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905B1 - 광학적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적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905B1
KR100269905B1 KR1019990057534A KR19990057534A KR100269905B1 KR 100269905 B1 KR100269905 B1 KR 100269905B1 KR 1019990057534 A KR1019990057534 A KR 1019990057534A KR 19990057534 A KR19990057534 A KR 19990057534A KR 100269905 B1 KR100269905 B1 KR 10026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rtridge
drive base
turnta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또히데노리
이와모토토시타까
우까이히라타까
꾸니미쓰야수끼요
주만시게루
수까가와토모오
사사끼마사테루
나가사끼타쓰토시
우찌야마마사오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3017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82079A/ja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riority to KR101999005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4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mechanism for subsequent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32Heads
    • G11B11/10541Heads for reproducing
    • G11B11/10543Heads for reproducing using optical beam of radi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가 배치되는 카트리지 홀더 탑재부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턴테이블을 상기 카트리지 홀더측으로 돌출시키는 제1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에 대향하는 상면측에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턴테이블 유닛이 배치되는 턴테이블 유닛 탑재부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제2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의 개구부내에 광을 이동하는 이동광학 유닛이 배치되는 이동광학 유닛 탑재부와,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드라이브 베이스 내부에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제1의 광통과구와, 드라이브 베이스 외주부의 광검출기에 광을 유도하는 통로가 되는 제2의 광통과구와,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이동광학 유닛과의 사이 및 상기 이동광학 유닛과 상기 광검출기와의 사이의 광을 유도하는 통로가 되는 제3의 광통과구가 드라이브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적 기억장치{OPTICAL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광학적 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학적 기억장치를 소형 및 경량으로 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는 근년에 급속히 발전한 멀티 미디어화 중에서 중핵이 되는 기억매체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통상 휴대가 가능하게 카트리지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광디스크 장치내에 로딩되어 광학헤드로 광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액세스가 이루어진다.
현재의 광디스크 장치는 SCS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컴퓨터에 외부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또 외장 로커로부터 꺼낸 3.5인치 광자기디스크 장치 유닛의 외형치수는 1인치 높이형으로서 약 25.4(높이)×101.6(폭)×150(깊이)mm(±0.5mm 정도의 정밀도 오차가 가미된다)이며, 그 중량은 약 470g이다. 또한, 외장 로커에 수용된 상태의 외형치수는 36(높이) × 132(폭) × 208(깊이)mm이다.
따라서, 데스크톱형의 퍼스널 컴퓨터 이외에는 적용할 수가 없으므로, 현재 급속히 보급되어 가고 있는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하여 휴대하는 것은 사이즈면이나 중량면에서도 곤란하였다.
그래서 유저의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디스크 장치를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에 탑재하며, 사용환경을 향상시킴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으므로, 소형화·경량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기억장치로서의 신뢰성, 내구성을 확보 및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형이고, 경량이며, 저가인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약 24mm 이하, 총중량 300g 이하의 광자기 디스크장치, 상변화형 광디스크 장치등의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하며,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의 주요부 치수 및 총중량을 설계변경함이 없이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에 이 광학적 기억장치를 탑재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약 17mm 두께의 플로피디스크장치와 거의 동일 사이즈로 하고,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존 플로피 디스크 유닛(슬롯)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적 기억장치의 상위장치와의 접속성을 향상시켜서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도 1은 광학적 기억장치의 표면측 외관사시도.
도 2는 광학적 기억장치의 배면측 외관사시도.
도 3은 광학적 기억장치의 표면측 분해사시도.
도 4는 광학적 기억장치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프린트기판의 확대도.
도 6은 광학적 기억장치의 표면측 요부개략도.
도 7은 광학적 기억장치의 배면측 요부개략도.
도 8은 피복커버의 1실시예의 구성개략도.
(A) 구성도 (B) 동작설명도(1) (C) 동작설명도(2)
도 9는 피복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개략도.
(A) 구성도 (B) 동작설명도
도 10은 고정광학 유닛의 확대도.
(a) 광학부품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b) 헤드베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고정광학 유닛의 광학부품의 배치도.
도 12는 고정광학 유닛내의 광로의 설명도.
도 13은 서보 유닛의 설명도.
(A) 복합렌즈의 외관사시도 (B) 복합렌즈의 평면도 (C) 동작설명도
도 14는 BR 프리즘의 제조방법의 설명도.
도 15는 BW 프리즘의 제조방법의 설명도.
도 16은 대물렌즈의 확대도.
(a) 사시도 (b) 단면도
도 17은 렌즈 캐리지의 확대도.
(a) 상부 확대도 (b) 횡측 확대도 (c) 단면 확대도
도 18은 렌즈 액추에이터의 확대사시도.
도 19는 포커스 코일과 트랙 코일의 배치도.
도 20은 와이어부의 구성에 의한 댐핑효과 설명도.
(a) 댐핑부재가 없을 경우
(b) 댐핑부재가 있을 경우
도 21은 제진부재의 댐핑효과 설명도.
(a) 열경화성 접착제의 경우
(b) 비완전 경화성 접착제의 경우
도 22는 턴테이블 유닛의 확대도.
도 23은 턴테이블 유닛과 로드판의 확대도.
도 24는 광학적 기억장치의 장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광디스크의 로드시)
(a) 장치 전체도 (b) 요부 확대도
도 25는 광학적 기억장치의 장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광디스크의 언로드시)
(a) 장치 전체도 (b) 요부 확대도
도 26은 카트리지 홀더의 확대도.
도 27은 카트리지 홀더의 동작설명도(1)
도 28은 카트리지 홀더의 동작설명도(2)
도 29는 롤러의 구성 개략도.
도 30은 고정광학 유닛의 FPC의 확대도.
(a) 표면측 (b) 배면측 (c) 굴절시
도 31은 다른 실시예의 렌즈 캐리지의 확대도.
도 32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33은 시스템의 내부구성 개략도.
도 34는 랩톱형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5는 제1실시예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 구성도.
(a) 외관도 (b) 내부 구성도 (c) 상면도 (d) 블록도
도 36은 제2실시예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 구성도.
(a) 외관도 (b) 블록도
도 37은 제3실시예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 구성도.
(a) 외관도 (b) 블록도
도 38은 제4실시예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 구성도.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기구가 배치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드라이브 베이스의 벽면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광학부품의 위치 정밀도를 도출하기 위한 탑재면을 가지는 블록을 구비하고, 드라이브 베이스의 단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로부터의 복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가 부착되고,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에 접촉하여 상기 광학부품이 위치결정되어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에 직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블록을 설치하여 광학부품을 접촉시켜 부착면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광학부품을 드라이브 베이스에 직접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7-2108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드라이브 베이스와는 별체로 설치되어 있던 고정광학 헤드 베이스를 없앨 수가 있으므로, 고정광학 유닛을 광학부품의 사이즈 한도까지의 사이즈로 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부품개수를 감소시켜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높이가 커지는 다른 부품이 배치되지 않는 드라이브 베이스의 단부를 이용하여, 높이가 커지는 발광소자나 광검출기를 배치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를 박형화하여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카트리지 홀더가 탑재되고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에 카트리지 홀더 탑재면을 향해서 오목하게 된 드라이브 베이스와, 드라이브 베이스의 오목부에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의 내벽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광학 부품의 정밀도를 도출하기 위한 탑재면을 가지는 블록을 구비하며, 드라이브 베이스의 오목부의 외주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광학적 기억매체로부터의 복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가 부착되고,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의 탑재면에 접촉하여 광학부품이 위치결정되어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의 오목부에 직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광학 헤드 베이스(고정광학 유닛)가 되는 오목부를 카트리지 수용공간의 외측의 드라이브 베이스에 형성함으로써 카트리지의 두께와 거의 같은 드라이브 베이스의 높이를 실현할 수가 있어서, 고정광학 유닛의 높이를 드라이브 베이스 높이의 범위내에 수용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를 박형화 및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7-2108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드라이브 베이스와는 별체로 설치되어 있던 고정광학 헤드 베이스를 없앨 수가 있으므로, 고정광학 유닛을 광학부품의 사이즈 한도까지의 사이즈로 할 수가 있으어서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 부품개수를 감소시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을 설치하여 광학부품 부착면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광학부품을 드라이브 베이스에 직접 배치할 수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의 외측의 높이가 커지는 다른 부품이 배치되지 않는 오목부의 외주부를 이용하여 발광소자나 광검출기를 설치함으로써, 오목부의 높이에 의존하지 않고 발광소자나 광검출기를 오목부의 하면측으로 돌출시킬 수가 있으며, 또 오목부는 최소한으로 박형화 및 소형화하여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드라이브 베이스의 오목부의 상면에 광을 차폐하는 차폐커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광학 유닛 내외의 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밀폐시킴으로써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여, 먼지에 약한 광학부품을 보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가 배치되는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와,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턴테이블을 카트리지 홀더측으로 돌출시키는 제1의 개구부를 가지며,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에 대향하는 상면측에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턴테이블 유닛이 배치되는 턴테이블 유닛 수용부와, 광학적 기억매체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제2의 개구부를 가지며, 제2의 개구부내에 대물렌즈를 이동시키는 이동광학 유닛이 배치되는 이동광학 유닛 수용부와,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드라이브 베이스 내부에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제1의 슬릿과, 드라이브 베이스 외부의 광검출기에 광을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제2의 슬릿과, 발광소자와 대물렌즈 사이 및 대물렌즈와 광검출기 사이의 광을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제3의 슬릿과,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부품을 접촉시켜, 광학부품의 위치 정밀도를 도출하기 위한 면을 갖는 블록이 형성된 드라이브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광로가 되는 부분에 슬릿을 형성함과 동시에 광학부품을 배치하는 부분에 위치 정밀도를 도출하기 위한 불록을 설치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에 고정광학 헤드 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게 하여, 고정밀도의 광학부품의 배치를 실현하고, 직접 광학부품을 드라이브 베이스에 배치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드라이브 베이스를 최소한으로 박형화 및 소형화하여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턴테이블 유닛이 적어도 탑재되는 기준면을 가지며,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다른 면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드라이브 베이스를 갖추고, 오목부에 편평형상의 상자형 유닛으로 구성된 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모터의 수용공간을 드라이브 베이스를 오목하게 하여 확보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의 기준면에 의해 상면측에 이젝트 모터분의 높이를 과분하게 필요로 하지 않으며, 드라이브 베이스의 기준면의 하면측의 공백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드라이브 베이스의 박형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편평형상의 상자형 유닛으로 구성된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여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카트리지를 배출시키는 구동을 하는 이젝트 모터와, 카트리지 홀더가 탑재되고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에 카트리지 홀더 탑재면측으로 돌출하여 오목하게 된 제1의 수용부와 제2의 수용부를 갖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제1의 수용부에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의 벽면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광학 부품의 위치 정밀도를 도출하기 위한 탑재면을 가지는 블록과, 제1의 수용부의 외주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기억매체로부터의 복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가 부착되고, 상기 발광소자와 대물렌즈 사이에 광을 안내하는 슬릿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의 탑재면에 접촉하여 위치가 결정되도록 배치되는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부품이 적어도 배치된 고정광학 유닛과, 제2의 수용부에 이젝트 모터가 배치되는 이젝트 모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광학 유닛 및 이젝트 모터의 수용공간을 드라이브 베이스를 오목하게 되도록 확보하여, 카트리지의 수용공간(카트리지 홀더의 수용부)의 외측의 드라이브 베이스에 설비함으로서 고정광학 유닛 및 이젝트 모터분의 높이를 드라이브 베이스의 상면측에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드라이브 베이스의 높이의 범위내에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카트리지 홀더 상면측의 드라이브 베이스의 높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젝트 모터는 편평형상의 상자형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편평형상의 상자형 유닛으로 구성된 이젝트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의 박형화를 도모하여,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대물렌즈가 탑재되고 대물렌즈를 광학적 기억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광학 유닛과, 이동광학 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발광이 되도록 배치된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서 이동광학 유닛으로 안내하고 광학적 기억매체로부터의 복귀광을 굴절시켜서 상기 직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의 광학부품과, 광학적 기억매체로부터의 복귀광을 재생신호성분과 서보신호성분으로 분리하여 안내하는 제2의 광학부품과, 재생신호성분의 광을 수광하여 재생신호를 검출하는 제1의 광검출기와, 서보신호성분의 광을 수광하여 서보신호를 검출하는 제2의 광검출기를 적어도 갖는 고정광학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고정광학 유닛의 배치를 취함으로써 광로를 최단거리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광학부품을 간략화 및 소형화하여 고정광학 유닛의 광학부품의 수용용적을 소형화함으로써,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정광학 유닛은 광학적 기억매체의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의 드라이브 베이스가 카트리지 수용부의 면측으로 돌출하여 오목부로 된 헤드 베이스를 설치하고, 오목부의 외주부에 상기 발광소자, 상기 제1의 광검출기와 상기 제2의 광검출기가 직접 배치되고,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제1의 광학부품, 상기 제2의 광학부품이 적어도 직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광학 유닛을 카트리지 수용부의 외측에, 그리고 카트리지 수용부의 면측의 공백 공간을 이용하여 오목부를 형성하고, 광학부품을 드라이브 베이스에 직접 배치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의 카트리지 수용부의 상면측을 박형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의 