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790B1 -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790B1
KR100214790B1 KR1019910021944A KR910021944A KR100214790B1 KR 100214790 B1 KR100214790 B1 KR 100214790B1 KR 1019910021944 A KR1019910021944 A KR 1019910021944A KR 910021944 A KR910021944 A KR 910021944A KR 100214790 B1 KR100214790 B1 KR 10021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ever
cam
gea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66A (ko
Inventor
노리유끼 고가
다께요시 다까시나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2001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원의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는 간단한 구조의 테이프 레코더 작동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고 낮은 비용으로 두께가 얇고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정상 및 역 모드 위치나 정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방향 슬라이더와, 저지와 비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결합부를 가진 트리거 부재와, 대향 위치 방향으로 방향 슬라이더의 제어부를 가압시키기 위한 정상 및 역 모드 가압면을 가진 캠 섹션을 구비한 회전식 캠 기어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부가 저지 위치에 있으면, 캠 기어는 플레이 모드 또는 정지 모드 실시 위치에서 회전이 억제된다. 결합부가 정지 모드로 비저지 위치로만 이동되면, 정상 모드 가압면을 정상 모드 위치로 방향 슬라이더가 이동되도록 제어부를 가압하지만, 예정된 기간에 비저지 위치로의 결합부의 이동이 두 번 수행되면, 역모드 가압면은 역 모드 위치로 방향 슬라이더를 이동시키키 위해서 제어부를 가압한다.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장치 섀시 위에 있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의 일부분의 부분 절취 평면도.
제2도는 상기 장치 섀시 위에 있는 모드 변환 장치의 여러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장치 섀시 아래에 있는 모드 변환 장치의 다른 부분의 확대 평면도.
제4도는 장치 섀시 아래에 있는 모드 변환 장치의 여러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모드 변환 장치의 캠 기어의 확대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VI-VI 선상에서 취한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VII-VII 선상에서 취한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정상 플레이 모드에서의 모드 변환 장치의 평면도.
제9도는 역플레이 모드에서의 모드 변환 장치의 평면도.
제10도는 정지 모드에서의 모드 변환 장치의 부분 절취 평면도.
제11도는 고속 주행 모드에서의 모드 변환 장치의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돌출 버튼의 작동 결과 돌출 위치로 되돌아간 헤드 베이스를 도시하는 모드 변환 장치의 평면도.
제13도는 헤드 베이스가 돌출 위치로부터 전진되는 동안 돌출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모드 변환 장치의 평면도.
제14도는 모드 변환 장치의 제어 회로의 블록선도.
제15a도 및 15b도는 초기 트리거링시의 다른 위치에서의 모드 변환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 수평 단면도.
제16도는 초기 트리거링시의 모드 변환 장치의 방향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7도는 정상 플레이 모드와 설정시의 모드 변환 장치의 평면도.
제18도는 플레이 모드의 설정후의 모드 변환 장치의 확대 수평 단면도.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역플레이 모드의 설정시의 다른 위치에서 캠 기어와 트리거 레버를 나타내는 확대 수평 단면도.
제20a도 및 제20b도는 역플레이 모드의 설정시의 다른 위치에서 모드 변환 장치의 평면도.
제21a도 내지 제21c도는 정지 모드의 설정시의 캠 기어와 트리거 레버의 확대 수평 단면도.
제22도는 캠 기어의 회전에 연루된 모드 변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플레이어 2 : 장치 섀시
3 : 외부 케이싱 4 : 테이프 카세트
7 : 기어부 9 : 캡스턴
10 : 모터 12 : 플라이 휘일
본 발명은 새로운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모드를 갖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테이프 플레이어는 테이프에의 기록 및 재생이 시행되는 플레이 모드, 테이프 플레이어가 정지 상태에 있는 정지 모드 및, 테이프의 고속 정회전(FF) 또는 되감기(REW)가 시행되는 고속 회전 모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모드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모드중 임의의 모드를 선정하여 시행하는 것은, 테이프를 정속 주행시키기 위해 캡스터에 대해 탄성 가압되도록 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핀치 롤러 아암 및, 릴 베이스를 테이프 권선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한쌍의 릴 베이스중 하나와 선별 결합되는 요동 기어를 지지하는 요동 레버와 같은 테이프 주행 방향 결정 부재의 위치를 변환시키거나 자기 헤드등의 위치를 변환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프 주행 방향 결정 부재등의 위치는 모드 변환 기구에 의해 변환된다. 상기와 같은 변환 기구는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운동 부재를 효과적으로 위치 제어하도록 즉, 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면 핀치 롤러 레버는 핀치 롤러가 캡스턴에 대해 탄성 가압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자기 헤드는 테이프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며 요동 레버는 요동 기어가 한쌍의 릴 베이스중 하나와 결합하는 위치로 이동하지만, 정지 모드가 실시되면 핀치 롤러가 캡스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돌아가고 자기 헤드는 테이프로 이격되는 위치로 돌아가며 요동 레버는 요동 기어가 릴 베이스와 결합 해제되는 위치로 돌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속 주행 모드는 통상 테이프 플레이어가 정지 모드인 상태에서 한쌍의 릴 베이스중 하나를 테이프 권선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고속 회전시키므로써 실시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런데 오늘날 대부분의 테이프 플레이어는 소위 역모드를 구비 즉, 테이프가 일방향으로 주행중일 때 기록 및 재생이 이루어지는 정상 플레이 모드와 테이프가 반대 방향으로 주행할 때 기록 및 재생이 이루어지는 역플레이 모드의 두 플레이 모드를 구비하고 이 두 플레이 모드중 하나가 선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형식의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기구는 정상 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제1 위치와, 역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제 2 위치 및 , 정지 모드가 실시되는 제 3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몇몇 경우에 역모드를 갖는 종래의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기구는 상기 세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세 위치 즉, 정상 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정상 모드 위치, 역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역모드 위치 및 정지 모드가 실시되는 정지 위치로 이동하는 모드 변환 레버와, 상기 모드 변환 레버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의 제어 수단은 모드 변환 레버상에 제공된 제어부를 두 반대 방향으로 선별 가압하도록 캠 소자가 제공되는 캠 기어를 구비한다.
그러나, 모드 변환 레버와 상기 캠 기어를 구비하는 형태의 종래 모드 변환 기구는 캠 기어상에 제공된 캠 소자와 모드 변환 레버상에 제공된 제어부간의 관계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 즉, 상기 관계를 캠 소자가 제어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관계와 캠 소자가 제어부를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관계 사이에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이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종래의 모드 변환 기구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그 밖에 소형화 및 두께 감소가 얻어지지 않으며 제작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테이프 레코더 작동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고 낮은 비용으로 두께가 얇고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선,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가 일방향으로 주행되는 동안 기록 또는 재생이 시행되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정상 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정상 모드 위치와, 테이프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되는 동안 기록 또는 재생이 시행되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역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역모드 위치 및, 테이프 플레이어가 작동하지 않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정지 모드가 실시되는 정지 위치로 이동 가능한 방향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테이프 를레이어용 모드 변환 기구가 제공되며, 상기 방향 슬라이더는 제어부, 지지 위치와 비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결합부를 갖는 트리거 부재 및, 상기 방향 슬라이더의 제어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정상 모드 가압면과 제어부를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역모드 가압면이 있는 제1캠 섹션 및 상기 결합부와 관련된 제2캠 섹션을 갖는 회전 가능한 캠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캠기어는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저지 위치, 플레이 모드 실시위치 및 정지 모드 실시 위치에 있을때 회전이 억제되고, 캠기어의 제1캠 섹션의 정상 모드 가압면은 테이프 플레이어가 정지 모드 상태에서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일단 비저지 위치로 이동할 때 방향 슬라이더를 정상 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방향 슬라이더의 제어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1캠 섹션의 역모드 가압면은 예정된 기간동안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두 번 이동할 때 방향 슬라이더를 역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를 가압한다.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기구에 있어서, 예정된 위치에서 캠 기어의 회전을 선별적으로 방지하는 트리거 부재는 방향 슬라이더의 제어부와 방향 슬라이더 가압용 캠 기어의 제1캠 섹션간의 관계를 상기 제1캠 섹션이 제어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제공되는 관계와 제1캠 섹션이 제어부를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제공되는 다른 상태가 제공되는 관계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다른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두 관계 사이의 선별 변환은 트리거 부재가 비저지 위치로 이동하는 횟수를 달리하므로써만 수행된다. 따라서 캠 기어가 방향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방향을 선별 변환하기 위한 특별 수단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고 상기 형태의 기구의 구조는 매우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보통 예정된 기간에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비저지 위치로 두 번 이동할 때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는, 제1캠 섹션의 역모드 가압면이 제어부를 가압하여 방향 슬라이더를 역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부재가 방향 슬라이더를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제2캠 섹션에 의해 가압된다.
상기 캠 기어는 정지 모드에서의 제1결합 위치와 정상 또는 역플레이 모드에서의 제2결합 위치를 가질 수 있고 트리거 부재에 의해 제1결합 위치로부터 제2결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보통 상기 트리거 부재는 전자기 수단을 구비한다.
통상 캠 기어는 비치형부를 가지며, 트리거 부재의 작동에 의해 그 비치형부가 구동 기어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유사한 부분에 유사한 도면 부호가 대응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기 내용과 청구범위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먼저 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11도와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언급해 보면, 본 발명이 적용된 테이프 를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를 도시하였다. 모드 변환 장치는 외부 케이싱(3)과 외부 케이싱(3)에 고착된 장치 섀시(2)를 가지는 테이프 플레이어(1)로 합체되었다. 외부 케이싱(3)의 내부 공간의 그 부분에서 그 하부는 테이프 카세트(4)가 제거 가능하게 로딩된 카세트 로딩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전방 단부를 제외하고 장치 섀시(2)의 상부면(2a)의 대분에 의해 규정된다. 하기에 언급된 방향일때 제1도에 근거하여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이 제1도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이며, 그리고 전방 또는 후방이 제1도의 하방 또는 상방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제3도를 언급하면, 한쌍의 릴 베이스(5, 5')는 장치 섀시(2)상의 회전을 위해 지지되며, 릴 결합축(6, 6')과 릴 결합축(6, 6')상의 일체형 회전을 위해 지지된 기어부(7, 7')를 가진다. 장치 섀시(2)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릴 결합축(6, 6')은 서로로부터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며, 반면 기어부(7, 7')는 장치 섀시(2)의 하부면에 인접한 장치 섀시(2) 아래에 배치된다.
권취측 입력 기어(8)는 장치 섀시(2)상의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권취측 입력 기어(8)는 우측 측부 릴 베이스의 좌측 후방 위치에 배치되며, 우측 측부 릴 베이스(5)(이하 권취측부 릴 베이스라 언급함)와 결합 유지된다.
한쌍의 캡스턴(9, 9')은 장치 섀시(2)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서로 좌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그 대부분이 장치 섀시(2) 위의 상향으로 돌출된다.
릴 베이스(5, 5') 구동용 모터(10), 캡스턴(9, 9'), 후술할 캠 기어(84)등은 장치 섀시(2)의 하측면의 우측 전방 모서리에 고정되며, 소경의 구동 풀리(11)는 모터의 회전축(10a)에 고정된다.
한쌍의 플라이 휘일(12, 12')은 중앙 부분에서 캡스턴 (9, 9')의 하측부에 고정된다. 각 플라이 휘일(12, 12')은 외주변상에 형성된 벨트 수용 홈을 가지며, 기어(13)는 좌측측부 플라이 휘일(12)의 상측면에 고정된다.
제3도 및 제4도를 언급하면, 중간 풀리(14)는 고정된 지지축(16)의 하측부에서 회전을 위해 지지되며 릴 베이스(5, 5')간의 장치 섀시(2)의 중간 위치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된다. 비교적 소경의 중간 기어(15)는 중간 풀리(14)의 상측면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무단 변속 벨트(17)는 구동 풀리(11), 플라이 휘일(12, 12')과 중간 풀리(14) 사이와 주의에 연장되어 두 플라이 휘일(12, 12')이 서로 대향 방향으로 회전된다.
변속 기어(18)는 장치 섀시(2)의 하측면상에 회전을 위해 지지되며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동축의 대 및 소기어부(18a, 18b)를 가진다. 변속 기어(18)의 대기어부(18a)는 플라이 휘일의 좌측 후방으로 배치되며 플라이 휘일(12)의 기어(13)와 결합하여 유지된다.
후술할 고속 이송 모드보다 테이프 플레이어의 어떤 다른 모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우측부 캡스턴(9)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모터(10)가 회전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와 같은 모터(10)의 회전 방향은 전방 방향으로 이후에 언급될 것이며, 우측 측부 캡스턴(9)는 정상 모드 측부 캡스턴으로 좌측 측부 캡스턴(9')는 역모드 측부 캡스턴으로 이후에 언급될 것이다.
그러므로 모터(10)가 전방으로 회전될 때 정상 모드 측부 캡스턴(9)은 상술한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반면 역모드 측부 캡스턴(9')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중간 풀리(14) 및 중간 기어(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변속 기어(1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반하여 모터(10)가 역으로 회전될 때 중간 풀리(14) 및 중간 기어(1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도, 제6도 및 제8도 내지 제10도를 언급하면, 한쌍의 좌향 및 우향 신장된 핀치 롤러 레버(19,19')는 장치 섀시(2)의 대향 좌우측 단부에 인접한 상측면의 위치에서 똑바로 설치된 한쌍의 지지축(21)상에 선회 운동을 위해 서로 이격된 기단부에서 지지된다. 한쌍의 핀치 롤러(20, 20')는 핀치 롤러 레버(19, 19')의 선회 단부에서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비틀림 스프링(22)은 우측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이후 정상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로 언급됨)를 위해 지지축(21) 주위에 맞추어지며, 상술한 바와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정상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를 편기시킨다. 반면에 다른 비틀림 스프링(22)은 좌측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이후 역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로 언급됨)를 위해지지축(21) 주위에 맞추어지며, 시계 방향으로 역전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를 편기시킨다. 그러므로 정상 및 역측부 핀치 롤러 레버(19, 19')가 외력에 의해 작동되지 않을 때 핀치 롤러 레버(19, 19')의 베이스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아암(19a, 19b)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상 수축 위치에서 핀치 롤러 레버(19, 19')를 유지하기 위해 장치 섀시(2)상에 형성된 한쌍의 스토퍼 러그에 의해 접촉 및 정지된다. 핀치 롤러 레버(19, 19')가 각 정상 후퇴 위치일 때 그 위의 핀치 롤러(20, 2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스턴(9, 9')으로부터 조금 전방으로 대향 및 이격된다.
