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958B1 - 세탁기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958B1
KR100277958B1 KR1019980017405A KR19980017405A KR100277958B1 KR 100277958 B1 KR100277958 B1 KR 100277958B1 KR 1019980017405 A KR1019980017405 A KR 1019980017405A KR 19980017405 A KR19980017405 A KR 19980017405A KR 100277958 B1 KR100277958 B1 KR 10027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plate
suspension
cylindrical sleeve
spr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183A (ko
Inventor
최성봉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9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958B1/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서스펜션 구조를 개선하여 공진점 이전의 과도상태에서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는 반면, 공진점 이후의 정상상태에서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도록하여 진동 특성에 따라 서스펜션의 감쇠작용이 달리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서스펜션의 진동감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아웃 케이스(1)에 걸려 외조를 지지하는 스너버 바(12)와, 외조(3)에 형성된 걸림편(30) 하부에 설치되며 헤드부(90) 및 상기 헤드부(90)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하부 스톱퍼(92)(93)가 구비되는 축부(91)를 갖는 서스펜션 캡(9)과, 서스펜션 캡의 상부 스톱퍼 및 하부 스톱퍼 사이의 축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판형의 마찰판(13)과, 스너버 바(12)에 결합되며 마찰판에 긴밀하게 접하게 설치되는 원통 슬리브(14)와, 서스펜션 캡의 하부 스톱퍼와 원통 슬리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너버 바에 삽입되어 외조 진동시 신축되는 완충스프링(10)이 구비되어, 탈수시 과도상태에서는 상부 스톱퍼가 마찰판에 접한 상태로 습동 마찰하는 한편 하부 스톱퍼가 마찰판에 접한 상태로 습동 마찰하여 진동을 감쇠시키게 되고, 정상상태에서는 서스펜션 캡이 상기 상·하부 스톱퍼(92)(93) 사이의 거리 내에서 승강하므로써 완충스프링의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현가장치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의 현가(懸架)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 및 탈수시 세탁기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현가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 특성에 따라 현가장치의 감쇠작용이 달리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진 성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과 세탁날개(Pulsator)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날개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양과 종류를 감지하여 세탁방법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한편 세탁수를 세탁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수위까지 급수한 후,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 케이스(1) 내부로 현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외조(3)가 설치되고, 상기 외조(3) 내에는 탈수조 겸용인 세탁조(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조(3)의 하부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가 장착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모터(5)의 구동력을 V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외조(3) 및 세탁조(4) 내부의 바닥 중심부에 설치된 펄세이터(6)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7)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물 및 세제가 세탁조(4) 내에 투입되어 제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세탁시작 버튼을 선택하면 컨트롤러(도시는 생략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에 걸쳐 세탁, 헹굼, 탈수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세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펄세이터(6)의 반전에 따른 수류의 충격작용과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세탁조(4)에는 진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 진동은 외조(3)로 전달되어 외조(3)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특히, 탈수시에는 세탁조 겸용인 탈수조(4)가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인해,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한 편하중이 작용할 경우, 외조(3) 및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는 진동력이 세탁시에 비해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모터(5) 등의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은 구동부를 고정하는 터브 베이스를 통해 외조(3)에 전달되고, 다시 탈수조와 서스펜션 어셈블리(2a)에 전달된다.
이 때, 탈수조(4)에 전달된 진동은 오토 밸런서(8)로 전달되며, 서스펜션 어셈블리(2a)에 전달된 진동 및 소음은 서스펜션 캡(9) 내의 스너버 바(12)를 매질로 삼아 외조(3)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세탁기에 진동이 발생할 때, 종래에는 현가장치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세탁 시스템의 진동을 감쇠시키게 된다.
세탁기에 구비되는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종래의 서스펜션 어셈블리(2a)(suspension assembly)는 도 2a 및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조(3)의 하부 모서리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서스펜션 캡(9)(suspension cap)과, 상기 서스펜션 캡(9) 하부에 끼워져 압축스프링(10)에 의해 서스펜션 캡(9)의 내측 둘레면과 기밀 접속되는 스너버 베이스(11)(snubber base)와, 상기 서스펜션 캡(9)을 관통하여 스너버 베이스(11)에 하단이 연결되고 아웃 케이스(1)에 상단이 지지되어 외조(3)를 아웃 케이스(1)로부터 지지하는 스너버 바(12)(snubber bar)와, 상기 서스펜션 캡(9) 내에 설치되어 외조(3)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서스펜션 캡(9)이 스너버 바(12)를 따라 하강시 상기 스너버 베이스(11)에 탄력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서스펜션 어셈블리(2a)는 원주방향을 따라 90°각도를 이루면서 외조(3)의 외측 둘레면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탈수시 세탁기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외조(3)에 고정된 서스펜션 캡(9)이 스너버 바(12)에 대해 승강 운동함에 따라, 스너버 베이스(11)와 서스펜션 캡(9) 간에 작용하는 습동(摺動) 마찰력이 진동에 대한 감쇠력으로서 작용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서스펜션 캡(9) 내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0)이 서스펜션 캡(9) 내부에 존재하는 압축공기와 더불어 완충작용을 하여 외조(3)의 균형을 유지시키게 된다.
