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081B1 -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 Google Patents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081B1
KR100271081B1 KR1019940703494A KR19940703494A KR100271081B1 KR 100271081 B1 KR100271081 B1 KR 100271081B1 KR 1019940703494 A KR1019940703494 A KR 1019940703494A KR 19940703494 A KR19940703494 A KR 19940703494A KR 100271081 B1 KR100271081 B1 KR 10027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rame
slot
pilla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696A (ko
Inventor
핀닐슨
Original Assignee
스페이스메이커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A 2064656 external-priority patent/CA2064656A1/en
Priority claimed from CA 2075320 external-priority patent/CA2075320C/en
Application filed by 스페이스메이커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페이스메이커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5070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5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orientation of opening, e.g. keyhole-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keyhole-shaped slots an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골조는 다수의 수직기둥,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평부재를 수직기둥에 연결시키기 위한 잠금 부착물을 포함하여, 수직기둥에는 수직에 대한 예각으로 배향된 다수의 열쇠구멍 모양의 틈이 제공되고, 헤드 및 줄기부분은 수평부재 각각의 수직 모서리가 개개의 수직기둥에 강제 맞춤 연결되도록 열쇠구멍 모양의 틈과의 상호 연결을 위한 수평부재 각각으로 부터 연장하게 순응된다.

Description

선반유니트용 골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선반유니트로서 사용하는대 적합한 골조(骨組)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골조에 관한 것이다.
선반유니트 작업대 또는 유사한 구조물의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고 용이한 운송을 위해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골조를 제공하는 것이 종래기술에 알려져 있다. 그러한 골조는 창고 및 저장실에 종종 사용되고, 로울(roll) 성형, 스탬핑(stamping), 또는 절단 가공에 의해 조립을 위한 소망의 형태로 성형될 수 있는 금속판으로부터 제작된다. 전형적으로, 이들 골조는 4개의 수직 모서리 기둥과 다수의 수평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모서리 기둥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높이에서 모서리 기둥에 수평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나사 또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나다 특허 제1,256,069호(허쉬 컴퍼니)에, 통상의 볼트 또는 너트에 의해 4개의 지주 또는 기둥에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선반들을 가지는 선반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선반에는 플랜지가 제공되어 있고, 그 플랜지는 그의 모서리들에, 수직 지주 또는 기둥의 선택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 또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지고 있다.
상기 카나다 특허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한가지 단점은,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한 너트 및 볼트 뿐만 아니라 플라이어, 스크류 드라이버 등을 포함한 다수의 부품 및 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너트 및 볼트가 느슨해지게 되어, 선반 조립체가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또다른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평 부재들이 수직 기둥에 상하로 배열된 슬롯내에 삽입되는 리벳에 의해 수직 기둥들에 연결된다. 확고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수직 기둥의 측면 가장자리(즉, 수직 면)로부터 슬롯의 측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수평 부재의 측면 가장자리(즉, 수직 가장자리)로부터 리벳의 목부분까지의 거리와 약간 다르게 하여, 리벳과 슬롯 사이에 사실상 틈이 없게 한다. 따라서, 리벳을 슬롯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평 부재를 망치로 두들겨 슬롯의 측부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금속을 변형시킴으로써 리벳을 제위치에 박아 넣어야 한다.