광학부품은 빔 스플리터/리플렉터 프리즘(beam splitter and reflector prism)으로 구성되고, 제2의 광학부품은 빔 스플리터/ 월라스톤 프리즘(beam splitter and wollaston prism)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광학부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며, 또한 광로를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광학 유닛의 광학부품의 수납면적을 소형화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서보신호성분을 다시 복수의 신호성분으로 분리하는 서보 유닛을 더 갖추며, 제2의 광검출기는 상기 복수의 신호성분으로부터 포커스 신호와 트랙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서보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광검출기를 사용함이 없이 2개의 신호를 꺼낼 수 있게 되어, 광학부품의 간략화 및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또 광로를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광학 유닛의 광학부품의 수납용적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을 탑재하는 금속판을 갖는 턴테이블 유닛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부재의 두께를 극력 박형화하여 턴테이블의 전체 높이를 턴테이블만의 높이에 가깝게 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의 턴테이블 유닛 수납부의 높이를 박형화할 수 있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턴테이블을 간단한 가공으로 금속판에 지지할 수가 있으므로, 부품개수와 공수를 삭감하여 원가절감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가 수용된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과,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금속판으로 된 턴테이블 유닛과,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를 갖는 로드판을 구비하며, 로드판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슬라이드부가 가이드의 경사면을 슬라이드하여 턴테이블을 상승/하강시키는 로드기구와, 카트리지 홀더가 하면측에 탑재되고 카트리지 홀더의 상면측에 슬라이드부와 가이드가 맞물리도록(engage) 턴테이블 유닛과 로드기구가 탑재되는 드라이브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의 상면측의 드라이브 베이스의 높이를 턴테이블 유닛의 로드/언로드를 위한 기구의 높이로만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장치의 전면을 극력 박형화할 수가 있어서, 장치의 높이를 카트리지의 두께에 극력 가깝게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위시스템의 약 17mm 높이의 유닛에 삽입하여 내장형 광학적 기억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부재의 두께를 극력 박형화하여 턴테이블 유닛의 전체 높이를 턴테이블만의 높이에 가깝게 함으로써 턴테이블 유닛 전체의 상승량을 억제하여 드라이브 베이스의 턴테이블 유닛 수납부의 높이를 박형화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턴테이블 유닛의 금속판은 슬라이드부가 프레스기술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잡한 지지부재를 필요로 함이 없이 장치의 두께 방향을 극력 박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턴테이블 유닛의 상승량의 경감 및 턴테이블 유닛이 지지하는 부재의 무게를 극력 경량화함으로써 로드기구의 구동토크(이젝트 모터의 구동토크)의 경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복잡한 형상을 프레스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단순하게 성형할 수가 있으므로, 부품개수 및 공수(工數)를 삭감하여 원가절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금속판에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신호선을 안내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가 적어도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턴테이블 유닛이 지지하는 부재의 두께를 극력 박형화하여 턴테이블 유닛 전체의 높이를 턴테이블만의 높이에 가깝게 함으로써 턴테이블 유닛 전체의 상승량을 억제하여 드라이브 베이스의 턴테이블 유닛 수납부를 박형화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턴테이블 유닛의 상승량의 경감 및 턴테이블 유닛이 지지하는 부재의 무게를 극력 경량화함으로써 로드기구의 구동토크(이젝트 모터의 구동토크)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로드판상에 설치되어, 로드기구에 연동해서 회전하고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대물렌즈를 탑재하는 렌즈 캐리지가 이동하지 않도록 로크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 즉 장치 미사용시에는 렌즈 캐리지가 중력이나 인위적인 영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기구가 배치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드라이브 베이스의 적어도 한 쪽 면을 피복하는 커버를 갖추며, 커버는 드라이브 베이스의 외주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도록 구부린 절곡부를 갖춘 것을 특징을 한다.
따라서, 장치의 외주를 거의 래버린스 구조(labyrinth structure)로 함으로써 장치내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박형의 커버를 사용하여도 절곡부에 의해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카트리지 홀더가 적어도 탑재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광학적 기억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회로부품을 탑재하고 드라이브 베이스를 카트리지 홀더를 통해 피복하는 프린트기판을 구비하고, 프린트기판은 키가 큰 회로부품을 카트리지 홀더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수용부분의 높이를 이용하도록 하고, 카트리지 수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프린트기판의 높이가 높은 부품을 배치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드라이브 베이스의 하측을 카트리지의 두께 정도로 하여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의 프린트기판은 회로부품이 한 쪽 면에 실장되며, 실장면측이 드라이브 베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프린트기판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광학적 기억장치를 상위시스템에 원활하게 내장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의 프린트기판에는 E-IDE 인터페이스용 코넥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위시스템의 인터페이스의 코넥터에 대한 접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단순한 변환기능을 외장 케이스에 추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상위시스템에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카트리지 홀더에 설치되어 카트리지를 장치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기구를 구비하며, 배출기구는 카트리지에 맞물리는 롤러부와, 롤러부를 카트리지 배출방향으로 가세(energize)하는 스프링부를 적어도 구비하며, 롤러부는 금속제의 회전축과 슬라이드성 재료로 된 회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잘못된 삽입에 의한 롤러부의 파괴를 방지하고, 장치의 중량이나 구조를 대폭적으로 변경하는 일 없이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카트리지에 수용된 3.5인치의 광학적 기억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기구가 상·하 양면측 중의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드라이브 베이스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카트리지 홀더에 대향하는 드라이브 베이스에 형성된 제1의 개구부를 통해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턴테이블을 카트리지 홀더측으로 돌출시켜서 드라이브 베이스의 상면측에서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턴테이블 유닛과, 대물렌즈를 지지하고 광학적 기억매체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드라이브 베이스의 제2의 개구부내에서 대물렌즈를 이동시키는 이동광학 유닛과,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의 드라이브 베이스의 제1의 탑재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광학적 기억매체로부터의 복귀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와,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학부품과, 드라이브 베이스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광학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접촉시켜서 광학부품의 위치 정밀도를 도출하기 위한 탑재면을 가지는 블록이 적어도 직접 배치되는 고정광학 유닛과,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의 드라이브 베이스의 제2의 탑재부에 배치되어 카트리지를 배출시키는 구동을 하는 이젝트 모터와, 드라이브 베이스의 한 면측을 피복하는 커버와, 드라이브 베이스의 다른 면측을 피복하고 광학적 기억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회로부품이 탑재되는 프린트기판을 적어도 구비하며, 드라이브 베이스에 커버와 프린트기판이 맞물린 상태에서의 최상면으로부터 최하면까지의 높이가 상위시스템의 17mm 높이의 유닛 수납 높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의 설치 부품을 간략화,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시킴과 동시에 드라이브 베이스 자체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광학적 기억장치 전체의 중량을 경량으로 할 수가 있어서, 장치 전체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어, ISO규격의 3.5인치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등의 카트리지형 광학적 기억매체를 처리하는 광학적 기억장치일지라도 상위시스템의 17mm 높이의 플로피 디스크 유닛 등의 슬롯에 수납할 수가 있고, 초박형의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커버와 프린트기판이 맞물린 상태의 드라이브 베이스의 최외주부를 덮는 케이스와, 프린트기판에 설치된 인터페이스에 대향하는 케이스 내부의 위치에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제1의 코넥터와, 제1의 코넥터로부터 전달되는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다른 인터페이스의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회로와,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하도록 설치되어 변환회로로부터의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2의 코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1종류의 인터페이스용 코넥터밖에 없는 광학적 기억장치를 상위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케이스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다수의 상위 시스템에 대한 접속이 가능해져서, 1대의 광학적 기억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는 E-IDE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다수의 상위시스템에 대한 접속이 가능해져서, 1대의 광학적 기억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는 SCSI 인터페이스 또는 PCMCIA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광학적 기억장치를 용도에 맞추어서 상위시스템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게 되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SCSI나 PCMCIA의 상위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해져서, 보급률이 높은 상위시스템에 용이하게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는 광학적 기억매체가 수용된 카트리지가 삽입 배출되는 창을 갖는 프론트 베젤(front bezel)과, 상기 창으로부터 삽입된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카트리지 홀더와,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과,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턴테이블 유닛과, 상기 턴테이블 유닛을 가이드하는 로드판을 구비하고, 로드판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을 상승/하강시키는 로드기구와, 프론트 베젤이 측면에 탑재되고 카트리지 홀더가 하면측에 탑재되며, 카트리지 홀더의 상면측에 상기 턴테이블 유닛과 로드기구가 탑재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로드판에 설치된 입벽편(erected wall piece)과, 입벽편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프론트 베젤 또는 드라이브 베이스에 설치된 수동 이젝트 구멍(manual eject hole)과, 수동 이젝트 구멍을 개폐가능하게 덮는 피복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장치 내부에 대한 공기의 유입을 극력 경감시킴으로써 분진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데이터 기록재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피복커버는 중심부가 방사형상으로 슬릿이 절삭된 실(seal) 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간단한 가공으로 장치의 높이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일이 없이 부착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적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피복커버는 수동 이젝트 구멍을 막는 고무와, 고무를 지지하고 수동 이젝트 구멍측으로 가세되는 스프링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간단하게 피복커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동 이젝트 핀의 삽입이 반복되어도 보다 확실하게 수동 이젝트 구멍을 피복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밀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장치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장치의 외관]
도 1은 본원 발명의 1실시예의 광학적 기억장치의 표면측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측 외관 사시도이다. 구체예로서 3.5인치 광자기디스크 카트리지용 광자기디스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광학적 기억장치의 전방에 프론트 베젤(bezel,10)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창(10b)은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또는 배출에 수반해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창이 닫히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가세되어 있다.
또 이젝트버튼(10a)은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배출을 지시하여 자동 이젝트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동 이젝트 구멍(10d)은 전원 차단시나 점검, 고장시에 핀 등을 삽입하기 위한 것이며, 수동 이젝트 구멍(10d)에 핀 등이 삽입되면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치내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LED(10c)는 장치의 동작상태를 발광에 의해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드라이브 베이스(20)는 프론트 베젤(10)이 장치 전면에 끼워지고 각종 IC가 탑재됨과 동시에 각종 FPC가 접속되는 프린트기판(11)과,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틀(frame)(12)과, 주위 가장자리가 죄어진 형상을 한 자성재료로 된 커버(13)가 그 외주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프린트기판(11)은 나사(11a)에 의해 드라이브 베이스(20)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13)는 커버(13)의 구멍(13a), 방진고무(14b, 14d, 14e, 14g), 틀(12) 및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부착부의 구멍(13a)을 통해 나사(14a, 14c, 14f, 14h)로 죄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3.5인치용 광디스크장치의 장치 높이는 드라이브 베이스(20)가 프린트기판(11)과 커버(13)가 끼워진 케이스의 높이 H와 프론트 베젤(10)의 높이 h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프론트 베젤(10)의 높이와 케이스가 거의 동일 면이 되도록 하고, 각각 약 17mm로 하였다. 단 프론트 베젤(10)이나 틀(12)은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광디스크장치의 총 높이를 약 17mm로 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 등의 플로피 디스크 장치 유닛의 공간에 삽입하여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대체 메모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광디스크장치의 장치 높이를 약 17mm로 하여 소형화, 경량화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광학적 기억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배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광자기디스크장치는 대충 프린트기판(11), 카트리지 홀더(71), 드라이브 베이스(20), 렌즈 캐리지(30), 로드판(24), 턴테이블 유닛(222), 커버(13)의 7개의 주요부품이 차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카트리지 홀더]
드라이브 베이스(20)는 카트리지 홀더(71)의 수용부(20h)를 가지고 있으며, 카트리지 홀더(71)의 표면의 대부분이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두께 방향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삐어져 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홀더(71)의 부착부(71b)를 죄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나사구멍을 갖는 부착부(71b')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두께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부착부가 삐어져 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부착부(71b')로부터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단면까지의 공간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최하면의 프린트기판(11)의 회로부품을 한 쪽 면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드라이브 베이스, 커버]
도 4에서 드라이브 베이스(20)는 소정의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개구(20a∼20f)가 형성되어 있다. 또 드라이브 베이스(20)에는 광 빔을 광디스크의 면에 안내한다거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검출기에 안내하기 위한 광학부품이 배치되는 고정광학 유닛(40)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고정광학 유닛(40)내의 렌즈 등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광학 유닛(40)의 상부에 방진대책 및 차광대책을 위한 커버(40a)가 탑재된다.