한쌍의 탄성 가압 스프링(23, 23')는 캡스턴(9, 9')에 대하여 핀치 롤러(20, 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제공되며, 각각은 한쌍의 긴 아암(23b 및 23c 또는 23'b, 23'c)을 가진다. 탄성 가압 스프링(23, 23')은 각각 코일부(23a, 23'a)를 가지며 코일부는 핀치 롤러 레버(19, 19')의 베이스단부의 원통형부(19b, 19'b)의 하부 주위에 맞추어진다. 탄성 가압 스프링(23, 23')의 아암(23b,23'b)의 각 부분은 핀치 롤러 레버의 전방면과 탄성 접촉하여 유지되며, 반면 다른 아암(23c, 23'c)의 인접 단부는 핀치 롤러 레버(19, 19')의 선회 단부의 전방면에 형성된 스프링 정착부(19c, 19'c)와 탄성 접촉하여 유지된다.
핀치 롤러 레버(19, 19')는 탄성 가압 스프링(23, 23')의 아암(23c, 23'c)의 단부가 후술할 시소 레버(50)에 의해 가압될 때 후방으로 선회되는, 즉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며, 그 결과 필치 롤러(20, 20')는 캡스턴(9, 9')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제1도, 제2도, 제6도, 제8도 내지 제10도, 제12도 및 제13도를 언급하면, 헤드 베이스(24)는 자기 헤드(25)상에 지지된다. 헤드 베이스(24)는 좌우측 방향으로 신장된 평판의 형태이며, 그 대향 단부는 잔존부와 비교하여 폭이 감축된다. 지지 구멍(24a)는 헤드 베이스(24)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며, 역전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가 지지된 지지축(21)은 지지축(21)상의 선회 운동을 위해 헤드 베이스(24)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 구멍(24a)내의 하측 단부에서 맞추어진다.
한쌍의 신장된 구멍(26, 27)은 헤드 베이스(24)의 넓은 부분(24b)의 좌측 단부에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으로 호형으로 서로 평행 연장된다. 스프링 정착 러그(28)는 헤드 베이스(24)의 넓은 부분(24b)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좌측단 모서리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원통형 조정핀(29)은 헤드 베이스(24)의 넓은 부분(24b)의 전방측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의 중간 위치에서 상향으로 설치된다.
상향으로 굽은 저압력 수용벽(30)은 헤드 베이스(24)의 넓은 부분 (24b)상에 형성되며, 우측 측부 모서리의 후방 반부로부터 헤드 베이스(24)의 우측 단부의 전방 모서리까지 연장된다.
헤드 홀더(31)는 우측 단부에 인접한 헤드 베이스(24)의 상측면에 고정되며, 자기 헤드(25)는 테이프 접촉 레이스(25a)가 후방으로 지향되는 방향으로 헤드 홀더(31)상에 유지된다. 자기 헤드(25)는 핀치 롤러(20, 20')사이의 중간에 배치된다.
비틀림 스프링 형태의 복귀 스프링(32)은 헤드 베이스(24)를 위해 제공되며, 장치 섀시(2)의 상측면상에 똑바로 제공된 스프링 지지핀(33) 주위에 맞추어진 코일부(32a)를 가진다. 복귀 스프링(32)의 아암(32b)은 장치 섀시(2)상에 똑바로 제공된 슬프링 정착 부재(34)의 우측부에 탄성 접촉으로 유지되며, 반면에 복귀 스프링(32)의 다른 아암(32c)은 헤드 베이스(24)상에 형성된 스프링 정착부(28)의 후방부와 탄성 접촉하여 유지된다. 그러므로 복귀 스프링(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헤드 베이스(24)를 편기시킨다.
서브 레버(35)는 플레이 모드가 설정될 때 헤드 베이스(24)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밀치기 위해 제공된다. 서브 레버(35)는 헤드 베이스(24)의 길이보다 다소 짧은 길이를 가지는 평판의 형태이며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구멍(35a)은 서브 레버(34)의 우측 단부에서 형성되며, 정상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가 지지되는 지지축(21)의 하측 단부가 지지 구멍(35a)에서 맞추어져서 서브 레버(34)가 지지축(21)상의 선회운동을 위해 지지된다. 서브 레버(35)는 좌측단 모서리에서 상향으로 형성된 가압 러그(36)를 가지며, 또한 좌측단에 인접하며 전방 및 후방으로 신장된 위치에서 형성된 신장된 구멍(37)을 가진다. 스프링 고정 러그(38)는 종방향으로 서브레버(35)의 중앙 위치에 직립 형성된다.
한쌍의 가이드 축(39)은 상호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장치 섀시(2)의 상면의 전방 축부 모서리를 따라 여러 위치에 직립 장착된다.
인장 스프링(40)은 우측 가이드 축(39)의 하부와, 서브 레버(35)의 스프링 고정 러그(38) 사이에서 연장되어 위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서브 레버(35)를 피봇되게 가압한다. 서브레버(35)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지 않을 때, 전방 측부 모서리의 좌측 단부는 장치 섀시(2)의 전방 측부 모서리상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음 스톰퍼와 접하며, 서브 레버(35)는 제1도의 대기 위치, 즉, 지지축(21)으로부터 전방으로 또한 좌측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헤드 베이스(24)의 압력 수용벽(30)은 후방으로부터 서브 레버(35)의 압력 러그(36)로 대향되며, 헤드 베이스(24)가 시소 레버(5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지 않을 때, 압력 가압력(30)이 서브레버(35)의 압력편(36)과 접하기 때문에 서브 레버(35)에 의해 위치된다. 따라서, 헤드 베이스(24)가 시소 레버(5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지 않고 서브 레버(35)가 대기위치에 있으면, 헤드 베이스(24)는 제1도의 퇴출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자기 헤드(25)는 카세트 장착부내의 정위치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4)의 카세트 케이스(4)밖에 위치된다.
제1도, 2도, 6도, 8도, 내지 10도, 12도 및 13도를 참조하면, 테이프 플레이어(1)의 테이프 장착부내로 또 그로부터 테이프 카세트(4)를 장착 및 퇴출시키는 것은 헤드 베이스(24)가 퇴출 위치에 있는 동안에 수행되고 , 테이프 카세트(4)의 카세트 케이스(4)가 바로 위로부터 장치 섀시(2)의 상면(2a)으로 위치될 때 장착 작동은 종료된다.
테이프 카세트(4)이 장치 섀시(2)의 상면(2a)상에 위치될 때, 카세트 케이스(41)내에 회전을 위해 수용뙨 2개의 테이프 릴(42, 42')은 2개의 릴 베이스(5, 5')와 결합되고, 캡스턴(9, 9')은 카세트 케이스(41)의 전부에 형성된 한쌍의 캡스턴 삽입 구멍(도시되지 않음)내로 각각 삽입된다.
자기 테이프(43)는 테이프 카세트(4)의 카세트 케이스(41)내에 수용되고, 자기 테이프(43)의 대향 단부는 카세트 케이스(41)밖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카세트 케이스(41)의 전부벽(41a)상에 형성된 리세스부(도시되지 않음)내에 자기테이프(43)의 중간부가 스레드된 동안에 테이프 릴(42, 42')상에 고정되고 감긴다. 테이프 카세트(4)가 테이프 플레이어(1)의 카세트 장착부내에 정위치에 장착될 때, 카세트 케이스(4)밖에 노출된 부분의 대향측상에 자기 테이프(43)의 부분이 그들사이에 삽입되는 동안에 핀치 롤러(20, 20')는 캡스턴(9, 9')에 대향된다.
퇴출 장치(44)는 테이프 카세트(4)를 테이프 플레이어(1)의 카세트 장착부로부터 퇴출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퇴출 장치(44)는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한 제어 레버(45)와, 제어 레버(45)를 제어 레버(45)의 운동 범위의 우측 단부에 있는 퇴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퇴출버튼(49)과, 제어 레버(45)가 퇴출 위치로 이동되었을때에 테이프 카세트(4)을 위로 가압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카세트 상향 가압 기구를 포함한다.
제어 레버(45)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판의 형태이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 구멍(45a)은 좌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와, 제어 레버(45)의 우측 단부에 가까운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가이드 축(39)의 상부는 미끄럼 운동을 위해 연장된 가이드 구멍(45a)내에 각각 결합되고, 제어 레버(45)는 가이드 축(39)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 범위내에서 운동을 위해 지지된다.
한쌍의 플랜지(39a) (제2도에서만 도시됨)는 가이드 축(39) 각각에 형성되고, 제어 레버(45)의 연장된 가이드 구멍(45a)의 모서리는 수직 방향으로 제어 레버(45)의 위치를 한정하도록 가이드 축(39)의 한쌍의 플랜지(39a)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어 레버(45)는 헤드 베이스(24)의 조절핀(29)의 상단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제어 레버(45)는 우측 단부 부근의 후방 측부 모서리상에 상향 형성된 스프링 고정 러그(46)를 가지며, 우측 단부 에지에 상향 형성된 압력 수용 러그(47)를 갖는다. 제어 레버(45)는 또한 좌측 단부에 형성된 캠부(48)를 갖는다.
정상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에 탄성 피봇력을 적용하는 비틀림 스프링(22)의 아암(22a)의 단부는 제어 레버 (45)의 스프링 고정 러그(46)의 우측 부분과 탄성 접촉 유지되어, 제어 레버(45)는 비틀림 스프링(22)에 의해 좌측 이동되도록 편향된다.
따라서, 제어 레버(45)가 우측으로 가압되지 않을 때, 운동 범위의 좌측 단부의 위치, 즉, 연장된 가이드 구멍(45a)의 우측 단부가 제1도의 가이드 축(39)과 접촉되는 비-퇴출위치에 유지된다.
캠부(48)는 제어 레버(45)의 좌측 단부의 코너부를 L형으로 절단하므로써 형성된다. 특히, 제어 레버(45)의 전방 모서리의 좌측 단부는 제어 레버(45)의 좌측 단부 모서리로부터 어느 정도 우측 이동된 위치까지 연장되고, 제어 레버(45)의 전방 모서리의 좌측 단부에 인접하는 모서리(48a) (압력 수용 모서리로 지징된다)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른 부분인 모서리(48b) (이하 저지 모서리로 지칭된다)는 압력 수용 모서리 (48a)의 후방 단부로부터 우측 연장되지만 비교적 짧다. 또한, 저지 모서리(48b)의 우측 단부에 인접한 모서리는 처음에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다음에는 좌측으로 굽혀지며, 좌측 굽힘부의 좌측 단부 앞의 모서리(48c) (이하 저지 모서리로 지칭된다.)는 좌측 측부로, 즉, 피봇 운동시에 헤드 베이스(24)의 조절핀 (29)의 운동 궤적에 평행한 방향으로 약간 전방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다른 모서리(48d)는 저지 모서리(48c)의 전방 단부로부터 좌측 연장되고, 압력 수용 모서리(48a)의 전방 단부의 약간 후방으로 위치된다.
저지 모서리(48b)와 압력 수용 모시리(48a)가 상호 연결되는 코너부와 저지 모서리(48c)사이의 거리가 최소폭을 제공하는 위치에서의 거리는 헤드 베이스(24)의 조절핀(29)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는 것을 주의하기 바란다.
헤드 베이스(24)가 퇴출 위치에 있을때에, 그 위의 조절핀(29)의 상단부는 캠부(48)의 저지 모서리(48c)의 전방 단부로부터 약간 전방 이격되며, 캠부(48)(제1도 참조)의 압력수용 모서리(48a)의 전방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이격된다.
퇴출 버튼(49)은 외부 케이싱(3)의 전부벽(3a)내에 형성된 버튼 수용 구멍(3b)내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운동을 위해 배치된 버튼부를 갖고,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압부(49a)를 갖는다. 퇴출 버튼(49)의 가압부(49a)는 단부가 제어 레버(45)의 압력 수용 러그(47)에 좌측으로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퇴출 버튼(49)이 우측으로 가압되지 않을때에, 퇴출 버튼(49)의 우측 이동은 비-퇴출 위치에 있는 제어 레버(45)의 압력 수용 러그(47)와 가압부(49a)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퇴출 버튼(49)은 운동 범위내에서 좌측 단부위치(이하 대기 위치로 지칭된다)에 유지되지만, 퇴출 버튼(49)이 우측으로 가압될 때 가압부(49a)는 제어 레버(45)의 압력 수용 러그(47)를 가압한다.
따라서, 운동 범위의 우측 단부에 있는 다른 위치로, 즉, 제12도의 버튼 수용 구멍(3b)의 우측 단부와 접하는 위치(이하 퇴출 위치로 지칭된다)로의 제어 레버(45)의 우측 이동이 방지되지 않는 위치로부터 퇴출 버튼(49)이 이동될 때, 제어 레버(45)는 퇴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에, 도시되지 않은 카세트 상향 가압 기구의 카세트 상향 가압부는 장치 섀시(2)의 상면위로 상향 돌출되고,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4)가 정위치에 장착되는 동안에 제어 레버(45)가 퇴출 위치로 이동되면, 테이프 카세트(4)의 카세트 케이스(4)는 카세트 상향 가압 기구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테이프 카세트(4)는 장치 섀시(2)로부터 제거된다.
