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796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796B1
KR100219796B1 KR1019910025817A KR910025817A KR100219796B1 KR 100219796 B1 KR100219796 B1 KR 100219796B1 KR 1019910025817 A KR1019910025817 A KR 1019910025817A KR 910025817 A KR910025817 A KR 910025817A KR 100219796 B1 KR100219796 B1 KR 10021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minated
group
oxide
stabilizer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997A (ko
Inventor
이계진
정동원
Original Assignee
폴 루르
로디아폴리아마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루르, 로디아폴리아마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폴 루르
Priority to KR101991002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796B1/ko
Publication of KR93001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중량로 폴리아미드 수지 25 내지 84, 입자경 15이하인 무기충전제 5 내지 40, 삼산화 안티몬 등의 1종 이상의 무기화합물 3 내지 10, 1종 이상의 할로겐 화합물 8 내지 30및 안정제 0.01 내지 2.5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난연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우수한 난연성은 물론 치수안정성, 저변형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서 나타나기 쉬운 가공시의 난연제의 분해에 의한 변색이 없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날로 강화되고 있는 안정성 규제(예;UL, CSA 등)와 더불어 광범위한 제품이나 부품의 재료로 응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분야에도 그 적용빈도가 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순히 난연효과만 구비하면 만족하던 것이 날이 갈수록 제품이나 부품의 요구특성이 다양해져서 복잡다양한 제품에서의 치수안정성, 가공시의 안정성 등의 특성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나일론-6(융점215225, 95황산에서의 상대점도2.23.4), 혹은 나일론-66(융점255265, 95황산에서의 상대점도2.23.0)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수지 25 내지 84중량,
(b) 평균 입자직경이 15이하인 탈크, 카올린, 클레이, 마이카, 월라스토나이트, 유리 분말, 금속 분말, 글래스 비드, 발로티니, 실리카, 석회, 석고 및 목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상 무기 충진제 5 내지 40중량,
(c) 삼산화안티몬, 산화제1철, 산화제2철, 붕산아연, 산화아연 및 안티몬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화합물 3 내지 10중량,
(d) 브롬화 폴리스틸렌, 브롬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브롬화 디페닐에테르, 비스(헥사클로로시클로펜타디에노)시클로옥탄, 테트라데카브로모디페녹시벤젠,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브롬화스틸렌, 브롬화비스페놀-A 및 브롬화 에폭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할로겐화 화합물 8 내지 30중량
(e) 상업적으로 플라스틱용 가공안정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노화안정제로서 시판되고 있거나 추천되는 안정제(대표적으로 방향족 아민계 안정제, 니켈계 안정제, 입체장애 페놀계 안정제, 인계 안정제, 유황계 안정제, 망간계 안정제 등이 있음) 성분 0.01 내지 2.5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개개 성분들을 기계적으로 혼합, 분산시켜 상업적으로 제조된다. 이 때 각 성분들의 균일한 혼련 및 분산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바로 재료특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설비들이 상업적으로 제작판매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서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여타의 특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안료, 염료, 결정핵제, 내충격제, 강화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활제, 이형제, 가소제, 광택제 등과 같은 플라스틱 첨가제들이 첨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이나 부품의 마모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이황화몰리브덴, 흑연, 불소수지, 실리콘오일 등이 함유될 수도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것을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일련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봉지에서 예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된 D30, L/D30 압출기를 통해 혼련압출한다. 용융온도는 260 내지 285로 유지되며, 스크류 회전속도는 250회/분, 토출량은 15kg/Hr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압출물은 칩으로 만들고, 100의 건조오븐에서 6시간 이상 건조시켜 수분율이 0.1이하로 되도록 한 다음, 사출방법에 의하여 시편으로 제작하여 평가에 활용한다.
# 이방성()[(유동 수직방향의 성형 수축율-유동방향의 성형 수축율)/유동방향의 성형수축율]100
#1 가공안정성 : 사출성형시 가스발생, 유동변동성, 열분해 및 변색, 탄화 및 흑점발생 등의 문제발생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3등급으로 구분함.
A : 양호함, B : 유의하면 성형 가능함, C : 성형 불량
# 이방성()[(유동 수직방향의 성형 수축율-유동방향의 성형 수축율)/유동방향의 성형수축율]×100
#1 가공안정성 : 사출성형시 가스발생, 유동변동성, 열분해 및 변색, 탄화 및 흑점발생 등의 문제발생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3등급으로 구분함.
A : 양호함, B : 유의하면 성형 가능함, C : 성형 불량

Claims (1)

  1. 성분(a)(e)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a) 나일론-6 및 나일론-6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수지 25 내지 84, (b) 평균 입자직경이 15이하인 탈크, 카올린, 클레이, 마이카, 월라스토나이트, 유리 분말, 금속 분말, 글래스 비드, 발로티니, 실리카, 석회, 석고 및 목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상 무기 충진제 5 내지 40, (c) 삼산화안티몬, 산화제1철, 산화제2철, 붕산아연, 산화아연 및 안티몬산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화합물 3 내지 10, (d) 브롬화 폴리스틸렌, 브롬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브롬화 디페닐에테르, 비스(헥사클로로시클로펜타디에노) 시클로옥탄, 테트라데카브로모디페녹시벤젠,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브롬화스틸렌, 브롬화 비스페놀-A 및 브롬화 에폭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할로겐화 화합물 8 내지 30및 (e) 안정제 0.01 내지 2.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910025817A 1991-12-31 1991-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1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817A KR100219796B1 (ko) 1991-12-31 1991-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817A KR100219796B1 (ko) 1991-12-31 1991-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997A KR930012997A (ko) 1993-07-21
KR100219796B1 true KR100219796B1 (ko) 1999-10-01

Family

ID=1932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817A KR100219796B1 (ko) 1991-12-31 1991-12-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293A (ko) * 2000-09-28 2002-04-04 장인호 불연성 고강도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KR100368511B1 (ko) * 1999-01-29 2003-01-24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폴리아미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653B1 (ko) * 2005-12-29 2007-10-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열도가 우수한 난연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11B1 (ko) * 1999-01-29 2003-01-24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폴리아미드 조성물
KR20020025293A (ko) * 2000-09-28 2002-04-04 장인호 불연성 고강도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997A (ko) 199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4690A (en) Flame retard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EP0122699B1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US4360616A (en) Flame-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US4187207A (en) Flameproofed polyamide containing red phosphorous
US5021497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KR101126980B1 (ko) 난연화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EP0172259B1 (en) Fire-retardant fiber-reinforce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A1232391A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US5043371A (en) Flame-retardant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 electrical component
US4548972A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KR1002197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4504608A (en) Flame retardant polyester resin compositions
US5252633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US4504611A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EP037517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 polysulfone molding compositions improved in mold-release characteristics and the compositions obtained by this process.
US4145330A (en) Flame retardant polypivalolactone compositions
CA2099479C (en) Flame-retardant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s
EP0405936A1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KR10021979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020002228A1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resin composition
US5185392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EP0376484A2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EP0485644A1 (en) 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s with strengthened weldline
DE3841022A1 (de) Formmassen aus arylensulfidpolymeren und phenolischen verbindungen
KR950000993B1 (ko)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