즉,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서스펜션 캡(9)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축, 습동 마찰력, 그리고 압축스프링(10)의 완충 작용등에 의해 진동이 저감되므로써 세탁기가 안정된 상태가 되어 부드럽게 탈수가 진행될 수 있었다.
그 후, 탈수가 완료되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스펜션 어셈블리(2a)를 구성하는 압축스프링(10)에 인가되는 하중은 거의 해제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탈수시 발생하는 세탁기의 외조 진동은 일반적으로 습동 마찰력을 증대시키거나, 에어 댐핑력을 증대시키므로써 감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마찰 댐핑을 이용하여 세탁 시스템의 탈수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경우,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시스템의 진동이 감쇠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마찰 댐핑을 실시할 경우, 서스펜션 작용시의 마찰력의 크기와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가진력과의 관계, 즉 마찰력의 크기와 아웃 케이스로 전달되는 가진력의 변화 관계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도상태(state of transition)와 정상상태(state of steady)에 따라서 다른 양태를 보이게 된다.
다시 말해, 시스템의 상태가 과도상태일 경우에는 시스템의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나, 과도상태를 지나고 나면 전달력이 거의 줄어 들지 않아, 마찰력이 오히려 시스템의 진동을 가증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여기서, 과도상태는 1차공진영역 및 2차공진영역에서의 시스템 진동상태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진폭이 일정한 값을 갖기 전의 상태이다.
도 4 및 도 5는 10kg 용량인 세탁기의 무부하 상태에서의 진동 특성을 고찰하여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기 조건에서의 1차공진영역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조(4)의 회전수가 약 60rpm 이하인 영역을 말하고 2차공진영역은 세탁조의 회전수가 60∼240rpm인 영역을 말하며, 1차공진영역 및 2차공진영역에서의 시스템 진동 형태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즉, 1차공진영역에서는 시스템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진동을 하게 되며, 2차공진영역에서는 시스템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뿔 모양을 이루는 코니컬(conical) 진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차공진영역 및 2차공진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과도상태에서는 아웃 케이스로 전달되는 전달력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과도상태 이후의 시스템 상태를 정상상태라고 부르며, 정상상태는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해진 상태로서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는 전달력의 크기가 줄어들기 시작하는 임계점(2차공진점) 이후의 상태를 말한다.
요컨데, 과도상태에서는 마찰력이 클수록 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크지만, 정상상태에서는 마찰력이 작으면 작을수록 시스템으로 전달되는 전달력이 작아 시스템의 진동을 줄이는데 효과적임을 도 5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도 5는 마찰 댐핑시 진동수비와 전달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Ⅰ선, Ⅱ선, Ⅲ선의 마찰력(F> F>F= 0)과 전달력과의 관계를 비교하면, 과도상태에서는 마찰력이 클수록 아웃 케이스로의 전달력이 큰 반면, 정상상태에서는 마찰력이 작을수록 아웃 케이스로의 전달력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도상태에서는 큰 마찰력이 작용하고, 과도상태를 넘어서면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는 특성을 갖춘 현가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현가장치는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구조적 특성상, 과도상태에서 습동 마찰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반면,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아야 진동을 감쇠시키는데 유리한 정상상태에서도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므로써 진동 감쇠에 오히려 역효과를 내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습동 마찰력에 의해 아웃 케이스(1)로 전해지는 전달력이 커지므로 인해, 정상상태에서는 오히려 시스템의 진동이 증대된다.