퇴출 위치로의 제어 레버(45)의 이동의 허용 또는 금지는 헤드 베이스(24)의 위치가 제한되는지 또는 제한되지 않는지에 따라 제어되며, 헤드 베이스(24)의 위치가 이하 기술될 모드 변경 기구에 의해 제한될때에, 퇴출 위치로의 제어 레버(45)의 운동은 금지되어 퇴출 위치로의 퇴출 버튼(49)의 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제어는 이하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 3도 및 8도 내지 11도를 참조하면, 테이프 플레이어(1)는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모드로서 전체 5개 모드를 갖는데, 그것은 2개의 플레이 모드와, 테이프 플레이어(1)가 작동하지 않는 정지 모드와, 2개의 고속 이송 모드를 포함한다.
특히, 테이프 플레이어(1)는 자기 테이프(43)가 테이프 카세트(4)내의 좌측 릴(42')로부터 공급되고 우측 릴(42)에 감기는 방향(이하 정상 모드 방향으로 지칭된다)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기록 또는 재생이 수행되는 정상 플레이 모드를 갖는다. 제8도는 정상 플레이 모드의 테이프 플레이어(1)를 도시한다. 좌측 릴(42')은 따라서 이하 공급 릴로 지칭되며, 우측 릴(42)은 권취릴로 지칭된다. 테이프 플레이어(1)는 제2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43)가 정상 모드 방향에 반대 방향(이하 역모드방향으로 지칭된다)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기록 또는 재생이 수행되는 역플레이 모드를 갖는다. 제9도는 그러한 역플레이 모드의 테이프 플레이어(1)를 도시한다.
정상 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테이프 감김 방향으로, 즉, 자기 테이프(4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캡스턴(9)과 캡스턴(9)에 탄성적으로 대향 가압되어 자기 테이프(43)를 그 사이에 유지하는 핀치 롤러(20)에 의해 정상 작동 방향으로 고정 속도로 이송되도록 위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릴 베이스(5)가 회전되는 동안에, 정상 모드측 핀치 롤러 레버(19)는 핀치 롤러(20)를 정상 모드측 캡스턴(9)에 대해 가압하도록 제8도의 전진 위치를 피봇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송되는 자기 테이프(43)는 권취릴(42)상에 감긴다.
한편, 역플레이 모드가 작동될 때, 역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는 핀치 롤러(20')를 역모드 측부 캡스턴(9')에 대해 압축시키도록 제9도에 도시된 전진 위치로 피봇되며, 좌측부 릴 베이스(5')(이후에는 공급 측부 릴 베이스로 칭함)는 테이프 감김 방향 즉, 상술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자기테이프(4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캡스턴(9')과 캡스턴(9')에 대해 탄성 압축된 핀치 롤러(20')에 의해 예정된 속도로 역모드 방향으로 공급되며, 상기 자기 테이프(43)는 캡스턴과 핀치 롤러 사이에서 유지된다. 상기 방법으로 공급된 자기 테이프(43)는 공급 릴(42')에 감겨진다. 상술된 바와같이 정상 및 역플레이 모드가 작동될 때, 헤드 베이스(24)는 자기 헤드(25)가 자기테이프(43)에 접촉하여 자기 헤드(25)에 의한 자기 테이프(43)으로부터의 신호의 기록 또는 판독이 실행되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동작 위치로 이동된다.
정상 및 역플레이 모드가 없어질 때, 테이프 플레이어(1)는 정지 모드로 들어간다. 제10도는 이러한 정지 모드에서의 테이프 플레이어(1)를 도시한 것이다. 정지 모드가 작동될 때, 핀치 롤러 레버(19, 19')는 각각의 수축 위치로 복귀되고, 헤드 베이스(24)는 제10도에 도시된 정지 위치로 복귀 유지된다. 헤드 베이스(24)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자기 헤드(25)는 카세트 케이스(41)에 부분 수용되고 테이프 접촉면(25a)은 자기 테이프(43)에 가볍게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위치된다.
정치 위치에서의 헤드 베이스(24)는 제어 레버(45)가 방출 위치쪽으로 이동되도록 방출 버튼(49)이 정지 모드에서 작동될 때 방출 위치로 복귀된다.
더 나아가, 테이프 플레이어(1)는 자기 테이프(43)가 정상 모드 방향으로 고속 공급되는 고속 공급 모드와 자기 테이프(43)가 역모드 방향으로 고속 공급되는 되감김 모드를 갖는다. 제11도는 고속 공급 모드에서의 테이프 플레이어(1)를 도시한 것이다. 2개의 고속 공급 모드는 테이프 플레이어(1)가 정지 모드일 때 테이크 업 측부 릴 베이스(5)나 공급 측부 릴 베이스(5')를 테이프 감김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된다.
제1도 내지 3도, 제6도, 제8도 내지 제10도 및 제12도를 참조하면, 헤드 베이스(24)와 핀치 롤러 레버(19,19')는 주로 시소 레버(50)에 의해 이동된다. 시소 레버(50)의 위치는 후술될 모드 변환 기구(71)에 의해 제어된다.
시소 레버(50)는 좌우측 방향으로 뻗어 있는 판형의 주요부(51)와 주요부(51)의 후방 모서리의 중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아암(52)을 갖는다. 아암(52)의 후방 단부(52a)는 디스크에서 종결된다. 지지 구멍(51a)은 주요부(51)의 중앙에 위치 형성되고, 한쌍의 가압 러그(53, 53')와 부가의 가압 러그(54)는 주요부(51)의 대향 좌, 우측 단부와 주요부(51)의 좌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지지축(55)은 장치 섀시(2)의 전단부의 중간에 직립 장착되고 시소 레버(52)의 지지 구멍(51a)을 통해 직립 연장된다. 그래서, 시소 레버(50)는 장치 섀시(2)의 상부면상의 수평면에 피봇 운동을 위해 지지되어 있다.
시소 레버(50)가 기구 섀시(2)에 형성된 세장형 구멍(2c)을 통해 연장되므로 아암(52)의 베이스 단부를 제외하고는 주요부(51)의 대부분이 기구 섀시(2)의 하부면 측부상에 위치되고, 아암(52)의 후방 단부(52a)가 피봇 운동을 위해 후술될 방향 슬라이더(72)의 결합 리세스부(74a)에 결합되므로 시소 레버(50)의 위치는 방향 슬라이더(72)에 의해 직접 한정된다. 테이프 슬라이더(1)가 정지 모드 또는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시소 레버(50)는 아암이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하는 중립위치에서 유지된다.
시소 레버(50)의 3개의 가압 러그(53, 53', 54)사이의 좌우측 러그(53)(이후에는 제1가압 러그라 칭함)의 상부는 중간 레버(35)에 형성된 세장형 구멍(37)에 끼워 맞춰지고, 좌측 가압 러그(53')(이후에는 제2가압 러그라 칭함)의 상부는 헤드 베이스(24)에 형성된 2개의 세장형 구멍(26, 27)의 좌측부(26)에 끼워맞춰지고, 잔류 가압 러그(54)(이후에는 제3가압 러그라 칭함)의 상부는 헤드 베이스(24)의 잔유 세장형 구멍(27)에 끼워맞춰진다.
시소 레버(50)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즉, 테이프 플레이어(1)가 초기 상태나 정지 모드에 있을 때, 제1가압 러그(53)는 정상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9)를 위해 제공된 탄성 가압 스프링(23)의 아암(23c)의 단부와 중간 레버(35)의 세장형 구멍(37)의 후방 단부 모서리(37a)에 가볍게 접촉하고, 제2가압 러그(53')는 역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를 위해 제공된 다른 탄성 압축 스프링(23')의 아암(23'c)의 단부에 가볍게 접촉하여, 제3가압 러그(54)는 테이프 플레이어(1)가 초기상태일 때 헤드 베이스(24)의 우측부 세장형 구멍(37)의 후방 단부 모서리(27a)에 가볍게 접촉된다.
제1도 및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 정상 플레이 모드가 작동될 때, 시소 레버(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제1가압 러그(53)는 정상 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를 위한 탄성 가압 스프링(23)의 아암 (23c)의 단부와 중간 레버(35)의 세장형 구멍(37)의 후방 단부 모서리(37a)를 후방쪽으로 압축하므로써, 중간 레버(35)와 정상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는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고, 그래서 중간 레버(35)의 압축 러그(36)는 헤드 베이스(24)를 후방쪽으로 피봇시키도록 헤드 베이스(24)의 수용벽(30)을 후방으로 압축한다. 시소 레버(50)는 제8도에 도시된 위치로 들어올 때 피봇 운동을 정지시킨 다음 제위치에 유지된다. 시소 레버(50)가 위치들어올 때, 헤드 베이스(24)는 동작 위치로 들어가고 핀치 롤러 레버(19)는 전진 위치로 들어간다.
한편, 역플레이 모드가 작동될 때, 시소 레버(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제3가압 러그(54)는 헤드 베이스(24)의 우측부 세장형 구멍(27)의 후방 단부 모서리(27a)를 후방으로 압축하고, 제2압축 러그(53')는 역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의 탄성 가압 스프링(23')의 아암을 후방으로 가압하므로써, 헤드 베이스(24)와 역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7')는 각각 후방으로 피봇된다. 시소 레버(50)는 제9도에 도시된 위치로 들어갈 때 피봇 운동을 정지하고 제위치에 유지된다. 시소 레버(50)가 위치에 들어올 때, 헤드 베이스(24)는 동작 위치로 이동되고, 역모드 측부 핀치 롤러 레버(19')는 전진 위치로 이동된다.
핀치 롤러(20,20')는 핀치 롤러 레버(19,19')가 전진 위치로 들어가기전에 캡스턴(9, 9')에 인접되고, 이러한 위치로부터 탄성 가압 스프링(23, 23')의 아암(23c, 23'c)는 핀치 롤러 레버(19, 19')의 스프링 고정부(19c, 19'c)에 이격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탄성 가압 스프링(23, 23')의 평향력은 핀치 롤러(20, 20')를 캡스턴(9, 9')에 대해 탄성 압축시키는 힘으로써 작용한다.
시소 레버(50)가 상술된 피봇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복귀되면, 핀치 롤러 레버(19, 19')는 장력 스프링(22, 22')의 편향력에 의해 수축 위치로 복귀되지만, 헤드 베이스(24)의 복귀는 조절핀(29)이 제어 레버(45)의 캠부(48)의 모서리(48b)에 접해질 때, 방출 위치로부터 일정 크기로 후방으로 들어가면 정지된다.
특히, 헤드 베이스(24)가 방출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이동될 때, 조절핀은 제어 레버(45)의 캠부(48)의 압력 수용 모서리(48a)를 미는 동안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어 레버 (45)는 조절핀(29)이 압력 수용 모서리(48a)에 접촉 유지되는 동안 제10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방출 위치로부터 비저지 위치로 후방 변위된다. 조절핀이 압력 수용 모서리(48a)로부터 해체되면, 제어 레버(45)는 방출 위치로 좌측 복귀되고, 헤드 베이스(24)는 조절핀(29)이 압력 수용 모서리(48a)로부터 해체된 직후에 동작 위치로 들어간다. 따라서, 헤드 베이스(24)가 동작 위치로 이동될 때, 제어 레버(45)의 캠부(48)의 저지 모서리(48b)는 조절핀(29)의 전방 근처에 위치된다. 시소 레버(50)가 헤드 베이스(24)를 해체하도록 중립 위치에 복귀될 때, 헤드 베이스(24)는 방출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아니고 조절핀(29)이 저지 모서리(48b)에 접해지는 위치로 복귀 유지된다. 그후 헤드 베이스(24)의 위치는 자기 헤드(25)가 카세트 케이스(41)에 부분 수용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자기 테이프(43)에 가볍게 접촉하거나 아주 밀접하게 되는 정지위치이다.(제10도 참조)
제어 레버(45)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즉, 지저지 위치로 이동될 때, 헤드 베이스(24)가 정지 위치에 있는 동안, 캠부(48)의 저지 모서리(48b)는 조절핀(29)의 운동의 로터스로부터 후방 변위되고, 제어 레버(45)에 의한 정지 위치에서의 헤드 베이스의 파지는 없어지게 된다. 헤드 베이스(24)는 방출 위치로 복귀된다(제12도 참조).
정지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의 헤드 베이스(24)의 운동이 방출 위치로부타 운동과 유사하게 이루어질지라도, 헤드 베이스(24)의 후방 운동은 중간 레버(35)의 압축 러그(36)가 시소 레버(50)의 피봇 운동후 헤드 베이스(24)의 압력 수용벽(30)에 인접될때의 포인트 또는 시소 레버(50)의 제3가압 러그(54)가 헤드 베이스(24)의 세장형 구멍(27)의 후방 단부 모서리(27a)에 인접할때의 포인트에서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의 인출은 인출 버튼(49)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제1도, 제8도 및 제13도를 참조하면, 인출 위치로의 인출 버튼(49)의 이동은 테이프 플레이어(1)가 정지 모드나 초기 상태에 있을때만 이루어지고, 헤드 베이스(24)가 인출 위치보다 더 멀리 후방 이동되거나 동작 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억제된다.
특히 헤드 베이스(24)가 방출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또는 헤드 베이스(24)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헤드 베이스(24)의 위치는 요동 레버(50)에 의해 제거되지만 헤드 베이스(24)가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퇴출 위치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위치된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의 위치에 있을 때 제어핀(29)이 제어 레버(45)의 캡부(48)의 구속 모서리(48c)의 우측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레버(45)를 이동시킬 위치로부터 퇴출 위치까지 퇴출 버튼(49)를 우측으로 밀어보아도 제어 레버(45)는 접촉되며, 이것이 제8도에 도시된 2개의 길고 짧은 점선과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핀(29)을 갖는 결합 모서리(48)에서 비결합 위치 또는 상기 결합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있게되므로써 더 이상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퇴출 버튼(49)은 퇴출 위치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그와는 반대로 테이프 플레이어(1)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헤드 베이스(24)가 퇴출 위치에 있고 그 제어핀(29)이 제어 레버(45)의 캠부(48)의 결합 모서리(48c)의 이동 궤적으로부터전방을 향한 위치에 위치되므로 퇴출 위치로의 제어 레버 이동이 금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테이프 플레이어(1)가 정지 모드에 있고, 제어핀(29)이 결합 모서리(48c)의 우측에 위치될 때, 헤드 베이스(24)가 요동 레버(50)에 의해 후퇴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 레버(45)가 비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는 헤드베이스(24)가 퇴출 위치로의 이동이 허여되므로 제어핀(29)은 결합 모서리(48c)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전방을 향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퇴출 위치에 대한 제어 레버(45)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4)의 방출은 테이프 플레이어 (1)가 초기 조건 또는 정지 모드에 있을 때에만 허용되지만, 정지 모드가 설정될 때까지 헤드 베이스(24)가 퇴출 위치로부터 이동을 시작한 후에 일정 주기 동안 금지되며, 자기 헤드(25)가 자기 테이프(43)으로 진행되어 자기 헤드(25)가 자기 테이프(43)과 접촉될 동안 테이프 카세트(4)의 퇴출은 금지된다.
