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137B1 -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137B1
KR100255137B1 KR1019970004624A KR19970004624A KR100255137B1 KR 100255137 B1 KR100255137 B1 KR 100255137B1 KR 1019970004624 A KR1019970004624 A KR 1019970004624A KR 19970004624 A KR19970004624 A KR 19970004624A KR 100255137 B1 KR100255137 B1 KR 10025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body
laminate
conveying
manufactur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516A (ko
Inventor
타에꼬 타카다
Original Assignee
이시구로 도시카주
가부시키가이샤 아케보노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27462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551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시구로 도시카주, 가부시키가이샤 아케보노츠쇼 filed Critical 이시구로 도시카주
Publication of KR97006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하여, 이송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공작물(복수의 평면형상부재)에는 접착제가 앞의 공정에서 도포되어 이송수단(20)으로 안내된다. 그 이송수단(20)에서는, 공작물을 부착해서 적층체로 하고, 반송수단(60)까지 보낸다. 압압수단(30)은 가열수단(40)과 대향하여 대략 동일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 만큼의 적층체를 평면적으로 눌러서 소정의 두께로 한다. 가열수단(40)은, 압압수단(30)에 의하여 눌려 있는 적층체를 가열하여 접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켜, 공작물을 고착시킨다. 그 후, 가열된 적층체는 냉각수단(50)에 의하여 냉각되며, 반송수단(60)에 의하여 흡착되면서 반송된다. 따라서, 이송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본 발명은 골판지 등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하게 「공작물」로 칭함)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제조하는 종래의 제조장치에서는, 공작물의 각층 사이에 접착제를 칠하는 도포부와, 그 공작물을 붙임과 아울러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가열하는 첩부부(貼付部)와, 가열된 공작물을 냉각하면서 반송하는 반송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적층체에는, 지면에 필름을 붙인 것과 골판지 등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제조장치(70)의 한 예를 도 22도에 표시한다. 이 제조장치(70)에 있어서의 첩부부(80)에서는, 공작물을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하는 이송밸트(84)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 이송밸트(84)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로울러(82)(「웨이트로울러」라고도 부른다)에 매어져 있고, 공작물을 누르면서 부착되어 있다.
또, 도포부(75)에서 공작물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그 공작물을 가열부(86)에서 가열하고 있다. 가열부(86)는, 상판, 하판, 측판(도면에서는 측판만 보인다)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판과 하판과의 사이에는 지주(88)가 설치되며, 지주(88) 사이에 측판이 설치되어 있다. 공작물을 직접 가열하는 상판은 금속판(예컨대 주철)이 사용되며, 그 판두께는 두껍다. 이것은, 제조하는 공작물을 평면으로 하기 위하여 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부재의 평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작물의 폭부분의 중량을 지탱할 만큼의 두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두께가 있는 상판과 하판 및 측판으로 포위된 통로속으로 증기를 통하게 하므로써, 상판을 통하여 공작물을 가열하고 있었다.
더욱이, 반송부(9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로울러(94)에 매어져 있는 벨트(92)와 상기한 이송밸트(84)의 사이로 공작물을 끼워 붙여서,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반송한다.
그러나, 공작물을 이송하는 이송밸트는 소모되어 버리므로, 거의 매년마다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유지비가 가산되었다. 또, 공작물은 이송밸트를 개재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로울러로 누르게 되므로, 제품으로서의 적층체가 파도형상으로 되기 쉬웠다. 더욱이, 가열부에 있어서의 상판의 판두께가 두꺼운 점에서 열전도율이 나쁘고, 원하는 가열을 실시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감안한 것이고, 그 목적은 이송밸트를 사용하지 않고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가열이 가능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고,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하는 것이다.
청구제1항 기재의 발명은,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제조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으로서, 그 적층체를 판형상부재에서 억눌려 있는 상태에서, 흡착시키면서 반송하는 제조방법이다.
청구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형성된 적층체는, 판형상부재에 의하여 억눌려지는 점에서 평면적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적층체를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얼룩짐이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적층체는 흡착하여 반송되므로,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는 반송에 비하여 상처를 입히기 어렵게 된다.
청구제2항 기재의 발명은,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형성하고, 그 접착된 적층체를 반송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적층체를 흡착시키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보유한다.
청구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형성된 적층체는 반송수단에 의하여 흡착하여 반송된다. 그 때문에,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에 비하여, 적층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청구제3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제2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반송수단은,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탱크와,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어, 상기한 적층체가 위치되는 벨트와, 상기한 탱크의 구멍과 상기한 벨트의 구멍 등을 통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진공펌프와, 상기한 벨트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등을 보유한다.
청구제3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형성된 적층체는, 탱크의 구멍과 벨트의 구멍을 통하여 흡착되며, 벨트에 의하여 소정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 때문에,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에 비해, 적층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청구제4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제2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적층체의 제조를 시작하기 전에,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상기한 반송수단까지 미리 이송하는 반송수단을 보유한다.
청구제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는 반송수단에 의하여 접착됨과 아울러, 적층체의 제조를 시갖하기 전에 미리 반송수단까지 이송된다. 그 때문에, 적층체를 미리 반송수단까지 이송하므로서, 그 적층체의 제조를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청구제5항 기재의 발명은,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한 접착된 적층체를 반송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적층체를 판형상부재에서 누르는 압압수단과, 그 적층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등을 보유한다.
청구제5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적층체는 판형상부재에 의하여 눌려지는 점에서 평면적으로 압력이 작용하며,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된다. 그 때문에, 요동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여도, 적층체를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얼룩짐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제6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제5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상기한 판형상부재는, 복수의 긴 판을 평면형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그 긴 판의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한다.
청구제6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층의 부재의 각 층사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제 또는 접착층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등의 증기가, 긴 판 상호간의 간격으로부터 도피하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수분 등을 효율이 좋게 증발시켜서, 적층체를 더욱 평면형상으로 형성하며, 그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청구제7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제5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상기한 판형상부재는, 복수의 각(角)부에 있어서 각각 2점으로 지지된다.