후자의 종래기술은 선반유니트를 조립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도 갖는다. 또한, 리벳과 슬롯 가장자리의 접속이 단일점 접속의 형태이어서, 상기한 카나다 특허의 기술에서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느슨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선반유니트가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지지부재와 수직 기둥부재의 겹침부분들 사이에 억지끼워맞춤이 달성되어 매우 안정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골조는,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한쌍의 면을 각각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둥부재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부재가 각 쌍의 상기 기둥부재들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제공되고, 각각의 지지부재는 지지부재의 종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를 양단부에 가지는 결합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결합면이 기둥부재의 상기 면의 일 부분과 겹치도록 지지부재를 기둥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그 부착수단은, 겹쳐 배치되는 기둥부재의 상기 면과 지지부재의 상기 결합면중 하나에 제공되고, 구멍과 관련 부재의 종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예각으로 상기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롯을 가지는 대체로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와, 겹쳐 배치되는 기둥부재의 상기 면과 지지부재의 상기 결합면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하여 제공되고, 상기 슬롯내에서 미끄러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목부분과 그 목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구멍을 통과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머리부분을 가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그리하여,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머리부분을 삽입하고, 상기 슬롯내에서 상기 목부분을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시킨 때, 지지부재의 상기 가장자리가 기둥부재의 접합면에 맞닿게 되고, 상기 슬롯내에서의 상기 목부분의 추가 미끄럼이동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 1 도는 조립된 선반유니트의 사시도, 제 2 도는 조립되기 전의 제 1 도의 선반유니트의 구성부품들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 제 3 도는 구성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도의 선 III-III에 따른 단면도,
제 4 도는 다른 실시예의 선반유니트를 나타내는, 제 2 도와 유사한 도면,
제 5 도는 구성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4 도의 선V-V에 따른 단면도,
제 6 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선반유니트의 일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6 도의 구성부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8a 도 및 제 8b 도는 제 6 도의 구성부품들의 정면도로서, 제 8a 도는 초기 조립단계중의 구성부품들을 나타내고, 제 8b 도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 9 도는 구성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도,
제 10 도는 한쌍의 수직 기둥을 상하로 단부끼리 연결하는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 나타내어진 구성부품들의 정면도,
제 12 도는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11 도의 구성부품들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13 도는 제 10 도∼제 12 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
제 14 도는 옆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접속된 인접한 수직 기둥들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 15 도는 제 14 도에 나타내어진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연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도∼제 3 도를 보면, 조립된 선반유니트(1)가,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한쌍의 다리부(30, 32)를 각각 가진 4개의 수직 기둥(3)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각각의 다리부(30, 32)는 한쌍의 정반대로 향한 면(2, 4)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수평 지지부재(5)들 각각이 각 쌍의 수직 기둥(3) 사이에서 연장하고, 후술하는 방식으로 수직 기둥(3)들에 부착되어, 안정된 구조물을 제공한다.
수평 지지부재(5)들 각각은, 한쌍의 정반대로 향한 면(9)을 가진 수직 웨브(web)(6)와 그 수직 웨브에 대하여 수직인 한쌍의 수평 연장부(8)를 가지는 채널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수직 웨브(6)와 수평 연장부(8)는 가장자리(23)에서 끝난다.
수평 지지부재(5)들의 수평 연장부(8)들상에 선반(7)이 얹혀 선반유니트를 완성한다.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십자형 버팀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설명되는 선반유니트의 고유의 안정성은 십자형 버팀부재를 요하지 않고도 제공될 수 있다.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수직 기둥(3)의 다리부(30, 32)들 각각에는, 대체로 원형의 구멍(13)과 수직 기둥(3)의 종축선에 대하여 예각으로 배치된 슬롯(15)으로 이루어져 있는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가 다수개 뚫려 있다. 상기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부터 8°내지 30°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다.