제3도, 제4도, 제8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 테이프 플레이어(1)가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모터(10)의 회전축을 권취측 릴 베이스(5) 또는 공급축 릴 베이스(5')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저속용 요동기어(57)는 저속으로 요동 레버(56)상에 지지된다.
요동 레버(56)는 반원형의 평탄부 형태의 주부(56a)와, 거의 선형으로 연장되는 주부(56a)의 정면 모서리의 중앙부로부터 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56b)와, 주부(56a)의 정면 모서리의 반대의 좌우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어부재(56c)와, 주부(56a)의 아치형 측단부로터 좌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기어 지지부재(56d)를 갖는다. 요동 레버(56)는 중간 풀리(14)가 지지된 지지축(16)의 상단부에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지지부재(56b)에 지지된다.
각각 글곡된 러그 형태의 한쌍의 압력 수용벽(56c, 56e')은 요동 레버(56)의 제어부재(56c)의 전단부의 내측 코너에 직립으로 형성된다.
기어 지지축(58)은 요동 레버(56)의 기어 지지부재(56d)상에 하향 수직으로 장착되며, 저속용 요동 기어(57)는기어 지지축(58)상에 회전용으로 지지된다. 저속용 요동 기어(57)는 동축으로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마찰 접촉형의 토오크 리미터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서로 회전 가능한 두 개의 대소 기어(57a, 57b)를 갖는다. 저속용 요동 기어(57)의 대기어(57a)는 중간 기어(15)와 결합되어 유지되며, 소기어(57b)는 공급측 릴 기어(5')의 기어부(7')와 권취측 입력 기어(8)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저속용 요동 레버(56)의 위치는 테이프 플레이어가 작동 모드 아닌 어떤 위치에 있을지라도 후술될 조향 슬라이더(72)에 의해 제어되며, 저속용 요동 레버(56)는 제3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위치 즉, 저속용 요동 기어(57)의 소기어(57b)가 기어부(7')가 권취측 입력 기어(8) 사이의 거의 중간의 위치에서 유지되지만 정상 작동 모드가 설정될 때 저속용 요동 레버(56)가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므로서 소기어(57b)는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권취측 입력 기어(8)와 결합하게 된다. 그 반대로 역전 작동 모드가 설정될 때 저속용 요동 레버(56)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므로써 소기어(57b)는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공급축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와 결합된다.
따라서 테이프 플레이어(1)가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모터(10)가 회전하므로 중간 기어(15)는 저속용 요동 기어(5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동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테이프 플레리어(1)가 정상 작동 모드에 있을 때 권취측 입력 기어(8)는 권취측 릴 베이스(5)가 반시계 방향 즉,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동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테이프 플레이어(1)가 역전 작동 모드에 있을 때 공급축 릴 베이스(5')는 시계 방향 즉,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중간 기어(15)의 회전은 대기어(57a)-소기어(57b)-권취측 입력 기어(8) 또는 기어부(7')를 포함하는 운동 전달 시스템에 의해 이송될 동안 속도면에서 상당히 감속되므로 따라서 릴 베이스(5, 5')는 그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한다.
제3도, 4도, 7도 내지 11도에 있어서, 고속 공급 모드에서 모터(10)의 회전을 릴 베이스(5, 5')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한쌍의 고속용 요동 기어(60,61)는 고속용 요동 레버(59)상에 장착된다.
고속용 요동 레버(59)는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T형 판 형태를 가지며, 대향의 좌우측 및 전방 단부에 형성된 3개의 연장되고 지지축(16)에 중심 형성된 원을 따라서 정확하게 연장된 안내 구멍(59a)을 가진다. 3개의 지지축(62)은 장치 섀시(2)의 하면상에 하향 수직으로 장착되어 연장된 가이드 구멍(59a)에 미끄럼 이동을 위하여 장착되므로써 고속용요동 레버(59)는 수평면에서 중간 기어(15)의 축에 의해 제공된 센터 주위에서 피봇 운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수직 방향에 대해 고속용 요동 레버(59)는 릴 베이스(5, 5')의 기어부 (7, 7)보다 약간 낮게 위치된다. 또한 고속용 요동 레버(59)는 중간 플리(14)가 지지된 지지축(16)에 대해 좌우측 방향의 중간 기어가 대향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원형의 제어 돌출부(63)는 고속용 요동 레버(59)의 후방 단부의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기어 지지축(64)은 제어 돌출부(63)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고속용 요동 레버(59)의 후방 단부의 위치에서 직립으로 장착된다.
2개의 고속용 요동 기어(60, 61)는 기어 지지축(64)상에 회전용으로 지지되며, 우측의 고속용 요동 기어(60) (이후고속용 권취측 요동 기어로 기술되는 )는 권취측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에 대향하여 좌측으로 전방 위치되며 좌측의 고속용 요동 기어(61)(이후 고속용 공급측 요동 기어로 기술되는)는 공급측 릴 베이스(5')의 기어부에 대향하여 우측 전방으로 위치된다.
고속용 요동 기어(60, 61)는 중간 기어(15)와 결합 유지되며 도시않은 마찰 수단에 의해 고속용 요동 레버(59)와 마찰 접촉한다. 따라서 중간 기어(1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때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고속용 요동 레버(59)에 가해지지만, 중간 기어(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고속용 요동 레버(59)에 가해진다.
따라서 모터(10)가 열으로 회전할 때 중간 기어(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고속용 요동 레버(59)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므로 고속용 권취측 요동 기어(60)는 제11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테이크업측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와 결합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결합이 발생할 때 시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구멍(59a)의 단부가 지지축(62)과 접하게 되므로써 고속용 요동 레버(59)는 시계 방향으로의 피봇이 방지된다. 따라서 고속용 요동 기어(60, 6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고속 테이크업측 요동 기어(60)는 권취측 릴 베이스(5)를 반시계 방향 즉,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제 테이프 플레이어(1)는 고속 공급 모드에 있게 된다.
반면에 모터(10)가 전방으로 회전하면 중간 기어(15)는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고속용 요동 레버(59)가 시계방향으로 피봇되므로써 고속용 공급측 요동 기어(61)는 제11도에 두 개의 길고 짧은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공급측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와 결합한다. 동시에 상기 결합이 발생할 때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구멍(59a)의 단부가 지지축(62)과 접하므로써 고속용 요동 레버(59)는 시계 방향으로의 추가 피봇이 방지되며 고속용 요동 기어(60, 6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고속용 공급측 요동 기어(61)는 공급측 릴 베이스(5')를 시계 방향 즉,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제 테이프 플레이어(1)는 되감기 모드에 있게 된다.
상기 중간 기어(15)의 회전이 고속용 요동 기어(60, 61)로 전송될 때의 감소율은 비교적 낮으므로 상기 릴 베이스(5, 5')가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고속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요동 기어(60, 61)는 고속으로 회전한다.
제3도, 제4도 및 제7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면, 플레이 모드가 설정될 때 시계 방향으로의 고속 회전을 위해 요동 레버(59)의 피봇 운동을 고정 위치로 제한하는 제한 슬라이더(65)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좌, 우측 방향으로 연장한 소폭의 평판 형태이다. 상기 제한 슬라이더(65)의 좌측 단부(65a)는 유지부(65b)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후미로연장하고 있다. 압력 수용 돌출부(66)는 상기 좌측 단부(65a)중 더 높은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형성된다.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한 한쌍의 긴 가이드 구멍(67)은 좌측 단부(65a)와 다른 부분 (65b)의 대향 좌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반면에 스프링 장착 러그(68)는 상기 부분(65b)의 좌측 단부에 인접한 정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상기 부분(65b)의 중간 부분에 커다란 폭을 가지며 채널형 오목부(69)는 상기 폭부의 후미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다.
고속용 요동 레버(59)를 지지하는 세 개의 지지축(62)중 좌우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지지축은 미끄럼 운동을 위해 상기 제한 슬라이더(65)의 긴 안내 구멍(67)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좌우측 방향으로 한정 범위 이내의 운동을 위해 지지된다. 연장 스프링(70)은 제한 슬라이더(65)를 좌측으로 편의시키도록 두 개의 지지축 좌측축과 제한 슬라이더(65)의 스프링 자착 러그(68)사이로 연장한다.
고속용 진동 레버(59)상에 형성된 조절 돌출부(63)는 상기 제한 슬라이더(65)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제한 위치 즉, 고속용 요동 레버(59)가 피봇 운동 범위내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오목부(69)의 좌측 모서리(69)가 고속용 요동 레버(59)의 조절 돌출부와 접촉하는 위치와 제3도에 도시한 비제한 위치 즉, 고속용 요동 레버의 피봇 운동 범위내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고속용 요동 레버(59)의 조절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69)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한 슬라이더(65)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 슬라이더(65)의 오목부(69)내에 위치한다. 상기 두 위치 사이에 있는 제한 슬라이더(65)의 위치 제어는 후술할 캠기어(84)와 트리거 레버 (104)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테이프 플레이어가 초기 상태 및 비제한 위치인 정지 모드에 있을 때 고정되며 플레이 모드가 설정될 때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제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이동하나 정지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비제한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플레이어(1)가 상태나 정지 모드에 있을 때 고속용 요동 레버(59)의 조절 돌출부(63)는 제한 슬라이더(65)의 오목부의 범위내에서 좌우측으로 약간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고속용 요동 레버(59)는 릴 베이스(5, 5')의 기어부(7, 7')와 맞물리는 위치로 요동 기어(60, 61)의 피봇을 허용한다. 다른 한편, 테이프 플레이어(1)과 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시계 방향으로의 피봇력이 고속용 진동 레버(59)에 가해지는 동안에 상기 피봇 운동이 조절 돌기(63)와 오목부(69)의 좌측 모서리(69a)와의 맞닿는 위치 즉, 피봇 운동 범위내의 중간 위치로 제한되므로, 고속용 공급측 진동 기어(61)는 공급측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와의 맞물림이 방해받는다.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 제7도 내지 제11도 및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참조하면, 모드 변환 기구(71)는 상하 이동 레버(50), 저속용 요동 레버(56), 제한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어하여 정상 플레이 모드, 역플레이 모드 및 정지 모드중 한 모드를 선택으로 설정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모드 변환 기구(71)는 상기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하는 방향 슬라이더(72)에 추가하여 상기 방향 슬라이더(72)와 슬레노이드 플런져(113)를 이동시키도록 캠 기어(84)와 트리거 레버(104)를 포함한다.
제3도, 제4도, 제7도 내지 제10도 및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 슬라이더(72)는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한 평판 형태인 주요부(73)와 상기 주요부(73)의 정면 모서리의 주요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좌우측 방향으로 커다란 폭을 갖는 아말(74)을 가진다. 상기 방향 슬라이더(72)의 주요부(73)는 대향 좌우측 단부에 형성되고 좌우측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긴 가이드 구멍을 가지며 좌우측 방향의 센터와 좌측 단부 사이의 중심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소압력 수용 러그(76)도 가진다. 상기 주요부(73)는 좌측 긴 안내 구멍(75) 근처의 좌측 위치에 있는 하면상에 장착되는 원통형 제어 핀(77)도 가진다.
상기 방향 슬라이더(72)의 주요부(73) 후미의 중간부(73a)는 유지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횡으로 연장하고 양방 대칭 사다리꼴 형체를 가진다. 좌우측 단부와 접촉하는 경사 모서리를 따라 연장하는 상기 사다리꼴 형체 및 부분(78, 78', 이후 각각 조절 모서리라 칭함)을 갖는 부분 (73a, 이후 조절부라 칭함)의 후미 모서리인 대향 좌우측부는 상방으로 구부림으로써 하부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횡으로 연장한 오목부(73b)가 상기 대향 좌우측 단부를 제외한 조절부 (73a)후방 모서리의 단부에 형성됨을 주목해야 한다.
결합 오목부(74a)는 방향 슬라이더(72)의 아암의 정면모서리의 센터에 형성된다.
스프링 장착 러그(79)는 우측 단부에 인접한 방향슬라이더(72)의 주요부(73)의 정면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한쌍의 지지핀(80)은 장치 섀시(2)의 하면상에 장착되고 방향 슬라이더 (72)의 구멍(75)으로 운동을 미끄럼하도록 맞춰져 상기 방향 슬라이더(72)는 좌우측 방향의 고정 범위내의 운동을 위해 지지된다.
제1도, 제3도 및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제3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지지 위치 즉, 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절부(73a)는 두 개의 압력 수용 모서리(56e, 56e')사이의 저속용 요동 레버부(56)와 접촉한다. 상기 조절 모서리(78, 78')의 경사 모서리가 압력 수용 모서리(56e, 56e')의 코너부에 접촉하는 동안에 저속용 요동 레버(56)는 피봇 운동을 방지하고 중립 위치에 고정한다.