청구제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는 2점으로 지지된 판형상부재에 의하여 눌려지는 점에서, 평면적으로 또한 균등하게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적층체의 두께를 얼룩짐이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제8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제5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상기한 판형상부재는, 공급되는 유체의 체적에 따라서 팽창축소하는 가요성부재에 접하여 설치된다.
제 8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는 가요성부재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판형상부재에 의하여 눌려진다. 그 가요성부재는 유체의 체적에 따라서 팽창축소하므로, 평면적으로 또한 균등하게 적절한 압력을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에 작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체의 두께를 얼룩짐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제9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제8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복수의 가요성부재를 연통하여 접속하는 파이프와, 그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한 복수의 가요성부재에 상기한 유체를 공급하는 블로어 등을 보유한다.
청구제9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가요성부재에는 블로어로부터 파이프를 통해서 유체가 공급되므로, 복수의 가요성부재사이에서 균등한 내부압력으로 된다. 이리하여, 판형상부재를 통하여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누르기 위하여, 그 복수층이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킬 때에는 평면적 또한 균등하게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적층체의 두께를 얼룩짐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제10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제5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상기한 가열수단은, 두께가 얇고, 또한 가열체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유체관으로 되고, 그 복수의 유체관은, 상기한 적층체에 접하는 측이 평면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청구제10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적층체에 접하는 측이 평면으로 되도록 복수의 유체관이 배치되어 있는 가열수단은, 그 유체관의 두께가 얇으므로 관내를 흐르는 열유체의 열이 전달하기 쉽다. 그 때문에, 적층체에 대하여 소망의 가열을 실시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제1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유체관은 열유체가 흐르는 방향이 서로 번갈아 변하므로, 유체관에 있어서의 유체의 공급구와 배출구와의 사이에서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평면적 또한 균등하게 가열하므로, 적층체를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얼룩짐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제12항 기재의 발명은,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 사이로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제조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판형상부재에서 누르는 압압수단과, 그 접착된 적층체를 흡착시키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 등을 보유한다.
청구제1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는 판형상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점에서 평면적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적층체를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얼룩짐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적층체는 흡착하여 반송된다. 그 때문에,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에 비해, 적층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도 1은, 단계보올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단계보올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이송수단의 구성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이송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압압수단 및 가열수단의 구성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압압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압압장치를 표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9는, 압압장치를 표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승강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승강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가열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가열장치에 흐르는 증기를 제어하는 배관계통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냉각장치(냉각수단)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냉각장치(냉각수단)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반송수단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반송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반송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반송장치용의 탱크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반송장치용의 벨트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반송속도와 흡착력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종래의 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계보올제조장치, (12),(14) : 편단(공작물),
(16) : 라이너(공작물), (18) : 단계보올(적층체),
(20) : 이송수단, (22a),(22b),(24a),(24b) : 로울러,
(26),(28) : 벨트, (30) : 압압수단,
(32) : 가요성부재, (34) : 판형상부재,
(40) : 가열수단, (42a),(42b),(42c),(42d) : 유체관,
(50) : 냉각수단, (60) : 반송수단,
(62a),(62b),(62c) : 로울러, (64) : 벨트,
(66) : 탱크, (200) : 이송장치,
(300) : 압압장치, (400) : 가열장치,
(500) : 냉각장치, (600) : 반송장치.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그 형태는, 접착체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하나인 골판지를 제조하는 골판지제조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골판지 제조장치에 대하여)
우선, 골판지장치의 전체구성에 대하여, 도 1,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때에, 도 1, 도 2는 골판지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정면도를, 도 2에는 평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과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골판지제조장치(10)는 크게 분류하여 5개의 장치, 즉 반송수단(20), 압압수단(30), 가열수단(40), 냉각수단(50) 및 반송수단(6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송수단(20)은, 공작물을 반송수단(60)으로 미리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압압수단(30)은, 판형상부재에서 공작물을 평면적으로 눌러서 접착시켜, 골판지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가열수단(40)은, 성형된 적층체(즉 골판지)를 가열하는 장치이다. 냉각수단(50)은, 가열된 적층체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반송장치(60)는, 적층체를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5개의 장치에 의하여, 골판지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된다. 이때에, 공작물(복수의 평면형상부재)로서는, 라이너(liner)와 그 라이너에 대하여 파도형상부재가 고착되어 있는 편단이 사용된다. 1개의 편단과 1개의 라이너로부터「2장이 합쳐지」골판지가 제조되며, 2개의 편단과 1개의 라이너로부터는 「3장이 합쳐진」골판지가 제조된다. 또한, 상기한 1개의 라이너는「백라이너」라고도 부르며, 0.1∼0.5㎜정도의 두께를 보유하는 종이이다. 아래에서는, 3장 합친 골판지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각 편단에 대하여 파도형상부재의 정점부에 접착제(예컨대, 녹말풀등)가 앞의 공정에서 도포되고, 1개의 라이너와 함께 반송수단(20)으로 안내된다. 그 반송수단(20)에서는, 2개의 편단과 1개의 라이너를 접착시켜서 외관상 골판지를 형성하고, 압압수단(30) 등을 거쳐서 반송수단(60)으로 이송한다. 압압수단(30)은 가열수단(40)과 대향하여 대략 동일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반송수단(20)에서 접착된 만큼의 골판지를 평면적으로 눌러서 소정의 두께로 한다. 한편, 가열수단(40)은, 압압수단(30)에 의하여 눌려져 있는 골판지를 가열하여 접착제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켜, 2개의 편단과 1개의 라이너를 고착시킨다. 그 후, 가열된 골판지는 냉각수단(50)에 의하여 냉각되고, 반송수단(60)에 의하여 흡착되면서 골판지제조장치(10)의 제품완성구(화살표(D)방향)로 향해서 반송된다. 이리하여, 제품으로서의 골판지가 완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공작물로서의 편단 및 라이너(즉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판형상부재에서 누른 상태에서, 그 골판지를 흡착시키면서 반송하는 제조방법이 실현된다. 이 경우, 판형상부재에 의하여 눌려지는 지점에, 적층체에는 평면적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골판지를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얼룩짐이 없이 균일한 두께로 할 수 있다. 또, 골판지는 흡착하여 반송되므로,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에 비해, 그 적층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아래에서, 상기한 5개의 장치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은, 반송수단(2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에, 도 3은 반송수단(20)의 구성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 도 5는 반송장치(200)의 구조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는 정면도를, 도 5(A)는 평면도를, 도 5(B)는 측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또한, 도 1 등이나 이들의 도면과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반송수단(반송장치)에 대하여)
도 3에 있어서, 반송수단(20)은, 로울러(22a),(22b),(24a),(24b)와 벨트(26),(28)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22a),(22b)의 사이에는 벨트(28)가 매어져 있고, 로울러(24a),(24b)의 사이에는 벨트(26)가 매어져 있다. 이들의 로울러(22a),(22b) 및 로울러(24a),(24b)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예컨대 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되고, 이 회전구동에 따라서 벨트(26),(28)도 회전이동한다.
