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208B1 -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208B1
KR100295208B1 KR1019980051681A KR19980051681A KR100295208B1 KR 100295208 B1 KR100295208 B1 KR 100295208B1 KR 1019980051681 A KR1019980051681 A KR 1019980051681A KR 19980051681 A KR19980051681 A KR 19980051681A KR 100295208 B1 KR100295208 B1 KR 10029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dy
suction device
vacuum cleaner
hole
ra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007A (ko
Inventor
고지 하치스
겐지 야나기사와
시로 이시이
다카노부 가미오카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0002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기모포롤러체 그 자체의 구성 및 그의 자유회전 억제기구를 단순화할 수 있고 기모포가 한쪽만 마모되는 일이 없고 또한 기모포롤러체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에 모래먼지 등의 침입이 있더라도 이것을 사용자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바닥면 등을 닦기 위한 기모포롤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기모포롤러체를 기모포를 감은 원통롤러 및 그의 양 끝부에 일체화되어 흡입기구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되는 지지부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와 스트로크조정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한층더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혀형상부재의 근원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혀형상부재의 두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드롭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A SU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닦기기능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 5-261035호에 개시되고 있는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5는 그의 종단면도, 도 16은 그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17은 그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이 종래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바닥용 흡입기구의 본체(1)이 상부케이스(case)(2)와 하부케이스(3)을 범퍼(bumper)(4)를 사이에 끼워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5)는 하부케이스(3)에 마련한 흡입구로서, 흡입구(5)로부터 흡인된 공기류는 상하케이스(2), (3)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연결관(6)을 거쳐서 전기청소기 본체(도시하지 않음)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7)은 하부케이스(3)의 앞부분의 좌우단에 마련한 앞바퀴, (8)은 하부케이스(3)의 뒷부분에 착탈자유롭게 설치한 기모포롤러(roller)체(8)이다.
기모포롤러체(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롤러(9)의 바깥둘레에 기모포(표면에 기모(起毛) 공정을 실시한 직물)(11)을 감은 것으로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11)의 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모포롤러체(8)의 양끝에는 각각 계단모양의 통형상 홀더(holder)(12)가 삽입고정되어 각 홀더(12)의 중심구멍(12a)에 각각 버섯(poppet)형상의 축받이부재(13)의 축부(13a)가 미끄러짐(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축받이부재(13)은 그의 축부(13a)의 선단이 2분할되어 형성되고, 이 분할부의 바깥둘레에 각각 발톱(13b)가 형성되어 있어 축부(13a)를 홀더(12)의 중심구멍(12a)에 삽입했을 때에는 각 발톱(13b)가 홀더(12)의 내측 끝면과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서 홀더(1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축받이부재(13)의 헤드부(頭部) 외측 끝면에는 직사각형형상의 돌기(13c)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이 돌기(13c)가 하부케이스(3)에 마련한 직사각형구멍(3a)내에 삽입해서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축받이부재(13)의 헤드부 내측 끝면과 홀더(12)의 외측 끝면 사이에는 축받이부재(13)에 대해 상시(常時) 외측방향(발톱에 의한 홀더와의 걸어맞춤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1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기모포롤러체(8), 홀더(12), 축받이부재(13) 및 코일스프링(14)는 조립에 의해서 일체화된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 흡입구(5)로부터 흡입된 먼지 등은 연결관(6)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연장관, 가요성 호스(hose)를 통해 전기 청소기본체내에 퇴적된다. 흡입기구의 전진시에는 흡입구(5)가 먼지 등을 빨아 들인 후에 기모포롤러체(8)이 바닥면상을 통과하여 바닥면상에 부착한 먼지 등을 기모포(11)에 의해서 닦아낸다. 이 때, 기모포롤러체(8)은 바닥면상에서는 마찰저항이 코일스프링(14)의 부세력(付勢力 ;다른 물체에 대해 가하는 힘)보다 작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닦아낸다. 한편, 흡입기구에 의해 융단의 청소를 할때는 마찰저항이 크기 때문에 기모포롤러체(8)은 코일스프링(14)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회전하여 융단 표면을 클리닝(clening)한다.
기모포(11)의 세정을 위해 기모포롤러체(8)을 하부케이스(3)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모포롤러체(8)을 손으로 쥐고, 그 상태에서 축방향의 한쪽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방향 선단에 위치하는 축받이부재(13)의 헤드부를 코일스프링(14)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홀더(12)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서, 이동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축받이부재(13)의 헤드부의 돌기(13c)가 하부케이스(3)의 직사각형 구멍(3a)에서 빠지므로, 그 상태에서 기모포롤러체(8)을 기울이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8)을 하부케이스(3)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홀더(12)측으로 이동되고 있던 축받이부재(13)은 기모포롤러체(8)의 하부케이스(3)으로부터의 이탈후에 코일스프링(14)의 부세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한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이상과 같이 기모포롤러체(8), 홀더(12), 축받이부재(13) 및 코일스프링(14)를 조립에 의해서 일체화하여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모포(11)의 세정을 위해 기모포롤러체(8)을 하부케이스(3)에서 분리하더라도 기모포롤러체(8)에서 코일스프링(14)를 분리할 수 없어 기모포(11)을 물로 빨거나 하면 코일스프링(14)가 녹슬어 축받이부의 동작에 불량이 발생하여 착탈이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기모포롤러체(8)을 소모품으로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고가의 물건으로 되어 불이익을 주게 된다. 또, 마찰저항이 작은 바닥면상에서는 기모포롤러체(8)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바닥면을 닦아내기 때문에 피청소면과 항상 한 곳에서 접하게 되어 기모포(11)의 마모가 심하여 한쪽만 마모되는 원인으로 된다.
