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109B1 - Imag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109B1
KR100221109B1 KR1019940702356A KR19940702356A KR100221109B1 KR 100221109 B1 KR100221109 B1 KR 100221109B1 KR 1019940702356 A KR1019940702356 A KR 1019940702356A KR 19940702356 A KR19940702356 A KR 19940702356A KR 100221109 B1 KR100221109 B1 KR 10022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cathode
control electro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704050A (en
Inventor
마사또 사이또
료 스즈끼
데쯔야 시로이시
고우이찌 사꾸라이
요시오 야마네
히데노부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Publication of KR94070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7040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1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6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ine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스크린상에 휘도 불균등이 없는 분명한 이미지를 만들고 절감된 경비로 제조된 가볍고 얇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를 방사하는 실같은 핫 캐소드(1) ; 캐소드(1)로부터 방사된 전자를 가속하여 끌어내는 관통된 커버 전극(2) ; 전자 빔(2)이 통과하도록 전자-통과 구멍(4a)을 갖고 캐소드(1)에 실제로 병렬로 배치된 제어 전극(4)으로 전자 빔(12)을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제어 전극(4) ; 굴곡진 표면상에 위치하고 전자빔(2)을 조사할때 빛을 내는 발광 소자 ; 제어 전극(4)과 발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여 포커싱 전극(101, 102, 103) 으로 구분되는 포커싱 전극(10A)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 포커싱 전극(10A)과 제어 전극(4)은 각각의 굴곡진 표면을 포함하고 줄같은 핫 캐소드(1)와 관통된 커버 전극(3)은 평평한 면에 형성되고 제2그리드는 제어 전극(4)과 관통된 커버 전극(3) 사이에 제공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and thin image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at a reduced cost by making a clear image without luminance unevenness on the entire screen. The image display device comprises a threaded hot cathode 1 emitting electrons;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2 which accelerates and draws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1; A control electrode 4 adapted to control the electron beam 12 with a control electrode 4 having an electron-passing hole 4a for the electron beam 2 to pass through and which is actu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athode 1; A light emitting element which is located on a curved surface and which emits light when irradiating the electron beam 2; A focusing electrode 10A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is divided into focusing electrodes 10 1 , 10 2 , 10 3 .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focusing electrode 10A and the control electrode 4 each have a curved surface, a stripe hot cathode 1 and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re formed on a flat surface and the second grid is a control electrode. It is provided between the 4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Description

[발명의 명칭][Name of invention]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Image display device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기술적인 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플랫-타입(flat-type)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휘도 불균일이 적은 개선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type image display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low luminance unevenness.

[배경 기술]Background Technology

제16도와 제17도는 각각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고 제226949/1991과 184239/1988에 공개된 통상의 플랫-타입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된 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제16도와 17도에서, 도면번호(1)은 줄같은 핫(hot) 캐소드를 나타내고 이것의 각각은 지지대(support)에 연결되어 전원이 들어올때 전자를 방사하고, 번호(3)은 관통된 커버 전극을 나타내고 각각은 그 부분에서 모양이 타원으로 각각의 줄 같은 핫 캐소드를 덮는다. 각각의 커버 전극(3)은 적당한 전위가 인가될때 전자가 통과하여 대응하는 줄 같은 핫 캐소드(1) 밖으로 전자가 나가는 작은 구멍을 갖는다. 전자-방사원(40)은 줄같은 핫 캐소드(1), 관통된 커버 전극(3)과 병렬로 배치된 커버 전극(3)을 고정시키는 후방 전극(42)을 포함하고 각각은 대응하는 커버 전극(3)의 것과 동일한 전위를 가정한다. 번호(8)는 도트(dot) 또는 줄이 쳐진 식으로 세가지 유형의 발광소자(도시안됨)를 갖는 내부 표면상에 코팅된 전면 유리를 도시하고 이러한 발광소자에 전기적인 도통을 위해 알루미늄 필림(도시안됨)이 덮히고, 발광소자는 전자-반사원(40)으로 부터 방사된 전자에 의해 각각의 색 즉, 적, 녹 및 청색으로 여기 되도록 적용된다.16 and 1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conventional flat-type image display apparatuses disclosed, for example,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s 226949/1991 and 184239/1988, respectively, partially enlarging main parts of other embodiments. In Figures 16 and 17,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stripe hot cathode,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 support to emit electrons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number 3 is a perforated cover Represent the electrodes and each cover each row-like hot cathode with an ellipse in shape at that part. Each cover electrode 3 has a small hole through which electrons pass through and out of the corresponding stringy hot cathode 1 when an appropriate potential is applied. The electron-emitting source 40 comprises a stripe hot cathode 1, a rear electrode 42 which holds the cover electrode 3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ierced cover electrode 3, each of which has a corresponding cover electrode ( Assume the same potential as that of 3). Number 8 shows the windshield coated on the inner surface with three types of light emitting elements (not shown) in the form of dots or lines, and an aluminum film (shown for electrical conduction to these light emitting elements). Is covered,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dapted to be excited in each color, namely red, green and blue, by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n-reflecting element 40.

그러한 구조에서, 약 5 내지 약 30㎸의 전압을 전면 유리(8)에 인가시키는 것은 전자가 가속되어 발광소자(도시안됨)가 빛을 내도록 여기되게 한다. 번호(4)는 전면 유리(8)를 향해 각각의 커버 전극(3)에 의해 나온 전자의 패시지(passage)를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제어 전극을 나타내고, 제어 전극은 전면 유리(8)와 실같은 핫 캐소드(1) 사이에 위치한다. 번호(10)는 제어 전극(4)의 전자-통과구멍(4a)을 통과한 전자빔이 전자-통과 구멍(10a)을 통과하여 발광소자의 해당 도트에 촛점이 맞도록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포커싱(focusing) 전극을 나타낸다. 제어 전극(4)은 예를 들어 에칭-관통된 금속기판을 절연막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표면-절연 기판(5)인 전면유리(8)상에 형성된 피셀에 대응하는 전자-통과 구성(4a)을 갖는 표면-절연 기판(5)과, 각각의 픽셀 칼럼에 대응하는 전자-방사원(40) 측상 또는 표면-절연 기판(5)의 더 낮은 면에 배치되고 전자-통과 구멍을 갖는 줄쳐진 패턴의 금속전극(6)을 포함하는 제1제어 전극 그룹(6A) 및 각각의 픽셀의 열에 대응하는 표면-절연 기판(5)의 윗면에 배치되고 전자-통과 구멍을 갖는 줄같은 패턴인 금속 전극(7)을 포함하는 이전의 그룹과 유사한 제2제어 전극 그룹(7A)을 포함한다. 제1, 제2제어 전극 그룹(6A, 7A)의 각각의 금속 전극은 예를 들어 니켈-필름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제어 전극 그룹(6A, 7A)은 각면으로부터 니켈 구멍을 통해 각각의 전자-통과 구멍내에 존재하는 니켈-없는 부분에 의해 서로 절연된다. 제1제어 전극 그룹(6A)은 더우기 분리 홈(groove : 44) 또는 니켈-없는 절연 홈을 포함하고, 이것은 줄같은 핫 캐소드(1)에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전자-통과 구멍(4a) 사이에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2제어 전극 그룹(7A)은 제1제어 전극 그룹(6A)의 분리 홈(44)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분리 홈(45)을 포함한다. 이것은 플랫 판넬의 형태로 봉합된 둘레내로 배치되고, 이것의 내부는 진공이다. 전극 각각은 보통 고정-유지 부재(도시안됨)에 의해 평평하게된 식으로 보통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봉합된 둘레의 뒷면에 제공된 봉합-부분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In such a structure, applying a voltage of about 5 to about 30 kW to the windshield 8 causes electrons to be accelerated to excite the light emitting element (not shown) to emit light. The number 4 denotes a control electrode which blocks or permits passage of electrons emitted by each cover electrode 3 towards the windshield 8, which control hot as a windshield 8. It is located between the cathodes (1). Numeral 10 denotes focusing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so that the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4a of the control electrode 4 passes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10a and focuses on the corresponding do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focusing) electrode. The control electrode 4 has an electron-passing configuration 4a corresponding to a picel formed on the windshield 8, for example a surface-insulating substrate 5 formed by coating an etched through metal substrate with an insulating film. A stripe pattern metal electrode having an electron-passing hole and disposed on the surface-insulating substrate 5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surface of the surface-insulating substrate 5 or the electron-emitting source 40 corresponding to each pixel column. A first electrode group (6A) comprising (6) and a metal electrode (7) in a stripe pattern having an electron-through hole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urface-insulating substrate (5) corresponding to the column of each pixel; A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7A similar to the previous group that includes it is included. Each metal electro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s 6A, 7A is formed of, for example, nickel-film.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s 6A, 7A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nickel-free portions present in each electron-passing hole through nickel holes. The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A furthermore comprises a groove 44 or a nickel-free insulated groove, which extends between the electron-passing holes 4a perpendicular to the stripe hot cathode 1. do. Similarly, the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7A includes a separation groove 45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separation groove 44 of the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A. It is placed into a sealed perimeter in the form of a flat panel, the interior of which is a vacuum. Each of the electrodes is usu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via a seal-portion provided on the backside of the normally sealed and electrically sealed circumference in a flattened manner by a holding-holding member (not shown).

제18도와 19도는 역시 다른 통상의 플랫-타입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한다. 제19a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제어 전극(4)의 배치의 투시도이고 제19b도는 그 부분의 확대도이다. 제18 및 19도에서, 동일한 번호가 제16도와 17도의 대응 부분을 나타내고 그러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이러한 예는 커브모양의 전면 유리(8)로서 스트레스 복원(나중에 기술)이 되고 전체 장치가 가벼워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더우기, 이러한 예는 제1제어 전극 그룹(6A)과 제2제어 전극 그룹(7A)을 구비하고 이것은 절연 기판(5)의 전자-통과 구멍에 관통하는 금속막 대신에 줄-같은 금속 전극(6)과 줄-같은 금속 전극(7)을 각각 포함한다. 그들의 전자-통과 구멍은 절연기판(5)의 대응하는 전극-통과 구멍과 일치하며 제어 전극(4)의 전자-통과 구멍(4a)을 정의하는 식으로 전극(6, 7)이 절연기판(5)에 붙는다.18 and 19 also illustrate another conventional flat-type image display device. FIG. 1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electrode 4 shown in FIG. 18 and FIG. 19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thereof. In Figs. 18 and 19, the same numerals denote corresponding parts in Figs. 16 and 17 and descriptions of such parts are omitted. This exampl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urved front glass 8 becomes a stress recovery (described later) and makes the whole apparatus lighter. Moreover, this example has a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A and a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7A, which is a string-like metal electrode 6 instead of a metal film penetrating the electron-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5. ) And a string-like metal electrode 7, respectively. Their electron-through holes coincide with the corresponding electrode-through holes of the insulating substrate 5 and define the electron-through holes 4a of the control electrode 4 so that the electrodes 6, 7 are insulated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5. )

[동작 설명][Description of operation]

줄 같은 핫 캐소드(1)으로 부터 나온 열전자는 관통된 커버 전극(3)에 인가된 약 5 내지 40V의 플러스 전위로 나오고, 플러스 전위는 기준 전위(이후로는 이러한 평균 전위는 0V 로 가정됨)로서 가정된 줄같은 핫 캐소드(1)의 평균 전위에 대한 것이다. 더우기, 선같은 핫 캐소드(1)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금속 전극(6)으로 이루어진 제1제어 전극 그룹(6A) 중 한개 전극에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전위에 대한 약 20V 내지 100V의 플러스 전위를 인가하므로서, 열전자는 이러한 전극을 향해 유기되고 제어 전극(4)에 도달한다. 관통된 커버 전극(3)의 모양을 조정하고, 제1제어 전극 그룹(6A)의 위치와 전극이 각각의 금속 전극(6)에 인가되기에 제1제어 전극 그룹(6A)의 금속 전극의 표면상에 전자빔의 밀도가 실제로 일정하게 되도록 이 장치는 설계된다.The hot electrons from the string-like hot cathode 1 come out with a positive potential of about 5 to 40 V applied to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with the positive potential being the reference potential (hereafter this average potential is assumed to be 0 V). As for the mean potential of the row-like hot cathode 1 assumed. Furthermore, about 20V to 100V of the potential of the row of hot cathodes 1 to one of the first group of control electrodes 6A consisting of metal electrodes 6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hot cathodes 1. By applying a positive potential, the hot electrons are directed towards these electrodes and reach the control electrode 4. The shape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is adjusted,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A and the surface of the metal electrode of the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A because the electrode is applied to each metal electrode 6. The device is designed such that the density of the electron beam on the image is actually constant.

