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926B1 - 고용량 복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고용량 복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926B1
KR100283926B1 KR1019980039142A KR19980039142A KR100283926B1 KR 100283926 B1 KR100283926 B1 KR 100283926B1 KR 1019980039142 A KR1019980039142 A KR 1019980039142A KR 19980039142 A KR19980039142 A KR 19980039142A KR 100283926 B1 KR100283926 B1 KR 10028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roup
secondary battery
lithium
positive electrode
group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002A (ko
Inventor
성현경
김현정
이관영
이호설
Original Assignee
박찬구
금호석유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70048475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2638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089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74992A/ko
Application filed by 박찬구, 금호석유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찬구
Publication of KR1999003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6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orga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7Electrodes based on electro-active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7Tin or alloys based on t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6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organic compounds
    • H01M4/602Polymers
    • H01M4/606Polymers containing aromatic main chai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6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organic compounds
    • H01M4/602Polymers
    • H01M4/606Polymers containing aromatic main chain polymers
    • H01M4/608Polymers containing aromatic main chain poly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밀도가 높고 우수한 가역적 충방전 특성을 지닌 이차 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원시 가역적으로 유기 티올레이트를 생성할 수 있는 유기황 화합물 ; 주족원소, 주족원소의 합금, 또는 주족원소의 이온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족원소 성분 ; 및 전도성 카본 또는 전도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전도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복합 양극재 조성물을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된 이차 전지용 양극과 이 양극과 리튬 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혹은 카본, 흑연 등의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에서 선택된 물질을 음극으로 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용량 복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본 발명은 산화시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이 가역적으로 형성되는 유기황 화합물과 주족원소로 구성되는 전극재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전극재와 구리 금속성분인 집전체로 구성된 에너지 밀도가 높고 우수한 가역적 충방전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전극과, i) 이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ii) 리튬 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 ; 그리고 iii)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혹은 리튬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화합물로 제조된 음극으로 구성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현대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휴대 기기의 필수 요소로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충방전을 거듭하며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차 전지는 무선통신기구 및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급격하게 그 사용이 확대되었다. 니켈-카드뮴(Ni-Cd), 니켈-금속수소(Ni-MH), 및 리튬 이온(Lithium-ion) 으로 이어지는 이차 전지의 발전은 전지뿐만이 아니라 전지가 사용되는 휴대기기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제공해 왔다. 그러나, 전자 기기의 빠른 발전과 이동기기의 급속한 보급은 현재 사용되는 이차 전지보다 더 작고, 더 가벼우며, 고용량을 지닌 다음 세대 전지를 계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유기황 화합물인 유기 디설파이드(disulfide)를 양극재로 사용하는 이차 전지에 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833,048호에 공지되어 있다. 본 출원에서, 양극을 구성하는 유기 디설파이드 화합물의 황과 황 분자 사이의 결합은 환원시 끊어져 유기 티올레이트(thiolate)를 형성하며, 유기 티올레이트의 산화시에는 가역적으로 다시 유기 디설파이드(disulfide)가 생성된다. 특히, 분자내에 둘 이상의 유기 티올레이트 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고분자 형태의 유기 디설파이드가 형성된다. 유기 디설파이드와 유기 티올레이트의 산화-환원에 의한 상호 전환은 음극을 구성하는 금속물질의 산화-환원과 조합을 이루었을 경우 이론적으로 350∼800 Wh/kg에 이르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시하고 있다. 위 발명에서 제시된 재충전이 가능한 금속-황 전지는 종래의 이차 전지보다 높은 150 Wh/kg의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고 있다.