또 스테인리스강등의 강자성재료로 된 커버(13)를 설치함으로써 박형화에 수반하는 자속누설등을 방지한다. 또 시스템적으로 구축할 때에, 외부자속에 약하고 판독/기입불량에 빠지기 쉬운 플로피 디스크 장치 유닛이나 하드 디스크 장치 유닛을 상하방향으로 겹쳐서 사용했을 경우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종래에는 커버의 내측 외주 가장자리에 방진대책을 위한 패킹을 설치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 둘레에 걸쳐서 구부러서 죄어진 절곡부(13b)를 갖는 커버(13)를 사용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외주를 덮어서 거의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로 하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먼지가 장치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13)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13)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가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부착부의 나사가 커버(13)의 최상면(장치의 최상면)을 돌출하는 일이 없으므로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렌즈 캐리지]
대물렌즈 L을 지지함과 동시에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 캐리지(30)는 그 단부의 코일부(32)에 코일이 매입된 상태에서 열용융성 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 요크(yoke)의 이면측에 마그넷을 부착시켜서 코일부(32)가 이동가능하게 코일부(32a, 32b)의 중앙 개구에 하 요크를 관통시킨 후, 상 요크 및 하 요크의 단부가 나사로 죄어져서 자기회로(33a, 33b)가 형성된다.
[턴테이블 유닛]
턴테이블 유닛(222)은 절연성이 있는 아연도금 강판으로 된 판금(metal plate)(21)상에 부착되며, 판금(21)의 좌우 양측에 슬라이드 핀(23a, 23b)을 갖는다. 그리고 직경 21mm의 턴테이블(22)은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개구(20a)로부터 카트리지 홀더(71)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71)에 광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광디스크의 허브가 턴테이블(22)의 표면에 설치된 자성체에 의해 흡인되어 광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22)은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에 연결된다.
[이젝트 모터]
또한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이젝트 모터 수용부(55)에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모터(옴론(omron)제 R2DG-84)(50)가 수납되어, 이젝트 모터의 나사구멍(50a)과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나사구멍(55a)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연결된다.
또한 이젝트 모터 수용부(55)의 소정 치수의 높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높이가 더 필요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20h)의 후방의 공간부(20i)를 이용하여 이젝트 모터 수용부(55)를 공간부(20i)측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한다. 그러므로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두께를 변경할 필요가 없이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높이 범위내(약15.8mm)로 이젝트 모터(50)를 수용하기 위한 높이 공간(최고 부분에서 약 10.7mm)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로드판]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배출할 때에는 상술한 이젝트 모터(50)의 구동에 의해 장치의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로드판(24)은 상술한 턴테이블(22)의 판금(2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드판(24)이 장치의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면 판금(21)의 슬라이드 핀(23a, 23b)이 로드판(24)의 가이드(85)를 슬라이드하여 판금(21)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턴테이블(22a)을 개구(20a)를 통해서 상승시켜, 광디스크와 허브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광디스크 카트리지를 언로드한다.
또한 가이드(85)의 높이로 정해지는 로드판(24)의 부착부의 높이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턴테이블 유닛 수용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며,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최상면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커버(13)로 피복되는 측의 드라이브 베이스(20)에 배치되는 다른 부품도 마찬가지로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최상면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부품 높이 및 부착 높이가 설정되어 있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턴테이블의 로드/언로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린트기판]
도 5는 프린트기판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프린트기판(11)에는 파워 코넥터와 인터페이스 코넥터(99)가 부착되어, 광디스크에 대한 정보의 재생 또는 기록, 소거등의 제어를 하기 위한 DSP, MPU등의 회로부품이 한 쪽 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프린트기판(11)의 설치면측에 카트리지 홀더(71)가 대향해서 설치된다.
또 부품이 설치된 측의 프린트기판(11)을 도시하지 않은 방진필름을 통해서 카트리지 홀더(71)에 대향하도록 높이가 낮은 부품(DSP, MPU등의 IC부품)은 카트리지 홀더 대향부 A에 설치하고, 또 높이가 높은 부품(콘덴서, 코넥터(99)등)은 드라이브베이스(20)의 공간(20i)에 대향하도록 하여 공간(20i) 대향부 B에 설치하고, 카트리지 홀더(71)를 통해서 프린트기판(11)의 복수의 구멍(11a)과 드라이브베이스(20)를 겹쳐서 나사에 의해 연결한다.
따라서 프린트기판(11)의 회로부품의 배치를 드라이브베이스(20) 및 카트리지 홀더(71)의 형상에 맞추어 고려함으로써 드라이브베이스(20)의 두께(높이)를 더욱 박형화하여, 장치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나사는 나사머리 두께 0.3mm 이하의 것을 사용하여 디스크 유닛(1)의 높이를 더욱 감소시킨다. 또한 나사머리 두께 0.5mm인 나사와, 프린트기판(11)의 구멍에 알맞는 오목부를 가지며 대응하는 나사의 머리를 수용하는 와셔(washer)를 사용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프린트기판(11)의 두께보다 작은 나사를 사용하며, 프린트기판(11) 내면에 일단이 납땜되고, 프린트 기판에 평행하게 뻗고, 다른 일단에 나사를 끼우기 위한 구멍을 갖는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린트 기판의 두께내에 나사머리를 매설하여 프린트기판(11)의 표면을 평탄화한다.
이상, 상술한 부품을 드라이브베이스(20)에 탑재한 후, 틀(12)이 드라이브베이스(20)의 주위 가장자리를 덮도록 끼우고, 스테인리스강등의 강자성재료를 프레스하여 성형한 커버(13)가 프린트기판(11)과 반대측의 드라이브베이스(20)에 나사로 죄어져서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이 완성된다.
도 6는 광학적 기억장치의 표면측 요부 구성도이며, 도 7는 도 6의 배면측 요부 구성도이다.
[광학계의 FPC]
드라이브베이스(20)의 공간부(20i)에 프린트기판(11)의 플러그 인 코넥터(92')에 접속되는 플러그 인 코넥터(92), 광검출기(52), 헤드 IC등의 회로부품을 탑재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91)가 복수의 나사(91c, 91d)에 의해 드라이브 베이스(20)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캐리지]
렌즈 캐리지(30)에는 대물렌즈 L 및 대물렌즈 L을 구동하는 자기회로를 갖는 렌즈 액추에이터(60)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액추에이터(60)를 포커스방향 또는 트랙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신호등을 안내하는 플렉시블 프린트배선 시트(39a)가 렌즈 캐리지(32)의 코일부(32a)를 따라서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렌즈 액추에이터(60)의 대물렌즈 L의 주위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강자성 재료로 된 캐리지 커버(115)가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렌즈 캐리지(30)의 양측에는 렌즈 캐리지(30)를 광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이스코일모터(VCM)이 설치되고, 보이스코일모터(VCM)는 렌즈 캐리지(30)의 코일부(32a, 32b)와, 요크와 자석으로 된 자기회로(33a, 33b)로 구성된다.
또 렌즈 캐리지(30)의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31a∼31c)에 맞물리어 렌즈 캐리지(30)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가이드레일(113a, 113b)이 각각 판스프링(112a, 112b, 114)에 의해 예압(豫壓)을 주면서 고정되어 있다.
즉 판스프링(112a, 112b)은 가이드레일(113b)이 가이드레일(113b)의 양단부 주변의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맞물림벽에 눌리도록 고정하는 고정측으로서 작용하고, 판스프링(114)은 가이드레일(113a)이 가이드레일(113b)측(가이드레일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에 눌리도록 예압을 가하는 예압측으로서 작용한다. 또 가이드레일(113a, 113b)과 베어링(31a∼31c)이 V자형의 접점을 가지며, 항상 틈새가 없는 맞물림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작용을 하고 있다.
캐리지 스토퍼(S1∼S3)는 렌즈 캐리지(30)의 이동방향의 양단부에 대향하는 드라이브 베이스(20)에 접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렌즈 캐리지(30)가 드라이브 베이스(20)에 부딪혔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작용을 가지며, 고무재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 스토퍼(S3)는 빔 리플렉터 프리즘(44)에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빔 리플렉터 프리즘(44)의 보호기능과 창(41b)과 빔 리플렉터 프리즘(44)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아서 고정광학유닛(40)에 먼지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로드판(24)상에 설치된 캐리지 로크(26)가 렌즈 캐리지(30)측에 돌출함으로써 홈 포지션으로부터 회동하여 렌즈 캐리지(30)가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크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턴테이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홀더의 상면측에 턴테이블(22)이 광디스크의 중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20a)를 통하도록 하여 턴테이블 유닛(2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 홀더의 상면측의 드라이브 베이스(20)의 턴테이블 유닛 수납부는 턴테이블 유닛(222)의 두께(약 5.8mm)와 거의 동일한 높이(약 6.0mm)로 설정되어 있다.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개구(20a)로부터 돌출한 턴테이블(22)의 중심에 돌기(22a)가 있으며, 광디스크의 허브의 중심구멍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판금(21)상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가 접착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상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정된 판독 이네이블을 검출하는 센서(86),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정된 판독 프로텍트를 검출하는 센서(87),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인 센서(8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3.5인치 광자기디스크 카트리지는 128MB에서 ISO/IEC 10090, 230MB에서 ISO/IEC 13963으로 규격화되어 이미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상세도를 생략한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의 단부는 렌즈 캐리지(30)나 렌즈 액추에이터(6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상에 설치된 코넥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측면을 돌아 굴절되어 프린트기판(11)상에 설치된 코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판금(21)의 하측, 즉 드라이브 베이스(20)와 판금(21) 사이에 로드판(24)이 배치되어 있다. 로드판(24)이 장치의 전후방향(±Y방향)으로 이동하면 로드판(24)에 설치된 복수의 홈(24a∼24c)내를 드라이브 베이스(20)에 설치된 맞물림 핀(29a∼29c)이 이동한다. 또한 이젝트 지시에 의해 로드판(24)이 후방(+Y방향)으로 이동하여 광디스크 카트리지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후, 한 끝이 로드판(24)에, 다른 끝이 맞물림 핀(29a, 29b)에 각각 연결된 코일 스프링(28a, 28b)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판(24)이 신속히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장치 전방(-Y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술한 이젝트 지시에는 프론트 베젤(10)에 설치한 이젝트 버튼(10a)을 눌러서 하는 경우와, 수동 이젝트 구멍(10d)에 핀등을 세게 밀어 넣어서 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이젝트 버튼(10a)을 눌음으로써 이젝트 모터(50)가 구동되어 로드판(24)의 단부(24d)를 끌어서 로드판이 장치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수동 이젝트 구멍(10d)에 핀 P를 세게 밀어 넣으면 로드판(24)의 입벽부(10f)에 핀 P가 닿아서 로드판(24)이 장치 후방으로 밀리어 이동하는 것이다.