그래서, 코일스프링을 기모포롤러체에서 분리하여 바닥용 흡입기구본체측에 배치하고 상기 기모포의 물세탁후의 축받이부의 동작불량 등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쐐기 효과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전진시에 기모포롤러체를 자동적으로 고정시키고 후진시에 기모포롤러체의 구속을 자동적으로 해제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 쐐기 효과를 이용한 기구의 수동해제기구 등을 마련하여 피청소면이 융단인 경우의 조작성도 고려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마찰저항이 작은 바닥면상에 있어서도 후진시에 기모포롤러체가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예와 같이 기모포롤러체가 한 곳에서 접하지 않고 전후진을 반복할 때마다 접촉면의 이동이 실행되어 한쪽만 마모되는 현상이 저감된다. 그렇지만, 전진시에는 기모포롤러체의 회전이 완전히 고정되기 때문에 한쪽만 마모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코일스프링을 기모포롤러체에서 분리해서 구성함과 동시에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에 점성저항장치를 마련하고 마찰저항이 작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기모포롤러체를 천천히 회전시키고 마찰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기모포롤러체를 상기 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시키도록 하여 한쪽만 마모되는 문제를 해소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점성저항장치가 복잡하고 부품점수의 증가도 초래하여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없다.
또, 어떠한 종래예에 있어서도 기모포롤러체는 기모포를 감은 원통롤러 및 그의 양 끝에 일체화되는 지지부가 상대회전운동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모포롤러체의 부품점수가 많아 이러한 면에서도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없다. 또, 상대회전운동부의 틈(간극)에서 모래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회피할 수 없어 회전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로 되면, 그 구조상, 사용자가 분해해서 청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모포롤러체 그 자체의 구성 및 그의 자유회전 억제기구를 단순화할 수 있고, 기모포가 한쪽만 마모되는 일이 없고 또한 기모포롤러체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에 모래먼지 등의 침입이 있더라도 이것을 사용자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종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기모포롤러체의 착탈수순의 설명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6은 제3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측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9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측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12는 제7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제동수단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측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종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17은 종래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주요부 종단면도.
<부호의 설명>
2 ; 상부케이스, 3 ; 하부케이스, 4 ; 범퍼, 21 ; 흡입기구본체, 22 ; 기모포롤러체, 23 ; 원통롤러, 24 ; 기모포, 25, 26 ; 캡(지지부), 25a, 26a ; 돌기, 25b, 26b ; 돌기의 중심구멍, 26c ; 캡둘레면(지지부둘레면), 27 ; 오목부, 28 ; 구멍, 29 ; 판스프링(부세수단), 41, 51 ; 혀형상부재(부세수단), 4a ; 팽창돌출부(범퍼에 의한 혀형상부재 유지부), 52 ; 슬릿, 61 ; 팽창돌출부(부세수단), 71, 81, 91 ; 제동수단, 72 ; 평면부, 73 ; 제동부재, 74 ; 중심축, 75 ; 제동바퀴, 76 ; 구멍, 76a ; 구멍의 가장자리부(삽입량 제한수단), 77 ; 리브(상측방향 이동량 제한리브), 83 ; 암, 84 ; 팽창돌출부(제동부재), 25d, 26d ;테이퍼, 92 ; 발톱기어, 92a ; 사면, 93 ; 역전방지부재, 101 ; 슬라이더, 101a ; 조작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바닥면 등을 닦기 위한 기모포롤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기모포롤러체를 기모포를 감은 원통롤러 및 그의 양 끝부에 일체화되어 흡입기구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되는 지지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 기모포롤러체의 각 지지부의 외측 끝부에 각각 돌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흡입기구본체에 한쪽의 돌기를 지지하는 오목부와 다른쪽의 돌기를 지지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또 이 구멍의 내측에는 이 구멍을 관통한 돌기에 오목부측으로 직접 힘을 가하는 부세(付勢)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또, 돌기를 막을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롤러에 다수의 미세구멍을 마련하거나 또는 원통롤러를 다공체로 구성한 것이다.
또,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베이스단이 유지되고 자유단이 구멍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서 구멍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혀형상부재로 구성한 것이다.
또, 혀형상부재의 배면측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한 범퍼에 의해 유지한 것이다.
또, 흡입기구본체에 있어서의 혀형상부재의 베이스부 양측에 슬릿(slit)을 형성한 것이다.
또,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한 연질재료제의 범퍼에서 연장시켜 구멍의 내측 공간을 메우는 팽창돌출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 기모포롤러체의 회전방향의 한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또, 제동수단을 기모포롤러체의 돌기가 관통하는 구멍측에 배치한 것이다.
또, 제동수단을 흡입기구본체에 있어서의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둘레면과 대향하는 벽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지지부둘레면과의 사이에서 쐐기형상공간을 형성하는 평면부 및 쐐기형상 공간내에 소정량 삽입가능하게 상기 평면부와 지지부둘레면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되고 바닥면 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제한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연질체로 이루어지는 제동부재로 구성한 것이다.
또, 제동부재를 중심축을 갖는 팽이(top)형의 제동바퀴로 구성하여 횡축 배치함과 동시에 하부케이스에 제동바퀴의 바퀴부를 쐐기형상공간내에 삽입가능하게 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의 가장자리부를 제동바퀴 삽입량의 제한수단으로서 구성한 것이다.
또, 제동바퀴의 상측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는 리브(rib)를 상부케이스에서 늘어뜨려 마련한 것이다.
또, 제동부재를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한 연질재료제의 범퍼에서 쐐기형상 공간내까지 연장하는 암 및 쐐기형상공간내에 있어서 그 암의 선단에 형성한 팽창돌출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 기모포롤러체의 제동부재와 접촉하는 지지부둘레면을 그의 말단이 축소되는 테이퍼(taper)로 형성한 것이다.