유기 디설파이드 전극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합중국 특허 제5,324,599호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있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의 파이 공역 유기 고분자를 첨가한 유기 디설파이드 양극재를 제시하였다. 미 합중국 특허 제5,324,599호와 같은 저자에 의하여 네이쳐지(N. Oyama, et. al. Nature, 373, 598, 1995)에 공개된 바에 의하면, 폴리아닐린이 유기 디설파이드의 전자 전달 반응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주는 촉매로서 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 디설파이드와 폴리아닐린을 유기 용매 내에서 혼합함으로서 분자 수준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이 혼합 전극 물질의 에너지 밀도가 600 Wh/kg에 이르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밀도의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충전시 4.75 V에 이르는 고전압을 유지하여야 하며, 그보다 낮은 전압에서 충전을 하였을 경우에는 에너지 밀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압은 고분자 전해질 및 다른 유기 물질을 포함한 전지 구성 요소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충방전을 반복할 경우 전지의 가역 안정성이 저하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보다 낮은 충전 전압이 실질적으로 요구되며 이 경우 전지의 에너지 밀도의 저하가 불가피하게 된다.
유기 디설파이드 전극의 충방전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제를 가하여 유기 디설파이드를 전극에 고정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머캡탄(mercaptan) 및 티올레이트를 포함한 유기 디설파이드 활물질중 유기 용매에 용해도가 높은 물질이 용출에 의하여 전극으로부터 이탈하여 방전 용량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유기 디설파이드류에 결합할 수 있는 구리 또는 은과 같은 금속의 첨가는 미 합중국 특허 제5,665,492호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유럽 특허 제799,264, A2호에서는 유기 디설파이드와 구리 이온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기 구리 염을 전극물질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미 합중국 특허 제5,516,598호에서는 유기 디설파이드와 다중의 산화상태를 가질 수 있는 광범위한 종류의 금속과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배위 화합물들의 금속 염을 전극물질로 사용할 때 충방전수명이 향상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고안들은 유기 디설파이드 전극의 충방전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금속물질이 유기황 물질을 리간드(ligand)로 받아들이는 중심물질로서 작용함을 기술하고 있으나, 전극 반응 혹은 유기황 화합물의 활성화와 같은 금속의 기능에 대하여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접근방법들에 따를 경우 전극물질의 활성화는 유기 디설파이드 고유의 성질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실현될 수 있는 에너지 밀도의 최대 한도는 유기 디설파이드의 이론 용량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렇듯, 유기황 화합물을 전극 물질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발명과 개선이 있어왔으나, 유기황 화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충방전 횟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하던 중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가역적으로 산화 환원이 가능한 양극 재료의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성분이 유기황 화합물, 주족원소 성분 및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복합 양극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리 금속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집전체에 상기 제조한 양극재를 도포시킨 이차 전지용 양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양극, 그리고 리튬 금속, 리튬 합금, 및 카본, 흑연 등의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에서 선택된 음극 및 리튬 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차 전지는 가역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지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시 누액에 따른 문제점이 없으며 고체 형태의 전지로서 용도에 따라 소형 및 박형의 전지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양극재 조성으로 유기황 물질 및 주족원소 활물질로 틴, 셀렌과 안티몬을 각각 함유하는 전지 A, B와 C의 방전곡선과 양극재 조성에 주족원소 성분이 없는 유기황 물질을 지닌 양극으로 되어 있는 전지 D의 방전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전지 A의 충방전횟수에 따른 충방전곡선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양극 전류 집전체로 그레파이트 박막을 사용한 전지 A'의 충방전횟수에 따른 충방전곡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전지 B의 충방전횟수에 따른 충방전곡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양극 전류 집전체로 그레파이트 박막을 사용한 전지 B'의 충방전횟수에 따른 충방전곡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환원시 가역적으로 유기 티올레이트를 생성할 수 있는 유기황 화합물 ; 주족원소, 주족원소의 합금, 주족원소의 