요컨데, 종래의 현가장치는, 과도상태에서 시스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정상상태일 때의 시스템의 진동을 오히려 증대시키게 되고, 정상상태에서의 시스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과도상태일 때의 시스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가 없게 되는 등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도상태에서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는 반면, 정상상태에서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도록하여 과도상태 및 정상상태의 진동 특성에 관계없이 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진동 감쇠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 세탁기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a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2a는 서스펜션 캡에 인가된 하중에 의해 서스펜션 캡이 하강하여 압축스프링에 압축력이 걸린 경우의 상태도
도 2b는 서스펜션 캡에 인가된 하중이 제거되어 압축스프링에 걸린 압축력이 해제된 경우의 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세탁기에 있어서, 탈수시 세탁물의 편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상태에서의 진동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3a는 1차 공진영역에서의 상태도
도 3b는 2차 공진영역에서의 상태도
도 4는 탈수시 마찰 댐핑에 있어서, 시간 변화에 대한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탈수시 마찰 댐핑에 있어서, 마찰력의 크기에 따른 진동수의 비에 대한 전달력 변화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조립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원통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마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도 7의 완충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서스펜션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a와 12b 및, 도 12c와 1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진동 특성에 따른 감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12a는 과도상태에 있어서의 마찰댐핑시 마찰판이 상사점에 위치한 시점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상태도
도 12b는 과도상태에 있어서의 마찰댐핑시 마찰판이 하사점에 위치한 시점의 상태도
도 12c는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완충작용시 스프링이 최대로 신장된 상태도
도 12d는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완충작용시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도
도 13a,b는 도 7의 원통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는 원통 슬리브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a,b는 도 11의 서스펜션 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4a는 서스펜션 캡의 스톱퍼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원통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조립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마찰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원통 슬리브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도 21a와 21b 및, 도 21c와 21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진동 특성에 따른 감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21a는 과도상태에 있어서의 마찰댐핑시 마찰판이 상사점에 위치한 시점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상태도
도 21b는 과도상태에 있어서의 마찰댐핑시 마찰판이 하사점에 위치한 시점의 상태도
도 21c는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완충작용시 마찰판이 최대로 상승한 시점의 상태도
도 21d는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완충작용시 마찰판이 최대로 하강한 시점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아웃 케이스 2:서스펜션 어셈블리
3:외조 30:걸림편
300:통공 301:오목면
4:세탁조 9:서스펜션 캡
90:헤드부 900,900a,900b:관통공
91:축부 910:안내홈
911:고정홈 911a:돌출부
92:상부 스톱퍼 93:하부 스톱퍼
920,930:고정편 10:완충스프링
10a:어퍼 아우터 스프링
10b:어퍼 인너 스프링
100a:로우어 아우터 스프링
100b:로우어 인너 스프링
110:슬릿홈 12:스너버 바
13:원판형 마찰판 13a:상부 마찰판
13b:하부 마찰판 130:슬릿홈
130a:상부 마찰판의 통공 130b:하부 마찰판의 통공
14,14a,14b,14c:원통 슬리브 140a:베이스
140b:슬리브 몸체 141,141a,141b:환형의 지지돌기
15:마찰판 가압플레이트 16a:상부 멈춤돌기
16b:하부 멈춤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외조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는 긴 길이를 갖는 안내봉인 스너버 바(snubber bar)와, 외조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통공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스톱퍼가 각각 구비되는 축부를 가지며 스너버 바가 지나도록 상기 헤드부 및 축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걸림편 하부에 위치하는 서스펜션 캡과, 상기 서스펜션 캡의 상부 스톱퍼 및 하부 스톱퍼 사이의 축부 외면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판형의 마찰판과, 상기 스너버 바 하단에 바닥면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마찰판에 내주면이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는 원통 슬리브와, 상기 서스펜션 캡의 하부 스톱퍼와 원통 슬리브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너버 바 외주면 상에 삽입되어 서스펜션 캡의 승강시 신축되는 완충스프링이 구비되어, 탈수시에 있어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전인 과도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스톱퍼가 마찰판 상부면에 접한 상태에서 서스펜션 캡이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는 한편 하부 스톱퍼가 마찰판 하부면에 접한 상태에서 서스펜션 캡이 상승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므로써 시스템에 대한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고, 과도상태를 지나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서스펜션 캡이 상기 상·하부 스톱퍼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행정범위 내에서 승강하므로써 마찰판의 승강에 따른 습동 마찰없이 완충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외조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는 긴 길이를 갖는 안내봉인 스너버 바(snubber bar)와, 외조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통공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스톱퍼가 각각 구비되는 축부를 가지며 스너버 바가 지나도록 상기 헤드부 및 축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걸림편 하부에 위치하는 서스펜션 캡과, 상기 서스펜션 캡의 상부 스톱퍼 및 하부 스톱퍼 사이의 축부 외면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판형의 마찰판과, 상기 스너버 바 하단에 바닥면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마찰판에 내주면이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축방향을 따라 일정영역이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면으로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와, 