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988B1 - 볼트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볼트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988B1
KR100276988B1 KR1019970051099A KR19970051099A KR100276988B1 KR 100276988 B1 KR100276988 B1 KR 100276988B1 KR 1019970051099 A KR1019970051099 A KR 1019970051099A KR 19970051099 A KR19970051099 A KR 19970051099A KR 100276988 B1 KR100276988 B1 KR 10027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anchor sleeve
bore
plug portion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552A (ko
Inventor
사또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에다 다까꼬
가부시끼가이샤 유우마 고오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399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104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399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10475A/ja
Application filed by 에다 다까꼬, 가부시끼가이샤 유우마 고오보오 filed Critical 에다 다까꼬
Publication of KR1998003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2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in one piece with protrusions or ridges on th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천정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에 형성된 보어 안에 삽입하기 위한 볼트 고정 장치를 마련한다. 이러한 볼트 고정 장치는 앵커 슬리브 및 볼트를 포함한다. 앵커 슬리브는 보어 내에 삽입되어 우선 임시적 또는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그 다음에, 볼트는 앵커 슬리브 조여져 앵커 슬리브와 볼트를 영구 부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는 앵커 슬리브의 영구 부착 후에 제거 가능하다. 앵커 슬리브는 임시적 또는 일시적 부착 시에 자체를 보어 내에 보유시키기 위한 자체 보유 수단을 갖고 있다. 앵커 슬리브는 나사 홀을 갖는 제1 단부와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을 갖는 제2 단부를 가진다. 볼트는 제2 단부 안으로 밀려들어가 제2 단부를 팽창시키고 제2 단부가 보어의 내벽면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앵커 슬리브를 보어 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일체형 플러그부를 가진다. 플러그부는 대체로 원통형을 취하며 일단 제2 단부 안으로 밀려들어갔을 때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균일한 직경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가 소정치 이상의 토오크로 비틀려졌을 때 플러그부가 볼트로부터 비틀림 제거됨으로써, 앵커 슬리브의 영구 부착 후에 볼트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트 고정 장치 {Bolt Anchoring Device}
본 발명은 볼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빌딩 등의 벽에 예비 천공된 보어에 수용되는 앵커 슬리브와, 이 앵커 슬리브 속으로 나사 결합되어 앵커 슬리브의 내측 단부를 팽창시킴으로써 보어의 내벽면과 맞물리도록 하여 보어에 고정되는 볼트를 포함한 볼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구조물이 완성된 후에 벽 등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종류의 볼트 고정 장치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볼트 고정 장치의 예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2-18413호에 개시되었으며, 원뿔대 형상의 플러그가 설치되는 스플릿 단부를 갖는 앵커 슬리브 또는 소켓을 포함한다. 앵커 슬리브는 특정 도구에 의해 플러그와 함께 벽의 보어 속으로 진입된다. 플러그가 구멍의 하부에 근접함에 따라, 앵커의 스플릿 단부를 방사상 바깥쪽으로 펼치거나 팽창시켜 앵커 슬리브가 보어 속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볼트가 앵커 슬리브 안으로 나사 체결됨으로써 보유 또는 지지된다. 이와 유사한 볼트 고정 장치가 일본 특허 공개 평6-330525호와 평6-116953호에 개시되었다.
볼트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일본 특허 공개 소59-147110호에 기재되었으며, 이는 스플릿 단부, 즉 팽창 슬롯 또는 슬릿이 형성된 단부를 갖는 앵커 슬리브를 포함한다. 스플릿 단부는 원추형 또는 테이퍼형 내벽면을 가진다. 삽입체 또는 플러그는 앵커 슬리브 속으로 밀려들어가, 앵커 슬리브가 수용된 보어의 바닥쪽으로 진입한다. 이로써, 앵커 슬리브가 보어 속에 빈틈없이 보유 또는 고정되도록 스플릿 단부는 펼쳐진다. 유사한 볼트 고정 장치가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5-94333호에 개시되었다.
이상에 기술된 종래 기술의 볼트 고정 장치는 타격 또는 가격함으로써 앵커 슬리브와 플러그를 보어 속으로 진입시켜 앵커 슬리브의 단부를 팽창시킬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벽에 그림을 걸기 위한 금속 부품 또는 가구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 부품을 설치 또는 부착하는 경우에, 벽 또는 그 외장재를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자칫하면 벽지를 벗기기 쉬울 뿐 아니라, 큰 충격이나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켜 이웃을 괴롭힐 수 있다.
가격에 의해 팽창되도록 된 앵커 슬리브는 천정 등과 같은 구조물 내의 보어의 깊이가 정확할 것을 필요로 한다. 보어가 너무 깊다면, 소정의 제거력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더불어, 앵커 슬리브가 구조물에 어느 정도의 힘으로 부착되어 있는지도 판단하기 어렵다. 한편 구멍의 깊이가 부정확하다면, 앵커 슬리브가 천정 등의 구조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길이 상의 불균일을 초래하여, 외관을 해치게 된다.
앵커 슬리브가 벽 등의 구조물 속으로 진입되는 경우에, 앵커 슬리브를 보어 속으로 밀어 넣기 위한 헤드부가 구비된 구동 로드로 이루어진 특정의 도구가 필수적인데, 이와 같은 특정 도구가 없이는 앵커 슬리브를 팽창시킬 수 없게 되므로 불편하다.
상술된 타입의 종래 기술의 고정 장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구성 부품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곤란하므로, 제조 비용도 줄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전술한 타입의 종래 기술의 고정 장치에는 슬리브 단부가 완전히 또는 바람직한 정도로 팽창되었는지를 검사 또는 확인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으므로, 슬리브가 벽 등의 구조물에 단단히 보유 또는 고정되지 않거나, 이같은 앵커 슬리브에 조여진 볼트에 하중이 인가된 때 벽 등의 구조물로부터 쉽게 빠져 나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예비 천공된 보어가 구비된 재료 속으로 삽입되는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볼트 고정 장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 앵커 슬리브를 포함한다. 제1 단부에는 나사 구멍이 구비되며, 제2 단부에는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이 구비된다. 볼트 고정 장치는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볼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볼트는 나사 구멍과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 봉부와 제2 단부 속으로 가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를 가진다. 앵커 슬리브는 제2 단부가 펼쳐져 보어의 내벽면 속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볼트의 플러그부를 제2 단부 속으로 밀어 넣기 전에 앵커 슬리브 자체를 보어에 보유시키는 자체 보유 수단을 가진다. 자체 보유 수단은 제2 단부 상에 형성된 환형 리브를 포함한다. 리브의 직경은 보어보다 약간 크며 보어 내에 수용된 때 직경이 탄성적으로 수축하여 보어의 내벽면에 대해 확고히 가압되도록 슬릿과 협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체 보유 수단은 제2 단부 상에 형성된 나선형 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나선형 리브는 보어의 내벽면 속으로 파고 들어가 앵커 슬리브가 보어 속에 수용된 때 제2 단부를 보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체 보유 수단은 제1 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비틀린 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비틀린 리브는 보어의 내벽면 속으로 파고들어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제1 단부를 보어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체 보유 수단은 원통형 외표면부와 테이퍼형 외표면부를 갖는 제2 단부의 축단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원통형 외표면부의 직경은 보어의 직경보다 약간 크며, 테이퍼형 외표면부는 원통형 외부면보다 축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다. 원통형 외표면은 보어의 내벽면의 개방 단부와 가압 접촉되어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를 밀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체 보유 수단은 제2 단부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환형 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단부는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측면에 축단부를 가진다. 환형 리브들은 제2 단부의 축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될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설치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체 보유 수단은 제1 단부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비틀린 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비틀린 리브들은 보어의 내벽면 속으로 파고들어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에 제1 단부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체 보유 수단은 원통형 외표면부와 테이퍼형 외표면부를 갖는 제2 단부의 축단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원통형 외표면부의 직경은 보어보다 약간 크며, 테이퍼형 외표면부는 원통형 외표면부보다 축방향으로 안쪽으로 위치한다. 