한편, 벨트(26),(28)는 우레탄이나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벨트(26),(28)의 사이는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평행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벨트(26)와 벨트(28)의 간격에, 공작물로서의 편단(12),(14)과 라이너(16)가 안내된다. 또한, 편단(12),(14)의 파도형상부재에는, 구체적으로는 그 정점부에 미리 앞의 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벨트(26),(28)의 사이로 안내된 편단(12),(14)과 라이너(16)는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골판지(18)로 된다. 이 골판지(18)는, 더욱이 압압수단(30), 가열수단(40), 냉각수단(50)을거쳐 반송수단으로 이송된다.
이송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편단(12),(14)과 라이너(16)(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는 미리 반송수단(20)에 의하여 반송수단(60)까지 이송된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반송수단(20)까지 공작물(편단(12),(14)와 라이너(16))을 안내하면, 적층체(골판지18)의 제조를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로울러사이에 벨트를 매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하 1세트의 로울러(22a, 24a)에서 공작물을 이송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각 로울러(22a, 24a)에 미끄럼정지수단(예컨대, 상기한 벨트를 휘감거나, 로울러 표면에 요철을 가하는 등)을 설치하면 더욱 좋다. 또, 한쪽세트의 로울러(예컨대, 로울러(22a, 22b))를 화살표(D2)방향으로 상하로 시키는 상하작동기구를 설치하면, 형성하는 골판지(18)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최초로 공작물을 벨트사이로 안내하기 쉽게 할 수있다.
다음에, 도 4와 도 5에 실제의 반송장치(200)의 예를 표시한다. 도 4에 표시하는 도포장치(100)는, 편단(12),(14)의 파상부재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즉, 로울러(102)에서 토출된 접착제는 로울러(112)의 외주면을 거쳐서 편단(12)의 파도형상부재에 도포되며, 로울러(104)에서 접착제는 로울러(106)의 외주면을 거쳐서 편단(14)의 판형상부재에 도포된다. 또한, 로울러(114, 110)는 각각 로울러(112, 106)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편단(12, 14)을 억제하기 위한 로울러이다. 한편, 라이너(16)는 로울러(108)를 개재하여 반송장치(200)로 안내된다.
반송장치(200)에서는, 도 4와 도 5에 표시하듯이, 로울러(22a),(22b)에 각각 상당하는 로울러(202a),(202b), 마찬가지로 로울러(24a),(24b)에 각각 상당하는 로울러(208a),(208b)를 보유하고 있다. 또, 로울러(202a),(202b)사이에는 벨트(220)가 매어지며, 로울러(208a),(208b)사이에는 벨트(240)가 매어져 있다. 모터(226)는 취급을 쉽게 하기 위하여 DC모터를 사용하며, 그 회전구동에 의하여 풀리(224),(222)를 통하여 로울러(202b)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모터(226)는, 반송장치(600)의 모터(616)의 사이에서 속도를 동조하지만, 그 구체적인 설명는 후술한다.
또, 로울러(202a),(208a),(208b)는, 로울러(202b)에 연결되어 있는 기어기구(216)에 의하여, 공작물을 반송장치(600) 쪽(화살표(D4)방향)으로 차례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동시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로울러(202a),(202b) 및 기어기구(216)는, 상하작동기구로서의 실린더(218)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실린더(218)에 의하여, 벨트(220),(240)의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고, 공작물(편단(12),(14)과 라이너(16))를 안내하므로서 소정의 두께를 보유하는 골판지(18)가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218)에는,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중에서 어느 것을 적용해도 좋다.
한편, 라이너(16)는, 가이드로울러(210), 프리히터(212), 로울러(206)를 거쳐서, 상기한 벨트(220),(240)사이로 안내된다. 가이드로울러(210)는 프리히터(212)의 외주측에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모터(230)의 주축에 연결되어 있는 부재(피니언 기어(pinion gear))(214)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기어(234),(236)로 전달되고, 가이드로울러(210)가 부착되어 있는 부착판(238)이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로울러(210)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은, 라이너(16)가 프리히터(212)에 접하는 시간을 조정하여, 라이너(16)를 소망의 온도로 예열하기 위해서이다.
또, 상기한 프리히터(212)에는, 증기관(228a)에서 로터리 조인트(rotary joint)(228)를 통하여 증기가 공급되고, 프리히터(212) 안에 고인 물은 역으로 로터리 조인트(228)를 통하여 배수관(228b)으로부터 배출된다.