상기 서스펜션 캡의 하부 스톱퍼와 원통 슬리브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너버 바 외주면 상에 삽입되어 서스펜션 캡의 승강시 신축되는 완충스프링이 구비되어, 탈수시에 있어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전인 과도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스톱퍼가 마찰판 상부면에 접한 상태에서 서스펜션 캡이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는 한편 하부 스톱퍼가 마찰판 하부면에 접한 상태에서 서스펜션 캡이 상승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므로써 시스템에 대한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고, 과도상태를 지나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서스펜션 캡이 상기 상·하부 스톱퍼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행정범위 내에서 승강하므로써 마찰판의 승강에 따른 습동 마찰없이 완충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외조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봉상(棒狀)의 스너버 바(snubber bar)와, 외조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과, 상기 스너버 바가 지나는 관통공이 상·하부면에 구비되며 외조의 진동시 스너버 바를 따라 변위하도록 외조에 형성된 걸림편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 슬리브와, 상기 원통 슬리브 내주면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상부 멈춤돌기와 이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환형의 하부 멈춤돌기와, 상기 원통 슬리브 내의 상부 멈춤돌기 상부에 설치되며 스너버 바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마찰판과, 상기 원통 슬리브 내의 하부 멈춤돌기 하부에 설치되며 스너버 바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마찰판과, 상기 원통 슬리브를 관통하는 스너버 바의 상·하부 마찰판 사이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며 승강시 상부 멈춤돌기 및 하부 멈춤돌기에 대해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마찰판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마찰판과 원통 슬리브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너버 바 외주면에 설치되는 상부 아웃터 완충스프링과, 상기 하부 마찰판와 원통 슬리브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너버 바 외주면에 설치되는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과, 상기 어퍼 아우터 스프링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 슬리브 상부면과 마찰판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마찰판의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퍼 인너 스프링과, 상기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 슬리브 바닥면과 마찰판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마찰판의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이 구비되어, 탈수시에 있어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전인 과도상태에서는 상기 마찰판 가압플레이트가 상부 마찰판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원통 슬리브가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함과 더불어 상기 마찰판 가압플레이트가 하부 마찰판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원통 슬리브가 상승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는 한편 스프링들의 완충작용에 의해 시스템에 대한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고, 과도상태를 지나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변위 폭이 상·하부 마찰판 사이의 거리 이하가 되도록 원통 슬리브가 승강하므로써 상·하부 마찰판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습동 마찰없이 어퍼 인너 스프링 또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조립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서스펜션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마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는 도 7의 완충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원통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도 12a와 12b 및, 도 12c와 1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진동 특성에 따른 감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외조(3)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1)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는 긴 길이를 갖는 안내봉인 스너버 바(12)(snubber bar)와, 외조(3)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300)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30)과, 상기 걸림편(30)의 통공(300)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헤드부(90) 및 상기 헤드부(90)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스톱퍼(92)(93)가 각각 구비되는 축부(91)를 가지며 스너버 바(12)가 지나도록 상기 헤드부(90) 및 축부(91)를 관통하는 관통공(900)이 형성되어 걸림편(30) 하부에 위치하는 서스펜션 캡(9)과, 상기 서스펜션 캡(9)의 상부 스톱퍼(92) 및 하부 스톱퍼(93) 사이의 축부(91) 외면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판형의 마찰판(13)과, 상기 스너버 바(12) 하단에 바닥면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마찰판(13)에 내주면이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는 원통 슬리브(14)와, 상기 서스펜션 캡(9)의 하부 스톱퍼(93)와 원통 슬리브(14)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너버 바(12) 외주면 상에 삽입되어 서스펜션 캡의 승강시 신축되는 완충스프링(1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원통 슬리브(14)의 상단 내주면 상에는 서스펜션 캡의 상승시 마찰판(13)이 슬리브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1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 슬리브(14)의 바닥면 상에는 완충스프링(1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스프링의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을 막아주는 환형의 지지돌기(1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판(13)에는 진동에 따른 마찰판의 하강시 원통 슬리브(14) 내부에서 상기 마찰판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복수개의 슬릿홈(130)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시, 구동부에서 발생한 진동은 외조(3) 외주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30)을 통해 서스펜션 캡(9)으로 전달되며, 진동의 정도에 상응하여 상기 서스펜션 캡 하부에 결합된 상기 완충스프링(10)이 스너버 바(12)를 따라 신축하게 된다.
즉, 세탁시에는 세탁조 및 외조에 세탁수가 차 있으므로 인해, 세탁조의 균형이 잡혀 있어 진동이 미약하여 걸림편(30)에 하부에 위치한 서스펜션 캡(9)의 승강시 서스펜션 캡 하부에 설치된 완충스프링(10)이 원통 슬리브 내에서 신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므로써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3)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는 것을 막게 된다.