이온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족원소 성분 ; 및 전도성 카본 또는 전도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전도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복합 양극재 조성물을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과 이 양극과 리튬 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혹은 카본, 흑연 등의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에서 선택된 물질을 음극으로 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때 유기황 화합물은 환원시 황과 금속 또는 수소, 양이온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는 유기 티올레이트가 생성되고, 유기 티올레이트의 산화시 가역적으로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이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족원소 성분은 이차 전지의 충전시 산화되고, 방전시 환원되는 주족원소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족원소 성분은 다중의 산화상태를 지니는 주족원소 성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족원소 성분은 틴(Sn), 셀렌(Se), 안티몬(Sb), 아세닉(As), 그 주족원소의 합금, 또는 그 주족원소의 이온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족원소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전도성 물질은 흑연, 아세틸렌 블랙 또는 전도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이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는 산소, 질소 또는 황과 같은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는 원소들이 중합체의 반복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이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 혹은 그 유도체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 전극은 전극 활물질로서 유기황 화합물과 주족원소를 함유하며 도전재로 전도성 물질을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이때 유기황 화합물은 환원시 황과 금속 또는 수소, 양이온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는 유기 티올레이트가 생성되고, 유기 티올레이트를 산화시 가역적으로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이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2,5-dimercapto-1,3,4-thiadiazole) 또는 트리티오시아누릭 산(trithiocyanuric acid)에서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전극에 포함되는 바람직한 주족원소 화합물은 주족원소와 주족원소의 합금, 주족원소의 이온 염 및 그들의 조합에서 선택한다. 주족원소로는, 바람직하게는 다중의 산화가를 갖는 주족원소로, 4주기에 속하는 아세닉(As), 셀렌(Se) ; 5주기에 속하는 틴(Sn), 안티몬(S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 전극을 구성하는 도전재로는 전도성 물질이 선택된다. 바람직한 전도성 물질로는 흑연, 아세틸렌 블랙 또는 전도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이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는 산소, 질소 또는 황과 같은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는 원소들이 중합체의 반복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이다. 바람직한 전도성 고분자로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 혹은 그 유도체가 있다.
본 발명의 양극은 상기 복합 양극재 조성물을 전도성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한다. 집전체를 구성하는 바람직한 전도성 물질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이다. 집전체를 구성하는 더욱 바람직한 전도성 물질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다.
본 발명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좋은 충방전 효율을 지닌 향상된 이차 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술된 양극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 양극 ; 리튬 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 ;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혹은 흑연, 비결정형 카본, 카본 섬유 및 폴리아센(polyacene)등의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로 제조된 음극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고분자 전해질은 충전시에 X-음이온이 전해질로부터 양극으로 이동하고 방전시에 양극에서 전해질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Li+양이온이 충전시에 음극에 금속으로 석출되거나 음극물질에 인터칼레이션이 될 수 있도록 LiX 형태의 리튬 염(X는 산의 짝염기 음이온)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양극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기황 화합물과 주족원소를 함유한 새로운 조성의 양극재를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극은 가역성이 좋으며 높은 단위용량을 가지고 있어,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혹은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카본계 물질에서 선택된 적절한 음극과 적절한 고분자 전해질과 함께 이차 전지를 구성할 경우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된 충방전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양극재는 유기황 화합물과 연합하여 전극 반응에 참여하는 양극활물질로서의 주족원소 성분을 함유한다. 