또, 제동수단을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둘레면에 형성한 발톱기어(래칫 바퀴 : ratchet wheel) 및 흡입기구본체측에 마련되어 발톱기어와 맞물리는 역전방지부재(역전방지쇠)로 구성한 것이다.
또, 발톱기어의 역전방지부재의 선단이 접촉하는 톱니면을 발톱기어의 통상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소정각도의 사면(斜面)에 형성하고, 바닥면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 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역전방지부재 선단이 그의 사면을 초월해서 제한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역전방지부재를 발톱기어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축방향 스트로크(stroke)를 갖는 외부조작가능한 슬라이더(slider)와 일체화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종단면도, 도 2는 그의 기모포롤러체의 착탈수순의 설명도, 도 3은 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각 도면중 상술한 각 종래 예(도 15 내지 도 17)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바닥용 흡입기구의 본체(21)이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을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범퍼(4)를 거쳐서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또 그의 뒷부분 중앙에 도시하지 않은 전기 청소기본체의 흡인측에 연장관 및 가요성 호스를 거쳐서 연통하는 연결관(6)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하부케이스(3)의 앞부분 중앙에는 연결관(6)에 연결되는 흡입구(5)(도 15 참조)가 마련되고, 흡입구(5)의 좌우에 흡입홈(10)이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하부케이스(3)의 앞부분의 좌우단에는 본 흡입기구를 전후로 원활하게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흡입기구와 바닥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앞바퀴(7)이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케이스(3)의 흡입구(5)의 후방에 바닥면 등을 닦기 위한 기모포롤러체(2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기모포롤러체(22)는 바깥둘레에 기모포(24)를 감은 합성수지제의 원통롤러(23)과 원통롤러(23)의 양 끝에 각각 압입(壓入)에 의해서 끼워 고정되어 지지부를 형성하는 고(高)미끄러짐재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 캡(cap)(25), (26)으로 구성되고, 하부케이스(3)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24)의 세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25), (26)의 고정은 압입에 의한 것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한 고정, 발톱에 의한 고정, 키(key)에 의한 고정, 스플라인(spline:휨자) 걸어맞춤상태하에서의 고정 등 각종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캡(25), (26)에는 그의 외측 끝부에 원통형상의 돌기(25a), (26a)가 마련되어 있고, 돌기(25a), (26a)를 거쳐서 하부케이스(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기(25a), (26a)는 원주형상으로 형성해도 좋지만, 세정시에 원통롤러(23)내에 물이 침입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내부건조까지 실행할 수 있도록 여기에서는 원통형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돌기(25a), (26a)를 원통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것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돌기(25a), (26a)의 중심구멍(25b), (26b)에서 원통롤러(23)내로 물을 공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원통롤러(23)에 다수의 미세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원통롤러(23)을 다공체(예를 들면 세라믹)로 형성하여 외표면에 물이 스며들도록 구성하면, 기모포롤러체(22)에 물닦기 기능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중심구멍(25b), (26b)를 내부삽입형의 고무(gum)마개 등에 의해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돌기(25a), (26a)의 미끄러짐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모포롤러체(22)를 물공급원으로 되는 물탱크(tank)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어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3)의 기모포롤러체 설치부에 있어서의 캡(25), (26)과 대향하는 좌우벽의 한쪽에는 한쪽의 캡(25)측의 돌기(25a)를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하는 오목부(27)이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쪽의 벽에 다른쪽의 캡(26)측의 돌기(26a)를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하는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7)과 구멍(28)의 내면에 저(低)마찰재(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티렌수지)를 코팅(coat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는 설명의 형편상, 오목부(27)에 한쪽의 돌기(25a)가, 또 구멍(28)에 다른쪽의 돌기(26a)가 삽입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캡(25), (26)은 동일 구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좌우 반대로 해서 부착해도 문제는 없다.
구멍(28)의 내측에는 구멍(28)을 관통한 돌기(26a)에 직접 접촉하여 이것에 대해 오목부(27)측으로 상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22)의 탈락을 방지하는 부세수단인 금속제의 판스프링(29)가 마련되어 있다. 판스프링(29)는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베이스단으로 되는 한쪽의 조각부(29a)가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 사이에 유지되어 고정되게 되어 있다. 즉, 상부케이스(2)에는 소정간격 떨어져서 대향하는 한쌍의 보스(boss)(31a), (31b)가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부케이스(3)에 그의 상부케이스(2)와의 조립시에 보스(31a), (31b) 사이에 삽입가능한 돌기(32)가 마련되고, 또 판스프링(29)의 베이스단의 조각부(29a)에 돌기(32)를 삽입할 수 있는 긴 구멍(29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을 조립하기 전에 판스프링(29)의 자유단으로 되는 다른쪽의 조각부(29c)를 구멍(28)의 내측으로 늘어뜨려지도록 배치하고, 판스프링(29)의 긴 구멍(29b)를 하부케이스(3)의 돌기(32)에 삽입해 두면,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판스프링(29)의 베이스단 조각부(29a)를 상부케이스(2)의 보스(31a), (31b)의 아래가장자리와 하부케이스(3)의 내면 사이에 유지할 수 있고, 또 돌기(32)에 의해서 판스프링(29)의 수평방향의 자유이동을 규제할 수가 있다.
또한, 판스프링(29)의 자유단측 조각부(29c)에 있어서의 구멍(28)과 대향하는 면부에 저마찰재(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를 코팅해도 좋고, 또 그의 면부에 구멍(28)을 관통해 온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의 중심구멍(26b) 내에 끼워넣을 수 있는 소(小)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소돌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22)의 착탈시에 돌기(26a)가 구멍(28)내에 여러 각도에서 삽입되더라도 판스프링(29)에 있어서의 돌기(26a)의 접촉위치(하중작용점)을 항상 동일한 위치(예를 들면 폭방향의 중심위치)로 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판스프링(29)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제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기모포(24)의 세정 등을 위해 기모포롤러체(22)를 하부케이스(3)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의 상태에 있는 기모포롤러체(22)를 손으로 쥐고, 그 상태에서 기모포롤러체(22) 전체를 판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구멍(28)측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서, 이동방향 후단에 위치하는 돌기(25a)가 하부케이스(3)의 오목부(27)에서 빠지므로, 그 상태에서 기모포롤러체(22)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방향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22)를 하부케이스(3)에서 이탈시킬 수가 있다.