[수동 이젝트 구멍]
수동 이젝트 구멍(10d)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핀 P가 삽입 가능하도록 프론트 베젤(10)에 형성된 개공(開孔)이다. 또 수동 이젝트 구멍(10d)에 대향하는 드라이브 베이스(20)에도 마찬가지로 개공(10d')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 이젝트 구멍(10d)으로부터 삽입된 핀 P가 상기 개공(10d')의 개공 공간을 통해서 로드판(24)의 입벽부(10f)에 눌리어 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수동 이젝트 구멍(10d)과 개공(10d')은 공기의 통로가 되고, 디스크 회전시의 공기의 압력차등이 원인이 되어 드라이브 베이스(20) 내에 외부로부터 먼지가 유입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 이젝트 구멍(10d)과 개공(10d')에 밀폐용의 피복커버(10e)를 설치하고 있다. 물론 수동 이젝트 구멍(10d)과 개공(10d')의 쌍방에 피복커버를 설치하면 먼지 유입방지의 효과는 향상한다. 그러나 드라이브 베이스의 형상이나 프론트 베젤의 사양에 따라서는 피복커버를 한 쪽밖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나, 피복커버가 없는 경우보다는 충분히 밀폐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도 8 (A)∼(C) 및 도 9 (A) 및 (B)는 피복커버(10e)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에서 피복커버(10e)는 원형형상의 얇은 수지 시트로 되고 외주부에 접착용의 점착제가 도포된 실(seal) 부재(10h)로 되며, 중심부가 케이크 컷 형상으로 8등분으로 절단되어 있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8 (B) 및 (C)에는 핀 P가 수동 이젝트 구멍(10d) 또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개공(10d')에 삽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으며, 8등분으로 절단된 8개의 절단편(10i)이 밀어 올려져서 중앙부가 개공하고, 핀 P가 프론트 베젤(10)의 내측 또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다.
또한 실부재(10h)는 수지 이외에 고무 또는 스폰지 특성을 갖는 재질, 또는 알루미늄박 등의 재질로 구성하여도 좋으며, 접착을 위해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실부재(10h)의 형상은 구멍을 피복가능한 크기이면 원형이 아닌 다각형이어도 좋으며, 중앙부의 절단방법도 핀 P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고, 용이하게 핀 P가 빠졌을 때에 용이하게 막히는 구조이면 된다.
도 9(A)에서 피복커버(10d)는 구멍(수동 이젝트 구멍(10d) 또는 개공(10d'))을 막는 고무로 된 커버부(10k)와 커버부(10k)를 접착 고정함과 동시에 구멍측에 눌러 닿게 하기 위한 판스프링부(10j)로 구성된다. 판스프링부(10j)는 프론트 베젤(10)의 내측 또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내측에 접착제로 고정 또는 판스프링부(10j)에 폴(pawl)을 만들어, 폴을 프론트 베젤(10)의 내측 또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내측에 형성한 구멍에 끼워넣어서 고정한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P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판스프링부(10j)는 스프링작용에 의해 커버부(10k)로 구멍을 피복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핀 P가 삽입되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판스프링(10j)이 눌리워 젓혀져서 핀 P의 진입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커버부(10k)는 고무 이외에 수지나 스폰지의 재질로 하여 구멍과의 밀착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으며, 판스프링(10j)은 금속의 스프링재뿐만 아니라 마일러 필름 등의 얇은 비닐 또는 플라스틱재를 사용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고정광학계]
고정광학 유닛(40)은 드라이브 베이스(20)의 후방의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20h)의 외측에 턴테이블 유닛의 수용면보다 하방으로 오목하게 하여(약 6.4mm 높이의) 헤드베이스를 형성하고, 헤드베이스의 표면에 하기에 상술하는 광학부품이 직접 배치된다.
도 10는 고정광학 유닛(40)의 확대도이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브 베이스(20)에 블록(41)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복수의 나사구멍(41a)과 복수의 위치결정용 돌기(4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명시된 판스프링(111)이 M렌즈(46)와 S렌즈(47)측으로 뻗어 구성되고, 콜리메이터 렌즈(43), M렌즈(46), S렌즈(47)를 그 하면의 벽면과 블록(41)의 면에 탄성력에 의해 눌러 닿도록 고정되어 돌기(41b)에 맞물림과 동시에 나사구멍(41a)를 통해서 나사로 죄어진다. 또 이동광학 유닛인 렌즈 캐리지(30)로부터 안내된 복귀광으로부터 광디스크의 재생 데이터용 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52)와 포커스 서보용 신호 및 트랙 서보용 신호를 검출하는 광검출기(53)가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수용부(49a, 49b)에 각각 끼워져 있다.
도 4에 나타낸 광학부품을 탑재하지 않은 헤드베이스를 확대하여 도 10(b)에 나타낸다.
헤드베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베이스(20)를 하방으로 오목하게 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광학부품이 접촉하는 벽면에 상술한 블록(41)과 마찬가지 블록(411, 412∼420)을 특별히 면 정밀도를 높게 하여 형성하고 있다.
즉, 콜리메이터 렌즈(43)는 저면의 블록(411)과 접촉해서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고, 입벽면의 블록(412)과 접촉해서 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을 하여, 상술한 판스프링(111)에 의해 각 블록의 벽면에 눌리어 고정된다. 또 M렌즈(46)는 입벽편의 블록(415)과 접촉해서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을 하고, 저면의 블록(416')과 접촉해서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고, 블록(416')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2개의 블록(416) 사이에 끼워져서 접촉하여 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을 하여, 상술한 판스프링(111)에 의해 각 블록의 벽면에 눌리어 고정된다. 또한 S렌즈(47)는 도시하지 않은 블록에 접촉해서 상술한 판스프링(111)에 의해 블록의 벽면에 눌려 고정된다.
빔 리플렉터 프리즘(44)은 입벽면의 블록(413)과 접촉하여 좌우 방향의 위치결정을 하고, 저면의 블록(414)과 접촉하여 높이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블록(410)에 의하여 전후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 후술하는 서보유닛(48)은 입벽편의 블록(417, 418)사이에 형성된 틈에 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각 광학부품은 면 정밀도를 높여서 형성한 블록(411∼420)에 눌리어 맞닿아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20) 전체의 면 정밀도를 높일 필요 없이 직접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베이스(20)에 헤드베이스를 직접 형성할 수가 있어, 장치 전체의 높이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부터 알려지고 있는 별체의 헤드베이스가 불요해져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광자기디스크장치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광학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는 고정광학 유닛 상에 배치된 광학부품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고정광학 유닛(40)내의 광 빔의 광로의 설명도이다.
고정광학 유닛(40)은 드라이브 베이스(20)상에 광학부품을 배치할 수 있도록 고정밀도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 유닛(LD유닛)(42)으로부터 소정의 발광파워를 갖는 광 빔이 출사된다.
특히 레이저 다이오드 유닛(LD유닛)(42)은 렌즈 캐리지(30)의 시크방향과 수직방향으로부터 광 빔을 출사하도록 하여 45°상승미러(rise mirror)로 굴절시켜서 렌즈 캐리지(30)내의 상승미러 M으로 안내하여 광로를 최소로 함으로써 장치의 깊이방향의 치수를 짧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출사된 광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43)를 통한 다음, 빔 리플렉터 프리즘(BR프리즘)(44)을 통해서 창(41b)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렌즈 액추에이터(60)의 대물렌즈 L에 안내되어, 대물렌즈 L로 죄어진 광 빔이 광디스크에 조사된다.
그후에 광디스크 D로부터 반사된 복귀광이 대물렌즈 L를 통해서 창(41b)에 안내되어 빔 리플렉터 프리즘(BR프리즘)(44)을 통해서 빔 스플리터/ 월라스톤 프리즘(BW프리즘)(45)에 안내되어, 광디스크의 재생신호와 포커스신호 및 트랙신호로 분광된다. 그리고 재생신호(어드레스신호와 광자기신호)는 M렌즈(46)를 거쳐서 슬릿(52S)을 통해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수용부(49b)에 배치된 광검출기(52)에 안내된다. 또 포커스신호 및 트랙신호는 빔 스플리터/ 월라스톤 프리즘(BW프리즘)(45)으로부터 L렌즈(47)로 안내된 다음, 서보 유닛(48)에 의해 복수의 신호성분 β1-β4로 분리되어, 슬릿(53S)을 통해서 수용부(49a)에 배치된 광검출기(53)로 안내된다. 그리고 광검출기(53)는 신호성분 β1∼β4로부터 포커스신호 FES와 트랙신호 TES를 만들어 내고 있다.
[서보유닛]
도 13(A) 및 도 13(B)는 서보유닛(48)의 복합렌즈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서보유닛(48)은 그 출사면이 복귀광의 광속중의 제1의 광 β1을 출사하는 제1의 출사면(48a)이 도면중의 우측 경사로 형성되고, 제2의 광 β2를 출사하는 제2의 출사면(48b)이 도면중의 좌측 경사로 형성된다. 또 제3 및 제4의 광 β3, β4를 출사하는 제3 및 제4의 출사면(48c, 48d)이 산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의 출사면(48a)은 제3의 출사면(48c)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으며, 또 경사각 α1은 제3의 출사면(48c)의 경사각 α3보다 작다.
제2의 출사면(48b)은 제4의 출사면(48d)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으며, 또 경사각 α2는 제4의 출사면(48d)의 경사각 α4보다 작다.
도 13(C)는 광검출기(53)를 나타낸 도면이다. L렌즈(47)에 안내된 광디스크 D로부터의 복귀광은 서보유닛(48)에 의해 제1∼제4의 광 β1∼β4로 4분할되어 광검출기(53)에 수광된다. 광검출기(53)는 제1 및 제2의 광 β1, β2를 수광하는 4분할(A∼D)된 제1의 수광부(53a)와, 제3의 광 β3를 수광하는 제2의 수광부(53b)와, 제4의 광 β4를 수광하는 제3의 수광부(53c)가 1평면상(각각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에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귀광의 광속 중에서 제1의 출사면(48a)으로부터 출사된 제1의 광 β1은 광검출기(53)의 제1의 수광부(53a)의 A, D영역에서 수광된다. 또 제2의 출사면(48b)으로부터 출사된 제2의 광 β2는 제1의 수광부(53a)의 B, C영역에서 수광된다. 이에 따라 푸코법(Foucault method)에 의해 (A+C)-(B+D)의 연산을 하여 포커스 오차신호를 검출한다.
또 복귀광의 광속중에서 제3의 출사면(48c)으로부터 출사된 제3의 광 β3은 광검출기(53)의 제2의 수광부(53b)(E영역)에서 수광되고, 제4의 출사면(48d)으로부터 출사된 제4의 광 β4는 제3의 수광부(53c)(F영역)에서 수광된다. 이에 따라 푸시-풀법(Push-Pull method)에 의해 (E-F)의 연산을 하여 트래킹 오차신호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포커스 검출에 푸코법, 트래킹 오차신호 검출에 푸시-풀법을 사용하여도 광로를 2분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로를 단축하여 고정광학계가 장치 전체에서 점유하는 체적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부품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서보 유닛(48)의 구체적인 것은 일본국 특개평 5-250704호 등에 기재되어 있어서 공지의 것이다.
[프리즘의 제조방법]
다음에, 상술한 BR프리즘이나 BW프리즘은 본 실시예와 같은 전체 높이가 약 17mm의 초소형 광디스크장치에 탑재할 때에는 소형으로 할 필요가 있다. 큐브형 프리즘을 예로 들자면, 예컨대 폭 W×길이 L×높이 H를 6×6×6[mm]의 것으로부터 5×5×5[mm]의 것으로 소형화하면 부착 정밀도에 의한 프리즘의 각도의 어긋남이 동등하게 되도록 공차(公差)는 ±0.1mm로부터 공차 ±0.08mm로 할 필요가 있다(공차/치수=0.1/6≒0.08/5).