이러한 제어 전극(4)의 동작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84239/1988호에 기술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72642/1987, 126688/1989 및 226949/1991 호에 기술된 대표적인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의 동작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Although the operation of this control electrode 4 is not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84239/1988, for example, representative matrix-type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172642/1987, 126688/1989 and 226949/1991. Note that it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제1제어 전극 그룹(6A)의 한개 금속 전극(6)이 플러스 전위(온-상태)로 가정되고 다른 것은 0V 또는 음 전위(오프-상태)로 가정된다면, 줄같은 핫 캐소드(1)로부터 나온 전자는 플러스 전위로 제어 전극(6)에 의해 유기되어 제어 전극(6)의 각 전극-통과 구멍(4a)에 입력된다. 그러나, 모든 전자가 전면 유리(8)를 향해 구멍에 들어가지 않는다. 제2제어 전극 그룹(7A)이 0V 또는 음의 전위로 될때, 음 전위 영역은 제2제어 전극 그룹(7A)에 의해 발생되어 전자가 전자-통과 구멍(4a)내에 멈춘다.If one metal electrode 6 of the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A is assumed to be a positive potential (on-state) and the other is assumed to be 0 V or a negative potential (off-state), then it may be from a stringy hot cathode 1 Electrons are induced by the control electrode 6 at a positive potential and input into each electrode-passing hole 4a of the control electrode 6. However, not all electrons enter the hole towards the windshield 8. When the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7A becomes 0V or negative potential, a negative potential region is generated by the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7A so that the electrons stop in the electron-passing hole 4a.

결과적으로, 전자는 금속 전극의 교차부에 놓여있는 전자-통과 구멍(4a)을 통해 오직 통과되고, 제1제어 전극 그룹(6A)의 양 전위로 인가되고, 금속 전극은 제2제어 전극 그룹(7A)의 양 전위(예를 들어 40V 내지 100V)로 인가된다. 구멍(4a)을 통과한 전자는 구멍(4a)에 일치하여 위치된 발광소자가 발광하도록 한다.As a result, electrons are only passed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s 4a lying at the intersections of the metal electrodes, and are applied at the positive potential of the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A, and the metal electrode is applied to the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 7A) at a positive potential (e.g., 40V to 100V). The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hole 4a cause the light emitting element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hole 4a to emit light.

그러므로, 금속 전극(6, 7)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므로서 필요한 픽셀 디스플레이가 얻어질 수 있고 그래서 교차되는 부분은 필요한 위치에 위치한다.Therefore, the required pixel display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electrodes 6, 7 so that the intersections are located at the required positions.

각 픽셀의 휘도는 제2제어 전극 그룹(7A)의 각각의 전극의 온-상태 유지를 조절하므로서 제어된다.The luminance of each pixel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on-state holding of each electrode of the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7A.

이런 경우에, 전자-통과 구멍(4a)을 통과한 전자 빔(2)이 구멍(4a)에 대응하는 도트내에 포커싱 되는 것이 필요하다. 전자-통과 구멍(4a)을 통한 휘도 소자의 도트를 통과한 전자빔(2)이 다른 것에 일치하고 색 흐름이 이미지에서 발생되거나 이미지의 불명료한 윤곽이 된다. 그런 이유로, 포커싱 전극(10)은 전자 빔의 통로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어서 전자 빔은 적절한 전압을 포커싱 전극에 인가하므로서 필요한 도트의 휘도소자내에 일치된다.In this case, it is necessary for the electron beam 2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4a to be focused in the dot corresponding to the hole 4a. The electron beam 2 passing through the dot of the luminance element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4a coincides with another and color flow is generated in the image or becomes an unclear outline of the image. For that reason, the focusing electrode 1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passage of the electron beam so that the electron beam is matched in the luminance element of the required dot by applying an appropriate voltage to the focusing electrode.

전자 빔을 이용한 플랫-타입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통과 영역을 모두 진공으로 할 필요가 있어서 봉합된 진공 덮개를 요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질적인 상업용 제품으로 예를 들어 국내용으로 사용되는 텔레비젼세트가 팔릴때, 진공 덮개는 가능한한 가볍고 얇게(또는 스크린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에서 작은) 만들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Flat-type image display devices using electron beams need to vacuum all electron-passing regions and thus require a sealed vacuum lid. When an image display device is sold as a practical commercial product, for example a television set for domestic use, the vacuum cover needs to be made as light and thin as possible (or small in length perpendicular to the screen).

상기 통상의 플랫-타입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약 16인치만큼 작은 스크린 크기를 갖으면 봉합된 덮개의 유리 두께는 그렇게 두껍게 만들어질 필요가 없다. 그러나, 스크린 크기가 20 인치 또는 그보다 더 크고, 유리 두께가 약 20보다 더 작지 않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고 이것은 진공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덮개에 제공한다. 이것은 이러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볍게 하는 데 곤란하다.If the conventional flat-type image display device has a screen size as small as about 16 inches, the glass thickness of the sealed lid need not be made so thick. However, the screen size is 20 inches or larger, and the glass thickness is about 20 It needs to be made not smaller than this, which gives the lid sufficient strength against vacuum. This is difficult to lighten this type of display device.

진공 덮개를 가볍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접근 방법은 가장 작은 스트레스 강도를 만족시키는 구형으로 덮개를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더 얇은 덮개에 대해 언급된 요구에 대한 것이다. 플랫-타입 디스플레이 장치의 진공 덮개는 제20a도의 부분에 도시된 상자-같은 진공 덮개(11)인 것을 가정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11a)를 형성하고, 진공 덮개(11)의 내부와 외부사이의 압력차에 의한 스트레스 집중은 화살표로 도시된 스크린의 중앙부분과 모난 부분에서 발생한다. 강압 부재가 그러한 스트레스를 극복하려고 모난 부분 또는 유사한 부분에서 덮개에 부가된다면, 덮개의 무게는 상당히 증가된다. 그러므로, 제20b도에 도시된 부분에서 타원모양의 진공 덮개(11)는 가볍고 얇은 덮개(11)를 만드는 목적으로 가장 쉽게 구현된다.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lightening the vacuum cover is to make the cover into a sphere that meets the smallest stress intensity. However, this is for the stated requirement for thinner sheaths. Assuming that the vacuum cover of the flat-type display device is a box-like vacuum cover 11 shown in FIG. 20A, the image display device 11a is formed, and the pressur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vacuum cover 11 is reduced. The stress concentration caused by the car occurs in the center and angular areas of the screen shown by the arrows. If the buckling member is added to the cover at the angular or similar portion to overcome such stress, the weight of the cov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e oval-shaped vacuum cover 11 in the portion shown in FIG. 20b is most easily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light and thin cover 11.

통상적으로, 텔레비젼 세트에 사용되는 발광성 합성물은 진공 덮개의 부분을 형성하는 전면 유리의 내부 표면상에 직접 코팅된다. 이것은 또다른 유리판 또는 전면 유리 중간에 제공되기 때문이고 발광소자는 빛이 감소되게끔 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휘도가 감소되도록 하고 이것은 스크린이 전면 유리와 유리판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불명확한 이미지를 제공하기 때문으로 제조단가가 낮고 이와 유사한 이유 때문이다.Typically, luminescent composites used in television sets are coated direct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shield that forms part of the vacuum lid. This is because it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another glass plate or windshield,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causes the light to be reduced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screen is reduced because the screen provides an unclear image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windshield and the glass plate. This is because of low manufacturing costs and similar reasons.

결과적으로, 가볍게된 무게와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진공덮개의 전면유리는 제18도에 도시된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고 그리하여 발광소자가 전면유리의 내부 표면에 바람직하게 코팅된다.As a result, the windshield of the vacuum cover needs to be formed to have the radius of curvature shown in FIG. 18 so as to have a light weight and a reduced thickness, so that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preferably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shield.

그러나, 제18도에 도시된 구조에서 전면유리가 굴곡이 졌지만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이 평평하기에, 제어전극(4) 또는 포커싱 전극(10)으로부터 스크린의 끝부분과 중앙 부분사이의 발광소자로 덮힌 전면유리까지 거리의 차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windshield is curved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18,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 are flat, so that the ends and the center of the screen from the control electrode 4 or the focusing electrode 10 are centered. There is a difference in distance to the windshield covered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between the parts.

위에 기술되었듯이, 포커싱 전극(10)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어 필요한 도트의 발광소자내에 전자빔(2)이 포커싱된다. 그러나, 제21도의 확대 부분도에 도시되듯이, 오직 하나의 포커싱 전극(10)이 있고 인가될 수 있는 전압이 고정되고, 빔 직경은 오직 하나의 점(P1)에서 최소가 된다. 따라서, 포커싱 전극(10)과 전면유리(8) 사이의 거리(Daf)가 알루미늄 필름으로 제공되고 이것은 내부면의 애노드가 불균일한 것과 같고, 전자빔(2)이 전면유리(8)의 전체 표면에서 최소 빔 직경으로 추정되도록한 것은 불가능하다. 달리말하면, 전면 유리위의 전자빔(2)의 빔 직경은 전면 유리(8)의 스크린위에 상이한 위치에서 고정되지 않고 그러기에 전자빔(2)은 제18도에 도시된 데로 지점 P2에서 "솜털 같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quired voltage is applied to the focusing electrode 10 so that the electron beam 2 is focused 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required dot. However, as shown in the enlarged partial view of FIG. 21, there is only one focusing electrode 10 and the voltage to which it can be applied is fixed, and the beam diameter is minimum at only one point P 1 . Thus, the distance Daf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10 and the windshield 8 is provided with an aluminum film, which is equivalent to the nonuniformity of the anodes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electron beam 2 at the entire surface of the windshield 8. It is not possible to estimate the minimum beam diameter. In other words,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2 on the windshield is not fixed at a different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windshield 8 so that the electron beam 2 is "downy" at point P 2 as shown in FIG. do.