기모포 세정후의 기모포롤러체(22)의 하부케이스(3)으로의 부착은 상술한 것과 반대의 수순으로 실행한다.
이와 같이, 이 제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는 기모포롤러체(22)를 바깥둘레에 기모포(24)를 감은 원통롤러(23) 및 그의 양 끝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지지부를 형성하는 캡(25), (26)으로 구성하고, 기모포롤러체(22)를 하부케이스(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모포롤러체(22) 그 자체에는 상대 회전운동부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은 먼지 침입에 의한 회전불량 등의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또, 기모포롤러체(22)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 즉 하부케이스(3)의 오목부(27)이나 구멍(28)내에 모래먼지 등의 침입이 있더라도 하부케이스(3)에서 기모포롤러체(22)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 기모포롤러체(22)의 지지부로 되는 캡(25), (26)의 외측 끝부에 각각 돌기(25a), (26a)를 마련함과 동시에 하부케이스(3)에 한쪽의 돌기(25a)를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하는 오목부(27)과 다른쪽의 돌기(26a)를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하는 구멍(28)을 형성하고, 또 구멍(28)의 내측에 구멍(28)을 관통한 돌기(26a)에 오목부(27)측으로 직접 힘을 가하는 판스프링(29)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의 지지부와 스트로크조정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한층더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돌기(25a), (26a)를 막을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원통롤러(23)에 다수의 미세구멍을 마련하거나 또는 원통롤러(23)을 다공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22)에 물닦기기능과 물공급원으로 되는 물탱크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 판스프링(29)는 그의 베이스단이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 사이에 유지되어 부착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이고,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의 것과 동일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기모포롤러체(22)의 하부케이스(3)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21)의 상부케이스(2)의 내면에서 하부케이스(3)의 구멍(28)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혀형상부재(41)로 구성한 것이고,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는 부세수단으로 되는 혀형상부재(41)을 상부케이스(2)에 일체로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의 스트로크조정기구에 코일스프링 등의 별체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한층더 간소화되어 한층더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기구본체(21)의 구성부재는 대부분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부재의 내면측에 일체의 구조부가 존재하는 경우, 그 구조부 벽의 두께는 외각(外殼) 측벽의 두께의 60% 이하로 하지 않으면, 고화(固化)시의 인장응력에 의해 외각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구조부 근원부(2a)에 드롭(drop)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2)의 내면에서부터 연장하는 혀형상부재(41)의 두께t는 가능한 한 상부케이스(2)의 외각측의 두께T보다 얇게 하는 것이 의장상 바람직하다.
이 드롭의 문제는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기구본체(21)의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 사이에 개재하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범퍼(4)에 있어서의 혀형상부재 대향면부에 팽창돌출부(4a)를 마련하여 팽창돌출부(4a)에서 혀형상부재(41)의 배면측을 유지시키고 혀형상부재(41)의 근원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혀형상부재(41)의 두께t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서 미리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혀형상부재(41)의 자유단에 있어서의 구멍(28)과 대향하는 면부에 저마찰재(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를 코팅해도 좋고, 또 그의 면부에 구멍(28)을 관통해 온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의 중심구멍(26b) 내에 삽입가능한 소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6은 그의 저면도이고, 각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의 것과 동일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기모포롤러체(22)의 하부케이스(3)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21)의 하부케이스(3)의 내면에서 구멍(28)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혀형상부재(51)로 구성함과 동시에, 하부케이스(3)에 있어서의 혀형상부재 베이스부 양측에 슬릿(52)를 형성한 것이고,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는 부세수단으로 되는 혀형상부재(51)을 하부케이스(3)에 일체로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기모포롤러체(22)의 스트로크조정기구에 코일스프링 등의 별체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간소화되어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하부케이스(3)에 있어서의 혀형상부재 베이스부 양측에 슬릿(5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혀형상부재(51)의 하부케이스(3)으로부터의 돌출치수가 짧더라도 그의 탄성변형가능한 변위량을 크게할 수 있다.
또한,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혀형상부재(51)의 자유단에 있어서의 구멍(28)과 대향하는 면부에 저마찰재(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를 코팅해도 좋고, 또 그의 면부에 구멍(28)을 관통해 온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의 중심구멍(26b) 내에 삽입가능한 소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의 것과 동일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기모포롤러체(22)의 하부케이스(3)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21)의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 사이에 개재하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지는 범퍼(4)에서 연장시켜 구멍(28)의 내측 공간을 메우는 팽창돌출부(61)로 구성한 것이고,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4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는 부세수단으로 되는 팽창돌출부(61)을 연질재료제의 범퍼(4)에서 연장시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제2, 제3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기모포롤러체(22)의 스트로크조정기구에 코일스프링 등의 별체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간소화되어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팽창돌출부(61)이 연질재료 즉 탄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변형가능한 변위량을 한층더 크게할 수 있고, 그 분만큼 기모포롤러체(22)의 지지부의 축방향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어 기모포롤러체(22)의 장착상태가 안정하게 되고 전기 청소기 사용시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범퍼(4)의 팽창돌출부(61)에 있어서의 구멍(28)과 대향하는 부분에 저마찰재(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를 코팅해도 좋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측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9는 그의 정면측에서 본 종단면도이고, 각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 및 제2 실시예(도 4)의 것과 동일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5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가 관통하는 구멍(28)측에 기모포롤러체(22)의 회전방향의 한 방향(여기서는 전진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71)을 마련하고, 닦기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것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제동수단(71)은 하부케이스(3)에 있어서의 기모포롤러체(22)의 지지부로 되는 캡(26)의 둘레면(26c)와 대향하는 벽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캡둘레면(26c)와의 사이에서 쐐기형상공간을 형성하는 평면부(72) 및 이 쐐기형상 공간내에 소정량 삽입가능하게 평면부(72)와 캡둘레면(26c)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되고 바닥면 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 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제한방향(전진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연질체로 이루어지는 제동부재(7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동부재(73)은 중심축(74)를 갖는 팽이형의 제동바퀴(75)로 이루어지고, 횡축배치되어 있다. 또, 중심축(74)와 제동바퀴(75)는 일체로 구성해도 좋고, 또 별체로 구성해도 좋다.