전지가 충전될 시, 주족원소는 산화에 의해 주족원소 이온으로 되고, 전지가 방전될 시에는 환원에 의하여 더 낮은 산화 상태의 주족원소 이온 혹은 주족원소가 재생된다. 통상적으로 주족원소는 안정된 형태로 복수의 산화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산화 환원 반응시 하나 이상의 전자 전달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전극의 용량은 산화-환원 화학반응에 포함되는 전자의 수에 의해 증진되므로 본 발명에서 선택된 주족원소들은 높은 용량을 가지게 된다. 주족원소와 주족원소 이온의 산화-환원 반응이 전극 반응에 이용된다면, 전기화학적 용량에 있어서 틴은 903 mAh/g , 셀렌은 1,358 mAh/g , 안티몬은 660 mAh/g , 아세닉은 1,790 mAh/g으로 매우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D. Linden Ed., Handbook of Batteries and Fuel Cells, McGraw-Hill, pp. C-3, 1984). 이러한 이론적인 전기화학적 용량은 종래의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 전극의 용량에 비하여 훨씬 높다. 다른 한편으로, 주족원소 성분은 유기황 전극의 높은 용량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전극내에 함께 존재하는 유기황 화합물의 전자 전달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유기황 화합물내의 황 원자와 주족원소 성분간에 상호 반응으로 서로 결합되어, 유기 티올레이트와 주족원소 이온과 같은 용해도가 높은 형태의 활물질이 전해질로 확산됨으로써 야기되는 용량의 손실을 막는다. 따라서, 활물질에 포함되는 주족원소 물질은 그 자체로 높은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유기황 활물질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전극의 용량을 향상시킴은 물론 활물질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극 수명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주족원소 성분은 주족원소 혹은 적절한 이온 염 혹은 다른 주족원소와의 합금 형태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전극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주족원소 성분은 혼합물에 용해되거나, 분말 형태로 분산된다. 전극 물질의 전극 조성물에 분산되는 주족원소 분말의 입자크기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주족원소의 표면을 아세트산과 같은 희석된 약산의 처리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주족원소 성분의 함량은 전극내 전체 활성 성분의 5∼95 중량%가 바람직하다. 복합 혼합물의 슬러리를 자기 교반, 기계적 교반, 초음파 교반 또는 볼 밀링(ball milling)과 같은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균질화한다.
본 발명의 양극재는 산화에 의해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이 형성되고 환원에 의해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이 가역적으로 끊어지기도 하는 유기황 화합물을 함유한다.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의 예로는 머캡탄, 티올레이트, 티오에시드(thioacid), 티오에스테르(thioester) 및 티오케톤(thioketone)을 포함한다.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의 형성은 분자간 반응 또는 분자내 반응으로 일어난다.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관능기를 지닌 유기황 화합물의 산화는 2분자체(dimer) 화합물의 형성을 유도한다. 만일 유기황 화합물이 둘 이상의 관능기를 지닌다면,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을 지닌 고분자 화합물을 생성한다.
전극 물질에 사용되는 유기황 화합물에 대하여, 미 합중국 특허 제4,833,048호에 (R(S)y)n형태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물질들은 환원시 R(SM)y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여기서 R은 방향족 혹은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며, y는 1 이상 6 이하의 정수이고, n은 2 이상의 정수가 된다. 이러한 유기 디설파이드의 예로는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2,5-dimercapto-1,3,4-thiadiazole)과 트리티오시아누릭 산(trithiocyanuric acid)이 있다. 또 한 예로는, 분자 자체내에 티올레이트기가 둘 이상 존재하여 산화-환원시 가역적으로 분자내에서 유기 디설파이드가 형성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미 합중국 특허 제5,324,599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1,8-디설파이드 나프탈렌(1,8-disulfide naphthalene)이 있다.
본 발명의 양극재는 카본과 같은 전기적 전도 재료 또는 전자 전도성 고분자를 함유한다. 도전재는 양극재내에 분산되어 도전망을 형성함으로써 전극이 높은 전도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준다. 전기적 전도성 카본은 아세틸렌 블랙과 흑연을 포함한다. 전극물질의 전도재료로 이용되는 전자 전도성 고분자로는, 고분자 주쇄 혹은 측쇄에 질소 또는 황 원자를 지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물질로 작용하는 전극내의 유기황 화합물 및 주족원소종들과 전도성 고분자 내의 질소 또는 황 원자와의 상호작용은, 모든 활물질들이 서로 결합하는 것을 도와 전극으로부터 활물질의 이탈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에 의하여 유기 디설파이드의 전자 전달 반응이 가속화됨은 네이쳐지(Nature, 373, 598, 1995)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및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등과 그들의 유도체들이 있다.