즉,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완충스프링(10)의 완충 작용만으로도 진동이 줄어들어 시스템이 안정되므로써, 부드럽게 세탁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탈수시에는 세탁기의 진동이 과도상태 및 정상상태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이게 되며, 서스펜션의 진동 감쇠작용 또한 과도상태(state of transition) 및 정상상태(steady state)에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양태를 보이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탈수시의 댐핑에 있어 과도상태에서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상태도로서,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전인 과도상태에서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스펜션 캡(9)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부 스톱퍼(92)가 마찰판(13)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부터 진폭에 비례하여 하강하게 되며, 이 때 상기 마찰판(13)과 원통 슬리브(14) 사이에서는 습동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외조(3)의 하강시 진폭이 최대인 시점에서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스프링(10)의 피치가 최소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스펜션 캡(9)이 최대로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할 때에는 서스펜션 캡(9)의 외주면에 설치된 하부 스톱퍼(93)가 상기 마찰판(13)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마찰판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되며, 이 경우 역시 마찰판(13)과 원통 슬리브(14) 사이에서 습동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서스펜션 캡(9)의 승강시, 서스펜션 캡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부 스톱퍼(92) 및 하부 스톱퍼(93)가 마찰판(13)을 누르거나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마찰판(13)이 원통 슬리브(14) 내주면을 따라 습동하게 되므로써, 이 때 발생하는 습동 마찰력에 의해 시스템의 진동이 저감된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는, 과도상태에서는 진폭이 완충스프링(10)의 복원력을 넘어설 경우, 서스펜션 캡(9)의 상·하 운동에 의해 원통 슬리브(14) 내에 설치된 마찰판(13)이 연동하여 상기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므로써 외조(3)의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도 12b는 정상상태에서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상태도로서,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완충스프링(10)의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진동이 저감된다.
즉, 진폭이 안정된 정상상태에서는 서스펜션 캡(9)의 행정거리가 서스펜션 캡 외주면상에 설치된 상부 스톱퍼(92)와 하부 스톱퍼(93) 사이의 거리에서 마찰판(13)의 두께를 뺀 거리와 동일하므로 마찰판(13)의 이동이 없어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요컨데, 정상상태에서는 마찰판(13)와 원통 슬리브(14)간의 습동 마찰없이 완충스프링(10)의 탄성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는, 탈수시 과도상태인 경우에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진동을 감쇠시키게 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습동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조(3)로부터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는 전달력을 최소화하므로써 진동특성에 관계없이 시스템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현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a,b는 도 7의 원통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는원통 슬리브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 슬리브(14a)는 분리형의 베이스를 가진 구조로서, 스너버 바(12) 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140a)와, 상기 베이스(140a)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며 상기 마찰판(13)에 내주면이 긴밀하게 접하게 되는 슬리브 몸체(140b)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형으로 함은 스프링을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 제작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4a,b는 도 11의 서스펜션 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서스펜션 캡(9)의 축부(91) 외주면 양측에 축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스톱퍼 안내홈(910) 및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 대해 직교하는 스톱퍼 고정홈(911)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 스톱퍼(92)(93)의 내주면 상에 각 안내홈(910) 및 고정홈(911)에 형합하는 고정편(920)(93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스톱퍼들(92)(93)을 서스펜션 캡(9)의 외주면에 장착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서스펜션 캡(9)의 고정홈(911) 끝단부에는 상기 스톱퍼들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편(920)(930)이 스냅피팅되어 고정홈(911) 끝단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91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스펜션 캡(9)과 스톱퍼들(92)(93)은 조립시,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퍼(92)(93)들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편(920)(930)을 서스펜션 캡(9) 선단의 안내홈(910)에 형합시킨 상태에서 스톱퍼들을 차례로 안내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어 넣다가, 스톱퍼(92)(93)가 각각 원하는 고정홈 위치에 도달하면 스톱퍼를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각 스톱퍼의 고정편(920)(930)이 고정홈 선단에 결합되도록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서스펜션 캡의 고정홈(911) 끝단에는 돌출부(911a)가 형성되어 있어 스톱퍼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편이 스냅 피팅(snap fitting)되므로 조립된 후 스톱퍼의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조립시 상부 스톱퍼(92)를 먼저 조립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첨부도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원통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외조(3)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1)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는 긴 길이를 갖는 안내봉인 스너버 바(12)(snubber bar)와, 외조(3)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300)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30)과, 상기 걸림편(30)의 통공(300)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헤드부(90) 및 상기 헤드부(90)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스톱퍼(92)(93)가 