하부케이스(3)에는 제동바퀴(75)의 바퀴부를 쐐기형상 공간내에 삽입가능하게 하는 구멍(76)이 형성되고, 구멍(76)의 가장자리부(76a)가 제동바퀴 삽입량 제한수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케이스(2)에는 제동바퀴(75)의 상측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는 한쌍의 리브(77)이 늘어뜨려져 마련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5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제동부재(73) 특히 제동바퀴(75)에 사용가능한 연질체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비닐, 합성 고무, 실리콘고무 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어떤 것을 채용하든 경도 50도∼80도, 표면마찰계수(이동마찰계수)μk는 0. 3∼0. 9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동바퀴(75)에 사용하는 연질체의 경도 및 표면마찰계수의 수치한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경도가 50도 이하인 경우, 기모포롤러체(22)의 전진시에 제동바퀴(75)가 쐐기형상 공간내로 삽입되었을 때의 변형(도 8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다)이 커져 제동바퀴(75)가 구멍(76)의 가장자리부(76a)에서 쐐기형상공간내로 필요이상 돌출하여 기모포롤러체(22)를 완전히 정지시켜 버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기모포롤러체(22)를 후진시키면, 캡(26)이 제동바퀴(75)를 쐐기형상공간내의 위치에서 해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삽입상태가 해제되고 제동바퀴(75)는 도 8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로 복귀되지만, 너무 경도가 낮으면 변형에 따른 쐐기형상공간내로의 돌출량이 지나치게 커져 기모포롤러체(22)를 후진시키더라도 삽입 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되어 기모포롤러체(22)는 정지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경도가 80도 이상인 경우, 기모포롤러체(22)의 전진시에 제동바퀴(75)가 쐐기형상공간내로 삽입될 때의 변형량이 작아지고 필요한 삽입량을 얻을 수 없게 되어 쐐기효과가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너무 경도가 높으면, 쐐기효과가 작용하지 않게 되어 닦기기능을 얻을 수 없다.
제동바퀴(75)의 표면마찰계수μk가 0. 3이하인 경우, 기모포롤러체(22)의 전진시에 제동바퀴(75)가 쐐기형상공간내로 삽입되었을 때의 변형량이 최적(또는 그것보다 약간 큰 경우)이더라도 제동바퀴(75)와 평면부(72)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너무 표면마찰계수가 낮으면, 쐐기효과가 작용하지 않게 되어 닦기기능을 얻을 수 없다.
제동바퀴(75)의 표면마찰계수μk가 0. 9이상인 경우, 기모포롤러체(22)의 전진시에 제동바퀴(75)가 쐐기형상공간내로 삽입되었을 때의 변형량(경도)이 최적(또는 그것보다 약간 작은 경우)으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필요한 변형량에 도달하기 전에 제동바퀴(75)와 평면부(72) 사이에서 마찰에 의한 걸림이 발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걸림과 해방이 조금씩 반복되어 서징(surging)이 발생한다. 너무 표면마찰계수가 높으면, 기모포롤러체(22)의 전진시에 즉시 쐐기효과가 나타나고, 또 기모포롤러체(22)를 후진시키더라도 삽입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되어 기모포롤러체(22)는 정지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제동바퀴(75)나 캡(26) 또는 평면부(72)를 손상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제동수단(71)을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가 관통하는 구멍(28)측에 배치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흡입기구본체(21)의 구성부재는 대부분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그 때문에, 캡(25), (26)의 둘레면(25c), (26c)는 돌기측 말단에 걸쳐서 약간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동수단(71)에 의해 쐐기효과를 작용시킨 경우의 힘은 캡(26)에 대하여 오목부(27)측 축방향(기모포롤러체 부착방향)의 분력으로서 작용한다. 만일, 제동수단(71)을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5a)가 지지되어 있는 오목부(27)측에 배치하면, 상기 분력의 작용방향이 구멍(28)의 방향(기모포롤러체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되고 기모포롤러체(22)는 걸레질을 할 때마다 하부케이스(3)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이 제5 실시예와 같이 제동수단(71)을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가 관통하는 구멍(28)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22)의 하부케이스(3)으로의 부착상태가 안정하게 된다.
하부케이스(3)에 마련한 구멍(76)의 가장자리부(76a)는 제동부재(73)의 중심축(74)가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제동바퀴(75)의 바퀴부의 쐐기형상공간내로의 돌출량을 제한하고 있다.
또, 상부케이스(2)에 마련한 한쌍의 리브(77)은 기모포롤러체(22)의 후진시에 제동부재(73)이 튀어오르게 되는 경우가 있어도 그의 리브 하부가장자리에서 제동부재(73)의 중심축(74)의 필요이상의 상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제동부재(73)의 제동바퀴(75)가 구멍(76)부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5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청소를 할 때에는 전진시에 제동바퀴(75)가 쐐기형상공간내로 소정량 삽입되어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닦기기능을 얻을 수 있고, 또 후진시에는 제동바퀴(75)가 쐐기형상공간내에서 해방되어 기모포롤러체(22)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가 한 곳에서 접하지 않고 전후진을 반복할 때마다 접촉면의 이동이 실행되어 한쪽만 마모되는 현상이 저감된다.