본 양극재를 제조하기 위해 바인더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로는 고분자 전해질에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과 동종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적절한 경우 이온 전도성이 낮은 고분자 물질도 또한 선택될 수 있다. 바인더 물질을 용해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 대체적으로 비양성자성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분산된 복합 양극재를 집전체 위에 도포하여 양극을 제조한다. 집전체로는 도전성 물질이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한 전도성 물질은 구리 금속 또는 구리 합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리 금속 또는 구리 합금을 함유하는 집전체를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양극재의 용량이 최대한으로 이용되어진다. 구리 금속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된 집전체는 구리 금속의 산화 전위이하로 충전전압의 상한값을 고정함으로서 충전 전위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전지의 각 성분의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집전체는 전지 구조에 따라 박막 혹은 거즈(gauze), 메시(mesh)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양극을 지닌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본 발명에서 언급한 양극,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금속, 리튬 합금 또는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에서 선택된 음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고분자 전해질로는 리튬 이온을 녹일 수 있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고 고형 또는 겔 타입 중의 하나로 제조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은 기질 고분자와 리튬 염으로 구성된다. 리튬 염은 LiClO4, LiBF4, LiPF6, LiAsF6, LiAsCl6, LiCF3SO3, LiN(SO2CH3)2및 그들의 조합들 중에서 선택한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기질 고분자 물질은 반복구조에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관능기를 가지고 있으며, 리튬 이온에 대해 화학적 친화력을 가진다.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 (propylene ox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poly(acrylonitrile-co-methyl acrylat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등을 포함한다. 고분자 전해질에 함유되는 리튬 염의 양은 고분자의 단량체당 리튬 이온의 비가(Li+/monomer) 5∼50 mol%가 되도록 조절한다. 고분자 전해질을 가소화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카보네이트기를 지닌 극성이 강한 용매가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및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methyl ethyl carbonate) 중의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 용매가 있다. 첨가되는 가소제의 양은 전체 고분자 전해질 물질의 10∼9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음극으로는 충방전시 리튬 이온의 공급과 리튬 금속의 재석출을 반복할 수 있는 리튬 금속 혹은 리튬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리튬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연, 카본, 코크 피치(coke pitch), 폴리아센 등과 같은 카본계 물질을 포함한다. 전지의 충전시, 전해질내의 리튬 이온이 카본 골격내로 인터칼레이션되고, 반대로 전지의 방전시에는 음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이 전해질쪽으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양극은 주족원소의 산화-환원 반응과 유기황 화합물과의 조합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높은 용량과 좋은 가역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경량이면서 높은 용량을 지닌 충전용 전지를 제공하여, 무선통신기구 및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전기 장치에로의 적용에 최대의 장점을 지닌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모두 고형 성분이기 때문에 누액 또는 압력 발생에 따르는 문제점이 없고, 전지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 적절한 모양으로 제작하기가 쉽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poly(acrylonitrile-co-methyl acrylate)](94:6) 3.0g과 LiBF42.3g을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렌 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10.5 : 7.9 중량비)에 녹인다. 그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가열(120∼140℃)한다. 그 후, 고분자를 유리판 위에 케스팅(casting)하고, 진공하의 60∼80℃에서 건조하며 필름 형태로 제조한다. 제조된 전해질막의 이온 전기 전도도는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결과 10-3∼ 10-4S/cm로 나타난다.