각각의 수평 지지부재(5)는, 그 지지부재를 개개의 수직 기둥(3)에 부착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1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도 및 제 3 도의 실시예에서, 그 부착구(17)는 목부분(19)과 머리부분(21)을 가지고 있다. 수평 지지부재(5)의 각 단부에 2개씩의 부착구(17)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도 및 제 3 도의 실시예에서, 목부분(19)과 머리부분(21)을 가지는 상기 부착구(17)는 수평 지지부재(5)의 제작중에 그 지지부재에 설치될 수 있는 리벳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는, 목부분(19) 및 머리부분(21)이 스탬핑 또는 펀칭에 의해, 금속판으로 된 수평 지지부재(5)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립시에, 부착구(17)는 그의 머리부분(21)이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의 원형 구멍(13)을 통과하도록 하여 개개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에 삽입된다. 초기 삽입상태에 있어서는, 수평 지지부재(5)의 수직 웨브(6)의 외측면(9)이 수직 기둥(3)의 다리부(30, 32)들중 하나, 예를 들어, 다리부(32)의 한 면(4)에 접하고, 수평 지지부재(5)의 단부의 수직 가장자리(23)가 수직 기둥(3)의 다른 다리부(30)의 인접 면(4)으로부터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된다. 그때, 수평 지지부재(5)에 하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부착구(17)의 목부분(19)이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의 슬롯(15)내에서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이때, 슬롯(15)이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지지부재(5)의 단부의 수직 가장 자리(23)와 수직 기둥(3)의 다리부(30)의 인접 면(4)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결국 그들이 서로 접하게 된다. 하향 압력을 계속 가함으로써, 그들 사이에 쐐기(wedging) 작용이 발생되어, 수평 지지부재(5)와 수직 기둥(3) 사이에 억지끼워맞춤이 달성된다. 수평 지지부재(5)와 수직 기둥(3) 사이의 억지끼워맞춤은 종래기술에서 처럼 단일점 연결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가장자리(2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얻어져, 견고한 상호연결을 제공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2 도 및 제 3 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선반유니트는 수직 기둥(3)으로부터 수평 지지부재(5)를 분리하기 위해 수평 지지부재(5)에 상향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의 슬롯(15)의 경사각은 바람직한 범위의 예각(실험에 의하면, 10°의 경사각이 최적인 것으로 결정되었지만)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그 경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슬롯(15)과 목부분(19) 사이의 쐐기 작용이 감소되지만, 조립중에 더 큰 허용오차가 얻어진다. 반대로, 슬롯(15)의 경사각이 작게 될수록, 억지끼워맞춤의 견고함이 증가하지만, 허용오차 요건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성공적인 시작품(試作品)에 따르면, 부착구(17)의 머리부분(21)은 대략 7/1 6" (11.1 mm)의 직경과 대략 0.005" (0.127 mm)의 두께를 갖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이다. 부착구(17)의 목부분(19)은 대략 0.240" (6.1 mm)의 직경을 갖는 원통체의 형태이고, 기부(基部)로부터 머리부분(21)까지의 목부분(19)의 길이는 대략 0.08" (2.03 mm)이다.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의 구멍(13)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0500" (1.27 mm)의 직경을 가지며, 슬롯(15)은 대체로 장원형 형태(즉, 반원형 단부를 가지는)이고, 대략 0.250" (6.35 mm)의 폭과, 장원형의 초점중심으로부터 구멍(13)의 중심까지 연장하는 대략 0.500" (12.7 mm)의 길이를 가진다.
그러나, 이들 요소는 다른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도 및 제 3 도의 리벳 형태의 부착구(17)의 대체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 기둥(3') 및 수평 지지부재(5')로 부터 분리가능한 부착구(171)가 제공되고, 또한, 수평 지지부재(5')가 수직 기둥(3')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와 닮은 모양의 개방부(27)를 가지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17')는 제1 머리부분(21')과, 목부분(19') 및 제2 머리부분(25)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 모양이 요요(yo-yo)와 대체로 닮은 모양으로 되어, 수직 기둥(3')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와 수평 지지부재(5')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27)를 통해 삽입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부착구(17')의 목부분(19')은 수평 지지부재(5')에 하향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직 기둥(3')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1)의 슬롯(15')과 수평 지지부재(5')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27)의 슬롯(29)내에서 미끄러진다. 제 2 도 및 제 3 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롯(151, 29)내에서의 목부분(191)의 이동에 의해 수평 지지부재(5')의 수직 가장자리(23')가 수직 기둥(3')의 인접 면(4')에 접하게 된다. 설치된 때, 부착구(171)의 제1 머리부분(21')은 수직 기둥(31)에 인접하도록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1, 27)로부터 돌출하는 반면에, 제2 미리부분(25)은 수평 지지부재(5')에 인접하도록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 27)로부터 돌출하며, 이에 의해, 2세트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 27)내에 부착구(17')가 보유되게 된다.