각각 구비되는 축부(91)를 가지며 스너버 바(12)가 지나도록 상기 헤드부(90) 및 축부(91)를 관통하는 관통공(900)이 형성되어 걸림편(30) 하부에 위치하는 서스펜션 캡(9)과, 상기 서스펜션 캡(9)의 상부 스톱퍼(92) 및 하부 스톱퍼(93) 사이의 축부(91) 외면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판형의 마찰판(13)과, 상기 스너버 바(12) 하단에 바닥면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마찰판(13)에 내주면이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축방향을 따라 일정영역이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면으로 형성되는 원통 슬리브(14b)와, 상기 서스펜션 캡(9)의 하부 스톱퍼(93)와 원통 슬리브(14b)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너버 바(12) 외주면 상에 삽입되어 서스펜션 캡의 승강시 신축되는 완충스프링(1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원통 슬리브(14b)의 상단 내주면 상에는 서스펜션 캡의 상승시 마찰판(13)이 원통 슬리브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140)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 슬리브(14b)의 바닥면 상에는 완충스프링(1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스프링의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을 막아주는 환형의 지지돌기(141)가 형성됨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마찰판(13)에 진동에 따른 마찰판의 하강시 원통 슬리브(14b) 내의 압축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복수개의 슬릿홈(130)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진동감쇠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원리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설명을 줄이고, 차이점을 주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역시, 탈수시에 있어 과도상태에서는 상기 서스펜션 캡(9)이 승강함에 따라 상부 스톱퍼(92) 또는 하부 스톱퍼(93)가 습동 마찰하므로써 시스템에 대한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고, 과도상태를 지나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서스펜션 캡(9)이 상기 상·하부 스톱퍼(92)(9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행정범위 내에서 승강하므로써 습동 마찰없이 완충스프링(10)의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과도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톱퍼(92)가 마찰판(13) 상부면에 접한 상태에서 서스펜션 캡(9)이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13)이 원통 슬리브(14b)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할 때, 내주면이 일정각도로 테이퍼져 있으므로 인해 마찰판(13)과 원통 슬리브(14b) 사이의 습동 마찰력이 매우 강해지게 된다.
즉, 상기한 제2실시예의 구조는 습동 마찰력을 매우 커게 해야 할 경우에 유리하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탈수시 과도상태인 경우에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진동을 감쇠시키게 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습동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조(3)로부터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는 전달력을 최소화하므로써 진동특성에 관계없이 시스템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현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서스펜션 어셈블리 조립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마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원통 슬리브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21a와 21b 및 도 21c와 21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진동 특성에 따른 감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외조(3)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1)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봉상(棒狀)의 스너버 바(12)(snubber bar)와, 외조(3)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300)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30)과, 상기 스너버 바(12)가 지나는 관통공(900a)(900b)이 상·하부면에 구비되며 외조(3)의 진동시 스너버 바를 따라 변위하도록 외조에 형성된 걸림편(30)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 슬리브(14c)와, 상기 원통 슬리브(14c) 내주면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상부 멈춤돌기(16a)와 이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환형의 하부 멈춤돌기(16b)와, 상기 원통 슬리브(14c) 내의 상부 멈춤돌기(16a) 상부에 설치되며 스너버 바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통공(130a)이 형성되는 상부 마찰판(13a)과, 상기 원통 슬리브(14c) 내의 하부 멈춤돌기(16b) 하부에 설치되며 스너버 바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통공(130b)이 형성되는 하부 마찰판(13b)과, 상기 원통 슬리브(14c)를 관통하는 스너버 바(12)의 상·하부 마찰판(13a)(13b) 사이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며 승강시 상부 멈춤돌기(16a) 및 하부 멈춤돌기(16b)에 대해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마찰판 가압플레이트(15)와, 상기 상부 마찰판(13a)과 원통 슬리브(14c)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너버 바(12) 외주면에 설치되는 상부 아웃터 완충스프링(10a)과, 상기 하부 마찰판(13b)와 원통 슬리브(14c)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너버 바(12) 외주면에 설치되는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100a)과, 상기 어퍼 아우터 스프링(10a)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 슬리브(14c) 상부면과 마찰판 가압플레이트(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마찰판(13a)의 통공(130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퍼 인너 스프링(10b)과, 상기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100a)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 슬리브(14c) 바닥면과 마찰판 가압플레이트(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마찰판(13b)의 통공(130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100b)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원통 슬리브(14c)의 상부면에는 어퍼 인너 스프링(10b) 및 어퍼 아우터 스프링(10a)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141a)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 슬리브(14c)의 바닥면에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100b) 및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100a)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141b)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 슬리브(14c) 내주면을 따라 습동하게 되는 상부 마찰판(13a)의 상면에는 어퍼 