원통형 외표면부는 보어의 내벽면의 개방 단부와 가압 접촉되어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를 밀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트의 플러그부는 대체로 원통 형상이며 그 직경이 일정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예비 천공된 보어가 마련된 재료 속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볼트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볼트 고정 장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 슬리브를 포함한다. 제1 단부는 나사 구멍을 가지며, 제2 단부는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을 가진다. 볼트 고정 장치는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볼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볼트는 나사 구멍 속에 조여진 체결 봉부와, 제2 단부 속으로 가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를 가진다. 또한 볼트는 플러그부와 체결 봉부 사이의 이음부에 절결부가 구비되어, 앵커 슬리브 속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볼트를 회전시키는 체결 토오크와, 이 체결 토오크에 의해 볼트가 회전된 때 플러그부와 제2 단부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플러그부 상의 마찰 토오크 간의 차이가 소정치를 초과한 때 플러그부는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된다. 앵커 슬리브에 대해 제위치에 설치된 때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의 개방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단부를 갖는다. 플러그부는 그 단부에 제2 단부의 개방 단부와 결합되는 맞물림 치부(tooth)가 구비되어 플러그부가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트의 플러그부는 플러그부의 일부가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 속으로 밀려들어간 때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된 후에 플러그부는 체결 봉부에 의해 압박되면서 임의의 현저한 회전을 일으키지 않고 축방향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는 그 축단부에 외향 플랜지 형상의 리브를 가진다. 리브의 외경은 예비 천공된 보어의 직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는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측면 상에 축단부를 가지며, 제2 단부의 내벽면은 제2 단부의 축단부 쪽으로 테이퍼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앵커 슬리브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중심부를 가진다. 축방향 슬릿은 중심부의 대략 축방향 중심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앵커 슬리브의 제1 단부는 그 선단에 나사 구멍과, 나사 구멍의 내측 나사산부의 주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안내 구멍을 가진다. 볼트의 플러그부는 절결부가 구비된 이음부에 인접한 위치에 방사상으로 소정치보다 큰 압력이 가해진 때 방사상으로 변형되고 안내 구멍 속으로 활주 가능한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트의 플랜지는 앵커 슬리브의 제1 단부의 나사 구멍과 맞물려지는 나사산이 외부에 구비된 외표면을 가지며, 압축력이 가해진 때 플랜지가 방사상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축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 앵커 슬리브를 포함하는 볼트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제1 단부는 나사 구멍을 가지며, 제2 단부는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을 가진다. 볼트 고정 장치는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볼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볼트는 내측 나사식 구멍이 구비된 헤드와, 이 나사 구멍과 나사 결합된 체결 봉부 및, 제2 단부 속으로 가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를 가진다. 볼트는 내측 나사식 구멍을 갖는 일체형 너트를 헤드의 단부에 가지며, 이 너트에 소정의 토오크가 가해진 때 너트로부터 분리되도록 헤드와 너트 사이의 이음부에 마련된 절결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트의 플러그부는 앵커 슬리브에 대해 제위치에 설치된 때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의 개방 축단부로부터 돌출된 단부를 갖는다. 플러그부의 단부에는 제2 단부의 개방 축단부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수단이 구비되어 볼트에 너트를 헤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토오크가 가해진 때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플러그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맞물림 수단은 환형의 맞물림 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단부와 이 제1 단부에 대향한 측면 상에 축단부를 갖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중공의 원통형 앵커 슬리브를 포함한 볼트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제1 단부에는 나사 구멍이 구비되며, 제2 단부에는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이 구비된다. 볼트 고정 장치는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볼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볼트에는 나사 구멍에 조여진 체결 봉부와, 제2 단부 속으로 가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가 구비된다. 앵커 슬리브는 제2 단부에서의 외경이 균일하며, 제2 단부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환형 리브를 가진다. 환형 리브는 이 환형 리브가 제2 단부의 축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트는 플러그부와 체결 봉부 사이의 이음부에 앵커 슬리브 속으로 볼트를 회전시키는 체결 토오크와 이 체결 토오크에 의해 볼트가 회전된 때 플러그부와 제2 단부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에 기인하여 플러그부에 가해지는 마찰 토오크 간의 차이가 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플러그부가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절결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트의 플러그부는 플러그부가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 속으로 부분적으로 가압된 때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체결 봉부가 분리된 후에 플러그부는 체결 봉부에 의해 압박되면서 임의의 현저한 회전을 일으키지 않고 축방향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볼트의 플러그부는 앵커 슬리브에 대해 제위치에 배치된 때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의 개방 단부으로부터 돌출된 단부를 가진다. 플러그부의 단부에는 제2 단부의 개방 단부와 결합되는 맞물림 치부가 구비되어 플러그부가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앵커 슬리브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 중심부를 구비한다. 축방향 슬릿은 대략 중심부의 축방향 중심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각각의 슬릿은 광폭부와 소폭부를 가진다. 소폭부는 광폭부보다 축방향으로 더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의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사람들을 불쾌하게 하는 큰 소음 및 충격과 진동을 야기하는 큰 가격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회전력 또는 인가된 토오크에 의해 부착 또는 설치될 수 있는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공구 없이도 소음이 적은 작업을 통해 부착 또는 설치될 수 있는 전술한 특성의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되는 건물 벽 등의 재료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적으면서 부착 및 설치될 수 있는 전술한 특성의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슬리브가 설치되는 보어의 깊이가 정확할 필요 없이도 앵커 슬리브가 적소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앵커 슬리브에 대해 적소에 배치된 볼트가 보어의 깊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돌출된 길이를 구비할 수 있는 전술한 특성의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슬리브가 일시적 또는 임시적으로 부착되도록 보어 내에서 확실하게 보유될 수 있음으로써, 앵커 슬리브 및 볼트의 영구적인 부착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술한 특성의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 슬리브의 부착을 저해하지 않고 볼트가 앵커 슬리브로부터 어느 때나 제거될 수 있는 전술한 특성의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지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제조비가 낮은 전술한 특성의 신규의 개선된 볼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보어 내에 수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볼트 고정 장치의 종단면도.
도2a는 도1의 볼트 고정 장치에 이용되는 앵커 슬리브의 측면도.
도2b는 도2a의 앵커 슬리브의 종단면도.
도3a는 도1의 볼트 고정 장치에 이용되는 볼트의 측면도.
도3b는 도3a의 볼트의 종단면도.
도4는 보어에 수용되는 도2a 및 도2b의 앵커 슬리브를 도시한 축소 종단면도.
도5는 보어 내에 일부 수용된 도2a 및 도2b의 앵커 슬리브의 축소 종단면도.
도6은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1의 볼트 고정 장치의 분해 및 축소 종단면도.
도7은 볼트가 보어 내에 수용된 앵커 슬리브로 일부 조여진 상태에서 도1의 볼트 고정 장치의 축소 종단면도.
도8은 도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볼트가 앵커 슬리브로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도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볼트의 단부가 보어 내에 방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볼트가 앵커 슬리브로부터 제거된 상태의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도9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앵글 등의 물체를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가 앵커 슬리브에 조여진 상태의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11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볼트의 측면도.
도11b는 도11a의 볼트의 종단면도.
도1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볼트 고정 장치에 사용되는 앵커 슬리브의 측면도.
도12b는 도12a의 앵커 슬리브의 종단면도.
도13은 제2 실시예의 볼트 고정 장치에서 도12a 및 도12b의 앵커 슬리브와 함께 사용되는 볼트의 측면도.