이 실시예의 성공적 시작품에 따르면, 부착구(17')의 머리부분(21', 25)은, 하나가 대략 7/16" (11:1 mm)의 직경을 가지고, 다른 하나가 수직 기둥(3')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의 원형 구멍(131)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고 대략 0.005" (0.127 mm)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로 되어 있다. 부착구(17')의 목부분(19')은 대략 0.240" (6.1 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체의 형태이고, 머리부분(21', 25)들 사이에서의 목부분(19')의 길이는 대략 0.80" (20.3 mm)이다. 머리부분(21', 25)들중 하나를 수직 기둥(3')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의 원형 구멍(13')보다 크게 함으로써, 다른 하나의 머리부분이 이미 삽입된 후에 그 확대된 머리부분이 구멍(13')을 통과하여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4 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의 구멍(13')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500" (12.7 mm)의 직경을 가지며, 슬롯(15')은 대체로 장원형이고, 대략 0.250" (6.35 mm)의 폭과, 장원형의 초점중심으로부터 구멍(13')의 중심까지 연장하는 대략 0.500" (12.7 mm)의 길이를 갖는다.
성공적인 시작품에 따르면, 수직 기둥(3)(및 수직 기둥(3'))과 수평 지지부재(5)(및 수평 지지부재(5'))는 대략 0.036" (0.91 mm)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 부터 제작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제 6 도∼제 9 도에 나타내어져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도 ∼ 제 3 도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이 첨자 "a"를 가지는 유사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어져 있다.
제 6 도 ∼ 제 9 도의 실시예에서는, 부착구(17a)가 수평 지지부재(5a)의 웨브(6a)를 형성하는 재료로부터 스탬핑에 의해 형성된다. 제 9 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구(17a)는 웨브(6a)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된 목부분(19a)과, 웨브(6a)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 반원형 머리부분(21a)을 포함하는 재료의 웨브로 이루어져 있다. 수평 지지부재(5a)의 웨브(6a)의 면(9a)과 부착구(17a)의 머리부분(21a) 사이의 거리는 수직 기둥(3a)을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에 상응한다.
수직 기둥(3a)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인 한쌍의 다리부(30a, 32a)를 가지고 있고, 그들 다리부(30a, 32a)는 수직 기둥(3a)의 정점에서 다리부(30a, 32a)들과 일체로 형성된 부분원통형의 리브(rib)(34)(제 9 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제 9 도에 상세히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부(30a, 32a)는 부호 36으로 나타낸 부분에서 외측으로 구부려져 약간 올라가 있고, 각각의 다리부의 말단부분은 뒷쪽으로 접혀져, 정반대로 향한 면(2a, 4a)을 제공한다. 그들 면(2a, 4a)을 형성하는 다리부의 부분들이 간격을 두고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어, 각각의 다리부(30a, 32a)에 공동부(空洞部)(40)를 형성하고 있다. 그 공동부(40)의 폭은 부착구(17a)의 머리부분(21a)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다.
다리부(30a, 32a)의 면(4a)들 각각은, 반원형 구멍(13a)과 경사진 슬롯(15a)을 가지는 일련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a)를 가지고 있다. 반원형 구멍(13a)의 모양은 부착구(17a)의 머리부분(21a)의 모양에 상응하고, 슬롯(15a)의 폭은 부착구(17a)의 목부분(19a)의 두께에 상응한다. 제 6 도 ∼ 제 9 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수명 지지부재(5)의 수직 가장자리(23a)는 수명 연장부(8a)를 넘어 돌출하여, 그 가장자리(23a)가 리브(34) 뒤에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평 지지부재(5a)를 수직 기둥(3a)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수평 지지부재(5a)의 수직 웨브(6a)의 외측으로 향한 면(9a)을 수직 기둥(3a)의 면(2a, 4a)들중 하나의 면(4a)과 접하게끔 배치하고, 부착구(17a)의 머리부분(21a)들을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a)의 반원형 구멍(13a)들과 정렬시키고 그 구멍들에 끼워, 서로 대향된 면(9a, 4a)들이 서로 접하게 한다. 이때, 웨브(6a)의 수직 가장자리(23a)가 수직 기둥(3a)의 리브(34)로부터 멀어져 있게 된다(제 8a 도). 그다음, 수직 기둥(3a)에 대하여 하방으로 수평 지지부재(5a)를 이동시켜, 부착구(17a)의 목부분(19a)을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a)의 슬롯(15a)내로 이동시킨다(제 8b 도). 이러한 이동을, 수평 지지부재(5a)의 수평 연장부(8a)의 측면 가장자리가 수식 기둥(3a)의 리브(34)에 결합하여 억지끼워맞춤을 발생시키고 추가의 하향이동을 방지할때까지 계속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수평 지지부재(5a)를 수직 기둥(3a)의 다른 면(4a)에 대하여 배치하여 수직 기둥(3a)상에 조립하고 하방으로 이동시켜, 그 수평 지지부재의 측면 가장자리(23a)가 리브(34) 뒤에 위치하고, 수평 연장부(8a)의 측면 가장자리가 리브(34)에 접하게 한다. 따라서, 수직 기둥(3a)의 리브(34)가 수평 연장부(8a)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한 접합면을 제공하여, 각각의 수평 지지부재(5a)가 다른 수평 지지부재와 독립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한쌍의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수평 연장부(8a)가 리브(34)와 결합할지라도, 수직 기둥(3a)과 수평 지지부재(5a) 사이의 안정된 연결이 여전히 제공된다.