전자 빔(2)이 예를 들어 "솜털같이"되면, 전자 빔(2a)의 빔 직경은 제22도에 도시된데로 픽셀의 크기를 초과하고, 검은 매트릭스(12)는 역시 전자 빔(2a)으로 조사되어 발광 소자위에 인가될 빔의 강도가 감소되어서, 대응하는 픽셀의 발광 강도가 감소된다. 그러므로, 전체 스크린이 보일때, 발광 불균일이 일어난다. 양자 택일적으로, 전자 빔(2)은 빔이 주 픽셀로부터 그 사이의 반경상에 인접한 픽셀까지 연장되는 빔 직경을 갖는 전자 빔(2a)이고, 빛을 방사하는데 필요한 픽셀은 역시 빛을 방사하도록 하여서, 칼라 줄무늬와 번진 이미지 윤곽같은 현상이 발생한다.If the electron beam 2 is "fluffy", for exampl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2a exceeds the size of the pixel as shown in FIG. 22, and the black matrix 12 is also the electron beam 2a. The intensity of the beam to be irradiated onto and applied on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reduced, so that the emission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pixel is reduced. Therefore, light emission nonuniformity occurs when the entire screen is visible. Alternatively, the electron beam 2 is an electron beam 2a having a beam diameter in which the beam extends from the main pixel to a pixel adjacent in radius between them, and the pixels necessary to emit light also emit light. As a result, phenomena such as color stripes and smeared image outlines occur.

따라서, 전자 빔(2)이 "솜털같이" 되는 지점 P2가 스크린의 부분에서 나타날때, 휘도 불균일, 칼라 줄무늬 또는 이것과 유사한 것이 점 P2에서 발생한다. 이것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는 상업적인 제품에 대한 치명적인 결점이다.Thus, when the point P 2 at which the electron beam 2 becomes "downy" appears in the part of the screen, luminance unevenness, color stripes or the like occur at point P 2 . This is a fatal drawback for commercial products with display screens.

그러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공개 공보 제19947/1992에 광-방사 수단측에서 봉합된 진공 덮개의 벽, 광-방사 수단(발광성 합성물이 코팅된 표면)전자 빔 제어 전극과 전자 빔 방사 전극이 각각의 곡률반경이 실제로 서로 동일하게끔 굴곡진 구조가 기술되어 있고, 게다가 정정수단이 수평방향에서 일정한 전자빔 방사 전극상에 일치한 전자 빔의 양을 제공하거나, 광-방사 수단측에서의 봉합된 진공 덮개의 벽, 실같은 핫 캐소드, 전자빔 방사 전극, 전자 빔 제어 전극 및 광-방사 수단이 서로 실제로 동일한 각각의 곡률반경을 갖는 굴곡진 표면 또는 굴곡진 선으로 형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 전자 빔 방사 전극은 타원모양의 전극(관통된 커버 전극)에 인가될 수 없고 각각의 실같은 핫 캐소드를 덮는데 적용되고 이것은 전자 빔 방사 전극이 한개 판의 형태로서 굴곡지었지만 실질적인 변형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 모든 실같은 핫 캐소드에 대해 공통된 전극이다. 더욱 상세히, 각각의 관통된 커버 전극은 전면유리의 굴곡진 표면과 어울리는 다른 곡률 반경과 타원 부분을 형성하는데 충분히 작은 곡률 반경을 갖을 필요가 있다. 게다가, 관통된 커버 전극은 실 같은 핫 캐소드 가까이에 위치하여 상승되는 온도로 가열되어 심한 열적인 변형을 초래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휘도 분배가 극히 저하되는 것이 가능하여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 사이의 절연 실패가 일어나고, 캐소드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for example, in Japanese Laid-Open Publication No. 1956/1992, a wall of a vacuum cover sealed on the light-emitting means side, a light-emitting means (a surface coated with a luminescent compound), an electron beam control electrode and an electron beam A structure is described in which the radiating electrode is curved such that each radius of curvature is actually equal to each other, and furthermore, the correcting means provides an amount of electron beam coincided on a constant electron beam radiating electro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s sealed on the light-emitting means side. The walls of the vacuum sheath, the threaded hot cathode, the electron beam radiation electrode, the electron beam control electrode and the light-emitting means are shaped with curved surfaces or curved lines with respective curvature radii which ar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However, in such a structure, the electron beam radiation electrode cannot be applied to the elliptical electrode (through cover electrode) and is applied to cover each thready hot cathode, which is the electron beam radiation electrode is curved in the form of one plate. However, it is a common electrode for all yarn-like hot cathodes to avoid the occurrence of substantial deformation. In more detail, each perforated cover electrode needs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small enough to form an elliptical portion and a different radius of curvature to match the curved surface of the windshield. In addition, the perforated cover electrode is located near a threaded hot cathode and heated to an elevated temperature resulting in severe thermal deformation. As a result, the luminance distribution can be extremely degraded on the display screen, causing insulation failure between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and the cathode and shortening the life of the cathode.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굴곡진 표면을 포함하는 봉합된 진공 덮개를 채택하므로서 가볍고 얇게되고 전체 스크린상에 휘도 불균일이 없는 분명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저가로 제조가능한 고도의 신뢰성 있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displaying a clear image which is light and thin, and which is free of luminance unevenness on the entire screen, by adopting a sealed vacuum cover including a curved surface. will be.

본 발명은 전자를 방사하는 캐소드 ; 캐소드로 부터 방사된 전자를 가속하여 끌어내는 관통된 커버 전극 ; 캐소드에 실제 병렬로 위치하여 방사된 전자가 전자-통과 구멍을 통과 되도록 하는 전자-통과 구멍을 갖고 상기 전자-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전자 빔을 제어하는 제어 전극 ; 굴곡진 표면을 갖고 방사된 전자로 조사할때 빛을 내는 발광소자 ; 및 발광소자와 제어 전극 형상의 플랫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는 발광소자상의 전자빔의 빔 직경을 정정하는 수단을 갖고 제어전극과 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한 포커싱 전극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ode for emitting electrons;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which accelerates and draws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A control electrod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cathode and having an electron-passing hole through which the emitted electrons pass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and controlling an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and emitting light when irradiated with emitted electrons; And a focusing electrode position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means for correcting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at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flat of the control electrode shape.

발광소자상에서 전자 빔의 빔직경을 정정하는 상기 수단은 다음으로 구현된다. 포커싱 전극을 다수의 전극으로 분할하고 상이한 전압을 각각의 전극에 인가하고 ; 포커싱 전극과 제어 전극 사이의 거리율을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상에 실제로 일정한 발광소자와 포커싱 전극사이의 것으로 만들고 ; 혹은 포커싱 전극과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자-통과 구멍읠 직경을 변화시킨다.The above means for correcting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implemented next. Divide the focusing electrode into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pply a different voltage to each electrode; Make the distance ratio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and the control electrod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focusing electrode which is actually constant over the entire display screen area; Alternatively, the electron-through hole diameter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본 발명은 또한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 전자를 방사하는 캐소드 ; 캐소드로부터 방사된 전자를 가속하여 끌어내는 관통된 커버 전극 ; 방사된 전자가 통과하여 저자-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전자빔을 제어하는 전자-통과 구멍을 갖는 제어 전극 ; 방사된 전자로 조사할때 빛을 내는 발광소자 ; 방사된 전자가 통과하도록 전자-통과 구멍을 갖고 발광소자와 제어 전극 사이에 위치한 포커싱 전극 ; 발광소자와 캐소드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는 발광소자상에 전자 빔의 빔 직경을 정정하는 전자-통과 구멍을 갖고 제어 전극과 관통된 전극 사이에 위치한 제2그리드 ; 발광소자, 포커싱 전극 및 실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각각의 굴곡진 표면을 포함하는 제어전극, 관통된 커버 전극과 다수의 관통된 커버 전극과 다수의 캐소드로 이루어진 각각의 캐소드,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는 플랫판 위에 또는 이전의 굴곡 반경보다 실제로 더 큰 굴곡 반경을 갖는 굴곡진 표면상에 배치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thode for emitting electrons;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which accelerates and draws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A control electrode having an electron-passing hole for controlling the electron beam through which radiated electrons pass and passing through the hypo-passing hol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irradiated with emitted electrons; A focusing electrode having an electron-passing hole for passing the emitted electrons and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control electrode; A second grid position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penetrating electrode having an electron-through hole for correcting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chang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cathode; A control electrode compri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 focusing electrode and each curved surfac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each cathode consisting of a perforated cover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cover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cathodes, a perforated cover electrode and a cathode Is placed on a flat surface or on a curved surface with a bending radius that is actually greater than the previous bending radius.

용어 "실제로 동일한 굴곡반경"은 발광소자와 개개의 전극 사이 각각의 거리가 거의 서로 동일한 것을 의미하고 그리하여, 발광소자 상의 전자빔의 빔 직경의 변화에 따라 휘도 불균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의 제2그리드는 평면 또는 제어 전극의 것과 실제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굴곡진 표면을 포함한다.The term "actually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means that the respective distances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nd the individual electrodes are substantially equal to each other, and thus there is no problem of uneven brightness due to the change in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s. The second grid described above comprises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that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planar or control electrode.

바람직하게, 전자빔의 일정 비율을 개선하기 위해,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는 중앙에서 주변부분까지의 방향으로 본 피치를 증가시키도록 배열된다 :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가 형성되는 굴곡진 표면 또는 평면은 캐소드가 어레이로 배치되는 피치의 1.0 내지 6.0 배 만큼 큰 거리로서 제2그리드에서 분리되어 위치하고 ; 제2그리드와 관통된 커버 전극중 적어도 하나의 구멍 영역의 비율은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의 장치 피치방향에서 볼때 주변부분이 작게 되고 중앙 부분이 크게 된다 ;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는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의 장치 피치방향에서 볼때 주변부분이 크게되고 중앙부분이 작게되는 식으로 위치한다 ; 또는 제2그리드는 그러한 장치 피치방향에서 적어도 세개 부분으로 분리되어서 제2그리드의 중앙부분은 큰 전압이 인가되고 주변부분은 작은 전압이 인가된다.Preferably, to improve the ratio of the electron beam, the perforated cover electrode and cathode are arranged to increase the pitch seen in the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 curved surface or plane on which the perforated cover electrode and the cathode are formed. Is locat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grid at a distance as large as 1.0 to 6.0 times the pitch of the cathodes placed into the array; The ratio of the hole area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grid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becomes smaller in the peripheral part and larger in the center part when viewed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and the cathode; The perforated cover electrode and cathode are positioned in such a way that the periphery becomes larger and the center part becomes smaller when viewed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perforated cover electrode and cathode; Or the second grid is divided into at least three parts in such a device pitch direction so that a large voltage is appli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grid and a small voltage is applied at the periphery.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포커싱 전극은 분리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분리된 전극에는 애노드로서 작용하는 발광소자와 분리된 거리에 역비례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위에서의 전자빔의 빔 직경을 전체 스크린상에서 실제로 일정하고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하여 전체 스크린상에서 분명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example, a focusing electrode is formed separately and each separated electrode can be applied with a voltag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sepa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cting as an anode. Thus, it is possible to mak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display screen practically constant and small on the whole screen, thus displaying a clear image on the whole screen.