도14는 도12a 및 도12b의 앵커 슬리브를 측면에서 도시하고 보어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도13의 볼트를 측면에서 도시하고 보어 내에 수용된 도12a 및 도12b의 앵커 슬리브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보어 내에 수용된 도12a 및 도12b의 앵커 슬리브에 일부 조여진 도13의 볼트의 종단면도.
도17은 도1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볼트가 앵커 슬리브에 완전히 조여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도1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앵커 슬리브 내에서 볼트 단부를 후방에 남겨 두면서 앵커 슬리브로부터 제거된 볼트가 앵글 등의 물체를 지지하기 위해 다시 한번 조여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도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20a는 도19의 볼트 앵커 장치에 이용되는 볼트의 측면도.
도20b는 도20a의 볼트의 종단면도.
도21은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19의 볼트 고정 장치의 분해 축소 종단면도.
도22는 볼트가 보어 내에 수용된 앵커 슬리브로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 도19의 볼트 고정 장치의 축소 단면도.
도23은 도2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현수 볼트가 볼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24는 도2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너트가 볼트의 헤드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25는 도2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너트가 로크 너트로 작용하도록 조여진 상태에서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26은 도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4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27a는 도26의 볼트 고정 장치에 이용되는 앵커 슬리브의 정면도.
도27b는 도27a의 앵커 슬리브의 종단면도.
도28은 보어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도27a 및 도27b의 앵커 슬리브의 축소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어
2 : 앵커 슬리브
3 : 볼트
4 : 관형 몸체
5 : 제1 단부
6 : 제2 단부
7 : 중심부
8 : 비틀린 리브
10 : 나선형 리브
11, 12 : 환형 리브
13 : 슬릿
15 : 체결 봉부
16 : 플러그부
19 : 이음부
도1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 장치는 콘크리트 천정(C) 등과 같은 건축 재료 또는 지지 구조물의 보어(1) 내에 고정 또는 고착되는 앵커 소켓 또는 슬리브(2)와, 앵커 슬리브(2)로 조여진 볼트(3)를 포함한다. 보어(1)는 드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리고 천정(C) 하에서 행해지는 작업에 의해 콘크리트 천정(C)에 예비 천공된다.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슬리브(2)는 소정 길이의 관형 본체(4)를 구비한다. 관형 본체(4)는 그 대향 단부에 개구(4a, 4b)를 구비하고, 제1 단부(5)와, 제2 단부(6) 및, 제1 및 제2 단부(5, 6) 사이의 중심부(7)의 3개의 축방향 연장부로 구성된다. 앵커 슬리브(2)는 또한 관형 본체(4)의 제1 단부의 외주면(5a) 상에 앵커 슬리브(2)의 축에 비스듬하게 꼬여진 복수의 일체식 비틀린 리브(8)를 구비한다. 비틀린 리브(8)는 관형 본체(4)의 종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형 본체(4)는 내측 나사식 내주면부(9)를 구비하고, 이 내주면부는 일반적으로 개구(4a)를 구비한 제1 단부를 통해 중심부(7)에 대해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단부(5)의 외주면(5a)은 개구(4a)에서 인접한 위치에서 테이퍼형 외주면부를 구비하고, 이 외주면부는 제2 단부(6)를 향해 또는 내측으로 축방향으로 테이퍼진 테이퍼형 외주면부와, 직경이 최대인 하부 단부 원통형면부(5b)를 구비한다.
관형 본체(4)의 제2 단부(6)는 개구(4b)측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테이퍼형 외주면(6a)을 구비한다. 외주면(6a)은 중심부(7)의 원통형 외주면(7a) 다음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개구(4b) 측면 단부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단부(6)는 개구(4b)가 구비된 개방 말단부(4c)를 향해 점차적으로 테이퍼형 내측 원주면(6b)을 또한 구비한다. 내측 원주면(6b)은 중심부(7)의 원통형 내측 원주면 다음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개방 말단부(4c)로 연장된다. 제2 단부(6)는 외주면(6a) 상에 일체식 나선형 리브(10)를 구비한다. 나선형 리브(10)는 제2 단부(6)의 축방향 중심부에 인접한 영역 상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되고, 비틀린 리브(8)와 동일한 방향으로 꼬여져 있다. 제2 단부(6)에는 또한 개방 말단부(4c)에 인접한 2개의 일체식 환형 또는 링형 리브(12, 11)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제2 단부(6)는 90도의 원주상 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축방향 슬릿(13)을 구비한다. 이로써, 제2 단부(6)가 외측 및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팽창 가능한 슬릿 단부 부분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슬릿(13)은 개방 말단부(4c)로부터 중심부(7)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단부 부분(5)에서의 전술한 비틀린 리브(8)가 대체로 3각형 단면을 갖는 반면에, 나선형 리브(10) 및 환형 리브(11, 12)는 경사진 상부면(도2b에서 상부) 및 대체로 수평한 하부면(도2b에서 하부)을 갖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다. 또한, 관형 본체(4)의 말단부에서의 환형 리브(12)는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경과, 하부 환형 리브(11)의 외경 및, 나선형 리브(10)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볼트(3)는 6각 헤드(14), 이 헤드(14)와 일체로 형성된 체결 봉부(15), 및 체결 봉부(15) 다음에 일체로 형성되고 볼트(3)의 단부를 이루는 팽창 로드 또는 플러그부(16)를 구비한다.
전술한 헤드(14)는 그 축방향 내측 단부면(14a)에서 복수의 돌출부(14b)를 구비하고, 그 돌출부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볼트가 앵글(21)과 함께 지지되도록 앵커 슬리브(2)로 조여질 때에 통과하게 되는 앵글(21)의 하부면에 대항하여 가압된 때 분열 또는 변형되도록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다.
체결 봉부(15)는 앵커 슬리브(2) 내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고, 단부(15a)를 제외한 모든 외주면 상에 제공되는 외측 나사부(17)를 구비한다.
플러그부(16)는 체결 봉부(15)의 단부(15a)와 직경이 거의 동일하고, 체결 봉부(15)의 길이부와 상호 작용하여 그 말단부(16a)가 앵커 슬리브(2)로부터 개구(4b)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플러그부(16)는 나사산 등이 형성되지 않은 평평한 외주면(16b)을 구비한다. 또한, 플러그부(16)의 말단부(16a)는 점차적으로 외측으로 테이퍼되는데, 즉 외측 축방향 종단부쪽으로 점점 직경이 감소되는 외주면(16b)을 갖는다. 말단부(16a)는 볼트(3)가 앵커 슬리브(2)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때에 앵커 슬리브(2)의 개방 말단부(4c)와 맞물리는 일체식 환형 치부(18)를 구비함으로써, 말단부(16a)가 앵커 슬리브(2)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 맞물림 수단으로 기능한다.