부착구(17a)의 목부분(19a)이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a)의 슬롯(15a)내에 수용된 때, 부착구(17a)의 머리부분(21a)이 공동부(40)내에서 이동하고, 수직 기둥(3a)과 수평 지지부재(5a) 사이의 상대적 수평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공동부(40)내의 머리부분(21a)의 미끄럼끼워맞춤 때문에, 머리부분이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에서 빠지게 할 수 있는 수평력의 인가에 의해 그 머리부분(21a)이 그의 평행한 위치로부터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수평 지지부재의 측면 가장자리(23a)가 리브(34) 뒤에 위치함으로써, 수직 기둥(3a)에 대한 수평 지지부재(5a)의 외향 이동이 방지되어, 선반유니트의 견고함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 6 도 ∼ 제 9 도의 실시예는 수평 지지부재(5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부착구(17a)를 제공하고, 또한, 2개의 수평 지지부재(5a)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기둥(3a)에 결합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수직에 대한 슬롯(15a)의 경사각은 제 1 도 ∼ 제 5 도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즉, 그 경사각은 수직으로부터 8°내지 3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일 수 있다.
공동부(40)를 형성하기 위해 다리부(30a, 32a)의 말단부분을 뒤로 접은 구조 부착구(17a)의 머리부분(21a)를 보유하는데 유익할 뿐만 아니라, 선반유니트의 외관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수직 기둥(3a)의 외측으로 향한 면(2a)은 그 수직 기둥에 구멍이 없는 외부면을 제공하여, 선반유니트가 조립된 매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a)를 은폐한다. 그리하여, 이 선반유니트가 가구분야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실용적인 응용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부착구(17a)의 주 목적이 수평 지지부재(5a)를 수직 기둥(3a)에 연결시키는 것일지라도, 그 부착구는 다른 구조의 선반유니트를 제공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 10 도 ∼ 제 13 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부착구(17a)는 한쌍의 수직 기둥(3a)을 겹치게 함이 없이 한쌍의 수직 기둥(3a)을 단부끼리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서, 수직 기둥(3a)의 인접하는 구멍(13a)들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한쌍의 부착구(17a)를 가진 연결부재(42a)가 제공된다. 그 연결부재(42a)는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수평 지지부재(5a)의 가장자리(23a)에 대응하는 가장자리(44)를 일 측부를 따라 가지고 있다. 연결부재(42a)를 보강하기 위해 그 연결부재에 리브(4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42a)의 부착구(17a)들은 각각의 수직 기둥(3a)의 다리부(30a, 32a)의 슬롯(15a)의 기울기에 맞도록 배치됨을 제 10 도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한쌍의 수직 기둥(3a)의 단부들이 맞닿고 각각의 수직 기둥의 다리부(30a, 32a)들이 동일 면에 있도록 수직 기둥(3a)들을 정렬시켜 한쌍의 수직 기둥(3a)을 단부끼리 조립한다. 그 다음, 각각의 수직 기둥(3a)의 다리부들중 한쪽 다리부(30a)의 면(4)과 접촉하도록 2개의 수직 기둥들의 접속부를 가로질러 연결부재(42a)를 배치한다. 연결부재(42a)의 부착구(17a)를 각각의 수직 기둥(3a)의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a)의 반원형 구멍내에 배치한다. 그 다음, 연결부재(42a)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연결부재(42a)의 가장자리(44)가 각각의 수직 기둥(3a)의 리브(34)와 결합되게 하여, 연결부재(42a)를 쐐기 작용으로 고정시킨다.