더우기,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포커싱 전극과 제어 전극의 곡률반경이 발광소자의 굴곡진 표면의 것과 실제로 동일하게 되는 반면에, 제2그리드가 제어 전극과 관통된 커버 전극사이에 제공된다. 그러한 장치는, 전자빔이 그것의 최소 빔 직경을 가정하는 위치는 제2그리드가 정정하도록 하고, 관통된 커버전극과 제어 전극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지라도 제어 전극에 일치하는 전자 빔의 일정 비율이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이 전체 스크린상에 휘도 불균등이 없는 명백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each of the focusing electrode and the control electrode become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while a second grid is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Such a device allows the second grid to correct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n beam assumes its minimum beam diameter, an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and the control electrode changes, a constant ratio of the electron beam coinciding with the control electrode is constant. Can be done. This allows the display of a clear image without luminance unevenness on the entire screen.

더우기, 발광소자의 표면 즉 진공덮개의 벽이 굴곡지기에 압력집중을 피할 수 있고, 진공 덮개가 가볍고 얇아 질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전극이 평면이 되기에, 제조단가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Moreover,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e., the wall of the vacuum cover, can avoid pressure concentration on the bending machine, and the vacuum cover can be light and thin. In addition, since each electrode is plana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1 shows an essential part of an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전면 유리에서 전자 빔 직경을 줄이는데 필요한 포커싱 전극 전압과, 전면 유리와 포커싱(focusing) 전극 사이의 거리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를 도시한 그래픽 표시.FIG. 2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showing characteristic diagrams showing the focusing electrode voltage required to reduce the electron beam diameter in the windshield and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windshield and the focusing electrode.

제3도는 분할된 구조의 포커싱 전극의 예를 도시한 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cusing electrode of a divided structure.

제4도는 포커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 방법의 예를 예시한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applying a voltage to a focusing electrode.

제5도는 포커싱 전극과 제어 전극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구조의 예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structure for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a focusing electrode and a control electrode.

제6도는 포커싱 전극의 다른 구조의 예의 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nother structure of a focusing electrode.

제7도는 필드-방사 캐소드를 캐소드로서 채택한 예의 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employing a field-emitting cathode as a cathode.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주요부의 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nother exampl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장치의 단편적인 앞부분.9 is a fragmentary front portion of another example devi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장치의 단편적인 앞부분.10 is a fragmentary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devi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장치의 단편적인 앞부분.11 is a fragmentary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devi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장치의 단편적인 앞부분.12 is a fragmentary front portion of another example devi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장치의 단편적인 앞부분.13 is a fragmentary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devi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장치의 단편적인 앞부분.14 is a fragmentary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devi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장치의 단편적인 앞부분.15 is a fragmentary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devi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6도는 통상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든 장치의 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tak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제17도는 통상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주요부를 부분적으로 자른 확대 단면도.1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cut away from an essential part of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제18도는 종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제어 전극의 확대된 투시도.FIG. 1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electrode shown in FIG. 18. FIG.

제20도는 진공 구내와 스트레스 강도의 도시된 유형 사이의 관계를 예시한 투시도.FIG.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cuum premises and the depicted type of stress intensity.

제21도는 포커싱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광선(electro-optical) 렌즈와 전자 빔의 통로를 예시한 구조도.21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passage of an electron-optical lens and an electron beam made of a focusing electrode.

제22도는 조명 소자의 도트와 전자 빔의 빔 반경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투시도.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t of the lighting element and the beam radius of the electron beam.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된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가지 예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부분의 투시도로서 동일한 번호가 전술의 제16 내지 22도의 동일한 부분을 도시하고 그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러한 예는 제어전극(4) 또는 포커싱 전극(8)과 전면 유리(8)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는 전면유리(8)의 표면상의 전자빔(2)의 빔 직경을 정정하는 수단과, 전면유리(8)의 발광소자 상에 전자 빔(2)을 집중시키기 위해 각각의 상이한 전압이 인가된 세개의 전극으로 분리된 포커싱 전극(10A)을 포함하는 수단을 갖는다. 포커싱 전극의 중앙부분과 측면부분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필요가 있기에, 분리된 전극의 수는 적어도 두개이어야 한다. 더 큰수의 분리된 전극이 더욱 정확한 제어를 하도록 하지만, 제조와 사용의 복잡한 관점에서 포커싱 전극을 세개내지 아홉게 전극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서, 포커싱 전극(10A)은 제1, 제2 및 제3포커싱 전극(101, 102, 103)으로 분리되고 전면 유리(8)와 제어전극(4) 사이에 위치한다. 포커싱 전극(10A)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각각의 픽셀에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통과 구멍(10a)을 갖고 이것의 각각은 전자 빔(2)이 적, 녹 및 청의 빛을 내려고 적용되어 촛점이 맞는 발광 소자로 내부 표면에 형성되고 애노드로서 작용하는 전면유리(8)를 향해 전자 빔(2)이 통과하도록 한다. 전자-통과 구멍(10a) 다수의 각각을 통과한 전자빔(2)은 발광소자가 빛을 발하도록 하여 필요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전면유리(8)의 발광소자와 포커싱 전극(10A)의 전자-통과 구멍(10a)은 제어전극(4)의 전자-통과 구멍이 배치되는 피치와 실제로 일치하는 피치로 배열된다. 각각의 전자-통과 구멍(10a)과 각각의 전자-통과 구멍(4a)은 중앙축을 공유하려고 위치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n exampl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ame numerals denote the same parts of the above-described 16th to 22nd degree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is example includes means for correcting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2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8 that changes with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or the focusing electrode 8 and the windshield 8, and the windshield There is a means comprising a focusing electrode 10A separated by three electrodes to which each different voltage is applied in order to concentrate the electron beam 2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8). Since the central and side portions of the focusing electrode need to be controlled separately, the number of separated electrodes should be at least two. Although larger numbers of separate electrodes allow for more accurate control, it is desirable to separate the focusing electrodes into three or nine electrodes from a complex point of view of manufacture and use. In FIG. 1,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separat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focusing electrodes 10 1 , 10 2 , 10 3 and is located between the windshield 8 and the control electrode 4. The focusing electrode 10A has a plurality of electron-passing holes 10a corresponding to each pixel of the display screen, each of which is applied by the electron beam 2 to emit red, green and blue light and focus on light emission. The electron beam 2 passes through the windshield 8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vice and acting as an anode. The electron beam 2 passing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passing holes 10a causes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emit light to display the necessary image. The electron-passing holes 10a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windshield 8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are arranged at a pitch that substantially matches the pitch at which the electron-passing holes of the control electrode 4 are arranged. Each electron-passing hole 10a and each electron-passing hole 4a are positioned to share a central axis.

더우기, 이렇게 구성된 포커싱 전극(10A)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전자 빔(2)의 빔 직경을 줄이기 위해 분리된 포커싱 전극(101, 102, 103)에 서로 다른 각각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러한 전압은 제어전극(10A)과 전면유리(8) 사이의 거리 기능으로서 변하게 된다.Furthermore, in the focusing electrode 10A thus configured, different voltages are applied to the separated focusing electrodes 10 1 , 10 2 , 10 3 to reduc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2 on the display screen. This voltage is changed as a distance function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10A and the windshield 8.

얼마나 많은 전압이 각각의 분리된 포커싱 전극에 인가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검은 매트릭스를 갖지 않는 발광소자의 표면이 준비되고 전면유리상에서 전자빔 직경의 변화가 측정되는 반면에 포커싱 전극(10A)에 인가된 전압과, 제어전극과 전면 유리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가 0.1로 설정되고 제어 전극(4)으로부터 전면 유리(8)까지 움직이는 전자를 가속시키는 전압은 10㎸로 설정된다.To determine how much voltage should be applied to each separate focusing electrode,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without the black matrix is prepared and applied to the focusing electrode 10A while the change of the electron beam diameter on the windshield is measured. The volta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windshield are changed.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0.1. The voltage for accelerating electrons moving from the control electrode 4 to the windshield 8 is set to 10 kV.

제2도에 도시되듯이, 포커싱 전극(10A)과 전면 유리(8)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 표면에서 전자 빔의 빔 직경이 어떤 포커싱 전극 전압에서 최소값으로 추정된다(포커싱 전극(10A)에 전압이 인가). 상세하게, 약 200V의 포커싱 전극전압에서 최소로 전자 빔의 빔 직경이 가정되고 제어 전극과 전면유리 사이 거리가 약 140V 의 포커싱 전극 전압에서 10로 설정되고 그러한 거리는 20로 설정되고 약 120V의 포커싱 전극 전압에서 거리는 30(도시안됨)로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 전극 전압(제어 전극(4)에 인가된 전압) Vc는 80V 이다.As shown in FIG. 2, 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10A and the windshield 8 is fixed, and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at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is estimated to be the minimum at any focusing electrode voltage (focusing electrode). Voltage is applied to 10 A). Specifically, the minimum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is assumed at a focusing electrode voltage of about 200V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windshield is 10 at a focusing electrode voltage of about 140V. Is set to 20 such distances And the distance at the focusing electrode voltage of about 120V is 30 Is set to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electrode voltag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electrode 4) Vc is 80V.

적어도 이러한 실시예의 조건 범위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전자 빔의 빔 직경은 그러한 전압을 포커싱 전극에 인가하므로서 감소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전면 유리(8)와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Daf)는 다음 식으로 나타나듯이 포커싱 전극 전압(Vf)으로 부터 제어 전극 전압(Vc)을 뺀 전압에 반비례한다.It can be seen at least in the range of conditions of this embodiment that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display screen can be reduced by applying such voltage to the focusing electrode and the distance Daf between the windshield 8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i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oltag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ontrol electrode voltage Vc from the focusing electrode voltage Vf.

따라서, 내부표면의 애노드에 형성된 전면 유리(8)와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Daf)에 따라 분리된 포커싱 전극(101, 102, 103)의 각각에 제2도에 나타나는 전압을 인가하므로서 즉 전자빔(2)의 빔 직경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전압을 인가하고 제1도에 도시된 포커싱 전극(10A)을 분리하므로서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작고 일정한 전자 빔의 빔 직경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Thus, the voltage shown in FIG. 2 at each of the focusing electrodes 10 1 , 10 2 , 10 3 separ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Daf between the windshield 8 formed on the anod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It is possible to make the beam diameter of the small and constant electron beam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by applying a voltage, i.e. by applying a voltage to minimiz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2 and separating the focusing electrode 10A shown in FIG. .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가 0.1로 설정될때 약 150V의 포커싱 전극 전압에서 전자빔에 의한 포커싱 전극과 전면 유리사이의 거리인 10를 최소 비임 직경으로 가정하고 포커싱 전극(10A)을 0.1로 설정하고 0.1또는 0.2의 두배 거리로 설정한다. 즉, 포커싱 전극(10A)에 인가되는데 필요한 전압은 역시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에 좌우된다. 더우기,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므로서 빔 직경이 역시 제어될 수 있기에 전자 빔의 통로를 알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0.1 When set to 10, 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and the windshield by the electron beam at a focusing electrode voltage of about 150V is 10 Is assumed to be the minimum beam diameter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0.1. Set to 0.1 Or 0.2 Set to twice the distance. In other words, the voltage required to be applied to the focusing electrode 10A also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Furthermore, the path of the electron beam can be known because the beam diameter can also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다음에 기술되는 것은 이러한 포커싱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의 한가지 예이다.What is described next is one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focusing electrode.

