on both sides with conductive adhesive
KR100300406B1 (ko) 리튬이온이차전지의양극제조방법
JP3475001B2 (ja) 非水電解液電池の製造方法
CN113540400B (zh) 一种大尺寸圆柱锂离子二次电池及其正负极极片
KR100439350B1 (ko) 밴드형 리튬금속 음극의 연속 제조방법과 리튬금속 음극을이용한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329928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7115799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20180174765A1 (en) Electrochemical device
JP4975901B2 (ja) 電池用電極板と電池
JPH07226206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157553B1 (ko) 접착력이 우수한 집전체를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집전체용 금속박
KR100359054B1 (ko) 도전성 슬러리로 표면처리된 금속산화물 양극, 그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