그 다음, 반대쪽의 다른 연결부재(42a)를 수직 기둥(3a)의 다른쪽 다리부(32a)의 면(4a)과 접촉하도록 수직 기둥들의 접속부를 가로질러 배치한다. 그리고, 연결부재(42a)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그의 가장자리(44)가 수직 기둥(3a)의 리브(34)와 접촉하게 하고, 다리부에 대하여 연결부재를 쐐기 작용으로 고정시킨다. 단부끼리 맞대어진 2개의 수직 기둥에 2개의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 기둥(3a)들은 그들의 외측면이 연속적인 동일 면을 이루면서 단부끼리 효과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제 2 도 ∼ 제 5 도에 나타내어진 기둥 및 부착구에 대해서도 유사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구조의 선반유니트를 조립하기 위해 열쇠구멍 모양의 개방부(11)와 부착구(17)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선반유니트를 옆으로 나란히 조립하는 것이 종종 요구될 수 있고, 단일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인접한 선반유니트를 상호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17b)를 J자 모양의 연결판(50)에 형성함으로써 쉽게 달성된다.
연결판(50)은 대체로 평면의 본체(52)를 가지고 있고, 그 본체(52)에 한쌍의 부착구(17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부착구(17b)는 목부분(19b)과, 수직 기둥(3b)의 구멍(13b)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머리부분(21b)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42a)와는 달리, 각각의 목부분(19b)은 수직 기둥(3b)의 축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지만, 여전히 슬롯(15b)내에서 부분적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판(50)의 배치방향 설정의 필요성을 배제한다.
연결판(50)의 본체(52)의 한쪽 끝에는, 인접한 한쌍의 수직 기둥(3b)의 외측 가장자리들 둘레에 꼭맞게 끼워지도록 하는 치수로 된 후크(54)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선반유니트를 일체의 구조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각의 선반유니트가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다. 그 다음, 완성된 선반유니트들의 수직 기둥(3b)들이 옆으로 나란히 접하도록 그 선반유니트들을 배치한다. 대개의 구조에서는, 선반유니트의 전방과 후방에서 한쌍의 수직 기둥들이 서로 접한다. 그 다음,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떨어진 위치들에서 각 쌍의 수직 기둥(3b)에 한쌍의 연결판(50)이 부착된다. 연결판(50)은 그의 후크(54)가 수직 기둥(3b)들의 가장자리둘레에서 연장하는 상태에서 수직 기둥의 구멍(13b)내에 부착구(17b)의 머리부분(21b)을 삽입함으로써 부착된다. 그 다음, 연결판(50)을 수직 기둥(3b)을 따라 슬라이드시켜, 부착구(17b)의 목부분(19b)이 슬롯(15b)에 결합되게 한다. 그리하여, 후크(54)가 수직 기둥(3b)들을 함께 보유하여 일체의 구조물을 제공한다.
제 14 도를 참조하면, 하나의 연결판(50)의 부착구(17b)가 각 쌍의 수직 기둥(3b)들중 하나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판(50)의 부착구(17b)가 다른 수직 기둥(3b)에 결합하도록, 각 쌍의 수직 기둥(3b)들에 결합되는 연결판(50)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각 쌍의 연결판(50)의 후크(54)가 상대적인 전후운동에 대항하기 때문에, 선반유니트(1)들이 상대적인 전후운동을 받을 때 그 선반유니트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된 구조를 제공하는 단순하고 다기능성의 선반 유니트가 제공된다.