체결 봉부(15) 및 플러그부(16)가 대면하는 이음부(19)에서, 볼트(3)에는 체결 봉부(15) 및 플러그부(16)의 분리를 위해 환형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홈(20)은 볼트(3)가 앵커 슬리브(2)로 삽입되어 소정치보다 더 큰 토오크로 팽팽하게 조여질 때에 체결 볼트부(15) 및 플러그부(16)가 그 이음부(19)에서 상호 분리 또는 비틀림 이탈될 수 있게 하는 깊이를 갖는다. 즉, 상기 이음부(19)가 제2 단부(6)의 내측 벽면(6b) 및 플러그부(16)의 외측 벽면(16b) 사이의 마찰 저항에 의한 소정치보다 더 큰 토오크를 받을 때, 또는 볼트(3)가 앵커 슬리브(2)로 삽입되도록 회전시키는 체결 토오크와, 볼트(3)가 이 체결 토오크에 의해 회전된 때에 제2 단부(6)의 내측 벽면(6b) 및 플러그부(16) 사이의 마찰에 의해 플러그부(16)가 받게 되는 마찰 토오크 사이의 차이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환형 홈(20)이 체결 볼트부(15) 및 플러그부(16)가 이음부에서 상호 분리 또는 비틀림 이탈될 수 있게 하는 깊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 장치의 작동을 도4 내지 도10을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6)는 먼저 해머 등의 공구로 제1 단부(5)를 부드럽게 또는 가볍게 상방으로 가격함으로써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 내로 박아 넣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앵커 슬리브(2)는 보어(1)에 대해 소정하는 대로 위치된다. 그후, 제1 단부(5)는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 내로 더욱 박아 넣어지도록 해머 등으로 가격되며, 이에 의해 앵커 슬리브(2)는 비틀린 리브(8) 및 나선형 리브(10)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 작용 효과에 의해 회전하면서 보어(1) 내로 강제 이동되는 동시에, 제2 단부(6)에 있는 보다 큰 직경의 환형 리브(12)는 보어(1)의 내벽면으로부터 인가되어 제2 단부(6)를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시키는, 즉 슬릿(13)의 효과에 의해 직경을 감소시키는 방사상 내향력을 받게 된다. 특히, 환형 리브(12)는 제2 단부(6)를 그 말단부에서 직경을 더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에, 제2 단부(6)의 말단부에서 보다 큰 방사상 반작용력이 야기되어 앵커 슬리브(2) 전체가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벽면(1a)에 단단히 보유되거나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비틀린 리브(8) 및 나선형 리브(10)는 이들 간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벽면(1a) 내로 파고 들어가기 때문에, 앵커 슬리브(2)의 임시적 또는 일시적 부착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된다. 이에 따라, 위로 보고 있는 작업자가 손으로 앵커 슬리브(2)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 슬리브(2)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어(1) 내에 수용되면, 이 앵커 슬리브는 환형 리브(12)를 보어(1)를 한정하는 내벽면(1a)에 대해 가압하는 방사상 외향 반작용력에 의해 임시 또는 일시적 부착 상태로 견고하게 보유되는 동시에, 원통형의 하단면부(5b)가 보어(1)의 개방 단부(1b) 내에 억지 끼워져 앵커 슬리브(2)의 보어(1) 내로의 과도한 진입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하단면부(5b)는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개방 단부(1b)를 폐쇄시켜 이들 간에 수밀봉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어(1)로부터의 물의 적하를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비틀린 리브(8)들은 거의 삼각형 단면을 가지므로 이들은 보어(1)의 내벽면(1a) 내에 용이하게 파고들어 갈 수 있다. 나선형 리브(10) 및 환형 리브(11, 12)는 상술한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므로, 이들은 큰 맞물림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 힘에 의해 이들이 보어(1)의 내벽면(1a) 내에 맞물리므로, 임시 부착을 위한 힘을 더욱 증대시킨다.
볼트(3)는 사전에 임시로 보어(1) 내에 고정시켰던 앵커 슬리브(2) 내에 조여진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2 단부(16)의 말단부(16a)가 앵커 슬리브(2)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개구(4a)를 통과하게 되고, 체결 봉부(15)의 외측 나사부(17)가 앵커 슬리브(2)의 제1 단부(5)의 내주면에 있는 내측 나사부(9)에 맞물린다. 그후, 볼트(3)는 6각 헤드(14)와 맞물리는 렌치 등의 공구에 의해 회전되어 앵커 슬리브(2) 내로 추진된다. 그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부(16)의 외주면(16b)은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6)의 내벽면(6b)과 접촉하게 되고, 이 내벽면에 대해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강도 또는 힘에 의해 가압된다. 이음부(19)가 볼트(3)의 플러그부(16)의 외주면(16b)과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6)의 내주면(6b)간의 마찰 저항에 기인한 소정치보다 큰 토오크를 받도록 볼트(3)를 추진시키면, 즉 앵커 슬리브(2) 내로 삽입하기 위해 볼트(3)를 회전시키는 체결 토오크와 이 체결 토오크로 볼트(3)를 회전시킬 때 플러그부(16)와 제2 단부(6)의 내벽면간의 마찰로 인해 플러그부(16)가 받는 마찰 토오크의 차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볼트(3)는 홈(20)의 제공 영향에 의해 이음부(19)에서 파손된다. 즉, 플러그부(16)가 체결 봉부(15)로부터 비틀림 제거된다.
그후, 볼트(3)를 앵커 슬리브(2) 내로 더욱 조이면, 플러그부(16)는 회전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6)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플러그부(16)의 말단부(16a)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4b)를 통해 외향 돌출하면, 맞물림 치부(18)는 일단 방사상 외향 팽창되었던 보다 큰 직경의 환형 리브(12) 상에 작용하는 강한 방사상 내향 반작용력에 의해 개구(4a)가 마련된 말단 개방 단부(4c)와 견고하게 맞물린다. 이 때, 슬릿(13)을 갖는 제2 단부(6)가 플러그부(16)에 의해 방사상 외향으로 팽창되므로, 환형 리브(11, 12) 및 나선형 리브(10)는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벽면(1a) 내로 더욱 강하게 파고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앵커 슬리브(12)를 보어(1)의 내벽면(1a) 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3)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앵커 슬리브(2)로부터 제거한다. 이 경우, 체결 봉부(15)로부터 비틀림 제거되었던 플러그부(16)는 말단부(4c)에 맞물리는 맞물림 치부(18)의 제공으로 인해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6) 내에 남아 있게 된다. 또한, 맞물림 치부(18)를 제공함으로써, 플러그부(16)는 환형 리브(11, 12)로부터 인가되는 강한 방사상 내향 반작용력을 받더라도 앵커 슬리브(2)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 다음,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앵글(21)을 통과한 볼트(3)가 다시 앵커 슬리브(2)에도 조여지고, 이에 의해 앵글(21)은 앵커 슬리브(2)에 의해 천정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앵커 슬리브를 팽창시키는 플러그 등의 팽창 부재를 가격하거나 또는 타격하는 것이 불필요해지므로, 그와 같은 가격 또는 타격에 의해 지지벽 또는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 외에도 타격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고정 장치는 단 2개의 부품, 즉 앵커 슬리브(2)와 볼트(3)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부품 수가 적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작업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볼트(3)의 체결 봉부(15) 및 플러그부(16)는 볼트(3)를 앵커 슬리브(2) 내에 반정도 조일 때 볼트(3)에 인가되는 토오크 또는 비트는 힘에 의해 서로 분리된 후에, 플러그부(16)가 회전 방향으로 정지된 상태로 즉, 임의의 현저한 회전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부(16)의 외주면(16b)과 제2 단부(6)의 내주면(6b)간의 마찰 저항이 충분히 더 작아질 수 있다. 