그후,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중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좌측 조절 모서리(78, 이후 제1조절 모서리라 칭함)는 저속용 요동 레버(56)를 시계 방향으로 피봇하도록 좌측 후미를 향해 저속용 요동 레버(56)의 좌측 압력수용 모서리(56e)를 누른다. 그후, 압력 수용 모서리(56e)의 코너부가 제1조절 모서리(78)의 후미 모서리 위에 안착하면, 저속용 요동 레버(59)의 시계 방향 피봇 운동은 끝나게 된다. 동시에, 방향 슬라이더(72)는 제8도에 도시한 정상 모드 즉, 동일 운동 범위의 좌측 단부에 있는 위치로 오게 된다. 상기 요동 레버(56)의 피봇 운동 결과, 저속용 요동 기어(57)의 소기어(57b)는 권취측 입력 기어(8)와 맞물리게 된다.
한편, 방향 슬라이더(72)가 중립 또는 정지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면 우측 조절 모서리(78', 이후 제2조절 모서리라 칭함)는 저속용 진동 레버(56)를 반시계방향으로 피봇하도록 저속용 요동 레버(56)의 우측 압력 수용모서리(56e')를 우측 후미로 누른다. 그후 압력 수용 모서리(56e')의 코너부가 제2조절 모서리(78')의 후미 모서리 위에 안착하면 저속용 요동 레버(56)의 반시계 방향 피봇 운동은 끝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방향 슬라이더(72)는 제9도에 도시한 반대 모드 위치 즉, 이동 범위내의 우측 단부 근처 위치로 오게 된다. 상기 요동 레버(56)의 피봇 운동 결과, 저속용 요동 레버의 소기어(57b)는 공급측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상 모드로부터 정지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조절 모서리(78')는 저속용 요동 레버(56)가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저속용 요동 레버(59)의 우측 압력 수용 엣지(56e')를 누르나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반대 모드 위치로부터 정지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제1조절 모서리(78)는 저속용 요동 레버(56)가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저속용 요동 레버(56)의 좌측 압력 수용 모서리(56e)를 누른다.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의 아암의 디스크형 후미 단부(52a)는 방향 슬라이더(72)의 아암(74) 내부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74a)내의 피봇 운동을 위해 결합한다. 따라서, 상하 이동 레버(50)의 위치는 방향 슬라이더(72)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결합 오목부(74a)의 우측 모서리는 상하 이동 레버(50)가 반시계방향으로 피봇하도록 상하 이동 레버(50)의 후미 단부(52a)를 좌측을 향해 누른다. 그러나,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결합 오목부(74a)의 우측 모서리는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가 시계 방향으로 피봇하도록 상하 이동 레버(50)의 후미 단부(52a)를 우측으로 누른다.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에 있으면,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는 중립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가 중립 위치에 있으면 헤드 베이스(24)의 위치 제어는 상하 이동 레버(50)에 의해 수행되지 않으며 따라서 헤드 베이스(24)는 퇴출 위치 또는 정지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상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하지만 방향 슬라이더가 반대 모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는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는 헤드 베이스를 플레이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후, 방향 슬라이더가 정상 모드 위치나 역모드 위치에 고정되는 동안 헤드 베이스(24)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상하 이동 레버(50)는 상기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상 또는 역모드 위치로부터 정지 위치로 복귀하면 상하 이동 레버(50)는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제3도, 제4도, 제8도 내지 제10도, 제16도, 제17도, 제20a도 및 제 20b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긴 아암(81b, 81c)을 갖는 센터링 스프링 (81)은 상기 방향 슬라이더(72)의 우측 단부와 대향하는 장치 섀시(2)의 위치에 배열된다. 상기 센터링 스프링(81)의 코일부(81a)는 상기 장치 섀시(2)의 하면상에 하방으로 수직하게 장착된 스프링 지지판 (82)상에 지지된다.
스프링 고정부재(83)가 스프링 지지핀(82)의 약간 후방으로 이격된 장치 섀시(2)의 하부면의 한 지점에 고정되고 센터링 스프링(81)의 아암(81b,81c)이 그 중간부분이 스프링 고정부재(83)를 그 대향하는 좌우측부로부터 파지하도록 배치되고 그 단부는 대향하는 좌우측부로부터 방향 슬라이더(7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 러그(79)를 파지하도록 배치된다.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센터링 스프링(81)의 두 개의 아암(81b,81c)은 그것이 전후 방향으로 거의 선형적으로 연장하고 스프링 고정 러그(79)와 가볍게 접촉하는 상태로 스프링 고정 부재(83)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로부터 좌향 이동될 대에 스프링 고정 러그(79)는 중심 맞춤 스프링(81)의 좌측 아암(81b)을 가압하여 스프링 고정 러그(83)로부터 멀리 아암(18b)을 이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아암(81b)의 탄성력은 스프링 고정부재(79)를 우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보다 더 우향 이동되면 스프링 고정 러그(79)는 센터링 스프링(81)의 우측 아암(81c)을 가압하여 스프링 고정부재(83)로부터 멀리 아암(81c)을 이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아암(81c)의 탄성력이 스프링 고정 러그(79)를 좌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외에 어떤 위치에 있을때는 항상 방향 슬라이더(72)에는 정지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된다.
제3도 내지 제5도와 제7도 내지 제11도 및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보면 캠기어(84)가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기어(84)는 디스크형의 메인부(85)를 갖고, 그것은 그 중앙부분에서 방향 슬라이더(72)가 지지된 두 개의 지지핀(80)중 하나의 좌측의 하부분에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캠기어(84)의 메인부(85)의 중심은 방향 슬라이더의 제어핀(77)의 이동 궤적의 연장선에 배치된다.
제3도 내지 제5도와 제7도 내지 제11도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보면 캠기어(84)는 메인부(85)의 외주면(85a)의 하부에서 주위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치형부(86,87)와 그 사이에 한쌍의 비치형부(88,89)를 갖는다. 전동기어(18)의 소형 기어(18b:이하 구동기어라 한다)가 그 피치원을 캠기어(84)의 치형부(86,87)의 피치원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캠기어(84)의 치형부(86:이하 제1치형부라 한다.)는 중심각이 250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다른 치형부(87:이하제2치형부라 한다.)는 중심각이 40도 이하의 크기를 갖는다. 캠기어(84)가 제3도 및 제10도 제15a도에 도시된 위치(이하 제1고정위치라 한다)에 있을 때 시계 방향의 제1치형부(86)는 위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의 캠기어(84)의 중심의 바로 앞의 위치에서 약간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며 제2치형부(87)의 선단부, 즉, 시계 방향의 선단부(87a)는 캠기어(84)의 중심의 바로 좌측의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 50도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치형부(86)의 선단부(86a)와 제2치형부(87) 사이에 배치된 캠기어(84)의 비치부(88:이하 제1비치형부라 한다)는 중심각이 20도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다른 비치형부(89: 이하 제2비치형부라 한다)는 중심각이 약 50도의 크기이다.
캠기어(84)는 제8도 및 제9도에 보이는 제1고정 위치와 제2고정 위치에, 다음에 설명될, 트리거 레버(104)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고 캠기어(84)가 제1고정 위치에 있을때에 제1비치형부(88)는 구동 기어(18b)에 대향하지만, 캠기어(84)가 제2고정 위치에 있을때에는 제1치형부(86)의 후단부 즉, 반시계 방향의 후단부(86b)에 인접한 제2비치형부(89)가 구동 기어(18b)에 대향한다.
그렇게 하여 캠기어(84)가 두 개의 고정 위치중 하나에 있을 때 캠기어(84)의 초기 트리거링(다음에 설명된다)이 일어나면 캠기어(84)의 고정은 해제되고 캐기어(84)가 초기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따라서, 캠기어(84)가 제1고정 위치에 있고 전동기(10)가 전방으로 회전되어 구동 기어(18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초기 트리거링이 일어나면 제1치형부(86)의 선단부(86a)가 제15a도에 2점 쇄선으로 보이듯이 구동 기어(18b)와 결합되어 제1치부(86)가 구동 기어(18b)에 의해 구동되게 한다. 이어서, 캠기어(8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기어(84)의 그러한 회전은 제2비치형부(89)가 제18도에 보이는 구동 기어(18b)에 대향하는 위치로 회전될 때 즉, 캠기어(84)가 제2고정 위치에 오고 캠기어(84)의 고정이 이루어질 때 종료된다.
또한, 캠기어(84)의 제2고정 위치로부터 제1고정 위치로의 이동은 기본적으로는 앞서 말했듯이 진행되지만 제2치형부(87)의 선단부(87a)가 구동 기어(18b)와 결합되기 까지의 캠기어(84)의 회전은 초기 트리거링에 의하지 않고 캠기어(84)에 제공된, 다음에 설명될, 캠부(97)를 가압하는 방향을 라이더(72)의 제어핀(77)에 의해 수행된다.
캠기어(84)의 그러한 회전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된다.
캠기어(84)는 테이프 플레이어(1)가 초기 조건 즉, 정지 모드에 있을 때 제1고정 위치에 유지되고 플레이 모드가 설정될 때 제2고정 위치로 이동되며 정지 모드가 설정되면 제1고정 위치로 복귀한다.
제3도, 제4도, 제8도 내지 제11도 와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보면 캠기어(84)는 메인부(85)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부(90)를 갖는다. 캠기어(84)의 오목부(90)는 메인부(85)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이다. 오목부(90)의 내주는 한 지점(91)에서 L자형으로 굽어 있고 상기 지점(91)의 내주의 대부분(91a:이하 최종 가이드부이라 한다)은 캠기어(84)가 제1고정 위치에 있을 때 캠기어(84)의 중앙의 전방측의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원만한 원호를 그리며 후방을 향해 이동되고 중심을 후방 단부를 향해 접근시키도록 연장한다. 또한 상기 L자형부분(91a)의 후방 단부는 메인부(85)의 중심의 우측에서 메인부(85)의 외주면 (85a)과 중심 사이의 거의 중간 지점에 배치된다. 그리고, L자형으로 굽어진 주위면(91)의 잔여부 (91b:이하 정지 조절면이라 한다)는 최종 가이드면(91a)의 후방 단부로부터 오른쪽으로 완만한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한다.
캠돌출부(92)는 캠기어(84)의 오목부(90)에 형성되어 중심각이 180도 이상이고 시계 방향의 선단부(92a)에서는 얇지만 반시계 방향의 다른 선단부에서는 두꺼운 거의 콤마형이다. 캠돌기(92)는 캠기어(84)의 중심과 내주 사이에 배치되고 시계 방향의 선단부(92a)는 캠기어(84)의 중심과 내주 사이의 중앙 지점으로부터 캠기어의 내주를 향해 약간 이동되어 배치되고 캠기어(84)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캠기어(84)의 중심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한 구조의 캠돌출부(92)의 측면은 기능상, 정상 모드 가압면(93)과 역모드 가압면(94) 및 두 개의 제1 및 제2압력 수용면(95, 96)을 포함한다. 특히, 정상 모드 가압면(93)은 캠기어(84)의 중심을 향한 캠돌출부(92)의 측면부분의 단부부분(92a)에 인접하여 약 2/3만큼 제공된다. 정상 모드 가압면(93)은 아치형이며 캠돌출부(92)의 단부부분(92a)으로 부터 이격된 단부가 캠기어(84)의 중심 근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정상 모드 가압면(93)은 캠기어(84)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반시계 방향을 향해 감소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역모드 가압면(94)은 캠기어(84)의 중심의 반대쪽을 향한 캠돌기(92)의 측면부분의 대부분으로 제공된다. 역모드 가압면(94)은 정상모드 가압면(93)보다 더 완만한 아치형이고 캠기어(84)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반시계 방향을 향해 증가하게 형성된다. 제1압력 수용면(95)은 반시계 방향의 정상 모드 가압면(93)의 선단부에 연속하는 캠돌출부(92)의 측면부분에 의해 제공된다. 제1압력 수용면(95)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캠기어(84)가 제2고정 위치에 있을 때 좌측 후방을 향한다. 제2압력 수용면(96)은 제1압력 수용면(95)과 역모드 가압면(94) 사이에 배치된 캠돌출부(92)의 측면부분에 의해 제공된다. 제2압력 수용면은 매우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캠기어(84)가 제2고정 위치에 있을 때 우측 후방을 향한다.
방향 슬라이더(72)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캠구간 (97:이하 제1 캠구간이라 한다)은 최종 가이드면(91a), 정지 조절면(91b), 정상 모드 가압면(93), 역모드 가압면(94)과 제1 및 제2압력 수용면(95, 96)으로 구성된다.
방향을 라이더(72)의 제어핀(77)의 하부는 메인부(85)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메인부(85)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절두원추체형의 한쌍의 소형 고정 돌출부(99, 100)가 오목부(98)의 내주면(98a)에서 반경 방향 대향으로 형성되고 고정 돌출부(99:이하 제1고정 돌출부라 한다)는 캠기어(84)가 제1고정 위치에 있을 때 캠기어(84)의 중심의 바로 뒤의 한지점에 배치되고 다른 고정 돌기(100:이하 제 2고정 돌출부라 한다.)는 캠기어(84)가 제2고정 위치에 있을때 캠기어(84)의 중심의 바로 뒤의 한 지점에 배치된다.