또, 제동부재(73)의 경도나 표면마찰계수를 소정의 범위로 한정하고 또 쐐기형상공간내로의 돌출량도 규제하고 있으므로, 마찰저항이 작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도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일이 없어 기모포롤러체(22)가 천천히 회전하고, 마찰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기모포롤러체(22)가 상기 보다도 약간 빠르게 회전한다. 이 때문에, 한쪽만 마모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다.
또, 제동부재(73)을 중심축(74)를 갖는 팽이형의 제동바퀴(75)로 형성하고, 하부케이스(3)에는 제동바퀴(75)의 바퀴부를 구멍(76)에서 쐐기형상공간내로 삽입하고, 제동바퀴(75)의 상측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는 한쌍의 리브(77)을 갖는 하부케이스(3)을 상부케이스(2)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부착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의 자유로운 회전을 억제하는 제동수단(71)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그분만큼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종단면도이고,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 및 제5 실시예(도 8 및 도 9)의 것과 동일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6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상술한 제5 실시예의 것이 갖는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다. 이 제6 실시예에서는 기모포롤러체(22)의 지지부로 되는 캡(25), (26)의 둘레면에 각각 돌기측 말단에 걸쳐서 야간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25d), (26d)를 적극적으로 형성한 것이고,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6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5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로 제동수단(71)을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가 관통하는 구멍(28)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캡(25), (26)의 둘레면에 적극적으로 테이퍼(25d), (26d)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동수단(71)에 의해 쐐기효과를 작용시킨 경우의 힘의 분력은 캡(26)에 대하여 기모포롤러체 부착방향인 오목부(27)측 축방향으로 확실히 작용한다. 이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의 하부케이스(3)으로의 부착상태가 보다 안정하게 된다.
실시예 7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측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 도 12는 그의 제동수단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각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 및 제6 실시예(도 10)의 것과 동일 또는 동일기능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여기서는 설명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 제7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가 관통하는 구멍(28)측에 마련되어 기모포롤러체(22)의 회전방향의 한방향(여기서는 전진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81)을 하부케이스(3)에 있어서의 기모포롤러체(22)의 지지부로 되는 캡(26)의 테이퍼(26d) 둘레면과 대향하는 벽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캡둘레면(26c)와의 사이에서 쐐기형상공간을 형성하는 평면부(72), 연질재료제의 범퍼(4)의 내면의 일부에서 하부케이스(3)의 구멍(82)를 거쳐서 상기 쐐기형상공간내까지 연장하는 L자형상의 암(83) 및 쐐기형상공간내로 소정량 삽입가능하도록 암(83)의 선단에 형성되고 바닥면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전진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제동부재로 되는 구형상의 팽창돌출부(84)로 구성한 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7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범퍼(4) 즉 팽창돌출부(84)는 상술한 제5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의 경도 50도∼80도, 표면마찰계수(이동마찰 계수)μk가 0. 3∼0. 9인 연질체(염화비닐, 합성 고무, 실리콘고무 등)로 구성하였다. 이 팽창돌출부(83)에 사용하는 연질체의 경도 및 표면마찰계수의 수치한정이유는 상술한 제5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7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청소를 할 때에는 전진시에 팽창돌출부(84)가 쐐기형상공간을 형성하는 캡(26)의 테이퍼(26d) 및 평면부(72)와의 마찰력에 의해 쐐기형상공간내로 끌어당겨져 암(83)이 연장하고 팽창돌출부(84)가 쐐기형상공간내로 소정량 삽입되고(도 12),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닦기기능이 얻어지고, 또 후진시에는 팽창돌출부(84)가 쐐기형상공간내에서 해방되어 기모포롤러체(22)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가 한 곳에서 접하는 일이 없어 전후진을 반복할 때마다 접촉면의 이동이 실행되어 한쪽만 마모되는 현상이 저감된다.
또, 제동부재 즉 팽창돌출부(84)의 경도나 표면마찰계수를 소정의 범위로 한정하고 또 쐐기공간내로의 돌출량도 암(83)에 의해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작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도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완전히 정지시는 일이 없어 기모포롤러체(22)가 천천히 회전하고, 마찰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기모포롤러체(22)가 상기 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한다. 이 때문에, 한쪽만 마모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다.
또, 제동부재를 범퍼(4)와 일체로 되어 있는 팽창돌출부(84)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의 자유로운 회전을 억제하는 제동수단(81)의 구성이 더욱 간소화되어 한층더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실시예 8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측면측에서 본 주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 및 제5 실시예(도 8 및 도 9)의 것과 동일 또는 동일기능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여기서는 설명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 제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기모포롤러체(22)의 돌기(26a)가 관통하는 구멍(28)측에 마련되어 기모포롤러체(22)의 회전방향의 한방향(여기서는 전진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91)을 기모포롤러체(22)의 지지부로 되는 캡둘레면에 형성한 발톱기어(92) 및 상부케이스(2)에서 늘어뜨려져 선단이 하부케이스(3)의 구멍(95)를 관통해서 발톱기어(92)와 맞물리는 역전방지부재(93)으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으로 원웨이클러치(one-way clutch)로 구성한 것이다.