그러나 프리즘을 상술한 바와 같이 6mm 타입으로부터 5mm 타입과 같이 소형으로 하면 공차도 상당히 작아져서 고정밀도의 부착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차를 작게 함이 없이, 소형의 프리즘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4 (a)∼(c)는 빔 리플렉터 프리즘(BR프리즘)의 제조방법의 설명도이다. 대향면의 4각형이 일치하는 3각주 형상의 2개의 긴 프리즘(101a, 101b)을 준비한다. 그리고 한 쪽의 프리즘(101a)에는 소정의 면에 증착막(10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증착막(103a)을 다른 쪽의 프리즘(101b)의 소정의 일면에 대향시켜서 2개의 프리즘(101a, 101b)의 단부를 가지런히 해서 접착한다. 또한 프리즘(101b)의 소정의 면에 LN 월라스톤 프리즘(LN Wallaston prism)(101c)을 접착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작성한 폭 W1×길이 L1의 각주형상의 프리즘(101d)을 소정의 절단 길이 H1으로 절단하여 소정 수의 BR프리즘(101e)을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도 15 (a)∼(c)를 사용하여 빔 스플리터 /월라스톤 프리즘(BW프리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대향면의 4각형이 일치하는 3각주형상의 프리즘(102a)과 각주형상의 프리즘(102b)을 준비한다. 그리고 한 쪽의 프리즘(102a)에는 소정의 면에 증착막(10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증착막(103a)을 다른 쪽의 프리즘(102b)의 소정의 일면에 대향시켜서 2개의 프리즘(102a, 102b)의 단부를 가지런히 해서 접착한다. 또한 프리즘(102f)을 각주형상의 프리즘(102b)의 하면에 접착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작성된 폭 W2×길이 L2의 프리즘(102c)을 소정의 절단 길이 H2로 좁은 폭으로 절단하여 소정수의 BW프리즘(101d)을 작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성된 BR프리즘과 BW프리즘은 각각의 절단길이 H1과 H2를 광디스크장치의 높이(두께)방향(Z방향)의 길이가 되도록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한다. 즉 절단에 의한 오차가 생기기 쉬운 길이 H1과 길이 H2를 갖는 면을 부착 정밀도에 관여하지 않는 위치, 즉 높이방향으로 함으로써, 높이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폭방향이나 깊이방향의 치수는 변경하지 않고 부착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LD유닛(42)이 출사하는 광 빔의 광속경 φD를 φD/H>1.0, 예컨대 프리즘의 높이 H를 5mm로 하면 광속경 φD가 0.2mm로 충분히 작아져서, 광속이 프리즘의 높이방향의 면으로부터 삐어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프리즘을 소형화하여도 필요 최저한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나타낸 프리즘 이외에도 마찬가지로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된 프리즘을 사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성형된 드라이브 베이스와 같이 면 정밀도가 나쁜 면을 헤드베이스의 면으로 하여도 충분한 부착 정밀도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별체의 헤드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드라이브 베이스에 직접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대물렌즈]
도 16(a)는 대물렌즈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16(b)는 대물렌즈의 단면도이다.
대물렌즈 L은 렌즈의 외주 가장자리에 모자의 챙형상을 한 평탄한 면을 갖는 평탄부 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탄부 F의 일단면 f'가 광축에 수직이 되도록 조정하면서 렌즈 액추에이터(60)의 렌즈 탑재부(62a)의 단면에 평탄면 F를 맞닿게 하여 접착 고정한다.
따라서, 대물렌즈 L이 소형이 되어도 간단한 조정방법으로 높은 정밀도로 렌즈 탑재부(62a)에 탑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렌즈 캐리지]
도 17 (a)∼(c)는 렌즈 캐리지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렌즈 캐리지상의 대물렌즈의 광축 조정방법이 나타나 있다.
렌즈 캐리지(30)의 중앙부에는 고정광학 유닛(40)에 광 빔을 입사 및 출사하는 집광렌즈(129)나, 집광렌즈(129)로부터의 광 빔을 45°상승시키는 상승미러 M나 대물렌즈 L을 지지하는 렌즈 액추에이터(60)등을 탑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액추에이터(60)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도 18에서 후술한다. 또 렌즈 캐리지(30)의 양측에는 상술한 베어링(31a∼31c)이나, 코일부(32a, 32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대물렌즈 L의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렌즈 캐리지(30)상에 렌즈 액추에이터(60)를 부착시킬 때, 오토 콜리메이터 등을 사용하여 기준 홈(121a∼121c)에 치구(jig)를 대고, 예압 A를 소정의 위치에 주어서 대물렌즈 L에 광을 조사하여 경사를 검출한다. 그리고 대물렌즈 L의 평탄면 F와 턴테이블(22)의 디스크 탑재면(22b)이 거의 평행이 되도록, 즉 대물렌즈 L의 광축 I가 광디스크의 면에 거의 수직이 되도록 렌즈 액추에이터(60)의 나사 부착부(61a, 61b)와 렌즈 캐리지(30)의 저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122a)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22a)의 중앙부에 끼워진 나사(122b)를 드라이버(152)로 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22a)의 탄성압에 의해 대물렌즈 L의 경사, 즉 광축 I의 경사의 미세 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액추에이터(60)의 부착부는 2개소가 있기 때문에 2개의 나사로 대물렌즈를 2방향으로, 즉 2차원적으로 미세 조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액추에이터]
도 18는 렌즈 액추에이터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대물렌즈 L을 트랙 방향이나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열경화성 수지 등으로 된 렌즈 지지부(621)와, 렌즈 지지부(621)의 중앙 개구부의 벽부분에 접착하여 설치된 포커스 코일(65)과, 포커스 코일(65)의 상술한 접착부와 반대측의 면에 접착되는 트랙 코일(66a, 66b)로 액추에이터(60)의 가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포커스 코일(65)의 좌우에 설치된 2개의 트랙 코일(66a, 66b)은 포커스 코일(65)을 감는 면에 거의 수직의 방향으로 감겨 있으며, 그 단부가 자기회로의 요크(63)의 단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삐어져 나와 있다. 즉 트랙 코일(66a, 66b)의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을 자기회로의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자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기계적인 발진이 생기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한 가동측 렌즈 지지부(621)의 중앙 개구부의 트랙 코일(65)에 대향하도록 액추에이터 베이스(62)상에 설치된 자석(64)과, 자석(64)의 자력을 받는 엑추에이터 베이스(61)의 절곡부로 된 요크(61c)와, 요크(61c)와 대향하여 설치된 절곡부로 된 요크(61d)와, 상기 2개의 요크를 연결하는 U자형의 커버 요크(63)로 액추에이터(60)의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60)의 가동부를 지지하는 4개의 와이어부(67a, 68a, 69a(1개는 도시하지 않음))와, 구멍에 렌즈 지지부(621)의 돌기(62a, 62b)가 끼워져서 접착되어, 대물렌즈측의 와이어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단자판(67c, 68c, 69c(1개는 도시하지 않음))과, 액추에이터 베이스(61)의 단부에 끼워진 와이어 지지부(62c)와 접착되는 단자판(67d, 68d, 69d(1개는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부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제진부재(67b, 68b, 69b, 70b(1개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 지지부(622)상에 FPC(39a)의 단부가 연출되어 있으며, 와이어 지지부(622)상의 4개의 단자판과 납땜한다. 또 렌즈 지지부(621)상의 4개의 단자판과 포커스 코일(65)과 트랙 코일(66a, 66b)의 2개씩의 리드선을 납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커스 코일(65) 및 트랙 코일(66a, 66b)과 FPC(39a)과의 도통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코일의 가는 리드선을 끌어 돌리는 일이 없이 전기적 접속을 할 수가 있어서 단선의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4개의 와이어부와 각 와이어부의 양단의 단자판은 좌우 2개의 와이어부를 연결한 상태를 1조로 한 형( 형상)으로부터 판스프링재나 선형 스프링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작성한다. 그리고, 좌우 2개의 와이어부는 연결된 상태( 형상)인 채로 와이어 지지부(622)에 부착되며, 그 후 연결부가 절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성한 와이어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써 작은 부품의 취급이나 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조립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액추에이터 베이스(61)는 상술한 액추에이터(60)의 부품을 모두 탑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베이스(61)의 절곡편의 부착부(61a, 61b)를 통해서 렌즈 캐리지(30)에 나사로 죄어진다. 도 19는 렌즈 액추에이터의 전기회로내의 포커스 코일(65a, 65b), 트랙 코일(66a, 66b)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트랙 코일(66a, 66b)에서 구동력으로서 사용되는 것은 내측 코일부(66c, 66d)뿐이며, 외측 코일(66e, 66f)은 관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외측 코일(66e, 66f)이 자기회로의 갭 자속으로부터 충분이 먼 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렌즈 액추에이터의 작용에 따라 본래의 구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어떤 때는 강하게, 어떤 때는 약하게 작용한다. 이 경우에는 구동력이 일정하지 않고, 또 본래의 구동방향과는 별도 방향의 힘이 발생하여, 렌즈 액추에이터의 움직임이 제어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자세로 움직이게 되어 제어가 곤란해지는 수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력으로서 관여하지 않는 외측 코일(66e, 66f)을 갭 자속으로부터 충분히 먼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거동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와이어 어셈블리]
상술한 와이어부(67a, 68a, 69a(1개는 도시하지 않음))는 상층으로부터 차례로 캅톤, 마일러 필름등으로 된 제진판, 제진판을 붙이는 양면 테이프 또는 비완전경화성 접착제로 된 접착층, 와이어, 접착층, 제진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0는 와이어부의 구성의 상이에 따른 비교도이다. 도 20(a)는 제진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와이어만의 경우를 나타내고, 도 20(b)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제진부재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횡축은 와이어에 가하는 전류의 주파수(Hz)이며, 종축은 전류(i)에 대한 게인(dB), 즉 진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a)와 도 20(b)를 비교하면 도 20(a)의 와이어만의 경우는 어떤 주파수의 곳에서 급격한 피크를 형성 즉 , 진동하고 있으나 도 20(b)의 댐핑부재를 갖는 경우에는 도 20(a)와 같은 급격한 피크는 없으며, 진동이 감쇠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와이어부에 전단변형이 생겨도 와이어부의 주위를 상술한 접착제나 제진판등의 댐핑부재로 덮음으로써 와이어부의 포커스방향 및 트랙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가 있어서, 와이어만의 경우보다 약 1/10 이하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가 있다.
[제진부재]
4개의 와이어부의 와이어 지지부(621)의 근방에 제동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상술하였다. 제진부재는 얇은 판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술한 와이어부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박이나 캅톤, 마일러 필름 등으로 구성된 제진판과 양면 테이프나 비완전경화성 접착제등으로 구성되는 접착층을 되며, 제진판이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제진부재(67b, 68b, 69b)가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로 진동을 흡수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접착제층이므로, 연점성이 있는 접착제만으로도 충분한 댐핑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도 21(a)에 에폭시계등의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와, 도 21(b)에 실리콘계나 자외선 경화형등의 비완전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 횡축은 와이어에 가하는 전류의 주파수(Hz)이며, 종축은 전류에 대한 게인(dB), 즉 진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a)와 도 21(b)를 비교하면 도 21(a)의 열경화성 접착제의 경우는 어떤 주파수의 곳에서 급격한 피크를 형성하고 있으나, 즉 진동하고 있으나, 도 21(b)의 비완전경화성 접착제의 경우에는 도 21(a)와 같은 급격한 피크는 없으며, 진동이 감쇠하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와이어부에 전단변형이 생겨도 렌즈 액추에이터(60)의 구동시나 렌즈 캐리지(30) 이동시 등의 경우에 변형각도가 큰 개소에 상술한 접착층이나 제진판등의 제진부재(67b, 68b, 69b)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부의 포커스방향 및 트랙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가 있어서, 와이어만의 경우보다 약 1/10 이하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어서, 진동을 감쇠시킬 수가 있다.
또 얇은 판형상의 제진부재(67b, 68b, 69b)는 판의 면이 렌즈 캐리지(30)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그 거동에 의한 인접하는 와이어에 대한 영향은 생기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렌즈 액추에이터를 채용함으로써 렌즈 캐리지의 고성능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턴테이블 유닛]
도 22는 턴테이블 유닛의 확대도이다.
턴테이블(22)은 광디스크의 허브의 금속부를 흡인하는 자성체로 구성되며, 광디스크의 허브의 중심구멍에 끼워지는 돌기(22a)와, 광디스크의 허브와 접촉하여, 면 정밀도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외주 가장자리(2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판금(21)은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복수의 개구(20c∼20d)에 끼워지는 돌기(21a∼21b)와,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복수의 돌기(20e∼20f)에 끼워지는 개구(21c∼21d)와, 절곡된 만곡편(81a∼81b)을 가지며, 또 선단에 롤러를 갖는 슬라이드 핀(23a, 23b)을 끼우기 위해 좁은 폭으로 절단되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된 삽입편(23a', 23b')을 모두 프레스 기술에 의해 한꺼번에 성형하고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판금(21)상에 턴테이블(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가 접착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 상에는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정된 기입 이네이블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86), 광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정된 기입 프로텍트를 검출하는 센서(87),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센서(8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FPC)(89)는 상기 센서의 신호의 전달과 턴테이블(22)에 대한 구동신호의 전달을 하고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 유닛은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턴테이블(2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 등은 모두 프린트기판(11)상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FPC 설치상태에서의 판금의 판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으며, 또 카트리지 홀더(71)상의 상층의 드라이브 베이스(20)상의 부품을 삭감할 수 있어서, 장치 높이방향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카트리지 홀더(71)의 상층의 드라이브 베이스(20)는 턴테이블(22)의 높이 또는 가이드(82a, 82b, 83a, 83b)의 높이중의 높은 쪽의 높이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82a, 82b, 83a, 83b)의 형상 및 만곡편(81a, 81b)의 형상을 도시한 바와 같이 하고 있으므로 턴테이블 유닛(222)의 상승량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턴테이블 유닛(222)의 높이와 카트리지 홀더(71)의 상층의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높이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71)의 상층의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높이(약 6.0mm)를 카트리지의 두께로 정해지는 카트리지 홀더(71)의 높이와 턴테이블 유닛(222)의 상승량(카트리지의 배출시에 턴테이블이 개구(20a)를 통해서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카트리지 수용부로부터 턴테이블 유닛 수용부를 향해서 상승하기 때문에, 그 때의 최대 상승량, 즉 턴테이블의 부착 두께와 판금의 부착 두께의 합으로 정해지는 양(약 5.8mm))만으로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높이 17mm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박형의 턴테이블 유닛을 채용함으로써 카트리지 홀더의 상층의 드라이브 베이스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적 기억장치의 장치 높이를 카트리지의 두께(약 5mm)와 거의 동일한 두께로 근접시킬 수가 있다.