비교적 큰 캠 돌출부(10)는 캠기어(84)의 센터를 포함하는 리세스된 단부(98)에 있는 구역을 형성하며, 이들의 측면은 다음의 다양한 부분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캠 기어(84)가 제1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결합 돌출부(99)와 대향하는 캠 돌출부(101)의 측면부분은 그것들이 제1 결합 돌출부(99)쪽으로 서로와 관련된 거의 V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개방된 한쌍의 경사진면(101a:이후 최초 압력 수용면, 101b: 이후 최초 배압면)을 구비하며, 상기 최초 압력 수용면(101a)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최초 배압면(101b)의 단부(101c)은 리세스된 단부(98)의 내부 원주면(98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단부(101c)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촉하는 단부(101d)는 캠기어(84)의 센터쪽으로 거의 반경으로 연장하며, 센터각도에서 대략 160도 정도의 범위 이상으로 연장되고 단부(101d)와 접촉하는 다른 단부(101e)이후 비이동면으로 언급함)는 리세스된 단부(98)의 내부 원주면(98a) 및 캠 기어(84)의 센터 사이에서 거의 중간에 위치되며 상기 캠 기어(84)의 센터로부터 이것의 거리는 고정되도록 중형면으로서 형성된다. 더욱이, 비이동면(101e)의 전방은 이것이 반시계 방향쪽으로 리세스된 단부(98)의 내부 원주면(98a) 가까이에 도달되도록 연장하는 평면으로서 형성된다. 우선 상기 이동면(101f)의 전방인 비교적 짧은 단부는 내부 원주면(94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고 그후 이것이 스텝을 형성하도록 캠기어(84)의 센터쪽으로 연장하며, 상기 단부의 전방인 단부(101g:이후 지지면으로서 언급됨)는 제2결합 돌출부(100)와 대향된 위치에 있으며 내부 원주면(98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한다. 상기 지지면(101g)의 전방에 있는 단부는 캠기어(84)의 센터와 대향 방향으로 방위 설정되고 이것이 거의 V형태를 수용하도록 서로 관련되어 개방된 최후 시간 압력 수용면(101h) 및 최후 시간 배약면(101i)을 포함한다. 최초 압력 수용면(101a) 및 최종 배압면(101i) 사이의 비교적 짧은 단부는 이것의 대부분의 부재가 고정된 캠기어(84)로부터의 거리로서 궁형면으로 제조하도록 형성한다.
다른 캠 돌출부(102:이후 역모드 가압캠으로서 언급됨)는 캠기어(84)의 리세스된 단부(98)를 형성한다. 상기 캠돌출부(102)는 비교적 얇고 적절한 원호를 그리는 센터각 정도로 대략 45도의 범위를 갖춘다. 상기 캠돌출부(102)는 이것이 내부 원주면(98a)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캠돌출부(101) 및 내부 원주면(98a)의 캠면 단부(101d)라 인접한 비이동면(101e)의 단부 사이에 있는 센터 위치라 배치되거나 그 근처에 있다. 대부분의 캡은 캠기어(84)의 센터로부터 도시된 바와같이 캠면단부(101d) 및 반시계 방향에서 역모드 가압캠(102)의 안내단부 사이에 제공된다. 이후에 기술된,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위치 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2캠 섹션부(103)는, 두 캠 돌출부(101, 102)로부터 구성된다.
제3도, 제4도, 제8도 내지 제11도, 제16도, 제17도, 제20a도 및 제20b도를 참조하면, 상기 캠기어(84)의 주단부(85)의 외부 원주(85a)의 상단부는 제한 슬라이더(65)의 위치를 제어시키기 위한 캠 섹션부를 제공한다. 특히, 리세스(85b)는 외부 원주 (85a:이후 제어 캠면으로서 참조됨)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85b)는 캠기어(84)가 제1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캠기어(84)의 센터의 우측 측면상에 거의 설치된다.
상기 제한 슬라이더(65)의 좌측 단부(65c)는 캠기어(84)의 센터의 우측 측면상에 거의 설치되며 제어 캠면(85a)에 대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 슬라이더(65)가 인장 스프링(70)에 의하여 좌향으로 정상적으로 편향된 이후에, 상기 캠기어(84)가 제1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한 슬라이더의 좌측 단부(65c)는 제3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기어(84)의 리세스(85b)에 수용되고,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비제한 위치에서 지지된다. 다른 한편, 상기캠기어(84)가 이 상태로 회전될 때, 상기 제한 슬라이더의 좌측 단부(65c)는 리세스(85b)보다 캠기어(84)의 제어 캠면(85a)의 어떤 다른 단부와 접촉되므로서, 그 때문에 상기 제한 슬라이더(65)는 제한 위치에 우향으로 이동된다.
제3도, 제4도, 제7도 내지 제10도 및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참조하면, 상기 트리거 레벨(104)은 L형태로 거의 평판 굴곡부의 형태인 메인 단부(105)를 구비한다. 상기 대향 단부 이외에도 트리거 레버의 메인 단부(105)의 부분은 다소 큰 넓이를 구비하고, 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반원 형태를 구비하는 결합 단부(106)는 원통 허브부(107)가 큰 넓이 단부의 우측면 단부의 센터에 형성되는 동안에 트리거 레버(104)의 큰 넓이 단부의 좌측 단부에 직립되게 제공된다.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주단부(105)의 후부 단부부분(105a)은 잔류뷰뷴 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다.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주단부(105)의 상부면상에 있어서, 원통 압축핀(108)은 전단부분에 장착되고, 러그의 형태인 저압축벽(109)은 허부(107)로부터 다소 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며, 연결핀(110)은 스프링 고정 단부(105a)와 인접한 위치에서 장착된다.
상기 장치 섀시(2)의 하부면의 위치에 고정된 지지축(111)은 캠기어(84)와 인접하게 우향으로 후방에 있으며 허부(107)를 통하여 연장되고 관통된 지지 구멍(107a)에 끼워 맞춤된다. 결과로서, 상기 트리거 레버(104)는 지지축(111)상의 수평면에서 피봇 운동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의 상단부는 캠기어(84)의 센터뒤에서 거의 캠기어(84)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리세스된 단부(98)에 끼워 맞춤된다.
인장 스프링(112)은 트리거 레버(104)의 스프링 고정 단부(105a)에 고정된 다른 단부 및 장치 섀시(2)상에 장착된 스프링 고정핀(112a)를 고정한 단부를 구비하며 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트리거 레버(104)에 정상적으로 강행한다.
상기 자기 지지형태의 솔레노이드 플런지(113)는 장치섀시(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플런저(113)는 자기부(114)가 고정되는 자기부(114) 및 요크부와, 이것이 요크부(115) 및 한쌍의 코일(117)로부터 연결되거나 분해되는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철 코어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가능한 철 코어부(116)는 코일(117)이 감겨있는 한쌍의 보빈부(118)상에 미끄럼 운동을 위해 지지된다. 상기 결합 구멍(116a)은 요크부(115)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이동 가능한 철 코어(116)의 단부부분에서 관통되고,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핀(110)은 트리거 레버(104) 및 이동 가능한 철 코어(116)가 서로 연결되도록 이들 사이에 좌측인 작은 갭을 구비한 결합 구멍 (116a)에 끼워 맞춤된다.
상기 이동 가능한 철 코어(116)는 요크부(115)에 이끌릴 때,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단부는 인장 스프링(112)의 인장력에 반하여 제어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레버(104)는 제동 위치에서 지지되는데 이것의 상기 결합 돌출부(106)는 회전중인 캠기어(84)의 제2캠단부(103)의 두결합 돌출부(99,100)의 장소상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코일(117)이 상기 상태에서 여기되고, 상기 이동 가능한 철 코일(116)에서 이끌린 요크(115)의 힘은 코일(117)로부터 산출된 자기력에 의하여 옵셋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트리거 레벨(104)은 인장 스프링(112)의 인장힘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압축벽(109)은 제한 슬라이더(65)상에 형성된 압력 수용 돌출부(66)와 대향되어 있으며, 상기 캠기어(84)가 제1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리거 레버(104)의 압축 벽(109) 및 제한 슬라이더(65)의 압력 수용 돌출부(66)는 서로 매우 밀접하게 설치되거나, 수월하게 접촉하게 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제3도 참조).
제3도, 제4도, 제7도 내지 제10도 및 제15a도 내지 제21c도를 참조하면, 중간 레버(119)는, 역플레이 모드가 장착될 때, 다소 우향으로 방향 슬라이더(72)를 이동하도록 트리거 레버(104)에 의하여 압축 제공된다.
상기 중간 레버(119)는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신장된 비교적 작은 판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좌향 또는 후향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거의 크랭크와 같이 굴곡된다. 상기 중간 레버(119)의 전단부는 장치 섀시(2)의 하부면상에 장착된 지지축(120) 상의 수평판에서 피봇 운동을 위해 지지된다.
상기 중간 레버(119)의 우측 모서리의 후단부(121)는 우측으로 팽창된 궁형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 레버(119)의 후단부(121:이후 압축 단부로서 참조됨)는 방향 슬라이더(72)상에 형성된 압력 수용 러그부(76)와 대향되고 좌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압력 수용 러그부(122)는 중간 레버(119)의 좌측 모서리의 센터에 거의 수직 하향으로 형성되며 피봇 운동중인 트리거 레버(104)의 압축핀(108)의 장소에 장착되며 상기 압축핀(108)과 대향되고 거의 우향으로 장착된다.
기 트리거 레버(104)가 계류 위치에 있을 대 이것은 소레노이드 플런저(113)에 이끌리며 이외에도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중간 레버(119)는 이들 사이에 방치한 대부분의 갭을 가진 방향 슬라이더(72)의 압력 수용 러그(76) 및 트리거 레버(104)의 압축핀(108)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리거 레버(104)는 그위에 압축핀(108)이 우향으로 중간 레버(119)의 압력 수용 러그부(122)를 압착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면, 그후 중간 레버(119)는 그위의 압축 단부(121)가 우향으로 방향 슬라이더(72)의 압력 수용 러그부(76)를 압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그러한 운동량은 반시계 방향에 있는 트리거 레버(104)의 피봇 운동량과 상응한다.
제14도를 참조하면, 테이프 플레이어(1)의 제어 회로의 필수부품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제어 회로는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 및 출력을 포함하며, 다양한 신호가 그곳에 입력될 때 예정된 값으로 각각의 구동 회로에 신호를 보내고 예정된 프로그램을 따라 나타나는 시스템형 제어기(124)를 도시한다.
제어 회로는 또한 모드 선택용의 다양한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시스템형 제어기(124)의 입력부에 연결된 작동부(125)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감소된 전압 탐지 회로(128) 및 밧데리 동력원(127)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부재(126)를 포함한다. 감소된 전압 탐지 회로(128)는 전압 탐지 부재(126)에 의해 탐지된 밧데리 동력원(127)의 전압이 예정값보다 클 때 예정된 신호(하기에 한계 신호로써 기술됨)를 시스템형 제어기(124)로 전개시틴다. 제어 회로는 모터 구동 회로(129)와 플런저 구동 회로(130)를 포함한다.
작용 또는 정지 모드를 선택하는 지시 신호가 작동부(125)로부터 시스템형 제어기(124)로 전달될 때, 일시적으로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에 주입된 지시 신호는 시스템형 제어기(124)로부터 플런저 구동 회로(130)에 전달하는 반면에, 모터(1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다른 지시 신호는 모터 구동 회로(129)에 전달된다. 시스템형 제어기(124)에 입력된 신호가 정상적인 작동 모드 또는 정지 모드의 선택을 지시할 때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는 즉시 일어나지만 입력 신호가 역전 작동 모드의 선택을 지시할 때, 이런 에너지는 예정된 시간 사이에 수번 일어난다. 다시 말하면, 고속 이송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시스템형 제어기(124)에 입력될 때 모터(10)를 역회전시키는 지시 신호는 시스템형 제어기(124)에서 모터 구동 회로(129)로 전송되지만, 재감김 모드를 선택하는 다른 지시 신호가 입력될 때 모터(1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지시 신호는 시스템형 제어기(124)에서 모터 구동 회로(129)로 전송된다.
다시 말하면, 상술된 한계 신호가 감소된 전압 탐지 회로(128)에서 시스템형 제어기(124)로 입력될 때, 솔레노이드 플런저(113)를 에너지화시키는 지시 신호는 시스템형 제어기(124)로부터 플런저 구동 회로(130)로 전송된다.
전개될 한계 신호가 가장 낮은 전압보다 조금 높은 값으로 셋트될 때, 밧데리 동력원(127)은 솔레노이드 플런저(113)가 효과적인 반발 자기력을 발생하게 한다.
상술된 모드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수행된다.먼저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테이프 플레이어(1)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트리거 레버(104)는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에 끌려오는 저지 위치에 있고, 캠기어(84)는 제1 제동 돌출부(99)가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와 시계 방향으로 맞물리고 제1 캠부(97)의 정지 조정면(91b)이 캠기어(84)의 중심 우측면상에 거의 위치되는 제1 제동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것은 방향 슬라이더(72)의 제어된(77)의 이동 포인트와 전방으로 접촉되지만, 제어핀(77)은 정지 조정면(91b)의 중간부와 미세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제1 캠부(97)에 의한 제어핀(77)의 압축은 수행되지 않고, 결국 방향 슬라이너(72)는 중앙 스프링(81)에 의해 정지 위치에 유지된다. 결국, 저속도용 요동 레버(56) 및 변동 레버(50)는 각각의 중심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래서, 캠기어(84)는 제1 제동 돌출부(99)가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와 시계 방향으로 결합되고 제어핀(77)이 정지 조정면(91b)와 반시계 방향으로 접촉하지 때문에 제1 제동 위치에서 제동된다.
또한, 테이프 플레이어(1)가 상술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 있을 때, 헤드 베이스(24)는 복귀 스프링(32)의 편향력하에서 돌출 위치에 유지되고 제한 슬라이더(65)는 인장 스프링(70)의 편향력하에서 제한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테이프 플레이어(1)가 정지 모드에 있을 때, 이 상태는 헤드 베이스(24)가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를 제외한 초기 상태와 초기 상태와 유사하다. 특히, 테이프 플레이어(1)가 정지 모드에 있을 때, 캠기어(84)는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에, 변동 레버(50)가 중심 위치에 저속도용요동 레버가 중심 위치에, 제한 슬라이더(65)가 제한 해제 위치에 위치되고 헤드 베이스만이 초기 상태에서의 정지 위치와 다른 정지 위치에서 위치되는 제1 제동 위치에서 제동된다.
이 상태에서, 방향 슬라이더(72)의 제어핀(77)은 캠기어(84) 제1 캠부(97)의 캠돌출부(92)의 단부(92a) 포인트이동으로부터 내측면으로 미소하게 변위되도록 위치된다.