그 결과, 볼트(3)를 보다 작은 조작력으로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3)를 부착하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그러한 부착을 위한 작업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6)의 원형 리브(12)의 외경이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므로, 앵커 슬리브(2)가 보어(1) 내에 수용된 때 제2 단부(6)에 작용하는 방사상 외향 반작용력이 보다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벽면(1a)에 대해 앵커 슬리브(2)를 견고하고 확실하게 임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 후에 수행될 볼트(3)의 조임 또는 진입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고 그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6)의 내주면(6b)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테이퍼면(6b)이 보다 큰 직경의 환형 리브(12)와 협동해서 제2 단부(6)에 작용하는 방사상 외향 반작용력을 더욱 커지게 하므로,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벽면(1a)에 대해 앵커 슬리브(2)를 고정시키는 보유력 또는 고정력을 보다 크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앵커 슬리브(2)의 슬릿(13)은 중심부(7)의 거의 축방향 중심에서 내부 단부를 갖도록 앵커 슬리브(2)의 축방향으로 세장형이다. 따라서, 볼트(2)를 앵커 슬리브(2) 내로 조여 플러그부(16)를 제2 단부(6) 내로 밀어 넣으면, 슬릿(13)의 제공으로 인해 플러그부(6)뿐만 아니라 중심부(7)가 방사상 외측으로 팽창되어 앵커 슬리브(2)를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벽면(1a)에 대해 외주면(6a, 6b) 및 하부 말단부면(5b)에서 강제 접촉 또는 가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어(1) 내에 완전히 수용된 앵커 슬리브(2)가 보어(1)의 내벽면(1a)에 대해 제2 단부(6)와, 중심부(7) 및, 제1 단부(5)에서 접촉 또는 가압되도록 강제되는 바, 즉 보어(1)의 내벽면(1a)과 앵커 슬리브(2)와의 3 지점의 강제 또는 가압 접촉이 얻어지므로, 보어(1) 내에 수용된 앵커 슬리브(2)는 앵커 슬리브(2)를 보어(1)로부터 당겨 내는 방향 및 앵커 슬리브(2)의 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에 대해 큰 저항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앵커 슬리브(2)를 보어(1) 내에 보유하거나 고정시키는 보유력 또는 고정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2 지점 강제 또는 가압 접촉의 경우에 야기되기 쉬운 앵커 슬리브(2)의 요동으로 인해, 제2 단부(6)와 결합된 내벽면(1a)의 일부에서 야기될 수 있는 보어(1)의 내벽면(1a)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어(1)의 손상으로부터 초래되는 보어(1)의 직경의 증대로 인해 야기되는 앵커 슬리브(2)의 의도하지 않은 또는 예기치 못한 제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천정(C) 내의 보어(1)의 내벽면(1a) 내로 파고들어간 비틀린 리브(8)가 회전 외력에 대항한 큰 보유력 또는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볼트(3)를 앵커 슬리브(2) 내에 조일 때 앵커 슬리브(2)가 볼트(3)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볼트(3)를 앵커 슬리브(2) 내에 조이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 슬리브(2)는 앵커 슬리브(2)를 보어(1)로부터 당겨 내는 외력과 앵커 슬리브(2)의 축을 횡단하는 외력에 대해 큰 저항을 가짐으로써, 동일한 재료의 지지벽 또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볼트 고정 장치의 각각의 부착 강도가 일정하거나 균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 고정 장치는 향상된 부착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1a 및 도11b는 상술한 볼트(3)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의 볼트(3')에 있어서, 플러그부(16')의 말단부(16'a)는 맞물림 치부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말단부(16'a)에는 어떠한 맞물림 치부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제외하고는, 볼트(3')는 전술한 실시예의 볼트(3)와 사실상 유사하다.
이에 따라, 볼트(3')를 앵커 슬리브(2) 내로 조이면 플러그부(16')는 체결 봉부(15)로부터 비틀림 제거된 후에 정지 또는 부동 상태로 제2 단부(6)를 통해 축방향으로 추진되어, 말단부(16'a)가 개방 말단부(4c)로부터 돌출하도록 해준다. 이 경우, 말단부(16'a)는 맞물림 치부에 의해서 개방 말단부(4c)와 맞물려지지는 않지만, 개방 말단부(4c)는 보다 큰 직경의 환형 리브(12) 상에 작용하는 강한 방사상 내향력으로 인해 외주면(16b') 내로 파고 들어가게 되고, 또 플러그부(16')는 원통형의 외주면(16b')을 갖고 직경이 균일하므로, 이에 의해 플러그부(16')와 제2 단부(6) 사이에는 비교적 큰 맞물림력이 얻어지므로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6)로부터의 플러그부(16')의 의도하지 않은 또는 예상하지 못한 제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맞물림 치부가 없이도 제조 작업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품 또는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표시한 도12a, 도12b 및 도13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주로 앵커 슬리브(102)에 안내 구멍(122)이 형성되고 볼트(103)가 외주면 상에 외향 플랜지(123)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2a 및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 슬리브(102)의 제2 단부(106)의 외주면(106a)은 직경이 사실상 균일하며, 내주면(106b) 또한 직경이 균일하다. 또한, 나선형 리브(110)가 외주면(106a) 상에서 제1 실시예의 나선형 리브보다 2배 정도만큼 큰 회전을 갖는 방식으로 제공되며, 보다 큰 직경의 1개의 리브(112)만이 제2 단부(106)의 말단부에 구비된다.
균등한 주위 간격으로 제2 단부(106) 및 중심부(107)에 구비된 4개의 슬릿(113)은 그 내부 단부에서 최소이고 외부 단부 쪽으로, 즉 제2 단부(106)의 개방 말단부(104c) 쪽으로 점진적으로 증대하는 테이퍼형 또는 변동 폭을 갖는다.
또한, 제1 단부(105)의 내주면에는 내측 나사부(109)가 개구(104a)를 갖는 말단 개방 단부로부터, 이 개구(104a)를 갖는 말단 개방 단부로부터 제1 단부(105)의 거리의 1/3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연장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안내 구멍(122)이 내측 나사부(109)의 내부 단부로부터 중심부(107)의 거의 축방향 중심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안내 구멍(122)은 내측 나사부(109)의 주요 직경보다 약간 큰 일정한 직경의 평평한 내주면(122a)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안내 구멍(122)의 제2 단부(106)측 상에는 내향 플랜지 형태의 환형 스토퍼(124)가 구비된다.
한편,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03)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의 볼트와 유사하며, 6각 헤드(114)와, 외주면 상에 외측 나사부(117)를 갖는 체결 봉부(115), 및 플러그부(116)를 포함한다. 체결 봉부(115)와 플러그부(116) 사이의 이음부(119)에는 체결 봉부(115)로부터 플러그부(116)를 분리하기 위한 환형 홈(120)이 구비된다.
플러그부(116)는 그 외주면 상에 그리고 홈(20)에 인접에 인접한 위치에 환형 또는 고리형의 플랜지(123)를 갖는다. 플랜지(123)는 외측 나사부(117)와 종류 및 크기가 동일하고 약 2개의 나사산 또는 릿지(ridge), 즉 플러그부(116)의 축방향으로 2회전의 나선형 나사산 또는 릿지를 갖게 하는 축방향 길이(L)로 이루어진 외측 나사식 외주면(123a)을 갖는다. 이에 따라, 그 외측 나사식 외주면(123a)의 나사산 또는 릿지는 플랜지(123)가 약 2개의 나사산 또는 릿지만을 가질 정도의 짧은 길이(L)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방사상 압축력에 의해 압착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작동이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의 작동과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의 특징은 천정(C)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합성물에 혼합된 자갈의 일부가 보어(1)에 노출되는 경우에 앵커 슬리브(102) 내로 조여지는 볼트(103)의 작용에 있다. 도14에 도시된 것처럼 보어(1)의 내주면을 횡단하여 위치된 상당히 큰 자갈 또는 돌이 보어(1)에 노출되도록 천정(C)에 보어가 뚫렸을 때에 볼트 고정 장치의 부착 과정에 문제점이 야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앵커 슬리브(102)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천정(C)의 보어(1) 내로 진입하도록 해머 등에 의해 가격된 때, 앵커 슬리브 자체의 플러그부(106)는 슬릿(113)의 영향에 의해 직경이 감소되지 않고 똑바로 보어(1) 내로 밀려들어간다. 이로써, 환형 리브(112)와, 나선형 리브(110) 및, 비틀린 리브(108)는 내주면(1a)으로 파고 들며, 앵커 슬리브(102)가 보어(1)에 고정되거나 또는 견고히 보유된다. 다음에,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103)의 플러그부(106)는 체결 봉부(115)의 외측 나사산부(117)가 내측 나사산부(109)에 결합되도록 개구(104a)를 통해 앵커 슬리브(102) 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앵커 슬리브(102) 내로 볼트의 전체가 진입되도록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육각 헤드(114)를 회전한다. 플랜지(123)가 안내 구멍(122) 내로 수용되어지면, 외측 나사산을 가진 외주면(123a)이 그에 의해 안내되도록 안내 구멍(122)의 내주면(122a)과 결합됨으로써, 플러그부(116)가 앵커 슬리브(102)의 제2 단부(106)를 거쳐 똑바로 이동한다.