(실시예 2)
1.5g의 트리티오시아누릭 산(TTCA), 0.4g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0.1g의 아세틸렌 블랙 분산제(Brij 35), 0.6g의 틴 주족원소 분말(입자 크기, 〈50㎛), 0.7g 의 아세틸렌 블랙 및 1.6g의 폴리아닐린(Versicon, Allied Signal Corp.)을 20 ml의 N-메틸-2-피롤리돈에 넣고 2일 이상 교반하여준다. 균질화된 슬러리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구리 금속 박막에 도포한다. 그 전극을 진공하의 60∼80 ℃에서 건조하고 0.1∼3 톤/cm2의 압력하에서 압착하여 전극을 완성한다. 이 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니켈 금속 메시 집전체를 지닌 리튬 박막으로 된 음극 및 겔 고분자 전해질막과 조합하여 전지 A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지 A'를 양극의 집전체로서 구리 금속 박막 대신 그레파이트 박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3)
1.5g의 트리티오시아누릭 산(TTCA), 0.4g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0.6g의 셀렌 주족원소 분말(입자 크기, 〈50㎛), 0.4g의 아세틸렌 블랙, 0.3g의 그레파이트 및 1.5g의 폴리아닐린(Versicon, Allied Signal Corp.)을 20 ml의 N-메틸-2-피롤리돈에 넣고 2일 이상 교반하여준다. 균질화된 슬러리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구리 금속 박막에 도포한다. 그 전극을 진공하의 60∼80 ℃에서 건조하고 0.1∼3 톤/cm2의 압력하에서 압착하여 전극을 완성한다. 이 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니켈 금속 메시 집전체를 지닌 리튬 박막으로 된 음극 및 겔 고분자 전해질막과 조합하여 전지 B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전지 B'를 양극의 집전체로서 구리 금속 박막 대신 그레파이트 박막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4)
1.2g의 트리티오시아누릭 산(TTCA), 0.4g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0.5g의 안티몬 주족원소 분말(입자 크기, 〈10㎛), 0.7g 의 아세틸렌 블랙 및 1.5g의 폴리아닐린(Versicon, Allied Signal Corp.)을 20 ml의 N-메틸-2-피롤리돈에 넣고 2일 이상 교반하여준다. 균질화된 슬러리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구리 금속 박막에 도포한다. 그 전극을 진공하의 60∼80 ℃에서 건조하고 0.1∼3 톤/cm2의 압력하에서 압착하여 전극을 완성한다. 이 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니켈 금속 메시 집전체를 지닌 리튬 박막으로 된 음극 및 겔 고분자 전해질막과 조합하여 전지 C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전지 D를 양극재에 틴 주족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과정에 따라 제조한다. 즉, 1.0g의 TTCA, 0.4g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0.1g의 아세틸렌 블랙 분산제(Brij 35)을 20ml의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0.4g의 아세틸렌 블랙 및 0.3g의 그레파이트를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2일 이상 교반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 D를 제조한다.
전지의 측정
전지 A∼D와 A'∼B'를 대상으로 하여 일정전류 방식으로 충방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도 1은 양극물질로 TTCA에 틴, 셀렌과 안티몬을 각각 첨가한 전지 A, B와 C의 방전 용량을 전극에 함유된 TTCA 이론용량에 대한 % 비율로 방전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전지 A, B와 전지 C의 방전 용량 곡선을 TTCA 만을 함유한 전지 D의 방전 용량 곡선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전지 A, B와 전지 C의 방전 용량은 각각의 전극에 함유된 TTCA 용량과 TTCA 만을 함유한 전지 D의 방전 용량보다 상당히 향상되었음을 보이고 있다. 즉, 양극에 함유된 주족원소 성분이 전극 반응에 활물질로 참여하여 전극의 용량에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2와 4는 양극의 TTCA에 각각 틴과 셀렌의 주족원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전지 A, B의 충방전횟수에 따른 충방전곡선을 나타내었다. 도 2와 4는 활물질로서 유기황 물질과 주족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복합 전극을 양극으로 하는 전지 A와 B의 안정되고 재현성있는 충방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충방전을 25회 반복하였을 경우, 충방전 효율이 높고 재현성 있는 충방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도 3과 5에서는 전지 A, B와 동일한 양극재로 구성되었으나, 양극 전류집전체로서 구리 금속 대신에 그레파이트 박막을 사용한 전지 A', B'의 충방전횟수에 따른 충방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두 시험 전지 A', B'에서 충전 전위는 급격히 증가하고, 방전 용량은 초반 사이클부터 감소함을 보이고 있다. 도 2와 도 4 및 도 3과 도 5의 비교로부터, 구리 금속으로 제조된 집전체를 지닌 복합 양극이 충방전시 더 안정되어있고 결과적으로 향상된 방전 용량을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양극이 이차 전지에 사용됨에 따라 충방전시 가역성이 좋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히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유기황 화합물, 주족원소 성분 및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양극재와 구리 금속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된 집전체로 구성된 양극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는 이러한 양극을 사용하여 리튬 금속 혹은 리튬 합금의 음극 및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되는 이차 전지를 개발할 수 있고, 이렇게 만들어진 이차 전지는 충방전시 가역성이 좋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지의 경량화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액상의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시 누액에 따른 문제점이 없으며, 고체 형태의 전지로서 용도에 따라 소형 및 박형의 전지 제조가 가능하다.