제11도를 참조하면, 테이프 플레이어(1)가 정지 모드에 있을 때 고속 이송 모드를 선택하는 지시 신호가 시스템형 제어기(124)로 입력되면, 모터(10)는 솔레노이드 플런저(1143)의 에너지화가 일어나지 않는 동안 역회전된다. 결국, 고속도용 요동에서 (59)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어 고속도용 권취 측면인 동기어(60)를 권취 측면 릴 베이스(15)의 기어부(7)과 맞물리게 한다. 결국, 권취 측면 릴 베이스(5)는 테이프 감길 방향으로 고속도 회전되고, 자기테이프(43)는 정상 모드 방향으로 고속도록 공급된다.
다시말하면, 재감김 모드를 선택하는 다른 지시 신호가 시스템형 제어기(124)로 입력될 때, 테이프 플레이어(1)는 정지 모드에 있게되고 모터(10)는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가 일어나지는 동안 전방으로 회전된다. 결국, 고속도용 진동 레버(59)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어 고속도용 공급 측면 진동 기어(61)를 공급 측면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와 맞물리게 한다. 결국, 공급 측면 릴 베이스(5')는 테이프 재감김 방향으로 고속 회전되고 자기테이프(43)는 역전 모드 방향으로 고속 이송된다.
제15a도, 제15b도 및 제16도를 참조하면, 테이프 플레이어(1)가 초기 상태도는 정지 모드에 있을 때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지시 신호가 시스템형 제어기(124)로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일시적인 에너지화는 모터(10)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동안 일어난다.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하기에는 초기 에너지로 기술됨)에 의해 캠기어(84)의 초기 트리거 작업은 이때 까지 계속하는 제1 제동 위치에서 캠기어(84)의 제동을 부호화하고 캠기어의 초기 회전은 수행된다.
특히,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가 일어날 때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에 대한 트리거 레버(104)의 인력은 무효화되고 트리거 레버(10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는 제15a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캠기어(84)의 제1 제동 돌출부로부터 거의 전방으로 분리된다. 결국, 캠기어(84)용으로 수행된 제동력은 캠기어가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캠기어(84)를 놓으므로써 제거된다. 게다가, 거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는 제2캠부(103)의 초기 압력 수용면(101a)과 인접하고 우측면을 양해 압축된다. 초기 압력 수용면(101a)과 초기 압력 수용면(101a)에 인정한 초기 배압면(101b)이 제15a도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되듯이 서로 연결되는 곳에서 결합 돌출부(106)가 캠 돌출부(101)의 러빈 바닥형 부분과 인접할 때 까지 상기 압축 과정은 계속된다. 트리거 레버(104)의 위치는 하기에 비-저지 위치로서 기술된다. 캠기어(84)는 이런 압축으로 인해 시계 방향으로 조금 회전한다. 캠기어(84)의 이런 회전이 초기 회전이고, 이런 초기 회전의 결과 캠기어(84)의 제1치형부(86)의 안내 단부(86a)는 구동 기어(186)와 맞물리게 된다. 결국, 구동 기어(18b)는 캠기어(84)의 제1치형부(86)를 이송시켜 캠기어(84)를 제2제동 위치로 회전시킨다.
구동 기어(18b)에 의한 캠기어(84)의 상기 회전이 진행될 때, 캠기어(84)의 캠 돌출부(101)의 초기 배압(101b)은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를 제15b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되듯이 우측으로 압축시킨다. 결국, 트리거 레버(104)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 (106)가 캠 돌출부(101)의 초기 배압면(101b)의 단부 (101c)를 압축함이 동시에 일어날 때, 트리거 레버(104)는 저지 위치로 오고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에 의해 인력되고 유지된다.
간단히 말해서, 트리거 레버(104)는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초기 강력화에 의해 제공된 트리거로 비저지 위치까지 이동되고, 그후 즉시 저지 위치에 되돌아온다.
캠 돌출부(101)의 초기 배압면(101b)의 단부(101c)가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변위되는 시간에, 역전 모드 압축 캠(102)과, 제2캠 돌출부 (103)의 캠부(101d) 사이의 캠 돌출부는 제15b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되듯이 결합부(106)에 대향된다.
트리거 레버(104)가 초기 트리거 처리에 의해 비-저지 위치로 이동될 때 그위의 압축핀(108)은 중간 레버(119)의 압축 러그(122)를 압축하여 중간 레버(119)를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결국, 중간 레버(119)의 압축부(121)는 방향 슬라이더(72)의 압축 수용 러그(76)를 우측으로 압축하여 제16도에 도시된 역전 모드 위치로 방향 슬라이더(72)를 거의 이동시킨다. 이때, 트리거 레버(104)가 저지 위치로 복귀될 때, 중간 레버(119)에 대한 트리거 레버(104)의 압축은 없어진다. 결국 방향 슬라이더(72)는 센터링 스프링(81)의 편향력에 의해 정지 위치로 귀환된다.
또한, 트리거 레버(104)가 비저지 위치로 이동될 때, 압축벽(109)은 제한 슬라이더(65)의 압력 수용 돌출부(66)를 우측으로 압축하여 제한 슬라이더(65)를 제한 위치(제6도참조)로 이동시킨다. 결국, 시계 방향으로의 고속용 요동 레버(59)의 선회 이동은 제한되고, 고속용 공급 측면 요동 기어(61)는 공급 측면 릴 베이스(5')의 기어부(7')와 맞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제8도, 제17도 및 제18도를 참조하면, 작동 모드를 형성하는 신호가 정상 작동 모드의 선택을 지시하는 경우에,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는 상술된 초기 에너지를 위해서만 수행된다. 따라서, 캠기어(84)의 제1 캠부(97)의 정상 모드 압축면(93)은 방향 슬라이더(72)의 제어핀(77)과 접촉하여 제어핀(77)을 좌측으로 압축시키고, 그러므로써 방향 슬라이더(72)를 정상 모드 위치로 이송시킨다.
특히, 이 예에서, 캠기어(84)가 제2결합 위치를 향해 회전되며 반면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지 위치에 있으며 여기의 제어핀(77)은 캠 돌출부(92)의 단부(92a)의 회전 위치의 내측상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캠기어(84)가 제1 결합 위치에서 약 90도까지 회전할 때, 캠 돌출부(92)의 단부(92a)는 제17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핀(77)으로 오른쪽 후방에 거의 인접되어 있다. 그 다음에, 캠 돌출부(92)의 정상 모드 가압면(93)이 접촉해서 제어핀(77)을 왼쪽으로 가압하고 계속해서, 방향 슬라이더(72)는 정지 위치에서 정상 모드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제어핀(77)에 대향해서 왼쪽으로 정상 모드 가압면(93)의 가압은 단부까지 되며 반시계 방향으로의 정상 모드 가압면(93)의 유도 단부는 제어핀(77)과 접촉하게 되고, 여기에서, 방향 슬라이더(72)는 정상 모드 위치에서 약간 왼쪽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이런후 즉시, 캠기어(84)는 제2결합 위치로 가게 되고 저지 위치에 있는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에 인접하게 된다. 또, 짧은 기간동안, 제어핀(77)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모드 가압면(93)에 인접한 캠 돌출부(92)의 제1압력 수용면(95)의 단부에 인접하고 약간 오른쪽으로 복귀되고 제18도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되고 결국 방향 슬라이더(72)가 정상 모드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캠기어(84)가 제2결합 위치로 있을 때, 캠기어(84)의 회전은 금지되고 그 제어핀(77)은 그것이 왼쪽 후방에 거의 인도된 캠 돌출부(92)의 제1압력 수용면(95)에 왼쪽으로 인접되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계속해서 방향 슬라이더(72)는 센터링 스프링(81)의 편의력에 대향해서 정상 모드 위치에 유지된다.
방향 슬라이드(72)가 정상 모드 위치에 이동되고 이런 방법으로 여기에 유리되므로, 시소 레버(50)는 헤드 베이스(24)를 서브 레버(35)에 의해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고 정상 모드측 핀치롤러 레버(19)가 양호한 위치로 이동되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므로 핀치롤러(20)은 정상 모드측 캡스턴(9)에 대향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반면 저속용 요동 레버(56)는 여기의 저속용 요동 기어(57)이 테이크업 즉 입력 기어(8)와 맞물리도록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정상 플레이 모드는 이러한 방법으로 설정된다.
제9도, 제15a도, 제15b도 및 제18도 내지 제20b도를 참조하면, 여기에서, 역전 플레이 모드의 선택을 주는 플레이 모드를 형성하기 위해선, 솔레노이드 플런저(11)의 에너지화는 상술한 초기 에너지화가 수행된후 예정 간격이 지난 시간후 다시한번 더 수행된다.
특히, 역전 플레이 모드가 선택되면, 구동 기어(84)에 위해 구동되는 캠기어(84)의 회전이 상술한 초기 트리거링에 의해 시작되고, 그외에, 트리거 레버(104)가 저지 위치로 복귀되고,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가 다시 한번 더 수행되고 캠기어(84)가 제15b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가게된다. 따라서, 트리거 레버(104)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며, 여기의 결합 돌출부(106)는 제2캠부(103)의 캠부(101d)와 역전 모드 가압 캠(102) 사이를 지나서 캠부(101d)에 인접한 비 이동면(101e)의 단부 가까운 위치로 가게되고, 그다음 시계 방향으로 역전 모드 가압 캠(102)의 단부상의 회전 위치 내측상의 위치에, 즉, 캠기어(84)의 중앙을 향해 이동된 위치에 위치된다.
트리거 레버(104)의 위치는 이때 인장 스프링(112)의 인장력과 트리거 레버(104)가 중간 레버(119)에 의해 오른쪽으로 방향 슬라이더(72)를 가압하는 가압력에 대한 반작용력 즉, 중앙 스프링(81)의 편의력의 균형에 의해 성취되면, 그다음 현 테이프 플레이어(1)에서, 트리거 레버(104)가 비저지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면, 인장력과 편의력은 서로 균형이되므로 트리거 레버(104)는 인접 위치에 유지된다. 제10a도는 이런 테이프 플레이어(1)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방향 슬라이더(72)는 트리거 레버(104)에 의해 조금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므로 여기의 제어핀(77)은 캠 기어(84)의 회전시 캠 돌출부(92)의 단부(92a)의 위치의 조금 외향으로 즉 캠기어(84)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캠부(92)의 역전 모드 가압면(94)은 방향 슬라이더(72)를 역전 모드 위치로 이동하도록 오른쪽으로 제어핀(77)을 가압한다.
특히,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가 2초동안 수행되고, 캠 기어(84)의 역전 모드 가압 캠(102)은 제1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 전방을 행해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를 가압한다. 결국, 트리거 레버(104)는 비저지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조금 더 피봇되므로 여기의 가압핀(108)은 방향 슬라이더(72)의 압력 수용 러그(76)를 중간 레버(119)에 의해 오른쪽을 향해 가압한다. 이런 가압 작동의 결과로, 방향인 슬라이더(72)는 제2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 모드 위치 가까운 위치로 이동되므로 제어핀(77)은 캠 돌출부(92)의 단부(92a)가 제1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핀(77)의 왼측에 위치할 때 까지에 캠기어(84)의 회전시, 캠 돌출부(92)의 단부(92a)이 위치보다 다소 오른쪽으로 이동되며 반면 역전 모드 가압 캠(102)은 결합 돌출부(106)를 가압한다. 그리고 나서, 역전 모드 가압 캠(102)이 제19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에서 이탈되면, 방향 슬라이더(72)는 센터링 스프링(81)의 편의력에 의해 정지 위치로 왼쪽으로 이동되므로, 여기의 제어핀(77)은 캠 돌출부(92)의 역전 모드 가압면(94)과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그 위치에서 모드 가압면(94)는 오른쪽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핀(77)을 가압해서 방향 슬라이더(72)를 역전 모드 위치로 이동된다.
방향 슬라이더(72)의 제어핀(77)에 대해 왼쪽으로 캠기어(84)의 역전 모드 가압면(94)의 가압 작동은 제2압력 수용면(96)에 인접한 역전 모드 가압면(94)의 단부가 제어핀(77)과 접촉하게 될 때 단부까지 이르게 되며, 그때, 방향 슬라이더(72)는 역전 모드 위치에서 조금 오른쪽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그동안, 이전에 약간의 시간적인 관점에서 보면, 결합 돌출부(106)이 캠기어(84)의 제2캠부(103)의 이동면(101f)에 의해 가압되므로 트리거 레버(104)는 구속 위치로 복귀된다. 즉시 캠 기어(84)의 제2압력 수용면(96)에 인접한 역전 모드 가압면(94)의 단부가 방향 슬라이더(72)의 제어핀(77)과 접촉하게 된후, 캠기어(84)는 제2결합 위치에 도달하므로 여기의 제2결합 돌출부(100)는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와 인접하게 된다. 그 다음 이런 매우 짧은 기간동안, 제어핀(77)이 제9도와 제18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 모드 가압면(94)에 인접한 캠 돌출부(92)의 제2압력 수용면(96)의 단부와 인접되기 때문에 약간 왼쪽으로 복귀되고, 결국, 방향 슬라이더(72)가 역전 모드 위치로 가게된다.
따라서, 캠기어(84)가 제2결합 위치에 있을 때, 캠기어(84)의 회전은 금지되어 반면 제어핀(77)이 거의 오른쪽 후방으로 안내되는 캠 돌출부(92)의 제2압력 수용면(96)과 오른쪽에서 인접하므로 그것은 왼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방향 슬라이더(72)는 센터링 스프링(81)의 편의력에 대향해서 역전 모드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방향 슬라이더(72)는 역전 모드 위치로 이동되고 그런후 여기에 유지되기 때문에, 시소 레버(50)는 플레이 위치로 헤드 베이스(24)를 이동시키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며 반면 역전 모드측 핀치롤러 레버(19')는 전진 위치로 이동되므로 여기에 있는 핀치롤러(20')는 역전모드측 캡스턴(9')에 대향해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그동안, 저속용 요동 레버(56)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므로 저속용 요동 기어(57)는 공급측 리얼 베이스(5')의 기어부(7')와 맞물리게 된다.