[언로드기구]
광디스크의 언로드는 상술한 턴테이블 유닛(222), 이젝트 모터 유닛(50), 로드판(24)의 각 부품의 맞물림에 의해 달성된다.
우선, 프론트 베젤(10)에 설치된 이젝트 버튼(10a)을 누르거나, 수동 이젝트 구멍(10d)에 핀 등을 세게 밀어 넣음으로써 디스크의 배출을 사람 손에 의해 지시한다.
그리고 전자의 경우에는 이젝트 버튼(10a)을 누름으로써 이젝트 모터(50)가 구동되어, 로드판(24d)의 단부를 끌음으로써 로드판이 장치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수동 이젝트 구멍(10d)에 핀 등을 세게 밀어 넣으면, 로드판(24)의 입벽부(10f)가 핀에 닿아서 로드판(24)이 장치 후방으로 밀리어 이동하는 것이다.
도 23는 턴테이블 유닛과 로드판의 확대도이다.
턴테이블 유닛(222)의 판금(21)에는 로드판과 맞물리는 슬라이드 핀(23a, 23b)이 끼여 있다. 그리고 로드판(24)은 판금(21)의 하측에 설치되어, 턴테이블(22)을 포함한 판금(21)을 들어 올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술하면, 로드판(24)에는 판금(21)의 슬라이드 핀(23a, 23b)이 맞물리어, 장치 전방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를 갖는 가이드구멍(84a, 84b)과, 가이드구멍(84a, 84b)을 안정하게 유도하는 제1의 가이드(83a, 83b)와, 가이드구멍(84a, 84b)에 끼워진 슬라이드 핀(23a, 23b)을 안정하게 유도하여 가이드구멍(84a, 84b)으로부터 빠져나온 슬라이드 핀(23a, 23b)이 올라 타는 평탄면을 갖는 제1의 가이드보다 낮게 형성된 제2의 가이드(85a, 85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드판(24)에는 장치 전방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을 갖는 제3의 가이드(82a, 82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판(24)이 장치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판금(21)의 슬라이드 핀(23a, 23b)이 선단의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제2의 가이드(85a, 85b)를 슬라이드하고, 또 판금(21)의 만곡편(81a, 81b)이 제3의 가이드(82a, 82b)의 경사면을 슬라이드함으로써 판금(21)이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4(a)는 광디스크의 로드시의 장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b)는 요부 확대도이다.
로드판(24)상에는 판금(21)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가 생략된 슬라이드 핀(29a, 29b)과 로드판(24)의 돌기(83c, 83d)와 그 양단이 연결된 코일 스프링(28a, 28b)이 수축된 상태(정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판금(21)의 슬라이드 핀(23a, 23b)은 가이드구멍(84a, 84b)에 끼여 있다. 또 판금(21)의 만곡편(81a, 81b)이 제3의 가이드(82a, 82b)의 경사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모양을 알 수 있다.
또한, 로드판(24)상에 설치된 캐리지 로크(26)는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개구(20b)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돌기(27)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26a)에 의해 플라스틱으로 된 캐리지 로크(26)의 일부가 돌기(27)에 닿아서 캐리지 로크(26)의 단부가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개구(20b)측으로 돌출하여,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렌즈 캐리지(30)의 코일부(32a)의 단부와 맞물리어 렌즈 캐리지(30)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작용한다.
도 25(a)는 광디스크의 언로드시의 장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b)는 요부 확대도이다.
상술한 이젝트 지시에 의해 로드판(24)은 장치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따라 로드판(24)에 설치된 복수의 홈(24a∼24c)내를 드라이브 베이스(20)에 설치된 슬라이드 핀(29a, 29c)이 이동한다. 또한 로드판(24)의 이동에 따라 판금(21)의 슬라이드 핀(23a, 23b)은 가이드구멍(84a, 84b)의 경사면을 슬라이드하고 나서 제2의 가이드(85a, 85b)의 평탄면에 계속적으로 올라 타고 있음으로써 판금(21)을 밀어 올린다. 그 후에 광학디스크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판금(21)의 슬라이드 핀(23a, 23b)은 소정량만큼 슬라이드하여 코일 스프링(28a, 28b)의 복귀력에 의해 가이드구멍(84a, 84b)으로 복귀한다.
마찬가지로 로드판(24)의 이동에 따라 판금(21)의 만곡편(81a, 81b)이 제3의 가이드(82a, 82b)의 경사면을 슬라이드하여, 턴테이블(22) 근방의 판금(21)의 상승에 따라 판금(21)의 만곡편(81a, 81b)도 약간 상승한다. 또한 판금(21)의 장치 전면측은 턴테이블(22)을 밀어 올리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다지 밀어 올릴 필요가 없으므로 상술한 슬라이드 핀(23a, 23b)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그 후에 광학디스크 카트리지가 로딩되면 코일 스프링(28a, 28b)의 복귀력에 의해 만곡편(81a, 81b)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술한 기구에 의해 판금(21)이 밀어 올려짐에 따라 광디스크를 지지한 상태의 턴테이블(22)이 개구(20a)를 통해서 상승하여 카트리지 홀더 내부로부터 물러 나와서, 개구(29a) 주위의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벽면에 광디스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눌림으로써, 광디스크와 턴테이블(22)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카트리지 홀더(71)의 카트리지 배출기구에 의해 카트리지가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카트리지 홀더]
도 26는 카트리지 홀더의 확대도이다. 카트리지 홀더(71)는 스테인리스강등을 프레스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카트리지 홀더(71)의 개구(71a)에 개구(71a) 내를 이동 가능하게 끼우고,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폐하는 롤러(72a)와, 상기 롤러(72a)를 카트리지 배출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72b)과, 회동 암(72c)을 카트리지 배출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72d)으로 카트리지 반송·배출기구(72)를 구성하고 있다. 회동 암(72c)은 카트리지 배출시에 카트리지가 세게 배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기어를 가지고 코일 스프링(72d)의 탄성력을 완화하여, 카트리지의 배출력을 조정하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
또 카트리지 홀더(71)의 중앙부 부근에 대물렌즈 L로부터의 광 빔과 대향하는 위치에 전자석 유닛(7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코일부는 각선(리본선)형상의 동박 슬라이스 코일로 되며, 절연 실(74a)과 커버(74b)로 덮여 있다. 또한 각선(리본선)형상의 코일을 사용함으로써 발열을 작게 하여, 장치 내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단부에 맞물리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카트리지 홀더(71)의 내측으로 가세되어, 카트리지(400)를 드라이브 베이스(20)의 다른 쪽 벽면에 눌러서 클램프하는 카트리지 클램프(75)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부품이 탑재된 카트리지 홀더(71)는 복수의 나사구멍(71a, 71b)에 의해 드라이브 베이스(20)에 나사로 죄어진다.
또 카트리지 홀더(71)의 배면측의 프린트기판(11)에 대향하는 측에 판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된 전자석유닛(73)의 단자(73a)가 노출되어 있으며, 프린트기판(11)의 랜드(land)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홀더(71)와 프린트기판(11)은 겹쳐진다. 그리고 프린트기판(1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석유닛(73)의 단자(73a)의 근방에 나사로 죄어진다.
도 27는 광디스크 카트리지(400)를 정상적으로 삽입 배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롤러(72a)가 광디스크 카트리지(400)의 슬라이더(401)의 단면에 맞물리어, 카트리지의 삽입 배출과 동시에 롤러(72a)가 개구(71a)를 이동하여 슬라이더(401)에 연결한 셔터(402)를 개폐한다.
도 28는 카트리지(400)를 반대방향으로 삽입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롤러(72a)는 카트리지(400)에 설치된 홈(403)에 맞물리어져서, 롤러(72a)는 홈(403)을 밀어도 개구(71a)를 이동할 수 없어서 코일 스프링(72b)의 반력에 의해 카트리지(400)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강인한 유저의 사용에 따라 카트리지(400)가 잘못 삽입됨에도 불구하고 밀어 넣는 경우가 있어서, 롤러(72a)가 마모되어 파손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셔터 개폐동작의 힘을 수십 그램 정도로 하면 잘못 삽입에 의한 롤러(72a)의 굴곡력은 사람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나, 수 킬로그램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도 29는 롤러(72a)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롤러(72a)는 카트리지 홀더(71)의 개구(71a)의 주위를 끼우고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72f)와, 이 슬라이드부(72f)의 중심부에 회전축(72e)과, 카트리지(400)의 슬라이더(401)와 맞물리는 회전부(72g)와, 회전부(72g)를 누르는 맞물림부(72h)로 구성된다. 그리고 롤러(72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전축(72e)를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료로 구성하고, 기타의 슬라이드부(72f)나 회전부(72g), 맞물림부 (72h)는 슬라이드성이 좋은 폴리아세탈 수지등의 수지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한다. 또 회전부(72g)와 슬라이드부(72f) 사이에 코일 스프링(72b)의 일부가 부착된다.
롤러(72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전축(72e) 이외의 부품이나 모든 부품을 금속재료로 구성할 수는 있으나, 슬라이드부분에 금속을 사용하면 슬라이드부분(회전축(72e), 슬라이드부(72f), 회전부(72g), 맞물림부(72h))의 표면상태 및 사용빈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마모가 발생하여 원활한 셔터의 개폐동작을 할 수 없는 수가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부분에 테플론 등의 슬라이드성이 좋은 수지를 도장한다거나 슬라이드부분에 윤활유를 함침시킴으로써 슬라이드를 원활하게 할 수가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료로 롤러(72a)를 구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롤러(72a)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고정광학계의 FPC]
도 30 (a)∼(c)는 고정광학계의 신호를 전달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시트(FPC)를 나타내고 있다. 이 FPC(91)는 광학계의 서보신호, 정보신호,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제어하는 헤드 IC(95)등의 회로부품이나 광검출기(52, 53)가 탑재되어 있다.
도 30(b)는 도 30(a)의 배면측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FPC(91)에서 플러그 인 코넥터(92)가 설치되는 이면측의 면에 약간의 경도를 갖는 필름이나 시트(93, 94)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붙여져 있다. 따라서 플러그 인 코넥터(92)를 프린트기판(11)측의 코넥터(92')측에 접속할 때에 눌러 붙이기 쉬운 작용이 있으므로 조립작업성이 용이해져서 작업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 도 30(c)는 플러그 인 코넥터(92)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FPC(91)를 구부린 것이다. 따라서 FPC(91)의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공간부(20i)에 나사구멍(91a, 91b)를 통해서 나사로 죌 수가 있다.