Claims (10)

  1. 환원시 가역적으로 유기티올레이트를 생성할 수 있는 유기황 화합물 ; 주족원소, 주족원소의 합금, 주족원소의 이온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족원소 성분 ; 및 전도성 카본 또는 전도성 고분자에서 선택된 전도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유기황 화합물은 환원시 황과 금속 또는 수소 양이온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는 유기 티올레이트가 생성되고, 유기 티올레이트의 산화시 가역적으로 황과 황 원자 사이의 결합이 생성되는 유기 디설파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유기황 화합물은 2,5-디머캡토-1,3,4-티아디아졸(2,5- dimercapto-1,3,4-thiadiazole) 또는 트리티오시아누릭 산(trithiocyanuric acid)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주족원소 성분은 이차 전지의 충전시 산화되고, 이차 전지의 방전시 환원되는 다중의 산화상태를 가질 수 있는 주족원소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주족원소 성분은 틴(Sn), 셀렌(Se), 안티몬(Sb), 아세닉(As), 상기 주족원소의 합금, 또는 그 주족원소의 이온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주족원소 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전도성 물질은 흑연, 아세틸렌 블랙과 같은 탄소물질 및 산소, 질소 또는 황과 같은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는 원소들이 중합체의 반복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전도성 고분자물질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
  7. 제 7항에 있어서,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과 그 유도체에서 선택된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복합 양극재 조성물
  8. 제 1항의 복합 양극재 조성물을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된 이차 전지용 양극
  9. 제 8항의 이차 전지용 양극과 리튬 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금속, 리튬 합금, 혹은 카본, 흑연 등 리튬 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에서 선택된 물질을 음극으로 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고분자 전해질은 리튬 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고분자 전해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9980039142A 1997-09-24 1998-09-22 고용량 복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283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75 1997-09-24
KR97-48475 1997-09-24
KR1019970048475A KR19990026388A (ko) 1997-09-24 1997-09-24 주석-유기 디설파이드 복합 양극 및 이를 이용한이차 전지
KR98-8917 1998-03-17
KR1019980008917 1998-03-17
KR1019980008917A KR19990074992A (ko) 1998-03-17 1998-03-17 복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002A KR19990030002A (ko) 1999-04-26
KR100283926B1 true KR100283926B1 (ko) 2001-04-02

Family

ID=2663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142A KR100283926B1 (ko) 1997-09-24 1998-09-22 고용량 복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90504A (ko)
KR (1) KR100283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134B2 (ja) 1999-10-1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US6403255B1 (en) * 1999-12-13 2002-06-11 Bar Ilan University Polyvinyl mercaptan redox material for cathodes in non-aqueous batteries
JP4412808B2 (ja) * 2000-05-12 2010-0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ポリマー二次電池
KR20020068783A (ko) * 2001-02-22 2002-08-28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양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US7033699B2 (en) * 2001-03-01 2006-04-25 Ovonic Fuel Cell Company Llc Fuel cell cathodes and their fuel cells
US6777125B2 (en) * 2001-03-01 2004-08-17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Fuel cell cathode with redox couple
US6805999B2 (en) * 2001-11-13 2004-10-19 Midwest Research Institute Buried anode lithium thin film battery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WO2003043108A1 (en) * 2001-11-13 2003-05-22 Midwest Research Institute Buried anode lithium thin film battery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KR100436712B1 (ko) * 2001-12-19 2004-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캐소드 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US20060024579A1 (en) 2004-07-27 2006-02-02 Vladimir Kolosnitsyn Battery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5466364B2 (ja) * 2004-12-02 2014-04-09 オクシス・エナジー・リミテッド リチウム・硫黄電池用電解質及びこれを使用するリチウム・硫黄電池
KR101353363B1 (ko) * 2005-01-18 2014-02-18 옥시스 에너지 리미티드 황 또는 황 화합물을 사용한 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에 관한개선