Claims (17)

  1.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한쌍의 면(4a)을 각각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둥부재(3a)와, 각 쌍의 상기 기둥부재(3a)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결합면(6a)을 각각 포함하며, 지지부재의 종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장자리(23a)를 양단부에 가지는 다수의 지지부재(5a), 및 상기 지지부재(5a)의 상기 결합면(6a)의 일부분과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이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5a)를 상기 기둥부재(3a)에 연결하는 부착수단으로서,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과 상기 지지부재(5a)의 상기 결합면(6a)중 하나에 제공되고, 구멍(13a)과 그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슬롯(15a)을 가지는 개방부(11a)와,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과 상기 지지부재(5a)의 상기 결합면(6a)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하여 제공되고, 상기 슬롯(15a)내에서 미끄러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목부분(19a)과 그 목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구멍(13a)을 통과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머리부분(21a)을 가지는 돌출부(17a)를 포함하고, 상기 목부분(19a)과 상기 슬롯(15a)은 상기 슬롯내에서 상기 목부분이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한 때 상기 지지부재(5a)의 상기 가장자리(23a)가 상기 기둥부재(3a)의 접합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슬롯내에서의 상기 목부분의 추가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접합면이, 상기 기둥부재(3a)의 종축선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들 각각에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5a)들의 상기 가장자리(23a)들을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들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내로 돌출하는 리브(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1a)의 상기 슬롯(15a)이 상기 기둥부재(3a)의 종축선에 대하여 예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1a)가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a)가 그의 일 단부에 상기 리브(34)와 상기 결합면(6a) 사이에서 연장하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수평 연장부(8a)가 그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리브(34)에 맞닿도록 상기 지지부재(5a)로부터 연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a)의 상기 수평 연장부(8a)가 상기 결합면(6a)의 양측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브(34) 뒤에 위치된 때 상기 수평 연장부(8a)들의 측부 가장자리가 상기 리브(34)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들 각각이 상기 기둥부재(3a)의 다리부(30a, 32a)들 각각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11a)들이 상기 다리부(30a, 32a)들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30a, 32a)들 각각이, 상기 목부분(19a)이 상기 슬롯(15a)내에 수용된 때 상기 머리부분(21a)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면(4a) 뒤에 배치된 공동부(4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34)가 부분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34)가 각각의 상기 다리부(30a, 32a)의 일 부분 위에 위치하고,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그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5a)가 상기 기둥부재(3a)의 상기 면(4a)에 접할 때 상기 지지부재(5a)의 가장자리(23a)가 상기 오목부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발 유니트용 골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분(19a) 및 상기 머리부분(21a)이 상기 지지부재(5a)의 상기 결합면(6a)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유니트용 골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분(21a)이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분(19a)이 상기 지지부재(5a)의 상기 결합부(6a)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평면 웨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분(21a)이 상기 결합면(6a)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유니트용 골조.
  13. 한쌍의 내측으로 향한 면(4a)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된 한쌍의 다리부(30a, 32a)와, 지지부재(5a)를 각각의 상기 다리부(30a, 32a)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면(4a)들 각각에 제공된 개방부(11a)들로서, 상기 지지부재(5a)에 형성된 머리부분(21a)을 수용하는 구멍(13a)과, 상기 지지부재(5a)에 상기 머리부분(21a)을 공정시키는 목부분(19a)을 수용하는 슬롯(15a)을 각각 가지는 개방부(11a)들을 포함하는 골조용 기둥부재(3a)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a)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합하기 위한 접합면(34)이 상기 한쌍의 다리부(30a, 32a)들 사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슬롯(15a)이 상기 구멍(13a)의 한계를 정하는 선형 가장자리의 연장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멍(13a)으로부터 연장하여 있고, 상기 선형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부재(5a)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접합면(34)에 결합하도록 상기 슬롯(15a)내에서의 상기 목부분(19a)의 미끄럼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재(3a)의 종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용 기둥부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3a)이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용 기둥부재.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30a, 32a)가, 상기 목부분(19a)이 상기 슬롯(15a)내에 술용된 때 상기 머리부분(21a)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면(4a) 뒤에 배치된 공동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용 기둥부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40)가 한쌍의 떨어져 있는 웨브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웨브들중 하나는 상기 면(4a)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웨브가 외측으로 향한 연속적인 면(2a)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용 기둥부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3a)이 반원형이고, 상기 슬롯(15a)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용 기둥부재.