또, 발톱기어(92)의 역전방지부재 선단이 접촉하는 톱니면을 발톱기어 통상회전방향(여기서는 시계방향)으로 경사진 소정 각도의 사면(92a)에 형성하고, 바닥면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역전방지부재(93)의 선단이 사면(92a)를 초월해서 제한방향(여기서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범퍼(4)의 내면돌기(74)를 이용하여 역전방지부재(93)의 배면측을 유지시켜 역전방지부재(93)의 근원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역전방지부재(93)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미리 드롭의 문제를 회피하도록 한 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청소를 할 때에는 전진시에 역전방지부재(93)의 선단이 발톱기어(92)와 맞물려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닦기기능이 얻어지고, 또 후진시에는 역전방지부재(93)과 발톱기어(9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역전방지부재(93)이 발톱기어(92)의 톱니면상을 미끄러져 기모포롤러체(22)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가 한 곳에서 접하는 일이 없어 전후진을 반복할 때마다 접촉면의 이동이 실행되어 한쪽만 마모되는 현상이 저감된다.
또, 발톱기어(92)의 역전방지부재 선단이 접촉하는 톱니면을 발톱기어 통상회전방향으로 경사진 사면(92a)에 형성하고, 바닥면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역전방지부재(93)의 선단이 사면(92a)를 초월해서 제한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작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도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일이 없어 기모포롤러체(22)가 간헐적으로 천천히 회전하고, 마찰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기모포롤러체(22)가 상기 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한다. 이 때문에, 한쪽만 마모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다.
실시예 9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관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의 정면측에서 본 주요부 종단면도이고, 도면중 상술한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 제3 실시예(도 5 및 도 6) 및 제5 실시예(도 8 및 도 9)의 것과 동일 또는 동일기능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여기서도 설명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 제9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는 상술한 제8 실시예의 것이 갖는 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방향이 후진방향으로 되도록 발톱기어(92)와 역전방지부재(93)을 조립하고, 또 역전방지부재(93)을 발톱기어(9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축방향스트로크를 갖는 외부조작가능한 슬라이더(101)과 일체화하고 있다. 또, 도면중의 (102)는 상부케이스(2)에 마련한 긴 구멍이고, 이 긴구멍(102)내에 슬라이더(101)의 조작부(101a)가 삽입되어 외부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이외의 구성(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 및 물탱크기능을 부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포함한다)은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제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청소를 할 때에는 후진시에 역전방지부재(93)의 선단이 발톱기어(92)와 맞물려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닦기기능이 얻어지고, 또 후진시에는 역전방지부재(93)과 발톱기어(9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역전방지부재(93)이 발톱기어(92)의 톱니면상을 미끄러져 기모포롤러체(22)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모포롤러체(22)가 한 곳에서 접하는 일이 없고 전후진을 반복할 때마다 접촉면의 이동이 실행되어 한쪽만 마모되는 현상이 저감된다. 이와 같이 후진시에 닦기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22)의 전방배치가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역전방지부재(93)의 선단이 발톱기어(92)와 맞물리는 방향을 상술한 제8 실시예의 것과 반대로 하면, 발톱기어(92)의 역전방지부재 선단이 접촉하는 톱니면이 발톱기어 통상회전방향(전진방향)으로 경사진 사면(92a)로 되고, 바닥면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역전방지부재(93)의 선단이 사면(92a)를 초월해서 제한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한다. 이것에 의해, 마찰저항이 작은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도 기모포롤러체(22)의 움직임을 완전히 정지시키는 일이 없어 기모포롤러체(22)가 간헐적으로 천천히 회전하고, 마찰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기모포롤러체(22)가 상기 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한다. 이 때문에, 한쪽만 마모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다.
또, 역전방지부재(93)을 발톱기어(9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는 축방향스트로크를 갖는 외부조작가능한 슬라이더(101)과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01)을 조작하여 역전방지부재(93)과 발톱기어(9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마찰저항이 큰 융단면을 청소할 때에 역전방지부재(93)과 발톱기어(9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기모포롤러체(22)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할 수 있고, 또 역전방지부재(93)과 발톱기어(92) 사이에서 걸어맞춤 회전시에 발생하고 있던 소리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모포롤러체를 기모포를 감은 원통롤러 및 그의 양 끝부에 일체화되어 흡입기구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지지되는 지지부로 구성하였으므로, 기모포롤러체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모포롤러체 그자체에는 상대회전운동부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종래와 같은 먼지 침입에 의한 회전불량 등의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또한, 기모포롤러체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내에 모래먼지 등의 침입이 있더라도 이것을 흡입기구본체에서 기모포롤러체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또, 기모포롤러체의 각 지지부의 외측 끝부에 각각 돌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흡입기구본체에 한쪽의 돌기를 지지하는 오목부와 다른쪽의 돌기를 지지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또 이 구멍의 내측에는 이 구멍을 관통한 돌기에 오목부측으로 직접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을 마련했으므로,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와 스트로크조정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한층더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돌기를 막을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롤러에 다수의 미세구멍을 마련하거나 또는 원통롤러를 다공체로 구성했으므로, 기모포롤러체에 물닦기기능과 물공급원으로 되는 물탱크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베이스단이 유지되고 자유단이 구멍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했으므로, 부착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서 구멍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혀형상부재로 구성했으므로, 기모포롤러체의 스트로크조정기구에 코일스프링 등의 별체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한층더 간소화되고 한층더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혀형상부재의 배면측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한 범퍼에 의해 유지했으므로, 혀형상부재의 근원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혀형상부재의 두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롭의 문제를 미리 회피할 수가 있다.
또, 흡입기구본체에 있어서의 혀형상부재의 베이스부 양측에 슬릿을 형성했으므로, 혀형상부재의 하부케이스로부터의 돌출치수가 짧더라도 그의 탄성변형가능한 변위량을 크게할 수 있다.