볼트(103)가 소정치 이상의 토오크로 비틀려지면, 즉 이음부(119)에 플러그부(106)의 마찰 토오크 또는 플러그부(116)의 외주면과 제2 단부(106)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소정치 이상의 토오크가 가해지면, 또는 볼트(103)를 앵커 슬리브(102) 내로 삽입하기 위해 회전되는 체결 토오크와 이 체결 토오크에 의해 볼트(103)가 회전된 때에 플러그부(106)와 제2 단부(106)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플러그부(106)가 받는 마찰 토오크 사이의 차이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볼트(103)는 분리용 홈(120)이 구비된 이음부(119)에서 파손된다. 즉,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플러그부(116)와 체결 봉부(105)는 홈(120)이 구비된 효과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 그후, 볼트(103)를 앵커 슬리브(102) 내로 더욱 진입시킴으로써, 플러그부(106)는 플랜지(123)가 안내 구멍(122)의 내주면(122a)에 의해 안내되면서 체결 봉부(115)에 의해 밀려 들어감으로써 내주면(106b) 및 제2 단부(106)가 접촉을 유지하는 동시에 어떤 실질적인 회전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똑바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부(116)의 말단(116a)이 제2 단부(106)의 전방 내로 이동하도록 밀려 들어감으로써, 제2 단부(106)가 방사상 외향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힘을 제2 단부(106)에 인가한다. 이 경우에, 환형 리브(112)의 제1 부분(112a)의 팽창은 자갈 또는 돌(C1)과 접촉함으로써 자갈 또는 돌에 의해 제한되지만, 부분(112a)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 제2 부분(112b)에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써, 보다 큰 직경의 리브(112)가 제2 부분(112b) 쪽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2 단부(106)가 변형되거나 만곡됨으로써, 앵커 슬리브(102)의 축(X2)은 볼트(103)의 체결 봉부(115)의 축(X1)으로부터 벗어나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큰 휨 작용력이 환형 리브(112)를 통해 환형 리브(112)의 제1 부분(112a)과 접촉하는 내벽면(1a) 부분으로부터 플러그부(116)로 인가된다. 이 때에, 제2 단부(106)의 중심부(106c)가 보어(1)의 내벽면(1a)과 가압 접촉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플러그부(116)는 제2 단부의 중심부(106c)가 보어(1)의 내벽면(1a)과 가압 접촉되는 상태인 지점과 인접한(즉, 제2 단부(106)의 중심부(106c)에 인접한) 곳에 지지점을 가진 레버처럼 지지되고, 말단(116a)이 보다 큰 직경의 리브(112)를 팽창시킬 때에 플러그부(116)의 보다 큰 직경의 리브(112) 또는 말단(116a)이 우선 가압되는 곳과 반대 방향으로, 즉 플랜지부(123b)측으로 플랜지(123)를 가압하는 휨 모멘트가 플랜지(123)에 가해진다. 플러그부(116)는 이와 같이 말단(116a)이 보다 큰 직경의 리브(112)를 보다 크게 팽창시킬 때에 먼저 가압되어 만곡되는 지점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휜다. 이와 동시에, 플랜지(123)의 부분(123b)은 안내 구멍(122)의 내주면(122a)쪽으로 가압되어 그로부터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외주면(123a)에 나사산이 구비된 플랜지(123)의 외측 나사산은 부분(123b)에서 가압되어 부분적으로 압착되거나 또는 납작하게 됨으로써, 플러그부(116)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되어 휘어지는 방향으로 전체가 기울어지거나 또는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플러그부(116)의 축은 휘어진 제2 단부(106b)의 축(X2)과 거의 일치하게 된다. 즉, 플러그부(116)가 휘어진 제2 단부(106b)의 축(X2)과 거의 일치하는 축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환형 리브(112)의 제1 부분(112a)으로부터 플러그부(116)로 인가되는 작용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플랜지(123)가 압착되거나 또는 변형됨으로써, 플러그부(116)는 휘어진 형상에 따라 기울어지거나 회전함으로써 제2 단부(106)의 내주면(106b)으로부터 받는 오프셋 하중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플러그부(116)와 제2 단부(106)의 내주면(106a) 사이의 마찰 저항의 증가를 제한할 수 있게 되어, 플러그부(116)가 제2 단부(106) 내로 점점 더 진입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플러그부(116)가 앵커 슬리브(102) 내로 진입하는 동안에 자갈 등(C1)의 존재로 인해 휘는 힘을 받을 때조차도, 볼트(103)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토오크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플러그부(116)가 체결 봉부(115)로부터 분리된 후에 플러그부(116)가 어떤 상당한 회전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진입시킬 때에 발생하는 플러그부(116)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볼트(103)를 조이는 작용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볼트(103)가 앵커 슬리브(102)내에 제위치에 수용되면, 플러그부(116)의 말단(116a)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04b)가 구비된 제2 단부(106)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한다. 이 경우에, 플랜지(123)는 플러그부(116)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도록 환형 스토퍼(124) 상에 인접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일단 팽창된 환형 리브(112)에 의해 가해진 방사상 내향의 작용력에 의해, 맞물림 치부(118)가 개구(104b)가 구비된 개방 말단부(104c)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환형 리브(112) 등이 콘크리트 천정(C)의 보어(1)의 내벽면(1a) 내로 보다 파고 들어감으로써, 보어(1)의 내벽면(1a)에 앵커 슬리브(102)를 견고하게 고정 또는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3)는 역방향으로 선회 또는 회전되어 앵커 슬리브(102)로부터 제거된다. 그후, 볼트(103)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앵글(angle, 21)을 통과한 후에 다시 한번 앵커 슬리브(102) 내로 조여진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작동을 제외하면 작동상 실질적으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19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 장치를 기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볼트(203)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볼트(203)는 상당히 긴 축길이를 가지며 하단부(214a)로부터 내향 연장하는 내측 나사산을 가진 보어(214b)를 구비한 육각 헤드(214)와, 너트(214)의 하단부(214a)에 구비된 일체형 너트(224)를 가진다. 너트(224)는 헤드(214)와 동일한 육각 외형을 가지며, 헤드(214)의 내측 나사산이 구비된 보어(214b)의 나사산과 동일한 내측 나사산이 구비된 보어(224a)를 가진다. 볼트의 헤드(214)와 너트(224) 사이의 이음부(219)에 환형 홈(220)이 구비된다. 이 홈(220)의 깊이는 너트(224)가 앵커 슬리브(2) 내로 삽입 시에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음부(219)가 소정치 이상의 토오크를 받게 된 때에 너트(224)가 헤드(2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맞물림 치부(218)가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4)의 개방 단부(4c)과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플러그부(216)의 단부(216a)이 개방 단부(4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앵커 슬리브(2) 내로 진입되어진 경우에 너트(224)가 이같이 분리됨으로써, 플러그부(216)가 앵커 슬리브(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헤드(214)의 나사 보어(214b) 및 너트(224)의 나사 보어(224a)는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바와 같이 앵글 등을 지지하는 현수(hanging) 볼트(22)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러그부(216)의 직경은 체결 봉부(215)의 외측 나사산부(217)의 주 직경보다 약간 작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볼트(203)에는 플러그부(216)를 체결 봉부(215)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결부 또는 환형 홈이 구비되지 않았다. 상기를 제외하면, 볼트(203)는 제1 실시예의 볼트와 대체로 유사하여,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참조 문자로 표시되었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작동 시에, 앵커 슬리브(2)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보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위에 스프링 와셔(23)가 장착된 볼트(203)는 앵커 슬리브(2) 내로 조여진다. 체결 봉부(215)와 함께 회전하는 플러그부(216)는 제2 단부(6)의 내주면(6b)에 대해 점증하는 힘으로 밀려들어간다. 볼트(203)가 앵커 슬리브(2) 내로 더욱 조여지면, 플러그부(216)는 일단 팽창됨으로써 가해지는 강한 방사상 내향력에 의해 맞물림 치부(218)가 개방 단부(4c)과 결합되도록 하면서 말단(216a)이 앵커 슬리브(2)의 개방 단부(4c)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앵커 슬리브(2)의 제2 단부(6)를 거쳐 회전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 제2 단부(6)가 플러그부(216)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환형 리브(11, 12) 및 나선형 리브(10)가 보어(1)의 내벽면(1a) 내로 더욱 파고들어, 앵커 슬리브(2)를 보어(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 볼트(22)의 상단부(22a)는 너트(224)의 나사 보어(224a) 및 헤드(214)의 나사 보어(214b) 내로 조여지고 소정 공구에 의해 체결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너트(224)만을 역방향으로, 즉 볼트(203)를 앵커 슬리브(2) 내로 조이는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헤드(214)와 너트(224) 사이의 이음부(219)에 구비된 홈(220)에 의해 그리고 이음부(219)에 인가된 토오크 또는 전단력에 의해, 도24에 도시된 것처럼 이음부(219)가 파손되어 너트(224)가 헤드(214)로부터 분리되거나 비틀림 제거된다.