인너 스프링(10b) 및 어퍼 아우터 스프링(10a)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131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마찰판(13b)의 저면에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100b) 및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100a)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131b)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들의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마찰판(13a)(13b)의 외주면 상에는 각각 복수개의 슬릿홈(130a)(130b)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탈수시에 있어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전인 과도상태에서는 상기 마찰판 가압플레이트(15)가 상부 마찰판(13a)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원통 슬리브(14c)가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13)이 원통 슬리브(14c)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함과 더불어 상기 마찰판 가압플레이트(15)가 하부 마찰판(13b)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원통 슬리브(14c)가 상승함에 따라 마찰판(13)이 원통 슬리브(14c)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는 한편 스프링들의 완충작용에 의해 시스템에 대한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원통 슬리브(14c)가 최대 진폭으로 하강하면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마찰판(13a)이 원통 슬리브 내의 상사점에 위치하게 되고, 원통 슬리브(14c)가 최대 진폭으로 상승하면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마찰판(13b)이 원통 슬리브 내의 하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과도상태를 지나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플레이트(15)의 변위 폭이 상·하부 마찰판(13a)(13b) 사이의 거리 이하가 되도록 원통 슬리브(14c)가 승강하므로써 상·하부 마찰판(13a)(13b)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습동 마찰없이 어퍼 인너 스프링(10b) 또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100b)의 신축에 따른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진폭이 상·하부 마찰판(13a)(13b) 사이의 거리 이하가 되는데, 정상상태에 있어서 원통 슬리브(14c)가 최대로 하강한 시점에서는 도 21c와 같이 어퍼 인너 스프링(10b)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되며,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원통 슬리브(14c)가 최대로 상승한 시점에서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100b)이 최대로 압축된 도 21d와 같은 상태가 된다.
요컨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탈수시 과도상태인 경우에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진동을 감쇠시키게 되며, 정상상태에서는 습동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조(3)로부터 아웃 케이스(1)로 전달되는 전달력을 최소화하므로써 진동 특성에 관계없이 시스템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현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어셈블리(2)는 시스템의 진동시 공진점 이전의 과도상태에서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는 반면, 과도상태가 끝난 후의 정상상태에서는 습동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도록하여 과도상태 및 정상상태의 진동 특성에 관계없이 시스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기의 진동 감쇠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므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현가장치의 전체적인 진동감쇠력을 증대시키므로써 대용량의 세탁기에도 적합한 현가장치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외조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는 긴 길이를 갖는 안내봉인 스너버 바(snubber bar)와,
    외조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통공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축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스톱퍼가 각각 구비되는 축부를 가지며 스너버 바가 지나도록 상기 헤드부 및 축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걸림편 하부에 위치하는 서스펜션 캡과,
    상기 서스펜션 캡의 상부 스톱퍼 및 하부 스톱퍼 사이의 축부 외면에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판형의 마찰판과,
    상기 스너버 바 하단에 바닥면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마찰판에 내주면이 긴밀하게 접하도록 설치되는 원통 슬리브와,
    상기 서스펜션 캡의 하부 스톱퍼와 원통 슬리브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너버 바 외주면 상에 삽입되어 서스펜션 캡의 승강시 신축되는 완충스프링이 구비되어,
    탈수시에 있어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전인 과도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스톱퍼가 마찰판 상부면에 접한 상태에서 서스펜션 캡이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는 한편 하부 스톱퍼가 마찰판 하부면에 접한 상태에서 서스펜션 캡이 상승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므로써 시스템에 대한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고, 과도상태를 지나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서스펜션 캡이 상기 상·하부 스톱퍼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행정범위 내에서 승강하므로써 마찰판의 승강에 따른 습동 마찰없이 완충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원통 슬리브의 내주면이,
    축방향을 따라 일정영역이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찰판의 하강시 습동 마찰력이 더욱 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슬리브의 상단 내주면 상에,
    서스펜션 캡의 상승시 마찰판이 슬리브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슬리브의 바닥면 상에,
    완충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스프링의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을 막아주는 환형의 지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에,
    마찰판의 하강시 원통 슬리브 내에서 상기 마찰판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복수개의 슬릿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캡의 축부 외주면 양측에 축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 대해 직교하는 고정홈을 각각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 스톱퍼의 내주면 상에 각 안내홈 및 고정홈에 형합하는 고정편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톱퍼의 고정편이 고정홈 선단에 결합되도록 조립하여 상기 상·하부 스톱퍼를 서스펜션 캡의 축부에 장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캡의 고정홈 끝단부 양측에,