또한 FPC(91)를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공간부(20i)에 배치함으로써 프린트기판(11)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작업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 드라이브 베이스(20)와 프린트기판(11) 사이에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등에 관여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을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외측에 끌어 돌리는 일이 없이 플러그 인 코넥터(92)로 접속함으로써 기록 또는 재생, 소거등의 신호에 외부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억장치로서 보다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플러그 인 코넥터(92)를 사용하여 프린트기판(11)과 드라이브 베이스(20) 사이에 끼워 넣고 틀(12)로 덮음으로써 차폐효과가 얻어지며, 또한 외부 노이즈의 혼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억장치로서 보다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
도 17 및 도 18에서 설명한 렌즈 캐리지 및 렌즈 액추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 31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31에서 대물렌즈 L을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캐리지(230)의 중앙부에는 고정광학 유닛(40)에 광 빔을 입사 및 출사하는 집광렌즈(239), 집광렌즈(239)로부터의 광 빔을 45°상승시키는 상승미러 M, 대물렌즈 L, 렌즈 액추에이터(160)등을 탑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렌즈 캐리지(230)의 양측에는 코일부(232a, 23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 L을 트랙방향이나 포커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열경화성 수지로 된 렌즈 지지부(162a)와, 렌즈 지지부(162a)의 중앙 개구부의 벽부에 접착되어 설치된 프커스 코일(165)과, 포커스 코일(165)의 상술한 접착부와 반대측의 면에 접착되어 설치된 트랙 코일(166a, 166b)로 액추에이터(160)의 가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포커스 코일(165)의 좌우에 설치된 2개의 트랙 코일(166a, 166b)은 포커스 코일(165)의 감는 면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며, 그 단부가 자기회로의 요크(163)의 단면으로부터 외측에 좌우로 삐어져 나와 있다. 즉 트랙 코일(166a, 166b)의 자기 갭의 외측의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을 자기 갭의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자속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기계적인 발진이 생기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 가동측 렌즈 지지부(162a)의 중앙 개구부의 트랙 코일(165)에 대향하도록 액추에이터(161)상에 설치된 자석(164)과, 자석(164)의 자력을 받는 액추에이터 베이스(161)의 절곡부로 된 요크(161c)와, 요크(161c)와 대향해서 설치된 절곡부로 된 요크(161d)와, 상기 2개의 요크상에 설치된 커버 요크(163)로 액추에이터(160)의 자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60)의 가동부를 지지하는 6개의 와이어부(167a, 168a, 169a, 170a, 178a(1개는 도시하지 않음))와, 구멍에 렌즈 지지부(162a)의 돌기(162c)를 끼워 넣은 후에 접착되어 대물렌즈측의 와이어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단자판(167c, 168c, 169c(1개는 도시하지 않음))과, 액추에이터 베이스(161)의 단부에 끼워 넣은 와이어 지지부(162c)와 접착되는 단자판(167d, 168d, 169d, 170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부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제진부재(167b, 169b(2개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단자판(168c) 및 렌즈 지지부재 반대측의 단자판(와이어(170a)와 연결)은 상하에 2개의 와이어부를 가지고 있으며, 2개의 와이어부가 1개의 단자판에 연결되어 있다. 또 와이어부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착층이나 제진판 등으로 주위를 덮는 제진구조로 하여도 좋다.
와이어 지지부(162b)상에 FPC(39a)의 단부가 연출되어 있으며, 와이어 지지부(162b)상의 4개의 단자판과 납땜한다. 또 렌즈 지지부(162a)상의 4개의 단자판과 포커스 코일(165)과 트랙 코일(166a, 166b)의 각각 2개씩의 리드선이 납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포커스 코일(165) 및 트랙 코일(166a, 166b)과 FPC(39a)와의 도통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코일의 가는 리드선을 끌어 돌리는 일이 없이 전기적 접속을 할 수 있으므로 단선의 염려가 없어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6개의 와이어부와 각 와이어부의 양단의 단자판은 좌우의 와이어부를 연결한 상태를 1조로 한 형으로부터 판스프링재나 선형 스프링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작성한다. 그리고 좌우의 와이어부는 연결된 상태( 형상)인 채로 와이어 지지부에 부착되고, 그 후 연결부가 절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작성한 와이어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작은 부품의 취급이나 관리가 용이해져서 조립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베이스(161)는 상술한 액추에이터 (160)의 부품을 모두 탑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베이스 (161)의 절곡편의 부착부(161a, 161b)와 렌즈 캐리지(230)를 나사(223b)로 스프링(223a)을 통해서 죄어진다.
[장치의 각부의 치수]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적 기억장치를 장치 높이를 약 24mm 이하, 즉 약 17mm로 하기 위한 각부의 구성에 대해 이상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3.5인치 광자기디스크 카트리지의 기록 재생등을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에 의하면, 상기 각 부품으로 구성함으로써,
프린트기판(11)의 기판만의 두께 약 0.8mm
(또한 드라이브 베이스(20)의 공간부(20i)의 허용 높이가 약 4.5mm이므로 최대 약 4.5mm 높이의 회로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71)의 최고부분에서의 높이 약 7.1mm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최고부분에서의 높이 약 15.8mm
(카트리지 수용부의 높이 약 9.7mm, 턴테이블 유닛 수용부의 높이 약 6.0mm, 헤드베이스의 최고부분에서 약 6.4mm, 이젝트 모터 유닛의 최고부분에서 약 10.7mm/낮은 부분에서 약 9.7mm, 이상의 모두가 드라이브 베이스의 두께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베이스의 두께는 약 0.8∼1mm로 설정된다)
(폭 약 100.2mm, 최대부분에서 깊이 약 132.2mm)
렌즈 캐리지(30)의 중앙부 약 7.0mm 두께(깊이 약 22.2mm), 렌즈 캐리지(30)의 코일부와 VCM을 포함한 두께 약 7.6mm 두께, VCM만의 두께 약 4.5mm
턴테이블 유닛(222)의 전 높이 약 5.8mm(판금(21)만의 높이 약 0.6mm)
커버(13)의 두께 0.2mm
로드판의 두께 최고부분에서 4.7mm
(상기 치수는 ±0.1mm의 공차가 포함된다)
로 할 수가 있으며, 각 부품의 구조 배치 등을 고려함으로써 드라이브 베이스의 두께를 약 15.8mm로 할 수가 있었기 때문에 드라이브 베이스에 프린트기판 및 커버를 얹힌 장치 전 높이 약 17mm를 달성하고 있다.
또 프린트기판, 프론트 베젤 등을 포함해서 폭 102mm, 깊이 140mm를 달성하고 있다. (상세히 말하자면 17.2(높이)×101.6(폭)×140mm(깊이)를 달성하였다). 따라서 두께 약 17mm, 폭 102mm, 깊이 140mm의 박형 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슬롯에 내장이 가능해진다.
[장치의 각부의 중량]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적 기억장치를 장치 총중량 약 300g 이하로 하기 위한 각부의 구성에 대해 이상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3.5인치 광자기디스크 카트리지의 기록 재생등을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박형화, 부품개수의 삭감, 부품의 간략화등을 하였기 때문에, 장치 주요 각부의 중량은
프린트기판(11)의 총중량 약 40g(회로부품 포함)
카트리지 홀더(71)의 총중량 약 50.2g(방진 시트등 포함)
렌즈 캐리지(30)의 총중량 약 36.7g(VCM등 포함)
커버(13)의 총중량 약 19.8g
턴테이블 유닛(222)의 총중량 약 18.3g
드라이브 베이스(20)의 총중량 약 66.5g(로드판·LD유닛등 포함)
이젝트 모터 유닛(50)의 총중량 약 10g
이며, 장치 총중량 약 250g로 경량화할 수 있었다.
또 선택적으로 틀(12)이나 프론트 베젤(10)등을 설치할 경우의 장치 총중량은 약 299g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자기디스크 카트리지의 광학적 기억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카트리지가 수납된 3.5인치의 상변화형 광디스크 등의 광학적 기억장치에도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박형화, 경량화, 소형화를 위한 기술을 응용할 수가 있음은 말할 필요가 없다.
[시스템의 구성]
이상 설명한 광학적 기억장치, 특히 광자기디스크장치를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2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퍼스널 컴퓨터(300)는 주로 디스플레이(2), 마우스(5), 컴퓨터 본체(7), 키보드(6)로 구성된다.
그리고 컴퓨터 본체(7)는 플로피 디스크 장치(3), CD-ROM 광디스크 장치(9), 도시하지 않은 자기디스크 장치등의 기억장치를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외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광자기디스크 장치(1)가 그 외형치수보다 약간 큰 컴퓨터 본체(7)의 공동부인 슬롯(4)에 삽입되어, 광자기디스크장치(1)의 E-IDE 인터페이스용의 코넥터(1a)가 슬롯(4)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코넥터에 접속된다.
상술한 기억장치는 자기디스크 장치를 제외하면, 어느 것이나 휴대형 매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매체를 삽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기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300)는 전원 스위치의 ON에 의해 기동되어, 미리 설정된 기억장치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것들을 실행한다.
도 33는 시스템의 내부구성 개략도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MPU)(301)는 퍼스널 컴퓨터의 심장부이며, 메인 메모리(302)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처리한다. MPU(301)와 메인 메모리(302) 사이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은 내부 버스(303)가 한다. 캐시 메모리(304)는 메인 메모리(302)로부터 고속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소자를 사용하여 사용빈도가 많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저장한다. 퍼스널 컴퓨터(305)는 내부 버스(303)에 접속되어, 내부 버스 (307) 또는 내부버스(308) 사이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다음에 내부 버스(307)는 외부 기기를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버스이다. 내부 버스(307)에는, 모뎀(321)이 RS-232C 인터페이스(320)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323)가 그래픽 콘트롤러(322) 및 비디오 메모리(324)를 경유하여, 플로피 디스크 장치(FDD)(326)가 플로피 디스크 콘트롤러(FDC)(325)를 경유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다.
내부 버스(307)에는 또한 자기디스크 장치(HDD)(328), 광자기디스크 장치(MOD)(329), CD-ROM 광디스크 장치(CD-ROM)(330) 등이 E-IDE 어댑터를 경유하여 접속된다. E-IDE 인터페이스는 IDE 인터페이스의 확장판이며, 어느 것이나 일반적인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이어서 내부 버스(308)는 인터럽트 제어를 실행하는 버스이며, 타이머(331), 키보드(333)가 접속된 키보드 콘트롤러(332), 인터럽트 콘트롤러(334)가 접속되어 있다.
또 도 34는 키보드(6')나 약 17mm 높이의 플로피 디스크 장치 또는 전원 유닛이 삽입 가능한 슬롯(4')을 갖는 랩톱형 컴퓨터(30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광디스크장치(1)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약 17mm 높이의 플로피디스크장치의 외형과 거의 같은 외형치수로 맞출 수가 있어서, 상기 슬롯(4')에 삽입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광디스크장치(1)에 도 3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4')에 맞추어서 거의 같은 사이즈가 되도록 상술한 드라이브 베이스(20)와 커버(13)의 외주에 외장 케이스(13')를 더 설치하여 슬롯(4')과의 맞물림을 조정한다.
[인터페이스]
또 본 실시예의 랩톱형 컴퓨터(300')에서는, 그 인터페이스가 상술한 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 장치(1)의 인터페이스와 다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양자를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도 35 (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변환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세히 말하자면, 상술한 실시예의 광자기디스크 장치(1)는 E-IDE용 코넥터(1a)를 가지고 있으나, 본 실시예의 랩톱형 컴퓨터(300')의 인터페이스는 PCMCIA형이므로, E-IDE용 코넥터(1a)로부터 출력되는 각종의 신호를 PCMCIA용으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광자기디스크장치(1)가 케이스(13')에 수납되었을 때, E-IDE용 코넥터(1a)가 대향해서 접속되는 코넥터(1b)가 케이스(13')에 설치되어 있다.
또 코넥터(1b)로부터의 신호를 안내하기 위한 FPC(1c)가 케이스(13')에 부착된 판금(1d, 1e)에 나사로 죄어져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FPC(1c)로부터 MPU 및 ROM-BUFFER등을 수납한 IC칩(1g)에 신호를 전달하고, 거기에서 E-IDE용의 신호로부터 PCMCIA용의 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단측의 코넥터(1f)에 전달하여, 반대로 PCMCIA용의 신호를 E-IDE용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넥터(1f)가 케이스(13')로부터 외부에 돌출하여 랩톱형 컴퓨터(300')의 인터페이스의 PCMCIA형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의 요망에 따라 1개 사양의 광학적 기억장치를 케이스만을 바꿈으로써 다수의 상위장치에 대한 접속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다른 인터페이스의 예]
도 36(a), (b)는 제2실시예의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6(a)는 도 1 등에서 설명한 광자기디스크장치(1)를 다시 케이스(수용용기)(311)에 수용하여, 2종류의 SCSI용 코넥터(312a)와 E-IDE용 코넥터 (312b)를 케이스(311)의 외부로 돌출시킨 것을 나타낸다.