KR1019940703494A 1992-04-01 1993-03-19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KR100271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064656 1992-04-01
CA 2064656 CA2064656A1 (en) 1992-04-01 1992-04-01 Knock-down shelf unit
CA 2075320 CA2075320C (en) 1992-08-05 1992-08-05 Knock-down shelf unit
CA2075320 1992-08-05
PCT/CA1993/000116 WO1993019642A1 (en) 1992-04-01 1993-03-19 Framework for shelv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696A KR950700696A (ko) 1995-02-20
KR100271081B1 true KR100271081B1 (ko) 2000-11-01

Family

ID=2716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494A KR100271081B1 (ko) 1992-04-01 1993-03-19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71081B1 (ko)
WO (1) WO19930196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257B1 (ko) * 2016-11-09 2018-03-20 김선태 조립식 앵글
KR101856309B1 (ko) * 2016-03-09 2018-06-25 김경현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20190068430A (ko) * 2017-12-08 2019-06-18 박나연 조립식 랙 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310A (en) * 1996-02-09 1998-06-09 Schill; Francine E. Infant seat support with a resting surface having an adjustable height
IT1311780B1 (it) * 1999-02-25 2002-03-19 Multinox Srl Sistema di giunzione per montanti e ripiani in genere, in particolareper scaffali e tavoli.
GB9927012D0 (en) * 1999-11-16 2000-01-12 Steel Construction The Connecting apparatus
US6915916B2 (en) * 2003-04-17 2005-07-12 Riccarr Display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display
US9301610B1 (en) * 2015-02-09 2016-04-05 Christopher H. Berry Enclosed boltless shelv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2821U (ko) * 1976-05-14 1977-11-19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4123A (en) * 1959-12-12 1961-03-29 Nancy Hob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use in supporting brackets or shelves
GB856474A (en) * 1958-04-25 1960-12-14 Nordverk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leasable frame connecting means for shelving, etc
FR1294322A (fr) * 1961-04-14 1962-05-26 Casier métallique démontable
NL7306277A (ko) * 1973-05-04 1974-11-06
DE2724636C2 (de) * 1977-06-01 1983-05-26 Fritz Schäfer GmbH, 5908 Neunkirchen Zerlegbares Regal
IT7922122V0 (it) * 1979-07-17 1979-07-17 Strong Block Spa Dispositivo di giunzione per il collegamento della mensola al montante, particolarmente in scaffalature metallich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2821U (ko) * 1976-05-14 1977-11-19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09B1 (ko) * 2016-03-09 2018-06-25 김경현 변형 및 확장이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101840257B1 (ko) * 2016-11-09 2018-03-20 김선태 조립식 앵글
KR20190068430A (ko) * 2017-12-08 2019-06-18 박나연 조립식 랙 선반
KR102193464B1 (ko) 2017-12-08 2020-12-22 주식회사 태강이엔지 조립식 랙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19642A1 (en) 1993-10-14
KR950700696A (ko) 1995-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966A (en) Framework for shelving unit
US5553549A (en) Framework for shelving unit
US5056285A (en) Partition wall, particularly for offices
USRE27200E (en) Steel shelving
US6681705B2 (en)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GB2300867A (en) Partition wall
JPH02261408A (ja) モジュール式棚システム
EP0073607A2 (en) A support assembly for shelving
KR100271081B1 (ko) 선반 유니트용 골조(framework for shelving unit)
US3480155A (en) Steel shelving
US5348170A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2186934B1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용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무볼트 조립식 선반
US5685238A (en) Shelving apparatus
JP2585074B2 (ja) 棚の連結部構造
JP3227232U (ja) 組み立て式金属製棚
US20040108290A1 (en) Structural system of interlocking sheets
EP0044282A2 (en) Metallic shelving provided with multiple interlocking means, and components designed for producing this shelving
US3664073A (en) Building panel construction and securement means therefor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EP0333463B1 (en) Panel edge strips
CA2075320C (en) Knock-down shelf unit
JP3831244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H0321595Y2 (ko)
KR20230144711A (ko)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