기판을 통해 나온 전자 통과 구멍(10a)을 정의하는 에칭기술에 의해 강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전기 도체 기판을 관통하므로서 포커싱 전극(10A)은 형성된다. 포커싱 전극(10A)은 차단 절연기를 통해 제어전극(4)으로 그것을 레지스터링하고 그것을 붙이므로서 포커싱 전극(10A)은 고정된다.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formed by penetrat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steel or aluminum by an etching technique that defines an electron passing hole 10a exiting through the substrate.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fixed by registering it with the control electrode 4 through the blocking isolator and attaching it.

포커싱 전극(10A)이 본 실시예(1)에서의 제1도의 y로 표시된 방향으로 분리되지만 포커싱 전극(10A)은 두개 방향 즉 제3a도에 도시된 열과 행 방향으로 분리되거나 제3b도에 도시된 식으로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의 예와 유사한 효과가 제어 전극(4)과 전면 유리(8)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자빔(2)의 통로를 제어할 수 있는 어떤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어질 수 있다.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separa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y of FIG. 1 in the present embodiment 1, but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separated in two directions, that is, in the column and row directions shown in FIG. 3A or shown in FIG. 3B. It can be seen that it is separated by the formula. An effect similar to the above example can be given to any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assage of the electron beam 2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windshield 8.

더우기, 제어 전극(4)의 전자-통과 구멍(4a)과 포커싱 전극(10A)의 전자-통과 구멍이 원형 모양인 경우로 예 1의 기술이 제시되었지만, 구멍(4a, 10a)가 4각형 같은 모양으로 정의될 지라도 전술 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technique of Example 1 is presented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passing hole 4a of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electron-passing hole of the focusing electrode 10A are circular in shape, the technique of Example 1 is proposed, but the holes 4a and 10a are square-like. Although defined in shape, effects similar to those in the above examples can be obtained.

더우기, 제1제어 전극 그룹(6)과 제2제어전극 그룹(7)이 필림을 절연막에 형성하므로서 절연기 기판(5)의 하부 및 상부 표면에 오직 형성되는 구조를 예 1가 나타내지만 각 전자-통과 구멍(4a)이 그것의 내부벽에 막으로 코팅될 지라도 전술 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더우기, 제1 및 제2제어 전극 그룹(6, 7)이 붙어서 위치하는 절연기 기판(5)으로서 실시예 1가 높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기판을 채택하지만, 절연기 기판(5)은 그것의 표면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어떤 기판, 예를 들어, 증착 공정 또는 그와 유사한 공정에 의해 포리마이드 같은 수지 또는 질화물, ALMITE 같은 산화물로 형성된 절연기 층으로 코팅된 금속판일 수 있다.Furthermore, Example 1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ntrol electrode group 6 and the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 7 are formed only on the lower and upper surfaces of the insulator substrate 5 by forming the film in the insulating film. Although the through hole 4a is coated with a film on its inner wall,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above example can be obtained. Moreover, although the first embodiment adopts a high electrically insulated substrate as the insulator substrate 5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electrode groups 6 and 7 are positioned, the insulator substrate 5 has its surface. Any substrate that is electrically insulated in, for example, a metal plate coated with an insulator layer formed of a resin such as polyimide or an oxide such as ALMITE by a deposition process or similar process.

더우기, 공간이 실시예 1의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제어전극(4) 사이의 중간에 제공되지만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전자-통과 구멍을 갖는 전극판을 그 사이에 제공한다. 이것은 제어 전극에 고전류 전자 빔을 안정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휘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Furthermore, a space is provided in the middle between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nd the control electrode 4 of Embodiment 1, but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plate having an electron-through hole therebetween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ly supply a high current electron beam to the control electrode,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screen.

더우기, 소정의 전압을 분리된 포커싱 전극(101, 102, 103) 각각에 인가하는 방법을 기술하지 않았지만, 소위 저항분할 방법 또는 포커싱 전극(101, 102, 103)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는 것은 전원(15)에서 각각의 전극까지 다른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적용된다. 이것은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에 전압 인간에 대해 전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although a method of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each of the separate focusing electrodes 10 1 , 10 2 , 10 3 has not been described, a so-called resistance division method or res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s 10 1 , 10 2 , 10 3 is described. Connecting the power supply is applied to supply a differen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15 to each electrode. This provide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foregoing embodiment while allowing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ower sources for the voltage human.

[실시예 2]Example 2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된 제어 전극(4), 포커싱 전극(10A)과 전면 유리(8)의 단면도이다. 다른 구조는 제1도와 동일하다. 포커싱 전극(10A)과 전면유리(8 : 발광소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어전극(4)과 포커싱 전극(10A) 사이 거리 비율은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실제로 일정하게 되는 장치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rol electrode 4, the focusing electrode 10A and the windshield 8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FIG. Th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10A and the windshield 8 (light emitting elemen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n a device which is substantially constant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have.

여기서 용어 "실제로 일정한"는 한개 거리와 다른 것의 비율이 실제로 일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전자빔의 빔 직경이 필요한 발광소자내에 유지되도록 충분히 작아서, 휘도 불균등, 칼라 혼조, 흐릿한 윤곽이 발생하지 않은 의미로 해석된다. 상세하게,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가 커질때, 전자 빔은 약간 제한되어 먼 지점에서 촛점이 맞는다. 반대로, 제어전극(4)과 포커싱전극(10A) 사이의 거리가 작아질때, 전자빔은 제한되어서 근접점에서 집중된다. 그러므로, 포커싱 전극(10A)과 전면유리(8)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A) 사이의 거리 비율이 실제로 일정하다면, 포커싱 전극을 분리하고 각각의 분리된 전극에 상이한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이 전자 빔의 빔 직경이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최소화 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되듯이, 거리 비율이 필수적으로 엄격히 일정할 필요가 없기에, 포커싱 전극은 제5a도에 도시된 단계를 갖는 것처럼 형성되거나 제5b도에 도시된 굴곡진 표면상에 형성된다. 포커싱 전극을 형성할때에, 제5a, 5b도의 확대부분으로 도시된 유리같은 절연체로 형성된 스페이서(spacer : 13)의 두께를 변경시키므로서 전술의 거리는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전면 유리(8) 상에서 전자 빔(2)의 빔 직경이 전체 영역상에서 최소화되는 장치를 만듬으로서,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The term “actually constant” here is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ratio of one distance to the other is substantially constant and small enough so that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display screen is maintained in the required light emitting element, so that luminance unevenness, color mixing, and blurry contours do not occur. . In detai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becomes large, the electron beam is slightly limited to focus at a distant point. On the contrar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becomes small, the electron beam is limited and concentrated at the proximity point. Therefore, if th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A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10A and the windshield 8 is actually constant, the focusing electrode is separated and different to each separated electrod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can be minimized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without the need to apply a voltag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tance ratio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strictly constant, the focusing electrode is formed as having the steps shown in FIG. 5A or on the curved surface shown in FIG. 5B. In forming the focusing electrode, the above-mentioned distance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spacer 13 formed of the glass-like insulator shown in the enlarged parts of FIGS. 5A and 5B. Thus, by making a device in which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2 on the windshield 8 is minimized over the entire area,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실시예 3]Example 3

전술의 실시예에서 포커싱 전극(10A)의 각각의 전자-통과 구멍(10a)의 크기가 고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 통과 구멍(10a)의 크기를 변화시키므로서 전자 빔의 제한이 역시 제어될 수 있다. 즉, 전자-통과 구멍(10a)의 직경이 작을때, 전자빔은 크게 제한되어서 빔 직경은 포커싱 전극(10A) 가까이 지점에서 최소로 추정된다. 전자-통과 구멍(10a)의 직경이 클때, 빔직경은 포커싱 전극(10A)으로 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최소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전자 빔(2)은 역시 포커싱 전극(10A)과 전면유리(8)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자-통과 구멍의 직경을 변경시키므로서 역시 제어될 수 있고 그리하여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내도록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ize of each electron-passing hole 10a of the focusing electrode 10A is fixed. Nevertheless, the limitation of the electron beam can also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electron passing hole 10a. That is, when the diameter of the electron-passing hole 10a is small, the electron beam is greatly limited so that the beam diameter is estimated to be minimum at a point near the focusing electrode 10A. When the diameter of the electron-passing hole 10a is large, the beam diameter is estimated to be minimum at the point away from the focusing electrode 10A. As a result, the electron beam 2 can also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diameter of the electron-passing hol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10A and the windshield 8 and thus have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pay.

전자 빔의 포커싱 효과는 구멍의 직경을 변경시키는 대신에 포커싱 전극(10)의 두께즉 전자-통과 구멍(10a)의 깊이를 조절하므로서 역시 변화될 수 있다. 이렇게, 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전자 빔의 빔 직경을 최소화 하는 것이 역시 가능하다. 상세하게, 포커싱 전극이 두꺼울때, 포커싱 효과는 강하게 작용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전자 빔의 빔 직경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커싱 전극이 얇을때, 그 효과는 역전된다. 결과적으로, 포커싱 전극(10A)의 두께를 변화시키므로서 예를 들어, 포커싱 전극을 서로 붙이므로서 전자 빔(2)이 역시 제어될 수 있고 그리하여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는다.The focusing effect of the electron beam can also be vari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focusing electrode 10, i.e. the depth of the electron-through hole 10a, instead of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hole.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Specifically, when the focusing electrode is thick, the focusing effect works strongly,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focusing electrode is thin, the effect is reversed. As a result, the electron beam 2 can also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focusing electrode 10A, for example by sticking the focusing electrodes together, so that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btained.

포커싱 전극(10A)}의 수가 고정(한개 포커싱 전극)되는 경우로 실시예 1에서 기술된 설명이 제시되지만, 그것이 반드시 고정될 필요는 없다.Although the description described in Embodiment 1 is presente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focusing electrodes 10A} is fixed (one focusing electrode),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ixed.

스페이서가 포커싱 전극(10) 상에 제공되고 포커싱 전극(10b)이 거기에 가산되는 제6도에 도시된 구조를 채택하므로서 전자 빔(2)이 역시 제어될 수 있다. 그래서,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The electron beam 2 can also be controlled by adopt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6 in which a spacer is provided on the focusing electrode 10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b is added thereto. Thu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실시예 4]Example 4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캐소드로서 주같은 핫 캐소드 대신에 필드 방사 타입의 전자 총의 캐소드(16) 또는 열이온의 방사 타입 캐소드를 채택한다. 그러한 장치는 역시 전술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제7도에서 도면번호(17)는 필드 방사 타입의 전자총에 유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나타낸다는 것을 주지하라.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adopts the cathode 16 of the field emission type electron gun or the radiation type cathode of the heat ion, instead of the main hot cathode as the cathode. Such a device also provide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foregoing embodiment. Note that reference numeral 17 in FIG. 7 denotes an electrode for applying a attracting voltage to an electron gun of a field emission type.