슬라이드판(314)은 2종류의 코넥터중에서 사용하는 한 쪽을 오픈으로 하고, 사용하지 않는 다른 쪽을 클로즈하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드판(314)의 양측에 가늘고 긴 핀(313)을 설치하여, 도면의 상하에 설치된 코넥터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의 코넥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슬라이드판(314)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 또는 핀등으로 고정한다.
도 36(b)에서는 SCSI용 코넥터(312a)와 E-IDE용 코넥터(312b)는 광자기디스크장치(1)의 E-IDE용 코넥터(1a)의 신호를 안내하는 신호선을 2개로 분할하여, 한 쪽은 그대로 E-IDE용으로 하고, 다른 쪽은 MPU 및 ROM-BUFFER등의 IC 칩(331)에 접속하도록 하여, E-IDE용의 신호를 SCSI용으로 변환하고, 반대로 SCSI용의 신호를 E-IDE용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나 광학적 기억장치의 인터페이스용의 코넥터의 종류는 SCSI용, E-IDE용 이외에 PCMCIA용의 코넥터등, 유저의 사용의 편의나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자기디스크장치에 미리 부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1개 사양의 광학적 기억장치를 케이스만을 바꿈으로써 다수 종류의 퍼스널 컴퓨터등의 상위장치와의 접속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37(a), (b)는 제3실시예의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구성도이다. 광자기디스크장치(1)는 E-IDE용 코넥터(1a)를 가지고 있다. 이 광자기디스크장치(1)를 E-IDE용 이외의 다른 SCSI용 코넥터(342)나, PCMCIA용의 코넥터(343) 및 어댑터(345)를 갖는 케이스(341)에 삽입함으로써, 케이스(341)의 내부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변환용 코넥터에 접속한다.
그리고 변환용 코넥터에 연결된 변환회로인 MPU 및 ROM-BUFFER등을 수용하는 IC(346)는 E-IDE용의 신호를 SCSI용의 신호로, 또는 SCSI용의 신호를 E-IDE용의 신호로 변환하여 SCSI용 코넥터를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300)나 랩톱형 컴퓨터(300')등의 상위장치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인터페이스의 신호변환은 ROM-BUFFER에 저장된 E-IDE용의 신호내용 및 단자번호와 SCSI용의 신호내용 및 단자번호와의 대응관계의 데이터에 의해 양자의 신호를 각각 대응시켜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인터페이스용의 코넥터의 신호내용 및 단자번호는 일반적으로 공지의 것을 사용한다.
간단한 변환예를 나타낸다. 예컨대 제1 핀은 E-IDE형에서 RESET를 나타내고, PCMCIA형에서 GROUND를 나타내고, SCSI형에서 GROUND를 나타낸다. 따라서 각각의 핀 번호에 의해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GROUND를 전달할 때는 E-IDE형의 제2 핀의 신호를 PCMCIA형의 제1 핀이나 SCSI형의 제1 핀으로 전달하도록 변환하게 된다.
도 38는 제4실시예의 광학적 기억장치의 유닛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대의 기억장치의 케이스(315, 317)를 겹쳐서 배치했을 때, 케이스(315, 317)의 양자가 대면하는 위치에 서로 접속 가능한 코넥터(316, 318)를 설치해 둔다.
따라서 2대의 기억장치를 상하방향으로 겹치기만 하면 케이블을 개재시키는 일이 없이, 그리고 케이블을 끌어 돌리는 일이 없이 코넥터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적 기억장치를 예로 들고 있으나, 접속하는 양자의 인터페이스용 코넥터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와 광자기디스크 장치 사이의 접속이 가능해져서, 양자간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이 가능해진다.
또 광학적 기억장치 이외의 하드디스크 장치와 플로피 디스크 장치 사이 등에 대한 응용도 가능하다.
또 상하방향뿐이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코넥터를 노출시킴으로써 좌우간에서의 코넥터 접속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의 상면 또는 하면에 코넥터가 설치되어 있으나, 코넥터를 상하 양면에 설치하여 2대 이상의 복수대를 접속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박형이고, 소형이며, 경량이고, 조립작업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한 콤팩트한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박형화, 소형화, 부품삭감을 하여도 데이터 기억장치로서의 능력을 저하시킴이 없이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더욱 향상시킨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의 박형화,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휴대용의 박형 랩톱형 컴퓨터등에 탑재 가능한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1인치 이하, 약 17mm의 장치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라이브 베이스의 높이를 광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ISO규격 3.5인치 광디스크 카트리지 준거·6.0±0.2mm)로 극력 근접시킨 광학적 기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상위장치에 탑재 가능 또는 접속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광학적 기억장치의 이용형태를 다목적분야에 확대할 수가 있어서, 광학적 기억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6)

  1.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가 배치되는 카트리지 홀더 탑재부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턴테이블을 상기 카트리지 홀더측으로 돌출시키는 제1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홀더 수용부에 대향하는 상면측에서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턴테이블 유닛이 배치되는 턴테이블 유닛 탑재부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제2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의 개구부내에 광을 이동하는 이동광학 유닛이 배치되는 이동광학 유닛 탑재부와,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드라이브 베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통로가 되는 제1의 광통과구와,
    드라이브 베이스 외주부의 광검출기로 광을 유도하는 통로가 되는 제2의 광통과구와,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이동광학 유닛과의 사이 및 상기 이동광학 유닛과 상기 광검출기와의 사이의 광을 유도하는 통로가 되는 제3의 광통과구가 드라이브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2. 광학적 기억매체에 대하여 액세스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기구가 탑재되는 드라이브 베이스를 구비한 광학적 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표면을 따라 광을 이동하는 이동광학 유닛이 배치되는 이동광학 유닛 탑재부와,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 외주부의 광검출기로 광을 유도하는 통로가 되는 제1의 광통과구와,
    상기 이동광학 유닛과 상기 광검출기와의 사이의 광을 유도하는 통로가 되는 제2의 광통과구가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3. 카트리지에 수용된 광학적 기억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기구가 제1의 면측과 제2의 면측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의 제1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을 지지하고, 상기 카트리지 홀더에 대향하는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에 형성된 제1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카트리지 홀더측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의 제2의 면측에 배치되는 턴테이블 유닛과,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표면을 따라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에 설치된 제2의 개구부내에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표면을 따라 광을 이동하는 이동광학 유닛과,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반사광이 상기 이동광학 유닛을 통해 입사되는 고정광학 유닛과,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의 제2의 면측을 피복하는 커버와,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의 제1의 면측을 피복하고,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회로부품이 탑재되는 프린트기판을 적어도 구비하며,
    제1의 탑재부가 상기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에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광학 유닛은,
    상기 제1의 탑재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가 배치되고,
    광통과구가 상기 제1의 탑재부의 기립 벽면에 형성되고,
    광검출기가 상기 광통과구를 통해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반사광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1의 탑재부의 기립 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광학 유닛으로부터 상기 광검출기로 광을 유도하기 위한 광학부품의 위치 정밀도를 도출하기 위한 탑재면을 가지는 블록이 상기 제1의 탑재부의 벽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학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의 탑재면에 접촉하여 상기 광학부품이 위치결정되어 상기 제1의 탑재부에 직접배치되어 구성되고,
    제2의 탑재부가 상기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으로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의 탑재부에 상기 카트리지를 배출시키는 구동을 행하는 이젝트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4. 광학적 기억매체가 수용된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과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금속판으로 된 턴테이블 유닛과,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를 갖는 로드판을 구비하며, 상기 로드판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가이드의 경사면을 슬라이드하여 상기 턴테이블을 상승/하강시키는 로드기구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가 제1의 면측에 탑재되고, 제2의 면측에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가이드가 맞물리도록 상기 턴테이블 유닛과 상기 로드기구가 탑재되는 드라이브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유닛의 상기 금속판은 상기 슬라이드부가 프레스기술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에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신호선을 유도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가 적어도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기구에 연동해서 회전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대물렌즈를 탑재하는 렌즈 캐리지가 이동하지 않도록 로크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렌즈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8. 광학적 기억매체가 수용된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과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금속판으로 된 턴테이블 유닛과,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를 갖는 로드판을 구비하며, 상기 로드판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가이드의 경사면을 슬라이드하여 상기 턴테이블을 상승/하강시키는 로드기구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가 제1의 면측에 탑재되고, 제2의 면측에 상기 슬라이드부와 상기 가이드가 맞물리도록 상기 턴테이블 유닛과 상기 로드기구가 탑재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상기 금속판상에 설치된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시키는 신호선을 유도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에 설정된 라이트 프로텍터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시트는 상기 검출 센서의 신호선을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9.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가 적어도 탑재되는 드라이브 베이스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회로부품을 탑재하고,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를 상기 카트리지 홀더를 통해 피복하는 프린트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프린트기판은 키가 큰 회로부품을 상기 카트리지 홀더의 외측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기판은 상기 회로부품이 편면 실장되며, 실장면측이 상기 드라이브 베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11.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장치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기구는 상기 카트리지에 맞물리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를 카트리지 배출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부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롤러부는 금속제의 회전축과 슬라이드성 재료로 된 회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12. 광학적 기억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카트리지 홀더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장치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기구는 상기 카트리지에 맞물리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를 카트리지 배출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부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롤러부는 금속제의 회전축과 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회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13. 대물렌즈가 탑재되고, 상기 대물렌즈를 광학적 기억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광학 유닛과,
    상기 이동광학 유닛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발광이 이루어 지도록 배치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상기 이동광학 유닛으로 유도하고,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로부터의 복귀광을 굴절시켜 상기 직각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의 광학부품과,
    상기 직각방향으로 굴절된 복귀광을 재생신호성분과 서보신호성분으로 분리하여 유도하는 제2의 광학부품과,
    상기 재생신호성분의 광을 수광하여 재생신호를 검출하는 제1의 광검출부와,
    상기 서보신호성분의 광을 수광하여 서보신호를 검출하는 제2의 광검출부를 적어도 갖는 고정광학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광학 유닛은 상기 광학적 기억매체의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의 드라이브 베이스를 카트리지 수용부의 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오목형상의 헤드 베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헤드 베이스의 외주부에 상기 발광소자, 상기 제1의 광검출부와 상기 제2의 광검출부가 직접 배치되고, 상기 헤드 베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1의 광학부품과 상기 제2의 광학부품이 적어도 직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광학부품은 빔 스플리터/ 리플렉터 프리즘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의 광학부품은 빔 스플리터/ 월라스톤 프리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신호성분을 다시 복수의 신호성분으로 분리하는 서보 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의 광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신호성분으로부터 포커스신호와 트랙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기억장치.
KR1019990057534A 1995-07-10 1999-12-14 광학적 기억장치 KR10026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534A KR100269905B1 (ko) 1995-07-10 1999-12-14 광학적 기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65295 1995-07-10
JP95-173652 1995-07-10
JP96-130170 1996-05-24
JP8130170A JPH0982079A (ja) 1995-07-10 1996-05-24 光学的記憶装置
KR1019960027242A KR100260767B1 (ko) 1995-07-10 1996-07-05 광학적 기억장치
KR1019990057534A KR100269905B1 (ko) 1995-07-10 1999-12-14 광학적 기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242A Division KR100260767B1 (ko) 1995-07-10 1996-07-05 광학적 기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9905B1 true KR100269905B1 (ko) 2000-10-16

Family

ID=27316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534A KR100269905B1 (ko) 1995-07-10 1999-12-14 광학적 기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9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767B1 (ko) 광학적 기억장치
JPH10320964A (ja) ディスク装置の筺体構造及びこの装置への基準信号書込装置
JP4196514B2 (ja) ディスク装置
EP0665553B1 (en) Optical disk drive unit
US20030045177A1 (en) Flexible wiring plate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recording and/or playing back information using the flexible wiring plate
KR100269905B1 (ko) 광학적 기억장치
EP1691358B1 (en) Optical disk driv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664165B2 (ja) 光学的記憶装置
JP3664164B2 (ja) 光学的記憶装置
JP3047785B2 (ja) ディスク装置
US20080037408A1 (en) Optical disk device
US6738334B1 (en) Optical memory apparatus having a base with a unitary and integral optical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a precision mounting surface for mounting an optical component
JP3537970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154827B2 (ja) ディスク装置
JP3703675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82834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429603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4022054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1222881A (ja)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ケーブル固定構造
JP2001222847A (ja) ディスク装置
JPH076387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1006324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432683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4303326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8306174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