반송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공작물은 미리 반송장치(600)까지 이송되고, 적층체(골판지(18))의 제조를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가이드로울러(21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하므로서, 라이너(16)를 소망의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16)를 예열하므로써, 뒤의 공정의 가열수단(40)과 아울러 공작물에 도포된 접착제에 함유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증발시켜서, 보다 단시간으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압압수단(압압장치)에 대하여)
다음에, 압압수단(30)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에, 도 6은 압압수단(30)과 가열수단(40)과의 구성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또, 도 7 내지 도 9는 압압장치(300)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7에는 정면도를, 도 8에는 저면도를, 도 9에는 우측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더욱이 도 10, 도 11은 승강장치을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0에는 정면도를, 도 11에는 측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또한, 도 1 등과 이들의 도면과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압압수단(30)은, 가요성부재(32)와 판형상부재(34)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요성부재(32)는, 육체로서의 공기의 공급을 가감하므로서 팽창축소한다. 또, 판형상부재(34)는, 가요성부재(32)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평면형상인 부재이다. 이 판형상부재(34)는, 그 가요성부재(32)의 팽창축소에 의하여, 앞의 공정에 있어서의 반송수단(20)으로 접착된 만큼의 골판지(18)을 평면적으로 눌려진다.
압압수단(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공작물(편단(12),(14)와 라이너(16))는 판형상부재(34)에 의하여 눌려져 있는 점에서 평면적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적층체(골판지(18))를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얼룩짐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공작물에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도포되어 있지 않던 경우나, 압압수단(30) 등으로 요동이나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적층체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판형상부재(34)는 복수의 긴 판(34a),(34b),(34c),(34d)을 평면형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그 긴 판(34a),(34b),(34c),(34d)의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마련한다.
이와 같이 간격을 마련하는 것은, 가열수단(40)의 가열에 의하여 골판지(18)에서 증발하는 수분을 도피하기 쉽게 하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공작물의 각층사이의 접착을 효과적으로 진행시켜, 보다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에 실제의 압압장치(300)의 예를 표시한다. 도 7에 표시하는 압압장치(300)는, 프레임(302), 고정부재(304), 지지부재(306), 에어백(308), 긴 판(310) 및 누름판(3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304)와 누름판(312)은 함께 프레임(302)에 고정되며, 그 고정부재(304)에는 지지부재(306)가 접속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06)는, 점지지에 의하여 긴 판(310)을 지지하고 있다. 긴 판(310)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골판지(18)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단변(短邊)측의 끝부분이 약간 윗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 에어백(308)에 접하는 쪽의 긴 판(310)의 면에는,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성의 코팅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 에어백(308)은 상기한 가요성부재(32)에 상당하며, 합성고무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백(30)은, 누름판(312)과 긴 판(3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에어백(308)에는 자신을 팽창축소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공기를 화살표(D30)방향으로 공급하는 파이프(314)가 접속되어 있다. 이 파이프(314)는 상기한 에어백(308)을 포함해서 복수(예컨대 4개)의 에어백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블로어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이 블로어는 에어백의 팽창축소를 조정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CPU(프로세서)를 보유하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어 있고, 에어백(308)을 함유하여 복수의 에어백으로 공급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이리하여, 복수의 에어백을 평균적으로 팽창축소를 조정할 수 있고, 그들의 에어백 사이에서 골판지(18)에 균등한 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
도 8, 도 9에 표시하듯이, 골판지(18)이 반송되는 방향(D4)에 대하여 옆으로 향해서 설치되어 있는 1개의 에어백(308)에는, 복수의 긴 판(310)이 프레임(30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복수의 긴 판(310)의 상호간은, 간격(d)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골판지(18)의 가열에 의하여 증발하는 수분을 도피하기 쉽게 하기 때문이다.
압압장치(300)는 상기하듯이 구성하였으므로, 공작물(즉, 적층체로서의 골판지(18))은 판형상부재(복수의 긴 판(310))에 의하여 눌려지는 점에서 공작물에 평면적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요동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여도, 공작물을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얼룩짐이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2점지지에서는, 공작물의 마찰력에 의하여 끌어당겨져서 당접면을 평행하게 유지할 수 없는 1점지지에 비하여, 압력으로 평균적분산을 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재(306)에서 2점으로 지지된 복수의 긴 판(310)은, 보다 평균적으로 공작물의 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판형상부재(34)는 복수의 긴 판(31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블록형상인 판토막을 연결하여 구성하거나, 그 연결된 판형상부재와 마찬가지의 크기를 보유하는 1장판으로 구성하는 등 다르게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연결하는 긴 판(310)이나 블록형상판토막이 많아질수록, 공작물에 대하여 평면전체에서 평균적인 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 1장판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긴 판(310)상호간의 간격에 상당하는 증기를 도피시키는 홈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기구에 대하여)
이때에, 상기한 압압장치(300)는 승강기구에 의하여 오르내림니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오르내림을 실현하는 승강장치(350)에 대하여 도 10, 도 11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승강장치(350)는, 크게 분류하여 가동장치와 위치결정장치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가동장치는, 기어박스(356), 구동축(360), 작용축(368) 및 안내통(36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360)에는 래크(364)가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도면에서 좌우방향(화살표(D36)방향)으로 이동된다. 작용축(368)에는 래크(366)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한쪽끝은 프레임(302)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370)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다른쪽 끝은 안내통(362)의 내부에 따라서 도면의 상하방향(화살표(D34)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의 구동축(360)과 작용축(368)은, 기어박스(356)내로 설치되어 있는 피니언(358)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구동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모터, 수동기어 등과 같이, 대략 구동축(360)을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라면 무엇이라도 좋다.