전술의 실시예 중에서 캐소드와 관통된 커버 전극은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아주 믿음직하고 핫 캐소드의 열에 따른 관통된 커버 전극의 변형을 금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제4실시예에서 사용된 필드 방사 타입의 전자총과 같은 다른 타입의 캐소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thode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a plane. Such a structure is very reliable and effective in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due to the heat of the hot cathode. The same applies to other types of cathodes, such as the field emission type electron gun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실시예 5]Example 5

제8도와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각 다른 실시예의 투시 및 단면도이다. 제8도와 9도에서, 생략되는 그러한 부분에 상기의 실시예와 부분을 동일한 번호가 나타낸다. 도면번호(9)는 발광소자를 나타낸다. 제어 전극(4)과 포커싱 전극(10)이 전면유리의 실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각각의 굴곡진 표면으로 이루어지고 줄같은 핫 캐소드(1)와 관통된 커버 전극(3)이 평면에 배치되고 제2그리드(46)가 제어전극(4)과 관통된 커버 전극(3) 사이에 위치한다는 것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있다. 균일한 피치에서 전자-통과 구멍(46a)을 정의 하도록 강철판 같은 금속 판을 식각하므로서 제2그리드(46)가 형성되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21014/1993호에 공개된 제2그리드 같은 평면 모양이다.8 and 9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and Fig. 9, the sam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parts as the above embodiments in those parts which are omitted.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light emitting element.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focusing electrode 10 consist of respective curved surface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of the windshield, and a stripe hot cathode 1 and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re arranged in plane and formed It is a feature of this embodiment that two grids 46 are locat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 second grid 46 is formed by etching a metal plate, such as a steel sheet, to define the electron-through hole 46a at a uniform pitch, for example a second grid-like plan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21014/1993. It is a shape.

본 발명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실험적으로 외부크기가 29 인치이고 24 인치의 효과적인 크기의 전면 유리(8)를 갖는 평평한 유형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면 유리(8), 포커싱 전극(10)과 제어 전극(4)은 실제로 동일한 굴곡 반경을 갖는 각각의 굴곡진 표면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굴곡진 표면은 약 2000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의 굴곡진 표면의 곡률반경이고 제2그리드(46)는 평면으로 만들어졌고, 줄같은 핫 캐소드(1)와 관통된 커버 전극(3)은 평면 후방 전극(42)위에 위치한다. 줄같은 핫 캐소드(1)는 12.5피치로 배치된 39 줄같은 핫 캐소드로 구성된다(제8도의 방향 y로). 후방 전극(42)과 제2그리드(46) 사이의 거리는 약 15이고 제2그리드(46)와 제어전극(4) 사이의 거리는 가장 짧게는 약 5이고 가장 길게는 약 20이다. 제2그리드(46)를 식각에 의해 한계가 그어진 약 2피치로 약 1.8평방 구멍을 갖는 약 0.2두께의 강철 종이로 구성된다. 관통된 커버 전극(3)는 약 0.0.5두께의 강철 종이를 에칭하여 형성되어 72%의 구멍영역의 비율을 갖는 메시(mesh) 구조를 이루고 3의 주축과 2의 보조측을 갖는 타원 형태로 메시에 작용한다.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ors have experimentally produced a flat typ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rnal size of 29 inches and an effective size front glass 8 of 24 inches.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us manufactured, the windshield 8, the focusing electrode 10 and the control electrode 4 consist of respective curved surface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bending radius, and each curved surface is about 2000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ylindrical curved surface with a radius of and the second grid 46 is made flat, with a stripe hot cathode 1 and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located above the planar rear electrode 42. . A stringy hot cathode (1) is 12.5 It consists of 39 rows of hot cathodes arranged in pitch (in the direction y in FIG. 8).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electrode 42 and the second grid 46 is about 15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id 46 and the control electrode 4 is at least about 5 And the longest is about 20 to be. About 2 whose limit is drawn by etching the second grid 46 Approximately 1.8 in pitch About 0.2 with square holes Consists of thick steel paper.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is about 0.0.5 Formed by etching thick steel paper to form a mesh structure with a percentage of hole area of 72%. Spindle and 2 It acts on the mesh in the form of an ellipse with its secondary side.

이렇게 제조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리를 놓는 방향으로(제8도의 x 방향) 휘도 불균일을 감소시키는 것을 개선하고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캐소드는 연장되어 장치 피치방향(제8도의 y 방향)으로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캐소드는 정렬된다. 더우기 시간 경과된 휘도 불균일의 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더우기, 연장된 시간 주기상의 동작에 조차도, 개개의 줄같은 캐소드(1)의 방사전류가 극히 감소되고 줄같은 핫 캐소드(1)가 관통된 커버 전극(3)으로 단락회로가 되는 현상을 볼 수 없다.The image display device thus manufactured improves the reduction of luminance unevenness in the bridge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8) and the cathode of the stripe hot cathode 1 extends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y direction in FIG. 8). The cathode of the stripe hot cathode 1 is aligned. Moreover, the change in luminance unevenness over time is hardly seen. Moreover, even in extended periods of time operation, the radiation current of the individual row-like cathodes 1 is extremely reduced and the row-like hot cathodes 1 are short-circuited with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s 3. none.

실험적으로 제조된 장치에서,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 P에 대한 후방 전극(4)과 제2그리드(46) 사이의 거리(L)의 비율은 1.25 이다. 그러한 비율이 1 보다 작을때, 줄같은 핫캐소드 측에서 제2그리드(46)상의 전자 빔의 균일비율은 불충분하다. 이것은 특히 제2그리드(46)와 제어 전극(4) 사이의 거리 변화의 영향에 따라 장치 피치 방향으로의 줄같은 핫 캐소드의 휘도 불균일이 현저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비율이 6을 초과할때, 동일 전압에서 제2그리드에 의해 이용된 전자 빔의 비율은 줄같은 핫 캐소드측에서 제2그리드(46)상의 전자 빔의 균일 비율을 통해 감소되어 충분하게 된다. 제2그리드(46)의 인가 전압(제조된 장치에서 70V)이 제어전극(4)의 온 전압 보다 작거나(제조된 장치에서 80V) 20V의 차이를 갖게 설정된다면, 제2그리드(46)와 제어 전극(4) 사이의 거리 변화의 영향은 감소되어 휘도 불균일이 감소하게 된다.In an experimentally manufactured device, the ratio of the distance L between the rear electrode 4 and the second grid 46 to the device pitch P of the stripe hot cathode 1 is 1.25. When the ratio is less than 1, the uniform ratio of the electron beam on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is insufficient.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luminance non-uniformity of the hot cathode to occur remarkably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especial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id 46 and the control electrode 4. When the ratio exceeds 6, the proportion of the electron beam used by the second grid at the same voltage is reduced enough through the uniform ratio of the electron beam on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If the applied voltage of the second grid 46 (70V in the manufactured device) is set to be less than the on voltage of the control electrode 4 (80V in the manufactured device) or has a difference of 20V, then the second grid 46 and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s 4 is reduced so that the luminance unevenness is reduced.

[실시예 6]Example 6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그리드(46)가 전면유리(8)의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굴곡진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은 실시예 5와 동일한 장치의 것이다. 예를 들어, 제2그리드(46)는 약 2000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굴곡진 표면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전면유리(8)의 동일한 곡률이고 제2그리드(46)와 제어 전극(4) 사이의 거리가 5로 설정된다. 이런 경우에, 제2그리드(46)와 관통된 커버 전극(3) 사이의 거리가 최소 약 15이고 최대 약 35이다. 여기서, 전자빔은 줄같은 핫 캐소드(1)와 관통된 커버 전극(3)의 구조에 의해 일정하고 평평하게 된다. 그리하여, 안정된 휘도 불균일이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 방향에서 일어날지라도, 제2그리드(46)와 관통된 커버 전극(3) 사이의 거리 변화의 영향은 거의 없다. 더우기,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에 대한 제2그리드(46)와 관통된 커버 전극(3) 사이의 거리 비율은 1.25 내지 2.9 이다. 그러한 비율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6.0 의 범위내로 설정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3.5 이다. 비율이 1 보다 작을때, 줄같은 핫 캐소드 측에서 제2그리드(46)위의 전자빔의 균일 비율은 불충분하여 날카로운 휘도 불균일을 일으킨다. 비율이 6.0을 초과할때, 고정된 전압에서 비용된 전자 빔의 비율은 감소한다.Example 6 is of the same apparatus as Example 5 except that the second grid 46 consists of a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of the windshield 8. For example, the second grid 46 is about 2000 A curved surface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This is the same curvature of the windshield 8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id 46 and the control electrode 4 is 5 Is set to.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id 46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is at least about 15. Up to about 35 to be. Here, the electron beam becomes constant and fla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tripe hot cathode 1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Thus, even if stable luminance unevenness occurs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stripe hot cathode 1, there is little influence of the distance change between the second grid 46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Moreover, th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id 46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to the device pitch of the stripe hot cathode 1 is 1.25 to 2.9. Such ratio is preferably set in the range of 1.0 to 6.0 and more preferably 1.4 to 3.5. When the ratio is less than 1, the uniform ratio of the electron beam on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is insufficient, resulting in sharp luminance unevenness. When the ratio exceeds 6.0, the proportion of the electron beam cost at a fixed voltage decreases.

[실시예 7]Example 7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1도에서 보듯이,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제2그리드(46)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중앙에서 주변 부분까지 본 바와 같이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가 점차로 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는 실시예 6과 같은 동일한 장치의 것이다. 예를 들어, 스크린의 중앙 부분이 8이고 주변부분이 16로 가정하기 위해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는 점차로 변한다. 그러한 장치는 캐소드의 밀도가 제2의 그리드(46) 또는 제어 전극(4)으로부터 크게 떨어진 중앙부분에서 증가하도록 하여 전자 빔의 밀도가 증가한다. 줄같은 핫 캐소드측에서 제2그리드(46)상의 전자빔의 균일 비율을 이것이 개선시키는데 기여한다.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nd the second grid 46 changes, the device pitch of the stripe hot cathode 1 changes gradually as see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creen. Except that Example 7 is of the same apparatus as Example 6. For example, if the center of the screen is 8 And the surrounding part is 16 In order to assume that the device pitch of the cordless hot cathode 1 changes gradually. Such a device causes the density of the cathode to increase at a central part largely away from the second grid 46 or the control electrode 4, there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electron beam. Thi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uniform ratio of the electron beam on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전자 빔의 균일 비율을 충분히 상승시키는데 있어,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가 감소되어야 하기 때문에 줄같은 핫 캐소드(1)와 관통된 커버 전극(3)에서의 전원 소비는 증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 빔의 발산을 제어하기 위하여 후방 전극(42)이 분리되고 주사선을 따라 스캐닝이 동시에 유도된다면 전원 소비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전자 빔의 균일 비율은 플랫타입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특징을 저하시키지 않고 개선될 수 있다.In sufficiently increasing the uniformity ratio of the electron beams, the power consumption at the stripe hot cathode 1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is increased because the device pitch of the stripe hot cathode 1 must be reduced. Nevertheles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f the rear electrode 42 is separated and scanning is guided along the scan line simultaneously to control divergence of the control beam. In this way, the uniform ratio of the electron beams can be improved without degra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at type image display.