역전 플레이 모드는 이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제18도, 제20a도 및 제20b도를 참조하면, 현재 이루어진 플레이 모드를 취소하라는 지시 신호, 즉 다시 말하면, 정지 모드 혹은 고속 공급 모드를 선택하라는 지시 신호가 작동부(125)에서 시스템 제어기(124)로 입력된다면,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는 수행되며 모터(10)가 전방으로 회전하게된다.
따라서, 트리거 레버(104)는 제18도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므로 제2결합 위치에서의 캠기어(84)의 결합은 취소된다. 이 예에서, 캠기어(84)의 제2캠부(103)의 홀딩면(101g)이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와 마주보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에 의해 인력에서 완화되는 트리거 레버(104)는 결합 돌출부(106)가 홀딩면(101g)와 인접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좀더 피봇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그 다음, 트리거 레버(104)에 의해 캠기어(84)의 결합이 취소된후, 캠기어(84)는 주로 정지 위치로의 디렉션 슬라이더(72)의 복원력에 의해 제21b도에 도시한 위치로 일행정 회전되므로 여기의 제1치형부(87)의 가이드 단부(87a)는 구동기어(18b)와 맞물리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플레이어(1)가 정상 플레이 모드에 있으면, 방향 슬라이더(72)는 여기의 제어핀(77)이 캠기어(84)의 제1압력 수용면(95)과 왼쪽으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센터링 스프링(92)에 의해 정지 위치로의 복원력에 대향해서 정상 모드 위치에 유지되며, 반면 테이프 플레이어(1)가 역정 플레이 모드에 있으면, 방향 슬라이더(72)는 여기의 제어핀(77)이 제2압력 수용면(96)과 오른쪽으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정지 위치로의 복원력에 대향해서 역전 모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두 플레이 모드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정지 위치로의 복원력에 의해 제공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은 방향 슬라이더(72)가 캠기어(84)에 제공 될 때 작용하지만, 캠기어(84)는 이런 회전력에 대향해서 트리거 레버(104)에 의해 회전이 중단된다. 또, 테이프 플레이어(1)가 플레이 모드에 있으면, 시계 방향으로의 캠기어(84)의 제2치형부(89)의 가이드 단부가 구동 기어(18b)와 마주보기 때문에, 캠기어(84)가 제2결합 위치에서 어느 정도 회전되면, 캠기어(84)의 제2치형부(87)는 구동 기어(18b)와 맞물리지 않게된다.
결과적으로, 캠기어(84)의 결합이 테이프 플레이어(1)가 플레이 모드에 있는 동안 취소되면, 캠기어(84)는 정지 위치로의 방향 슬라이더(72)의 복귀력에 의해 제공되는 복귀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러한 회전은 제어핀(77)이 제2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력 수용면(95) 또는 제2압력 수용면(96)으로부터 해제될 때 까지 이어진다. 또한, 캠기어(84)가 제21a도에 도시된 위치로 되면,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는, 우측면을 향해 약간 전진하는 최종 압력 수용면(101h)을 가압하도록 제2캠부분(103)의 최종 압력 수용면(10번째)과 접촉한다. 따라서, 여기서부터, 캠기어(84)는 트리거 레버(104)로의 인장 스프링(112)에 의해 나타나는 회전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부가 회전된다. 최종 압력 수용면(101h)과 연속되는 최종 배압면(101i)이 제2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속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제2치형부(87)의 개시 단부(87a)가 제2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8b)와의 맞물리게 되는, 협곡 바닥 형태 부분과 결합 돌출부(106)가 맞닿게 될 때까지 상기 회전은 계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캠기어(84)는 제1 결합 위치와 제2결합 위치 사이에 중간 통로 위치로 오게된다.
반면에, 방향 슬라이더(72)는 그 위에 제어핀(77)이 제1압력 수용면(95) 또는 제2압력 수용면(96)으로부터 멀어질때의 점에서 정지 위치에 오게된다. 결국, 저속용 요동레버(56)와 시소 레버(50)는, 핀치롤러 레버(19 또는 19')가 수축 위치로 복귀되는 동안에 각각의 중립 위치로 돌아오게 되고, 헤드 베이스(24)는 그 조절핀(29)에 제어 레버(45)의 저지 모서리(48b)와 맞닿는 구역 즉, 정지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이런한 점에서 즉, 캠기어(84)가 제1 결합 위치 또는 제2결합 위치에 이르면, 정지 모드가 실질적으로 확립하게 된다.
다음에, 캠 기어(84)는 제2치형부(87)가 구동 기어(18b)에 의해 공급되므로서 제1 결합 위치로 더욱 회전된다.
더불어, 구동 기어(18b)에 의해 회전의 개시됨과 동시에, 캠기어(84)의 제2캠 부분(103)의 최종 배압면(101i)은 트리거 레버(104)가 저지 위치로 돌아오도록 결합 돌출부(106)를 가압하여, 그 바로 뒤에서, 제1 결합 돌출부는 구동 기어(18b)가 제1치형부(88)와 대향되어 있는 동안에 트리거 레버(104)의 결합 돌출부(106)에 의해 맞닿아 결합 되도록, 캠기어(84)가 제1 결합 위치에 이르게 된다.
캠기어(84)가 구동 기어(18b)에 의해 회전될 때 방향 슬라이더(72)의 제어핀(77)은 제1 캠 구역(97)의 최종 가이드면(91a)에 의해 약간 좌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어서 정지케하는 조절면(91b)과 맞닿는 다는 점을 주목한다. 결과적으로, 방향 슬라이더(72)는 정지 위치보다 약간 멀리 좌측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이동된다.
정지 모드의 형성은 전술된 방식으로 수행된다.
제14도를 참고로 하면, 테이프 플레이어(1)가 플레이 모드에 있을때의 예정 레벨로의 밧데리 동력원(127)의 전압 강하시에, 작동 정지 모드는 자동적으로 확정되며 헤드 베이스(24)가 정지 위치로 돌아온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만일에 밧데리 동력원(127)의 전압이 예정 레벨보다 더 낮은 값으로 감소되는 것이 감소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면, 제한 신호가 감소 전압 검출 회로(128)로부터 시스템 제어기(124)로 전해진다. 결국, 솔레노이드 플런저(113)의 에너지화가 제2결합 위치에 캠기어(84)의 결합이 취소되도록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방향 슬라이더(72)는 전술된 정지 모드의 형성 상태와 유사하게 센터링 스프링(81)에 의해 제공된 정지 위치로의 복귀력에 의해 캠기어(84)가 회전하는동안에 정지 위치로 이동되며, 결국, 시소 레버(50)는 헤드 베이스(24)가 정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중간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플레이어(1)의 캠어(84)가 제1 결합위치와 제2결합 위치 사이에 정지되는 것을 제외하면, 작동 정지 모드가 닿게 되고, 그리고 시소 레버(50)에 의한 헤드 베이스(24)와 방향 슬라이더(72)의 위치 제어가 취소되므로서 돌출 위치로의 제어레버(45)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자기 유지형 솔레노이드 플런저로의 수축과 솔레노이드 플런저가 에너지화될 때 수축으로부터 해제될 때 그리고 탄성 부재에 의해 비저지 위치로 이동될 때 저지 위치에서 유지되는 피봇적인 레버가 트리거 부재로서 사용되고 비저지 위치로부터 저지 위치로의 상기 트리거 부재의 복귀로서 캠기어상에 제공된 제2캠 섹션의 파트로서 수행되며, 비저지 위치로 이동되는 트리거 부재의 결합 부분에 의해 다수배의 선택이 상기 구조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진행 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계적 구조물은 훨씬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트리거 부재는 레버 형성된 상기 트리거 부재일 필요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만일 캠 기어의 회전이 나타나는 저지 위치와 그러한 나타남이 취소되는 비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때만 필요한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중간 개재 레버에 의해 수행되는 트리거부재에 의해 방향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실시예에서, 중간 개개 레버가 방향 슬라이더에 대한 트리거 부재의 이동을 증대하기 위하여 제공되지만, 본 발명내에서는 임의적인 기본 소자로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더욱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형태, 구조 및 그 외 다양한 부재들 특히, 형태 및 전술된 다향한 캠 부분은 실제적으로 본 발명은 실시키 위한 예로서 도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테이프가 일방향으로 주행되는 동안 기록 또는 재생이 시행되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정상 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정상 모드 위치와, 테이프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주행되는 동안 기록 또는 재생이 시행되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역 플레이 모드가 실시되는 역 모드 위치 및, 테이프 플레이어가 작동하지 않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정지 모드가 실시되는 정지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제어부를 갖는 방향 슬라이더와; 저지 위치와 비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결합부를 갖는 트리거 부재와; 상기 방향 슬라이더의 제어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정상 모드 가압면과 제어부를 따른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역 모드 가압면이 있는 제1 캠 섹션의 상기 결합부와 관련된 제2캠 섹션을 갖는 회전 가능한 캠 기어를 구비하며,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저지 위치, 플레이 모드 실시 위치 및 정지 모드 실시 위이에 있을 때 회전이 억제되는 회전식 캠기어를 포함하며; 캠기어의 제1 캠 섹션의 정상 모드 가압면은 테이프 플레이어가 정지 모드상에서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일단 비결합 위치로 이동할 때 방향 슬라이더를 정상 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방향 슬라이더의 제어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1 캠 섹션의 역 모드 가압면은 예정된 기간동안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두 번 이동할 때 방향 슬라이더를 역 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예정된 기간에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가 비저지 위치로 두 번 이동할 때 상기 트리거 부재의 결합부는, 제1 캠 섹션이 역모드 가압면이 제어부를 가압하여 방향 슬라이더를 역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트리거 부재가 방향 슬라이더를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제2캠 섹션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변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는 정지 모드에서의 제1 결합 위치와 정상 또는 역 플레이 모드에서의 제2결합 위치를 가지며 트리거 부재에 의해 제1 결합 위치로부터 제2결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전자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는 비치형부를 가지며, 트리거 부재의 작동에 의해 그 비치형부가 구동 기어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KR1019910021944A 1990-11-29 1991-11-29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KR100214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32539A JPH04205751A (ja) 1990-11-29 1990-11-29 テーププレーヤにおけるモード切替機構
JP90-332539 1990-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66A KR920010566A (ko) 1992-06-26
KR100214790B1 true KR100214790B1 (ko) 1999-08-02

Family

ID=1825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944A KR100214790B1 (ko) 1990-11-29 1991-11-29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60844A (ko)
EP (1) EP0488714B1 (ko)
JP (1) JPH04205751A (ko)
KR (1) KR100214790B1 (ko)
DE (1) DE691223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182A (en) * 1991-11-29 1995-02-21 Goldstar Co., Ltd. Mode changing apparatus utilizing one cam gear and one solenoid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JP3273637B2 (ja) * 1992-07-10 2002-04-08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用モード切換え機構
JP3196392B2 (ja) * 1993-01-14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ム装置
US5481427A (en) * 1993-01-29 1996-01-02 Sony Corporation Mode selector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corder including improved cam gear and drive selecting mechanism
WO1995024034A1 (en) * 1994-03-02 1995-09-08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with a drive arrangement for information carriers in the form of tapes
JPH0817097A (ja) * 1994-06-27 1996-01-19 Sony Corp テーププレーヤにおけるテープ走行機構
US5570253A (en) * 1994-11-17 1996-10-29 Goldstar Co., Ltd. Selection lever sliding means for disengaging the selection gear from the main gear of a cassette tape recorder when selecting a mode
CN1069990C (zh) * 1994-12-07 2001-08-22 株式会社金星社 盒式录音机工作方式转换装置
US5950026A (en) * 1995-07-25 1999-09-07 Eastman Kodak Company Roll stabilized, nesting vee, magnetic head assembly for magnetics-on-film
US5729402A (en) * 1996-03-13 1998-03-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ogic controlled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973877A (en) * 1996-08-27 1999-10-26 Samsung Electronics Co., Inc. Portable audio logic deck mechanism and pinch roller driving apparatus and ejecting apparatus adopted in the same
US5671454A (en) * 1996-10-24 1997-09-23 Eastman Kodak Company Head to film interface for photofinishing equipment
US5903412A (en) * 1996-11-01 1999-05-11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 running state of a magnetic tape
JP3378779B2 (ja) * 1997-09-01 2003-02-17 シンワ株式会社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JP5458990B2 (ja) 2010-03-16 2014-04-02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ソシエーション情報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418B2 (ja) * 1977-11-19 1985-05-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H0725870Y2 (ja) * 1986-02-20 1995-06-07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テ−プレコ−ダ
JPS648538A (en) * 1987-06-30 1989-01-12 Sony Corp Rotation driver for reel base
JPH0614297Y2 (ja) * 1988-06-02 1994-04-13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走行方向制御装置
JP2737178B2 (ja) * 1988-11-18 1998-04-08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60844A (en) 1993-11-09
EP0488714B1 (en) 1996-09-25
EP0488714A1 (en) 1992-06-03
KR920010566A (ko) 1992-06-26
DE69122360T2 (de) 1997-02-13
JPH04205751A (ja) 1992-07-27
DE69122360D1 (de) 199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790B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모드 변환 장치
US4121267A (en) High speed feeding and rewinding mechanism in a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3979772A (en) Automatic tape loading ty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GB1249179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425591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829955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624919Y2 (ko)
US4210297A (en) Tape driving system for a tape recorder
JPS6115504B2 (ko)
JP2973518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315931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58147835A (ja) 磁気テ−プ装置
JPH0261848A (ja) テープレコーダのオートストップ機構
JPS6232367Y2 (ko)
JPS6125087Y2 (ko)
JPS6144268Y2 (ko)
JPS6346912Y2 (ko)
JPH0427001Y2 (ko)
JP2699501B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528586Y2 (ko)
JPS6128275Y2 (ko)
JPS6127821B2 (ko)
JPH0214450A (ja) リール駆動装置
JPH0560177B2 (ko)
JPS5811702B2 (ja) テ−プソウコウソウチニ オケル ピンチロ−ラアツチヤクソ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