    상기 스톱퍼들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편이 스냅피팅되어 고정홈 끝단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8. 외조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켜 외조의 진동이 아웃 케이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 상부 모서리에 상단이 걸리며 외조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봉상(棒狀)의 스너버 바(snubber bar)와,
    외조 하부의 외주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통공이 면상에 구비되는 걸림편과,
    상기 스너버 바가 지나는 관통공이 상·하부면에 구비되며 외조의 진동시 스너버 바를 따라 변위하도록 외조에 형성된 걸림편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 슬리브와,
    상기 원통 슬리브 내주면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상부 멈춤돌기와 이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환형의 하부 멈춤돌기와,
    상기 원통 슬리브 내의 상부 멈춤돌기 상부에 설치되며 스너버 바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마찰판과,
    상기 원통 슬리브 내의 하부 멈춤돌기 하부에 설치되며 스너버 바로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마찰판과,
    상기 원통 슬리브를 관통하는 스너버 바의 상·하부 마찰판 사이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며 승강시 상부 멈춤돌기 및 하부 멈춤돌기에 대해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마찰판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마찰판과 원통 슬리브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너버 바 외주면에 설치되는 상부 아웃터 완충스프링과,
    상기 하부 마찰판과 원통 슬리브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너버 바 외주면에 설치되는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과,
    상기 어퍼 아우터 스프링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 슬리브 상부면과 마찰판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마찰판의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어퍼 인너 스프링과,
    상기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 슬리브 바닥면과 마찰판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마찰판의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이 구비되어,
    탈수시에 있어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전인 과도상태에서는 상기 마찰판 가압플레이트가 상부 마찰판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원통 슬리브가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함과 더불어 상기 마찰판 가압플레이트가 하부 마찰판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원통 슬리브가 상승함에 따라 마찰판이 원통 슬리브 내주면에 대해 습동 마찰하는 한편 스프링들의 완충작용에 의해 시스템에 대한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고, 과도상태를 지나 시스템의 진폭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변위 폭이 상·하부 마찰판 사이의 거리 이하가 되도록 원통 슬리브가 승강하므로써 상·하부 마찰판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습동 마찰없이 어퍼 인너 스프링 또는 로우어 인너 스프링의 신축에 따른 완충작용에 의해서만 시스템의 진동감쇠가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원통 슬리브의 상부면에 어퍼 인너 스프링 및 어퍼 아우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 슬리브의 바닥면에 로우어 인너 스프링 및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 슬리브 내주면을 따라 습동하게 되는 상부 마찰판의 상면에 어퍼 인너 스프링 및 어퍼 아우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마찰판의 저면에 로우어 인너 스프링 및 로우어 아우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들의 반경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하부 마찰판의 외주면 상에,
    각각 복수개의 슬릿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19980017405A 1998-05-14 1998-05-14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27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405A KR100277958B1 (ko) 1998-05-14 1998-05-14 세탁기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405A KR100277958B1 (ko) 1998-05-14 1998-05-14 세탁기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183A KR19990085183A (ko) 1999-12-06
KR100277958B1 true KR100277958B1 (ko) 2001-01-15

Family

ID=6589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405A KR100277958B1 (ko) 1998-05-14 1998-05-14 세탁기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84A (ko) * 2021-09-01 2023-03-08 심재만 그립력이 향상된 그리퍼 및 경량화 구조를 가지는 링타입 자동 공구 교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84A (ko) * 2021-09-01 2023-03-08 심재만 그립력이 향상된 그리퍼 및 경량화 구조를 가지는 링타입 자동 공구 교환장치
KR102549372B1 (ko) 2021-09-01 2023-06-29 심재만 그립력이 향상된 그리퍼 및 경량화 구조를 가지는 링타입 자동 공구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183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4462C (en) Friction damper for washing machines or the like
KR100277958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EP0811716A2 (en) Washing machine
KR100272587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195454B1 (ko) 세탁기의 진동감쇠장치
KR100277959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282336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9990085185A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43778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저감장치
KR19990041917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9990041190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9990039638U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488047B1 (ko) 탑 로딩 세탁기의 서스펜션 장치
KR0172681B1 (ko) 세탁기의 가변형 진동감쇠장치
JPH0824474A (ja) 全自動洗濯機
KR101033559B1 (ko) 가전제품용 레그 어셈블리
KR100215334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완충장치
EP2243873B1 (en) Improved shock absorber particularly for washing and/or drying machines
JPH07124378A (ja) 全自動洗濯機の防振支持装置
KR101033562B1 (ko) 가전제품용 레그 어셈블리
KR0172682B1 (ko) 세탁기의 진동감쇠 댐퍼어셈블리
KR20000002296A (ko) 세탁기의 서스펜션
KR100970882B1 (ko) 세탁기용 현가장치
KR19990005312U (ko) 세탁기의 댐퍼용 코일스프링
KR101033563B1 (ko) 세탁기의 2중 댐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