[실시예 8]Example 8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2도에서 보듯이, 제어 전극(4)과 제2그리드(46)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제2그리드(46)의 전자-통과 구멍(46a)의 피치가 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이 실시예 5와 동일한 장치의 것이다. 더우기, 전자-통과 구멍(46a)의 구멍 영역의 비율이 변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부분에 대응하는 제2그리드의 부분에서, 전자 통과 구멍(46a)은 2.5피치로 정의된 2.3-평방 구멍을 포함하는 반면에 스크린의 주변부에 대응하는 제2그리드의 부분에서의 1.7피치로 정의된다. 이런식으로, 구멍 크기와 피치는 스크린의 중앙에서 주변부분까지 보듯이 점차로 변한다. 그러한 장치에서, 전자 빔 통과 효율은 구멍 영역의 비율 또는 구멍 피치가 큰 제2그리드의 부분에서 높고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 방향에서 줄같은 핫 캐소드 측의 제2그리드(46)에서 전자 빔의 균일 비율이 더욱 개선되도록 실시예 8에서 제2그리드(46)의 구멍 영역의 비율이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 방향에서 스크린의 중앙에서 주변부분까지 볼때 변하지만, 관통된 커버 전극(3)의 구멍 영역의 비율은 이같이 변하거나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제2그리드(46)의 구멍 영역의 비율이 동시에 감소된다.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the eigh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pitch of the electron-passing hole 46a of the second grid 46 chang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4 and the second grid 46 changes. It is of the same apparatus as in Example 5. Moreover, the proportion of the hole area of the electron-passing hole 46a is changed. For example, in the portion of the second grid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screen, the electron passing holes 46a are 2.5 2.3 defined by pitch 1.7 at the portion of the second grid that includes a square hole whil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screen It is defined as pitch. In this way, the hole size and pitch change gradually as seen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to the perimeter. In such a device, the electron beam passing efficiency is high at the portion of the second grid where the ratio of the hole area or the hole pitch is high and at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stripe hot cathode 1. In Example 8, the ratio of the hole area of the second grid 46 is periphery at the center of the screen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hot cathode 1, such as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uniformity of the electron beam While changing in part, the ratio of the hole area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is thus changed or the ratio of the hole area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nd the second grid 46 is simultaneously reduced.

[실시예 9]Example 9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3도에서 보듯이, 줄같은 핫 캐소드(1)와 관통된 커버 전극(3) 사이의 거리가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제2그리드(46)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줄같은 핫 캐소드의 장치 피치 방향에서 점차로 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장치의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에서, 타원의 주축상에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줄같은 핫 캐소드(1) 사이의 거리는 2로 설정되는 반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주변 부분에서 그것은 3로 설정된다. 이런 방식으로, 타원의 주축에서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줄같은 핫 캐소드(1) 사이의 거리는 스크린의 중앙에서 주변 부분까지 볼때 점차로 증가된다. 관통된 커버 전극(3)과 줄같은 핫 캐소드(1) 사이의 거리가 작을때, 대량의 전자가 나오고 반면에, 거리가 클때는 나온 양의 전자가 감소된다. 그래서, 제2그리드(46)와 상대적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줄같은 핫 캐소드(1)로부터의 전자 방사를 원활히 함에 의해, 줄같은 핫 캐소드측에서 제2그리드(46)상의 전자 빔의 균일 비율은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 방향에서 개선된다.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pe-shaped hot cathode 1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varies with the stripe-shaped hot cathod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nd the second grid 46 changes. Example 9 is of the same apparatus as Example 6, except that it gradually changes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For example,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ver electrode 3 penetrating on the ellipse's major axis and the stripe hot cathode 1 is 2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display screen it is set to 3 Is set to. In this way, the distance between the cover electrode 3 penetrated in the elliptic main axis and the hot cathode 1, such as a string, increases gradually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to the peripheral por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nd the cordless hot cathode 1 is small, a large amount of electrons come out, while when the distance is large, the amount of released electrons is reduced. Thus, by facilitating electron radiation from the stripe hot cathode 1 at a location relatively away from the second grid 46, the uniform ratio of electron beams on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is reduced. The same is improved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hot cathode 1.

[실시예 10]Example 10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4도에서 보듯이, 제2그리드(46)가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 방향에서 나눠지고 나눠진 그리드에 상이한 각각의 전압이 인가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이 실시예 5와 동일한 장치의 것이다. 실시예 1의 포커싱 전극과 같이, 제2그리드(46)는 바람직하게 약 3 내지 약 9개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제2그리드(46)이 5로 나눠지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부분과 일치하는 제2그리드(46)의 나눠진 부분(463)에 90V의 전압이 인가되고 스크린의 주변부분과 일치하는 나눠진 부분(462와 464)에 6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2그리드(46)에 인가된 전압은 점차로 변하여서 제2그리드(46) 전위 변동은 중앙 부분에서 스크린의 주변부분까지에서 보듯이 우아하게 이루어진다. 그러한 장치는 줄같은 핫 캐소드(1) 또는 제어 전극(4) 가까이에 제2그리드(46)의 부분에서 방사된 전자의 양을 조화시키고 이것은 그러한 부분에 저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줄같은 핫 캐소드측에서 제2그리드(46) 상의 전자 빔의 균일 비율을 개선시킨다.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the fifth embodiment is the fif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second grid 46 is divided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row-shaped hot cathode 1, and different voltages are applied to the divided grid. It's the same device as. Like the focusing electrode of Embodiment 1, the second grid 46 is preferably separated into about 3 to about 9 pieces. For example, if the second grid 46 is divided by 5, a voltage of 90V is applied to the divided portion 46 3 of the second grid 46 which coincides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screen and coincides wit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creen. A voltage of 60V is applied to the divided portions 46 2 and 46 4 .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grid 46 changes gradually so that the potential variation of the second grid 46 becomes elegant as see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f the screen. Such a device harmonizes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portion of the second grid 46 near the stripe hot cathode 1 or the control electrode 4 because low voltage is applied to such portion. This improves the uniform ratio of the electron beams on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실시예 11]Example 11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5도에서 보듯이, 제2그리드(46)가 커브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가 실시예 10와 동일한 장치이다. 제2그리드(46)는 제어 전극(4)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고 줄같은 핫 캐소드(1)의 장치 피치 방향으로 나눠어져서 나눠어진 그리드에 상이한 각각의 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제2그리드(46)가 5개로 분리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중앙부분과 일치하는 제2그리드(46)의 분리된 부분(463)에 90V의 전압이 인가되고 스크린의 주변 부분과 일치하는 분리된 부분(462와 464)에는 6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2그리드(46)에 인가된 전압은 점차로 변하여서 제2그리드(46)의 전위 변화가 중앙에서 스크린의 주변 부분까지 볼때에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더우기, 제2그리드(46)는 약 2000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굴곡진 표면으로 이루어지고 제어 전극으로부터 5 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실시예 10과 같이, 그러한 장치는 줄같은 핫 캐소드측에서 제2그리드(46)상의 전자 빔의 균일 비율이 실시예 5에서 보다 더욱 개선되도록 한다. 진공 덮개(43)가 전술의 실시예에서 유리로 이루어지지만, 발광 소자(9)에 제공되도록 적어도 전면 유리(8) 보다는 덮개(43)의 부분 대신에 봉합된 금속 덮개로 이루어지는 진공 덮개로서, 전면 유리(8)는 프리트 본딩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 봉합된 금속 덮개로 이루어진다.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5, the eleventh embodiment is the same apparatus as the ten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second grid 46 has a curved curve. The second grid 46 has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trol electrode 4 and is divided in the device pitch direction of the stripe hot cathode 1 so that different voltages are applied to the divided grid. For example, the second grid 46 is separated into five, and a voltage of 90 V is applied to the separated portion 46 3 of the second grid 46 which coincides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screen, separate parts matching (46 2 and 46 4) is applied with voltage of 60V.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grid 46 changes gradually so that the potential change of the second grid 46 becomes smooth when viewed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creen. Moreover, the second grid 46 is about 2000 It consists of a curved surface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and is located 5 away from the control electrode. As in Example 10, such a device allows the uniform ratio of electron beams on the second grid 46 on the stripe hot cathode side to be further improved than in Example 5. Although the vacuum lid 43 is made of glass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 vacuum lid made of a sealed metal lid instead of a portion of the lid 43 rather than at least the front glass 8 so as to be provid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9, The glass 8 consists of a metal cover sealed by frit bonding or similar means.

더우기, 줄같은 핫 캐소드(1)와 관통된 커버 전극(3)이 전술의 실시예에서 평면에 위치하지만, 이러한 전극의 신뢰도가 실제로 저하되지 않으면 발광 소자(9)가 제공되는 측에서 진공 덮개의 내부벽의 것보다 더 큰 곡률을 갖는 굴곡진 표면상에 이러한 전극이 위치한다.Furthermore, a stringy hot cathode 1 and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3 are located in the plane in the above embodiment, but if the reliability of such an electrode does not actually degrade, the side of the vacuum lid on the side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9 is provided This electrode is located on a curved surface with a curvature greater than that of the inner wall.

캐소드가 실시예 5 내지 11에서 줄같은 핫 캐소드로 이루어지지만, 실시예 4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줄같은 구조, 필드 방사 타입의 전자총의 캐소드 또는 열이온 방사 타입 캐소드와 다른 구조의 핫 캐소드를 채택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한 장치는 역시 전술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도록 한다.Although the cathode consists of a row-like hot cathode in Examples 5-11, as in Example 4, this embodiment adopts a row-like structure, a cathode of a field emission type electron gun, or a hot cathode of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a heat ion emission type cathode. You should know that Such a device also ha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the foregoing embodiment.

게다가,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의 특징을 결합시키는 것은 더욱 향상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combining features of two or more embodiments may provide a further improved image display device.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본 발명에 따라 포커싱 전극의 분리는 포커싱 전극과 전면 유리 사이의 거리에 따라 분리된 포커싱 전극에 다음 전압을 인가시키도록 한다 :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전자 빔의 빔 직경은 전체 스크린 상에서 실제로 일정하고 최소화될 수 있어서, 전체 스크린상에 일정한 휘도를 갖는 분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효과가 있다.As mentioned earlier, the separation of the focus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lows the following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focusing electrode separa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ing electrode and the windshield: therefore,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display screen is It can be virtually constant and minimized in the image, which has the effect of displaying a clear image with a constant brightness over the entire screen.

역시, 진공 덮개는 쉽게 가볍고 얇게하고 각 전극을 평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제조 단가를 최소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cover is easily light and thin, and it is possible to flatten each electrode, thereby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cost.