상기한 가동장치에서는, 구동축(360)이 도면의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래크(364)와 맞물리는 피니언(358)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용축(368)이 도면의 아래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구동축(360)이 도면의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하여 결과적으로는 작용축(368)이 도면의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위치결정장치는, 도 11에도 표시하듯이 위치조정부재(352), 스토퍼(372) 및 구동축(35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치조정부재(352)는 구동축(354)에 고정되어 있고, 그 구동축(354)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도면에 대해서 전후방향(즉, 도 10에 표시하는 화살표(D36)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위치조정부재(352)는, 스토퍼(372)와 접하는 부위(352a)가 경사하여 있다. 한편, 스토퍼(372)는 프레임(30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구동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모터, 수동기어등과 같이, 대략 구동축(354)을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라면 무엇이라도 좋다.
상기한 위치결정장치에서는, 구동축(360)이 도면의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작용축(368)이 도면의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위치조정부재(352)와 스토퍼(352)가 당접하는 위치에서 프레임(302)이 정지한다. 그 때문에, 압압장치(300)와 가열장치(400)와의 사이의 간격, 즉, 골판지(18)이 통과하는 부위의 높이를 소정거리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축(354)이 도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위치조정부재(352)의 부위(352a)의 높이가 변하므로, 상기한 간격(높이, 예컨대 0∼150㎜)을 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
승강장치(3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압압장치(300)에 의해 눌려지는 적층체(골판지18)의 두께를 소망의 두께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제조하는 골판지의 종류(예컨대, 2장합침과 3장합침등)와 같이, 적층체의 종류에 따라서 압압장치(300)를 적절한 위치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제조개시직전 등에 있어서, 승강장치(350)에 의하여 압압장치(300)를 위쪽으로 퇴피시켜서, 적층체의 선단부분을 반송장치(600)에 까지 이송되기 쉽게 하거나, 가열장치(400)에 부착·토적된 먼지 등을 제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가열수단(가열장치)에 대하여)
다음에, 가열수단(40)에 대하여 도 6, 도 12, 도 13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에, 도 12는 가열장치(400)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가열장치(400)에 흐르는 증기를 제어하는 배관계통을 표시하는 블록도면이다. 또한, 도 1등이나 이들의 도면과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가열수단(40)은, 증기 등의 열유체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유체관(42)(도 6에서는 4개의 유체관(42a),(42b),(42c),(42d))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그 복수의 유체관(42)은 골판지(18)에 접하는 측이, 그 골판지(18)의 통로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유체관(42)은 금속제로서, 그 유체관(42)의 두께를 예컨대 5∼10㎜정도로 얇게 하여, 소정 형상(도 6에서는 단면이 4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체관(42)내로 열유체를 소정 방향(예컨대, 화살표(D40)방향)으로 흐르게 하고, 그 유체관을 통하여 열에너지를 골판지(18)에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수단(40)은 유체관(42)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였으므로, 열전도율이 높아지고, 열유체의 온도로 추종하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열유체를 공급하는 보일러 등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적층체(골판지(18))를 가열하는 소망의 온도로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가열수단(40)자체의 중량이 가볍게 되므로, 가열수단(40)의 설치나 이전 등이 실시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복수의 유체관(42)으로 흐르게 하는 열유체의 방향을 서로 번갈아(예컨대, 도 6에 표시하는 화살표(D40),(D42)방향으로)변하게 하면, 유체관(42)의 공급구와 배출구의 사이에서 온도차가 발생하여도, 서로 이웃하는 유체관(42)사이에서 열교환이 실시되는 등에 의하여, 적층체에 접하는 쪽의 면은 전체적으로 작아진다. 이리하여, 가열수단(40) 전체에 있어서, 보다 균등하게 적층체를 가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 도 13에 실제의 가열장치(400)의 예를 표시한다. 도 12에 표시하는 가열장치(400)는 1세트의 유체관(410),(412),(414),(416)을 복수의 세트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어느 것도 프레임(402)에 고정되어 있다. 1개의 유체관은 각각 U자형상인 외관을 이룩하며, 그 단면이 4각통(예컨데, 가로세로의 길이가 각각 6㎜)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1세트의 유체관(410),(412),(414),(416)마다, 도 13에 표시하듯이, 공급파이프(440)나 배출파이프(442)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3에 표시하는 배관계통은, 상기한 유체관(410),(412),(414),(416)으로, 열유체로서의 증기를 공급파이프(440)로부터 공급하며, 최종적으로 배출파이프(442)로 배출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증기는 가장 안전한 열유체이고, 140∼200도 정도의 온도와, 20∼30㎏/㎠정도의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열유체는 증기로 한정되지 않고, 가열된 다른 가스나 액체라도 좋다.