또, 부세수단을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한 연질재료제의 범퍼에서 연장해서 구멍의 내측공간을 메우는 팽창돌출부로 구성했으므로, 기모포롤러체의 스트로크조정기구에 코일스프링 등의 별체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간소화되고 비용삭감이 도모됨과 동시에 탄성변형가능한 변위량을 한층더 크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의 축방향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어 기모포롤러체의 장착상태를 안정화할 수가 있고, 전기 청소기사용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기모포롤러체의 회전방향의 한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을 마련했으므로, 닦기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 제동수단을 기모포롤러체의 돌기가 관통하는 구멍측에 배치했으므로, 쐐기효과를 작용시킨 경우의 힘의 분력을 기모포롤러체 부착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어 기모포롤러체의 부착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동수단을 흡입기구본체에 있어서의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둘레면과 대향하는 벽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지지부둘레면 사이에서 쐐기형상공간을 형성하는 평면부 및 쐐기형상공간내로 소정량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평면부와 지지부둘레면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되고 바닥면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제한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연질체로 이루어지는 제동부재로 구성했으므로, 기모포롤러체가 한쪽만 마모되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제동수단을 기모포롤러체의 지지부둘레면에 형성한 발톱기어 및 흡입기구본체측에 마련되어 발톱기어와 맞물리는 역전방지부재로 구성했으므로, 기모포롤러체의 제동 및 해방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2)

  1. 바닥면 등을 닦기위한 기모포 롤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모포 롤러체는 기모포를 감은 원통롤러 및 그의 양 끝부에 일체화되어 흡입기구 본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직접 지지되는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포 롤러체의 각 지지부의 외측 끝부에는 각각 돌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기구 본체에는 상기 한쪽의 돌기를 지지하는 오목부와 다른쪽의 돌기를 지지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구멍을 관통한 상기 돌기에 상기 오목부측으로 직접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롤러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은 흡입기구 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베이스단이 유지되고 자유단이 구멍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은 흡입기구 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서 구멍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혀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혀형상부재의 배면측은 흡입기구 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한 범퍼에 의해 유지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구 본체에 있어서의 혀형상부재의 베이스부 양측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은 흡입기구본체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한 연질재료제의 범퍼에서 연장해서 구멍의 내측공간을 메우는 팽창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포 롤러체의 회전방향의 한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동수단을 더 마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기모포 롤러체의 돌기가 관통하는 구멍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흡입기구 본체에 있어서의 기모포 롤러체의 지지부 둘레면과 대향하는 벽면의 일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 둘레면과의 사이에서 쐐기형상 공간을 형성하는 평면부 및 상기 쐐기형상 공간내로 소정량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평면부와 상기 지지부 둘레면 사이에 개재해서 설치되고 바닥면 저항에 따른 부하가 규정 이상으로 작용한 경우에 제한방향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연질체로 이루어지는 제동부재로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기모포 롤러체의 지지부둘레면에 형성한 발톱기어 및 상기 흡입기구 본체측에 마련되어 상기 발톱기어와 맞물리는 역전방지부재로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용 흡입기구.
KR1019980051681A 1998-09-18 1998-11-30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KR100295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476198A JP3777493B2 (ja) 1998-09-18 1998-09-18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1998-264761 1998-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007A KR20000022007A (ko) 2000-04-25
KR100295208B1 true KR100295208B1 (ko) 2001-10-26

Family

ID=1740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681A KR100295208B1 (ko) 1998-09-18 1998-11-30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77493B2 (ko)
KR (1) KR100295208B1 (ko)
CN (1) CN114634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296B1 (ko) 2005-11-14 2012-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KR101231498B1 (ko) * 2005-11-14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3942B (en) * 2004-05-13 2007-07-18 Dyson Ltd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PL2211680T3 (pl) 2007-11-23 2015-04-30 Freudenberg Carl Kg Przyrząd do czyszczenia podłóg
KR101378376B1 (ko) * 2012-12-28 2014-03-27 한경희 진공 청소기
JP6093662B2 (ja) * 2013-07-03 2017-03-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20150238061A1 (en) * 2014-02-21 2015-08-27 The Scott Fetzer Company Rotary head, method and system for use with hard and soft surfaces
US9713411B2 (en) 2014-10-20 2017-07-25 The Kirby Company / Scott Fetzer Company Surface-treatment apparatus and head unit
USD789632S1 (en) 2014-10-20 2017-06-13 The Kirby Company/Scott Fetzer Company Surface-treatment apparatus
CN109778757B (zh) * 2017-03-06 2020-11-06 杭州富阳新堰纸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工程的扫地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045U (ko) * 1979-07-18 1981-02-14
JP3268514B2 (ja) * 1994-08-19 2002-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296B1 (ko) 2005-11-14 2012-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KR101231498B1 (ko) * 2005-11-14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007A (ko) 2000-04-25
CN1146348C (zh) 2004-04-21
JP3777493B2 (ja) 2006-05-24
CN1248422A (zh) 2000-03-29
JP2000093365A (ja) 200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208B1 (ko)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EP2106231B1 (en) Vacuum cleaner nozzle
US5400467A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JPH0753139B2 (ja) クリーニングヘッド
JP326851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3661216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2008212267A (ja) 清掃具および網戸用清掃シート
US5361442A (en) Pool tile scrubber
JP2008168107A (ja) 粘着テープ掃除具
JP3801288B2 (ja) 清掃具
JP3424143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2889601B2 (ja) 床用吸込具
US3467977A (en) Foam generator for scrubbing devices
JP4103095B2 (ja) 電気掃除機
JP4418821B2 (ja) 窓用清掃具
JP4540645B2 (ja) 電気掃除機
JP4851743B2 (ja) 柄の継手構造
JPH09238876A (ja) 清掃具
JP414755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み具
JPH1057284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WO2018003047A1 (ja) 清掃補助具及び電気掃除機
JP2004248715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0670869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11178759A (ja) 床用吸込具
JP3334270B2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