그 이후에, 도25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224)가 보통으로 회전되어 조여짐으로써, 너트(224)는 현수 볼트(22)를 볼트(203)의 헤드(214)에 견고하고도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로크 너트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현수 볼트(22)를 앵커 슬리브(2)와 볼트(203)에 확고히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천정(C)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224)는 이음부(219)에서의 파손을 통해 용이하게 헤드(214)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볼트(203)가 앵커 슬리브(202)에 연결된 후에 로크 너트로서의 기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어, 현수 볼트(22)를 부착하는 작업을 현저히 개선된 효율로 수행하는 것과 현수 볼트(22)를 확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를 제외하면,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작동상 대체로 유사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26 내지 도2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볼트 고정 장치를 기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앵커 슬리브(302)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사실상 유사하다. 본 앵커 슬리브(302)에서, 제2 단부(306)의 외주면(306a) 및 중심부(307)의 외주면(307a)의 직경은 일정하다. 또한 제2 단부(306)의 내주면(306b)의 직경도 일정하다. 제2 단부(306)는 그 말단에 일체형 환형 리브(312)를 구비함과 더불어 그 외주면(306a) 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네 개의 일체형 환형 리브(310a, 310b, 311a, 311b)를 가진다. 리브(310a, 310b, 311a, 311b, 312)의 직경은 원추각이 θ인 원추면 상에 외부 단부가 위치되는 방식으로 점차로 증가한다. 제2 단부(306) 및 중심부(307)에 구비된 슬릿(313)은 각각의 슬릿(313)이 중심부(307)측 상에 보다 폭이 좁은 소폭부(313a)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의 슬릿과 유사하다. 환형 리브(310a, 310b, 311a, 311b, 312)는 제1 실시예의 환형 리브(12)와 유사하게 경사진 상부면(도27b의 상부) 및 거의 수평한 하부면(도27b의 하부)을 포함하는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다. 하부 리브(310a)는 보어(1)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가지며, 리브(310b, 311a, 311b, 312)의 직경은 본 순서로, 즉 보다 상부에 또는 보다 바깥쪽에 위치됨에 따라 커진다. 상기를 제외하면, 앵커 슬리브(302)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의 앵커 슬리브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참조 문자로 표시하였으며 반복되는 설명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작동 시에, 이러한 환형 리브(310a, 310b, 311a, 311b, 312)는 앵커 슬리브(302)를 보어(1) 내에 확실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앵커 슬리브(302)가 도28에 도시된 것처럼 보어(1) 안에 삽입된 때 각각의 슬릿(313)이 이의 축방향 중심부에서 폐쇄되도록 소폭부(313a)를 가지므로, 슬릿(313)의 축방향 중심에 인접하게, 즉 제2 단부(306)의 축방향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환형 리브(310b, 311a)가 보어(1)의 내벽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또는 강하게 가압되며, 이로써 앵커 슬리브(302)를 보어(1) 내에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리용 홈은 환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주연에 걸쳐 연속적이 아니고 부분적으로만 마련된 절결부(들)로 될 수도 있다. 또한, 홈의 깊이는 볼트가 앵커 슬리브 안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나선형 리브를 다수개의 환형 리브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린 리브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른 다각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비틀린 리브를 다수개의 원추형 돌기로 교체할 수 있는데, 즉 비틀린 리브는 앵커 슬리브를 지지벽 또는 이와 유사한 건물 재료 안으로 진입 또는 삽입하는 데 방해를 일으키지 않는 한 임의의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어에 앵커 슬리브를 고정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볼트 고정 장치의 앵커 슬리브는 볼트의 플러그부를 제2 단부 안으로 박기 전에 상기 보어에 보유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단부를 팽창시켜서 보어의 내벽면 안으로 파고 들어가는 자체 보유 수단을 가지며, 이로써 앵커 슬리브가 잠정적으로 보어 내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보유되어 볼트를 앵커 슬리브에 조이는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달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볼트의 플러그부는 대체로 원통형을 취하고 균일한 직경을 가지므로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의 내벽면에 안정되게 가압 접촉되어 제2 단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됨으로써,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확실하게 고정 또는 보유되므로 볼트를 앵커 슬리브에 부착 및 이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고정 장치의 앵커 슬리브의 플러그부가 볼트를 앵커 슬리브 안에 조임으로써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 안으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특정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건물 재료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큰 타격 소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볼트 고정 장치를 부착 또는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고정 장치의 앵커 슬리브가 보어의 깊이와는 무관하게, 즉 보어가 정확한 깊이를 가질 필요 없이 보어 내의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보어가 정확한 깊이를 갖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보어 또는 앵커 슬리브로부터 돌출된 볼트의 길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고정 유닛은 단지 2개의 부분, 즉 앵커 슬리브와 볼트로만 이루어지므로, 부품 개수를 줄여 부품의 제조,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볼트를 앵커 슬리브에 조임으로써 조립체를 구성하므로, 이들은 단일 유닛으로 운반 및 취급될 수 있다.