이 배관계통은, 다음과 같이 배관접속되어 있다. 우선, 트랩(448) 및 조작밸브(446)를 사이에 두고 밸브(452),(444)가 직렬로 접속되며, 이 직렬접속으로 밸브(450)가 병행하여 접속되어 있다. 밸브(444),(450)의 접속점에는, 한쪽이 밸브(436)를 거쳐서 압력계(438)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밸브(434)를 거쳐서 외부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444),(450)의 접속점에는, 더욱이 유체관(410),(412),(414),(416)의 공급구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한편, 유체관(410),(414)의 배출구는 직접 배출파이프(442)에 접속되며, 유체관(412),(416)의 배출구는 밸브(424),(428)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계(428) 및 체크밸브(422)를 사이에 두고 밸브(428, 420)가 직렬로 접속되며, 이 직렬접속에 밸브(424)가 병행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424),(420)의 접속점은, 유체관(410),(414)의 배출구와 아울러 배출파이프(442)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유체관(410),(414)의 배출구와, 유체관(412),(416)의 배출구와의 사이에는, 트랩(448) 및 트렌드계기(430)가 질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배관접속에 의하여, 공급파이프(440)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는, 조작밸브(446)에 의하여 유체관(410),(412),(414),(416)으로 공급하는 압력이나 흐르는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현재의 증기의 압력이나 유량을 압력계(438), 유량계(426)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열장치(4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그 유체관의 두께가 얇으므로 관내를 흐르는 열유체(증기)의 열이 전도되기 쉽다. 그 때문에, 적층체(골판지(18))에 대하여 원하는 가열을 실시할 때까지에 필요로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냉각수단(냉각장치)에 대하여)
다음에, 냉각수단(50)을 구체화 한 냉각장치(500)에 대하여, 도 14,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에, 도 14, 도 15는 냉각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4(A)에는 평면도를, 도 14(B)에는 정면도를, 도 15에는 측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또한, 도 1 등과 이들의 도면과의 공통적인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4, 도 15에 있어서, 냉각장치(500)는, 베이스프레임(502), 로울러(504), 가이드프레임(502), 가이드(508), 송풍기용 프레임(510) 및 송풍기(51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502)은 가열장치(400)나 반송장치(600)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받침부재(514)를 보유하고 있고, 가이드프레임(502), 로울러(504) 및 송풍기용 프레임(5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504)는, 골판지(18)이 진행방향(D4)에 따라서 이동하기 쉽게 한다. 또, 가이드프레임(502)을 통하여 가이드(508)가 설치되어 있고, 요동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골판지(18)이 손상등 입히지 않도록 안내한다. 더욱이, 송풍기용 프레임(510)에는 송풍기(510)가 설치되어 있고, 골판지(18)에 경사방향으로부터 바람을 맞게 하여 냉각한다.
상기한 냉각장치(500)의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508)에 의하여 적층체(골판지18)의 손상 등을 방지하여 냉각을 실시할 수 있다. 또, 그 냉각은 경사방향으로부터 적층체에 바람을 맞게 하고 있으므로, 효율이 좋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정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골판지의 제조장치(10)의 전체공정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반송수단(반송장치)에 대하여)
다음에, 반송수단(60)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0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에, 도 16은 반송수단(60)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 도 18은 반송장치(600)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7(A)에는 평면도를, 도 17(B)에는 정면도를, 도 18에는 도 17(A)의 우측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19는 반송장치(600)용의 탱크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9(A)에는 평면도를, 도 19(B)에는 측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20은 반송장치(600)용의 벨트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0(A)에는 평면도를, 도 20(B)에는 도 20(A)의 B-B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또한, 도 1 등과 이들의 도면과 공통하는 요소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도 18에서는 로울러구동용의 모터(61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반송수단(60)은, 로울러(62a),(62b),(62c)와, 벨트(64) 및 탱크(66)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62a),(62b),(62c)에는 벨트(64)가 매어져 있고, 그 벨트(64)에는 복수의 구멍(64a)이 설치되어 있다. 탱크(66)는 벨트(64)와 접하는 면에 복수의 구멍(66b)이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66a) 등을 개재하여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로울러(62a),(62c)는 탱크(66)의 대향하는 면으로서, 또한 배출구(66a)가 없는 면에 배치된다.
이때에, 벨트(64)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64a)과 탱크(66)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66b)은, 벨트(64)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 의하여, 벨트(64)의 이동에 따라서 구멍(64a)과 구멍(66b)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변화해도 항상 공기가 흡입되며, 그 흡입된 공기는 배출구(66a) 등을 개재하여 진공펌프로 흡인된다. 그 때문에, 벨트(64)상에 골판지(18)이 재치되면, 공기와 아울러 골판지(18)이 벨트(64)에 흡착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벨트(64)가 소정 방향(화살표(D4)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벨트(64)에 흡착된 골판지(18)도 또 이동한다.
반송장치(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적층체(골판지18)는 탱크(66)의 구멍(66b)과 벨트(64)의 구멍(64a) 등을 통하여 흡착되며, 벨트(64)의 모터구동에 의하여 반송된다. 이리하여,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에 비하여 요동이나 진동 등이 거의 없어지므로, 적층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또, 벨트(64)의 재질을 솜으로 하면, 적층체에 보다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7 내지 도 20에 실제의 반송장치(600)의 예를 표시한다. 도 17, 도 18에 표시하는 반송장치(600)는, 주로서 벨트(604), 탱크(608), 진공펌프(610) 및 모터(61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탱크(608)는 베이스프레임(602)에 고정되어 있고, 파이프(612)를 통하여 진공펌프(61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탱크(608)는, 도 19(A)에 표시하듯이, 복수의 구멍(608a)이 벨트(604)와 접하는 면에, 그 벨트(604)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9(B)에 표시하듯이, 탱크(608)의 평면부(예컨데 밑면)에는 복수의 배출구(608b)가 설치되어 있고, 그 복수의 배출구(608b)는 진공펌프(610)와의 사이로 파이프(612)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608)내의 공기는 복수의 구멍(608a)으로 들어가서 파이프(612)를 통하여 배출되며, 진공펌프(610)로 흡입된다.
도 17, 도 18로 되돌아가서 벨트(604)는, 로울러(606),(620),(622),(624)에 매어져 있다. 그 중에서 로울러(620)는 모터(616)의 주축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로울러(606),(622),(624)는 베이스프레임(602)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울러(622),(624)는 벨트(604)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로울러이다. 이리하여, 벨트(604)는 모터(616)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로울러(606),(620),(622),(624) 사이를 통하여 소정 방향(도 7(B)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으로 주행한다.
또, 벨트(604)는, 도 20(A)에 표시하듯이, 복수의 구멍(604b)이 탱크(608)의 복수의 구멍(608a)과 동일위치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벨트(604)의 이동에 따라서 탱크(608)의 구멍(608a)과 벨트(604)의 구멍(604b)의 위치관계가 변화해도 항상 공기가 흡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복수의 구멍(604b)은, 도 20(B)에 표시하듯이, 1개의 팬곳(604a)내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렇게 한 팬곳(604a)은 벨트(604)상에 복수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벨트(604)상으로 골판지(18)이 재치된 경우에는, 진공펌프(610)에 의한 공기의 흡입에 의하여 팬곳(604a)전체에서 골판지(18)을 흡착하게 된다.