더우기, 본 발명에 따라, 발광 소자가 제공되는 측에 진공 덮개의 내부벽, 포커싱 전극과 제어 전극이 실제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 각각의 굴곡진 표면을 포함하고 제2그리드가 제어 전극과 관통된 커버 전극 사이에 위치하고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가 전술의 곡률 보다 실제로 더 큰 곡률을 갖는 굴곡진 표면에 위치하는 식으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치된다. 그러한 장치는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 동작시에 관통된 커버 전극의 변형을 완화, 전자의 충돌과 열원(source) 으로서 작용하는 캐소드 근처의 위치에 따라 관통된 커버 전극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완화 ; 휘도 불균일을 최소화 ; 캐소드 수명 단축을 감소 ; 관통된 커버 전극의 신뢰도와 캐소드의 것을 개선한다. 그 결과, 연장된 수명을 갖는 아주 믿을만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얻어지고 이것은 전체 스크린상에 일정한 휘도를 갖는 분명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side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provided, the inner wall of the vacuum cover, the focusing electrode and the control electrode each comprise a curved surfac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urvature and the second grid is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cover electrode and the cathode which are located at and are positioned on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which is actually larger than the above-described curvature. Such a device provides another effect: mitigating deformation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during operation, mitigating the temperature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rises depending on the collision of electrons and the position near the cathode acting as a heat source; Minimize luminance unevenness; Reduce cathode life shortening; I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and the cathode. As a result, a very reliabl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an extended lifetime is obtained, which can display a clear image with constant brightness on the entire screen.

역시, 제2그리드가 제어 전극의 동일한 곡률을 가지게 하므로서 더 개선된 휘도와 휘도 균일성을 갖는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구현 가능하다.Agai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mage display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brightness uniformity by allowing the second grid to have the same curvature of the control electrode.

더우기, 스크린의 중심에서 주변부분까지 본 캐소드와 관통된 커버 전극의 장치 피치를 증가시키므로서, 플랫-유형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선된 휘도 균일성을 실제로 제공하는 반면에 그로 파생된 다른 특성의 영향을 최소화시킨다.Furthermore, by increasing the device pitch of the cathode and pierced cover electrode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f the screen, the flat-type image display device actually provides improved brightness uniformity while allowing the influence of other properties derived therefrom. Minimize.

Claims (3)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자를 방사하는 캐소드와, 캐소드로부터 방사된 전자를 가속하여 끌어내는 관통된 커버 전극과 ; 방사된 전자가 통과하도록 전자 통과 구멍을 갖고 캐소드에 병렬로 배치되어 전자-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전자 빔을 제어하도록 적용되는 제어 전극과 ; 굴곡진 표면을 이루고 방사된 전자로 조사할 때 빛을 내는 발광 소자 및 ; 발광 소자와 제어 전극 모양의 플랫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는 발광 소자 상에서 전자 빔의 빔 직경을 정정하는 수단을 갖고 발광 소자와 제어 전극 사이에 배치된 포커싱 전극(focusing electr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cathode for emitting electrons, and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for accelerating and drawing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A control electrode having an electron passing hole for passing the emitted electrons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cathode and adapted to control an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forms a curved surface and emits light when irradiated with emitted electrons; And a focusing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control electrode and having a means for correcting the beam diameter of the electron beam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at changes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flat of the control electrode shape. Image display device. 전자를 방사하는 캐소드와 ; 캐소드로부터 방사된 전자를 가속하고 끌어내는 관통된 커버 전극과 ; 방사된 전자가 통과되도록 하는 전자 통과 구멍을 갖고 캐소드에 실제 병렬로 배치되어 전자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전자 빔을 제어하는 제어 전극과 ; 방사된 전자를 조사할때 빔을 내는 발광 소자 및 ; 제어 전극과 발광 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분할되는 포커싱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A cathode for emitting electrons;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for accelerating and drawing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A control electrode having an electron passing hole through which radiated electrons pass,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athode to control an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electron passing hole;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a beam when irradiating the emitted electrons; And a focusing electrode disposed between and divid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전자를 방사하는 캐소드와 ; 캐소드로부터 방사된 전자를 가속하여 끌어내는 관통된 커버 전극과 ; 방사된 전자가 통과하여 전자-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전자 빔을 제어하도록 하는 전자 통과 구멍을 갖는 제어 전극과 ; 방사된 전자를 조사할때 빛을 내는 발광 소자와 ; 제어 전극과 발광 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방사된 전자가 관통하도록 하는 전자 통과 구멍을 갖는 포커싱 전극 및 ; 제어 전극과 관통된 커버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와 캐소드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하는 발광 소자 상의 전자 빔의 빔 직경을 정정하는 전자 통과 구멍을 갖는 제2그리드와 ; 실제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각각의 굴곡진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전극과 포커싱 전극, 발광 소자와 ; 평평한 면 또는 상기 곡률 반경보다 실제로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굴곡진 표면상의 어레이로 배치된 캐소드, 관통된 커버 전극, 다수의 캐소드와 다수의 관통된 커버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관통된 커버 전극과 캐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A cathode for emitting electrons; A penetrated cover electrode for accelerating and drawing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A control electrode having an electron passing hole for allowing the emitted electrons to pass through and control the electron beam passing through the electron-passing hole;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irradiating the emitted electrons; A focusing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focusing electrode having an electron passing hole for penetrating the emitted electrons; A second grid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penetrated cover electrode and having an electron passing hole for correcting a beam diameter of an electron beam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cathode; A control electrode, a focusing electrode, a light emitting element, each consisting of each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 cathode disposed in an array on a flat surface or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that is actually great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a perforated cover electrode and a cathode comprising a plurality of cathodes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cover electrodes; Image displa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40702356A 1992-11-06 1993-11-04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2211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96821 1992-11-06
JP29682192 1992-11-06
PCT/JP1993/001600 WO1994011896A1 (en) 1992-11-06 1993-11-04 Image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704050A KR940704050A (en) 1994-12-12
KR100221109B1 true KR100221109B1 (en) 1999-09-15

Family

ID=1783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356A KR100221109B1 (en) 1992-11-06 1993-11-04 Imag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04394A (en)
EP (1) EP0630037B1 (en)
KR (1) KR100221109B1 (en)
CA (1) CA2127442C (en)
DE (1) DE69323485T2 (en)
WO (1) WO199401189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323B1 (en) * 1994-02-25 1998-12-01 박현승 Flat panel display
US5692942A (en) * 1995-11-30 1997-12-02 The Boc Group, Inc. Display forming method
FR2748348B1 (en) * 1996-05-06 1998-07-24 Pixtech Sa COLOR SCREEN WITH MICROPOINT DOUBLE GRID
US5955828A (en) * 1996-10-16 1999-09-2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Thermionic optical emission device
US6008784A (en) * 1996-11-06 1999-12-28 Acres Gaming Incorporated Electronic display with curved face
GB2326270A (en) * 1997-06-12 1998-12-16 Ibm A display device
US6137213A (en) * 1998-10-21 2000-10-24 Motorola, Inc. Field emission device having a vacuum bridge focusing structure and method
JP4947842B2 (en) 2000-03-31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Charged particle beam exposure system
JP4585661B2 (en) * 2000-03-31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Electro-optical array, charged particle beam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4947841B2 (en) 2000-03-31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Charged particle beam exposure system
JP2001283756A (en) 2000-03-31 2001-10-12 Canon Inc Electron optical system array, charged particle beam exposure device using it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01284230A (en) 2000-03-31 2001-10-12 Canon Inc Electronic optical system array, charged particle beam exposure system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vice
JP2001351541A (en) * 2000-06-01 2001-12-21 Hitachi Ltd Color cathode-ray tube
EP2579273B8 (en) * 2003-09-05 2019-05-22 Carl Zeiss Microscopy GmbH Particle-optical systems and arrangements and particle-optical components for such systems and arrangements
KR101017037B1 (en) * 2004-02-26 2011-0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EP1727183A1 (en) * 2004-03-16 2006-11-2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display device
EP1941528B9 (en) * 2005-09-06 2011-09-28 Carl Zeiss SMT GmbH Particle-optical arrangement with particle-optical component
DE102016106119B4 (en) 2016-04-04 2019-03-07 mi2-factory GmbH Energy filter element for ion implantation system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wafers
US10573481B1 (en) * 2018-11-28 2020-02-25 Nuflare Technology, Inc. Electron guns for electron beam too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462B2 (en) * 1976-09-20 1983-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JPS5671255A (en) * 1979-11-13 1981-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nic source
JPS58126652A (en) * 1982-01-20 1983-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te-type image display apparatus
JPS6084745A (en) * 1983-10-15 1985-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thode-ray tube
JPS60105143A (en) * 1983-11-09 1985-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te cathode-ray tube
US4804887A (en) * 1986-11-19 1989-02-14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Display device with vibration-preventing plate for line cathodes
NL8700487A (en) * 1987-02-27 1988-09-16 Philips Nv VACUUM TUBE WITH ELECTRONIC OPTICS.
EP0316871B1 (en) * 1987-11-16 1994-1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JPH01140542A (en) * 1987-11-25 1989-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display tube
DE3805858A1 (en) * 1988-02-25 1989-09-07 Graetz Nokia Gmbh FLAT IMAGE DISPLAY DEVICE
JP2584045B2 (en) * 1989-02-01 1997-0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Flat panel image display
US5191259A (en) * 1989-04-05 1993-03-02 Sony Corporation Fluorescent display apparatus with first, second and third grid plates
US5189335A (en) * 1989-10-20 1993-0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 beams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EP0428986B1 (en) * 1989-11-17 1996-0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at picture display device
JPH03159037A (en) * 1989-11-17 1991-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lay unit
JPH0419947A (en) * 1990-05-11 1992-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la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0037A4 (en) 1995-04-12
CA2127442A1 (en) 1994-05-26
EP0630037A1 (en) 1994-12-21
WO1994011896A1 (en) 1994-05-26
US5604394A (en) 1997-02-18
DE69323485D1 (en) 1999-03-25
KR940704050A (en) 1994-12-12
DE69323485T2 (en) 1999-07-22
EP0630037B1 (en) 1999-02-10
CA2127442C (en) 2000-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10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312694B1 (en) Fed having a carbon nanotube film as emitters
US7612493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with improved focusing of electron beams
EP0201609A1 (en) Electron gun of picture display device
JPH05343000A (en) Electron gun and cathode-ray tube
US7615916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including enhanced beam focusing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064479B2 (en) Cold cath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d cathode display device
US20040085009A1 (en) Cold-cathode electron source and field-emmision display
KR20050049842A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EP0107254A1 (en) Colour display tube
US20050140268A1 (en) Electron emission device
JPH0743933Y2 (en) Electron supply unit of flat light emitting device
JP2791953B2 (en) Electron supply section of flat light emitting device
US20060163994A1 (en) Vacuum display device with increased resolution
KR940009191B1 (en) Flat type cool crt
EP1737013B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40069579A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101009975B1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with grid electrode
KR20050050844A (en)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JPH03190042A (en) Cathode-ray image display device
JPH04312751A (en) Flat type display device
JPH0395839A (en) Cathode-ray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1984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osphor screen of electron emission device
JPH0249337A (en) Electron supply part of flat type luminescent device
JPS6324296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