RU2402842C2 (ru) * 2005-03-22 2010-10-27 Оксис Энерджи Лимитед Хим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1941568A1 (en) * 2005-09-26 2008-07-09 Oxis Energy Limited Lithium-sulphur battery with high specific energy
GB2430542B (en) 2005-09-26 2008-03-26 Oxis Energy Ltd Lithium-sulphur battery with high specific energy
EP2629352A1 (en) 2012-02-17 2013-08-21 Oxis Energy Limited Reinforced metal foil electrode
ES2546609T3 (es) 2013-03-25 2015-09-25 Oxis Energy Limited Un método para cargar una celda de litio-azufre
EP2784852B1 (en) 2013-03-25 2018-05-16 Oxis Energy Limited A method of charging a lithium-sulphur cell
EP2784850A1 (en) 2013-03-25 2014-10-01 Oxis Energy Limited A method of cycling a lithium-sulphur cell
GB2517228B (en) 2013-08-15 2016-03-02 Oxis Energy Ltd Laminate cell
WO2015092380A1 (en) 2013-12-17 2015-06-25 Oxis Energy Limited Electrolyte for a lithium-sulphur cell
CN106537660B (zh) 2014-05-30 2020-08-14 奥克斯能源有限公司 锂硫电池
US20190312267A1 (en) * 2018-04-09 2019-10-10 Nanotek Instruments, Inc. Production process for graphene-enabled selenium cathode active material for an alkali metal-selenium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048A (en) * 1988-03-31 1989-05-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al-sulfur type cell having improved positive electrode
US5324599A (en) * 1991-01-29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versible electrode material
ZA9410365B (en) * 1994-01-05 1995-07-05 Programme 3 Patent Holdings Electrochemical cell
US5516598A (en) * 1994-07-28 1996-05-14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Secondary cell using organosulfur/metal charge transfer materials as positive electrode
US5665492A (en) * 1995-02-08 1997-09-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osite Electrode including organic disulfide compou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tilizing the same
JP3292441B2 (ja) * 1996-03-21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機ジスルフィド化合物を含有する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002A (ko) 1999-04-26
US6090504A (en) 2000-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926B1 (ko) 고용량 복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276656B1 (ko) 박막형 복합 재료 양극으로 구성된 고체형 이차 전지
US5518841A (en) Composite cathode
US6174621B1 (en) Electroactive high storage capacity polyacetylene-co-polysulfur materials and electrolytic cells containing same
US10290868B2 (en) Cathodes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KR100854837B1 (ko) 레독스 활성 가역 전극 및 그것을 이용한 2차 전지
CN110061286B (zh) 一种具有预锂化效应的高能量密度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US6245458B1 (en) Composite electrod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6576370B1 (en) Positive electrode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US20020041995A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radical compound electrode
US6057056A (en) Composit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therefrom
JP3085943B2 (ja) 金属複合陽極剤を含む陽極を備えたリチウムポリマー二次電池
KR20020048447A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KR100283927B1 (ko) 복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6309778B1 (en) Electroactive high storage capacity polyacetylene-co-polysulfur materials and electrolytic cells containing same
KR100225674B1 (ko) 개선된 구리-유기 디설파이드 양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302191B1 (ko) 금속-고분자복합전극재및그용도
EP0389491A1 (en) Rechargeable battery cathode from p2-phase sodium cobalt dioxide
JP3444463B2 (ja) 有機ジスルフィド化合物を含有する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38884A (ko) 금속-유기 디설파이드 복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KR19990074992A (ko) 복합 전극 및 비수계 이차 전지
KR19990018239A (ko) 양극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극 및 이차전지
KR19990026388A (ko) 주석-유기 디설파이드 복합 양극 및 이를 이용한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