이때에, 모터(616)에 의한 반송속도(x, 예컨대 0∼300m/min)와, 진공펌프(610)에 의한 흡착력(y)의 관계는, 도 21과 같이 되어 있다. 즉, 반송속도가 변화하면 일정관계(도면에서는 1차관계 y=ax+b에 의한 비례관계)에 의하여 흡착력을 변화시키므로서, 골판지(18)을 소망의 반송속도로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반송속도와 흡착력의 사이의 관계는 비례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관수형식으로 나타내는 직선이나 곡선, 복수개의 데이터에 의한 직선보간근사나 곡선보간조사 등과 같이, 제조하는 적층체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도 17, 도 18로 되돌아가서, 베이스프레임(602)에는 가이드프레임(614)이 고정되어 있고, 그 가이드프레임(614)에는 가이드(61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618)는, 골판지(18)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단변측의 선단부가 약간 상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골판지(18)은 가이드(618)와, 탱크(608)위를 주행하는 벨트(604)와의 사이를 화살표(D4)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에, 반송장치(600)의 모터(616)와, 반송장치(200)의 모터(226)와의 사이에서는, 속도동조를 실시하면서 운전을 실시한다. 이 운전에는, 2개의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모터제어장치가 사용된다. 즉, 반송장치(200)에 의하여 반송장치(600)까지 이송된 골판지(18)은, 반송장치(600)의 반송속도에 따라서 반송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작업원이 우선 반송장치(200)에서 반송장치(600)까지 골판지(18)을 이송하고, 그후에 상기한 모터제어장치의 스위치를 속도에 동조하는 쪽으로 변환하여 골판지(18)의 제조를 개시한다. 따라서, 골판지(18)을 순조롭게 반송시킬 수 있다. 또, 공작물을 반송장치(200)까지 공급하면, 골판지(18)의 제조가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모터(226)의 이송속도로부터, 2개의 모터의 속도동조로의 변환은, 상기한 스위치의 변환으로 한정되지 않고, 시초부터 속도동조운전을 실시해도 좋다. 또, 반송장치(600)에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가 골판지(18)을 검출하는 모터제어장치를 속도동조운전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에, 상기한 센서에는 리밋스위치 등의 접촉형센서나, 광센서 등의 비접촉형센서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더욱이, 모터(226)의 회전을 누계하여 골판지(18)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그 이동거리로부터 골판지(18)이 반송장치(600)에 동달한 것을 판단하여 모터제어장치를 속도동조운전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좋다.
반송장치(6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적층체(골판지 18)는 탱크(608)의 구멍(608a)과 벨트(604)의 구멍(604b) 등을 통하여 흡착되며, 벨트(604)의 모터구동에 의하여 반송된다. 그 때문에, 모터(226)의 가동범위내에서 적층체의 반송속도를 자재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적층체를 흡착하여 반송하기 위하여, 종래의 골판지제조장치와 같은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에 비하여 요동이나 진동등이 거의 없어진다. 따라서, 적층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또한, 탱크(608)는 하나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작은 탱크를 연결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작은 탱크 사이를 파이프(612)로 연통할 필요가 있다. 또, 탱크(608)에 있어서의 구멍(608a)의 크기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나 크면 적층체가 구멍(608a)으로 흡착되어서 요철이 발생하여 버리므로, 적절한 크기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탱크(608)의 구멍(608a)이 설치되어 있는 쪽의 면은, 그 표면이 평활한 철망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한 경우라도, 확실하게 적층체를 소망의 반송속도로 반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이송밸트를 사용하지 않고,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러닝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가열수단(40)으로 두께가 얇은 유체관을 사용하였으므로, 열효율이 높아지고, 적층체에 대하여 소망의 가열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체관으로 흐르게 하는 열유체를 공급하는 보일러 등의 열원에서는, 그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그외의 부분의 구조, 형상, 크기, 재질, 개수, 배치 및 동작조건 등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를 응용한 다음의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1) 공작물(복수의 평면형상부재)의 각 층사이는 접착제로 접착시켰지만, 각층 사이에 접착제 함침지지체나 용융접착제 등의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접착시켜도 좋다.
접착제 함침지지체는 예컨대 압력을 작용시키면 접착성이 발휘되는 부재이고, 용융접착체는 예컨대 가열에 의하여 접착성이 발휘되는 부재이다. 이 경우, 압력은 압압수단(30)에 의하여, 가열은 가열수단(40)에 의하여 실현되므로,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적층체의 제조를 실시할 수 있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본 발명은 골판지(18)을 제조하는 골판지(18) 제조장치(10)에 적용했지만, 다른 적층체를 제조하는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적층체로서는, 종이나 플라스틱 등의 평면형상부재에 필름을 접착시킨 것이나, 합판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적층체라도, 러닝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고, 또 열원의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발명의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상태이외의 발명의 상태를 보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태를 아래에 열거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관련설명을 실시한다.
(형태 1) 청구제3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상기한 모터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속도와, 상기한 진공펌프에 의한 흡착력 등을 소정의 관계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형태 1에 의하면, 반송속도가 변화하여도, 확실하게 적층체를 반송할 수 있다.
(형태 2) 청구제4항 기재의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상기한 반송수단의 반송속도와 상기한 반송수단의 반송속도 등을 속도동조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형태 2에 의하면, 이송속도와 반송속도를 속도동조시킴로서, 적층체를 순조롭게 반송시킬 수 있다.
(형태 3) 형태 2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적층체가 상기한 반송수단까지 이송된 것을 검출하여, 상기한 이송속도와 상기한 반송속도를 속도동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형태 3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속도동조가 실시되므로, 제조장치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형태 4) 형태 2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상기한 판형상부재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장치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형태 4에 의하면, 위치결정장치에 의하여 판형상부재가 적절한 위치로 위치결정되므로,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적절한 압력으로 억압할 수 있다.