Claims (24)

  1. 예비 천공된 보어를 갖는 재료 내에 삽입되는 볼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나사 구멍을 갖는 제1 단부와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을 갖는 제2 단부를 구비한 중공 원통형 앵커 슬리브와,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나사 구멍에 조여지는 체결 봉부와 제2 단부 속으로 압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를 갖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슬리브는,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를 상기 제2 단부에 삽입하여 제2 단부를 팽창시켜 보어의 내벽면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하기 전에, 앵커 슬리브 자체를 보어 내에 보유시키는 자체 보유 수단을 갖고,
    상기 자체 보유 수단은 제2 단부에 형성된 환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직경이 보어보다 약간 크며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의 직경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그 내벽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가압되도록 상기 슬릿들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보유 수단은 제2 단부에 형성된 나선형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리브가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의 내벽면 안으로 파고 들어가 제2 단부를 보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보유 수단은 제1 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비틀린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틀린 리브가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의 내벽면 안으로 파고 들어가 제1 단부를 보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보유 수단은 원통형 외표면부와 테이퍼형 외표면부를 갖는 제2 단부의 축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외표면부는 보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고 테이퍼형 외표면부는 원통형 외표면부보다 축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원통형 외표면부는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를 밀폐하도록 보어의 내벽면의 개방 단부에 가압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보유 수단은 제2 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환형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제1 단부와 대향한 측면에 축단부를 갖고, 상기 환형 리브들은 제2 단부의 축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될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보유 수단은 제1 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비틀린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틀린 리브는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의 내벽면 안으로 파고 들어가 제1 단부를 보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보유 수단은 원통형 외표면부와 및 테이퍼형 외표면부를 갖는 제2 단부의 축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외표면부는 보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고 테이퍼형 외표면부는 원통형 외표면부보다 축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원통형 외표면부는 앵커 슬리브가 보어 내에 수용된 때 보어를 밀폐하도록 보어의 내벽면의 개방 단부에 가압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직경이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9. 예비 천공된 보어를 갖는 재료 안에 삽입되는 볼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나사 구멍을 갖는 제1 단부와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을 갖는 제2 단부를 구비한 중공 원통형 앵커 슬리브와,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나사 구멍에 조여지는 체결 봉부와 제2 단부 속으로 압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를 갖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이 볼트를 앵커 슬리브 안에 삽입하기 위해 회전시키게 되는 체결 토오크와 이 체결 토오크에 의해 볼트가 회전된 때 플러그부와 제2 단부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에 기인하여 플러그부가 받게 되는 마찰 토오크 간의 차이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플러그부를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절결부를 플러그부와 체결 봉부 사이의 이음부에 갖고,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는 플러그부가 앵커 슬리브에 대하여 제위치에 배치된 때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의 개방 단부로부터 돌출된 단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부는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단부의 개방 단부에 결합되는 맞물림 치부를 상기 돌출 단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는 플러그부가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 안으로 일부 밀려들어갔을 때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되고,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된 후에 체결 봉부에 의해 압박된 때 전혀 회전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는 그 축단부에 외향 플랜지의 형태의 리브를 가지며, 상기 리브가 예비 천공된 보어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는 제1 단부에 대향한 측면에 축단부를 갖고, 제2 단부의 내벽면은 제2 단부의 축단부 쪽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슬리브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중심부를 가지며, 상기 축방향 슬릿은 거의 상기 중심부의 축방향 중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슬리브의 제1 단부는 그 일단에 상기 나사 구멍을 갖고 이 나사 구멍의 내측 나사부의 주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안내 구멍을 가지며,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는 상기 안내 구멍 내에서 활주 가능하고 방사 방향의 소정치보다 큰 압축 하중을 받을 때 방사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플랜지를 상기 절결부를 갖춘 이음부 다음 위치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플랜지는 앵커 슬리브의 제1 단부의 나사 구멍과 결합되는 외측 나사식 외주면부를 갖고 상기 압축 하중을 받은 때 플랜지가 방사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6. 볼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나사 구멍을 갖는 제1 단부와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을 갖는 제2 단부를 구비한 중공 원통형 앵커 슬리브와,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며, 내측 나사식 구멍을 갖는 헤드와, 상기 제1 단부의 나사 구멍에 조여지는 체결 봉부 및, 제 2 단부 속으로 압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를 갖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내측 나사식 구멍을 갖는 일체형 너트를 헤드의 단부에 구비하고 이 너트가 소정 토오크를 받을 때 너트를 상기 헤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헤드와 너트 사이의 이음부에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는 앵커 슬리브에 대하여 제위치에 배치된 때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의 개방 축단부로부터 돌출된 단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부는 볼트가 너트를 헤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토오크를 받은 때 제2 단부의 개방 축단부와 맞물려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맞물림 수단이 상기 돌출 단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수단은 환형 맞물림 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19. 볼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나사 구멍을 갖는 제1 단부와 이 제1 단부와 대향한 측면에 축단부를 갖고 다수개의 축방향 슬릿을 갖는 제2 단부를 구비한 중공 원통형 앵커 슬리브와,
    앵커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며, 나사 구멍에 조여지는 체결 봉부와 제2 단부 속으로 압박되어 제2 단부를 팽창시키는 플러그부를 갖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슬리브는 제2 단부에서 균일한 외경을 갖고 제2 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환형 리브를 갖고, 이들 환형 리브는 제2 단부의 축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될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이 볼트를 앵커 슬리브 안에 삽입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체결 토오크와 이 체결 토오크에 의해 볼트가 회전된 때 플러그부와 제2 단부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에 기인하여 플러그부가 받게 되는 마찰 토오크 간의 차이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플러그부를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절결부를 플러그부와 체결 봉부 사이의 이음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는 플러그부가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 안으로 일부 밀려 들어갔을 때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되고, 체결 봉부로부터 분리된 후에 체결 봉부에 의해 압박된 때 전혀 회전하지 않고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플러그부는 앵커 슬리브에 대하여 제위치에 배치된 때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의 개방 단부로부터 돌출된 단부를 갖고, 앵커 슬리브의 제2 단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단부의 개방 단부에 결합되는 맞물림 치부가 상기 돌출 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앵커 슬리브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중심부를 갖고, 상기 축방향 슬릿은 거의 상기 중심부의 축방향 중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릿은 광폭부와 소폭부를 가지며, 이 소폭부가 상기 광폭부보다 축방향으로 내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고정 장치.
KR1019970051099A 1996-10-04 1997-10-04 볼트고정장치 KR100276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63990 1996-10-04
JP26399096 1996-10-04
JP26399296A JPH10110476A (ja) 1996-10-04 1996-10-04 アンカー金具
JP96-263992 1996-10-04
JP96-263991 1996-10-04
JP26399196A JPH10110475A (ja) 1996-10-04 1996-10-04 アンカー金具
JP25172397A JP3884134B2 (ja) 1996-10-04 1997-09-17 アンカー金具
JP97-251723 1997-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552A KR19980032552A (ko) 1998-07-25
KR100276988B1 true KR100276988B1 (ko) 2001-03-02

Family

ID=2654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099A KR100276988B1 (ko) 1996-10-04 1997-10-04 볼트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84134B2 (ko)
KR (1) KR100276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4895B2 (en) * 2003-10-10 2011-05-03 Illinois Tool Works Inc. Self-drilling anchor
JP5169058B2 (ja) * 2007-08-06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吊り戸のガイド装置及び同装置の施工方法
KR101148327B1 (ko) * 2009-11-16 2012-05-29 김원일 길이 압축에 의한 부피 팽창형 칼브럭
JP6587926B2 (ja) * 2015-12-19 2019-10-09 株式会社Seto アンカーボルト及び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59185A (ja) 1998-06-16
JP3884134B2 (ja) 2007-02-21
KR19980032552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3129A (en) Bolt anchoring device with improved plug portion of bolt
US4929134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EP0732515B1 (en) Anchor unit with expansive anchor member expanded by utilizing turning force of bolt
US7587873B2 (en) Wedge anchor for concrete
US4963062A (en) Single-piece, pre-shaped anchor
US5447005A (en) Reverse wedge truss-forming wall anchor
US5183357A (en) Rivet fastener with drilling bit
US5509765A (en) Removable Molly bolt
CA2048689C (en) Self-drilling fastening
JPS588811A (ja) 拡開だぼ
US4330230A (en) Anchor bolt assembly
US5201104A (en) Extracting tool
US4770580A (en) Expansible anchoring plug
US4943195A (en) Expansible anchoring plug assembly
EP0416183B1 (en) Anchor-fixing
KR100276988B1 (ko) 볼트고정장치
JPS6396306A (ja) 拡張栓
JPH10110475A (ja) アンカー金具
WO2000032946A1 (en) Wedge anchor for concrete
JPS62167912A (ja) 円錐状に内向きに拡大された袋穴に固定するための打撃拡張栓
JP2001065533A (ja) 緩み防止ボルト
JPH02225811A (ja) 拡張栓
EP0730099A1 (en) Wall dowell
KR200485838Y1 (ko) 벽 고정용 앵커볼트
WO2000070232A1 (en) Sleeve bo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