(형태 5) 청구제5항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적층체를 경사방향으로부터 냉각하는 냉각수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형태 5에 의하면, 적층체는 경사방향으로부터 냉각되므로, 그 냉각효율이 좋다.
그 때문에, 냉각방향의 공정길이를 단축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장치전체의 공정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체를 보다 평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얼룩짐이 없이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송밸트에 의한 적층체의 반송에 비하여, 적층체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Claims (12)

  1.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제조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으로서,
    그 적층체를 판형상부재(34)에서 눌려 있는 상태로, 흡착시키면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방법.
  2.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 사이로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형성하고, 그 접착된 적층체를 반송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적층체(18)를 흡착시키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그 반송수단은,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탱크(66)와,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며, 상기한 적층체를 재치하는 벨트(64)와,
    상기한 탱크(66)의 구멍과 상기한 밸트의 구멍 등을 통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진공펌프와,
    상기한 벨트(64)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등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적층체의 제조를 시작하기 전에,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상기한 반송수단(60)까지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5.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 사이로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형성하고, 그 접착된 적층체를 반송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적층체(18)를 판형상부재(34)로 누르는 압압수단(30)과,
    그 적층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40) 등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판형상부재는, 복수의 긴 판을 평면형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그 긴 판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판형상부재는, 복수의 각(角)부에 있어서 각각 2점으로 지지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판형상부재는, 공급되는 유체의 체적에 따라서 팽창축소하는 가요성부재(32)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요성부재(32)를 연통하여 접속하는 파이프와,
    그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한 복수의 가요성부재(32)에 상기한 유체를 공급하는 블로어 등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수단(40)은, 두께가 얇고, 또한 열유체를 흐르게 하는 복수의 유체관(42a),(42b),(42c),(42d)으로 되고,
    그 복수의 유체관은, 상기한 적층체에 접하는 측이 평면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그 복수의 유체관으로 흐르게 하는 열유체의 방향이 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12.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의 각층사이로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접착시켜서 적층체를 제조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로서,
    그 복수층의 평면형상부재를 판형상부재(34)로 누르는 압압수단(30)과,
    그 접착된 적층체를 흡착시키면서 반송하는 반송수단(60) 등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장치.
KR1019970004624A 1996-02-16 1997-02-15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255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29383A JP2812911B2 (ja) 1996-02-16 1996-02-16 段ボ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96-29383 1996-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516A KR970061516A (ko) 1997-09-12
KR100255137B1 true KR100255137B1 (ko) 2000-05-01

Family

ID=1227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624A KR100255137B1 (ko) 1996-02-16 1997-02-15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812911B2 (ko)
KR (1) KR100255137B1 (ko)
CN (1) CN1079733C (ko)
TW (1) TW3224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0520B2 (en) 2004-04-09 2009-10-13 Young Man Choi Portable electric curling iron
KR20140148202A (ko) * 2013-06-21 2014-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부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2563A (zh) * 2011-09-21 2012-05-09 朱青东 瓦楞纸真空输送装置
CN112319004A (zh) * 2020-10-22 2021-02-05 江阴市沪澄绝缘材料有限公司 电磁轨道用环氧玻璃布层压板的制备工艺
CN112440475A (zh) * 2020-10-22 2021-03-05 江阴市沪澄绝缘材料有限公司 一种酚醛棉布层压板的制备工艺及其制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422B2 (ja) * 1992-08-27 2002-08-12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の貼合わせ方法
JPH06336228A (ja) * 1993-05-24 1994-12-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トレイ内のシート材自動接着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0520B2 (en) 2004-04-09 2009-10-13 Young Man Choi Portable electric curling iron
KR20140148202A (ko) * 2013-06-21 2014-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부착 장치
KR102046998B1 (ko) * 2013-06-21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516A (ko) 1997-09-12
CN1176178A (zh) 1998-03-18
TW322452B (ko) 1997-12-11
CN1079733C (zh) 2002-02-27
JPH09220797A (ja) 1997-08-26
JP2812911B2 (ja) 199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62985B (zh) 用于处理基板的装置
KR100255137B1 (ko)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8073906A (ja) 段ボールシート水分付与装置
EP0750986B1 (en) Web holddown mechanism for corrugator double backer
KR19990013965A (ko) 파형 이중 백커용 진공식 웹 구동기
EP3678859B1 (en) Plant for the production of corrugated cardboard
JP2009285597A (ja) フィルム固定装置
EP0826486A2 (en) Improved heating module for upper web surface in a double backer
WO2002007955A2 (en) Apparatus for refurbishing belts
CN1073629A (zh) 用于加工六边形格的蜂窝芯的装置和方法及由此形成的蜂窝芯
CN219765863U (zh) 一种保温岩棉板加工用均匀涂胶装置
KR20190115222A (ko) 텐션밀착공급기능을 갖는 에어컨용 필터 제조장치
KR200335901Y1 (ko) 라미네이팅 패널 제조기기의 시트 코팅장치
US5926973A (en) Vacuum assisted beltless holddown for double backer
AU4498289A (en) Improvements in corrugating machines
CN219356786U (zh) 一种石墨毡涂胶装置
KR101099528B1 (ko) 베이킹 장치
JP2006315393A (ja) 段ボールシート製造装置のシート加熱装置
KR100592686B1 (ko)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코어판 본딩장치
CN105922738A (zh) 墨盒刮片的组装方法
KR200369600Y1 (ko) 가구용 멀티톤 필름 및 그 가공장치
JPH0847991A (ja) ハニカムコアの製造方法
JPH0538924Y2 (ko)
JPH10305499A (ja) ダブルフェーサ
KR100603068B1 (ko) 가구용 멀티톤 필름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